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33279A - 산업현장 재해 방지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산업현장 재해 방지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33279A
KR20230033279A KR1020210116029A KR20210116029A KR20230033279A KR 20230033279 A KR20230033279 A KR 20230033279A KR 1020210116029 A KR1020210116029 A KR 1020210116029A KR 20210116029 A KR20210116029 A KR 20210116029A KR 20230033279 A KR20230033279 A KR 202300332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dangerous
worker
facility
communication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160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희국
김훈철
김영근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160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33279A/ko
Publication of KR202300332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3327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1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면 산업현장의 위험설비 주변에 설치되고, 작업자의 단말기와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및 위험설비의 가동을 제어하고, 통신부를 통해 파악된 작업자 단말기의 위치가 위험설비 주변의 위험영역에 다다른 경우 위험설비의 가동을 중지하며 작업자 단말기의 위치가 위험영역을 벗어나는 경우 위험설비의 가동을 재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산업현장 재해 방지 시스템이 소개된다.

Description

산업현장 재해 방지 시스템 및 방법{INDUSTRIAL SITE DISASTER PREVENTION SYSTEM AND METHOD}
본 발명은 산업현장 재해 방지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작업자가 소지한 단말기의 위치를 감지하여 단말기의 위치를 기반으로 위험설비의 작동을 정지시키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제조업과 같은 산업현장에서 구역별로 전반적인 현장상황의 감시, 관리 및 감독이 필수적이나 여건상 이러한 작업이 용이하지 못하며, 그에 따라 각종 안전사고의 발생을 예측하거나 그에 대하여 효과적으로 대처하기가 어렵다.
또한, 산업현장의 여러 구역들에 대해서 화재, 폭발, 질식 등의 재해를 예측하기 위하여 산업현장의 내부에 센서를 장착하여 감시하는 것도 가능하나, 단순히 센서의 사용만으로는 신속, 정확하고 종합적인 예측이 불가능하고, 인적/물적 재산의 피해가 가중될 위험성이 상존한다.
이러한 문제를 개선하기 위하여, 종래에 임계값 비교에 의해 센싱 정보들이 임계값을 넘으면 경고신호를 발생시키는 방식이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임계값 비교에 의해 재해를 판정하는 경우 임계값의 의미 및 정의하는 기준이 불명확하고, 재해 종류별로 임계값이 달라 사용자나 운용자가 판정결과를 인지하기 어려우며, 판정기준의 경계지점에서 판정의 비약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선박 제조업의 현장여건상 센싱 정보의 수신 시 네트워크의 통신장애가 빈번하게 발생하므로, 판정을 위한 기초정보들의 신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KR 10-2012-0136157 A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작업자의 단말기의 위치를 감지하여 단말기의 위치가 위험설비의 위험영역에 인접한 경우 위험설비의 작동을 중단시켜 작업자의 안전을 확보하여 산업 재해 발생을 방지하기 위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산업현장 재해 방지 시스템은 산업현장의 위험설비 주변에 설치되고, 작업자의 단말기와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및 위험설비의 가동을 제어하고, 통신부를 통해 파악된 작업자 단말기의 위치가 위험설비 주변의 위험영역에 다다른 경우 위험설비의 가동을 중지하며 작업자 단말기의 위치가 위험영역을 벗어나는 경우 위험설비의 가동을 재개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통신부는 GPS기능이 포함되어 위치 정보를 산출하는 단말기로부터 작업자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고, 제어부는 통신부로 수신된 작업자의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작업자가 위험영역의 진입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통신부는 기설정된 감지영역 내부에서 단말기와 무선 통신을 수행하여 단말기의 위치 변화를 확인하고, 확인된 위치 변화를 제어부로 송신할 수 있다.
통신부는 단말기와 무선 통신을 수행하여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좌표축 선상으로 위치를 감지하고, 제어부는 단말기의 이동 정보를 기반으로 작업자가 위험영역의 진입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통신부는 복수개가 위험영역에 인접하게 마련되며, 기설정된 감지영역이 중첩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통신부는 위험영역의 높이보다 더 높은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제어부는 통신부에서 수신한 작업자의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작업자가 위치한 위험영역의 위험설비만 가동을 중지시키고, 이외의 위험영역은 작업을 가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통신부는 단말기와의 무선 통신을 통해 기설정된 감지영역 내부에 작업자가 진입한 것을 확인하고, 제어부는 통신부에서 작업자의 진입이 확인되면, 위험설비의 가동을 중지시킬 수 있다.
통신부는 단말기로부터 무선 통신을 통해 긴급정지신호를 수신하고, 제어부는 통신부에서 긴급정지신호가 수신되면 위험설비의 가동을 중지시킬 수 있다.
제어부는 위험설비의 가동을 중지시 경고발생장치를 동시에 작동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산업현장 재해 방지 방법은 작업자의 단말기와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단계; 및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단계를 통해 파악된 작업자 단말기의 위치가 위험설비 주변의 위험영역에 다다른 경우 위험설비의 가동을 중지하며 작업자 단말기의 위치가 위험영역을 벗어나는 경우 위험설비의 가동을 재개하도록 위험설비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단계 이후 기설정된 감지영역 내부에서 단말기와 무선 통신을 통해 단말기의 위치 변화를 확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위험설비를 제어하는 단계는 위치 변화를 확인하는 단계에서 작업자의 위치가 위험영역 내부에 위치될 경우 위험설비를 중지시킬 수 있다.
위치 변화를 확인하는 단계에서 작업자가 위험영역을 벗어나는 경우 위험설비를 제어하는 단계는 위험설비의 가동을 재개하도록 위험설비를 제어할 수 있다.
위험설비를 제어하는 단계 이후 경고발생장치를 작동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산업현장 재해 방지 시스템은 작업자의 단말기가 이동하는 위치를 정확하게 감지하여 단말기가 위험설비의 위험영역에 인접한 것을 감지시 즉시 위험설비의 작동을 중지시킴에 따라 작업자가 위험설비의 정비시 미쳐 위험설비의 작동을 중지시키기 않아 발생되는 산업재해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작업자는 단말기를 통해 위험설비의 작동을 정지시키는 신호를 송신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긴급상황시 위험설비를 즉시 정지시킬 수 있어 산업재해가 크게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산업현장 재해 방지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통신부가 설치된 것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산업현장 재해 방지 방법의 순서도이다.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설명된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를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및/또는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예컨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권리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은 채,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인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통신부(10) 및 제어부(20)는 차량의 다양한 구성 요소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알고리즘 또는 상기 알고리즘을 재생하는 소프트웨어 명령어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하도록 구성된 비휘발성 메모리(도시되지 않음) 및 해당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를 사용하여 이하에 설명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도시되지 않음)를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메모리 및 프로세서는 개별 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는, 메모리 및 프로세서는 서로 통합된 단일 칩으로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의 형태를 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산업현장 재해 방지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통신부(10)가 설치된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산업현장 재해 방지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알아보도록 한다.
산업현장에서는 다수의 위험설비(30)가 마련될 수 있으며, 이러한 위험설비(30)는 시스템에 의해 작동될 수 있다. 그러나 위험설비(30)의 작동 중 문제가 발생되거나 또는 정기적으로 위험설비(30)를 점검하기 위해서는 작업자가 위험설비(30)가 작동되는 내부 또는 위험설비(30)에 인접하게 접근하여야 한다. 이때 작업자는 위험설비(30)의 전원을 모두 off시키고 위험설비(30)에 진입하도록 메뉴얼이 설정될 수 있다.
그러나 작업자가 이러한 메뉴얼을 무시하거나 잊어버리고 위험설비(30)에 진입하거나, 또는 작업자가 위험설비(30)의 작동을 정지시킨 상태에서 진입 후 타인이 위험설비(30)를 작동시키거나 작동오류에 의해 위험설비(30)가 작동되어 위험설비(30)에 진입한 작업자가 상해를 입을 수 있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에 따른 산업현장 재해 방지 시스템은 상기와 같이 산업현장에서 위험설비(30)를 점검하는 작업자가 갑작스러운 위험설비(30)의 작동으로 인해 발생되는 산업재해를 방지하기 위해서 고안되었다.
본 발명에 따른 산업현장 재해 방지 시스템은 산업현장의 위험설비(30) 주변에 설치되고, 작업자의 단말기(11)와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10); 및 위험설비(30)의 가동을 제어하고, 통신부(10)를 통해 파악된 작업자 단말기(11)의 위치가 위험설비(30) 주변의 위험영역에 다다른 경우 위험설비(30)의 가동을 중지하며 작업자 단말기(11)의 위치가 위험영역을 벗어나는 경우 위험설비(30)의 가동을 재개하는 제어부(20);를 포함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든 작업자는 단말기(11)를 소지하고 있으며, 단말기(11)는 통신부(10)와 무선 통신으로 데이터를 송신하거나 수신할 수 있으며, 통신부(10)는 제어부(20)와 연결되어 단말기(11)에서 송신된 정보 또는 단말기(11)의 위치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일 예로 단말기(11)는 작업자가 소지한 스마트폰 또는 스마트워치와 같은 웨어러블기기가 될 수 있으며, 단말기는 무선 통신이 가능하여 통신부와 통신되어 제어부에서는 단말기의 현재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스마트폰 또는 스마트워치는 블루투스 통신 기능이 가능하며, 통신부(10)는 스마트폰 또는 스마트워치와 같은 단말기(11)와 블루투스 통신이 가능한 기기에 연결되어 단말기와 연결이 확인시 연결될 수 있는 범위 내에 작업자가 위치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통신부(10)는 위험설비와 인접한 영역 또는 위험설비로 진입하는 입구에 설치되어 작업자가 위험설비 내로 진입하는 경우에 단말기(11)(스마트폰 또는 스마트워치)와 블루투스 통신이 자동으로 연결되어 작업자가 위험설비 내로 진입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20)는 통신부(10)를 통해 전달받은 작업자의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작업자가 위험설비(30)가 설치된 위험영역으로 진입하는 경우 위험설비(30)의 작동을 모두 정지시키며, 작업자가 위험영역을 이탈한 경우 위험설비(30)가 다시 작동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작업자가 실수로 위험설비(30)의 작동을 종료하지 않은 상태로 위험설비(30)에 진입하여 위험설비(30)를 점검하는 경우에도 위험설비(30)가 제어부(20)에 의해 종료되어 작업자가 상해를 입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통신부(10)는 GPS기능이 포함되어 위치 정보를 산출하는 단말기(11)로부터 작업자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고, 제어부(20)는 통신부(10)로 수신된 작업자의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작업자가 위험영역의 진입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단말기(11)는 GPS 기능이 포함된 스마트폰 또는 스마트워치 등이 포함될 수 있으며, GPS 기능을 통해 작업자의 현재 위치 정보가 실시간 산출되며, 단말기(11)는 산출된 작업자의 위치 정보를 통신부(10)로 송신할 수 있다.
통신부(10)는 수신한 작업자의 위치 정보를 제어부(20)로 전달할 수 있으며, 제어부(20)는 전달받은 작업자의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작업자가 위험설비(30)로 진입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20)는 작업자가 위험설비(30)의 진입하는 것을 판단하면 위험설비(30)의 작동을 즉시 정지하도록 위험설비(30)를 제어하여 작업자가 위험설비(30)에 의해 상해를 입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통신부(10)는 기설정된 감지영역 내부에서 단말기(11)와 무선 통신을 수행하여 단말기(11)의 위치 변화를 확인하고, 확인된 위치 변화를 제어부(20)로 송신할 수 있다.
통신부(10)는 UWB(Ultra wideband)가 포함될 수 있으며, 초광대역 무선 통신 기술을 이용한 측위 기술로 기설정된 감지영역 내에서 단말기(11)와 무선 통신하여 단말기(11)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UWB(Ultra wideband) 기술은 고주파수에서 전파를 통해 작동하는 단거리 무선 통신 프로토콜이다. 매우 정밀한 공간 인식과 방향성이 특징으로, 모바일 기기가 주변환경을 잘 인지하도록 작동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작업자가 착용한 단말기(11)과 통신부(10)가 UWB(Ultra wideband) 기술롤 연결되어 작업자의 위치 변화를 통신부(10)에서 수신할 수 있으며, 통신부(10)에서 수신한 작업자의 위치 변화를 기반으로 제어부(20)는 작업자가 위험영역으로 진입하는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통신부(10)가 설치되어 단말기(11)를 감지할 수 있는 영역에서 단말기(11)가 이동시 통신부(10)는 단말기(11)와의 무선 통신을 통해 단말기(11)의 위치변화를 감지하여 작업자의 이동을 확인할 수 있다.
통신부(10)는 단말기(11)와 무선 통신을 수행하여 단말기(11)의 위치 정보를 좌표축 선상으로 위치를 감지하고, 제어부(20)는 단말기(11)의 이동 정보를 기반으로 작업자가 위험영역의 진입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통신부(10)에 포함된 UWB(Ultra wideband)는 단말기(11)의 위치 이동을 X축과 Y축으로 구분된 좌표축 상에서 단말기(11)의 위치 변화를 감지할 수 있으며, 이를 위치 정보로 변환하여 제어부(20)로 송출할 수 있다.
UWB(Ultra wideband) 기술이 적용된 통신부(10)는 산업 현장 전체에서 작업자의 위치를 파악하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통신부(10)는 작업자의 단말기와 통신하여 작업자의 현재위치를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20)는 산업 현장의 전체 위치를 좌표축으로 설정하고, 설정된 좌표축 내에서 위험영역을 설정할 수 있다.
이후 작업자가 단말기(11)를 소지한 상태로 위험영역에 진입한경우 통신부는 좌표축 내에 설정된 위험영역에 작업자가 진입한 정보를 수신하고 제어부는 즉시 위험설비를 정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단순히 기설정된 감지영역 내부에 단말기(11)가 위치된 것뿐만 아니라 기설정된 감지영역 내에서 단말기(11)의 이동까지 감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통신부(10)는 복수개가 위험영역에 인접하게 마련되며, 기설정된 감지영역이 중첩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신부(10)에 포함된 UWB(Ultra wideband)의 감지영역이 중첩되도록 설치되어 단말기(11)의 이동을 연속적으로 감지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통신부(10)의 감지영역 내에서는 단말기(11)의 이동을 확실하게 감지해 낼 수 있으며, 통신부(10)의 감지영역 끝단에서 단말기(11)와의 무선 통신이 해제되어 위험설비(30)가 작동되어 작업자의 상해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통신부(10)는 위험영역의 높이보다 더 높은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신부(10)는 위험영역보다 높은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위험설비는 로봇장치가 될 수 있으며, 통신부가 위험설비의 작업영역 내에 위치될 경우 위험설비의 이동으로 인해 파손되거나, 위험설비에서 발생되는 발열로 인해 파손이 될 문제가 있다.
이에 따라 통신부(10)는 위험영역보다 높은 위치에 설치되며, 이에 따라 위험설비(30)의 작동 또는 작업자의 작업 실수로 인해 통신부(10)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제어부(20)는 통신부(10)에서 수신한 작업자의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작업자가 위치한 위험영역의 위험설비(30)만 가동을 중지시키고, 이외의 위험영역은 작업을 가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20)는 단말기(11)가 위한 영역의 위험설비(30)만 작동을 정지시킬 수 있으며, 단말기(11)의 위치와 이격된 다른 위험설비(30)의 작동은 작동시킬 수 있도록 위험설비(30)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작업자는 필요한 위험설비(30)의 점검을 할 수 있으며, 위험설비(30)의 작업 정지를 최소화하여 설비공정의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통신부(10)는 단말기(11)와의 무선 통신을 통해 기설정된 감지영역 내부에 작업자가 진입한 것을 확인하고, 제어부(20)는 통신부(10)에서 작업자의 진입이 확인되면, 위험설비(30)의 가동을 중지시킬 수 있다.
통신부(10)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통신부(10)에는 비콘이 포함될 수 있으며, 비콘은 기설정된 감지영역 내부에 단말기(11)의 위치 여부만을 감지하고 제어부(20)는 감지 신호를 기반으로 위험설비(30)의 작동을 중지시킬 수 있다.
비콘은 블루투스 통신이 가능한 기술로서 작업자가 소지한 종래의 단말기(11)와 쉽게 무선 통신으로 연결됨에 따라 비콘 통신 기기를 위험설비의 진입로에 설치한 이후 작업자의 단말기(11) 설정을 통해 쉽게 무선 통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비콘은 UWB 기술 보다 가격이 저렴하여 원가 절감의 효과가 있다.
통신부(10)는 단말기(11)로부터 무선 통신을 통해 긴급정지신호를 수신하고, 제어부(20)는 통신부(10)에서 긴급정지신호가 수신되면 위험설비(30)의 가동을 중지시킬 수 있다.
단말기(11)는 작업자의 위험설비(30)의 작동을 정지시키는 의사가 입력될 수 있으며, 단말기(11)로 작업자의 위험설비(30) 작동 정지 의사가 입력되면 통신부(10)로 신호가 전달될 수 있으며, 정지 신호는 제어부(20)로 전달되어 위험설비(30)가 즉시 작동이 중지될 수 있다.
일 예로 단말기는 블루투스와 같은 단거리 무선 통신이 아닌 통신부와 장거리 무선 통신이 가능할 수 있으며, 단말기와 통신부는 장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실시간으로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가 단말기의 조작으로 위험설비의 작동 정지 또는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긴급상황시 작업자가 위험설비(30) 내부로 진입하지 않더라도 외부에 단말기(11)를 통해 위험설비(30)의 작동을 정지시킬 수 있으며 또한 이로 인해 상해 발생확률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제어부(20)는 위험설비(30)의 가동을 중지시 경고발생장치(40)를 동시에 작동시킬 수 있다.
단말기(11)의 이동 또는 단말기(11)에 작동 정지 신호가 입력시 제어부(20)는 위험설비(30)의 작동을 정지시키며, 위험설비(30)와 인접하게 설치된 경고발생장치(40)를 작동시켜 작업자 이외의 다른 작업자들에게 위험설비(30) 내부에 작업자가 위치되며, 위험설비(30)의 작동이 정지된 것을 알릴 수 있다.
일 예로 작업자가 위험설비(30)의 진입시 단말기(11)와 통신부(10)가 서로 무선 통신하여 위험설비(30)를 정지시키며 경고발생장치(40)에서 경고신호가 발생되게 된다. 작업자는 발생된 경고신호를 통해 위험설비가 정지된 것을 확인하며 위험설비의 위험영역 내부로 진입하게 된다. 또한, 경고신호는 단말기(11)와 통신부(10) 사이의 통신 오류가 발생되어 위험설비의 정지가 정상적으로 실행되지 않을 경우에 작업자는 위험설비 내부로 진입하지 않을 수 있게 된다.
이를 통해 제어부(20)의 오류로 인해 위험설비(30)가 작동시 위험설비(30) 외부에 있는 작업자가 경고발생장치(40)를 작동을 인지하고 위험설비(30)를 작동을 수동을 정지시킬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상해 발생 확률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산업현장 재해 방지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산업현장 재해 방지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알아보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산업현장 재해 방지 방법은 작업자의 단말기(11)와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단계(S10); 및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단계(S10)를 통해 파악된 작업자 단말기(11)의 위치가 위험설비(30) 주변의 위험영역에 다다른 경우 위험설비(30)의 가동을 중지하며 작업자 단말기(11)의 위치가 위험영역을 벗어나는 경우 위험설비(30)의 가동을 재개하도록 위험설비(30)를 제어하는 단계; (S12,S14)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단계(S10) 이후 기설정된 감지영역 내부에서 단말기(11)와 무선 통신을 통해 단말기(11)의 위치 변화를 확인하는 단계(S11);를 더 포함하고, 위험설비(30)를 제어하는 단계는 위치 변화를 확인하는 단계에서 작업자의 위치가 위험영역 내부에 위치될 경우 위험설비(30)를 중지시킬 수 있다. (S12)
위치 변화를 확인하는 단계에서 작업자가 위험영역을 벗어나는 경우 위험설비(30)를 제어하는 단계(S14)는 위험설비(30)의 가동을 재개하도록 위험설비(30)를 제어할 수 있다.
위험설비(30)를 제어하는 단계 이후 경고발생장치(40)를 작동시키는 단계(S1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10 : 통신부
11 : 단말기
20 : 제어부
30 : 위험설비
40 : 경고발생장치

Claims (14)

  1. 산업현장의 위험설비 주변에 설치되고, 작업자의 단말기와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및
    위험설비의 가동을 제어하고, 통신부를 통해 파악된 작업자 단말기의 위치가 위험설비 주변의 위험영역에 다다른 경우 위험설비의 가동을 중지하며 작업자 단말기의 위치가 위험영역을 벗어나는 경우 위험설비의 가동을 재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산업현장 재해 방지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통신부는 GPS기능이 포함되어 위치 정보를 산출하는 단말기로부터 작업자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고, 제어부는 통신부로 수신된 작업자의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작업자가 위험영역의 진입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업현장 재해 방지 시스템.
  3. 청구항 1에 있어서,
    통신부는 기설정된 감지영역 내부에서 단말기와 무선 통신을 수행하여 단말기의 위치 변화를 확인하고, 확인된 위치 변화를 제어부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업현장 재해 방지 시스템.
  4. 청구항 3에 있어서,
    통신부는 단말기와 무선 통신을 수행하여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좌표축 선상으로 위치를 감지하고, 제어부는 단말기의 이동 정보를 기반으로 작업자가 위험영역의 진입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업현장 재해 방지 시스템.
  5. 청구항 3에 있어서,
    통신부는 복수개가 위험영역에 인접하게 마련되며, 기설정된 감지영역이 중첩되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업현장 재해 방지 시스템.
  6. 청구항 3에 있어서,
    통신부는 위험영역의 높이보다 더 높은 위치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업현장 재해 방지 시스템.
  7. 청구항 3에 있어서,
    제어부는 통신부에서 수신한 작업자의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작업자가 위치한 위험영역의 위험설비만 가동을 중지시키고, 이외의 위험영역은 작업을 가동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업현장 재해 방지 시스템.
  8. 청구항 1에 있어서,
    통신부는 단말기와의 무선 통신을 통해 기설정된 감지영역 내부에 작업자가 진입한 것을 확인하고, 제어부는 통신부에서 작업자의 진입이 확인되면, 위험설비의 가동을 중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업현장 재해 방지 시스템.
  9. 청구항 1에 있어서,
    통신부는 단말기로부터 무선 통신을 통해 긴급정지신호를 수신하고, 제어부는 통신부에서 긴급정지신호가 수신되면 위험설비의 가동을 중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업현장 재해 방지 시스템.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제어부는 위험설비의 가동을 중지시 경고발생장치를 동시에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업현장 재해 방지 시스템.
  11. 작업자의 단말기와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단계; 및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단계를 통해 파악된 작업자 단말기의 위치가 위험설비 주변의 위험영역에 다다른 경우 위험설비의 가동을 중지하며 작업자 단말기의 위치가 위험영역을 벗어나는 경우 위험설비의 가동을 재개하도록 위험설비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산업현장 재해 방지 방법.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단계 이후 기설정된 감지영역 내부에서 단말기와 무선 통신을 통해 단말기의 위치 변화를 확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위험설비를 제어하는 단계는 위치 변화를 확인하는 단계에서 작업자의 위치가 위험영역 내부에 위치될 경우 위험설비를 중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업현장 재해 방지 방법.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위치 변화를 확인하는 단계에서 작업자가 위험영역을 벗어나는 경우 위험설비를 제어하는 단계는 위험설비의 가동을 재개하도록 위험설비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업현장 재해 방지 방법.
  14. 청구항 11에 있어서,
    위험설비를 제어하는 단계 이후 경고발생장치를 작동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업현장 재해 방지 방법.
KR1020210116029A 2021-09-01 2021-09-01 산업현장 재해 방지 시스템 및 방법 KR2023003327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6029A KR20230033279A (ko) 2021-09-01 2021-09-01 산업현장 재해 방지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6029A KR20230033279A (ko) 2021-09-01 2021-09-01 산업현장 재해 방지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33279A true KR20230033279A (ko) 2023-03-08

Family

ID=855080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16029A KR20230033279A (ko) 2021-09-01 2021-09-01 산업현장 재해 방지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33279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36157A (ko) 2011-06-08 2012-12-18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다중 주파수를 사용한 산업재해 감시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36157A (ko) 2011-06-08 2012-12-18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다중 주파수를 사용한 산업재해 감시 시스템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707320B1 (en) Managing remote control of an elevator system
CA2955215C (en) Bluetooth zone control using proximity detection
KR101587591B1 (ko) 광산 통합 중앙관리 시스템
CN104995125A (zh) 起重机及相关操作方法
AU2018204440B2 (en) A remote isolation system and mobile device for use in the remote isolation system
CN107150342B (zh) 一种工业机器人及其工业机器人避障系统
CN109502439A (zh) 受限进入区域安全系统
CN112106002B (zh) 工地中的区通道控制
CN110161987A (zh) 用于保护人员免受自主操作机器影响的系统
KR20230033279A (ko) 산업현장 재해 방지 시스템 및 방법
KR20120057684A (ko) 열차 접근 경보 보안 시스템 및 방법
CN107082334B (zh) 一种载重设备安全预警防护系统及方法
KR101775392B1 (ko) 송배전설비 보안 및 안전관리시스템
KR101999206B1 (ko) 스마트펜스를 사용한 작업장 안전관리 시스템 및 방법
CN207973432U (zh) 一种多功能起重安全预警防护系统
KR101773834B1 (ko) 비콘을 이용한 출입 및 위험 관제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20127479A (ko) 산업현장 안전관리 시스템
KR101357444B1 (ko) 발전소 안전 시스템
KR101957982B1 (ko) 비콘태그를 이용한 안전활동 스마트 tbm 시스템
CN115705050A (zh) 智能巡检机器人系统
KR20220155710A (ko) 유해 가스 관리 시스템
KR102619208B1 (ko) 협착사고 방지용 안전장치 및 이를 구비한 천장 크레인 시스템
KR20200065682A (ko) 설비 비상 정지 시스템
KR20190113222A (ko) 스마트폰을 활용한 건설 현장 안전 관리 시스템 및 관리 방법
CN113924191B (zh) 自动保护通过移动操作装置控制的机器人系统运行的方法和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