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95523A - 위험정보 수집 및 제공 시스템 - Google Patents

위험정보 수집 및 제공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95523A
KR20160095523A KR1020150016898A KR20150016898A KR20160095523A KR 20160095523 A KR20160095523 A KR 20160095523A KR 1020150016898 A KR1020150016898 A KR 1020150016898A KR 20150016898 A KR20150016898 A KR 20150016898A KR 20160095523 A KR20160095523 A KR 201600955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terminal
server
risk
m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168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02016B1 (ko
Inventor
김이재
Original Assignee
김이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이재 filed Critical 김이재
Priority to KR10201500168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02016B1/ko
Publication of KR201600955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955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20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20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9/00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Determin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such systems
    • G01S19/01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transmitting time-stamped messages,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 [Global Orbiting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r GALILEO
    • G01S19/02Details of the space or ground control seg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rketing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larm System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위험정보 수집 및 제공용 단말기, 위험정보 데이터베이스를 가지는 정보통합센터, 위험정보 수집 및 제공용 단말기와 정보통합센터를 연결하는 통신 네트워크를 포함하며, 단말기는 위치파악을 가능하게 하는 위치정보센서 및 통신부를 구비하여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위치정보를 송신할 수 있고, 위험정보와 관련하여 정보통합센터에 입력 사항을 전달할 수 있는가의 여부에 따라 복수 모드로 분리하여 모드를 바꾸어가면서 사용될 수 있고, 복수 모드 가운데에서 정보제공이나 긴급신고를 위해 단말기 사용자가 위험정보를 영상정보, 텍스트정보, 버튼선택정보 가운데 적어도 하나의 형태로 입력하고 전송하면 단말기가 입력된 정보를 단말기의 위치정보와 함께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정보통합센터로 전달하며, 정보통합센터는 단말기 위치정보를 인식하여 단말기에 단말기가 위치한 영역과 관련된 위험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험정보 수집 및 제공 시스템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기존의 위험정보 수집 및 제공 시스템의 한계를 뛰어넘어 개별화되고 지역화된, 개인의 공간인지 수준과 지역의 특성을 반영한 비정형 정보를 수집하고 이용할 수 있으므로 보다 충실한 위험정보 수집 및 제공 시스템을 제공하고, 부가적으로 다양한 인문, 자연환경에서의 체험활동과 현장에서의 훈련을 통해 위험 상황을 극복할 수 있는 모의적인 교육 훈련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위험정보 수집 및 제공 시스템{system for obtaining and supplying danger information}
본 발명은 생활 속에서 부딪힐 수 있는 위험정보 수집 및 제공에 대한 것으로, 특히 위치정보와 관련된 위험요소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고 제공하는 시스템에 대한 것이다.
생활에서 안전은 가장 중요한 가치의 하나이다. 따라서 개인적으로나 사회적, 국가적으로 안전을 위해 많은 비용이 투입되고 있고, 사고의 예방과 대처를 위해 많은 노력이 기울여지고 있다.
안전을 위협하는 요소는 매우 다양하고 많으며, 지리적 위치의 차이와 시간의 경과에 따라 위험 요소도 끊임없이 발생, 변화하게 된다.
다양한 위험요소가 잠재되어 있는 환경에서 인간의 활동과 작용이 위험요소를 키우기도 하고, 사고를 촉발시킬 수도 있고, 반대로 위험을 감소시키거나 막아주기도 한다.
인구가 밀집한 도시에서의 많은 에너지를 사용하는 생활 패턴은 대규모 재난의 가능성을 상존하게 하며, 과거와 다른 기후 및 기상 환경도 예상하지 못한 재난을 일으킬 수 있다. 또한, 야외에서의 다양한 활동이 증가하면서 익숙하지 못한 환경에서 사고를 당할 염려도 늘어가고 있으며, 대량의 인원을 빠른 속도로 이동시키는 교통수단 이용시 기상 환경이나 기계적 고장, 정보체계의 혼돈으로 사고가 발생할 확률도 커지고 있다.
한편, 현대에 발전하고 있는 정보 통신 기술(ICT: information & communication technology)은 위험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고 제공하여 위험요소를 관리하고 사고를 줄여주는 데 기여할 가능성을 높여주고 있으며, 사고 발생시에 신속한 대처와 사고 예방을 위한 통제를 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
가령, 최근 국립재난안전연구원의 활동으로 이루어진 스마트 빅 보드 시스템은 이러한 재난방지 및 대응을 위한 위험요소 정보 수집 및 제공 시스템으로서 사고 예방 및 대응을 위한 정보 수집 및 제공을 위한 활동의 하나라 할 수 있다.
스마트 빅 보드는 정부나 공공단체 해당 기관 혹은 연관 기관의 정보나 축적된 과거 데이터를 기반으로 하는 정형 데이터와 SNS나 제보 영상 등의 비정형의 문자형 혹은 영상형 데이터를 모두 이용하려는 기본적인 아이디어를 포함하고 있다.
그러나, 이런 스마트 빅 보드는 비정형 정보의 수집에 SNS 정보를 이용하고 있지만 빅데이터를 단순한 키워드 위주로 검색하여 이용할 뿐이며, 그에 대한 정보 제공에 있어서도 대국민 SNS 서비스가 단순한 문자 정보 제공에 한정되고 있다.
또한, 현장에 대한 정형 정보의 하나로 방재청이나 경찰청 등의 CCTV를 이용하고 있지만 한정된 자원으로서 커버할 수 있는 영역에 한계가 있다.
무엇보다도 이런 시스템은 정부 부처나 기관의 재난 상황실과 같은 소수의 한정된 수요자에게 재난의 콘트롤을 위해 제공되는 경우가 많고, 일반인의 생활에 대한 정보 제공에는 아직도 한계가 많이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보다 능동적인, 위험과 관련된 정보의 수집과 정보 제공이 이루어질 필요가 있으며 온 국민이 실내 공간 및 주변의 일상 생활세계에 잠재된 위험요소를 인지하고 나아가 실외의 다양한 인문, 자연 환경에서의 교육적 체험활동을 통해 위험요소로부터 자신의 안전을 스스로 지키는 법을 내울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도 시급한 상황이다. 특히, 도시의 실내 공간에서 주로 생활하여 재난 및 위기 상황 발생 시 대처 능력이 부족한 청소년들에게 야외에서 다양한 위험요소를 파악하고 수집하는 안전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하여 급박한 재난 상황에서도 당황하지 않고 자신의 안전을 스스로 지키고 다양한 환경에서 위험과 재난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공간적 판단력을 길러주는 프로그램은 특별한 의미가 있다.
한편, GPS를 이용한 네비게이션 시스템과 같은 지리정보제공 시스템은 생활에 많은 편익을 제공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도시의 대규모 건물과 관련하여 평면을 벗어난 3차원적인 지리정보시스템의 정보 축적과 위치기반 서비스의 종류나 품질은 나날이 확대되고 발전되고 있다. 반면 도시의 3차원적인 구조화는 화재나 지진과 같은 상황에서 대형 사고의 잠재적 위험을 가지게 한다. 위험 정보에 대한 위치기반 기술에서도 3차원적인 위치를 기반으로 위험 정보를 수집하고 제공할 필요성이 늘어나고 있다.
대한민국특허공개 제10-2012-0100433호: 사용자 정보와 3차원 지아이에스 데이터를 활용한 모바일정보 제공 시스템 대한민국특허공개 제10-2008-0019401호: 실시간 재난구조 지원 시스템 대한민국특허공개 제10-2010-0124947호: 증강현실을 이용하여 휴대형 단말기에 실시간 지역정보를 제공하는 AR 컨텐츠 제공 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대한민국특허공개 제10-2009-0000186호: 증강현실을 이용한 관심 지점 표시 장치 및 방법
본 발명은 상술한 기존의 위험정보 수집 및 제공 시스템의 한계를 보다 잘 해결할 수 있는 위험정보 수집 및 제공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비정형 정보로서 자발적인 신고나 정보 제공을 강화할 수 있고, 일반을 상대로 한 정보 제공도 늘릴 수 있는 위험정보 수집 및 제공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추가로 본 발명은 실질적으로 같은 구성을 가지고, 다양한 자연 및 인문 환경에서 위험정보 수집 및 제공에 대한 모의적 훈련 및 경험을 할 수 있는 개별화되고 지역화된 위험정보 수집 및 제공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위험정보 수집 및 제공용 단말기와 통신 네트워크와 위험정보 데이터베이스를 가지는 정보통합센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단말기는 전용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전용 단말기나 기존 개인 단말기에 전용 어플(application program)을 설치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위험정보와 관련하여 단말기가 정보통합센터에 입력 사항을 전달할 수 있는가의 여부에 따라 단말기는 구분된 복수 모드를 가지고 모드를 바꾸어가면서 사용될 수 있다. 가령, 일반 사용모드, 정보제공 모드, 긴급신고 모드로 구분되어 사용될 수 있으며, 단말기의 일반 사용모드는 단말기의 자동실행프로그램으로서 실행될 수 있고, 일반 사용모드에서 지리정보시스템을 이용한 위치 정보가 주기적으로 단말기 자체 메모리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런 위치 정보 저장은 단말기 사용자의 이동경로를 이루어 관리자 뿐 아니라 사용자가 스스로 확인할 수 있으며, 정보제공 모드나 유사시에 해당하는 긴급신고 모드에서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정보제공사항이나 신고사항 및 단말기 사용자 고유정보과 함께 이런 위치정보가 정보통합센터에 전송될 수 있다.
이런 단말기의 모드 분리는 전용 어플에 의해 이루어지거나 전용단말기의 전용 프로그램(펌웨어, OS 형태를 포함한다)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통신 네트워크는 일반적으로 가장 많이 이용하게 되는 3G, 4G 통신과 인터넷을 포함하는 와이파이 네트워크를 사용할 수 있다.
정보통합센터는 단일한 중앙 서버군으로 이루어지거나, 지방 서버과 중앙의 서버군이 데이터 네트워크를 이루면서 결합된 분산 시스템일 수 있으며, 위치기반서비스 및 GPS 센서를 이용하는 기존 플랫폼을 위험정보 수집 및 제공에 적합하게 수요를 고려하여 일부 수정, 변형, 최적화한 형태를 이룬 것일 수 있다.
중앙의 서버 혹은 서버군(이하 서버로 통칭하기로 한다)은 재난이나 위험과 관련되어 이런 사항에 관한 데이터를 축적하고 있는 외부 담당 기관 혹은 관련 기관의 서버나 데이터베이스와 정보, 자료를 교환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가령, 중앙의 서버는 메인서버, 위치정보서버, 기상정보서버, 위험과 관련된 비정형 정보를 획득하여 보관하기 위한 SNS 서버, 데이터베이스 서버 등을 구비하여 이루어질 수 있고, 데이터베이스 서버에는 SNS 서버, 메인 서버를 통해 들어온 신고 접수된 사항들이 자료로서 처리되고 정보로 저장되며, 관련 기관에서 제공된 안전과 재난 관련 기본 자료, 재난별 대응 매뉴얼 등이 저장될 수 있다.
아울러, 중앙의 위치(지역)정보서버는 단말기 위치와 관련하여 외부의 위치 및 지역 정보 서비스 시스템, 3차원 전자지도 서비스 시스템으로부터 그 위치와 지역에 관련된 정보, 자료를 받을 수도 있고, 기상정보서버는 외부 기상정보 기관으로부터 기상 정보와 통계자료를 제공받을 수 있다. SNS 서버는 외부 SNS 서비스 제공사 서버의 정보를 받아 특정 키워드 검색을 하고 결과를 통계 기법 등을 이용하여 처리하고, 결과를 데이터 베이스 서버에 제공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메인 서버는 단말기의 전용 프로그램, 전용 어플(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대응되는 호스트 프로그램을 가지고, 서버 사이의 정보 전달,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직접 들어오거나 데이터 네트워크를 통해 지방 서버를 통해 들어오는 단말기 정보 제공이나 신고의 처리를 담당하고, 단말기의 신고에서 선택한 내용에 따라 중앙 서버군이 가지고 있는 정보를 단순 제공하거나 관련 기관 서버에 요청하여 받은 자료를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공하는 정보는 증강 현실을 통해 가령 3차원 지도정보, 위치정보와 신고 관련 정보가 메쉬업 방식으로 입체적으로 결합된 정보가 될 수 있다.
한편, 단말기가 어플을 통해 일반적이고 참고적인 위험관련 정보를 요청하는 경우, 정보통합센터에서는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기초로 단말기 위치의 주변 지역과 관련된 현재 시점 및 가까운 장래 시간에 대한 정형화된 위험정보, 기상정보 등을 제공하고, 경우에 따라 단말기 위치 정보를 기초로 주변 지역에서 가까운 과거 일정 시간 동안에 수집되고 가공(처리)되어 지역의 다양한 특성을 반영한 지역맞춤형(place-specific/ place-tailored) 정보, 개인의 장소 경험이나 공간 인지 수준을 반영한 개별화된(personalized/ user-tailored) 비정형정보도 제공할 수 있다.
이런 정보는 일차적으로 가공된 정보이며 데이터량이 많지 않고, 지역별로 같은 시간대에서는 같은 내용으로 동일하게 전달되는 것으로 하며, 분산 처리를 통해 중앙 서버보다는 지방 서버에서 일괄적으로 전송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중앙 서버는 지방 서버에 일정 주기마다 업데이트된 해당 지역의 현재 시점 및 가까운 장래 시간에 대한 정형화된 위험정보, 기상정보 등과, 과거 일정 시간 동안에 특징 지역을 중심으로 이루어진(수집/가공된) 개별화되고 지역화된 비정형정보를 패킷 형태로 제공할 수 있다.
단말기에서 사용자가 단말기 버튼이나 터치패드의 조작 아이콘 등을 눌러 일반 사용모드에서 정보제공모드로 바꾸면 단말기 화면에 간단한 동영상이나 정지영상 촬영, 텍스트 문자 입력 및 정보 내용에 대한 GUI(graphic user interface) 방식의 버튼 선택이 가능하게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정보제공모드가 아닌, 가령, 재난에 대해 긴급신고모드를 선택하면 단말기 화면에 신고 담당 기관들을 선택할 수 있도록 새로운 화면이나 새로운 창(가령, 팝업창)에 선택버튼이 표시되고, 담당 기관을 선택하면 같은 방식으로 새로운 창이 나타나며 그 속에서 계속 선택 버튼을 통해 재난 상황을 구체화할 수 있는 선택 버튼이 표시되거나, 혹은 문자 입력이나 녹음이 가능한 서브모드가 되고, 이 상황에서 입력완료버튼를 누르거나, 누르지 않더라도 긴급신고모드에서 일정 시간이 지나고 별도 취소가 이루어지지 않으면 긴급신고모드에서 그때까지 입력된 문자나 녹음이 위치정보, 시간정보, 단말기나 사용자 고유정보와 함께 정보통합센서로 전송될 수 있다.
개인 스마트폰과 같은 개인 단말기를 이용하는 경우, 이러한 긴급신고 모드는 비상 상황임을 고려하여 스마트폰의 긴급전화와 같은 모드로 네트워크 상에서 우선성을 부여하거나 공공성을 감안하여 비용을 부과하지 않는 형태가 될 수 있다.
긴급신고 기능에 대한 후속조치로 신고 접수를 받은 정보통합센터의 서버는 해당 단말기에서 받은 신고정보를 시스템 내에서 일단 기본적으로 분석하여 데이터베이스 내에 저장하고, 요구되는 관련 정보, 상황과 관련된 비상시 행동 매뉴얼을 문자나 음성 정보 서비스로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기존의 위험정보 수집 및 제공 시스템의 한계를 뛰어넘어 의미있는 비정형 정보를 수집하고 이용할 수 있으므로 보다 충실한 위험정보 수집 및 제공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단말기 사용자를 일반 국민 수준으로 넓히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일반적인 수준의 위치기반 위험정보를 제공할 수 있고, 긴급신고 모드와 같은 비상시에는 보다 구체화되고 실질적인 행동 정보를 실시간으로 용이하게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의 부가적 측면에 따르면, 또한, 실제적인 위험정보 수집 및 제공뿐 아니라 이와 유사한 시스템을 활용하여 체험과 훈련을 통해 재난 및 위험 상황에 효과적으로 대처하고 위기를 극복할 수 있는 모의적인 교육 훈련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본적 구성체제를 나타내는 구성 개념도,
도2는 도1의 단말기의 구성을 보다 상세히 나타내는 구성 개념도,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의 사용 모드 선택과 각 사용모드에서의 진행 단계를 나타내는 흐름도,
도4는 본 발명의 추가적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 각 사용 모드에서의 입력사항 및 위치정보, 고유정보가 전송되는 목적 서버가 구분될 수 있음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1 및 도2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구성 개념이 나타나 있다. 본 실시예의 위험정보 수집 및 제공 시스템은 위험정보 수집 및 제공용 단말기(10)와 통신 네트워크(20)와 위험정보 제공을 위한 여러 서버 및 데이터베이스를 가지는 정보통합센터(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단말기(10)는 가장 바람직하게는 전용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전용 단말기를 사용하지만, 현재에 많은 사람들이 가지고 있는 스마트폰은 매우 고성능의 개인용 정보통신기기이며, GPS 센서 등 위치기반 서비스의 기본 수단을 내장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므로 이런 개인 단말기에 전용 어플(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설치하여 사용하는 것도 충분하다.
본 실시예에서 단말기(10)는 위험정보를 수집하여 전송할 수 있고, 정보통합센터(30)의 위험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디스플레이(15)와 카메라(16)와 GPS 센서(17) 기타 위치 확인이 가능한 센서 및 통신부(19)와 기본적인 메모리(저장장치: 13) 및 콘트롤러 혹은 프로세서(11)를 가진다. 디스플레이(15)는 터치패드 방식으로 입력기능을 가지도록 하는 것이 입력의 편의성을 위해 더 바람직하다.
전용 어플은 일종의 공공재로서 정부 기관 등에서 인터넷 등을 통해 무료로 배포할 수 있고, 전용 단말기는 경찰이나 소방서, 산림청, 국립공원관리소, 수자원관리공사, 지방자치단체와 같이 위험정보, 재난정보와 밀접한 관계를 가지는 정부 기관 및 그 인원을 중심으로 배포되거나, 안전교육 등의 목적으로 학교 및 다양한 교육기관을 통해 교부될 수 있으며, 위험상황과 마주하기 쉬운 특수 직역의 개인들도 신청에 의해 교부하고, 회수하도록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단말기(10)를 사용할 때에는 가령 어플을 설치하거나 전용단말기를 받았을 때 유사시의 신속한 정보 확인을 위해 저장장치에 기초 정보 혹은 고유 정보를 입력하도록 하며, 필요에 따라 정보통합센터(30)에 등록, 인증하여 사용하도록 할 수 있다.
단말기(10)는 주로 모바일 기기 형태를 가지므로 소모전력과 통신의 용량을 고려하고, 비용을 절약하기 위해 모드를 나누어, 가령, 일반사용모드, 정보제공모드, 긴급신고모드로 나누어 운영하고 모드의 변경은 단말기의 물리적 버튼(14)이나 프로그램이 제공하는 화면상의 터치버튼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단말기(10)는 통상 기기고유정보도 메모리(13)에 저장하며 이를 단말기 사용자가 입력한 고유정보와 함께 유사시의 정보 전송, 확인을 신속하게 하는 수단으로 사용할 수 있다. 단말기(10)의 일반사용모드는 단말기를 켜면 자동실행프로그램으로서 실행될 수 있고, 일반사용모드에서도 지리정보시스템(가령 GPS)을 이용한 위치 정보가 주기적으로 단말기 자체 메모리(13)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런 위치 정보 저장은 내장된 혹은 데이터 통신을 통해 전달받은 지도정보와 결합되어 단말기 사용자의 이동경로를 이루어 사용자가 스스로 어플을 통해 디스플레이(15) 상에서 확인할 수 있으며, 정보제공모드나 긴급신고모드에서는 통신 네트워크(20)를 통해 정보제공이나 신고를 할 때 정보제공이나 신고 사항과 함께 단말기 사용자 고유 정보, 이동경로가 정보통합센터(30)에 전송될 수 있다.
통신 네트워크(20)는 일반 휴대전화 통신 등 일반적으로 가장 많이 이용하며, 가장 많은 억세스포인트(AP)나 중계시설을 가지게 되는 3G(3rd generation), 4G(4th generation) 통신과 와이파이 네트워크(AP에서는 유선으로 인터넷에 결합되어 결국 인터넷을 포함하는 개념으로 볼 수 있다)를 사용할 수 있다.
정보통합센터(30)는 단일한 중앙 서버 혹은 서버군(서버)으로 이루어진 집중시스템 형태이거나, 지방 서버과 중앙의 서버의 데이터 네트워크를 이루면서 결합된 분산 시스템 형태일 수 있다.
위험정보 및 재난관련 정보는 양이 매우 방대할 수 있으므로 중앙의 서버는 재난이나 위험과 관련되며 이에 관한 데이터를 축적하고 있는 정보종합센터(30) 외의 기관의 서버나 데이터베이스와 정보, 자료를 교환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중앙의 서버는 가령 메인서버(31), 위치정보서버(33), 기상정보서버, 비정형 정보를 획득하여 보관하기 위한 SNS 서버(35), 데이터베이스 서버(39) 등을 구비하여 이루어질 수 있고, 데이터베이스 서버(39)에는 SNS 서버(35), 메인 서버(31)를 통해 들어온 접수된 사항들이 자료로서 처리되고 정보로 저장되며, 센터 외의 관련 기관에서 제공된 안전과 재난 관련 기본 자료, 재난별 대응 매뉴얼 등이 상시적으로 저장될 수 있다.
중앙 서버, 가령 메인 서버(31)는 단말기(10)의 전용 프로그램(전용 어플 포함)에 대응되는 호스트 프로그램을 가지고, 정보통합센터(30) 내의 서버 사이의 정보 전달, 정보통합센터(30) 내와 외부의 서버들 사이의 정보 전달, 통신 네트워크(20)를 통해 직접 들어오거나 지방 서버와의 데이터 네트워크를 통해 들어오는 단말기(10)의 정보제공이나 긴급신고의 처리를 담당할 수 있다.
또한, 단말기(10)에서 긴급신고모드를 선택할 때 그 모드에서 선택한 내용(조작한 버튼)에 따라 중앙 서버가 가지고 있는 정보를 단순 제공하거나 관련 기관들(40)의 각 서버들(41, 43)에 일시적으로 요청하여 받은 자료를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공하는 정보는 증강 현실을 통해 위치정보와 신고 관련 정보가 메쉬업 방식으로 입체적으로 결합된 정보가 될 수 있다. 이때, 외부의 정보 서비스 시스템별로 정보종합센터(30)의 서버가 별도로 구성되도록 하여, 가령, 외부의 위치정보 서비스 기관의 서버에 대응하여 위치정보서버(30)가, 외부의 기상정보 서비스 기관의 서버에 대응하여 기상정보 서버가, 외부 SNS 운영기관 서버에 대응하여 SNS 서버(35)가 대응 설치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메쉬업 방식의 화면 구성과 정보 제공은 짧은 시간 내에 많은 정보를 서로의 관련하에 입체적으로 전달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 시스템을 이용하는 콘트롤타워는 물론 현장의 단말기 사용자에게도 신속하고 정확한 상황인식과 판단을 가져올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증강 현실이나 메쉬업 방식의 정보 결합은 관련 업계에서 이미 알려져 있는 기술내용이므로 구체적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물론, 이를 위해 단말기 어플과 호스트 프로그램이 이런 정보의 입체적 결합을 지원하여야 하며, 네트워크 상의 데이터 전달 용량이 충분하고, 데이터 부하를 줄이기 위한 정보의 충분한 압축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런 방식은 서로 다른 기관 사이에 기존 자료와 관련한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해야하므로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의 통일성을 높이고, 정보교류를 원활히 하도록 이끌 수 있다.
여기서, 해당 기관 혹은 관련 기관으로는 경찰 종합상황실이나 교통상황실, 소방서, 병원 응급센터와 지방자치체 긴급상황실, 기타 안전관련 콘트롤타워가 될 수 있고, 한국전력, 한국수력원자력, 한국수자원공사와 같은 자원과 시설물 통제 관련 공공사업소, 넓게는 통신회사나 뉴스를 제공하는 인터넷 포탈과 언론사도 될 수 있다. 이들 기관은 자체 서버에 현재의 문제상황이나 과거의 안전 관련 혹은 재해 관련 정보를 저장하여 각각의 자체 서버를 통해 관련 정보를 정보통합센터로 제공하거나, CCTV 등의 수단을 이용하여 획득한 현장 정보를 제공하거나, 소장하는 과거 자료, 긴급시 매뉴얼 등을 제공할 수 있고, 자체적인 출동 대응 시스템을 가동할 수도 있다.
한편, 단말기(10)가 어플을 활성화하여 일반적이고 참고적인 수준의 위험관련 정보를 요청하는 경우, 혹은 일반사용모드에서 별도의 요청이 없는 경우에도, 정보통합센터(30)에서는 푸시방식으로 주기적으로(가령 정보통합센터의 데이터베이스가 주기적으로 업데이트될 때마다)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기초로 현재의 단말기 주변 지역과 관련된, 현재 시점 및 가까운 장래 시간에 대한 정형화된 위험정보, 기상경보, 기타 위험상황과 관련될 수 있는 공간정보 등을 제공하고, 경우에 따라 단말기 위치정보를 기초로 주변 지역에 관련된 가까운 과거 시간, 가령 한 시간이나 세 시간 정도에 이루어진 비정형정보(가령 SNS 재난어휘검색 정보나 정보통합센터에 접수된 신고정보)도 제공할 수 있다.
단, 이런 비정형정보에서 기인하는 정보도 일차적으로 정보통합센터 내에서 가공되어 정형화되고, 통신의 부담을 없애기 위해 정리되어 데이터량이 많지 않은 형태로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령, 해당 지역 내의 지난 몇 시간의 기간동안 특정 위험 항목의 신고가 누계로 몇 건이 있었다거나 SNS 통신 단어 검색을 통해 특정 위험 항목과 관련된 메시지가 몇 건 있었고, 일반적인 평균치 몇 건이었다는 방식이 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일반적인 위험정보는 같은 지역, 같은 시간대에서는 그 지역 내의 단말기들에는 같은 내용으로 동일하게 전달되도록 할 수 있으며, 네트워크의 통신 부담 및 중앙 서버의 연산 부담을 줄이기 위해 분산 처리를 통해 중앙 서버를 거치지 않고 지방 서버에서 일괄적으로 제공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중앙 서버가 시간별로 지역별로 제공정보 내용을 작성하여 해당 지방 서버로 보내 일반적 위험정보 내용을 업데이트 혹은 단순 저장시킬 수 있고, 지방 서버가 입수한 정보를 자체적으로 가공하여 그 지역의 단말기에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사용자가 사용모드 가운데에서 정보제공 모드로 바꿀 때에는 간단한 동영상이나 정지영상 촬영, 텍스트 문자 입력 및 GUI 방식의 버튼 선택이 가능하게 제공될 수 있다. 이로써 사용자는 시간과 노력 측면에서 큰 부담없이 간단히 긴급하지 않은 그러나 주로 예방적 차원에서 필요한 위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서는 정보제공모드가 아닌, 가령, 재난에 대해 긴급신고모드를 선택하면 신고시간을 절약하기 위해 신고를 받을 담당 기관의 선택버튼이 팝업창에 뜨고 기관을 선택하면 같은 방식으로 계속 선택 버튼을 통해 재난 상황을 구체화할 수 있는 선택 버튼이 뜨거나, 혹은 문자 입력이나 녹음, 동영상 촬영이 가능한 서브모드가 되고, 이 상황에서 완료버튼를 누르거나 신고 모드에서 일정 시간이 지나고 별도 취소가 이루어지지 않으면 그때까지 입력된 문자나 녹음이 위치정보, 시간정보, 단말기나 사용자 고유정보와 함께 정보통합센서의 서버로 전송될 수 있다.
이러한 긴급신고모드는 통신의 비상상황임을 고려하여 스마트폰의 긴급전화와 같은 모드로 네트워크 상에서 우선성을 부여하거나 공공성을 감안하여 비용을 부과하지 않는 형태가 될 수 있다.
비교적 시간적 여유가 있는 위험정보를 제공하거나 신고할 때 데이터 베이스의 분류나 상황판단의 신속과 정확을 돕기 위해 선택버튼 속에는 위험의 강도와 범위, 빈도에 대한 평가가 포함될 수 있다. 위험 강도는 치명적인 위험과 단순한 부상의 위험성 정도로 등급을 나눌 수 있으며, 범위는 작은 지역의 적은 사람에게 영향을 주는 위험과 넓은 지역, 많은 사람에게 영향을 주는 위험 범위로 등급을 나눌 수 있고, 빈도는 자주 발생할 가능성이 높은 위험인가 드물게 발생하는 위험인가 등급을 나눌 수 있다.
긴급신고 기능에 대한 후속조치로 신고 접수를 받은 정보통합센터의 서버는 해당 단말기에서 받은 신고를 시스템 내에서 일단 기본적으로 분석하여 데이터 베이스 내에 저장하고, 단말기의 요청이나 기본적 분석 내용에 따라 관련된 비상시 행동 매뉴얼을 문자나 음성 정보 서비스를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신고를 접수한 정보통합센터에서 단말기의 선택 내용(선택 버튼 정보)에 따라 자동으로 혹은 수동으로 해당하는 신고를 받을 담당 기관에 신고정보를 제공하여 해당 기관이 직접 해당 단말기로 연락을 시도하거나 출동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앞서 잠시 언급하였듯이 해당 기관 혹은 관련 기관(40) 서버(41, 43)나 데이터베이스에 연결하여 비상시 행동 매뉴얼 외에도 필요한 정보를 전송받고 신고 단말기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가령, 정보통합센터(30)는 자신이 가지고 있는 자료와 신고 담당 기관 혹은 관련 기관(40)에 연결하여 획득한 자료를 가령, 비상행동 매뉴얼, 대피경로, 자동 신고가 안되었을 경우를 대비한 인급 병원이나 경찰서, 소방서 등의 위치, 연락방법, 기타 필요한 정보를 긴급신고 단말기(10)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정보 제공 사항은 호스트 프로그램에 의해 매뉴얼로 미리 정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정보통합센터(30)의 정보제공이나 긴급신고의 접수도 중앙집중방식과 지방분산방식이 모두 가능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처리의 신속성과 정보의 집중 및 과부하 부담을 덜기 위해 일단 지방 서버가 중앙처리장치, 메모리, 처리용 프로그램을 기본적인 처리에 적합한 용량으로 확보를 하고, 자동분류가 가능한 사항들에 대해서는 데이터 프로세싱을 실시하고, 필요시 경찰서나 소방서, 병원에 자동연락을 하고, 일단 처리가 이루어진 자료를 데이터 패킷 형식으로 중앙 서버로 전달하는 것도 가능하며, 단말기에서 전달되는 사항들 가운데 외부와의 정보 교류가 필요한 요청 사항이 있는 경우, 지방 서버에서 중앙 서버로 요청을 보내 자료를 다시 받아오는 방식이 될 수 있다.
한편, 정보종합센터(30)의 데이터베이스 서버(39)는 정보종합센터가 계속적으로 SNS 정보나 단말기를 통한 위험관련 제공정보, 긴급신고정보와 같은 비정형 정보를 입수하여 일정 시간마다 처리하거나 즉시로 처리함으로써 주기적으로 혹은 지속적으로 업데이트될 수 있다. 가령, 입수되는 SNS 문자나 정보와 신고 문자의 내용을 단어 검색을 통해 정보화하거나, 그 내용이 선택 버튼에 의해 정보화된 것이라면 데이터프로세싱을 통해 자동으로 항목 분류를 하고, 건수가 하나 늘어날 때마다 지역별 및 전체의 해당 항목에 수치를 더해가는 방식으로 데이터베이스가 업데이트될 수 있다.
이렇게 저장된 정보는 일정 주기마다 혹은 상시적으로 업데이트되므로 일정 시간 일정 지역의 필요한 위험정보를 패킷 형태로 보관하면서 외부 요청에 의해 패킷으로 데이터를 전송하여 이용하도록 할 수 있다. 정보종합센터(30)의 데이터베이스 는 해당 기관 혹은 관련 기관(40)의 서버(41, 43)와 연관된 데이터베이스와 자료를 주고받거나, 통합된 상태로 운영될 수 있다.
이하 도3을 참조하면서 이상의 위험정보 수집 및 제공 시스템에서 이루어지는 과정들을 한 예시를 통해 보면, 먼저, 단말기 사용자가 개인 단말기(10)에 전용 어플을 다운받아 설치를 한다. 단말기 사용자는 설치시 자신의 기본 정보를 입력하고, 전용 어플을 실행시킨다(S10). 이를 위해 단말기는 물론 저장장치(메모리)와 프로세서, 안드로이드나 iOS와 같은 일반적 오퍼레이팅 시스템, 데이터 통신 수단을 구비하여야 한다.
어플 실행의 처음 단계로 모드 선택을 한다(S20). 모드 선택 단계에서 일반사용모드를 선택하면(S40), 프로세서는 어플에 따라 단말기 내의 GPS 센서, 전송받은 지도 정보 및 지리정보 시스템과 연계되어 내부 타이머에 시간을 기준으로 단말기 사용자의 위치를 메모리에 저장하게 된다(S41). 그리고, 시간이 지나면서 주기적으로 위치 정보를 메모리에 저장하게 된다(S43).
사용자가 어플의 모드를 정보제공모드로 선택하면(S30) 프로세서는 어플에 따라 제공받은 단말기 화면을 단말기 디스플레이에 나타내고 터치 스크린 버튼을 제공하여 정보제공에 적합한 항목들 가령, 사진촬영, 동영상촬영, 텍스트입력, 세부선택을 위한 항목창, 평가창, 정보전송의 여섯 항목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사용자는 먼저 앞선 다섯 항목가운데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여(S31) 내장 카메라와 문자입력기 등을 사용하여 사진찰영, 동영상촬영, 텍스트입력을 하거나, 어플이 새로운 창들에서 선택할 수 있도록 한 항목들 가운데 적합하다고 생각되는 항목을 선택하거나, 위험정보에 대한 빈도, 강도, 범위의 정도를 선택하여 입력할 수 있다(S33). 입력사항은 일단 프로세서에 의해 저장장치에 기억되고, 이들 입력이 끝나면 정보전송 항목을 눌러 프로세서가 입력된 사진, 동영상, 텍스트, 선택사항들 및 평가사항을 통신부를 통해 전송할 수 있다(S35). 이때, 프로그램은 프로세서가 저장장치에 저장되어 있는 자신의 위치정보, 고유정보가 자동적으로 함께 결합하여 전송할 수 있도록 한다.
사용자는 어플의 모드를 긴급신고모드로 선택할 수 있다(S50). 이 모드에서도 정보제공모드와 같이 여섯 항목의 선택창이 화면에 나타날 수 있지만 여기서는 긴급성을 고려하여 가령, 먼저 동영상촬영으로 바로 진행될 수 있다(S51)). 동영상찰영시 화면에는 촬영장면과 겹쳐서 취소버튼, 신고 선택버튼, 전송버튼, 방법 선택버튼 및 정보제공요청버튼이 나타나도록 할 수 있다.
동영상촬영이 시작되면 단말기에서는 소리를 포함한 동영상이 촬영되어 메모리에 저장되고 스트리밍 방식으로 계속 전송되거나, 일정시간마다 자동적으로 혹은 전송버튼을 누를 때에 정보통합센터 위치정보 및 고유정보와 함께 전송된다(S57). 실수로 긴급신고모드를 선택한 경우, 취소버튼을 누르고 다른 모드를 선택할 수 있는 화면으로 나올 수 있다(S58).
신고 선택버튼을 누르면 신고기관 및 신고번호가 나타나 선택을 하면(S55) 신고기관과 통화기능을 이용하여 통화를 할 수 있게 된다(S56).
시간적 여유가 있는 경우, 혹은 다른 방법으로 신고를 하는 것이 더 정확히 상황을 알릴 수 있는 경우, 방법 선택버튼을 누르면(S52) 정보제공모드와 같은 화면이 나와서 신고정보를 다양하게 입력할 수 있으므로 입력사항을 저장하고(S53), 전송버튼을 눌러 다양한 방식으로 입력된 입력사항을 전송할 수 있다.(S54)
도3에는 도시되지 않지만 긴급신고모드의 동영상 촬영시의 버튼들 가운데 정보제공버튼이 있는 경우, 단말기에서 정보통합센터로 정보를 요청하는 버튼으로 버튼을 누르면 동영상촬영 및 전송이 유지되는 가운데 필요한 정보, 가령, 비상행동 매뉴얼, 대피경로, 자동 신고가 안되었을 경우를 대비한 인급 병원이나 경찰서, 소방서 등의 위치, 연락방법, 기타 필요한 정보를 긴급신고 단말기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긴급신고모드에서는 사용자가 정신을 잃거나 몸을 움직일 수 없는 등의 유사시에 대비하여 전송버튼을 누르지 않아도 긴급신고모드로 일정 시간이 지나면 그때까지의 메모리에 저장된 입력사항, 가령 동영상과 음성 녹화분이 단말기의 사용자 고유 정보, 현재 위치정보와 함께 정보통합센터로 전송되도록 한다.
이런 모드별 화면 구성과 진행을 통해 긴급한 사항, 혹은 임의의 정보제공 사항을 편리하고 신속하게 입력하여 전송할 수 있다.
각 모드에서는 물리적 버튼 가운데 하나를 상위로 역으로 진행하는 버튼(ESC 버튼)으로 삼아 모드 선택단계(S20)으로 돌아갈 수 있다.
다음으로, 도4를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통해 이런 위험정보 수집 및 제공 시스템을 이용하는 다른 기능, 부가적 기능도 이루어질 수 있음을 이하 설명한다.
앞선 실시예에서 단말기의 일반사용모드는 특별한 입력 수단이 제공되지 않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주기적으로 단말기 사용자의 위치를 메모리에 입력하는 것 외에도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일반사용모드에서도 정보제공모드와 같은 입력 수단을 제공할 수 있다.
단, 이 실시예에서 일반사용모드의 화면은 정보제공모드의 화면에 선택할 수 있는 사항(버튼들)에 더하여 단순저장 버튼을 더 가지며, 일반사용모드의 입력사항은 전송버튼을 누를 때 위 실시예에서 정보제공모드의 입력사항이 위치 정보 및 고유 정보와 함께 정보통합센터(30)로 전송되는 것과 달리, 별도로 정한 교육센터 서버(130)로 전송된다. 입력사항에 대해 전송버튼을 누르는 대신에 단순저장 버튼을 누르면 전송은 되지 않고, 자체 기억장소에 입력사항이 단순히 저장되는 상태가 된다.
단순저장 버튼은 일반사용모드에만 국한될 필요는 없으며, 정보제공모드나 긴급신고와 같은 다른 모드에서도 입력 사항을 입력한 뒤 단순저장을 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 이때, 입력사항은 개인 단말기의 개인용 저장소에 저장되어 개인이 필요할 때 개인 자료로 사용할 수 있고, 전용 프로그램이나 어플을 통해 가령, 긴급신고모드에서 개인용 저장소의 입력 내용을 불러올 수 있도록 하면, 필요에 따라서는 예상되는 위험의 상황을 미리 입력하여 보관하고 있다가 긴급신고 모드에서 미리 저장된 입력사항을 불러내어 전송시키는 것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이런 기능은 위험이 예상되는 상황에서 긴급신고에 필요한 시간을 절약할 수 있다.
교육센터 서버(130)의 통신 번호 혹은 통신 주소는 개인 정보 단말기에 전용 어플을 설치하는 과정에서 정하여 입력할 수 있다. 즉, 단말기의 정보제공모드나 긴급신고모드의 전송은 모두 정보종합센터(30)로 전송되지만 일반사용모드의 입력 및 전송은 교육센터 서버(130)로 이루어진다.
이런 부가적 기능을 이용하면 학생들이나 위험 상황에 부딪힐 수 있는 예비적 사용자에게 본 발명의 위험정보 수집 및 제공 시스템을 이용하는 방법을 교육 혹은 훈련시킬 수 있으며, 이때, 정보나 신고내용은 정보통합센터(30)로 전송되지 않으므로 불필요하게 많은 정보통신량이 정보통합센터(30)로 들어가 네트워크나 정보종합센터 서버에 부담을 키우는 문제를 없앨 수 있다.
또한, 교육센터 서버(30)를 통해 전송된 내용을 분석하여 평가를 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 시스템을 이용하여 실제와 다를 바 없는 위험상황에 대한 교육 훈련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위험상황 교육을 더욱 적절히 실시할 수 있고, 교육생들의 위험 상황대처 능력을 키워줄 수 있다.
이런 경우, 교육센터 서버(130)를 특정 학교 및 교육기관의 특정 서버로 지정하여 교육목적으로 운영할 수 있고, 입력사항들도 인문지리적 혹은 자연환경 탐구하는 야외조사(fieldwork)나 체험활동 프로그램에서 탐사 대상 및 조사 공간에 대한 위험요소 정보뿐 아니라 교육생들에게 이미있는 여러 주제를 같이 입력할 수 있도록 운영하는 것도 교육프로그램의 하나로서 생각할 수 있으며, 교육센터 서버에 입력된 내용은 교육생들의 입력자료를 교육센터 서버에 연관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함으로써 향후 안전교육 프로그램을 지속적으로 개선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한정된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설명하고 있으나, 이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예시적으로 설명된 것일 뿐 본원 발명은 이들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즉,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을 토대로 다양한 변경이나 응용예를 실시할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변형례나 응용예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10: 단말기 11: 프로세서
13: 메모리(저장장치, 기억장치) 14: 버튼(물리적 버튼)
15: 디스플레이 16: 카메라
17: GPS 센서 19: 통신부
20: 통신 네트워크 30: 정보종합센터
31: 메인 서버 33: 위치정보 서버
35: SNS 서버 39: 데이터베이스 서버
40: 관련 기관(외부 기관) 41, 43: 서버
130: 교육센터 서버

Claims (10)

  1. 위험정보 수집 및 제공용 단말기, 위험정보 데이터베이스를 가지는 정보통합센터 및 상기 위험정보 수집 및 제공용 단말기와 상기 정보통합센터를 연결하는 통신 네트워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단말기는 위치파악을 가능하게 하는 위치정보센서 및 통신부를 구비하여 상기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위치정보를 송신할 수 있고, 위험정보와 관련하여 상기 정보통합센터에 입력 사항을 전달할 수 있는가의 여부에 따라 복수 모드로 분리하여 모드를 바꾸어가면서 사용될 수 있고,
    상기 복수 모드 가운데에서 정보제공이나 긴급신고를 위해 단말기 사용자가 위험정보를 영상정보, 텍스트정보, 버튼선택정보 가운데 적어도 하나의 형태로 입력하고 전송하면 상기 단말기가 입력된 정보를 상기 단말기의 위치정보와 함께 상기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정보통합센터로 전달하며,
    상기 정보통합센터는 상기 단말기 위치정보를 인식하여 상기 단말기에 상기 단말기가 위치한 영역과 관련된 위험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험정보 수집 및 제공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는 디스플레이화면과 카메라와 위치정보센서(GPS 센서) 및 통신 부를 가지며, 위험정보 수집 및 제공을 위한 전용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전용 단말기이거나 전용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설치된 휴대용 개인 단말기이고,
    상기 정보통합센터는 상기 전용 프로그램이나 전용 어플리게이션 프로그램에 대응하는 위험정보 수집 및 제공용 호스트 프로그램을 구비한 서버를 구비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위험정보 데이터베이스는 상기 서버에 의해 상기 단말기로 위험정보를 제공할 수 있고,
    상기 통신 네트워크는 와이파이 네트워크, 3G 통신 네트워크, 4G 통신 네트워크 가운데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험정보 수집 및 제공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통합센터는 중앙 서버 및 상기 중앙 서버와 데이터 네트워크로 연결된 하나 이상의 지방 서버를 구비하며, 분산 네트워크를 이루어 상기 정보제공이나 긴급신고 내용은 일차로 상기 지방 서버에서 처리되고, 상기 지방 서버에서 처리될 수 없는 상기 단말기의 요청 사항에 대해서 상기 중앙 서버가 처리하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정보제공이나 긴급신고 내용 가운데 자동분류가 가능한 사항들에 대해서는 데이터 프로세싱을 실시하고, 일단 처리가 이루어진 자료를 데이터 패킷 형식으로 상기 중앙 서버로 전달하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중앙 서버에 의해 이루어진 상기 위험정보 데이터베이스의 업데이트 사항은 지역별로 데이터 패킷 형식으로 상기 지방 서버로 전달되어 지역별로 단말기들에게 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험정보 수집 및 제공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모드는 일반사용모드, 정보제공모드, 긴급신고모드를 포함하고,
    상기 일반사용모드에서 상기 위치정보 센서를 이용하여 획득한 단말기 위치정보가 주기적으로 상기 단말기의 메모리에 저장되고,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단말기 위치정보는 상기 긴급신고모드에서 상기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신고사항 및 상기 메모리에 미리 저장된 단말기 사용자 고유 정보와 함께 상기 정보통합센터에 전송되고,
    상기 정보제공모드나 상기 긴급신고모드는 상기 단말기 사용자가 사진, 동영상, 녹음, 텍스트(문자), 선택된 위험정보 세부 항목 가운데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여 입력할 수 있고, 상기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험정보 수집 및 제공 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전용 프로그램이나 상기 전용 어플을 통해 상기 일반사용모드에서도 상기 단말기 사용자가 사진, 동영상, 녹음, 텍스트, 선택된 위험정보 세부 항목 가운데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여 입력할 수 있고,
    상기 일반사용모드에서의 입력 사항을 상기 단말기에서 전송할 경우, 상기 입력 사항은 상기 단말기 위치정보 및 상기 고유 정보와 함께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정보통합센터(30)와 별도로 존재하는 서버(130)로 전송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험정보 수집 및 제공 시스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일반사용모드나 상기 정보제공모드에서 단순저장 버튼을 사용하여 입력 사항을 상기 단말기의 개인용 저장소에 저장할 수 있고,
    상기 긴급신고모드에서 상기 개인용 저장소에서 상기 입력 사항을 불러내어 상기 정보통합센터로 전송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험정보 수집 및 제공 시스템.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긴급신고모드에서는 상기 단말기에서 모드를 선택하는 즉시로 녹음을 포함하는 동영상촬영이 실시되고, 스트리밍 방식으로 계속 전송되거나, 일정시간마다 자동적으로 혹은 전송버튼을 누를 때에 상기 정보통합센터에 상기 단말기의 위치정보 및 고유정보와 함께 전송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험정보 수집 및 제공 시스템.
  8.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통합센터의 상기 단말기로의 정보제공은 상기 단말기 사용자의 일반적 위험정보 요청에 의해 이루어지거나 상기 정보통합센터에 의해 푸시 방식으로 이루어지는 지역별 일반적 위험정보 제공과,
    상기 긴급신고의 상황에서 상기 단말기 사용자의 요청이나 신고사항 기본 분석에 의해 이루어지는 상황별 위험정보로 구분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험정보 수집 및 제공 시스템.
  9.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제공모드나 상기 긴급신고모드에서 단순저장 버튼을 사용하여 입력 사항을 상기 단말기의 개인용 저장소에 저장할 수 있고,
    상기 긴급신고모드에서 상기 개인용 저장소에서 상기 입력 사항을 불러내어 상기 정보통합센터로 전송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험정보 수집 및 제공 시스템.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통합센터는 메인서버, 위치정보서버, 기상정보서버, 위험과 관련된 비정형 정보를 획득하여 보관하기 위한 SNS 서버, 데이터베이스 서버를 구비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데이터베이스 서버에는 상기 SNS 서버, 상기 메인 서버를 통해 들어온 신고 접수된 사항들이 자료로서 처리되고 정보로 저장되며,
    상기 위치정보서버는 상기 단말기 위치와 관련하여 외부의 위치정보 서비스 시스템으로부터 그 위치와 관련된 정보, 자료를 받을 수도 있고,
    상기 기상정보서버는 외부 기상정보 기관으로부터 기상 정보와 통계자료를 제공받을 수 있고,
    상기 SNS 서버는 외부 SNS 서비스 제공사 서버의 정보를 받아 특정 키워드 검색을 하고 결과를 통계 기법 등을 이용하여 처리하고, 결과를 상기 데이터 베이스 서버에 제공할 수 있으며,
    상기 메인 서버는 상기 단말기의 전용 프로그램 혹은 상기 전용 어플에 대응되는 호스트 프로그램을 가지고, 서버들 사이의 정보 전달, 상기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입수되는 상기 단말기의 정보 제공이나 신고의 처리를 담당하고, 상기 단말기의 신고에서 선택한 내용에 따라 상기 데이터베이스 서버의 정보를 단순 제공하거나 외부 기관 서버에 요청하여 받은 자료를 제공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험정보 수집 및 제공 시스템.
KR1020150016898A 2015-02-03 2015-02-03 위험정보 수집 및 제공 시스템 KR1017020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6898A KR101702016B1 (ko) 2015-02-03 2015-02-03 위험정보 수집 및 제공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6898A KR101702016B1 (ko) 2015-02-03 2015-02-03 위험정보 수집 및 제공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5523A true KR20160095523A (ko) 2016-08-11
KR101702016B1 KR101702016B1 (ko) 2017-02-13

Family

ID=567141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16898A KR101702016B1 (ko) 2015-02-03 2015-02-03 위험정보 수집 및 제공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02016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36332A (ko) * 2016-09-30 2018-04-09 주식회사 샛별교육연구 응급상황 발생 시에 신고를 위한 교육장치 및 방법
KR20220084997A (ko) * 2020-12-14 2022-06-21 주식회사 팀솔루션 3차원 cad 모델 기반의 네비게이션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장치
EP4231616A1 (en) * 2022-02-18 2023-08-23 Fujifilm Business Innovation Corp. Reporting apparatus, program, and method for reporting
CN117689218A (zh) * 2024-02-04 2024-03-12 成都工喜科技有限公司 一种适用于工业企业生产现场环境风险智能化管控系统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19401A (ko) 2006-08-28 2008-03-04 (주)플러스빅 실시간 재난구조 지원 시스템
KR20090000186A (ko) 2007-01-25 2009-01-07 삼성전자주식회사 증강현실을 이용한 관심 지점 표시 장치 및 방법
KR20100124947A (ko) 2009-05-20 2010-11-30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증강현실을 이용하여 휴대형 단말기에 실시간 지역정보를 제공하는 ar컨텐츠 제공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KR101166075B1 (ko) * 2011-03-25 2012-07-23 주식회사 유소프테이션 위치기반 사용자 보호 시스템 및 방법
KR20120100433A (ko) 2011-03-04 2012-09-12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사용자 정보와 3차원 지아이에스 데이터를 활용한 모바일정보 제공 시스템
KR20120114436A (ko) * 2011-03-21 2012-10-17 (주)아시아정보테크 모바일 유아이 서비스 제공방법
KR20130012430A (ko) * 2011-07-25 2013-02-04 나눔정보통신(주) 위치기반 현장위험정보 제공 및 재난대처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14021575A (ja) * 2012-07-13 2014-02-03 Hitachi Consumer Electronics Co Ltd 情報処理端末、プログラム、および、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19401A (ko) 2006-08-28 2008-03-04 (주)플러스빅 실시간 재난구조 지원 시스템
KR20090000186A (ko) 2007-01-25 2009-01-07 삼성전자주식회사 증강현실을 이용한 관심 지점 표시 장치 및 방법
KR20100124947A (ko) 2009-05-20 2010-11-30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증강현실을 이용하여 휴대형 단말기에 실시간 지역정보를 제공하는 ar컨텐츠 제공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KR20120100433A (ko) 2011-03-04 2012-09-12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사용자 정보와 3차원 지아이에스 데이터를 활용한 모바일정보 제공 시스템
KR20120114436A (ko) * 2011-03-21 2012-10-17 (주)아시아정보테크 모바일 유아이 서비스 제공방법
KR101166075B1 (ko) * 2011-03-25 2012-07-23 주식회사 유소프테이션 위치기반 사용자 보호 시스템 및 방법
KR20130012430A (ko) * 2011-07-25 2013-02-04 나눔정보통신(주) 위치기반 현장위험정보 제공 및 재난대처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14021575A (ja) * 2012-07-13 2014-02-03 Hitachi Consumer Electronics Co Ltd 情報処理端末、プログラム、および、システム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36332A (ko) * 2016-09-30 2018-04-09 주식회사 샛별교육연구 응급상황 발생 시에 신고를 위한 교육장치 및 방법
KR20220084997A (ko) * 2020-12-14 2022-06-21 주식회사 팀솔루션 3차원 cad 모델 기반의 네비게이션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장치
EP4231616A1 (en) * 2022-02-18 2023-08-23 Fujifilm Business Innovation Corp. Reporting apparatus, program, and method for reporting
CN117689218A (zh) * 2024-02-04 2024-03-12 成都工喜科技有限公司 一种适用于工业企业生产现场环境风险智能化管控系统
CN117689218B (zh) * 2024-02-04 2024-04-12 成都工喜科技有限公司 一种适用于工业企业生产现场环境风险智能化管控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02016B1 (ko) 2017-0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78537B2 (en) Emergency messaging system and method of responding to an emergency
JP6094132B2 (ja) 災害情報管理装置、災害情報システム、災害情報の管理方法、および災害情報を管理するプログラム、ならびに、携帯端末、携帯端末の制御方法、および携帯端末の動作を制御する制御プログラム
US9867023B2 (en) Emergency messaging system and method of responding to an emergency
US9554260B2 (en) System and method for distributed messaging among members of a community
US8619947B2 (en) Method and system for collecting contemporaneous information relating to an event
JP6276106B2 (ja) 意思決定支援システムおよび意思決定支援方法
KR101702016B1 (ko) 위험정보 수집 및 제공 시스템
US9569467B1 (en) Intelligent news management platform and social network
US9125008B2 (en) Providing information about mobile communication devices
Gómez et al. A review on mobile applications for citizen emergency management
JP2007164702A (ja) 防災情報共有システムとその防災情報送信端末及び防災情報処理装置
Gunawan et al. TravelThrough: a participatory-based guidance system for traveling through disaster areas
KR102013728B1 (ko) 재난 상황 정보 공유 장치 및 방법
WO2023116484A1 (zh) 视频获取方法、信息显示方法、装置、设备和介质
KR20140016714A (ko) 종교 생방송 컨텐츠 제공 장치 및 방법
JP6816909B1 (ja) 避難誘導システム、避難誘導方法、および、眼鏡型ディスプレイ
JP6609999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提供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2223984B1 (ko) 추천 문구 따라 쓰기 시스템
AU2015238783A1 (en) Event response management method and apparatus
KR102157330B1 (ko) 렌티큘러를 이용한 위치정보 제공 시스템 및 위치정보 제공 방법
US20220335810A1 (en) Method and system for locating one or more users in an emergency
Foster Mobile Communications and Decision Support Applications
Zeitz et al. Designing an optimized alert system based on geospatial location data
US20170265161A1 (en)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display control method, and display control device
Ceran A Context aware emergency management system using mobile comput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