KR101740558B1 - 웹 어플리케이션을 활용한 하수관망 시설물의 자산 및 유지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웹 어플리케이션을 활용한 하수관망 시설물의 자산 및 유지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40558B1
KR101740558B1 KR1020160037667A KR20160037667A KR101740558B1 KR 101740558 B1 KR101740558 B1 KR 101740558B1 KR 1020160037667 A KR1020160037667 A KR 1020160037667A KR 20160037667 A KR20160037667 A KR 20160037667A KR 101740558 B1 KR101740558 B1 KR 1017405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management server
sewage
facility
integrated manag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376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양근
김미경
김대중
윤성동
한정윤
이기철
김지용
손재락
이광진
최승찬
Original Assignee
환경관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환경관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환경관리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376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4055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05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05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6Energy or water suppl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7Strategic management or analysis, e.g. setting a goal or target of an organisation; Planning actions based on goals; Analysis or evaluation of effectiveness of go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4Payment architectures specially adapted for billing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20/00Water conservation; Efficient water supply; Efficient water use
    • Y02A20/152Water filtration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conom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arketing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Finance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GIS 기반의 웹 어플리케이션이 구비된 통합 관리 서버를 통해 하수관망 관련 시설물에 대한 자산 관리와 유지 관리를 체계적이면서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웹 어플리케이션을 활용한 하수관망 시설물의 자산 및 유지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특정 지역에 구축된 하수관거, 하수연결관, 측구, 하수관거심도, 하수맨홀, 물받이, 우수토실, 역사이펀, 토구, 환기구, 하수처리장, 하수펌프장, 유수지, 처리구역, 처리분구, 배수구역, 배수분구, 수위계, 수질계, 악취계, 유량계 및 현장제어반을 포함하는 하수관망 관련 시설물에 대하여 각각의 식별 정보, 위치 정보, 이미지 정보, 측정 정보, 대장 정보 및 비용 정보를 포함한 관리 정보를 저장 및 관리하며, 저장된 상기 관리 정보를 웹상에서 제공하기 위한 통합 관리 서버; 및 유, 무선 인터넷망을 통해 상기 통합 관리 서버에 접속되어 상기 하수관망 관련 시설물에 대한 관리 정보를 업로드하며, 상기 통합 관리 서버에서 제공하는 관리 정보를 웹상에서 조회 및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관리자 단말;을 포함하는 하수관망 시설물 통합 관리 및 정보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웹 어플리케이션을 활용한 하수관망 시설물의 자산 및 유지관리 시스템{ Asset Management And Maintenance Management System For Sewer Network Facility Using Web Application}
본 발명은 GIS 기반의 웹 어플리케이션이 구비된 통합 관리 서버를 통해 하수관망 관련 시설물에 대한 자산 관리와 유지 관리를 체계적이면서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웹 어플리케이션을 활용한 하수관망 시설물의 자산 및 유지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사회 공공시설 중 하수관망 시설물들은 대부분 지하에 위치하는 지하 시설물에 해당되어 사고가 발생하기 전에는 상태가 심각하게 노후화되어 있더라도 확인이 쉽지 않으며, 해당 시설의 사고 후 복구에 소요되는 사회 환경적 비용은 일상적인 유지관리비나 개·보수비용에 비하여 매우 큰 특성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향후 하수관망 시설물의 유지관리 대응 방향은 기존의 사후 유지관리 개념에서 벗어나 사전 예방적 개념의 유지관리 기법의 도입이 시급한 시점이다.
한편 중앙정부조직, 광역자치단체 및 기초자치단체와 이들이 운영하는 시설관리공단과 같은 산하 기관들은 공공시설물의 안정성 확보를 위해 도로관리시스템, 교량관리시스템 등 다양한 시스템을 구축해 왔다.
그러나 이러한 관리시스템은 대부분 시설물의 현황파악을 위한 데이터수준의 시스템으로 자산관리의 핵심이라고 할 수 있는 예방적 유지관리의 기준 및 보수·보강계획, 향후 유지보수시기, 소요예산 추정 등과 같은 주요 의사결정지원 기능을 갖추고 있지 못한 실정이다.
이에 보수·보강 효과의 정량화, 비용추정, 최적 유지관리전략 수립, 장래 유지관리 수요추정 기술 등에 대한 개발을 통해 예산집행의 효율성을 증대시키고 국민에게 질 높은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안으로 자산관리의 도입이 시급한 실정이다.
한편 선행기술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729390호 “지아이에스를 이용한 지역별 상하수도 서비스 평가 시스템 및 방법”이 제시되고 있는데, 이러한 기술은 상하수도 사업자 또는 지자체의 관리자들이 운영실태를 파악하기 위한 정량적인 지표를 제시할 뿐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729390호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하수관망 관련 시설물에 대한 자산 관리와 유지 관리를 체계적이면서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웹 어플리케이션을 활용한 하수관망 시설물의 자산 및 유지관리 시스템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웹 어플리케이션을 활용한 하수관망 시설물의 자산 및 유지관리 시스템은 특정 지역에 구축된 하수관거, 하수연결관, 측구, 하수관거심도, 하수맨홀, 물받이, 우수토실, 역사이펀, 토구, 환기구, 하수처리장, 하수펌프장, 유수지, 처리구역, 처리분구, 배수구역, 배수분구, 수위계, 수질계, 악취계, 유량계 및 현장제어반을 포함하는 하수관망 관련 시설물에 대하여 각각의 식별 정보, 위치 정보, 이미지 정보, 측정 정보, 대장 정보 및 비용 정보를 포함한 관리 정보를 저장 및 관리하며, 저장된 상기 관리 정보를 웹상에서 제공하기 위한 통합 관리 서버; 및 유, 무선 인터넷망을 통해 상기 통합 관리 서버에 접속되어 상기 하수관망 관련 시설물에 대한 관리 정보를 업로드하며, 상기 통합 관리 서버에서 제공하는 관리 정보를 웹상에서 조회 및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관리자 단말;을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하나의 예로써, 상기 통합 관리 서버는, 상기 관리 정보를 단위 구역별로 관리하며 관리 정보에 포함된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선택된 하나 이상의 하수관망 관련 시설물의 위치를 지도상에 표시하여 제공하되, 상기 하수관거 또는 맨홀이 선택된 경우 선택된 하수관거 또는 맨홀 지점으로부터 상류관을 추적하고 추적 방향을 따라 라인으로 표시하여 제공할 수 있다.
하나의 예로써, 상기 통합 관리 서버는, 상기 관리 정보 중 대장 정보를 하수관망 관련 시설물별로 분류하여 표시하고 선택된 하나의 하수관망 관련 시설물에 속한 복수의 시설물을 설정된 정렬 조건에 따라 리스트화하여 제공하되, 리스트 중 선택된 하나의 시설물에 대한 위치를 지도상에 표시하고 대장 정보를 조회 및 편집할 수 있는 대장관리팝업창을 제공할 수 있다.
하나의 예로써, 상기 대장관리팝업창은, 상기 선택된 하나의 시설물에 대한 유지보수현황, 시설물이미지, 준설이력, CCTV영상 및 조사이력을 리스트화하여 제공하며 각 항목에 대하여 조회 및 편집을 수행할 수 있도록 제공할 수 있다.
하나의 예로써, 상기 선택된 하나의 시설물에 대한 조사이력 항목은 해당 시설물의 지도상 위치, 일련번호, 검사일자, 검사지표, 검사방법, 검사기준 및 장비, 검사결과표, 판정결과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대장관리팝업창은, 선택적으로 상기 조사이력 항목을 표 형태의 보고서로 출력하도록 제공할 수 있다.
하나의 예로써, 상기 통합 관리 서버는, 상기 관리 정보 중 비용 정보를 상기 하수관망 관련 시설물을 관리함에 있어 지출되는 공통비용, 시설물비용, 설치비용별로 분류하여 표시하고, 각 비용에 대한 조회 및 편집을 수행할 수 있도록 제공할 수 있다.
하나의 예로서, 상기 측정 정보는, 유량데이터, 수질데이터, 악취데이터, 침입수데이터, 유입수데이터 및 이들 각각에 대한 통계 데이터를 포함하며, 상기 통합 관리 서버는, 상기 관리 정보 중 상기 측정 정보를 종류별로 분류하여 표시하고 선택된 하나의 측정 정보를 설정된 정렬 조건에 따라 리스트화하여 제공하며, 해당 측정 정보의 통계 데이터를 설정된 기간 조건에 따라 그래프로 표시하여 제공할 수 있다.
하나의 예로써, 상기 통합 관리 서버는, 저장된 관리 정보 내지 상기 관리자 단말로부터 업로드된 관리 정보를 분석하여 선택된 하수관망 관련 시설물의 수리적진단, 구조적진단, 환경적진단, I/I진단 및 노후화진단을 각각 산출하고 이들의 종합 진단 결과를 통해 시설물상태진단평가 결과를 도출하며, 이를 표 형태의 보고서로 출력하도록 제공할 수 있다.
하나의 예로써, 상기 통합 관리 서버는, 상기 수리적진단, 구조적진단, 환경적진단, I/I진단 및 노후화진단을 각각 점수화하여 산출하고, 평가대상 하수관망 관련 시설물을 지도상에서 표시하되 기설정된 점수 범위별 색상을 지정하여 상기 평가대상 하수관망 관련 시설물을 진단 결과 점수에 따른 색상으로 표시할 수 있다.
하나의 예로써, 상기 통합 관리 서버는, 저장된 관리 정보 내지 상기 관리자 단말로부터 업로드된 관리 정보를 분석하여 선택된 하수관망 관련 시설물에 대한 생애주기비용(LCC)을 도출하고 이를 기반으로 LCC 확률적 예측 정보와 하나 이상의 상황별 LCC 시나리오 제공할 수 있다.
하나의 예로써, 상기 통합 관리 서버는, 하수관망 시설물에 대한 자산관리에 있어 요구되는 서비스 수준을 정의하고 이를 평가 할 수 있는 지표를 설정하여 표시하며, 설정된 평가지표를 포함한 평가항목별 배점을 기준으로 하수관망 관련 시설물에 대한 서비스수준을 도출하여 제공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웹 어플리케이션을 활용한 하수관망 시설물의 자산 및 유지관리 시스템은 복잡한 절차 없이도 웹 망을 통해 용이하게 통합 관리 서버에서 접속할 수 있으며, 통합 관리 서버로부터 제공되는 GIS 기반의 정보 제공 화면을 통해 하수관망 관련 시설물에 대한 자산 관리와 유지 관리를 체계적이면서도 효율적으로 수행하게 함으로써 상하수도 사업자 또는 지자체의 관리자들이 하수관망 시설물의 운영 실태를 명확하게 파악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웹 어플리케이션을 활용한 하수관망 시설물의 자산 및 유지관리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통합 관리 서버의 지도 맵 화면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통합 관리 서버의 시설물 관리 화면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통합 관리 서버의 비용 관리 화면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통합 관리 서버의 측정자료 관리 화면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통합 관리 서버의 시설물상태진단평가 화면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 내지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통합 관리 서버의 생애주기비용분석 화면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 내지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통합 관리 서버의 서비스수준 화면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0 내지 도 21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통합 관리 서버의 일정/민원관리 화면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웹 어플리케이션을 활용한 하수관망 시설물의 자산 및 유지관리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웹 어플리케이션을 활용한 하수관망 시설물의 자산 및 유지관리 시스템(이하 '자산 및 유지관리 시스템'이라 함)은 하수관망 관련 시설물에 대한 자산 관리와 유지 관리를 GIS 기반의 웹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체계적이면서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자산 및 유지관리 시스템은 접근 권한이 부여된 하나 이상의 관리자 단말(20)이 웹(Web)을 통해 서비스를 제공하는 통합 관리 서버(10)에 접근하도록 하며, 통합 관리 서버(10)로부터 제공되는 하수관망 시설물에 대한 정보들 예를 들면 시설물의 유지 관리, 비용 관리, 측정자료 관리, 일정 관리, 민원 관리 등을 포함한 정보의 조회와 편집은 물론 하수관망 관련 시설물에 대한 시설물상태진단평가, 생애주기비용분석, 서비스수준 등을 도출하여 하수관망 관련 시설물을 운영함에 있어 예측되는 분석 결과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하수관망 관련 시설물"이라 함은 특정 지역에 구축되어 하수관망을 구성하는 모든 시설물들이 대상이 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하수관거", "하수연결관", "측구", "하수관거심도", "하수맨홀", "물받이", "우수토실", "역사이펀", "토구", "환기구, "하수처리장", "하수펌프장", "유수지", "처리구역", "처리분구", "배수구역", "배수분구", "수위계", "수질계", "악취계", "유량계" 및 "현장제어반"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통합 관리 서버(10)는 상기 하수관망 관련 시설물에 대하여 각각의 식별 정보, 위치 정보, 이미지 정보, 측정 정보, 대장 정보 및 비용 정보를 포함한 관리 정보를 저장 및 관리하며, 유, 무선 통신망을 통해 접속된 관리자 단말(20)의 요청 명령에 따라 저장된 상기 관리 정보를 웹 페이지 형태로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관리 정보는 데이터베이스에 누적된 정보에 더하여 상기 관리자 단말(20) 등으로부터 편집 및 업로드된 정보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관리 정보는 실시간으로 업데이트되어 웹을 통해 제동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여기서 상기 관리자 단말(20)은 특정 지역별 하수관망 관련 시설물을 관리하기 위한 관리자의 PC이거나, 상기 통합 관리 서버(10)와 유, 무선 통신망을 통해 데이터 통신 가능한 스마트폰 또는 테블릿일 수 있으며, 상기 통합 관리 서버(10)로부터 사전에 인증 과정을 거쳐 접근 권한이 부여된 기기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통합 관리 서버(10)는 GIS 기반 위치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지도맵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정보들을 웹을 통해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웹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러한 웹 어플리케이션은 관리자의 설정 및 편의를 위한 메뉴바와, 색인창, 범례창, 상태바 및 입력창은 물론 지도 레이어 등을 포함하는 서비스 제공 화면을 웹 페이지 상에서 구현되도록 하는 다양한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를 제공한다.
상기 통합 관리 서버(10)는 상기 웹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관리 대상으로 분류된 하수관망 관련 시설물 중 선택된 하나 이상의 하수관망 관련 시설물의 목록을 검색하게 되며, 검색목록에서 시설물의 대장을 조회, 수정, 삭제하는 등의 편집이 실시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통합 관리 서버(10)는 상기 웹 어플리케이션에서 제공되는 지도맵 화면에서 관리 대상으로 분류된 하수관망 관련 시설물 중 선택된 하나 이상의 하수관망 관련 시설물의 대장으로 접근이 가능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웹 어플리케이션에서 구비되는 지도맵은 자체적 제작된 지도맵일수도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국토교통부에서 공개 응용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Open-API) 형태로 제공되는 브이월드(www.vworld.kr)에 접근하여 이로부터 제공되는 지도맵을 가공하여 활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웹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통합 관리 서버(10)의 운영체계(OS) 플랫폼 환경 대응하여 상기 관리자 단말(20) 간 데이터 연동을 실시할 수 있는 응용 소프트웨어를 제공한다.
예를 들면 상기 통합 관리 서버(10)의 웹 어플리케이션은 Window 7 이상의 OS 환경에서 실행 및 구동될 수 있으며, HTML5, CSS3, JAVASCCRIPT, JSP, JAVA 등의 사용 언어로 제작될 수 있다. 그리고 상술한 기능들이 정상적으로 구동되기 위하여 요구되는 오라클 데이터베이스와 같은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와 GIS 서버 엔진인 GeoServer 2.* 등의 프로그램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관리자 단말(20)은 하나 이상 구비되어 유, 무선 인터넷망을 통해 상기 통합 관리 서버(10)에 접속될 수 있으며, 상기 통합 관리 서버(10)의 데이터베이스망에 접근하여 상기 하수관망 관련 시설물에 대한 관리 정보를 업로드하거나, 상기 통합 관리 서버(10)에서 제공하는 관리 정보를 웹상에서 조회 및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러한 관리자 단말(20)은 도면에 도시된 바 없으나 상기 통합 관리 서버(10)에 요청 명령을 입력하거나, 검색 조건 내지 업로드할 정보 등을 입력하기 위한 입력부가 구비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통합 관리 서버의 지도 맵 화면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기 통합 관리 서버(10)는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관리 정보를 단위 구역별로 관리할 수 있으며, 선택된 단위 구역별 관리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통합 관리 서버(10)는 상기 관리 정보에 포함된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선택된 하나 이상의 하수관망 관련 시설물의 위치를 지도상에 표시하여 제공함으로써 선택된 하수관망 관련 시설물의 설치 위치와 경로 등을 서비스 제공 화면을 통해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일 예로서 상기 통합 관리 서버(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단위 구역에 설치된 하수관망 관련 시설물 중 하수관거의 경우 연속적인 라인 형태로 표시할 수 있으며 맨홀의 경우에는 설치 지점에 점 형태로 표시하여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통합 관리 서버(1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수관거 또는 맨홀이 선택된 경우 선택된 하수관거 또는 맨홀 지점으로부터 상류관을 추적하고 추적된 방향을 따라 라인으로 표시하여 제공함으로써 하수관거 등의 상류관 방향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도 4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통합 관리 서버의 시설물 관리 화면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한편 상기 통합 관리 서버(10)는 상기 관리 정보 중 대장 정보를 하수관망 관련 시설물별로 분류하여 표시할 수 있는 바, 선택된 하나의 하수관망 관련 시설물에 속한 복수의 시설물을 도 5와 같이 설정된 정렬 조건에 따라 리스트화하여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정렬 조건은 하수관망 관련 시설물 고유의 식별 정보, 관리 정보, 위치 정보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대장 정보는 하수관망 관련 시설물의 관리 번호, 관리 기관, 설치 일자, 행정 구역, 구조 및 재원 정보, 이력 및 현황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통합 관리 서버(1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스트된 항목 중 선택된 하나의 시설물에 대한 위치를 지도상에 표시하고 대장 정보를 조회 및 편집할 수 있는 대장관리팝업창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대장관리팝업창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면상에 활성화되어 표시되는 '대장보기' 아이콘을 선택하여 도 6과 같이 표시될 수 있다.
도 6은 상기 대장관리팝업창의 일 예로 제시되는 도면으로,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대장관리팝업창은 상기 선택된 하나의 시설물에 대한 유지보수현황, 시설물이미지, 준설이력, CCTV영상 및 조사이력을 리스트화하여 제공한다.
상기 대장관리팝업창에서는 유지보수현황, 시설물이미지, 준설이력, CCTV영상 및 조사이력 각 항목별로 조회 기능이나 추가, 삭제, 수정 등을 포함하는 편집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렇게 대장관리팝업창을 통해 편집 안료된 대장 정보는 상기 통합 관리 서버(10)의 데이터베이스에 업데이트되어 저장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선택된 하나의 시설물에 대한 조사이력 항목은 해당 시설물의 지도상 위치, 일련번호, 검사일자, 검사지표, 검사방법, 검사기준 및 장비, 검사결과표, 판정결과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대장관리팝업창에서는 조사이력 항목에서 '보고서 출력' 아이콘이 활성화되어 도 7에 도시되 바와 같이 선택적으로 상기 조사이력 항목을 표 형태의 보고서로 출력하도록 제공할 수 있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통합 관리 서버의 비용 관리 화면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기 통합 관리 서버(10)는 상기 관리 정보 중 비용 정보를 상기 하수관망 관련 시설물을 관리함에 있어 지출되는 공통비용, 시설물비용, 설치비용별로 분류하여 표시하고, 각 비용에 대한 조회 및 편집을 수행할 수 있도록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비용 정보는 하수관망 관련 시설물의 운영 시 지출되는 재무비용을 의미하는 것으로, 예를 들면 상기 공통비용은 세금, 공과금, 직원교육비 등의 비용으로 정의될 수 있으며 통합 관리 서버(10)에서 제공하는 비용 관리 화면을 통해 현장의 여건에 따라 비용 항목을 코드화하여 편집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통비용 항목을 선택할 경우 공통비용 리스트가 정렬되어 표시될 수 있으며, 이 중 하나의 공통비용을 선택하여 편집 가능하도록 편집팝업창을 제공함으로써 공통 비용코드, 지출금액, 지출일자, 사용여부 등을 수정, 등록/추가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시설물비용은 유지관리비용, CCTV비용관리, 준설비용 등으로 정의되며, 해당 비용은 모두 각 시설물별 비용 정보에서 입력될 수 있다. 상기 설치비용은 2012년 표준건설단가를 기준으로 년도별 물가상승률을 고려하여 준공년도의 관거 당 초기 설치 비용을 추정하여 각 하수관망 관련 시설물의 초기설치비용에 반영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통합 관리 서버의 측정자료 관리 화면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기 통합 관리 서버(10)에 저장된 관리 정보에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측정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측정 정보는 유량데이터, 수질데이터, 악취데이터, 침입수데이터, 유입수데이터 및 이들 각각을 통계화 처리한 통계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으며, 수위계, 수질계, 악취계, 유량계 및 현장제어반 등과 같은 하수관망 관련 시설물 자체에서 수집되는 센싱 데이터이거나, 상기 관리자 단말(20)을 통해 업로드될 수 있는 기록 데이터일 수 있다.
상기 통합 관리 서버(10)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관리 정보 중 상기 측정 정보를 종류별로 분류하여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통합 관리 서버(10)는 선택된 하나의 측정 정보를 설정된 정렬 조건에 따라 리스트화하여 제공하며, 해당 측정 정보의 통계 데이터를 설정된 기간 조건에 따라 그래프로 표시하여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통합 관리 서버(10)에 의해 제공되는 측정자료관리 화면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타날 수 있으며, 관리 대상 행정 구역의 지도와 함께 각 측정 정보의 조회나 통계 현황 등을 선택할 수 있는 화면을 제공한다.
그리고 도 10은 유량데이터의 조회 항목에 있어 설정된 정렬 조건에 따라 검색된 리스트의 일 예를 나타내는 것으로, 해당 구역의 유량데이터 리스트와 유량데이터에 대한 통계데이터는 물론 관리자가 용이하게 확인 가능하도록 측정 정보가 반영된 그래프 내지 표 형태의 차트를 함께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측정 정보의 관리는 각 데이터의 조회뿐만 아니라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각각의 데이터에 대한 편집 기능을 제공하도록 하며, 편집된 데이터는 통합 관리 서버(10)의 데이터베이스에 업데이트되어 저장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한편 본 발명의 통합 관리 서버(10)의 관리 정보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또는 상기 관리자 단말(20)로부터 업로드된 측정 정보와 함께 시설물의 실사 이미지를 촬영한 영상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영상 정보를 더하여 보다 정확한 시설물상태진단평가를 수행하여 이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영상 정보는 데이터의 수집이 불가한 경우 숙련자, 기술자가 직접 영상 데이터를 모니터링하여 상기 관리자 단말(20)을 통해 직접적으로 업로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통합 관리 서버(10)는 도면에 도시된 바 없으나 상기 관리 정보를 기반으로 선택된 하수관망 관련 시설물의 물리적 상태 및 재무적 상태를 분석하도록 하며 하수관망 관련 시설물의 유지/관리에 관한 분석 결과를 도출하는 진단/평가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진단/평가부로부터 도출되는 분석 결과를 표시하여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유지/관리에 대한 분석결과라 함은 각각의 하수관망 관련 시설물에 대한 정비방법, 정비시기, 예산집행 등에 관한 분석 결과를 말한다.
즉 각 하수관망 관련 시설물에 대해 초기 설치비용, 보수/준설비용 등 재무적 상태와 노후도 등 물리적 상태를 취합하여 향후 하수관망 시설물의 정비와 이에 따른 예산집행 등에 관한 종합적인 분석결과를 제공함으로써 효율적인 자산관리가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하수관망 관련 시설물에 대한 보수/준설이력, 재무비용, 서비스수준에 대한 정보가 저장될 수 있으며, 여기서 보수/준설이력이라 함은 해당 하수관망 시설물에 있어 보수/준설에 대한 비용, 시기, 횟수 등의 데이터를 말하는 것이고, 재무비용이라함은 각 시설의 초기 시공비용으로 재료비, 인건비 등을 토탈하는 개념이다.
또한 서비스수준이라 함은 각각 시설에 대한 향후 관리(유지, 보수 등의 정도, 시기)정도의 예측치를 미리 설정하는 것으로, 이하에서 설명할 물리적, 재무적 평가에 의거 도출되는 각종 시설의 유지/보수 시나리오에 대한 보강, 보정의 지표가 되는 것이다.
상기 서비스수준은 하수관망 관련 시설물이 위치하는 지역의 주민, 해당관청 관계자 등의 설문조사, 환경조사 등 다양한 조사방법에 의해 도출되는 것으로 주로 하수관망 관련 시설물 외에 인적/환경적 요인에 의해 평가되는 기준이 될 것이다.
상기 진단/평가부의 물리적분석모듈과, 재무적분석모듈과, 의사결정모듈 및 출력모듈로 구성된다.
상기 물리적분석모듈의 작동상태를 상세히 설명하면 선택된 하수관망 시설물에 대한 측정 정보를 전달받아 이를 분석하여 결과물로서 시설노후도, 시설상태평가를 도출한다. 여기서 시설노후도는 해당 하수관망 관련 시설물에 대한 수명예측치를 정의하는 것으로 다양한 함수에 의해 그 정도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상기 시설상태평가는 해당 하수관망 관련 시설물의 현재 상태를 정의하는 것으로 이 경우도 다양한 함수에 의해 그 정도를 나타낼 수 있다.
상기 재무적분석모듈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보수/준설이력, 재무비용에 대한 정보를 취합, 분석하여 생애주기비용(LCC) 분석결과를 결과로서 도출하는 구성에 해당한다. 보수/준설이력, 재무비용으로부터 LCC분석결과를 도출하는 것은 다양한 프로그램이 적용될 수 있는 바, 그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의사결정모듈은 상기 물리적분석모듈과 상기 재무적분석모듈로부터 분석결과를 취합하여 하수관망 관련 시설물에 대한 유지/관리에 관한 분석결과를 도출하는 구성이다.
이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의사결정모듈은 상기 물리적분석모듈로부터 시설노후도와, 상기 재무적분석모듈로부터 LCC분석결과에 대한 데이터를 취합하여 하수관망 관련 시설물에 대한 정비 시나리오를 결과물로 도출하는 것이다.
상기 정비 시나리오라 함은 해당 하수관망 관련 시설물에 대한 향후 정비에 관한 비용, 시기, 방법 등에 대한 분석결과를 말하는 것으로 이러한 정비 시나리오는 출력모듈에 의해 출력될 수 있으며, 최종적으로 상기 통합 관리 서버(10)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 화면상에서 시각적 또는 인쇄물로 표시 및 출력될 수 있는 것이다.
이렇게 본 발명의 통합 관리 서버(10)는 물리적인 예측결과인 시설노후도와 재무적인 예측결과인 LCC분석결과를 종합하여 향후 각각의 시설물에 대한 정비 비용, 시기, 방법 등을 도출하게 되는 것이다.
즉 정비 시나리오는 해당 하수관망 관련 시설물에 대해 물리적 및 재무적 평가를 통해 향후 발생될 수 있는 정비, 시기, 예산집행 등에 대한 규격을 제시하게 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상기 정비 시나리오는 기능면에서 가중치를 둔 정비 시나리오이거나 비용면에서 가중치를 둔 정비 시나리오가 될 수 있는 바, 기능면에서 가중치를 둔 정비 시나리오는 주로 기술적인 부분에 근거한 향후 히스토리가 될 것이며, 비용면에서 가중치를 둔 정비 시나리오는 주로 향후 소요비용에 따른 히스토리가 될 것이다.
또한, 상기 의사결정모듈은 상기 물리적분석모듈로부터 시설상태평가 분석결과와 상기 재무적분석모듈로부터 LCC분석결과를 취합하여 특정 시설에 대한 유지보수결정을 한다.
즉 각각의 시설에 대한 물리적인 현재 상태(시설상태평가) 및 재무적인 현재상태(LCC분석결과)를 분석하여 특정 시설에 대해서 유지보수가 필요하다고 분석되는 경우 해당 시설에 대해 유지보수결정을 내리는 것이다. 이러한 유지보수결정의 경우도 출력모듈에 의해 출력될 수 있으며 통합 관리 서버(10)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 화면을 통해 시각적 또는 인쇄물로 출력될 수 있는 것이다.
이에 상기 의사결정모듈은 상기와 같이 특정 시설에 대한 유지보수결정이 내려지면 각각의 시설에 대한 서비스수준 및 정비 시나리오중 특정 시설물에 대한 서비스수준 및 정비 시나리오를 취합, 분석하여 서비스 수준 시뮬레이션을 결과물로 도출하는 것이다.
이 경우도 서비스 수준 시뮬레이션은 상기 출력모듈에 의해 출력될 수 있으며 통합 관리 서버(10)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 화면을 통해 시각적 또는 인쇄물로 출력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의사결정모듈이 특정 시설물에 대한 서비스 수준 시뮬레이션을 도출하게 되면 관리자는 상기 서비스 수준 시뮬레이션을 기반으로 적정의 유지/보수를 위한 공사방법, 비용을 집행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즉 해당 하수관망 관련 시설물의 외적인 인적/환경적 요인에 의해 기 설정된 서비스수준에 대해 물리적, 재무적 예측결과물에 의한 정비 시나리오를 가지고 보정을 함으로써 가장 최적의 공사지침으로서 상기 서비스 수준 시뮬레이션이 도출되는 것이다.
도 11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통합 관리 서버의 시설물상태진단평가 화면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기 통합 관리 서버(10)는 저장된 관리 정보 내지 상기 관리자 단말(20)로부터 업로드된 관리 정보를 기반으로 상술한 진단/평가부에서 분석된 선택된 하수관망 관련 시설물의 수리적진단, 구조적진단, 환경적진단, I/I진단 및 노후화진단을 각각 산출하고 이들의 종합 진단 결과를 통해 시설물상태진단평가 도출하며, 이를 표 형태의 보고서로 출력하도록 제공할 수 있다.
일 예로서 상기 통합 관리 서버(10)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택된 즉, 평가 대상이 되는 하수관망 관련 시설물에 대하여 지도 상에 위치가 표시되도록 하며 수리적진단, 구조적진단, 환경적진단, I/I진단 및 노후화진단 평가 결과가 반영된 시설물상태진단평가 보고서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통합 관리 서버(10)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리적진단, 구조적진단, 환경적진단, I/I진단 및 노후화진단을 각각 점수화하여 산출할 수 있으며, 평가대상 하수관망 관련 시설물을 지도상에서 표시하되 기설정된 점수 범위별 색상을 지정하여 상기 평가대상 하수관망 관련 시설물을 진단 결과 점수에 따른 색상으로 표시함으로써 평가 대상의 상태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통합 관리 서버(10)는 하수관망 관련 시설물의 상태진단평가를 표시함에 있어 수리적 진단, 구조적 진단, 환경적 진단, 시설물 상태 노후화 평가로 각각 분류하여 진단 리스트를 표 형태로 표시할 수 있는 바, 이 경우, 각 진단 및 평가 항목의 결과 정보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취합되어 종합 진단 결과표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진단 리스트에 있어 선택된 하나의 하수관망 관련 시설물의 상세 재원에 대한 확인이 필요할 경우 '대장 보기'가 아이콘이 활성화되어 이를 선택함에 의해 상세 재원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14 내지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통합 관리 서버의 생애주기비용분석 화면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기 통합 관리 서버(10)는 저장된 관리 정보 내지 상기 관리자 단말(20)로부터 업로드된 관리 정보를 기반으로 상술한 진단/평가부에서 분석된 선택된 하수관망 관련 시설물에 대한 생애주기비용(LCC)을 도출하여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통합 관리 서버(10)는 상기 진단/평가부의 재무적분석모듈로부터 도출되는 분석 결과를 반영한 생애 주기 비용(LCC)을 표시할 수 있는 바, 이러한 생애 주기 비용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LCC 확률적 예측 항목과 LCC 시나리오별 항목으로 표시될 수 있다.
상기 LCC 확률적 예측 정보는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관리 정보로 저장된 설치년도와 설치년도, 초기설치비용은 물론 분석 결과에 따라 예측되는 내구 년도를 항목별로 표시할 수 있으며, 그래프와 같은 차트를 통해 분석 결과로서 누적 LCC정보, 고장확률 정보를 함께 표시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통합 관리 서버(10)는 상기 진단/평가부의 재무적분석모듈에서 도출되는 LCC 정보를 시나리오별로 표시할 수 있다. 즉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진단/평가부의 재무적분석모듈의 분석결과에 따른 하나 이상의 상황별 LCC 시나리오와, 각 LCC 시나리오별로 분석되는 계획일정 리스트를 표시할 수 있으며, 선택된 계획 일정에 대하여 보수주기 및 비용 등을 그래프나 표 등으로 표시하여 제공할 수 있다.
도 16 내지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통합 관리 서버의 서비스수준 화면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기 통합 관리 서버(10)는 저장된 관리 정보 내지 상기 관리자 단말(20)로부터 업로드된 관리 정보를 기반으로 상술한 진단/평가부에서 분석된 선택된 하수관망 관련 시설물에 대한 서비스수준을 도출하여 제공할 수 있다.
즉, 상기 통합 관리 서버(10)는 하수관망 관련 시설물에 대한 자산을 관리함에 있어 근간이 되는 서비스 수준을 정의하고 이를 평가 할 수 있는 지표를 설정 관리 할 수 있으며, 현장 실무에서 사용되고 있는 평가지표 및 항목을 최대한 반영하여 LoS 평가의 현장성이 최대한 반영되도록 관리할 수 있다.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합 관리 서버(10)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 화면을 통해 평가 대상 하수관망 관련 시설물을 선택하면 평가할 서비스 항목별로 배점 기준이 정의되어 있으며, 년도와 분기 단위로 평가할 서비스 항목에 대하여 배점을 입력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서비스 수준의 배점은 관리자 단말(20) 등의 입력부를 통해 입력되어 서비스 수준이 평가될 수 있고 이와 함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 및 업데이트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년도별, 분기별로 서비스 수준에 대한 평가 결과가 리스트로 표시될 수 있는 것이며, 특히 평가 결과 리스트 중 선택된 하나의 평가 결과는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고서 형태로 출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합 관리 서버(10)는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비스 수준을 평가하기 위한 평가항목들을 예를 들면 대분류, 중분류, 세부평가지표 및 항목평가방안 등에 대한 정보를 조회하거나 신규 추가, 수정, 삭제 등을 포함한 각 항목에 대한 편집을 수행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도 20 내지 도 21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통합 관리 서버의 일정/민원관리 화면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한편 본 발명의 통합 관리 서버(10)의 데이터베이스에는 관리자의 업무 일정 내지 하수관망 관련 시설물의 유지보수 등에 대한 일정과 하수관망 관련 시설물에 대한 사용자의 민원 접수 현황 등에 대한 민원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상기 통합 관리 서버(10)는 상기 관리자 단말(20) 등이 통합 관리 서버(10)의 데이터베이스망에 접근하여 상기 관리자의 일정 정보 및 민원 관련 정보들을 조회 및 편집할 수 있도록 제공하며 관리자 단말(20) 등으로부터 편집된 정보가 즉각 반영되어 표시될 수 있도록 한다.
먼저 상기 일정 관리의 경우 도 20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달력 형태로 해당 월에 대한 일정 내용이 표시되게 할 수 있으며, 일정의 변동 사항에 따른 수정이나 삭제 등의 편집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도면에 도시된 바 없으나, 상기 통합 관리 서버(10)는 달력 형태뿐만 아니라 상기 일정 정보를 주별 또는 월별 일정에 대한 일정 관리 리스트로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도 21에 도시된 민원 관리 화면은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을 통해 접수된 민원 접수 현황 리스트를 표시하며, 민원 정보에 대하여 추가, 수정, 삭제 등의 편집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민원 정보를 추가함에 있어 민원발생주소를 입력하는 경우 위치에 대한 POI(Point Of Interest)가 풍부한 포털지도의 api를 연동하여 민원발생 위치를 기록 및 입력하고 민원의 종류와 처리 현황을 코드화하여 업무에 활용할 수 있다. 또한 통계 차트를 제공함으로서 관리자에게 명확한 업무 인식을 제공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져야만 할 것이다.
10 : 통합 관리 서버 20 : 관리자 단말

Claims (11)

  1. 특정 지역에 구축된 하수관거, 하수연결관, 측구, 하수관거심도, 하수맨홀, 물받이, 우수토실, 역사이펀, 토구, 환기구, 하수처리장, 하수펌프장, 유수지, 처리구역, 처리분구, 배수구역, 배수분구, 수위계, 수질계, 악취계, 유량계 및 현장제어반을 포함하는 하수관망 관련 시설물에 대하여 각각의 식별 정보, 위치 정보, 이미지 정보, 측정 정보, 대장 정보 및 비용 정보를 포함한 관리 정보를 저장 및 관리하며, 저장된 상기 관리 정보를 웹상에서 제공하기 위한 통합 관리 서버; 및
    유, 무선 인터넷망을 통해 상기 통합 관리 서버에 접속되어 상기 하수관망 관련 시설물에 대한 관리 정보를 업로드하며, 상기 통합 관리 서버에서 제공하는 관리 정보를 웹상에서 조회 및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관리자 단말;을 포함하며,
    상기 통합 관리 서버는,
    상기 관리 정보 중 대장 정보를 하수관망 관련 시설물별로 분류하여 표시하고 선택된 하나의 하수관망 관련 시설물에 속한 복수의 시설물을 설정된 정렬 조건에 따라 리스트화하여 제공하되, 리스트 중 선택된 하나의 시설물에 대한 위치를 지도상에 표시하고 대장 정보를 조회 및 편집할 수 있는 대장관리팝업창이 활성화되도록 표시되며,
    상기 관리 정보를 단위 구역별로 관리하며 관리 정보에 포함된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선택된 하나 이상의 하수관망 관련 시설물의 위치를 지도상에 표시함에 있어 하수관망 관련 시설물 중 맨홀이 선택된 경우 점 형태로 표시하며, 하수관망 관련 시설물 중 하수관거가 선택된 경우 연속적인 라인 형태로 표시하면서 선택된 하수관거 또는 맨홀 지점으로부터 상류관을 추적하고 추적된 방향을 따라 라인 또는 점이 표시되며,
    활성화된 상기 대장관리팝업창은,
    상기 선택된 하나의 시설물에 대한 유지보수현황, 시설물이미지, 준설이력, CCTV영상과, 해당 시설물의 지도상 위치, 일련번호, 검사일자, 검사지표, 검사방법, 검사기준 및 장비, 검사결과표, 판정결과 정보를 포함하는 조사이력 정보를 리스트화하여 제공하며 각 항목에 대하여 조회 및 편집을 수행할 수 있도록 제공하고,
    상기 조사이력 정보를 선택적으로 표 형태의 보고서로 출력하여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 어플리케이션을 활용한 하수관망 시설물의 자산 및 유지관리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 관리 서버는,
    상기 관리 정보 중 비용 정보를 상기 하수관망 관련 시설물을 관리함에 있어 지출되는 공통비용, 시설물비용, 설치비용별로 분류하여 표시하고, 각 비용에 대한 조회 및 편집을 수행할 수 있도록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 어플리케이션을 활용한 하수관망 시설물의 자산 및 유지관리 시스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 정보는,
    유량데이터, 수질데이터, 악취데이터, 침입수데이터, 유입수데이터 및 이들 각각에 대한 통계 데이터를 포함하며,
    상기 통합 관리 서버는,
    상기 관리 정보 중 상기 측정 정보를 종류별로 분류하여 표시하고 선택된 하나의 측정 정보를 설정된 정렬 조건에 따라 리스트화하여 제공하며, 해당 측정 정보의 통계 데이터를 설정된 기간 조건에 따라 그래프로 표시하여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 어플리케이션을 활용한 하수관망 시설물의 자산 및 유지관리 시스템.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 관리 서버는,
    저장된 관리 정보 내지 상기 관리자 단말로부터 업로드된 관리 정보를 분석하여 선택된 하수관망 관련 시설물의 수리적진단, 구조적진단, 환경적진단, I/I진단 및 노후화진단을 각각 산출하고 이들의 종합 진단 결과를 통해 시설물상태진단평가 결과를 도출하며, 이를 표 형태의 보고서로 출력하도록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 어플리케이션을 활용한 하수관망 시설물의 자산 및 유지관리 시스템.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 관리 서버는,
    상기 수리적진단, 구조적진단, 환경적진단, I/I진단 및 노후화진단을 각각 점수화하여 산출하고, 평가대상 하수관망 관련 시설물을 지도상에서 표시하되 기설정된 점수 범위별 색상을 지정하여 상기 평가대상 하수관망 관련 시설물을 진단 결과 점수에 따른 색상으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 어플리케이션을 활용한 하수관망 시설물의 자산 및 유지관리 시스템.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 관리 서버는,
    저장된 관리 정보 내지 상기 관리자 단말로부터 업로드된 관리 정보를 분석하여 선택된 하수관망 관련 시설물에 대한 생애주기비용(LCC)을 도출하고 이를 기반으로 LCC 확률적 예측 정보와 하나 이상의 상황별 LCC 시나리오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 어플리케이션을 활용한 하수관망 시설물의 자산 및 유지관리 시스템.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 관리 서버는,
    하수관망 시설물에 대한 자산관리에 있어 요구되는 서비스 수준을 정의하고 이를 평가 할 수 있는 지표를 설정하여 표시하며, 설정된 평가지표를 포함한 평가항목별 배점을 기준으로 하수관망 관련 시설물에 대한 서비스수준을 도출하여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 어플리케이션을 활용한 하수관망 시설물의 자산 및 유지관리 시스템.
KR1020160037667A 2016-03-29 2016-03-29 웹 어플리케이션을 활용한 하수관망 시설물의 자산 및 유지관리 시스템 KR1017405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7667A KR101740558B1 (ko) 2016-03-29 2016-03-29 웹 어플리케이션을 활용한 하수관망 시설물의 자산 및 유지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7667A KR101740558B1 (ko) 2016-03-29 2016-03-29 웹 어플리케이션을 활용한 하수관망 시설물의 자산 및 유지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40558B1 true KR101740558B1 (ko) 2017-05-26

Family

ID=590520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37667A KR101740558B1 (ko) 2016-03-29 2016-03-29 웹 어플리케이션을 활용한 하수관망 시설물의 자산 및 유지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40558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8040B1 (ko) * 2018-07-20 2019-06-10 (주)해인엔지니어링 건축사 사무소 급수 관로 관리 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 기록매체
KR20200027112A (ko) * 2018-09-03 2020-03-12 (주) 지씨에스씨 어구 부이 통계량 관리 시스템
KR20200071988A (ko) * 2018-12-12 2020-06-22 권영대 공정감시시스템
CN112272285A (zh) * 2020-09-30 2021-01-26 浙江鼎胜环保技术有限公司 一种智能运维系统、软件设备及装置
KR20220096881A (ko) * 2020-12-31 2022-07-07 네이버시스템(주) 웹 어플리케이션을 활용한 상수관로 안전관리 시스템
KR20220096880A (ko) * 2020-12-31 2022-07-07 네이버시스템(주) 웹 어플리케이션을 활용한 하수관로 안전관리 시스템
KR102671018B1 (ko) * 2023-05-31 2024-05-31 배락원 상수도 시설물 관리 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28926A (ja) * 2001-04-27 2002-11-15 Aichi Tokei Denki Co Ltd 公共事業支援システム及びその構築方法及び公共事業支援プログラム及びそのプログラムを記憶したコンピュータに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KR100991227B1 (ko) * 2010-04-06 2010-11-01 (주)서광기전 Gis 기반으로 한 상하수도 통합 관리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101597230B1 (ko) * 2014-12-22 2016-02-24 코오롱워터앤에너지 주식회사 하수처리장 자산관리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28926A (ja) * 2001-04-27 2002-11-15 Aichi Tokei Denki Co Ltd 公共事業支援システム及びその構築方法及び公共事業支援プログラム及びそのプログラムを記憶したコンピュータに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KR100991227B1 (ko) * 2010-04-06 2010-11-01 (주)서광기전 Gis 기반으로 한 상하수도 통합 관리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101597230B1 (ko) * 2014-12-22 2016-02-24 코오롱워터앤에너지 주식회사 하수처리장 자산관리 시스템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8040B1 (ko) * 2018-07-20 2019-06-10 (주)해인엔지니어링 건축사 사무소 급수 관로 관리 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 기록매체
KR20200027112A (ko) * 2018-09-03 2020-03-12 (주) 지씨에스씨 어구 부이 통계량 관리 시스템
KR102117762B1 (ko) * 2018-09-03 2020-06-03 (주) 지씨에스씨 어구 부이 통계량 관리 시스템
KR20200071988A (ko) * 2018-12-12 2020-06-22 권영대 공정감시시스템
KR102202045B1 (ko) * 2018-12-12 2021-01-11 권영대 공정감시시스템
CN112272285A (zh) * 2020-09-30 2021-01-26 浙江鼎胜环保技术有限公司 一种智能运维系统、软件设备及装置
KR20220096881A (ko) * 2020-12-31 2022-07-07 네이버시스템(주) 웹 어플리케이션을 활용한 상수관로 안전관리 시스템
KR20220096880A (ko) * 2020-12-31 2022-07-07 네이버시스템(주) 웹 어플리케이션을 활용한 하수관로 안전관리 시스템
KR102530194B1 (ko) * 2020-12-31 2023-05-09 네이버시스템(주) 웹 어플리케이션을 활용한 하수관로 안전관리 시스템
KR102530193B1 (ko) * 2020-12-31 2023-05-09 네이버시스템(주) 웹 어플리케이션을 활용한 상수관로 안전관리 시스템
KR102671018B1 (ko) * 2023-05-31 2024-05-31 배락원 상수도 시설물 관리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40558B1 (ko) 웹 어플리케이션을 활용한 하수관망 시설물의 자산 및 유지관리 시스템
Yang et al. Towards sustainable and resilient high density cities through better integration of infrastructure networks
US20180017710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Event-based Modeling of Runoff and Pollutant Benefits of Sustainable Stormwater Management
Ugarelli et al. Asset management for urban wastewater pipeline networks
KR101741624B1 (ko)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활용한 하수관망 시설물 유지관리 시스템
Garramone et al. BIM and GIS integration for infrastructure asset management: a bibliometric analysis
Goh et al. Importance of sustainability-related cost components in highway infrastructure: perspective of stakeholders in Australia
Sasidharan et al. Risk-informed asset management to tackle scouring on bridges across transport networks
Ugarelli et al. Historical analysis of blockages in wastewater pipelines in Oslo and diagnosis of causative pipeline characteristics
Akofio-Sowah et al. Managing ancillary transportation assets: The state of the practice
Strande et al. Estimating quantities and qualities (Q&Q) of faecal sludge at community to citywide scales
Jaladhi et al. Online performance assessment system for urban water supply and sanitation services in India
Windfeld et al. How do community-level climate change vulnerability assessments treat future vulnerability and integrate diverse datasets? A review of the literature
Mishra et al. Development of decision support system (DSS) for urban flood management: a review of methodologies and results
Santos et al. Storm water systems’ performance: assessment framework application to Portuguese water utilities
KR101657072B1 (ko) 하수관망 시설물 통합 관리 시스템
Wu et al. Uncertainty inherent to a conceptual model StormTac Web simulating urban runoff quantity, quality and control
Möderl et al. Development of an urban drainage safety plan concept based on spatial risk assessment
Cortes Arevalo et al. Decision support method to systematically evaluate first-level inspections of the functional status of check dams
An et al. Decision support algorithm for efficient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s: Focusing on aquatic environment assessment in South Korea
Labonnote Stormwater-related databases–Review and recommendations
Babchanik et al. Municipal Stormwater Management Spending in California: Data Extraction, Compilation, and Analysis
KR20220096880A (ko) 웹 어플리케이션을 활용한 하수관로 안전관리 시스템
Moteleb Risk based decision making tools for sewer infrastructure management
Younis Development of wastewater collection network asset database, deterioration models and management framewor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