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13728B1 - 재난 상황 정보 공유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재난 상황 정보 공유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13728B1
KR102013728B1 KR1020180157879A KR20180157879A KR102013728B1 KR 102013728 B1 KR102013728 B1 KR 102013728B1 KR 1020180157879 A KR1020180157879 A KR 1020180157879A KR 20180157879 A KR20180157879 A KR 20180157879A KR 102013728 B1 KR102013728 B1 KR 1020137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information
user device
image information
us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578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아롱
이준우
박진이
손수진
윤훈주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행정안전부 국립재난안전연구원장)
주식회사 선도소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행정안전부 국립재난안전연구원장), 주식회사 선도소프트 filed Critical 대한민국(행정안전부 국립재난안전연구원장)
Priority to KR10201801578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372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37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37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재난 상황 정보 공유 장치 및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난 상황 정보 공유 장치는, 사용자의 사용자 장치로 지도 및 재난 관리 메뉴를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부, 상기 사용자 장치로부터 상기 지도 내 특정 영역에 대한 이미지 정보 및 상기 특정 영역에 대한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정보 수신부 및 상기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하나 이상의 타 사용자의 사용자 장치에 표시된 지도에서 상기 특정 영역에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이미지 정보가 표시되도록 상기 하나 이상의 타 사용자의 사용자 장치로 상기 이미지 정보를 제공하는 이미지 정보 제공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재난 상황 정보 공유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SHARING DISASTER SITUATION INFORMATION}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재난 상황 정보 공유 기술과 관련된다.
재난 상황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사용자 사이에 재난 상황 정보를 공유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이때, 지리정보시스템(GIS: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에서 원거리에 위치한 사용자와 재난 상황 정보를 공유하기 위해서는 현재 지도상에 표시되는 정보를 캡쳐하여 타 사용자에게 전송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이다.
따라서, 사용자의 사용자 장치에 표시된 재난 상황 정보에 대한 시각화 정보를 원거리에 위치한 타 사용자의 사용자 장치로 전송하여 타 사용자의 사용자 장치에서도 동일한 위치에 표시된 시각화 정보를 제공하는 기술이 요구된다.
한국등록특허 제10-1263291호 (2013.05.10. 공고)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재난 상황 정보 공유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난 상황 정보 공유 장치는, 사용자의 사용자 장치로 지도 및 재난 관리 메뉴를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부, 상기 사용자 장치로부터 상기 지도 내 특정 영역에 대한 이미지 정보 및 상기 특정 영역에 대한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정보 수신부 및 상기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하나 이상의 타 사용자의 사용자 장치에 표시된 지도에서 상기 특정 영역에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이미지 정보가 표시되도록 상기 하나 이상의 타 사용자의 사용자 장치로 상기 이미지 정보를 제공하는 이미지 정보 제공부를 포함한다.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부는, 타 사용자 리스트를 상기 사용자의 사용자 장치로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정보 수신부는, 상기 사용자의 사용자 장치로부터 상기 타 사용자 리스트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상기 하나 이상의 타 사용자에 대한 사용자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이미지 정보 제공부는, 상기 사용자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타 사용자의 사용자 장치로 알림 메시지를 제공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타 사용자의 사용자 장치로부터 상기 알림 메시지에 대응되는 이미지 정보 표시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이미지 정보를 상기 하나 이상의 타 사용자의 사용자 장치로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난 상황 정보 공유 방법은, 사용자의 사용자 장치로 지도 및 재난 관리 메뉴를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장치로부터 상기 지도 내 특정 영역에 대한 이미지 정보 및 상기 특정 영역에 대한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하나 이상의 타 사용자의 사용자 장치에 표시된 지도에서 상기 특정 영역에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이미지 정보가 표시되도록 상기 하나 이상의 타 사용자의 사용자 장치로 상기 이미지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는, 타 사용자 리스트를 상기 사용자의 사용자 장치로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사용자 장치로부터 상기 타 사용자 리스트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상기 하나 이상의 타 사용자에 대한 사용자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이미지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타 사용자의 사용자 장치로 알림 메시지를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하나 이상의 타 사용자의 사용자 장치로부터 상기 알림 메시지에 대응되는 이미지 정보 표시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이미지 정보를 상기 하나 이상의 타 사용자의 사용자 장치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사용자의 사용자 장치에 표시된 재난 상황에 대한 정보를 하나 이상의 타 사용자의 사용자 장치로 제공함으로써 복수의 사용자 간에 정보 공유를 원활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하나 이상의 타 사용자의 사용자 장치로 재난 상황에 대한 시각적 정보를 재난이 발생한 위치에 대한 위치 정보와 함께 제공함으로써 재난 상황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난 상황 정보 공유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난 상황 정보 공유 장치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나 이상의 타 사용자에 대한 사용자 정보를 수신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정보를 제공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난 상황 정보 공유 방법의 순서도
도 6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사용되기에 적합한 컴퓨팅 장치를 포함하는 컴퓨팅 환경을 예시하여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방법, 장치 및/또는 시스템에 대한 포괄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된다. 그러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상세한 설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기술하기 위한 것이며, 결코 제한적이어서는 안 된다. 명확하게 달리 사용되지 않는 한, 단수 형태의 표현은 복수 형태의 의미를 포함한다. 본 설명에서, "포함" 또는 "구비"와 같은 표현은 어떤 특성들, 숫자들, 단계들, 동작들, 요소들, 이들의 일부 또는 조합을 가리키기 위한 것이며, 기술된 것 이외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성, 숫자, 단계, 동작, 요소, 이들의 일부 또는 조합의 존재 또는 가능성을 배제하도록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난 상황 정보 공유 시스템(100)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재난 상황 정보 공유 시스템(100)은 사용자 장치(110) 및 재난 관리 서버(12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재난 상황 정보 공유 시스템(100)은 사용자 장치(110)에 설치된 재난 상황 정보 공유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사용자 장치(110)로 재난 상황 정보 공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재난 상황 정보 공유 애플리케이션은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재난 관리 서버(120)와 연계하여 사용자에게 재난 상황 정보 공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프로그램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재난 상황 정보 공유 애플리케이션은 재난 관리 서버(120)와 통신하면서 재난 상황에 대한 사진, 동영상, 재난 상황 정보 디스플레이 등 다양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재난 상황 정보 공유 애플리케이션과 재난 관리 서버(120) 사이의 역할 분담은 실시예에 따라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 장치(110)는 개인용 컴퓨터(Personal Computer), 랩탑 컴퓨터(Laptop Computer), 스마트폰(Smart Phone), 타블릿(Tablet) PC 등과 같이 디스플레이 수단, 음성처리 수단, 정보처리 수단 및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한 데이터 통신 수단을 구비한 다양한 형태의 장치들을 포함할 수 있다.
재난 관리 서버(120)는 재난 상황 정보, 재난 발생 이력 정보, 재난 대응 정보, 재난 시뮬레이션 정보 등과 같이 재난과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저장하는 하나 이상의 서버일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난 상황 정보 공유 장치(200)의 구성도이다.
도 2에 도시된 재난 상황 정보 공유 장치(200)는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재난 관리 서버(120)에 포함된 일 구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재난 상황 정보 공유 장치(20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부(210), 정보 수신부(220) 및 이미지 정보 제공부(230)를 포함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부(210)는 재난 현장에 있는 사용자의 사용자 장치로 지도 및 재난 관리 메뉴를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지도는 대한민국에 존재하는 특별시, 광역시 등과 같은 행정 구역을 표시한 것일 뿐만 아니라, 대한민국 이외의 국가, 섬, 바다 등을 표시한 것일 수 있다.
재난 관리 메뉴는 과거 재난 발생 이력, 폭염/한파 예보 지수, 재난 경보 현황, 재난 위험 지역 등과 같이 재난과 관련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재난 관리 메뉴는 타 사용자 리스트 제공 기능, 재난 상황 정보 제공 기능 등과 같이 사용자 편의와 관련된 다양한 기능들을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예를 들어, 사용자와 사용자 장치가 상호 작용하도록 하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 Graphical User Interface)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마우스, 터치 스크린 등과 같은 입력 수단을 통해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포함된 재난 관리 메뉴 아이콘을 선택하여 재난 관리 메뉴에서 수행하는 기능들을 실행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부(220)는 타 사용자 리스트를 사용자의 사용자 장치로 제공할 수 있다. 이때, 타 사용자 리스트는 타 사용자의 ID, 이름 등과 같이 하나 이상의 타 사용자에 대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정보 수신부(220)는 사용자 장치로부터 지도 내 특정 영역에 대한 이미지 정보 및 특정 영역에 대한 위치 정보를 수신한다. 이때, 특정 영역은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포함된 지도 내에서 사용자의 사용자 장치의 화면에 표시된 지도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특정 영역에 대한 이미지 정보는 사용자에 의해 캡쳐된 사용자의 사용자 장치의 화면에 대한 이미지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포함된 화면 캡쳐 기능을 실행하여 사용자의 사용자 장치의 화면을 캡쳐함으로써 특정 영역에 대한 이미지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한편, 특정 영역은 사용자에 의해 영역의 크기가 조절될 수 있다.
위치 정보는 경도, 위도 등과 같이 위치를 나타내는 좌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위치 정보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포함된 지도 내에서 사용자의 사용자 장치에 표시된 특정 영역의 위치에 대한 정보일 수 있다. 한편, 위치 정보는 예를 들어, 사용자 장치에 포함된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기능을 통해 획득되거나 사용자 장치를 통한 사용자의 입력에 의해 획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정보 수신부(220)는 사용자의 사용자 장치로부터 타 사용자 리스트에 기초하여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하나 이상의 타 사용자에 대한 사용자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나 이상의 타 사용자에 대한 사용자 정보를 수신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재난 관리 메뉴에 포함된 화면 캡쳐 기능을 이용하여 특정 영역에 대한 이미지 정보(310)를 생성한 후 사용자 장치의 화면에 표시된 타 사용자 리스트(320) 중 이미지 정보를 공유할 하나 이상의 타 사용자를 선택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가 하나 이상의 타 사용자를 선택한 경우, 정보 수신부(220)는 사용자의 사용자 장치로부터 하나 이상의 타 사용자에 대한 ID, 이름 등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타 사용자에 대한 사용자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미지 정보 제공부(230)는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하나 이상의 타 사용자의 사용자 장치에 표시된 지도에서 특정 영역에 대응되는 위치에 이미지 정보가 표시되도록 하나 이상의 타 사용자의 사용자 장치로 이미지 정보를 제공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정보를 제공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 및 4를 참조하면, 정보 수신부(220)는 사용자의 사용자 장치로부터 재난 관리 메뉴에 포함된 화면 캡쳐 기능을 이용하여 사용자에 의해 생성된 특정 영역에 대한 이미지 정보(310)를 수신할 수 있다. 이후, 이미지 정보 제공부(230)는 특정 영역에 대한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하나 이상의 타 사용자의 사용자 장치에 표시된 지도에서 특정 영역에 대응되는 위치에 이미지 정보(410)가 표시되도록 하나 이상의 타 사용자의 사용자 장치로 이미지 정보(410)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이미지 정보 제공부(230)는 사용자 정보에 기초하여 하나 이상의 타 사용자의 사용자 장치로 알림 메시지를 제공하고, 하나 이상의 타 사용자의 사용자 장치로부터 알림 메시지에 대응되는 이미지 정보 표시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이미지 정보를 하나 이상의 타 사용자의 사용자 장치로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알림 메시지는 사용자에 의해 특정 영역에 대한 이미지 정보를 제공받는 하나 이상의 타 사용자로 선택되었음을 알리기 위한 메시지를 포함할 수 있다. 알림 메시지는 사용자 장치의 화면에 표시된 문자, 숫자, 그림 등과 같은 시각적 수단뿐만 아니라, 알림음, 진동 등과 같은 청각적 수단 및 촉각적 수단을 통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알림 메시지는 디스플레이 장치, 스피커 등과 같이 사용자 장치에 포함된 출력 수단을 이용하여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보 수신부(220)가 특정 영역에 대한 이미지 정보를 제공할 하나 이상의 타 사용자에 대한 사용자 정보를 수신한 후, 이미지 정보 제공부(230)는 수신한 사용자 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하나 이상의 타 사용자의 사용자 장치로 알림 메시지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하나 이상의 타 사용자가 알림 메시지를 확인한 후 자신의 사용자 장치를 이용하여 제공받은 이미지 정보에 대한 이미지 정보 표시 요청 기능을 실행하는 경우, 정보 수신부(230)는 하나 이상의 타 사용자의 사용자 장치로부터 이미지 정보 표시 요청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이후, 이미지 정보 제공부(230)는 사용자의 사용자 장치로부터 수신한 특정 영역에 대한 이미지 정보를 하나 이상의 타 사용자의 사용자 장치로 제공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난 상황 정보 공유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방법은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재난 상황 정보 공유 장치(20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재난 상황 정보 공유 장치(200)는 사용자의 사용자 장치로 지도 및 재난 관리 메뉴를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510).
이때, 재난 상황 정보 공유 장치(200)는 타 사용자 리스트를 사용자의 사용자 장치로 제공할 수 있다.
이후, 재난 상황 정보 공유 장치(200)는 사용자 장치로부터 지도 내 특정 영역에 대한 이미지 정보 및 특정 영역에 대한 위치 정보를 수신한다(520).
이때, 재난 상황 정보 공유 장치(200)는 사용자의 사용자 장치로부터 타 사용자 리스트에 기초하여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타 사용자에 대한 사용자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후, 재난 상황 정보 공유 장치(200)는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하나 이상의 타 사용자의 사용자 장치에 표시된 지도에서 특정 영역에 대응되는 위치에 이미지 정보가 표시되도록 하나 이상의 타 사용자의 사용자 장치로 이미지 정보를 제공한다(530).
이때, 재난 상황 정보 공유 장치(200)는 사용자 정보에 기초하여 하나 이상의 타 사용자의 사용자 장치로 알림 메시지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재난 상황 정보 공유 장치(200)는 하나 이상의 타 사용자의 사용자 장치로부터 알림 메시지에 대응되는 이미지 정보 표시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이미지 정보를 하나 이상의 타 사용자의 사용자 장치로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순서도에서는 상기 방법을 복수 개의 단계로 나누어 기재하였으나, 적어도 일부의 단계들은 순서를 바꾸어 수행되거나, 다른 단계와 결합되어 함께 수행되거나, 생략되거나, 세부 단계들로 나뉘어 수행되거나, 또는 도시되지 않은 하나 이상의 단계가 부가되어 수행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사용되기에 적합한 컴퓨팅 장치를 포함하는 컴퓨팅 환경을 예시하여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각 컴포넌트들은 이하에 기술된 것 이외에 상이한 기능 및 능력을 가질 수 있고, 이하에 기술되지 것 이외에도 추가적인 컴포넌트를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된 컴퓨팅 환경(10)은 컴퓨팅 장치(12)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컴퓨팅 장치(12)는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부(210), 정보 수신부(220) 및 이미지 정보 제공부(230)와 같이 재난 상황 정보 공유 장치(200)에 포함되는 하나 이상의 컴포넌트일 수 있다.
컴퓨팅 장치(12)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4),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16) 및 통신 버스(18)를 포함한다. 프로세서(14)는 컴퓨팅 장치(12)로 하여금 앞서 언급된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동작하도록 할 수 있다. 예컨대, 프로세서(14)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16)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들을 실행할 수 있다.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들은 하나 이상의 컴퓨터 실행 가능 명령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컴퓨터 실행 가능 명령어는 프로세서(14)에 의해 실행되는 경우 컴퓨팅 장치(12)로 하여금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동작들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16)는 컴퓨터 실행 가능 명령어 내지 프로그램 코드, 프로그램 데이터 및/또는 다른 적합한 형태의 정보를 저장하도록 구성된다.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16)에 저장된 프로그램(20)은 프로세서(14)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의 집합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16)는 메모리(랜덤 액세스 메모리와 같은 휘발성 메모리, 비휘발성 메모리, 또는 이들의 적절한 조합), 하나 이상의 자기 디스크 저장 디바이스들, 광학 디스크 저장 디바이스들, 플래시 메모리 디바이스들, 그 밖에 컴퓨팅 장치(12)에 의해 액세스되고 원하는 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다른 형태의 저장 매체, 또는 이들의 적합한 조합일 수 있다.
통신 버스(18)는 프로세서(14),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16)를 포함하여 컴퓨팅 장치(12)의 다른 다양한 컴포넌트들을 상호 연결한다.
컴퓨팅 장치(12)는 또한 하나 이상의 입출력 장치(24)를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하나 이상의 입출력 인터페이스(22) 및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통신 인터페이스(26)를 포함할 수 있다. 입출력 인터페이스(22) 및 네트워크 통신 인터페이스(26)는 통신 버스(18)에 연결된다. 입출력 장치(24)는 입출력 인터페이스(22)를 통해 컴퓨팅 장치(12)의 다른 컴포넌트들에 연결될 수 있다. 예시적인 입출력 장치(24)는 포인팅 장치(마우스 또는 트랙패드 등), 키보드, 터치 입력 장치(터치패드 또는 터치스크린 등), 음성 또는 소리 입력 장치, 다양한 종류의 센서 장치 및/또는 촬영 장치와 같은 입력 장치, 및/또는 디스플레이 장치, 프린터, 스피커 및/또는 네트워크 카드와 같은 출력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입출력 장치(24)는 컴퓨팅 장치(12)를 구성하는 일 컴포넌트로서 컴퓨팅 장치(12)의 내부에 포함될 수도 있고, 컴퓨팅 장치(12)와는 구별되는 별개의 장치로 컴퓨팅 장치(12)와 연결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대표적인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 컴퓨팅 환경
12: 컴퓨팅 장치
14: 프로세서
16: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
18: 통신 버스
20: 프로그램
22: 입출력 인터페이스
24: 입출력 장치
26: 네트워크 통신 인터페이스
100: 재난 상황 정보 공유 시스템
110: 사용자 장치
120: 재난 관리 서버
200: 재난 상황 정보 공유 장치
210: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부
220: 정보 수신부
230: 이미지 정보 제공부

Claims (8)

  1.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및
    하나 이상의 통신 인터페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는,
    상기 하나 이상의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의 사용자 장치로 지도 및 재난 관리 메뉴를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사용자 장치로부터 상기 지도 내 특정 영역에 대한 이미지 정보 및 상기 특정 영역에 대한 위치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하나 이상의 타 사용자의 사용자 장치에 표시된 지도에서 상기 특정 영역에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이미지 정보가 표시되도록 상기 하나 이상의 타 사용자의 사용자 장치로 상기 이미지 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특정 영역은, 상기 지도 내에서 상기 사용자 장치의 화면에 표시된 지도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이미지 정보는, 상기 사용자에 의해 캡쳐된 상기 사용자 장치의 화면에 대한 이미지를 포함하고,
    상기 위치 정보는, 상기 지도 내에서 상기 특정 영역의 위치에 대한 정보인 재난 상황 정보 공유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는, 상기 하나 이상의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타 사용자 리스트를 상기 사용자의 사용자 장치로 제공하는 재난 상황 정보 공유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는, 상기 하나 이상의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사용자의 사용자 장치로부터 상기 타 사용자 리스트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상기 하나 이상의 타 사용자에 대한 사용자 정보를 수신하는 재난 상황 정보 공유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는, 상기 하나 이상의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사용자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타 사용자의 사용자 장치로 알림 메시지를 제공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타 사용자의 사용자 장치로부터 상기 알림 메시지에 대응되는 이미지 정보 표시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이미지 정보를 상기 하나 이상의 타 사용자의 사용자 장치로 제공하는 재난 상황 정보 공유 장치.
  5.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및
    하나 이상의 통신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재난 상황 정보 공유 장치의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재난 상황 정보 공유 방법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의 사용자 장치로 지도 및 재난 관리 메뉴를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하나 이상의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사용자 장치로부터 상기 지도 내 특정 영역에 대한 이미지 정보 및 상기 특정 영역에 대한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하나 이상의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하나 이상의 타 사용자의 사용자 장치에 표시된 지도에서 상기 특정 영역에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이미지 정보가 표시되도록 상기 하나 이상의 타 사용자의 사용자 장치로 상기 이미지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특정 영역은, 상기 지도 내에서 상기 사용자 장치의 화면에 표시된 지도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이미지 정보는, 상기 사용자에 의해 캡쳐된 상기 사용자 장치의 화면에 대한 이미지를 포함하고,
    상기 위치 정보는, 상기 지도 내에서 상기 특정 영역의 위치에 대한 정보인 재난 상황 정보 공유 방법.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하나 이상의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타 사용자 리스트를 상기 사용자의 사용자 장치로 제공하는 재난 상황 정보 공유 방법.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하나 이상의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사용자의 사용자 장치로부터 상기 타 사용자 리스트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상기 하나 이상의 타 사용자에 대한 사용자 정보를 수신하는 재난 상황 정보 공유 방법.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하나 이상의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
    상기 사용자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타 사용자의 사용자 장치로 알림 메시지를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하나 이상의 타 사용자의 사용자 장치로부터 상기 알림 메시지에 대응되는 이미지 정보 표시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이미지 정보를 상기 하나 이상의 타 사용자의 사용자 장치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재난 상황 정보 공유 방법.
KR1020180157879A 2018-12-10 2018-12-10 재난 상황 정보 공유 장치 및 방법 KR1020137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7879A KR102013728B1 (ko) 2018-12-10 2018-12-10 재난 상황 정보 공유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7879A KR102013728B1 (ko) 2018-12-10 2018-12-10 재난 상황 정보 공유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13728B1 true KR102013728B1 (ko) 2019-08-23

Family

ID=677637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7879A KR102013728B1 (ko) 2018-12-10 2018-12-10 재난 상황 정보 공유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1372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9621B1 (ko) * 2020-07-31 2022-01-11 우경석 C2c 기반 실시간 상황공유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570400B1 (ko) 2023-01-20 2023-08-28 (주)위니텍 재난정보 자동 수집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3291B1 (ko) 2012-06-21 2013-05-10 주식회사 포드림 목조전통건축물 재난 상황 조기 경보 시스템
KR20150005232A (ko) * 2013-07-05 2015-01-14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재난 신고 시스템
JP2016128960A (ja) * 2015-01-09 2016-07-14 日本ユニシス株式会社 災害情報共有化システム
JP2018195966A (ja) * 2017-05-17 2018-12-06 株式会社 ゼネテック 情報送信システム、サーバー、及び携帯端末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3291B1 (ko) 2012-06-21 2013-05-10 주식회사 포드림 목조전통건축물 재난 상황 조기 경보 시스템
KR20150005232A (ko) * 2013-07-05 2015-01-14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재난 신고 시스템
JP2016128960A (ja) * 2015-01-09 2016-07-14 日本ユニシス株式会社 災害情報共有化システム
JP2018195966A (ja) * 2017-05-17 2018-12-06 株式会社 ゼネテック 情報送信システム、サーバー、及び携帯端末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9621B1 (ko) * 2020-07-31 2022-01-11 우경석 C2c 기반 실시간 상황공유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570400B1 (ko) 2023-01-20 2023-08-28 (주)위니텍 재난정보 자동 수집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02667B1 (ko) 지오펜스를 이용하는 시스템 및 방법
US20180041685A1 (en) Obtaining camera device image data representing an event
US20140222929A1 (en) System, Method And Device For Creation And Notification Of Contextual Messages
KR102013150B1 (ko) 재난 현장 정보 공유 장치 및 방법
US20170011359A1 (en) Device maintenance server and device maintenance system
US20220100335A1 (en) Assistive Screenshots
US20160004723A1 (en) Providing Geographically Relevant Information to Users
US20190377752A1 (en) Micro-location based photograph metadata
JP2021184647A (ja) 位置離脱による通知を提供する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KR101702773B1 (ko) 통신 세션상에서 이미지를 이용하여 위치정보를 제공하는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US20230140529A1 (en) Event verification engine
US20220369925A1 (en) System and method for identifying a disease affected area
KR102013728B1 (ko) 재난 상황 정보 공유 장치 및 방법
US20210084000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location-based messaging
US20170230786A1 (en) Tracking a plurality of associated registered users to communicate with a selected associated registered user within the vicinity of a person in distress during an emergency situation
US20180068400A1 (en) Property Listing System and Method
KR101702016B1 (ko) 위험정보 수집 및 제공 시스템
US10922320B2 (en) System and method for anonymizing address data
US20190102847A1 (en) System and method for connecting a potential buyer and an available realtor in real time
WO2016163871A1 (en) Distress signal disseminating system and method
JP2007192549A (ja) インセンティブ付き経路支援方法
JP2018163486A (ja) 報知システム、管理装置、端末装置、報知方法、及び報知プログラム
JP6500391B2 (ja) 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システム
KR20160113072A (ko) 메신저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
Garg et al. GEO Alert a Location Based Alarm System Using GPS in Androi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