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97468A -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신재생 에너지 설비의 진단관리방법 및 그 시스템 - Google Patents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신재생 에너지 설비의 진단관리방법 및 그 시스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70097468A KR20170097468A KR1020160019261A KR20160019261A KR20170097468A KR 20170097468 A KR20170097468 A KR 20170097468A KR 1020160019261 A KR1020160019261 A KR 1020160019261A KR 20160019261 A KR20160019261 A KR 20160019261A KR 20170097468 A KR20170097468 A KR 20170097468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information
- mobile terminal
- inspection
- diagnosis
- renewable energy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2
- VJYFKVYYMZPMAB-UHFFFAOYSA-N ethoprophos Chemical compound CCCSP(=O)(OCC)SCCC VJYFKVYYMZPMAB-UHFFFAOYSA-N 0.000 title 1
- 238000003745 diagnosis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44
- 238000007689 inspe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4
- 238000011156 evalu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8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4
- 238000007726 management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96
- 230000008439 repair process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4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6
- 230000002159 abnorm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8
- 230000005856 abnormality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8000010248 power gener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8000007435 diagnostic evalu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9000000284 extrac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04458 analytic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9000012141 concentr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6855 networking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7797 corro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260 corro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44 propagat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451 qualitative analysi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445 quantitative analysi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360 synchronis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9118 appropriate respon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086 color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70 constitu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419 dependent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912 environmental poll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0365 information process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JEIPFZHSYJVQDO-UHFFFAOYSA-N iron(III) oxide Inorganic materials O=[Fe]O[Fe]=O JEIPFZHSYJVQD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461 lubr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902 propag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360 tes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46 transfer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79 visual insp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20—Administration of product repair or maintenance
-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3/00—Testing or monitoring of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 G05B23/02—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7—Strategic management or analysis, e.g. setting a goal or target of an organisation; Planning actions based on goals; Analysis or evaluation of effectiveness of goal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6—Energy or water supply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8—Access security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1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controlling access to devices or network resources
- H04L63/101—Access control lists [ACL]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40/00—Technologies for an efficient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40/70—Smart grids as 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y in the energy generation sector
-
- Y02E40/76—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90/00—Enabling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contribution to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P90/80—Management or planning
- Y02P90/82—Energy audits or management systems therefor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10/00—Systems supporting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4S10/50—Systems or methods supporting the power network operation or management, involving a certain degree of interaction with the load-side end user application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40/00—Systems for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or end-user application management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or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y specific aspects supporting them
- Y04S40/20—Information technology specific aspects, e.g. CAD, simulation, modelling, system secur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rket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Public Health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Testing And Monitoring For Control System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신재생 에너지 설비의 진단관리방법 및 그 시스템으로서, 특히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신재생 에너지 설비의 진단관리방법은,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하여 진단관리서버에 접속하는 단계와; 상기 진단관리서버가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접속허여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진단관리서버가 접속이 허여된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 점검하고자 하는 신재생 에너지 설비의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설비정보 및 점검항목정보를 포함하는 작업정보를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점검항목정보 별로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 입력 저장된 상기 신재생 에너지 설비의 점검결과정보를 상기 진단관리서버로 전달하는 단계와; 상기 진단관리서버가 수신된 상기 점검결과정보를 상기 각 점검항목정보별로 설정된 점검기준과 대비하여 평가하는 단계와; 평가결과, 재입력상태로 판단되면 상기 진단관리서버가 해당 점검항목정보에 대한 점검결과정보의 재입력 및 전송을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 요청하고,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최초 입력 및 전송된 점검결과정보 또는 재입력 및 전송된 점검결과정보가 정상입력상태로 판단되면 상기 점검결과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작업자가 현장에서 설비에 대한 진단결과를 입력할 때 실시간으로 그 입력내용에 대하여 피드백함으로써, 작업자의 숙련도와 무관하게 일정 수준 이상의 진단수준을 확보할 수 있으며, 입력 오류된 항목의 재진단을 위하여 현장에 재방문할 필요가 없어 진단의 효율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작업자가 현장에서 설비에 대한 진단결과를 입력할 때 실시간으로 그 입력내용에 대하여 피드백함으로써, 작업자의 숙련도와 무관하게 일정 수준 이상의 진단수준을 확보할 수 있으며, 입력 오류된 항목의 재진단을 위하여 현장에 재방문할 필요가 없어 진단의 효율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신재생 에너지 설비의 진단관리방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현장의 진단결과를 실시간으로 피드백하여 작업자의 숙련도와 무관하게 일정 수준 이상의 진단수준을 확보할 수 있을 뿐 아니라, 현장에서 고장 모드의 발생시 세부원인과 심각도 등의 고장정보가 즉시 진단서버에 전달되며, 해당 고장에 대한 분석 및 대응방법이 작업자에게 전달되도록 하여 고장에 대한 신속하고 정확한 대응이 가능하고 이를 다른 작업자에 실시간으로 전파할 수 있는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신재생 에너지 설비의 진단관리방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에너지 고갈 및 환경 오염 등을 대비하기 위하여, 세계적으로 풍력 발전기나 태양광 발전기와 같은 친환경적인 신재생 에너지를 이용하는 발전 설비 설치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며, 이와 더불어 이들 신재생 에너지 설비의 안정성 및 신뢰성을 담보하기 위하여 지속적인 유지 보수 및 점검이 요구되고 있다.
통상적으로 신재생 에너지 설비의 관리는 작업자가 현장에 접근하여 진단 및 유지보수 작업을 수행하는 데, 작업의 수행 전후로 점검 항목과 상세 내용을 수기로 작성하고, 작업의 과정 사진을 휴대폰 등을 통해 찍어 저장한 후에 사무실로 돌아와서 보고서에 다시 옮겨 작성한다.
그런데, 진단작업시 작업계획서가 제공되고는 있으나, 작업자의 숙련도에 따라 각 점검항목에 대한 기재정도가 다르기 때문에 일정 수준 이상의 진단 수준을 유지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실수로 점검항목을 누락하는 경우나 진단결과를 기재한 경우라도 점검기준에 따라 진단을 하지 못한 경우에는 작업자가 다시 현장을 방문해야하기 때문에 진단작업의 효율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
한편, 특정 설비에 대한 진단시 고장으로 판단하는 경우, 고장의 세부원인이나 심각도 그리고 대응방법은 현장에 있는 작업자의 수준에 절대적으로 의존할 수 밖에 없어 유지보수에 따른 신뢰성을 담보하는 것이 불가능하고, 고장발생에 대한 진단포인트를 실시간으로 다른 작업자에게 전달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아서 진단의 효율성을 제고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작업자가 현장에서 설비에 대한 진단결과를 입력할 때 실시간으로 그 입력내용에 대하여 피드백함으로써, 작업자의 숙련도와 무관하게 일정 수준 이상의 진단수준을 확보할 수 있으며, 입력 오류된 항목의 재진단을 위하여 현장에 재방문할 필요가 없어 진단의 효율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신재생 에너지 설비의 진단관리방법 및 그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작업자에 의한 진단결과가 실시간으로 진단서버로 전송되어 저장되므로, 현장에서 비정상상태의 발생시 세부원인과 심각도 등의 고장정보가 즉시 진단서버에 전달되며, 해당 고장에 대한 분석 및 대응방법이 작업자에게 전달되도록 하여 고장에 대한 신속하고 정확한 대응이 가능한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신재생 에너지 설비의 진단관리방법 및 그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특정 점검항목에 대하여 비정상상태가 발생한 경우에, 고장의 종류 및 정도에 따라 분류 및 등급화함으로써, 작업자의 입장에서는 비정상상태에 대한 보고가 용이하도록 하며, 진단관리자 입장에서는 비정상상태에 대한 정성적, 정량적 분석이 가능하여 진단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는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신재생 에너지 설비의 진단관리방법 및 그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실시간으로 현장에서 동일한 신재생 에너지 설비를 진단하는 작업자에게 문제점을 신속하게 전파함으로써, 다른 작업자들이 해당 점검항목을 집중하여 진단할 수 있게 하여 진단의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신재생 에너지 설비의 진단관리방법 및 그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하여 진단관리서버에 접속하는 단계와; 상기 진단관리서버가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접속허여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진단관리서버가 접속이 허여된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 점검하고자 하는 신재생 에너지 설비의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설비정보 및 점검항목정보를 포함하는 작업정보를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점검항목정보 별로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 입력 저장된 상기 신재생 에너지 설비의 점검결과정보를 상기 진단관리서버로 전달하는 단계와; 상기 진단관리서버가 수신된 상기 점검결과정보를 상기 각 점검항목정보별로 설정된 점검기준과 대비하여 평가하는 단계와; 평가결과, 재입력상태로 판단되면 상기 진단관리서버가 해당 점검항목정보에 대한 점검결과정보의 재입력 및 전송을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 요청하고,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최초 입력 및 전송된 점검결과정보 또는 재입력 및 전송된 점검결과정보가 정상입력상태로 판단되면 상기 점검결과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신재생 에너지 설비의 진단관리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진단관리서버가 상기 점검결과정보를 평가하는 단계는, 필수 점검항목정보의 입력여부, 이미지가 필요한 점검항목정보의 사진첨부여부, 첨부된 사진의 해상도 또는 촬영부위 포함여부, 고장의 심각도 입력여부 또는 유지보수 수행결과 입력여부 중 하나 이상에 대한 판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진단관리서버가 상기 점검결과정보를 평가하는 단계는, 수신된 상기 점검결과정보에 포함된 각 점검항목별로 설정된 정상상태범위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진단관리서버가 비정상상태로 판단된 해당 점검항목에 대한 세부 원인 정보, 심각도 정보, 작업자 코멘트정보, 대응방법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보수결과정보의 입력 및 전송을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 요청하여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진단관리서버가 상기 보수결과정보를 요청하는 단계는, 상기 진단관리서버가 해당 점검항목에 대하여 미리 설정된 세부원인정보, 심각도정보 또는 대응방법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보수가이드정보를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서 상기 보수가이드정보에 따라 선택 또는 추가 입력한 세부 원인정보, 심각도 정보, 작업자 코멘트 정보 또는 대응방법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상기 보수결과정보를 상기 진단관리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진단관리서버는, 비정상상태의 점검항목정보를 갖는 상기 신재생 에너지 설비의 식별정보와 동일한 기종의 다른 신재생 에너지 설비의 동일기종 식별정보를 추출하는 단계와; 상기 진단관리서버가 상기 각 동일기종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작업정보에 상기 비정상상태로 판단된 점검항목의 필수 점검여부, 우선 점검여부 또는 점검주기 중 하나 이상을 변경하는 단계와;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입력되어 수신된 상기 보수결과정보를 상기 보수가이드정보에 업데이트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진단관리서버는, 상기 동일기종 식별정보를 갖는 다른 신재생 에너지 설비를 점검하는 작업자의 모바일 단말기로 상기 비정상상태의 점검항목정보와, 점검결과정보 및 보수결과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설비정보는, 상기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기종정보, 설치회사 정보, 상기 신재생 에너지 설비가 속한 발전단지 정보 또는 제조사 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며, 상기 점검항목정보는, 점검항목리스트, 점검 관련 매뉴얼, 점검시 심각도 평가 방법, 정상상태 범위값 정보, 점검 기준 색 정보, 점검 방법 정보, 필수 점검여부, 점검 우선순위 또는 점검주기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추가로,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서 상기 점검결과정보에 따라 점검보고서를 생성하는 단계와; 생성된 상기 점검보고서를 상기 진단관리서버로 전송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목적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다수의 위치에 설치된 복수의 신재생 에너지 설비의 각 식별정보에 대응하여 설비정보 및 점검항목정보를 포함하는 작업정보가 저장된 데이터베이스와; 상기 각 신재생 에너지 설비를 진단하는 작업자가 소유한 모바일 단말기와;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접속 허여 여부를 판단하는 접속인증모듈과, 송수신모듈과, 접속이 허여된 상기 모바일단말기로 점검하고자 하는 상기 신재생 에너지 설비의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작업정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서 추출하고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상기 점검항목정보에 대한 점검결과정보를 수신받아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제어모듈과, 상기 점검결과정보를 상기 각 점검항목정보 별로 설정된 점검기준과 대비 평가하여 재입력상태로 판단되면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 재입력을 요청하는 진단평가모듈을 갖는 진단관리서버;를 포함하는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신재생 에너지 설비의 진단관리 시스템에 의해서도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점검항목정보는, 점검항목리스트, 점검 관련 매뉴얼, 점검시 심각도 평가 방법, 정상상태 범위값 정보, 점검 기준 색 정보, 점검 방법 정보, 필수 점검여부, 점검 우선순위 또는 점검주기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며, 상기 모바일 단말기는, 이미지 생성 모듈, 송수신 모듈, 상기 진단관리서버로부터 수신된 상기 작업정보의 조회 및 상기 점검결과정보의 입력을 위한 입출력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진단평가모듈은 수신된 상기 점검결과정보에 포함된 각 점검항목별로 설정된 정상상태 범위값에 해당하는 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진단평가모듈의 평가결과를 상기 송수신모듈을 통하여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 전송하여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제어모듈은 비정상상태로 판단된 해당 점검항목에 대하여 미리 설정된 세부원인정보, 심각도 정보 또는 대응방법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보수가이드정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서 추출하여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 전송하고,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서 상기 보수가이드 정보에 따라 선택 또는 추가 입력한 세부 원인정보, 심각도 정보, 작업자 코멘트 정보 또는 대응방법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보수결과정보를 수신받아 상기 점검결과정보 및 상기 보수가이드정보에 업데이트할 수 있다.
상기 제어모듈은 비정상상태의 점검항목을 갖는 상기 신재생 에너지 설비의 식별정보와 동일한 기종의 다른 신재생 에너지 설비의 동일기종 식별정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서 추출하고, 각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작업정보에 상기 비정상상태로 판단된 상기 점검항목의 필수 점검여부, 우선 점검여부 또는 점검주기 중 하나 이상을 변경할 수 있다.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동일 기종 식별번호를 갖는 상기 신재생 에너지 설비를 점검하는 다른 작업자의 모바일 단말기로 상기 비정상상태의 점검항목정보와, 점검결과정보 및 보수결과정보를 상기 송수신모듈을 통하여 전송할 수 있다.
상기 모바일 단말기는 완료된 상기 점검결과정보에 따라 점검보고서를 생성하는 보고서생성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신재생 에너지 설비의 진단관리방법 및 그 시스템에 따르면, 작업자가 현장에서 설비에 대한 진단결과를 입력할 때 실시간으로 그 입력내용에 대하여 피드백함으로써, 작업자의 숙련도와 무관하게 일정 수준 이상의 진단수준을 확보할 수 있으며, 입력 오류된 항목의 재진단을 위하여 현장에 재방문할 필요가 없어 진단의 효율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나아가, 작업자가 진단작업 후에 별도의 보고서를 작성할 필요가 없으므로 작업자 입장에서는 편의성이 극대화되며, 작업관리자 입장에서는 신뢰성 있는 보고서를 신속하게 취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신재생 에너지 설비의 진단관리방법 및 그 시스템에 따르면, 작업자에 의한 진단결과가 실시간으로 진단서버로 전송되어 저장되므로, 현장에서 비정상상태의 발생시 세부원인과 심각도 등의 고장정보가 즉시 진단서버에 전달되며, 해당 고장에 대한 분석 및 대응방법이 작업자에게 전달되도록 하여 고장에 대한 신속하고 정확한 대응이 가능하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신재생 에너지 설비의 진단관리방법 및 그 시스템은, 특정 점검항목에 대하여 비정상상태가 발생한 경우에, 고장의 종류 및 정도에 따라 분류 및 등급화함으로써, 작업자의 입장에서는 비정상상태에 대한 보고가 용이하도록 하며, 진단관리자 입장에서는 비정상상태에 대한 정성적, 정량적 분석이 가능하여 진단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고장모드가 발생하는 해당 점검항목을 포함하는 상기 작업정보를 편집하여 상기 점검항목을 필수 점검항목으로 변경하거나, 우선순위를 높이거나 또는 점검주기를 단축시켜 진단작업의 신뢰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또한, 실시간으로 현장에서 동일한 신재생 에너지 설비를 진단하는 작업자에게 문제점을 신속하게 전파함으로써, 다른 작업자들이 해당 점검항목을 집중하여 진단할 수 있게 하여 진단의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신재생 에너지 설비의 진단관리시스템의 구성도,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에 구현된 화면,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신재생 에너지 설비의 진단관리방법의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신재생 에너지 설비의 진단관리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에 구현된 화면,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신재생 에너지 설비의 진단관리방법의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신재생 에너지 설비의 진단관리방법의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신재생 에너지 설비의 진단관리 시스템(1)은, 작업자가 소유한 모바일 단말기(30)와, 진단관리서버(10)와, 데이터베이스(20)를 포함한다.
설명에 앞서, 본 명세서에서, 신재생 에너지 설비(100)는 구체적으로 풍력 발전기 또는 태양광 발전기와 같이 신재생 에너지를 이용한 발전 설비를 예로 들어 지칭하는 것이나, 본 발명의 적용이 신재생 에너지 분야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진단의 대상이 되는 다양한 분야 및 종류의 전기설비에 제한 없이 적용될 수 있음을 명확히 밝혀둔다.
아하, 먼저 구성별로 설명한다.
신재생 에너지 설비(100)는 특정 위치에 설치되어 독립적으로 구동되는 하나의 발전설비로서 다른 발전설비와 구분되는 고유의 식별정보가 부여된다. 즉, 발전회사는 여러 개의 발전단지를 가질 수 있고, 각 발전단지마다 여러 개의 발전설비를 가질 수 있으므로 상기 식별정보는 발전회사 및 발전단지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20)는 다수의 위치에 설치된 복수의 신재생 에너지 설비(100)의 각 식별정보에 대응하여 설비정보 및 점검항목정보를 포함하는 작업정보가 저장된다.
여기서, 상기 작업정보는 데이터베이스(20)와 모바일 단말기(30)에 각각 저장될 수 있으며, 이 경우 모바일 단말기(30)와 진단관리서버(10)가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로 접속되면 각 장치에 있는 정보가 상호 동기화되도록 한다.
상기 작업정보는 신재생 에너지 설비(100)의 설비정보와 점검항목정보를 포함한다.
상기 설비정보는 특정 신재생 에너지 설비(100)에 관한 정보로서, 각 신재생 에너지 설비(100)의 모델명, GPS 위치, 설치 일자, 세부 구성과, 사용중인 기어박스의 제조사와 분류, 담당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점검항목정보는, 점검항목리스트, 점검 관련 매뉴얼, 점검시 심각도 평가방법, 정상상태 범위값 정보, 점검 기준 색 정보, 점검 방법 정보, 필수 점검 여부, 점검 우선순위 또는 점검주기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상기 점검항목정보는 2단계 이상의 트리(Tree) 구조로 마련될 수 있다.
이는 모바일 단말기(30)에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UI)와 관련된 것으로, 작업자가 많은 수의 점검 포인트를 손쉽게 찾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예를 들어, 특정 신재생 에너지 설비(100)에 해당하는 상기 점검항목정보는 "Assembly" 및 "Component"의 2가지 트리구조로 마련될 수 있다.
"Assembly"는 특정 발전설비에서 2 이상의 세부적인 점검항목(Component)을 갖는 구성 중 어느 하나로 마련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신재생 에너지 설비(100)가 풍력 발전기로 마련되는 경우, "Tower, Hub, Nascelle, Gear Box" 등으로 마련될 수 있다.
"Assembly"에는 하위의 "Component"가 어떻게 구성될 수 있는지에 관한 구성 필터를 설정할 수 있다. 상기 구성 필터는 미지의 신재생 에너지 설비(100)에 대해서 점검 항목 변화에 대해 유동적으로 지원하기 위한 것으로, 예를 들어, 특정 제조사의 발전기가 여러 가지의 다른 기어박스를 사용할 수 있다고 할 때, 각 기어박스의 기어 및 베어링 구조는 서로 상이할 수 있으며, 직접 소유한 발전기가 아닌 타사의 발전기를 점검할 때에는 그 세부 구성을 방문하기 전까지 알 수 없는 경우가 많으므로, 상기 구성 필터를 이용하여 현장에서 발전기의 구성을 조사하고 점검항목을 유동적으로 대체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필터가 없는 경우 기본적으로 하위의 "Component"가 속한 것으로 간주된다.
"Component"는 점검항목에 대한 이름을 포함한다. "Component"의 하위에는 마찬가지로 여러 개의 점검항목을 추가할 수 있으며, 이 때 점검에 대한 관련 매뉴얼을 링크하거나, 점검시 심각도를 평가하는 방법, 기준값, 기준색 등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점검항목은 분류를 가지며, 일반적으로 육안검사, 기능검사, 측정검사 또는 내시경 검사 등이 포함된다.
이 경우, 각 점검항목에는 반드시 점검이 필요한 필수 점검항목인지 여부를 표시할 수 있으며, 필수 점검항목에 대한 점검결과정보가 입력되지 않는 경우 진단관리서버(10)는 모바일 단말기(30)를 통하여 작업자에게 알려 진단작업이 제대로 수행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Component"에는 추가로 고장 모드와 이에 대응되는 가능한 원인(세부 원인정보) 및 이에 대한 대책(대응방법정보)에 대한 정보 즉 보수가이드정보를 미리 마련할 수 있다.
상기 고장 모드는 진단평가모듈(17)이 입력된 점검결과정보를 평가하여 비정상상태로 판단한 경우를 말하는 것으로, 상기 세부원인정보는 이러한 고장이 어떠한 형태와 분류(예를 들어 부식, 찍힘, 전식, 윤활불량 등)로 일어났는지에 대한 내용을 포함한다.
한편, 상기 대응방법정보는 작업자가 이러한 고장에 대하여 대처할 수 있는 정보를 포함함으로써 작업자가 해당 신재생 에너지 설비(100)에 대한 세부 지식이 전무한 경우라도 적절한 대처가 즉각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작업정보는 동일한 신재생 에너지 설비(100)에 대한 것이라도, 운영하는 발전단지의 종류 및 발전설비의 기능이나, 진단관리작업의 목적에 따라 서로 다른 조합의 점검항목리스트로 구성된 다양한 종류의 작업정보가 마련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20)에는 상기 작업정보에 대하여 작업자가 수행한 점검결과정보 및 생성된 점검보고서가 추가로 저장된다.
모바일 단말기(30)는 각 신재생 에너지 설비(100)를 진단하는 작업자가 소유한 단말기로서,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킹을 통하여 진단관리서버(10)에 접속가능하게 마련된다.
모바일 단말기(30)는 스마트폰, 태블릿 PC, 노트북 등 공지된 다양한 종류의 단말기게 제한없이 사용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진단을 위한 전용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스마트폰으로 마련될 수 있다.
모바일 단말기(30)는 이미지생성모듈(31), 송수신모듈(33) 및 입출력모듈(35)을 포함한다.
송수신모듈(33)은 접속된 진단관리서버(10)로부터 상기 작업정보를 수신받는다.
여기서, 상기 작업정보는 모바일 단말기(30)는 작업자가 현장에서 진단작업을 위해 진단관리서버(10)에 접속할 때마다 수신받을 수도 있으나, 전술한 바와 같이, 모바일 단말기(30) 내에 이미 상기 작업정보가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후자의 경우, 신재생 에너지 설비(100)가 설치된 장소에서 유무선 네트워킹이 불가능한 경우라도 작업자가 상기 작업정보를 확인하고 진단관리를 수행할 수 있다. 이후 유무선 네트워킹이 가능한 지역에서 상기 작업정보와 수행된 점검결과정보가 진단관리서버(10)와 동기화된다. 이 때, 동기화 시점의 기준시각은 진단관리서버(10)의 것을 기준으로 할 수 있다. 한편, 다수의 모바일 단말기(30)가 진단관리서버(10)를 통하여 데이터베이스(20)에 접근할 때에는, 읽기로 접근하는 경우에는 다중 접속을 허용하나 쓰기로 접근하는 경우에는 순서를 부여하여 업데이트가 순차적으로 진행되도록 할 수 있다.
입출력모듈(35)은 진단관리서버(10)로부터 수신된 상기 작업정보의 조회 및 상기 점검결과정보의 입력을 수행한다. 입출력모듈(35)을 통한 상기 작업정보의 편집은 송수신모듈(33)을 통해 진단관리서버(10)와 동기화되며, 이후 다른 모바일 단말기(30)나 진단관리서버로 전파된다.
이미지생성모듈(31)은 상기 작업정보의 특정 점검항목에서 사진을 입력해야 하는 경우에 사진 촬영을 위해 마련된다.
한편, 모바일 단말기(30)는, 완료된 상기 점검결과정보에 따라 점검보고서를 생성하는 보고서생성모듈(37)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를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 및 도 3은, 모바일 단말기(30)에서 입출력모듈(35)을 통해 표시된 화면을 나타낸 것이다.
가장 왼쪽에는 후술할 점검보고서 작성 후에 생성된 통계제공을 위한 특수 탭이 제공되며(도 2a), 그 이후로는 "Assembly"의 리스트가 탭 스트립(Tap strip)으로 표시되고 각 탭(Assembly)의 내용으로서 "Component"의 리스트가 위치한다(도 2b). 각 "Component"에 만약 이미 사진과 평가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사진의 썸네일 리스트와 최상위 심각도(도 2c의 오른쪽 숫자)를 함께 나타낼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특정 "Component"가 반드시 수행해야 하는 필수 점검항목인 경우에는 도 2d와 같이 화면에 강조 표시와 함께 점검결과정보가 입력되지 않으면 점검보고서를 생성할 수 없도록 한다.
이러한 필수 점검항목의 표시 여부는 작업자로 하여금 진단 대상에 대한 필요 최소한의 진단작업이 수행될 수 있도록 보장하는 동시에, 진단에 필요한 시간이 부족한 경우 작업자의 재량에 따라 필수 점검항목만을 빠르게 찾아 점검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모바일 단말기(30)에서 각 "Component"의 세부 화면으로 이동하면, 특정 점검항목에 대한 점검방법 상세설명, 사진 추가 버튼, "Component"별 심각도 및 코멘트가 구성된다(도 3a 및 3b). 이미지생성모듈(31)을 통해 사진을 여러 장 연속적으로 추가할 수 있으며, 모바일 단말기(30)에 내장된 카메라를 이용하되 해상도의 조절, 플래시 모드의 조절, 사진 촬영후의 크기, 자르기 및 색보정 처리를 위해 외부 카메라앱을 이용하지 않고 직접 시스템 API를 통해 카메라를 제어하여 통합할 수 있다.
이미지생성모듈(31)은 작업자가 직접 촬영한 사진 영역과 그 외의 사진 데이터를 분리하여 관리하며(사진의 출처관리), 진단관리서버(10)에 업로드가 필요한 사진들은 모바일 단말기(30)가 현재 속해있는 네트워크가 Wifi일 경우에만 업로드가 진행되도록 할 수 있으며, 업로드가 실패하는 경우 개별 사진별로 재시도를 진행할 수 있다.
사진 촬영 후에는 진단평가모듈(17)로부터 고장 모드(비정상상태)로 평가되거나 작업자가 자체적으로 비정상상태로 판단한 경우, 고장모드로 전환하여 사진의 심각도를 평가하고, 세부원인 및 대응방법과 작업자의 코멘트를 입력한 보수결과정보를 생성한다(도 3c 및 3d). 이 경우, 진단관리서버(10)에 제공된 보수가이드정보를 기본으로 편집 또는 추가 입력할 수 있다.
진단관리서버(10)는 모바일 단말기(30)의 접속 허여 여부 판단하고, 모바일 단말기(30)로 진단작업을 지시하며, 수행된 진단결과를 평가하고, 점검결과정보 및 점검보고서를 데이터베이스(20)에 저장한다.
이를 위해, 진단관리서버(10)는, 접속인증모듈(11)과, 송수신모듈(13)과, 제어모듈(15)과, 진단평가모듈(17)과, 보고서생성모듈(37)을 포함한다.
접속인증모듈(11)은 모바일 단말기(30)의 접속 허여 여부를 판단한다.
접속인증모듈(11)은 모바일 단말기(30)를 소유한 작업의 ID와 암호를 조회 및 비교하여 로그인-로그아웃을 할 수 있도록 하며, 추가로 모바일 단말기(30)에 미리 설정된 정도의 보안수준을 요청할 수 있으며, 상기 보안수준이 지켜지지 않는 경우에는 모바일 단말기(30)의 접속을 차단할 수도 있다.
송수신모듈(13)은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하여 다수의 모바일 단말기(30)와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제어모듈(15)은 접속이 허여된 모바일 단말기(30)로, 점검하고자 하는 신재생 에너지 설비(100)의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작업정보를 데이터베이스(20)에서 추출하여 전송하고, 모바일 단말기(30)로부터 상기 점검항목정보에 대한 점검결과정보를 수신받아 데이터베이스(20)에 저장한다.
진단평가모듈(17)은 상기 점검결과정보를 각 점검항목별로 설정된 점검기준과 대비 평가하여 재입력상태로 판단되면 모바일 단말기(30)로 재입력을 요청한다.
여기서, 상기 재입력상태는 작업자가 모바일 단말기(30)를 통하여 입력한 점검결과정보가 해당 점검항목에 요구되는 입력기준을 달성하지 못한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항목을 누락하거나, 사진입력의 경우 요구하는 해상도나 대상이 포함되어 있은 경우, 수치로 입력해야 하는 것을 코멘트로 하거나 그 반대의 경우가 될 수 있다.
이에, 작업자는 모바일 단말기(30)로 재입력 요청이 된 점검항목에 대한 진단을 재실시하여 입력요건에 부합하는 점검결과정보를 재입력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신재생 에너지 설비의 진단관리시스템은, 작업자 현장에서 설비에 대한 진단결과를 입력할 때 실시간으로 그 입력내용에 대하여 피드백함으로써, 작업자의 숙련도와 무관하게 일정 수준 이상의 진단수준을 확보할 수 있으며, 입력 오류된 항목의 재진단을 위하여 현장에 재방문할 필요가 없어 진단의 효율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한편, 비정상상태란 입력 요건에 맞는 점검결과정보에 대하여, 진단평가모듈이 각 점검항목에 대하여 미리 설정되어 저장된 정상상태 범위값과 대조하여, 정상상태를 벗어나 고장으로 판단되는 상태를 의미한다.
이 경우, 제어모듈(15)은 진단평가모듈(17)의 평가결과를 송수신모듈(13)을 통하여 모바일 단말기(30)로 전송하여 표시한다.
또한, 제어모듈(15)은 비정상상태로 판단된 해당 점검항목에 대하여 미리 설정된 세부원인정보, 심각도 정보 또는 대응방법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보수가이드정보를 데이터베이스(20)에서 추출하여 모바일 단말기(30)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보수가이드정보는 특정 점검항목에 대하여 비정상상태가 발생한 경우에, 고장의 상태(구체적으로, 녹(Rust)인지, 스크래치인지, 마모인지, 부식인지 여부), 심각도의 정도(1,2,3,4등급) 등을 그 종류 및 정도에 따라 분류 및 등급화하여, 작업자의 입장에서는 비정상상태에 대한 보고가 용이하도록 하며, 진단관리자 입장에서는 비정상상태에 대한 정성적, 정량적 분석이 가능하여 진단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각 고장모드의 종류 및 정도에 따라 최적의 대응방법을 제시하여 현장에서 즉각적으로 신속하고 정확한 대응이 가능하다.
상기 보수가이드정보는 다수 작업자의 편집에 따라 새로운 항목이나 등급이 추가되어 지속적으로 업데이트가 가능하다.
한편, 제어모듈(15)은 모바일 단말기(30)에서 상기 보수가이드정보에 따라 선택 또는 추가 입력한 세부 원인정보, 심각도 정보, 작업자 코멘트 정보 또는 대응방법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보수결과정보를 수신받아 상기 점검결과정보 및 상기 보수가이드정보에 업데이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현장에서 작업자가 수행한 대응방법이 상기 보수가이드정보에 제시되지 않은 경우, 작업자는 작업자 코멘트 정보를 통하여 자신이 수행한 대응방법를 입력하여 전송하고, 진단관리자는 추후 이 방법을 보수가이드정보에 추가하여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현장에서의 추가적인 대응방법을 업데이트하여 제공함으로써 최적의 솔루션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비정상상태는 진단평가모듈(17)에 의해 판단되는 것 이외에도, 작업자가 현장의 상황에 따라 자의적으로 판단할 수 있으며, 후자의 경우 고장모드로 전환하여 해당 점검항목에 대한 세부원인정보, 심각도정보, 대응방법정보 등을 포함하여 보수결과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신재생 에너지 설비의 진단관리시스템은 작업자에 의한 진단결과가 실시간으로 진단서버로 전송되어 저장되므로, 현장에서 비정상상태의 발생시 세부원인과 심각도 등의 고장정보가 즉시 진단서버에 전달되며, 해당 고장에 대한 분석 및 대응방법이 작업자에게 전달되도록 하여 고장에 대한 신속하고 정확한 대응이 가능하다.
제어모듈(15)은 비정상상태의 점검항목을 갖는 신재생 에너지 설비(100)의 식별정보와 동일한 기종의 다른 신재생 에너지 설비(100)의 동일기종 식별정보를 데이터베이스(20)에서 추출하고, 각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작업정보에 상기 비정상상태로 판단된 상기 점검항목의 필수 점검여부, 우선 점검여부 또는 점검주기 중 하나 이상을 변경할 수 있다.
즉, 특정 신재생 에너지 설비(100)에 대하여 다수의 작업자가 동일한 점검항목에 대하여 동일한 비정상상태를 보고한 경우에는 해당 설비는 특정 점검항목에 대하여 취약함을 예상할 수 있으며, 설비 전체의 안정적인 운행을 위하여 해당 점검항목에 대한 특별한 관리가 필요하게 된다.
따라서, 제어모듈(15)은 해당 점검항목을 포함하는 상기 작업정보를 편집하여 상기 점검항목을 필수 점검항목으로 변경하거나, 우선순위를 높이거나 또는 점검주기를 단축시키도록 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모듈(15)은 상기 동일기종 식별번호를 갖는 신재생 에너지 설비(100)를 점검하는 다른 작업자의 모바일 단말기(30)로 상기 비정상상태의 점검항목정보와, 점검결과정보 및 보수결과정보를 상기 송수신모듈(13)을 통하여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실시간으로 현장에서 동일한 신재생 에너지 설비(100)를 진단하는 작업자에게 문제점을 신속하게 전파함으로써, 다른 작업자들이 해당 점검항목을 집중하여 진단할 수 있게 하여 진단의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이하,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신재생 에너지 설비의 진단관리방법을 설명한다.
먼저, 작업자가 소지한 모바일 단말기(30)를 이용하여 진단관리서버(10)에 접속한다(S11). 진단관리서버(10)는 모바일 단말기(30)의 접속허여 여부를 판단하며(S12), 접속이 허여된 모바일 단말기(30)로 점검하고자 하는 신재생 에너지 설비(100)의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설비정보 및 점검항목정보를 포함하는 작업정보를 전송한다(S13).
여기서, 신재생 에너지 설비(100)의 식별정보는 해당 작업자의 작업계획에 따라 이미 진단관리서버(10)에 설정되어 있어서, 해당 작업자가 접속하는 경우 이에 대한 작업정보를 전송할 수도 있다. 또는, 작업자가 먼저 현장에 도착하여 신재생 에너지 설비(100)의 식별정보를 확인하여 진단관리서버(10)로 전송하면, 진단관리서버(10)에서 해당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작업정보를 데이터베이스(20)에서 추출하여 모바일 단말기(30)로 전송할 수도 있다.
작업자는 수신된 상기 작업정보에 따라 진단작업을 수행하며, 각 점검항목별로 진단 결과를 입력한 점검결과정보를 모바일 단말기(30)를 통하여 진단관리서버(10)로 전송한다(S14).
여기서, 상기 점검결과정보는 개별적인 점검항목 하나 하나가 입력될 때마다 진단관리서버(10)로 실시간 전송이 이루어질 수도 있으나, 특정 카테고리별로, 또는 설정 전송주기별 또는 진단작업이 완료된 후 한번에 전송이 이루어질 수도 있다.
진단관리서버(10)는 수신된 상기 점검결과정보를 상기 각 점검항목별로 설정된 점검기준과 대비하여 평가한다(S15).
여기서, 상기 점검결과정보의 평가는, 필수 점검항목정보의 입력여부, 이미지가 필요한 점검항목정보의 사진첨부여부, 첨부된 사진의 해상도 또는 촬영부위 포함여부, 고장의 심각도 입력여부 또는 유지보수 수행결과 입력여부 중 하나 이상에 대한 판단을 포함할 수 있다.
평가결과 재입력상태로 판단되면, 진단관리서버(10)는 해당 점검항목정보에 대한 점검결과정보의 재입력을 요청한다(S19).
평가결과 상기 점검결과정보가 상기 점검기준에 부합하는 경우(정상입력상태)에는 상기 점검결과정보를 데이터베이스(20)에 저장한다(S17). 한편, 추가로 모바일 단말기(30)에서는 정상입력상태 여부가 확인되면 점검보고서를 생성하여 전송할 수 있다(S18).
한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단관리서버(10)가 상기 점검결과정보를 평가할 때에는 수신된 상기 점검결과정보에 포함된 각 점검항목별로 설정된 정상상태범위에 해당하는 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16)를 포함한다.
이 경우 진단관리서버(10)가 비정상상태로 판단된 해당 점검항목에 대한 세부 원인 정보 심각도 정보, 작업자 코멘트 정보, 대응방법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보수결과정보의 입력 및 전송을 상기 모바일 단맑로 요청하는 수신한다(S20, S21).
여기서, 진단관리서버(10)가 상기 보수결과정보를 요청하는 단계는, 진단관리서버(10)가 해당 점검항목에 대하여 미리 설정된 세부원인정보, 심각도 정보 또는 대응방법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보수가이드정보를 모바일 단말기(30)로 먼저 전송한 후에(S20), 모바일 단말기(30)에서 상기 보수가이드정보에 따라 선택 또는 추가 입력한 세부원인정보, 심각도 정보, 작업자 코멘트 정보 또는 대응방법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상기 보수결과정보를 진단관리서버(10)로 전송할 수 있다(S21).
이후, 진단관리서버(10)는 비정상상태의 점검항목정보를 갖는 신재생 에너지 설비(100)이 식별정보와 동일한 기종의 다른 신재생 에너지 설비(100)의 동일 기종 식별정보를 추출하고(S22), 상기 각 동일기종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작업정보에 상기 비정상상태로 판단된 점검항목의 필수 점검여부, 우선 점검여부 또는 점검주기 중 하나 이상을 변경하며(S23), 모바일 단말기(30)로부터 입력되어 수신된 상기 보수결과정보를 상기 보수가이드정보에 업데이트하여 저장한다(S24).
추가하여, 진단관리서버(10)는 상기 동일기종 식별정보를 갖는 다른 신재생 에너지 설비(100)를 점검하는 작업자의 모바일 단말기(30)로 상기 비정상상태의 점검항목정보와, 점검결과정보 및 보수결과정보를 전송한다(S25).
1 :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신재생 에너지 설비의 진단관리시스템
10 : 진단관리서버
11 : 접속인증모듈 13 : 송수신모듈
15 : 제어모듈 17 : 진단평가모듈
20 : 데이터베이스
30 : 모바일 단말기
31 : 이미지생성모듈 33 : 송수신모듈
35 : 입출력모듈 37 : 보고서생성모듈
100 : 신재생 에너지 설비
10 : 진단관리서버
11 : 접속인증모듈 13 : 송수신모듈
15 : 제어모듈 17 : 진단평가모듈
20 : 데이터베이스
30 : 모바일 단말기
31 : 이미지생성모듈 33 : 송수신모듈
35 : 입출력모듈 37 : 보고서생성모듈
100 : 신재생 에너지 설비
Claims (15)
-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하여 진단관리서버에 접속하는 단계와;
상기 진단관리서버가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접속허여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진단관리서버가 접속이 허여된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 점검하고자 하는 신재생 에너지 설비의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설비정보 및 점검항목정보를 포함하는 작업정보를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점검항목정보 별로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 입력 저장된 상기 신재생 에너지 설비의 점검결과정보를 상기 진단관리서버로 전달하는 단계와;
상기 진단관리서버가 수신된 상기 점검결과정보를 상기 각 점검항목정보별로 설정된 점검기준과 대비하여 평가하는 단계와;
평가결과, 재입력상태로 판단되면 상기 진단관리서버가 해당 점검항목정보에 대한 점검결과정보의 재입력 및 전송을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 요청하고,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최초 입력 및 전송된 점검결과정보 또는 재입력 및 전송된 점검결과정보가 정상입력상태로 판단되면 상기 점검결과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신재생 에너지 설비의 진단관리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단관리서버가 상기 점검결과정보를 평가하는 단계는,
필수 점검항목정보의 입력여부, 이미지가 필요한 점검항목정보의 사진첨부여부, 첨부된 사진의 해상도 또는 촬영부위 포함여부, 고장의 심각도 입력여부 또는 유지보수 수행결과 입력여부 중 하나 이상에 대한 판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신재생 에너지 설비의 진단관리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단관리서버가 상기 점검결과정보를 평가하는 단계는,
수신된 상기 점검결과정보에 포함된 각 점검항목별로 설정된 정상상태범위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진단관리서버가 비정상상태로 판단된 해당 점검항목에 대한 세부 원인 정보, 심각도 정보, 작업자 코멘트정보, 대응방법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보수결과정보의 입력 및 전송을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 요청하여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신재생 에너지 설비의 진단관리방법.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진단관리서버가 상기 보수결과정보를 요청하는 단계는,
상기 진단관리서버가 해당 점검항목에 대하여 미리 설정된 세부원인정보, 심각도정보 또는 대응방법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보수가이드정보를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서 상기 보수가이드정보에 따라 선택 또는 추가 입력한 세부 원인정보, 심각도 정보, 작업자 코멘트 정보 또는 대응방법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상기 보수결과정보를 상기 진단관리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신재생 에너지 설비의 진단관리방법.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진단관리서버는, 비정상상태의 점검항목정보를 갖는 상기 신재생 에너지 설비의 식별정보와 동일한 기종의 다른 신재생 에너지 설비의 동일기종 식별정보를 추출하는 단계와;
상기 진단관리서버가 상기 각 동일기종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작업정보에 상기 비정상상태로 판단된 점검항목의 필수 점검여부, 우선 점검여부 또는 점검주기 중 하나 이상을 변경하는 단계와;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입력되어 수신된 상기 보수결과정보를 상기 보수가이드정보에 업데이트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신재생 에너지 설비의 진단관리방법.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진단관리서버는, 상기 동일기종 식별정보를 갖는 다른 신재생 에너지 설비를 점검하는 작업자의 모바일 단말기로 상기 비정상상태의 점검항목정보와, 점검결과정보 및 보수결과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신재생 에너지 설비의 진단관리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설비정보는, 상기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기종정보, 설치회사 정보, 상기 신재생 에너지 설비가 속한 발전단지 정보 또는 제조사 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며,
상기 점검항목정보는, 점검항목리스트, 점검 관련 매뉴얼, 점검시 심각도 평가 방법, 정상상태 범위값 정보, 점검 기준 색 정보, 점검 방법 정보, 필수 점검여부, 점검 우선순위 또는 점검주기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신재생 에너지 설비의 진단관리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서 상기 점검결과정보에 따라 점검보고서를 생성하는 단계와;
생성된 상기 점검보고서를 상기 진단관리서버로 전송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신재생 에너지 설비의 진단관리방법. - 다수의 위치에 설치된 복수의 신재생 에너지 설비의 각 식별정보에 대응하여 설비정보 및 점검항목정보를 포함하는 작업정보가 저장된 데이터베이스와;
상기 각 신재생 에너지 설비를 진단하는 작업자가 소유한 모바일 단말기와;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접속 허여 여부를 판단하는 접속인증모듈과, 송수신모듈과, 접속이 허여된 상기 모바일단말기로 점검하고자 하는 상기 신재생 에너지 설비의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작업정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서 추출하고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상기 점검항목정보에 대한 점검결과정보를 수신받아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제어모듈과, 상기 점검결과정보를 상기 각 점검항목정보 별로 설정된 점검기준과 대비 평가하여 재입력상태로 판단되면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 재입력을 요청하는 진단평가모듈을 갖는 진단관리서버;를 포함하는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신재생 에너지 설비의 진단관리 시스템.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점검항목정보는, 점검항목리스트, 점검 관련 매뉴얼, 점검시 심각도 평가 방법, 정상상태 범위값 정보, 점검 기준 색 정보, 점검 방법 정보, 필수 점검여부, 점검 우선순위 또는 점검주기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며,
상기 모바일 단말기는, 이미지 생성 모듈, 송수신 모듈, 상기 진단관리서버로부터 수신된 상기 작업정보의 조회 및 상기 점검결과정보의 입력을 위한 입출력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신재생 에너지 설비의 진단관리 시스템.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진단평가모듈은 수신된 상기 점검결과정보에 포함된 각 점검항목별로 설정된 정상상태 범위값에 해당하는 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진단평가모듈의 평가결과를 상기 송수신모듈을 통하여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 전송하여 표시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신재생 에너지 설비의 진단관리 시스템.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모듈은 비정상상태로 판단된 해당 점검항목에 대하여 미리 설정된 세부원인정보, 심각도 정보 또는 대응방법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보수가이드정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서 추출하여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 전송하고,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서 상기 보수가이드 정보에 따라 선택 또는 추가 입력한 세부 원인정보, 심각도 정보, 작업자 코멘트 정보 또는 대응방법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보수결과정보를 수신받아 상기 점검결과정보 및 상기 보수가이드정보에 업데이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신재생 에너지 설비의 진단관리 시스템.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모듈은 비정상상태의 점검항목을 갖는 상기 신재생 에너지 설비의 식별정보와 동일한 기종의 다른 신재생 에너지 설비의 동일기종 식별정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서 추출하고, 각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작업정보에 상기 비정상상태로 판단된 상기 점검항목의 필수 점검여부, 우선 점검여부 또는 점검주기 중 하나 이상을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신재생 에너지 설비의 진단관리 시스템. -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동일 기종 식별번호를 갖는 상기 신재생 에너지 설비를 점검하는 다른 작업자의 모바일 단말기로 상기 비정상상태의 점검항목정보와, 점검결과정보 및 보수결과정보를 상기 송수신모듈을 통하여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신재생 에너지 설비의 진단관리시스템.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단말기는 완료된 상기 점검결과정보에 따라 점검보고서를 생성하는 보고서생성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신재생 에너지 설비의 진단관리시스템.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19261A KR101874098B1 (ko) | 2016-02-18 | 2016-02-18 |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신재생 에너지 설비의 진단관리방법 및 그 시스템 |
GB1610945.6A GB2550224A (en) | 2016-02-18 | 2016-06-22 | Diagnostic and managing method of new renewalable energy apparatus using mobile device and the system thereof |
PCT/IB2017/050959 WO2017141225A2 (ko) | 2016-02-18 | 2017-02-20 |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신재생 에너지 설비의 진단관리방법 및 그 시스템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19261A KR101874098B1 (ko) | 2016-02-18 | 2016-02-18 |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신재생 에너지 설비의 진단관리방법 및 그 시스템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97468A true KR20170097468A (ko) | 2017-08-28 |
KR101874098B1 KR101874098B1 (ko) | 2018-07-03 |
Family
ID=596256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019261A KR101874098B1 (ko) | 2016-02-18 | 2016-02-18 |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신재생 에너지 설비의 진단관리방법 및 그 시스템 |
Country Status (3)
Country | Link |
---|---|
KR (1) | KR101874098B1 (ko) |
GB (1) | GB2550224A (ko) |
WO (1) | WO2017141225A2 (ko)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012005B1 (ko) * | 2018-03-07 | 2019-08-19 | 한전케이디엔 주식회사 | 전기차 충전 인프라 이동식 점검 시스템 |
KR102037277B1 (ko) * | 2018-11-20 | 2019-10-28 | 주식회사 승화기술정책연구소 | 모바일단말을 이용한 성능기반 항만시설 리스크 평가 방법 |
KR102109025B1 (ko) * | 2019-10-21 | 2020-05-11 | 주식회사 승화기술정책연구소 | 모바일단말 및 위치정보를 이용한 성능기반 항만시설 리스크 평가 방법 |
KR102300807B1 (ko) * | 2020-11-25 | 2021-09-10 | 더본테크(주) | 필드 데이터 입력을 통한 작업 레포트 자동 생성 시스템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9034569A (zh) * | 2018-07-12 | 2018-12-18 | 北京中飞艾维航空科技有限公司 | 电网设备的图片审核评分方法及装置 |
KR102336998B1 (ko) * | 2021-05-10 | 2021-12-09 | 더본테크 주식회사 | 필드 데이터의 트레이스 추적을 통한 맨홀 데이터 기록 시스템 |
KR20230084864A (ko) | 2021-12-06 | 2023-06-13 | 주식회사 그리다에너지 | 실감형 마이크로그리드 운영 및 유지보수시스템 및 그 방법 |
Family Cites Familie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657605B1 (ko) * | 2005-06-08 | 2006-12-20 |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작업 관리 방법 및 시스템 |
JP5157282B2 (ja) * | 2007-06-26 | 2013-03-06 | 富士電機株式会社 | 設備情報の収集管理システム |
EP2435949A4 (en) * | 2009-05-29 | 2014-04-30 | Ericsson Telefon Ab L M | APPARATUS,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DETECTING RISK FLAGS |
JP5627477B2 (ja) * | 2011-01-20 | 2014-11-19 | 三菱重工業株式会社 | プラント安全設計支援装置及びプラント監視保守支援装置 |
JP5511907B2 (ja) * | 2012-07-13 | 2014-06-04 | 日本瓦斯株式会社 | 保安調査項目のダウンロード |
KR101321596B1 (ko) * | 2013-08-13 | 2013-10-28 | (주)건양엔지니어링 | 태블릿을 이용한 지하시설물 현장정보 관리 시스템의 운용방법 |
-
2016
- 2016-02-18 KR KR1020160019261A patent/KR101874098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6-06-22 GB GB1610945.6A patent/GB2550224A/en not_active Withdrawn
-
2017
- 2017-02-20 WO PCT/IB2017/050959 patent/WO2017141225A2/ko active Application Filing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012005B1 (ko) * | 2018-03-07 | 2019-08-19 | 한전케이디엔 주식회사 | 전기차 충전 인프라 이동식 점검 시스템 |
KR102037277B1 (ko) * | 2018-11-20 | 2019-10-28 | 주식회사 승화기술정책연구소 | 모바일단말을 이용한 성능기반 항만시설 리스크 평가 방법 |
KR102109025B1 (ko) * | 2019-10-21 | 2020-05-11 | 주식회사 승화기술정책연구소 | 모바일단말 및 위치정보를 이용한 성능기반 항만시설 리스크 평가 방법 |
KR102300807B1 (ko) * | 2020-11-25 | 2021-09-10 | 더본테크(주) | 필드 데이터 입력을 통한 작업 레포트 자동 생성 시스템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874098B1 (ko) | 2018-07-03 |
WO2017141225A3 (ko) | 2018-07-05 |
GB2550224A (en) | 2017-11-15 |
WO2017141225A2 (ko) | 2017-08-24 |
GB201610945D0 (en) | 2016-08-0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874098B1 (ko) |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신재생 에너지 설비의 진단관리방법 및 그 시스템 | |
CN105378810B (zh) | 测量数据的远程共享 | |
US10310496B2 (en) | Systems and methods for communicating in a predictive maintenance program using remote analysts | |
US20180225616A1 (en) | Digital Checklist System Using Mobile Technology, Artificial Intelligence, and Infrared Technology | |
CN105045175A (zh) | 具有改进诊断的手持现场维护工具 | |
CN106249707B (zh) | 信息收集系统以及信息收集方法 | |
US9915929B1 (en) | Monitoring availability of facility equipment | |
CN106020174A (zh) | 一种智能设备故障云处理方法及系统 | |
CN105184519A (zh) | 标准化安全作业痕迹化管理系统 | |
CN117172749A (zh) | 轨道交通巡检维修工单管理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 |
US11520793B2 (en) | Servicing, diagnosing, logging, and surveying building equipment assets | |
Alijani Mamaghani et al. | A framework to implement augmented reality based on BIM to improve operation and maintenance of mechanical facilities of commercial complexes | |
KR20140119223A (ko) | 근거리무선통신〔nfc〕을 이용한 하천 시설물 유지관리 방법 | |
CN110047164A (zh) | 机电设备巡检管理系统 | |
CN207882986U (zh) | 机电设备巡检管理系统 | |
WO2015119450A1 (ko) | 공정지연 및 시험과 검사의 불량을 최소화하고 신뢰성이 향상된 모바일 토탈 품질관리 매니지먼트 시스템 및, 이의 방법 | |
CN212990152U (zh) | 一种农污管理系统 | |
KR102098263B1 (ko) | 웹기반 풍력발전 블레이드 관리 시스템 | |
KR101788115B1 (ko) | 사례기반 진단 시스템 및 서버 | |
KR101811532B1 (ko) | 복수 설비 자주보전 시스템 | |
CN115829191A (zh) | 生成检验计划的方法、设备及存储介质 | |
CN114881596A (zh) | 一种现场检查的自动化管理方法、装置及设备 | |
CN113920610A (zh) | 基于ar技术的电力设备巡检方法及系统 | |
CN115115332A (zh) | 一种适用于中小水电站的智能综合管控平台 | |
KR101895274B1 (ko) | 신재생 에너지 설비의 진단결과 분석방법 및 그 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