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35052A - IoT 식별값을 이용한 보안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IoT 식별값을 이용한 보안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35052A
KR20180035052A KR1020160125046A KR20160125046A KR20180035052A KR 20180035052 A KR20180035052 A KR 20180035052A KR 1020160125046 A KR1020160125046 A KR 1020160125046A KR 20160125046 A KR20160125046 A KR 20160125046A KR 20180035052 A KR20180035052 A KR 201800350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less device
wireless
image
candidate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250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현철
Original Assignee
(주)노르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노르마 filed Critical (주)노르마
Priority to KR10201601250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35052A/ko
Publication of KR201800350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3505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14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detecting or protecting against malicious traffic
    • H04L63/140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detecting or protecting against malicious traffic by monitoring network traffic
    • H04L67/16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51Discovery or management thereof, e.g. service location protocol [SLP] or web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Abstract

일 실시예에 따르면, 영상을 획득하는 영상 획득부; 무선 디바이스와 엑세스 포인트(AP)간에 송수신 되는 무선 신호를 감지하여, 무선 데이터 - 무선 디바이스에 대한 식별정보와 무선 신호에 대한 신호의 세기를 포함함 - 를 획득하는 센서; 및 영상 획득부에 의해 획득한 영상 및 영상에 대한 메타 데이터 - 영상을 수집한 시간을 포함하는 데이터 - 와 센서에 의해 수집된 무선 데이터를 전송받고, 전송 받은 메타 데이터와 무선 데이터를 분석하여 타겟 무선 디바이스 - 보안에 위협이 되는 무선 디바이스 - 를 선별하는 서버;를 포함하는 IoT 식별값을 이용한 보안 시스템이 개시된다.

Description

IoT 식별값을 이용한 보안 시스템 및 방법{Security system and method using IoT Identification Value}
본 발명은 IoT 식별값을 이용한 보안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안을 위해서 설치되는 CCTV가 제 역할을 하지 못하는 경우가 다수 존재하고 있으며, CCTV 파손으로 인한 불안감 조성되고 있으나 이를 대처하기 위한 해결책은 없는 실정이다. 또한, CCTV 등 보안 카메라가 없는 지역 또는 CCTV를 통하여 사물의 위치 및 형태를 구분하기 어려운 장소에 대한 범죄를 막기 위한 실질적 장치가 마련되어 있지 않으며, 고성능의 CCTV를 이용하더라도 범죄자가 복면을 쓰는 등 CCTV를 우회하는 방법이 존재하며 이를 통해 범죄자의 인상착의 및 행동들을 파악하기가 용의하지 않아 실질적으로 범죄를 예방하는데 도움을 주기가 힘들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무단 침입자를 실시간으로 특정할 수 있는 보안 시스템 및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IoT를 이용하여 기존 CCTV와 같은 영상 획득장치의 한계를 보완할 수 있는 보안 시스템 및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기존 CCTV와 같은 영상 획득장치의 해킹을 막을 수 있는 보안 시스템 및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IoT 식별값을 이용한 보안 시스템에 있어서,
영상을 획득하는 영상 획득부;
무선 디바이스와 엑세스 포인트(AP)간에 송수신 되는 무선 신호를 감지하여, 무선 데이터 - 무선 디바이스에 대한 식별정보와 무선 신호에 대한 신호의 세기를 포함함 - 를 획득하는 센서; 및
상기 영상 획득부에 의해 획득한 영상 및 영상에 대한 메타 데이터 - 영상을 수집한 시간을 포함하는 데이터 - 와 상기 센서에 의해 수집된 무선 데이터를 전송받고, 전송 받은 메타 데이터와 무선 데이터를 분석하여 타겟 무선 디바이스 - 보안에 위협이 되는 무선 디바이스 - 를 선별하는 서버;를 포함하는 IoT 식별값을 이용한 보안 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영상을 획득하는 단계;
무선 디바이스와 엑세스 포인트(AP)간에 송수신 되는 무선 신호를 감지하여, 무선 데이터 - 무선 디바이스에 대한 식별정보와 무선 신호에 대한 신호의 세기를 포함함 - 를 획득하는 단계;
획득한 상기 영상 및 영상에 대한 메타 데이터 - 영상을 수집한 시간을 포함하는 데이터 - 와 수집된 상기 무선 데이터를 분석하여 타겟 무선 디바이스 - 보안에 위협이 되는 무선 디바이스 - 를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IoT 식별값을 이용한 영상 획득부 보안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무단 침입자를 실시간으로 효과적으로 특정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oT 식별값을 이용한 보안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oT 식별값을 이용한 영상 보안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상의 본 발명의 목적들, 다른 목적들, 특징들 및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통해서 쉽게 이해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직접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 3의 구성요소가 게재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한편, 본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신호, 데이터, 또는 정보의 '전송', '통신', '송신','수신', '제공', 또는 '전달' 기타 이와 유사한 의미의 용어는 일 구성요소('구성요소 a')에서 다른 구성요소('구성요소 b')로 신호, 데이터, 또는 정보가 직접 전달되는 것뿐만 아니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구성요소 c)를 경유하여 구성요소 b로 전달되는 것도 포함된다.
본 명세서에서, '동작적으로 서로 관련'되어 있는 구성요소들은 서로 데이터를 송신 및/또는 수신하도록 유선 및/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있다고 이해되어야 한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구성요소 a')와 다른 구성요소('구성요소 b')가 '동작적으로 서로 관련' 되어 있다는 명시적인 표현이 없더라도, 구성요소 a가 구성요소 b로부터 출력되는 신호, 데이터, 또는 정보를 수신하여 자신(구성요소 a)의 동작을 수행하거나, 구성요소 a로부터 출력되는 신호, 데이터, 또는 정보를 구성요소 b가 수신하여 자신(구성요소 b)의 동작을 수행하고 있다면 구성요소 a와 구성요소 b는 '동작적으로 서로 관련'되어 있다고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아래의 특정 실시예들을 기술하는데 있어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은 발명을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작성되었다. 하지만 본 발명을 이해할 수 있을 정도로 이 분야의 지식을 갖고 있는 독자는 이러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이 없어도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인지할 수 있다. 어떤 경우에는, 발명을 기술하는 데 있어서 흔히 알려졌으면서 발명과 크게 관련 없는 부분들은 본 발명을 설명하는 데 있어 혼돈을 막기 위해 기술하지 않음을 미리 언급해 둔다.
그리고 이하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편의를 위해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oT 식별값을 이용한 보안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oT 식별값을 이용한 보안 시스템은 적어도 1개 이상의 영상 획득부와 적어도 1개 이상의 센서를 포함한다. 영상 획득부는 예를 들면 CCTV와 같은 것일 수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영상을 얻을 수 있는 장치라면 어떠한 장치라도 본원 발명에 적용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oT 식별값을 이용한 보안 시스템은 서버(1), 센서들(3: 3a, 3b, 3c), 및 영상 획득부들(5: 5a, 5b, 5c)을 포함한다. 한편, 설명의 목적을 위해서, 도 1 무선 디바이스와 근거리 통신(예를 들면, 와이파이 또는 블루투스 통신)을 하는 액세스 포인트들(AP: AP1, AP2, AP3)을 추가적으로 도시하였다.
서버(1)와 센서들(3: 3a, 3b, 3c)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고, 센서들(3: 3a, 3b, 3c)과 영상 획득부들(5: 5a, 5b, 5c)도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센서들(3: 3a, 3b, 3c)과 영상 획득부들(5: 5a, 5b, 5c)은 IoT(Internet of Things) 네트워크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IoT(Internet of Things) 네트워크는 예를 들면, 근거리 통신기술, WiFi, 3G/4G/LTE 와 같은 기반 기술에 의해 구축된다.
센서들(3: 3a, 3b, 3c)은 무선 데이터를 수집하는 장치들로서, 본원 명세서에서는 설명의 목적을 위해서, 제1 센서(3a), 제2 센서(3b), 및 제3 센서(3b)로 종종 구별하여 부르기로 하며, 영상 획득부들(5: 5a, 5b, 5c)은 영상을 획득하는 장치들로서, 본원 명세서에서는 설명의 목적을 위해서, 제1 영상 획득부(5a), 제2 영상 획득부(5b), 및 제3 영상 획득부(5b)로 종종 구별하여 부르기로 한다.
서버(1)는 무선 디바이스에 대한 영상과, 무선 디바이스에 부여된 식별값을 이용하여 무단 침입자를 선별한다. 구체적으로, 서버(1)는 영상 획득부들(5: 5a, 5b, 5c)에 의해 획득한 영상 및 영상에 대한 메타 데이터 - 영상을 수집한 시간을 포함하는 데이터 - 와 센서들(3: 3a, 3b, 3c)에 의해 수집된 무선 데이터를 전송받고, 전송 받은 메타 데이터와 무선 데이터를 분석하여 타겟 무선 디바이스 - 보안에 위협이 되는 무선 디바이스(무단 침입자가 소지한 무선 디바이스 - 를 선별한다.
예를 들면, 서버(1)는, 무선 디바이스에 대한 영상과, 무선 디바이스에 부여된 식별값을 이용하여 무단 침입자라고 추측되는 후보 무선 디바이스들을 1개 이상 선택하고, 후보 무선 디바이스들 중에서 무단 침입자로 간주할 수 있는 타겟 무선 디바이스를 1개 이상 선별한다.
무선 디바이스에 부여된 식별값은 무선 디바이스에 고유하게 부여된 맥 어드레스(Mac Address)이며, 예를 들면 와이파이 맥 어드레스 또는 블루투스 맥 어드레스 일 수 있다.
서버(1)는 영상 획득부들(5: 5a, 5b, 5c)에 의해 획득된 영상들에서 무단 침입자가 포함된 영상을 선택하고, 센서들(3: 3a, 3b, 3c)에 의해 수집된 무선 데이터에서 무단 침입자가 포함된 영상이 생성된 시간(도1을 참조하면, AM 2시 51분)을 기준으로 소정의 기간 동안 수집된 무선 디바이스들을 찾는다.
서버(1)는, 그렇게 찾은 무선 디바이스들을 후보 디바이스들로 간주하고, 후보 디바이스들의 상기 소정의 기간 동안의 이동경로나 신호의 세기를 토대로 타겟 무선 디바이스를 1개 이상 선별한다. 서버(1)는 센서들(3: 3a, 3b, 3c)의 신호 세기를 이용하여 이동경로를 확인할 수 있다.
서버(1)는 타겟 무선 디바이스의 소지자에 대한 서지정보 DB(무선디바이스의 식별값, 소지자의 성명, 주소, 연락처, ... 등이 매핑된 DB)를 이용하여 무단 침입자를 특정할 수 있을 것이다. 타겟 무선 디바이스의 소지자를 특정하는 것은, 서버(1)가 아닌 별도로 마련된 다른 서버(미 도시)에 의해서도 수행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서버(1)는 그렇게 별도로 마련된 다른 서버(미 도시)에게 타겟 무선 디바이스의 식별값을 제공하고, 식별값을 제공 받은 서버(미 도시)는 서지정보 DB를 이용하여 무단 침입자를 특정한다.
다른 예를 들면, 서버(1)는, 소정 기간 동안(예를 들면, 도난 추정시간이 2016년 8월1일 AM 2시 ~ 4시) 센서들(3: 3a, 3b, 3c)에 의해 수집된 무선 데이터를 이용하여 1차 후보 디바이스들을 1개 이상 선택하고, 이러한 1차 후보 디바이스들 중에서, 영상 획득부들(5: 5a, 5b, 5c)에 의해 획득된 영상들 중에 무단 침입자가 포함된 영상이 찍힌 시간(도1을 참조하면, AM 2시 51분)을 기준으로 소정의 시간 동안 수집된 무선 디바이스들(2차 무선 디바이스들)을 선택한다. 이후 무선 데이터에 포함된 신호의 세기 등을 이용하여 2차 무선디바이스들 중에 타겟 무선 디바이스를 선별한다.
무선 디바이스는 스마트폰, 스마트 워치, 태블릿 PC, PDA 폰 등과 같은 장치일 수 있다. 여기서, 스마트폰은 PC와 같은 기능과 더불어 고급 기능을 제공하는 휴대 전화를 의미하고, 스마트워치는 일반 시계보다 향상된 기능들을 장착하고 있는 임베디드 시스템 손목 시계를 의미하며, 태블릿 PC는 터치 스크린을 주 입력 장치로 장착한 휴대용 PC(퍼스널 컴퓨터)이고, PDA폰은 이동통신모듈이 구비된 PDA(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개인정보단말기)를 의미한다.
센서들(3: 3a, 3b, 3c)은 임의의 무선 디바이스와 엑세스 포인트(AP)간에 송수신 되는 무선 신호를 감지하여, 무선 데이터 - 무선 디바이스에 대한 식별정보와 무선 신호에 대한 신호의 세기를 포함함 - 를 획득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센서들(3: 3a, 3b, 3c)은 서버(1)와 유선으로 연결되고, 영상 획득부들(5: 5a, 5b, 5c)과는 스위치(미 도시)를 통하거나 또는 직접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된다.
센서들(3: 3a, 3b, 3c)은 임의의 무선 디바이스와 엑세스 포인트(AP)들 간에 송수신 되는 무선 신호를 감지하여, 무선 데이터를 수집하는 것 외에 추가적으로, 악성 트래픽으로 영상 획득부들(5: 5a, 5b, 5c)이나 서버(1)를 공격하는 공격자가 존재하면 공격자가 서버(1), 영상 획득부들(5: 5a, 5b, 5c), 또는 스위치(미 도시)와 통신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센서들(3: 3a, 3b, 3c) 중 적어도 하나의 센서는, 무선 디바이스에 와이파이 통신기능 또는 블루투스 통신기능이 오프(OFF)된 경우에, 그러한 와이파이 통신기능 또는 블루투스 통신기능을 온(ON) 시키는 동작도 수행할 수 있다. 즉, 센서들(3: 3a, 3b, 3c) 중 적어도 하나의 센서는 웨이크업 프레임을 주기적으로 송신하며, 이러한 웨이크업 프레임은 블루투스 기능을 온 시키거나 와이파이 기능을 온 시킬 수 있다. 블루투스 기능이 온 된 무선 디바이스는 호스트 명칭과 블루투스 맥 어드레스가 포함된 비콘을 브로드캐스팅하며, 센서들(3: 3a, 3b, 3c)은 브로드캐스팅되는 비콘을 수집하여 맥 어드레스를 획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센서들(3: 3a, 3b, 3c) 중 적어도 하나의 센서는 무선 디바이스에서 와이파이 기능 또는 블루투스 기능이 오프 된 경우라도, 와이파이 기능 또는 블루투스 기능을 온 시켜서 무선 디바이스에 대한 무선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
한편, 무선 디바이스들 중에는 와이파이 기능이 오프된 경우라도, 주기적으로 자신의 근처에 있는 액세스 포인트들을 확인하기 위해서 액세스 포인트들에게 패킷을 송신하는 경우(송신 주기가 무선 디바이스의 제조사별로 차이가 있음)가 있으며, 센서들(3: 3a, 3b, 3c)은 그러한 패킷으로부터 무선 디바이스의 식별값 및 패킷의 신호의 세기를 수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oT 식별값을 이용한 보안 시스템은, 음향 출력장치(미 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서버(1)는 타겟 무선 디바이스가 존재한다고 판단된 경우(즉, 타켓 무선 디바이스가 선별된 경우), 미리 준비된 음성 데이터를 음향 출력장치를 통해서 음향으로 출력한다. 무단 침입자는 그러한 음향을 듣고 침입을 멈출 수 있을 것이다. 미리 준비된 음성 데이터는 서버(1)에 구비된 저장장치(HDD와 같은 기억장치)에 저장되어 있거나, 음향 출력 장치에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oT 식별값을 이용한 영상 보안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oT 식별값을 이용한 영상 보안 방법은 영상을 획득하는 단계(S101), 무선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S102), 영상 데이터와 무선 데이터 - 무선 디바이스에 대한 식별정보와 무선 신호에 대한 신호의 세기를 포함 - 를 이용하여 영상 및 영상에 대한 메타 데이터 - 영상을 수집한 시간을 포함하는 데이터 - 및/또는 S102 단계에서 수집된 무선 데이터를 이용하여 후보 무선 디바이스를 선택하는 단계(S103), 후보 무선 디바이스에서 영상과 영상에 대한 메타 데이터 및/또는 S102 단계에서 수집된 무선 데이터를 이용하여 타겟 무선 디바이스를 선택하는 단계(S105)를 포함한다.
도 2의 실시예가 도 1의 시스템에 적용되었다고 가정하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oT 식별값을 이용한 영상 보안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1과 도 2를 모두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oT 식별값을 이용한 영상 보안 방법은 영상 획득부(5)가 영상을 획득하는 단계, 센서(3)가 무선 디바이스와 엑세스 포인트(AP)간에 송수신 되는 무선 신호를 감지하여, 무선 데이터 - 무선 디바이스에 대한 식별정보와 무선 신호에 대한 신호의 세기를 포함함 - 를 획득하는 단계; 획득한 영상 및 영상에 대한 메타 데이터 - 영상을 수집한 시간을 포함하는 데이터 - 와 수집된 무선 데이터를 서버(1)가 분석하여 타겟 무선 디바이스 - 보안에 위협이 되는 무선 디바이스 - 를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도 1과 도 2를 계속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oT 식별값을 이용한 영상 보안 방법은, 타겟 무선 디바이스 - 보안에 위협이 되는 무선 디바이스 - 를 선택하는 단계는 영상 획득부(5)가 소정의 시간 동안 획득한 영상에 나타난 무선 디바이스들 중에서 타겟의 후보가 되는 후보 무선 디바이스를 서버(1)가 선택하는 단계와, 서버(1)가 후보 무선 디바이스에서 타겟 무선 디바이스를 선별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도 1과 도 2를 계속 참조하면, 후보 무선 디바이스를 선택하는 단계는, 서버(1)가 후보 무선 디바이스의 이동경로와 신호의 세기를 참조하여, 후보 무선 디바이스에서 타겟 무선 디바이스를 선별하는 단계이다.
도 1과 도 2를 계속 참조하면, 서버(1)가 타겟 무선 디바이스가 존재한다고 판단한 경우, 미리 준비된 음성 데이터를 음향 출력장치(미 도시)를 통해서 음향으로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적 개념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적 개념은 상기의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적 개념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적 개념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 서버
3, 3a, 3b, 3c: 센서
5, 5a, 5b, 5c: 영상 획득부

Claims (11)

  1. IoT 식별값을 이용한 보안 시스템에 있어서,
    영상을 획득하는 영상 획득부;
    무선 디바이스와 엑세스 포인트(AP)간에 송수신 되는 무선 신호를 감지하여, 무선 데이터 - 무선 디바이스에 대한 식별정보와 무선 신호에 대한 신호의 세기를 포함함 - 를 획득하는 센서; 및
    상기 영상 획득부에 의해 획득한 영상 및 영상에 대한 메타 데이터 - 영상을 수집한 시간을 포함하는 데이터 - 와 상기 센서에 의해 수집된 무선 데이터를 전송받고, 전송 받은 메타 데이터와 무선 데이터를 분석하여 타겟 무선 디바이스 - 보안에 위협이 되는 무선 디바이스 - 를 선별하는 서버;를 포함하는 IoT 식별값을 이용한 보안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 정보는 무선 디바이스의 맥 어드레스인 것인, IoT 식별값을 이용한 보안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소정의 시간 동안 상기 영상 획득부에 의해 영상이 찍힌 무선 디바이스들 중에서 타겟의 후보가 되는 후보 무선 디바이스를 선택하는 동작과,
    후보 무선 디바이스에서 타겟 무선 디바이스를 선별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것인, IoT 식별값을 이용한 보안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후보 무선 디바이스의 이동경로와 신호의 세기를 참조하여, 상기 후보 무선 디바이스에서 타겟 무선 디바이스를 선별하는 것인, IoT 식별값을 이용한 보안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음향 출력장치;를 더 포함하며,
    상기 서버는 타겟 무선 디바이스가 존재하는 경우, 미리 준비된 음성 데이터를 상기 음향 출력장치를 통해서 음향으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식별값을 이용한 보안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상기 서버와 상기 영상 획득부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센서는 상기 서버와 유선으로 연결되고, 상기 센서는 상기 영상 획득부와 스위치를 통해서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며, 상기 센서는 악성 트래픽으로 공격하는 공격자가 존재하면 상기 공격자가 상기 서버, 상기 영상 획득부, 또는 상기 스위치와 통신하는 것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식별값을 이용한 보안 시스템.
  7. 영상을 획득하는 단계;
    무선 디바이스와 엑세스 포인트(AP)간에 송수신 되는 무선 신호를 감지하여, 무선 데이터 - 무선 디바이스에 대한 식별정보와 무선 신호에 대한 신호의 세기를 포함함 - 를 획득하는 단계;
    획득한 상기 영상 및 영상에 대한 메타 데이터 - 영상을 수집한 시간을 포함하는 데이터 - 와 수집된 상기 무선 데이터를 분석하여 타겟 무선 디바이스 - 보안에 위협이 되는 무선 디바이스 - 를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IoT 식별값을 이용한 영상 획득부 보안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 정보는 무선 디바이스의 맥 어드레스인 것인, IoT 식별값을 이용한 영상 획득부 보안 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타겟 무선 디바이스 - 보안에 위협이 되는 무선 디바이스 - 를 선택하는 단계는,
    소정의 시간 동안 획득한 상기 영상에 나타난 무선 디바이스들 중에서 타겟의 후보가 되는 후보 무선 디바이스를 선택하는 단계; 및
    후보 무선 디바이스에서 타겟 무선 디바이스를 선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IoT 식별값을 이용한 영상 획득부 보안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후보 무선 디바이스를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후보 무선 디바이스의 이동경로와 신호의 세기를 참조하여, 상기 후보 무선 디바이스에서 타겟 무선 디바이스를 선별하는 단계인, IoT 식별값을 이용한 영상 획득부 보안 방법.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타겟 무선 디바이스가 존재하는 경우, 미리 준비된 음성 데이터를 음향 출력장치를 통해서 음향으로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식별값을 이용한 영상 획득부 보안 방법.
KR1020160125046A 2016-09-28 2016-09-28 IoT 식별값을 이용한 보안 시스템 및 방법 KR2018003505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5046A KR20180035052A (ko) 2016-09-28 2016-09-28 IoT 식별값을 이용한 보안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5046A KR20180035052A (ko) 2016-09-28 2016-09-28 IoT 식별값을 이용한 보안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5052A true KR20180035052A (ko) 2018-04-05

Family

ID=619776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25046A KR20180035052A (ko) 2016-09-28 2016-09-28 IoT 식별값을 이용한 보안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35052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8239B1 (ko) * 2018-09-11 2019-08-07 주식회사 지성이엔지 스마트 방범 시스템
USD990594S1 (en) * 2019-02-15 2023-06-27 Marty Gilman, Inc. Sports goal target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8239B1 (ko) * 2018-09-11 2019-08-07 주식회사 지성이엔지 스마트 방범 시스템
USD990594S1 (en) * 2019-02-15 2023-06-27 Marty Gilman, Inc. Sports goal targe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12901B2 (en) Body camera
US10446000B2 (en) Detecting an intruder's wireless device during a break in to a premises
US20160007179A1 (en) Fire alarm apparatus interworking with mobile phone
US10952041B2 (en) Control device and method for processing a service using a plurality of sensor devices in a distributed manner while suppressing a communication load
CN106961655B (zh) 在无线通信系统中用于检测伪造通告器的装置和方法
US9906758B2 (en) Methods, systems, and products for emergency services
US10045156B2 (en) Physical security system and method
JP2013513336A5 (ko)
WO2021084519A1 (en) System for multi-path 5g and wi-fi motion detection
WO2014158778A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iltering devices within a security social network
WO2008067157A2 (en) Automatic discovery and classification of detectors used in unattended ground sensor systems
KR101356686B1 (ko) 산사태 경고 시스템 및 그 방법
US9978243B2 (en) Wandering notification server and wandering notification system
US20220369095A1 (en) System and method of tracking a mobile device
KR20180035052A (ko) IoT 식별값을 이용한 보안 시스템 및 방법
KR101793630B1 (ko) 스마트기기 간의 협업 방법 및 클라우드 서버
KR20150109624A (ko) 캐릭터형 감시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US11487836B2 (en) Sensory allegiance
CN107871376B (zh) 利用到无线设备的唤醒的cctv安防系统及方法
KR20160135138A (ko) 복수의 장소에 설치된 음성 분석 모듈을 이용하는 확장형 감시 장비
KR20180035046A (ko) IoT 식별값을 이용한 보안 시스템 및 방법
KR20180035056A (ko) 무선 디바이스의 웨이킹 업을 이용한 cctv 보안 시스템 및 방법
KR101557857B1 (ko) 무선침입방지시스템의 탐지장치
JP6596333B2 (ja) 介助支援システム
JP2009194483A (ja) 無線ネットワーク接続切替方法および装置、並びに情報受信方法および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