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42849B1 - 목조 건축물의 화재 예방 방법 및 그 시스템 - Google Patents

목조 건축물의 화재 예방 방법 및 그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42849B1
KR101142849B1 KR1020110086276A KR20110086276A KR101142849B1 KR 101142849 B1 KR101142849 B1 KR 101142849B1 KR 1020110086276 A KR1020110086276 A KR 1020110086276A KR 20110086276 A KR20110086276 A KR 20110086276A KR 101142849 B1 KR101142849 B1 KR 1011428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fire
wooden building
sensing
ris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862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영식
Original Assignee
(주)이시컨트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이시컨트롤 filed Critical (주)이시컨트롤
Priority to KR10201100862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4284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28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28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08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communication transmission lin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06Electric actuation of the alarm, e.g. using a thermally-operated switch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10Actuation by presence of smoke or gases, e.g. automatic alarm devices for analysing flowing fluid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목조 건축물 등 화재 위험이 높은 시설의 화재를 사전에 예방하고, 화재에 대한 신속한 대처를 할 수 잇는 기술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목조 건축물의 화재 예방 방법은, 목조 건축물 구역 내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다중 정보 감지 센서로부터, 센서의 센싱 영역 내의 화재 요소에 대한 센싱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적어도 하나의 센싱 정보를, 구역을 관리하는 로컬 서버와, 구역 외부에서 목조 건축물을 관리하는 외부 서버 중 적어도 하나에 전달하는 단계; 및 로컬 서버와 외부 서버 중 어느 하나가, 센싱 정보와, 목조 건축물 구역 내에 설치된 촬영 장치로부터 수신한 영상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목조 건축물에 대한 화재 위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목조 건축물의 화재 예방 방법 및 그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PREVENTING FIRE OF SOODEN BUILDING}
본 발명은 목조 건축물 등 화재에 의한 손실이 쉬운 시설의 화재를 예방하고, 화재 발생 시 인명 피해를 최소화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시설이 위치한 구역 내의 화재 관련 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집하고, 위험성을 평가하여 위험성 정도에 따라서 다른 대처 방법을 제공하여 효율적인 화재 예방 대책을 구현할 수 있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최근 숭례문 화재 사건을 포함하여 방화나 실화로 인한 주요 문화재의 화재로 인한 손실 사건이 일어나고 있다. 목조 건물은, 그 특성 상 조그만 화재에도 쉽게 손실될 수 있으며, 극소 부분의 화재로 인해 일부가 유실되는 것을 알아차리지 못할 경우, 누수, 바람 등에 의해 쉽게 붕괴될 가능성이 높다. 이에 따라서, 목조 건물에 대한 화재 예방 대책이 필요한 실정이다.
그러나 최근의 문화재 등에 대한 화재 사건을 통해 알 수 있듯이, 지금까지의 화재 예방 시스템은 단순 화재 경보 장치와 인력을 통해서 해결하여 온 것이 사실이다. 경비자가 주기적인 순찰을 통해 화재 여부를 감시하고, 화재 발생 시 화재 경보기의 동작에 의한 대처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경우, 경비자가 눈으로 화재 예상 현상(예를 들어 온도의 증가, 연기 등)을 인지하지 못할 가능성이 있으며, 또한 화재가 발생한 뒤 화재 경보 장치를 통해 화재에 대한 정보를 얻는 것은 목조 건축물의 특성 상 인지 시점이 뒤늦게 되어, 화재의 철저한 방지가 힘들다는 문제점이 지적되어 왔다.
이에 본 발명은, 화재의 가능성이 높고 화재 발생 시 붕괴의 위험성이 높은 목조 건축물에 있어서, 화재 발생 요인에 대한 정확한 감지를 통해, 목조 건축물이 대부분인 우리 나라의 주요 문화재에 대한 화재 발생 가능성을 미연에 방지함으로써, 문화재의 보호는 물론, 문화재에 속한 사람들의 인명 피해 역시 정확하게 방지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목조 건축물의 화재 예방 방법은, 목조 건축물 구역 내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다중 정보 감지 센서로부터, 그 센서의 센싱 영역 내의 화재 요소에 대한 센싱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적어도 하나의 상기 센싱 정보를, 상기 구역을 관리하는 로컬 서버와, 상기 구역 외부에서 상기 목조 건축물을 관리하는 외부 서버 중 적어도 하나에 전달하는 단계; 및 상기 로컬 서버와 상기 외부 서버 중 어느 하나가, 상기 센싱 정보와, 상기 목조 건축물 구역 내에 설치된 촬영 장치로부터 수신한 영상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목조 건축물에 대한 화재 위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다중 정보 감지 센서는, 불꽃의 존재 여부를 판단하는 자외선 정보, 연기 정보, 물체의 움직임 정보 및 온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감지한 정보를 생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센싱 정보들의 변화 추이를 수치화하여 상기 목조 건축물의 화재 발생 확률을 업데이트하는 단계; 및 상기 화재 발생 확률을 이용하여 평가된 상기 목조 건축물의 사회적 위험성에 따라 상기 화재 위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평가된 사회적 위험성이 용인 한도를 초과한 경우, 화재 위험 상황으로 판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화재 위험 상황으로 판정되고, 상기 영상 정보의 분석 결과 상기 목조 건축물에 화재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목조 건축물에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관리자의 이동 단말에 대피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화재 위험 상황으로 판정된 경우, 상기 로컬 서버와 상기 외부 서버 중 어느 하나의 저장장소에, 상기 센싱 정보 수집 시점의 센싱 정보와 상기 촬영 장치로부터 수신한 영상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화재 위험 내역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평가된 사회적 위험성이 용인 한도 미만인 경우, 상기 로컬 서버와 상기 외부 서버 중 어느 하나의 저장장소에, 상기 센싱 정보 수집 시점의 센싱 정보와 상기 촬영 장치로부터 수신한 영상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정보 수집 내역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목조 건축물의 화재 예방 시스템은, 목조 건축물 구역 내에 설치되어 있고, 영역 내의 화재 요소에 대한 센싱 정보를 수집하는 다중 정보 감지 센서; 적어도 하나의 상기 다중 정보 감지 센서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상기 센싱 정보를 다중 입력 포트를 통해 입력 받는 정보 분석 모듈; 및 상기 정보 분석 모듈의 다중 출력 포트를 통해 출력된 상기 센싱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센싱 정보와, 상기 목조 건축물 구역 내에 설치된 촬영 장치로부터 수신한 영상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목조 건축물에 대한 화재 위험 여부를 판단하는 관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관리부는 상기 구역 내부의 로컬 서버와 상기 구역 외부에서 상기 목조 건축물을 관리하는 외부 서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다중 정보 감지 센서는, 불꽃의 존재 여부를 판단하는 자외선 정보, 연기 정보, 물체의 움직임 정보 및 온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감지한 정보를 생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관리부는, 상기 센싱 정보들의 변화 추이를 수치화하여 상기 목조 건축물의 화재 발생 확률을 업데이트하고, 상기 화재 발생 확률을 이용하여 평가된 상기 목조 건축물의 사회적 위험성에 따라 상기 화재 위험 여부를 판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관리부는, 상기 평가된 사회적 위험성이 용인 한도를 초과한 경우, 화재 위험 상황으로 판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관리부는, 상기 화재 위험 상황으로 판정되고, 상기 영상 정보의 분석 결과 상기 목조 건축물에 화재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목조 건축물에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관리자의 이동 단말에 대피 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관리부는, 상기 화재 위험 상황으로 판정된 경우, 저장장소에 상기 센싱 정보 수집 시점의 센싱 정보와 상기 촬영 장치로부터 수신한 영상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화재 위험 내역 정보를 저장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관리부는, 상기 평가된 사회적 위험성이 용인 한도 미만인 경우, 상기 로컬 서버와 상기 외부 서버 중 어느 하나의 저장장소에, 상기 센싱 정보 수집 시점의 센싱 정보와 상기 촬영 장치로부터 수신한 영상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정보 수집 내역 정보를 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목조 건축물의 화재 발생을 미리 외부 또는 내부의 관리 서버를 통해 확인하여, 목조 건축물에서 발생할 수 있는 화재를 사전에 예방함으로써, 문화, 재산 및 인적 피해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목조 건축물의 화재 예방 방법의 플로우차트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목조 건축물의 화재 예방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구현을 위한 다중 정보 감지 센서의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구현에 따른 정보의 흐름을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구현을 위한 관리부의 구성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구현에 따라 관리자의 이동 단말 화면의 예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따른 목조 건축물의 화재 예방 방법 및 시스템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본 발명에 대한 이해를 명확히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특징에 대한 공지의 기술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실시 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상세한 설명이며,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제한하는 것이 아님은 당연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과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균등한 발명 역시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속할 것이다.
이하의 설명에서 동일한 식별 기호는 동일한 구성을 의미하며, 불필요한 중복적인 설명 및 공지 기술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통신”, “통신망” 및 “네트워크”는 동일한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세 용어들은, 파일을 사용자 단말, 다른 사용자들의 단말 및 다운로드 서버 사이에서 송수신할 수 있는 유무선의 근거리 및 광역 데이터 송수신망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목조 건축물의 화재 예방 방법의 플로우차트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목조 건축물의 화재 예방 방법은 먼저, 목조 건축물 구역 내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다중 정보 감지 센서로부터, 그 센서의 센싱 영역 내의 화재 요소에 대한 센싱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S1)가 수행된다.
본 발명에서 목조 건축물은, 문화재로서 지정된 구조물을 포함하여, 목재를 포함하여 건설된 모든 구조물을 의미한다. 또한, 목조 건축물 구역은, 목조 건축물의 내부와 함께, 목조 건축물과 일체로 형성되어 같은 지역명 또는 주소를 갖도록 설정된 행정 구역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목조 건축물 중 사찰은, 사찰에 존재하는 목조 건물과 함께 사찰의 외부 경계를 이루는 담장 내부의 모든 구역이 사찰의 구역을 의미하는 것으로 지칭한다.
다중 정보 감지 센서는, 화재 요소에 대한 정보를 센싱할 수 있는 장치이다. 화재 요소의 수에 따라서, 다중 정보 감지 센서에서 출력되는 정보는 다중 포트를 가질 수 있다.
다중 정보 감지 센서는, 구역 내부에서 화재가 발생하기 쉬운 장소별로 또는 기설정된 구역(예를 들어서 원형으로 구역을 나눈 각 영역)마다 존재할 수 있다. 다중 정보 감지 센서는 센싱 영역 내에서 화재 요소에 대한 정보를 센싱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 화재 요소는, 불꽃의 존재 여부를 판단하는 자외선 정보, 화재 초기 발생할 수 있는 연기를 감지하는 연기 정보, 화재의 요인이 될 수 있는 인체 등의 움직임 정보, 및 화재의 발생을 예측할 수 있는 영역의 온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서, 다중 정보 감지 센서 역시 자외선 정보, 연기 정보, 움직임 정보 및 온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감지한 정보를 생성하게 된다. 다중 정보 감지 센서에서 감지된 정보는 센싱 정보로 가공된다.
이후, 가공된 센싱 정보는 로컬 서버와 외부 서버 중 어느 하나에 전달된다(S2). 가공된 센싱 정보는 이하 설명할 정보 분석 모듈에 임시 저장된다. 하나 이상의 다중 정보 감지 센서로부터 수신된 센싱 정보는 정보 분석 모듈에 의해 융합되어 하나의 종합 센싱 정보로 가공될 수 있다. 가공된 센싱 정보는 2중 TCP/IP 구조에 따라서 동시 또는 순차적으로 로컬 서버 또는 외부 서버에 전달된다.
로컬 서버는 목조 건축물 구역 내부 또는 외부의 근거리에 존재하는 관리 단말을 의미하며, 외부 서버는 적어도 하나의 목조 건축물의 정보를 원격에서 관리하는 서버를 의미한다.
센싱 정보는 로컬 서버와 외부 서버 모두에서 관리될 수 있으며,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전달된다. 로컬 서버와 외부 서버 모두에서는 같은 목조 건축물의 구역에 대해 같은 센싱 정보가 저장되기 때문에, 어느 곳에서나 목조 건축물의 화재를 예상할 수 있다.
센싱 정보를 획득한 로컬 서버와 외부 서버 중 적어도 하나에서는, 센싱 정보를 분석하여 현재 시점에서 목조 건축물이 화재 위험 상황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3)를 수행한다.
이때, 로컬 서버와 외부 서버에는 위험성 평가 모듈이 저장되어 있다. 위험성 평가 모듈은 일반적으로 알려진 정량적 위험도 평가 모델을 이용한다. 통상적으로 정량적 위험도 평가 모델은, 설비의 구축 시에, 설비의 수명 주기 동안에 예상되는 다양한 각도로 사고를 분석하며, 그 피해범위와 빈도를 통하여 정량적으로 위험성을 평가하며, 위험성이 규정 또는 그 밖의 기준에 따라 용인될 수 있는 수준 내에 머무르도록 위험요소들을 규제할 방안을 제시한다. 이를 위해, QRA는 지금까지 역사적으로 있어왔던 각종 설비들의 운용 경험으로부터 구축된 데이터, 즉 일반 신뢰도 자료(Generic Failure Data)에 기초하여 사고의 빈도를 추정한다.
일반 신뢰도 자료(Generic Failure Data)는 비슷한 환경 하의 유사한 기기장치의 신뢰도 분석에 적용하기 위한 축적된 자료로서, 많은 기관에서 이러한 자료를 발행하고 있다. 통상적으로 플랜트, 시설 시스템 및 설비의 신뢰도를 측정하고 위험을 정량화, 유지관리 최적화, 위험에 따른 유지 관리 계획 수립 지원, 새로운 장치의 설계 개선, 수명 주기에 따른 비용 최적화 등에 효과적으로 활용된다. 대표적인 일반 신뢰도 자료는 OREDA(Offshore Reliability Data Handbook), EIREDA (European Industry Reliability Data Bank), NPRD-91(Nonelectronic Parts Reliability Data) 등이 있다. 분야마다 다른 자료들이 발간되고 있는데, 석유화학장치의 일반신뢰도자료(Generic Failure Data)로는 CCPS(Center for Chemical Process Safety)의 PERD(Process Equipment Reliability Database) 자료가 널리 사용되고 있고, 전기/전자분야의 일반 신뢰도 자료로는 IEEE(Institute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에서 발간한 자료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설비에서 예상 가능한 사고가 지닌 위험성은 개인적 위험성과 사회적 위험성으로 분류되어 수치적으로 추정될 수 있다.
사회적 위험성은 인구 집단이 평균적으로 수용할 수 있는 위험성을 기초로 하여, 어떤 특정 위험 시설에서 일어날 수 있는 사고들의 확률의 합(F)과 그 사고들로 인한 인명 피해(N) 사이의 관계로 표현할 수 있으며, 개인적 위험성의 사회적 수용 한계를 의미한다.
통상적으로 정량적 위험도 평가는 위험 시설의 수명 주기 내의 위험성을 분석하고 위험성이 수용 한계를 넘어서면 안전 설계를 강화하거나 위험 물질의 처리 공정을 개선하는 등의 설계 변경을 하기 위한 기법이기 때문에 위험 시설의 구축 시에 일회적으로 사용될 뿐이다.
본 발명에서는, 정량적 위험도 평가를 화재 발생의 위험도를 평가하기 위해 사용될 것이며, 이를 위해, 센싱 정보를 수신하고 이에 따른 목조 건축물에 미칠 수 있는 영향을 수치화하여 계속적으로 로컬 서버 또는 외부 서버에 계속적으로 갱신하여 관리함으로써, 화재 발생 확률을 정확하게 평가할 수 있다.
또한 정량적 위험도 평가를 이용하게 되면, 화재 발생 가능 지점들에서 화재 발생 위험 여부를 사회적 위험성으로 평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목조 건축물에 대해 사회적 위험성이 용인 한도를 넘어서는 것으로 판단하게 되면(예를 들어 10-^6), 로컬 서버 또는 외부 서버는 현재 시점을 화재 위험 상황으로 판정할 수 있다.
S3 단계에서 사회적 위험성이 용인 한도 미만인 경우에는, 위험 상황이 아닌 것으로 판단한다. 그리고 정량적 위험도 평가를 위하여 로컬 서버 또는 외부 서버에는, 정보 수집 시점의 센싱 정보가 정보 수집 내역 정보로서 저장된다(S8).
정보 수집 내역은, 위험 상황이 아닌 경우의 센싱 정보를 포함한다. 한편, 목조 건축물에는 실시간으로 CCTV 등의 촬영 장치를 통해 목조 건축물 곳곳의 영상이 촬영될 수 있다.
이때, 정보 수집 내역에는 촬영 장치를 통해 촬영된 구역 내부 곳곳의 영상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영상 정보는 촬영 장치에 장착된 통신 장치를 통해 로컬 서버 또는 외부 서버에 전달될 수 있다.
S3 단계에서 사회적 위험성이 용인 한도를 초과하는 경우, 화재 위험 상황으로 판단하게 된다. 이후, CCTV 등의 촬영 장치를 통해 촬영된 영상을 분석하는 단계(S4)를 수행하여, 불꽃 등 화재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어 대피가 필요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5)를 수행한다.
촬영된 영상에 화재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라면, 대피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하여 구역 정보에 등록된 관리자의 이동 단말에 대피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S9)를 수행한다.
구역 정보에 등록된 관리자는, 목조 건축물에서 생활하는 사람들 및 목조 건축물의 관리자로 임명된 사람들을 의미한다. 즉, 목조 건축물의 화재에 의해 인명 피해의 대상이 되는 사람들과 함께, 목조 관리물의 관리에 책임이 있는 모든 사람들을 의미한다.
만약, S5 단계의 판단 결과 대피가 필요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는, 정보 수집 시점의 센싱 정보와 CCTV 등의 촬영 장치에서 촬영한 영상 정보를 화재 위험 내역 정보로서 저장하는 단계(S6)를 수행하게 된다. S8 단계에서는 화재의 위험 상황이 아닐 때의 정보가 저장되면서 정보 수집 내역 정보에 저장되나, S6 단계에서는 화재 위험 상황이 된 것으로 판단되었기 때문에, 정보 수집 내역 정보와 구별하여 화재 위험 내역 정보로 저장된다.
이후, S9 단계에서의 대피 메시지와 달리, 관리자의 이동 단말에 경고 메시지가 전송되는 단계(S7)가 수행된다. 예를 들어, 관리자의 이동 단말에, “XX 사원이 YY 건물의 온도가 비정상적으로 상승하고 있습니다. 확인 요망”과 같은 메시지를 전달하여, 관리자로 하여금 건물을 순찰한 뒤, 화재의 위험성이 있는 요소를 사전에 제거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다중 센싱 정보를 동시에 수집하고, 로컬 서버와 외부 서버에서 동시에 목조 건축물의 화재 요소 및 위험 정보를 관리할 수 있어, 확실하게 화재를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기대될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목조 건축물의 화재 예방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이하의 설명에서, 도 1에 대한 설명과 중복되는 부분은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목조 건축물의 화재 예방 시스템은, 다중 정보 감지 센서(10), 정보 분석 모듈(20) 및 로컬 서버(30) 또는 외부 서버(40)를 포함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로컬 서버(30)와 외부 서버(40)는 통합하여 관리부(미도시)로 표현하기로 한다.
다중 정보 감지 센서(10)는,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목조 건축물의 구역 내에 영역별로 설치되어 있을 수 있으며, 자외선, 연기, 움직임 및 온도 등을 감지할 수 있도록 복수의 센싱 장치들이 설치되어 있다.
정보 분석 모듈(20)은 다중 정보 감지 센서(10)로부터 실시간 또는 주기적으로 센싱 정보를 수신한다. 도 2에는 하나의 다중 정보 감지 센서(10)가 하나의 정보 분석 모듈(20)에 연결되어 있으나, 둘 이상의 다중 정보 감지 센서(10)가 연결될 수 있다. 하나의 목조 건축물에 설치된 복수의 다중 정보 감지 센서(10)를 하나의 정보 분석 모듈(20)에 연결시킬 수 있다.
정보 분석 모듈(20)은 한 시점에서 하나 이상의 다중 정보 감지 센서(10)로부터 수신한 센싱 정보를 결합하여, 정보 수집 시점에서의 종합적인 센싱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후, 각 센서의 센싱 정보 또는 결합된 센싱 정보를, 이중 TCP/IP 구조를 이용하여 관리부에 전송하게 된다.
관리부는 로컬 서버(30)와 외부 서버(4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관리부에서는, 도 1에서 언급한 센싱 정보와 영상 정보를 분석하여 화재 위험 상황 또는 대피 상황 여부를 판단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추가적으로, 정보 수집 내역 정보 및 위험 상황 내역 정보 등을 저장 및 갱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관리부는 대피 상황 또는 화재 위험 상황일 때, 관리자들의 이동 단말에 대피 메시지 또는 경고 메시지를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구현을 위한 다중 정보 감지 센서의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다중 정보 감지 센서(10)는 복수의 센서들로 이루어진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다중 정보 감지 센서(10)에는, 불꽃 등의 자외선을 감지하는 자외선 감지 센서(11), 연기를 감지하는 연기 감지 센서(13), 물체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움직임 센서(12)와 함께, 설치된 위치에서 일정 영역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 센서(14)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센서 외에도, 화재의 요인이 되는 정보를 감지할 수 있는 일산화탄소 농도 등을 감지하는 센서 역시 다중 정보 감지 센서(10)에 포함될 수 있다.
센서에서는 각각 자신이 측정한 정보를 정보 분석 모듈(20)에 전달한다. 다중 정보 감지 센서(10)에 설치된 센서가 복수개이기 때문에, 정보 분석 모듈(20)은 다중 입력 포트를 구비하고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구현에 따른 정보의 흐름을 도시한 것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다중 정보 감지 센서(10)에서는 복수의 센싱 정보가 출력된다. 센싱 정보는, 정보 분석 모듈(20)의 다중 입력 포트(식별 번호 없음)에 입력되고, 정보 분석 모듈(20)은 적어도 하나의 다중 정보 감지 센서(10)로부터 수신한 센싱 정보를 결합하여, 다중 출력 포트(식별 번호 없음)를 통해 2중 TCP/IP를 이용하여 로컬 서버(30)와 외부 서버(40) 중 적어도 하나에 센싱 정보를 전달하게 된다.
CCTV 등을 포함하는 촬영 장치(60)의 정보 역시 2중 TCP/IP 구조 등을 통하여 로컬 서버(30)와 외부 서버(40)에 영상 정보를 전달하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구현을 위한 관리부의 구성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5에서는, 관리부 중 로컬 서버(30)의 구성 예를 들어 도시하고 있으나, 외부 서버(40) 역시 동일한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위험성 평가 모듈(21)이 포함되어 있다. 위험성 평가 모듈은, 센싱 정보와 정량적 위험도 평가 모델을 이용하여 화재 위험 상황에 대한 평가를 하게 된다.
영상 출력부(22)는, 촬영 장치(60)로부터 촬영된 영상을 로컬 서버(30)의 표시부(예를 들어 모니터)에 출력하는 기능을 포함한다. 이를 통해, 관리자는 목조 건축물 곳곳의 영상을 확인할 수 있다.
화재 위험 판단부(23)는, 위험성 평가 모듈(21)로부터 화재 위험 상황에 대한 평가 결과를 수신하는 동시에, 영상 출력부(22)에 대한 관리자의 입력 또는 자동 영상 분석 결과(불꽃, 연기 등을 인식한 결과)를 수신한다.
이를 통해, 화재 위험 상황에서 대피가 필요한 상황인지 여부를 판단하게 되며, 대피가 필요한 상황일 경우 관리자 단말(50)에 대피 메시지를, 대피가 필요하지는 않으나 화재 위험 상황으로 판단되는 경우 경고 메시지를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로컬 서버(30) 도는 외부 서버(40)에는, 정보 수집 내역 정보 및 화재 위험 내역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미도시)가 포함되어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구현에 따라 관리자의 이동 단말 화면의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을 참조하면, 관리자 단말(50)에 대피 메시지(51)가 표시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대피 메시지(51)에는, 정보 수집 시각과 함께, 목조 건축물(ABC 사원)에 화재가 발생했음을 알리는 문구가 표시될 수 있다.
또한, 대피 메시지(51)에는 소방서 등 화재 관련 기관에 직접 전화를 연결할 수 있도록 신고 연결 메뉴(52)가 함께 표시될 수 있다. 관리자는 메시지를 확인하고 신속하게 신고 연결 메뉴(52)를 선택하여, 불편함 없이 화재에 대해서 신고를 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되거나 결합되어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각각 하나의 독립적인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들의 그 일부 또는 전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하나 또는 복수 개의 하드웨어에서 조합된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그램 모듈을 갖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그 컴퓨터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코드들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Computer Readable Media)에 저장되어 컴퓨터에 의하여 읽혀지고 실행됨으로써,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현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의 저장매체로서는 자기 기록매체, 광 기록매체, 캐리어 웨이브 매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할 것이다.

Claims (15)

  1. 목조 건축물 구역 내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다중 정보 감지 센서로부터, 그 센서의 센싱 영역 내의 화재 요소에 대한 센싱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적어도 하나의 상기 센싱 정보를, 상기 구역을 관리하는 로컬 서버와, 상기 구역 외부에서 상기 목조 건축물을 관리하는 외부 서버 중 적어도 하나에 전달하는 단계; 및
    상기 로컬 서버와 상기 외부 서버 중 어느 하나가, 상기 센싱 정보와, 상기 목조 건축물 구역 내에 설치된 촬영 장치로부터 수신한 영상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되, 상기 센싱 정보들의 변화 추이를 수치화하여 상기 목조 건축물의 화재 발생 확률을 업데이트하는 단계;
    상기 화재 발생 확률을 이용하여 평가된 상기 목조 건축물의 사회적 위험성이 용인 한도를 초과한 경우, 화재 위험 상황으로 판정하는 단계;
    상기 화재 위험 상황으로 판정된 경우, 상기 로컬 서버와 상기 외부 서버 중 어느 하나의 저장장소에, 상기 센싱 정보 수집 시점의 센싱 정보와 상기 촬영 장치로부터 수신한 영상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화재 위험 내역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평가된 사회적 위험성이 용인 한도 미만인 경우, 상기 로컬 서버와 상기 외부 서버 중 어느 하나의 저장장소에, 상기 센싱 정보 수집 시점의 센싱 정보와 상기 촬영 장치로부터 수신한 영상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정보 수집 내역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조 건축물의 화재 예방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중 정보 감지 센서는,
    불꽃의 존재 여부를 판단하는 자외선 정보, 연기 정보, 물체의 움직임 정보 및 온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감지한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조 건축물의 화재 예방 방법.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재 위험 상황으로 판정되고, 상기 영상 정보의 분석 결과 상기 목조 건축물에 화재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목조 건축물에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관리자의 이동 단말에 대피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조 건축물의 화재 예방 방법.
  6. 삭제
  7. 삭제
  8. 목조 건축물 구역 내에 설치되어 있고, 영역 내의 화재 요소에 대한 센싱 정보를 수집하는 다중 정보 감지 센서;
    적어도 하나의 상기 다중 정보 감지 센서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상기 센싱 정보를 다중 입력 포트를 통해 입력 받는 정보 분석 모듈; 및
    상기 정보 분석 모듈의 다중 출력 포트를 통해 출력된 상기 센싱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센싱 정보와, 상기 목조 건축물 구역 내에 설치된 촬영 장치로부터 수신한 영상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되, 상기 센싱 정보들의 변화 추이를 수치화하여 상기 목조 건축물의 화재 발생 확률을 업데이트하고, 상기 화재 발생 확률을 이용하여 평가된 상기 목조 건축물의 사회적 위험성에 따라 상기 화재 위험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평가된 사회적 위험성이 용인 한도를 초과한 경우, 화재 위험 상황으로 판정하고, 상기 화재 위험 상황으로 판정된 경우, 저장장소에 상기 센싱 정보 수집 시점의 센싱 정보와 상기 촬영 장치로부터 수신한 영상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화재 위험 내역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평가된 사회적 위험성이 용인 한도 미만인 경우, 상기 로컬 서버와 상기 외부 서버 중 어느 하나의 저장장소에, 상기 센싱 정보 수집 시점의 센싱 정보와 상기 촬영 장치로부터 수신한 영상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정보 수집 내역 정보를 저장하는 관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조 건축물의 화재 예방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부는 상기 구역 내부의 로컬 서버와 상기 구역 외부에서 상기 목조 건축물을 관리하는 외부 서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조 건축물의 화재 예방 시스템.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다중 정보 감지 센서는,
    불꽃의 존재 여부를 판단하는 자외선 정보, 연기 정보, 물체의 움직임 정보 및 온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감지한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조 건축물의 화재 예방 시스템.
  11. 삭제
  12. 삭제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부는,
    상기 화재 위험 상황으로 판정되고, 상기 영상 정보의 분석 결과 상기 목조 건축물에 화재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목조 건축물에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관리자의 이동 단말에 대피 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조 건축물의 화재 예방 시스템.
  14. 삭제
  15. 삭제
KR1020110086276A 2011-08-29 2011-08-29 목조 건축물의 화재 예방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11428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6276A KR101142849B1 (ko) 2011-08-29 2011-08-29 목조 건축물의 화재 예방 방법 및 그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6276A KR101142849B1 (ko) 2011-08-29 2011-08-29 목조 건축물의 화재 예방 방법 및 그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42849B1 true KR101142849B1 (ko) 2012-05-08

Family

ID=462715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86276A KR101142849B1 (ko) 2011-08-29 2011-08-29 목조 건축물의 화재 예방 방법 및 그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4284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3291B1 (ko) 2012-06-21 2013-05-10 주식회사 포드림 목조전통건축물 재난 상황 조기 경보 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24142B1 (ko) * 2003-05-29 2005-10-27 한국가스안전공사 도시 가스 배관의 안전 관리 방법
KR200413990Y1 (ko) 2006-01-19 2006-04-13 현대글로벌콘트롤 주식회사 화재 감지 시스템
KR100865751B1 (ko) * 2008-03-18 2008-10-31 주식회사 시뮬레이션테크 목조건물 화재감시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24142B1 (ko) * 2003-05-29 2005-10-27 한국가스안전공사 도시 가스 배관의 안전 관리 방법
KR200413990Y1 (ko) 2006-01-19 2006-04-13 현대글로벌콘트롤 주식회사 화재 감지 시스템
KR100865751B1 (ko) * 2008-03-18 2008-10-31 주식회사 시뮬레이션테크 목조건물 화재감시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3291B1 (ko) 2012-06-21 2013-05-10 주식회사 포드림 목조전통건축물 재난 상황 조기 경보 시스템
WO2013191496A1 (ko) * 2012-06-21 2013-12-27 주식회사 포드림 목조전통건축물 재난 상황 조기 경보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26008B2 (en) System and method providing early prediction and forecasting of false alarms by applying statistical inference models
US11164134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improving process safety in an industrial environment
US20210201657A1 (en) Community Security System Using Intelligent Information Sharing
US10893062B2 (en) Cable assembly with jacket LEDs
US20200202281A1 (en) Using smart cards to reduce risks of work accidents
KR102322427B1 (ko) 빅데이터 기반의 건축물 화재 예방 대응 시스템
KR20160085033A (ko) 학습형 다중센서 재난감지 시스템과 그 방법
KR100985804B1 (ko) 통합 재난관리 시스템
KR101466004B1 (ko) 지능형 방범, 방재 및 사후처리 통합 트리플렉스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101923131B1 (ko) 물질유출감지 및 알림 시스템
KR100980314B1 (ko) 역사내 우범 지역 감시 시스템
US20240161600A1 (en) Self-testing fire sensing device for confirming a fire
KR102042585B1 (ko) 소방 방재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KR101142849B1 (ko) 목조 건축물의 화재 예방 방법 및 그 시스템
US11119453B2 (en) System and method for remote non-intrusive monitoring of assets and entities
KR100343045B1 (ko) 인터넷을 이용한 방범 방법
KR102391895B1 (ko) 기존 센서를 활용한 센서 통합 운영 IoT 플랫폼 시스템
KR101263291B1 (ko) 목조전통건축물 재난 상황 조기 경보 시스템
US11288951B2 (en) Identification of anomaly on a detector
JP4508860B2 (ja) 警備装置
KR102136882B1 (ko) Sns를 이용하여 홈 보안 서비스를 제공하는 보안 장치 및 보안 방법
JP6574694B2 (ja) 警備装置および警備業務支援システム
KR102407150B1 (ko) 지능형 응급상황 알람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102436434B1 (ko) 빅데이터 인공지능 기반 응급상황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KR20110042813A (ko) 관리 대상 출입인증 시스템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5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