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43422A - 모바일기기를 이용한 지도기반의 실시간 재난정보서비스 운용방법 - Google Patents

모바일기기를 이용한 지도기반의 실시간 재난정보서비스 운용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43422A
KR20130043422A KR1020110107538A KR20110107538A KR20130043422A KR 20130043422 A KR20130043422 A KR 20130043422A KR 1020110107538 A KR1020110107538 A KR 1020110107538A KR 20110107538 A KR20110107538 A KR 20110107538A KR 20130043422 A KR20130043422 A KR 201300434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aster
mobile device
information
map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075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68535B1 (ko
Inventor
김창수
이중기
니코 레오나르도 다니엘
황현숙
Original Assignee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101075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68535B1/ko
Publication of KR201300434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434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85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85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10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calamitous events, e.g. tornados or earthquak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14Central alarm receiver or annunciator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1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at coastal zones; at river basins
    • Y02A10/40Controlling or monitoring, e.g. of flood or hurricane; Forecasting, e.g. risk assessment or mapp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바일기기를 이용한 지도기반의 실시간 재난정보서비스 운용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모바일기기에 수집모듈, 검색모듈, 알림모듈을 구비하는 애플리케이션을 내장하고 서버를 통해 지도기반의 세부적인 재난위치정보를 사용자 맞춤형으로 제공함으로써, 실시간적인 재난상황 습득과 대처 뿐만 아니라 지도 및 공간데이터베이스에 지속적인 자료축적 및 관리가 가능하도록 하여 향후 재난 빈번지역과 방재시스템 취약지역에 대한 분석과 이에 대한 대책수립이 용이하도록 하고, 지도기반의 검색 모듈을 구현함으로써 관공서 및 재난관련 인력이 스마트폰 등의 모바일기기를 이용하여 재난정보를 손쉽게 수집하고 관리할 수 있도록 하며, 서버가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사용자의 현재위치와 상황 및 사용자의 유형과 같은 사용자 정보를 수신받고 사용자의 정보와 서버시스템의 재난 정보를 연계하여 사용자로부터 전송된 관련정보를 고려한 재난위치정보를 사용자 맞춤식으로 제공함으로써 실질적으로 도움이 되는 재난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각 조사기관에 필요한 형태로 애플리케이션을 구성하여 영상과 위치의 연계관계가 형성된 정보를 지도기반으로 제공함으로써, 재난상황이 아닌 경우에도 기관의 관련인력이 지도기반의 재난이력정보를 통해 방재 취약지역 등에 대한 조사 및 연구가 가능하고 재난 발생 이전에 효율적인 대비체계를 마련할 수 있도록 하는 모바일기기를 이용한 지도기반의 실시간 재난정보서비스 운용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a) 모바일기기의 애플리케이션이 서버에 모든 유형의 재난위치정보를 요청하는 단계; (b) 상기 서버가 상기 모바일기기의 맵 상에 재난 유형별로 재난위치정보를 별개의 아이콘으로 표시하는 단계; (c) 상기 모바일기기의 콤보박스에서 상기 애플리케이션이 전체(All), 침수, 해일, 산사태, 풍해, 대설, 화재를 포함한 재난유형 중 어느 하나의 재난위치정보를 상기 서버에 요청하는 단계; 및 (d) 상기 서버가 상기 모바일기기의 맵 상에 상기 (c)단계에서 요청된 재난유형의 재난위치정보를 해당 아이콘으로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기기를 이용한 지도기반의 실시간 재난정보서비스 운용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모바일기기를 이용한 지도기반의 실시간 재난정보서비스 운용방법{Realtime disaster information service based on map using mobile device}
본 발명은 모바일기기를 이용한 지도기반의 실시간 재난정보서비스 운용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모바일기기에 수집모듈, 검색모듈, 알림모듈을 구비하는 애플리케이션을 내장하고 서버를 통해 지도기반의 세부적인 재난위치정보를 사용자 맞춤형으로 제공함으로써, 실시간적인 재난상황 습득과 대처 뿐만 아니라 지도 및 공간데이터베이스에 지속적인 자료축적 및 관리가 가능하도록 하여 향후 재난 빈번지역과 방재시스템 취약지역에 대한 분석과 이에 대한 대책수립이 용이하도록 하고, 지도기반의 검색 모듈을 구현함으로써 관공서 및 재난관련 인력이 스마트폰 등의 모바일기기를 이용하여 재난정보를 손쉽게 수집하고 관리할 수 있도록 하며, 서버가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사용자의 현재위치와 상황 및 사용자의 유형과 같은 사용자 정보를 수신받고 사용자의 정보와 서버시스템의 재난 정보를 연계하여 사용자로부터 전송된 관련정보를 고려한 재난위치정보를 사용자 맞춤식으로 제공함으로써 실질적으로 도움이 되는 재난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각 조사기관에 필요한 형태로 애플리케이션을 구성하여 영상과 위치의 연계관계가 형성된 정보를 지도기반으로 제공함으로써, 재난상황이 아닌 경우에도 기관의 관련인력이 지도기반의 재난이력정보를 통해 방재 취약지역 등에 대한 조사 및 연구가 가능하고 재난 발생 이전에 효율적인 대비체계를 마련할 수 있도록 하는 모바일기기를 이용한 지도기반의 실시간 재난정보서비스 운용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이상 기후 현상이 지구촌 곳곳에서 발생하고 있다. 인도네시아와 일본에서 발생한 쓰나미는 많은 인적 물적 피해를 야기하였으며, 이러한 대형 자연재해 이외에도 국지적으로 수많은 자연재해가 발생하고 있다.
국내에서도 장마철 집중호우와 태풍은 많은 인명과 재산을 앗아가고 있다. 이러한 집중호우와 태풍에 대하여 국가와 지방자치단체 및 각급 기관들이 다양한 대처방안을 마련하고 있으나, 갑작스럽게 쏟아지는 집중호우에 대하여 대응하기에는 역부족이며 날이 갈수록 집중적인 대형강수 사례가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를 위해 재난관제센터에서는 다양한 방법으로 재난정보를 수집하고 이를 축적하여 대책수립에 활용하고 있다. 또한, 재난관제센터에서는 재난상황이 예견되거나 발생하면 이동통신 가입자들에게 재난정보를 SMS 문자서비스를 이용하여 발송함으로써 재난발생이 예측되는 지역의 주민들이 미리 대비를 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일반적인 재난위험경보서비스는 대부분 재난상황의 전파에 초점을 두고 있기 때문에 사용자를 고려한 맞춤형 서비스가 이루어지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예컨대 대한민국 전역의 태풍경보나 주의보, 혹은 호우경보나 호우주의보 상황을 문자서비스로 알려주거나, 특정 시도 단위로 발효된 경보나 주의보 상황을 알려주는 데 그치고 있다. 이러한 경우, 예컨대 부산시 수영강이 침수될 위험이 있는 상황에서 광안동에 위치한 A호텔의 입장에서는 과거 수영강 주변의 침수자료와 어떠한 피해가 발생하였는지의 이력 및 어떤 대비책을 수립함으로써 재난에 대한 피해를 최소화하였는지에 대한 정보는 획득하기 어려운 한계가 있다.
또한, 일반적인 재난위험경보서비스는 문자서비스 형태로만 재난상황을 알려주기 때문에 사용자의 현재위치 및 상황 그리고 사용자의 유형에 따른 맞춤형 정보를 획득할 수 없으며, 지도 기반의 서비스가 제공되지 않기 때문에 현재 사용자가 위치하고 있는 특정 위치에서의 구체적인 재난정보를 얻기 어려운 한계가 있다. 특히, 이동중인 사용자의 경우 본인이 이동하고자 하는 위치의 현재 및 향후의 재난상황에 대해 예측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일반적인 재난위험경보서비스는 기상청 및 각 지역에 분산되어 있는 통신원들이 현재의 재난상황을 관제센터에 알리고, 관제센터는 이를 수집하여 각 사용자의 휴대폰을 통해 상황을 전파하는 방식이므로, 사용자의 입장에서는 특정 위치의 현장이 어떤 상황인지 사진 또는 동영상의 형태로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더욱이, 일반적인 재난위험경보서비스에 의하면 지도 기반으로 사용자가 용이하게 위치를 검색하고, 재난발생 시간별, 지역별, 재난유형별, 위험도별로 재난상황을 구체적으로 검색할 수 없는 불편함이 있다.
뿐만 아니라, 재난관제센터를 비롯한 관공서에서는 재난자료를 데이터베이스화하고 이를 이용하여 재난상황이 아닌 경우에도 재난이력정보를 통해 재난 빈번지역, 방재 취약지역 등에 대한 조사 및 연구가 필요하고 재난발생이전에 효율적인 대비체계를 마련하여야 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일반적인 시스템에 의하면 수집되는 재난자료의 포맷이 천차만별이어서 이를 일률적으로 일목요연하게 데이터베이스화하기 어렵고, 국가하천조사기관, 국가도시개발기관 등 각 조사기관에 필요한 형태로 제공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특히 실시간적인 재난상황 습득과 대처 뿐만 아니라 지도 및 공간데이터베이스에 지속적인 자료축적 및 관리가 가능하도록 하여 향후 재난 빈번지역과 방재시스템 취약지역에 대한 분석과 이에 대한 대책수립이 용이하도록 하고, 관공서 및 재난관련 인력이 스마트폰 등의 모바일기기를 이용하여 재난정보를 손쉽게 수집하고 관리할 수 있도록 하며, 사용자에게 실질적으로 도움이 되는 재난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재난상황이 아닌 경우에도 기관의 관련인력이 지도기반의 재난이력정보를 통해 방재 취약지역 등에 대한 조사 및 연구가 가능하고 재난 발생 이전에 효율적인 대비체계를 마련할 수 있도록 하는 모바일기기를 이용한 지도기반의 실시간 재난정보서비스 운용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모바일기기를 이용한 지도기반의 실시간 재난정보서비스 운용방법은 (a) 모바일기기의 애플리케이션이 서버에 모든 유형의 재난위치정보를 요청하는 단계; (b) 상기 서버가 상기 모바일기기의 맵 상에 재난 유형별로 재난위치정보를 별개의 아이콘으로 표시하는 단계; (c) 상기 모바일기기의 콤보박스에서 상기 애플리케이션이 전체(All), 침수, 해일, 산사태, 풍해, 대설, 화재를 포함한 재난유형 중 어느 하나의 재난위치정보를 상기 서버에 요청하는 단계; 및 (d) 상기 서버가 상기 모바일기기의 맵 상에 상기 (c)단계에서 요청된 재난유형의 재난위치정보를 해당 아이콘으로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실시간 재난정보서비스 운용방법은 상기 아이콘으로 표시된 재난위치정보를 선택함으로써 상기 애플리케이션이 상기 서버에 세부 재난정보를 요청하는 단계; 상기 서버가 상기 모바일기기에 재난발생장소, 재난유형, 재난현장사진, 재난현장 동영상, 재난발생날짜 및 시각, 재난내용, 사용자 정보를 포함한 세부 재난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간 재난정보서비스 운용방법은 상기 모바일기기의 애플리케이션에 지명키워드가 입력되면 해당되는 지명으로 맵 포커스가 이동하고, 이동한 맵 상에 재난위치정보가 해당 아이콘으로 표시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간 재난정보서비스 운용방법은 상기 모바일기기의 애플리케이션에 위치와 재난유형이 선택되면 사진촬영 모듈 또는 동영상촬영 모듈이 사진 또는 동영상을 촬영하여 업로드하고 상기 서버로 전송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간 재난정보서비스 운용방법은 재난내용 설명모듈이 상기 사진 또는 동영상을 설명하는 재난내용을 추가로 업로드하고 상기 서버로 전송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모바일기기를 이용한 지도기반의 실시간 재난정보서비스 운용방법은 (a) 모바일기기의 GPS 모듈이 GPS 데이터를 수신하여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b) 상기 서버가 상기 GPS 데이터를 통해 상기 모바일기기의 위치를 검색하는 단계; 및 (c) 상기 서버가 검색한 위치에 해당하는 재난위치정보를 상기 모바일기기의 맵 상에 아이콘으로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실시간 재난정보서비스 운용방법은 상기 아이콘으로 표시된 재난위치정보를 선택함으로써 상기 애플리케이션이 상기 서버에 세부 재난정보를 요청하는 단계; 상기 서버가 상기 모바일기기에 재난발생장소, 재난유형, 재난현장사진, 재난현장 동영상, 재난발생날짜 및 시각, 재난내용, 사용자 정보를 포함한 세부 재난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른 모바일기기를 이용한 지도기반의 실시간 재난정보서비스 운용방법은 (a) 모바일기기의 애플리케이션이 재난지역과 재난유형을 선택하고 상기 재난유형에 대하여 검색하고자 하는 기간을 설정하는 단계; (b) 상기 애플리케이션이 상기 재난지역과 재난유형 및 검색기간을 포함한 검색조건을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c) 상기 서버가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여 상기 검색조건에 부합하는 재난리스트를 도출하는 단계; 및 (d) 상기 서버가 상기 재난리스트를 상기 모바일기기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실시간 재난정보서비스 운용방법은 상기 모바일기기의 애플리케이션이 상기 재난리스트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면 상기 모바일기기의 맵 상에 해당 재난위치정보를 아이콘으로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간 재난정보서비스 운용방법은 상기 아이콘으로 표시된 재난위치정보를 선택함으로써 상기 애플리케이션이 상기 서버에 세부 재난정보를 요청하는 단계; 상기 서버가 상기 모바일기기에 재난발생장소, 재난유형, 재난현장사진, 재난현장 동영상, 재난발생날짜 및 시각, 재난내용, 사용자 정보를 포함한 세부 재난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간 재난정보서비스 운용방법은 상기 모바일기기의 애플리케이션에 위치와 재난유형이 선택되면 사진촬영 모듈 또는 동영상촬영 모듈이 사진 또는 동영상을 촬영하여 업로드하고 상기 서버로 전송되며, 재난내용 설명모듈이 상기 사진 또는 동영상을 설명하는 재난내용을 업로드하고 상기 서버로 전송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현재 재난정보와 과거 재난정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모바일기기에 수집모듈, 검색모듈, 알림모듈을 구비하는 애플리케이션을 내장하고 서버를 통해 지도기반의 세부적인 재난위치정보를 사용자 맞춤형으로 제공함으로써, 실시간적인 재난상황 습득과 대처 뿐만 아니라 지도 및 공간데이터베이스에 지속적인 자료축적 및 관리가 가능하도록 하여 향후 재난 빈번지역과 방재시스템 취약지역에 대한 분석과 이에 대한 대책수립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지도기반의 검색 모듈을 구현함으로써 관공서 및 재난관련 인력이 스마트폰 등의 모바일기기를 이용하여 재난정보를 손쉽게 수집하고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서버가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사용자의 현재위치와 상황 및 사용자의 유형과 같은 사용자 정보를 수신받고 사용자의 정보와 서버시스템의 재난 정보를 연계하여 사용자로부터 전송된 관련정보를 고려한 재난위치정보를 사용자 맞춤식으로 제공함으로써, 실질적이고 효과적인 재난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재난상황을 포함하여 각 조사기관에 필요한 형태로 애플리케이션을 구성하여 영상과 위치의 연계관계가 형성된 정보를 지도 기반으로 제공함으로써, 재난상황이 아닌 경우에도 기관의 관련인력이 지도기반의 재난이력정보를 통해 방재 취약지역 등에 대한 조사 및 연구가 가능하고 재난 발생 이전에 효율적인 대비체계를 마련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기기를 이용한 지도기반의 실시간 재난정보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기기를 이용한 지도기반의 실시간 재난정보서비스 운용방법의 흐름도,
도 3 내지 도 20은 스마트폰 상에 구현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기기를 이용한 지도기반의 실시간 재난정보서비스의 각 단계에 해당하는 화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기기를 이용한 지도기반의 실시간 재난정보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기기를 이용한 지도기반의 실시간 재난정보시스템은, 도 1을 참조하면, 애플리케이션(100)과 서버(200) 및 데이터베이스(3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애플리케이션(100)은 다양한 사용자가 재난정보시스템에 접속하여 재난정보를 업로드 및 다운로드하기 위한 부분이다. 애플리케이션(100)에 접근하는 사용자로는 소방방재청과 같은 재난관련 기관의 시스템 관리자, 일반인, 정부 관계자를 비롯하여 모바일기기의 엔드유저(end user) 모두가 포함될 수 있다. 모바일기기로는 태블릿 PC,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노트북, 셀룰러폰, PCS(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폰, 핸드 헬드 PC(Hand-Held PC), GSM(Global System for Mobile)폰, W-CDMA(Wideband CDMA)폰, CDMA-2000폰 및 스마트폰 등이 가능하며, 재난정보시스템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받아서 사용하거나 내장된 애플리케이션을 구동시켜 사용할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100)은 모바일기기에 내장된 프로그램으로, 일반인들이 스마트폰을 비롯한 모바일기기를 이용하여 재난정보를 수집하고, 지도 기반으로 재난정보를 검색하며, 재난상황을 실시간으로 알리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애플리케이션(100)은 서버(200)에 재난위치정보를 요청하고, 수집된 실시간 현장 재난정보를 서버(200)에 전송하며, 서버(200)에서 전송된 재난위치정보를 전송받아 사용자에게 표시한다.
애플리케이션(100)은 수집 모듈(collection module)(110), 검색 모듈(search module)(120), 알림 모듈(notification module)(130)을 구비한다.
수집 모듈(110)은 일반인이나 재난 전문가 또는 재난관련 기관의 인력이 모바일기기를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재난상황의 현장정보를 수집하여 데이터베이스(300)에 축적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재난관련 기관으로부터 재난 이력 정보가 수집되고 일반인이나 재난 전문가로부터 현장 재난정보가 수집되어 데이터베이스(300)에 축적된다. 그리고, 재난정보를 전송할 수 있는 모바일기기를 사용하는 시스템 관리자로부터도 재난관련 정보들이 수집되어 데이터베이스(300)에 축적된다.
수집 모듈(110)은 재난 발생장소, 재난유형, 재난현장사진, 재난현장 동영상, 재난발생날짜 및 시각, 재난내용, 사용자 정보를 포함한 세부 재난정보를 신속하게 서버(200)에 전송할 수 있도록 한다.
수집 모듈(110)은 재난현장사진과 동영상을 촬영하여 전송하기 위한 사진촬영모듈 또는 동영상촬영 모듈을 구비하며, 재난현장사진과 동영상을 설명하기 위한 재난내용 설명모듈을 구비한다. 이때, 재난 발생장소, 재난유형 등은 메뉴를 통해 선택하거나 키워드 입력을 이용하거나 맵 상을 직접 검색하고 터치함으로써 입력할 수 있다. 키워드 입력을 이용할 경우 모바일기기의 애플리케이션 창에 지명 키워드가 입력되면 해당되는 지명으로 맵 포커스가 이동하고, 이동한 맵 상에 재난위치정보가 해당 아이콘으로 표시되며, 정확한 위치가 확인되면 터치함으로써 정확한 위치가 입력되는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사진촬영모듈 또는 동영상촬영 모듈은 모바일기기의 애플리케이션에 위치와 재난유형이 선택되면 재난현장의 사진 또는 동영상을 촬영하여 업로드하고 서버(200)로 전송한다. 또한, 재난내용 설명모듈은 재난현장의 사진 또는 동영상을 설명하는 재난내용을 추가로 업로드하고 서버(200)로 전송한다.
검색 모듈(120)은 서버(200)에 재난위치정보를 요청하여 모바일기기에 지도 기반으로 재난위치정보를 검색할 수 있도록 한다. 예컨대, 맵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를 이용하여 재난 정보와 구글맵의 통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맵은 재난 위치, 시각, 재난 사진, 동영상과 같은 정보를 보여주는 메인 인터페이스로 작용한다. 사용자가 스크린 상의 특정 재난 마크를 터치하면 사진, 날짜, 시간과 같은 보다 세부적인 재난정보가 나타난다.
검색 모듈(120)이 서버(200)에 모든 유형의 재난위치정보를 요청하면, 서버(200)가 모바일기기의 맵 상에 재난 유형별로 재난위치정보를 별개의 아이콘으로 표시하게 된다. 검색 모듈(120)이 콤보박스에서 전체(All), 침수, 해일, 산사태, 풍해, 대설, 화재를 포함한 재난유형 중 어느 하나의 재난위치정보를 서버(200)에 요청하면, 서버(200)가 요청된 재난유형의 재난위치정보를 모바일기기의 맵 상에 해당 아이콘으로 표시하게 된다. 이때, 해당 아이콘으로 표시된 재난위치정보를 선택하면 검색 모듈(120)이 서버(200)에 세부 재난정보를 요청하고, 서버(200)가 모바일기기에 재난발생장소, 재난유형, 재난현장사진, 재난현장 동영상, 재난발생날짜 및 시각, 재난내용, 사용자 정보를 포함한 세부 재난정보를 표시하게 된다.
애플리케이션(100)은 GPS를 이용하여 모바일기기와 사용자의 위치를 파악하고, 사용자의 위치 주변에서 발생한 재난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즉, 모바일기기의 GPS 모듈이 GPS 데이터를 수신하여 서버(200)에 전송하면, 서버(200)가 GPS 데이터를 통해 모바일기기의 위치를 검색한 후, 서버(200)가 검색한 위치에 해당하는 재난위치정보를 모바일기기의 맵 상에 아이콘으로 표시하게 된다. 마찬가지로, 아이콘으로 표시된 재난위치정보를 선택함으로써 애플리케이션(100)이 서버(200)에 세부 재난정보를 요청하면, 서버(200)가 모바일기기에 재난발생장소, 재난유형, 재난현장사진, 재난현장 동영상, 재난발생날짜 및 시각, 재난내용, 사용자 정보를 포함한 세부 재난정보를 표시하는 방식으로 운용될 수 있다.
알림 모듈(130)은 사용자로부터 수집된 재난위치정보를 시스템 관리자가 체크하여 알림 정보를 모바일기기의 사용자들에게 전송하도록 하는 프로그램이다. 예컨대 특정 지역에서 홍수가 발생한 경우, 홍수발생지역의 근방 5km 내에 거주하는 사용자들의 모바일기기로 이러한 재난위치정보를 알려주게 된다. 알림 모듈(130)에 의해 모바일기기의 엔드유저에게 제공되는 재난위치정보 또한 재난현장 사진과 재난현장 동영상을 포함한 세부 재난정보를 포함한다.
검색 모듈(120)이 재난지역과 재난유형을 선택하고 재난유형에 대하여 검색하고자 하는 기간을 설정하면, 재난지역과 재난유형 및 검색기간을 포함한 검색조건이 서버(200)로 전송된다. 서버(200)는 데이터베이스(300)를 검색하여 검색조건에 부합하는 재난리스트를 도출하여 모바일기기로 전송한다.
전송된 재난리스트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면 모바일기기의 맵 상에 해당 재난위치정보가 아이콘으로 표시된다. 아이콘으로 표시된 재난위치정보를 선택하면 애플리케이션이 서버에 세부 재난정보를 요청하고, 서버가 모바일기기에 재난발생장소, 재난유형, 재난현장사진, 재난현장 동영상, 재난발생날짜 및 시각, 재난내용 및 사용자 정보를 포함한 세부 재난정보를 표시하게 된다.
이와 같이, 검색 모듈(120)은 재난지역과 재난유형 및 재난발생기간 등을 기준으로 하여 과거 재난정보와 현재 재난정보를 포함한 재난이력정보를 검색하여 지도기반으로 보여줄 수 있다. 이를 통해 기관의 관련인력은 재난상황이 아닌 경우에도 지도기반의 재난이력정보를 통해 방재 취약지역 등에 대한 조사 및 연구가 가능하고 재난발생 이전에 효율적인 대비체계를 마련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일반 사용자는 재난위치와 사용자의 위치를 고려하여 지도기반으로 위험범위, 대피소 안내 등을 통해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방향의 서비스 제공이 이루어질 수 있다.
서버(200)는 애플리케이션(100)을 통해 사용자의 현재위치 및 상황, 사용자의 유형 등에 대한 정보를 수신받고, 위치정보를 통해 지도기반의 서비스를 제공한다. 재난발생에 대한 정보가 수신되면 위치 및 상세정보가 서버시스템 내에 저장되고, 웹서비스를 통해 지도기반의 재난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서버(200)는 애플리케이션(100)에 서비스 제공시에 엔드유저로부터 전송되어 데이터베이스(300)에 저장되어 있는 사용자 정보를 고려하여 재난발생위치를 포함한 상세정보를 애플리케이션에 제공한다. 예컨대, 부산시 수영강이 침수될 위험이 있는 상황에서 광안동에 위치한 A호텔 경영자에게 과거 수영강 주변의 침수자료와 어떠한 피해가 발생하였는지의 이력 및 어떤 대비책을 수립함으로써 재난에 대한 피해를 최소화하였는지에 대한 맞춤형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웹서비스의 제공 이전에 엔드유저의 정보와 서버시스템의 재난정보를 유연하게 연계하여 정보 분류 및 분석을 통한 최적의 정보도출이 가능하도록 하는 에이전트 시스템을 필요로 한다.
이때, 서버(200)는 일례로 웹 서버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기기를 이용한 지도기반의 실시간 재난정보서비스 운용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3 내지 도 20은 스마트폰 상에 구현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기기를 이용한 지도기반의 실시간 재난정보서비스의 각 단계에 해당하는 화면이다.
S10 단계는 모바일기기의 재난정보시스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킨 후 아이디와 패스워드를 입력함으로써 로그인하는 단계이다. 사용자가 관리자의 아이디로 입력할 경우, 맵 기반의 전체 재난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웹서버는 데이터베이스 테이블과 맵 API(예컨대, 구글맵 API)와 연계하여 지도기반의 맵과 재난위치정보 아이콘을 모바일기기에 제공한다. 사용자는 맵 상의 아이콘 형태를 보고 재난정보의 분포를 확인할 수 있다.
웹서버는 키워드 서비스(S20)와 위치 서비스(S30)를 제공한다. 사용자가 재난 날짜, 재난 유형 등의 키워드를 애플리케이션으로 입력(S22)하면 사용자는 웹서버의 입력값 필터링과 재난정보 분석(S50)을 통해 재난정보를 지도 기반으로 확인(S60)할 수 있다.
위치 서비스(S30)는 GPS 데이터를 필요로 한다. 사용자가 GPS 수신을 수용(S32)하면 애플리케이션은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탐색(S34)하고 사용자는 영역값을 입력(S36)하게 된다. 영역값이란 사용자의 위치를 중심으로 확인하고 싶은 영역의 반경값을 의미한다. 그에 따라 사용자가 입력한 영역값 내에 있는 재난 정보를 필터링하고 재난정보를 분석(S50)하여 지도 기반의 검색결과(S60)를 제공한다.
또한, 웹서버는 알림 서비스(S40)를 제공한다. 서버가 주요한 재난정보를 전송받으면 정보의 신뢰도를 분석한다. 수신된 재난정보의 신뢰도가 확인되면 서버는 사용자의 모바일기기에 내장된 애플리케이션으로 재난알림정보를 제공(S70)한다. 그리고, 웹서버는 SNS API를 사용하는 트위터와 같은 소셜 네트워크 시스템으로 재난정보를 제공(S70)한다.
본 발명에서는 정보의 송신 방식을 REST(Representational state transfer) 기반으로 하였기 때문에 다른 시스템과의 연계 측면에서 유연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REST 방식은 확장성 생성언어(XML) 파일로 된 웹 페이지를 읽어 원하는 정보를 수집하는 기능이다. 웹 페이지를 만드는 사람은 주기적으로 내용을 개정하고, 사용자는 그 페이지의 URL만 알면 웹 브라우저로 읽어 정보를 얻을 수 있다. 하이퍼텍스트 전송규약(HTTP)과 XML을 포함한 웹 기술 및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구조적 형태로서, 단순객체접근 프로토콜(SOAP)보다 사용이 간편하고 사이트 내용을 기술하는 RSS(RDF Site Summary)의 정보 편집기능과 유사한 측면을 갖는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기 전의 초기화면이다. 도 3에서 재난정보시스템 아이콘을 선택하면 도 4와 같이 프로그램이 로딩된다.
재난정보시스템 프로그램이 로딩되면 도 5와 같이 프로그램의 실행을 위한 로그인 화면이 나타나고, 도 6과 같이 사용자의 아이디와 패스워드를 입력하면 도 7과 같이 사용자 확인을 위한 로딩화면이 표시되면서 서버와의 접속이 이루어진다(도 2의 S10 단계).
로그인이 완료되면 서버시스템으로부터 수집된 재난정보가 재난유형별로 구분된 아이콘에 의해 지도 기반으로 제공된다(도 8 참조). 도 8의 경우, 재난유형을 전체(All)로 하여 검색된 결과를 도시한 것이다. 검색하고자 하는 재난유형을 선택하기 위해서는 도 9와 같이 화면 좌측상단의 콤보박스에서 특정 재난유형을 선택하는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일례로, 도 10에는 재난유형 중에서 해일정보만 선택적으로 검색된 결과를 지도기반으로 제공하는 화면이 도시되어 있다.
재난위치정보의 검색은 지명 키워드 입력을 통해서도 가능하다. 도 11과 같이 화면 중앙 상단의 검색창에 지명 키워드인 "수영만"을 입력함으로써 지도의 포커스가 이동되어 검색된다. 그 결과, 특정 위치에 풍해 관련 재난위치정보가 아이콘으로 표시된다.
표시된 아이콘을 선택하면 도 12와 같이 상세한 재난정보가 제공된다. 도 12에는 태풍에 의한 풍해 재난정보가 제공되고 있으며, 사용자 아이디, 재난내용, 재난유형, 검색일자, 재난현장 사진 및 동영상을 포함한 세부 재난정보가 제공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도 13과 같이 화면 중앙 상단의 검색창에 지명 키워드인 "만덕동"을 입력하면 지도의 포커스가 이동되어 검색되며, 그 결과 특정 위치에 대설 관련 재난위치정보가 아이콘으로 표시된다.
표시된 아이콘 중 하나를 선택하면 도 14와 같이 상세한 재난정보가 제공된다. 도 14에는 대설에 의한 재난정보가 제공되고 있으며, 도 12와 마찬가지로 사용자 아이디, 재난내용, 재난유형, 검색일자, 재난현장 사진 및 동영상을 포함한 세부 재난정보가 제공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도 15에는 실외에서의 재난정보 수집기능을 보여주는 화면이 도시되어 있다. 예컨대, 연안교 부근에서의 현장정보를 수집하면서 위치를 검색하고, 재난유형을 선택한 후, 사진이나 동영상을 직접 촬영하고 재난내용을 타이핑하여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도 16에는 실내에서의 재난정보 수집기능을 보여주는 화면이 도시되어 있다. 이는 실내에서도 재난정보 수집이 가능함을 의미한다.
도 17 내지 도 20에는 재난지역과 재난유형을 선택하고, 선택된 재난유형에 대하여 검색하고자 하는 기간을 설정하면 이러한 검색조건이 서버에 전송되고 서버가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여 검색조건에 부합하는 재난리스트를 도출하여 모바일기기로 전송하는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7과 같이 2011년 2월 15일의 부산지역 대설피해를 검색하면 도 18과 같이 검색조건에 부합하는 리스트가 검색된다. 이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면 도 19와 같이 지도 기반의 재난위치정보가 아이콘으로 표시된다. 이러한 아이콘을 선택하면 도 20과 같이 사용자 아이디, 재난내용, 재난유형, 검색일자, 재난현장 사진 및 동영상을 포함한 세부 재난정보가 제공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애플리케이션 110 - 수집 모듈
120 - 검색 모듈 130 - 알림 모듈
200 - 서버 300 - 데이터베이스

Claims (12)

  1. (a) 모바일기기의 애플리케이션이 서버에 모든 유형의 재난위치정보를 요청하는 단계;
    (b) 상기 서버가 상기 모바일기기의 맵 상에 재난 유형별로 재난위치정보를 별개의 아이콘으로 표시하는 단계;
    (c) 상기 모바일기기의 콤보박스에서 상기 애플리케이션이 전체(All), 침수, 해일, 산사태, 풍해, 대설, 화재를 포함한 재난유형 중 어느 하나의 재난위치정보를 상기 서버에 요청하는 단계; 및
    (d) 상기 서버가 상기 모바일기기의 맵 상에 상기 (c)단계에서 요청된 재난유형의 재난위치정보를 해당 아이콘으로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기기를 이용한 지도기반의 실시간 재난정보서비스 운용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이콘으로 표시된 재난위치정보를 선택함으로써 상기 애플리케이션이 상기 서버에 세부 재난정보를 요청하는 단계;
    상기 서버가 상기 모바일기기에 재난발생장소, 재난유형, 재난현장사진, 재난현장 동영상, 재난발생날짜 및 시각, 재난내용, 사용자 정보를 포함한 세부 재난정보를 표시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기기를 이용한 지도기반의 실시간 재난정보서비스 운용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기기의 애플리케이션에 지명키워드가 입력되면 해당되는 지명으로 맵 포커스가 이동하고, 이동한 맵 상에 재난위치정보가 해당 아이콘으로 표시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기기를 이용한 지도기반의 실시간 재난정보서비스 운용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기기의 애플리케이션에 위치와 재난유형이 선택되면 사진촬영 모듈 또는 동영상촬영 모듈이 사진 또는 동영상을 촬영하여 업로드하고 상기 서버로 전송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기기를 이용한 지도기반의 실시간 재난정보서비스 운용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재난내용 설명모듈이 상기 사진 또는 동영상을 설명하는 재난내용을 추가로 업로드하고 상기 서버로 전송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기기를 이용한 지도기반의 실시간 재난정보서비스 운용방법.
  6. (a) 모바일기기의 GPS 모듈이 GPS 데이터를 수신하여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b) 상기 서버가 상기 GPS 데이터를 통해 상기 모바일기기의 위치를 검색하는 단계; 및
    (c) 상기 서버가 검색한 위치에 해당하는 재난위치정보를 상기 모바일기기의 맵 상에 아이콘으로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기기를 이용한 지도기반의 실시간 재난정보서비스 운용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아이콘으로 표시된 재난위치정보를 선택함으로써 상기 애플리케이션이 상기 서버에 세부 재난정보를 요청하는 단계;
    상기 서버가 상기 모바일기기에 재난발생장소, 재난유형, 재난현장사진, 재난현장 동영상, 재난발생날짜 및 시각, 재난내용, 사용자 정보를 포함한 세부 재난정보를 표시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기기를 이용한 지도기반의 실시간 재난정보서비스 운용방법.
  8. (a) 모바일기기의 애플리케이션이 재난지역과 재난유형을 선택하고 상기 재난유형에 대하여 검색하고자 하는 기간을 설정하는 단계;
    (b) 상기 애플리케이션이 상기 재난지역과 재난유형 및 검색기간을 포함한 검색조건을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c) 상기 서버가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여 상기 검색조건에 부합하는 재난리스트를 도출하는 단계; 및
    (d) 상기 서버가 상기 재난리스트를 상기 모바일기기에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기기를 이용한 지도기반의 실시간 재난정보서비스 운용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기기의 애플리케이션이 상기 재난리스트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면 상기 모바일기기의 맵 상에 해당 재난위치정보를 아이콘으로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기기를 이용한 지도기반의 실시간 재난정보서비스 운용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아이콘으로 표시된 재난위치정보를 선택함으로써 상기 애플리케이션이 상기 서버에 세부 재난정보를 요청하는 단계;
    상기 서버가 상기 모바일기기에 재난발생장소, 재난유형, 재난현장사진, 재난현장 동영상, 재난발생날짜 및 시각, 재난내용, 사용자 정보를 포함한 세부 재난정보를 표시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기기를 이용한 지도기반의 실시간 재난정보서비스 운용방법.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기기의 애플리케이션에 위치와 재난유형이 선택되면 사진촬영 모듈 또는 동영상촬영 모듈이 사진 또는 동영상을 촬영하여 업로드하고 상기 서버로 전송되며, 재난내용 설명모듈이 상기 사진 또는 동영상을 설명하는 재난내용을 업로드하고 상기 서버로 전송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기기를 이용한 지도기반의 실시간 재난정보서비스 운용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현재 재난정보와 과거 재난정보를 모두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기기를 이용한 지도기반의 실시간 재난정보서비스 운용방법.
KR1020110107538A 2011-10-20 2011-10-20 모바일기기를 이용한 지도기반의 실시간 재난정보서비스 운용방법 KR1013685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7538A KR101368535B1 (ko) 2011-10-20 2011-10-20 모바일기기를 이용한 지도기반의 실시간 재난정보서비스 운용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7538A KR101368535B1 (ko) 2011-10-20 2011-10-20 모바일기기를 이용한 지도기반의 실시간 재난정보서비스 운용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3422A true KR20130043422A (ko) 2013-04-30
KR101368535B1 KR101368535B1 (ko) 2014-03-06

Family

ID=484416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07538A KR101368535B1 (ko) 2011-10-20 2011-10-20 모바일기기를 이용한 지도기반의 실시간 재난정보서비스 운용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68535B1 (ko)

Cited By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05277A1 (ko) * 2014-01-07 2015-07-16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기상에 따른 알람정보 변경 장치 및 방법
KR20150085757A (ko) * 2014-01-16 2015-07-24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재난 정보 생성 시스템, 재난 정보 생성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20150109116A (ko) * 2014-03-19 2015-10-01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스마트폰을 기반으로 하는 재난 경보 시스템 및 방법
WO2016002997A1 (ko) * 2014-07-01 2016-01-07 김경주 이동통신단말기와 연동된 화재 대피 장치
WO2016114601A1 (ko) * 2015-01-16 2016-07-21 주식회사 이야미디어 위치정보 수집이 필요 없는 재난알림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위한 재난알림 서버, 애플리케이션 시스템
KR20160099931A (ko) 2015-02-13 2016-08-23 대한민국(국민안전처 국립재난안전연구원장) 재난 위험 및 관심 지역에 대한 재난 예방 및 관리방법
KR20160133198A (ko) 2015-05-12 2016-11-22 대한민국(국민안전처 국립재난안전연구원장) 키워드 관련도 기반의 재난 이슈별 재난 탐지 기술 및 이를 이용한 재난대처 방법
KR20170022607A (ko) 2015-08-21 2017-03-02 대한민국(국민안전처 국립재난안전연구원장) 재난 안전 통합관리 시스템에 의한 관심지역 분석방법
KR20170022694A (ko) 2015-08-21 2017-03-02 주식회사 제이비티 재난안전 통합 상황관리를 위한 관심지역 분석방법
KR20170022608A (ko) 2015-08-21 2017-03-02 대한민국(국민안전처 국립재난안전연구원장) 재난안전 통합 상황관리를 위한 위치기반 실시간 시나리오 설정방법
KR20190065661A (ko) * 2017-12-04 2019-06-12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Sns 데이터를 이용하여 검색어에 따른 결과를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과, 이를 수행하기 위한 기록 매체
KR20200099847A (ko) * 2019-02-15 2020-08-25 베이소프트매트릭스 주식회사 관리 데이터 출력 방법
KR20200103180A (ko) 2019-02-13 2020-09-02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Sar 기반 빅데이터를 활용한 재난재해 분류 및 분석 방법 및 그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이 가능한 기록매체
KR20210010099A (ko) 2019-07-19 2021-01-27 한전산업개발 주식회사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관공서의 공익정보 문자 및 음성 안내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WO2021187638A1 (ko) * 2020-03-17 2021-09-23 케이아이티밸리(주) 맞춤형 재난정보 제공시스템 및 방법
KR102315762B1 (ko) 2021-04-14 2021-10-21 대한민국 재난 피해이력자료를 공간 정보화하기 위한 방법
KR102350252B1 (ko) 2021-04-14 2022-01-12 대한민국 맵 라이브러리 데이터셋 구축 및 활용방법
KR102350247B1 (ko) 2021-04-14 2022-01-12 대한민국 재난 피해이력 시계열 시각화 방법
KR102350254B1 (ko) 2021-04-14 2022-01-12 대한민국 격자기반 데이터를 활용한 시공간적 변화 패턴 도시방법
KR102350248B1 (ko) 2021-04-14 2022-01-12 대한민국 재난정보의 구축, 관리, 활용을 위한 격자 기반 데이터 변환방법
KR102375617B1 (ko) * 2020-10-13 2022-03-23 주식회사 케이탑솔루션 IoT를 활용한 지능형 재난안전통합 제어방법 및 시스템
KR20220142320A (ko) 2021-04-14 2022-10-21 대한민국(행정안전부 국립재난안전연구원장) 재난대응 업무기반 맵 라이브러리 구축방법
KR102470201B1 (ko) * 2021-12-14 2022-11-25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빌딩풍 위험도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2617070B1 (ko) * 2023-01-25 2023-12-27 (주)멀틱스 재난 약자를 위한 실시간 재난정보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678965A (zh) * 2016-01-28 2016-06-15 成都万江港利科技股份有限公司 基于雨量雷达的山洪预测装置
KR101851098B1 (ko) 2017-01-13 2018-04-20 이도훈 모바일과 트랜스폰더를 이용한 재난 정보 제공 시스템 및 그 구동 방법
KR20200076238A (ko) 2018-12-19 2020-06-29 (주)엔유비즈 커뮤니티 기반의 주민참여형 지역문제 발굴 및 공유시스템
KR102404813B1 (ko) 2020-12-24 2022-05-31 창원대학교 산학협력단 재난 방송 시스템과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컴퓨팅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84397A (ja) * 1999-12-24 2001-07-06 Ntt Data Corp 情報整理システム及び方法
KR100993905B1 (ko) * 2008-09-10 2010-11-11 주식회사 아이원맥스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방재 시스템
KR101017273B1 (ko) * 2009-04-09 2011-02-28 대한민국 재난관리용 서버와 이를 이용한 재난관리 시스템 및 이를 위한 재난관리방법
KR20100133573A (ko) * 2009-06-12 2010-12-22 삼성전자주식회사 방송망 기반의 재난 정보 운용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휴대 단말기

Cited By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05277A1 (ko) * 2014-01-07 2015-07-16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기상에 따른 알람정보 변경 장치 및 방법
US10296838B2 (en) 2014-01-07 2019-05-21 Sk Techx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changing alarm information in accordance with weather
KR20150085757A (ko) * 2014-01-16 2015-07-24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재난 정보 생성 시스템, 재난 정보 생성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20150109116A (ko) * 2014-03-19 2015-10-01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스마트폰을 기반으로 하는 재난 경보 시스템 및 방법
WO2016002997A1 (ko) * 2014-07-01 2016-01-07 김경주 이동통신단말기와 연동된 화재 대피 장치
WO2016114601A1 (ko) * 2015-01-16 2016-07-21 주식회사 이야미디어 위치정보 수집이 필요 없는 재난알림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위한 재난알림 서버, 애플리케이션 시스템
US10186133B2 (en) 2015-01-16 2019-01-22 Eeya Media Inc. Method for disaster notification service not requiring collecting of location information, and disaster notification server and application system thereof
KR20160099931A (ko) 2015-02-13 2016-08-23 대한민국(국민안전처 국립재난안전연구원장) 재난 위험 및 관심 지역에 대한 재난 예방 및 관리방법
KR20160133198A (ko) 2015-05-12 2016-11-22 대한민국(국민안전처 국립재난안전연구원장) 키워드 관련도 기반의 재난 이슈별 재난 탐지 기술 및 이를 이용한 재난대처 방법
KR20170022607A (ko) 2015-08-21 2017-03-02 대한민국(국민안전처 국립재난안전연구원장) 재난 안전 통합관리 시스템에 의한 관심지역 분석방법
KR20170022694A (ko) 2015-08-21 2017-03-02 주식회사 제이비티 재난안전 통합 상황관리를 위한 관심지역 분석방법
KR20170022608A (ko) 2015-08-21 2017-03-02 대한민국(국민안전처 국립재난안전연구원장) 재난안전 통합 상황관리를 위한 위치기반 실시간 시나리오 설정방법
KR20190065661A (ko) * 2017-12-04 2019-06-12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Sns 데이터를 이용하여 검색어에 따른 결과를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과, 이를 수행하기 위한 기록 매체
KR20200103180A (ko) 2019-02-13 2020-09-02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Sar 기반 빅데이터를 활용한 재난재해 분류 및 분석 방법 및 그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이 가능한 기록매체
KR20200099847A (ko) * 2019-02-15 2020-08-25 베이소프트매트릭스 주식회사 관리 데이터 출력 방법
KR20210010099A (ko) 2019-07-19 2021-01-27 한전산업개발 주식회사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관공서의 공익정보 문자 및 음성 안내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WO2021187638A1 (ko) * 2020-03-17 2021-09-23 케이아이티밸리(주) 맞춤형 재난정보 제공시스템 및 방법
KR102375617B1 (ko) * 2020-10-13 2022-03-23 주식회사 케이탑솔루션 IoT를 활용한 지능형 재난안전통합 제어방법 및 시스템
KR102350252B1 (ko) 2021-04-14 2022-01-12 대한민국 맵 라이브러리 데이터셋 구축 및 활용방법
KR102350247B1 (ko) 2021-04-14 2022-01-12 대한민국 재난 피해이력 시계열 시각화 방법
KR102350254B1 (ko) 2021-04-14 2022-01-12 대한민국 격자기반 데이터를 활용한 시공간적 변화 패턴 도시방법
KR102350248B1 (ko) 2021-04-14 2022-01-12 대한민국 재난정보의 구축, 관리, 활용을 위한 격자 기반 데이터 변환방법
KR102315762B1 (ko) 2021-04-14 2021-10-21 대한민국 재난 피해이력자료를 공간 정보화하기 위한 방법
KR20220142320A (ko) 2021-04-14 2022-10-21 대한민국(행정안전부 국립재난안전연구원장) 재난대응 업무기반 맵 라이브러리 구축방법
KR102470201B1 (ko) * 2021-12-14 2022-11-25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빌딩풍 위험도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2617070B1 (ko) * 2023-01-25 2023-12-27 (주)멀틱스 재난 약자를 위한 실시간 재난정보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68535B1 (ko) 2014-03-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68535B1 (ko) 모바일기기를 이용한 지도기반의 실시간 재난정보서비스 운용방법
KR101265510B1 (ko) 위치기반 현장위험정보 제공 및 재난대처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CN101290629B (zh) 地理信息系统数据收集网络
US10922776B2 (en) Platform for real-time views on consolidated data
KR101724259B1 (ko) 재난 안전 통합관리 시스템에 의한 관심지역 분석방법
KR101737815B1 (ko) 재난안전 통합 상황관리를 위한 관심지역 분석방법
KR20180114814A (ko) 권역별 재난정보 제공방법
KR20140032205A (ko) 모바일 기반 재난피해 조사시스템 및 방법
CN107851289B (zh) 终端装置、服务器装置和用于记录工作状态为影像的计算机方法
KR20170022608A (ko) 재난안전 통합 상황관리를 위한 위치기반 실시간 시나리오 설정방법
KR101480784B1 (ko) 근거리무선통신〔nfc〕을 이용한 하천 시설물 유지관리 방법
JP6387202B1 (ja) 情報共有システムおよび情報共有方法
Hannay et al. GeoIntelligence: Data mining locational social media content for profiling and information gathering
WO2023116484A1 (zh) 视频获取方法、信息显示方法、装置、设备和介质
JP5454751B2 (ja) 検索方法、検索システム、プログラム及びコンピュータ
KR101421666B1 (ko) 파일 에이징 서비스 제공 방법
CN101449567B (zh) 事件现场信息通信的方法和系统
KR20180114813A (ko) Marker Cluster를 활용한 피해 현장정보 표출 방법
US11436273B2 (en) Image search apparatus, image search method, non-transitory recording medium
JP2016224710A (ja) 解析システム、解析方法及び解析プログラム
JP5181616B2 (ja) 情報提供依頼システム及び情報提供依頼方法
JP2014192633A (ja) 災害時通信支援装置、災害時通信支援方法及び災害時通信支援プログラム
KR101151551B1 (ko) 유저 디바이스 내 파일 사용내역을 도식화하는 시스템 및 방법
KR102315971B1 (ko) 드론 긴급 운용팀 운영지원 사용자 및 재난 정보 전송 표출판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2353115B1 (ko) 열분포지도를 이용한 연구 서비스 제공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3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