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05232A - 재난 신고 시스템 - Google Patents

재난 신고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05232A
KR20150005232A KR20130078863A KR20130078863A KR20150005232A KR 20150005232 A KR20150005232 A KR 20150005232A KR 20130078863 A KR20130078863 A KR 20130078863A KR 20130078863 A KR20130078863 A KR 20130078863A KR 20150005232 A KR20150005232 A KR 201500052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aster
information
vector
photographing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788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15434B1 (ko
Inventor
김균태
임명구
김구택
Original Assignee
한국건설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건설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건설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300788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15434B1/ko
Publication of KR201500052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52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154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154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1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at coastal zones; at river basins
    • Y02A10/40Controlling or monitoring, e.g. of flood or hurricane; Forecasting, e.g. risk assessment or mapp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재난 신고 시스템은, 재난발생 현장의 실사 이미지를 촬영하고, 촬영된 재난현장의 벡터촬영정보를 검출하는 휴대단말기와, 휴대단말기로부터 상기 실사 이미지와 벡터촬영정보가 수신되면, 3차원 공간정보 시스템에 접속하여, 상기 벡터촬영정보에 기초한 재난현장의 위치, 재난의 유형과 규모를 파악하는 재난관리 서버와, 재난관리 서버로부터 상기 파악된 재난현장에 관한 정보가 수신되면, 해당 재난현장의 재난 유형과 규모에 따라 사건을 접수하고 관련 방재팀을 출동시키는 소방방재 센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은, 언어적 표현없이 목격자가 재해현장을 촬영한 이미지와 촬영지점의 벡터촬영정보만으로 신고하도록 하고, 재난관리 서버는 3차원 공간정보를 활용하여 재난발생 지점과 재난 상태를 판단하고 신고접수를 처리하도록 하는 재난 신고 시스템을 구현하였다. 본 발명은 재해현장을 촬영한 이미지와 촬영지점의 벡터촬영정보만으로 신속하고 정확하게 재난 발생위치를 검출하고, 재난의 유형, 종류 규모 등을 쉽게 파악할 수 있으므로 지식이나 경험 그리고 언어장벽 없이 비언어적인 정보로 명확한 의사전달이 가능하기 때문에 신속한 초기 대응이 가능하다.

Description

재난 신고 시스템{DISASTER REPORTING SYSTEM AND METHOD}
본 발명은 재난 신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3차원 공간정보를 활용하는 재난 신고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산불, 화재, 산사태, 홍수, 지진, 도로 및 건축 구조물 붕괴 등과 같은 각종 재해재난은 예기치 못한 상황에서 발생하여 많은 인적, 물적 피해를 일으킨다.
일상생활에서 수시로 접하게 되는 재난은 신속한 초기 대응이 매우 중요하다. 대부분의 경우 재난은 목격자의 신고로 재난대응이 시작되는데, 보다 신속하게 재난대응을 하기 위해서는 정확한 재난지점과 재난상황을 신속하게 알려주는 것이 중요하다.
그러나, 종래의 재난신고 체계는 목격자(or 피해자)의 전화 또는 팩스를 통한 언어적 신고에 의해 이루어졌으며, 최근 시도되고 있는 영상정보를 통한 신고도 재난지점에 대한 명확한 설명이 없다면 재난위치 등을 인간의 판단에 전적으로 의존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또한, 기존의 재난신고 체계에 있어서, 대부분의 재난 목격자는 원거리에서 재난을 목격하게 되므로 그 지역에 익숙하지 않거나 인접 주변에 두드러진 육상 표시물(랜드마크(Landmark))이 없거나 외국어 사용으로 언어적 장벽이 있는 경우 재난 지점의 정확한 위치를 인지하고 설명하는데 어려움이 있고, 재난상황 설명도 주관적이라 정확한 재난정보를 전달하기 어려운 현실적인 문제들이 있다.
최근들어, 이 같은 재난신고 체계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비언어적인 매체인 영상정보와 실세계를 모방한 3차원 공간정보 기술(예: 3D GIS(3D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BIM(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등)를 가지고 재난 신고 시스템에 활용하려는 연구와 노력들이 진행되고 있다.
3차원 공간정보 기술의 하나인 3차원 지리정보 시스템(3D GIS, Three Dimension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은 3차원 모형화 기술을 적용한 지리정보 시스템이다. 지형과 인공 시설물을 3차원 정보로 구축하고 지리 정보 시스템(GIS) 및 증강현실 기술과 연동하여 공간 정보를 저장, 처리, 가공, 분석하는 시스템이다. U-시티, 전자 학습, 내비게이션 등 다양한 분야의 핵심 기술로 적용이 확대되고 있다.
그리고, BIM(Building Information Modeling)은 3차원 가상공간 모델링 시스템(or 모듈)의 하나로, 다차원 가상공간에 기획, 설계, 엔지니어링(구조, 설비, 전기 등), 시공 더 나아가 유지관리 및 폐기까지 가상으로 시설물을 모델링하는 과정을 말한다.
최근, 건물이나 빌딩을 설계하고 시공하는 과정에서, 건축물을 구성하는 객체들을 데이터화하여 수치 데이터를 만들며, 3차원의 디스플레이 효과를 볼 수 있도록 하는 3차원 가상공간 모델링 시스템(or 모듈)이 전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특히, 대형 건축물이나 구조물을 기획하는 프로젝트에서, 이 같은 3차원 가상공간 모델링 시스템(or 모듈)을 이용하여 기획하고 설계하는 것은 필수적인 사항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BIM은 건물을 데이터화하여 수치 데이터를 만들며, 3차원의 디스플레이 효과를 볼 수 있다. 단순한 선, 면 작업이 아닌 선의 시작과 끝점을 잇는 길이의 데이터가 발생되어지고 면은 닫힌 면의 기준으로 면적이 데이터화 된다. 그리고 길이와 면적의 데이터를 결합하면 체적 데이터를 얻을 수 있다.
BIM은 빌딩 객체들인 벽, 슬라브, 창, 문, 지붕, 계단 등이 각각의 속성을 표현하여 서로의 관계를 인지하고 건물의 변경요소들을 즉시 건물설계에 반영한다. 설계할 건물이 정형이든 비정형이든 상관없이, 건물을 지을 때 발생되어지는 데이터에 대하여 프로젝트 별, 프로세스 별로 호환, 공유를 통해 모든 단계의 정보를 통합 관리하고 활용한다.
이러한, 3차원 공간정보 기술들(예: 3D GIS(3D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BIM(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등)의 활용은 기존의 재난 신고 시스템의 단점을 개선하고 문제점들을 해결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종래, 3차원 공간정보 기술들을 활용한 재난신고 시스템은 단순히 평면적인 위치정보와 방위정보만을 활용하고 있어, 명확하게 재난지점을 확정할 수 없었다.
일상생활에서 수시로 접하게 되는 재난은 신속한 초기 대응이 매우 중요하다. 대부분의 경우 재난은 목격자의 신고로 재난대응이 시작되는데, 보다 신속하게 재난대응을 하기 위해서는 정확한 재난지점과 재난상황을 신속하게 알려주는 것이 중요하다.
그러나, 기존의 재난신고 체계에 있어서, 산악지역 또는 특정 인공 구조물이나 육상 표시물(랜드마크(Landmark))이 없는 들판에서 발생하는 재난의 경우, 신고가 접수되어도 정확한 위치 설명이 힘들어 신속한 초기 대응이 어렵다. 또한, 대부분의 재난 목격자는 원거리에서 재난을 목격하게 되므로 그 지역에 익숙하지 않거나 외국어 사용으로 언어적 장벽이 있는 경우 재난 지점의 정확한 위치를 인지하고 설명하는데 어려움이 있고, 갑작스럽게 재난을 당한 피해자는 상황 설명도 주관적이라 정확한 재난정보를 전달하기 어려운 현실적인 문제들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재난현장을 촬영하여 신고하면, 촬영된 이미지의 벡터촬영정보와 3차원 공간정보를 활용하여 재난발생 지점과 재난 상태를 판단하고 신고접수를 처리하는 재난 신고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부가적인 특성 및 이점들은 아래의 설명에 기재될 것이며, 부분적으로는 상기 설명에 의해 명백해지거나 본 발명의 실행을 통해 숙지 될 것이다. 본 발명의 목표 및 다른 이점들은 특히 아래 기재된 설명 및 부가된 도면뿐만 아니라 청구항에서 지적한 구조에 의해 구현될 것이다.
본 발명은, 언어적 표현없이 목격자가 재해현장을 촬영한 이미지와 벡터촬영정보만으로 신고하도록 하고, 재난관리 서버는 실세계를 모방한 3차원 공간정보를 활용하여 재난발생 지점과 재난 상태를 판단하고 신고접수를 처리하도록 하는 재난 신고 시스템을 구현하였다.
본 발명은 산악지역과 같이 광활한 지역에서 조난을 당하여 위치와 방향 그리고 조난지점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힘든 상황, 야간이나 악천후 상황, 그리고 외국어의 장벽으로 재난신고가 어려운 상황일 때 스마트폰과 같은 휴대용 단말기를 활용하여 비언어적 정보만으로 신고가 가능하도록 구현하였다.
본 발명은 재해현장을 촬영한 이미지와 벡터촬영정보만으로 신속하고 정확하게 재난 발생위치를 검출하고, 재난의 유형, 종류 규모 등을 쉽게 파악할 수 있으므로 지식이나 경험 그리고 언어장벽 없이 비언어적인 정보로 명확한 의사전달이 가능하기 때문에 신속한 초기 대응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천재지변이나 사고 등 재해재난상황에 대하여 효과적으로 수집 및 분류가 가능하고 또한 재난발생에 대해 대처하는 재난관리자가 이를 재난 대처 전략수립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재난 신고 시스템에 관한 블록 구성도.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에 관한 블록 구성도.
도3은 방위각의 개념을 나타내는 도면.
도4는 수직 기울기의 개념을 나타내는 도면.
도5는 수평 기울기의 개념을 나타내는 도면.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재난 신고 시스템의 동작 흐름도.
도7은 본 발명에 따른 이미지 촬영을 예시한 도면.
도8은 사용자의 터치에 따라 객체의 속성값을 디스플레이 하는 본 발명의 동작 예시도.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재난 신고 시스템은,
재난발생 현장의 실사 이미지를 촬영하고, 촬영된 재난현장의 벡터촬영정보를 검출하는 휴대단말기와, 휴대단말기로부터 상기 실사 이미지와 벡터촬영정보가 수신되면, 3차원 공간정보 시스템에 접속하여, 상기 벡터촬영정보에 기초한 재난현장의 위치, 재난의 유형과 규모를 파악하는 재난관리 서버와, 재난관리 서버로부터 상기 파악된 재난현장에 관한 정보가 수신되면, 해당 재난현장의 재난 유형과 규모에 따라 사건을 접수하고 관련 방재팀을 출동시키는 소방방재 센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재난관리 서버는 휴대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상기 실사 이미지를 참조하여 재난의 유형과 규모를 파악하고, 3차원 지리정보 시스템(3D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에 접속하고 상기 벡터촬영정보에 기초하여 재난현장의 주소 또는 지번 또는 좌표, 그리고 재난현장 주변의 지도정보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재난관리 서버는 상기 재난발생 현장이 건축 구조물인 경우 BIM(Building Information Modeling)시스템에 접속한 후 상기 BIM의 데이터베이스에서 상기 벡터촬영정보와 일치하는 3차원 모델을 검출하고, 상기 벡터촬영정보에 포함된 촬영위치정보, 방위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3차원 모델에서 단말 카메라(121)의 3차원 좌표를 검출하고, 상기 벡터촬영정보에 포함된 수직기울기 정보, 수평기울기 정보 그리고 상기 단말 카메라의 3차원 좌표를 참조하여, 상기 실사 이미지와 동일한 모델링 이미지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모델링 이미지에서 각각의 개별 객체들을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재난 신고 시스템은 상기 소방방재 센터로부터 3차원 모델링 이미지와 화재현장에 관한 정보를 제공받아, 상기 3차원 모델링 이미지 상의 각 객체들을 활성화시켜 단말화면에 출력하고, 객체들을 터치하는 사용자 입력이 감지되면 해당 객체의 속성정보들을 디스플레이하는 방재 작업자 단말기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재난 신고 시스템의 운용방법은,
단말이 재난발생 현장의 실사 이미지를 촬영하고, 벡터촬영정보 검출부를 통해 상기 촬영된 재난현장의 벡터촬영정보를 검출하는 과정과, 재난관리 서버가 상기 단말의 실사 이미지와 벡터촬영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실사 이미지를 참조하여 재난의 유형과 규모를 파악하는 과정과, 재난관리 서버가 3차원 지리정보 시스템에 접속하고 상기 벡터촬영정보에 기초하여 재난현장의 주소 또는 지번 또는 좌표, 그리고 재난현장 주변의 지도정보를 검출하는 과정과, 소방방재 센터가 재난관리 서버로부터 상기 파악 및 검출된 재난현장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면, 해당 재난현장의 재난 유형과 규모에 따라 사건을 접수하고 관련 방재팀을 출동시키는 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착안점은 재난현장을 촬영된 이미지와 그 이미지의 벡터촬영정보만으로 재난의 발생지점과 재난의 유형 그리고 규모를 파악하는 3차원 공간정보를 활용하는 재난 신고 시스템을 구현하는데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재난 목격자가 재난현장을 촬영된 이미지와 그 이미지의 벡터촬영정보(예: 촬영지점 위치정보, 카메라가 지향하는 방위각 정보, 카메라의 수직 기울기 각도 및 수평 기울기 각도 정보, 그리고 촬영지점과 재난현장까지의 거리정보 등)를 재난관리자(예: 재난 관리 서버)에 전송하고, 목격자로부터 정보를 수신한 재난관리자는 상기 수신 정보와 실세계를 모방한 3차원 공간정보 기술(예: 3D GIS(3D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BIM(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등)를 가지고 재난발생 지점의 위치를 추정하여 그 추정된 재난발생위치와 영상정보를 재난 신고정보로 활용하는 재난신고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재난 신고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재난 신고 시스템은 휴대단말기(100), 재난관리 서버(200), 그리고 소방방재 센터(6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재난 신고자가 재난발생 지점과 재난 상황을 언어적 표현대신에 비언어적 표현으로 전달하기 위해서는 영상정보(예: 사진)와 상기 영상정보(예: 사진)의 벡터촬영정보(예: 촬영지점 위치정보, 카메라가 지향하는 방위각 정보, 카메라의 수직 기울기 각도 및 수평 기울기 각도 정보, 그리고 촬영지점과 재난현장까지의 거리정보, 렌즈화각 정보 그리고 촬영 프레임 크기와 비율정보 등)를 재난관리자(200)에게 전송을 할 수 있어야 한다. 이 같은 재난 신고자의 정보들은 휴대단말기(100)를 통해 재난관리 서버(200)로 전달된다.
휴대단말기(100)는 재난발생 현장을 촬영하고, 촬영된 실사 이미지의 벡터촬영정보를 검출하여 상기 재난관리 서버(200)로 전달한다.
재난 신고자(예: 화재 목격자)는 단말(100)의 재난신고 어플리케이션(이하, '앱(App)'이라 한다)을 작동시켜 화재 발생지점을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정보(예: 사진)와 벡터촬영정보를 단순히 재난관리 서버(200)측에 전송함으로서 화재신고가 끝나게 되므로 무척 신속하고 간편하게 화재신고를 마칠 수 있다.
단말(100) 사용자는 재난신고 앱(app)을 안드로이드 마켓이나 앱스토어 등과 같은 어플리케이션 구입처를 통해 다운로드하여 해당 단말(100)에 인스톨(install)한다. 재난발생 현장에서, 사용자는 상기 재난신고 앱(app)을 실행시키는 것으로서, 재난현장의 실사 이미지를 촬영하고 촬영된 재난현장의 벡터촬영정보를 검출할 수 있다.
상기 재난관리 서버(200)는 휴대단말기(100)로부터 상기 실사 이미지(사진)와 벡터촬영정보가 수신되면, 재난의 유형과 규모를 파악하고 3차원 공간정보 시스템(예: 3D GIS(400, 3 Dimension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BIM(500,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등)에 접속하여, 재난현장에 관한 상세정보를 파악한다.
우선, 재난관리 서버(200)는 단말(100)로부터 수신된 상기 실사 이미지(사진)에 대한 영상인식 절차(process)를 통해 재난의 유형(예: 화재, 지진, 홍수, 산사태, 교통사고, 실족, 구조물 붕괴사고, 침몰 등)과 규모를 파악한다. 재난관리 서버(200)는 영상인식 프로세서를 채용하여, 상기 실사 이미지 상의 재난이 어떤 유형(예: 화재, 지진, 홍수, 산사태, 교통사고, 실족, 구조물 붕괴사고, 침몰 등)의 것인지, 그리고 그 규모가 어느 정도인지를 파악한다.
또한, 재난관리 서버(200)단에 별도의 영상인식 프로세서를 구비하지 않은 경우, 서버 운영자가 상기 실사 이미지 상의 재난이 어떤 유형(예: 화재, 지진, 홍수, 산사태, 교통사고, 실족, 구조물 붕괴사고, 침몰 등)의 것인지, 그리고 그 규모가 어느 정도인지를 파악하게 된다.
이후, 상기 재난관리 서버(200)는 3차원 지리정보 시스템(400, 3D GIS)에 접속한 후 상기 벡터촬영정보(예: 촬영지점 위치정보, 카메라가 지향하는 방위각 정보, 카메라의 수직 기울기 각도 및 수평 기울기 각도 정보, 그리고 촬영지점과 재난현장까지의 거리정보 등)에 기초하여 재난현장의 주소 또는 지번, 그리고 재난현장 주변의 지도정보를 검출한다.
만일, 상기 재난발생 현장이 건축 구조물인 경우 재난관리 서버(200)는 상기 3차원 지리정보 시스템(400, 3D GIS)에 접속 후, 3차원 가상공간 모델링 시스템(500, 이하, 'BIM(Building Information Modeling)시스템'이라 한다)에 접속하여 3차원 모델링 이미지를 추출한다.
재난관리 서버(200)는 BIM(Building Information Modeling)시스템(500)에 접속한 후 우선, BIM의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벡터촬영정보와 일치하는 3차원 모델을 검출하고, 상기 벡터촬영정보에 포함된 촬영위치정보와 방위각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단말 카메라(121)의 3차원 좌표를 검출한다.
그리고, 상기 벡터촬영정보에 포함된 수직기울기 정보, 수평기울기 정보, 거리정보, 상기 단말 카메라의 3차원 좌표를 참조하여, 재난현장의 3차원 모델링 이미지를 추출한다. 본 과정을 통해, 재난관리 서버(200)는 재난현장의 3차원 모델링 이미지를 추출하고, 추출된 3차원 모델링 이미지에서 각각의 개별 객체들을 검출한다.
상기 소방방재 센터(600)는 재난관리 서버(200)로부터 상기 추출된 3차원 모델링 이미지와 3차원 모델링 이미지 상의 개별객체들의 속성정보, 그리고 상기 파악된 재난현장에 관한 정보(예: 재난의 유형과 규모, 재난현장의 주소 또는 지번, 그리고 재난현장 주변의 지도정보, 재난현장의 3차원 좌표, 3차원 모델링 이미지 등)가 수신되면, 해당 재난현장의 재난 유형과 규모를 참조하여, 방재 메뉴얼에 따라 사건을 접수하고 관련 방재팀을 재난현장으로 출동시킨다. 소방방재 센터(600)는 현장으로 출동하는 방재팀(예: 소방팀)의 단말(700)측에, 상기 서버(200)로부터 수신한 3차원 모델링 이미지, 3차원 모델링 이미지 상의 개별객체들의 속성정보, 화재현장에 관한 정보(예: 재난의 유형과 규모, 재난현장의 주소 또는 지번, 그리고 재난현장 주변의 지도정보, 재난현장의 3차원 좌표 등)를 제공한다.
상기 방재팀의 단말(700)은 소방방재 센터(600)로부터 상기 3차원 모델링 이미지, 3차원 모델링 이미지 상의 개별객체들의 속성정보, 화재현장에 관한 정보가 제공되면, 상기 3차원 모델링 이미지를 단말화면에 디스플레이 하고, 3차원 모델링 이미지 상의 각 객체들(예: 계단, 난간, 엘리베이터 등)을 활성화시킨다.
일단, 상기 3차원 모델링 이미지 상의 각 객체들이 활성화되면, 화면상에서 사용자가 객체를 선택(터치)하는 것만으로, 해당 객체의 속성정보들(예: 정격중량, 운행정보, 제조원, 규격, 모터제원, 시공정보 등)은 단말(700) 화면에 디스플레이 된다.
사고현장에 투입된 방재 작업자(예: 소방수)는 단말(700) 화면 상의 객체를 선택(터치)하는 것만으로, 3차원 모델링 이미지를 조작하여 화재현장의 구조를 파악하고 객체(또는 구조물)의 속성정보들을 볼 수 있으므로, 보다 빠르고 효과적인 방재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에 관한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로서, 휴대단말기(100)와 방재자 단말기(700)의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기(100, 700)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테블릿 컴퓨터, 노트북 컴퓨터(notebook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 (Portable Multimedia Player) 등 이동형 단말기일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상기 휴대단말기(100, 700)가 스마트 폰(smart phone)인 것으로 가정하고 설명한다.
도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기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110), A/V(Audio/Video) 입력부(120), 사용자 입력부(130), 센싱부(140), 출력부(150), 메모리(160), 인터페이스부(170), 제어부(180), 전원 공급부(190) 및 벡터촬영정보 검출부(300) 등의 구성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포함"의 의미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추가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한다. 이는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상기 무선 통신부(110)는 휴대단말기(100)와 무선통신(or 이동통신) 시스템 간의 무선통신 또는 휴대단말기(100)와 휴대단말기(100)가 위치한 네트웍간의 무선통신을 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수신 모듈(111), 이동통신 모듈(112), 무선 인터넷 모듈(113), 근거리 통신 모듈(114), 그리고 위치정보 모듈(115)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선 인터넷 모듈(113)(or 이동통신 모듈(112))은 상기 관리서버(200) 와 통신하는 통신모듈을 말한다. 적용가능한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이 있다.
상기 A/V(Audio/Video) 입력부(12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카메라(121)와 마이크(122) 등이 이에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카메라(121)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재산발생 현장을 촬영하여 실사 이미지를 생성한다. 또한,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이나 동영상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그리고,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카메라(121)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상기 메모리(160)에 저장되거나 무선 통신부(110)를 통해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상기 카메라 (121)는 단말기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피사체의 상을 결상시키는 렌즈 유닛과, 렌즈 유닛에 의해 결상된 상을 전기적 신호인 영상신호로 변환하는 촬상 소자를 포함한다. 촬상 소자는 결상된 피사체의 상을 광전 변환하는 소자로서, 씨씨디(CCD; charge coupled device) 촬상 소자나, 씨모스(CMOS; complementary MOS) 촬상 소자가 이용될 수 있다.
상기 마이크(122)는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상기 사용자 입력부(130)는 사용자가 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한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상기 사용자 입력부(130)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특히, 터치 패드가 후술하는 디스플레이부(151)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룰 때, 이를 터치 스크린이라 부를 수 있다.
상기 센싱부(140)는 휴대단말기(100)의 개폐 상태, 사용자 접촉 유무, 휴대단말기의 가속/감속 등과 같이 휴대단말기(100)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휴대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예를 들어 휴대단말기(100)가 슬라이드 폰 형태인 경우 슬라이드 폰의 개폐 여부를 센싱할 수 있다. 또한, 전원공급부(190)의 전원공급 여부, 인터페이스부(170)의 외부기기 결합여부 등과 관련된 센싱 기능을 담당한다.
또한, 상기 인터페이스부(170)는 휴대단말기(100)가 외부 크래들(cradle)과 연결될 때 상기 크래들로부터의 전원이 휴대단말기(100)에 공급되는 통로가 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상기 크래들에서 입력되는 각종 명령신호가 휴대단말기(100)로 전달되는 통로가 될 수 있다. 상기 크래들로부터 입력되는 각종 명령신호 또는 상기 전원은 상기 외부 전자기기가 상기 크래들에 정확히 장착되었음을 인지하기 위한 신호로 동작될 수도 있다.
상기 출력부(15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디스플레이부(151), 음향출력 모듈(152), 알람부(153)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는 통화에 관련된 정보는 물론, 휴대단말기 (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 출력한다. 예를 들어 휴대단말기(100)가 검출한 벡터촬영정보나 관리서버(200)의 처리 데이터를 표시하고, 통화모드인 경우 통화에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한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그리고 휴대단말기(1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51)는 2개 이상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휴대단말기(100)에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부들이 하나의 면에 이격되거나 일체로 배치될 수 있고, 또한 서로 다른 면에 각각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51)와 터치동작을 감지하는 센서(이하, '터치 센서'라 함)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는 경우(이하, '터치 스크린'이라 함)에, 디스플레이부(151)는 출력장치 이외에 입력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예를 들어, 터치 필름, 터치 시트, 터치 패드 등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음향출력 모듈(152)는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1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16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한다. 또한, 음향출력 모듈(152)은 휴대단말기(100)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신호를 출력한다. 이러한 음향출력 모듈(152)에는 리시버(Receiver), 스피커 (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알람부(153)는 휴대단말기(100)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이벤트의 예로는 호 신호 수신, 메시지 수신, 키 신호 입력, 터치입력 등이 있다. 알람부(153)는 오디오 신호나 비디오 신호 이외에 다른 형태로 예를 들어 진동으로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상기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는 디스플레이부(151)나 음성출력 모듈(152)을 통해서도 출력될 수 있어서, 그들(151, 152)은 알람부(153)의 일부로 분류될 수도 있다.
상기 메모리(160)는 제어부(18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폰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메모리(16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M, Random Access Memory)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OM, Read-Only Memory),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휴대단말기(100)는 인터넷(internet)상에서 메모리(16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를 운영할 수도 있다.
상기 제어부(180)는 통상적으로 휴대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며, 상기 각 구성요소들(110 내지 190, 300)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벡터촬영정보 검출, 음성 또는 화상통화, 데이터 통신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제어부(180)는 상기 무선 통신부(110)를 통해 관리서버(200)와 각종 정보들(예: 실사 이미지, 벡터촬영정보, 식별값, 속성값 등)의 송수신을 수행한다.
상기 전원 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상기 벡터촬영정보 검출부(300)는 재난발생 현장에 대한 벡터촬영정보를 검출한다. 이때, 벡터촬영정보란 카메라(121)가 촬영한 촬영대상 즉 피사체를 특정할 수 있는 정보로서, 촬영 시점의 시간정보, 카메라(121)의 3차원 위치에 대한 촬영위치정보, 카메라(121)의 렌즈 축이 향하는 방위에 대한 방위정보, 카메라(121)의 렌즈 축이 중력 방향에 대하여 기울어진 수직기울기 정보, 및 촬영 영상의 수평축이 지평선에 대하여 기울어진 수평 기울기 정보를 포함하는 정보로서, 추가로 카메라(121)에서 피사체까지의 거리인 거리정보, 휴대단말기의 사용자 정보(예: 휴대단말기의 시리얼 번호 또는 모델번호, 전화번호 등), 촬영된 이미지의 메타 파일정보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벡터촬영정보에 포함되는 각 정보들은 모두 특정 촬영시점에 계측된 정보이다. 상기 벡터촬영정보로서, 렌즈화각 정보 그리고 촬영 프레임 크기와 비율정보가 제어부(180)를 통해 검출될 수 있다. 상기 메타 파일정보는 촬영된 이미지 파일의 헤더에 포함되는 정보로서, 상기 촬영 시점의 시간정보, 촬영위치정보, 방위정보 등이 메타 파일로부터 검출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벡터촬영정보 검출부(300)는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치 검출부(310), 방위각 검출부(320), 수직기울기 검출부(330), 수평기울기 검출부(340), 및 거리 검출부(3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위치 검출부(310)는 촬영하는 장소의 위치 정보, 즉 카메라(121)의 3차원 위치 정보를 제공하며, 카메라(121)가 위치하는 지점의 경도(longitude), 위도(latitude), 고도(altitude)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상기 위치 검출부(310)는 일반적으로 이용되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GPS)에 의한 위치정보 외에도 센서 네트워크를 통한 위치정보, 이동통신을 통한 위치정보 등 다양한 방식을 이용하여 위치정보를 생성한다. GPS신호를 이용하는 경우 위치 검출부(310)는 GPS신호를 수신하고 이를 연산하여 위치정보를 생성하는 GPS 칩을 포함한다. 또는 위치 검출부(310)는 위치연산을 하지 않고 GPS 신호만을 저장하여 PC나 다른 외부장치를 통하여 위치정보를 획득할 수도 있다. 한편, 건물 내에서나 GPS신호가 수신이 원활하지 않은 곳에서는 단말(100)의 위치정보를 획득하기 힘들 수도 있는데, 이러한 경우 단말(100)의 태그 리더기를 이용할 수 있다. 건물 내나 실내의 어느 정해진 지점에 복수의 무선 태그를 설치하고, 그 설치된 태그를 읽는 방식으로 위치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위치 검출부(310)는 또한, 관성항법 기술을 활용하여 그 위치를 추적할 수 있다.
상기 방위각 검출부(320)는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메라(121)의 렌즈 축이 향하는 방위각을 나타내는 방위정보를 획득하며, 방위정보를 획득하기 위해 지자기 센서(방위각 측정센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방위각(α)이란 카메라(121)의 피사체(7)를 향한 렌즈 축이 진북(north)과 이루는 수평각, 즉 카메라(121)에서 촬영대상을 향한 방향이 진북과 이루는 수평각을 의미하며, 진북을 기준으로 시계방향으로 표현된다. 따라서, 방위각(α)은 0~360˚의 범위를 가질 수 있다. 도3은 방위각의 개념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기 수직기울기 검출부(330)는 수직 기울기를 계측하기 위한 것으로, 기울기 센서, 중력 센서, 또는 가속도 센서 등을 포함한다.
수직 기울기란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벡터촬영정보 생성 장치(100)에서 카메라(121)의 피사체(7)를 향한 렌즈 축이 중력방향과 이루는 각도(β)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상공에서 지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피사체를 촬영하는 경우 수직 기울기는 O˚이고, 지면에서 수직한 방향으로 상공을 촬영하는 경우 수직 기울기는 180˚이다. 도4는 수직 기울기의 개념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기 수평 기울기 검출부(340)는 수평 기울기를 계측하기 위한 것으로, 기울기 센서, 중력 센서, 또는 가속도 센서 등을 포함한다.
수평 기울기란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메라(121)가 촬영한 영상의 수평축이 지평선 방향과 이루는 각도(γ)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도5에서 피사체(7)를 촬영 중인 휴대단말기(100)는 시계 반대방향으로 γ˚ 만큼 기울어져 있다. 도5는 수평 기울기의 개념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기 수평기울기와 수직기울기 검출은 3D 중력센서 등 최신센서의 활용으로 수평기울기와 수직기울기 검출을 하나의 과정으로 처리할 수 있다.
상기 거리 검출부(350)는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메라(121)로부터 피사체까지의 거리(l)를 측정한 촬영거리정보를 제공하며, 피사체까지의 거리(l)를 측정하기 위해 적외선 거리측정 센서, 초음파 거리측정 센서, 및 레이져 거리 측정기 등 다양한 계측기를 이용할 수 있다.
이상의 벡터촬영정보 검출부(300)의 기능과 동작은 상기 제어부(180)와 연동된 것으로, 제어부(180)의 제어 하에 수행된다.
상기 벡터촬영정보 검출부(300)를 제어하는 제어부(180)의 기능과 동작은 상기 재난신고 앱(app)에 의해 소프트웨어적으로 구현가능하며, 이러한 제어부(240)를 소프트웨어적으로 구현한 재난신고 앱(app)은 안드로이드 마켓이나 앱스토어 등과 같은 어플리케이션 구입처에서 제공될 수 있고, 사용자는 앱(app)의 형태로 구현된 제어부(240)를 미리 다운로드하여, 휴대단말기(200))에 인스톨(install)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재난 신고 시스템의 동작방법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재난 신고 시스템의 동작 흐름도이고, 도7은 본 발명에 따른 이미지 촬영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6과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예: 재난현장 목격자)는 우선, 단말(100)의 카메라(121)를 구동시켜 촬영대상이 되는 피사체(예: 재난현장 또는 재난현장의 건축 구조물 등)들을 촬영하고, 그 피사체의 이미지를 생성한다. (S10)
그리고, 단말(100)은 촬영된 피사체(이하, '실사 이미지'라 한다)에 대한 벡터촬영정보를 검출한다. (S20) 단말(100)은 벡터촬영정보로서, 촬영시점의 시간정보, 카메라(121)의 3차원 위치에 대한 촬영위치정보, 카메라(121)의 렌즈 축이 향하는 방위에 대한 방위정보, 카메라(121)의 렌즈 축이 중력 방향에 대하여 기울어진 수직기울기 정보, 및 촬영 영상의 수평축이 지평선에 대하여 기울어진 수평 기울기 정보, 그리고, 단말(100)에서 피사체까지의 거리인 거리정보를 검출한다. 또한, 벡터촬영정보로서, 렌즈화각 정보, 촬영 프레임 크기와 비율정보를 검출할 수 있다.
이후, 단말(100)은 상기 촬영된 실사 이미지와 검출된 벡터촬영정보를 재난관리 서버(200)측으로 전송한다. (S30)
그리고, 재난관리 서버(200)는 일단 단말(100)측으로부터 건축물 또는 건축현장의 실사 이미지와 해당 벡터촬영정보가 수신되면, 소정의 영상인식 절차(process)를 통해 상기 수신된 실사 이미지(사진)로부터 재난의 유형(예: 화재, 지진, 홍수, 산사태, 교통사고, 실족, 구조물 붕괴사고, 선박 침몰 등)과 그 규모를 파악한다. (S40) 그리고, 3차원 지리정보 시스템(400, 3D GIS)에 접속한다.
재난관리 서버(200)는 상기 벡터촬영정보(예: 촬영지점 위치정보, 카메라가 지향하는 방위각 정보, 카메라의 수직 기울기 각도 및 수평 기울기 각도 정보, 그리고 촬영지점과 재난현장까지의 거리정보 등)에 기초하여 3차원 지리정보 시스템(400, 3D GIS)으로부터 재난현장의 주소 또는 지번, 그리고 재난현장 주변의 지도정보를 검출한다.
만일, 상기 재난발생 현장(예: 화재현장)이 건축 구조물인 경우 재난관리 서버(200)는 상기 정보들(예: 화재현장의 주소 또는 지번, 그리고 화재현장 주변의 지도정보)을 검출한 후, BIM(Building Information Modeling)시스템(500)에 접속한다.
BIM시스템(500)에 접속한 재난관리 서버(200)는 상기 벡터촬영정보에 포함된 촬영위치정보와 방위각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벡터촬영정보에 대응되는 건축 구조물을 검출한다. 재난관리 서버(200)는 우선, BIM의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벡터촬영정보와 일치하는 3차원 모델을 검출하고, 상기 벡터촬영정보에 포함된 촬영위치정보, 방위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단말 카메라(121)의 3차원 좌표를 검출한다. 즉, 해당 화재발생 건축물이 어느 지역에 소재하는지 그리고 화재가 발생한 구체적 현장이 그 건축물의 몇 층 몇 호(3차원 모델)인지 등을 검출한다.
재난관리 서버(200)는 또한, 상기 벡터촬영정보에 포함된 수직기울기 정보, 수평기울기 정보, 거리정보, 상기 단말 카메라의 3차원 좌표를 참조하여, 상기 단말측(100)으로부터 수신한 실사 이미지와 동일한 모델링 이미지를 추출한다. 본 과정을 통해, 본 발명은 재난현장의 3차원 모델링 이미지를 추출하고, 추출된 3차원 모델링 이미지에서 각각의 개별 객체들을 검출한다.
이후, 재난관리 서버(200)는 상기 추출된 3차원 모델링 이미지와 3차원 모델링 이미지 상의 개별객체들의 속성정보를 상기 파악된 화재현장에 관한 정보(예: 재난의 유형과 규모, 재난현장의 주소 또는 지번, 그리고 재난현장 주변의 지도정보, 재난현장의 3차원 좌표 등)와 함께 소방방재 센터(600)로 전송한다. (S50)
소방방재 센터(600)는 재난현장의 재난 유형(예: 화재발생)과 규모를 참조하여 소방방재 메뉴얼에 따라 사건을 접수하고 관련 방재팀(예: 소방팀)을 현장으로 출동시킨다. (S60~S70) 그리고, 소방방재 센터(600)는 현장으로 출동하는 방재팀(예: 소방팀)의 단말(700)측에, 상기 서버(200)로부터 수신한 3차원 모델링 이미지와 화재현장에 관한 정보(예: 재난의 유형과 규모, 재난현장의 주소 또는 지번, 그리고 재난현장 주변의 지도정보, 재난현장의 3차원 좌표 등)를 제공한다.
상기 방재팀의 단말(700)은 소방방재 센터(600)로부터 상기 3차원 모델링 이미지, 3차원 모델링 이미지 상의 개별객체들의 속성정보, 화재현장에 관한 정보가 제공되면, 상기 3차원 모델링 이미지를 단말화면에 디스플레이 하고, 3차원 모델링 이미지 상의 각 객체들(예: 계단, 난간, 엘리베이터 등)을 시각적으로 구분될 수 있도록 외곽선이 와이어프레임으로 강조되는 방법 등을 사용하여 활성화시킨다.
일단, 상기 3차원 모델링 이미지 상의 각 객체들이 활성화되면, 화면상에서 사용자가 객체를 선택(터치)하는 것만으로, 해당 객체의 속성정보들(예: 정격중량, 운행정보, 제조원, 규격, 모터제원, 시공정보 등)은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700) 화면에 디스플레이 된다. 도8은 사용자의 터치에 따라 객체의 속성값을 디스플레이 하는 본 발명의 동작 예시도이다. 도8의 b)는 단말화면의 객체들 중, 엘리베이터가 선택되었을 때, 엘리베이터의 속성정보(예: 정격중량, 운행정보, 제조원, 규격, 모터제원, 시공정보 등)를 디스플레이 한 것이다.
사고현장에 투입된 방재 작업자(예: 소방수)는 단말(700) 화면 상의 객체를 선택(터치)하는 것만으로, 3차원 모델링 이미지를 조작하여 화재현장의 구조를 파악하고 객체(또는 구조물)의 속성정보들을 볼 수 있으므로, 보다 빠르고 효과적인 방재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방재작업 완료 후 사고원인을 규명하는 작업에서, 작업자는 단말 화면 상의 객체를 선택(터치)하여, 화재현장의 구조물 또는 객체의 속성정보들(예: 정격중량, 운행정보, 제조원, 규격, 모터제원, 시공정보 등)을 열람할 수 있으므로, 신속하고 정확하게 사고원인을 규명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180)와 3차원 가상공간 모델링 시스템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상기 컴퓨터는 상기 제어부(180)와 3차원 가상공간 모델링 시스템을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들)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이상 기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언어적 표현없이 목격자가 재해현장을 촬영한 이미지와 촬영지점의 벡터촬영정보만으로 신고하도록 하고, 재난관리 서버는 3차원 공간정보를 활용하여 재난발생 지점과 재난 상태를 판단하고 신고접수를 처리하도록 하는 재난 신고 시스템을 구현하였다.
본 발명은 산악지역과 같이 광활한 지역에서 조난을 당하여 위치와 방향 그리고 조난지점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힘든 상황, 야간이나 악천후 상황, 그리고 외국어의 장벽으로 재난신고가 어려운 상황일 때 스마트폰과 같은 휴대용 단말기를 활용하여 비언어적 정보만으로 신고가 가능하도록 구현하였다.
본 발명은 재해현장을 촬영한 이미지와 촬영지점의 벡터촬영정보만으로 신속하고 정확하게 재난 발생위치를 검출하고, 재난의 유형, 종류 규모 등을 쉽게 파악할 수 있으므로 지식이나 경험 그리고 언어장벽 없이 비언어적인 정보로 명확한 의사전달이 가능하기 때문에 신속한 초기 대응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천재지변이나 사고 등 재해재난상황에 대하여 효과적으로 수집 및 분류가 가능하고 또한 재난발생에 대해 대처하는 재난관리자가 이를 재난 대처 전략수립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100 : 휴대단말기
110 : 무선통신부 120 : AV입력부
130 : 사용자 입력부 140 : 센싱부
150 : 출력부 160 : 메모리
170 : 인터페이스부 180 : 제어부
190 : 전원공급부 200 : 재난 관리 서버
300 : 벡터촬영정보 검출부 310 : 위치 검출부
320 : 방위 검출부 330 : 수직 기울기 검출부
340 : 수평 기울기 검출부 350 : 거리 검출부
400 : 3차원 지리정보 시스템(3D GIS)
500 : 3차원 가상공간 모델링 시스템 600 : 소방방재 센터
700 : 방재 작업자 단말기

Claims (11)

  1. 재난발생 현장의 실사 이미지를 촬영하고, 촬영된 재난현장의 벡터촬영정보를 검출하는 휴대단말기(100)와;
    휴대단말기(100)로부터 상기 실사 이미지와 벡터촬영정보가 수신되면, 3차원 공간정보 시스템에 접속하여, 상기 벡터촬영정보에 기초한 재난현장의 위치, 재난의 유형과 규모를 파악하는 재난관리 서버(200)와;
    재난관리 서버(200)로부터 상기 파악된 재난현장에 관한 정보가 수신되면, 해당 재난현장의 재난 유형과 규모에 따라 사건을 접수하고 관련 방재팀을 출동시키는 소방방재 센터(6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난 신고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단말기(100)는
    단말(100)의 카메라를 통해 재난현장의 실사 이미지를 촬영하는 카메라부(121)와;
    촬영된 재난발생 현장의 벡터촬영정보를 검출하는 벡터촬영정보 검출부(300)와;
    상기 촬영된 실사 이미지와 검출된 벡터촬영정보를 재난관리 서버(200)측으로 전송하는 무선통신부(110)와;
    각 객체들이 활성화된 실사 이미지를 단말화면에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 (151)와;
    단말(100)의 전반적인 동작과 상기 각 구성요소들(110, 121, 151, 300)을 제어하는 제어부(18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벡터촬영정보는 촬영지점 위치정보, 카메라(121)가 지향하는 방위각 정보, 카메라(121)의 수직 기울기 각도 및 수평 기울기 각도 정보, 그리고 단말(100)과 재난현장까지의 거리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난 신고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벡터촬영정보 검출부(300)는
    단말(100)의 촬영지점 위치를 검출하는 위치 검출부(310)와;
    카메라(121)가 지향하는 방위각을 검출하는 방위각 검출부(320)와;
    카메라(121)의 수직 기울기 각도를 검출하는 수직기울기 검출부(330)와;
    카메라(121)의 수평 기울기 각도를 검출하는 수평기울기 검출부(340)와;
    상기 단말(100)과 피사체까지의 거리를 검출하는 거리 검출부(35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난 신고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재난관리 서버(200)는
    단말(100)로부터 수신된 상기 실사 이미지를 참조하여 재난의 유형과 규모를 파악하고,
    3차원 지리정보 시스템(3D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에 접속하고 상기 벡터촬영정보에 기초하여 재난현장의 주소 또는 지번, 그리고 재난현장 주변의 지도정보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난 신고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재난관리 서버(200)는
    상기 재난발생 현장이 건축 구조물인 경우 BIM(Building Information Modeling)시스템(500)에 접속한 후 상기 BIM(500)의 데이터베이스에서 상기 벡터촬영정보와 일치하는 3차원 모델을 검출하고,
    상기 벡터촬영정보에 포함된 촬영위치정보, 방위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3차원 모델에서 단말 카메라(121)의 3차원 좌표를 검출하고,
    상기 벡터촬영정보에 포함된 수직기울기 정보, 수평기울기 정보 그리고 상기 단말 카메라의 3차원 좌표를 참조하여, 상기 실사 이미지와 동일한 모델링 이미지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모델링 이미지에서 각각의 개별 객체들을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난 신고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소방방재 센터(600)로부터 3차원 모델링 이미지, 3차원 모델 이미지 상의 개별객체들의 속성정보, 화재현장에 관한 정보를 제공받아, 상기 3차원 모델링 이미지 상의 각 객체들을 활성화시켜 단말화면에 출력하고, 객체들을 터치하는 사용자 입력이 감지되면 해당 객체의 속성정보들을 디스플레이하는 방재 작업자 단말기(7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난 신고 시스템.
  7. 단말(100)이 재난발생 현장의 실사 이미지를 촬영하고, 벡터촬영정보 검출부(300)를 통해 상기 촬영된 재난현장의 벡터촬영정보를 검출하는 과정과;
    재난관리 서버(200)가 상기 단말(100)의 실사 이미지와 벡터촬영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실사 이미지를 참조하여 재난의 유형과 규모를 파악하는 과정과;
    재난관리 서버(200)가 3차원 지리정보 시스템(400)에 접속하고 상기 벡터촬영정보에 기초하여 재난현장의 주소 또는 지번, 그리고 재난현장 주변의 지도정보를 검출하는 과정과;
    소방방재 센터(600)가 재난관리 서버(200)로부터 상기 파악 및 검출된 재난현장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면, 해당 재난현장의 재난 유형과 규모에 따라 사건을 접수하고 관련 방재팀을 출동시키는 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난 신고 시스템의 운용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100)은
    단말(100)의 카메라를 통해 재난현장의 실사 이미지를 촬영하는 카메라부(121)와;
    촬영된 재난발생 현장의 벡터촬영정보를 검출하는 벡터촬영정보 검출부(300)와;
    상기 촬영된 실사 이미지와 검출된 벡터촬영정보를 재난관리 서버(200)측으로 전송하는 무선통신부(110)와;
    각 객체들이 활성화된 실사 이미지를 단말화면에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 (151)와;
    단말(100)의 전반적인 동작과 상기 각 구성요소들(110, 121, 151, 300)을 제어하는 제어부(18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벡터촬영정보는 촬영지점 위치정보, 카메라(121)가 지향하는 방위각 정보, 카메라(121)의 수직 기울기 각도 및 수평 기울기 각도 정보, 그리고 단말(100)과 재난현장까지의 거리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난 신고 시스템의 운용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벡터촬영정보 검출부(300)는
    단말(100)의 촬영지점 위치를 검출하는 위치 검출부(310)와;
    카메라(121)가 지향하는 방위각을 검출하는 방위각 검출부(320)와;
    카메라(121)의 수직 기울기 각도를 검출하는 수직기울기 검출부(330)와;
    카메라(121)의 수평 기울기 각도를 검출하는 수평기울기 검출부(340)와;
    상기 단말(100)과 피사체까지의 거리를 검출하는 거리 검출부(35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난 신고 시스템의 운용방법.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재난발생 현장이 건축 구조물인 경우 상기 재난관리 서버(200)가 BIM(Building Information Modeling)시스템(500)에 접속한 후 상기 BIM(500)의 데이터베이스에서 상기 벡터촬영정보와 일치하는 3차원 모델을 검출하는 과정과;
    상기 벡터촬영정보에 포함된 촬영위치정보, 방위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3차원 모델에서 단말 카메라(121)의 3차원 좌표를 검출하는 과정과;
    상기 벡터촬영정보에 포함된 수직기울기 정보, 수평기울기 정보 그리고 상기 단말 카메라의 3차원 좌표를 참조하여, 상기 실사 이미지와 동일한 모델링 이미지를 추출하는 과정과;
    상기 추출된 모델링 이미지에서 각각의 개별 객체들을 검출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난 신고 시스템의 운용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방재 작업자의 휴대단말(700)이 상기 소방방재 센터(600)로부터 3차원 모델링 이미지, 3차원 모델 이미지 상의 개별객체들의 속성정보, 화재현장에 관한 정보를 제공받아, 상기 3차원 모델링 이미지 상의 각 객체들을 활성화시켜 단말화면에 출력하고, 객체들을 터치하는 사용자 입력이 감지되면 해당 객체의 속성정보들을 디스플레이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난 신고 시스템의 운용방법.
KR1020130078863A 2013-07-05 2013-07-05 재난 신고 시스템 KR1015154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8863A KR101515434B1 (ko) 2013-07-05 2013-07-05 재난 신고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8863A KR101515434B1 (ko) 2013-07-05 2013-07-05 재난 신고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5232A true KR20150005232A (ko) 2015-01-14
KR101515434B1 KR101515434B1 (ko) 2015-05-04

Family

ID=524771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78863A KR101515434B1 (ko) 2013-07-05 2013-07-05 재난 신고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15434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2029B1 (ko) * 2016-02-01 2017-02-02 주식회사 유진코어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방송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102013728B1 (ko) * 2018-12-10 2019-08-23 대한민국(행정안전부 국립재난안전연구원장) 재난 상황 정보 공유 장치 및 방법
KR102157201B1 (ko) * 2020-05-25 2020-09-17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사고기록정보와 이미지에 기반한 재난 상황 판단 방법 및 시스템
KR20210015624A (ko) * 2019-08-01 2021-02-1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드론 기반 재난상황 관제 방법 및 시스템
KR102234901B1 (ko) * 2020-07-30 2021-04-02 윤은희 사고 신고를 위한 모바일 단말기 및 그 방법
KR20220059791A (ko) * 2020-11-03 2022-05-10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Gps 및 지향 방위각 정보를 포함한 웨어러블 토양 현장조사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토양 현장조사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16742A (ja) 2002-01-22 2003-07-31 Digital Foundation:Kk 救急活動管理システムとその方法、そのためのプログラム
KR101175202B1 (ko) * 2011-03-31 2012-08-20 이호기술단(주) 실시간 화재 감지 및 모니터링 시스템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2029B1 (ko) * 2016-02-01 2017-02-02 주식회사 유진코어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방송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102013728B1 (ko) * 2018-12-10 2019-08-23 대한민국(행정안전부 국립재난안전연구원장) 재난 상황 정보 공유 장치 및 방법
KR20210015624A (ko) * 2019-08-01 2021-02-1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드론 기반 재난상황 관제 방법 및 시스템
KR102157201B1 (ko) * 2020-05-25 2020-09-17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사고기록정보와 이미지에 기반한 재난 상황 판단 방법 및 시스템
KR102234901B1 (ko) * 2020-07-30 2021-04-02 윤은희 사고 신고를 위한 모바일 단말기 및 그 방법
KR20220059791A (ko) * 2020-11-03 2022-05-10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Gps 및 지향 방위각 정보를 포함한 웨어러블 토양 현장조사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토양 현장조사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15434B1 (ko) 2015-05-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54688B1 (ko) 공사현장 감리 시스템 및 감리 방법
KR101515434B1 (ko) 재난 신고 시스템
TWI436035B (zh) 緊急應變導引系統以及導引伺服器
JP6525229B1 (ja) デジタルサーチ・セキュリティシステム、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1409964B1 (ko) 소방시설 점검용 모바일 증강현실 시스템 및 방법
US10832476B1 (en) Method and system for remote virtual visualization of physical locations
US11668577B1 (en) Methods and systems for response vehicle deployment
CN102682571A (zh) 信息处理装置、报警方法和程序
JP6529062B1 (ja) デジタルアキュレート・セキュリティシステム、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2011342B1 (ko) 소방 안전 점검 방법 및 시스템
JP7477483B2 (ja) 半導体装置及び位置移動算出システム
JP6886670B2 (ja) 建設現場端末、建設現場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JP4288302B1 (ja) 位置検出装置および位置検出プログラム並びに施設図面データ
KR101603227B1 (ko) 6d-360도 실감미디어 동영상정보를 이용한 실내공간 정보 제공방법
JP2015215766A (ja) 避難経路提供システム、避難経路提供方法、及び避難経路提供プログラム
US20220345869A1 (en) Early Alert and Location Intelligence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JP7197256B2 (ja) 通知システム、通知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6796000B2 (ja) 監視支援装置及び監視システム
US11334232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interactive maps
KR101674033B1 (ko) 삼차원 지도 기반 폐쇄회로 텔레비전 영상 매핑 시스템
TWM500331U (zh) 雲端協災系統
KR102234901B1 (ko) 사고 신고를 위한 모바일 단말기 및 그 방법
KR20160034833A (ko) 동적 ux를 이용한 통합 관제 시스템, 이의 제어 방법 및 이를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20180114474A (ko) 아파트 공사 현장의 감리 방법 및 시스템
JP2006155512A (ja) 情報端末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40711

Effective date: 20150326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6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