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24369A - 비콘 어댑터 및 그를 이용한 데이터 교환 시스템 - Google Patents

비콘 어댑터 및 그를 이용한 데이터 교환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24369A
KR20170024369A KR1020150119541A KR20150119541A KR20170024369A KR 20170024369 A KR20170024369 A KR 20170024369A KR 1020150119541 A KR1020150119541 A KR 1020150119541A KR 20150119541 A KR20150119541 A KR 20150119541A KR 20170024369 A KR20170024369 A KR 201700243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adapter
topic
beacon
transmission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195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20167B1 (ko
Inventor
이규철
백문기
오정훈
Original Assignee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501195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20167B1/ko
Publication of KR201700243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243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01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01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08Protocols for interworking; Protocol convers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12Applying verification of the received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18Multiprotocol handlers, e.g. single devices capable of handling multiple protocols

Abstract

본 발명은 어댑터 및 그를 이용한 데이터 교환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어댑터는, 데이터 분산 서비스(Data Distribution Service)기반의 미들웨어가 설치된 DDS 장치와 통신하며 근접 데이터를 포함하는 토픽을 발간(publish) 또는 구독(subscribe)하는 제1 통신부; 적어도 하나의 비콘(beacon) 장치와 통신하며 송신 전력 데이터를 포함하는 패킷을 송신 또는 수신하는 제2 통신부; 및 상기 근접 데이터 및 상기 송신 전력 데이터를 상호 변환하는 변환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비콘 어댑터 및 그를 이용한 데이터 교환 시스템{BEACON ADAPTER AND DATA EXCHANGE SYSTEM EMPLOYING THE SAME}
본 발명은 사물 인터넷(Internet of Things) 장치들 간 근접 데이터를 교환하기 위한 비콘 어댑터 및 데이터 교환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사물 인터넷은 사물들끼리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정보를 공유하는 것을 의미하며, 사물 간 상호 작용을 통하여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사물이란 가전제품, 모바일 장비, 웨어러블 컴퓨터 등 다양한 임베디드 시스템을 포함한다. 사물 인터넷에서 사물의 물리적 특성과 응용 분야에 따라 RFID(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ZigBee, 블루투스(Bluetooth)와 같은 다양한 통신 프로토콜이 사용된다.
이 때, 동일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사물 간 상호 작용은 가능하지만, 서로 다른 프로토콜 간 상호 작용에는 한계가 있다. 프로토콜 이질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REST(Representational State Transfer), MQTT(Message Quere Telemetry Transport), JMS(Java Message Service) 등의 메시징 기술이 사용되고 있으나, 이러한 메시징 기술은 데이터 브로커(data broker)를 통해 정보를 주고받아 브로커의 동작이 실패했을 경우 메시징 자체가 안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사물 인터넷 장치들 간의 프로토콜 이질성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BLE(Bluetooth Low Energy) 기반의 비콘(Beacon)을 사물 인터넷에 적용하기 위한 어댑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사물 인터넷 장치 간 데이터 전송 실패 확률 및 전송 복잡도를 낮추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가 상술한 과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과제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어댑터는, 데이터 분산 서비스(Data Distribution Service)기반의 미들웨어가 설치된 DDS 장치와 통신하며 근접 데이터를 포함하는 토픽을 발간(publish) 또는 구독(subscribe)하는 제1 통신부, 적어도 하나의 비콘(beacon) 장치와 통신하며 송신 전력 데이터를 포함하는 패킷을 송신 또는 수신하는 제2 통신부, 및 상기 근접 데이터 및 상기 송신 전력 데이터를 상호 변환하는 변환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DDS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사물 인터넷 장치와 통신하며, 상기 근접 데이터는, 상기 사물 인터넷 장치 또는 상기 비콘 장치와 상기 어댑터 간의 물리적 거리를 나타낼 수 있다.
상기 변환부는, 상기 제1 통신부에서 구독한 토픽을 상기 송신 전력 데이터를 포함하는 패킷으로 변환하고, 상기 제2 통신부가 수신한 패킷을 상기 근접 데이터를 포함하는 토픽으로 변환할 수 있다.
상기 변환부는, 상기 어댑터의 RSSI(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or) 및
Figure pat00001
에 따라 상기 근접 데이터 및 상기 송신 전력 데이터를 상호 변환하며, txPower는 상기 송신 전력 데이터를 나타내고, d는 상기 근접 데이터를 나타내며, n은 공간 모델에 따라 고정되는 상수일 수 있다.
상기 어댑터가 자유 공간(free space) 모델에 적용되는 경우 n=2일 수 있다.
상기 변환부에서 패킷을 변환하여 생성된 토픽은 상기 비콘 장치에 미리 부여된 식별자를 더 포함하며, 상기 어댑터는, 상기 변환부에서 생성된 토픽을 상기 식별자를 기반으로 해당 토픽에 포함된 근접 데이터를 검증하는 검증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통신부가 구독하는 상기 토픽은 상기 사물 인터넷 장치 또는 상기 비콘 장치에 미리 부여된 식별자를 더 포함하며, 상기 어댑터는, 상기 제1 통신부가 구독한 토픽을 상기 식별자를 기반으로 필터링하는 필터링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식별자는 범용 고유 식별자(Universally Unique Identifier, UUID), 및 상기 사물 인터넷 장치 또는 상기 비콘 장치의 사용자에 의해 미리 부여된 세부 식별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데이터 교환 시스템은, 비콘 장치, 상기 비콘 장치와 상이한 프로토콜이 사용되는 사물 인터넷 장치, 상기 사물 인터넷 장치가 근접 데이터를 포함하는 토픽을 발간 또는 구독하는 데이터 분산 서비스 기반의 미들웨어가 설치된 DDS 장치, 및 상기 비콘 장치 및 상기 DDS 장치 사이에서 데이터를 교환하는 어댑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어댑터는 상기 DDS 장치와 통신하며 근접 데이터를 포함하는 토픽을 발간 또는 구독하는 제1 통신부, 상기 비콘 장치와 통신하며 송신 전력 데이터를 포함하는 패킷을 송신 또는 수신하는 제2 통신부, 및 상기 근접 데이터 및 상기 송신 전력 데이터를 상호 변환하는 변환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근접 데이터는, 상기 사물 인터넷 장치 또는 상기 비콘 장치와 상기 어댑터 간 물리적 거리를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사물 인터넷 장치들 간의 프로토콜 이질성 문제가 해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BLE(Bluetooth Low Energy) 기반의 비콘(Beacon)을 사물 인터넷에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사물 인터넷 장치 간 데이터 전송 실패 확률 및 전송 복잡도가 낮아질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가 상술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효과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어댑터의 블록도 및 데이터 교환 시스템의 구성을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데이터 교환 시스템에서 송수신되는 패킷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데이터 교환 시스템에서 송수신되는 토픽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다른 데이터 교환 시스템이 활용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는 실시 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만일 정의되지 않더라도,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기술 혹은 과학 용어들을 포함)은 이 발명이 속한 종래 기술에서 보편적 기술에 의해 일반적으로 수용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인 사전들에 의해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된 기술 그리고/혹은 본 출원의 본문에 의미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고, 그리고 여기서 명확하게 정의된 표현이 아니더라도 개념화되거나 혹은 과도하게 형식적으로 해석되지 않을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 및/또는 이 동사의 다양한 활용형들 예를 들어, '포함', '포함하는', '포함하고', '포함하며' 등은 언급된 조성, 성분,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조성, 성분,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및/또는'이라는 용어는 나열된 구성들 각각 또는 이들의 다양한 조합을 가리킨다.
한편, 본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부', '~기', '~블록',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FPGA 또는 ASIC과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할 수 있다. 그렇지만 '~부', '~기', '~블록', '~모듈' 등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부', '~기', '~블록', '~모듈'은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 '~기', '~블록', '~모듈'은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세서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 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 '~기', '~블록', '~모듈'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 '~기', '~블록', '~모듈'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 '~기', '~블록', '~모듈'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어댑터는 패킷 및 토픽을 상호 변환하는 변환부를 포함하여, BLE(Bluetooth Low Energy) 기반의 비콘(beacon) 장치를 사물 인터넷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어댑터를 포함하는 데이터 교환 시스템은, 데이터 분산 서비스(Data Distribution Service) 기반의 발간/구독 방식으로 구성되어 메시징 실패 확률을 줄이고 데이터 전송의 복잡도를 낮출 수 있다.
이하,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어댑터(100) 및 어댑터(100)가 적용된 데이터 교환 시스템(200)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어댑터(100)는 적어도 하나의 비콘 장치(11)와 통신하여 패킷을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비콘 장치(11)는 하나의 비콘 영역 내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어댑터(100)는 데이터 분산 서비스 기반의 미들웨어가 설치된 DDS 장치(13)와 통신하며 토픽을 발간(pubilish) 또는 구독(subscribe)할 수 있다. 상기 DDS 장치(13)는 적어도 하나의 사물 인터넷 장치(12)와 통신할 수 있으며, 각각의 사물 인터넷 장치(12)는 DDS 장치(13)에 토픽을 발간하거나, DDS 장치(13)로부터 필요한 토픽을 구독할 수 있다. 사물 인터넷 장치(12)는 비콘 장치(11)와 상이한 프로토콜을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어댑터(100)를 적용함으로써, 프로토콜의 이질성 문제가 해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데이터 교환 시스템(200)은 DDS 장치(13)에 설치된 데이터 분산 서비스 기반의 미들웨어를 이용함으로써, 발간/구독 방식의 분산 구조를 통해 메시징 실패 확률을 낮출 수 있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어댑터(100)는 제1 통신부(110), 제 2 통신부(120), 및 변환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통신부(110)는 DDS 장치(13)와 통신하며 근접 데이터를 포함하는 토픽을 발간 또는 구독할 수 있다. 상기 근접 데이터는, 사물 인터넷 장치의 기 설정된 기준점에 대한 물리적 거리를 나타내며, 상기 사물 인터넷 장치(120) 또는 상기 비콘 장치(11)와 상기 어댑터(100)간의 물리적 거리일 수 있다. 상기 제2 통신부(120)는 비콘 장치(11)와 통신하며 송신 전력(Tx power) 데이터를 포함하는 패킷을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다.
상기 변환부(130)는 상기 근접 데이터 및 상기 송신 전력 데이터를 상호 변환할 수 있다. 상기 근접 데이터 및 상기 송신 전력 데이터는 아래 수학식 1에 따라 상호 변환될 수 있다.
Figure pat00002
RSSI(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or)는 어댑터에 따라 결정되는 상수이며, txPower는 상기 송신 전력 데이터를 나타내고, d는 상기 물리적 거리를 나타내며, n은 공간 모델에 따라 고정되는 상수를 나타낸다. 어댑터가 자유 공간(free space)에 적용되는 경우, n=2일 수 있다. 상기 수학식 1을 Java 언어로 표현하면 아래와 같다.
Math.pow(10d,((double)txPower-RSSI)/(10*2))
상기 변환부(130)는 상기 수학식 1에 따라 근접 데이터 및 송신 전력 데이터를 상호 변환하며, 이에 따라 토픽과 패킷을 상호 변환하여 프로토콜 이질성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데이터 교환 시스템에서 송수신되는 패킷의 구조를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비콘 장치(11)로부터 수신하거나 비콘 장치(11)로 송신하는 패킷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BLE Advertising Packet일 수 있다. 상기 BLE Advertising Packet은 Tx power 데이터를 포함하는 비콘 패킷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BLE Advertising Packet은 checksum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전송 오류를 감지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콘 패킷은 Prefix, UUID, Major ID, Minor ID, 및 Tx power로 구성될 수 있다. Prefix는 상기 패킷이 비콘 패킷임을 표현하는 고정값이다. UUID는 범용 고유 식별자(Universally Unique Identifier)이며, 장치를 제조한 회사를 나타낼 수 있다. Major ID 및 Minor ID는 세부 식별자로, 장치의 사용자에 의해 부여될 수 있다. Tx power는 장치의 송신 전력을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데이터 교환 시스템에서 송수신되는 토픽을 IDL(Interface Description Language)로 표현한 것이다. uuid는 장치를 제조한 회사의 식별자이며, majorID 및 minorID는 사용자에 의해 부여된 세부 식별자일 수 있다. distance는 근접 데이터를 나타낸다.
이하, 도 1 내지 3을 참조하여 어댑터(100)가 근접 데이터를 포함하는 토픽을 DDS 장치(13)에 설치된 데이터 분산 서비스 기반의 미들웨어에 발간하는 과정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제2 통신부(120)는 비콘 장치(11)로부터 송신 전력 데이터를 포함하는 패킷을 수신한다. 수신된 패킷은 도 2에 도시된 형태일 수 있다. 변환부(130)는 수신된 패킷에서 UUID, Major ID, Minor ID, 및 Tx power에 대한 데이터를 추출할 수 있다. 변환부(130)는 Tx power와 RSSI 값을 이용해 거리, 즉 근접 데이터를 계산한다. 변환부(130)는 추출된 UUID, Major ID, Minor ID, 및 계산된 근접 데이터를 토픽 인스턴스(instance)화하여, 비콘 장치(11)로부터 수신한 패킷을 토픽으로 변환한다. 이 때 변환된 토픽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IDL로 명세될 수 있다. 제1 통신부(110)는 변환부(130)에서 생성된 토픽을 DDS 장치(13)로 발간할 수 있다. 사물 인터넷 장치(12)는 비콘 장치(11)와 상이한 통신 프로토콜을 사용하더라도, 상기 DDS 장치(13)로부터 토픽을 구독하여 근접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어댑터(100)는 검증부(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변환부(130)에서 패킷을 변환하여 생성된 토픽은 상기 비콘 장치에 미리 부여된 식별자를 더 포함할수 있다. 이 때, 검증부(150)는 상기 변환부(130)에서 생성된 토픽을 상기 식별자를 기반으로 해당 토픽에 포함된 근접 데이터를 검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검증부(150)는 상기 식별자를 기반으로, 해당 근접 데이터를 송신한 비콘 장치가 최초로 송신한 데이터인지, 주기적으로 송신하고 있는 데이터인지, 또는 더 이상 송신하지 않는 데이터인지 등을 판단할 수 있다. 더 이상 송신하지 않는 데이터로 판단되는 경우는 비콘 장치가 파손되거나, 또는 비콘 장치가 비콘 영역을 벗어난 경우일 수 있다.
이하, 도 1 내지 3을 참조하여 어댑터(100)가 근접 데이터를 포함하는 토픽을 DDS 장치(13)에 설치된 데이터 분산 서비스 기반의 미들웨어로부터 구독하여 비콘 장치(11)에 패킷을 전송하는 과정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제1 통신부(110)는 DDS 장치(13)로부터 토픽을 구독한다. 구독된 토픽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명세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어댑터(100)는 필터링부(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필터링부(140)는 제1 통신부(110)가 구독한 토픽을 UUID, Major ID, 및 Minor ID와 같은 식별자를 기반으로 필터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필터링부(140)는 식별자를 기반으로 근접 데이터를 획득하고자 하는 장치에 대한 토픽만 변환부(130)로 전달할 수 있다. 변환부(130)는 구독된 토픽을 uuid, majorId, minorId, 및 distance로 구분한다. 변환부(130)는 근접 데이터, 즉 distance와 RSSI를 이용해 송신 전력을 계산할 수 있다. 변환부(130)는 토픽의 uuid, majorId, minorId, 및 계산된 송신 전력을 패킷화하여, DDS 장치(130)로부터 구독한 토픽을 패킷으로 변환한다. 이 때 변환된 패킷은 도 2에 도시된 형태일 수 있다. 제2 통신부(120)는 변환부(130)에서 생성된 패킷을 비콘 장치(11)로 전송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비콘 장치(11)는 상이한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사물 인터넷 장치(12)로부터 거리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어댑터를 활용하여 기차역에서 기차 근접도 서비스가 제공되는 모습을 예시적으로 나타낸다. 기차에 설치된 비콘 장치에서 지속적으로 패킷을 전송하고, 각 탑승구에 위치한 비콘 장치가 패킷을 수신한다. 각 탑승구에 위치한 비콘 장치는 어댑터를 통하여 데이터 분산 서비스로 토픽을 발간하고, 기차역 내부의 승객들은 사물 인터넷 장치, 예를 들어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데이터 분산 서비스로부터 토픽을 구독하여 기차의 근접도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어댑터는 승객들의 사물 인터넷 장치와 각 탑승구의 비콘 장치 간에 근접 데이터를 공유하여 승객들의 안전을 보장하는데 활용될 수 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어댑터를 활용하여 물류 자동화 서비스가 제공되는 모습을 예시적으로 나타낸다. 화물(사물 인터넷 장치)은 근접 데이터를 포함하는 토픽을 지속적으로 데이터 분산 서비스 기반의 미들웨어로 발간한다. 물류 레일에 설치된 비콘 장치는 어댑터를 통하여 데이터 분산 서비스로부터 화물들의 근접 데이터를 수신한다. 수신된 근접 데이터는 물류 레일에 설치된 다수의 비콘 장치들 사이에서 공유될 수도 있다. 공유된 근접 데이터를 바탕으로 이동중인 물류량을 파악하고 레일 속도를 조절하는데 사용할 수 있다.
이상의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제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지 않으며,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가능한 실시 예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도시된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반대로 여러 개로 분산된 구성 요소들은 결합 되어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의 문언적 기재 그 자체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실질적으로는 기술적 가치가 균등한 범주의 발명에 대하여까지 미치는 것임을 이해하여야 한다.
100 : 어댑터
110 : 제1 통신부
120 : 제2 통신부
130 : 변환부
140 : 필터링부
150 : 검증부
200 : 데이터 교환 시스템

Claims (7)

  1. 데이터 분산 서비스(Data Distribution Service, DDS)기반의 미들웨어가 설치된 DDS 장치와 통신하며 근접 데이터를 포함하는 토픽을 발간 또는 구독하는 제1 통신부;
    적어도 하나의 비콘(beacon) 장치와 통신하며 송신 전력 데이터를 포함하는 패킷을 송신 또는 수신하는 제2 통신부; 및
    상기 근접 데이터 및 상기 송신 전력 데이터를 상호 변환하는 변환부를 포함하며,
    상기 DDS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사물 인터넷 장치와 통신하며,
    상기 근접 데이터는, 상기 사물 인터넷 장치 또는 상기 비콘 장치와 어댑터 간의 물리적 거리를 나타내는 어댑터.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변환부는,
    상기 제1 통신부에서 구독한 토픽을 상기 송신 전력 데이터를 포함하는 패킷으로 변환하고, 상기 제2 통신부가 수신한 패킷을 상기 근접 데이터를 포함하는 토픽으로 변환하는 어댑터.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변환부는,
    Figure pat00003
    에 따라 상기 근접 데이터 및 상기 송신 전력 데이터를 상호 변환하며,
    여기서, RSSI(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or)는 어댑터에 따라 결정되는 상수이고, txPower는 상기 송신 전력 데이터를 나타내고, d는 상기 물리적 거리를 나타내며, n은 공간 모델에 따라 결정되는 상수이며, 상기 어댑터가 자유 공간(free space)에 적용되는 경우 n=2인 어댑터.
  4.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변환부에서 패킷을 변환하여 생성된 토픽은 상기 비콘 장치에 미리 부여된 식별자를 더 포함하며,
    상기 어댑터는,
    상기 변환부에서 생성된 토픽을 상기 식별자를 기반으로 해당 토픽에 포함된 근접 데이터를 검증하는 검증부를 더 포함하는 어댑터.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통신부가 구독하는 상기 토픽은 상기 사물 인터넷 장치에 미리 부여된 식별자를 더 포함하며,
    상기 어댑터는,
    상기 제1 통신부가 구독한 토픽을 상기 식별자를 기반으로 필터링하는 필터링부를 더 포함하는 어댑터.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자는 범용 고유 식별자(Universally Unique Identifier, UUID), 및 상기 사물 인터넷 장치 또는 상기 비콘 장치의 사용자에 의해 미리 부여된 세부 식별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어댑터.
  7. 비콘 장치;
    상기 비콘 장치와 상이한 프로토콜이 사용되는 사물 인터넷 장치;
    상기 사물 인터넷 장치가 근접 데이터를 포함하는 토픽을 발간 또는 구독하는 데이터 분산 서비스 기반의 미들웨어가 설치된 DDS 장치; 및
    상기 비콘 장치 및 상기 DDS 장치 사이에서 데이터를 교환하는 어댑터를 포함하며,
    상기 어댑터는:
    상기 DDS 장치와 통신하며 근접 데이터를 포함하는 토픽을 발간 또는 구독하는 제1 통신부;
    상기 비콘 장치와 통신하며 송신 전력 데이터를 포함하는 패킷을 송신 또는 수신하는 제2 통신부; 및
    상기 근접 데이터 및 상기 송신 전력 데이터를 상호 변환하는 변환부를 포함하며,
    상기 근접 데이터는, 상기 사물 인터넷 장치 또는 상기 비콘 장치와 상기 어댑터 간 물리적 거리를 나타내는 데이터 교환 시스템.
KR1020150119541A 2015-08-25 2015-08-25 비콘 어댑터 및 그를 이용한 데이터 교환 시스템 KR1017201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9541A KR101720167B1 (ko) 2015-08-25 2015-08-25 비콘 어댑터 및 그를 이용한 데이터 교환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9541A KR101720167B1 (ko) 2015-08-25 2015-08-25 비콘 어댑터 및 그를 이용한 데이터 교환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4369A true KR20170024369A (ko) 2017-03-07
KR101720167B1 KR101720167B1 (ko) 2017-03-28

Family

ID=584116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19541A KR101720167B1 (ko) 2015-08-25 2015-08-25 비콘 어댑터 및 그를 이용한 데이터 교환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2016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656726A (zh) * 2018-11-28 2019-04-19 中国船舶重工集团公司第七〇九研究所 一种适用于数据中心的工业信息交互系统及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7039B1 (ko) * 2012-01-06 2012-06-21 국방과학연구소 Ddsb 통신 시스템 및 방법
KR20140006304A (ko) * 2012-07-03 2014-01-16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하향링크 데이터 수신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사물통신 디바이스
KR20140106139A (ko) * 2013-02-26 2014-09-03 주식회사 케이티 이기종 m2m 디바이스의 지역 네트워크 운영 방법 및 장치
KR20140121534A (ko) * 2013-04-05 2014-10-16 한국과학기술원 인스턴스 호스팅 환경에서 노드의 프로파일에 기반하여 노드의 정보를 처리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7039B1 (ko) * 2012-01-06 2012-06-21 국방과학연구소 Ddsb 통신 시스템 및 방법
KR20140006304A (ko) * 2012-07-03 2014-01-16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하향링크 데이터 수신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사물통신 디바이스
KR20140106139A (ko) * 2013-02-26 2014-09-03 주식회사 케이티 이기종 m2m 디바이스의 지역 네트워크 운영 방법 및 장치
KR20140121534A (ko) * 2013-04-05 2014-10-16 한국과학기술원 인스턴스 호스팅 환경에서 노드의 프로파일에 기반하여 노드의 정보를 처리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656726A (zh) * 2018-11-28 2019-04-19 中国船舶重工集团公司第七〇九研究所 一种适用于数据中心的工业信息交互系统及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20167B1 (ko) 2017-03-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4195716A3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sig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JP2018106689A5 (ko)
MX2019008381A (es) Metodo y dispositivo para transmitir un paquete de datos en un sistema de comunicacion inalambrica.
CN103179210B (zh) 一种基于Web Service的物联网云端接入方法和系统
EP4236561A3 (en) Terminal, base station and corresponding methods
CN106130892A (zh) 物联网智能网关
KR102176417B1 (ko) 비표준 전기 자동차 충전기의 표준 시스템 접속을 위한 게이트웨이
CN101300534A (zh) 用于传输周期性和非周期性数据的方法和系统
KR20180084579A (ko) 차세대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pdcp와 rlc 헤더 포맷을 설정하는 방법 및 장치
CN107886692A (zh) 一种生物工程用传感器LoRa无线网络通讯系统
KR20180084605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처리 방법 및 장치
CN103347074A (zh) 一种多级物联网连接服务系统
CN102647437A (zh) 调度集中方法及系统
CN105471972A (zh) 物联网信息系统
WO2018084539A3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1720167B1 (ko) 비콘 어댑터 및 그를 이용한 데이터 교환 시스템
KR20180031852A (ko) Mqtt 프로토콜 연동을 위한 어댑터 및 그를 이용한 데이터 교환 시스템
WO2014111394A3 (en) Inter-zone communication in industrial control systems
Śliwa et al. The latest advances in wireless communication in aviation, wind turbines and bridges
JP2008061079A (ja) 無線システム。
KR101911359B1 (ko) 저전력 블루투스 어댑터 및 그를 이용한 데이터 교환 시스템
CN113848834B (zh) 一种基于边云协同的车间设备接入系统及方法
KR101740236B1 (ko) 엠큐티티(mqtt) 및 디디에스(dds) 클라이언트 모듈을 갖는 장치를 위한 원격관리시스템
CN106302141A (zh) 智慧水务物联网系统的物联网智能网关
Herlich et al. Survey of Scenarios for Measurement of Reliable Wireless Communication in 5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