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85757A - 재난 정보 생성 시스템, 재난 정보 생성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 Google Patents

재난 정보 생성 시스템, 재난 정보 생성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85757A
KR20150085757A KR1020140005769A KR20140005769A KR20150085757A KR 20150085757 A KR20150085757 A KR 20150085757A KR 1020140005769 A KR1020140005769 A KR 1020140005769A KR 20140005769 A KR20140005769 A KR 20140005769A KR 20150085757 A KR20150085757 A KR 201500857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disaster
disaster information
generating
weath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057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03116B1 (ko
Inventor
장석웅
전재식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057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03116B1/ko
Priority to PCT/KR2014/011616 priority patent/WO2015105277A1/ko
Priority to US14/899,476 priority patent/US10296838B2/en
Publication of KR201500857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857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31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31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10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calamitous events, e.g. tornados or earthquak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3/00Alarms responsive to un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1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14Central alarm receiver or annunciator arrangements

Abstract

재난 정보 생성 시스템, 재난 정보 생성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가 개시된다. 단말 장치로부터 재난 상황을 파악하기 위해 위치 정보 및 기상 정보가 포함된 제보 메시지를 수신하고, 기상 정보를 분석해 재난 상황의 위급 정보를 파악하기 위한 가중치를 산출할 수 있다. 이 가중치를 통해 재난 상황에 우선순위를 부여하고, 위치 정보에 상응하는 지역에 우선순위를 적용하여 재난 정보 리스트를 생성할 수 있다. 생성한 재난 정보 리스트를 이용하여 재난 상황의 종류에 따라 기설정된 색으로 맵에 재난 정보를 표시함으로써, 방재 담당자가 효율적으로 재난 정보를 파악하는 것이 가능하다.

Description

재난 정보 생성 시스템, 재난 정보 생성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SYSTEM FOR GENERATING DISASTER INFORMATION, METHOD OF GENERATING DISASTER INFORMATION AND APPARATUS FOR THE SAME}
본 발명은 단말장치 사용자에게 제공받은 제보 메시지를 통해 재난 정보를 생성하는 재난 정보 생성 시스템, 재난 정보 생성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제보 메시지를 통해 위치 정보와 기상 정보를 수집하여 재난 상황의 위급 정도를 판단하여 효과적으로 재난 상황을 파악할 수 있는 재난 정보 리스트를 생성할 수 있는 재난 정보 생성 시스템, 재난 정보 생성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스마트폰, 태블릿 PC등 이동통신 기술이 발달한 현대사회에서는 이동 단말 장치의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제공받아 서비스를 시행하는 크라우드 소싱의 사례가 증가하고 있다. 사전적 의미의 크라우드 소싱이란, '대중'(crowd)과 '외부자원활용'(outsourcing)의 합성어로, 기업이 제품이나 서비스 개발과정에서 외부 전문가나 일반 대중이 참여할 수 있도록 하고 참여자 기여로 혁신을 달성하면 수익을 참여자와 공유하는 방법을 말한다. 일반적으로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업들이 이 방법을 많이 이용하지만 일반 기업이 아닌 공기업이나 지역을 관리하는 관리부처에서도 이 같은 서비스를 이용한다면 업무를 수행하는데 큰 효과를 볼 수 있다. 예를 들어, 재난 상황이 발생하였을 때 이를 처리 및 복구하기 위한 방재팀에서도 크라우드 소싱을 통해 일반 스마트폰 사용자들에게 재난에 대한 제보를 받아 정보를 획득한다면 보다 빠른 대처가 가능할 수 있다.
즉, 재난 발생에 대한 정보를 생성함에 있어서, 단순한 감지시설이나 감시자에 의해 생성된 정보가 스마트폰을 사용하는 모든 사용자들로부터 재난 발생에 대한 신속한 제보를 받아 방재처리를 할 수 있다면 보다 신속하게 재난에 대비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단말 장치로부터 위치 정보 및 기상 정보가 포함된 제보 메시지를 수신하여 재난 상황의 위급 정도에 대한 가중치를 산출하고, 산출한 가중치를 통해 각 재난 상황에 우선순위를 부여한 재난 정보 리스트를 생성할 수 있는 새로운 재난 정보 생성 기술의 필요성이 절실하게 대두된다.
한국 공개 특허 제10-2010-0009690A호, 2010년 1월 29일 공개(명칭: 화재 다중 신호를 조합한 로직 프로그램이 내장된 화재감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화재감지 판독 방법)
본 발명의 목적은, 단말 장치 사용자에 의해 재난 상황을 제보 받을 때 기상 정보를 태깅함으로써 재난 상황의 실제 위급 정도를 쉽게 파악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제보 메시지를 통해 제보 받은 재난 상황을 위급 상황 별로 우선순위를 부여하여 전체적인 재난 상황을 효율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재난 정보 리스트 및 재난 정보 맵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재난 정보 생성 장치는, 단말 장치로부터 재난 상황을 파악하기 위해 위치 정보 및 기상 정보가 포함된 제보 메시지를 수신하는 메시지 수신부; 상기 제보 메시지를 통해 파악한 상기 재난 상황의 위급 정도를 판단하기 위해 상기 기상 정보를 분석하여 가중치를 산출하는 가중치 산출부; 및 상기 재난 상황에 상기 가중치를 적용하여 우선순위를 부여하고, 상기 위치 정보에 상응하는 지역에 상기 우선순위를 적용하여 재난 정보 리스트를 생성하는 리스트 생성부를 포함한다.
이 때, 리스트 생성부는 상기 가중치의 값이 클수록 상기 재난 상황에 높은 우선순위를 부여할 수 있다.
이 때, 리스트 생성부는 상기 우선순위가 높을수록 상기 재난 정보 리스트의 상위에 위치할 수 있다.
이 때, 재난 정보 리스트는 상기 재난 상황의 종류, 상기 재난 상황의 위급 정도, 상기 재난 상황에 상응하는 제보 메시지를 최초로 수신한 시간 및 상기 위치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재난 정보 생성 장치는 상기 재난 정보 리스트에 상응하는 상기 재난 상황의 위급 정도를 단위 지역별로 시각적으로 나타낸 재난 정보 맵을 생성하는 맵 생성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맵 생성부는 상기 재난 상황의 종류에 따라 시각적으로 상이하게 표현될 수 있다.
이 때, 가중치 산출부는 태풍, 폭풍, 홍수, 가뭄, 폭설, 우박, 뇌전, 고온 및 극저온 등의 악기상 상황에 대한 가중치를 산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단말 장치는, 사용자가 태깅하는 지역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위치 정보 획득부; 상기 위치 정보에 상응하는 기상 정보를 수집하는 기상 정보 수집부; 및 재난 정보 생성 장치가 상기 위치 정보 및 상기 기상 정보를 포함한 재난 정보를 분석하여 재난 정보 리스트를 생성하도록 상기 재난 정보, 상기 위치 정보 및 상기 기상 정보를 포함한 제보 메시지를 상기 재난 정보 생성 장치로 전송하는 메시지 송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단말 장치는 상기 제보 메시지와 연동하여 상기 재난 정보에 상응하는 사진 또는 영상 데이터를 전송하는 데이터 송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재난 정보 생성 방법은, 단말 장치로부터 재난 상황을 파악하기 위해 위치 정보 및 기상 정보가 포함된 제보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보 메시지를 통해 파악한 상기 재난 상황의 위급 정보를 판단하기 위해 상기 기상 정보를 분석하여 가중치를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재난 상황에 상기 가중치를 적용하여 우선순위를 부여하고, 상기 위치 정보에 상응하는 지역에 상기 우선순위를 적용하여 재난 정보 리스트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 때,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가중치의 값이 클수록 상기 재난 상황에 높은 우선순위를 부여할 수 있다.
이 때,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우선순위가 높을수록 상기 재난 정보 리스트의 상위에 위치할 수 있다.
이 때, 재난 정보 리스트는 상기 재난 상황의 종류, 상기 재난 상황의 위급 정보, 상기 재난 상황에 상응하는 제보 메시지를 최초로 수신한 시간 및 상기 위치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재난 정보 생성 방법은 상기 재난 정보 리스트에 상응하는 상기 재난 상황의 위급 정도를 단위 지역별로 시각적으로 나타낸 재난 정보 맵을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재난 정보 맵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재난 상황의 종류에 따라 시각적으로 상이하게 표현될 수 있다.
이 때, 산출하는 단계는 태풍, 폭풍, 홍수, 가뭄, 폭설, 우박, 뇌전, 고온 및 극저온 등의 악기상 상황에 대한 가중치를 산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재난 정보 생성 방법은, 사용자가 태깅하는 지역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위치 정보에 상응하는 기상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및 재난 정보 생성 장치가 상기 위치 정보 및 상기 기상 정보를 포함한 재난 정보를 분석하여 재난 정보 리스트를 생성하도록 상기 재난 정보, 상기 위치 정보 및 상기 기상 정보를 포함한 제보 메시지를 상기 재난 정보 생성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 때, 재난 정보 생성 방법은 상기 제보 메시지와 연동하여 상기 재난 정보에 상응하는 사진 또는 영상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재난 정보 생성 시스템은, 사용자가 태깅하는 지역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위치 정보에 상응하는 기상 정보를 수집하여 재난 정보 생성 장치가 재난 정보 리스트를 생성하도록 재난 정보, 상기 위치 정보 및 상기 기상 정보를 포함한 제보 메시지를 상기 재난 정보 생성 장치로 전송하는 단말 장치; 및 상기 단말 장치로부터 상기 재난 상황을 파악하기 위해 상기 위치 정보 및 상기 기상 정보가 포함된 제보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재난 상황의 위급 정보를 판단하기 위해 상기 기상 정보를 분석하여 가중치를 산출하고, 상기 위치 정보에 상응하는 지역에 상기 가중치를 통해 부여한 우선순위를 적용하여 재난 정보 리스트를 생성하는 재난 정보 생성 장치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단말 장치를 사용하는 사용자들에게 실시간으로 기상 정보가 태깅된 재난 상황을 제보 받음으로써 재난방재 담당자가 재난 상황의 실질적인 피해 상황 및 위급 정도를 빠르게 파악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재난 제보 메시지를 통해 제보된 재난 상황들을 위급한 상황 별로 볼 수 있도록 리스트 및 정보 맵으로 나타내어 우선적으로 방재가 필요한 재난 상황이 무엇인지 효율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재난 정보 생성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재난 정보 생성 장치의 일 예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단말 장치의 일 예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재난 정보 생성 방법(서버 관점)의 일 예를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재난 정보 생성 방법(단말 관점)의 일 예를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재난 정보 리스트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재난 정보 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도 1에 도시된 단말 장치에 표시되는 제보 화면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의 설명 및 첨부된 도면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한 구성 요소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도면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한 용어의 개념으로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또한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하는 것으로,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될 뿐, 상기 구성요소들을 한정하기 위해 사용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는 통신망에 연결되어 클라우드 컴퓨팅 시스템 기반으로 컨텐츠를 업로드 또는 다운로드 할 수 있는 이동통신단말기를 대표적인 예로서 설명하지만 단말기는 이동통신단말기에 한정된 것이 아니고, 모든 정보통신기기, 멀티미디어 단말기, 유선 단말기, 고정형 단말기 및 IP(Internet Protocol) 단말기 등의 다양한 단말기에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단말기는 휴대폰,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MID(Mobile Internet Device), 스마트폰(Smart Phone), 데스크톱(Desktop), 태블릿컴퓨터(Tablet PC), 노트북(Note book), 넷북(Net book) 및 정보통신 기기 등과 같은 다양한 이동통신 사양을 갖는 모바일(Mobile) 단말기일 때 유리하게 활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재난 정보 생성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재난 정보 생성 시스템은 재난 정보 생성 장치(100), 단말 장치들(110, 120, 130) 및 네트워크(140)를 포함한다.
재난 정보 생성 장치(100)는 단말 장치들(110, 120, 130)로부터 재난 상황을 파악하기 위해 위치 정보 및 기상 정보가 포함된 제보 메시지를 수신하고, 제보 메시지를 통해 파악한 재난 상황의 위급 정도를 판단하기 위해 기상 정보를 분석하여 가중치를 산출한다. 또한, 재난 상황에 가중치를 적용하여 우선순위를 부여하고, 위치 정보에 상응하는 지역에 우선순위를 적용하여 재난 정보 리스트를 생성한다.
이 때, 가중치의 값이 클수록 재난 상황에 높은 우선순위를 부여할 수 있다.
이 때, 재난 상황의 우선순위가 높을수록 재난 정보 리스트의 상위에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보 메시지에 의해 먼저 접수된 재난 상황이라 하더라도, 기상 정보를 통해 분석한 가중치가 커서 우선순위가 더 높은 사건이 접수된다면 앞서 접수된 재난 상황보다 리스트의 상위에 위치할 수 있다.
이 때, 재난 정보 리스트는 재난 상황의 종류, 재난 상황의 위급 정도, 재난 상황에 상응하는 제보 메시지를 최초로 수신한 시간 및 위치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가중치는 태풍, 폭풍, 홍수, 가뭄, 폭설, 우박, 뇌전, 고온 및 극저온 등의 악기상 상황에 대해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폭설의 경우 적설량에 따라서 가중치를 판단하거나, 태풍 혹은 폭풍의 경우 바람의 풍속 등을 통해 가중치를 산출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재난 정보 생성 장치(100)는 재난 정보 리스트에 상응하는 재난 상황의 위급 정도를 단위 지역별로 시각적으로 나타낸 재난 정보 맵을 생성할 수 있다.
이 때, 재난 정보 맵은 재난 상황의 종류에 따라 시각적으로 상이하게 표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제보에 따라 폭설이 오는 지역과 폭설에 눈보라까지 오는 지역이 있다면 두 지역을 재난 정보 맵에 표현할 때 시각적으로 구분이 될 수 있도록 색 또는 아이콘 등을 상이하게 추가하여 두 지역의 차이를 효율적으로 구분할 수 있다.
단말 장치들(110, 120, 130)은 사용자가 태깅하는 지역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고, 위치 정보에 상응하는 기상 정보를 수집한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신호를 이용하여 위치를 측정하거나 위성 신호를 이용하여 위치를 측정할 수도 있다. 네트워크 신호를 이용하여 위치를 측정하는 방법은 위성 신호를 이용하여 위치를 측정하는 방법보다 정확도가 낮지만 매우 빠르게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재난 정보 생성 장치가 위치 정보 및 기상 정보를 포함한 재난 정보를 분석하여 재난 정보 리스트를 생성하도록 재난 정보, 위치 정보 및 기상 정보를 포함한 제보 메시지를 재난 정보 장치로 전송한다.
실시예에 따라, 단말 장치들(110, 120, 130)은 제보 메시지와 연동하여 재난 정보에 상응하는 사진 또는 영상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폭설을 제보할 때 제보 메시지와 함께 눈이 얼만큼 쌓였는지 촬영한 사진 또는 영상을 함께 전송하여 폭설이 어느 정도인지 알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네트워크(140)는 재난 정보 생성 장치(100) 및 단말 장치들(110, 120, 130) 사이에서 정보를 전달하는 통로를 제공하는 것으로서, 기존에 이용되는 네트워크 및 향후 개발 가능한 네트워크를 모두 포괄하는 개념이다. 예를 들면, 네트워크(140)는 한정된 지역 내에서 각종 정보장치들의 통신을 제공하는 유무선 근거리통신망, 이동체 상호 간 및 이동체와 이동체 외부와의 통신을 제공하는 이동통신망, 위성을 이용해 지구국과 지구국간 통신을 제공하는 위성통신망이거나 유무선 통신망 중에서 어느 하나이거나, 둘 이상의 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도 1에서 재난 정보 생성 장치(100) 및 단말 장치(110) 사이에 사용되는 네트워크는 재난 정보 생성 장치(100) 및 단말 장치(120) 또는 단말 장치(130) 사이에서 사용되는 네트워크와 상이한 것일 수도 있고, 동일한 것일 수도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재난 정보 생성 장치의 일 예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도1에 도시된 재난 정도 생성 장치는 메시지 수신부(210), 가중치 산출부(220), 리스트 생성부(230) 및 맵 생성부(240)를 포함한다.
메시지 수신부(210)는 단말 장치로부터 재난 상황을 파악하기 위해 위치 정보 및 기상 정보가 포함된 제보 메시지를 수신한다.
가중치 산출부(220)는 제보 메시지를 통해 파악한 재난 상황의 위급 정도를 판단하기 위해 기상 정보를 분석하여 가중치를 산출한다.
이 때, 가중치는 태풍, 폭풍, 홍수, 가뭄, 폭설, 우박, 뇌전, 고온 및 극저온 등의 악기상 상황에 대해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폭설의 경우 적설량에 따라서 가중치를 판단하거나, 태풍 혹은 폭풍의 경우 바람의 풍속 등을 통해 가중치를 산출할 수 있다.
리스트 생성부(230)는 재난 상황에 가중치를 적용하여 우선순위를 부여하고, 위치 정보에 상응하는 지역에 우선순위를 적용하여 재난 정보 리스트를 생성한다.
이 때, 가중치의 값이 클수록 재난 상황에 높은 우선순위를 부여할 수 있다.
이 때, 재난 상황의 우선순위가 높을수록 재난 정보 리스트의 상위에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보 메시지에 의해 먼저 접수된 재난 상황이라 하더라도, 기상 정보를 통해 분석한 가중치가 커서 우선순위가 더 높은 사건이 접수된다면 앞서 접수된 재난 상황보다 리스트의 상위에 위치할 수 있다.
이 때, 재난 정보 리스트는 재난 상황의 종류, 재난 상황의 위급 정도, 재난 상황에 상응하는 제보 메시지를 최초로 수신한 시간 및 위치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맵 생성부(240)는 재난 정보 리스트에 상응하는 재난 상황의 위급 정도를 단위 지역별로 시각적으로 나타낸 재난 정보 맵을 생성한다.
이 때, 재난 정보 맵은 재난 상황의 종류에 따라 시각적으로 상이하게 표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제보에 따라 폭설이 오는 지역과 폭설에 눈보라까지 오는 지역이 있다면 두 지역을 재난 정보 맵에 표현할 때 시각적으로 구분이 될 수 있도록 색 또는 아이콘 등을 상이하게 추가하여 두 지역의 차이를 효율적으로 구분할 수 있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단말 장치의 일 예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도 1에 도시된 단말 장치는 위치 정보 획득부(310), 기상 정보 수집부(320), 메시지 송신부(330) 및 데이터 송신부(340)를 포함한다.
위치 정보 획득부(310)는 사용자가 태깅하는 지역의 위치 정보를 획득한다.
기상 정보 수집부(320)는 위치 정보에 상응하는 기상 정보를 수집한다.
메시지 송신부(330)는 재난 정보 생성 장치가 위치 정보 및 기상 정보를 포함한 재난 정보를 분석하여 재난 정보 리스트를 생성하도록 재난 정보, 위치 정보 및 기상 정보를 포함한 제보 메시지를 재난 정보 생성 장치로 전송한다.
데이터 송신부(340)는 제보 메시지와 연동하여 재난 정보에 상응하는 사진 또는 영상 데이터를 전송한다. 예를 들어, 폭설을 제보할 때 제보 메시지와 함께 눈이 얼만큼 쌓였는지 촬영한 사진 또는 영상을 함께 전송하여 폭설이 어느 정도인지 알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재난 정보 생성 방법(서버 관점)의 일 예를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재난 정보 생성 방법은 단말 장치로부터 재난 상황을 파악하기 위해 위치 정보 및 기상 정보가 포함된 제보 메시지를 수신한다(S410).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재난 정보 생성 방법은 상기 제보 메시지를 통해 파악한 상기 재난 상황의 위급 정보를 판단하기 위해 상기 기상 정보를 분석하여 가중치를 산출한다(S420).
이 때, 상기 가중치는 태풍, 폭풍, 홍수, 가뭄, 폭설, 우박, 뇌전, 고온 및 극저온 등의 악기상 상황에 대해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폭설의 경우 적설량에 따라서 가중치를 판단하거나, 태풍 혹은 폭풍의 경우 바람의 풍속 등을 통해 가중치를 산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재난 정보 생성 방법은 상기 재난 상황에 상기 가중치를 적용하여 우선순위를 부여하고, 상기 위치 정보에 상응하는 지역에 상기 우선순위를 적용하여 재난 정보 리스트를 생성한다(S430).
이 때, 상기 가중치의 값이 클수록 상기 재난 상황에 높은 우선순위를 부여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재난 상황의 우선순위가 높을수록 상기 재난 정보 리스트의 상위에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보 메시지에 의해 먼저 접수된 재난 상황이라 하더라도, 기상 정보를 통해 분석한 가중치가 커서 우선순위가 더 높은 사건이 접수된다면 앞서 접수된 재난 상황보다 리스트의 상위에 위치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재난 정보 리스트는 상기 재난 상황의 종류, 상기 재난 상황의 위급 정도, 상기 재난 상황에 상응하는 제보 메시지를 최초로 수신한 시간 및 상기 위치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에는 도시되지 아니하였으나, 재난 정보 생성 방법은 상기 재난 정보 리스트에 상응하는 상기 재난 상황의 위급 정도를 단위 지역별로 시각적으로 나타낸 재난 정보 맵을 생성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재난 정보 맵은 상기 재난 상황의 종류에 따라 시각적으로 상이하게 표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제보에 따라 폭설이 오는 지역과 폭설에 눈보라까지 오는 지역이 있다면 두 지역을 재난 정보 맵에 표현할 때 시각적으로 구분이 될 수 있도록 색 또는 아이콘 등을 상이하게 추가하여 두 지역의 차이를 효율적으로 구분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재난 정보 생성 방법(단말 관점)의 일 예를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재난 정보 생성 방법은 사용자가 태깅하는 지역의 위치 정보를 획득한다(S510).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재난 정보 생성 방법은 상기 위치 정보에 상응하는 기상 정보를 수집한다(S520).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재난 정보 생성 방법은 재난 정보 생성 장치가 상기 위치 정보 및 상기 기상 정보를 포함한 재난 정보를 분석하여 재난 정보 리스트를 생성하도록 상기 재난 정보, 상기 위치 정보 및 상기 기상 정보를 포함한 제보 메시지를 상기 재난 정보 생성 장치로 전송한다(S530).
도 5에는 도시되지 아니하였으나, 재난 정보 생성 방법은 상기 제보 메시지와 연동하여 상기 재난 정보에 상응하는 사진 또는 영상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폭설을 제보할 때 제보 메시지와 함께 눈이 얼만큼 쌓였는지 촬영한 사진 또는 영상을 함께 전송하여 폭설이 어느 정도인지 알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재난 정보 리스트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재난 정보 리스트는 우선순위가 높은 재난 상황의 정보가 재난 정보 리스트의 상위에 위치함을 알 수 있다. 이 때, 단말 장치로부터 재난 상황을 알 수 있도록 위치 정보 및 기상 정보가 포함된 제보 메시지를 수신 받아, 수신된 기상 정보를 분석하여 산출한 가중치로 각 재난 상황마다 우선순위를 부여할 수 있다.
재난 정보 리스트에 표시되는 재난 상황의 정보에는 재난이 발생한 위치와 재난의 종류 및 단말 장치로부터 제보 메시지를 최초로 수신받은 제보 시간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이 때, 재난이 발생한 위치는 제보 메시지와 함께 수신되는 위치 정보를 통해 알 수 있다. 또한 재난의 종류는 제보 메시지 또는 제보 메시지와 함께 수신되는 사진 및 동영상들의 데이터로 알 수도 있다. 또한, 같은 지역의 재난 정보에 대해서 여러 사용자로부터 제보 메시지가 수신될 경우 최초의 제보 메시지가 수신된 시각을 제보시간으로 선택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재난 정보 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재난 정보 맵은 재난의 종류 및 재난 상황의 위급 정도를 시각적으로 나타낼 수 있다. 도 7을 살펴보면 강서구 중심의 강서-은평-마포-양천 지역과 강남구 중심의 강남-서초-송파 지역에서 제보 메시지가 접수되어 재난 정보 맵이 생성되었음을 알 수 있다. 이 때, 재난 정보 맵의 시각적 효과를 통해 강서-은평-마포-양천 지역과 강남-서초-송파 지역은 서로 다른 재난 상황이 발생하였음을 판단할 수 있다. 또한, 각 지역중에서도 강서지역과 강남지역의 위급 정도를 더 강하게 표현함으로써 방재 담당자가 해당 두 지역을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표현할 수 있다. 이 때, 각 재난 상황에 따른 색으로 지역을 표시함으로써 재난 상황의 시각적 차이를 줄 수 도 있다.
이와 같이 다양한 재난 상황에 대해 그 종류와 위급 정도를 시각적으로 파악하기 쉽게 나타냄으로써 방재 담당자가 전체적인 재난 상황을 효율적으로 파악할 수 있어 재난 상황에 따른 긴밀한 대처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도 8은 도 1에 도시된 단말 장치에 표시되는 제보 화면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도 1에 도시된 단말 장치에 표시되는 제보 화면은 제보 위치 맵(810)과 제보 메시지 입력창(820)으로 구성된다.
제보 위치 맵(810)은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획득함으로써 제보 위치 맵(810)상에 표시될 수 있다. 이 때, 현재 위치를 획득할 수 없다면, 사용자가 제보 위치 맵(810)에서 위치를 검색하여 태그함으로써 위치 정보를 재난 정보 생성 장치로 전송할 수 이다.
제보 메시지 입력창(820)은 사용자가 제보 내용을 입력하는 창으로 자유롭게 작성할 수 있다. 이 때, 제보 메시지의 길이는 기설정된 길이일 수 있으며, 추가로 사진 또는 동영상 데이터를 첨부할 수 있다.
이 때, 이와 같이 작성된 제보 메시지를 재난 정보 생성 장치로 전송하면, 재난이 발생한 곳의 위치 정보에 상응하는 기상 정보를 획득하여 함께 전송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재난 정보 생성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모든 형태의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재난 정보 생성 시스템, 재난 정보 생성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는 상기한 바와 같이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의 단말 장치를 통해 위치 정보 및 기상 정보가 포함된 재난 제보 메시지를 수신받아 신속하고 정확한 재난 정보 리스트를 생성할 수 있고, 기상 정보를 통해 산출한 가중치를 적용하여 재난 방재의 필요성이 두드러지는 지역을 효율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나아가, 지역의 방재 담당자들이 해당 지역의 전체적인 재난 상황을 효율적으로 파악할 수 있어 보다 긴밀한 대응이 가능해지고, 재난으로 피해를 입은 지역에도 보다 신속한 복구작업이 가능하여 도시 치안 확보에 기여할 수 있다.
100: 재난 정보 생성 장치
110~130: 단말 장치
140: 네트워크
210: 메시지 수신부
220: 가중치 산출부
230: 리스트 생성부
240: 맵 생성부
310: 위치 정보 획득부
320: 기상 정보 수집부
330: 메시지 송신부
340: 데이터 송신부
810: 제보 위치 맵
820: 제보 메시지 입력창

Claims (20)

  1. 단말 장치로부터 재난 상황을 파악하기 위해 위치 정보 및 기상 정보가 포함된 제보 메시지를 수신하는 메시지 수신부;
    상기 제보 메시지를 통해 파악한 상기 재난 상황의 위급 정도를 판단하기 위해 상기 기상 정보를 분석하여 가중치를 산출하는 가중치 산출부; 및
    상기 재난 상황에 상기 가중치를 적용하여 우선순위를 부여하고, 상기 위치 정보에 상응하는 지역에 상기 우선순위를 적용하여 재난 정보 리스트를 생성하는 리스트 생성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상정보를 이용한 재난 정보 생성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리스트 생성부는
    상기 가중치의 값이 클수록 상기 재난 상황에 높은 우선순위를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상정보를 이용한 재난 정보 생성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리스트 생성부는
    상기 우선순위가 높을수록 상기 재난 정보 리스트의 상위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상정보를 이용한 재난 정보 생성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재난 정보 리스트는
    상기 재난 상황의 종류, 상기 재난 상황의 위급 정도, 상기 재난 상황에 상응하는 제보 메시지를 최초로 수신한 시간 및 상기 위치 정보 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상정보를 이용한 재난 정보 생성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재난 정보 생성 장치는
    상기 재난 정보 리스트에 상응하는 상기 재난 상황의 위급 정도를 단위 지역별로 시각적으로 나타낸 재난 정보 맵을 생성하는 맵 생성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상정보를 이용한 재난 정보 생성 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맵 생성부는
    상기 재난 상황의 종류에 따라 시각적으로 상이하게 표현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상정보를 이용한 재난 정보 생성 장치.
  7.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가중치 산출부는
    태풍, 폭풍, 홍수, 가뭄, 폭설, 우박, 뇌전, 고온 및 극저온 등의 악기상 상황에 대한 가중치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상정보를 이용한 재난 정보 생성 장치.
  8. 사용자가 태깅하는 지역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위치 정보 획득부;
    상기 위치 정보에 상응하는 기상 정보를 수집하는 기상 정보 수집부; 및
    재난 정보 생성 장치가 상기 위치 정보 및 상기 기상 정보를 포함한 재난 정보를 분석하여 재난 정보 리스트를 생성하도록 상기 재난 정보, 상기 위치 정보 및 상기 기상 정보를 포함한 제보 메시지를 상기 재난 정보 생성 장치로 전송하는 메시지 송신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단말 장치는
    상기 제보 메시지와 연동하여 상기 재난 정보에 상응하는 사진 또는 영상 데이터를 전송하는 데이터 송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10. 단말 장치로부터 재난 상황을 파악하기 위해 위치 정보 및 기상 정보가 포함된 제보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보 메시지를 통해 파악한 상기 재난 상황의 위급 정보를 판단하기 위해 상기 기상 정보를 분석하여 가중치를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재난 상황에 상기 가중치를 적용하여 우선순위를 부여하고, 상기 위치 정보에 상응하는 지역에 상기 우선순위를 적용하여 재난 정보 리스트를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상정보를 이용한 재난 정보 생성 방법.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가중치의 값이 클수록 상기 재난 상황에 높은 우선순위를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상정보를 이용한 재난 정보 생성 방법.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우선순위가 높을수록 상기 재난 정보 리스트의 상위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상정보를 이용한 재난 정보 생성 방법.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재난 정보 리스트는
    상기 재난 상황의 종류, 상기 재난 상황의 위급 정보, 상기 재난 상황에 상응하는 제보 메시지를 최초로 수신한 시간 및 상기 위치 정보 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상정보를 이용한 재난 정보 생성 방법.
  14.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재난 정보 생성 방법은
    상기 재난 정보 리스트에 상응하는 상기 재난 상황의 위급 정도를 단위 지역별로 시각적으로 나타낸 재난 정보 맵을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상정보를 이용한 재난 정보 생성 방법.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재난 정보 맵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재난 상황의 종류에 따라 시각적으로 상이하게 표현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상정보를 이용한 재난 정보 생성 방법.
  16.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산출하는 단계는
    태풍, 폭풍, 홍수, 가뭄, 폭설, 우박, 뇌전, 고온 및 극저온 등의 악기상 상황에 대한 가중치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상정보를 이용한 재난 정보 생성 방법.
  17. 사용자가 태깅하는 지역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위치 정보에 상응하는 기상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및
    재난 정보 생성 장치가 상기 위치 정보 및 상기 기상 정보를 포함한 재난 정보를 분석하여 재난 정보 리스트를 생성하도록 상기 재난 정보, 상기 위치 정보 및 상기 기상 정보를 포함한 제보 메시지를 상기 재난 정보 생성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상정보를 이용한 재난 정보 생성 방법.
  18.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재난 정보 생성 방법은
    상기 제보 메시지와 연동하여 상기 재난 정보에 상응하는 사진 또는 영상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상정보를 이용한 재난 정보 생성 방법.
  19. 청구항 10 내지 18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20. 사용자가 태깅하는 지역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위치 정보에 상응하는 기상 정보를 수집하여 재난 정보 생성 장치가 재난 정보 리스트를 생성하도록 재난 정보, 상기 위치 정보 및 상기 기상 정보를 포함한 제보 메시지를 상기 재난 정보 생성 장치로 전송하는 단말 장치; 및
    상기 단말 장치로부터 상기 재난 상황을 파악하기 위해 상기 위치 정보 및 상기 기상 정보가 포함된 제보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재난 상황의 위급 정보를 판단하기 위해 상기 기상 정보를 분석하여 가중치를 산출하고, 상기 위치 정보에 상응하는 지역에 상기 가중치를 통해 부여한 우선순위를 적용하여 재난 정보 리스트를 생성하는 재난 정보 생성 장치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상정보를 이용한 재난 정보 생성 시스템.
KR1020140005769A 2014-01-07 2014-01-16 재난 정보 생성 시스템, 재난 정보 생성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17031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5769A KR101703116B1 (ko) 2014-01-16 2014-01-16 재난 정보 생성 시스템, 재난 정보 생성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PCT/KR2014/011616 WO2015105277A1 (ko) 2014-01-07 2014-12-01 기상에 따른 알람정보 변경 장치 및 방법
US14/899,476 US10296838B2 (en) 2014-01-07 2014-12-01 Apparatus and method for changing alarm information in accordance with weath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5769A KR101703116B1 (ko) 2014-01-16 2014-01-16 재난 정보 생성 시스템, 재난 정보 생성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5757A true KR20150085757A (ko) 2015-07-24
KR101703116B1 KR101703116B1 (ko) 2017-02-06

Family

ID=538759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05769A KR101703116B1 (ko) 2014-01-07 2014-01-16 재난 정보 생성 시스템, 재난 정보 생성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0311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66859A1 (ko) * 2016-10-05 2018-04-12 삼성전자 주식회사 긴급 서비스 제공 방법, 이를 위한 전자 장치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2450327B1 (ko) * 2021-11-22 2022-10-06 주식회사 이엠웨이브 대규모 사물인터넷 네트워크 기반 재난 대응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6490B1 (ko) * 2017-11-17 2018-05-10 노아에스앤씨 주식회사 폭우에 대한 재해취약성 정보 자동처리방법
KR20230045263A (ko) 2021-09-28 2023-04-04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재난인프라 가중치를 이용하여 재난보고서로부터 인프라 피해 정보를 추출하는 재난정보 질의응답시스템 및 질의응답방법
KR102414734B1 (ko) 2022-02-10 2022-06-29 주식회사 온품 재난알림메시지 생성장치 및 그 방법과, 이를 이용한 재난정보 제공방법
KR102641487B1 (ko) 2022-02-23 2024-02-28 주식회사 온품 민방위경보문자 송신장치 및 그 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93813A (ko) * 2005-02-22 2006-08-28 주식회사 엘씨와이시스템즈 위성 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을 이용한 기상특보 발령 시스템및 그 방법
KR20100009690A (ko) 2008-07-21 2010-01-29 에스시스템(주) 화재 다중 신호를 조합한 로직 프로그램이 내장된 화재감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화재감지 판독 방법
KR20130010789A (ko) * 2011-07-19 2013-01-29 메타라이츠(주) 재난 전조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그 장치
KR20130043422A (ko) * 2011-10-20 2013-04-30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모바일기기를 이용한 지도기반의 실시간 재난정보서비스 운용방법
KR20130091936A (ko) * 2012-02-09 2013-08-2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무선 랜을 기반으로 한 재난 방재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93813A (ko) * 2005-02-22 2006-08-28 주식회사 엘씨와이시스템즈 위성 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을 이용한 기상특보 발령 시스템및 그 방법
KR20100009690A (ko) 2008-07-21 2010-01-29 에스시스템(주) 화재 다중 신호를 조합한 로직 프로그램이 내장된 화재감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화재감지 판독 방법
KR20130010789A (ko) * 2011-07-19 2013-01-29 메타라이츠(주) 재난 전조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그 장치
KR20130043422A (ko) * 2011-10-20 2013-04-30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모바일기기를 이용한 지도기반의 실시간 재난정보서비스 운용방법
KR20130091936A (ko) * 2012-02-09 2013-08-2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무선 랜을 기반으로 한 재난 방재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66859A1 (ko) * 2016-10-05 2018-04-12 삼성전자 주식회사 긴급 서비스 제공 방법, 이를 위한 전자 장치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US10827318B2 (en) 2016-10-05 2020-11-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providing emergency service, electronic device therefor,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KR102450327B1 (ko) * 2021-11-22 2022-10-06 주식회사 이엠웨이브 대규모 사물인터넷 네트워크 기반 재난 대응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03116B1 (ko) 2017-0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03116B1 (ko) 재난 정보 생성 시스템, 재난 정보 생성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US11915579B2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distributing and displaying communications
US10346991B2 (en) Displaying location-based rules on augmented reality glasses
JP6648189B2 (ja) 地点観測を使用して天気予報を精密化する方法及びシステム
US11164257B1 (en) Streamlined property insurance application and renewal process
Poblet et al. Crowdsourcing tools for disaster management: A review of platforms and methods
US897248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fficient and accurate analytics with cross-domain correlation
US2015010035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dentifying early status
US20170089739A1 (en) Sensor grouping for a sensor based detection system
US11044206B2 (en) Live video anomaly detection
US20150309895A1 (en) Decision-making support system and decision-making support method
US20150113426A1 (en) Crisis information delivery device, crisis information delivery system, method, and program
WO2015051039A1 (en) High-voltage detector monitoring system
US11176504B2 (en) Identifying changes in health and status of assets from continuous image feeds in near real time
US9723452B2 (en) Public service awareness of crowd movement and concentration
US11727303B2 (en) Precipitation detection using mobile devices
Merrick et al. Utilizing community volunteered information to enhance disaster situational awareness.
JP2020154620A (ja) 地域監視システム、分析装置、地域監視方法、及びプログラム
Rompas et al. Robust flood monitoring platform using message queueing telemetry transport protocol
KR102396812B1 (ko) 스마트시티에 설치되는 센서들을 관리하는 방법 및 그 서버
Nawaz et al. Social sensing in the field: challenges in detecting social interactions in construction sites
US11902038B2 (en) Securing data presented during videoconferencing
Thomas et al. A survey on disaster management systems
US20240096191A1 (en) Corroborating device-detected anomalous behavior
Jagarlamudi et al. Towards Deploying Advanced Context Provisioning for Surf Life Saving Use Cas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