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36157A - 다중 주파수를 사용한 산업재해 감시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다중 주파수를 사용한 산업재해 감시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36157A
KR20120136157A KR1020110055209A KR20110055209A KR20120136157A KR 20120136157 A KR20120136157 A KR 20120136157A KR 1020110055209 A KR1020110055209 A KR 1020110055209A KR 20110055209 A KR20110055209 A KR 20110055209A KR 20120136157 A KR20120136157 A KR 201201361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twork
disaster
environmental information
communication device
si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552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경훈
조성우
정영수
Original Assignee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552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136157A/ko
Publication of KR201201361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3615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14Travel agenci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05Specific application combined with child monitoring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08B5/222Personal calling arrangements or devices, i.e. paging systems
    • G08B5/223Personal calling arrangements or devices, i.e. paging systems using wireless transmission
    • G08B5/224Paging receivers with visible signalling details
    • G08B5/225Display deta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Abstract

산업재해 감시 시스템 및 방법이 개시된다.
단말은 휴대형 센서 또는 부착형 센서로서, 건조 중인 선박에 위치하며, 재해 예측을 위한 입력요소가 되는 한 가지 이상의 환경정보를 센싱하여 센싱된 환경정보를 주기적으로 통신장치에 무선 전송한다. 통신장치는 단말의 상위노드로서 단말에서 센싱한 환경정보를 수집하고, 제1 네트워크 및 제2 네트워크를 모두 지원하되 정보 전송 시 제1 네트워크 및 제2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품질을 비교하여 네트워크 품질이 더 양호한 네트워크를 통해 수집된 환경정보를 상위노드로 전달한다. 통합관제 서버는 통신장치의 상위노드로서 하위노드로부터 환경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환경정보에 의거하여 재해단계를 판정하며, 판정결과를 시각화된 모니터링 화면으로 제공한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복수 레벨의 재해단계를 판정하여 재해 가능성을 사용자에게 쉽게 인지시킬 수 있으며, 네트워크 환경의 변화에 유동적으로 대처하여 신뢰성 있는 판정을 위한 기초정보들을 수집하여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다중 주파수를 사용한 산업재해 감시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Industrial Disaster using Multiple Frequency}
본 발명은 산업재해 감시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제조업에서의 산업재해를 예방하기 위한 산업재해 감시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제조업, 특히 초대형 선박의 건조 과정에서는 구역별로 전반적인 현장상황의 감시, 관리 및 감독이 필수적이나 여건상 이러한 작업이 용이하지 못하며, 그에 따라 각종 안전사고의 발생을 예측하거나 그에 대하여 효과적으로 대처하기가 어렵다.
또한, 선박의 여러 구역들에 대해서 화재, 폭발, 질식 등의 재해를 예측하기 위하여 선박 내부에 센서를 장착하여 감시하는 것도 가능하나, 단순히 센서의 사용만으로는 신속, 정확하고 종합적인 예측이 불가능하고, 인적/물적 재산의 피해가 가중될 위험성이 상존한다.
이러한 문제를 개선하기 위하여, 종래에 임계값 비교에 의해 센싱정보들이 임계값을 넘으면 경고신호를 발생시키는 방식이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임계값 비교에 의해 재해를 판정하는 경우 임계값의 의미 및 정의하는 기준이 불명확하고, 재해 종류별로 임계값이 달라 사용자나 운용자가 판정결과를 인지하기 어려우며, 판정기준의 경계지점에서 판정의 비약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선박 제조업의 현장여건 상 센싱정보의 수신 시 네트워크의 통신장애가 빈번하게 발생하므로, 판정을 위한 기초정보들의 신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그 목적은 판정의 비약이 발생하기 쉬운 임계값에 의해 재해를 판정하는 방식을 개선하여 불명확한 판정기준에 의해 양분화된 결과를 출력하는 대신, 재해 가능성을 단계별로 판단할 수 있는 모니터링 화면을 제공함으로써 판정기준을 위한 뚜렷한 경계가 불필요한 산업재해 감시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네트워크 환경의 변화에 유동적으로 대처하여 신뢰성 있는 판정을 위한 기초정보들을 수집하여 제공할 수 있는 산업재해 감시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산업재해 감시 시스템은 건조 중인 선박에 위치하며, 재해 예측을 위한 입력요소가 되는 한 가지 이상의 환경정보를 센싱하여 상기 센싱된 환경정보를 주기적으로 무선 전송하는 단말; 상기 단말의 상위노드로서 상기 단말에서 센싱한 환경정보를 수집하고, 제1 네트워크 및 제2 네트워크를 모두 지원하되 정보 전송 시 제1 네트워크 및 제2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품질을 비교하여 네트워크 품질이 더 양호한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수집된 환경정보를 상위노드로 전달하는 통신장치; 및 상기 통신장치의 상위노드로서 상기 통신장치로부터 전달되는 환경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수집된 환경정보에 의거하여 재해단계를 판정하며, 판정결과를 시각화된 모니터링 화면으로 제공하는 통합관제 서버를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산업재해 감시 방법은 통신장치가 건조 중인 선박에 위치하여 환경정보를 센싱하는 하위노드로부터 상기 센싱된 환경정보를 주기적으로 무선 수집하는 단계; 상기 통신장치가 지원 가능한 제1 네트워크 및 제2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품질을 비교하여 정보 전송 시 네트워크 품질이 더 양호한 네트워크를 선택하는 단계; 상기 통신장치가 상기 선택된 네트워크를 통해 수집된 환경정보를 상위노드의 통합관제 서버로 전달하는 단계; 및 상기 통합관제 서버가 상기 통신장치를 통해 수집된 환경정보에 의거하여 재해단계를 판정하고, 판정결과를 시각화된 모니터링 화면으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산업재해 감시 시스템 및 방법에 따르면, 재해 가능성을 단계별로 판단할 수 있는 모니터링 화면을 제공함으로써 판정기준을 위한 뚜렷한 경계가 불필요한 방식을 사용하여 판정 상의 비약 없이 산업재해를 종합적으로 예측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산업재해 감시 시스템 및 방법에 따르면, 재해 예측을 위한 판정결과를 시각화된 툴로 제공하여 사용자에게 쉽게 인지시킬 수 있고, 네트워크 환경의 변화에 유동적으로 대처하여 신뢰성 있는 판정을 위한 기초정보들을 수집하여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산업재해 감시 시스템의 개략적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의 메시(Mesh) 네트워크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모형도이다.
도 3은 도 1에 나타난 통합관제 서버의 모니터링 화면을 예시한 화면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산업재해 감시 방법의 개략적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산업재해 감시 시스템 및 방법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산업재해 감시 시스템의 개략적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산업재해 감시 시스템은 크게 단말(100), 통신장치(200) 및 통합관제 서버(300)를 포함한다.
단말(100)은 건조 중인 선박에 위치하며, 재해 예측을 위한 입력요소가 되는 한 가지 이상의 환경정보, 예컨대, 산소농도, 산소변화량, 일산화탄소농도, 이산화탄소농도, 온도, 습도, 불꽃, 연기 등을 센싱하여 센싱된 환경정보를 주기적으로 통신장치(200)에 무선 전송한다.
단말(100)에는 휴대형 센서(110)와 부착형 센서(120)가 포함된다.
휴대형 센서(110)는 건조 중인 선박 내 공간에 위치하는 사용자별로 착용되고, 사용자의 움직임에 의한 진동신호 및 사용자 주변의 유동 환경정보를 센싱하며, 진동신호와 센싱된 유동환경정보를 사용자 구별을 위한 사용자 식별번호와 연계하여 통신장치(200)의 라우터(210)에 무선 전송한다.
부착형 센서(120)는 선박 내 공간별로 설치되고, 설치된 공간 내의 고정 환경정보를 센싱하며, 센싱된 고정 환경정보를 공간 구별을 위한 공간 식별번호와 연계하여 통신장치(200)의 라우터(210)에 무선 전송한다.
통신장치(200)는 단말(100)의 상위노드로서 단말(100)에서 센싱한 환경정보를 수집한다. 또한, 통신장치(200)는 다중 주파수의 듀얼밴드 네트워크, 즉 제1 네트워크 및 제2 네트워크를 모두 지원하되 정보 전송 시 제1 네트워크 및 제2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품질을 비교하여 네트워크 품질이 더 양호한 네트워크를 선택한 후 선택된 네트워크를 통하여 하위노드에서 수집된 환경정보를 상위노드인 통합관제 서버(300)로 전달한다. 여기서, 통신장치(200)와 단말(100)을 서로 연결하는 제1 네트워크 및 제2 네트워크는 다중 주파수, 예컨대 2.4GHz의 지그비(ZigBee) 대역 또는 433MHz 대역을 사용하는 메시(Mesh) 네트워크일 수 있다. 통신장치(200)에는 라우터(Router)(210)들과, 일정 지역 내에 있는 복수 개의 라우터(210)들을 관할하는 코디네이터(Coordinator)(220)가 포함된다.
통합관제 서버(300)는 통신장치(200)의 상위노드로서 통신장치(200)의 라우터(210) 및 코디네이터(220)를 통해 전달되는 환경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환경정보에 의거하여 재해 가능성을 구분하기 위한 재해단계(예컨대, 안전, 주의, 경고, 위험)를 판정하며, 판정결과를 공간별로 시각화하여 후술할 도 3과 같은 화면으로 제공한다.
예컨대, 예측대상이 되는 재해 유형이 화재, 질식, 폭발이라고 하면, 통합관제 서버(300)는 전술한 메시(Mesh) 네트워크 상의 센서(110, 120), 라우터(210) 및 코디네이터(220)를 통해 해당 재해들을 판정하기 위한 환경정보들(산소농도, 산소변화량, 일산화탄소농도, 이산화탄소농도, 온도, 습도, 불꽃, 연기 등)을 수집하고, 이를 기준이 되는 추론규칙에 따라 분류 및 조합하여 재해 가능성을 계산한 후 계산된 값이 복수 레벨의 재해단계들 중 어느 범위에 속하는지를 확인하여 재해단계를 판정할 수 있다. 예컨대, 화재, 질식, 폭발의 발생 가능/불가능의 양분화된 값으로 나타나는 것이 아니라, 수치화된 재해 가능성(화재 발생 가능성 30%, 질식 가능성 20%, 폭발 가능성 2% 등)이 계산된 후 계산된 값에 따라 재해단계 (예컨대, 안전, 주의, 경고, 위험)의 판정이 도출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메시(Mesh) 네트워크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모형도이다.
일 실시예는 다중 주파수(예컨대 2.4GHz 및 433MHz)의 듀얼밴드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두 네트워크의 LQI(Link Quality Indication)나 RSSI(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or) 값을 측정하여 실시간 정보 전송을 위해 보다 양호한 네트워크를 선택하여 사용하게 된다. 단말(100)에 해당하는 센서(110, 120)로부터 센싱정보를 수신하는 라우터(210)들과 일정 구역 내의 라우터(210)들을 관할하는 코디네이터(220)는 제1 주파수 대역, 예컨대 2.4GHz의 지그비(ZigBee) 대역 또는 제2 주파수 대역, 예컨대 433MHz 대역의 메시(Mesh) 네트워크를 통해 서로 연결된다.
도 2를 참조하면, 임의의 센서(111)에서 센싱한 환경정보는 센서(111)→라우터(211)→코디네이터(221)의 네트워크 경로(P110)를 따라 이동하며, 네트워크 상황에 의거하여 정보의 전송경로가 실시간으로 변경될 수 있다. 센서(111)에서 생성된 환경정보가 메시(Mesh) 네트워크의 일정한 네트워크 경로(P110)를 따라 이동하는 중에 상위노드의 라우터(211)에서 통신장애가 발생한다면 정보의 전송경로는 다른 네트워크 경로(P120)로 변경될 수 있다. 여기서, 네트워크 효율을 위하여 네트워크의 최대 홉(hop) 개수를 제한하여 3홉 정도만을 지원하도록 설계할 수 있다.
코디네이터(220)는 듀얼밴드 네트워크를 통해 복수 개의 라우터(210)들 및 센서(110, 120)들과 통신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코디네이터(220)는 WiFi, HSDPA, LAN을 함께 지원하되, WiFi를 주 네트워크로 하여 운용이나 비용 면에서 상대적으로 자유로운 WiFi를 통해 기본적으로 통합관제 서버(300)에 접속하고, 주 네트워크에서 일시적 장애가 발생하는 경우에는 HSDPA, LAN을 백업 네트워크로 사용할 수 있다.
통합관제 서버(300)는 메시(Mesh) 네트워크 상의 단말(100)에 해당되는 센서(110, 120) 이외에도, 풍향풍속 탐지장치(232), 파고 탐지장치(233) 등의 탐지장치(230)로부터 재해 예측에 필요한 환경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해당 탐지장치(230)들은 메시(Mesh) 네트워크가 구축되지 않은 구역에 위치한 장치들로, WiFi, HSDPA, LAN 중 하나의 네트워크를 통해 통합관제 서버(300)에 연결된다. 정보 수집을 위해 PLC(Power Line Communication) 모뎀(231)을 채용하는 경우에는, PLC 망을 통해 해당 PLC 모뎀(231)과 연결되는 라우터(210) 및 부착형 센서(120)에도 PLC 모뎀이 구비된다.
이와 같이, 일 실시예의 산업재해 감시 시스템은 통합관제 서버(300), 코디네이터(220), 라우터(210), 센서(110, 12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듀얼밴드의 무선 네트워크를 구축하며, 실시간 네트워크 품질에 따라 네트워크를 선택적으로 사용하여 재해 예측을 위한 환경정보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통합관제 서버(300)에 전달한다. 도 3은 도 1에 나타난 통합관제 서버의 모니터링 화면을 예시한 화면 예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통합관제 서버(300)에서 재해 예측을 위한 모니터링 화면은 사업장 전체 영역(D110), 장치 설치현장 영역(D120), 현장별 작업장 영역(D130), 재해 이벤트 표시 영역(D140)을 포함한다.
사업장 전체 영역 (D110)은 시스템을 운영할 수 있는 전 사업장을 모니터링 하기 위한 것으로 장치 설치현장 영역(D120)에 등록된 현장들을 연계하여 시각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장치 설치현장 영역 (D120)은 사업장에 속하는 전체 현장의 재해단계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부분으로, 재해 감지장치가 설치된 전체 현장의 현 상황을 한 눈에 인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재해 감지장치는 휴대형 센서(100)나 부착형 센서(120) 등의 단말(100)에 상위노드로서 접속된 장치, 또는 풍향풍속 탐지장치(232), 파고 탐지장치(233) 등의 탐지장치(230)일 수 있다. 장치 설치현장 영역(D120)를 통해 먼저 재해감지 장치를 운영 중인 현장의 재해단계(예컨대, 안전, 주의, 경고, 위험)를 나누어 그 단계별 현장의 수를 확인할 수 있고, 각 현장별 현재의 안전단계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풍향풍속 탐지장치(232)와 파고 탐지장치(233) 등의 실시간 값을 확인할 수 있다. 각 현장을 클릭하여 나타나는 팝업화면(D150)에서는 각 장치별 센서의 값(센싱정보)을 확인할 수 있으며, 재해상황 시에도 같은 화면이 자동으로 로드(Load)되어 재해단계와 센싱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현장별 작업장 영역(D130)은 각 현장의 작업장별 재해단계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부분으로, 재해 감지장치가 설치된 현장의 장치 설치 구성을 확인할 수 있으며, 그 하위 작업장별 재해단계를 확인할 수 있다.
재해 이벤트 표시 영역(D140)은 발생한 재해이력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부분으로, 재해이력을 표시하여 관리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산업재해 감시 방법의 개략적 흐름도이다.
건조 중인 선박에 위치한 단말(100)에 해당하는 휴대형 센서(110) 및 부착형 센서(120)가 주기적으로 환경정보를 센싱(S110)하여 통신장치(200)의 라우터(210) 및 코디네이터(220)로 무선 전송하면(S120), 통신장치(200)가 하위노드가 되는 단말(100)의 각 센서(110, 120)로부터 센싱된 환경정보를 일정 주기마다 무선 수집한다(S120).
이후, 통신장치(200)의 코디네이터(220)는 지원 가능한 다중 주파수의 듀얼밴드 무선 네트워크, 즉 제1 네트워크 및 제2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품질을 측정하여 비교(S130)한 후 비교결과에 따라 정보 전송 시점마다 네트워크 품질이 더 양호한 네트워크를 선택한다(S140). 또한, 코디네이터(220)는 하위노드인 라우터(210)로부터 센서(110, 120)들을 통해 수집한 환경정보를 전달받고, 수신된 환경정보를 네트워크 품질에 의거하여 선택된 네트워크를 통해 상위노드인 통합관제 서버(300)로 전송한다(S150).
이후, 통합관제 서버(300)가 통신장치(200)의 코디네이터(220)를 통해 수집된 환경정보에 의거하여 재해 가능성을 구분하기 위한 재해단계를 판정(S160)한 후 판정결과를 도 3과 같이 시각화된 모니터링 화면으로 제공하게 된다(S170).
본 발명의 산업재해 감시 시스템 및 방법은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100: 단말
110: 휴대형 센서
120: 부착형 센서
200: 통신장치
210: 라우터
220: 코디네이터
230: 탐지장치
300: 통합관제 서버

Claims (4)

  1. 건조 중인 선박에 위치하며, 재해 예측을 위한 입력요소가 되는 한 가지 이상의 환경정보를 센싱하여 상기 센싱된 환경정보를 주기적으로 무선 전송하는 단말;
    상기 단말의 상위노드로서 상기 단말에서 센싱한 환경정보를 수집하고, 제1 네트워크 및 제2 네트워크를 모두 지원하되 정보 전송 시 제1 네트워크 및 제2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품질을 비교하여 네트워크 품질이 더 양호한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수집된 환경정보를 상위노드로 전달하는 통신장치; 및
    상기 통신장치의 상위노드로서 상기 통신장치로부터 전달되는 환경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수집된 환경정보에 의거하여 재해단계를 판정하며, 판정결과를 시각화된 모니터링 화면으로 제공하는 통합관제 서버를 포함하는 산업재해 감시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관제 서버는,
    전 사업장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사업장 전체 영역, 사업장에 속하는 전체 현장의 재해단계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장치 설치현장 영역, 각 현장의 작업장별 재해단계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현장별 작업장 영역, 발생한 재해이력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재해 이벤트 표시 영역을 포함하는 모니터링 화면을 생성하여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업재해 감시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장치와 상기 단말을 서로 연결하는 제1 네트워크 및 제2 네트워크는 2.4GHz의 지그비(ZigBee) 대역 또는 433MHz 대역을 사용하는 메시(Mesh) 네트워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업재해 감시 시스템.
  4. 통신장치가 건조 중인 선박에 위치하여 환경정보를 센싱하는 하위노드로부터 상기 센싱된 환경정보를 주기적으로 무선 수집하는 단계;
    상기 통신장치가 지원 가능한 제1 네트워크 및 제2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품질을 비교하여 정보 전송 시 네트워크 품질이 더 양호한 네트워크를 선택하는 단계;
    상기 통신장치가 상기 선택된 네트워크를 통해 수집된 환경정보를 상위노드의 통합관제 서버로 전달하는 단계; 및
    상기 통합관제 서버가 상기 통신장치를 통해 수집된 환경정보에 의거하여 재해단계를 판정하고, 판정결과를 시각화된 모니터링 화면으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산업재해 감시 방법.
KR1020110055209A 2011-06-08 2011-06-08 다중 주파수를 사용한 산업재해 감시 시스템 및 방법 KR2012013615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5209A KR20120136157A (ko) 2011-06-08 2011-06-08 다중 주파수를 사용한 산업재해 감시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5209A KR20120136157A (ko) 2011-06-08 2011-06-08 다중 주파수를 사용한 산업재해 감시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6157A true KR20120136157A (ko) 2012-12-18

Family

ID=479036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55209A KR20120136157A (ko) 2011-06-08 2011-06-08 다중 주파수를 사용한 산업재해 감시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136157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504501A (zh) * 2016-12-02 2017-03-15 陈彦舟 远程智能综合能耗监控与计量系统
KR20180005882A (ko) * 2016-07-07 2018-01-17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통합 안전 분석 시스템 및 방법
KR20230033279A (ko) 2021-09-01 2023-03-08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산업현장 재해 방지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5882A (ko) * 2016-07-07 2018-01-17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통합 안전 분석 시스템 및 방법
CN106504501A (zh) * 2016-12-02 2017-03-15 陈彦舟 远程智能综合能耗监控与计量系统
KR20230033279A (ko) 2021-09-01 2023-03-08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산업현장 재해 방지 시스템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12563B1 (ko) 시설물 안전 관리 시스템 및 방법
US9619986B2 (en) Intelligent integrated safety management control system, server, and method
KR102290850B1 (ko) 다중 센서 데이터 수집 전파 장치 및 안전 모니터링 시스템
KR101859070B1 (ko) 대규모 시설물 안전 관리 시스템 및 방법
CN203192156U (zh) 一种用于消防安全的火灾预警报警系统
CN104464158B (zh) 一种火灾报警的联动控制方法及系统
CN102622857A (zh) 为健康监测和工厂维护而提供遵从和有毒气体暴露报警的系统和方法
CN101341521A (zh) 便携监视器
KR20160085033A (ko) 학습형 다중센서 재난감지 시스템과 그 방법
KR20130056211A (ko) 웹 서버 및 이메일 통지를 갖는 흡인 환경 센서
KR102245887B1 (ko) 실내 화재예방 알림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727530B1 (ko) 모바일 앱 기반 전기 시설의 유지 보수 시스템
JP2018206018A (ja) 自動点検システムおよび自動点検システムの制御方法
CN103310579A (zh) 基于ZigBee无线通信的电力火灾复合探测装置
KR101794271B1 (ko) 공장 내 유해가스 검출을 통한 안전 관리 시스템 및 이의 동작 방법
JP7343966B2 (ja) 火災報知設備及び防災設備
KR20170024975A (ko) 지역 공단별 위험 요소 모니터링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위험 요소 모니터링 방법
KR101172260B1 (ko) 무선 근거리 통신을 이용한 교량/터널 안전상태 관리시스템 및 방법
KR20120136157A (ko) 다중 주파수를 사용한 산업재해 감시 시스템 및 방법
KR101775489B1 (ko) 소방 전원공급장치의 모니터링 시스템
KR101783003B1 (ko) 안전 밴드를 활용한 안전 관리 시스템 및 이의 동작 방법
CN211656391U (zh) 电缆沟监控系统
KR101750747B1 (ko) 블루투스 아이비콘을 이용한 전자식 화재감지기 및 수신시스템
CN106052745A (zh) 一种电力线路监测方法
KR20120071300A (ko) 스마트단말기를 이용한 현장전력설비의 이상진단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