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19223A - 근거리무선통신〔nfc〕을 이용한 하천 시설물 유지관리 방법 - Google Patents

근거리무선통신〔nfc〕을 이용한 하천 시설물 유지관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19223A
KR20140119223A KR1020130032618A KR20130032618A KR20140119223A KR 20140119223 A KR20140119223 A KR 20140119223A KR 1020130032618 A KR1020130032618 A KR 1020130032618A KR 20130032618 A KR20130032618 A KR 20130032618A KR 20140119223 A KR20140119223 A KR 201401192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river
facility
mobile terminal
management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326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80784B1 (ko
Inventor
김홍식
오정환
이민수
김성준
Original Assignee
(주)웹솔루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웹솔루스 filed Critical (주)웹솔루스
Priority to KR201300326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80784B1/ko
Publication of KR201401192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192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07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07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6Energy or water supp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5/0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 H04B5/4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characterised by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near-field transmission
    • H04B5/48Transceiver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천 시설물의 유지관리 목적에 따라 하천 시설물의 기능을 보전하고 시설 이용자의 편의와 안전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하는 근거리무선통신(NFC)을 이용한 하천 시설물 유지관리 방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a) 관리자용 모바일단말기가 하천시설물에 부착된 NFC태그에 접촉되면 관리자용 모바일단말기에 설치된 하천시설물 관리용 애플리케이션이 자동 실행된 후에 애플리케이션의 제어모듈이 통신망을 통해 관리서버에 접속하여 관리자정보DB를 거쳐 관리자 로그인이 수행되도록 하는 단계; (b) 상기 제어모듈은 관리서버를 통해 로그인이 이루어지면 모바일단말기 화면에 관리서버를 통해 하천시설물정보DB로부터 전송받은 관리대상이 되는 하천시설물을 선택하는 화면이 표출되도록 하는 단계; (c) 상기 모바일단말기가 NFC태그에 접촉되어 NFC태그의 정보를 읽어 들이면, 제어모듈은 관리서버를 통해 하천시설물정보DB로부터 해당 NFC태그가 부착된 하천시설물에 관한 정보를 전송받아 모바일단말기 화면에 시설물 제원정보가 표출되도록 하는 단계, 및 (d) 상기 제어모듈은 모바일단말기 화면에 표출된 시설물 제원정보에서 해당 하천시설물에 관한 점검하기메뉴가 선택되면, 해당하는 복수의 점검항목 및 체크리스트를 화면에 표시하고 해당하는 복수 점검항목의 체크정보를 관리서버를 통해 하천시설물정보DB에 저장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본 발명은 하천 시설물 점검 이력을 체계화하여 누적시키게 되면 담당자가 변경되거나 신규 인력이 투입될 경우에도 업무의 인수인계 및 업무파악을 용이하게 할 수 있게 되고, 추후 하천 시설물을 새로 설계할 때에도 점검 및 보수이력 등을 참고할 수 있어 보다 체계적인 하천 시설물의 관리가 용이하고, 하천 시설물의 유지관리의 주요 목적인 하천 시설물의 손상 및 결함을 조기에 발견하여 손상의 확대를 미연에 방지하는 데에 부합되도록 하천 시설물의 기능을 보전하고 시설 이용자의 편의와 안전을 향상시킨 것이다.

Description

근거리무선통신〔NFC〕을 이용한 하천 시설물 유지관리 방법 및 그 시스템{River Facility Maintenance Method using Near Field Communication and System thereof}
본 발명은 근거리무선통신(NFC)을 이용한 하천 시설물을 유지하고 관리하는 방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하천 시설물의 유지관리 목적에 따라 하천 시설물의 기능을 보전하고 시설 이용자의 편의와 안전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하는 근거리무선통신(NFC)을 이용한 하천 시설물 유지관리 방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하천 시설물의 유지관리란 완성된 시설물의 기능을 보전할 수 있도록 취하는 모든 제반조치를 일컫는 것으로, 하천 시설물의 주기적인 점검을 통해 시설물의 상태 및 노후정도를 파악하여 필요시에 보수공사를 실시하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일반적으로 하천 시설물들은 「시설물안전관리에관한특별법」에 의하여 주기적으로 점검을 실시하게 되어있으며, 홍수 및 동절기에는 수시적으로 긴급점검이나 상시점검을 하게 되어 있다. 이러한 점검의 목적은 하천 시설물의 손상 및 결함을 조기에 발견하여 손상의 확대를 미연에 방지하는 데 있다.
한편, 4대강 16개 보 건설 사업이 완료되면서 하천 시설물들을 어떻게 유지 관리할 것인가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특히 보나 댐과 같은 하천 시설물들은 상시 물에 접하고 있고 운영 때에는 토목구조물과 기계설비의 간섭으로 인한 진동의 발생이 불가피하므로 균열이나 누수에 취약할 수밖에 없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현재 신설보에 설치 운영 중인 소수력발전소의 경우에도 균열이나 누수 등이 발견되면서 안정성에 문제가 있는 것이 아니냐는 우려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는 실정이다.
하천 시설물은 댐이나 보 이외에도 하구둑, 제방, 운하 등 주로 규모가 큰 토목시설들이므로 관리가 소홀하게 되어 문제가 발생할 때에는 유지보수 비용과는 비교할 수 없는 복구비가 소요될 뿐만 아니라 큰 재해로 이어질 수 있는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하천 시설물들은 체계적인 점검과 보수를 통해 최적의 상태를 유지시켜 주어야 한다.
현재 하천 시설물의 점검관리는 점검자가 관리대장에 수기로 기록하고 추후 전산화시키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으며, 점검해야 할 시설물에 대해서는 관리 문서를 통하여 당일 확인하고 점검하는 방법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은 수기로 기재하는 과정에서 오류나 누락이 발생할 수 있으며, 점검시기를 놓치더라도 이를 알 수 있는 방법이 없다.
최근에는 전자펜 등으로 점검사항을 입력하거나 웹을 통해 하천 시설물을 관리하는 방법도 시도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시스템은 점검내용을 디지털화하여 저장할 수 있게 되었다는 장점은 있으나 전자펜에 입력된 내용을 USB 등을 통해 컴퓨터로 옮기는 과정을 거쳐야 하거나 웹을 통해 사용자가 컴퓨터에 일일이 점검사항을 입력해야 하는 등 여전히 번거롭고 편리하지 않은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선행기술로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9-0129247호의 네트워크 기반의 시설물 통합관리방법 및 그 시스템은 서버 컴퓨터에서 사용자, 시행/시공사, 운영사, 평가위원회, 주무관청을 포함한 각 시설물별 이해 당사자들의 신규회원가입에 따라 서비스 이용범위에 대한 권한을 설정함과 동시에 설정된 권한에 따른 메뉴를 생성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회원 로그인을 수행한 이해 당사자의 이용권한에 따른 메뉴가 포함된 페이지 정보를 해당 이해 당사자의 컴퓨터로 제공하고, 이용권한에 따른 메뉴가 포함된 페이지 정보를 확인한 이해 당사자의 컴퓨터로부터 특정 메뉴가 선택되면 선택된 메뉴에 해당하는 시설물 관련정보, 신청 내용의 처리결과, 업무관리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에서 로드하여 해당 이해 당사자의 컴퓨터로 제공하거나 또는 선택된 메뉴의 데이터 입력을 위한 페이지를 해당 이해 당사자의 컴퓨터로 제공하며, 각 이해 당사자의 컴퓨터로부터 입력되는 시설물 관리에 따른 각종 신청 데이터 및 문의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에 갱신, 저장하여 관련 이해 당사자들이 해당 내용을 처리하도록 하는 기술적 특징을 개시하고 있다. 이는 이용권한을 가진 로그인한 회원이 메뉴가 포함된 페이지 정보를 서버 컴퓨터에서 확인 및 로드할 수 있도록 하고 있지만, 실제 해당 시설물의 초기 점검과 관리를 위한 데이터의 저장이나 해당 시설물의 손상이나 결함에 관한 초기 대응을 할 수 없는 등의 문제가 노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첨단의 모바일 기술을 이용하여 관리자가 하천 시설물을 체계적이고 효율적으로, 그리고 점검자가 편리하게 점검할 수 있도록 하여 점검을 위한 본연의 목적인 하천 시설물의 손상 및 결함을 조기에 발견하여 손상의 확대를 미연에 방지하는 데에 부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 목적이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a) 관리자용 모바일단말기가 하천시설물에 부착된 NFC태그에 접촉되면 관리자용 모바일단말기에 설치된 하천시설물 관리용 애플리케이션이 자동 실행된 후에 애플리케이션의 제어모듈이 통신망을 통해 관리서버에 접속하여 관리자정보DB를 거쳐 관리자 로그인이 수행되도록 하는 단계; (b) 상기 제어모듈은 관리서버를 통해 로그인이 이루어지면 모바일단말기 화면에 관리서버를 통해 하천시설물정보DB로부터 전송받은 관리대상이 되는 하천시설물을 선택하는 화면이 표출되도록 하는 단계; (c) 상기 모바일단말기가 NFC태그에 접촉되어 NFC태그의 정보를 읽어 들이면, 제어모듈은 관리서버를 통해 하천시설물정보DB로부터 해당 NFC태그가 부착된 하천시설물에 관한 정보를 전송받아 모바일단말기 화면에 시설물 제원정보가 표출되도록 하는 단계, 및 (d) 상기 제어모듈은 모바일단말기 화면에 표출된 시설물 제원정보에서 해당 하천시설물에 관한 점검하기메뉴가 선택되면, 해당하는 복수의 점검항목 및 체크리스트를 화면에 표시하고 해당하는 복수 점검항목의 체크정보를 관리서버를 통해 하천시설물정보DB에 저장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근거리무선통신을 이용한 하천 시설물 유지관리 방법을 제공한 것이 특징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단계(d)에서, 상기 모바일단말기의 시설물 제원정보를 나타내는 화면에서 위치메뉴가 선택되면, 제어모듈은 해당 하천시설물의 위치정보를 관리서버를 통해 하천시설물정보DB로부터 다운로드 받아 지리정보로 표출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단계(d)에서, 상기 모바일단말기의 시설물 제원정보를 나타내는 화면에서 사진촬영메뉴가 선택되면, 제어모듈은 모바일단말기의 카메라에서 촬영된 이미지를 영상모듈로부터 입력받아 관리서버를 통해 하천시설물정보DB에 저장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단계(d)에서, 상기 모바일단말기의 시설물 제원정보를 나타내는 화면에서 갤러리메뉴가 선택되면, 제어모듈은 관리서버를 통해 하천시설물정보DB로부터 해당 하천시설물의 사진리스트를 다운로드 받아 표출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단계(d)에서, 상기 모바일단말기의 시설물 제원정보를 나타내는 화면에서 관리담당자 연락처에 표출된 해당 관리담당자 전화번호가 선택되면, 제어모듈은 해당 관리담당자의 통신기기와 통화연결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a) 관리자용 모바일단말기에 설치된 하천시설물 관리용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애플리케이션의 제어모듈이 통신망을 통해 관리서버에 접속하여 관리자정보DB를 거쳐 관리자 로그인이 수행되도록 하는 단계; (b) 상기 제어모듈은 관리서버를 통해 로그인이 이루어지면 모바일단말기 화면에 하천시설물 관리를 위한 메인화면이 표출되도록 하는 단계; (c) 상기 모바일단말기의 메인화면에서 NFC태그 읽기메뉴가 선택되고 모바일단말기가 NFC태그에 접촉하여 NFC태그의 정보를 읽어 들이면, 제어모듈은 관리서버를 통해 하천시설물정보DB로부터 해당 NFC태그가 부착된 하천시설물에 관한 정보를 전송받아 모바일단말기 화면에 시설물 제원정보가 표출되도록 하는 단계, 및 (d) 상기 제어모듈은 모바일단말기 화면에 표출된 시설물 제원정보에서 하천시설물에 관한 점검메뉴가 선택되면, 복수의 점검항목 및 체크리스트를 화면에 표시하고 해당하는 복수 점검항목의 체크정보를 관리서버를 통해 하천시설물정보DB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근거리무선통신을 이용한 하천 시설물 유지관리 방법을 제공한 것이 특징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단계(b)에서, 상기 모바일단말기의 메인화면에서 환경설정을 위한 메뉴가 선택되면, 제어모듈은 환경설정을 위한 정보가 표출되도록 하고 환경설정이 이루어진 환경정보를 관리서버를 통해 하천시설물정보DB에 저장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단계(b)에서, 상기 모바일단말기의 메인화면에서 관리담당자와 통화를 위한 연락처메뉴가 선택되면, 제어모듈은 관리담당자 연락처가 표출되도록 하고 표출된 해당 관리담당자 전화번호가 선택되면, 제어모듈은 해당 관리담당자의 통신기기와 통화연결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단계(d)에서, 상기 제어모듈은 복수의 점검항목 및 체크리스트를 나타내는 화면에서 해당하는 복수 점검항목의 체크정보로 양호, 보통, 미흡 또는 없음 중 어느 하나를 체크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점검대상이 되는 하천시설물에 각각 부착된 NFC태그로부터 하천시설물의 기본정보를 인식하는 NFC인식기가 구비되고, 하천시설물의 촬영을 위한 카메라가 장착되며, 통신망을 통해 관리서버에 접속되어 하천시설물의 관리 및 점검을 위한 각종 정보를 송수신하고, 관리서버에서 수신된 정보를 화면에 표출되도록 하는 하천시설물 관리용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된 관리담당자용 모바일단말기; 상기 관리담당자용 모바일단말기와 통신망으로 접속되고 모바일단말기의 인증을 위한 로그인 수행과 하천시설물과 관련된 각종 정보를 송수신하는 관리서버; 상기 관리서버와 연결되어 관리담당자의 인증을 위한 로그인 정보를 저장하고 입출력하는 관리담당자정보DB, 및 상기 관리서버와 연결되어 하천시설물과 관련된 각종 정보를 저장 및 입출력하는 하천시설물정보DB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근거리무선통신을 이용한 하천 시설물 유지관리 시스템을 제공한 것이 특징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하천시설물 관리용 애플리케이션에는 하천시설물의 점검과 관리를 위하여 하천시설물에 부착된 NFC태그의 인식 정보, 카메라로부터 촬영된 이미지 정보의 수집, 통신망으로 접속된 관리서버와 데이터 송수신, 각종 기능 선택을 위한 메뉴의 표출을 포함하는 제어를 위한 제어모듈과, 상기 모바일단말기에 설치된 카메라로부터 촬영된 이미지나 영상을 수집하는 영상모듈, 및 상기 모바일단말기에 설치된 NFC태그 인식기로부터 하천시설물에 부착된 NFC태그와 근거리통신으로 정보를 수집하는 인식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제어모듈은 해당 하천시설물의 정기점검이나 상시점검을 위하여 설정된 시각에 모바일단말기로 알람이 출력되도록 하는 기능이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하천 시설물 점검 이력을 체계화하여 누적시키게 되면 담당자가 변경되거나 신규 인력이 투입될 경우에도 업무의 인수인계 및 업무파악을 용이하게 할 수 있게 되고, 추후 하천 시설물을 새로 설계할 때에도 점검 및 보수이력 등을 참고할 수 있어 보다 체계적인 하천 시설물의 관리가 용이하고, 하천 시설물의 유지관리의 주요 목적인 하천 시설물의 손상 및 결함을 조기에 발견하여 손상의 확대를 미연에 방지하는 데에 부합되도록 하천 시설물의 기능을 보전하고 시설 이용자의 편의와 안전을 향상시킨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로, 근거리무선통신(NFC)을 이용한 하천 시설물 유지관리 시스템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근거리무선통신을 이용한 하천 시설물 유지관리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근거리무선통신을 이용한 하천 시설물 유지관리 방법을 도식화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NFC태그가 하천시설물에 부착된 것을 도식화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로, 근거리무선통신을 이용한 하천 시설물 유지관리 시스템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하천시설물의 점검은 정밀한 센서나 CCTV 등 다양한 방법을 통해 이루어지기도 하지만, 많은 부분 주기적으로 육안점검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예를 들면, 콘크리트의 균열이나 통신설비의 작동상태, 어도의 이물질 및 식생 등은 주로 육안으로 점검이 이루어지는 부분이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하천시설물 관리자가 상시 및 정기점검을 통해 육안점검을 실시하는 부분을 점검의 범위로 제한한다. 참고로, 하천시설물의 일례인 다기능 보를 유지관리하기 위한 점검항목은 다음의 표 1과 같다
Figure pat00001
도 1에서, 하천시설물(10)에는 근거리무선통신(Near Field Communication, NFC)을 위한 고유의 NFC칩이 내장된 NFC태그(12)가 부착된다. 본 발명은 하천시설물의 정보를 읽어 들이고 보여줄 수 있는 기능을 구현하기 위하여 NFC태그가 적용되었다. NFC태그는 차세대 인식기술인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전자태그)의 일종으로써 RFID보다는 이후의 기술이라고 할 수 있다. NFC는 13.56MHz 주파수를 사용하여 10cm 이내 거리에서 낮은 전력으로 전자기기 사이의 무선통신을 가능하게 해주는 비접촉 근거리 무선통신으로, 초당 전송 속도는 최대 42kbps이며, 근접성의 특성과 암호화 기술로 보안성이 뛰어나고, 단말기끼리 인식하는데 블루투스 등의 신호로 연결되는 복잡한 페어링(pairing) 절차가 필요 없이 1/10초 이하로 인식이 가능하다는 특징이 있다. 이러한 NFC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장치로 NFC태그와 이를 읽어낼 수 있는 리더기가 필요하다. RFID태그는 리더기로써 PDA가 별도로 필요한 반면에, NFC는 우리가 일상적으로 사용하는 스마트폰으로도 인식이 가능하기 때문에 별도로 리더기를 구매하지 않아도 된다는 장점이 있다. 2011년 후반기 이후 출시된 모바일단말기용 OS로 안드로이드 기반의 모델 대부분은 NFC 리더기의 기능을 탑재하고 있다. NFC태그(12)는 도 5에서와 같이 댐, 하구둑, 제방, 호안, 수제, 보, 갑문, 수문, 수로, 터널, 운하, 관측시설, 기타시설, 점용시설 등 다양한 하천시설물에 부착된다.
관리담당자용 모바일단말기(20)는 고유의 점검대상이 되는 하천시설물에 각각 부착된 NFC태그(12)로부터 하천시설물(10)의 기본정보를 인식하는 NFC인식기가 구비되고, 하천시설물(10)의 촬영을 위한 카메라(22)가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관리담당자용 모바일단말기(20)에는 통신망을 통해 관리서버(42)에 접속되어 하천시설물(10)의 관리 및 점검을 위한 각종 정보를 송수신하고, 관리서버(42)에서 수신된 정보를 화면에 표출되도록 하는 하천시설물 관리용 애플리케이션(30)이 설치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 육안 점검이 필요한 하천 시설물의 점검을 위해 스마트폰의 카메라를 제어할 수 있는 앱(Application,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하기 위하여 하이브리드 앱을 사용하였다. 모바일용 애플리케이션은 그 구현 기능에 따라 네이티브 앱(Native App), 웹 앱(Web App), 하이브리드 앱(Hybrid App) 등 3가지로 구분된다. 네이티브 앱은 모바일 기기에 직접 설치되고 운용되는 전용 애플리케이션으로, 기기의 고유정보에 직접 접근할 수 있다는 특징이 있으며, 웹 앱은 웹 기술만을 이용하여 만든 모바일에 최적화된 앱으로 호환성이 좋다는 특징이 있다. 하이브리드 앱은 그 이름에서 유추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네이티브 앱과 웹 앱의 특징을 조합한 것으로, 일반적인 웹 기술로 기기의 고유정보에 접근할 수 있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하이브리드 앱의 장점으로는 하드웨어 접근성이 양호하며 일반적인 웹 기술로 구현이 가능하다는 점, 실행속도가 양호하며 앱스토어를 통한 배포가 가능하여 사용자 접근성이 높다는 점, 멀티 플랫폼을 지원하여 호환성이나 이식성이 좋다는 점 등이 있다. 이러한 하이브리드 앱의 구현을 가능하게 해 주는 것이 바로 폰갭(Phone Gap)이다 폰갭의 가장 큰 특징은 HTML5, CSS, 자바스크립트를 이용하면 폰갭에서의 라이브러리를 통해 여러 종류의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으로 만들 수 있다는 것이다. 또한, 폰갭을 사용하게 되면 스마트폰의 자이로 센서, 카메라, 주소록, GPS 등의 스마트폰에 탑재된 기기들을 제어할 수 있는 네이티브 앱의 기능을 활용할 수 있어 이를 응용한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을 제작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실제 하천시설물 점검 때에는 시설물 제원 및 해당 시설물 담당자 연락처 등이 가장 필요한 정보이고, 수시로 실시하는 육안점검 중에 하천시설물에 문제가 발견되는 경우에는 카메라로 직접 촬영을 하여 모니터를 통해 논의하는 과정을 거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하천시설물 정보를 손쉽게 취득하는 방법으로써 NFC태그를 이용하고, 이 태그를 읽어들여 제원정보를 보여주고 점검사진을 촬영하고 점검내용과 함께 업로드 할 수 있는 기능을 구현하기 위하여 하이브리드앱 기술을 사용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근거리무선통신(NFC)과 하이브리드 앱을 이용하여 하천시설물 관리용 애플리케이션(30)을 적용하였다. 현재 개발된 모습은 관리자가 NFC태그를 통하여 하천시설물을 인식하고 로그인 후 제원정보를 확인, 사진 촬영, 점검내용을 업로드 하는 등의 서비스와, 이력 및 알람 서비스 등이 포함되어 있다.
하천시설물 관리용 애플리케이션(30)은 하천시설물의 점검과 관리를 위하여 하천시설물(10)에 부착된 NFC태그(12)의 인식 정보, 카메라(22)로부터 촬영된 이미지 정보의 수집, 통신망으로 접속된 관리서버(42)와 데이터 송수신, 각종 기능 선택을 위한 메뉴의 표출을 포함하는 제어를 위한 제어모듈(32)이 포함되어 있다. 또한, 하천시설물 관리용 애플리케이션(30)에는 모바일단말기(20)에 설치된 카메라(22)로부터 촬영된 이미지나 영상을 수집하는 영상모듈(34)과 더불어 모바일단말기(20)에 설치된 NFC태그 인식기로부터 하천시설물(10)에 부착된 NFC태그(12)와 근거리통신으로 정보를 수집하는 인식모듈(36)이 포함되어 있다. 제어모듈(32)은 해당 하천시설물(10)의 정기점검이나 상시점검을 위하여 설정된 시각에 모바일단말기(20)로 알람이 출력되도록 하는 기능이 포함되어 있다.
하나 이상의 관리담당자용 모바일단말기(20)가 통신망을 통해 원격 접속되는 하천시설물 관리시스템(40)에는 관리서버(42)가 포함되어 있다. 관리서버(42)는 관리담당자용 모바일단말기(20)와 통신망으로 접속되고 모바일단말기(20)의 인증을 위한 로그인 수행과 하천시설물(10)과 관련된 각종 정보를 송수신하는 것이다. 관리서버(42)에는 관리담당자의 인증을 위한 로그인 정보를 저장하고 입출력하는 관리자정보DB(44)와 더불어 하천시설물과 관련된 각종 정보를 저장 및 입출력하는 하천시설물정보DB(46)가 연결되어 있다.
또한, 하천시설물 관리시스템(40)의 관리서버(42)에 직접 연결되거나 또는 통신망을 통하여 관리서버(42)에 접속되어 관리서버(42)를 통하여 하천시설물정보DB(46)에 저장된 정보를 컴퓨터(50)의 모니터를 통해 보거나 프로젝터(52)나 대형TV나 모니터(54) 등으로 볼 수 있을 것이다. 이는 해당 하천시설물의 각종 정보를 하천시설물의 관리를 위한 담당자들이 함께 보면서 문제점이나 보수사항 등 유지관리에 필요한 각종 논의를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구성을 포함하는 시스템으로부터 본 발명에 따른 근거리무선통신을 이용한 하천 시설물 유지관리 방법에 관하여 도 2 및 도 3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에서, 관리담당자가 소유하고 있는 관리자용 모바일단말기(20)를 해당 하천시설물(10)에 부착된 NFC태그(12)에 접촉하였는지의 여부에 따라 하천시설물 관리용 애플리케이션(30)의 자동 실행 또는 수동 실행이 결정된다(S1). 즉 관리자용 모바일단말기(20)가 하천시설물(10)에 부착된 NFC태그에 접촉되면, 관리자용 모바일단말기(20)에 설치된 하천시설물 관리용 애플리케이션(30)이 자동 실행되고(S2), 자동 실행된 하천시설물 관리용 애플리케이션(30)의 제어모듈(32)은 통신망을 통해 관리서버(42)에 접속되게 된다. 관리서버(42)에 접속된 제어모듈(32)은 관리자정보DB(44)를 거쳐 관리자 로그인이 수행되도록 한다(S3). 이는 관리서버(42)에 무단 접속을 방지하기 위한 보안을 위한 것이다.
도 4에서, 관리자용 모바일단말기(20) 화면에 로그인을 위한 초기화면(100)이 표출된다. 관리자에 의하여 로그인을 위한 ID 및 패스워드가 입력되면 관리서버(42)는 관리자정보DB(44)에 저장된 정보와 비교하여 인증을 수행한다.
하천시설물 관리용 애플리케이션의 제어모듈(32)은 관리서버(42)를 통해 로그인이 이루어지면 모바일단말기(20) 화면에 관리서버(42)를 통해 하천시설물정보DB(46)로부터 전송받은 관리대상이 되는 하천시설물을 선택하는 화면(120)이 표출되도록 한다(S4). 이때, 모바일단말기(20)를 NFC태그(12)에 접촉하여 NFC태그의 정보를 읽어 들이면(S5), 제어모듈(32)은 관리서버(42)를 통해 하천시설물정보DB(46)로부터 해당 NFC태그(12)가 부착된 하천시설물(10)에 관한 정보를 전송받아 모바일단말기(20) 화면에 해당 하천시설물(10)의 제원이 포함된 시설물 제원정보화면(130)이 표출되도록 한다(S6). 이는 도 4의 해당 하천시설물의 점검항목이 포함된 정보를 나타내는 화면(180)을 참조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모듈(32)은 모바일단말기(20) 화면을 통하여 해당 하천시설물(10)에 관한 점검메뉴가 선택되면(S7), 해당하는 복수 점검항목을 체크한다(S8). 여기에서 제어모듈(32)은 복수 점검항목의 체크정보로 양호, 보통, 미흡 또는 없음 중 어느 하나를 체크할 수 있도록 한다. 양호는 문제점이 없는 양호한 상태를 나타내는 것이고, 보통은 경미한 손상은 있으나 기능발휘에는 지장이 없으며 일부 현장조치가 필요한 상태를 나타내는 것이며, 미흡은 심각한 손상 또는 광범위한 결함이 발생하여 내구성, 기능성 저하의 위험이 있어 보수가 필요한 상태를 나타내는 것이다. 또한, 제어모듈(32)은 복수 점검항목의 체크정보를 관리서버(42)를 통해 하천시설물정보DB(46)에 저장되도록 한다(S9). 이때 하천시설물정보DB(46)로 전송된 체크 리스트는 날짜 및 시설물별로 저장되어 점검 히스토리를 구성하게 되고, 로그인한 담당자의 점검 이력도 남게 된다. 이렇게 저장된 점검 이력은 정기점검과 상시점검을 알람으로 알려주기 위한 데이터로 활용될 수 있다.
한편, 관리자용 모바일단말기(20)가 하천시설물(10)에 부착된 NFC태그(12)에 접촉하지 않고 모바일단말기(20)에 설치된 하천시설물 관리용 애플리케이션(30)이 실행되면(S11), 애플리케이션의 제어모듈(32)이 통신망을 통해 관리서버(42)에 접속하여 관리자정보DB(44)를 거쳐 관리자 로그인이 수행되도록 한다(S12). 즉 도 4에서, 관리자용 모바일단말기(20) 화면에 로그인을 위한 초기화면(100)이 표출된다. 관리자에 의하여 로그인을 위한 ID 및 패스워드가 입력되면 관리서버(42)는 관리자정보DB(44)에 저장된 정보와 비교하여 인증을 수행한다.
그리고 제어모듈(32)은 관리서버(42)를 통해 로그인이 이루어지면 모바일단말기(20) 화면에 하천시설물 관리를 위한 메인화면(110)이 표출되도록 한다(S13). 이는 도 4에서 하천시설물 관리를 위한 각종 메뉴를 선택할 수 있는 정보를 나타내는 화면(110)을 참조할 수 있다. 여기에는 NFC태그 읽기, 사진촬영을 위한 카메라, 해당 하천시설물의 사진을 열람할 수 있는 갤러리, 관리담당자의 연락처 및 하천시설물 관리를 위한 환경설정 등의 메뉴가 포함되어 있다.
모바일단말기(20) 화면에 표출된 메인화면(110)에서 NFC태그 메뉴가 선택되면(S14), 모바일단말기(20)를 NFC태그(12)에 접촉하여 NFC태그의 정보를 읽어 들인다. 이는 도 4에서 관리대상의 선택을 나타내는 화면(120)이 표출된다. 그리고 제어모듈(32)은 NFC태그(12)로부터 읽어 들인 정보를 관리서버(42)에 전송하면, 관리서버(42)는 하천시설물정보DB(46)로부터 해당 NFC태그(12)가 부착된 하천시설물(10)에 관한 정보를 제어모듈(32)로 전송하여 모바일단말기(20) 화면에 시설물 제원정보화면(130)이 표출되도록 한다. 시설물 제원정보화면(130)을 통하여 해당 하천시설물에 관한 점검메뉴가 선택되면, 복수의 점검항목 및 체크리스트를 화면에 표시하고 해당하는 복수 점검항목의 체크정보를 관리서버(42)를 통해 하천시설물정보DB(46)에 저장되도록 한다. 이는 상기 단계(S6) 내지 단계(S9)와 동일하게 이루어진다.
또한, 도 3에서, 모바일단말기(20) 화면에 표출된 시설물 제원정보화면(130)에서 사진촬영메뉴가 선택되면(S21), 제어모듈(32)은 모바일단말기(20)의 카메라(22)를 활성화시켜 촬영이 이루어지도록 한다(S22). 이는 도 4에서 사진 촬영을 나타내는 화면(150)이 표출된다. 모바일단말기(20)의 기능에 따라 카메라(22)로 이미지를 촬영하거나 동영상으로 촬영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제어모듈(32)은 촬영된 이미지를 영상모듈(34)로부터 입력받아 관리서버(42)를 통해 하천시설물정보DB(46)에 저장되도록 한다(S23). 그리고 메인화면(110)에서 사진촬영메뉴를 선택하였을 때에도 제어모듈(32)은 모바일단말기(20)의 카메라(22)를 활성화시켜 촬영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러한 사진촬영메뉴는 하천시설물 관리자가 점검 중에 균열이나 누수 등 육안으로 판단 가능한 문제가 있다고 생각되는 곳을 발견하게 되면 이를 촬영하여 업로드할 때 필요할 것이다.
또한, 모바일단말기(20) 화면에 표출된 시설물 제원정보화면(130)에서 갤러리메뉴가 선택되면(S31), 제어모듈(32)은 해당 하천시설물(10)에 관한 사진리스트를 관리서버(42)를 통해 하천시설물정보DB(46)로부터 다운로드 받아 표출되도록 한다(S32). 이는 도 4에서 갤러리를 나타내는 화면(160)으로 표출된다. 그리고 메인화면(110)에서 갤러리메뉴를 선택하였을 때에도 동일하다.
또한, 모바일단말기(20) 화면에 표출된 시설물 제원정보화면(130)에서 관리담당자 연락처에 표출된 해당 관리담당자 전화번호가 선택되면(S41), 제어모듈(32)은 해당 관리담당자와 통화연결이 이루어지도록 한다(S42). 이는 도 4에서 모바일단말기의 전화걸기를 나타내는 화면(170)으로 표출된다. 그리고 메인화면(110)에서 관리담당자메뉴를 선택하였을 때에도 관리담당자 연락처가 화면에 표출되고, 해당 관리담당자 전화번호를 선택하면, 제어모듈(32)은 해당 관리담당자와 통화연결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또한, 모바일단말기(20) 화면에 표출된 시설물 제원정보화면(130)에서 위치메뉴가 선택되면(S51), 제어모듈(32)은 해당 하천시설물(10)의 위치정보를 관리서버(42)를 통해 하천시설물정보DB(46)로부터 다운로드 받아 지리정보가 표출되도록 한다(S52). 이는 도 4에서 시설물위치를 나타내는 화면(140)으로 표출된다.
또한, 도 4에서, 모바일단말기(20) 화면에 표출된 메인화면(110)에서 환경설정을 위한 메뉴가 선택되면(S61), 제어모듈(32)은 설정된 환경정보를 관리서버(42)를 통해 하천시설물정보DB(46)에 저장되도록 한다(S62).
이상의 설명에서 본 발명은 특정의 실시 예와 관련하여 도시 및 설명하였지만,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난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개조 및 변화가 가능하다는 것을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10: 하천시설물 12: NFC태그 20: 모바일단말기 22: 카메라 30: 하천시설물 관리용 애플리케이션 32: 제어모듈 34: 영상모듈 36: 인식모듈 40: 하천시설물 관리시스템 42: 관리서버 44: 관리자정보DB 46: 하천시설물정보DB 50: 컴퓨터 52: 프로젝터 54: 모니터

Claims (12)

  1. (a) 관리자용 모바일단말기가 하천시설물에 부착된 NFC태그에 접촉되면 관리자용 모바일단말기에 설치된 하천시설물 관리용 애플리케이션이 자동 실행된 후에 애플리케이션의 제어모듈이 통신망을 통해 관리서버에 접속하여 관리자정보DB를 거쳐 관리자 로그인이 수행되도록 하는 단계;
    (b) 상기 제어모듈은 관리서버를 통해 로그인이 이루어지면 모바일단말기 화면에 관리서버를 통해 하천시설물정보DB로부터 전송받은 관리대상이 되는 하천시설물을 선택하는 화면이 표출되도록 하는 단계;
    (c) 상기 모바일단말기가 NFC태그에 접촉되어 NFC태그의 정보를 읽어 들이면, 제어모듈은 관리서버를 통해 하천시설물정보DB로부터 해당 NFC태그가 부착된 하천시설물에 관한 정보를 전송받아 모바일단말기 화면에 시설물 제원정보가 표출되도록 하는 단계, 및
    (d) 상기 제어모듈은 모바일단말기 화면에 표출된 시설물 제원정보에서 해당 하천시설물에 관한 점검하기메뉴가 선택되면, 해당하는 복수의 점검항목 및 체크리스트를 화면에 표시하고 해당하는 복수 점검항목의 체크정보를 관리서버를 통해 하천시설물정보DB에 저장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근거리무선통신을 이용한 하천 시설물 유지관리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d)에서,
    상기 모바일단말기의 시설물 제원정보를 나타내는 화면에서 위치메뉴가 선택되면, 제어모듈은 해당 하천시설물의 위치정보를 관리서버를 통해 하천시설물정보DB로부터 다운로드 받아 지리정보로 표출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근거리무선통신을 이용한 하천 시설물 유지관리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d)에서,
    상기 모바일단말기의 시설물 제원정보를 나타내는 화면에서 사진촬영메뉴가 선택되면, 제어모듈은 모바일단말기의 카메라에서 촬영된 이미지를 영상모듈로부터 입력받아 관리서버를 통해 하천시설물정보DB에 저장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근거리무선통신을 이용한 하천 시설물 유지관리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d)에서,
    상기 모바일단말기의 시설물 제원정보를 나타내는 화면에서 갤러리메뉴가 선택되면, 제어모듈은 관리서버를 통해 하천시설물정보DB로부터 해당 하천시설물의 사진리스트를 다운로드 받아 표출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근거리무선통신을 이용한 하천 시설물 유지관리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d)에서,
    상기 모바일단말기의 시설물 제원정보를 나타내는 화면에서 관리담당자 연락처에 표출된 해당 관리담당자 전화번호가 선택되면, 제어모듈은 해당 관리담당자의 통신기기와 통화연결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근거리무선통신을 이용한 하천 시설물 유지관리 방법.
  6. (a) 관리자용 모바일단말기에 설치된 하천시설물 관리용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애플리케이션의 제어모듈이 통신망을 통해 관리서버에 접속하여 관리자정보DB를 거쳐 관리자 로그인이 수행되도록 하는 단계;
    (b) 상기 제어모듈은 관리서버를 통해 로그인이 이루어지면 모바일단말기 화면에 하천시설물 관리를 위한 메인화면이 표출되도록 하는 단계;
    (c) 상기 모바일단말기의 메인화면에서 NFC태그 읽기메뉴가 선택되고 모바일단말기가 NFC태그에 접촉하여 NFC태그의 정보를 읽어 들이면, 제어모듈은 관리서버를 통해 하천시설물정보DB로부터 해당 NFC태그가 부착된 하천시설물에 관한 정보를 전송받아 모바일단말기 화면에 시설물 제원정보가 표출되도록 하는 단계, 및
    (d) 상기 제어모듈은 모바일단말기 화면에 표출된 시설물 제원정보에서 하천시설물에 관한 점검메뉴가 선택되면, 복수의 점검항목 및 체크리스트를 화면에 표시하고 해당하는 복수 점검항목의 체크정보를 관리서버를 통해 하천시설물정보DB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근거리무선통신을 이용한 하천 시설물 유지관리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b)에서,
    상기 모바일단말기의 메인화면에서 환경설정을 위한 메뉴가 선택되면, 제어모듈은 환경설정을 위한 정보가 표출되도록 하고 환경설정이 이루어진 환경정보를 관리서버를 통해 하천시설물정보DB에 저장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근거리무선통신을 이용한 하천 시설물 유지관리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b)에서,
    상기 모바일단말기의 메인화면에서 관리담당자와 통화를 위한 연락처메뉴가 선택되면, 제어모듈은 관리담당자 연락처가 표출되도록 하고 표출된 해당 관리담당자 전화번호가 선택되면, 제어모듈은 해당 관리담당자의 통신기기와 통화연결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근거리무선통신을 이용한 하천 시설물 유지관리 방법.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d)에서,
    상기 제어모듈은 복수의 점검항목 및 체크리스트를 나타내는 화면에서 해당하는 복수 점검항목의 체크정보로 양호, 보통, 미흡 또는 없음 중 어느 하나를 체크할 수 있도록 하는 근거리무선통신을 이용한 하천 시설물 유지관리 방법.
  10. 점검대상이 되는 하천시설물에 각각 부착된 NFC태그로부터 하천시설물의 기본정보를 인식하는 NFC인식기가 구비되고, 하천시설물의 촬영을 위한 카메라가 장착되며, 통신망을 통해 관리서버에 접속되어 하천시설물의 관리 및 점검을 위한 각종 정보를 송수신하고, 관리서버에서 수신된 정보를 화면에 표출되도록 하는 하천시설물 관리용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된 관리담당자용 모바일단말기;
    상기 관리담당자용 모바일단말기와 통신망으로 접속되고 모바일단말기의 인증을 위한 로그인 수행과 하천시설물과 관련된 각종 정보를 송수신하는 관리서버;
    상기 관리서버와 연결되어 관리담당자의 인증을 위한 로그인 정보를 저장하고 입출력하는 관리담당자정보DB, 및
    상기 관리서버와 연결되어 하천시설물과 관련된 각종 정보를 저장 및 입출력하는 하천시설물정보DB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근거리무선통신을 이용한 하천 시설물 유지관리 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하천시설물 관리용 애플리케이션에는
    하천시설물의 점검과 관리를 위하여 하천시설물에 부착된 NFC태그의 인식 정보, 카메라로부터 촬영된 이미지 정보의 수집, 통신망으로 접속된 관리서버와 데이터 송수신, 각종 기능 선택을 위한 메뉴의 표출을 포함하는 제어를 위한 제어모듈과, 상기 모바일단말기에 설치된 카메라로부터 촬영된 이미지나 영상을 수집하는 영상모듈, 및 상기 모바일단말기에 설치된 NFC태그 인식기로부터 하천시설물에 부착된 NFC태그와 근거리통신으로 정보를 수집하는 인식모듈을 포함하는 근거리무선통신을 이용한 하천 시설물 유지관리 시스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모듈은 해당 하천시설물의 정기점검이나 상시점검을 위하여 설정된 시각에 모바일단말기로 알람이 출력되도록 하는 기능이 포함된 근거리무선통신을 이용한 하천 시설물 유지관리 시스템.
KR20130032618A 2013-03-27 2013-03-27 근거리무선통신〔nfc〕을 이용한 하천 시설물 유지관리 방법 KR1014807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32618A KR101480784B1 (ko) 2013-03-27 2013-03-27 근거리무선통신〔nfc〕을 이용한 하천 시설물 유지관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32618A KR101480784B1 (ko) 2013-03-27 2013-03-27 근거리무선통신〔nfc〕을 이용한 하천 시설물 유지관리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9223A true KR20140119223A (ko) 2014-10-10
KR101480784B1 KR101480784B1 (ko) 2015-01-13

Family

ID=519915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32618A KR101480784B1 (ko) 2013-03-27 2013-03-27 근거리무선통신〔nfc〕을 이용한 하천 시설물 유지관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80784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81707A (ko) * 2014-12-31 2016-07-08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Nfc를 이용한 낙서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낙서관리 서비스 제공방법
KR101656789B1 (ko) * 2016-04-29 2016-09-12 (주)승화기술정책연구소 활용도 기반 건물 자산관리를 통한 우선순위 의사결정 지원방법
KR20160150381A (ko) 2015-06-22 2016-12-30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한 계측기기 정보수집 방법 및 시스템
WO2018147546A1 (ko) * 2017-02-10 2018-08-16 주식회사 이제이텍 모바일 앱을 이용한 인프라 구조물의 계측기 유지 및 안전 관리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6440B1 (ko) * 2015-11-03 2016-09-09 주식회사 한결아이플레이 놀이 시설물 관리 시스템
KR102539543B1 (ko) * 2022-09-27 2023-06-02 유세영 학교시설 하자관리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9230B1 (ko) * 2007-07-18 2009-09-28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상용통신망과 무선 단말기를 이용한 교량세굴 현장조사시스템 및 방법
KR20120087235A (ko) * 2010-12-04 2012-08-07 김경중 시설물에 부착된 정보기록 태그를 이용한 시설물 관리 시스템
KR101197088B1 (ko) 2012-05-15 2012-11-07 주식회사 지아이에스이십일 도로?보도블럭 위 qr코드형 지하 매설 관로 위치표시기를 통한 지하시설물 정보제공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81707A (ko) * 2014-12-31 2016-07-08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Nfc를 이용한 낙서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낙서관리 서비스 제공방법
KR20160150381A (ko) 2015-06-22 2016-12-30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한 계측기기 정보수집 방법 및 시스템
KR101656789B1 (ko) * 2016-04-29 2016-09-12 (주)승화기술정책연구소 활용도 기반 건물 자산관리를 통한 우선순위 의사결정 지원방법
WO2018147546A1 (ko) * 2017-02-10 2018-08-16 주식회사 이제이텍 모바일 앱을 이용한 인프라 구조물의 계측기 유지 및 안전 관리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80784B1 (ko) 2015-0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80784B1 (ko) 근거리무선통신〔nfc〕을 이용한 하천 시설물 유지관리 방법
US20180182179A1 (en) Comprehensive system and method for real-time monitoring and management of security patrolling operations
KR101265510B1 (ko) 위치기반 현장위험정보 제공 및 재난대처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CN106249707B (zh) 信息收集系统以及信息收集方法
KR20130043422A (ko) 모바일기기를 이용한 지도기반의 실시간 재난정보서비스 운용방법
KR101909212B1 (ko) 시설물 안전점검 시스템 및 방법
KR101869697B1 (ko) 사물인터넷을 이용한 발전소 관리시스템 및 방법
KR101874098B1 (ko)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신재생 에너지 설비의 진단관리방법 및 그 시스템
KR101685079B1 (ko) Rfid 기반의 소화전 관리시스템
CN103647791A (zh) 一种远程在线勘查取证的方法及系统
JP2018142178A (ja) 工事データ管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20150083480A (ko) 3차원 입체 영상을 활용한, 설비 통합 관리 시스템
JP5022917B2 (ja) 移動端末および端末機能制御プログラム
KR101335706B1 (ko) 시설물 점검 장치 및 방법
US10628976B2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storage medium
CN105069718B (zh) 基于移动物联网的智慧国土不动产自助监测方法和系统
Sany et al. IoT based vehicle accident detection & rescue information system
KR102098263B1 (ko) 웹기반 풍력발전 블레이드 관리 시스템
EP3975102A1 (en) Inspection data management system, management device, management method, and terminal device
KR20210090484A (ko) 촬영영상을 이용한 계량기 무인 원격 검침 시스템
JP6508323B2 (ja) 情報収集システム、情報収集端末装置、情報収集サーバ装置、及び情報収集方法
CN106339953B (zh) 基于物联网的建设工程现场检测管理系统及其方法
CN204833323U (zh) 一种基于广域互联网的设备维护工具平台
TWI559260B (zh) Patrol device,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KR20220007968A (ko) 현장 원격관리용 영상 데이터의 처리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