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36882B1 - Sns를 이용하여 홈 보안 서비스를 제공하는 보안 장치 및 보안 방법 - Google Patents
Sns를 이용하여 홈 보안 서비스를 제공하는 보안 장치 및 보안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136882B1 KR102136882B1 KR1020130160202A KR20130160202A KR102136882B1 KR 102136882 B1 KR102136882 B1 KR 102136882B1 KR 1020130160202 A KR1020130160202 A KR 1020130160202A KR 20130160202 A KR20130160202 A KR 20130160202A KR 102136882 B1 KR102136882 B1 KR 10213688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user
- security
- home
- information
- sns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6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8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0000000644 propagated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0000001902 propag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1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0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8
- 238000012544 monito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2806 monitoring device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888 barrier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280 bloo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369 blood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790 confirm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622 drink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474 immediate 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689 insp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984 smart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2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managing network security; network security policies in general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1—Social networking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23—Reporting information sensed by appliance or service execution status of appliance services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conom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의 위험 상항을 판단하여 SNS 지인들에게 알리는 홈 보안 서비스를 제공하는 보안 장치 및 보안 방법을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르는 보안 장치는, 사용자별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지인에 대한 SNS 계정 정보를 저장하는 SNS 지인 저장부;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정보를 분석하여 위험 상황의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위험 상황 판단부; 위험 상황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한 경우, 사용자의 SNS 계정 정보를 이용하여 위험 상황의 메시지를 알리는 보안 동작부; 및 메시지가 전송되면 사용자의 위험 상황을 설정하고, 소정 시간 내에 설정된 위험 상황이 해제되지 않는 경우, 자동 신고하는 위험 상황 신고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의 위험 상황을 SNS 지인들 또는 이웃 사용자들에게 알려서 조속한 신고가 가능하고 신고의 허위나 오류의 가능성이 배제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보안 기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위험 상황을 SNS를 통해 알리고 SNS 지인들에 의해 사용자의 위험 상황이 확인되는 홈 보안 서비스를 제공하는 보안 장치 및 보안 방법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홈 보안 서비스는 관찰과 감시를 주목적으로 사건/사고가 발생한 이후 조치를 취하는 것으로 발전하였다. 기존에는 댁내 모니터링 장비들을 통해 실시간으로 사용자의 행동 패턴을 추출하여 사고를 감지하고 처리하는 것을 주된 기능으로 하였다.
종래 기술의 문제점은 첫째, 고정식 모니터링 장치로 사용자의 패턴을 검사함으로 음영 지역 또는 사각 지대에서 발생되는 위험 상황을 인지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둘째, 움직임 패턴에 의한 다수의 사람을 인식하는 기능은 가족의 경우 비슷한 생활 습관을 공유하는 경우가 많아 가족 구성원의 사용자 식별에 오류가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기숙사와 같은 경우에도 비슷한 연령대의 사용자들이 유사한 움직임 패턴을 보일 경우, 정확한 사용자 인식이 어려울 수 있다. 셋째, 상기 언급된 두 가지의 문제점으로 인해 허위 신고, 신고 오류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신고의 목적은 위험을 예방하거나 또는 발생된 위험에 대한 신속한 처리를 위한 것이나 시스템에 의한 반복적이고 잦은 신고 오류는 즉각적인 조치의 방해요소로 작용한다.
상기의 시스템 신고의 오류와 더불어 사용자에 의한 허위 신고 및 신고 오류 또한 보안 서비스의 방해 요소이다. 사용자가 위험 상황을 제대로 인지하지 못하거나 갑작스럽게 놀라서 신고를 못하여 피해가 늘어나는 경우가 있다. 또한, 사용자 스스로가 음주, 우울증 등에 의해 위험 상태에 처한 경우, 스스로 신고를 외면하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위험 발생을 사전에 예방하거나 또는 발생된 위험의 신속한 대응 처리를 위해서는 정확하고 신속한 신고가 매우 중요하다. 사용자의 위험 상황이 우려될 경우, 사용자의 주변 지인이나 이웃들이 나서서 사용자의 상황을 직접 확인하고, 신고를 한다면 보안성은 크게 향상될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사용자의 위험 상황을 사용자의 SNS 지인들에게 알리고, 위험 상황이 지속되면 신고를 발생하는 홈 보안 서비스의 보안 장치 및 보안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위험 상황이 감지된 사용자의 상황을 이웃들에게 알리고, 이웃이 보안 장치의 통제권을 가지고 사용자의 위험 상황을 모니터링할 수 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SNS를 이용하여 홈 보안 서비스를 제공하는 보안 장치는, 사용자별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지인에 대한 SNS 계정 정보를 저장하는 SNS 지인 저장부;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정보를 분석하여 위험 상황의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위험 상황 판단부; 및 상기 위험 상황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한 경우, 사용자의 상기 SNS 계정 정보를 이용하여 위험 상황의 메시지를 알리는 보안 동작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은, 스마트 단말 및 웨어러블(wearable) 단말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위험 상황 판단부는, 사용자별로 홈에 도착하기까지의 제 1패턴(pattern) 및 홈에 도착한 후의 제 2패턴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수집하고, 수집된 현재의 패턴이 기 저장된 패턴과 불일치할 경우, 상기 위험 상황의 발생으로 판단한다.
여기서, 상기 위험 상황 판단부는, 사용자의 홈에 도착하는 이동 경로 및 이동 시간을 포함하는 이동 정보를 상기 제 1패턴으로 수집한다.
또한, 상기 위험 상황 판단부는, 홈 보안 서비스에 의해 연동되는 전자 기기 및 조명의 사용자 조작 정보를 상기 제 2패턴으로 수집한다.
나아가, 상기 위험 상황 판단부는, 사용자의 일정 정보, 날씨 정보 및 교통 정보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수집된 상기 패턴에 대해 불일치 오차를 허용하여 상기 위험 상황의 발생을 판단한다.
대안적으로, 상기 보안 장치는 사용자의 지역에서 범죄가 실시간 발생되는 정보를 수집하여 위험 상황을 상기 사용자 단말로 경고하는 지역 정보 수집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위험 상황 판단부는, 위험 상황이 경고된 이후로 소정 시간 내에 사용자의 응답이 없는 경우, 사용자의 위험 상황의 발생을 판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보안 동작부는, 상기 SNS 계정 정보에 등록된 지인들 중에서 최근 거리, 응답 속도, 위험 대응 신뢰도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항목을 이용하여 메시지 전송의 우선 순위를 결정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보안 장치는, 홈에서 소정의 거리 내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웃 홈의 보안 장치들과 보안 그룹을 설정하여 저장하는 홈 그룹 설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보안 동작부는, 위험 상황의 메시지를 상기 보안 그룹의 이웃 사용자에게 전송하고, 최초로 응답한 이웃 사용자에게 보안 그룹의 보안 장치에 대한 통제권을 부여한다.
여기서, 상기 보안 장치는, 위험 상황이 발생된 홈에 대해 감시되는 감시 정보를 그룹 설정된 이웃 홈의 보안 장치로 백업하는 그룹 백업부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보안 동작부는, 상기 메시지가 전달된 지인의 SNS 계정으로부터 응답 메시지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 사용자의 SNS에서 메시지의 인용 전달 횟수가 기준치 이상인 다른 SNS 계정으로 상기 메시지를 전파한다.
나아가, 상기 보안 장치는, 상기 메시지가 전송되면 사용자의 위험 상황을 설정하고, 소정 시간 내에 설정된 위험 상황이 해제되지 않는 경우, 자동 신고하는 위험 상황 신고부를 더 포함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SNS를 이용하여 홈 보안 서비스를 제공하는 보안 방법은, 보안 장치가 홈 보안 서비스를 제공하는 보안 방법에 있어서, (a)사용자별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지인에 대한 SNS 계정 정보를 저장하는 SNS 지인 저장 단계; (b)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정보를 분석하여 위험 상황의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위험 상황 판단 단계; 및 (c)상기 위험 상황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한 경우, 사용자의 상기 SNS 계정 정보를 이용하여 위험 상황의 메시지를 알리는 보안 동작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의 일상 패턴을 비교하여 위험 상황을 판단하고, 판단된 위험 상황을 SNS 지인들 또는 이웃 사용자들에게 알려서 신고가 발생될 수 있게 한다.
또한, 사용자의 위험 상황은 보안 장치에 의해 판단된 후, SNS 지인 및 이웃 사용자들의 확인을 거쳐서 신고되기에 조속한 신고가 가능하고 신고의 허위나 오류의 가능성이 배제된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후술한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안 시스템의 개략적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홈 보안 서버의 개략적 내부 구조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은 도 3의 홈 보안 서버가 사용자의 위험 상황을 판단하는 개략적 예시도이다.
도 7 내지 도 11은 도 3의 홈 보안 서버가 사용자의 SNS를 이용하여 위험 상황을 알리는 개략적 예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안 방법의 개략적 순서도이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안 시스템의 개략적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홈 보안 서버의 개략적 내부 구조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은 도 3의 홈 보안 서버가 사용자의 위험 상황을 판단하는 개략적 예시도이다.
도 7 내지 도 11은 도 3의 홈 보안 서버가 사용자의 SNS를 이용하여 위험 상황을 알리는 개략적 예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안 방법의 개략적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안 시스템(1)의 개략적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안 시스템(1)은 유,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며, 사용자의 위험 상황을 판단하여 SNS 지인(예 : 가족, 친구 등)들에게 알리는 홈 보안 서버(2) 및 사용자의 주변 상황을 홈 보안 서버(2)로 전송하는 사용자 단말(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홈 보안 서버(2)는, 본 발명이 제공하는 보안 장치로서, 사용자의 SNS(Social Network Service)를 이용하여 홈(home) 보안 서비스를 제공한다. 홈 보안 서버(2)는 실내 설치되어 홈 자동화 기능, 홈 감시 기능, 보안 기능 등을 제어하는 보안 장치이다. 홈 보안 서버(2)는 사용자 단말(3) 및 실내외 감시 장비 및 센서 장비로부터 사용자 상황 및 실내외 상황의 정보(예 : 동영상) 수집하여 사용자의 위험 상황을 판단한다.
여기서, 홈 보안 서버(2)는 설명의 편의상 가정이라 가정되며, 사무실이나 기타 실내 공간에 설치되어 보안 장치로서 기능하여도 무방하다.
상기 사용자 단말(3)은 사용자가 휴대하는 소형 단말로서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사용자의 위치 정보, 사용자의 주변 정보 등을 유,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홈 보안 서버(2)로 전송한다.
예를 들면, 스마트 폰, 스마트 시계, 스마트 안경, wearable PC 등은 사용자가 휴대하는 사용자 단말(3)로서 사용자의 행동 패턴을 수집하여 홈 보안 서버(2)로 전송할 수 있다.
그러면, 홈 보안 서버(2)는 사용자 단말(3)로부터 일정 정보, 위치 정보, 주변 정보(예 : 사진 또는 동영상) 등을 수집할 수 있다. 홈 보안 서버(2)는 사용자 단말(3)로부터 수집된 사용자 정보와 감시 장비 및 센서 장비로부터 수집된 감시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위험 상황을 판단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홈 보안 서버(2)는 사용자 단말(3)로부터 집 앞에 도착하기까지의 실외 패턴 정보(201)와 실내 감시 장비로부터 실내 패턴 정보(202)를 수집한다. 사용자 단말(2)은 미리 설정된 영역의 범위 내에서 사용자의 위치 및 이동을 추적하여 홈 보안 서버(2)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실외 패턴 정보(201) 및 실내 패턴 정보(202)는 홈 보안 서버(2)가 수집한 날씨, 일정, 교통 상황 등의 외부 변수 정보(203)에 따라 소정의 오차를 허용한다. 또한, 홈 보안 서버(2)는 사용자의 위치 지역에서 발생되는 범죄 정보(204)를 수집하고, 수집된 범죄 정보에 사용자가 영향을 받는지 등을 판단한다. 그러면, 홈 보안 서버(2)는 실외 패턴 정보(201), 실내 패턴 정보(202), 외부 변수 정보(203) 및 주변의 범죄 정보(204)를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사용자의 위험 상황을 판단한다. 만약, 사용자가 위험 상황에 처한 것으로 판단되면, 홈 보안 서버(2)는 사용자의 위험 상황 정보(205)를 생성하여 사용자의 SNS 지인들의 계정으로 알린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홈 보안 서버(2)의 개략적 내부 구조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홈 보안 서버(2)는 사용자의 SNS 지인 정보를 저장하는 SNS 지인 저장부(21), 사용자의 주변 상황 정보를 이용하여 위험 상황의 여부를 판단하는 위험 상황 판단부(24), 위험 상황이 판단되면, 사용자의 위험 상황을 사용자의 SNS 지인들에게 알리는 보안 동작부(25) 및 위험 상황이 지속될 경우 사용자의 위험 상황을 신고하는 위험 상황 신고부(2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SNS 지인 저장부(21)는 사용자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SNS 지인들에 대한 계정 정보(예 :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톡, SMS 등)를 등록받고 저장한다. 사용자의 위험 상황이 발생되면, 위험 상황의 발생 메시지가 등록된 SNS 계정으로 전송된다.
상기 위험 상황 판단부(24)는 사용자 단말(3)로부터 수신되는 정보를 분석하여 위험 상황의 발생 여부를 판단한다.
바람직하게, 위험 상황 판단부(24)는 상기 실외 패턴 정보(201)에 해당되는 제 1패턴 정보 및 상기 실내 패턴 정보(202)에 해당되는 제 2패턴 정보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을 수집한다. 그리고 수집된 패턴 정보가 기 저장된 패턴 정보와 비교되어 불일치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위험 상황 판단부(24)는 사용자의 위험 상황을 판단한다.
여기서, 제 1패턴 정보는 사용자가 홈에 도착하는 이동 경로 및 이동 시간 등을 포함하는 이동 정보에 해당될 수 있다. 또한, 제 2패턴 정보는 홈 보안 서비스에 의해 연동되는 전자 기기 및 조명의 사용자 조작 정보에 해당될 수 있다. 물론, 패턴 정보의 종류는 다양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습관, 일상 루틴에 해당하기만 하면 특별한 제한을 두지 않는다.
또한, 위험 상황 판단부(24)는 상기 외부 변수 정보 (203)에 해당되는 사용자의 일정 정보, 날씨 정보 및 교통 정보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수집된 상기 패턴과 기 저장된 패턴에 대해 불일치 오차를 허용하여 상기 위험 상황의 발생을 판단한다.
나아가, 홈 보안 서버(2)는 SNS 지역 정보 수집부(2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SNS 지역 정보 수집부(23)는 사용자가 이동하는 지역에서 범죄가 실시간 발생되는 정보를 SNS를 통해 수집하고, 수집된 범죄 정보를 사용자 단말(3)로 경고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가 미리 환경 설정한 정보에 따라서, 위험 상황이 사용자 단말(3)로 경고된 이후로 소정 시간 내에 사용자의 응답이 없는 경우, 위험 상황 판단부(24)는 사용자에게 위험 상황이 발생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보안 동작부(25)는, 상기 위험 상황으로 판단된 경우, 사용자의 기 등록된 상기 SNS 계정 정보를 이용하여 위험 상황의 메시지를 알린다.
그러면, 지인들은 자신의 사용자 단말(3)을 통해 SNS 메시지를 확인하여 사용자에게 연락을 시도할 수 있다. 만약, 사용자와 연락되지 않는 경우 또는 사용자의 위험 상황을 확인한 경우, 지인들은 본인의 판단으로 경찰, 보안 업체, 병원 등에 사용자의 위험 상황을 신고한다. 여기서, 홈 보안 서버(2)를 통해 사용자의 위험 상황이 판단되는 1차 판단을 거치고, 위험 상황을 통보받은 SNS 지인에 의해 위험 상황이 판단되는 2차 판단을 거쳐서 최종적으로 신고가 발생되기 때문에 신고가 허위나 오류일 가능성은 크게 줄어든다.
바람직하게, 보안 동작부(25)는, SNS 계정 정보로서 등록된 지인들에 대해 최근 거리, 응답 속도, 위험 대응 신뢰도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항목을 이용하여 메시지를 우선 전달받는 지인들의 순위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안 동작부(25)는, 위험 상황의 메시지가 전달된 지인의 SNS 계정으로부터 응답 메시지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 또는 위험 상황의 해제 없이 기준치 시간을 초과하여 지속되는 경우 등에서, 사용자의 SNS 기록에서 인용 전달 횟수(예 : 트위터의 retweet)가 기준치 이상인 다른 SNS 계정으로 상기 메시지를 전파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기준치 이상의 다른 SNS 계정은 사회 유명인으로서 SNS 파급력을 갖기 때문에 이러한 사람들에게 사용자의 의심되는 위험 상황이 지속하고 있음을 알리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위험 상황 신고부(26)는 위험 상황의 메시지를 SNS 지인들의 각각의 계정으로 전송하고, 소정 시간 내에 설정된 위험 상황이 해제되지 않는 경우, 사용자의 위험 상황을 경찰, 보안 업체 등으로 자동 신고한다. 위험 상황의 신고는 사용자의 환경 설정에 따라 사용자 본인은 물론이며 SNS 지인 또는 홈 그룹의 이웃에 의해 해제될 수 있다.
나아가, 홈 보안 서버(2)는 홈 그룹 설정부(2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홈 그룹 설정부(22)는 사용자의 홈에서 소정의 거리 내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웃 홈의 보안 장치들을 등록받아 보안 그룹으로 설정하여 저장한다. 그러면, 보안 동작부(25) 사용자에게 발생된 위험 상황의 메시지를 상기 보안 그룹의 이웃 사용자에게 전송하고, 최초로 응답한 이웃 사용자에게 보안 그룹의 보안 장치에 대한 통제권을 부여한다. 통제권을 부여받은 이웃 사용자는 보안 장치의 디스플레이 장비를 통해 사용자의 홈 주변 또는 실내에서 촬영되는 영상 정보를 시청하는 것이 가능하다. 사용자의 위험 상황이 발생하여 SNS 지인들에게 메시지가 통보될 때 또는 SNS 지인들에게 상기 메시지를 통보한 이후로 위험 상황이 해제없이 지속하고 있는 경우, 사용자의 이웃에 대한 위험 상황의 통보가 개시될 수 있다.
더 나아가, 홈 보안 서버(2)는 그룹 백업부(2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외부인이 사용자의 홈에 강제로 침입할 경우 댁내 보안 장치를 파손시킬 수 있다. 때문에, 그룹 백업부(27)는 위험 상황이 발생된 홈에 대해 감시되는 실외 또는 실내의 감시 정보를 그룹 설정된 이웃 홈의 보안 장치로 백업한다. 물론, 상기 통제권을 부여받은 이웃 사용자의 댁내 보안 장치는 위험 상황이 발생된 사용자의 홈에 대해 모니터링되는 영상 정보, 침입 정보 등을 백업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이웃 사용자는 부여된 통제권에 기반하여 백업된 정보를 조회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4 내지 도 6은 도 3의 홈 보안 서버(2)가 사용자의 위험 상황을 판단하는 개략적 예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홈 보안 서버(2)는 사용자의 홈 도착을 인식하여 사용자를 식별하는 도착 인식 기능(401), 댁내 사용자의 행동 패턴을 수집하는 댁내 패턴 수집 기능(402), 수집된 사용자 행동의 패턴을 기반으로 위험 상황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패턴 판단 기능(403) 및 판단된 위험 상황을 SNS 지인들의 계정으로 통보하는 SNS 보안 기능(404)을 처리한다.
홈 보안 서버(2)가 실내 출입 사용자를 식별하면, 사용자가 실내에서 행동하는 정보를 패턴 정보로 수집한다. 수집된 패턴 정보를 현재까지 누적된 표준 패턴 정보와 비교되고 일치되는 것으로 판단되면 위험 상황이 아닌 것으로 판단된다. 만약, 위험 상황으로 판단되면, SNS 지인들에게 사용자의 위험 상황 메시지가 통보된다. 또한,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서 주변 이웃들에게도 사용자의 위험 상황 메시지가 통보될 수 있다. 주변 이웃은 본인의 사용자 단말 또는 댁내 설치된 보안 장치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메시지 조회가 가능하다. 이후, 정해진 시간이 경과하여도 사용자의 위험 상황이 해제되지 않으면, 홈 보안 서버(2)는 자동 신고를 발생한다.
도 5를 참조하면, 홈 보안 서버(2)의 댁내 패턴 수집 기능(402)을 상세히 예시한다. 사용자가 홈에 도착하면 습관적으로 홈 보안 서버(2)와 연동 및 제어되는 각종 전자 기기(501)를 켠다. 상기 전자 기기(501)의 예를 들면, TV, 냉장고, 스마트 폰, 조명 기기 등이 있다. 홈 보안 서버(2)는 패턴 검사 기능(502)을 수행하여 전자 기기(501)의 동작 정보를 식별된 사용자의 패턴 정보로 수집한다. 또한, 홈 보안 서버(2)는 상기 외부 변수 정보(203)의 수집을 위해 캘린더 연동 기능(503) 및 날씨 정보 연동 기능(504)을 수행한다. 예를 들면, 사용자의 스마트 폰에 저장된 캘린더의 일정 정보가 수집될 수 있다. 수집된 캘린더 정보 날씨 정보 및 교통 정보 등은 수집된 패턴 정보에 오차를 허용한다. 홈 보안 서버(2)는 스마트 홈 허브 기능(505)에 의해 수집된 패턴 정보를 수집된 외부 변수 정보(203)에 기반하여 표준 패턴 정보와 비교한다. 스마트 홈 서버(2)는 실시간 패턴 정보와 표준 패턴 정보를 비교하여 허용치 이상으로 불일치하다고 판단하면, 사용자의 위험 상황이 발생된 것으로 판단한다.
도 6을 참조하면, 홈 보안 서버(2)는 사용자의 실시간 위치 기반의 범죄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위험 상황을 판단할 수 있다. SNS 수집 기능(601)을 통해 홈 보안 서버(2)는 사용자의 실시간 위치에 기반하는 범죄 정보를 수집하여 사용자 단말(3)로 통보한다. SNS 보안 기능(602)을 통해 범죄 정보를 통보받은 사용자 단말(3)로부터 아무런 응답이 없는 경우, 홈 보안 서버(2)는 SNS 보안 기능(603)을 처리하여 사용자의 SNS 지인들에게 사용자의 위험 상황을 통보한다. 그러면, SNS 지인이 사용자의 주변에 있는 경우 사용자의 상황을 직접 확인할 수 있다. 또한, SNS 지인이 사용자에게 연락을 취하여 사용자의 상황을 확인하여도 무방하다.
도 7 내지 도 11은 도 3의 홈 보안 서버(2)가 사용자의 SNS를 이용하여 위험 상황을 알리는 개략적 예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위험 상황을 판단한 홈 보안 서버(2)는 친구 검색 기능(702) 및 친구 추천 기능(703)을 처리하여 메시지를 우선 수신하는 지인들의 순위를 결정한다. 사용자는 순위 결정의 처리를 위해 최근 거리, 응답 속도, 위험 대응 신뢰도 등의 기준 항목을 미리 설정해 둘 수 있다. 상기 응답 속도는 지인들 중에서 사용자에게 빠른 응답을 하는 지인들의 순위 정보에 대응한다. 상기 위험 대응 신뢰도는 지인들 중에서 사용자가 위험 상황의 사고 처리에 믿을 수 있는 지인들의 순위 정보에 대응한다. 우선 순위가 결정되면, 홈 보안 서버(2)는 위험 상황 판단 기능(701) 및 메시지 발송 기능(704)을 처리하여 SNS 지인들에게 위험 상황의 메시지를 발신한다. 이후, 홈 보안 서버(2)는 응답 대기 기능(704)에 의해 사용자 또는 SNS 지인들의 응답을 대기한다. 위험 상황 판단 기능(701)에 의해 위험 상황이 판단된 이후로 소정 시간이 경과한 시점에서 응답없이 위험 상황이 지속되면 메시지 발송 기능(704)에 의해 홈 보안 서버(2)는 자동 신고를 발생한다.
도 8을 참조하면, 홈 보안 서버(2)는 SNS 지인의 통보 처리와 병행적으로 또는 보완적으로 이웃 통보 처리를 진행할 수 있다. 보완적으로 진행될 경우는 SNS 지인들에게 메시지를 통보한 이후로 사용자의 위험 상황이 지속되는 경우라 할 수 있다. 사용자는 SNS 지인을 주변 이웃보다 더 가까운 관계로 여긴다. 사용자의 홈 보안 장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주변 이웃의 홈 보안 장치와 그룹 설정되어 저장된다. 사용자가 홈에 도착한 이후로, 상기 1차 패턴 및 제 2차 패턴이 기존의 표준 패턴과 불일치하는 경우(801), 주변에 범죄 상황이 발생하여 사용자의 안전이 우려되는 경우(802), 보안 장비 및 전력 설비 등의 파손이 감지된 경우(803) 등에서 홈 보안 서버(2)는 그룹 설정된 이웃들의 사용자 단말(3) 또는 보안 장치로 사용자의 위험 상황을 알린다.
도 9를 참조하면, 홈 보안 서버(2)는 위험 상황 감지 기능(901) 및 위험 상황 처리 기능(902)을 실행하여 이웃 홈의 보안 장치로 백업 처리를 요청한다. 여기서, 메시지를 수신한 이웃들 중에서 최초로 응답한 이웃이 위험 상황의 통제권을 부여받는다. 통제권을 부여받은 이웃은 감시된 영상 정보의 조회 및 주변 감시 장치의 제어가 가능하다. 이웃은 실시간 감시되는 정보를 통해 사용자의 위급 상황이 확인되면 신고 및 구조 요청을 할 수 있다. 사용자의 홈에 설치된 보안 장치가 파손되더라도 주변의 이웃 홈의 보안 장치로 감시 정보가 백업되기 때문에 백업된 감시 정보는 증거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사용자의 SNS 지인들을 통해서 메시지가 통보된 이후에도 사용자의 위험 상황이 해제되지 않으면, 사용자가 리트윗한 상대방 SNS 사용자에게 메시지를 전파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사용자에게 가까운 SNS 지인을 통해서 사용자의 위험 상황이 해제되지 않으면, 이웃을 통해 사용자의 실내외 상황이 감시된다. 동시에, 사용자의 SNS에서 메시지의 인용 전달 횟수가 기준치 이상인 다른 SNS 계정의 사용자로 메시지를 전송한다. 실제로, 많은 사람들과 SNS 관계를 맺고 있는 유명인의 경우, 긴급 혈액, 미아 찾기 등의 긴급 구호 상황을 알려서 좋은 결과를 남긴 사례가 많이 있기에 이를 응용하여 사용자의 위험 상황에 적용하는 것도 효과적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안 방법의 개략적 순서도이다.
홈 보안 서버(2)는 사용자별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SNS 지인들에 대한 계정 정보를 등록받고 저장한다(S21).
또한, 홈 보안 서버(2)는 사용자의 홈에서 소정의 거리 내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웃 홈의 보안 장치들을 등록받아 보안 그룹으로 설정한다(S22).
여기서, SNS 지인의 정보 및 이웃 사용자의 정보가 등록된 이후로, 홈에서 사용자의 위험 상황이 발생되면, 등록된 SNS 지인 및 이웃의 정보가 참조되어 위험 상황의 발생 메시지가 각각 통보된다.
이후로, 홈 보안 서버(2)는 사용자 단말(3)의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사용자 위치를 수집하고, 수집된 위치의 지역에서 실시간 발생되는 범죄 정보를 상기 어플리케이션으로 제공할 수 있다(S23).
그러면, 홈 보안 서버(2)는 사용자의 패턴 정보를 수집하여 기 저장된 패턴 정보와 비교하고, 불일치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사용자의 위험 상황을 판단한다(S24).
여기서, 위험 상황의 판단 기준은 사용자의 환경 설정에 의해 다양할 수 있다. 먼저, 홈 보안 서버(2)는 사용자가 집에 도착하기까지의 제 1패턴 정보 및 사용자가 집에 도착한 후의 제 2패턴 정보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을 수집한다. 그리고 수집된 패턴 정보가 기 저장된 표준 패턴 정보와 비교되어 불일치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홈 보안 서버(2)는 사용자의 위험 상황을 판단한다. 여기서, 홈 보안 서버(2)는 일정 정보, 날씨 정보 및 교통 정보 등을 변수 정보로 수집하여 상기 패턴 비교의 불일치 오차로 적용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일정이 있는 경우 데이터 불일치는 상기 일정에 의해 일치로 판단되어 위험 상황이 아닌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다음으로, 홈 보안 서버(2)는 상기 단계(S23)에서 지역의 범죄 정보를 사용자 단말(3)로 전송하여 경고한 이후로 소정 시간 내에 사용자의 응답이 없는 경우, 사용자에게 위험 상황이 발생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위험 상황이 판단되면, 홈 보안 서버(2)는 상기 단계(S21)에서 등록된 사용자의 SNS 지인의 계정 정보를 이용하여 위험 상황의 메시지를 알린다(S25). 그러면, 메시지를 확인한 SNS 지인은 사용자의 집을 방문하거나 또는 사용자에게 연락을 취해서 사용자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SNS 지인은 사용자의 위험 상황이라 판단되면, 직접 신고 또는 구조 요청 등을 할 수 있다.
여기서, 홈 보안 서버(2)는 등록된 지인들에 대해 최근 거리, 응답 속도, 위험 대응 신뢰도 등의 항목에 따라서 메시지를 우선 전달받는 지인들의 순위를 결정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홈 보안 서버(2)는 SNS 지인에 대해 메시지를 통보한 이후로 소정 시간이 경과하여도 사용자의 위험 상황이 해제되지 않으면, 상기 단계(S22)에서 등록된 홈 그룹의 이웃들에게 사용자의 위험 상황을 알릴 수 있다. 물론, SNS 지인과 동시에 이웃들에게 메시지를 전송하여도 무방하다. 그러면, 이웃 사용자는 자신의 사용자 단말(2) 또는 홈 보안 장치를 통해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이때, 메시지를 수신한 이웃들 중에서 최초로 메시지에 응답한 이웃은 위험 상황이 발생된 사용자의 홈 보안 장치에 대해 통제권을 갖는다. 통제권을 부여받은 이웃 사용자는 보안 장치의 디스플레이 화면을 통해 사용자의 홈 주변 또는 실내에서 촬영되는 영상 정보를 시청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실외 및 실내의 홈 그룹으로 설정된 각각의 보안 장치의 제어를 직접 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홈 보안 서버(2)는 사용자의 홈에서 보안 장치들을 통해 감시된 감시 정보를 홈 그룹에 소속된 이웃의 보안 장치로 백업을 처리한다. 여기서, 사용자의 위험 상황이 판단되면, 주변 이웃의 보안 장치 또한 사용자의 홈 주위를 감시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제권을 부여받은 이웃 사용자의 댁내 보안 장치는 위험 상황이 발생된 사용자의 홈에 대해 모니터링되는 영상 정보, 침입 정보 등을 백업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면, 사용자의 위험 상황은 홈 보안 서버(2)에 의해 1차로 판단되고, 사용자와 가까운 SNS 지인들을 통해 2차로 확인되고, 2차 또는 3차로서 주변 이웃들에 의해 확인될 수 있다.
이후, 홈 보안 서버(2)가 위험 상황의 메시지를 SNS 지인들의 각각의 계정으로 전송하였지만, 기준치 시간을 경과하여 설정된 위험 상황이 지속하고 있는 경우, 사용자의 위험 상황을 경찰, 보안 업체 등으로 자동 신고한다(S26).
여기서, 위험 상황의 해제는 사용자의 환경 설정에 따라 사용자 본인은 물론이며 SNS 지인 또는 홈 그룹의 이웃에 의해 해제될 수 있다. 하지만, 위험 상황이 기준 시간 내에 해제되지 않는 경우 홈 보안 서버(2)는 설정된 정보에 기반하여 자동 신고를 발생한다.
또한, 홈 보안 서버(2)는, 상기 기준치 시간 내에 사용자의 위험 상황이 해제되지 않는 경우에서, 사용자의 SNS 기록 중에서 인용 전달 횟수(예 : 트위터의 retweet)가 기준치 이상인 다른 SNS 계정으로 상기 메시지를 전파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기준치 이상의 다른 SNS 계정은 사회 유명인으로서 SNS 파급력을 갖기 때문에 이러한 사람들에게 사용자의 의심되는 위험 상황이 지속하고 있음을 알리는 것은 사고 예방 또는 후속 처리에 도움이 될 수 있다.
상기에서, 홈 보안 서버(2)는 SNS 지인들에게 메시지 통보를 기본적으로 처리하고, 사용자가 환경 설정한 보안 정책에 따라 주변 이웃의 통보 처리, 자동 신고 처리 및 리트윗 통보 처리 등의 처리를 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사용자의 보안 정책을 조회한 홈 보안 서버(2)가 SNS 통보 처리한 후 30분 후에 이웃 통보 처리를 수행하고, 30분이 더 경과한 후에도 위험 상황이 해제되지 않으면 자동 신고 및 리트윗 통보 처리를 수행하는 것이다. 물론, 외부인의 침입이나 화재 등 기타 사고가 감지되는 경우는 홈 보안 서버(2)에 의해 위험 상황이 감지됨과 동시에 바로 신고가 발생한다.
상술한 실시예에서, "~부"라는 용어는 홈 보안 서버(2)의 하드웨어적 구분을 의미하는 용어로 사용된 것이 아니다. 따라서 복수의 구성부가 하나의 구성부로 통합될 수도 있고, 하나의 구성부가 복수의 구성부로 분할될 수도 있다. 또한, 구성부는 하드웨어의 구성부를 의미할 수도 있지만, 소프트웨어의 구성부를 의미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부"라는 용어에 의해 특별히 한정되지 않음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 : 홈 보안 시스템 2 : 홈 보안 서버
3 : 사용자 단말
3 : 사용자 단말
Claims (24)
- SNS(Social Network Service)를 이용하여 홈(home) 보안 서비스를 제공하는 보안 장치에 있어서,
사용자별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지인에 대한 SNS 계정 정보를 저장하는 SNS 지인 저장부;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정보를 분석하여 위험 상황의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위험 상황 판단부;
상기 위험 상황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한 경우, 사용자의 상기 SNS 계정 정보를 이용하여 위험 상황의 메시지를 알리는 보안 동작부; 및
홈에서 소정의 거리 내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웃 홈의 보안 장치들과 보안 그룹을 설정하여 저장하는 홈 그룹 설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보안 동작부는,
위험 상황의 메시지를 상기 보안 그룹의 이웃 사용자에게 전송하고, 상기 이웃 사용자에게 보안 그룹의 보안 장치에 대한 통제권을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 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은,
스마트 단말 및 웨어러블(wearable) 단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 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위험 상황 판단부는,
사용자별로 홈에 도착하기까지의 제 1패턴(pattern) 및 홈에 도착한 후의 제 2패턴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수집하고, 수집된 현재의 패턴이 기 저장된 패턴과 불일치할 경우, 상기 위험 상황의 발생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 장치. -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위험 상황 판단부는,
사용자의 홈에 도착하는 이동 경로 및 이동 시간을 포함하는 이동 정보를 상기 제 1패턴으로 수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 장치. -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위험 상황 판단부는,
홈 보안 서비스에 의해 연동되는 전자 기기 및 조명의 사용자 조작 정보를 상기 제 2패턴으로 수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 장치. -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위험 상황 판단부는,
사용자의 일정 정보, 날씨 정보 및 교통 정보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수집된 상기 패턴에 대해 불일치 오차를 허용하여 상기 위험 상황의 발생을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 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사용자의 지역에서 범죄가 실시간 발생되는 정보를 수집하여 위험 상황을 상기 사용자 단말로 경고하는 지역 정보 수집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위험 상황 판단부는,
위험 상황이 경고된 이후로 소정 시간 내에 사용자의 응답이 없는 경우, 사용자의 위험 상황의 발생을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 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안 동작부는,
상기 SNS 계정 정보에 등록된 지인들 중에서 최근 거리, 응답 속도, 위험 대응 신뢰도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항목을 이용하여 메시지 전송의 우선 순위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 장치. - 삭제
- 제 1항에 있어서,
위험 상황이 발생된 홈에 대해 감시되는 감시 정보를 그룹 설정된 이웃 홈의 보안 장치로 백업하는 그룹 백업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 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안 동작부는,
상기 메시지가 전달된 지인의 SNS 계정으로부터 응답 메시지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 사용자의 SNS에서 메시지의 인용 전달 횟수가 기준치 이상인 다른 SNS 계정으로 상기 메시지를 전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 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가 전송되면 사용자의 위험 상황을 설정하고, 소정 시간 내에 설정된 위험 상황이 해제되지 않는 경우, 자동 신고하는 위험 상황 신고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 장치. - 보안 장치가 SNS(Social Network Service)를 이용하여 홈(home) 보안 서비스를 제공하는 보안 방법에 있어서,
(a)사용자별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지인에 대한 SNS 계정 정보를 저장하는 SNS 지인 저장 단계;
(b)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정보를 분석하여 위험 상황의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위험 상황 판단 단계; 및
(c)상기 위험 상황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한 경우, 사용자의 상기 SNS 계정 정보를 이용하여 위험 상황의 메시지를 알리는 보안 동작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단계(c) 이전에,
홈에서 소정의 거리 내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웃 홈의 보안 장치들과 보안 그룹을 설정하여 저장하는 홈 그룹 설정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단계(c)는,
상기 메시지를 상기 보안 그룹의 이웃 사용자에게 전송하고, 상기 이웃 사용자에게 보안 그룹의 보안 장치에 대한 통제권을 부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 방법. -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b)는,
스마트 단말 및 웨어러블(wearable) 단말을 포함하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정보가 분석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 방법. -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b)는,
사용자별로 홈에 도착하기까지의 제 1패턴 및 홈에 도착한 후의 제 2패턴 중에서 적어도 하나가 수집되고, 수집된 현재의 패턴이 기 저장된 패턴과 불일치할 경우, 상기 위험 상황의 발생으로 판단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 방법. -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b)는,
사용자의 홈에 도착하는 이동 경로 및 이동 시간을 포함하는 이동 정보가 상기 제 1패턴으로 수집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 방법. -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b)는,
상기 홈 보안 서비스에 의해 연동되는 전자 기기 및 조명의 사용자 조작 정보가 상기 제 2패턴으로 수집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 방법. -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b)는,
사용자의 일정 정보, 날씨 정보 및 교통 정보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수집된 상기 패턴에 대해 불일치 오차를 허용하여 상기 위험 상황의 발생이 판단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 방법. -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b) 이전에,
사용자의 지역에서 범죄가 실시간 발생되는 정보를 수집하여 위험 상황이 상기 사용자 단말로 경고되는 지역 정보 수집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단계(b)는,
위험 상황이 경고된 이후로 소정 시간 내에 사용자의 응답이 없는 경우, 사용자의 위험 상황의 발생이 판단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 방법. -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c)는,
저장된 상기 SNS 계정 정보의 지인들 중에서 최근 거리, 응답 속도, 위험 대응 신뢰도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항목을 이용하여 메시지 전송의 우선 순위가 결정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 방법. - 삭제
-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c)는,
위험 상황이 발생된 홈에 대해 감시되는 감시 정보를 이웃 홈의 보안 장치로 백업하는 그룹 백업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 방법. -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c)는,
상기 메시지가 전달된 지인의 SNS 계정으로부터 응답 메시지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 사용자의 SNS에서 메시지의 인용 전달 횟수가 기준치 이상인 다른 SNS 계정으로 상기 메시지가 전파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 방법. - 제 13항에 있어서,
(d)상기 메시지가 전송되면 사용자의 위험 상황을 설정하고, 소정 시간 내에 설정된 위험 상황이 해제되지 않는 경우, 자동 신고하는 위험 상황 신고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160202A KR102136882B1 (ko) | 2013-12-20 | 2013-12-20 | Sns를 이용하여 홈 보안 서비스를 제공하는 보안 장치 및 보안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160202A KR102136882B1 (ko) | 2013-12-20 | 2013-12-20 | Sns를 이용하여 홈 보안 서비스를 제공하는 보안 장치 및 보안 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073247A KR20150073247A (ko) | 2015-07-01 |
KR102136882B1 true KR102136882B1 (ko) | 2020-07-22 |
Family
ID=537868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0160202A KR102136882B1 (ko) | 2013-12-20 | 2013-12-20 | Sns를 이용하여 홈 보안 서비스를 제공하는 보안 장치 및 보안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136882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959849B1 (ko) | 2015-11-04 | 2019-03-19 | 최옥재 | Sns을 이용한 스마트폰의 출입통제 및 출입정보 관리 및 통보 시스템 |
US10694363B1 (en) | 2018-12-04 | 2020-06-23 | At&T Mobility Ii Llc | Facilitation of community notification for emergency events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7226714A (ja) * | 2006-02-27 | 2007-09-06 | Sky Kk | 携帯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異常通知システム |
KR101202252B1 (ko) * | 2011-09-26 | 2012-11-16 | (주)인지도 | 이동통신단말기에 연결되는 이어 셋을 이용한 사용자 호신 관리 시스템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95110B1 (ko) * | 2006-05-08 | 2008-01-17 | 삼성전자주식회사 | 어린이 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실내 위치인식 시스템 및방법 |
KR101357255B1 (ko) * | 2009-12-07 | 2014-01-29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 친구의 친구 찾기 sms 서비스 제공 방법 및 sms 서비스 요청에 따른 응답 처리 방법 |
KR101133924B1 (ko) * | 2010-05-27 | 2012-04-16 | 박용헌 | 행동패턴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한 능동형 영상감시 시스템 및 그 방법 |
CN102386072B (zh) | 2010-08-25 | 2016-05-04 | 株式会社半导体能源研究所 | 微晶半导体膜的制造方法及半导体装置的制造方法 |
-
2013
- 2013-12-20 KR KR1020130160202A patent/KR102136882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7226714A (ja) * | 2006-02-27 | 2007-09-06 | Sky Kk | 携帯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異常通知システム |
KR101202252B1 (ko) * | 2011-09-26 | 2012-11-16 | (주)인지도 | 이동통신단말기에 연결되는 이어 셋을 이용한 사용자 호신 관리 시스템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073247A (ko) | 2015-07-0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0868712B1 (en) | Cooperative monitoring networks | |
US9978255B1 (en) | Alarm probability | |
US9424737B2 (en) | User management of a response to a system alarm event | |
US9942414B2 (en) | Digital smart security network system, method and program | |
US9280889B2 (en) | Alert network and method for transmitting and propagating alerts | |
US9460591B2 (en) | Event notification | |
US20150022338A1 (en) | Geo-location services | |
WO2016025946A1 (en) | Using degree of confidence to prevent false security system alarms | |
EP2407944A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activating and deactivating video cameras in a security system | |
CN102622861A (zh) | 基于地理位置的安保监控报警系统及其方法 | |
KR101386591B1 (ko) | 감시카메라 통합관리시스템 | |
US10863339B1 (en) | Safety notification service | |
WO2016149072A1 (en) | Systems and methods for intelligent event response | |
EP2858385A1 (en) | Communication to a friend in a social network triggered by an alarm | |
KR102136882B1 (ko) | Sns를 이용하여 홈 보안 서비스를 제공하는 보안 장치 및 보안 방법 | |
CN202748921U (zh) | 一种新型报警系统 | |
JP6663678B2 (ja) | 屋外設置用の防犯用監視カメラ及び該防犯用監視カメラを備えた防犯システム | |
KR100343045B1 (ko) | 인터넷을 이용한 방범 방법 | |
KR102046326B1 (ko) | 데이터 처리 장치 | |
KR20190002573A (ko) | 안전확인 관리를 위한 무선 디바이스 기반 자동 체크-인 및 정보 소싱 시스템 | |
KR101664556B1 (ko) | 사회 안전망 시스템 및 방법 | |
JPWO2020105681A1 (ja) | 通報処理装置、及び通報処理方法 | |
CN206271143U (zh) | 园林入侵监测预警系统 | |
CN104732698A (zh) | 一种基于物联网与图像识别的报警系统 | |
KR20160032462A (ko) |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이용한 사회 안전망 시스템 및 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