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13990Y1 - 화재 감지 시스템 - Google Patents

화재 감지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13990Y1
KR200413990Y1 KR2020060001674U KR20060001674U KR200413990Y1 KR 200413990 Y1 KR200413990 Y1 KR 200413990Y1 KR 2020060001674 U KR2020060001674 U KR 2020060001674U KR 20060001674 U KR20060001674 U KR 20060001674U KR 200413990 Y1 KR200413990 Y1 KR 20041399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e
signal
detector
fire signal
detection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0167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종석
이정민
Original Assignee
현대글로벌콘트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글로벌콘트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글로벌콘트롤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6000167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1399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1399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1399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06Electric actuation of the alarm, e.g. using a thermally-operated switch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12Actuation by presence of radiation or particles, e.g. of infrared radiation or of ions
    • G08B17/125Actuation by presence of radiation or particles, e.g. of infrared radiation or of ions by using a video camera to detect fire or smok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08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communication transmission li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Fire Alarms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화재 감지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열 또는 연기를 감지하여 화재신호를 발생시키는 화재감지기; 상기 화재감지기로부터 화재신호를 수신하여, 화재관리장치로 화재신호를 전송하는 화재신호 중계장치; 및 정보통신망을 통해 화재신호 중계장치로부터 수신한 화재신호 및 기 설정된 식별 ID를 통해 화재감지기의 위치를 검색하여 저장하며, 영상데이터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화재관리장치; 를 포함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정보통신망을 통해 화재감지기로부터 화재 신호를 수신하여 관리자가 화재 발생지의 영상을 직접 확인함으로써, 보다 신속하게 화재를 진압할 수 있으며, 초기 화재신호를 감지한 직후부터 화재원인 분석에 관한 정보를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화재, 감지, 정보통신망, 영상데이터

Description

화재 감지 시스템{System for sensing fire signals}
도 1 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재 감지 시스템에 관한 전체 구성도.
도 2 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재신호 중계장치에 관한 구성도.
도 3 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재관리장치에 관한 구성도.
도 4 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재관리부에 관한 구성도.
도 5 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재 감지 방법에 관한 흐름도.
본 고안은 화재 감지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정보통신망을 통해 화재 감지기로부터 화재 신호를 수신하여 화재 발생장소 및 화재 영상을 기록함으로써, 화재의 신속한 처리 및 화재원인에 대한 분석방법을 제공할 수 있는 화재 감지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 화재감지기와 관련하여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출원 제 2003-0019229호 '화재감지기'(이하, '선행고안'이라 한다) 이외에 다수 출원 및 등록된 상태이다.
상기 선행고안은 화재를 조기에 감지하여 경고하도록 한 화재감지기에 있어서, 건물의 천정에 고정되도록 형성하며, 전원과 연결되도록 한 연결단자를 형성한 고정판(10);과, 상기 고정판(10)의 연결단자와 체결되도록 형성하며, 열 감지소자 및 연기 감지소자를 제어하도록 한 제어판(21)과, 열 감지소자 및 연기 감지소자를 직렬 연결하도록 한 비화재보 방지 모드(22)와, 열 감지소자 및 연기 감지소자를 병렬 연결하도록 한 조기 경보 모드(23)와, 상기 비화재보 방지 모드(22) 및 조기 경보 모드(23)를 연결, 차단하도록 한 감지 모드 선택스위치(24)를 형성한 제어부(20);와, 상기 제어판(20)의 하면에 고정되어 화재발생시 연기 및 연소 가스를 감지하도록 한 연기 감지소자(31)를 형성한 연기 감지부(30);와, 상기 고정판(10)과 체결, 고정되도록 형성하며, 연기 감지부(30)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한 덮개판(40);과, 상기 덮개판(40)의 하면에 삽입, 고정되며, 화재 발생시 열을 감지하도록 한 열 감지소자(51)를 형성한 열 감지부(50);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선행고안은 화재를 감지하는 기능을 수행할 뿐, 화재 감지에 따른 데이터를 통합적으로 관리할 수 없으므로, 초기 화재신호를 감지하더라도 화재의 신속한 처리 및 화재 원인 분석에 관한 정보를 얻을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정보통신망을 통해 화재감지기로부터 화재 신호를 수신하여 관리자가 화재 발생지의 영상을 직접 확인함으로써, 보다 신속하게 화재를 진압할 수 있는 화재 감지 시스템을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그리고 관리자가 화재 영상을 확인 및 저장할 수 있으므로, 초기 화재신호를 감지한 직후부터 화재원인 분석에 관한 정보를 얻을 수 있는 화재 감지 시스템을 제공함에도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화재 감지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열 또는 연기를 감지하여 화재신호를 발생시키는 화재감지기; 상기 화재감지기로부터 화재신호를 수신하여, 화재관리장치로 화재신호를 전송하는 화재신호 중계장치; 및 정보통신망을 통해 화재신호 중계장치로부터 수신한 화재신호 및 기 설정된 식별 ID를 통해 화재감지기의 위치를 검색하여 저장하며, 영상데이터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화재관리장치; 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화재신호 중계장치는, 상기 화재감지기로부터 화재신호를 수신하는 제 1 수신부; 정보통신망을 통해 상기 화재관리장치로 화재신호를 송신하는 제 1 송신부; 및 상기 제 1 수신부 및 제 1 송신부를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 상기 화재관리장치는, 정보통신망(N)을 통해 상기 화재신호 중계장치로부터 화재신호를 수신하는 제 2 수신부; 상기 화재신호 및 기 설정된 식별 ID를 통해 화재감지기의 위치를 검색하며, 영상취득장치로부터 상기 영상데이터를 취득하는 화재관리부; 상기 화재관리부로부터 검색된 화재감지기의 위치를 저장하며, 상기 화재관리부로부터 영상데이터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제 2 수신부, 화재관리부 및 저장부를 제어하는 중앙처리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화재관리부는, 상기 화재신호 및 기 설정된 식별 ID를 통해 화재감지기의 위치를 검색하는 화재감지기 검색모듈; 상기 화재감지기 및 화재 건물 주변에 설치된 영상취득장치로부터 영상을 취득하는 영상취득모듈; 및 상기 화재감지기 검색모듈 및 영상취득모듈을 제어하는 제어모듈;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 상기 화재관리장치는, 상기 영상데이터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재 감지 시스템에 관한 구성을 도 1 내지 도 4 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화재 감지 시스템은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재감지기(100), 화재신호 중계장치(200) 및 화재관리장치(300)를 포함한다.
화재감지기(100)는 열 또는 연기를 감지하여 화재신호를 발생시킨다.
화재신호 중계장치(200)는 화재감지기(100)로부터 화재신호를 수신하여 화재신호 관리장치로 화재신호를 전송하는바,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수신부(210), 제 1 송신부(220) 및 제어부(230)를 포함한다.
화재신호 중계장치(200)의 제 1 수신부(210)는 화재감지기(100)로부터 화재신호를 수신하고, 제 1 송신부(220)는 정보통신망(N)을 통해 화재감지기(100)로부터 수신한 화재신호를 하기의 화재관리장치(300)로 송신하며, 제어부(230)는 상기 제 1 수신부(210) 및 제 1 송신부(220)를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정보통신망(N)은 화재신호 중계장치(200)와 화재관리장치(300)간의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바, 유선으로 접속할 수 있는 TCP/IP 프로토콜과 무선으로 접속할 수 있는 WAP 프로토콜 등을 사용한 인터넷망을 포함한다.
화재관리장치(300)는 정보통신망(N)을 통해 화재신호 중계장치(200)의 제 1 송신부(220)로부터 수신한 화재신호 및 기 설정된 화재감지기 각각의 고유식별 ID(이하, '식별 ID'라 한다)를 통해 화재가 발생한 화재감지기의 위치를 검색하여 저장하며, 화재가 발생한 건물의 영상과 건물의 소방진입로의 영상, 및 화재 영상을 수신하여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바,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수신부(310), 화재 관리부(320), 저장부(330) 및 중앙처리부(340)를 포함한다.
제 2 수신부(310)는 정보통신망(N)을 통해 화재신호 중계장치(200)의 제 1 송신부(220)로부터 화재신호를 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화재 관리부(320)는 상기 화재신호 및 기 설정된 식별 ID를 통해 화재가 발생한 화재감지기의 위치를 검색하며, 화재감지기 및 화재 건물 주변에 별도로 설치된 영상취득장치로부터 화재가 발생한 건물의 영상과 화재 건물의 소방진입로의 영상, 및 화재 영상을 취득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바,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화재신호 및 기 설정된 식별 ID를 통해 화재가 발생한 화재감지기의 위치를 검색하는 화재감지기 검색모듈(321)과, 화재감지기 및 화재 건물 주변에 설치된 영상취득장치로부터 영상을 취득하는 영상취득모듈(322), 그리고 화재감지기 검색모 듈(321) 및 영상취득모듈(322)을 제어하는 제어모듈(323)로 구성된다.
또한 저장부(330)는 화재감지기 검색모듈(321)로부터 검색된 화재감지기의 위치를 수신하여 저장하며, 영상취득모듈(322)로부터 화재가 발생한 건물의 영상과 화재 건물의 소방진입로의 영상, 및 화재 영상(이하, '영상데이터'라 한다)을 수신하여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그리고 중앙처리부(340)는 제 2 수신부(310), 화재 관리부(320) 및 저장부(330)를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화재관리장치(300)는 상기 영상데이터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3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구성을 가지는 화재 감지 시스템을 이용한 화재 감지 방법에 관하여 도 5 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재발생 시 화재감지기(100)는 열 또는 연기를 감지하여 화재신호를 발생시킨다(S100).
화재신호 중계장치(200)의 제 1 수신부(210)는 화재감지기(100)로부터 화재신호를 수신하고, 제 1 송신부(220)는 상기 화재신호를 정보통신망(N)을 통해 화재관리장치(300)로 전송한다(S200).
이후, 화재감지기 검색모듈(321)은 제 1 송신부(220)로부터 수신한 화재신호 및 기 설정된 식별 ID를 통해 화재가 발생한 화재감지기의 위치를 검색하며, 저장부(330)는 화재감지기 검색모듈(321)로부터 검색된 화재감지기의 위치를 수신하여 저장한다(S300).
영상취득모듈(322)은 화재가 발생한 화재감지기 및 화재 건물 주변에 설치된 영상취득장치로부터 영상데이터를 취득하며, 저장부(330)는 영상취득모듈(322)로부터 영상데이터를 수신하여 저장한다(S400).
그리고 디스플레이부(350)는 저장부(330)에 저장된 영상데이터를 출력(S500)하되, 화재가 발생한 건물의 영상과 화재 건물의 소방진입로의 영상(S510A), 및 화재 영상(S510B)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영상을 출력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정보통신망을 통해 화재감지기로부터 화재 신호를 수신하여 관리자가 화재 발생지의 영상을 직접 확인함으로써, 보다 신속하게 화재를 진압할 수 있으며, 초기 화재신호를 감지한 직후부터 화재원인 분석에 관한 정보를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화재 감지 시스템에 있어서,
    열 또는 연기를 감지하여 화재신호를 발생시키는 화재감지기(100);
    상기 화재감지기(100)로부터 화재신호를 수신하여, 화재관리장치로 화재신호를 전송하는 화재신호 중계장치(200); 및
    정보통신망(N)을 통해 상기 화재신호 중계장치(200)로부터 수신한 화재신호 및 기 설정된 식별 ID를 통해 화재감지기의 위치를 검색하여 저장하며, 영상데이터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화재관리장치(300); 를 포함하는 화재 감지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화재신호 중계장치(200)는,
    상기 화재감지기(100)로부터 화재신호를 수신하는 제 1 수신부(210);
    정보통신망(N)을 통해 상기 화재관리장치(300)로 화재신호를 송신하는 제 1 송신부(220); 및
    상기 제 1 수신부(210) 및 제 1 송신부(220)를 제어하는 제어부(23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 감지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화재관리장치(300)는,
    정보통신망(N)을 통해 상기 화재신호 중계장치(200)로부터 화재신호를 수신하는 제 2 수신부(310);
    상기 화재신호 및 기 설정된 식별 ID를 통해 화재감지기의 위치를 검색하며, 영상취득장치로부터 상기 영상데이터를 취득하는 화재관리부(320);
    상기 화재관리부(320)로부터 검색된 화재감지기의 위치를 저장하며, 상기 화재관리부(320)로부터 영상데이터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저장부(330); 및
    상기 제 2 수신부(310), 화재관리부(320) 및 저장부(330)를 제어하는 중앙처리부(34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 감지 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화재관리부(320)는,
    상기 화재신호 및 기 설정된 식별 ID를 통해 화재감지기의 위치를 검색하는 화재감지기 검색모듈(321);
    상기 화재감지기 및 화재 건물 주변에 설치된 영상취득장치로부터 영상을 취득하는 영상취득모듈(322); 및
    상기 화재감지기 검색모듈(321) 및 영상취득모듈(322)을 제어하는 제어모듈(323);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 감지 시스템.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화재관리장치(300)는,
    상기 영상데이터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350);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 감지 시스템.
KR2020060001674U 2006-01-19 2006-01-19 화재 감지 시스템 KR20041399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1674U KR200413990Y1 (ko) 2006-01-19 2006-01-19 화재 감지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1674U KR200413990Y1 (ko) 2006-01-19 2006-01-19 화재 감지 시스템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03510 Division 2006-01-1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13990Y1 true KR200413990Y1 (ko) 2006-04-13

Family

ID=492965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01674U KR200413990Y1 (ko) 2006-01-19 2006-01-19 화재 감지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13990Y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7534B1 (ko) 2006-12-06 2008-03-27 주식회사 민택기술 자동화재 유, 무선 속보시스템 및 그에 따른 속보방법
KR101014369B1 (ko) * 2009-03-17 2011-02-15 (주)리더스테크 화재수신기와 연동되는 단독경보형 화재감지장치
KR101142849B1 (ko) 2011-08-29 2012-05-08 (주)이시컨트롤 목조 건축물의 화재 예방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1796870B1 (ko) * 2016-07-21 2017-11-10 한국공항공사 화재 신호 중계 방법 및 화재 신호 중계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스마트 화재 탐지 장치
KR20210080665A (ko) 2019-12-20 2021-07-01 에스케이텔레시스 주식회사 Tof 카메라를 이용한 화재 감지 및 모니터링 시스템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7534B1 (ko) 2006-12-06 2008-03-27 주식회사 민택기술 자동화재 유, 무선 속보시스템 및 그에 따른 속보방법
KR101014369B1 (ko) * 2009-03-17 2011-02-15 (주)리더스테크 화재수신기와 연동되는 단독경보형 화재감지장치
KR101142849B1 (ko) 2011-08-29 2012-05-08 (주)이시컨트롤 목조 건축물의 화재 예방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1796870B1 (ko) * 2016-07-21 2017-11-10 한국공항공사 화재 신호 중계 방법 및 화재 신호 중계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스마트 화재 탐지 장치
KR20210080665A (ko) 2019-12-20 2021-07-01 에스케이텔레시스 주식회사 Tof 카메라를 이용한 화재 감지 및 모니터링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40274B2 (en) Monitoring system for securing networks from hacker drones
US20210049882A1 (en) Gunshot Detection System with Fire Alarm System Integration
CA2306292C (en) Monitoring system
US7804403B2 (en) Security system control module
US20080258903A1 (en) Multifunctional Powerline Sensor Network
KR200413990Y1 (ko) 화재 감지 시스템
JP2016044547A (ja) 自動開閉扉の監視装置
WO2021118101A1 (ko) 휴대용 화재 감지 장치
KR101447528B1 (ko) Cctv를 이용한 화재 경보 제어 장치 및 시스템
KR101927866B1 (ko) 통합 안전 분석 시스템 및 방법
KR20120057829A (ko) 씨씨디 카메라와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주차장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JP4958432B2 (ja) 監視システム
KR100589663B1 (ko) 화재 감지 시스템
KR102296974B1 (ko) 소화전 기반 IoT 원격 화재 알림 시스템
KR101622610B1 (ko) Uwb 센서를 이용한 홈 무선 네트워크 카메라 스마트 인증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인증 방법
US11017645B2 (en) Presence control method and monitoring system
CN206179190U (zh) 一种智能云安防控制器
KR101728370B1 (ko) 패킷 분석을 통한 영상정보송출기기의 고유정보 인식 방법
KR102303939B1 (ko) 위험 대응 기능을 갖는 휴대용 블랙박스의 대여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0956262B1 (ko) 침입 감지용 센서를 관리하기 위한 서버
KR102245387B1 (ko) 스마트 창문 경보 시스템, 그리고 이를 위한 다목적 경보 디바이스, 창문 샤시 모듈과 창틀의 구조
KR20060078228A (ko) 무인 진동 방범 시스템 및 그 방법
JP2963441B1 (ja) センサ位置検出装置及び携帯端末
KR101413730B1 (ko) Sns 서버와 통신이 가능한 무인감시장치
KR100751676B1 (ko) 소리 검출을 이용한 보안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30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