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30193B1 - 웹 어플리케이션을 활용한 상수관로 안전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웹 어플리케이션을 활용한 상수관로 안전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30193B1
KR102530193B1 KR1020200189719A KR20200189719A KR102530193B1 KR 102530193 B1 KR102530193 B1 KR 102530193B1 KR 1020200189719 A KR1020200189719 A KR 1020200189719A KR 20200189719 A KR20200189719 A KR 20200189719A KR 102530193 B1 KR102530193 B1 KR 1025301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menu
water
management system
mainten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897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96881A (ko
Inventor
신영재
김남형
이연주
Original Assignee
네이버시스템(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네이버시스템(주) filed Critical 네이버시스템(주)
Priority to KR10202001897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0193B1/ko
Publication of KR202200968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968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01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01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6Energy or water suppl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0Computer-aided design [CAD]
    • G06F30/20Design optimisation, verification or simul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5Risk analysis of enterprise or organisation activiti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9Performance analysis of employees; Performance analysis of enterprise or organisation operations
    • G06Q10/06395Quality analysis or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1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at coastal zones; at river basins
    • Y02A10/40Controlling or monitoring, e.g. of flood or hurricane; Forecasting, e.g. risk assessment or mapp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Geometry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Public Health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하시설물 중 상수관로 정보를 기반으로 시설물의 운영지원 및 정밀진단을 통한 시설물의 안정성을 진단. 평가하여, 재해 상황 시뮬레이션 결과를 통해 정비 우선순위에 참고 자료를 제공하는 웹 어플리케이션을 활용한 상수관로 안전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웹 어플리케이션을 활용한 상수관로 안전관리 시스템 {INTEGRATION SYSTEM FOR WATERWORKS PIPE ASSET MANAGEMENT UTILIZING WEB APPLICATIONS}
본 발명은 지하시설물 중 상수관로 정보를 기반으로 시설물의 운영지원 및 정밀진단을 통한 시설물의 안정성을 진단. 평가하여, 재해 상황 시뮬레이션 결과를 통해 정비 우성순위에 참고 자료를 제공하는 웹 어플리케이션을 활용한 상수관로 안전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현재 국내 지하매설물 시설은 양적, 질적으로 성장하고 있지만, 물 관리 전문기업의 부재, 국내 민영화 수준의 전문성 부족 등으로 지하매설물이 사회 기반시설임에도 불구하고 자산관리를 폭넓게 적용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지하 매설물의 유지관리 목표 설정을 위한 서비스수준 도입이 거의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이고, 지자체에서의 자산관리는 사회기반시설물에 대한 정기점검 및 시설물의 전 산화 및 시설물 교체 보수에 대한 이력화 등 단순한 체계에 불과하여, 중장기적인 계획이 부재한 상황이다.
이에 따라, 최근 국내에서는 사회기반시설물에 대한 자산관리체계 도입을 위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며, 특히, 지하매설물은 자산기능상실 (Asset Failure)시 발생하는 사회적, 환경적 비용이 일상적인 유지관리비용 또는 보수비용보다 매우 큰 특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예방적인 유지관리체계로 전환하는 자산관리 기법의 적용은 필수적이다.
상수관로의 경우 사고 발생시 최근 빈발하고 있는 도시형 홍수의 방재와도 직결되기 때문에 적정관리가 중요하다. 근대식 상수도의 도입이 초기에 이루어진 대도시를 중심으로 상,하수관망의 노후화가 진행되어 전체적인 상,하수도시스템의 기능을 저하시키고 있다. 그러나 상,하수관망은 다른 일반적인 공공시설물들과는 달리 지하에 매설되어 있는 특수성으로 인해 운영 및 유지관리에 큰 어려움이 따르며, 상,하수도에서의 악취발생 등 다양한 민원이 발생하고 있으나 이에 대한 신속, 적절한 대처가 곤란한 경우가 많다.
이에 따라, 유지관리 및 보수 계획의 합리적인 결정을 위한 의사결정시스템으로의 확대적용이 필요하다. 상수도관망의 유지관리 및 개량에는 막대한 예산과 시간이 소요되며, 일부 상수도의 유지관리 및 개량을 위한 의사결정기법이 제안되고 있으나, 체계적으로 구축되어 있는 자산관리시스템과의 연계가 불명확하여 활용도가 낮은 실정이다. 아울러, 재해 상황에서의 예측이 전혀 이루어지고 있지 않은 실정이다.
따라서, 상수도시설의 적절한 운영 및 유지관리 업무의 수행을 위해서 체계적인 자산관리기법 및 의사결정방법이 결합된 통합 관리 시스템의 도입 및 재해 상황의 예측 시나리오를 포함하는 웹 어플리케이션을 활용한 상수관로 안전관리 시스템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지하시설물 중 상수관로 정보를 기반으로 시설물의 운영지원 및 정밀진단을 통한 시설물의 안정성을 진단. 평가하여, 재해 상황 시뮬레이션 결과를 통해 정비 우선순위에 참고 자료를 제공하는 웹 어플리케이션을 활용한 상수관로 안전관리 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는 지역별 시설물의 노후화 분포나 리스크 분석 결과에 따른 통계자료를 포함한, 전반적인 지역별 시설물에 대한 정보를 요약하여 표시하는 대시보드; 상수관로에 대한 조사, 예측, 진단, 평가 및 예산관리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전반적인 관리 정보를, 웹상에서 제공하기 위한 상수관로 안전관리 시스템 메뉴; 및 유, 무선 인터넷망을 통해 상기 상수관로 안전관리 시스템 메뉴에 접속하여 상기 상수관로 시설물에 대한 제반사항을 설정하는 시스템 관리 메뉴를 포함하고; 상기 상수관로 안전관리 시스템 메뉴에서 제공하는 상수관로에 대한 진단, 평가 정보는 상수관로에 대한 결함 분석 및 리스크 평가에 의해 도출되며, 상기 상수관로 안전관리 시스템 메뉴에서 제공하는 상수관로에 대한 조사, 예측 정보는 급수구역, 재해타입, 재해수준을 설정함에 따라 특정되는 재해 상황에서, 예측되는 피해상태 정보를 포함하는 웹 어플리케이션을 활용한 상수관로 안전관리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형태로서, 상기 상수관로 안전관리 시스템 메뉴는 급수 구역의 측정 정보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는 실시간 모니터링 메뉴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 어플리케이션을 활용한 상수관로 안전관리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 형태로서 상기 상수관로 안전관리 시스템 메뉴는 정기점검 및 민원관리 이력을 확인할 수 있는 일반관리 정보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 어플리케이션을 활용한 상수관로 안전관리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 형태로서 상기 상수관로 안전관리 시스템은 배수관로, 급수관로, 및 상수맨홀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자산관리 메뉴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 어플리케이션을 활용한 상수관로 안전관리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 형태로서 상기 시스템 관리 메뉴는 결함 코드를 리스팅 할 수 있는 결함코드관리 기능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 어플리케이션을 활용한 상수관로 안전관리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 형태로서 상기 재해 타입은 가뭄, 지진, 수질 시나리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 어플리케이션을 활용한 상수관로 안전관리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 형태로서 상기 재해 타입 중 수질 시나리오의 경우, 공급량과 수요량의 조절을 통해 유속의 변화를 예측하며, 유속 변화에 따른 수질 피해 범위를 시뮬레이션 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 어플리케이션을 활용한 상수관로 안전관리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 형태로서 상기 공급량의 경우 5% 단위로 감소 조절할 수 있으며, 상기 수요량의 경우 5% 단위로 증가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 어플리케이션을 활용한 상수관로 안전관리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지하시설물 중 상수관로 정보를 기반으로 시설물의 운영지원 및 정밀진단을 통한 시설물의 안정성을 진단. 평가하여, 재해 상황 시뮬레이션 결과를 통해 정비 우선순위에 참고 자료를 제공하는 웹 어플리케이션을 활용한 상수관로 안전관리 시스템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웹 어플리케이션을 활용한 상수관로 안전관리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대시보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관리의 전반적인 기능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프로그램 목록 관리 메뉴에 관한 전반적인 기능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프로그램 목록 관리 메뉴에 관한 구체적인 기능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결함코드관리 메뉴에 대한 기능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상수관로 자산관리 통합 시스템에 대한 기능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상수관로 안전관리 시스템 메뉴에 대한 기능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조사, 예측 메뉴에서 관망해석을 수행할 급수구역을 선택하는 도면이다.
도 10은 조사, 예측 메뉴에서 가뭄시나리오 진행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는 조사, 예측 메뉴에서 지진시나리오 진행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은 조사, 예측 메뉴에서 수질시나리오 진행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리스크 평가시에 시나리오를 선택하는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는 리스크 평가 해석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는 배수관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은 실시간 모니터링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해 자세히 설명한다.
앞서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관로 자주차 탐사를 통한 CCTV 조사 및 육안조사 자료를 저장하고 결함 코드화를 진행하는 데이터 관리 시스템, 상기 데이터 관리 시스템의 정보를 활용하여, 리스크 분석을 수행 하고 리스크 우선순위를 평가하는 리스크 평가 시스템; 서비스 수준을 분석하고 서비스 목표를 설정하는 서비스 평가 시스템, 생애주기와 교체비용을 분석하여 유지 관리비용 소요 규모를 예측하는 유지비용 예측 시스템, 상기 리스크 평가 시스템, 서비스 평가 시스템 및 유지비용 예측 시스템에서 도출된 결과값을 기반으로 종합적 정비 우선순위를 평가하는 종합적 정비 우선순위 평가 시스템 및 상기 공학적 평가 시스템 및 종합적 정비 우선순위 평가 시스템에서 도출된 결과값을 기반으로 예산 및 정비의 계획을 수립하는 자산 관리 시스템을 포함하는 상수관로 자산관리 통합 플랫폼 및 이를 기반으로 한 웹 어플리케이션을 활용한 상수관로 안전관리 시스템을 제공한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개략적인 구성을 알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 웹 어플리케이션을 활용한 상수관로 안전관리 시스템은 크게 대시보드(100), 시스템 관리 메뉴(200), 상수관로 안전관리 시스템 메뉴(300)와 같은 세개의 카테고리를 포함할 수 있다. 첫 번째로, 전반적인 지역별 시설물에 대한 정보를 요약하여 표시하는 대시보드를 구비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시보드(100)는 지역별 시설물의 노후화 분포나 리스크 분석 결과에 따른 통계자료 및 민원에 대한 처리율 정보등을 한 화면 내에 표시하여, 특정 지역에 대한 상황을 한눈에 알 수 있도록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대시보드 상에 나타나는 자연재해 등급은 하기 표에 기재된 바와 같이 국가 자연재해 등급 표준을 따르며 5단계를 기준으로 한다.
- 자연재해 등급
등급 설명 경보색상
양호 10% 미만의 재해 정도 표출 White
관심 10~30% 미만의 재해 정도 표출 Blue
주의 30~50% 미만의 재해 정도 표출 Yellow
경계 50% 이상의 재해 정도 표출 Orange
심각 대규모 재해 정도 표출 Red
동 단위 시설물의 노후화 통계는 10년 단위 표출을 기준으로 하며, 노후화에 따른 리스크 분석 현황도 표출되며 5단계 등급으로 구분하여 표출할 수 있다.
상기 대시보드(100)에 표출되는 데이터는 상, 하수관로 안전관리 시스템에 기재된 정보들을 통해 산출된다. 한편, 상기 상, 하수관로 안전관리 시스템은 유, 무선 인터넷망을 통해 상기 상,하수관로 안전관리 시스템 메뉴에 접속하여 상기 상, 하수관로 시설물에 대한 제반사항을 설정하는 시스템 관리 메뉴를 통해 관리된다.
상기 시스템 관리 메뉴(200)의 기능은 도 3에 기재된 바와 같다.
상기 시스템 관리 메뉴(200)는 사용자 관리 메뉴, 권한관리 메뉴, 사용자권한관리 메뉴, 프로그램목록관리 메뉴, 메뉴목록관리 메뉴, 메뉴생성관리 메뉴, 코드관리 메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관리 메뉴는 시스템을 이용하는 사용자 정보를 관리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의 기본 정보 및 권한 그룹 등을 설정할 수 있으며, 소속기관 및 조직코드 등을 부여하여 사용자 구분을 할 수 있다. 사용자 관리 및 권한관리는 “전자정부 프레임워크”에서 제공되는 롤 규정을 따른다.
본 메뉴 상에서 사용자 정보의 리스트를 표출하며, 권한그룹 및 ID, 이름을 통한 검색이 가능하다. 아울러, 사용자의 기본정보 및 등록일 정보를 조회할 수 있으며, 현재 가입 상태를 조회할 수 있다.
또한 리스트에서 사용자를 다중 선택하여 삭제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으며, 리스트에서 사용자를 등록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에 관해서는 이후에 수정 및 삭제가 가능하다.
권한관리 메뉴는 제공하고자하는 권한을 정의하고 해당 정의된 권한 별로 접근 가능한 메뉴를 정의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메뉴를 통해서 권한코드로 구분되는 정보를 리스트에서 확인할 수 있으며, 기본적인 권한명 및 설명 들이 표출된다. 롤정보 버튼을 클릭하면 해당 권한코드에 부여된 메뉴별 접근 권한 정보를 조회할 수 있다.
권환관리 메뉴 리스트 화면에서 “등록” 버튼을 클릭하면 권한코드의 기본정보를 등록할 수 있는 화면으로 이동하며, 필수 정보 및 추가 정보를 입력 후 “저장” 버튼을 눌러 저장가능하다.
기본적으로 권한코드가 생성되면, 모든 매뉴에 대해서 “미등록” 상태로 등록이 되며, 권한코드 생성 후 필요한 기능에 대해서 권한을 등록할 수 있다.
한편, 권한코드에 대해서는 이후에 수정 및 삭제가 가능하며, 사용자별 권한관리 메뉴를 통해서, 사용자 별로 권한코드를 다르게 부여할 수도 있다.
프로그램 목록 관리 메뉴는 시스템에 개발된 기능을 정의하며 해당 기능에 대한 운영관리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프로그램 목록관리 메뉴 리스트 화면을 통해 등록된 기능에 대한 일반 정보를 조회할 수 있으며, 프로그램 한글명을 통한 검색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인 프로그램 목록 관리에 대한 내용은 도 4에 기재된 바와 같다.
도 4에 기재된 바와 같이 상기 메뉴를 통해서 등록하고자 하는 기능에 대한 추가가 가능하며, 이후에 취소나 삭제가 가능하다. 상기 메뉴에서 프로그램과 URL을 연동시켜, 원하고자 하는 기능을 웹 사이트 상에 구현시킬 수 있다.
메뉴목록관리 메뉴를 통해서는 등록된 메뉴의 표출 명칭 및 메뉴 번호 그리고 해당 메뉴가 포함된 상위메뉴의 번호 정보 등을 표출할 수 있으며, 메뉴명을 통한 검색 기능 역시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메뉴를 통해서, 새로운 메뉴의 등록이나, 수정, 삭제가 가능하고, 상세 조회 역시 가능하다.
메뉴생성관리 메뉴를 통해서는 기존에 만들어진 메뉴를 필요한 권한 그룹에 부여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으며, 이 기능을 통해 각 권한 그룹은 시스템에 접근할 수 있는 권한을 배정받을 수 있다.
구체적인 프로그램 목록 관리 메뉴에 관한 사항은 도 5에 기재되어 있다.
도 5에 기재된 바와 같이 리스트 화면에서 메뉴를 생성하고자 하는 권한코드의 메뉴생성 링크를 클릭하면 위와 같이 메뉴를 생성하라 수 있는 화면으로 이동한다.
트리구조로 구성된 메뉴 트리에서 메뉴를 생성하고자 하는 기능에 체크박스를 클릭한 후, 상단의 “저장” 버튼을 클릭하여 메뉴 생성을 완료하면, 상기 설정된 메뉴를 웹 사이트 상에서 확인할 수 있다.
코드관리 메뉴는 공통코드관리, 행정동코드관리, 법정동코드관리, 소요비용코드관리, 결함코드관리 등의 하위 메뉴를 포함할 수 있다.
공통코드관리 메뉴는 시스템 전체에서 사용되는 공통 코드를 관리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메뉴를 통해 그룹코드 등록 및 수정, 삭제가 가능하다.
행정동코드관리 메뉴는 행정동 정보를 조회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으며, 행정동 정보에 대해서 행정동 코드, 시군구명, 읍면동명으로 검색할 수 있다. 레코드 선택시 해당 지역의 경계가 지도에 표시된다.
법정동코드관리 메뉴는 법정동 정보를 조회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으며, 법정동 정보에 대해서 법정동 코드, 시군구명, 읍면동명으로 검색할 수 있다. 레코드 선택시 해당 지역의 경계가 지도에 표시된다.
소요비용코드관리 메뉴를 통해서는 소요비용 코드를 조회, 입력, 수정 및 삭제할 수 있다.
결함코드관리 메뉴를 통해서는 결함코드를 조회, 입력, 수정 및 삭제할 수 있으며, 상기 결함코드관리 메뉴에 대한 정보는 도 6에 도시되어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메뉴를 통해 결함코드 값을 입력한 후, 결함코드에 대한 등급 정보를 하단의 등급추가 버튼을 선택하여 입력하고 저장 버튼을 선택하면 전체 코드 정보가 저장된다. 상기 코드에 관해서는 이후에 수정, 삭제가 가능하다.
상기와 같은 시스템 관리 메뉴의 설정을 마치면, 상,수관로 안전관리 시스템 메뉴를 통해서 웹 어플리케이션을 활용한 상수관로 안전관리 시스템의 전반적인 사항에 대한 확인이 가능하다.
한편, 상기 상수관로 안전관리 시스템의 전반적인 사항은, 상수관로 자주차 탐사를 통한 CCTV 조사 및 육안조사 자료를 저장하고 결함 코드화를 진행하는 데이터 관리 시스템, 상기 데이터 관리 시스템의 정보를 활용하여, 리스크 분석을 수행하고 리스크 우선순위를 평가하는 리스크 평가 시스템, 서비스 수준을 분석하고 서비스 목표를 설정하는 서비스 평가 시스템, 생애주기와 교체비용을 분석하여 유지관리비용 소요 규모를 예측하는 유지비용 예측 시스템; 상기 리스크 평가 시스템, 서비스 평가 시스템 및 유지비용 예측 시스템에서 도출된 결과값을 기반으로 종합적 정비 우선순위를 평가하는 종합적 정비 우선순위 평가 시스템 및 상수관로 정비 및 예산 계획을 수립하는 자산 관리 시스템을 포함하는 상수관로 자산관리 통합 시스템을 기반으로 도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상수관로 자산관리 통합 시스템의 내용은 도 7에 기재된 바와 같다.
구체적으로, 데이터 관리 시스템은 자주차를 이용한 상, 하수관로의 CCTV 영상 정보 및 육안 조사를 통한 정보를 입력받아 상, 하수관로 결함 코드화를 진행하여 결함 코드, 결함 등급, 결함 점수 및 상태등급을 산정할 수 있다.
상기 결함 코드는 결함 항목에 따라 결정되며, 상기 결함 항목은 시설물 조사 중 발견되는 내부 및 외부 결함을 총칭하는 것으로, 관로 내의 부식, 균열, 함몰, 압괴, 돌출, 파손 등의 결함이나 관로 내의 장애물, 퇴적토, 및 관경의 변형 상태 및 관로 접합부의 누수, 이음부 단차, 틈새, 파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함 등급은 결함 항목의 규모별 분류를 위해 구분된 등급으로 총 3개의 등급으로 구분되어 있으며, 상기 등급은 A, B 및 C로 나타내고, A가 심각, B가 보통, C가 경미한 수준의 결함으로 평가된다.
한편, 데이터 관리 시스템에서 조사를 통해 입력 받은 정보나 결함 정보 등 모든 자료는 입출력이 가능하고, 대용량 자료 관리가 가능하며, 조사 결과 보고서 작성 기능을 제공한다. 또한, 조사 정보 리스트 조회 및 상세 조회를 지원한다. 상기 조사 결과 보고서에는 기본 정보 및 조사 결과의 내용을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데이터 관리 시스템은 GIS(지리정보시스템)과 연계되어 관종, 위치, 심도 및 매설년도와 같은 GIS에서 지원하는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한편, 상기 리스크 평가 시스템은 구조적 리스크 평가 결과, 수리적 리스크 평가 결과 및 가중치 계수자료를 활용하여 종합적 리스크 우선순위를 평가한다.
상기 리스크 우선순위 평가는 심각도점수에 환경적 중요도(가중치)를 적용하여 산출하며, 기본 분석단위는 맨홀과 맨홀사이의 개별 단위이다.
상기 리스크 평가 시스템은 구조적 및 수리적 평가에 따른 결함 점수와 가중치 계수자료를 통해 분구별 결함 점수 및 리스크 등급을 산정한다. 상기 리스크 등급은 1 내지 5등급으로 결함의 정도를 산출한다. 이와 같이 산출된 내용을 기반으로 종합적 리스크 우선순위를 평가하여 리스트를 제공한다.
즉, 상기 리스크 평가 시스템은 GIS의 상, 하수관로 속성 테이블에서 환경적 중요도 제원을 불러들여와 계산하고, 리스크 우선순위 판단은 리스크 점수(구조적 재평균점수+수리적 평균점수)를 관거별 가중치 계수자료를 고려 하여 계산하고, 그 결과를 리스크 점수 및 리스크 등급으로 출력한다. 아울러, 차트 형식으로 리스크 우선순위를 표현한다.
상기 구조적 및 수리적 분석 결과와 우선순위 설정 결과는 시스템에 저장되고, 평가 결과는 GIS 기반 표출이 가능하며, 결과는 엑셀로 다운로드가 가능하다.
한편, 상기 데이터 관리 시스템 및 리스크 관리 시스템은, 상수관로 내부에 자주차를 투입하여 탐사를 통해 얻는 정보를 분석하여 결함 정보를 얻는 제 1단계, 결함 및 리스크 분석을 위해 인공지능을 이용하여 상기 결함 정보를 분석하여 리스크 정보를 얻는 제 2단계, 상기 결함 정보 및 리스크 정보를 활용하여 상, 하수관로를 3차원으로 모델링하는 제 3단계 및, 상기 모델링의 결과물을 화면을 통해 연속적으로 출력하는 제 4단계를 포함하도록 진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1 내지 4단계는 모두 정보분석 프로그램을 통하여 진행될 수 있다. 상기 정보분석 프로그램은 상기 제 1단계에서, 자주차를 통해 얻어진 이미지정보를 추출 및 절단하고 접합하여 전개도면을 만드는 공정에 있어서, 왜곡보정기법을 적용하여 결함 정보에 대한 정확도를 높일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제 2단계에서, 자주차의 기어 및 통신 케이블을 활용하여 측정된 자주차의 이동거리 및 이동시간을 기반으로 한 이동거리 측정시스템을 통하여 위치정보를 표시할 수 있고, 상기 제 3단계에서, 앞선 이동거리 측정 시스템으로부터 얻어진 자주차의 이동거리를 관로의 길이로 삼아 3차원 도면을 형성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제 4단계에서, 모델링한 결과물의 결함부분의 위치를 확대, 축소 및 회전이 가능하게 하며, 출력속도 조절이 가능하게 하는 기능을 가질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서는 1단계에서 이동거리 측정 시스템을 통해서 결함 위치 정보 확인을 할 수 있다.
상기 시스템은 자주차 탐사가 시작되고 특정 시간 이후 자주차의 이동 거리를 나타내며, 이를 활용하여 위치정보를 얻을 수 있으며, 자주차와 연결된 통신 케이블과 연결된 기어의 회전 수를 바탕으로 통신 케이블의 사출량을 계산하여 자주차의 이동거리를 계산한다. 여기서, 상기 통신 케이블은 충분이 단단하고 두꺼워서 중간에 늘어지거나 휘는 현상이 없으므로 거리를 측정하기에 충분하다.
한편, 자주차가 탐사를 시작하면 카메라를 통해 이미지가 촬영되면서 이동시간이 측정되고, 상기 이미지가 정보분석 프로그램에 저장될 때 이동시간도 같이 저장되므로, 특정 이미지가 촬영될 때의 이동시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이미지에 저장된 이동시간 정보와 이동시간에 따른 거리를 알 수 있는 이동거리 측정시스템을 활용하면 이미지가 촬영될 때의 자주차의 이동 거리를 알 수 있고, 이를 통하여, 상기 이미지가 촬영된 위치를 알 수 있다.
이는, 보이지 않는 지하매설물의 결함 위치를 정확히 파악하여 보수 및 교체작업을 손쉽게 해결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위치를 측정하면 위치정보의 정확도가 90%이상으로써, 보수 및 교체 시 매우 효율적으로 활용될 수 있다.
한편, 앞서 기재한 바와 같이 1 내지 4단계의 전반적인 과정에서 정보분석 프로그램을 이용할 수 있다. 정보분석 프로그램은 연산 또는 제어수단을 포함하여 전개도 면에 거리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이는, 상기 결함정보 및 리스크정보를 GIS로 형성할 때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2단계 과정에서는 인공지능을 활용한 정보분석 프로그램을 통해 보다 신속하고 정확한 결함 및 리스크 분석이 가능하다.
인공지능을 활용한 정보분석 프로그램은 관로의 시작 점부터 종점까지 촬영된 동영상 및 이미지로부터 관로의 전개도면화를 진행하여 결함의 정보 및 결함을 확대하여 확인할 수 있도록 하고, 전개도면에 표시된 시간정보로부터 결함의 위치정보를 얻을 수 있으며, 동시에 관로 내의 결함을 정성적으로 분석함으로써 결함을 보다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다. 또한, 관로의 한 단위당 정량 분석을 통해 종합리스크점수 및 리스크등급을 알 수 있고, 이는, 유지, 보수 및 교체를 결정하는데 중요한 지표가 될 수 있다. 즉, 관로의 전개도면으로부터 결함의 결함정보 및 리스크정보 등을 분석하여 결함의 정확한 위치와 함께 결함의 심각도와 그에 따른 위험도를 함께 알 수 있으므로 자산관리 및 안전관리에 유용하다
한편, 3단계 과정에서 본 발명에서는 3차원의 관로 형상을 얻을 수 있다.
3차원 형상을 얻기 위해 전개도면의 거리정보의 X축 및 Y축의 방향 정보를 추출하고, Z축은 탐사 시작점에 위치하는 관경의 중심점에서 시설물이 매설된 지면과 직선으로 연결하여 3차원으로 재구성할 X,Y,Z축으로 이루어진 좌표공간을 설정 할 수 있다.
상기 좌표공간은 X,Y,Z축이 직교하는 중점(0,0,0)을 탐사 시작점으로 설정하고, 중점으로부터 YZ평면에 상기 관의 반지름에 해당하는 길이에 존재하는 점들을 연결하여 관경을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중점은 관경의 중심점이 되며, 관경의 길이는 관로의 지름이므로 음의 값이 될 수 없다.
상기 이동 거리 측정 시스템으로부터 자주차의 이동 거리를 알 수 있고, 이는 관로의 길이가 되므로 상기 길이를 종점으로 두고, 관로의 종점을 X축에 입력하고, 상기 X축에 입력된 좌표의 위치에서 다시 한 번 Y축 및 Z축의 양의 방향 및 음의 방향으로 상기 관의 반지름만큼 좌표를 설정하여 관경을 생성한다. 마지막으로, 시작점과 종점의 관경을 연결함으로써 원통형 모양의 3차원 도면이 형성되고 상기 원통형 도면에 본 발명의 2차원의 전개도면을 씌우면, 3차원의 관로로 재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델링은 관로의 내부에 포함된 각 결함에 대응하여 위치정보, 결함 정보 및 리스크정보를 매칭하여 모델링된다.
예를 들어, 관로 내의 누수에 대한 결함이 있을 때 상기 결함의 위치, 등급, 점수 및 해당 결함이 존재하는 관거의 구조적, 수리적 리스크점수, 종합 리스크점수 및 어떤 환경적 중요도가 포함되어 있는지 등 결함에 대한 모든 정보가 해당 결함과 매칭 되어 모델링 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입출력장치를 통해 3차원으로 모델링된 관로 내의 결함을 커서로 클릭할 수 있다. 관로 내의 결함을 선택하면 선택된 결함에 대응하는 정보가 출력된다.
4단계에서, 3차원으로 모델링한 관로를 연속적으로 출력하여 영상으로 볼 수 있다. 또한, 상기 영상을 확대, 축소, 정지 및 회전 등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다양한 관점에서 영상을 정성적으로 분석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서비스 평가 시스템은 고객 관점의 서비스 수준과 관리자 관점의 서비스 수준의 갭(Gap) 분석을 통해 양방향의 합리적인 목표를 설정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서비스 수준이란 현재 기술적 및 예산적 수준에서 공급자가 제시할 수 있는 수준으로써, 환경, 경제, 사회 및 문화 기준에 따라 세분화된 성능지표를 분류하여, 각 분류 별 점수(1~5점)가 배점된다. 상기 서비스 목표란 현재 서비스 수준을 기준으로 사용자가 요구하는 서비스 수준을 고려하여 향후 제시하는 실질적이고, 실현가능한 목표 수준을 의미한다.
상기 서비스 평가 시스템은 고객관점의 서비스수준 목표와 조직관점의 서비스수준 목표를 통합하고, 상기 서비스수준 목표들의 갭(Gap) 분석을 통하여 합리적인 목표수준을 선정하는 LOS(Level Of Service) 평가를 수행한다.
이 때, 관리자 관점의 서비스 수준은 구역단위 및 세부단위 별 서비스 척도를 공학적으로 수치화하여 등급으로 분류되고, 고객관점의 서비스수준은 고객 체감적인 서비스 수준을 공학적으로 수치화하여 등급으로 분류된다. 상기와 같이 수치 및 등급으로 산출된 결과의 차이 (Gap)을 분석하여 각 시설물의 중요도 및 인구밀집도에 따라 목표 수준을 조정한다.
상기 갭 분석을 위해, 먼저는 현재 서비스에 대한 만족도를 산출해야 한다. 고객 및 관리자의 만족도를 정확하게 파악하기 위해서 설문을 실시하고, 설문 결과 파일을 시스템 상에 업로드 한다. 이후 서비스 평가 시스템에서는 설문 결과 및 민원 처리 이력을 조회하고 상태 자료와 조사 자료를 통해 고객 관점 및 관리자 관점 만족도를 산출한다.
상기 만족도는 분구 및 구역 별 인구 밀집도에 따른 시설물 중요도로부터 산정된 서비스 등급과 운영 및 관리 이력에 따른 현재 서비스 만족도 수준 을 수치화 하는 것으로 산출할 수 있으며, 이는 향후 합리적인 목표 서비스 수준을 제시할 때 활용된다.
또한, 상기 만족도 및 목표 서비스 수준은 상기 리스크 평가 시스템에서 가중치 계수로써 작용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리스크 점수를 산출하여 리스크 우선순위에 반영될 수 있다.
상기 서비스 평가 시스템에서 수행한 분석 결과는 저장되며 필요시 조회가 가능하다. 분석 결과는 일자별 및 타입별 결과 조회가 가능하고, 상태 및 조사 결과와 정비 이력 및 처리 이력도 조회가 가능하다.
한편, 상기 유지비용 예측 시스템은 기초 데이터의 불확실성을 고려한 확률적LCC(생애주기비용)분석을 수행하고, 상, 하수관로의 항목별 유지관리비용 소요 규모를 예측한다. 상기 기초 데이터는 분석대상의 기본 데이터, 위치정보, 교통량 정보 및 유지관리정보와 할인율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교통량 정보 및 유지 관리정보는 GIS정보에서 제공받을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기본 데이터를 통해 각 시설물의 유지 및 보수에 필요한 비용이 산정되고, 교통량 정보를 통해 추가적인 비용 산정 여부를 결정한다. 또한, 상기 유지관리정보는 과거 이력에 대한 정보로써, 향후 예측되는 정비, 보수 및 교체의 기간 및 비용을 산정한다. 또한, 상기 할인율 및 물가상승률은 미래가치 환산할 때 이용되며, 상기 위치 정보는 기준 비용이 미래가치로 환산된 적용단가와 교통량과 함께 사용자 비용을 산출하는데 사용된다.
아울러, 유지비용 예측 시스템은 LCC분석을 통해 초기투자비, 유지관리비 및 해체, 폐기비 등을 산출하며, 상기 초기투자비는 공사비, 설계비, 감리비, 보상비 등을 포함하고, 상기 유지관리비는 점검비, 진단비, 관리비, 보수비, 교체비 등을 포함한다.
상기 유지비용 예측 시스템은 LCC분석을 수행하기 위해서 기본적인 데이터, 즉, 분석 대상의 기본 정보, 분석 기간, 분석명, 분석 방법, 위치 정보, 교통량 정보 및 할인율 정보를 입력 받으며, 분석에 필요한 기초 자료인 분석 대상의 유지관리 정보를 데이터 베이스에서 제공받는다. 상기 유지관리 정보는 시설물의 보수, 보강, 교체 특성치 및 유지관리 시나리오를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기초 데이터의 불확실성을 고려한 확률적 LCC분석 방법을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확률적 분석방법은 LCC분석 기초자료에 대해 특정한 값이 아닌 일정한 분포를 따르는 확률적 특성치를 설정하고 이를 토대로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실시하여 분석 결과를 확률특성값으로 제시하는 분석 방법으로, 변수의 불확실성을 고려할 수 있으므로 확정적 분석방법보다 진보된 방법론에 해당한다.
상기 유지비용 예측 시스템에서 도출된 결과는 예산확보 전략 결정 및 자산관리 계획을 수립하는데 반영되어 효율적인 상, 하수관로 유지관리 및 운영에 이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종합적 정비 우선순위 평가 시스템은 정비 우선순위 전략을 수립하기 위해 산출된 리스크 우선순위 및 유지관리비용을 종합하여 가장 최적화된 정비 우선순위를 수립한다. 구체적으로, 구조적 수리적 결함점수를 반영한 상, 하수관거 심각도 점수와 고객 및 관리자의 설문분석으로 도출된 목표서비스 수준이 반영된 환경적 중요도(가중치 계수)의 곱으로 산출된 리스 크 우선순위와 LCC분석을 통해 도출된 생애주기비용 유지관리비를 반영하여 실질적인 상, 하수관거 종합적 정비 우선순위가 도출될 수 있다.
상기 LCC분석은 시설물의 생애주기에 따른 주기적인 관리 및 보수 등의 관점으로 분석한 결과이고, 상기 LOS 평가는 공급자와 사용자간 계획 서비스와 서비스 만족도 간의 갭(Gap) 차이를 통해 향후 서비스 수준 판단이 목적이며, 상기 리스크 평가는 현재 시설물의 실제 상태 및 결함 정도를 파악하여 실제 노후화 정도를 판단하는 기준이다. 상기 3가지 항목을 모두 종합적으로 판단하여 최적의 정비 우선순위를 수립한다.
이로써, 시스템 사용자에게 준설, 부분보수, 전체보수, 교체 범주에 있는 하수관거의 종합적 정비 우선순위를 제시할 수 있고, 이는, 쉽고 효율적인 연간정비계획을 수립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돌발 사고에 따른 예외적 긴급보수비용이 소진되면 정비 우선 순위가 재배열되고, 이에 따른 잔여 예산 및 보수가능범위를 나타낼 수 있다. 이는, 중장기적인 정비 계획수립 및 효율적인 예산집행을 지원할 수 있다.
한편, 위와 같은 상, 하수관로 자산관리 통합 시스템의 내용을 상, 하수관로 안전관리 시스템 메뉴를 통해 웹사이트 상에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수관로 안전관리 시스템 메뉴의 대략적인 구성은 도 8에 기재된 바와 같다.
도 8에 기재된 바와 같이 상수관로 안전관리 시스템 메뉴는 조사, 예측 메뉴, 진단, 평가 메뉴, 일반관리 메뉴, 자산관리 메뉴, 실시간 모니터링 메뉴 등과 같은 소 메뉴를 포함할 수 있다.
조사, 예측 메뉴는 관망해석 및 관망해석 이력 결과를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망해석을 수행할 급수구역을 선택할 수 있다. 선택된 급수구역의 관로는 지도에 표시된다. 위와 같이 급수구력을 선택한 후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나리오 설정을 클릭할 경우, 가뭄시나리오 또는 지진시나리오를 실행할 수 있다.
가뭄시나리오를 실행할 경우, 공급량과 수요량의 조절을 통해 가뭄 정도에 따른 피해 범위를 시뮬레이션 할 수 있다. 이 때, 공급량의 경우 5% 단위로 감소 조절할 수 있으며, 수요량의 경우 5% 단위로 증가 조절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시뮬레이션을 통해 시설물의 가뭄 피해도를 예측할 수 있다.
한편, 지진시나리오를 실행할 경우,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앙 좌표를 지도에서 선택하며, 진앙 깊이, 지진 규모를 조절하여 지진에 따른 피해정도를 시뮬레이션 할 수 있다. 진앙좌표는 지도 영역을 확대 축소하여 원하는 위치를 마우스로 클릭하여 조절 가능하며, 진앙깊이는 사용자 임의로 입력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지진 규모는 0.5 단위로 증감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시뮬레이션을 통해 시설물의 지진 피해도를 예측할 수 있다.
이 외에 수질 시나리오를 실행할 수 있는데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급량과 수요량의 조절을 통해 유속의 변화를 예측하며, 유속 변화에 따른 수질 피해 범위를 시뮬레이션 할 수 있다. 공급량의 경우 5% 단위로 감소 조절할 수 있으며, 수요량의 경우 5% 단위로 증가 조절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시뮬레이션을 통해 시설물의 수질 피해도를 예측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시나리오를 진행한 이력은 관망해석 이력 메뉴를 통해서 다시 확인할 수 있다. 상기 메뉴를 통해서 급수구역, 재해 타입, 시나리오명, 생성일시를 조건으로 검색이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검색을 하여 이력을 선택할 경우, 관로 노후도와 노후도별 리스크 분포율, 개별관로의 해석 결과등을 확인할 수 있다.
진단 평가 메뉴의 경우, 리스크 평가와 리스크 평가 이력의 하위 메뉴로 구성된다.
상기 리스크 평가를 위해서 먼저 급수구역을 선택해야 한다. 급수구력을 선택하면 해당 구역의 관로 목록이 로드되고 각 재난별 시나리오를 선택할 수 있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재난별 시나리오를 선택하면 각 시나리오의 관로별 리스크 점수가 로드되고 세가지 시나리오를 모두 선택하면 해석실행 버튼이 활성화된다.
상기와 같은 해석실행을 수행하면 재난별 리스크 점수에 따르는 등급과 종합 리스크 값이 결정된다. 상기와 같은 해석화면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다.
상기와 같이 리스크를 평가한 이력 역시 리스크 평가 이력 메뉴를 통해 일괄적으로 확인이 가능하다. 상기 메뉴를 통해 관로별 리스크 평가 등급과 정비 시급성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리스크 평가 내용은 앞서 기재한 바와 같은 상, 하수관로 자산관리 통합 시스템을 통해 얻은 자료와 연계하여 도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상, 하수관로 안전관리 시스템 메뉴에서 제공하는 상, 하수관로에 대한 진단, 평가는 상, 하수관로 자주차 탐사를 통한 CCTV 조사와 육안조사 자료를 저장하고 결함 코드화를 진행하는 데이터 관리 시스템 및, 상기 데이터 관리 시스템의 정보를 활용하여 리스크 분석을 수행하고 리스크 우선순위를 평가하는 리스크 평가 시스템을 통해서 산출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상수관로의 현재 상태와 재해 상황이 왔을 때의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현 상태 뿐만 아니라, 장래의 위험성을 고려하여 정비의 우선순위를 정할 수 있는 바, 기후가 급변하는 현대에서 기존의 상, 하수관로 우선순위를 정해주는 시스템들이 현 상태만을 고려하는 것에 비해서 미래의 이상기후를 고려할 수 있다는 큰 장점이 있다.
한편, 일반관리 메뉴는 하위 메뉴로서 정기점검 사업을 등록하고 결과를 관리하는 정기점검 메뉴, 일반조사 사업을 등록하고 결과를 관리하는 일반조사 메뉴, 청소, 준설 사업을 등록하고 결과를 관리하는 청소, 준설 메뉴, 정밀조사 사업을 등록하고 결과를 관리하는 정밀조사 메뉴, 보수. 보강 사업을 등록하고 결과를 관리하는 보수, 보강 메뉴, 접수된 민원 정보를 등록하고 처리결과를 관리하는 민원관리 메뉴등을 포함할 수 있다.
자산관리 메뉴는 배수관로, 급수관로, 상수맨홀과 같은 하위메뉴를 포함할 수 있다.
배수관로 메뉴상에는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수관로의 상세 정보가 표시되며, 지도에는 관로의 위치가 표시되고, 점검이력 및 민원 이력 정보가 조회된다.
마찬가지로 급수관로 및 상수맨홀 메뉴상에는 급수관로 및 상수맨홀의 상세 정보, 위치 및 민원 이력 정보가 조회된다.
실시간 모니터링 메뉴를 통해서는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니터링 급수 구력의 측정 정보를 조회할 수 있으며, 상단의 그래프를 통해 변화의 추이를 쉽게 알 수 있다.
실측 시간을 조건으로 검색 또한 가능하다.
한편, 추가적으로 LCC 시뮬레이션, LCC 분석결과등이 포함될 수 있다. 구체적인 생애주기비용 분석에 대한 내용은 앞서 상, 하수관로 자산관리 통합 시스템의 내용상에 기재된 바와 같이 진행할 수 있으며, 상기 LCC 시뮬레이션 메뉴상에서는 LCC 분석에 필요한 기본 정보를 입력하고, 위치정보, 특이사항 등을 선택한 후, 유지관리 정보는 입력하고, 확률 분석 횟수를 입력한 후 확률분석을 먼저 실행하여 기준비용을 연산하는 방식으로 진행할 수 있다.
기준 정보 저장 후 LCC분석을 수행하면 시뮬레이션 결과를 조회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웹 어플리케이션을 활용한 상, 하수관로 안전관리 시스템울 통해 본 발명은 상, 하수관로 시설물의 운영관리 및 시설물의 생명주기를 분석 관리하여 좀더 경제적이고 효과적으로 운영관리 할 수 있는 기반을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인벤토리 구조를 통해 체계적인 시설물 관리가 가능하며, 상, 하수관로 운영업무 지침에 따른 관리기능을 제공하므로써 시설물의 관리 이력을 축적하고 연계 운영업무 및 분석. 계획 업무에 활용할 수 있다.
아울러, WNTR(Water Network Tool for Resilience)를 통해 국제 표준의 기준으로 시설물의 위험도를 해석하며 이 결과를 데이터화하여 관리함으로써 연계 업무에 즉각 활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시설물 단위 별로 가뭄, 수질, 지진 시뮬레이션으로 분석된 결과 점수를 기반으로 5단계의 리스크 등급으로 평가한 평가등급을 제공하는 바, 위 정보를 통해 종합적인 리스크 평가등급을 자동 분석하여 제공하여 종합적으로 분석된 리스크 결과를 통해 각 상수관로 별 운영업무에 참고 자료를 제공할 수 있다.
특히 이러한, 시스템은 관로의 결함 위치 등을 3차원 상으로 도면화 시키는 공법을 포함하는 4단계의 결함 진단, 리스크 평가 방법 및, 일련을 공정을 통해 정확한 리스크 팩터와 소비자의 만족도 까지 고려해서 우선순위 결과 값을 토출하는 상, 하수관로 자산관리 통합 시스템과 어우러져, 기존의 상, 하수관로 자산 유지 관리 시스템 등에 비해 보다 효과적인 운영관리 기반을 제공할 수 있으며, 이렇게 얻어진 현재 관로의 상태와 재해 상황에 대한 시뮬레이션을 통한 위험 상황에서의 관로 상태를 예측하여, 보다 정확한 정비의 우선순위를 제공할 수 있다.
100 : 대시보드
200 : 시스템 관리 메뉴
300 : 상수관로 안전관리 시스템 메뉴

Claims (8)

  1. 상수관로 자주차 탐사를 통한 CCTV 조사 및 육안조사 자료를 저장하고 결함 코드화를 진행하되, 상기 자주차의 이동거리 및 이동시간을 기반으로 한 이동거리 측정시스템을 통하여 위치정보를 표시할 수 있어, 위치정보의 정확도가 90% 이상인 데이터 관리 시스템;
    상기 데이터 관리 시스템의 정보를 활용하여 리스크 분석을 수행하고 리스크 우선순위를 평가하는 리스크 평가 시스템;
    서비스 수준을 분석하고 서비스 목표를 설정하는 서비스 평가 시스템, 생애주기와 교체비용을 분석하여 유지관리비용 소요 규모를 예측하는 유지비용 예측 시스템;
    상기 리스크 평가 시스템, 서비스 평가 시스템 및 유지비용 예측 시스템에서 도출된 결과값을 기반으로 종합적 정비 우선순위를 평가하는 종합적 정비 우선순위 평가 시스템 및 상수관로 정비 및 예산 계획을 수립하는 자산 관리 시스템을 포함하고;
    지역별 시설물의 노후화 분포나 리스크 분석 결과에 따른 통계자료를 포함한, 전반적인 지역별 시설물에 대한 정보를 요약하여 표시하는 대시보드;
    상수관로에 대한 조사, 예측, 진단, 평가 및 예산관리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전반적인 관리 정보를, 웹상에서 제공하기 위한 상수관로 안전관리 시스템 메뉴; 및
    유, 무선 인터넷망을 통해 상기 상수관로 안전관리 시스템 메뉴에 접속하여 상기 상수관로 시설물에 대한 제반 사항을 설정하는 시스템 관리 메뉴를 포함하고;
    상기 상수관로 안전관리 시스템 메뉴는 급수 구역의 측정 정보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고, 실측 시간을 조건으로 검색이 가능하여 변화의 추이를 쉽게 알 수 있게 하는 실시간 모니터링 메뉴를 추가로 포함하는;
    상기 상수관로 안전관리 시스템 메뉴에서 제공하는 상수관로에 대한 조사, 예측 정보는 급수구역, 재해타입, 재해수준을 설정함에 따라 특정되는 재해 상황에서 예측되는 피해상태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데,
    상기 재해 타입 중 가뭄시나리오를 실행할 경우, 공급량과 수요량을 조절하여 가뭄 정도에 따른 피해 범위를 시뮬레이션 할 수 있고, 이때, 공급량의 경우 5% 단위로 감소 조절할 수 있으며, 수요량의 경우 5% 단위로 증가 조절할 수 있어서 시설물의 가뭄 피해도를 예측할 수 있는;
    상기 재해 타입 중 지진시나리오를 실행할 경우, 진앙 좌표를 지도에서 선택하며, 진앙 깊이, 지진 규모를 조절하여 지진에 따른 피해정도를 시뮬레이션 할 수 있는데, 진앙좌표는 지도 영역을 확대 축소하여 원하는 위치를 마우스로 클릭하여 조절 가능하며, 진앙 깊이는 사용자 임의로 입력할 수 있고, 지진 규모는 0.5 단위로 증감할 수 있어서 시설물의 지진 피해도를 예측할 수 있는;
    상기 재해 타입 중 수질 시나리오를 실행할 경우, 공급량과 수요량의 조절을 통해 유속의 변화를 예측하며, 유속 변화에 따른 수질 피해 범위를 시뮬레이션 할 수 있고, 공급량의 경우 5% 단위로 감소 조절할 수 있으며, 수요량의 경우 5% 단위로 증가 조절할 수 있어서 시설물의 수질 피해도를 예측할 수 있는; 웹 어플리케이션을 활용한 상수관로 안전관리 시스템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수관로 안전관리 시스템 메뉴는 정기점검 및 민원관리 이력을 확인할 수 있는 일반관리 정보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 어플리케이션을 활용한 상수관로 안전관리 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수관로 안전관리 시스템은 배수관로, 급수관로, 및 상수맨홀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자산관리 메뉴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 어플리케이션을 활용한 상수관로 안전관리 시스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1020200189719A 2020-12-31 2020-12-31 웹 어플리케이션을 활용한 상수관로 안전관리 시스템 KR1025301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9719A KR102530193B1 (ko) 2020-12-31 2020-12-31 웹 어플리케이션을 활용한 상수관로 안전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9719A KR102530193B1 (ko) 2020-12-31 2020-12-31 웹 어플리케이션을 활용한 상수관로 안전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96881A KR20220096881A (ko) 2022-07-07
KR102530193B1 true KR102530193B1 (ko) 2023-05-09

Family

ID=823980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89719A KR102530193B1 (ko) 2020-12-31 2020-12-31 웹 어플리케이션을 활용한 상수관로 안전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30193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2883B1 (ko) 2010-11-04 2011-12-13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상하수도 관망의 자산관리 시스템
KR101591271B1 (ko) * 2015-03-13 2016-02-04 한국건설기술연구원 하수관거 정비 판단을 위한 의사결정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740558B1 (ko) * 2016-03-29 2017-05-26 환경관리 주식회사 웹 어플리케이션을 활용한 하수관망 시설물의 자산 및 유지관리 시스템
KR101821274B1 (ko) 2017-09-20 2018-03-09 박영인 수처리를 포함한 스마트 워터 그리드 맞춤형 물 정보 관리 시스템
KR101875885B1 (ko) * 2018-02-06 2018-07-06 주식회사 코비 관망해석을 통한 상수관망 운영관리시스템
KR101902565B1 (ko) * 2017-05-04 2018-09-28 최현석 3d 위성사진 또는 조감사진 맵을 활용한 빗물관리 플랫폼 기반의 통합 시스템, 그리고 이를 위한 빗물관리 서버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08697A (ko) * 2014-03-18 2015-09-30 (주)두컴스엔지니어링코리아 객체기반 범람 피해 예측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2883B1 (ko) 2010-11-04 2011-12-13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상하수도 관망의 자산관리 시스템
KR101591271B1 (ko) * 2015-03-13 2016-02-04 한국건설기술연구원 하수관거 정비 판단을 위한 의사결정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740558B1 (ko) * 2016-03-29 2017-05-26 환경관리 주식회사 웹 어플리케이션을 활용한 하수관망 시설물의 자산 및 유지관리 시스템
KR101902565B1 (ko) * 2017-05-04 2018-09-28 최현석 3d 위성사진 또는 조감사진 맵을 활용한 빗물관리 플랫폼 기반의 통합 시스템, 그리고 이를 위한 빗물관리 서버
KR101821274B1 (ko) 2017-09-20 2018-03-09 박영인 수처리를 포함한 스마트 워터 그리드 맞춤형 물 정보 관리 시스템
KR101875885B1 (ko) * 2018-02-06 2018-07-06 주식회사 코비 관망해석을 통한 상수관망 운영관리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96881A (ko) 2022-07-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ang et al. An integrated underground utility management and decision support based on BIM and GIS
JP3975406B2 (ja) 構造物補修施工計画支援システム
AU2010263261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assessing locate request tickets
US20170206510A1 (en) Spatially-keyed, consolidated-data-controlled apparatus and method
CN102890792A (zh) 市政排水管网决策评估方法
Cheng et al. A BIM-based decision support system framework for predictive maintenance management of building facilities
KR101591271B1 (ko) 하수관거 정비 판단을 위한 의사결정 시스템 및 그 방법
Opila Structural condition scoring of buried sewer pipes for risk-based decision making
Vladeanu et al. Analysis of risk management methods used in trenchless renewal decision making
US7383157B1 (en) Decision-making support system for sewer maintenan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2530194B1 (ko) 웹 어플리케이션을 활용한 하수관로 안전관리 시스템
Samadi et al. Development of a bridge maintenance system using bridge information modeling
Samuel A Human-Centered Infrastructure Asset Management Framework Using BIM and Augmented Reality
KR102530193B1 (ko) 웹 어플리케이션을 활용한 상수관로 안전관리 시스템
Devera Risk assessment model for pipe rehabilitation and replacement in a water distribution system
KR101972959B1 (ko) 교량 유지관리 이력 관리 장치 및 방법
Christodoulou et al. Urban water distribution networks: assessing systems vulnerabilities, failures, and risks
Tran et al. Markov Chain–Based Inspection and Maintenance Model for Stormwater Pipes
US11908048B2 (en) Managing infrastructure data
JP2007249955A (ja) 点検業務に利用可能な評点式データシートに基づく健全性評価システム
Nemeth A Comparison of Risk Assessment Models for Pipe Replacement and Rehabilitation in a Water Distribution System
Vadapalli An Integrated asset management of buried infrastructure: a BIM-based life cycle thinking framework
Wu Whole Life Cost Modelling For Railway Drainage Systems Including Uncertainty
Orhana et al. corrected Proof
Wahhab et al. Development of pavement management system for municipality roads, Saudi Arabi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