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50248B1 - 재난정보의 구축, 관리, 활용을 위한 격자 기반 데이터 변환방법 - Google Patents
재난정보의 구축, 관리, 활용을 위한 격자 기반 데이터 변환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350248B1 KR102350248B1 KR1020210048258A KR20210048258A KR102350248B1 KR 102350248 B1 KR102350248 B1 KR 102350248B1 KR 1020210048258 A KR1020210048258 A KR 1020210048258A KR 20210048258 A KR20210048258 A KR 20210048258A KR 102350248 B1 KR102350248 B1 KR 10235024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grid
- information
- data
- score
- spatial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65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5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0
- 239000013598 vector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4
- 230000004927 fus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1
- 230000009466 transforma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7
- 238000011426 transforma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
- 238000011156 evalu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
- 239000000470 constituent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5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8000007726 management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8000004458 analytical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9000011159 matrix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11425 standardiza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07429 general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10354 integra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2776 aggrega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4220 aggreg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11550 data transforma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6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10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4364 calcul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4422 calculation algorith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3278 delphi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847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1160 research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619 statistic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800 visualiz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213 activ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884 algebraic fun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459 approach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501 data transform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61 develop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8109 developmental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983 electron spin resonance ima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708 enhanc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1100001261 hazardous Toxicity 0.000 description 1
- 230000010365 information process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689 insp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606 normaliz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732 spatial analysi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517 strat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3589 supplem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3772 system develop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731 temporal analysi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123 tempo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700 time series analysi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31 transform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7/00—Three dimensional [3D] modelling, e.g. data description of 3D objects
- G06T17/05—Geographic model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04—Browsing; Visualisation therefor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07—Retrieval characterised by using metadata, e.g. metadata not derived from the content or metadata generated manually
- G06F16/909—Retrieval characterised by using metadata, e.g. metadata not derived from the content or metadata generated manually using geographical or spatial information, e.g. location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10—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calamitous events, e.g. tornados or earthquake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9—Location-based management or tracking ser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ometr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Remote Sen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점, 선, 면 등의 다양한 벡터 데이터를 쉽고 빠르게 격자로 변환한 후 융합할 수 있는 기반을 제공함으로써, 향후 쏟아지는 다양한 재난대응 정보들을 활용할 수 있도록 벡터의 격자 변환 기술을 개발하였다.
즉, 자연재난과 관련된 수많은 정보들과, 상기 정보들에 의해 풍수해를 예측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내장된 운영컴퓨터와, 풍수해를 시뮬레이션하기 위한 모니터로 구성되어진 시스템에서, 상기 프로그램에 의해 다음과 같은 과정으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1) 상기 자연재난과 관련된 수많은 정보들이 유입되면 피해시설에 대한 위치정보를 토대로 점,선,면 등의 벡터 유형 별 격자 데이터로 변환하기 위해, 먼저 국가지점번호를 기반으로 격자사양을 정의하는 과정으로서, 격자 기반의 공간정보서비스에서 제공하는 격자사양에 대한 정의, 개념적 모델, 상세사항(원점, 공간적 범위, 좌표참조체계, 구성격자의 크기, 계층구조, 격자셀의 형태/크기/식별자 등) 등의 메타데이터 정보를 결정하는 과정,
2) 데이터를 공간상에 표현하기 위한 위치정보와 개체 특성을 묘사하기 위한 속성정보로 이루어진 공간데이터들을 격자기반 데이터로 변환하는 과정으로서, 속성정보 측면에서 벡터 데이터를 포인트(point), 폴리라인(polyline), 폴리곤(polygon)의 세 가지 유형별로 격자 변환하기 위해, 포인트(point), 폴리라인(polyline), 폴리곤(polygon)의 대푯값을 결정하되, 먼저 PRIORITY에 의해 결정하고, PRIORITY가 같은 경우에는 METHOD에 따라 결정함으로써, 포인트(point), 폴리라인(polyline), 폴리곤(polygon)을 각각 격자 레스터로 변환하며, 선이나 면 데이터를 격자로 변환하기 위해 중첩되는 격자의 면적에 따라 속성값을 분배하는 면적분배법에 의한 격자변환방법을 함께 사용하는 격자 변환과정과,
3) 2)과정에서 격자 변환된 데이터를 표준 점수화하는 과정으로서, 원점수(raw score)의 상대적 위치를 확인하기 위해, 어떤 점수와 평균 간의 차이, 즉 편차를 표준편차로 나누어서 변환해줌으로써 Z-Score와 T-Score로 표준화한 값을 할당해주는 표준점수(standard score)화 과정,
4) 지표 간 상대적 중요도와 각 지표들이 평가 결과에 미치는 영향 정도를 고려하여 3)과정에서 얻은 표준점수에 가중치를 적용해줌으로써 최종 융합 격자를 생성하게되는 가중치 산정과정,
5) 4)과정에서 얻은 가중치가 적용된 표준점수들을 모두 융합하여 하나의 수치를 도출하는 융합 격자 생성과정.
Description
도 2는 본 발명에 따라 격자 변환하기 위해 포인트를 레스터 데이터로 변환하는 과정의 예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 격자 변환하기 위해 폴리라인을 레스터 데이터로 변환하는 과정의 예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격자 변환하기 위해 폴리곤을 레스터 데이터로 변환하는 과정의 예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라 면 데이터의 격자 변환 시 면적 가중치를 산정하는 과정의 예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라 격자 융합하는 과정을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라 파일럿 시스템에서 구현한 격자 데이터 융합 화면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Claims (13)
- 자연재난과 관련된 수많은 정보들과, 상기 정보들에 의해 풍수해를 예측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내장된 운영컴퓨터와, 풍수해를 시뮬레이션하기 위한 모니터로 구성되어진 시스템에서, 상기 프로그램에 의해 다음과 같은 과정으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난정보의 구축, 관리, 활용을 위한 격자 기반 데이터 변환방법.
1) 상기 자연재난과 관련된 수많은 정보들이 유입되면 피해시설에 대한 위치정보를 토대로 점,선,면 등의 벡터 유형 별 격자 데이터로 변환하기 위해, 먼저 국가지점번호를 기반으로 격자사양을 정의하는 과정으로서, 격자 기반의 공간정보서비스에서 제공하는 격자사양에 대한 정의, 개념적 모델, 상세사항(원점, 공간적 범위, 좌표참조체계, 구성격자의 크기, 계층구조, 격자셀의 형태/크기/식별자 등) 등의 메타데이터 정보를 결정하는 과정,
2) 데이터를 공간상에 표현하기 위한 위치정보와 개체 특성을 묘사하기 위한 속성정보로 이루어진 공간데이터들을 격자기반 데이터로 변환하는 과정으로서, 속성정보 측면에서 벡터 데이터를 포인트(point), 폴리라인(polyline), 폴리곤(polygon)의 세 가지 유형별로 격자 변환하기 위해, 포인트(point), 폴리라인(polyline), 폴리곤(polygon)의 대푯값을 결정하되, 먼저 PRIORITY에 의해 결정하고, PRIORITY가 같은 경우에는 METHOD에 따라 결정함으로써, 포인트(point), 폴리라인(polyline), 폴리곤(polygon)을 각각 격자 레스터로 변환하며, 선이나 면 데이터를 격자로 변환하기 위해 중첩되는 격자의 면적에 따라 속성값을 분배하는 면적분배법에 의한 격자변환방법을 함께 사용하는 격자 변환과정과,
3) 2)과정에서 격자 변환된 데이터를 표준 점수화하는 과정으로서, 원점수(raw score)의 상대적 위치를 확인하기 위해, 어떤 점수와 평균 간의 차이, 즉 편차를 표준편차로 나누어서 변환해줌으로써 Z-Score와 T-Score로 표준화한 값을 할당해주는 표준점수(standard score)화 과정,
4) 지표 간 상대적 중요도와 각 지표들이 평가 결과에 미치는 영향 정도를 고려하여 3)과정에서 얻은 표준점수에 가중치를 적용해줌으로써 최종 융합 격자를 생성하게되는 가중치 산정과정,
5) 4)과정에서 얻은 가중치가 적용된 표준점수들을 모두 융합하여 하나의 수치를 도출하는 융합 격자 생성과정.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격자는 통계 및 융합분석을 위한 속도향상을 위해 격자의 레벨과 좌표 로 구성된 수 표기 방법을 적용하고, 변환하고자 하는 격자 기반의 공간정보는 지도상에 임의의 속성정보를 표현할 수 있게 하는 공간데이터로서 격자로의 데이터 변환방법은 이러한 공간데이터의 특성을 고려하여 위치 정보 측면과 속성정보 측면을 구분하여 변환방법이 제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난정보의 구축, 관리, 활용을 위한 격자 기반 데이터 변환방법.
-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2)과정에서 공간정보가 격자로 올바르게 변환되기 위해서는 격자가 공간정보를 중첩(포함하거나 교차)하도록 정의되어야하는데 이는 공간정보의 누락 없이 격자로 대응되기 위함이며, 폴리곤이나 폴리라인이 중첩할 경우에는 해당 객체를 격자별로 분할함을 특징으로 하는 재난정보의 구축, 관리, 활용을 위한 격자 기반 데이터 변환방법.
-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2)과정에서 기하는 한 개 이상의 교차된 꼭짓점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꼭짓점은 x, y축(z축은 선택)을 활용하여 공간 상에서의 위치를 설명하는데, 벡터 피처는 포인트(point), 폴리라인(polyline), 폴리곤(polygon)의 세 가지 형태를 가지고, 피처의 기하가 한 개의 꼭짓점으로 구성되어 있다면 포인트 피처이며 두 개 이상의 꼭 짓점으로 구성되어 있고 첫 번째와 마지막 꼭짓점이 같지 않다면 폴리라인 피처이고, 세 개 이상의 꼭짓점으로 구성되어 있고 첫 번째와 마지막 꼭짓점이 같다면 폴리곤 피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난정보의 구축, 관리, 활용을 위한 격자 기반 데이터 변환방법.
-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2)과정에서 공간정보와 격자 사이의 공간관계 정의를 통해 기하의 중첩 여부를 판단하였다면 격자에 공간정보가 표현하고자 하는 속성값을 반영하도록 속성정보 변환을 수행하며, 격자 내에 중첩되는 지형지물(feature)을 격자로 변환하기 위해서는 격자의 대푯값을 결정해야함을 특징으로 하는 재난정보의 구축, 관리, 활용을 위한 격자 기반 데이터 변환방법.
-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3)과정에서 사용한 Z-Score 방법은, 표준점수의 하나로서 평균으로부터의 편차 점수를 그 분포의 표준편차로 나누어 얻어진 전환점수의 하나로서, 편차점수를 그 집단의 표준편차로 나누어 줌으로써 Z-Score는 평균이 0, 표준 편차 1인 분포로 전환되고, 원점수를 X, 평균과 표준편차를 각각 M, S라고 하면 Z- Score를 계산할 수 있는데, Z-Score는 표준점수의 원형적인 것으로 평균과 단위가 다른 점수들을 평균이 0, 표준편차 1인 단위분포로 전환시켜 줌으로써 점수분포의 출발점과 단위를 갖게 하므로 다른 점수 간에 상대적인 의미에서 그 비교를 가능케하며, 출발점과 단위를 갖게 함으로써 여러 다른 점수의 통합도 가능케함을 특징으로 하는 재난정보의 구축, 관리, 활용을 위한 격자 기반 데이터 변환방법.
- 제 7항에 있어서,
Z-Score에 10을 곱하고 50을 더해주어 평균 50, 표준편차 10인 분포로 전환하는 T-Score 방법이 함께 사용됨을 특징으로 하는 재난정보의 구축, 관리, 활용을 위한 격자 기반 데이터 변환방법.
-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4)과정에서 가중치를 산정하는 방법은 의사결정의 전 과정을 여러 단계로 나눈 후 이를 단계별로 분석 해석 함으로써 합리적인 의사결정에 이를 수 있도록 지원해주는 방법으로, 평가 대상이 되는 지표가 여러 가지일 때 각 각의 상대적 중요도를 한 번에 모두 고려하는 것은 어렵기 때문에 각 단계별 지표 를 두 개씩 뽑아서 1:1로 비교하고, 상대적 중요도 비교 결과를 바탕으로 비교 행렬 구축을 통해 가중치를 결정하며 CR(Consistency Ratio)값을 도출하여 답변의 일관성 정도를 평가함을 특징으로 하는 재난정보의 구축, 관리, 활용을 위한 격자 기반 데이터 변환방법.
-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4)과정에서 격자 정보 융합을 위해 일반적인 방법인 가중치 기반의 격자 중첩방법을 적용하는데, 이를 위해 각 DB별 표준화 방법으로는 Z-Score 방법을 채택하였으며, 음수로 표시되는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T-Score 방법도 함께 적용함을 특징으로 하는 재난정보의 구축, 관리, 활용을 위한 격자 기반 데이터 변환방법.
- 제 9항에 있어서,
가중치 선정을 위해 AHP 방법을 적용함을 특징으로 하는 재난정보의 구축, 관리, 활용을 위한 격자 기반 데이터 변환방법.
-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5)과정에서 속성값(val)은 원천데이터의 격자변환 방법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데이터 융합을 위해 표준화된 데이터 Z-Score와 T-Score값을 제공하는데, 격자의 위치를 위한 값으로는 xindex와 yindex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난정보의 구축, 관리, 활용을 위한 격자 기반 데이터 변환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48258A KR102350248B1 (ko) | 2021-04-14 | 2021-04-14 | 재난정보의 구축, 관리, 활용을 위한 격자 기반 데이터 변환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48258A KR102350248B1 (ko) | 2021-04-14 | 2021-04-14 | 재난정보의 구축, 관리, 활용을 위한 격자 기반 데이터 변환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350248B1 true KR102350248B1 (ko) | 2022-01-12 |
Family
ID=793395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048258A KR102350248B1 (ko) | 2021-04-14 | 2021-04-14 | 재난정보의 구축, 관리, 활용을 위한 격자 기반 데이터 변환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350248B1 (ko)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7195877A (zh) * | 2023-11-06 | 2023-12-08 | 中南大学 | 一种电子病历的词向量生成方法、系统、设备及存储介质 |
KR102612203B1 (ko) * | 2022-12-28 | 2023-12-12 | 대한민국 | 지역단위 사회재난 위험 분석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 |
CN117609411A (zh) * | 2023-12-08 | 2024-02-27 | 苏州空天信息研究院 | 一种用于多源地理高程信息的集成与融合系统及方法 |
CN117610898A (zh) * | 2024-01-24 | 2024-02-27 | 北京玖天气象科技有限公司 | 电网气象监测网络装置的布点方法及装置 |
CN118427262A (zh) * | 2024-06-28 | 2024-08-02 | 中国地震灾害防御中心 | 一种承灾体数据栅格化方法、装置、设备及介质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00112304A (ko) | 2009-04-09 | 2010-10-19 | 대한민국(관리부서 :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장) | 재난관리용 서버와 이를 이용한 재난관리 시스템 및 이를 위한 재난관리방법 |
KR20130043422A (ko) | 2011-10-20 | 2013-04-30 |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 모바일기기를 이용한 지도기반의 실시간 재난정보서비스 운용방법 |
KR20180117025A (ko) * | 2017-04-18 | 2018-10-26 | 대한민국(행정안전부 국립재난안전연구원장) | 지능형 cctv 기반 자동 수위감지 방법 |
-
2021
- 2021-04-14 KR KR1020210048258A patent/KR102350248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00112304A (ko) | 2009-04-09 | 2010-10-19 | 대한민국(관리부서 :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장) | 재난관리용 서버와 이를 이용한 재난관리 시스템 및 이를 위한 재난관리방법 |
KR20130043422A (ko) | 2011-10-20 | 2013-04-30 |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 모바일기기를 이용한 지도기반의 실시간 재난정보서비스 운용방법 |
KR20180117025A (ko) * | 2017-04-18 | 2018-10-26 | 대한민국(행정안전부 국립재난안전연구원장) | 지능형 cctv 기반 자동 수위감지 방법 |
Non-Patent Citations (3)
Title |
---|
비특허 1 * |
비특허 2 * |
비특허 3 * |
Cited By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612203B1 (ko) * | 2022-12-28 | 2023-12-12 | 대한민국 | 지역단위 사회재난 위험 분석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 |
CN117195877A (zh) * | 2023-11-06 | 2023-12-08 | 中南大学 | 一种电子病历的词向量生成方法、系统、设备及存储介质 |
CN117195877B (zh) * | 2023-11-06 | 2024-01-30 | 中南大学 | 一种电子病历的词向量生成方法、系统、设备及存储介质 |
CN117609411A (zh) * | 2023-12-08 | 2024-02-27 | 苏州空天信息研究院 | 一种用于多源地理高程信息的集成与融合系统及方法 |
CN117609411B (zh) * | 2023-12-08 | 2024-06-11 | 苏州空天信息研究院 | 一种用于多源地理高程信息的集成与融合系统及方法 |
CN117610898A (zh) * | 2024-01-24 | 2024-02-27 | 北京玖天气象科技有限公司 | 电网气象监测网络装置的布点方法及装置 |
CN117610898B (zh) * | 2024-01-24 | 2024-06-14 | 北京玖天气象科技有限公司 | 电网气象监测网络装置的布点方法及装置 |
CN118427262A (zh) * | 2024-06-28 | 2024-08-02 | 中国地震灾害防御中心 | 一种承灾体数据栅格化方法、装置、设备及介质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350248B1 (ko) | 재난정보의 구축, 관리, 활용을 위한 격자 기반 데이터 변환방법 | |
Malczewski | Spatial multicriteria decision analysis | |
Labetski et al. | 3D building metrics for urban morphology | |
Yan et al. | A multi-parameter approach to automated building grouping and generalization | |
Fisher-Gewirtzman et al. | Voxel based volumetric visibility analysis of urban environments | |
KR101675778B1 (ko) | 화산재해 대응 의사결정 지원 시스템 | |
CN103413036A (zh) | 一种连续化的森林火险天气等级预报模型及应用 | |
Pickard et al. | Validating land change models based on configuration disagreement | |
Kim et al. | An integrated picture fuzzy set with TOPSIS-AHP approach to group decision-making in policymaking under uncertainty | |
CN117113471A (zh) | 一种基于cim技术的城市仿真模型算法 | |
Dadras et al. | A combined FUZZY MCDM approach for identifying the suitable lands for urban development: an example from Bandar Abbas, Iran | |
CN117436708B (zh) | 国土空间规划风险评估方法 | |
Beirão et al. | Analysis and classification of public spaces using convex and solid-void models | |
JP3656852B1 (ja) | 防災事業計画支援方法とそのシステム | |
US20210192812A1 (en) | Improved geographic indexing | |
Moradi et al. | A novel approach to support majority voting in spatial group MCDM using density induced OWA operator for seismic vulnerability assessment | |
Demir et al. | GIS-based procedural modeling in contemporary urban planning practice | |
Hu et al. | Framework for prioritizing geospatial data processing tasks during extreme weather events | |
Delmas et al. | Towards context & climate sensitive urban design: An integrated simulation and parametric design approach | |
Gandini et al. | Adaptation to flooding events through vulnerability mapping in historic urban areas | |
US20180315255A1 (en) | Methods and systems for three dimensional modeling of infrastructure elements | |
Wiseman et al. | Testing block subdivision algorithms on block designs | |
Qin | Local ideal point method for GIS-based multicriteria analysis: A case study in London, Ontario | |
Padsala et al. | From Urban Design to Energy Simulation–a Data Conversion Process Bridging the Gap Between Two Domains | |
JP2004070863A (ja) | 公共事業計画立案支援方法とそのシステムとそのプログラムとその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10414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210415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10414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070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11008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2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of national patent |
Patent event code: PR0702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of National Patent Patent event date: 20220107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20107 End annual number: 20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