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14474A - 아파트 공사 현장의 감리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아파트 공사 현장의 감리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14474A
KR20180114474A KR1020170046290A KR20170046290A KR20180114474A KR 20180114474 A KR20180114474 A KR 20180114474A KR 1020170046290 A KR1020170046290 A KR 1020170046290A KR 20170046290 A KR20170046290 A KR 20170046290A KR 20180114474 A KR20180114474 A KR 201801144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construction
work
unit
photograp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462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형석
Original Assignee
손형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손형석 filed Critical 손형석
Priority to KR10201700462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114474A/ko
Publication of KR201801144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447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8Construction
    • G06F17/5004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7/00Three dimensional [3D] modelling, e.g. data description of 3D objects

Abstract

본 발명은 아파트 공사 현장의 감리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아파트 공사 현장의 감리 방법 및 시스템{OMITTED}
본 발명은 아파트 공사 현장의 감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건물이나 빌딩을 설계하고 시공하는 과정에서, 건축물을 구성하는 객체들을 데이터화하여 수치 데이터를 만들며, 3차원의 디스플레이 효과를 볼 수 있도록 하는 3차원 가상공간 모델링 시스템(or 모듈)이 전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특히, 대형 건축물이나 구조물을 기획하는 프로젝트에서, 이 같은 3차원 가상공간 모델링 시스템(or 모듈)을 이용하여 기획하고 설계하는 것은 필수적인 사항으로 받아들여지고 있으며, 건설분야에서는 이를 'BIM'이라 부르고 있다.
BIM(Building Information Modeling)이란, 정보가 결합된 3차원 가상공간 모델링 시스템(or 모듈)의 하나로, 다차원 가상공간에 기획, 설계, 엔지니어링(구조, 설비, 전기 등), 시공 더 나아가 유지관리 및 폐기까지 가상으로 시설물을 모델링하고 속성정보를 담는 것을 말한다. BIM은 건축, 토목, 플랜트를 포함한 건설 전 분야에서 시설물 객체의 물리적 혹은 기능적 특성에 의해 시설물 생애주기 동안 의사결정을 하는 데 신뢰할 수 있는 근거를 제공하는 디지털 모델과 그 작성을 위한 업무 절차를 포함해 지칭한다. BIM은 건설 전 분야의 시설물을 구성하는 객체와 이에 대한 정보를 기반으로 구성되며 각각의 객체들은 형상정보(기하정보), 속성정보를 포함하고 다른 객체들과의 상호 연결관계를 가지고 형성된다. 이를 통해 2, 3차원의 가시화된 정보의 제공이 가능하며 객체의 치수 및 면적 등과 같은 물량산출을 위한 정보의 추출도 가능하다. BIM데이터는 건물을 구성하는 벽, 슬라브, 창, 문, 지붕, 계단 등과 같은 객체들과 이에 대한 속성을 포함하고 있다. 또한 각각의 객체들은 서로의 관계가 정의되어 있으므로 설계의 변경사항 발생시 관련된 요소들이 상호작용을 통해 도면 등으로 자동 반영될 수 있다. 또한, BIM 기술을 활용하면 대상 건물이 정형이든 비정형이든 관계없이, 건물을 지을 때 발생되는 모든 데이터를 프로젝트별, 프로세스별로 호환, 공유를 통해 모든 단계의 정보를 통합 관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아파트를 설계하고 시공하는 과정에서, 3차원 가상공간 모델링 시스템을 이용하여 공사를 진행하는 거대한 빌딩이나 구조물을 기획하는 프로젝트에서, 시공작업은 매우 복잡하게 진행되고, 감리는 작업 전에 매우 복잡하고 다양한 정보를 준비해야 하는 사전작업을 요구한다. 공사현장에서 이루어지는 시공과 감리작업에, 온라인 상의 3차원 가상공간 모델과 속성정보를 연동시 킬 수 있다면, 작업장은 보다 안전하며, 작업자는 편리하고 효과적인 작업 수행이 가능하게 될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아파트 공사 현장의 감리 방법 및 시스템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발명의 목적은 3차원 가상공간 모델링 시스템과 연동하는 휴대단말기를 이용하여 건축현황을 관리하고 감독하는 공사현장 감리 시스템 및 감리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에 관한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이다.
도2는 방위각의 개념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3은 수직 기울기의 개념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4는 수평 기울기의 개념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감리 시스템의 동작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건설 공사 관리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개시하기 위해서 본 발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도면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부호들은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는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자연스럽게 이해되거나 보다 분명해질 수 있으며, 하기의 기재만으로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목적, 특징 및 장점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말의 카메라를 통해 공사현장의 실사 이미지를 촬영하는 과정과, 촬영된 공사현장의 벡터촬영정보를 검출하는 과정과, 상기 촬영된 실사 이미지와 검출된 벡터촬영정보를 관리서버측으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관리서버가 3차원 가상공간 모델링 시스템의 데이터베이스에서 상기 벡터촬영정보와 일치하는 3차원 모델을 검출하고 검출된 3차원 모델에서 각각의 개별 객체들을 검출하는 과정과, 상기 실사 이미지 상의 각 객체들과 상기 3차원 모델의 개별 객체들을 각각 매칭시켜 매칭정보를 생성하는 과정과, 상기 검출된 3차원 모델의 속성값과 매칭정보를 단말측에 전달하는 과정과, 단말이 상기 실사 이미지에 상기 전송된 매칭정보를 결합하여 실사 이미지 상의 각 객체들을 활성화시키는 과정과, 각 객체들이 활성화된 실사 이미지를 단말화면에 출력한 후 객체들을 터치하는 사용자 입력이 감지되면, 해당 객체의 속성정보들을 디스플레이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 상기 3차원 모델에서 각각의 개별 객체들을 검출하는 과정은, 3차원 가상공간 모델링 시스템의 데이터베이스에서 상기 벡터촬영정보와 일치하는 3차원 모델을 검출하는 과정과, 상기 벡터촬영정보에 포함된 촬영위치정보, 방위정보, 촬영자세정보(수평기울기, 수직기울기), 렌즈화각 정보, 촬영 프레임 크기와 비율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3차원 모델에서 상기 단말 카메라와 동일한 시점에서 상기 실사 이미지와 동일한 모델링 이미지를 추출하는 과정과, 상기 추출된 모델링 이미지에서 각각의 개별 객체들을 검출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공사현장 감리를 위한 휴대단말기는 3차원 가상공간 모델 링 시스템을 이용하여 공사를 진행하는 공사현장에 있어서, 단말의 카메라를 통해 공사현장의 실사 이미지를 촬영하는 카메라부와, 촬영된 공사현장의 벡터촬영정보를 검출하는 벡터촬영정보 검출부와.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촬영된 실사 이미지와 검출된 벡터촬영정보를 관리서 버측으로 전송하는 무선통신부와, 상기 관리서버로부터, 3차원 모델의 속성값과 매칭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실사 이미지에 상기 전송된 매칭정보를 결합하여 실사 이미지 상의 각 객체들을 활성화시키는 제어부와, 각 객체들이 활성화된 실사 이미지를 단말화면에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단 말화면의 객체들을 터치하는 사용자 입력이 감지되면, 해당 객체의 속성정보들을 디스플레이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벡터촬영정보 검출부는 단말의 촬영지점 위치를 검출하는 위치 검출부와, 카메라가 지향하는 방위각을 검출하는 방위각 검출부와, 카메라의 수직 기울기 각도를 검출하는 수직기울기 검출부와, 카메라의 수평 기울기 각도를 검출하는 수평기울기 검출부와, 상기 단말과 피사체까지의 거리를 검출하는 거리 검출부를 포 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공사현장 감리 시스템은 3차원 가상공간 모델링 시스템을 이용하여 공사를 진행하는 공사현장에 있어서,공사현장의 실사 이미지를 촬영하고, 촬영된 공사현장의 벡터촬영정보를 검출하는 휴대단말기와, 휴대단말기로부터 상기 촬영된 실사 이미지와 검출된 벡터촬영정보가 수신되면, 3차원 가상공간 모델링 시스템의 데이터베이스에서 상기 벡터촬영정보와 일치하는 3차원 모델을 검출하고 검출된 3차원 모델에서 각각의 개별 객체들을 검출하고 상기 실사 이미지 상의 각 객체들과 상기 3차원 모델의 개별 객체들을 각각 매칭시켜 매칭정보를 생성하는 관리서버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휴대단말기는 관리서버로부터 상기 검출된 3차원 모델의 속성값과 매칭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실사 이미지에 상기 전송된 매칭정보를 결합하여 실사 이미지 상의 각 객체들을 활성화시키고 각 객체들이 활성화된 실사 이미지를 단말화면에 출력한 후 객체들을 터치하는 사용자 입력이 감지되면, 해당 객체의 속성정보들을 디스플레이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에 관한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이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110), A/V(Audio/Video) 입력부(120), 사용자 입력부(130), 센싱부(140), 출력부(150), 메모리(160), 인터페이스부(170), 제어부(180), 전원 공급부(190) 및 벡터촬영정보 검출부(300) 등의 구성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선 통신부(110)는 휴대단말기(100)와 무선통신(or 이동통신) 시스템 간의 무선통신 또는 휴대단말기 (100)와 휴대단말기(100)가 위치한 네트웍간의 무선통신을 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수신 모듈(111), 이동통신 모듈(112), 무선 인터넷 모듈(113), 근거리 통신 모듈(114), 그리고 위치정보 모듈(115)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선 인터넷 모듈(113)(or 이동통신 모듈(112))은 상기 관리서버(200) 와 통신하는 통신모듈을 말한다. 적용 가능한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이 있다. 상기 A/V(Audio/Video) 입력부(12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카메라(121)와 마이크(122) 등이 이에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카메라(121)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감리가 필요한 공사현장(예: 현장의 건축 구조물 등)을 촬영하여 실사 이미지를 생성한다. 또한,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이나 동영상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그리고,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 부(151)에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카메라(121)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상기 메모리(160)에 저장되거나 무선 통신부(110)를 통해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상기 카메라(121)는 단말기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피사체의 상을 결상시키는 렌즈 유닛과, 렌즈 유닛에 의해 결상된 상을 전기적 신호인 영상신호로 변환하는 촬상 소자를 포함한다. 촬상 소자는 결상된 피사체의 상을 광전 변환하는 소자로서, 씨씨디(CCD; charge coupled device) 촬상 소자나, 씨모스(CMOS; complementary MOS) 촬상 소자가 이용될 수 있다. 상기 마이크(122)는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상기 사용자 입력부(130)는 사용자가 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한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상기 사용자 입력 부(130)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특히, 터치 패드가 후술하는 디스플레이부(151)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룰 때, 이를 터치 스 크린이라 부를 수 있다.
상기 센싱부(140)는 휴대단말기(100)의 개폐 상태, 사용자 접촉 유무, 휴대단말기의 가속/감속 등과 같이 휴대 단말기(100)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휴대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예를 들어 휴대단말기(100)가 슬라이드 폰 형태인 경우 슬라이드 폰의 개폐 여부를 센싱할 수 있다. 또한, 전원공급부 (190)의 전원공급 여부, 인터페이스부(170)의 외부기기 결합여부 등과 관련된 센싱 기능을 담당한다.
또한, 상기 인터페이스부(170)는 휴대단말기(100)가 외부 크래들(cradle)과 연결될 때 상기 크래들로부터의 전원이 휴대단말기(100)에 공급되는 통로가 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상기 크래들에서 입력되는 각종 명령신호가 휴대단말기(100)로 전달되는 통로가 될 수 있다. 상기 크래들로부터 입력되는 각종 명령신호 또는 상기 전원은 상기 외부 전자기기가 상기 크래들에 정확히 장착되었음을 인지하기 위한 신호로 동작될 수도 있다.
상기 출력부(15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디스플레이부(151), 음향출력 모듈(152), 알람부(153)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는 통화에 관련된 정보는 물론, 휴대단말기 (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 출력한다. 예를 들어 휴대단말기(100)가 검출한 벡터촬영정보나 관리서버(200)의 처리 데이터를 표시하고, 통화모드인 경우 통화에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한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그리고 휴대단말기(1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51)는 2개 이상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휴대단 말기(100)에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부들이 하나의 면에 이격되거나 일체로 배치될 수 있고, 또한 서로 다른 면에 각각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51)와 터치동작을 감지하는 센서(이하, '터치 센서'라 함)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는 경 우(이하, '터치 스크린'이라 함)에, 디스플레이부(151)는 출력장치 이외에 입력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예를 들어, 터치 필름, 터치 시트, 터치 패드 등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음향출력 모듈(152)는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1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16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한다. 또한, 음향출력 모듈(152)은 휴대단말기(100)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신호를 출력한 다. 이러한 음향출력 모듈(152)에는 리시버(Receiver), 스피커 (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알람부(153)는 휴대단말기(100)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이벤트의 예로는 호 신호 수신, 메시지 수신, 키 신호 입력, 터치입력 등이 있다. 알람부(153)는 오디오 신호나 비디오 신호 이외에 다른 형태로 예를 들어 진동으로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상기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는 디스플레이부(151)나 음성출력 모듈(152)을 통해서도 출력될 수 있어서, 그들(151, 152)은 알람부(153)의 일부로 분류될 수도 있다.
상기 메모리(160)는 제어부(18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 (예를 들어, 폰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메모리(16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M, Random Access Memory)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OM, Read-Only Memory),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휴대단말기(100)는 인터넷(internet)상에서 메모리(16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를 운영할 수도 있다.
상기 제어부(180)는 통상적으로 휴대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벡터촬영정보 검출, 음성 또는 화상통화, 데이터 통신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제어부(180)는 상기 무선 통신부(11 0)를 통해 관리서버(200)와 각종 정보들(예: 실사 이미지, 벡터촬영정보, 식별값, 속성값 등)의 송수신을 수행한다. 제어부(180)는 관리서버(200)로부터 전체 속성값과 매칭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촬영된 실사 이미지에 상기 전송된 매칭정보를 결합하여 실사 이미지 상의 각 객체들의 외곽선이 화이어 프레임으로 강조되는 등의 방법으로 활 성화되도록 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151) 화면에 출력한다. 그리고, 실사 이미지 상의 활성화된 객체들을 터치하는 사용자 입력이 감지되면, 해당 객체의 속성정보들을 상기 디스플레이부(151) 화면에 출력한다.
상기 전원 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 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상기 벡터촬영정보 검출부(300)는 촬영대상(예: 건축물이나 건축현장의 각 객체(피사체))에 대한 벡터촬영정보 (카메라(121)와 피사체간의 벡터촬영정보)를 검출한다. 이때, 벡터촬영정보란 카메라(121)가 촬영한 촬영대상 즉 피사체를 특정할 수 있는 정보로서, 촬영 시점의 시간정보, 카메라(121)의 3차원 위치에 대한 촬영위치정보, 카메라(121)의 렌즈 축이 향하는 방위에 대한 방위정보, 카메라(121)의 렌즈 축이 중력 방향에 대하여 기울어진 수직기울기 정보, 및 촬영 영상의 수평축이 지평선에 대하여 기울어진 수평 기울기 정보를 포함하는 정보이다. 벡터촬영정보는, 추가로 카메라(121)에서 피사체까지의 거리인 거리정보, 렌즈화각 정보, 촬영 프레임 크기와 비율정보, 휴대단말기의 사용자 정보(예: 휴대단말기의 시리얼 번호 또는 모델번호, 전화번호 등), 촬영된 이미지의 메타 파일정보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벡터촬영정보에 포함되는 각 정보들은 모두 특정 촬영시점에 계측된 정보이다. 상기 렌즈화각 정보 그리고 촬영 프레임 크기와 비율정보는 제어부(180)를 통해 검출될 수 있다. 상기 메타 파일정보는 촬영된 이미지 파일의 헤더에 포함되는 정보로서, 상기 촬영 시점의 시간정보, 촬영위치정보, 방위정보 등이 메타 파일로부터 검출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벡터촬영정보 검출부(300)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치 검출부(310), 방위각 검출부(320), 수직기울기 검출부(330), 수평기울기 검출부(340), 및 거리 검출부(3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위치 검출부(310)는 촬영하는 장소의 위치 정보, 즉 카메라(121)의 3차원 위치 정보를 제공하며, 카메라 (121)가 위치하는 지점의 경도(longitude), 위도(latitude), 고도(altitude)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상기 위치 검출부(310)는 일반적으로 이용되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GPS)에 의한 위치정보 외에도 센서 네트워크를 통한 위치정보, 이동통신을 통한 위치정보 등 다양한 방식을 이용하여 위치정보를 생성한다. GPS신호를 이용하는 경우 위치 검출부(310)는 GPS신호를 수신하고 이를 연산하여 위치정보를 생성하는 GPS 칩을 포함한다. 또는 위치 검출부(310)는 위치연산을 하지 않고 GPS 신호만을 저장하여 PC나 다른 외부장치를 통하여 위치정보를 획득할 수도 있다. 한편, 건물 내에서나 GPS신호가 수신이 원활하지 않은 곳에서는 단말(100)의 위치정보를 획득하기 힘들 수도 있는데, 이러한 경우 단말(100)의 태그 리더기를 이용할 수 있다. 건물 내나 실내의 어느 정해진 지점에 복수의 무선 태그를 설치하고, 그 설치된 태그를 읽는 방식으로 위치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위치 검출부(310)는 또한, 관성항법 기술을 활용하여 그 위치를 추적할 수 있다.
상기 방위각 검출부(320)는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메라(121)의 렌즈 축이 향하는 방위각을 나타내는 방위 정보를 획득하며, 방위정보를 획득하기 위해 지자기 센서(방위각 측정센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방위각(α)이란 카메라(121)의 피사체(7)를 향한 렌즈 축이 진북(north)과 이루는 수평각, 즉 카메라(121)에서 촬영대상을 향한 방향이 진북과 이루는 수평각을 의미하며, 진북을 기준으로 시계방향으로 표현된다. 따라서, 방위각(α)은 0~360도의 범위를 가질 수 있다. 도2는 방위각의 개념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기 수직기울기 검출부(330)는 수직 기울기를 계측하기 위한 것으로, 기울기 센서, 중력 센서, 또는 가속도 센 서 등을 포함한다. 수직 기울기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벡터촬영정보 생성 장치(100)에서 카메라(121)의 피사체(7)를 향한 렌 즈 축이 중력방향과 이루는 각도(β)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상공에서 지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피사체를 촬영 하는 경우 수직 기울기는 O도이고, 지면에서 수직한 방향으로 상공을 촬영하는 경우 수직 기울기는 180도이다. 도3은 수직 기울기의 개념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기 수평 기울기 검출부(340)는 수평 기울기를 계측하기 위한 것으로, 기울기 센서, 중력 센서, 또는 가속도 센서 등을 포함한다. 수평 기울기란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메라(121)가 촬영한 영상의 수평축이 지평선 방향과 이루는 각도 (γ)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도4에서 피사체(7)를 촬영 중인 휴대단말기(100)는 시계 반대방향으로 γ도 만큼 기울어져 있다. 도4는 수평 기울기의 개념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기 수평기울기와 수직기울기 검출은 3D 중력센서 등 최신센서의 활용으로 수평기울기와 수직기울기 정보(촬영 자세정보) 검출을 하나의 과정으로 처리할 수 있다.
상기 거리 검출부(350)는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메라(121)로부터 피사체까지의 거리(l)를 측정한 촬영거리 정보를 제공하며, 피사체까지의 거리를 측정하기 위해 적외선 거리측정 센서, 초음파 거리측정 센서, 및 레이져 거리측정기등다양한 계측기를 이용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감리 시스템의 동작방법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단말(100)을 통해 공사현장에서 감리(예: 도면과 실제 시공이 일치하는지를 확인하는 업무 등)가 필 요한 피사체(예: 현장의 건축 구조물 등)를 촬영하고, 관리 서버(200)로부터 상기 촬영된 건축물(건축 구조물) 에 관한 속성정보들을 다운로드하여 단말화면에 디스플레이 한다. 공사현장의 사용자(예 : 감리자, 공사감독자, 검측원 등)는 상기 촬영된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되어 있는 단말화면에서, 원하는 객체를 선택(화면터치)하는 것만으로도, 해당 객체의 속성정보들(예: ID정보, 제조정보, 시공담당, 규격, 공정시한 등)을 열람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감리 시스템의 동작 흐름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예: 시공 감리자)는 우선, 단말(100)의 카메라(121)를 구동시켜 감리의 대상이 되는 피사체(예: 현장의 건축 구조물 등)들을 촬영하고, 그 피사체의 이미지를 생성한다. (S10)
그리고, 단말(100)은 촬영된 피사체(이하, '실사 이미지'라 한다)에 대한 벡터촬영정보를 검출한다. (S20) 단말 (100)은 벡터촬영정보로서, 촬영시점의 시간정보, 카메라(121)의 3차원 위치에 대한 촬영위치정보, 카메라(12 1)의 렌즈 축이 향하는 방위에 대한 방위정보, 카메라(121)의 렌즈 축이 중력 방향에 대하여 기울어진 수직기울기 정보, 및 촬영 영상의 수평축이 지평선에 대하여 기울어진 수평 기울기 정보, 그리고, 단말(100)에서 피사체까지의 거리인 거리정보를 검출한다. 또한, 벡터촬영정보로서, 렌즈화각 정보, 촬영 프레임 크기와 비율정보를 검출할 수 있다.
이후, 단말(100)은 상기 촬영된 실사 이미지와 검출된 벡터촬영정보를 관리 서버(200)측으로 전송한다. (S30)
그리고, 관리서버(200)는 일단 단말(100)측으로부터 건축물 또는 건축현장의 실사 이미지와 해당 벡터촬영정보가 수신되면, 수신된 벡터촬영정보를 참조하여 3차원 가상공간 모델링 시스템(이하, 'BIM(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모듈'이라 한다)의 데이터베이스에서, 수신된 벡터촬영정보에 대응되는 건축현장의 건축물들을 검출한다. (S40)
관리서버(200)는 우선, 상기 벡터촬영정보에 포함된 촬영위치정보와 방위정보, 그리고 렌즈화각 정보, 촬영 프레임 크기와 비율정보를 참조하여, 어느 지역에 소재하는 건축현장인지 그리고 그 건축현장 건축물에서 몇 층 몇 호의 작업물(3차원 모델)인지 등을 검출한다. 그리고, 상기 단말 카메라(121)의 3차원 좌표를 검출한다. 관리서버(200)는 또한, 상기 벡터촬영정보에 포함된 수직기울기 정보, 수평기울기 정보, 거리정보, 상기 단말 카메라의 3차원 좌표를 참조하여, 상기 단말측(100)으로부터 수신한 실사 이미지와 동일한 모델링 이미지를 추출한다. 본 과정을 통해, 본 발명은 실사 이미지와 동일한 촬영 거리 및 수평, 수직 뷰 포인트(view) 앵글을 갖는 모델링 이미지를 추출한다. 이때, 추출된 모델링 이미지는 2차원의 이미지가 될 것이다. 그리고, 상기 실사 이미지 상의 각 객체(예:창틀, 문, 문 위의 조각창틀 등)와 추출된 모델링 이미지 상의 객체들을 각각 매칭시켜 매칭정보를 생성한다. 이때, 매칭정보는 모델링 이미지 상 객체들의 좌표값을 실사 이미 지 상 객체들(예: 창틀, 문, 문위의 조각 창틀 등)의 좌표값에 매치시킨 것이다. 상기 생성된 매칭정보가 단말측(100)에 전달되면, 단말(100)은 상기 실사 이미지에 상기 전송된 매칭정보를 결합하여, 실사 이미지 상의 각 객체들(예: 창틀, 문, 문위의 조각 창틀 등)이 시각적으로 구분될 수 있도록 외곽 선이 와이어프레임으로 강조되는 방법 등을 사용하여 활성화되도록 한다. 실사 이미지 상의 각 객체들(예: 창틀, 문, 문위의 조각 창틀 등)이 활성화되면, 화면상에서 사용자가 객체를 선택(터치)하는 것만으로, 해당 객 체의 속성정보들(예: ID정보, 제조정보, 시공담당, 규격, 공정시한 등)은 단말화면에 디스플레이된다. 작은 규모의 공사현장(소규모 건축 프로젝트)의 경우, 상기 검출과정(S40)에서 간단하게 하나의 일치된 결과물이 검색되겠지만, BIM(Building Information Modeling)을 채용하는 건설/건축 프로젝트는 대개, 대규모의 대형 건축 프로젝트로서, 단말(100)에서 제공되는 벡터촬영정보를 대입하였을 때 적어도 둘 이상의 다수 개의 유사 결과물들이 서치(search)된다. 이와 같이 다수 개의 유사 결과물들이 서치(search)되는 경우, 관리서버(200)는 일단, 상기 검출된 서치 결과 (예: 3차원 모델들)를 단말측(100)에 제공하여, 사용자가 서치(search)된 결과물들 중 하나를 선택하도록 한다. (S50) 이때, 관리서버(200)는 전송되는 데이터 용량을 최소화하기 위해 상기 결과물들의 식별값만을 전송한다.
상기 결과물들의 식별값들이 관리서버(200)로부터 수신되면, 단말(100)은 수신된 식별값들을 화면에 표시하고, 사용자의 선택을 기다린다. (S60) 이후, 사용자가 해당 공사현장의 식별값(예: S3-A014-106D6F603)을 선택하면, 단말(100)은 상기 공사현장(S3-A014-106D6F603)의 전체 속성값을 관리서버(200) 측에 요청한다. (S70 ~ S80) 관리서버(100)는 단말(100)로부터 공사현장(S3-A014-106D6F603, 3차원 모델)의 전체 속성값을 요청하는 메시지가 수신되면,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단말측(100) 으로부터 기 수신한 벡터촬영정보를 참조하여 BIM 모듈 의 데이터베이스에서, 해당 실사 이미지에 대응되는 모델링 이미지를 추출한다. 그리고, 상기 실사 이미지 상의 각 객체(예: 창틀, 문, 문위의 조각창틀 등)와 추출된 모델링 이미지 상의 객체들을 각각 매칭시키는 매칭정보 를 생성한다.
관리서버(100)는 단말이 요청한 상기 공사현장(S3-A014-106D6F603)의 전체 속성값을 상기 매칭정보와 함께 단말 (100)로 전송한다. (S90)
상기 전체 속성값과 매칭정보를 수신한 단말(100)은 상기 실사 이미지에 상기 전송된 매칭정보를 결합하여 실사 이미지 상의 각 객체들(예: 창틀, 문, 문위의 조각 창틀 등)이 활성화되도록 하고, 화면에 디스플레이 한다. (S100)
단말(100)은 실사 이미지 상의 활성화된 객체들을 터치하는 사용자 입력이 감지되었을 때, 해당 객체(예: 창틀(S3-A014-106D6F603-0711))의 속성정보들(예: ID정보, 제조정보, 시공담당, 규격, 공정 시한 등)을 단말화면에 디스플레이 한다. 도8은 사용자의 터치에 따라 객체의 속성값을 디스플레이 하는 본 발명의 동작 예시도이다. 도8의 b)는 창틀(S3-A014-106D6F603-0711))의 속성정보들(예: ID정보, 제조정보, 시공담 당, 규격, 공정시한 등) 중, 제조정보가 선택되었을 때, 해당 제조정보의 속성값 테이블을 디스플레이 한 것이다.
본 발명은, 사용자(예: 시공 감리자)가 공사현장(예: 서울 서초동(3지역)에 소재한 014지구 아파트 공사현장의 106동 6층 603호)에서, 자신의 단말기(100)로 공사현장을 촬영하면, 본 발명에 따른 3차원 가상공간 모델링 시스템(관리서버 (200))과 단말(100)간의 상호 연동절차(S20~S90)를 수행하고, 사용자가 화면 상의 객체를 선택 (터치)하는 것만으로, 해당 객체의 속성정보들(예: ID정보, 제조정보, 시공담당, 규격, 공정시한 등)을 볼 수 있도록 한다.
이상,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180)와 3차원 가상공간 모델링 시스템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 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상기 컴퓨터는 상기 제어부(180)와 3차원 가상공간 모델링 시스템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상의 본 발명의 예시는 휴대단말기(100)이 스마트 폰(smart phone)인 것으로 가정하고 설명한 것이다. 휴대단말기(100)이 만일, 테블릿 컴퓨터나 노트북 컴퓨터(notebook computer)와 같이, 저장과 cpu측 자원이 충분한 단말인 경우, BIM 시스템을 내장하여 원격지의 관리 서버(200)에 접속하지 않고도 휴대단말기(100, 예: 테블릿 컴퓨터나 노트북 컴퓨터) 자체적으로 상기 관리 서버(200)의 기능과 동작을 대체할 수 있다.
이상 기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공사현장 감리 시스템은 사용자가 공사현장을 촬영하면, 촬영된 이미지의 벡터촬영정보(예: 위치정보, 방위정보, 수직기울기 정보, 수평기울기 정보, 및 거리정보)를 검출하여 원격지의 관리서버에 저장된 해당 공사현장의 3차원 가상공간 모델에 연동되도록 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는 공사현장에서, 간단한 화면 터치만으로 상기 촬영된 이미지 상의 각 객체들의 속성값을 열람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공사현장을 촬영하고 촬영된 이미지를 터치하는 것만으로 간단히 화면상 각 객체들의 속성값을 열람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공사현장의 건축현황을 보다 쉽게 관리 감독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특히 공사현장을 감리하는 사용자에게 공사현장에 관한 별다른 사전 준비없이 휴대단말기 하나만으로도 쉽게 감리업 무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3차원 가상공간 모델링 시스템을 이용하여 공사를 진행하는 거대한 빌딩이나 구조물을 기획하는 프로젝트에서 감리업무는 작업 전에 매우 복잡하고 다양한 정보를 준비해야 하는 등의 사전작업이 필요하지만, 본 발명에 따른 공사현장 감리 시스템과 휴대단말을 이용함으로써, 보다 편리하고 간단하게 감리업무를 수행할 수 있을 것을 기대된다.
한편, 관리서버는 매트릭스 기법을 이용한 건설 공사 관리가 가능하다. 도 6은 이의 일 예를 나타낸다. 이때, 관리서버는 정보저장수단(100), 정보입력수단(200), 정보출력수단(300) 및 주 제어수단(400)으로 이루어진다.
먼저, 정보저장수단(100)은 진행하고자 하는 건설 공사에서 수행되어야 하는 전체 작업 종목을 공종분류체계 축 (111)에 입력가능하게 표시되고, 진행하고자 하는 건설 공사에서 수행되어야 하는 전체 작업 종목 중 실제 작업이 진행되는 작업 종목의 공간(Space)을 시설분류체계 축(112)에 입력 가능하게 표시되며, 그 표시된 공종분류체 계 축(111)과 시설분류체계 축(112)이 교차하는 공간좌표의 영역인 것으로 공종분류체계 축에 표시된 전체 작업 종목 중 실제 작업이 진행되는 작업 종목의 공간(Space)에서 수행되는 해당 작업 종목의 건설 공사 관련정보가 입력가능하게 표시되는 수행 공사 업무 표시용 객체(Object)(113)로 표시된 건설 공사 관리용 매트릭스 시트 (110)가 저장된 데이터베이스이다. 여기서, 건설 공사 관리용 매트릭스 시트(110)의 Y축에 해당하는 공종분류체계 축(111)에 표시되는 정보의 경우 진행하고자 하는 건설 공사의 전체 작업 종목 명칭을 헤더노드 및 각 하부노드로 구분하여 표시제공한다. 즉, 건설공사명인 고속도로 제40호선 충주-제천 2공구 건설공사가 헤더노드로 표시되고, 그 헤더노드의 하부에는 진행되는 공사종목인 굴착, 갱내버럭처리, 사토장 정지 등의 제 1하부노드가 표시되며, 각 제 1하부노드의 하부에는 제 1 하부노드에 해당되는 건설 작업의 세분화된 작업들이 제 2하부노드로 표시되는 구조를 갖는다.
또한, 건설 공사 관리용 매트릭스 시트(110)의 X축에 해당하는 시설분류체계 축(112)에 표시되는 정보의 경우 진행하고자 하는 건설 공사의 전체 작업 종목 중 실제 작업이 진행되는 작업 종목의 공간(space) 명칭을 헤더노드 및 각 하부노드로 구분하여 표시 제공하는데 건설공사명인 고속도로 제 40호선 충주-제천 2공구 건설공이 헤더노드로 표시되고, 그 헤더노드의 하부에는 진행되는 공사종목의 공간인 OPEN TBM터널, PILOT, 사급자재대 등의 제 1하부노드가 표시되며, 각 제 1하부노드의 하부에는 제 1 하부노드에 해당되는 진행 되는 공사종목의 세부공간인 제 2하부노드로 표시되는 구조를 갖는다. 여기서, 시설분류체계 축(112)에 표시되는 진행하고자 하는 건설 공사의 전체 작업 종목 중 실제 작업이 진행되는 작업 종목의 공간(space)은 공사지역이나 공사부위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이러한 헤더노드 및 각 하부노드는 후술되는 매트릭스 X/Y 축 노드 입력정보처리 엔진(410)에 의해 가공처리되는데 관리자가 후술되는 정보입력수단(200)을 조작하여 구현되는 팝업메뉴(도시하지 않음)를 통해 "하부노드 추가", "이전 추가", "이후 추가" 등의 노드생성메뉴를 통해 표시되어질 수 있다. 여기서, 하부노드 추가는 현재 노드에서 하위 노드로 노드가 추가되는 메뉴이며, 이전추가는 현재 노드에서 이전 이웃한 노드로 추가되는 메뉴이고, 이후 추가는 현재노드의 이후의 이웃한 노드가 추가되는 메뉴이다. 이와 더불어, 팝업메뉴에는 “이름변경” 메뉴도 구비되어 현재 선택한 노드의 이름을 변경할 수 있고, “노드 삭제”메뉴도 구비되어 현재 선택한 노드를 삭제할 수 있으며, “노드 텍스트 스타일설정” 메뉴를 통하여 사용자는 각 노드의 화면에서 보여지는 속성을 설정할 수 있게 제공한다. 그리고 매트릭스 X/Y 축 노드 입력정보처리 엔진(410)은 관리자가 노드를 추가함에 따라서 X축과 Y축의 교차하는 객체의 사이즈는 자동으로 조절되어 건설 공사 관리용 매트릭스 시트(110)에 반영되도록 제어한다.
이러한 데이터베이스 기능을 수행하는 정보저장수단(100)의 세부구성은 진행하고자 하는 건설 공사에서 수행되어야 하는 전체 작업 종목이 입력가능하게 표시되는 공종분류체계 축(111), 진행하고자 하는 건설 공사에서 수행되어야 하는 전체 작업 종목 중 실제 작업이 진행되는 작업 종목의 공간(Space)이 입력가능하게 표시되는 시설분류체계 축(112) 및 공종분류체계 축(111)과 시설분류체계 축(112)이 교차하는 공간좌표의 영역인 것으로 상기 공종분류체계 축(111)에 표시된 전체 작업 종목 중 실제 작업이 진행되는 작업 종목의 공간(Space)에서 수행되는 해당 작업 종목의 건설 공사 관련정보가 입력가능하게 표시되는 수행 공사 업무 표시용 객체(Object)(113)로 이루어진 신규의 건설 공사 관리용 매트릭스 시트(110)가 저장된 신규 매트릭스 시트DB(101)와, 신규의 건설 공사 관리용 매트릭스 시트(110)의 공종분류체계 축(111), 시설분류체계 축(112) 및 수행 공사 업무 표시용 객체(113)에 해당 정보가 입력되어 가공된 건설 공사 관리용 매트릭스 시트(110)가 저장된 가공 매트릭스 시트 DB(102)와, 가공 매트릭스 시트DB(102)에 저장된 가공된 건설 공사 관리용 매트릭스 시트(110) 중 수행 공사 업무 표시용 객체(Object)에 링크되는 정보로, 해당 작업 종목의 건설 공사 관련정보인 해당 작업 종목의 캐드 도면정보가 저장되는 건설공사 캐드도면DB(103)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가공 매트릭스 시트DB(101)에 저장된 가공된 건설 공사 관리용 매트릭스 시트(110) 중 수행 공사 업무 표시용 객체(113)에 저장된 해당 작업 종목의 건설 공사 관련정보는 건설 공사 세부 순번코드정보, 건설 공사 세부 명칭정보, 건설 공사 작업자 성명정보, 건설 공사 세부 일정정보, 건설공사 자재정보, 건설공사 세부 시방 서 정보, 건설공사 캐드 도면정보, 건설 공사 공사비 내역정보, 건설 공사 공정 정보 등이 저장된다.
정보입력수단(200)은 정보저장수단(100)에 저장된 건설 공사 관리용 매트릭스 시트(110)의 출력 요청, 그 출력 요청에 의해 출력된 건설 공사 관리용 매트릭스 시트(110)의 공종분류체계 축(111)에 진행하고자 하는 건설 공사에서 수행되어야 하는 전체 작업 종목정보들의 입력을 요청하고, 시설분류체계 축(112)에 진행하고자 하는 건 설 공사에서 수행되어야 하는 전체 작업 종목 중 실제 작업이 진행되는 작업 종목의 공간(Space)정보들의 입력을 요청하며, 공종분류체계 축(111)과 시설분류체계 축(112)이 교차하는 수행 공사 업무 표시용 객체(113)에 해당 작업 종목의 건설 공사 관련정보의 입력을 요청하는 입력용 사용자 인터페이스(UI; User Interface)로서 키 보드, 마우스, 라이트펜 등이 조합되어 제공되어진다.
정보출력수단(300)은 건설 공사 관리용 매트릭스 시트(110)를 포함하는 건설공사 관련정보가 출력되는 출력용 사용자 인터페이스(UI)로서 디스플레이부 등이 제공되어진다.
주 제어수단(400)은 정보입력수단(200)을 통해 요청된 건설 공사 관리용 매트릭스 시트(110)의 출력 요청에 의해, 정보저장수단(100)에 저장된 건설 공사 관리용 매트릭스 시트(110)를 추출한 후 이를 정보출력수단(300)을 통해 출력제어하고, 정보입력수단(200)을 통해 요청된 건설 공사 관리용 매트릭스 시트(110)의 공종분류체계 축 (111)의 입력 요청정보, 시설분류체계 축(112)의 입력 요청정보 및 수행 공사 업무 표시용 객체(113)의 해당 작업 종목의 건설 공사 관련정보의 입력 요청을 처리 제어한 후 이를 정보출력수단(300)을 통해 출력제어하는 제어모듈로서, 이러한 제어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다양한 엔진 운영하여 제어한다.
먼저, 주 제어수단(400)에는 주 제어수단(400)에 의해 운영되는 것으로, 정보입력수단(200)을 통해 요청된 건설 공사 관리용 매트릭스 시트(110)의 공종분류체계 축(111)의 입력 요청정보를 토대로 건설 공사 관리용 매트릭스 시트(110)의 공종분류체계 축(111)에 입력 요청된 진행하고자 하는 건설 공사의 전체 작업 종목 명칭을 헤더 노드 및 각 하부노드에 생성, 수정 또는 삭제 등으로 가공처리하고, 상기 정보입력수단(200)을 통해 요청된 건설 공사 관리용 매트릭스 시트(110)의 시설분류체계 축(112)의 입력 요청정보를 토대로 건설 공사 관리용 매트릭스 시트(110)의 시설분류체계 축(112)에 입력 요청된 진행하고자 하는 건설 공사의 전체 작업 종목 중 실제 작업이 진행되는 작업 종목의 공간 명칭을 헤더 노드 및 각 하부노드의 생성, 수정 또는 삭제 등으로 가공처리하는 매트릭스 X/Y 축 노드 입력정보처리 엔진(410)과, 정보입력수단(200)을 통해 요청된 건설 공사 관리용 매트릭스 시트(110)의 수행 공사 업무 표시용 객체(113)의 입력 요청정보를 토대로 건설 공사 관리용 매트릭스 시트(110)의 수행 공사 업무 표시용 객체(113)에 입력 요청된 공종분류체계 축(111)에 표시된 전체 작업 종목 중 실제 작업이 진행되는 작업 종목의 공간(Space)에서 수행되는 해당 작업 종목의 건설 공사 관련정보를 생성, 수정 또 는 삭제 등으로 가공처리하는 수행 공사 업무 표시용 객체 입력정보처리 엔진(420)이 탑재되어진다.
여기서, 수행 공사 업무 표시용 객체 입력정보처리 엔진(420)의 경우 매트릭스인 공종분류체계 축(111)과 시설 분류체계 축(112)이 교차하는 공간좌표의 영역인 수행 공사 업무 표시용 객체(113)에는 앞에서 언급한 해당 작업 종목의 건설 공사 관련정보는 건설 공사 세부 순번코드정보, 건설 공사 세부 명칭정보, 건설 공사 작업자 성명정보, 건설 공사 세부 일정정보, 건설공사 자재정보, 건설공사 세부 시방서 정보, 건설공사 캐드 도면정보, 건설 공사 공사비 내역정보 및 건설 공사 공정 정보 등과 같이 관리자가 표시를 원하는 다양한 건설 공사 관련 정보의 출력처리를 제어한다. 즉, 일반적인 텍스트뿐만 아니라 계산식에 필요한 수식값, 스프레트시트와 같은 방식으로 다른 셀의 값을 참조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로도 표현될 수 있도록 처리하여 준다.
또한, 수행 공사 업무 표시용 객체 입력정보처리 엔진(420)은 관리자가 특정 수행 공사 업무 표시용 객체(113)의 배경 색상, 폰트의 종류, 스타일을 개별적으로 선택 적용할 경우에도 이를 처리하여 준다.
이와 더불어, 관리자는 건설 공사 관리용 매트릭스 시트(110)의 수행 공사 업무 표시용 객체(113)에 표시되는 많은 건설 공사 관련정보들을 레이어 별로 한 영역에 여러 항목에 대하여 중복 입력할 수 있으며, 원하는 레이어의선택을통해그선택된레이어를뷰잉할수있다.
이를 위해, 주 제어수단(400)에는 주 제어수단(400)에 의해 운영되는 다차원 레이어 처리 엔진(450)이 탑재되는 데 이처럼, 주 제어수단(400)에 의해 운영되는 다차원 레이어 처리 엔진(450)은 건설 공사 관리용 매트릭스 시트(110)의 수행 공사 업무 표시용 객체(113)에 저장되는 해당 작업 종목의 건설 공사 관련정보인 건설 공사 세 부 순번코드정보, 건설 공사 세부 명칭정보, 건설 공사 작업자 성명정보, 건설 공사 세부 일정정보, 건설공사 자재정보, 건설공사 세부 시방서 정보, 건설공사 캐드 도면정보, 건설 공사 공사비 내역정보 및 건설 공사 공정 정보 등을 겹쳐서 표시하여 주는 레이어(layer)로 표시되도록 제어하고, 정보입력수단(200)을 통해 해당 작업 종목의 건설 공사 관련정보 중 원하는 어느 하나의 해당 작업 종목의 건설 공사 관련정보의 출력 표시를 요청하면, 그 요청된 어느 하나의 해당 작업 종목의 건설 공사 관련정보만 활성화하여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는 예시의 목적으로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해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상기의 특허청구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술한 예시적인 시스템에서, 방법들은 일련의 단계 또는 블록으로써 순서도를 기초로 설명되고 있지만, 본 발명은 단계들의 순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어떤 단계는 상술한 바와 다른 단계와 다른 순서로 또는 동시에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당업자라면 순서도에 나타낸 단계들이 배타적이지 않고, 다른 단계가 포함되거나 순서도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단계가 본 발명의 범위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삭제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

  1. 아파트 공사 현장의 감리 방법 및 시스템.
KR1020170046290A 2017-04-10 2017-04-10 아파트 공사 현장의 감리 방법 및 시스템 KR2018011447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6290A KR20180114474A (ko) 2017-04-10 2017-04-10 아파트 공사 현장의 감리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6290A KR20180114474A (ko) 2017-04-10 2017-04-10 아파트 공사 현장의 감리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4474A true KR20180114474A (ko) 2018-10-18

Family

ID=641330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46290A KR20180114474A (ko) 2017-04-10 2017-04-10 아파트 공사 현장의 감리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11447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32907A1 (ko) * 2019-12-24 2021-07-01 주식회사 동우 이앤씨 타워 크레인을 이용한 건축물 감리 시스템 및 그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32907A1 (ko) * 2019-12-24 2021-07-01 주식회사 동우 이앤씨 타워 크레인을 이용한 건축물 감리 시스템 및 그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54688B1 (ko) 공사현장 감리 시스템 및 감리 방법
US10854013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esenting building information
US10831943B2 (en) Orienteering system for responding to an emergency in a structure
EP3586327B1 (en) Improved building model with capture of as built features and experiential data
US11526992B2 (en) Imagery-based construction progress tracking
CN102792322B (zh) 利用相关联的地理空间数据的可视化信息组织
US9424371B2 (en) Click to accept as built modeling
JP5617472B2 (ja) 建築情報統合管理システム、建築情報統合管理プログラムおよび、コンピュータ可読記憶媒体
US20200080865A1 (en) Providing Navigable Environment Plots
KR101887056B1 (ko) 검측 업무용 솔루션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20210081971A (ko) 타워 크레인을 이용한 건축물 감리 시스템 및 그 방법
US20180357583A1 (en) Operational monitoring system
US10467353B2 (en) Building model with capture of as built features and experiential data
JP7391317B2 (ja) 情報管理装置、情報管理システム、情報管理方法および情報管理プログラム
JP5895037B2 (ja) 建築情報統合管理システムおよび建築情報統合管理プログラム
KR101515434B1 (ko) 재난 신고 시스템
JP2021018710A (ja) 現場連携システムおよび管理装置
US20240104120A1 (en) Geographically Referencing an Item
KR20180114474A (ko) 아파트 공사 현장의 감리 방법 및 시스템
CN113660452A (zh) 系统、移动体以及信息处理装置
KR101914386B1 (ko) 건축물 감리를 위한 이동 단말기
KR102337104B1 (ko) 증강현실 기반의 지하개발 빌딩정보모델링(bim) 시스템
CN108062786B (zh) 以三维信息模型为基础的综合感知定位技术应用系统
CN112753030A (zh) 用于提供在增强现实中的注释的方法和装置
US11836420B1 (en) Constructing a 3D model of a facility based on video streams from cameras at the facil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