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27866B1 - 통합 안전 분석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통합 안전 분석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27866B1
KR101927866B1 KR1020160086108A KR20160086108A KR101927866B1 KR 101927866 B1 KR101927866 B1 KR 101927866B1 KR 1020160086108 A KR1020160086108 A KR 1020160086108A KR 20160086108 A KR20160086108 A KR 20160086108A KR 101927866 B1 KR101927866 B1 KR 1019278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sensor
building
integrated safety
safety analysi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861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05882A (ko
Inventor
김황남
강충구
김종국
석준희
이웅희
배문규
Original Assignee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600861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27866B1/ko
Publication of KR201800058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58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78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78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5/00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 G06F15/16Combinations of two or more digital computers each having at least an arithmetic unit, a program unit and a register, e.g. for a simultaneous processing of several progra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G06Q50/265Personal security, identity or safe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66Arrangements for connecting between networks having differing types of switching systems, e.g. gateway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합 안전 분석 시스템은 건물에 설치된 복수의 센서 및 복수의 사용자 디바이스에 설치된 센서로부터 센싱 데이터 또는 위험 경고 데이터를 수집하는 수집부; 상기 센싱 데이터 또는 상기 위험 경고 데이터의 중요도 및 신뢰도 중 적어도 하나를 판단하는 판단부; 및 상기 판단에 기초하여, 상기 센싱 데이터 또는 상기 위험 경고 데이터 중 일부의 데이터를 선별하여 클라우드 서버 또는 다른 외부 디바이스에게 전송하는 전송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통합 안전 분석 시스템 및 방법{INTEGRATED SYSTEM AND METHOD OF SAFETY ANALYSIS}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통합 안전 분석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가장 기본적인 형태의 재난 대비 시스템은 독립 형태의 재난 대비 시스템으로, 각 집마다 부착되어 있는 화재감지기와 같이 부가적인 장치의 도움 없이 스스로 재난을 판단하고 알리는 시스템이다.
시대가 발전하고 안전을 중시하는 인식이 증가함에 따라, 오늘날에는 대규모의 시설뿐 아니라 거주 시설에도 다양한 재난 대비 시스템이 구축되어 있다.
화재, 가스 누출, 외부인 침입 감지와 같은 단순 기능의 센서를 활용하던 과거와 달리 IoT 기술의 발전으로 인해 다양한 센서와 디바이스들이 동시적으로 활용되어 재난을 감지할 수 있으며, 외부에서 스마트폰 등의 디바이스를 활용하여 CCTV로 촬영되는 내부 상황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해주는 서비스도 제공되고 있다.
이렇게, 다양한 목적과 형태를 가진 재난 대비 시스템이 제시되고 있지만 이들 대부분은 특정 시스템과 호환이 되는 특정 센서들만을 활용하여 데이터를 수집하고 이를 분석한다는 한계를 가진다.
즉, 이러한 시스템은 활용할 수 있는 센서들이 제한되어 있기 때문에 수집할 수 있는 데이터의 양이나 종류에서 한계를 지니고 그만큼 감지하고 분석할 수 있는 재난의 범위 또한 축소된다.
또한, 특정 센서를 통해서만 재난 정보를 수집할 수 있으므로, 정확한 재난 상황 판단이 어려울 수 있으며, 다른 시스템과의 호환 또는 확장성이 크지 않다.
이에 따라, 재난감지를 목적으로 설치된 센서뿐 아니라 주변 센서 및 디바이스를 활용하여 더욱 넓은 범위에 대한 재난을 센싱하여 센싱된 데이터를 활용할 수 있는 기술의 개발이 필요하다.
관련 선행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377184호(발명의 명칭: 모바일 통신망을 이용한 안전 및 재난 방지 시스템, 공고일자: 2014년 3월 24일)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건물 또는 그 주변에 위치한 사용자 디바이스의 센서를 통해 수집된 여러 가지 위험 상황에 관한 데이터를 선별하여 클라우드 서버(또는 재난 안전 통제 센터) 또는 다른 외부 디바이스로 전송함으로써, 위험 상황에 대해 신속하게 파악하고 대응할 수 있도록 하는 통합 안전 분석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합 안전 분석 시스템은 건물에 설치된 복수의 센서 및 복수의 사용자 디바이스에 탑재된 센서로부터 센싱 데이터 또는 위험 경고 데이터를 수집하는 수집부; 상기 센싱 데이터 또는 상기 위험 경고 데이터의 중요도 및 신뢰도 중 적어도 하나를 판단하는 판단부; 및 상기 판단에 기초하여, 상기 센싱 데이터 또는 상기 위험 경고 데이터 중 일부의 데이터를 선별하여 클라우드 서버 또는 다른 외부 디바이스에게 전송하는 전송부를 포함한다.
상기 전송부는 상기 판단에 기초하여, 상기 센싱 데이터 또는 상기 위험 경고 데이터 중에서, 상기 중요도 및 상기 신뢰도 중 적어도 하나가 소정의 임계치보다 높은 데이터를 선별하여 상기 클라우드 서버 또는 상기 다른 외부 디바이스에게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합 안전 분석 시스템은 상기 건물에 설치된 복수의 센서 및 상기 복수의 사용자 디바이스에 탑재된 센서를 주기적으로 탐색하여 상기 탐색된 센서의 동작 여부 및 사용 권한 중 적어도 하나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센서의 동작 및 보안 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는 센서 관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센서 관리부는 상기 탐색된 센서가 동작하지 않거나 오동작 한다는 정보를 획득하는 경우, 상기 건물에 설치된 복수의 센서 및 상기 복수의 사용자 디바이스에 탑재된 센서의 설정을 초기화시키는 신호를 상기 건물 및 상기 복수의 사용자 디바이스에게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센서 관리부는 상기 탐색된 센서가 권한이 부여되지 않은 사용자 또는 디바이스에 의해 접근 되었다는 정보를 획득하는 경우, 상기 건물에 설치된 복수의 센서 및 상기 복수의 사용자 디바이스에 탑재된 센서의 보안 레벨을 업그레이드시키는 신호를 상기 건물 및 상기 복수의 사용자 디바이스에게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합 안전 분석 시스템은 상기 클라우드 서버 또는 상기 다른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전송된 센싱 데이터 또는 상기 전송된 위험 경고 데이터에 관한 분석 결과 및 대응 지침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하는 수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송부는 상기 분석 결과 및 대응 지침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위험 대피 경로 또는 응급 처치에 관한 정보를 상기 복수의 사용자 디바이스에게 전송하거나, 상기 센서가 설치된 건물의 시설물을 제어하는 신호를 상기 건물의 시설물을 제어하는 건물 제어 디바이스에게 전송할 수 있다.
상기 분석 결과 및 대응 지침은 상기 클라우드 서버 또는 내부에서 수행된 기계 학습에 기초하여 생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합 안전 분석 방법은 건물에 설치된 복수의 센서 및 복수의 사용자 디바이스에 탑재된 센서로부터 센싱 데이터 또는 위험 경고 데이터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센싱 데이터 또는 상기 위험 경고 데이터의 중요도 및 신뢰도 중 적어도 하나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에 기초하여, 상기 센싱 데이터 또는 상기 위험 경고 데이터 중 일부의 데이터를 선별하여 클라우드 서버 또는 다른 외부 디바이스에게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합 안전 분석 방법은 상기 건물에 설치된 복수의 센서 및 상기 복수의 사용자 디바이스에 탑재된 센서를 주기적으로 탐색하는 단계; 상기 탐색된 센서의 동작 여부 및 사용 권한 중 적어도 하나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획득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센서의 동작 및 보안 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합 안전 분석 방법은 상기 클라우드 서버 또는 상기 다른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전송된 센싱 데이터 또는 상기 전송된 위험 경고 데이터에 관한 분석 결과 및 대응 지침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첨부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건물 또는 그 주변에 위치한 사용자 디바이스의 센서를 통해 수집된 여러 가지 위험 상황에 관한 데이터를 선별하여 클라우드 서버(또는 재난 안전 통제 센터) 또는 다른 외부 디바이스로 전송함으로써, 위험 상황에 대해 신속하게 파악하고 대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건물 또는 그 주변에 위치한 사용자 디바이스의 센서를 통해 수집된 여러 가지 위험 상황에 관한 데이터에 기초하여 경량화된 기계학습을 수행함으로써, 위험 상황을 더욱 효과적으로 인지할 수 있고 즉시적 선조치를 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합 안전 분석 시스템의 사용 환경에 관한 구성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합 안전 분석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통합 안전 분석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합 안전 분석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5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통합 안전 분석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또는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합 안전 분석 시스템의 사용 환경에 관한 구성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합 안전 분석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합 안전 분석 시스템(110)은 기본적으로 건물(120)에 설치(built-in)된 복수의 센서(122) 또는 건물(120) 내 혹은 주변에 위치하는 복수의 사용자 디바이스(130)에 탑재된 센서(132)와 직접 연결되거나 게이트웨이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복수의 사용자 디바이스(130)는 스마트 휴대폰, 스마트 워치, 디지털 카메라와 같은 모바일 디바이스뿐만 아니라, 이동성을 지니지 않는 일반적인 유무선 디바이스 또한 포함할 수 있다.
또 여기서, 상기 복수의 사용자 디바이스(130)에 탑재된 센서(132)는 마이크, 카메라, 조도 센서, 온/습도 센서, 지자기 센서 등의 다양한 센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통합 안전 분석 시스템(110)은 다른 외부 디바이스 또는 재난 안전 통제 센터에서 관리하는 클라우드 서버(140)와도 연결될 수 있다.이에 따라, 상기 통합 안전 분석 시스템(110)은 상기 센서(122,132)로부터 센싱되거나 센싱 및 분석된 데이터를 수집하여 상기 클라우드 서버(140) 또는 상기 다른 외부 디바이스에게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다른 외부 디바이스는 타 지역의 건물 또는 그 건물 주변의 사용자 디바이스와 연결된 또 다른 통합 안전 분석 시스템(110)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통합 안전 분석 시스템(110)은 하나의 독립적인 시스템으로 동작될 수 있지만, 타 지역에 존재하는 다수의 통합 안전 분석 시스템(110)과도 연결되어 보다 넓은 범위에 대한 위험 상황을 인지하고 그에 대응할 수 있는 대규모의 시스템으로 동작될 수도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합 안전 분석 시스템(110)은 수집부(111), 판단부(113), 및 전송부(115)를 포함한다.
상기 수집부(111)는 건물(120)에 설치된 복수의 센서(122) 및 복수의 사용자 디바이스(130)에 탑재된 센서(132)로부터 센싱 데이터 또는 위험 경고 데이터를 수집한다.
즉, 상기 수집부(111)는 상기 센서(122,132)로부터 건물(120) 내 또는 건물(120) 주변의 상황이 센싱된 데이터인 상기 센싱 데이터 또는 상기 센싱된 상황에 기초하여 위험 상황이 분석된 데이터인 상기 위험 경고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센서(122,132)에서는 상기 건물(120) 내 또는 건물(120) 주변에서 발생된 상황 자체를 감지하는 기능 외에, 상기 발생된 상황을 위험 상황으로 자체 분석하는 기능이 수행될 수도 있다.
상기 판단부(113)는 상기 센싱 데이터 또는 상기 위험 경고 데이터의 중요도 및 신뢰도 중 적어도 하나를 판단한다.
상기 중요도는 건물(120) 내 또는 건물(120) 주변에서 발생된 위험 상황의 위험 정도를 나타내는 척도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신뢰도는 건물(120) 내 또는 건물(120) 주변에서 발생된 위험 상황을 제대로 센싱 또는 분석했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척도로 사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센싱 데이터 또는 상기 위험 경고 데이터는 소정의 임계치를 기준으로 상기 중요도 및 상기 신뢰도의 높고 낮음이 설정될 수 있다.
예컨대, 총 5층짜리 건물(120) 내의 홀수 층에서 화재가 발생한 경우, 상기 센싱 데이터 또는 상기 위험 경고 데이터 중에서 홀수 층의 화재에 대해 모두 센싱 및 분석된 데이터에 대해 소정의 임계치보다 상기 신뢰도를 높게 설정하고, 상기 센싱 데이터 또는 상기 위험 경고 데이터 중에서 하나의 홀수 층 또는 두개의 홀수 층의 화재에 대해서만 센싱 및 분석된 데이터에 대해 소정의 임계치보다 상기 신뢰도를 낮게 설정할 수 있다.
또 예컨대, 건물(120) 내에서는 살인 사건이 발생하고, 건물(120) 주변에서는 일부 시설물의 고장이 발생한 경우, 상기 센싱 데이터 또는 상기 위험 경고 데이터 중에서 살인 사건에 대해 센싱 및 분석된 데이터에 대해 소정의 임계치보다 상기 중요도를 높게 설정하고, 상기 센싱 데이터 또는 상기 위험 경고 데이터 중에서 시설물 고장에 대해 센싱 및 분석된 데이터에 대해 소정의 임계치보다 상기 중요도를 낮게 설정할 수 있다.
참고로, 상기 소정의 임계치는 상기 중요도 및 상기 신뢰도의 정도를 판단할 수 있는 기준으로서, 상기 통합 안전 분석 시스템(110)에 의해 미리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전송부(115)는 상기 판단에 기초하여, 상기 센싱 데이터 또는 상기 위험 경고 데이터 중 일부의 데이터를 선별하여 상기 클라우드 서버(140) 또는 상기 다른 외부 디바이스에게 전송한다.
즉, 상기 전송부(115)는 상기 판단에 기초하여, 상기 센싱 데이터 또는 상기 위험 경고 데이터 중에서 상기 중요도 및 상기 신뢰도 중 적어도 하나가 소정의 임계치보다 높은 데이터를 선별하여 상기 클라우드 서버(140) 또는 상기 다른 외부 디바이스에게 전송할 수 있다.
반면에, 상기 전송부(115)는 상기 판단에 기초하여, 상기 센싱 데이터 또는 상기 위험 경고 데이터 중에서 상기 중요도 및 상기 신뢰도 중 적어도 하나가 소정의 임계치보다 낮은 데이터를 상기 클라우드 서버(140) 또는 상기 다른 외부 디바이스에게 전송하지 않고, 내부에 구비된 캐시에 임시 저장하거나 상기 중요도 및 상기 신뢰도 중 적어도 하나가 소정의 임계치보다 높은 데이터가 모두 전송되고 난 후에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중요도 또는 상기 신뢰도가 높은 데이터를 상기 클라우드 서버(140) 또는 상기 다른 외부 디바이스에 우선적으로 전송함으로써, 데이터 트래픽의 양을 감소시켜 효율적인 통신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통합 안전 분석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통합 안전 분석 시스템(210)은 수집부(211), 판단부(213), 전송부(215), 센서 관리부(217), 및 수신부(219)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집부(211), 상기 판단부(213), 및 상기 전송부(2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합 안전 분석 시스템(110)의 수집부(111), 판단부(113), 및 전송부(115)와 동일 및 유사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고, 상기 센서 관리부(217), 및 상기 수신부(219)에 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센서 관리부(217)는 건물(120)에 설치된 복수의 센서(122) 및 복수의 사용자 디바이스(130)에 설치된 센서(132)를 주기적으로 탐색하여 상기 탐색된 센서(122,132)의 동작 여부 및 사용 권한 중 적어도 하나에 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상기 센서 관리부(217)는 상기 획득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센서(122,132)의 동작 및 보안 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센서 관리부(217)는 상기 탐색된 센서(122,132)가 동작하지 않거나 오동작 한다는 정보를 획득하는 경우, 상기 건물(120)에 설치된 복수의 센서(122) 및 상기 복수의 사용자 디바이스(130)에 탑재된 센서(132)의 설정을 초기화시키는 신호를 상기 건물(120) 및 상기 복수의 사용자 디바이스(130)에게 전송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센서(122,132)가 오프(off)되어 있는 상황에서 위험 상황이 발생되어 위험 상황을 적시에 파악하지 못하는 경우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위험 상황에 대한 정확한 센싱이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 초기의 상태로 세팅되도록 설정함으로써, 상기 센서(122,132)가 올바른 센싱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또 예를 들어, 상기 센서 관리부(217)는 상기 탐색된 센서(122,132)가 권한이 부여되지 않은 사용자 또는 디바이스에 의해 접근 되었다는 정보를 획득하는 경우, 상기 건물(120)에 설치된 복수의 센서(122) 및 상기 복수의 사용자 디바이스(130)에 설치된 센서(132)의 보안 레벨을 업그레이드시키는 신호를 상기 건물(120) 및 상기 복수의 사용자 디바이스(130)에게 전송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센서 관리부(217)에는 상기 센서(122,132)에 접근 가능한 사용자 또는 디바이스의 권한에 관한 권한 리스트 및 미리 설정된 레벨 별로 접근 가능한 권한이 매칭된 매칭 테이블이 사전에 저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센서(122,132)로부터 수집된 센싱 데이터 또는 위험 경고 데이터의 보안을 유지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상기 센서 관리부(217)는 상기 센서(122,132)의 아이덴티티(identity)에 관한 정보를 지속적으로 업데이트하여 개체 인증(Entity Authentication) 또는 데이터 무결성(Data Integrity)과 같은 기능을 수행함으로써, 악의적인 의도로 접근하는 사용자 또는 디바이스의 연결시도를 방지할 수도 있다.
상기 수신부(219)는 상기 클라우드 서버(140) 또는 상기 다른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전송된 센싱 데이터 또는 상기 전송된 위험 경고 데이터에 관한 분석 결과 및 대응 지침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분석 결과 및 대응 지침은 위험 상황을 즉각적으로 알리는 알림 메시지 또는 위험 상황에 대처할 수 있는 임시 방안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클라우드 서버(140)에서 수행된 기계 학습에 기초하여 생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클라우드 서버(140)는 상기 통합 안전 분석 시스템(210)으로부터 선별되어 수신된 센싱 데이터 또는 위험 경고 데이터에 기초하여 위험 또는 유사 위험으로 분류되는 위험 패턴을 획득함으로써 기계 학습을 수행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클라우드 서버(140)에서 수행되는 기계 학습에 관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먼저, 상기 클라우드 서버(140)는 위험 상황 별로 대응하여 미리 정의된 복수의 위험 패턴 데이터에 각각 대응하는 분석 결과 및 대응 지침에 관한 데이터를 매칭 테이블에 저장할 수 있다.
이후에, 상기 클라우드 서버(140)는 상기 선별되어 수신된 센싱 데이터 또는 위험 경고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위험 패턴을 학습하고, 상기 학습된 위험 패턴에 기초하여 분석 결과 및 대응 지침에 관한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클라우드 서버(140)는 상기 매칭 테이블로부터 상기 생성된 위험 패턴 데이터에 매칭되는 분석 결과 및 대응 지침에 관한 데이터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분석 결과 및 대응 지침에 관한 데이터를 상기 통합 안전 분석 시스템(210)으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클라우드 서버(140)로부터 분석 결과 및 대응 지침에 관한 데이터를 수신하고 난 후에, 상기 전송부(215)는 상기 분석 결과 및 대응 지침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사용자 디바이스(130) 또는 상기 건물(120)에게 위험 상황을 알리는 메시지 또는 적절한 대응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신호를 보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전송부(215)는 위험 대피 경로 또는 응급 처치에 관한 정보를 상기 복수의 사용자 디바이스(130)에게 전송하거나, 상기 센서가 설치된 건물(120)의 시설물을 제어하는 신호를 상기 건물(120)의 시설물을 제어하는 건물 제어 디바이스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수신부(219)는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130)로부터 상기 분석 결과 및 대응 지침에 관한 데이터를 필요로 하는 요청에 관한 신호를 수신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상기 전송부(215)는 상기 요청에 관한 신호를 보낸 사용자 디바이스(130)에게 상기 분석 결과 및 대응 지침에 관한 데이터를 전송할 수도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분석 결과 및 대응 지침은 내부에서 자체적으로 수행된 기계 학습에 기초하여 생성될 수도 있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통합 안전 분석 시스템(210)은 상기 수집된 센싱 데이터 또는 위험 경고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위험 패턴을 학습하고, 상기 학습에 따라 위험 상황에 대해 선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자체적으로 기계 학습을 수행하는 기계 학습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계 학습부에 의한 기계 학습은 상기 클라우드 서버(140)에서 수행되는 기계 학습과 동일 및 유사하다.
뿐만 아니라,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수신부는 상기 다른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분석 결과 및 대응 지침을 수신할 수도 있다. 예컨대, 상기 수신부는 타 지역에 존재하는 다른 통합 안전 분석 시스템(210)에서 수행된 기계 학습을 통해 생성된 상기 분석 결과 및 대응 지침을 수신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위험 상황과 관련하여 다수의 외부 디바이스와의 협업을 통한 확장성 있는 분석 및 대응을 수행할 수 있다.
이로써,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수집된 센싱 데이터 또는 위험 경고 데이터의 데이터 패턴을 유추함에 따라 경량화된 빅 데이터 분석 및 딥 러닝을 수행함으로써, 위험 상황을 예측할 수 있고, 더 나아가, 주변의 통합 안전 분석 시스템 및 클라우드 서버와의 통신을 통해 종합적인 위험 상황에 관한 안전 맵을 구축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센서 관리부(217) 및 상기 수신부(219) 외에 통신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통신부는 유선 인터페이스 또는 무선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상기 센서(122,132), 상기 클라우드 서버(140), 및 상기 다른 외부 디바이스(예컨대, 또 다른 통합 안전 분석 시스템) 중 적어도 하나와의 네트워크 연결 및 통신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통신부는 Wi-Fi, Bluetooth, ZigBee 등의 다양한 근거리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 3G, LTE 등의 셀룰러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를 이용할 수 있고, TCP, UDP, IPv6, 6LowPAN 등의 IoT 및 센서 네트워크에서 활용되는 다양한 프로토콜에 대하여 호환성을 제공할 수 있으며, 디바이스 간 프로토콜이 상이할 경우, 단순히 포워딩 하는 것이 아니라 fragmentation, re-assembly, repackaging, capsulation 등의 기법을 통한 프로토콜 변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신부는 타 디바이스와의 즉시적 연결을 수행할 수 있도록 PnP(Plug and Play) 기능을 제공하거나, 효율적인 데이터 전송 경로가 구성되도록 라우팅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신부는 신뢰성 높은 네트워크를 구축하도록 Ad-hoc 통신을 지원함으로써 타 디바이스와의 직접적인 1-hop 통신이 가능하고, 1-hop 통신이 불가능할 경우에는 multi-hop 통신이 수행되며, MPTCP(Multipath TCP) 기능을 지원하여 다중 경로 기반의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합 안전 분석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 도 2, 및 도 4를 참조하면, 단계(410)에서 상기 통합 안전 분석 시스템(110)은 건물(120)에 설치된 복수의 센서(122) 및 복수의 사용자 디바이스(130)에 탑재된 센서(132)로부터 센싱 데이터 또는 위험 경고 데이터를 수집한다.
다음으로, 단계(420)에서 상기 통합 안전 분석 시스템(110)은 상기 센싱 데이터 또는 상기 위험 경고 데이터의 중요도 및 신뢰도 중 적어도 하나를 판단한다.
여기서, 상기 중요도는 건물(120) 내 또는 건물(120) 주변에서 발생된 위험 상황의 위험 정도를 나타내는 척도로 사용될 수 있고, 상기 신뢰도는 건물(120) 내 또는 건물(120) 주변에서 발생된 위험 상황을 제대로 센싱 또는 분석했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척도로 사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센싱 데이터 또는 상기 위험 경고 데이터는 소정의 임계치를 기준으로 상기 중요도 및 상기 신뢰도의 높고 낮음이 설정될 수 있다.
다음으로, 단계(430)에서 상기 통합 안전 분석 시스템(110)은 상기 판단에 기초하여, 상기 센싱 데이터 또는 상기 위험 경고 데이터 중 일부의 데이터를 선별하여 클라우드 서버(140) 또는 다른 외부 디바이스에게 전송한다.
이때, 상기 통합 안전 분석 시스템(110)은 상기 판단에 기초하여, 상기 센싱 데이터 또는 상기 위험 경고 데이터 중에서, 상기 중요도 및 상기 신뢰도 중 적어도 하나가 소정의 임계치보다 높은 데이터를 선별하여 상기 클라우드 서버(140) 또는 상기 다른 외부 디바이스에게 전송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통합 안전 분석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통합 안전 분석 방법을 설명하기 앞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통합 안전 분석 시스템에서 수행되는 데이터를 수집하는 방법, 데이터를 판단하는 방법, 및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합 안전 분석 시스템에서 수행되는 그것과 동일 및 유사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고, 센서를 관리하는 방법 및 센싱 데이터 또는 위험 경고 데이터에 관한 분석 결과 및 대응 지침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하는 방법에 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도 3, 및 도 5를 참조하면, 단계(510)에서 상기 통합 안전 분석 시스템(210)은 상기 건물(120)에 설치된 복수의 센서(122) 및 상기 복수의 사용자 디바이스(130)에 설치된 센서(132)를 주기적으로 탐색할 수 있다.
다음으로, 단계(520)에서 상기 통합 안전 분석 시스템(210)은 상기 탐색된 센서의 동작 여부 및 사용 권한 중 적어도 하나에 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다음으로, 단계(530)에서 상기 통합 안전 분석 시스템(210)은 상기 획득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센서의 동작 및 보안 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센서(122,132)로부터 센싱 데이터 또는 위험 경고 데이터를 수집하여 중요도 및 신뢰도 중 적어도 하나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에 따라 상기 센싱 데이터 또는 위험 경고 데이터를 선별하여 상기 클라우드 서버(140) 또는 상기 다른 외부 디바이스에게 전송하는 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
참고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센서(122,132)를 관리하는 방법이 가장 먼저 수행되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센싱 데이터 또는 위험 경고 데이터를 수집하는 단계, 판단하는 단계, 또는 전송하는 단계의 각 중간에 수행될 수 있다.
이후, 도 1, 도 3,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통합 안전 분석 시스템(210)은 상기 클라우드 서버(140) 또는 상기 다른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전송된 센싱 데이터 또는 상기 전송된 위험 경고 데이터에 관한 분석 결과 및 대응 지침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통합 안전 분석 시스템(210)은 상기 분석 결과 및 대응 지침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위험 대피 경로 또는 응급 처치에 관한 정보를 상기 복수의 사용자 디바이스(130)로 전송하거나, 상기 센서가 설치된 건물(120)의 시설물을 제어하는 신호를 상기 건물(120)의 시설물을 제어하는 건물 제어 디바이스로 전송할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 청구의 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 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 사상은 아래에 기재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파악되어야 하고, 이의 균등 또는 등가적 변형 모두는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10, 210 : 통합 안전 분석 시스템
120 : 건물
122, 132 : 센서
130 : 사용자 디바이스
140 : 클라우드 서버
111, 211 : 수집부
113, 213 : 판단부
115, 215 : 전송부
217 : 센서 관리부
219 : 수신부

Claims (11)

  1. 건물에 설치된 복수의 센서 및 복수의 사용자 디바이스에 탑재된 센서 로부터 센싱 데이터 또는 위험 경고 데이터를 수집하는 수집부;
    상기 센싱 데이터 또는 상기 위험 경고 데이터의 중요도 및 신뢰도 중 적어도 하나를 판단하는 판단부; 및
    상기 판단에 기초하여, 상기 센싱 데이터 또는 상기 위험 경고 데이터 중 일부의 데이터를 선별하여 클라우드 서버 또는 다른 외부 디바이스에게 전송하는 전송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송부는
    상기 판단에 기초하여, 상기 센싱 데이터 또는 상기 위험 경고 데이터 중에서, 상기 중요도 및 상기 신뢰도 중 적어도 하나가 소정의 임계치보다 높은 데이터를 선별하여 상기 클라우드 서버 또는 상기 다른 외부 디바이스에게 우선적으로 전송하고,
    상기 클라우드 서버 또는 상기 다른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전송된 상기 센싱 데이터 또는 상기 위험 경고 데이터에 기초하여, 위험 상황 별로 기설정된 복수의 위험 패턴 데이터에 각각 대응하는 분석 결과 및 대응 지침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하는 수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분석 결과 및 대응 지침은 상기 클라우드 서버 또는 내부에서 수행된 기계 학습에 기초하여 생성되고,
    상기 건물에 설치된 복수의 센서 및 상기 복수의 사용자 디바이스에 탑재된 센서를 주기적으로 탐색하여 상기 탐색된 센서의 동작 여부 및 사용 권한 중 적어도 하나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센서의 동작 및 보안 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는 센서 관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센서 관리부는
    상기 탐색된 센서가 권한이 부여되지 않은 사용자 또는 디바이스에 의해 접근 되었다는 정보를 획득하는 경우, 상기 건물에 설치된 복수의 센서 및 상기 복수의 사용자 디바이스에 설치된 센서의 보안 레벨을 업그레이드시키는 신호를 상기 건물 및 상기 복수의 사용자 디바이스에게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안전 분석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관리부는
    상기 탐색된 센서가 동작하지 않거나 오동작 한다는 정보를 획득하는 경우, 상기 건물에 설치된 복수의 센서 및 상기 복수의 사용자 디바이스에 탑재된 센서의 설정을 초기화시키는 신호를 상기 건물 및 상기 복수의 사용자 디바이스에게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안전 분석 시스템.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부는
    상기 분석 결과 및 대응 지침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위험 대피 경로 또는 응급 처치에 관한 정보를 상기 복수의 사용자 디바이스에게 전송하거나, 상기 센서가 설치된 건물의 시설물을 제어하는 신호를 상기 건물의 시설물을 제어하는 건물 제어 디바이스에게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안전 분석 시스템.
  8. 삭제
  9. 통합 안전 분석 시스템을 이용하여 센서를 통해 수집된 위험 상황에 대해 대응하기 위한 통합 안전 분석 방법에 있어서,
    상기 통합 안전 분석 시스템이 건물에 설치된 복수의 센서 및 복수의 사용자 디바이스에 탑재된 센서로부터 센싱 데이터 또는 위험 경고 데이터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통합 안전 분석 시스템이 상기 센싱 데이터 또는 상기 위험 경고 데이터의 중요도 및 신뢰도 중 적어도 하나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통합 안전 분석 시스템이 상기 판단에 기초하여, 상기 센싱 데이터 또는 상기 위험 경고 데이터 중 일부의 데이터를 선별하여 클라우드 서버 또는 다른 외부 디바이스에게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판단에 기초하여, 상기 센싱 데이터 또는 상기 위험 경고 데이터 중에서, 상기 중요도 및 상기 신뢰도 중 적어도 하나가 소정의 임계치보다 높은 데이터를 선별하여 상기 클라우드 서버 또는 상기 다른 외부 디바이스에게 우선적으로 전송하고,
    상기 통합 안전 분석 시스템이 상기 클라우드 서버 또는 상기 다른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전송된 상기 센싱 데이터 또는 상기 위험 경고 데이터에 기초하여, 위험 상황 별로 기설정된 복수의 위험 패턴 데이터에 각각 대응하는 분석 결과 및 대응 지침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분석 결과 및 대응 지침은 상기 클라우드 서버 또는 내부에서 수행된 기계 학습에 기초하여 생성되고,
    상기 통합 안전 분석 시스템이 상기 건물에 설치된 복수의 센서 및 상기 복수의 사용자 디바이스에 탑재된 센서를 주기적으로 탐색하는 단계;
    상기 통합 안전 분석 시스템이 상기 탐색된 센서의 동작 여부 및 사용 권한 중 적어도 하나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통합 안전 분석 시스템이 상기 획득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센서의 동작 및 보안 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탐색된 센서가 권한이 부여되지 않은 사용자 또는 디바이스에 의해 접근 되었다는 정보를 획득하는 경우, 상기 건물에 설치된 복수의 센서 및 상기 복수의 사용자 디바이스에 설치된 센서의 보안 레벨을 업그레이드시키는 신호를 상기 건물 및 상기 복수의 사용자 디바이스에게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안전 분석 방법.
  10. 삭제
  11. 삭제
KR1020160086108A 2016-07-07 2016-07-07 통합 안전 분석 시스템 및 방법 KR1019278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6108A KR101927866B1 (ko) 2016-07-07 2016-07-07 통합 안전 분석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6108A KR101927866B1 (ko) 2016-07-07 2016-07-07 통합 안전 분석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5882A KR20180005882A (ko) 2018-01-17
KR101927866B1 true KR101927866B1 (ko) 2018-12-11

Family

ID=610262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86108A KR101927866B1 (ko) 2016-07-07 2016-07-07 통합 안전 분석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2786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7825B1 (ko) * 2018-12-06 2020-10-20 주식회사 여기오늘 단말기의 센싱 정보로부터의 이상 징후 추정을 위한 단말기의 센싱 정보 보강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재난 모니터링 시스템
KR102046647B1 (ko) 2018-12-17 2019-11-19 김천호 재배 시설용 보일러 시스템
KR102137081B1 (ko) 2019-05-31 2020-07-23 주식회사 전국냉난방연합 시설재배 냉방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8505A (ko) * 1998-07-14 2000-02-07 이기원 자동 소화시스템과 그 제어방법
KR20050108008A (ko) * 2004-05-11 2005-11-16 (주)지오넷 재난방지용 통합관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1118524B1 (ko) * 2010-05-25 2012-03-06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센서노드의 인증관리와 Subscription 기능을 가진 시스템과, 그 시스템의 운용 방법
KR20120084560A (ko) * 2011-01-20 2012-07-30 삼성전자주식회사 재난 정보 제공 및 수신 방법 및 장치
KR20120136157A (ko) * 2011-06-08 2012-12-18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다중 주파수를 사용한 산업재해 감시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5882A (ko) 2018-0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97529B2 (en) Semiconductor device for controlling access right to server of internet of things device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KR100899532B1 (ko)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한 도난/분실 방지 방법 및도난/분실 방지 시스템
US20160323283A1 (en) Semiconductor device for controlling access right to resource based on pairing technique and method thereof
KR101353750B1 (ko) 자율 주행 로봇 및 그 제어 방법
US11869321B2 (en) Blending inputs and multiple communication channels
US10593190B2 (en) Systems and methods of providing status information in a smart home security detection system
KR102412896B1 (ko) 단말의 설비 제어를 지원하는 방법 및 장치
KR101927866B1 (ko) 통합 안전 분석 시스템 및 방법
WO2015164679A1 (en) Event trigger on wireless device detection
JP2017519399A5 (ko)
US20130325407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haring sensing information of portable device
EP2845449B2 (en) Method and device for commissioning of nodes of a network
KR20140106139A (ko) 이기종 m2m 디바이스의 지역 네트워크 운영 방법 및 장치
US9336661B2 (en) Safety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thereof
KR100738333B1 (ko) 유비쿼터스 센서 네트워크에서의 원격제어용 센서 노드, 및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센서노드 원격 제어 방법
KR101429178B1 (ko) 무선 네트워크 보안 시스템 및 방법
KR101643171B1 (ko) 비콘을 이용한 시설물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1294118B1 (ko) 센서 액츄에이터 노드와 이를 이용한 상황 대처 방법
KR20180035052A (ko) IoT 식별값을 이용한 보안 시스템 및 방법
KR101667182B1 (ko) 모바일 앱과 ip 감지기를 이용한 무인 경비 시스템
KR101550355B1 (ko) 무선 장비 탐지 시스템
JP5545549B2 (ja) 無線通信ネットワーク間の共存システム
KR101733113B1 (ko) Ad-Hoc 네트워크를 이용한 재난 알림 시스템 및 방법
KR20160035823A (ko) 무선 보안 장치 및 방법
KR101430920B1 (ko) 사물지능통신용 라우터 및 그 동작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