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63291B1 - 목조전통건축물 재난 상황 조기 경보 시스템 - Google Patents

목조전통건축물 재난 상황 조기 경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63291B1
KR101263291B1 KR1020120066528A KR20120066528A KR101263291B1 KR 101263291 B1 KR101263291 B1 KR 101263291B1 KR 1020120066528 A KR1020120066528 A KR 1020120066528A KR 20120066528 A KR20120066528 A KR 20120066528A KR 101263291 B1 KR101263291 B1 KR 1012632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time period
sensor
disaster
valu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665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원국
신진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드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드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드림
Priority to KR10201200665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6329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32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3291B1/ko
Priority to CN201380031970.1A priority patent/CN104395942B/zh
Priority to JP2014558694A priority patent/JP5883162B2/ja
Priority to PCT/KR2013/005469 priority patent/WO2013191496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1/00Predictive alarm systems characterised by extrapolation or other computation using updated historic data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06Electric actuation of the alarm, e.g. using a thermally-operated switch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10Actuation by presence of smoke or gases, e.g. automatic alarm devices for analysing flowing fluid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Abstract

본 발명은 재난 상황이 발생할 경우에는 재난이 발생하기 직전에 환경변화가 발생하게 되고 상기 환경변화를 센서를 통해 데이터를 수집하여 미연에 재난 발생 요소를 제거하여 재난을 방지하기 위한 목조전통건축물 재난 상황 조기 경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에 따른, 본 발명은 재난이 발생할 우려가 있는 정보를 데이터화하여 센서로부터 수집하고 수집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재난이 발생될 수 있는 요소를 미연에 판단하여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목조전통건축물 재난 상황 조기 경보 시스템 {Early warning system for disaster situation of wood traditional building}
본 발명은 목조전통건축물 재난 상황 조기 경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재난 상황이 발생할 경우에는 재난이 발생하기 직전에 환경변화가 발생하게 되고 상기 환경변화를 센서를 통해 데이터를 수집하여 미연에 재난 발생 요소를 제거하여 재난을 방지하기 위한 목조전통건축물 재난 상황 조기 경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술로서, 도 1은 종래의 재난관리 시스템 구성도로서, 상기 재난관리 시스템은 소방 시설 장치군(10)과 영상 시설 장치군(20) 및 제어장치(30)로 구성되어 재난관리를 시행하고 있었다.
더욱 상세하게, 상기 소방 시설 장치군(10)은 연기센서, 불꽃감지센서, 열감지센서와 같은 센서를 이용하여 감지된 데이터를 제어장치(30)로 전달하고, 영상 시설 장치군(20)은 침입자를 감시하기 위하여 CCTV와 같은 촬영기기로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을 제어장치(30)로 전달한다.
이와 같은 종래의 재난관리 시스템은 목조건축문화재인 경우에, 지능화된 초기 재난 정보 인지 능력이 취약하여 화재 등 각종 재난 발생 시 현장 출동 지연으로 목조건축문화재 대부분이 완전 소실될 우려가 매우 많이 있었다.
특히, 목조양식의 건축문화재는 소방관계법규상 건축물 규정에 적용되지 않기 때문에 착화빈도와 화재위험이 일반 건축물보다 높은 실정임에도 건물 내부에 적용되는 지능형 감지 설비의 부족으로 화재 대응이 취약한 상황이다.
예컨대, 상기 종래의 재난관리 시스템은 사찰에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 상기 사찰에서 행해지는 각종 종교행사나 생활요인에 의해서 화재로 오인되는 감지시설 오작동이 빈번히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일례로 사찰의 사람들이 많이 동원되는 연등행사로 인하여 발생되는 먼지에 의해서 연기센서가 동작하거나 외부인 출입에 따른 인체감지센서가 동작하게 되면 감지된 정보가 소방서, 경찰서 등에 지속적으로 전달된다. 이는 재난 상황이 아님에도 불구하고 화재정보가 전달되기 때문에 재난방지 관리자가 현장상황에 대해서 긴장감이 늦춰지게 되고 실제 재난 상황이 발생된 경우에 즉각 대처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결과적으로 목조전통건축물 현재의 상황에 대한 재난위험 여부를 정확히 분석한 정보를 이용하여 재난방지를 적극적으로 재난 상황에 맞게 대처할 수 있는 분석 시스템이 없었다.
특히, 목조건축문화재에서 발생하는 화재의 경우는 화원발생 후 5분이 지나면 화재 진압이 매우 어려울 뿐만 아니라, 이미 문화재의 많은 부분이 소실됨으로 종래의 기술에 의해서는 화원의 발생을 확인한 후에 화재를 진압하려는 것일 뿐, 화원이 발생할 수 있는 요소를 극초기에 분석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재난이 발생될 우려가 있는 요소에 대한 데이터를 수집하여 재난이 발생할 수 있는 요소를 미연에 예측하여 재난을 방지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목조전통건축물 재난 상황 조기 경보 시스템은 설정된 제 1 시간주기마다 제 1 데이터를 생성하는 센서와; 상기 설정된 제 1 시간주기마다 생성된 다수의 제 1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수신된 다수의 제 1 데이터 각각에 대하여 바로 전 제 1 시간주기에서 측정된 제 2 데이터와 비교하여 구해진 다수의 제 1 차이값 중에서 가장 큰 차이값을 갖는 제 2 차이값을 설정값으로 설정하는 설정부, 사용자에 의해서 제 2 시간주기가 입력되는 입력부, 상기 설정부에 설정된 설정값을 수신하고 상기 입력부에 의해서 입력된 제 2 시간주기가 센서에 전송됨에 따라 상기 제 2 시간주기에 의하여 상기 센서가 생성한 다수의 제 3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된 제 3 데이터 각각에 대하여 바로 전 제 2 시간주기에서 측정된 제 4 데이터와 비교하여 구해진 다수의 제 2 차이값과 상기 설정값을 각각 비교하여 상기 설정값보다 높은 경우의 제 2 차이값에 대하여 재난요소가 발생하였다는 분석데이터를 생성하는 분석부, 상기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제 2 시간주기를 센서에 전송하고 상기 분석부를 통해 생성된 분석데이터를 관리자 단말기에 전송하는 전송부로 구성된 서버로 이루어진 것을 해결 수단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목조전통건축물 재난 상황 조기 경보 시스템은 설정된 제 1 시간주기마다 제 1 데이터를 생성하는 제 1 센서와; 상기 설정된 제 1 시간주기마다 제 2 데이터를 생성하는 제 2 센서와; 상기 생성된 제 1, 2 데이터를 동일한 제 1 시간주기끼리 묶어 다수의 쌍을 이루어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쌍을 이룬 제 1, 2 데이터 각각에 대하여 제 1 차이값을 구하여 가장 큰 차이값을 설정값으로 설정하는 설정부, 사용자에 의해서 제 2 시간주기가 입력되는 입력부, 상기 설정부에 설정된 설정값을 수신하고 상기 입력부에 의해서 입력된 제 2 시간주기가 상기 제 1, 2 센서에 전송됨에 따라 상기 제 2 시간주기에서 제 1 센서에 의해 생성된 다수의 제 3 데이터와 제 2 센서에 의해 생성된 다수의 제 4 데이터가 동일한 제 2 시간주기끼리 묶어 제 3, 4 데이터 각각에 대하여 제 2 차이값을 구하고 상기 각각의 제 2 차이값과 상기 설정값을 비교하여 상기 설정값보다 높은 경우의 임의의 제 2 차이값에 대하여 재난요소가 발생하였다는 분석데이터를 생성하는 분석부, 상기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제 2 시간주기를 센서에 전송하고 상기 분석부를 통해 생성된 분석데이터를 관리자 단말기에 전송하는 전송부로 구성된 서버로 이루어진 것을 해결 수단으로 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재난이 발생할 우려가 있는 정보를 데이터화하여 센서로부터 수집하고 수집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재난이 발생될 수 있는 요소를 미연에 판단하여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재난관리 시스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목조전통건축물 재난 상황 조기 경보 시스템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서버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설정값 측정을 위한 예시 그래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센서 배치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재난 판단을 위한 예시 그래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목조전통건축물 재난 상황 조기 경보 시스템 예시도
이하, 본 발명의 최적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그 구성 및 작용을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목조전통건축물 재난 상황 조기 경보 시스템 구성도로서, 상기 목조전통건축물 재난상황 조기 알림 시스템은 센서(100)와 서버(200)로 이루어진다.
더욱 상세하게, 상기 센서(100)는 설정된 제 1 시간주기마다 제 1 데이터를 생성한다.
예컨대, 상기 센서(100)가 온도센서라고 가정하면, 상기 온도센서는 실시간으로 온도를 감지하지만, 설정된 시간주기 예를 들어 1분 주기라면 상기 1분 주기별로 측정된 온도값이 데이터화되어 1분 주기별로 제 1 데이터들을 생성하고 생성된 제 1 데이터들은 서버(200)에 전송된다.
이때, 1분 주기인 경우는 상기 서버(200)에 시간주기 1분이 입력되면 상기 센서(100)는 1분마다 제 1 데이터를 생성하며 1시간이 60분에 해당함으로 60개의 제 1 데이터를 생성하여 상기 서버(200)에 전송하고 1분 시간주기로 하루면 1440개의 데이터를 생성하여 상기 서버(200)에 전송하는 것이다.
한편, 센서(100)는 재난을 감지할 수 있는 센서들이 바람직하고, 대표적으로 온도센서, 연기센서, 습도센서 중 어느 하나가 바람직하고, 침입자 감지를 위한 인체감지센서가 온도센서와 함께, 상기 인체감지센서가 연기센서와 함께, 상기 인체감지센서가 습도센서와 함께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함은 물론 상기 온도센서, 연기센서, 습도센서 중 둘 이상의 센서를 포함되게 구성한 후 인체감지센서가 함께 구성되는 것도 바람직하다.
이는 침입자가 목조건축물 내부에 들어와 방화와 같은 행위에 대처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상기 센서(100)는 서버(200)와 데이터통신을 수행한다.
상기 서버(2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신부(210)와 설정부(220)와 입력부(230), 분석부(240) 및 전송부(250)로 이루어진다.
더욱 상세하게, 상기 서버(200)의 수신부(210)는 상기 설정된 제 1 시간주기 마다 생성된 다수의 제 1 데이터를 수신한다.
또한, 상기 수신부(210)는 제 2 시간주기에 의해서 생성된 제 3 데이터를 수신하며, 제 2 시간주기에 의해서 생성된 제 3 데이터는 이하, 분석부(240)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서버(200)의 설정부(220)는 상기 수신된 다수의 제 1 데이터 각각에 대하여 바로 전 제 1 시간주기에서 측정된 제 2 데이터와 비교하여 구해진 다수의 제 1 차이값 중에서 가장 큰 차이값을 갖는 제 2 차이값을 설정값으로 설정한다.
예컨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도 4의 그래프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다수의 제 1 데이터는 A'데이터, B'데이터, C'데이터, D'데이터, E'데이터라 가정하고 상기 A'데이터, B'데이터, C'데이터, D'데이터, E'데이터는 시간정보와 측정된 값(온도값)을 갖는다.
즉, A' 데이터는 10℃와 30분이라는 정보를 갖고 있고 B'데이터는 12℃와 31분이라는 정보를 갖고 있고 C'데이터는 16℃와 32분이라는 정보를 갖고 있고 D'데이터는 14℃와 33분이라는 정보를 갖고 있으며, E'데이터는 12℃와 34분이라는 정보를 갖는다.
이때, A', B', C', D', E' 각각의 데이터는 시간축으로 1분의 시간주기에 따라 A', B', C', D', E' 데이터와 같은 제 1 데이터를 생성함에 있어서, 상기 임의의 제 1 데이터가 B'라 가정하면 바로 전 제 1 시간주기에서 수집된 제 2 데이터는 A'가 되는 바, B'에서 측정된 온도값이 12℃이고 A'에서 측정된 온도값이 10℃ 임으로 제 1 차이값은 2℃가 된다.
이와 같은 과정을 반복하면 C'와 B' 차이값은 4℃가 되고 D'와 C' 차이값은 2℃가 되고 E'와 D' 차이값은 2℃가 되며 이러한 다수개의 제 1 차이값 중에서 가장 큰 차이값을 갖는 제 2 차이값 즉, C'와 B'의 4℃가 설정값으로 설정되는 것이다.
상기 설정값을 설정하는 이유는 재난, 예를 들어 화재와 같은 재난의 경우에 화원이 발생되면 목조건축문화재는 5분이 지나면 감당하기 어려울 정도로 목조건축문화재가 훼손되기 때문에 상기 화원과 같은 재난요소가 있는지 화원발생 5분 전에 미리 판별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설정값을 생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과 온도센서를 이용하여 대한민국 경상북도 안동 도산서원을 대상으로 측정한 결과에 의하면 시간주기 1분당 최고 1.6℃ 오른 경우가 있고, 대부분 1.0℃ 정도가 평균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상기 1분당 최고 1.6℃ 오른 경우는 도산서원에서 특별한 행사로 인하여 난방시설, 조리시설 등 온도가 오를 수 있는 요소들이 작용하였던 것으로 분석되었지만 결국, 화재가 발생할 수 있는 최소한의 요소가 나타나더라도 즉각 그 상황을 대처하기 위한 것이기 때문에 설정값을 제 1 차이값 중에서 가장 큰 차이값을 갖는 제 2 차이값으로 설정하는 것이다.
상기 설정부(220)를 갖는 서버(200)는 다수개의 센서(100)가 구성된 경우에 설정부(220)에서 센서별로 설정값을 구하여 전송부(260)를 통해 각 센서별로 설정값을 전송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예컨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출입구에 설치된 A센서, 천장에 설치된 B센서, 바닥에 설치된 C센서가 목조전통건축물의 임의의 공간에서 설치된 경우라면 A센서의 경우는 출입구이기 때문에 출입자에 의해서 수시로 열리고 닫히게 됨으로 외부환경 영향에 매우 민감하게 되어 A센서가 측정하는 값이 수시로 변화하게 되지만, B센서와 C센서는 A센서보다 일정한 측정값을 갖을 것임으로 A센서, B센서, C센서의 평균값과 같은 값으로 동일하게 설정값을 부여하면 출입구에 설치된 A센서는 수시로 재난이 발생하였다는 오인탐지를 하게 됨으로 센서별로 설정값을 다르게 갖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다.
상기 설정부(220)는 장소, 위치, 계절과 같은 환경조건에 의하여 균일한 설정값 적용이 곤란함으로 설정주기를 두어 자동으로 설정주기에 따라 설정값이 적용된다.
또한, 설정부(220)는 장소, 위치, 계절과 같은 환경조건에 의하여 균일한 설정값 적용이 곤란함으로 사용자의 수치적 계산에 의하여 설정값이 적용된다.
즉, 온도센서의 경우에는 봄, 여름, 가을, 겨울 계절에 따라 차이값이 크게 작용함으로 이 차이값을 계절에 맞게 적용하기 위하여 설정주기를 두어 설정값을 설정함에 있어서, 자동 또는 수동으로 서버(200)에 설정하는 것이다.
상기 서버(200)의 입력부(230)는 사용자에 의해서 재난요소의 발생여부를 판별하기 위하여 제 2 시간주기가 입력된다.
즉, 상기 제 2 시간주기가 입력되면, 입력된 제 2 시간주기는 상기 전송부(260)를 통하여 센서(100)에 전달되어 제 2 시간주기에 따라 제 3 데이터를 생성하게 된다.
상기 서버(200)의 분석부(240)는 상기 설정부(220)에서 설정된 설정값을 수신하고 상기 입력부(230)에 의해서 입력된 제 2 시간주기가 센서(100)에 전송됨에 따라 상기 제 2 시간주기에 의하여, 상기 센서(100)가 생성한 다수의 제 3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된 제 3 데이터 각각에 대하여 바로 전 제 2 시간주기에서 측정된 제 4 데이터와 비교하여 구해진 다수의 제 2 차이값과 상기 설정값을 비교하여 상기 설정값보다 높은 경우의 제 2 차이값에 대하여 재난요소가 발생하였다는 분석데이터를 생성한다.
예컨대, 도 4를 참조하여 상기 분석부(240)를 설명하는바, 우선, 설정값이 3℃로 설정되었다고 한다면 시간주기 A'데이터 온도값이 10℃이고 B'데이터 온도값이 12℃임으로 A'데이터와 B'데이터 사이의 차이값은 2℃가 되고, B'데이터 온도값이 12℃이고 C'데이터는 온도값이 16℃임으로 B'데이터와, C데이터 사이의 차이값은 4℃가 되고, C'데이터 온도값은 16℃이고 D'데이터 온도값은 14℃임으로 C'데이터와 D'데이터 사이의 차이값은 2℃가 되고, D'데이터는 온도값은 14℃이고 E'데이터는 온도값은 12℃임으로 차이값은 2℃가된다.
이때, 설정값 3℃를 넘은 시간주기는 B'데이터와 C'데이터 사이의 시간주기가 됨으로 이를 재난요소가 있음을 판단하고 서버(200)는 분석데이터를 생성하게 되는 것이다.
즉, 분석데이터는 재난이 발생되었다는 사실을 전송하는 것이 아니고 재난이 발생할 수 있는 최소한의 요소가 있음을 알려줌으로써 미연에 재난요소를 제거하기 위한 데이터이고 이와 같은 분석데이터를 이용하여 재난 발생 5분 전에 즉각 대처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상기 분석부(240)는 임의의 제 2 시간주기에서 설정값을 초과한 제 5 데이터가 수신된 후 상기 임의의 제 2 시간주기 다음의 제 2 시간주기에서 설정값 이하의 제 6 데이터가 수신된 경우는 재난 요소가 발생되지 않는 것으로 분석하여 분석데이터 생성이 차단된다.
예컨대, 상기 센서(100)가 온도센서 중에서 비접촉식 온도센서인 경우에 주변 온도를 측정하는 것이 아니고, 일정거리에 있는 온도를 측정하기 때문에 온도센서 앞으로 사람이 지나간 경우에는 급격히 온도가 상승한 후 바로 정상온도로 전환됨으로 이러한 경우는 화재와 같은 재난요소가 발생하였다고 분석하지 않는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F'데이터는 설정값 이하의 재난요소가 없는 상태, G'데이터는 설정값 이상의 재난요소 발생상태, H'데이터는 설정값 이하의 재난요소가 없는 상태인 경우에 F'데이터와 G'데이터가 측정된는 시간주기 1에서는 도시된 바와 같이 급격히 온도가 상승한 것은 온도센서 앞에 있는 사람에 의한 온도를 측정한 것에 해당하고 시간주기 2에서는 도시된 바와 같이 급격히 온도가 하강한 것은 온도센서 앞에 있는 사람이 지나간 후를 측정한 것이기 때문에 재난요소가 없는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적어도 3번 내지 5번의 시간주기 내에서 측정된 값이 재난요소가 발생된 상태에서 다시 재난요소가 없는 상태로 돌아오는 경우는 재난이 발생될 수 없는 상황으로 판단한다.
다음, 상기 분석부(240)는 임의의 제 2 시간주기에서 설정값을 초과한 제 5 데이터가 수신된 후 상기 임의의 제 2 시간주기 이후의 제 2 시간주기들에서 제 5 데이터와 동일 또는 상승된 제 7 데이터가 수신된 경우는 재난요소가 발생한 것으로 분석하여 분석데이터를 생성한다.
예컨대, 설정값이 4℃라 가정한다면, 제 2 시간주기에서 6℃ 상승된 온도값이 측정되면, 이는 설정값을 초과한 상태임으로 재난요소가 발생된 상태에서, 다음의 제 2 시간주기에서 6℃가 되고 그 다음 제 2 시간주기에서 7℃가 되는 등 지속적으로 온도가 동일 또는 상승된 경우라면 재난요소의 연속성을 갖는 것임으로 분석데이터를 생성한다.
설사, 외부환경에 의해서 위와 같이 연속성을 갖는 데이터가 수신된다 할지라도 예방차원에서 분석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이다.
특히, 상기 분석부(250)는 임의의 제 2 시간주기에서 생성된 제 3 데이터가 설정값 이상인 경우에 상기 제 3 데이터가 생성된 시점부터 1분이 경과할 때까지 매초단위로 센서로부터 순차적으로 수신되는 제 8 데이터와 상기 임의의 제 2 시간주기에서 생성된 제 2 차이값을 구하기 위한 제 4 데이터를 비교하여 수신된 모든 제 8 데이터가 설정값 이상이면 재난요소가 발생한 것으로 분석하고, 1분 이내에 수신된 모든 제 8 데이터 중에서 어느 한 제 8 데이터가 설정값 이하이면 재난요소가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분석한다.
예컨대, 온도센서로부터 데이터들이 수신되는 경우에 임의의 제 2 시간주기에서 생성된 제 3 데이터가 30℃라 하고, 상기 임의의 제 2 시간주기에서 생성된 제 2 차이값을 구하기 위한 제 4 데이터가 25℃라 하고 설정값이 4℃라면, 제 3 데이터 30℃와 제 4 데이터 25℃가 설정값 4℃보다 높기 때문에 재난요소가 발생한 것으로 분석되면 1분 동안 매초 단위로 제 8 데이터들을 수신한다.
이때, 다수의 제 8 데이터 모두가 1분이 경과할 때까지 설정값 4℃ 이상의 값을 갖는다면 이는 재난요소가 발생한 것이고, 다수의 제 4 데이터 중 어느 한 제 4 데이터가 설정값 이하로 나타난 경우는 재난요소가 발생한 것으로 보지 않는 것이다.
한편, 상기 1분 동안 매초 단위로 제 8 데이터를 수신하는 이유는 목조 문화재의 경우에 5분이 경과하면 화재 진압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이미 목조 문화재는 많은 부분이 소실되기 때문에 1분 이내에 재난요소를 분석하고 나머지 4분에 재난요소 파악 후 신속히 대처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다수의 제 8 데이터 중 어느 한 제 8 데이터가 설정값 이하로 나타난 경우에 재난 요소로 보지 않는 이유는 화원이 발생하여 화재로 발전하면 온도가 상승하거나 유지하는 연속성을 갖고 있으나, 상기 연속성에 끊김현상이 있었다면 이는 화원에서 화재로 발전하지 않았음을 의미함으로 재난요소가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분석한다.
예를 들면, 문화재 건축물에 방문한 경비원이 특별한 상황에서 임의의 공간에 전등을 켜고 순찰 후 임의의 공간을 벗어나면 재난요소가 발생하였지만 연속성이 없기 때문에 재난으로 발전할 수 없음으로 재난요소의 발생으로 분석하지 않는다.
결국, 재난 발생시 연속성을 갖는 있다는 점을 서버(200)가 분석하는 것이다. 즉 화재와 같은 재난의 경우에 화원이 발생하여 화재가 발생하였다면 화재가 갖는 요소(온도)의 연속성을 갖고 있기 때문이 이를 분석하여 화재 발생 5분 전에 미리 화재를 예방하는 것이다.
상기 서버(200)의 전송부(250)는 상기 입력부(230)를 통해 입력된 제 2 시간주기를 센서(100)에 전송하고, 또한 상기 분석부(250)를 통해 생성된 분석데이터를 관리자 단말기에 전송한다.
이때, 상기 분석데이터는 관리자 단말기에서 표시되어 관리자가 즉각 대처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목조전통건축물 재난 상황 조기 경보 시스템은 제 1 센서(100-1)와 제 2 센서(100-2) 및 서버(200-1)로 이루어진다.
더욱 상세하게, 설정된 제 1 시간주기마다 제 1 데이터를 생성하는 제 1 센서(100-1)와; 상기 설정된 제 1 시간주기마다 제 2 데이터를 생성하는 제 2 센서(100-2)와; 상기 생성된 제 1, 2 데이터를 동일한 제 1 시간주기끼리 묶어 다수의 쌍을 이루어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쌍을 이룬 제 1, 2 데이터 각각에 대하여 제 1 차이값을 구하여 가장 큰 차이값을 설정값으로 설정하는 설정부, 사용자에 의해서 제 2 시간주기가 입력되는 입력부, 상기 설정부에 설정된 설정값을 수신하고 상기 입력부에 의해서 입력된 제 2 시간주기가 상기 제 1, 2 센서(100-1, 100-2)에 전송됨에 따라 상기 제 2 시간주기에서 제 1 센서(100-1)에 의해 생성된 다수의 제 3 데이터와 제 2 센서(100-2)에 의해 생성된 다수의 제 4 데이터가 동일한 제 2 시간주기끼리 묶어 제 3, 4데이터 각각에 대하여 제 2 차이값을 구하고 상기 각각의 제 2 차이값과 상기 설정값을 비교하여 상기 설정값보다 높은 경우의 임의의 제 2 차이값에 대하여 재난요소가 발생하였다는 분석데이터를 생성하는 분석부, 상기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제 2 시간주기를 센서에 전송하고 상기 분석부를 통해 생성된 분석데이터를 관리자 단말기에 전송하는 전송부로 구성된 서버(200-1)로 이루어진다.
보다 상세하게,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는 두 센서 사이의 환경조건을 이용하여 재난요소가 발생하였는지 분석하는 것으로서,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는바, 목조전통건축물 내부의 임의의 공간에서 일정한 환경조건이 이루어진다.
예컨대, 상기 제 1 센서(100-1)는 목조전통건축물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 2 센서(100-2)는 목조전통건축물 하부에 배치된 경우라면 제 1 센서(100-1)에서 측정하여 생성된 제 1 데이터와 제 2 센서에서 측정하여 생성된 제 2 데이터 사이의 값은 재난요소가 없는 경우라면 항상 안정된 범위를 갖는다.
따라서, 상기 안정된 범위를 설정하기 위하여 동일한 제 1 시간주기별로 제 1, 2 센서(100-1, 100-2)가 생성한 제 1, 2 데이터의 제 1 차이값을 구하고 그 중 가장 높은 값을 설정값(안정된 범위)으로 설정하는 것이다.
만약, 제 1 센서(100-1)에서 화원이 발생하였다면, 화원이 발생한 제 1 센서(100-1)와 제 2 센서(100-2) 사이의 제 1 차이값은 설정값보다 높게 분석될 것이고, 이는 결국 화원이 발생하였다는 것을 암시하는 것이다.
또한, 두 센서(100-1, 100-2)를 이용한 본 발명은 상기 도 2 내지 도 6을 바탕으로 설명한 한 개의 센서로 구성된 발명과 접목하여 발생될 수 있는 부분에 대해서는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면과 상세한 설명에서 최적 실시예들이 개시되고, 이상에서 사용된 특정한 용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일 뿐,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이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고,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 소방시설 장치군 20 : 영상시설 장치군
30 : 제어장치 100 : 센서
100-1 : 제 1 센서 100-2 : 제 2 센서
200, 200-1 : 서버 210 : 수신부
220 : 설정부 230 : 입력부
240 : 분석부 250 : 전송부

Claims (10)

  1. 설정된 제 1 시간주기마다 제 1 데이터를 생성하는 센서와;
    상기 설정된 제 1 시간주기마다 생성된 다수의 제 1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수신된 다수의 제 1 데이터 각각에 대하여 바로 전 제 1 시간주기에서 측정된 제 2 데이터와 비교하여 구해진 다수의 제 1 차이값 중에서 가장 큰 차이값을 갖는 제 2 차이값을 설정값으로 설정하는 설정부, 사용자에 의해서 제 2 시간주기가 입력되는 입력부, 상기 설정부에 설정된 설정값을 수신하고 상기 입력부에 의해서 입력된 제 2 시간주기가 센서에 전송됨에 따라 상기 제 2 시간주기에 의하여 상기 센서가 생성한 다수의 제 3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된 제 3 데이터 각각에 대하여 바로 전 제 2 시간주기에서 측정된 제 4 데이터와 비교하여 구해진 다수의 제 2 차이값과 상기 설정값을 각각 비교하여 상기 설정값보다 높은 경우의 제 2 차이값에 대하여 재난요소가 발생하였다는 분석데이터를 생성하는 분석부, 상기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제 2 시간주기를 센서에 전송하고 상기 분석부를 통해 생성된 분석데이터를 관리자 단말기에 전송하는 전송부로 구성된 서버로 이루어진 목조전통건축물 재난 상황 조기 경보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분석부는
    임의의 제 2 시간주기에서 설정값을 초과한 제 5 데이터가 수신된 후 임의의 제 2 시간주기 다음의 제 2 시간주기에서 설정값 이하의 제 6 데이터가 수신된 경우는 재난요소가 발생되지 않은 것으로 분석하여 분석데이터 생성이 차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조전통건축물 재난 상황 조기 경보 시스템.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분석부는
    임의의 제 2 시간주기에서 설정값을 초과한 제 5 데이터가 수신된 후 상기 임의의 제 2 시간주기 이후의 제 2 시간주기들에서 제 5 데이터와 동일 또는 상승된 제 7 데이터가 수신된 경우는 재난요소가 발생한 것으로 분석하여 분석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조전통건축물 재난 상황 조기 경보 시스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분석부는
    임의의 제 2 시간주기에서 생성된 제 3 데이터가 설정값 이상인 경우에 상기 제 3 데이터가 생성된 시점부터 1분±15초가 경과할 때까지 매초단위로 센서로부터 순차적으로 수신되는 제 8 데이터와 상기 임의의 제 2 시간주기에서 생성된 제 2 차이값을 구하기 위한 제 4 데이터를 비교하여 수신된 모든 제 8 데이터가 설정값 이상이면 재난요소가 발생한 것으로 분석하여 1분 이내에 수신된 모든 제 8 데이터 중에서 어느 한 제 8 데이터가 설정값 이하이면 재난요소가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분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조전통건축물 재난 상황 조기 경보 시스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설정부는
    장소, 위치, 계절과 같은 환경조건에 의하여 균일한 설정값 적용이 곤란함으로 설정주기를 두어 자동으로 설정주기에 따라 설정값이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조전통건축물 재난 상황 조기 경보 시스템.
  6.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설정부는
    장소, 위치, 계절과 같은 환경조건에 의하여 균일한 설정값 적용이 곤란함으로 사용자의 수치적 계산에 의하여 설정값이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조전통건축물 재난 상황 조기 경보 시스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온도센서, 연기센서, 습도센서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조전통건축물 재난 상황 조기 경보 시스템.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상기 온도센서, 연기센서, 습도센서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 포함되게 구성한 후 인체감지센서를 함께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조전통 건축물 재난 상황 조기 경보 시스템.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다수개의 센서가 구성된 경우에 설정부에서 센서별로 설정값을 구하여 전송부를 통해 각 센서별로 설정값을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조전통건축물 재난 상황 조기 경보 시스템.
  10. 설정된 제 1 시간주기마다 제 1 데이터를 생성하는 제 1 센서와;
    상기 설정된 제 1 시간주기마다 제 2 데이터를 생성하는 제 2 센서와;
    상기 생성된 제 1, 2 데이터를 동일한 제 1 시간주기끼리 묶어 다수의 쌍을 이루어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쌍을 이룬 제 1, 2 데이터 각각에 대하여 제 1 차이값을 구하여 가장 큰 차이값을 설정값으로 설정하는 설정부, 사용자에 의해서 제 2 시간주기가 입력되는 입력부, 상기 설정부에 설정된 설정값을 수신하고 상기 입력부에 의해서 입력된 제 2 시간주기가 상기 제 1, 2 센서에 전송됨에 따라 상기 제 2 시간주기에서 제 1 센서에 의해 생성된 다수의 제 3 데이터와 제 2 센서에 의해 생성된 다수의 제 4 데이터가 동일한 제 2 시간주기끼리 묶어 제 3, 4데이터 각각에 대하여 제 2 차이값을 구하고 상기 각각의 제 2 차이값과 상기 설정값을 비교하여 상기 설정값보다 높은 경우의 임의의 제 2 차이값에 대하여 재난요소가 발생하였다는 분석데이터를 생성하는 분석부, 상기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제 2 시간주기를 센서에 전송하고 상기 분석부를 통해 생성된 분석데이터를 관리자 단말기에 전송하는 전송부로 구성된 서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조전통건축물 재난 상황 조기 경보 시스템.













KR1020120066528A 2012-06-21 2012-06-21 목조전통건축물 재난 상황 조기 경보 시스템 KR1012632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6528A KR101263291B1 (ko) 2012-06-21 2012-06-21 목조전통건축물 재난 상황 조기 경보 시스템
CN201380031970.1A CN104395942B (zh) 2012-06-21 2013-06-21 传统木结构建筑物灾难情况早期警报系统
JP2014558694A JP5883162B2 (ja) 2012-06-21 2013-06-21 木造伝統建築物の災難状況の早期警報システム
PCT/KR2013/005469 WO2013191496A1 (ko) 2012-06-21 2013-06-21 목조전통건축물 재난 상황 조기 경보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6528A KR101263291B1 (ko) 2012-06-21 2012-06-21 목조전통건축물 재난 상황 조기 경보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63291B1 true KR101263291B1 (ko) 2013-05-10

Family

ID=486660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66528A KR101263291B1 (ko) 2012-06-21 2012-06-21 목조전통건축물 재난 상황 조기 경보 시스템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5883162B2 (ko)
KR (1) KR101263291B1 (ko)
CN (1) CN104395942B (ko)
WO (1) WO2013191496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10896A (ko) 2014-07-16 2016-01-29 주식회사 상민이엔지 스마트 문화재 소방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013728B1 (ko) 2018-12-10 2019-08-23 대한민국(행정안전부 국립재난안전연구원장) 재난 상황 정보 공유 장치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894710B (zh) * 2016-05-25 2019-12-06 北京易方通达科技有限公司 一种温度监测警告装置及消防警示系统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5804B1 (ko) 2010-04-02 2010-10-06 주식회사 포드림 통합 재난관리 시스템
KR101142849B1 (ko) 2011-08-29 2012-05-08 (주)이시컨트롤 목조 건축물의 화재 예방 방법 및 그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68386A (ja) * 1992-11-30 1994-06-14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アナログ型差動式熱感知器及びその火災判断方法
JP2894173B2 (ja) * 1993-09-27 1999-05-24 松下電工株式会社 差動式熱感知器
JPH09218990A (ja) * 1996-02-08 1997-08-19 Sogo Keibi Hosho Co Ltd 火災検出方法及び火災検出器
JP3859360B2 (ja) * 1998-06-04 2006-12-20 能美防災株式会社 差動式火災警報装置
JP3845218B2 (ja) * 1998-12-28 2006-11-15 ホーチキ株式会社 差動式熱感知器
KR100385694B1 (ko) * 2000-05-02 2003-05-27 길종진 스프링클러장치용 전열식 앰플
JP3972597B2 (ja) * 2001-04-24 2007-09-05 松下電工株式会社 複合型火災感知器
JP2003248873A (ja) * 2002-02-25 2003-09-05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複合型火災感知器
JP3769259B2 (ja) * 2002-12-06 2006-04-19 東芝プラントシステム株式会社 防災支援システム
JP4254270B2 (ja) * 2003-02-21 2009-04-15 パナソニック電工株式会社 熱感知回路
US20090045937A1 (en) * 2007-08-15 2009-02-19 Larry Zimmerman Hazard and Threat Assessment System
US7969296B1 (en) * 2008-08-01 2011-06-28 Williams-Pyro, Inc. Method and system for fire detection
KR100980784B1 (ko) * 2008-08-14 2010-09-10 (주)에스에이치아이앤씨 유비쿼터스 센서 네트워크환경에서의 멀티감시장치 및 방법
CN101567117B (zh) * 2009-05-17 2011-02-09 宁波汉迪传感技术有限公司 一种用于火灾报警的分布式光纤温度测量数据的处理方法
JP5396175B2 (ja) * 2009-07-02 2014-01-22 ホーチキ株式会社 警報器
KR101189864B1 (ko) * 2009-12-21 2012-10-11 정영진 센서의 감지 오류를 활용한 센서 샘플링 주기 조정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5804B1 (ko) 2010-04-02 2010-10-06 주식회사 포드림 통합 재난관리 시스템
KR101142849B1 (ko) 2011-08-29 2012-05-08 (주)이시컨트롤 목조 건축물의 화재 예방 방법 및 그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10896A (ko) 2014-07-16 2016-01-29 주식회사 상민이엔지 스마트 문화재 소방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013728B1 (ko) 2018-12-10 2019-08-23 대한민국(행정안전부 국립재난안전연구원장) 재난 상황 정보 공유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3191496A1 (ko) 2013-12-27
JP5883162B2 (ja) 2016-03-09
CN104395942B (zh) 2017-07-07
CN104395942A (zh) 2015-03-04
JP2015517130A (ja) 2015-06-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448023B (zh) 一种具有存储功能的火灾烟雾报警器
US11749097B2 (en) Self-testing fire sensing device
KR100985804B1 (ko) 통합 재난관리 시스템
CN109872491B (zh) 火灾监控方法、装置、电子设备及系统
KR102034559B1 (ko) 음장 스펙트럼의 상관계수의 변화 패턴을 이용한 보안 감시 장치 및 그것의 보안 감시 방법
KR101640152B1 (ko) 복합 화재 감지기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재 감시 시스템
US20130335550A1 (en) Infrared sensor systems and methods
KR102501053B1 (ko) 복합 화재 감지기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재 감시 시스템
KR102135619B1 (ko) 지능형 원격단말장치를 이용한 사물인터넷 기반의 산불화재 감시 및 시설물 자율 점검 시스템
KR101219176B1 (ko) 재난 방지용 통합관리 제어 시스템
CN105976116B (zh) 基于物联网的消防安全动态评价方法及系统
KR102158840B1 (ko) 실시간 화재 감지 시스템 및 그 감지 방법
CN209821986U (zh) 火灾监控系统
KR20210051376A (ko) 빅데이터 기반의 건축물 화재 예방 대응 시스템
KR101863530B1 (ko) 가시광 및 적외선 열화상 이미지를 이용한 화재 예측 보전시스템
KR20160085033A (ko) 학습형 다중센서 재난감지 시스템과 그 방법
KR101263291B1 (ko) 목조전통건축물 재난 상황 조기 경보 시스템
KR101975021B1 (ko) 공동주택의 통신시설을 이용한 소방 안전관리 시스템
KR101447528B1 (ko) Cctv를 이용한 화재 경보 제어 장치 및 시스템
KR20220076374A (ko) 화재 안전 모니터링 시스템
EP4270344A1 (en) Self-testing fire sensing device for confirming a fire
TWI616852B (zh) Dynamic warning fire service
Tseng et al. ZigBee (2.4 G) wireless sensor network application on indoor intrusion detection
CN102262395A (zh) 多重危害检测及控制系统及其方法
KR102084376B1 (ko) 소방시설의 화재감지기 자동 원격 점검 방법 및 그 방법을 수행하는 화재수신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5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