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76374A - 화재 안전 모니터링 시스템 - Google Patents

화재 안전 모니터링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76374A
KR20220076374A KR1020210167223A KR20210167223A KR20220076374A KR 20220076374 A KR20220076374 A KR 20220076374A KR 1020210167223 A KR1020210167223 A KR 1020210167223A KR 20210167223 A KR20210167223 A KR 20210167223A KR 20220076374 A KR20220076374 A KR 202200763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fire
sensor
smoke
tempera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672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지환
안재우
Original Assignee
(주)세드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세드나 filed Critical (주)세드나
Publication of KR202200763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7637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1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undesired emission of substances, e.g. pollution alarms
    • G08B21/14Toxic gas alar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185Electrical failure alar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1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Abstract

본 발명은, 산업현장, 다중이용시설, 주택 또는 재래시장 등의 특정장소에서 발생하는 화재를 감지하여 사전에 예방하고 선재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화재 안전관리 시스템으로써 산업현장, 다중이용시설, 주택, 재래시장 등에서 화재위험 요소를 미리 감지하여 화재를 예방하고, 화재발생 시에는 인명 및 재산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화재 안전 모니터링 시스템 {Fire safety monitoring system}
본 발명은 산업현장, 다중이용시설, 주택 및 재래시장 등에서 화재, 가스누출, 이상전류 등의 화재 위험 요소를 미리 감지하여 화재를 예방하고, 화재 발생 시에는 신속한 대응을 가능하게 하는 화재 안전 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화재로 인한 화재는 한 번 발생하면 인적, 물적으로 심각한 피해를 초래한다. 화재 발생 원인을 미리 감지하여 예방하거나, 화재 발생을 신속히 감지하여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시스템의 개발은 계속되어왔다.
종래에 화재를 감지하기 위한 시스템은 화재 감지기에서 화재 감지 조건에 도달하면 화재 경보 신호를 화재 수신기로 전달하면 화재 수신기에서 화재 경보를 하였다.
하지만 종래의 시스템은 화재 감지기의 오작동으로 인한 비화재보 발생이 많아 소방차의 오인 출동이 잦았으며, 오인 출동 중에 실재로 화재가 발생하면 신속한 대응이 어려워 인명 및 재산 피해의 우려가 있었다.
또한, 축적식 화재 수신기인 경우에는 감지기로부터 화재 감지 신호를 받으면 설정된 일정시간 동안 감지기 신호의 변화를 감지하는 방식으로 비화재보를 대비하였다. 화재 발생에는 다양한 원인이 있기 때문에 획일적으로 설정된 시간에 기반하여 화재를 감지하는 것에는 한계가 있었다.
또한, 최근 주택 등에 단독형 화재 감지기를 많이 보급하였으나 잦은 오작동으로 감지기 전원이나 배터리를 끄고 운영하지 않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신속하고 정확하게 화재를 감지함으로써, 화재를 미리 예방하고, 화재 발생 시 빠르게 대응할 수 있는 시스템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등록특허 제10-2173033호 (2020.11.03.)
본 발명의 목적은 여러 화재 원인 데이터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를 설치하고 수집한 데이터를 사물인터넷(IoT)을 활용한 네트워크로 연결하여 다양한 현장에 유연하고 편리하게 설치할 수 있고, 이를 통해 대단지 아파트나 대형 산업현장에서는 중앙 집중형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으며, 단독 주택이나 소규모 산업 현장에서는 무선 중계기와 수신기를 결합하여 단독 세대 경보형 수신기로 구성하여 화재예방 및 화재발생 시 신속한 대응을 할 수 있는 화재 안전 모니터링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산업현장, 다중이용시설, 주택 또는 재래시장 등의 특정장소에서 발생하는 화재를 감지하여 사전에 예방하고 선재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화재 안전관리 시스템으로써, 상기 특정지역에 설치되는, 주변의 온도 및 습도 변화를 감지하는 온도습도센서, 공기 중에 유출된 가스의 종류와 농도를 감지하는 가스센서, 공기 중의 연기 농도를 감지하는 연기센서, 및 주변의 열을 감지하여 이미지로 표시하는 열화상센서를 포함하는 무선 감지부; 상기 온도습도센서의 온도습도데이터, 상기 가스센서의 가스데이터, 상기 연기센서의 연기데이터, 및 상기 열화상센서의 열화상데이터를 수신하여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화재 판단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화재 판단서버에서 화재 예측데이터를 수신하여 경보장치를 동작시키는 무선 중계부; 및 상기 특정장소에 화재 발생 이전의 온도습도데이터, 가스데이터, 열화상데이터, 및 연기데이터를 수집하여 저장하는 데이터 수집부; 상기 데이터 수집부의 수집 데이터를 이용하여 화재 예측을 위한 기준데이터를 산출하는 데이터 분석부; 및 상기 기준데이터를 바탕으로 상기 무선 중계부에서 수신한 상기 온도습도데이터, 상기 가스데이터, 상기 열화상데이터, 및 상기 연기데이터를 이용하여 화재 발생 여부를 판단한 상기 화재 예측데이터를 생성하는 화재 판단부; 를 포함하는 상기 화재 판단서버; 를 포함하는, 화재 안전 모니터링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화재 안전 모니터링 시스템은 산업현장, 다중이용시설, 주택, 재래시장 등에서 화재위험 요소를 미리 감지하여 화재를 예방하고, 화재발생 시에는 인명 및 재산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시스템의 각 구성 요소를 무선 네트워크로 연결함으로써, 설치 및 시공의 편리성을 높이고 비용을 낮출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화재 여부의 판단이 일정 기간 동안 누적된 데이터를 이용한 빅데이터 분석과 짧은 시간 동안의 센서 데이터 값 변화의 패턴을 분석하는 머신 러닝 기술을 수신기 서버에서 수행함으로써, 화재징후를 미리 감지하여 예방하고 화재발생에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복합센서와 머신러닝 기술을 사용하여 화재징후 및 화재발생을 감지하는 오류를 획기적으로 낮출 수 있어 비화재보 등을 낮출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재 안전 모니터링 시스템에 대한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재 안전 모니터링 시스템에 대한 상세 블록도이다.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한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재 안전 모니터링 시스템은 산업현장, 다중이용시설, 주택 및 재래시장 등에 배치되어 감지기 설치 현장의 특성을 고려함으로써 높은 신뢰도로 화재위험을 모니터링하여 화재 예방 및 대응을 수행한다.
산업현장은 공장, 공사장 등을 모두 포함하고, 다중이용시설과 주택은 백화점, 아파트, 단독주택, 그리고 각종 공공시설물을 모두 포함한다. 즉, 다수의 사람이 생활하거나 근무하는 모든 장소에 설치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여기서 특정장소는 청정장소, 생활장소, 공공장소, 산업장소로 분류할 수 있다. 이러한 분류는 화재발생 여부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오염정도와 같은 요소를 각 장소적 특정에 맞추어 분류한 것이다.
청정장소는 전산실, 통신기계실, 응접실, 회의실 등을 지칭한다. 생활장소는 주방, 조리실, 주차장, 트럭터미널 등을 지칭한다. 공공장소는 로비, 관람장, 체육관 등을 지칭한다. 산업장소는 세정실, 탕비실, 오수처리소, 건조실 등을 지칭한다.
이러한 청정장소, 생활장소, 공공장소, 산업장소에 대한 세부분류는 위에 기술한 것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상황에 따라 달리 적용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재 안전 모니터링 시스템은, 무선 감지부(10), 무선 중계부(20), 및 화재 판단서버(30)로 구성된다.
무선 감지부(10)는 무선 중계부(20)와 사물인터넷(IoT)를 기반으로 하여 서로 무선 통신으로 연결되어 있다. 또한, 설치 장소에 따라서 유선으로 연결될 수도 있다. 무선 중계부(20)와 화재 판단서버(30)는 무선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데이터를 주고 받는다.
무선 감지부(10)에서 센싱한 데이터는 무선 중계부(20)로 전달되고, 다시 무선 중계부(20)에서 무선 네트워크(40)를 통해 화재 판단서버(30)로 전달된다. 화재 판단서버(30)는 전달받은 데이터를 분석하여 화재여부를 판단하고 네트워크를 통해 다시 무선 중계부(20)로 전달한다.
화재 판단서버(30)는 화재라고 판단되면 무선 네트워크(40)를 통해 휴대단말기(50)로 위험을 알리고 화재 발생장소에서 가장 가까운 소방기관(60)에 화재 발생을 알린다. 동시에, 무선 중계부(20)는 화재 판단여부에 따라 선재적으로 음성이나 시각장치를 사용하여 주위에 위험을 알린다.
도 2를 참조하면, 무선 감지부(10)는 온도와 습도를 감지하는 온도습도센서(14), 유해가스를 감지하는 가스센서(15), 화재를 시각적으로 감지하는 열화상센서(16), 연기를 감지하는 연기센서(17)를 구비한다.
센서들은 각각 설치된 장소의 주변 환경을 감지하여 각각 온도습도데이터(i1), 가스데이터(i2), 연기데이터(i3), 열화상데이터(i4)를 생성한다.
제어장치(13)는 온도습도데이터(i1), 가스데이터(i2), 연기데이터(i3), 열화상데이터(i4)를 표시장치(12)와 통신장치(11)로 전달한다.
표시장치(12)는 각각의 장치가 생성한 온도습도데이터(i1), 가스데이터(i2), 연기데이터(i3), 열화상데이터(i4)의 수치값들을 시각적으로 표시해준다. 표시장치(12)는 LED와 같은 시각장치로 구성할 수 있으며, 센싱한 데이터를 숫자로 표시하거나 데이터의 값이 일정수준 이상이 될 경우 점등할 수 있다.
통신장치(11)는 온도습도데이터(i1), 가스데이터(i2), 연기데이터(i3), 열화상데이터(i4)를 후술할 무선 중계부(20)로 전달한다.
무선 감지부(10)의 센서들은 하나의 장치에 일체로 구성할 수 있으며, 온도습도센서(14), 가스센서(15), 열화상센서(16), 연기센서(17) 각각이 별개의 장치로 구성할 수도 있다. 각 센서들이 별개의 장치로 구성되는 경우에는 통신장치(11), 표시장치(12), 제어장치(13)도 각각 구성되며, 각 센서들은 각각 온도습도데이터(i1), 가스데이터(i2), 연기데이터(i3), 열화상데이터(i4)를 후술할 무선 중계부(20)로 전달한다.
온도습도센서(14)는 온도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로 정온식이나 차동식 센서를 사용할 수 있으며, 정온식과 차동식을 합하여 복합식 센서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주변의 습도를 측정할 수 있는 습도센서를 같이 구비할 수 있다. 습도센서는 유무기 박막의 수분 흡수에 따른 저항 또는 정전용량의 변화를 감지한다.
온도습도센서(14)는 이러한 일반적인 센서에 외부와 무선으로 통신할 수 있는 통신장치가 결합한 형태를 가진다. 이는 이하 언급되는 모든 센서들에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다.
가스센서(15)는 일산화탄소(CO)를 감지하는 일산화탄소센서와 일산화탄소 외에 휘발성 유기화합물(VOC)와 같은 유해 가스를 감지할 수 있는 유해가스센서로 구성할 수 있다. 일산화탄소센서는 이온화식이나 전기화학식 센서를 사용할 수 있으며, 이온화식과 전기화학식을 합하여 복합식 센서로 사용할 수 있다.
유해가스센서는 유기화합물(VOC)을 검출하기 위한 반도체식이나 전기화학식 센서를 사용할 수 있다.
유해가스센서는 화재를 감지한다기 보다는 일산화탄소를 제외하고 유기화합물과 같이 인체에 유해한 가스를 빠르게 감지하여 알려주기 위한 것이다.
열화상센서(16)는 열이 발생하는 물체에서 나오는 적외선을 전기적 신호로 변경하고, 전기적 신호의 크기를 색상으로 표시할 수 있는 센서이다. 열화상센서(16)는 복수의 센서를 어레이(array) 형태로 구비하여 열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
열화상센서(16)는 화재 등에 의해 물체에서 발생하는 열의 온도를 측정하여 이를 시각화 한 것이다. 따라서 동시에 온도 데이터도 생성할 수 있다. 이는 온도습도센서(14)의 측정하는 데이터와 비교하여 보다 정확한 온도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연기센서(17)는 설치된 공간에서 공기 중의 연기 농도가 얼마인지를 실시간으로 측정하여 데이터를 생성한다. 연기센서(17)는 광전식 센서를 주로 사용하고 있으며, 흡입팬을 이용하여 설치 공간의 공기를 흡입하고 필터로 먼지를 걸러낸 후 연기 성분을 검출하는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방법 외에도 화재에서 발생하는 연기를 감지할 수 있는 센서면 모두 사용 가능하다.
무선 중계부(20)는 통신장치(21), 제어장치(22), 경보장치(23)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무선 중계부(20)는 무선 감지부(10)에서 보낸 온도습도데이터(i1), 가스데이터(i2), 연기데이터(i3), 열화상데이터(i4)를 통신장치(21)로 수신하고, 무선 네트워크(40)를 통해 후술하는 화재 판단서버(30)로 전송한다.
무선 중계부(20)는 화재 판단서버(30)에서 화재 예측데이터(i7)를 수신하는 경우 경보장치(23)를 동작시켜 위험을 알릴 수 있다. 경보장치(23)는 시각 또는 음성으로 위험을 주위에 알릴 수 있다.
화재 판단서버(30)는 통신장치(31), 데이터 수집부(32), 데이터 분석부(33), 화재 판단부(34)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데이터 수집부(32)는 상기 특정장소에 화재 발생 이전의 온도습도데이터(i1), 가스데이터(i2), 열화상데이터(i4), 및 연기데이터(i3)를 수집하여 수집데이터(i5)로 저장한다.
데이터 수집부(32)는 상기 특정장소의 분류에 따라 청정장소, 생활장소, 공공장소, 산업장소 별로 온도습도데이터(i1), 가스데이터(i2), 열화상데이터(i4), 및 연기데이터(i3)를 수집한다. 이러한 수집데이터(i5)를 기초로,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특수한 상황에서 화재 발생이 염려되는 조건을 미리 결정한다.
데이터 분석부(33)는 데이터 수집부(32)의 수집데이터(i5)를 이용하여 화재 예측을 위한 기준데이터(i6)를 산출한다.
데이터 분석부(33)는 데이터 수집부(32)에서 수집하여 저장한 각 특정장소별 수집데이터(i5)들을 분석하며, 분석에 따른 결과값의 추이 변화 및 개별 특정장소에 대한 평균 결과값을 산출하여 이를 바탕으로 화재 발생의 예측을 위한 기초자료로인 기준데이터(i6)를 생성한다.
기준데이터(i6)의 생성 시, 상황에 따라 다르게 적용될 수 있지만, 특정장소별 또는 특정한 종류의 화재 발생에 대한 각각의 변수 관련 공통 조건들을 미리 결정할 수 있다.
화재 판단부(34)는 기준데이터(i6)를 바탕으로 무선 중계부(20)에서 전달받은 온도습도데이터(i1), 가스데이터(i2), 열화상데이터(i4), 및 연기데이터(i3)를 이용하여 화재의 발생 여부를 판단한 화재 예측데이터(i7)를 생성한다.
화재 판단부(34)는 머신러닝과 같은 인공지능 알고리즘으로 데이터들을 분석하는 인공지능부로 형성할 수 있다.
화재 판단부(34)는 기준데이터(i6)를 바탕으로 무선 중계부(20)에서 전달받은 온도습도데이터(i1), 가스데이터(i2), 열화상데이터(i4), 및 연기데이터(i3)로 화재 예측데이터(i7)를 생성하여 화재 발생 여부를 미리 예측하고 판단한다.
즉, 화재 판단부(34)는 데이터 분석부(33)에서 전달받은 기준데이터(i6)와 실시간으로 수집한 무선 중계부(20)에서 전달받은 온도습도데이터(i1), 가스데이터(i2), 열화상데이터(i4), 및 연기데이터(i3) 값을 대비하여 매칭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예를 들어, 화재 판단부(34)는 온도습도데이터(i1)를 입력 받아 기준데이터(i6)의 기 설정된 데이터 변동 추이 및 평균값에 매칭되는 온도 조건이 발생하는 경우 화재 예측데이터(i7)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화재 예측데이터(i7)는 화재위험 등급에 따라 안전등급, 관심등급, 주의등급, 경보등급, 확산등급으로 나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화재위험 등급은 상기 특정장소의 분류인 청정장소, 생활장소, 공공장소, 산업장소에 따라 그 적용 기준이 달라질 수 있다.
이를 위해서, 기준데이터(i6)는 상기 특정장소 별로 상기 화재위험 등급에 따라 그 기준값을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데이터 분석부(33)는, 온도습도데이터(i1), 가스데이터(i2), 연기데이터(i3), 열화상데이터(i4)에 상기 특정장소 별로 가중치를 부여할 수 있다.
상기 가중치는 상기 청정장소 및 공공장소에는 연기데이터(i3), 가스데이터(i2), 열화상데이터(i4), 온도습도데이터(i1) 순으로 가중치를 부여하고, 상기 생활장소 및 상기 산업장소에는 온도습도데이터(i1), 열화상데이터(i4), 가스데이터(i2), 연기데이터(i3) 순으로 가중치를 부여한다.
화재 판단부(34)에서 화재 예측데이터(i7)를 생성하는 데 기초자료로 사용되는 기준데이터(i6)는 하나의 공통된 기준값을 가지는 것이 아니고 청정장소, 생활장소, 공공장소, 산업장소로 별로 각기 다르게 설정된다.
각 장소 별로 연기의 발생 정도, 가스의 농도 변화, 열과 같은 불꽃의 빈도, 온도와 습도 등이 다르기 때문에 화재 발생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기초 자료인 기준데이터(i6)의 값은 각 장소 별로 다르게 설정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연기발생이 낮은 청정장소에서는 온도습도데이터(i1)보다는 연기데이터(i3)에 민감하도록 가중치를 부여하여 같은 값의 온도습도데이터(i1)가 측정되더라도 청정장소에서 측정된 것이라면 화재 발생 가능성을 높게 판단하여 예측의 정확성을 높일 수 있다.
이렇듯 청정장소, 생활장소, 공공장소, 산업장소에 맞추어 각 장소에 비중을 두어야 하는 데이터별로 가중치를 두어 설정하는 것이다.
또한 무선 감지부(10)의 각 센서는 청정장소, 생활장소, 공공장소, 산업장소 별로 센서의 감도 및 센서의 감지시간을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청정장소에 설치되는 온도습도센서(14)와 공공장소에 설치되는 온도습소센서(14)의 측정 감도 및 감지시간은 서로 다르게 설정하는 것이다.
이 역시 장소적 특정을 고려하여 센서값에 가중치를 두기 위한 것으로 각 장소에서 의미 있는 센서값에 더 큰 비중을 두어 화재 예측의 정확성을 높일 수 있다.
청정장소, 생활장소, 공공장소, 산업장소로 나뉘는 각 장소별로 측정 데이터인 연기데이터(i3), 가스데이터(i2), 열화상데이터(i4), 온도습도데이터(i1) 자체에 가중치를 둘 수도 있고, 선재적으로 데이터 측정 단계에서 센서의 민감도와 감지시간을 다르게 설정하여 데이터별로 가중치를 부여할 수도 있다. 또한 이 두 가지 방식을 모두 적용할 수 도 있다. 이는 사용환경이나 정확도 등을 모두 고려하여 상황에 맞추어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청정장소, 생활장소, 공공장소, 산업장소는 장소가 가지는 특성에 따라 더 세분화할 수 있다.
청정장소는 청정도 수준에 따라 전산실 등 고감도 청정장소와 회의실 등 저감도 청정장소로 분류할 수 있다. 생활장소는 주방/조리실 등 고감도 생활장소와 주차장 등 저감도 생활장소로 분류할 수 있다. 공공장소는 로비 등 고감도 공공장소, 지하창고 등 저감도 공공장소로 분류할 수 있다. 산업장소는 세정실 등 고감도 산업장소, 오수처리실 등 저감도 산업구역 등으로 세분화하여 분류할 수 있다. 그리고 위와 같이 세분화한 것을 재차로 세분화 할 수 있다.
이렇게 세분화한 장소별로 측정되는 데이터값에 가중치를 두거나, 각 센서값에 가중치를 두어 장소의 특성을 보다 세밀하게 반영함으로써, 화재감지의 오작동을 줄이면서, 화재위험 감지의 신뢰도를 높일 수 있다.
데이터 분석부(33)는 기준데이터(i6)를 화재 판단부(34)에서 생성한 화재 예측데이터(i7)와 비교하여 보정할 수 있다.
데이터 분석부(33)는 기준데이터(i6)는 화재 발생 전의 기존 데이터를 분석하여 도출한 기준값이지만, 화재의 발생 상태는 매번 다르고 일률적으로 적용할 수는 없기 때문에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 새롭게 생성된 화재 예측데이터(i7)과 비교할 수 있다.
화재 판단서버(30)에서 생성된 화재 예측데이터(i7)는 무선 네트워크(40)를 통해 사용자 또는 관계자의 휴대 단말기(50), 소방서 또는 경찰서 등의 화재관제센터인 소방기관(60)으로 전달된다.
무선 감지부(10)는, 과전류 또는 누설전류를 감지하여 전류데이터를 생성하는 전류측정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류데이터도 무선 중계부(20)를 통해 화재 판단서버(30)로 전달되어 화재 예측 및 판단에 사용될 수 있으며, 별도로 센서 측정 장소에서 발생하는 과전류나 누설전류를 선재적으로 감지하여 화재 발생 외에도 감전 등의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하여야 한다.
10: 무선 감지부
11: 통신장치 12: 표시장치
13: 제어장치 14: 온도습도센서
15: 가스센서 16: 열화상센서
17: 연기센서 18: 전류측정센서
20: 무선 중계부
21: 통신장치 22: 제어장치
23: 경보장치
30: 화재 판단서버
31: 통신장치 32: 데이터 수집부
33: 데이터 분석부 34: 화재 판단부
40: 무선 네트워크
50: 휴대단말기
60: 소방기관
i1: 온도습도데이터
i2: 가스데이터
i3: 연기데이터
i4: 열화상데이터
i5: 수집데이터
i6: 기준데이터
i7: 화재 예측데이터

Claims (7)

  1. 산업현장, 다중이용시설, 주택 또는 재래시장 등의 특정장소에서 발생하는 화재를 감지하여 사전에 예방하고 선재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화재 안전관리 시스템으로써,
    상기 특정지역에 설치되는, 주변의 온도 및 습도 변화를 감지하는 온도습도센서, 공기 중에 유출된 가스의 종류와 농도를 감지하는 가스센서, 공기 중의 연기 농도를 감지하는 연기센서, 및 주변의 열을 감지하여 이미지로 표시하는 열화상센서를 포함하는 무선 감지부;
    상기 온도습도센서의 온도습도데이터, 상기 가스센서의 가스데이터, 상기 연기센서의 연기데이터, 및 상기 열화상센서의 열화상데이터를 수신하여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화재 판단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화재 판단서버에서 화재 예측데이터를 수신하여 경보장치를 동작시키는 무선 중계부; 및
    상기 특정장소에 화재 발생 이전의 온도습도데이터, 가스데이터, 열화상데이터, 및 연기데이터를 수집하여 저장하는 데이터 수집부; 상기 데이터 수집부의 수집 데이터를 이용하여 화재 예측을 위한 기준데이터를 산출하는 데이터 분석부; 및 상기 기준데이터를 바탕으로 상기 무선 중계부에서 수신한 상기 온도습도데이터, 상기 가스데이터, 상기 열화상데이터, 및 상기 연기데이터를 이용하여 화재 발생 여부를 판단한 상기 화재 예측데이터를 생성하는 화재 판단부; 를 포함하는 상기 화재 판단서버; 를 포함하는,
    화재 안전 모니터링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장소는, 청정장소, 생활장소, 공공장소, 산업장소로 분류되고,
    상기 화재 예측데이터는, 화재위험 등급에 따라 안전등급, 관심등급, 주의등급, 경보등급, 확산등급으로 나뉘는,
    화재 안전 모니터링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데이터는, 상기 특정장소 별로 상기 화재위험 등급에 따라 다르게 설정하는,
    화재 안전 모니터링 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분석부는, 상기 온도습도데이터, 상기 가스데이터, 상기 연기데이터, 상기 열화상데이터에 상기 특정장소 별로 가중치를 부여하되,
    상기 청정장소 및 공공장소에는 연기데이터, 가스데이터, 열화상데이터, 온도습도데이터 순으로 가중치를 부여하고, 상기 생활장소 및 상기 산업장소에는 온도습도데이터, 열화상데이터, 가스데이터, 연기데이터 순으로 가중치를 부여하는,
    화재 안전 모니터링 시스템.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감지부의 각 센서는, 상기 분류된 특정장소 별로 센서의 감도 및 센서의 감지시간을 다르게 설정하는,
    화재 안전 모니터링 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분석부는, 상기 기준데이터를 상기 화재 판단부의 상기 화재 예측데이터와 비교하여 보정하는,
    화재 안전 모니터링 시스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감지부는, 과전류 또는 누설전류를 감지하여 전류데이터를 생성하는 전류측정센서를 더 포함하는,
    화재 안전 모니터링 시스템.
KR1020210167223A 2020-11-30 2021-11-29 화재 안전 모니터링 시스템 KR2022007637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64691 2020-11-30
KR1020200164691 2020-11-3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6374A true KR20220076374A (ko) 2022-06-08

Family

ID=819817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67223A KR20220076374A (ko) 2020-11-30 2021-11-29 화재 안전 모니터링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76374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17384B1 (ko) * 2022-09-26 2023-04-03 포엑스주식회사 산업현장 방폭검사용 스마트 플랫폼
KR20230147833A (ko) * 2022-04-15 2023-10-24 태광물산 주식회사 복합센서 기반 지능형 화재위험 감지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3033B1 (ko) 2020-03-10 2020-11-03 주식회사 창성에이스산업 주거용 주방소화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3033B1 (ko) 2020-03-10 2020-11-03 주식회사 창성에이스산업 주거용 주방소화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47833A (ko) * 2022-04-15 2023-10-24 태광물산 주식회사 복합센서 기반 지능형 화재위험 감지 방법
KR102517384B1 (ko) * 2022-09-26 2023-04-03 포엑스주식회사 산업현장 방폭검사용 스마트 플랫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872491B (zh) 火灾监控方法、装置、电子设备及系统
CN109564716B (zh) 用于检测紧急情况的系统和方法
KR101796945B1 (ko) 웹 서버 및 이메일 통지를 갖는 흡인 환경 센서
US20090273470A1 (en) Environmental monitoring and control system
KR20220076374A (ko) 화재 안전 모니터링 시스템
US7804402B2 (en) Fire detectors with environmental data input
KR101904282B1 (ko) 화재 징후 예방 및 냄새 감지기 시스템
KR102084884B1 (ko) 인공지능 기반의 화재 예방 감지 시스템
CN209821986U (zh) 火灾监控系统
KR101979247B1 (ko) 지능적 공간 안전 모니터링 장치 및 그 시스템
KR102335676B1 (ko) 예비전력의 사용 시 안정적인 속도로 화재감시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화재감시 시스템
KR102275994B1 (ko) 비화재보를 예방할 수 있는 화재감지 시스템
KR20200100348A (ko) 실시간 화재 감지 시스템 및 그 감지 방법
CN109166266A (zh) 智能消防报警系统及方法
KR20100026418A (ko) 온도센서 및 습도센서 기반의 화재 이상징후 판별시스템
KR200470830Y1 (ko) 센서통합보드가 내장된 천장형 센서케이스
KR20190014936A (ko) 화재 감시 시스템 및 화재 감시 방법
KR102391895B1 (ko) 기존 센서를 활용한 센서 통합 운영 IoT 플랫폼 시스템
CN205860347U (zh) 一种空气污染检测装置
TWM621453U (zh) 具監控功能之方向指示燈及緊急逃生指示系統
KR102194379B1 (ko) 복합센서 화재감지 장치 및 방법
JP2019145005A (ja) 警報システムおよび集中監視システム
KR20210104390A (ko) 독성 가스 경보 시스템
KR101329257B1 (ko) 공동주택 거주자의 안전관리장치 및 안전관리방법
JP6399572B1 (ja) 火災用無線通信装置及び火災報知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