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30920B1 - 사물지능통신용 라우터 및 그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사물지능통신용 라우터 및 그 동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30920B1
KR101430920B1 KR1020140033363A KR20140033363A KR101430920B1 KR 101430920 B1 KR101430920 B1 KR 101430920B1 KR 1020140033363 A KR1020140033363 A KR 1020140033363A KR 20140033363 A KR20140033363 A KR 20140033363A KR 101430920 B1 KR101430920 B1 KR 1014309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e
router
communication
subscriber identity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333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한
Original Assignee
셀롯와이어리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셀롯와이어리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셀롯와이어리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333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3092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09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09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6Management of faults, events, alarms or notifications
    • H04L41/0654Management of faults, events, alarms or notifications using network fault recovery
    • H04L41/0668Management of faults, events, alarms or notifications using network fault recovery by dynamic selection of recovery network elements, e.g. replacement by the most appropriate element after failu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3/00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testing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3/16Threshold monito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2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사물지능통신용 라우터 및 그 동작 방법이 개시된다. 사물지능통신용 라우터는 복수의 계측 센서부로부터 센싱 정보를 수신하여 집중국 서버로 전송하는 송수신부; 상기 가입자 식별 모듈이 소켓에 삽입되고 정상적으로 인식되는지 여부를 판단한 인식 결과 정보를 생성하는 모듈 인식부; 상기 사물지능통신용 라우터의 통신 모드를 정상 모드 및 비상 모드 중 어느 하나로 설정하여 관리하는 모드 설정부; 및 상기 모듈 인식부에 의해 상기 가입자 식별 모듈이 정상적으로 인식되지 않음이 확인되더라도 상기 모드 설정부에 의해 상기 통신 모드가 비상 모드로 설정되었다면 상기 센싱 정보의 전송을 위해 상기 집중국 서버와 설정된 현재의 호 연결 상태가 차단되지 않도록 유지하는 호 관리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사물지능통신용 라우터 및 그 동작 방법{Machine to machine router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사물지능통신용 라우터 및 그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사물지능통신(M2M, Machine to Machine)이란 사람과 사물, 사물과 사물간 지능통신 서비스로서, 모든 사물에 센서 및 통신 기능을 결합하여 지능적으로 정보를 수집하고 상호 전달하는 네트워크이다.
사물지능통신은 텔레매틱스, 운동, 네비게이션, 스마트계량기, 자동판매기, 보안 서비스 등에 적용될 수 있으며, 사물지능통신이 발달하면 교통, 기상, 환경, 재난정보를 모니터링하여 교량이나 건물 붕괴 등 재해의 방지가 가능해지는 장점이 있다.
사물지능통신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정보를 모니터링할 소요처들 각각에 센서가 설치되며, 센서에서 수집된 정보는 사물지능통신용 라우터(M2M router)를 통해 중앙 집중국 서버로 제공됨으로써, 중앙 집중국에서는 원격지에 설치된 센서들의 센싱 정보를 통해 재난 발생 가능성 등을 신속하게 확인하여 대비할 수 있다.
사물지능통신용 라우터에는 정보의 상호 전달 기능을 수행하며, 중앙 집중국 서버와 호 연결(call setup) 및 유지를 위해 심(SIM)이나 유심(USIM) 등의 가입자 식별모듈이 장착된다.
즉, 가입자 식별모듈이 장착된 상태에서만 사물지능통신용 라우터가 중앙 집중국 서버와 호 설정을 유지하기 때문에, 가입자 식별모듈의 안정적인 체결 상태는 매우 중요하며, 가입자 식별모듈과 삽입용 소켓간의 전기적 접속 상태를 안정화시키기 위한 한국공개특허 제2014-0016561호(심카드용 소켓) 등 다양한 선행기술들이 출원되어 있다.
그러나, 가입자 식별모듈이 안정적으로 체결되도록 삽입용 소켓을 제작할지라도 외부의 물리적 충격(예를 들어 지진에 의한 사물지능통신용 라우터의 낙하에 따른 충격 등)에 의해 가입자 식별모듈이 소켓에서 분리되거나, 외부의 열적 충격(예를 들어 화재 발생 등)에 의해 가입자 식별모듈이 손상되는 문제점이 발생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사물지능통신용 라우터가 가입자 식별모듈이 분리된 상태로 인식하게 되어 중앙 집중국 서버와 통신을 단절하게 되고, 따라서 원격지에서 센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없게 되어 위급 상황에 신속한 대처가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2014-0016561호(심카드용 소켓)
본 발명은 가입자 식별모듈이 소켓에서 분리되거나 손상된 경우에도 위급 상황에서는 사물지능통신용 라우터가 가입자 식별모듈이 인식 여부에 관계없이 중앙 집중국 서버로 센서 정보를 지속적으로 전송하여 위급 상황에 대한 신속한 대처가 가능하도록 하는 사물지능통신용 라우터 및 그 동작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이외의 목적들은 하기의 설명을 통해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가입자 식별모듈이 장착되어 동작되는 사물지능통신용(M2M) 라우터로서, 복수의 계측 센서부로부터 센싱 정보를 수신하여 집중국 서버로 전송하는 송수신부; 상기 가입자 식별 모듈이 소켓에 삽입되고 정상적으로 인식되는지 여부를 판단한 인식 결과 정보를 생성하는 모듈 인식부; 상기 사물지능통신용 라우터의 통신 모드를 정상 모드 및 비상 모드 중 어느 하나로 설정하여 관리하는 모드 설정부; 및 상기 모듈 인식부에 의해 상기 가입자 식별 모듈이 정상적으로 인식되지 않음이 확인되더라도 상기 모드 설정부에 의해 상기 통신 모드가 비상 모드로 설정되었다면 상기 센싱 정보의 전송을 위해 상기 집중국 서버와 설정된 현재의 호 연결 상태가 차단되지 않도록 유지하는 호 관리부를 포함하는 사물지능통신용 라우터가 제공된다.
상기 사물지능통신용 라우터에 가해지는 충격량을 센싱하는 충격 센서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모드 설정부는 상기 센싱된 충격량이 미리 지정된 임계값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통신 모드를 비상 모드로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충격량은 물리적 충격량 및 열적 충격량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충격 센서부는 상기 물리적 충격량을 센싱하기 위한 가속도 센서와 상기 열적 충격량을 센싱하기 위한 온도 감지 센서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모드 설정부는 상기 송수신부를 통해 상기 집중국 서버로부터 수신된 통신 모드 변경 명령에 따라 상기 통신 모드를 정상 모드 또는 비상 모드로 설정할 수 있다.
상기 호 관리부는 상기 통신 모드가 정상 모드로 설정되었다면 상기 가입자 식별 모듈이 정상적으로 인식되지 않음이 확인되는 경우 상기 집중국 서버와 설정된 현재의 호 연결 상태를 차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가입자 식별모듈이 장착되어 동작되는 사물지능통신용(M2M) 라우터의 동작 방법으로서, 상기 가입자 식별모듈에 저장된 정보를 이용하여 집중국 서버와 호 설정(call setup)을 수행하는 단계; 미리 지정된 주기에 따라 상기 가입자 식별 모듈이 소켓에 삽입되고 정상적으로 인식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가입자 식별 모듈이 정상적으로 인식되지 않는 경우, 통신 모드가 비상 모드 또는 정상 모드 중 어느 하나로 설정되었는지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통신 모드가 비상 모드로 설정된 경우, 통신망을 통해 연결된 계측 센서부로부터 수신되는 센싱 정보를 상기 집중국 서버로 전송하기 위해 상기 집중국 서버와 설정된 현재의 호 연결 상태가 차단되지 않도록 유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사물지능통신용 라우터의 동작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통신 모드가 정상 모드로 설정된 경우, 상기 집중국 서버와 설정된 현재의 호 연결 상태를 차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물지능통신용 라우터의 동작 방법은, 상기 사물지능통신용 라우터에 가해지는 충격량을 센싱하는 단계; 상기 센싱된 충격량이 미리 지정된 임계값을 초과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초과하는 경우 상기 통신 모드를 비상 모드로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충격량은 물리적 충격량 및 열적 충격량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사물지능통신용 라우터는 상기 물리적 충격량을 센싱하기 위한 가속도 센서와 상기 열적 충격량을 센싱하기 위한 온도 감지 센서 중 하나 이상을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 사물지능통신용 라우터의 동작 방법은, 상기 집중국 서버로부터 통신 모드 변경 명령이 수신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통신 모드 변경 명령이 수신되면, 상기 통신 모드 변경 명령에 따라 상기 통신 모드를 정상 모드 또는 비상 모드로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이 이하의 도면, 특허청구범위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가입자 식별모듈이 소켓에서 분리되거나 손상된 경우에도 위급 상황에서는 사물지능통신용 라우터가 가입자 식별모듈이 인식 여부에 관계없이 중앙 집중국 서버로 센서 정보를 지속적으로 전송하여 위급 상황에 대한 신속한 대처가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물지능통신 서비스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물지능통신 라우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물지능통신 라우터의 동작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물지능통신 라우터의 통신 모드 자체 변경 방법을 나타낸 도면.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유닛", "…모듈", "…기"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는 실시예의 구성 요소가 해당 실시예에만 제한적으로 적용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유지되는 범위 내에서 다른 실시예에 포함되도록 구현될 수 있으며, 또한 별도의 설명이 생략될지라도 복수의 실시예가 통합된 하나의 실시예로 다시 구현될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하거나 관련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물지능통신 서비스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물지능통신 라우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사물지능통신(이하, M2M이라 칭함) 서비스 시스템은 센서 유닛(110), M2M 라우터(120), 집중국 서버(130)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 유닛(110)은 화재, 연기, 수위(水位), 건축물 균열 등 중 하나 이상을 감지하기 위한 계측 센서부들의 집합이며, 각각의 계측 센서부는 센싱하도록 설정된 대상 정보(예를 들어, 연기 발생 여부, 수위 등)를 센싱하여 생성한 센싱 정보를 M2M 라우터(120)로 전송한다.
각각의 계측 센서부들은 환경 상태 또는/및 재난 가능성을 감지하기에 적절한 위치에 각각 설치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각각의 위치에 설치된 계측 센서부들이 센싱하도록 설정된 대상 정보를 센싱하고, 센싱 정보를 생성하여 출력하기 위한 구성 및 방법은 당업자에게 자명한 사항이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M2M 라우터(120)는 가입자 식별모듈(123)이 장착되어 각각의 계측 센서부 및 집중국 서버(130)와 유선 또는 무선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고, 센서 유닛(110)으로부터 수신되는 센싱 정보를 통신망을 통해 집중국 서버(130)로 전송한다. 이때, M2M 라우터(120)는 가입자 식별모듈(123)의 장착 여부와 통신모드 설정을 판단하여 이에 상응하는 통신 처리를 수행한다.
M2M 라우터(120)의 구성이 개략적으로 도시된 도 2를 참조하면, M2M 라우터(120)는 송수신부(210), 저장부(220), 모듈 인식부(230), 충격 센서부(240), 모드 설정부(250), 호 관리부(260)를 포함할 수 있다.
송수신부(210)는 각각의 계측 센서부로부터 수신되는 센싱 정보를 통신망을 통해 집중국 서버(130)로 전송한다. 또한 송수신부(210)는 집중국 서버(130)로부터 통신 모드 변경 명령을 더 수신할 수 있다.
저장부(220)에는 M2M 라우터(120)의 구동을 위한 운용 프로그램, 통신 모드 설정 정보 등 중 하나 이상이 저장된다. 통신 모드 설정 정보는 후술되는 바와 같이 M2M 라우터(120)에 의해 자체 변경되거나 집중국 서버(130)로부터 수신된 통신 모드 변경 명령에 따라 갱신될 수 있다.
모듈 인식부(230)는 M2M 라우터(120)에 구비된 소켓(socket)에 가입자 식별모듈(123)이 정상적으로 장착된 상태인지 여부를 인식하고, 인식 결과에 따른 인식 결과 정보를 출력한다. 모듈 인식부(230)는 예를 들어 미리 지정된 주기마다 가입자 식별모듈(123)의 장착 여부에 대한 인식을 반복하도록 미리 설정될 수 있다.
충격 센서부(240)는 M2M 라우터(120)에 가해지는 물리적 충격 및/또는 열적 충격을 센싱하고, 센싱된 충력량에 대한 충격 감지 정보를 생성한다. 충격 센서부(240)는 예를 들어 외부의 물리적 충격을 감지하기 위하여 가속도 센서를 포함할 수 있고, 외부의 열적 충격을 감지하기 위해 온도 감지 센서를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모드 설정부(250)는 충격 센서부(240)가 생성한 충력 감지 정보에 상응하는 충격량이 미리 지정된 임계값을 초과하는지 판단하고, 초과하는 경우 M2M 라우터(120)가 동작하는 통신 모드를 비상 모드로 변경한다. 즉, M2M 라우터(120)가 정상 모드에서 동작 중이었다면 비상 모드로 변경할 것이고, 비상 모드에서 동작 중이었다면 비상 모드를 유지할 것이다.
또한 모드 설정부(250)는 통신망을 통해 집중국 서버(130)로부터 송수신부(210)를 통해 통신 모드 변경 명령이 수신되었다면, 수신된 통신 모드 변경 명령에 따라 통신 모드를 정상 모드 또는 비상 모드로 변경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M2M 라우터(120)는 계측 센서부로부터 수신한 센싱 정보를 집중국 서버(130)로 전송함에 있어 정상 모드 또는 비상 모드 중 하나의 통신 모드에서 동작된다.
정상 모드인 경우, M2M 라우터(120)는 가입자 식별모듈(123)이 정상적으로 인식되는 동안에만 호 설정 상태를 유지하고, 가입자 식별모듈(123)이 소켓에서 분리되거나 정상적으로 인식되지 않으면 호 설정 상태를 종료하도록 동작한다. 현재까지 개발된 M2M 라우터(120)는 본 실시예에서의 정상 모드로만 동작하는 한계가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 따른 M2M 라우터(120)는 비상 모드에서 더 동작할 수 있는 특징을 가진다. 즉, 비상 모드인 경우라면, M2M 라우터(120)는 가입자 식별모듈(123)이 정상적으로 인식되는지 여부에 관계없이 기존에 설정된 호 연결 상태를 유지한 상태로 지속되도록 제한되며, 계측 센서부들로부터 수신되는 센싱 정보를 집중국 서버(130)로 전송하도록 동작한다. 비상 모드는 집중국 서버(130)로부터 수신되는 통신 모드 변경 명령에 의해 설정되거나, 충격 센서부(240)에서 감지한 충격량이 미리 지정된 임계값을 초과하는 경우 M2M 라우터(120)에 의해 자체 변경될 수 있다.
M2M 라우터(120)가 비상 모드에서 동작할 수 있도록 구현됨으로써, 지진이나 화재 등에 의해 예를 들어 심카드, 유심카드 등인 가입자 식별모듈(123)이 M2M 라우터(120)로부터 분리되거나 M2M 라우터(120)에 앞서 가입자 식별모듈(123)이 먼저 손상되더라도 M2M 라우터(120)가 지속적으로 동작됨으로써 원격지에서 재난 상황 또는 건축물의 붕괴 가능성을 미리 인식하여 대응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호 관리부(260)는 모듈 인식부(230)에 의해 생성된 인식 결과 정보, 모드 설정부(250)에 의해 관리되는 모드 설정 정보를 이용하여 집중국 서버(130)와 M2M 라우터(120)간의 호 설정 유지 또는 호 단절 처리를 수행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물지능통신 라우터의 동작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단계 310에서 가입자 식별모듈(123)이 장착된 M2M 라우터(120)는 가입자 식별모듈(123)에 저장된 통신 정보 등을 이용하여 통신망을 통해 집중국 서버(130)와 호 연결을 수행한다.
가입자 식별 모듈이 장착된 상태에서 M2M 라우터(120)는 의도치 않은 사유 등으로 집중국 서버(130)와 호 연결이 종료되면 재차 호 연결을 수행하게 될 것이다. 또한 필요한 경우, M2M 라우터(120)는 집중국 서버(130) 이외의 서버 장치와 호 연결이 수행될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단계 320에서 M2M 라우터(120)는 모듈 인식부(230)의 인식 결과 정보를 참조하여 가입자 식별모듈(123)이 정상적으로 소켓에 장착되고, 정상적으로 인식되는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만일 가입자 식별 모듈이 정상적으로 인식되는 상태라면, M2M 라우터(120)는 단계 330으로 진행하여 센서 유닛(110)에 포함된 각각의 계측 센서부로부터 수신되는 센서 정보를 미리 지정된 수신처인 집중국 서버(130)로 전송한다.
그러나 만일 단계 320의 판단 결과로, 가입자 식별 모듈이 지진이나 M2M 라우터(120)의 낙하 등의 이유로 소켓으로부터 분리되거나 화재 등의 이유로 가입자 식별모듈(123)이 손상되어 가입자 식별 모듈이 정상적으로 인식되지 않는 상태라면, 단계 340으로 진행하여 M2M 라우터(120)에 현재 설정된 통신 모드가 비상 모드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만일 비상 모드로 설정되었다면 M2M 라우터(120)는 모듈 인식부(230)에 의한 인식 결과 정보에 의해 가입자 식별모듈(123)이 인식되지 않더라도 단계 310에서 설정된 호 연결 상태를 해제하지 않도록 제한하는 상태로 유지하고, 단계 330에서 센서 유닛(110)에 포함된 각각의 계측 센서부로부터 수신되는 센서 정보를 미리 지정된 유지되는 호 연결 상태의 수신처인 집중국 서버(130)로 전송한다. 비상 모드는 가입자 식별모듈(123)이 장착되고 정상적으로 인식되는 경우에도 설정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비상 모드에서 M2M 라우터(120)는 이전에 설정된 호 연결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센서 유닛(110)에 포함된 각 계측 센서부로부터 수신되는 센서 정보를 집중국 서버(130)로 전송할 수 있는 특징을 가진다.
그러나, 가입자 식별모듈(123)이 소켓에서 분리되거나 정상적으로 인식되지 않는 경우라면, M2M 라우터(120)는 비상 모드에서 동작될지라도 가입자 식별모듈(123)로부터 통신 정보를 제공받을 수 없기 때문에, 새로운 수신처와 호 연결을 신규 설정하거나, 단계 310에서 호 연결된 집중국 서버(130)와 예기치 않은 사유로 호 연결이 차단되더라도 해당 집중국 서버(130)와 호 연결을 재개할 수는 없는 제한을 가진다.
또한 만일 단계 340의 판단 결과로 M2M 라우터(120)의 통신 모드가 비상 모드로 설정되지 않았다면, 단계 350에서 M2M 라우터(120)는 단계 310에서 설정된 집중국 서버(130)와의 호 연결을 차단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물지능통신 라우터의 통신모드 자체 변경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단계 410에서 가입자 식별모듈(123)이 장착된 M2M 라우터(120)는 가입자 식별모듈(123)에 저장된 통신 정보 등을 이용하여 통신망을 통해 집중국 서버(130)와 호 연결을 수행한다.
단계 420에서 M2M 라우터(120)는 구비한 충격 센서부(240)에서 생성한 센싱 정보를 참조하여 미리 지정된 임계값 이상의 충격이 M2M 라우터(120)에 가해졌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충격 센서부(240)는 가속도 센서, 온도 감지 센서 등 중 하나 이상을 구비하여 M2M 라우터(120)에 가해지는 물리적 충격, 열적 충격 등의 충격량(예를 들어, 움직임 속도값, 온도값 등)에 대한 센싱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단계 420의 판단 결과로 미리 지정된 임계값 이상의 충격량이 감지되었다면, M2M 라우터(120)는 단계 430에서 통신 모드를 비상 모드로 전환한다.
그러나 만일 미리 지정된 임계값 이하의 충력량이 감지되었다면, M2M 라우터(120)는 현재의 통신 모드를 유지하고 단계 440으로 진행한다.
단계 440에서 M2M 라우터(120)는 구비한 모듈 인식부(230)의 인식 결과 정보를 참조하여 가입자 식별모듈(123)이 정상적으로 소켓에 장착되고, 정상적으로 인식되는 상태인지 여부와 설정된 통신 모드에 따른 동작을 수행한다. M2M 라우터(120)의 동작에 대해서는 앞서 도 3을 참조하여 이미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으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10 : 센서 유닛 120 : M2M 라우터
123 : 가입자 식별 모듈 130 : 집중국 서버
210 : 송수신부 220 : 저장부
230 : 모듈 인식부 240 : 충격 센서부
250 : 모드 설정부 260 : 호 관리부

Claims (10)

  1. 가입자 식별모듈이 장착되어 동작되는 사물지능통신용(M2M) 라우터로서,
    복수의 계측 센서부로부터 센싱 정보를 수신하여 집중국 서버로 전송하는 송수신부;
    상기 가입자 식별 모듈이 소켓에 삽입되고 정상적으로 인식되는지 여부를 판단한 인식 결과 정보를 생성하는 모듈 인식부;
    상기 사물지능통신용 라우터의 통신 모드를 정상 모드 및 비상 모드 중 어느 하나로 설정하여 관리하는 모드 설정부;
    상기 모듈 인식부에 의해 상기 가입자 식별 모듈이 정상적으로 인식되지 않음이 확인되더라도 상기 모드 설정부에 의해 상기 통신 모드가 비상 모드로 설정되었다면 상기 센싱 정보의 전송을 위해 상기 집중국 서버와 설정된 현재의 호 연결 상태가 차단되지 않도록 유지하는 호 관리부; 및
    상기 사물지능통신용 라우터의 구동을 위한 운용 프로그램 및 상기 통신 모드에 관한 설정 정보가 저장되는 저장부를 포함하는 사물지능통신용 라우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물지능통신용 라우터에 가해지는 충격량을 센싱하는 충격 센서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모드 설정부는 상기 센싱된 충격량이 미리 지정된 임계값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통신 모드를 비상 모드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지능통신용 라우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충격량은 물리적 충격량 및 열적 충격량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충격 센서부는 상기 물리적 충격량을 센싱하기 위한 가속도 센서와 상기 열적 충격량을 센싱하기 위한 온도 감지 센서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지능통신용 라우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 설정부는 상기 송수신부를 통해 상기 집중국 서버로부터 수신된 통신 모드 변경 명령에 따라 상기 통신 모드를 정상 모드 또는 비상 모드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지능통신용 라우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호 관리부는 상기 통신 모드가 정상 모드로 설정되었다면 상기 가입자 식별 모듈이 정상적으로 인식되지 않음이 확인되는 경우 상기 집중국 서버와 설정된 현재의 호 연결 상태를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지능통신용 라우터.
  6. 가입자 식별모듈이 장착되어 동작되는 사물지능통신용(M2M) 라우터의 동작 방법으로서,
    상기 가입자 식별모듈에 저장된 정보를 이용하여 집중국 서버와 호 설정(call setup)을 수행하는 단계;
    미리 지정된 주기에 따라 상기 가입자 식별 모듈이 소켓에 삽입되고 정상적으로 인식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가입자 식별 모듈이 정상적으로 인식되지 않는 경우, 통신 모드가 비상 모드 또는 정상 모드 중 어느 하나로 설정되었는지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통신 모드가 비상 모드로 설정된 경우, 통신망을 통해 연결된 계측 센서부로부터 수신되는 센싱 정보를 상기 집중국 서버로 전송하기 위해 상기 집중국 서버와 설정된 현재의 호 연결 상태가 차단되지 않도록 유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사물지능통신용 라우터의 동작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모드가 정상 모드로 설정된 경우, 상기 집중국 서버와 설정된 현재의 호 연결 상태를 차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지능통신용 라우터의 동작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사물지능통신용 라우터에 가해지는 충격량을 센싱하는 단계;
    상기 센싱된 충격량이 미리 지정된 임계값을 초과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초과하는 경우 상기 통신 모드를 비상 모드로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지능통신용 라우터의 동작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충격량은 물리적 충격량 및 열적 충격량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사물지능통신용 라우터는 상기 물리적 충격량을 센싱하기 위한 가속도 센서와 상기 열적 충격량을 센싱하기 위한 온도 감지 센서 중 하나 이상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지능통신용 라우터의 동작 방법.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집중국 서버로부터 통신 모드 변경 명령이 수신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통신 모드 변경 명령이 수신되면, 상기 통신 모드 변경 명령에 따라 상기 통신 모드를 정상 모드 또는 비상 모드로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지능통신용 라우터의 동작 방법.
KR1020140033363A 2014-03-21 2014-03-21 사물지능통신용 라우터 및 그 동작 방법 KR1014309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3363A KR101430920B1 (ko) 2014-03-21 2014-03-21 사물지능통신용 라우터 및 그 동작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3363A KR101430920B1 (ko) 2014-03-21 2014-03-21 사물지능통신용 라우터 및 그 동작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30920B1 true KR101430920B1 (ko) 2014-08-18

Family

ID=517505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33363A KR101430920B1 (ko) 2014-03-21 2014-03-21 사물지능통신용 라우터 및 그 동작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30920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09829A (ko) * 2003-03-31 2006-02-01 모토로라 인코포레이티드 비유효 가입자 아이디를 가진 무선 장치를 위한 패킷데이터 망에서 응급 세션 설정
KR20110067270A (ko) * 2009-12-14 2011-06-22 주식회사 팬택 이동 통신 단말기의 긴급 콜 지원 방법 및 그 이동 통신 단말기
US20130201830A1 (en) 2011-08-11 2013-08-08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Machine Type Communications Connectivity Sharing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09829A (ko) * 2003-03-31 2006-02-01 모토로라 인코포레이티드 비유효 가입자 아이디를 가진 무선 장치를 위한 패킷데이터 망에서 응급 세션 설정
KR20110067270A (ko) * 2009-12-14 2011-06-22 주식회사 팬택 이동 통신 단말기의 긴급 콜 지원 방법 및 그 이동 통신 단말기
US20130201830A1 (en) 2011-08-11 2013-08-08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Machine Type Communications Connectivity Sharing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99532B1 (ko)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한 도난/분실 방지 방법 및도난/분실 방지 시스템
CA2917279A1 (en) Communication method for an elevator system
CN106550323B (zh) 用于确定设备的地理位置的方法
CN101390136A (zh) 移动对象监视系统和移动对象监视方法
EP3506230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cooperative network management
KR20120123511A (ko) 미리 결정된 이벤트들을 검출하고 mtc 서버에 알리는 mtc 단말 디바이스를 위한 방법 및 디바이스
KR101608202B1 (ko) 카메라를 이용한 현장 감시 방법 및 장치
US20150212965A1 (en) Combination of buses for a hazard management system, hazard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of operating the hazard management system
KR20080108717A (ko) 지능형 센서장치 및 그에 따른 구동방법
CN106604316A (zh) 无线接入设备故障定位方法、装置以及系统
KR101430920B1 (ko) 사물지능통신용 라우터 및 그 동작 방법
KR101927866B1 (ko) 통합 안전 분석 시스템 및 방법
KR102082711B1 (ko) 위치 추적 방법 및 위치 추적 시스템
CN102201942A (zh) 光功率告警的方法和设备
US20200301397A1 (en)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that manages process in factory, and process management method
KR101429178B1 (ko) 무선 네트워크 보안 시스템 및 방법
KR20210088130A (ko) 복수의 센서를 이용한 사물지능통신용 기기 및 그 동작 방법
KR102170688B1 (ko) 네트워크 카메라 및 게이트웨이
KR101319608B1 (ko) 원격 전원제어장치를 이용한 영상장치
KR20190007005A (ko) 엘리베이터의 상태 정보 통신 장치 및 원격 감시 시스템
CN111770464A (zh) 一种智能的变电站环境监测系统
KR101122063B1 (ko) 단말 모니터링 방법 및 그 장치
CN105336100A (zh) 一种紧急呼叫系统及其通信方法
KR20210025310A (ko) 건설장비 안전 대응을 위한 스마트폰과 아이오티장치용 아이에프티티티 및 통신라우터 기반 지능형 관제 모니터링시스템
JP5712242B2 (ja) 通知サーバ及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