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48117B1 - 방재용 원격센서 능동접속 프로토콜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방재용 원격센서 능동접속 프로토콜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48117B1
KR101148117B1 KR1020100010710A KR20100010710A KR101148117B1 KR 101148117 B1 KR101148117 B1 KR 101148117B1 KR 1020100010710 A KR1020100010710 A KR 1020100010710A KR 20100010710 A KR20100010710 A KR 20100010710A KR 101148117 B1 KR101148117 B1 KR 1011481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or device
hub
information
user
disaster preven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107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91070A (ko
Inventor
이근우
황재용
윤성재
Original Assignee
목원대학교 산학협력단
주식회사 청연엠엔에스
(주)모비다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목원대학교 산학협력단, 주식회사 청연엠엔에스, (주)모비다임 filed Critical 목원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000107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48117B1/ko
Publication of KR201100910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910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81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81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2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 H04L67/125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involving control of end-device applications over a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 H04L63/0853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using an additional device, e.g. smartcard, SIM or a different communication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30Definitions, standards or architectural aspects of layered protocol stacks
    • H04L69/32Architecture of open systems interconnection [OSI] 7-layer type protocol stacks, e.g. the interfaces between the data link level and the physical level
    • H04L69/322Intralayer communication protocols among peer entities or protocol data unit [PDU] definitions
    • H04L69/329Intralayer communication protocols among peer entities or protocol data unit [PDU] definitions in the application layer [OSI layer 7]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양한 방재정보 수집을 위해 설치되는 다수의 원격센서 디바이스와 허브, RAP서버, 사용자로 구성되고 이들 각 구성요소간에는 다양한 형태의 유/무선망이 관여되는 방재시스템이 구비됨에 있어서, 상기 센서 디바이스의 종류를 비롯한 허브 인터페이스정보나 식별정보, 초기설정정보, 사용자정보의 필요정보를 등록하는 등록단계; 상기 센서 디바이스가 허브에 물리적인 연결이 이루어지는 경우 센서 디바이스가 자신의 식별정보를 허브에 전달하게 하고, 허브는 이를 RAP서버에 질의하며, RAP서버는 센서 디바이스에 대한 초기설정정보와 운영소프트웨어 버전정보를 전달하게 하고, 허브 또는 센서 디바이스가 필요한 경우 운영소프트웨어 업데이트 절차를 진행하게 하는 식별단계; 상기 센서 디바이스와 허브, 허브와 RAP서버, RAP서버와 사용자 또는 사용자 단말간에 연결이 이루어지게 하되 RAP서버가 허브로부터 센서 디바이스의 연결 요청이 있는 경우에 해당 사용자에게 이를 알려줌으로써 연결 절차가 완료될 수 있게 하는 연결단계; 상기 센서 디바이스가 측정하는 데이터가 단일 지역 또는 개인이 아니고 다수의 개인인 경우에 한하여 각 개인의 인증을 위한 절차를 밟게 하는 인증단계; 상기 센서의 특성에 따라 실시간 데이터와 비실시간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게 하거나 또는 데이터의 주기적 특성에 따라서 구분하여 데이터를 전송하게 하는 데이터 송수신단계; 상기 데이터 송수신에 대한 제어를 수행하고 필요에 따라 데이터 송수신 방식을 바꾸며, 사용자 또는 RAP서버에서 센서 디바이스 및 허브를 제어할 수 있게 하는 제어단계; 상기 센서 디바이스가 다중의 개인을 대상으로 하는 경우에 있어 대상 개인이 바뀔 때 허브는 RAP서버에게 연결 해제를 요청하고 RAP서버가 사용자에게 이 사실을 알리게 하는 연결 해제단계; 상기 센서 디바이스가 USN망을 이탈하거나 또는 사용자가 로그아웃을 행하는 경우에 종료를 수행하게 하는 종료단계를 상기 시스템의 각 구성요소가 상태 천이하면서 동작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방재용 원격센서 능동접속 프로토콜 제어방법{CONTROL METHOD OF REMOTE EQUIPMENT ADAPTIVE PLUG-AND-PLAY PROTOCOL FOR DISASTER PREVENTION}
본 발명은 방재용 원격센서 능동접속 프로토콜(통신절차)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다양한 종류의 방재정보 수집센서로부터 받은 데이터를 자동적으로 서버에 전송하고 이를 저장 및 활용할 수 있도록 하며, 동적이며 복잡한 USN 환경에서도 시스템 변화에 대응할 수 있도록 한 방재용 원격센서 능동접속 프로토콜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기후 변화에 따른 자연 재해의 급증과 고령화에 따른 노인 인구의 증가로 개인 재해가 다발적으로 발생하는 상황에 이르렀다.
이러한 상황에서 재해 발생 상황을 미리 탐지하고 예방하며 재난이 발생한 경우 그 피해를 최소화하려는 노력이 수행되고 있으며, 그 일환으로 방재 업무에 정보통신기술을 적용한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구체적으로, 차세대 통신망인 USN(Ubiquitous Sensor Network) 기술이 접목되고 있으며, 이러한 기술은 효과적인 방재정보시스템을 구축하는데 활용성이 높은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넓고 다양한 공간에 설치된 다수의 센서 및 유무선 네트워크와 결합된 USN 기술은 재난이 일어날 수 있는 상황을 모니터링하고 방재 정보를 체계적으로 수집하여 이를 기반으로 재해 예방과 경보, 재해 상황 보고, 복구 지원 등 효과적인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도록 한다.
이렇듯 USN 기술을 적용한 방재 시스템을 살펴보면, 지반침하 모니터링이나 산사태 모니터링 등 방재시스템의 모니터링 분야에 적용한 연구들이 있는데, 모니터링에 필요한 센서 기술, 유무선 네트워크 기술, 데이터 처리 및 해석 기술 등을 기반으로 효과적이고 신속한 재난 대응이 가능함을 보여주고 있다.
한편, 센서 네트워크(USN)가 아닌 일반 PC와 주변기기 및 IP 네트워킹 환경에서는 각종 디바이스의 자동 탐지 및 제어를 가능하게 하는 프로토콜인 범용 플러그 앤 플레이(UPnP)가 채용되고 있는 추세인데, UPnP는 각 디바이스가 어느 정도 이상의 컴퓨팅 능력을 갖추기를 요구하고 있으며 IP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프로토콜을 설계하는 것으로, 각 디바이스의 제한된 자원과 다양한 네트워크를 특징으로 하는 USN환경에서는 곧바로 적용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UPnP 이외에도 각 장비들이 자동적으로 서로 연결되고 조작되기 위한 상호 운용성을 제공해주는 프로토콜인 HAVi(Home Audio Video Interoperability), JINI 등이 제안되어 있는데, 이들은 주로 홈 네트워킹 환경에서 사용되고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한 종류의 방재정보 수집센서로부터 받은 데이터를 자동적으로 서버에 전송하고 이를 저장 및 활용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각 센서를 원격 제어할 수 있도록 하며, 센서, 허브(또는 게이트웨이), 서버 및 사용자 PC 등 전체 시스템에 적용하여 정해진 절차에 따라 동작함으로써 동적이며 복잡한 USN 환경에서도 시스템 변화에 대응할 수 있도록 한 방재용 원격센서 능동접속 프로토콜(Remote Equipment Adaptive Plug-and-Play Protocol, RAP) 제어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USN을 방재 정보시스템에 적용하는데 있어 다양한 센서의 설치나 제거에 능동적으로 대응하고 각 센서로부터 데이터를 체계적으로 수집할 수 있도록 하며, 이에 기반하여 실시간 모니터링 및 재해 정보 DB를 구축할 수 있도록 하는 USN기반 방재용 원격센서 능동접속 프로토콜(RAP) 제어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한 방재정보 수집을 위해 설치되는 다수의 원격센서 디바이스와 허브, RAP서버, 사용자로 구성되고 이들 각 구성요소간에는 다양한 형태의 유/무선망이 관여되는 방재시스템이 구비됨에 있어서,
상기 센서 디바이스의 종류를 비롯한 허브 인터페이스정보나 식별정보, 초기설정정보, 사용자정보의 필요정보를 등록하는 등록단계; 상기 센서 디바이스가 허브에 물리적인 연결이 이루어지는 경우 센서 디바이스가 자신의 식별정보를 허브에 전달하게 하고, 허브는 이를 RAP서버에 질의하며, RAP서버는 센서 디바이스에 대한 초기설정정보와 운영소프트웨어 버전정보를 전달하게 하고, 허브 또는 센서 디바이스가 필요한 경우 운영소프트웨어 업데이트 절차를 진행하게 하는 식별단계; 상기 센서 디바이스와 허브, 허브와 RAP서버, RAP서버와 사용자 또는 사용자 단말간에 연결이 이루어지게 하되 RAP서버가 허브로부터 센서 디바이스의 연결 요청이 있는 경우에 해당 사용자에게 이를 알려줌으로써 연결 절차가 완료될 수 있게 하는 연결단계; 상기 센서 디바이스가 측정하는 데이터가 단일 지역 또는 개인이 아니고 다수의 개인인 경우에 한하여 각 개인의 인증을 위한 절차를 밟게 하는 인증단계; 상기 센서의 특성에 따라 실시간 데이터와 비실시간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게 하거나 또는 데이터의 주기적 특성에 따라서 구분하여 데이터를 전송하게 하는 데이터 송수신단계; 상기 데이터 송수신에 대한 제어를 수행하고 필요에 따라 데이터 송수신 방식을 바꾸며, 사용자 또는 RAP서버에서 센서 디바이스 및 허브를 제어할 수 있게 하는 제어단계; 상기 센서 디바이스가 다중의 개인을 대상으로 하는 경우에 있어 대상 개인이 바뀔 때 허브는 RAP서버에게 연결 해제를 요청하고 RAP서버가 사용자에게 이 사실을 알리게 하는 연결 해제단계; 상기 센서 디바이스가 USN망을 이탈하거나 또는 사용자가 로그아웃을 행하는 경우에 종료를 수행하게 하는 종료단계를 상기 시스템의 각 구성요소가 상태 천이하면서 동작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통신절차가 OSI(개방형 시스템간 상호접속) 참조모델의 네트워크/전송 계층 위의 응용계층에서 동작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종류의 방재정보 수집센서로부터 받은 데이터를 자동적으로 서버에 전송하고 이를 저장 및 활용할 수 있게 할 뿐만 아니라 다수의 센서를 원격 제어할 수 있으며, 센서, 허브(또는 게이트웨이), 서버, 사용자 PC 등 전체 시스템의 각 구성요소를 정해진 절차에 따라 동작되게 함으로써 동적이며 복잡한 USN 환경에서도 시스템 변화에 능률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USN을 방재 정보시스템에 적용하는데 있어서 다양한 센서의 설치나 제거에 능동적으로 대응하고 각 센서로부터 데이터를 체계적으로 수집할 수 있으며, 이에 기반하여 실시간 모니터링 및 재해 정보 DB를 구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지능형 방재 허브시스템의 방재 환경에 유용하게 적용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외부 환경변화에 영향을 받지 않으면서 다양한 방재정보를 체계적으로 수집 및 관리하고 각종 상황에 따라 정확한 판단을 내려 재해 예측에 따른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등 재해발생 가능성을 줄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방재용 원격센서 능동접속 프로토콜 제어방법을 위한 방재시스템을 나타낸 일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방재용 원격센서 능동접속 프로토콜 제어방법을 위한 상태 천이도.
도 3은 본 발명에 있어 방재용 원격센서 능동접속 프로토콜 계층을 보여준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방재용 원격센서 능동접속 프로토콜 제어방법을 이용한 실시간 방재정보 수집을 보여준 화면표시 예시도.
본 발명에 따른 방재용 원격 센서 능동 접속 프로토콜 제어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하기로 하고, 그 실시예로는 다수 개가 존재할 수 있으며, 이러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목적, 특징 및 이점들을 더욱 잘 이해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한 방재용 원격센서 능동접속 프로토콜(Remote Equipment Adaptive Plug-and-Play Protocol for Disaster Prevention) 제어방법을 위해서는 도 1에서와 같이 센서 디바이스(10)와 허브(20), RAP서버(30), 사용자 또는 사용자 단말(40)로 구성되며 이들 각 구성요소간에는 다양한 형태의 유/무선망이 관여되는 시스템이 구비된다.
이때, 센서 디바이스(10)는 GPS, CCTV, 환경감시, 침입탐지, 강우/강설, 온도/습도, 기압, 풍향/풍속, 조도, 수위, 고도, 화재, 가스의 공공방재정보와 혈압, 혈당, 체온, 심박동, 체지방, 움직임, 심전도의 개인방재정보를 감지 및 수집할 수 있는 센서들을 그 예로 들 수 있다.
센서 디바이스(10)는 유선 또는 무선 인터페이스를 가질 수 있으며, 허브(20)와는 시리얼, USB, 지그비(Zigbee), 불루투스 등으로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방재용 원격센서 능동접속 프로토콜 제어방법은 방재시스템의 각 구성요소에 대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태 천이하면서 동작되도록 하며, 도 3에서 보여주는 바와 같은 OSI(개방형 시스템간 상호접속) 참조모델의 네트워크/전송 계층 위의 응용 계층(application layer)에서 동작하도록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
부연하면, 각 구성요소간에는 다양한 형태의 유/무선망이 관여되는 방재시스템이 구비되며, 센서와 허브(또는 게이트웨이) 간에는 각 센서의 엑세스망이 관여하고, 허브 간에는 위성 인터넷망 또는 사설망이 관여하고, 허브와 서버 간에는 백본망 또는 TCP/IP망 등의 광역통신망(WAN)이 관여하며, 서버와 사용자 간에는 TCP/IP망 또는 사설망이 관여하는 것으로 한다.
이렇듯 본 발명의 방재용 원격센서 능동접속 프로토콜 제어방법은 응용 계층에 자리잡아 다양한 망을 수용할 수 있으며, 방재를 위한 USN 기반은 특히 넓은 지리적 반경에 걸쳐 구축되어야 하므로 광역 무선망이 적합한데 이러한 광역무선망을 수용할 수 있는 유용함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여기서, OSI 응용계층은 사용자 어플리케이션에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으로서, 텔넷(telnet)이나 http 등을 그 예로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방재용 원격센서 능동접속 프로토콜 제어방법에 대해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사전준비단계인 등록단계(S1), 식별단계(S2), 연결단계(S3), 인증단계(S4), 데이터 송수신단계(S5), 제어단계(S6), 연결 해제단계(S7), 종료단계(S8)를 방재시스템의 각 구성요소가 상태 천이하면서 동작하게 한다.
첫째, 등록단계(S1)는 사전준비단계로서, 망 내에 존재하는 각 센서의 종류 등 각종 필요한 정보를 등록하는 단계이다.
이러한 등록정보로는 RAP 프로토콜 버전, 센서 디바이스 이름과 종류, 허브 인터페이스 타입(시리얼, USB, Zigbee, 블루투스), 식별정보, 초기설정정보, 각 사용자에 대한 인증 정보와 권한의 범위 등을 포함하는 사용자정보를 그 예로 들 수 있다.
둘째, 식별단계(S2)는 방재시스템을 구성하는 다수의 방재용 원격센서 디바이스(10) 및 사용자(40)가 USN망에 진입하면서 시작되는 단계로서, 먼저 센서 디바이스(10)가 허브(20)에 물리적인 연결이 이루어지는 경우에 센서 디바이스(10)가 자신의 디바이스에 대한 식별정보를 허브(20)에 전달하게 하고, 허브(20)는 이를 RAP서버(30)에 질의하며, RAP서버(30)는 센서 디바이스(10)에 대한 초기설정정보와 운영소프트웨어 버전정보 등을 전달하게 하고, 허브(20) 또는 센서 디바이스(10)가 필요한 경우 운영소프트웨어 업데이트 절차를 진행하게 한다.
사용자(40)는 이 식별단계에서 단말기에 로그인 절차를 수행하게 된다.
셋째, 연결단계(S3)는 센서 디바이스(10)와 허브(20), 허브(20)와 RAP서버(30), RAP서버(30)와 사용자(40)간에 연결이 이루어지게 하는 단계로서, 센서의 데이터가 실시간이면서 스트리밍 정보인 경우에는 센서 디바이스(10)와 사용자(40) 간에, 또는 허브(20)와 사용자(40)간에 P2P 연결되게 한다.
이때, 사용자(40)는 미리 데이터를 받고자 하는 센서 리스트를 RAP서버(30)측에 알려준 상태이며, RAP서버(30)가 허브(20)로부터 센서 디바이스(10)의 연결 요청이 있는 경우에 해당 사용자(40)에게 이를 알려줌으로써 연결 절차가 완료될 수 있게 한다.
또한, 연결 절차가 완료되어 연결 설정이 이루어지는 경우에 RAP서버(30)가 센서 데이터의 특성에 따라 RAP서버(30)에 데이터 저장 공간을 만들거나 또는 필요한 경우 P2P 연결을 중재하게 한다.
넷째, 인증단계(S4)는 센서 디바이스(10)가 측정하는 데이터가 단일 지역 또는 개인이 아니고 다수의 개인인 경우에 한하여 인증하도록 하는 단계로서, 개인방재를 위해 센서 디바이스(10)가 사용되는 경우에 각 개인의 인증을 위한 절차를 밟는 단계이며, 각 개인의 인증을 위해서 RFID태그가 사용되거나 허브(20)에서 직접 센서 디바이스(10) 개인정보를 입력하게 한다.
다섯째, 데이터 송수신단계(S5)는 센서의 특성에 따라 실시간 데이터와 비실시간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게 하거나 또는 데이터의 주기적 특성에 따라서 구분하여 데이터를 전송하게 하는 단계로서, 사용자(40)가 필요에 따라 푸시기법을 이용한 데이터 수신을 할 수 있게 하며 이 경우 RAP서버(30)는 원하는 데이터가 도착하는 즉시 사용자(40)에게 전달하게 한다.
여섯째, 제어단계(S6)는 사용자(40) 또는 RAP서버(30)에서 센서 디바이스(10) 및 허브(20)를 제어할 수 있게 하는 단계로서, 데이터 송수신에 대한 시작/멈춤/정지 등의 제어를 수행하게 하며, 필요에 따라 데이터 송수신 방식을 바꿀 수도 있게 한다.
이때, 허브(20) 또는 센서 디바이스(10)는 자신을 제어할 수 있도록 스크립트나 웹페이지를 제공하여야 하며, 이 스크립트나 웹페이지를 이용하여 RAP서버(30) 또는 사용자(40)가 해당 허브(20) 또는 센서 디바이스(10)를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게 한다.
일곱째, 상기 연결 해제단계(S7)는 센서 디바이스(10)가 다중의 개인을 대상으로 하는 경우에 있어 대상 개인이 바뀔 때 수행하는 단계로서, 허브(20)는 RAP서버(30)에게 연결 해제를 요청하게 하고 RAP서버(30)가 사용자(40)에게도 이 사실을 알리게 한다.
이때, 상기 연결단계에서 P2P 연결이 이루어진 경우 이를 해제하는 단계이며, 또한 RAP서버(30) 내에 마련된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임시 저장공간 등의 리소스를 해제하게 한다.
여덟째, 종료단계(S8)는 센서 디바이스(10)가 전원 오프나 고장 등의 이유로 USN망을 이탈하거나 또는 사용자(40)가 로그아웃을 행하는 경우에 수행하는 단계이다.
이러한 종료단계(S8)를 거친 센서 디바이스(10)나 사용자(40)는 다시 식별 단계(S2)를 거쳐야 하며, 만약 연결 해제단계(S7)를 거치지 않는 비정상 종료인 경우에는 연결 해제단계에서 수행해야 할 일들을 처리하게 한다.
한편, 도 4는 본 발명의 방재용 원격센서 능동접속 프로토콜 제어방법을 지능형 방재허브 시스템에 적용하여 통합방재센터에서 실시간으로 방재정보를 수집하여 그 정보를 화면에 표시하는 예를 보여준 예시도이다.
이렇게 본 발명의 방재용 원격센서 능동접속 프로토콜 제어방법을 이용하여 방재서비스를 구현한 결과, 방재정보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고, 이러한 방재정보의 실시간 모니터링을 통해 재해 상황에 대한 정확한 판단을 내리고 이에 대처할 수 있다 할 것이며, 관리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으면서 USN에 기반한 자동화된 방재시스템을 용이하게 구축할 수 있다 할 것이다.
10 : 센서 디바이스 20 : 허브
30 : RAP 서버 40 : 사용자

Claims (5)

  1. 삭제
  2. 다양한 방재정보 수집을 위해 설치되는 다수의 원격센서 디바이스와 허브, RAP서버, 사용자로 구성되고 이들 각 구성요소간에는 다양한 형태의 유/무선망이 관여되는 방재시스템이 구비됨에 있어서,
    환경감시, 침입탐지, 강우/강설, 온도/습도, 기압, 풍향/풍속, 조도, 수위, 고도, 화재, 가스의 공공방재정보와 혈압, 혈당, 체온, 심박동, 체지방, 움직임, 심전도의 개인방재정보를 감지 및 수집할 수 있는 상기 센서 디바이스의 종류를 비롯한 시리얼, USB, Zigbee 또는 블루투스의 허브 인터페이스 정보나 식별정보, 초기설정정보, 사용자정보의 필요정보를 등록하는 등록단계;
    상기 다수의 센서 디바이스 및 사용자의 로그인을 통해 USN망에 진입하여 센서 디바이스가 허브에 물리적인 연결이 이루어지는 경우 센서 디바이스가 자신의 식별정보를 허브에 전달하게 하고, 허브는 이를 RAP서버에 질의하며, RAP서버는 센서 디바이스에 대한 초기설정정보와 운영소프트웨어 버전정보를 전달하게 하고, 허브 또는 센서 디바이스가 필요한 경우 운영소프트웨어 업데이트 절차를 진행하게 하는 식별단계;
    상기 센서 디바이스와 허브, 허브와 RAP서버, RAP서버와 사용자 또는 사용자 단말간에 연결이 이루어지게 하며 상기 센서 디바이스의 데이터가 실시간이면서 스트리밍 정보인 경우에는 상기 센서 디바이스와 사용자 간에 또는 허브와 사용자간에 P2P 연결되되 RAP서버가 허브로부터 센서 디바이스의 연결 요청이 있는 경우에 해당 사용자에게 이를 알려줌으로써 연결 절차가 완료될 수 있게 하는 연결단계;
    상기 센서 디바이스가 측정하는 데이터가 단일 지역 또는 개인이 아니고 다수의 개인인 경우에 한하여 각 개인의 인증을 위한 절차를 밟게 하며 개인방재를 위해 상기 센서 디바이스가 사용되는 경우에 각 개인의 인증을 위한 절차를 밟게 하고 각 개인의 인증을 위해서 RFID태그가 사용되거나 상기 허브에서 직접 상기 센서 디바이스 개인정보를 입력하게 하는 인증단계;
    상기 센서 디바이스의 특성에 따라 환경감시, 침입탐지, 강우/강설, 온도/습도, 기압, 풍향/풍속, 조도, 수위, 고도, 화재, 가스의 공공방재정보와 혈압, 혈당, 체온, 심박동, 체지방, 움직임, 심전도의 개인방재정보의 데이터를 실시간 데이터와 비실시간 데이터로 전송할 수 있게 하거나 또는 데이터의 주기적 특성에 따라서 구분하여 데이터를 전송하게 하는 데이터 송수신단계;
    상기 데이터 송수신에 대한 제어를 수행하고 필요에 따라 데이터 송수신 방식을 바꾸며, 사용자 또는 RAP서버에서 센서 디바이스 및 허브를 제어할 수 있게 하고, 데이터 송수신에 대한 시작/멈춤/정지 등의 제어를 수행하게 하며, 데이터 송수신 방식을 바꿀 수 있도록 하는 제어단계;
    상기 센서 디바이스가 다중의 개인을 대상으로 하는 경우에 있어 대상 개인이 바뀔 때 허브는 RAP서버에게 연결 해제를 요청하고 RAP서버가 사용자에게 이 사실을 알리게 하되, P2P 연결이 이루어진 경우 이를 해제하고, 상기 RAP서버 내에 마련된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임시 저장공간 등의 리소스를 해제하는 연결 해제단계;
    상기 센서 디바이스가 전원 오프나 고장 등의 이유로 환경감시, 침입탐지, 강우/강설, 온도/습도, 기압, 풍향/풍속, 조도, 수위, 고도, 화재, 가스의 공공방재정보와 혈압, 혈당, 체온, 심박동, 체지방, 움직임, 심전도의 개인방재정보를 정상적으로 전송하지 못하면서 USN망을 이탈하거나 사용자가 로그아웃을 행하는 경우에 종료단계를 상기 시스템의 각 구성요소가 상태 천이하면서 동작하게 하는 것을 포함하며,
    상기 통신절차가 OSI(개방형 시스템간 상호접속) 참조모델의 네트워크/전송 계층 위의 응용 계층에서 동작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재용 원격센서 능동접속 프로토콜 제어방법.
  3. 다양한 방재정보 수집을 위해 설치되는 다수의 원격센서 디바이스와 허브, RAP서버, 사용자로 구성되고 이들 각 구성요소간에는 다양한 형태의 유/무선망이 관여되는 방재시스템이 구비됨에 있어서,
    환경감시, 침입탐지, 강우/강설, 온도/습도, 기압, 풍향/풍속, 조도, 수위, 고도, 화재, 가스의 공공방재정보와 혈압, 혈당, 체온, 심박동, 체지방, 움직임, 심전도의 개인방재정보를 감지 및 수집할 수 있는 상기 센서 디바이스의 종류를 비롯한 시리얼, USB, Zigbee 또는 블루투스의 허브 인터페이스 정보나 식별정보, 초기설정정보, 사용자정보의 필요정보를 등록하는 등록단계;
    상기 다수의 센서 디바이스 및 사용자의 로그인을 통해 USN망에 진입하여 센서 디바이스가 허브에 물리적인 연결이 이루어지는 경우 센서 디바이스가 자신의 식별정보를 허브에 전달하게 하고, 허브는 이를 RAP서버에 질의하며, RAP서버는 센서 디바이스에 대한 초기설정정보와 운영소프트웨어 버전정보를 전달하게 하고, 허브 또는 센서 디바이스가 필요한 경우 운영소프트웨어 업데이트 절차를 진행하게 하는 식별단계;
    상기 센서 디바이스와 허브, 허브와 RAP서버, RAP서버와 사용자 또는 사용자 단말간에 연결이 이루어지게 하며 상기 센서 디바이스의 데이터가 실시간이면서 스트리밍 정보인 경우에는 상기 센서 디바이스와 사용자 간에 또는 허브와 사용자간에 P2P 연결되되 RAP서버가 허브로부터 센서 디바이스의 연결 요청이 있는 경우에 해당 사용자에게 이를 알려줌으로써 연결 절차가 완료될 수 있게 하는 연결단계;
    상기 센서 디바이스가 측정하는 데이터가 단일 지역 또는 개인이 아니고 다수의 개인인 경우에 한하여 각 개인의 인증을 위한 절차를 밟게 하며 개인방재를 위해 상기 센서 디바이스가 사용되는 경우에 각 개인의 인증을 위한 절차를 밟게 하고 각 개인의 인증을 위해서 RFID태그가 사용되거나 상기 허브에서 직접 상기 센서 디바이스 개인정보를 입력하게 하는 인증단계;
    상기 센서 디바이스의 특성에 따라 환경감시, 침입탐지, 강우/강설, 온도/습도, 기압, 풍향/풍속, 조도, 수위, 고도, 화재, 가스의 공공방재정보와 혈압, 혈당, 체온, 심박동, 체지방, 움직임, 심전도의 개인방재정보의 데이터를 실시간 데이터와 비실시간 데이터로 전송할 수 있게 하거나 또는 데이터의 주기적 특성에 따라서 구분하여 데이터를 전송하게 하는 데이터 송수신단계;
    상기 데이터 송수신에 대한 제어를 수행하고 필요에 따라 데이터 송수신 방식을 바꾸며, 사용자 또는 RAP서버에서 센서 디바이스 및 허브를 제어할 수 있게 하고, 데이터 송수신에 대한 시작/멈춤/정지 등의 제어를 수행하게 하며, 데이터 송수신 방식을 바꿀 수 있도록 하는 제어단계;
    상기 센서 디바이스가 다중의 개인을 대상으로 하는 경우에 있어 대상 개인이 바뀔 때 허브는 RAP서버에게 연결 해제를 요청하고 RAP서버가 사용자에게 이 사실을 알리게 하되, P2P 연결이 이루어진 경우 이를 해제하고, 상기 RAP서버 내에 마련된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임시 저장공간 등의 리소스를 해제하는 연결 해제단계;
    상기 센서 디바이스가 전원 오프나 고장 등의 이유로 환경감시, 침입탐지, 강우/강설, 온도/습도, 기압, 풍향/풍속, 조도, 수위, 고도, 화재, 가스의 공공방재정보와 혈압, 혈당, 체온, 심박동, 체지방, 움직임, 심전도의 개인방재정보를 정상적으로 전송하지 못하면서 USN망을 이탈하거나 사용자가 로그아웃을 행하는 경우에 종료단계를 상기 시스템의 각 구성요소가 상태 천이하면서 동작하게 하는 것을 포함하며,
    상기 연결단계에서는 센서의 데이터가 실시간이면서 스트리밍 정보인 경우에 센서 디바이스와 사용자 간에 또는 허브와 사용자 간에 P2P 연결되게 하고,
    연결절차가 완료되어 연결설정이 이루어지는 경우에 RAP서버가 센서 데이터의 특성에 따라 RAP서버에 데이터 저장 공간을 만들거나 또는 필요한 경우 P2P 연결을 중재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재용 원격센서 능동접속 프로토콜 제어방법.
  4. 다양한 방재정보 수집을 위해 설치되는 다수의 원격센서 디바이스와 허브, RAP서버, 사용자로 구성되고 이들 각 구성요소간에는 다양한 형태의 유/무선망이 관여되는 방재시스템이 구비됨에 있어서,
    환경감시, 침입탐지, 강우/강설, 온도/습도, 기압, 풍향/풍속, 조도, 수위, 고도, 화재, 가스의 공공방재정보와 혈압, 혈당, 체온, 심박동, 체지방, 움직임, 심전도의 개인방재정보를 감지 및 수집할 수 있는 상기 센서 디바이스의 종류를 비롯한 시리얼, USB, Zigbee 또는 블루투스의 허브 인터페이스 정보나 식별정보, 초기설정정보, 사용자정보의 필요정보를 등록하는 등록단계;
    상기 다수의 센서 디바이스 및 사용자의 로그인을 통해 USN망에 진입하여 센서 디바이스가 허브에 물리적인 연결이 이루어지는 경우 센서 디바이스가 자신의 식별정보를 허브에 전달하게 하고, 허브는 이를 RAP서버에 질의하며, RAP서버는 센서 디바이스에 대한 초기설정정보와 운영소프트웨어 버전정보를 전달하게 하고, 허브 또는 센서 디바이스가 필요한 경우 운영소프트웨어 업데이트 절차를 진행하게 하는 식별단계;
    상기 센서 디바이스와 허브, 허브와 RAP서버, RAP서버와 사용자 또는 사용자 단말간에 연결이 이루어지게 하며 상기 센서 디바이스의 데이터가 실시간이면서 스트리밍 정보인 경우에는 상기 센서 디바이스와 사용자 간에 또는 허브와 사용자간에 P2P 연결되되 RAP서버가 허브로부터 센서 디바이스의 연결 요청이 있는 경우에 해당 사용자에게 이를 알려줌으로써 연결 절차가 완료될 수 있게 하는 연결단계;
    상기 센서 디바이스가 측정하는 데이터가 단일 지역 또는 개인이 아니고 다수의 개인인 경우에 한하여 각 개인의 인증을 위한 절차를 밟게 하며 개인방재를 위해 상기 센서 디바이스가 사용되는 경우에 각 개인의 인증을 위한 절차를 밟게 하고 각 개인의 인증을 위해서 RFID태그가 사용되거나 상기 허브에서 직접 상기 센서 디바이스 개인정보를 입력하게 하는 인증단계;
    상기 센서 디바이스의 특성에 따라 환경감시, 침입탐지, 강우/강설, 온도/습도, 기압, 풍향/풍속, 조도, 수위, 고도, 화재, 가스의 공공방재정보와 혈압, 혈당, 체온, 심박동, 체지방, 움직임, 심전도의 개인방재정보의 데이터를 실시간 데이터와 비실시간 데이터로 전송할 수 있게 하거나 또는 데이터의 주기적 특성에 따라서 구분하여 데이터를 전송하게 하는 데이터 송수신단계;
    상기 데이터 송수신에 대한 제어를 수행하고 필요에 따라 데이터 송수신 방식을 바꾸며, 사용자 또는 RAP서버에서 센서 디바이스 및 허브를 제어할 수 있게 하고, 데이터 송수신에 대한 시작/멈춤/정지 등의 제어를 수행하게 하며, 데이터 송수신 방식을 바꿀 수 있도록 하는 제어단계;
    상기 센서 디바이스가 다중의 개인을 대상으로 하는 경우에 있어 대상 개인이 바뀔 때 허브는 RAP서버에게 연결 해제를 요청하고 RAP서버가 사용자에게 이 사실을 알리게 하되, P2P 연결이 이루어진 경우 이를 해제하고, 상기 RAP서버 내에 마련된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임시 저장공간 등의 리소스를 해제하는 연결 해제단계;
    상기 센서 디바이스가 전원 오프나 고장 등의 이유로 환경감시, 침입탐지, 강우/강설, 온도/습도, 기압, 풍향/풍속, 조도, 수위, 고도, 화재, 가스의 공공방재정보와 혈압, 혈당, 체온, 심박동, 체지방, 움직임, 심전도의 개인방재정보를 정상적으로 전송하지 못하면서 USN망을 이탈하거나 사용자가 로그아웃을 행하는 경우에 종료단계를 상기 시스템의 각 구성요소가 상태 천이하면서 동작하게 하는 것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단계에서는 허브 또는 센서 디바이스가 자신을 제어할 수 있도록 스크립트나 웹페이지를 제공하고, 이 스크립트나 웹페이지를 이용하여 RAP서버 또는 사용자가 해당 허브 또는 센서 디바이스를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재용 원격센서 능동접속 프로토콜 제어방법.
  5. 다양한 방재정보 수집을 위해 설치되는 다수의 원격센서 디바이스와 허브, RAP서버, 사용자로 구성되고 이들 각 구성요소간에는 다양한 형태의 유/무선망이 관여되는 방재시스템이 구비됨에 있어서,
    환경감시, 침입탐지, 강우/강설, 온도/습도, 기압, 풍향/풍속, 조도, 수위, 고도, 화재, 가스의 공공방재정보와 혈압, 혈당, 체온, 심박동, 체지방, 움직임, 심전도의 개인방재정보를 감지 및 수집할 수 있는 상기 센서 디바이스의 종류를 비롯한 시리얼, USB, Zigbee 또는 블루투스의 허브 인터페이스 정보나 식별정보, 초기설정정보, 사용자정보의 필요정보를 등록하는 등록단계;
    상기 다수의 센서 디바이스 및 사용자의 로그인을 통해 USN망에 진입하여 센서 디바이스가 허브에 물리적인 연결이 이루어지는 경우 센서 디바이스가 자신의 식별정보를 허브에 전달하게 하고, 허브는 이를 RAP서버에 질의하며, RAP서버는 센서 디바이스에 대한 초기설정정보와 운영소프트웨어 버전정보를 전달하게 하고, 허브 또는 센서 디바이스가 필요한 경우 운영소프트웨어 업데이트 절차를 진행하게 하는 식별단계;
    상기 센서 디바이스와 허브, 허브와 RAP서버, RAP서버와 사용자 또는 사용자 단말간에 연결이 이루어지게 하며 상기 센서 디바이스의 데이터가 실시간이면서 스트리밍 정보인 경우에는 상기 센서 디바이스와 사용자 간에 또는 허브와 사용자간에 P2P 연결되되 RAP서버가 허브로부터 센서 디바이스의 연결 요청이 있는 경우에 해당 사용자에게 이를 알려줌으로써 연결 절차가 완료될 수 있게 하는 연결단계;
    상기 센서 디바이스가 측정하는 데이터가 단일 지역 또는 개인이 아니고 다수의 개인인 경우에 한하여 각 개인의 인증을 위한 절차를 밟게 하며 개인방재를 위해 상기 센서 디바이스가 사용되는 경우에 각 개인의 인증을 위한 절차를 밟게 하고 각 개인의 인증을 위해서 RFID태그가 사용되거나 상기 허브에서 직접 상기 센서 디바이스 개인정보를 입력하게 하는 인증단계;
    상기 센서 디바이스의 특성에 따라 환경감시, 침입탐지, 강우/강설, 온도/습도, 기압, 풍향/풍속, 조도, 수위, 고도, 화재, 가스의 공공방재정보와 혈압, 혈당, 체온, 심박동, 체지방, 움직임, 심전도의 개인방재정보의 데이터를 실시간 데이터와 비실시간 데이터로 전송할 수 있게 하거나 또는 데이터의 주기적 특성에 따라서 구분하여 데이터를 전송하게 하는 데이터 송수신단계;
    상기 데이터 송수신에 대한 제어를 수행하고 필요에 따라 데이터 송수신 방식을 바꾸며, 사용자 또는 RAP서버에서 센서 디바이스 및 허브를 제어할 수 있게 하고, 데이터 송수신에 대한 시작/멈춤/정지 등의 제어를 수행하게 하며, 데이터 송수신 방식을 바꿀 수 있도록 하는 제어단계;
    상기 센서 디바이스가 다중의 개인을 대상으로 하는 경우에 있어 대상 개인이 바뀔 때 허브는 RAP서버에게 연결 해제를 요청하고 RAP서버가 사용자에게 이 사실을 알리게 하되, P2P 연결이 이루어진 경우 이를 해제하고, 상기 RAP서버 내에 마련된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임시 저장공간 등의 리소스를 해제하는 연결 해제단계;
    상기 센서 디바이스가 전원 오프나 고장 등의 이유로 환경감시, 침입탐지, 강우/강설, 온도/습도, 기압, 풍향/풍속, 조도, 수위, 고도, 화재, 가스의 공공방재정보와 혈압, 혈당, 체온, 심박동, 체지방, 움직임, 심전도의 개인방재정보를 정상적으로 전송하지 못하면서 USN망을 이탈하거나 사용자가 로그아웃을 행하는 경우에 종료단계를 상기 시스템의 각 구성요소가 상태 천이하면서 동작하게 하는 것을 포함하며,
    상기 종료단계를 거친 센서 디바이스나 사용자는 다시 식별 단계를 거치게 하며, 상기 연결 해제단계를 거치지 않는 비정상 종료인 경우에는 연결 해제단계에서 수행해야 할 일들을 처리한 후 종료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재용 원격센서 능동접속 프로토콜 제어방법.
KR1020100010710A 2010-02-05 2010-02-05 방재용 원격센서 능동접속 프로토콜 제어방법 KR1011481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0710A KR101148117B1 (ko) 2010-02-05 2010-02-05 방재용 원격센서 능동접속 프로토콜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0710A KR101148117B1 (ko) 2010-02-05 2010-02-05 방재용 원격센서 능동접속 프로토콜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1070A KR20110091070A (ko) 2011-08-11
KR101148117B1 true KR101148117B1 (ko) 2012-05-24

Family

ID=449285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10710A KR101148117B1 (ko) 2010-02-05 2010-02-05 방재용 원격센서 능동접속 프로토콜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4811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2648B1 (ko) * 2013-02-26 2015-05-22 주식회사 케이티 이기종 m2m 디바이스의 지역 네트워크 운영 방법 및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36836A (ko) * 2005-09-30 2007-04-04 (주)아이크로스테크놀로지 고령자를 위한 홈네트워크 서비스 방법
KR20080096112A (ko) * 2007-04-27 2008-10-30 주식회사 케이디 넷 스마트 트랜스듀서 네트워크 장치
KR20090058347A (ko) * 2007-12-04 2009-06-09 조병순 Usn 및 유비쿼터스 스마트 홈 네트워크 구축을 위한매니지먼트 패케이지와 통신변환장치의 구현 및 운영방법
KR20090095351A (ko) * 2008-03-05 2009-09-09 조병순 Pc나 서버 기반의 유비쿼터스 스마트 홈 네트워크매니지먼트 패케이지의 구현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36836A (ko) * 2005-09-30 2007-04-04 (주)아이크로스테크놀로지 고령자를 위한 홈네트워크 서비스 방법
KR20080096112A (ko) * 2007-04-27 2008-10-30 주식회사 케이디 넷 스마트 트랜스듀서 네트워크 장치
KR20090058347A (ko) * 2007-12-04 2009-06-09 조병순 Usn 및 유비쿼터스 스마트 홈 네트워크 구축을 위한매니지먼트 패케이지와 통신변환장치의 구현 및 운영방법
KR20090095351A (ko) * 2008-03-05 2009-09-09 조병순 Pc나 서버 기반의 유비쿼터스 스마트 홈 네트워크매니지먼트 패케이지의 구현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1070A (ko) 2011-08-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91641B2 (en) Remote location monitoring
US11410539B2 (en) Internet of things (IoT) based integrated device to monitor and control events in an environment
EP2847962B1 (en) System,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protocol adaptation
CN101178833B (zh) 一种高效率低误报警率的远程监控系统及方法
US11470684B2 (en) Method for building self-organized network, and self-organized network and node device thereof
EP3178202B1 (fr) Dispositif domotique à liaison de communication alternative avec un serveur informatique distant
KR20100116465A (ko) 금연구역의 원격 감시 및 관리시스템 및 그 관리방법
KR101498369B1 (ko) 환경 원격감시제어를 위한 관제 시스템 및 그 방법
Chakravarthy An experimental study of IoT-Based topologies on MQTT protocol for agriculture intrusion detection
KR101095793B1 (ko) 적응제어기능을 가지는 유에스엔 센서 접속 프로토콜
KR101148117B1 (ko) 방재용 원격센서 능동접속 프로토콜 제어방법
JP4779962B2 (ja) 遠隔監視装置
JP2007110302A (ja) 緊急通報システム、およびそのプログラム
JP2009290758A (ja) ゲートウェイ装置
CN102136923A (zh) 一种被动收集数据的方法及其系统
KR20180080410A (ko) 사물인터넷 프로토콜 기반의 긴급상황 서비스 제공 방법
EP3278502A1 (fr) Technique d'administration a distance
Tabasum et al. A Novel Based NSEC System for Integrating Network Capability with Wireless Sensor Network using Web Services
KR20190078673A (ko) 사물인터넷 프로토콜 기반의 긴급상황 서비스 제공 방법
JP2011258109A (ja) センシング方法およびセンサ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
CN102571884A (zh) 无线网络信号状况感知方法和系统
CN117675871B (zh) 基于IPv6网络及北斗三号的多信道水利智慧交互前端联网方法及系统
KR20100118216A (ko) 유에스엔 기반 지능형 방재허브 시스템
KR101953540B1 (ko) 더미트래픽으로 안정화된 무선랜 파라미터의 동요 패턴에 기초한 모션 감지 방법
JP2011238053A (ja) 利用者監視装置及び利用者監視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5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