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03227B1 - 6d-360도 실감미디어 동영상정보를 이용한 실내공간 정보 제공방법 - Google Patents

6d-360도 실감미디어 동영상정보를 이용한 실내공간 정보 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03227B1
KR101603227B1 KR1020140144953A KR20140144953A KR101603227B1 KR 101603227 B1 KR101603227 B1 KR 101603227B1 KR 1020140144953 A KR1020140144953 A KR 1020140144953A KR 20140144953 A KR20140144953 A KR 20140144953A KR 101603227 B1 KR101603227 B1 KR 1016032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media
indoor space
smart device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449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은성
이대식
이상윤
이상구
Original Assignee
트라이콤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트라이콤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트라이콤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449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0322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32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32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222Studio circuitry; Studio devices; Studio equipment
    • H04N5/262Studio circuits, e.g. for mixing, switching-over, change of character of image, other special effects ; 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222Studio circuitry; Studio devices; Studio equipment
    • H04N5/2224Studio circuitry; Studio devices; Studio equipment related to virtual studio applic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 Navig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GPS 신호가 도달하지 않는 실내공간에서 이용자 등에게 특정위치에서의 위치정보, 이동정보 등 다양한 정보를 360도 입체동영상을 포함하는 증강현실로 구현하여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실내공간에서의 정보 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고정된 실내공간뿐 아니라 선박 등 이동하는 물체의 실내공간에서도 이용자의 정확한 위치를 파악할 수 있도록 위치정보와 입체공간 영상정보를 제공할 수 있고, 실제 시설물 내부 공간에 대한 360도 입체동영상에 각종 정보를 매핑하여 사용자가 실제와 동일한 환경에서 시설물을 사용 및 점검할 수 있으며, 피난 경로, 시설물 정보 등을 확인할 수 있어 재해 발생시 이용자의 피난 및 구난 대처가 용이하도록 돕는다.

Description

6D-360도 실감미디어 동영상정보를 이용한 실내공간 정보 제공방법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for indoor area by using the immersive media's video data based on 360 degree}
본 발명은 6D-360도 실감미디어 동영상정보를 이용한 실내공간 정보 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GPS 신호가 도달하지 않는 실내공간에서 이용자 등에게 특정위치에서의 위치정보, 이동정보 등 다양한 정보를 360도 입체동영상을 포함하는 증강현실로 구현하여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실내공간에서의 정보 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정한 위치에서 출발하여 이동방향, 위치 등을 탐색하기 위해서는 자신의 현재 위치를 정확하게 파악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며, 이는 도로, 산 등의 외부공간 뿐 아니라 복잡한 구조를 가진 실내공간에서도 마찬가지이다. 높은 정밀도를 가진 지도가 제공되어도 현재 위치를 알지 못한다면 이용할 수 없기 때문이다.
종래 자신의 현재 위치의 확인을 위해 위성을 이용한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장비가 이용되고 있다. 상기 GPS는 높은 정확도를 가지고 특정 위치정보를 제공할 수 있으므로 GPS를 통한 위치 정보와 자이로센서를 이용한 방향정보를 통해 차량 및 사람의 길안내를 위해 다양한 분야에서 이용되고 있다.
또한 카메라를 이용한 이미지 확보와 증강현실 UI와의 결합을 통해 특정 위치에서의 파노라마 이미지 구현으로 다양한 공간정보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 연구중에 있다.
다만 선박, 원자력 발전소, 지하구조물 등의 실내공간에서는 GPS 신호를 수신할 수 없으므로 이를 이용한 위치정보 확인 및 증강현실 UI 구현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실내 사용 불가한 GPS의 문제를 보완하기 위해, CDMA, WIFI 등의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특정 위치를 알아내는 방법이 이용되기도 하나, 상기 무선통신은 전파전송장비의 위치에 따른 개략적 위치정보만을 줄 뿐 정확도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공개특허 10-2013-0096785는 모바일 기기에 내재된 카메라 및 기능을 이용하여 건물 내부의 실제 이미지와 건물 내부 평면도를 결합, 실시간으로 이미지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공개특허는 GPS 신호를 이용하여 특정 위치를 기준점으로 잡고 건물의 내부를 파노라마로 촬영하여 자기센서를 이용하여 가상현실을 구현하는 것으로 건물 내부에서 대략적인 위치정보 및 가상 이미지를 확인할 수 있도록 돕는다.
그러나 상기 기술은 선박, 대형 항공기 등의 이동하는 물체에서는 적용할 수 없고, 가상현실을 위해 이미지정보를 저장함에 따라 사용자가 현실세계에서 증강현실 구현시 정지된 화면을 실사 영상과 대비하여 확인하게 되므로 현실감 및 현장감이 떨어지며, 재해로 인한 정전 등 이용자가 앞을 분간할 수 없는 상황 즉 실사영상을 구현할 수 없는 상황에서 쉽게 통로를 찾아 진행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 고정된 실내공간뿐 아니라 선박 등 이동하는 물체의 실내공간에서도 이용자의 정확한 위치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실내공간 정보 제공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실내공간의 동영상정보와 스마트 디바이스를 활용하여 선박 등의 이동하는 물체의 실내공간 또는 원자력발전소 등의 고정된 실내공간 모두에서 재난시 구조·구난 및 검사에 활용할 수 있는 입체형 영상기반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승객, 근무자 등에게도 위난시 탈출 및 수리를 위하여 증강현실 서비스를 제시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a) 구조물의 실내공간 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준점을 설정하는 단계; (b) 위치와 이동 경로를 측정하는 센서모듈이 구비된 360도 카메라를 이용하여 기준점에서 출발하여 입체동영상정보 및 360도 카메라의 위치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c) 상기 입체동영상정보 및 위치정보를 메인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d) 메인서버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실내공간 도면을 요청하여 전송받는 단계; (e) 메인서버에서 실내공간 도면에 상기 (a) 단계에서 설정된 기준점 위치를 매칭하는 단계; (f) 메인서버에서 실내공간 도면의 스케일에 따라 상기 실내공간 도면에 상기 위치정보 및 입체동영상정보를 매핑하여 실감미디어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g) 상기 실감미디어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h) 사용자의 스마트 디바이스에서 메인서버에 특정 위치의 실감미디어 정보를 요청하는 단계; (i) 메인서버에서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특정 위치의 실감미디어 정보를 전달받아 사용자의 스마트 디바이스에 전송하여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에 구비된 실감미디어 UI에 특정 위치에서의 실감미디어 정보를 구현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6D-360도 실감미디어 동영상정보를 이용한 실내공간 정보 제공방법을 제공한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상기 센서모듈은 가속도센서, 방향센서 또는 기울기센서 중 하나 이상의 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상기 (i) 단계에서, 사용자 스마트 디바이스의 실감미디어 UI에서 실감미디어 정보 중 기준점 정보를 확인하고 스마트 디바이스의 영상 촬영 수단에 의해 실제 기준점 영상 정보를 검출하여 스마트 디바이스의 위치를 실감미디어 정보의 위치 정보와 매칭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상기 사용자의 스마트 디바이스에는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의 이동 경로를 측정하는 센서모듈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상기 실감미디어 정보에는 실내공간 및 실내공간 내에 구비되는 객체들의 부가정보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상기 부가정보는 객체의 마커 정보와 연결되어 실감미디어 정보에 포함되고, 상기 사용자의 스마트 디바이스에는 마커를 검출하는 검출부가 구비되어, 상기 (i) 단계에서 검출부에 의해 인식된 마커에 대응되는 객체의 부가정보를 메인서버가 실감미디어 UI에 전송하여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실감미디어 정보에는 상기 부가정보의 태깅 정보가 삽입되고, 상기 태깅 정보는 실감미디어 UI에서 태그로 이미지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실감미디어 정보에는 실내공간 및 실내공간 내에 구비되는 객체들의 입체치수정보 또는 구조물재료정보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상기 부가정보는 보안 등급에 따라 분류되고, 사용자의 정보열람 권한에 따라 부가정보가 차등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상기 구조물은 선박, 지하시설물 또는 원전시설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6D-360도 실감미디어 동영상정보를 이용한 실내공간 정보 제공방법을 제공한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상기 실감미디어 정보에는 피난 경로 정보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6D-360도 실감미디어 동영상정보를 이용한 실내공간 정보 제공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고정된 건물의 실내뿐 아니라 이동하는 선박 등 GPS 신호 수신이 어려운 실내공간에서도 정확한 위치정보와 입체공간 영상정보를 제공할 수 있고, 실제 시설물 내부 공간에 대한 360도 입체공간영상에 각종 정보를 매핑하여 사용자가 실제와 동일한 환경에서 시설물을 사용 및 점검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선박이나 원전시설과 같이 위험 요소가 많고 구조가 복잡한 실내공간에서 사용자가 스마트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정확한 위치 정보와 피난 경로, 시설물 정보 등을 확인할 수 있으므로 재해 발생시 피난, 구난 대처 및 대테러대응 활동 등이 용이하다.
아울러 본 발명은 시설물 내 각종 자산들에 대한 위치 및 상세 정보를 실시간으로 확인하고 업데이트할 수 있으므로 체계적이고 효율적으로 자산을 관리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6D-360도 실감미디어 동영상정보를 이용한 실내공간 정보 제공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360도 입체동영상정보를 메인서버를 통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것에 관한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매핑을 위한 실내공간 평면도면 및 실공간의 정면 개략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감미디어 구현의 일 실시예의 개략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감미디어 구현의 다른 실시예의 개략도이다.
본 발명은 실내공간(100) 특정 위치의 전 영역을 동영상으로 촬영할 수 있는 360도 카메라(200), 상기 360도 카메라로 촬영하는 특정 위치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센서모듈(300), 상기 360도 카메라로 촬영한 입체동영상정보와 위치정보 및 도면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500), 상기 수집된 입체동영상정보와 위치정보 및 도면정보를 매핑할 수 있는 매핑모듈(410), 상기 매핑모듈(410)을 포함하며, 데이터베이스, 360도 카메라(200)로부터 수집된 정보 및 사용자의 스마트 디바이스(600)를 조율하여 사용자에게 현재의 위치정보 등을 제공하는 메인서버(4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6D(6 Directions)는 수평(X), 수직(Y), 깊이(Z), 피치(pitch), 요(yaw), 롤(roll)의 6자유도를 의미한다.
상기 실내공간(100)을 포함하는 구조물은 선박, 지하시설물, 원전시설, 항공기 등 실내공간을 가지는 다양한 형태의 구조물을 의미하며, GPS 신호가 차단되어 GPS를 이용한 위치확인이 불가능한 경우에 해당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6D-360도 실감미디어 동영상정보를 이용한 실내공간 정보 제공방법을 나타낸 순서도로, 본 발명은 기준점(110)을 설정하고 360도 카메라(200)를 이용하여 입체동영상정보 및 위치정보를 수집하여 메인서버(400)에 전송하고 이를 도면과 매핑함으로써 실감미디어 정보를 생성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입체동영상정보를 메인서버를 통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것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6D-360도 실감미디어 동영상정보를 이용한 실내공간 정보 제공방법을 진행 단계별로 설명한다.
(a) 구조물의 실내공간(100) 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준점(110)을 설정한다.
상기 기준점(110)은 위치확인을 위한 것으로, GPS 신호가 실내공간에 전달되지 못하므로 실내에서는 GPS를 위치확인에 이용할 수 없음에 따른 것이다.
비록 고정된 구조물의 경우에는 GPS로 외부에 기준점을 잡고 내부에서 대략적인 위치를 알 수 있도록 도면과 매칭시키는 것이 가능하나, 선박, 항공기 등 이동하는 물체의 경우에는 GPS를 이용한 기준점을 잡는 것이 불가능하므로, 실내공간(100)의 특정 위치에 기준점(110)을 설정한다.
상기 기준점(110)은 실내공간(100)의 입구, 출구 또는 중요한 지점에 하나 이상 설정될 수 있으며, 이를 이용하여 위치확인의 기준이 되도록 한다.
대형 선박 등 실내공간이 수 개의 층으로 이루어진 경우에는 각 층의 입구에 기준점(110)을 형성함으로써 각 층에서의 위치확인의 기준을 형성할 수 있으며, 후술하는 카메라를 이용한 위치정보 수집단계에서 얻어진 이동 경로에 따라 상기 각 층의 기준점과 비교함으로써 상기 각 기준점(110)이 어느 층에 위치하고 있는지를 알아낼 수 있다.
다음으로 (b) 위치와 이동 경로를 측정하는 센서모듈(300)이 구비된 360도 카메라(200)를 이용하여 기준점(110)에서 출발하여 입체동영상정보 및 360도 카메라(200)의 위치정보를 수집한다.
상기 센서모듈(300)은 가속도센서, 방향센서 또는 기울기센서 중 하나 이상의 센서를 포함하여 기준점(110)으로부터 이동한 경로를 통해 현재의 위치를 정확히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센서모듈(300)의 일 실시예로 타코미터(Tachometer)를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타코미터는 바퀴의 축의 회전수 또는 회전속도를 지시하는 측정기이며, 회전축과 연결되어 바퀴의 지름 및 회전수를 통해 이동거리를 제공함에 따라 타코미터를 이용하여 이동한 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
상기 방향센서 및 기울기센서는 360도 카메라(200)의 이동, 회전 또는 기울기에 따른 방향과 기울기를 측정하여 사용자의 현재위치를 정확히 파악하는 한편, 사용자가 현재위치에서 바라보는 지점의 위치도 정확히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360도 카메라(200)는 종래 도로, 건물 등에서는 360도로 돌아가며 연속되는 사진을 찍고 이들을 상호 연결함으로써 파노라마 이미지를 형성한 후 이를 이용하여 로드뷰 및 가상현실용 실내외 이미지를 제공하기 위해 이용되었으나, 본 발명에서는 동영상 촬영을 위하여 360도 카메라(200)를 이용함으로써 이미지의 연결이 아닌 실제 입체영상 구현을 위한 입체동영상정보를 제공한다.
360도 카메라(200)는 촬영자가 휴대할 수 있는 휴대형 또는 차량, 이동형 선반 등에 고정되는 거치형 중 어느 형태라도 무방하나, 상기 센서모듈(300)이 부착되어 이동거리, 방향, 기울기 등을 통해 360도 카메라의 정확한 위치가 파악되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c) 상기 입체동영상정보 및 위치정보를 메인서버(400)에 전송한다.
상기 정보의 전송은 통신모듈을 통해 이루어지며, 상기 통신모듈은 360도 카메라 자체에 연결되거나 카메라의 영상 저장부에 포함되어 메인서버(400)에 입체동영상정보 및 위치정보를 전송하도록 한다.
(d) 메인서버(400)가 데이터베이스(500)에 저장된 실내공간 도면을 요청하여 전송받는다.
상기 데이터베이스(500)는 360도 카메라로 촬영하고자 하는 실내공간(100)의 도면을 미리 저장하고 있어서 메인서버(400)의 요청에 즉각 해당하는 실내공간 도면을 메인서버(400)로 전송한다.
(e) 메인서버(400)에서 실내공간 도면에 상기 (a) 단계에서 설정된 기준점(110) 위치를 매칭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내공간 도면에 실 공간에서 설정된 기준점 위치를 매칭함으로써 위치정보를 제공하는 기준을 마련할 수 있고, 상기 기준점 위치로부터 이동하는 경우 이동하는 방향, 거리 등을 도면을 기초로 표현할 수 있게 된다.
(f) 메인서버(400)에서 실내공간 도면의 스케일에 따라 상기 실내공간 도면에 상기 위치정보 및 입체동영상정보를 매핑하여 실감미디어 정보를 생성한다.
상기 데이터베이스(500)에 저장된 실내공간 도면은 다양한 스케일로 표현되어 있을 수 있는바 이를 실제 크기에 맞게 확대하거나, 상기 위치정보 및 입체동영상정보를 실내공간 도면의 스케일에 맞추어 축소하여 실내공간 도면에 매핑하는 것으로 메인서버(400)에 포함된 매핑모듈(410)에서 이를 담당한다.
상기 매핑모듈(410)은 실감미디어 정보를 생성할 뿐만 아니라, 후술하는 사용자의 스마트 디바이스 등을 통해 실제 구현되는 실감미디어 정보가 실 공간 도면과 정확히 매칭되지 않는 경우 실감미디어 정보를 보완, 수정하여 보다 정확한 실감미디어 정보를 얻을 수 있도록 한다.
(g) 메인서버(400)는 상기 실감미디어 정보를 데이터베이스(500)에 저장한다.
매핑모듈(410)에 의해 생성된 정보 및 이를 업데이트한 정보 모두 데이터베이스(500)에 저장할 수 있으며, 업데이트된 정보가 실제 구현시 업데이트 전의 정보보다 부정확한 경우 메인서버(400)를 통해 업데이트된 정보를 폐기하는 것도 가능하다.
(h) 사용자의 스마트 디바이스(600)에서 메인서버(400)에 특정 위치의 실감미디어 정보를 요청한다.
(i) 메인서버(400)에서 데이터베이스(500)로부터 특정 위치의 실감미디어 정보를 전달받아 사용자의 스마트 디바이스(600)에 전송하여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에 구비된 실감미디어 UI(610)에 특정 위치에서의 실감미디어 정보를 구현한다.
이때 실내에서는 GPS 신호를 수신할 수 없으므로 사용자가 메인서버(400)로부터 수신받은 실감미디어 정보 중 실내공간 도면 정보를 확인하고, 기준점(110)을 찾아서 기준점에 해당하는 위치에 스마트 디바이스(600)를 위치시키고 기준점을 인식시키는 작업이 필요하다.
상기 기준점 인식작업은 처음 실감미디어 정보를 수신할 때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인식작업이 한번 이루어지면 이후에는 어느 위치에 사용자가 있더라도 다시 기준점 인식작업이 필요하지 않고 현재 위치에서 필요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실감미디어 UI(610)는 상기 기준점 인식 작업을 위해 음성 또는 화면상에서 기준점으로 사용자의 스마트 디바이스를 위치시키도록 유도하여, 사용자가 우선적으로 기준점 인식작업을 수행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기준점 인식작업은 (i) 단계에서, 사용자 스마트 디바이스(600)의 실감미디어 UI(610)에서 실감미디어 정보 중 기준점(110) 정보를 확인하고 스마트 디바이스(600)의 영상 촬영 수단에 의해 실제 기준점 영상 정보를 검출하여 스마트 디바이스(600)의 위치를 실감미디어 정보의 위치 정보와 매칭시켜 자동으로 설정되도록 한다.
이 경우에는 입체영상정보 수집과 동일한 방식으로 스마트 디바이스(600)로 기준점(110)을 먼저 검출하고 인식하여 스마트 디바이스(600)의 위치를 초기에 확인함으로써 이후에는 스마트 디바이스(600)의 센서모듈(630)을 통해 이동 경로를 확인하여 실시간으로 실감미디어 정보와 매칭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소지한 스마트 디바이스(600)에 구비된 영상 촬영수단에 의해 수집되는 영상자료 또는 후술하는 마커 정보 검출을 통해 실감미디어 정보와 매칭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사용자의 스마트 디바이스(600)에는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의 이동 경로를 측정하는 센서모듈(630)이 구비되며, 상기 센서모듈(630)은 전술한 가속도센서, 방향센서, 기울기센서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실감미디어 정보에는 실내공간(100) 및 실내공간(100) 내에 구비되는 객체(101)들의 부가정보가 포함된다.
상기 부가정보는 소화전, 비상약 등의 비품구비 정보, 이동경로를 나타내는 화살표 등을 포함하는 이동경로 정보, 특정 공간의 접근을 방지하기 위한 접근금지 정보, 각종 용품들의 종류 및 유지관리 정보 등 다양한 정보를 포함한다.
상기 부가정보는 객체의 마커(120)와 연결되어 실감미디어 정보에 포함되고, 상기 사용자의 스마트 디바이스(600)에는 마커(120)를 검출하는 검출부(620)가 구비되어, 상기 (i) 단계에서 검출부(620)에 의해 인식된 마커(120)에 대응되는 객체의 부가정보를 메인서버(400)가 실감미디어 UI(610)에 전송하여 디스플레이한다.
상기 검출부(620)는 스마트 디바이스(600)의 카메라 및 이미지 인식 프로그램이 이용될 수 있으며, 상기 이미지 인식 프로그램은 카메라로부터 얻어진 영상에서 마커(120)에 해당하는 이미지를 인식할 수 있다.
상기 마커(120)로 사용되는 이미지는 특정 위치의 실감미디어 생성시 매핑모듈(410)이 매핑할 때 함께 포함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스마트 디바이스(600)에서 상기 매핑된 영상에서 상기 마커(120)로 사용되는 이미지를 검출하여 그 마커(120)에 대응되게 입력된 정보를 제공하도록 한다.
상기 실감미디어 정보에는 피난 경로 정보, 목적지 탐색 정보, 소방점검 또는 검사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피난 경로 정보는 선박 등에 탑승할 때에 안전교육을 통해 제공되는 것에 그치지 않고 사용자의 스마트 디바이스(600)에서 실감미디어 UI(610)를 통해 구현시에도 제공되도록 함으로써 재난시 용이하게 피난할 수 있도록 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난 경로 정보의 제공의 일 실시예로 재난 발생시 통제실에 구비된 메인서버에서 재난 발생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수집된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 스마트 디바이스(600)의 실감미디어 UI(610)를 통해 재난 발생 위치에 접근하지 않도록 하는 접근금지 정보를 제공하며, 비상구 등 탈출할 수 있는 지점을 화살표 등으로 표시할 수 있다.
따라서 재난에 의한 정전, 연기 등으로 인하여 사용자가 실제 현장상황을 시야에서 확인할 수 없는 경우라 하더라도, 상기 실감미디어 UI(610)에서 제공되는 정보만으로 사용자가 신속, 용이하게 이동, 탈출하도록 도울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감미디어 구형의 다른 실시예의 개략도이다.
실내공간(100) 및 실내공간(100) 내에 구비되는 객체(101)들과 관련된 부가정보의 종류 및 양이 많은 경우 이러한 부가정보들을 효과적으로 전달하고 사용자가 검색 및 관리할 수 있도록 실감미디어 정보에 부가정보의 태깅 정보가 삽입될 수 있다.
이러한 태깅 정보는 실감미디어 UI에서 구현되는 실감미디어 정보에 태그로 이미지화되어 사용자가 부가정보의 개략적인 내용을 파악할 수 있고, 태그를 터치 또는 클릭하여 상세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감미디어 정보에는 실내공간(100)의 높이 및 폭, 실내공간(100) 내에 구비되는 각종 객체(101)들의 입체치수정보 또는 구조물재료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입체치수정보나 구조물재료정보는 실내공간(100) 및 실내공간(100) 내에 구비되는 객체(101)들의 유지보수, 교체 등 유지관리를 용이하게 하고, 더 나아가 구조, 구난이나 대테러활동 시 사용자에게 정확한 공간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부가정보에는 창호의 구조, 재질, 무게 등의 구조물재료정보와 창호의 높이 및 폭 등의 입체치수정보가 포함될 수 있으며, 대테러활동 시 인질 구출을 위해 창호를 폭파 또는 해체해야 할 경우 해당 창호의 부가정보를 통해 폭파 방법에 따른 파편 비산 거리, 소음 정도 등을 파악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가장 적합한 폭파 또는 해체 방법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인명 구조 후 대피 경로뿐 아니라 정확한 이동 거리를 미리 제공하여 안전한 구출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부가정보에는 일반인들에게 공개될 수 없는 보안이 요구되는 정보들이 포함될 수 있으므로 각 정보는 보안 등급에 따라 분류되고, 이러한 정보는 암호화되어 데이터베이스(500)에 보관된다.
사용자는 스마트 디바이스(600)를 통해 부여된 정보열람권한에 따라 메인서버(400)에 접근하여 승인된 보안 수준 내에서 부가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목적지 탐색 정보 제공의 일 실시예로, 사용자가 내부구조가 복잡한 선박이나 지하구조물 등에서 원하는 목적지를 찾아가려고 하거나 길을 잃었을 경우에 가고자하는 목적지를 사용자 스마트 디바이스(600)에서 키패드, 터치패드 등의 입력부를 통해 입력하면 메인서버(400)에서 원하는 목적지로 이동할 수 있도록 목적지 및 이동 경로를 표시하는 네비게이션 정보를 제공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선박검사 및 소방점검시 360도 카메라(200)로 촬영된 동영상정보 및 위치정보가 데이터베이스(500)에 저장되어 있으므로, 일정기간마다 수행하는 선박의 육안검사 및 소방점검을 실감미디어 UI(610)를 통해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으며, 구조변경 등 바뀐 부분을 용이하게 찾을 수 있으므로 더욱 안전한 선박, 시설물의 관리가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은 실내공간에 한정하여 설명하였으나, GPS 신호를 이용할 수 없는 상황에서의 외부시설, 도로 등에 있어서도 이용이 가능하며, GPS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경우에도 높은 정밀도로 현재의 위치를 확인하고 현장감 있는 동영상기반의 실감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구체적인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상기 실시 예는 본 발명을 이해하기 쉽도록 하기 위한 예시에 불과한 것이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치환, 부가 및 변형된 실시 형태들 역시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지는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 실내공간 101 : 객체
110 : 기준점 120 : 마커
200 : 360도 카메라 300, 630 : 센서모듈
400 : 메인서버 410 : 매핑모듈
500 : 데이터베이스 600 : 스마트 디바이스
610 : 실감미디어 UI 611 : 태그
620 : 검출부

Claims (11)

  1. (a) 구조물의 실내공간(100) 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준점(110)을 설정하는 단계;
    (b) 위치와 이동 경로를 측정하는 센서모듈(300)이 구비된 360도 카메라(200)를 이용하여 기준점(110)에서 출발하여 입체동영상정보 및 360도 카메라(200)의 위치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c) 상기 입체동영상정보 및 위치정보를 메인서버(400)에 전송하는 단계;
    (d) 메인서버(400)가 데이터베이스(500)에 저장된 실내공간 도면을 요청하여 전송받는 단계;
    (e) 메인서버(400)에서 실내공간 도면에 상기 (a) 단계에서 설정된 기준점 위치를 매칭하는 단계;
    (f) 메인서버(400)에서 실내공간 도면의 스케일에 따라 상기 실내공간 도면에 상기 위치정보 및 입체동영상정보를 매핑하여 실감미디어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g) 상기 실감미디어 정보를 데이터베이스(500)에 저장하는 단계;
    (h) 사용자의 스마트 디바이스(600)에서 메인서버(400)에 특정 위치의 실감미디어 정보를 요청하는 단계;
    (i) 메인서버(400)에서 데이터베이스(500)로부터 특정 위치의 실감미디어 정보를 전달받아 사용자의 스마트 디바이스(600)에 전송하여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600)에 구비된 실감미디어 UI(610)에 특정 위치에서의 실감미디어 정보를 구현하되, 사용자 스마트 디바이스(600)의 실감미디어 UI(610)에서 실감미디어 정보 중 기준점(110) 정보를 확인하고 스마트 디바이스(600)의 영상 촬영 수단에 의해 실제 기준점(110) 영상 정보를 검출하여 스마트 디바이스(600)의 위치를 실감미디어 정보의 위치 정보와 매칭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실감미디어 정보에는 실내공간(100) 및 실내공간(100) 내에 구비되는 객체(101)들의 부가정보가 객체의 마커(120) 정보와 연결되어 포함되고, 상기 사용자의 스마트 디바이스(600)에는 마커(120)를 검출하는 검출부(620)가 구비되어, 상기 (i) 단계에서 검출부(620)에 의해 인식된 마커(120)에 대응되는 객체의 부가정보를 메인서버(400)가 실감미디어 UI(610)에 전송하여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6D-360도 실감미디어 동영상정보를 이용한 실내공간 정보 제공방법.
  2. 제1항에서,
    상기 센서모듈(300)은 가속도센서, 방향센서 또는 기울기센서 중 하나 이상의 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6D-360도 실감미디어 동영상정보를 이용한 실내공간 정보 제공방법.
  3. 삭제
  4. 제1항에서,
    상기 사용자의 스마트 디바이스(600)에는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의 이동 경로를 측정하는 센서모듈(630)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6D-360도 실감미디어 동영상정보를 이용한 실내공간 정보 제공방법.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서,
    상기 실감미디어 정보에는 상기 부가정보의 태깅 정보가 삽입되고, 상기 태깅 정보는 실감미디어 UI에서 태그(611)로 이미지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6D-360도 실감미디어 동영상정보를 이용한 실내공간 정보 제공방법.
  8. 제1항에서,
    상기 실감미디어 정보에는 실내공간 및 실내공간 내에 구비되는 객체들의 입체치수정보 또는 구조물재료정보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6D-360도 실감미디어 동영상정보를 이용한 실내공간 정보 제공방법.
  9. 제1항에서,
    상기 부가정보는 보안 등급에 따라 분류되고, 사용자의 정보열람 권한에 따라 부가정보가 차등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6D-360도 실감미디어 동영상정보를 이용한 실내공간 정보 제공방법.
  10. 제1항에서,
    상기 구조물은 선박, 지하시설물 또는 원전시설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6D-360도 실감미디어 동영상정보를 이용한 실내공간 정보 제공방법.
  11. 제10항에서,
    상기 실감미디어 정보에는 피난 경로 정보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6D-360도 실감미디어 동영상정보를 이용한 실내공간 정보 제공방법.
KR1020140144953A 2014-10-24 2014-10-24 6d-360도 실감미디어 동영상정보를 이용한 실내공간 정보 제공방법 KR1016032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4953A KR101603227B1 (ko) 2014-10-24 2014-10-24 6d-360도 실감미디어 동영상정보를 이용한 실내공간 정보 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4953A KR101603227B1 (ko) 2014-10-24 2014-10-24 6d-360도 실감미디어 동영상정보를 이용한 실내공간 정보 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03227B1 true KR101603227B1 (ko) 2016-03-15

Family

ID=555422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44953A KR101603227B1 (ko) 2014-10-24 2014-10-24 6d-360도 실감미디어 동영상정보를 이용한 실내공간 정보 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03227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74877B1 (ko) * 2016-09-09 2017-09-05 한전케이디엔주식회사 전력설비 증강현실 제공 시스템
KR101844588B1 (ko) * 2017-02-08 2018-04-02 한림대학교 산학협력단 실내 측위를 이용한 영상 제공 장치 및 방법
KR101998364B1 (ko) 2018-11-16 2019-07-10 서울공간정보 주식회사 고정점과 vr을 활용한 지하시설물 정보 실시간 현장 확인 시스템
WO2021230824A1 (en) * 2020-05-15 2021-11-18 Buzz Arvr Pte. Ltd. Method for providing a real time interactive augmented reality (ar) infotainment system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81536A (ja) * 2000-12-15 2002-06-26 Tobishima Corp 写真測量サービスシステム
JP2010055150A (ja) * 2008-08-26 2010-03-11 Sakano Kazuhito 配送支援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荷物配送方法、管理サーバ、アドレスマッチングプログラム及びコンピュータ等で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KR20100111176A (ko) * 2009-04-06 2010-10-14 광운대학교 산학협력단 룩업 테이블과 영상의 공간적 중복성을 이용한 컴퓨터 형성 홀로그램 산출 방법 및 그 장치
KR20130096785A (ko) * 2012-02-23 2013-09-02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건물 내부 파노라마 이미지와 평면도가 결합된 서비스 제공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81536A (ja) * 2000-12-15 2002-06-26 Tobishima Corp 写真測量サービスシステム
JP2010055150A (ja) * 2008-08-26 2010-03-11 Sakano Kazuhito 配送支援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荷物配送方法、管理サーバ、アドレスマッチングプログラム及びコンピュータ等で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KR20100111176A (ko) * 2009-04-06 2010-10-14 광운대학교 산학협력단 룩업 테이블과 영상의 공간적 중복성을 이용한 컴퓨터 형성 홀로그램 산출 방법 및 그 장치
KR20130096785A (ko) * 2012-02-23 2013-09-02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건물 내부 파노라마 이미지와 평면도가 결합된 서비스 제공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74877B1 (ko) * 2016-09-09 2017-09-05 한전케이디엔주식회사 전력설비 증강현실 제공 시스템
KR101844588B1 (ko) * 2017-02-08 2018-04-02 한림대학교 산학협력단 실내 측위를 이용한 영상 제공 장치 및 방법
KR101998364B1 (ko) 2018-11-16 2019-07-10 서울공간정보 주식회사 고정점과 vr을 활용한 지하시설물 정보 실시간 현장 확인 시스템
WO2021230824A1 (en) * 2020-05-15 2021-11-18 Buzz Arvr Pte. Ltd. Method for providing a real time interactive augmented reality (ar) infotainment syste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90049B2 (en) Building structure discovery and display from various data artifacts at scene
US10878637B2 (en) Directional and x-ray view techniques for navigation using a mobile device
JP5255595B2 (ja) 端末位置特定システム、及び端末位置特定方法
CN102620737B (zh) 用于生成建筑物地图的便携式外壳
US9495783B1 (en) Augmented reality vision system for tracking and geolocating objects of interest
US8965688B2 (en) System and method for locating, tracking, and/or monitoring the status of personnel and/or assets both indoors and outdoors
KR100719765B1 (ko) 3차원의 초정밀 실시간 추적 및 위치파악 시스템 및 방법
CN107402000A (zh) 用于相对于测量仪器参照显示装置的系统和方法
JP6896688B2 (ja) 位置算出装置、位置算出プログラム、位置算出方法、及びコンテンツ付加システム
KR101603227B1 (ko) 6d-360도 실감미디어 동영상정보를 이용한 실내공간 정보 제공방법
WO2013051300A1 (ja) 被災状況把握システム
CN110741395B (zh) 现场命令视觉
US10896327B1 (en) Device with a camera for locating hidden object
US11395102B2 (en) Field cooperation system and management device
JP3569627B2 (ja) 画像上の位置判読装置
KR20150005232A (ko) 재난 신고 시스템
KR102252607B1 (ko) Gps-ar 기술을 이용한 굴착공사시 지하매설물 파손 예방 시스템
US10819883B2 (en) Wearable scanning device for generating floorplan
JP5076190B1 (ja) 被災状況把握システム
US9792701B2 (en) Method and system for determining a relation between a first scene and a second scene
Cheraghi et al. Real-time sign detection for accessible indoor navigation
CN109032330A (zh) 无缝桥接ar装置和ar系统
RU116628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фиксации на топографической карте участков магистральных нефтепроводов с опасными геологическими процессами по их внешним проявлениям
JP7467206B2 (ja) 映像管理支援システムおよび映像管理支援方法
EP3904900B1 (en) Method of and system for localizing a device within an environ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