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06139A - 이기종 m2m 디바이스의 지역 네트워크 운영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이기종 m2m 디바이스의 지역 네트워크 운영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06139A
KR20140106139A KR1020130020295A KR20130020295A KR20140106139A KR 20140106139 A KR20140106139 A KR 20140106139A KR 1020130020295 A KR1020130020295 A KR 1020130020295A KR 20130020295 A KR20130020295 A KR 20130020295A KR 20140106139 A KR20140106139 A KR 201401061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terface
connection
drp
gateway
connection targ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202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22648B1 (ko
Inventor
장덕문
이승권
정영환
최우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1300202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22648B1/ko
Priority to US14/190,938 priority patent/US10212741B2/en
Publication of KR201401061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061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26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26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4Direct-mode setu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70Services for machine-to-machine communication [M2M] or machine type communication [MT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30Definitions, standards or architectural aspects of layered protocol stacks
    • H04L69/32Architecture of open systems interconnection [OSI] 7-layer type protocol stacks, e.g. the interfaces between the data link level and the physical lev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0Communication routing or communication path finding
    • H04W40/24Connectivity information management, e.g. connectivity discovery or connectivity update
    • H04W40/244Connectivity information management, e.g. connectivity discovery or connectivity update using a network of reference devices, e.g. beacon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0Communication routing or communication path finding
    • H04W40/02Communication route or path selection, e.g. power-based or shortest path routing
    • H04W40/22Communication route or path selection, e.g. power-based or shortest path routing using selective relaying for reaching a BTS [Base Transceiver Station] or an access poi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18Self-organising networks, e.g. ad-hoc networks or sensor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른 네트워크 기술 및 인터페이스를 장착한 이기종 디바이스도 게이트웨이에 연동될 수 있는 네트워크 구성을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디바이스 간의 데이터 통신을 위한 지역 네트워크 구성을 D2D(Device to Device) 형태로 구성함으로써, 추가적인 비용 없이 새로운 디바이스를 용이하게 수용하여 연동 가능하게 하는 효율적인 M2M 네트워크 구성을 갖는 M2M 디바이스의 지역 네트워크 구성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이기종 M2M 디바이스의 지역 네트워크 운영 방법 및 장치 {Apparatus and Method for Local Network Configuration of Heterogeneous M2M Device}
본 발명은 M2M(Machine to Machine) 디바이스의 지역 네트워크 운영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다양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가지는 이기종 디바이스가 통신이 가능하도록 보다 효율적으로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M2M 디바이스의 지역 네트워크 운영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사물 통신은 M2M(Machine to Machine communication), MTC(Machine type communication), IoT(Internet of Thing), 스마트 디바이스 통신(Smart Device communication), 또는 사물 지향 통신(Machine oriented communication) 등으로 다양하게 불려지고 있다. 사물 통신은 사람이 통신 과정에 개입하지 않고 통신이 이루어지는 방식의 모든 통신 방식을 지칭한다. 이러한 사물 통신에서는 해당 사물 통신 개체가 제공하고자 하는 기능의 특성에 따라 효율적인 네트워킹을 수행하는 것이 필요하다. 특히 WiFi P2P, Zigbee, Bluetooth 등 다양한 지역 네트워크 신 기술을 적용한 디바이스가 개발됨에 따라 지역 네트워크를 효율적으로 구성하여 각 디바이스의 기능을 최대한 사용할 수 있는 방법이 필요하다.
이러한 사물 통신은 다양한 장치 또는 디바이스가 연결되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특징을 가진다는 점에서 통상적인 통화 모델과 상이하게 구현되는데, 특히, 다양한 지역 네트워크 기술의 발달에 따라 해당 지역 네트워크를 지원하는 디바이스가 증가함에 따라 해당 디바이스의 연동을 위해 별도의 게이트웨이를 설치 운영하여 중앙 서버 또는 플랫폼과 연동시켜야 하고 필요시 복수의 게이트웨이 간의 연동을 위한 인터페이스도 추가적으로 구현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M2M 시스템의 운영과 관련된 종래 기술로서 대한민국특허출원번호 10-2005-7007308, 10-2009-0077874 등을 참조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다른 네트워크 기술 및 인터페이스를 장착한 이기종 디바이스도 게이트웨이에 연동될 수 있는 네트워크 구성을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디바이스 간의 데이터 통신을 위한 지역 네트워크 구성을 D2D(Device to Device) 형태로 구성함으로써, 추가적인 비용 없이 새로운 디바이스를 용이하게 수용하여 연동 가능하게 하는 효율적인 M2M 네트워크 구성을 갖는 M2M 디바이스의 지역 네트워크 운영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먼저, 본 발명의 특징을 요약하면, 본 발명의 일면에 따른, 네트워크 상의 중앙서버를 통해서 게이트웨이와 연동하는 디바이스를 관리하며 디바이스의 제어 및 데이터를 이용한 M2M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M2M 디바이스의 지역 네트워크 운영 방법은, 상기 게이트웨이와 연동하는 M2M 디바이스인 DRP 디바이스에서 상기 게이트웨이와 통신을 위한 인터페이스 이외에 잉여 인터페이스를 가지고 있음을 알리는 비콘(beacon)을 브로드캐스팅하는 단계; 상기 비콘을 수신하는 M2M 디바이스인 연결 대상 디바이스에서 상기 DRP 디바이스로 연결 요청하는 단계; 및 상기 연결 요청에 따라 상기 DRP 디바이스에서 DRP(Devcie Replay Proxy) 기능을 활성화하여, 상기 연결 대상 디바이스의 인터페이스와 상기 잉여 인터페이스 간의 연결 설정과 상기 잉여 인터페이스와 상기 게이트웨이와 통신을 위한 인터페이스 간의 연결 설정을 수행하여, 상기 연결 대상 디바이스와 상기 게이트웨이 간의 연동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게이트웨이와 연동하지 않는 프로토콜로 처리되는 이기종의 상기 연결 대상 디바이스의 인터페이스가 상기 잉여 인터페이스와 호환됨을 이용하여, 상기 연결 대상 디바이스가 사용하는 기능을 상기 DRP 디바이스를 통해 상기 게이트웨이와 연동하도록 하기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동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DRP 디바이스에서 상기 연결 대상 디바이스로 요청하여 중계 설정을 위한 DRP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 수단에 저장하며, 상기 DRP 정보를 기초로 상기 연결 설정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연동을 제어하는 단계 후에, 상기 게이트웨이와 통신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통해 수신되는 상기 게이트웨이의 데이터에 대해, 상기 잉여 인터페이스와 상기 연결 대상 디바이스의 인터페이스를 통한 순차 전달에 의해 상기 연결 대상 디바이스로 전송하고, 상기 잉여 인터페이스를 통해 수신되는 상기 연결 대상 디바이스의 데이터에 대해, 상기 잉여 인터페이스와 상기 게이트웨이와 통신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통한 순차 전달에 의해 상기 게이트웨이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 DRP 디바이스의 상기 잉여 인터페이스에 상기 연결 설정이 이루어지는 복수의 연결 대상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연결 대상 디바이스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상기 DRP 기능을 수행하여 하위 디바이스와 상위 디바이스의 인터페이스 간의 상기 연결 설정을 수행하는 계층적 구조로 운영될 수 있다.
상기 연동을 제어하는 단계 후에, 상기 DRP 기능을 수행하는 디바이스가, 상기 복수의 연결 대상 디바이스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부터 제거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연결 설정의 해제 과정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 연결 설정의 해제 과정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제거 요청을 전송한 연결 대상 디바이스가 리프(leaf) 노드이며, 동일한 상위 디바이스에 상기 연결 설정이 이루어진 형제(sibling) 노드가 없는 상기 상위 디바이스에 연결된 마지막 리프 노드라면, 상기 DRP 기능을 수행하는 디바이스가, DRP 기능을 비활성화하고 상기 제거 요청을 전송한 연결 대상 디바이스에 대해 해당 연결 설정을 해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연결 설정의 해제 과정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제거 요청을 전송한 연결 대상 디바이스가 리프(leaf) 노드이며, 동일한 상위 디바이스에 상기 연결 설정이 이루어진 형제(sibling) 노드를 갖는 리프 노드라면, 상기 DRP 기능을 수행하는 디바이스가, DRP 기능의 비활성화 없이 상기 제거 요청을 전송한 연결 대상 디바이스에 대해 해당 연결 설정을 해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연결 설정의 해제 과정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제거 요청을 전송한 연결 대상 디바이스가 리프(leaf) 노드가 아니고, 연결된 하위 디바이스를 갖는 노드이며, 그 형제(sibling) 노드 중 DRP 기능을 수행하는 노드가 없다면, 상기 제거 요청을 수신한 디바이스가, 상기 제거 요청을 무시하거나 상기 중앙 서버를 통해 소정의 단말로 알람을 통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연결 설정의 해제 과정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제거 요청을 전송한 연결 대상 디바이스가 리프(leaf) 노드가 아니고, 연결된 하위 디바이스를 갖는 노드이며, 그 형제(sibling) 노드 중 DRP 기능을 수행하는 노드가 있다면, 상기 제거 요청을 수신한 디바이스가, DRP 기능을 수행하는 해당 형제 노드의 DRP 기능을 활성화시키고 상기 제거 요청을 전송한 연결 대상 디바이스의 DRP 기능은 비활성화시켜서, 상기 하위 디바이스가 상기 해당 형제 노드를 통해서 연동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일면에 따른, 네트워크 상의 중앙서버에서 M2M 서비스의 제공을 위해 게이트웨이와 연동하는 M2M 디바이스의 DRP(Devcie Replay Proxy) 장치는, 상기 게이트웨이와 통신을 위한 인터페이스 이외에 잉여 인터페이스를 가지고 있음을 알리는 비콘(beacon)을 브로드캐스팅하는 비콘 송신부; 및 상기 비콘을 수신하는 M2M 디바이스인 연결 대상 디바이스로부터 연결 요청을 수신하여 DRP(Devcie Replay Proxy) 기능을 활성화하는 지역네트워크 설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역네트워크 설정부는, 상기 연결 대상 디바이스의 인터페이스와 상기 잉여 인터페이스 간의 연결 설정과 상기 잉여 인터페이스와 상기 게이트웨이와 통신을 위한 인터페이스 간의 연결 설정을 수행하여, 상기 연결 대상 디바이스와 상기 게이트웨이 간의 연동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M2M 디바이스의 DRP 장치는, 상기 지역네트워크 설정부에서 상기 연결 대상 디바이스로 요청에 따라 상기 연결 대상 디바이스로부터 전송되는, 중계 설정을 위한 DRP 정보를 수신하는 기기정보 수신부; 및 상기 DRP 정보를 수신하는 저장하는 연결 상태 저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지역네트워크 설정부는, 상기 DRP 정보를 기초로 상기 연결 설정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M2M 디바이스의 DRP 장치는, 상기 게이트웨이와 통신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통해 수신되는 상기 게이트웨이의 데이터에 대해, 상기 잉여 인터페이스와 상기 연결 대상 디바이스의 인터페이스를 통한 순차 전달에 의해 상기 연결 대상 디바이스로 전송하고, 상기 잉여 인터페이스를 통해 수신되는 상기 연결 대상 디바이스의 데이터에 대해, 상기 잉여 인터페이스와 상기 게이트웨이와 통신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통한 순차 전달에 의해 상기 게이트웨이로 전송하는 메시지 처리부를 더 포함한다.
상기 M2M 디바이스의 DRP 장치는, 상기 게이트웨이와 통신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통해 수신되는 상기 게이트웨이의 데이터에 대해, 상기 DRP 정보를 기초로, 상기 연결 대상 디바이스의 인터페이스를 목적지로 식별하는 디바이스 식별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디바이스 식별부는 상기 잉여 인터페이스를 통해 수신되는 상기 연결 대상 디바이스의 데이터에 대해, 상기 DRP 정보를 기초로, 상기 게이트웨이의 인터페이스를 목적지로 식별할 수 있다.
상기 지역네트워크 설정부는, 복수의 연결 대상 디바이스가 상기 잉여 인터페이스에 상기 연결 설정이 이루어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지역네트워크 설정부는, 상기 연결 설정을 통해 하위 M2M 디바이스와 상기 게이트웨이의 인터페이스 간의 연결을 중계하거나, 계층적 구조의 하위 M2M 디바이스와 상위 M2M 디바이스 사이에서 하위 M2M 디바이스와 상위 M2M 디바이스의 인터페이스 간의 연결을 중계할 수 있다.
상기 지역네트워크 설정부는, 상기 복수의 연결 대상 디바이스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부터 제거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연결 설정의 해제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M2M 디바이스의 지역 네트워크 운영 방법 및 장치에 따르면, 게이트웨이와 상이한 지역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로 구성된 디바이스를 기 구성된 복수개의 지역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가지는 디바이스에 D2D 형태로 네트워크 구성을 수행함으로써, 이기종 디바이스의 네트워크 구성을 가능하도록 디바이스를 용이하게 설치 운영할 수 있다. 또한, 복수개의 지역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기능을 가지는 디바이스가 하위 디바이스의 연결성을 위하여 필요한 최소한의 기능을 DRP(Devcie Replay Proxy)로 정의하여 이기종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네트워크 구성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시예에 따른 M2M 서비스 환경을 설명하기 위한 M2M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M2M 시스템의 각 기능별 구성 요소 및 인터페이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일반적인 M2M 시스템에서의 인터페이스 구성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M2M 시스템에서의 인터페이스 구성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M2M 디바이스의 DRP(Devcie Replay Proxy) 기능을 처리하기 위한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M2M 디바이스의 DRP 기능의 처리 순서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M2M 디바이스의 DRP(Devcie Replay Proxy) 기능의 계층 구조 또는 트리 구조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M2M 디바이스의 DRP(Devcie Replay Proxy) 기능에서 중계 연결이 제외된 디바이스를 네트워크에서 제거하는 절체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 도면들 및 첨부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시예에 따른 M2M 서비스 환경을 설명하기 위한 M2M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시예에 따른 M2M 시스템은, 사물통신을 통한 M2M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네트워크/어플리케이션 도메인(110)과 M2M 디바이스 도메인(120)로 구성된다.
네트워크/어플리케이션 도메인(110)은 M2M 어플리케이션(111), M2M 코어(114), 엑세스 네트워크(115)를 포함하며, M2M 코어(114)(플랫폼 또는 중앙서버)는 엑세스 네트워크(115)와 연동하는 코어 네트워크를 통해 네트워크 서비스 기능(Network Service Capability)을 지원하여, M2M 어플리케이션(111)을 통해 다른 서버 또는 사용자 단말 등으로 M2M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외에도 M2M 코어(114)는 M2M 서비스를 위한 M2M 디바이스 도메인(120)의 게이트웨이(121), 디바이스(122, 125) 등의 제어와 그로부터 데이터 수집 등을 위한 M2M 관리 기능(118)을 수행할 수 있으며, 네트워크(엑세스 네트워크, 코어 네트워크, 지역 네트워크) 관리에 필요한 처리를 수행하는 네트워크 관리 기능(119)을 수행할 수 있다.
M2M 디바이스 도메인(120)은 M2M 게이트웨이(121), 지역 네트워크(123), M2M 디바이스(122, 125)를 포함하며, 필요한 어플리케이션과 서비스 기능(Service Capability)을 지원하는 게이트웨이(121) 또는 디바이스(122)가 엑세스 네트워크(115)와 연결되어 M2M 코어(114)와 통신할 수 있으며, 최소한의 필요한 동작을 지원하는 디바이스(125)는 게이트웨이(121)를 통해 엑세스 네트워크(115)와 연결되어 M2M 코어(114)와 통신할 수 있다. 특히, 게이트웨이(121)는 다양한 지역 네트워크(Area Network)(123)를 통해 디바이스(125)와 상호 연결되어 동작할 수 있다.
여기서, 지역 네트워크(123)는 유선망, 또는 무선 근거리통신망(블루투스, 지그비, NFC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CDMA/WCDMA, WiFi 등에 의한 이동통신망, 또는 유무선 인터넷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엑세스 네트워크(115)를 포함한 코어 네트워크는 CDMA/WCDMA, WiFi 등에 의한 이동통신망, 또는 유무선 인터넷을 포함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유선망, 또는 무선 근거리통신망(블루투스, 지그비, NFC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M2M 디바이스 도메인(120)에 설치되는 M2M 디바이스로서, M2M 서비스의 다양한 모니터링 목적에 따라 화재, 침입발생, 노인 및 아이(노유자) 관찰, 사유지 보안, 매장 감시, 각종 시설 감시 등 주변 상황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다양한 디바이스, 예를 들어, 카메라, 움직임 감지 센서, 온도 센서, 습도 센서, 풍향 센서, 압력 센서, 자이로 센서, 가속도 센서 등이나, 헬스 정보 모니터링을 위한 혈압계, 체온계, 심박계 등의 디바이스가 될 수도 있으며, 또는 홈 네트워크를 위한 각종 전자 기기가 될 수도 있고, 기타 필요에 따라 본 발명의 서비스를 위한 다양한 디바이스가 설치 사용될 수 있다.
도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M2M 시스템의 각 기능별 구성 요소 및 인터페이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네트워크/어플리케이션 도메인(110)의 코어에 NSCL(Network Service Capability Layer)을 탑재한 M2M 중앙서버(또는 플랫폼)(114)가 포함되며, M2M 디바이스 도메인(120)에 센서 등 다양한 M2M 디바이스(D, D')(122, 125) 및 GSCL(Gateway Service Capability Layer)을 탑재한 게이트웨이(G)(121)가 포함된다.
M2M 디바이스(D, D')(122, 125)에는 DSCL(Device Service Capability Layer) 또는 서비스를 지원하는 디바이스 어플리케이션(DA)을 탑재할 수 있으며, M2M 중앙서버에 서비스를 지원하는 네트워크 어플리케이션(NA)(111), 게이트웨이(G)(121)에 서비스를 지원하는 게이트웨이 어플리케이션(GA)이 탑재될 수 있다.
네트워크/어플리케이션 도메인(110)의 M2M 중앙서버(114)는 엑세스 네트워크를 포함한 코어 네트워크를 통해 M2M 디바이스(D, D')(122, 125) 또는 게이트웨이(G)와 통신하여 네트워크 애플리케이션(NA)의 지원으로 M2M 디바이스(D, D')(122, 125) 및 게이트웨이(121)의 제어와 M2M 서비스(디바이스에서 수집되는 데이터를 활용하여 다른 서버 또는 사용자 단말로 모니터링 정보 등의 제공)를 지원하며, DSCL에 미들웨어 NIP(Network Interworking Proxy)의 지원으로 레가시 디바이스(d)와 연동할 수 있고, 이외에도 네트워크 관리 기능 등을 수행한다. M2M 디바이스(D, D')(122, 125)는 DSCL에 미들웨어 DIP(Device Interworking Proxy)의 지원과 함께, 또는 게이트웨이(G)(121)는 GSCL에 미들웨어 GIP(Gateway Interworking Proxy)의 지원과 함께, M2M 지역 네트워크(123)를 통해 레가시 디바이스(d)를 수용해 연동할 수 있다. 레가시 디바이스(d)를 제외한 모든 디바이스(122, 125)는 공통적으로 디바이스 어플리케이션(DA)을 가지고 있으며, 여기서, 레가시 디바이스(d)는 그 기능 및 구조로 인해 사물 통신의 공통된 표준 규격으로 연동이 불가능한 디바이스를 나타내며 backward compatibility(하위 호환성)를 위하여 xIP(NIP, GIP, DIP)를 통하여 연동된다.
ETSI 표준에서 정의하고 있는, 사물 통신을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서비스 기능의 집합인, 서비스 기능들(Service Capabilities)(DSCL, GSCL, DSCL)과는 각각의 인터페이스, 즉, mIa(NA-NSCL 인터페이스), mId(중앙서버(NCSL)과 게이트웨이(GSCL)/디바이스(DSCL) 간 인터페이스), dIa(디바이스 내부(DA-DSCL) 인터페이스 또는 디바이스(DA)와 게이트웨이(GSCL) 간 인터페이스)를 위한 리소스 정보를 활용하며, 각각의 서비스 기능들(DSCL, GSCL, DSCL)에서 서비스에 필요한 속성 정보 등 리소스 정보를 관리한다.
도 2에서, 게이트웨이(121)를 통해 접속되는 D' 디바이스(125)는 특정 지역 네트워크 인터페이스(WiFi, Zigbee, Bluetooth 등)를 장착하고 해당 게이트웨이(121)에 해당 지역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다. 그러나 연동하고자 하는 이러한 디바이스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가 게이트웨이(121)에서 지원하지 않을 경우 해당 디바이스는 연동이 불가능하다. 특히 이러한 디바이스는 레가시 디바이스가 아니라 신규로 개발되는 디바이스로서, 적용된 지역 네트워크 기술이 게이트웨이에서 지원하지 않는 새로운 인터페이스를 가지게 되는 경우이다. 이와 같이 새로운 지역 네트워크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이와 유사한 케이스가 발생하게 될 수 있으므로, 이를 해결하고자 본 발명을 제안한다.
도 3은 일반적인 M2M 시스템에서의 인터페이스 구성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일반적으로 홈 네트워크 또는 스마트 홈 구성을 위한 M2M 시스템은, 하나 이상의 게이트웨이(또는 셋탑 박스)(300)와 복수개의 디바이스(310, 320, 330)가 지역 네트워크(340)로 연결되고, 게이트웨이(300)는 엑세스 네트워크(350)을 통하여 네트워크 도메인(360)에 연결되는 구성을 포함한다. 홈 네트워크 구성에 따른 데이터의 송수신은 이러한 엑세스 네트워크(350)를 통하여 NSCL에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서 디바이스(310, 320, 330)의 상태 변화 또는 주기적인 데이터 전송은 게이트웨이(300)를 통해 네트워크/어플리케이션 도메인의 M2M 중앙서버(360)으로 송수신 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이 가능하기 위해서 게이트웨이(300)와 디바이스(310, 320, 330)는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가지게 된다. 특히 게이트웨이(300)는 엑세스 네트워크(350) 정합을 위한 엑세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301)와 디바이스의 연결을 위해 하나 이상의 지역 네트워크 인터페이스(302, 303)를 가지게 된다. 디바이스(310, 320, 330)는 지역 네트워크(340)에 연결되어 게이트웨이(300)와 통신하게 된다. 디바이스(310, 320, 330)는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가지며 게이트웨이(300)에서 지원하는 지역 네트워크 인터페이스(302, 303)와 정합 가능한 디바이스만이 게이트웨이(300)에 연결될 수 있다.
도 3의 D' 디바이스(320)는 두 개의 지역 네트워크 인터페이스(321, 322)를 가지고 있지만 네트워크 인터페이스(322)는 게이트웨이(300)에서 지원하지 않는 지역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이므로 지원하는 지역 네트워크 인터페이스(321)만을 통해 게이트웨이에 접속할 수 있다. 그러나 D" 디바이스(330)는 오직 게이트웨이(300)에서 지원하지 않는 지역 네트워크 인터페이스(331)를 제공하므로 게이트웨이(300)에 접속할 수 없으므로 해당 네트워크에 연결이 불가능하게 된다. 만일 D" 디바이스(330)을 도 2의 레가시 디바이스(d)의 연동과 같이 게이트웨이(300)의 GIP(304)를 통해 연동할 경우 D" 디바이스(330)의 기능에 제약을 받게 된다. 이와 같이 복수개의 지역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가지는 디바이스(320)와 게이트웨이(300)에서 지원하지 않는 새로운 지역 네트워크 기술이 적용된 디바이스(330)이 점차 늘어남에 따라 이에 대한 네트워크 정합 방법 및 구성이 모색되어야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M2M 시스템에서의 인터페이스 구성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먼저 본 발명의 게이트웨이(400)는 본 발명의 M2M 디바이스(410, 420, 430)와 연동하기 위해 기본적으로 도 2에서도 기술한 바와 같이 GSCL(게이트웨이 서비스 기능 계층)을 가지고 있으며 각 디바이스의 연결을 위해 지역 네트워크(123)를 통해 연동을 위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401, 402)를 가지게 된다. 대부분의 게이트웨이(400)는 하나 이상(하나 또는 두 개 이상 가능)의 지역 네트워크 인터페이스(401, 402)를 가진다. 여기서는 게이트웨이(400)가 두 개의 지역 네트워크 인터페이스(401, 402)를 가지고 있다고 가정하였다. 게이트웨이(400)는 엑세스 네트워크을 통하여 네트워크/어플리케이션 도메인의 M2M 중앙서버(460)에 연결될 수 있다.
먼저 게이트웨이(400)의 지역 네트워크 인터페이스(401)와 연결되는 디바이스(410)은 지역 네트워크 인터페이스(401)와 연동을 지원하는 지역 네트워크 인터페이스(411)를 가지고 있으므로 기존 네트워크 구성과 동일하게 게이트웨이(400)의 지역 네트워크 인터페이스(401)와 연결되어 동작 가능하다. D" 디바이스(420)은 두 개의 지역 네트워크 인터페이스(421, 422)를 가지고 있으나, 게이트웨이(400)의 지역 네트워크 인터페이스(402)와 연동을 지원하는 것은 지역 네트워크 인터페이스(421)뿐이므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421)와 연결되고, 지역 네트워크 인터페이스(422)은 사용되지 않는다. 하기하는 바와 같이 지역 네트워크 인터페이스(422)는 DRP(Devcie Replay Proxy) 기능에 의해 D" 디바이스(430)의 지역 네트워크 인터페이스(431)와의 연결 및 지역 네트워크 인터페이스(421)과의 연결을 중계(relay)하여, 게이트웨이(400)의 지역 네트워크 인터페이스(402)와 연동할 수 있다.
한편 D" 디바이스(430)은 지역 네트워크 인터페이스(431)를 가지고 있지만, 해당 지역 네트워크 인터페이스(431)는 게이트웨이(400)에서 지원하지 않는 인터페이스로서 직접 게이트웨이(400)에 연결이 불가능하다. 이 때 D" 디바이스(430)은 해당 지역 네트워크 인터페이스(431)와 연결 가능한 디바이스(420)을 검색하여 해당 디바이스(420)에 연결을 요청한다. 디바이스(420)은 다른 디바이스(예, 430)에서 해당 지역 네트워크 검색이 용이하게 수행되도록 하기 위하여 비콘(beacon)을 송신하며, 연결 요청을 수신한 경우 해당 연결을 처리한다. 디바이스간 연결을 수행하기 위해 상위 디바이스(예, 420)는 위와 같은 DRP(Devcie Replay Proxy) 기능이 필요하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M2M 디바이스의 DRP(Devcie Replay Proxy) 기능을 처리하기 위한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M2M 디바이스의 DRP 기능의 처리 순서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M2M 디바이스(DRP 디바이스에 해당)의 DRP 장치는, 메시지 처리부(510), 디바이스 식별부(520), 비콘 송신부(530), 지역 네트워크 설정부(540), 기기정보수신부(550), 연결상태 저장부(560)를 포함한다.
비콘 송신부(530)는 주기적으로 연결 중계(relay)가 가능한 지역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예, 422)(잉여 인터페이스에 해당)를 가지고 있음을 알리기 위한 비콘을 주위의 디바이스들로 브로드캐스팅한다. 이와 같은 비콘은 주기적으로 자동 송신될 수 있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일정 설정된 시간에 송신되거나, 수동적으로 사용자의 명령 입력이 있을 때 송신될 수도 있다.
한편, 도 4의 예에서 게이트웨이(400)에서 지원하지 않는 인터페이스(431)를 가진 D" 디바이스(430)은 비콘 송신부(530)에 의해 전송되는 비콘을 수신하여 연결을 요청할 수 있다(601). 만일, 경우에 따라 게이트웨이(400)가 위와 같은 DRP 기능과 유사 기능을 처리할 때에는, D" 디바이스(430)의 연결 요청에 따라(602) 인터페이스(431)가 자신의 지역 네트워크 인터페이스(402)와 연동하도록 연결을 중계(relay)할 수도 있다(603).
한편, 디바이스(420)가 위와 같은 DRP 기능을 위한 구성을 갖는다고 가정할 때, 연동 가능한 디바이스를 검색하는(604) D" 디바이스(430)(연결 대상 디바이스에 해당)는 비콘 송신부(530)에 의해 전송되는 비콘을 수신하지 못하면 연결 실패할 것이지만(609), 비콘을 수신함에 따라 연결 가능한 D" 디바이스(430)의 존재를 인식하고(605), 연결을 요청할 수 있다(606). 이에 따라 디바이스(420)의 지역 네트워크 설정부(540)는 DRP 기능을 활성화하여, D" 디바이스(430)의 지역 네트워크 인터페이스(431)가 자신의 인터페이스(422)와 연결되도록 설정함과 동시에 자신의 인터페이스(422)가 인터페이스(421)를 통해 게이트웨이(400)의 지역 네트워크 인터페이스(402)와 연동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607). 이에 따라 D" 디바이스(430)는 지역 네트워크 인터페이스(431)를 통해 디바이스(420)를 거쳐 게이트웨이(400)의 지역 네트워크 인터페이스(402)와 연결될 수 있다(608).
예를 들어, 디바이스(420)의 지역 네트워크 설정부(540)는 DRP 기능을 활성화하여 중계(relay)에 필요한 중계 설정 정보를 D" 디바이스(430)로 요청하고, 이에 따라 D" 디바이스(430)는 중계 설정에 필요한 기기정보(또는 DRP 정보)(예, 기기식별자, 지역 네트워크 인터페이스(431)의 MAC(Media Access Control) 주소, 제어명령어, 기기명, 기타 중계 설정을 위한 데이터 등)를 송신하며, 기기정보수신부(550)는 이를 수신하고 연결상태 저장부(560)에 해당 기기 식별자에 대응시켜 수신한 기기정보를 저장한다. 도 7과 같이 다수의 디바이스가 DRP 기능으로 중계될 수 있으며, 연결상태 저장부(560)는 중계될 다수의 디바이스 각각의 기기 식별자에 대응시켜 수신한 기기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D" 디바이스(430)는 비콘의 수신 기능, 연결 요청 기능, 및 기기정보의 송신 등에 대한 기본적인 처리 수단을 갖는 것으로 가정한다.
지역 네트워크 설정부(540)는 이와 같이 저장된 기기정보를 기초로 D" 디바이스(430)의 지역 네트워크 인터페이스(431)과 자신의 인터페이스(422)의 연결 설정(필요한 데이터의 송수신이 가능하도록 연결설정)을 수행하고, 또한, 자신의 인터페이스(422)가 인터페이스(421)를 통해 게이트웨이(400)의 지역 네트워크 인터페이스(402)와 연동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게이트웨이(400)와 D" 디바이스(430) 간에 필요한 제어 및 데이터의 송수신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인터페이스(421)를 통해 수신되는 게이트웨이(400)의 지역 네트워크 인터페이스(402)로부터의 데이터에 대해 디바이스 식별부(520)는 연결상태 저장부(560)의 기기정보를 참조해 목적지인 D" 디바이스(430)의 지역 네트워크 인터페이스(431)를 식별하고, 메시지 처리부(510)는 해당 데이터가 인터페이스(422)를 거쳐 D" 디바이스(430)의 지역 네트워크 인터페이스(431)로 송신하도록 처리할 수 있다. 또한, D" 디바이스(430)의 지역 네트워크 인터페이스(431)로부터 인터페이스(422)를 통해 수신되는 데이터에 대해 디바이스 식별부(520)는 연결상태 저장부(560)의 기기정보를 참조해 목적지인 게이트웨이(400)의 지역 네트워크 인터페이스(402)를 식별하고, 메시지 처리부(510)는 해당 데이터가 인터페이스(421)를 거쳐 게이트웨이(400)의 지역 네트워크 인터페이스(402)로 송신하도록 처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디바이스(420)과 디바이스(430)은 그 연결 행태가 D2D(디바이스간 통신)의 전형적인 모델과 유사하게 구성이 되어 있고, 다만, 디바이스간 데이터 통신 요구 사항보다는 NA에서 게이트웨이(400)를 거쳐 디바이스(420)로, 또는 디바이스(430)으로의 데이터 송수신이 일반적이다. NA에서 디바이스(430)을 엑세스하기 위해서는 디바이스(420)을 반드시 경유해야 하지만 두 디바이스간의 데이터 송수신은 일반적으로 고려 대상이 아니다. 그러나 NA에서 디바이스(420)의 하위 모든 디바이스에 공통적인 제어 명령을 수행하는 오퍼레이션 등이 가능하도록 운영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M2M 디바이스의 DRP(Devcie Replay Proxy) 기능의 계층 구조 또는 트리 구조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각 디바이스의 DRP 기능은 계층 구조 또는 트리 구조로 확장이 가능하며, 예를 들어, 각 디바이스의 DRP 기능을 위한 위와 같은 구성을 이용하면, 도 7과 같이, 게이트웨이와 연동하는 인터페이스를 갖는 어느 하나의 디바이스(500)의 중계 처리를 통해, 하위의 디바이스들(510, 511, 512)도 게이트웨이와 연동할 수 있게 된다. 마찬가지로, 하위의 디바이스들 중 어느 하나(510)가 DRP 기능을 갖는 다면 510 디바이스의 중계 처리를 통해 다시 그 하위의 디바이스들(520, 521, 522, 523)도 510, 500을 거쳐 게이트웨이와 연동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다시 그 하위의 디바이스들 중 어느 하나(520)가 DRP 기능을 갖는 다면 520 디바이스의 중계 처리를 통해 다시 그 하위의 디바이스들(530, 531, 532)도, 520, 510, 500을 거쳐 게이트웨이와 연동할 수 있게 된다.
위와 같은 계층 구조 각 단계의 리프(leaf) 노드(자식 노드(또는 하위 노드)가 없는 노드)(예, 511, 512)는 DRP(Device Relay Proxy)기능이 활성화 되어 있지 않는 반면, 자식(child) 노드가 연결되어 있는 디바이스(예, 510)는 하위 디바이스(예, 520, 521, 522, 523)의 연결을 위해 DRP 기능이 활성화 되어 있다. 또한 각 DRP기능은 하위 계층의 디바이스 연결을 식별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지므로 하위 디바이스 각각에 대한 명령을 수행할 수 있는 구조이다.
이와 같이 위에서 설명한 DRP(Device Relay Proxy) 기능은, 레가시(legacy) 디바이스(d)의 연동을 위한 DIP(Device Interworking Proxy) 기능과는 다르다. 즉, DIP는 그 기능이 제한적인 레가시 디바이스(d)를 단순 연동하기 위한 기능으로서 그 연동 방법은 레가시 디바이스(d)의 특성에 따라 각기 다른 연동 방법이 존재할 수 있다. 또한 연동에 의해 사용될 수 있는 기능이 제한될 수 있어 레가시 디바이스(d)에서 제공할 수 있는 기능을 모두 사용할 수 없는 경우가 발생할 수도 있다. 반면, DRP(Device Relay Proxy)는, 지역 네트워크의 상이함에 따라 해당 프로토콜에 따라서는 게이트웨이에 접속하여 연동하도록 지원되지 않는 이기종의 지역 인터페이스(예, 431)를 갖는 디바이스(예, 430)가, 복수개의 지역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기능을 가지고 있는 다른 디바이스(예, 420)를 통해 이기종의 지역 인터페이스(예, 431)와 호환되는 인터페이스(422)에 의해 연동되도록 하는 경우이며, 도 5와 같은 DRP 기능 처리를 위한 구성을 통해서 각 디바이스가 동일한 구조로 연동 처리할 수 있다. 또한, 디바이스(예, 430)는 다른 디바이스(예, 420)의 DRP의 단순한 기능만으로 모든 기능(제어와 데이터 송수신 등)을 사용하여 디바이스(예, 420)를 거쳐 게이트웨이와 연동하고, 모드 기능을 활용할 수 있다.
이렇게 구성된 도 4와 같은 게이트웨이(400), D"디바이스(420), D"디바이스(430)의 구성은, 네트워크 배치(topology)가 일반적인 게이트웨이 또는 테더링(tethering) 구성과 유사한 구조로 보이지만, 도 7과 같이 트리 구조를 형성하여 테더링의 구조와는 상이한 구조의 배치가 가능하다. 또한, D"디바이스(420)는, 게이트웨이로 동작하기 위한 GSCL 기능을 모두 가질 필요가 없으며, 상위 네트워크/어플리케이션 도메인의 NA에서 명령에 의해 D"디바이스(420)의 DRP 기능이나 기타 동작에 대한 제어가 가능하다는 면에서 테더링과는 다르다.
또한, 도 6과 같은 디바이스의 DRP 기능에 따른 중계 연결의 등록과 반대로, 더 이상 중계될 필요가 없는 디바이스는 해당 네트워크 구성에서 제외되도록 절체(switching)될 필요가 있다. 이 때 전체 네트워크 구성에 문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네트워크 배치를 재구성해야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M2M 디바이스의 DRP(Devcie Replay Proxy) 기능에서 중계 연결이 제외된 디바이스를 네트워크에서 제거하는 절체 흐름도이다.
먼저, DRP 기능에 따라 중계 연결이 이루어진 디바이스가 더 이상 필요치 않거나 다른 이유로 해당 디바이스가 네트워크 구성에서 제거되도록 절체하기 위하여, 도 7과 같은 계층적 구조에서, DRP 기능을 가진 디바이스(예, 500, 510, 520)는 중계 연결 가능한 하위의 디바이스들로부터 제거 요청을 받고 리프(leaf) 노드인지 여부를 체크할 수 있다(801). 이와 같은 체크는 지역 네트워크 설정부(540)(도 5 참조)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리프(leaf) 노드는 도 7에서 (511, 512, 521, 522, 523, 531, 532)와 같이 하위 노드(또는 자식 노드)가 존재하지 않는 노드를 말한다.
이때, 예를 들어, DRP 기능을 가진 디바이스(예, 520)의 리프 노드인 하위 디바이스들(예, 530, 531, 532) 중, 531, 532 디바이스는 이미 제거되었고 530 디바이스가 520 디바이스에 연결되어 있다고 가정한다. 여기서, 제거 요청을 송신한 노드가 530 디바이스와 같이, 동일 상위 노드(디바이스)를 공유하는 형제(sibling) 노드가 존재하지 않는 해당 상위 노드(예, 520)에 연결된 마지막 하위 노드라면(802), 520 디바이스의 지역 네트워크 설정부(540)는 DRP 기능을 비활성화시켜서 530 디바이스에 대한 관련 연결 설정을 해제하고 연결상태 저장부(560)에 저장된 마지막 남은 530 디바이스에 대한 해당 기기 정보(또는DRP 정보)를 삭제함으로써, 게이트웨이(400)와 연동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803).
만일, 802 단계에서, DRP 기능을 가진 디바이스(예, 520)의 리프 노드인 하위 디바이스들(예, 530, 531, 532) 중, 530, 531 디바이스가 520 디바이스에 연결되어 있다고 가정할 때, 제거 요청을 송신한 노드가531 디바이스와 같이, 동일 상위 노드(디바이스)를 공유하는 형제(sibling) 노드(예, 530)가 존재하여 해당 상위 노드(예, 520)에 연결된 마지막 하위 노드가 아니라면, 520 디바이스의 지역 네트워크 설정부(540)는 531 디바이스에 대한 관련 연결 설정을 해제하고(DRP 기능의 활성화는 유지됨) 연결상태 저장부(560)에 저장된 531 디바이스에 대한 해당 기기 정보(또는DRP 정보)를 삭제함으로써, 게이트웨이(400)와 연동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804).
한편, 801 단계에서, 예를 들어, DRP 기능을 가진 디바이스(예, 510)의 하위 디바이스들(예, 520, 521, 522, 523) 중, 리프 노드가 아닌 하위 디바이스(예, 520)에 연결된 그 하위 노드(예, 530, 531, 532)가 있고, 리프 노드가 아닌 디바이스(예, 520)가 제거 요청을 송신한 경우를 가정한다. 이때에는 리프 노드가 아닌 디바이스(예, 520)가 상위 디바이스(예, 510)에서 연결이 제거되는 경우에 그 하위 노드들(예, 530, 531, 532)이 게이트웨이(400)와 통신이 불가능 해 진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에는 리프 노드가 아닌 디바이스(예, 520)의 연결을 제거하기 전에 다음과 같은 절차를 따라야 한다.
먼저, 제거 요청을 송신한 노드가520 디바이스와 같이, 리프 노드가 아닌 노드라면, 510 디바이스의 지역 네트워크 설정부(540)는 520 디바이스의 형제(sibling) 노드(같은 상위 노드를 공유하는 노드)(예, 521, 522, 523) 중 DRP 기능을 가진 노드가 있는 지 여부를 체크한다(805). 이때 520 디바이스의 형제(sibling) 노드인 521, 522, 523 중 DRP 기능을 가진 노드가 없다면, 제거 요청을 무시하고 절체하지 않는다(806). 이때, 520 디바이스의 제거 요청에 따라 무시하지 않고, 520 디바이스의 연동을 제거할 수도 있는데, 이때에는 같이 연동이 종료되는 하위 노드(예, 530, 531, 532)에 대한 정보를 중앙서버(플랫폼)을 통해 사용자 단말 등으로 알람 형태로 통보하여, 다시 사용자의 확인을 받은 후 520 디바이스의 연동 제거를 위한 절체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도 있다.
805 단계에서, 만일, 예를 들어, 520 디바이스의 형제(sibling) 노드인 521, 522, 523 중 DRP 기능을 가진 노드가 521 디바이스라고 가정할 때, 520 디바이스의 지역 네트워크 설정부(540)는 521 디바이스에 연결하여(807) DRP 기능의 활성화를 요청할 수 있다(808). 이에 따라 520 디바이스의 하위 노드들(예, 530, 531, 532)이 521 디바이스를 통해 게이트웨이(400)와의 연동이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809). 이때 510 디바이스의 지역 네트워크 설정부(540)는 520 디바이스에 DRP 기능을 비활성화시켜서 520 디바이스에 대한 관련 연결 설정을 해제하고 연결상태 저장부(560)에 저장된 520 디바이스에 대한 해당 기기 정보(또는DRP 정보)를 삭제함으로써, 게이트웨이(400)와 연동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520 디바이스의 하위 노드들(예, 530, 531, 532)이 521 디바이스를 통해 게이트웨이(400)와의 연동이 유지되도록 하기 위하여, 520 디바이스가 연결상태 저장부(560)에 저장된 530, 531, 532 디바이스에 대한 해당 기기 정보(또는DRP 정보)를 521 디바이스로 전송해 주어 521 디바이스의 DRP 기능에 따른 중계 연결 처리를 받을 수 있으며, 또는 530, 531, 532 디바이스가 각각 도 6과 같은 과정에 따라 521 디바이스에 연결을 요청함으로써, 521 디바이스의 DRP 기능에 따른 중계 연결 처리를 받을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코어(또는 중앙서버)(114)
게이트웨이(121, 300, 400)
M2M 디바이스(122, 125, 310, 320, 330, 410, 420, 430, 500, 510~512, 520~523, 530~532)

Claims (18)

  1. 네트워크 상의 중앙서버를 통해서 게이트웨이와 연동하는 디바이스를 관리하며 디바이스의 제어 및 데이터를 이용한 M2M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M2M 디바이스의 지역 네트워크 운영 방법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웨이와 연동하는 M2M 디바이스인 DRP 디바이스에서 상기 게이트웨이와 통신을 위한 인터페이스 이외에 잉여 인터페이스를 가지고 있음을 알리는 비콘(beacon)을 브로드캐스팅하는 단계; 상기 비콘을 수신하는 M2M 디바이스인 연결 대상 디바이스에서 상기 DRP 디바이스로 연결 요청하는 단계; 및
    상기 연결 요청에 따라 상기 DRP 디바이스에서 DRP(Devcie Replay Proxy) 기능을 활성화하여, 상기 연결 대상 디바이스의 인터페이스와 상기 잉여 인터페이스 간의 연결 설정과 상기 잉여 인터페이스와 상기 게이트웨이와 통신을 위한 인터페이스 간의 연결 설정을 수행하여, 상기 연결 대상 디바이스와 상기 게이트웨이 간의 연동을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2M 디바이스의 지역 네트워크 운영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웨이와 연동하지 않는 프로토콜로 처리되는 이기종의 상기 연결 대상 디바이스의 인터페이스가 상기 잉여 인터페이스와 호환됨을 이용하여, 상기 연결 대상 디바이스가 사용하는 기능을 상기 DRP 디바이스를 통해 상기 게이트웨이와 연동하도록 하기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M2M 디바이스의 지역 네트워크 운영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동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DRP 디바이스에서 상기 연결 대상 디바이스로 요청하여 중계 설정을 위한 DRP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 수단에 저장하며, 상기 DRP 정보를 기초로 상기 연결 설정을 수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2M 디바이스의 지역 네트워크 운영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연동을 제어하는 단계 후에,
    상기 게이트웨이와 통신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통해 수신되는 상기 게이트웨이의 데이터에 대해, 상기 잉여 인터페이스와 상기 연결 대상 디바이스의 인터페이스를 통한 순차 전달에 의해 상기 연결 대상 디바이스로 전송하고, 상기 잉여 인터페이스를 통해 수신되는 상기 연결 대상 디바이스의 데이터에 대해, 상기 잉여 인터페이스와 상기 게이트웨이와 통신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통한 순차 전달에 의해 상기 게이트웨이로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2M 디바이스의 지역 네트워크 운영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DRP 디바이스의 상기 잉여 인터페이스에 상기 연결 설정이 이루어지는 복수의 연결 대상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2M 디바이스의 지역 네트워크 운영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연결 대상 디바이스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상기 DRP 기능을 수행하여 하위 디바이스와 상위 디바이스의 인터페이스 간의 상기 연결 설정을 수행하는 계층적 구조로 운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2M 디바이스의 지역 네트워크 운영 방법.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연동을 제어하는 단계 후에,
    상기 DRP 기능을 수행하는 디바이스가, 상기 복수의 연결 대상 디바이스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부터 제거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연결 설정의 해제 과정을 수행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2M 디바이스의 지역 네트워크 운영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설정의 해제 과정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제거 요청을 전송한 연결 대상 디바이스가 리프(leaf) 노드이며, 동일한 상위 디바이스에 상기 연결 설정이 이루어진 형제(sibling) 노드가 없는 상기 상위 디바이스에 연결된 마지막 리프 노드라면, 상기 DRP 기능을 수행하는 디바이스가, DRP 기능을 비활성화하고 상기 제거 요청을 전송한 연결 대상 디바이스에 대해 해당 연결 설정을 해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2M 디바이스의 지역 네트워크 운영 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설정의 해제 과정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제거 요청을 전송한 연결 대상 디바이스가 리프(leaf) 노드이며, 동일한 상위 디바이스에 상기 연결 설정이 이루어진 형제(sibling) 노드를 갖는 리프 노드라면, 상기 DRP 기능을 수행하는 디바이스가, DRP 기능의 비활성화 없이 상기 제거 요청을 전송한 연결 대상 디바이스에 대해 해당 연결 설정을 해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2M 디바이스의 지역 네트워크 운영 방법.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설정의 해제 과정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제거 요청을 전송한 연결 대상 디바이스가 리프(leaf) 노드가 아니고, 연결된 하위 디바이스를 갖는 노드이며, 그 형제(sibling) 노드 중 DRP 기능을 수행하는 노드가 없다면, 상기 제거 요청을 수신한 디바이스가, 상기 제거 요청을 무시하거나 상기 중앙 서버를 통해 소정의 단말로 알람을 통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2M 디바이스의 지역 네트워크 운영 방법.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설정의 해제 과정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제거 요청을 전송한 연결 대상 디바이스가 리프(leaf) 노드가 아니고, 연결된 하위 디바이스를 갖는 노드이며, 그 형제(sibling) 노드 중 DRP 기능을 수행하는 노드가 있다면, 상기 제거 요청을 수신한 디바이스가, DRP 기능을 수행하는 해당 형제 노드의 DRP 기능을 활성화시키고 상기 제거 요청을 전송한 연결 대상 디바이스의 DRP 기능은 비활성화시켜서, 상기 하위 디바이스가 상기 해당 형제 노드를 통해서 연동하도록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2M 디바이스의 지역 네트워크 운영 방법.
  12. 네트워크 상의 중앙서버에서 M2M 서비스의 제공을 위해 게이트웨이와 연동하는 M2M 디바이스의 DRP(Devcie Replay Proxy) 장치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웨이와 통신을 위한 인터페이스 이외에 잉여 인터페이스를 가지고 있음을 알리는 비콘(beacon)을 브로드캐스팅하는 비콘 송신부; 및
    상기 비콘을 수신하는 M2M 디바이스인 연결 대상 디바이스로부터 연결 요청을 수신하여 DRP(Devcie Replay Proxy) 기능을 활성화하는 지역네트워크 설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역네트워크 설정부는, 상기 연결 대상 디바이스의 인터페이스와 상기 잉여 인터페이스 간의 연결 설정과 상기 잉여 인터페이스와 상기 게이트웨이와 통신을 위한 인터페이스 간의 연결 설정을 수행하여, 상기 연결 대상 디바이스와 상기 게이트웨이 간의 연동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2M 디바이스의 DRP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지역네트워크 설정부에서 상기 연결 대상 디바이스로 요청에 따라 상기 연결 대상 디바이스로부터 전송되는, 중계 설정을 위한 DRP 정보를 수신하는 기기정보 수신부; 및
    상기 DRP 정보를 수신하는 저장하는 연결 상태 저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지역네트워크 설정부는, 상기 DRP 정보를 기초로 상기 연결 설정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2M 디바이스의 DRP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웨이와 통신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통해 수신되는 상기 게이트웨이의 데이터에 대해, 상기 잉여 인터페이스와 상기 연결 대상 디바이스의 인터페이스를 통한 순차 전달에 의해 상기 연결 대상 디바이스로 전송하고, 상기 잉여 인터페이스를 통해 수신되는 상기 연결 대상 디바이스의 데이터에 대해, 상기 잉여 인터페이스와 상기 게이트웨이와 통신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통한 순차 전달에 의해 상기 게이트웨이로 전송하는 메시지 처리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2M 디바이스의 DRP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웨이와 통신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통해 수신되는 상기 게이트웨이의 데이터에 대해, 상기 DRP 정보를 기초로, 상기 연결 대상 디바이스의 인터페이스를 목적지로 식별하는 디바이스 식별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디바이스 식별부는 상기 잉여 인터페이스를 통해 수신되는 상기 연결 대상 디바이스의 데이터에 대해, 상기 DRP 정보를 기초로, 상기 게이트웨이의 인터페이스를 목적지로 식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2M 디바이스의 DRP 장치.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지역네트워크 설정부는,
    복수의 연결 대상 디바이스가 상기 잉여 인터페이스에 상기 연결 설정이 이루어지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2M 디바이스의 DRP 장치.
  17.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지역네트워크 설정부는, 상기 연결 설정을 통해 하위 M2M 디바이스와 상기 게이트웨이의 인터페이스 간의 연결을 중계하거나, 계층적 구조의 하위 M2M 디바이스와 상위 M2M 디바이스 사이에서 하위 M2M 디바이스와 상위 M2M 디바이스의 인터페이스 간의 연결을 중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2M 디바이스의 DRP 장치.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지역네트워크 설정부는,
    상기 복수의 연결 대상 디바이스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부터 제거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연결 설정의 해제 과정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2M 디바이스의 DRP 장치.
KR1020130020295A 2013-02-26 2013-02-26 이기종 m2m 디바이스의 지역 네트워크 운영 방법 및 장치 KR1015226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0295A KR101522648B1 (ko) 2013-02-26 2013-02-26 이기종 m2m 디바이스의 지역 네트워크 운영 방법 및 장치
US14/190,938 US10212741B2 (en) 2013-02-26 2014-02-26 Heterogeneous device management in machine to machine area network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0295A KR101522648B1 (ko) 2013-02-26 2013-02-26 이기종 m2m 디바이스의 지역 네트워크 운영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6139A true KR20140106139A (ko) 2014-09-03
KR101522648B1 KR101522648B1 (ko) 2015-05-22

Family

ID=513886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20295A KR101522648B1 (ko) 2013-02-26 2013-02-26 이기종 m2m 디바이스의 지역 네트워크 운영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0212741B2 (ko)
KR (1) KR10152264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89772A (ko) * 2015-01-20 2016-07-28 전자부품연구원 자가 적응 IoT 디바이스 및 시스템
KR20170024369A (ko) * 2015-08-25 2017-03-07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비콘 어댑터 및 그를 이용한 데이터 교환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838258B2 (en) 2014-12-04 2017-12-05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Network service interface for machine-to-machine applications
WO2016093866A1 (en) * 2014-12-12 2016-06-16 Nokia Technologies Oy Terminal discovery at a gateway node
JP2016116205A (ja) * 2014-12-18 2016-06-23 富士通株式会社 位置情報管理装置、移動機、無線通信システム
US10135777B2 (en) 2015-05-27 2018-11-20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Leveraging an internet of things to initiate a physical object to perform a specific act that enhances an interaction of a user with the physical object
US10212743B2 (en) * 2015-06-18 2019-02-19 Alok V Sinha System and method for establishing communication between plurality of internet of things devices
US10699595B2 (en) 2015-08-07 2020-06-30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onitoring and status detection for consumable items
US10536211B2 (en) * 2016-10-14 2020-01-14 Huawei Technologies Co., Ltd. Mobile device relay service for reliable internet of things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E525748C2 (sv) 2002-10-28 2005-04-19 Devlabs Ab Förfarande för direkta utskrifter i nätverk
US20050037753A1 (en) * 2003-08-12 2005-02-17 Andersen Niels Peter Skov Method for a communication device to search for an alternate network upon a registration failure
US8594723B2 (en) 2009-05-26 2013-11-26 Intel Corporation Techniques for interworking between heterogeneous radios
KR101496649B1 (ko) 2009-08-21 2015-03-02 삼성전자주식회사 복합 네트워크 망을 통한 외부 디바이스의 기능 공유 방법 및 그 장치
KR101095793B1 (ko) * 2010-01-26 2011-12-21 윤성재 적응제어기능을 가지는 유에스엔 센서 접속 프로토콜
KR101148117B1 (ko) * 2010-02-05 2012-05-24 목원대학교 산학협력단 방재용 원격센서 능동접속 프로토콜 제어방법
WO2011126321A2 (ko) * 2010-04-07 2011-10-13 엘지전자 주식회사 그룹 기반 m2m 통신 기법
KR20120050652A (ko) * 2010-11-11 2012-05-21 주식회사 케이티 지그비 단말과 엠투엠 게이트웨이 간의 연결 설정 방법 및 그 시스템
GB2498765A (en) * 2012-01-27 2013-07-31 Renesas Mobile Corp Discovery signalling in a device-to-device communication system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89772A (ko) * 2015-01-20 2016-07-28 전자부품연구원 자가 적응 IoT 디바이스 및 시스템
KR20170024369A (ko) * 2015-08-25 2017-03-07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비콘 어댑터 및 그를 이용한 데이터 교환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40242983A1 (en) 2014-08-28
US10212741B2 (en) 2019-02-19
KR101522648B1 (ko) 2015-05-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22648B1 (ko) 이기종 m2m 디바이스의 지역 네트워크 운영 방법 및 장치
US10887394B2 (en) Mechanism and service for device naming
EP3100471B1 (en) Context-aware and proximity-aware service layer connectivity management
US9648662B2 (en) Bluetooth networking
JP4173485B2 (ja) 移動体無線端末装置
KR101678606B1 (ko) IoT 디바이스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IoT 디바이스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시스템
US1103236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terworking between heterogeneous systems
US20120120934A1 (en) Method for tethering network connection, method for connecting to network, and wireless communication group applying the same
CN109286542A (zh) 一种基于nb-iot的无线设备群组接入方法及终端
CN106471465A (zh) 服务启用器功能
CN108293272B (zh) 用于在本地设备和远程设备之间的设备对设备通信的方法
WO2019240220A1 (ja) 無線センサシステム、無線端末装置、通信制御方法および通信制御プログラム
KR20140122969A (ko) 차세대 네트워크를 위한 객체 식별자 기반의 이종 식별자 노드간 상호연동 식별 장치 및 방법
EP3831038B1 (en) Automated relationship management of service layer entities in a communications network
CN101610560A (zh) 无线自组织网络中的设备的发现方法
CN107950005A (zh) 服务元素主机选择
KR101471561B1 (ko) 센서 노드 프록시를 이용한 플러그 앤 플레이 센서 네트워크 시스템 및 이 시스템을 이용한 응용 서비스 제공 방법
KR101983993B1 (ko) 게이트웨이 기반의 m2m 디바이스 리소스 동적 그룹핑 방법
US10512026B2 (en) Technique for mediation in a residential network
CN102904978A (zh) 泛在网络内泛在设备实现通用即插即用的方法
JP2019506046A (ja) 通信ネットワークを動作させるデバイス及び方法
KR20170025550A (ko) 게이트웨이 및 이의 제어 방법
KR20160122583A (ko) 관계기반 사물 인터넷 서비스 제공 방법
JP6785525B2 (ja) セルラー通信システム接続装置、通信システム、セルラー通信システム接続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1801061B1 (ko) 수중 사물인터넷 장치에서의 p2p 기반 서비스 디스커버리 방법 및 그 수중 사물인터넷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2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