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39543B1 - 학교시설 하자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학교시설 하자관리 시스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539543B1 KR102539543B1 KR1020220122105A KR20220122105A KR102539543B1 KR 102539543 B1 KR102539543 B1 KR 102539543B1 KR 1020220122105 A KR1020220122105 A KR 1020220122105A KR 20220122105 A KR20220122105 A KR 20220122105A KR 102539543 B1 KR102539543 B1 KR 10253954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acility
- defect
- inspection
- inspected
- image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07547 defect Effect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91
- 238000007689 inspe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6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7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5
- 230000008439 repair process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30000003190 augmentative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13461 desig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0000006872 improv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8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2544 monito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3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38000004458 analytic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546 transfer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078 waterproof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213 activ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378 air conditio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491 arra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30 construction manag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542 deterior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56 evalu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299 exfoli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284 extrac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914 filt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415 inactiv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835 investig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774 longterm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95 mobile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360 tes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3/00—Testing or monitoring of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 G05B23/02—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 G05B23/0205—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by means of a monitoring system capable of detecting and responding to faults
-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3/00—Testing or monitoring of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 G05B23/02—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 G05B23/0205—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by means of a monitoring system capable of detecting and responding to faults
- G05B23/0208—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by means of a monitoring system capable of detecting and responding to faults characterized by the configuration of the monitoring system
- G05B23/0216—Human interface functionality, e.g. monitoring system providing help to the user in the selection of tests or in its configuration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0—Computer-aided design [CAD]
- G06F30/10—Geometric CAD
- G06F30/13—Architectural design, e.g. computer-aided architectural design [CAAD] related to design of buildings, bridges, landscapes, production plants or road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06K19/06037—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multi-dimensional coding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9—Time management, e.g. calendars, reminders, meetings or time accounting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20—Administration of product repair or maintenance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0002—Inspection of images, e.g. flaw detection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10—Segmentation; Edge detection
-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219/00—Program-control systems
- G05B2219/20—Pc systems
- G05B2219/24—Pc safety
- G05B2219/24093—Display, show place of error, faul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ometry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ational Mathematic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athematical Optimization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thematical Analysis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ure & Applied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rchitectur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학교시설 하자관리 시스템은, 온라인 상에서 학교시설 내 검사대상 시설물의 하자점검이력을 전산화하여 통합 관리하는 하자관리 지원 플랫폼을 운영하며, 네트워크 통신망을 통해 상기 검사대상 시설물의 검사 항목이 포함된 제1 체크리스트를 시설물 관리 단말기에 제공하고, 상기 시설물 관리 단말기로부터 검사 항목이 체크된 제2 체크리스트를 수신하여 학교시설 별로 하자점검이력을 저장하는 하자관리 지원 플랫폼 서버와, 상기 하자관리 지원 플랫폼과 연동되는 하자관리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어 표시모듈 상에 상기 제1 체크리스트를 표시하며, 상기 제1 체크리스트에 포함된 검사항목마다 시설물 관리자로부터 하자검사정보를 입력 받아 상기 제2 체크리스트를 생성하는 시설물 관리 단말기를 포함하고, 상기 하자관리 지원 플랫폼 서버는, 각 학교시설의 건축물 설계도면을 3D 도면으로 변환하여 관리하며, 상기 제2 체크리스트에 포함된 하자검사정보를 상기 3D 도면 내 검사대상 시설물의 위치에 매핑하여 저장하고, 상기 하자점검이력을 기초로 학교시설별 하자관리 스케줄을 생성하여 하자점검기간마다 상기 시설물 관리 단말기에 하자관리 알림을 제공하고, 상기 시설물 관리 단말기는, 하자점검시 상기 검사대상 시설물에 부착된 식별태그를 촬영하여 식별정보를 로드하고, 상기 제1 체크리스트에 포함된 검사항목 중 상기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검사항목만 활성화하여 상기 하자검사정보의 입력을 허용하고, 상기 제1 체크리스트는 상기 시설물 관리 단말기에 수신된 이후 기설정된 하자점검기간 동안에만 활성화되어 입력된 하자검사정보를 기록하며, 상기 하자점검기간 이후에는 비활성화되어 편집이 차단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학교시설 하자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학교 시설물은 시설물 유지관리자가 체크리스트에 따라 결함 발생 가능 부위에 대해 조사하고 보수를 실시한다. 일반적으로 시설물 유지관리자는 건축 분야의 비전문가이기 때문에 구조적 안정성 평가를 제외하고, 누수, 균열, 박리, 박락 등 육안으로 확인이 가능한 시설물의 일반 상태를 평가하며, 이상 징후가 발견될 경우 상급 기관과 기술 부서로 통보하여 조사를 의뢰한다.
하지만, 최근에는 시설행정 증가에 따른 업무과중, 시설 관리직 미배치 기관 증가 등 여러가지 이유로 인해, 전문성이 있는 시설물 유지관리자에 의한 시설 관리를 담보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또한, 시설물 별로 하자점검을 수행한 하자점검 이력관리 시스템이 부재하여 과거 하자관리 이력 내용을 확인하기 어렵고, 하자관리 이력 내용이 존재하더라도 시설점검 기준의 표준화, 정량화가 정립되지 않아 과거에 작성된 이력 내용에 대한 신뢰도가 의심되며, 하자관리 중요성의 인식이 부족하여 수동적 업무 추진으로 인한 하자관리가 미흡한 실정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인 과제는, 학교시설 별로 하자점검 이력을 전산화하여 관리하고, 시설물 관리자의 전문성 보유 여부와 상관없이 표준화된 하자관리 수준을 제공하는 학교시설 하자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학교시설 하자관리 시스템은, 온라인 상에서 학교시설 내 검사대상 시설물의 하자점검이력을 전산화하여 통합 관리하는 하자관리 지원 플랫폼을 운영하며, 네트워크 통신망을 통해 상기 검사대상 시설물의 검사 항목이 포함된 제1 체크리스트를 시설물 관리 단말기에 제공하고, 상기 시설물 관리 단말기로부터 검사 항목이 체크된 제2 체크리스트를 수신하여 학교시설 별로 하자점검이력을 저장하는 하자관리 지원 플랫폼 서버와, 상기 하자관리 지원 플랫폼과 연동되는 하자관리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어 표시모듈 상에 상기 제1 체크리스트를 표시하며, 상기 제1 체크리스트에 포함된 검사항목마다 시설물 관리자로부터 하자검사정보를 입력 받아 상기 제2 체크리스트를 생성하는 시설물 관리 단말기를 포함하고, 상기 하자관리 지원 플랫폼 서버는, 각 학교시설의 건축물 설계도면을 3D 도면으로 변환하여 관리하며, 상기 제2 체크리스트에 포함된 하자검사정보를 상기 3D 도면 내 검사대상 시설물의 위치에 매핑하여 저장하고, 상기 하자점검이력을 기초로 학교시설별 하자관리 스케줄을 생성하여 하자점검기간마다 상기 시설물 관리 단말기에 하자관리 알림을 제공하고, 상기 시설물 관리 단말기는, 하자점검시 상기 검사대상 시설물에 부착된 식별태그를 촬영하여 식별정보를 로드하고, 상기 제1 체크리스트에 포함된 검사항목 중 상기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검사항목만 활성화하여 상기 하자검사정보의 입력을 허용하고, 상기 제1 체크리스트는 상기 시설물 관리 단말기에 수신된 이후 기설정된 하자점검기간 동안에만 활성화되어 입력된 하자검사정보를 기록하며, 상기 하자점검기간 이후에는 비활성화되어 편집이 차단된다.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시설물 관리 단말기는, 하자점검시 실시간으로 촬영된 상기 검사대상 시설물에 대한 제1 이미지를 상기 표시모듈 상에 표시하고, 상기 제1 이미지를 분석하여 상기 검사대상 시설물의 부위별 검사위치를 식별하며, 식별된 부위별 검사위치마다 검사항목 및 검사방법을 증강현실 영상으로 삽입하여 표시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시설물 관리 단말기는, 상기 제1 이미지를 상기 표시모듈의 구분 영역인 제1 영역에 표시하고, 상기 식별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검사대상 시설물에 대한 표준 이미지 및 검사설명 영상을 상기 표시모듈의 나머지 영역인 제2 영역에 표시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시설물 관리 단말기는, 상기 제1 이미지를 다수의 영역으로 분할하고, 각 영역에 포함된 특징점의 개수 및 위치를 판단하여 상기 검사대상 시설물의 검사대상 부위를 식별하고, 기저장된 표준 이미지와 상기 검사대상 부위에 대응하는 영역과 이미지 일치율을 비교하여 기준 일치율 이하인 경우 하자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하며, 하자 발생시 상기 제1 이미지를 상기 표시모듈의 구분 영역인 제1 영역에 표시하고, 상기 식별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검사대상 시설물의 모델 정보와 동일한 다른 학교시설의 검사대상 시설물을 선별하고, 상기 다른 학교시설의 검사대상 시설물을 포함하는 제2 이미지와 하자점검정보를 상기 표시모듈의 나머지 영역인 제2 영역에 표시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시설물 관리 단말기는, 하자점검시 상기 하자관리 지원 플랫폼 서버로부터 설치 후 일정 시간 동안에만 실행되는 이미지 생성 UI를 수신 받고, 상기 이미지 생성 UI를 통해 상기 검사대상 시설물을 촬영하여 검사대상 시설물 이미지를 생성하며, 상기 검사대상 시설물 이미지에 워터마크를 삽입한 이미지를 상기 검사대상 시설물의 현재상태정보로서 상기 하자관리 지원 플랫폼 서버에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학교시설 하자관리 시스템에 따르면, 온라인 상에서 운영되는 하자관리 지원 플랫폼을 통해 학교시설 별로 하자점검 이력을 전산화하여 관리하고, 시설물 관리자의 전문성 보유 여부와 상관없이 학교시설 하자관리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표준화된 하자관리 수준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학교시설 하자관리 시스템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설물 관리자 단말기의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설물 관리자 단말기의 하자 검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시설물 관리자 단말기의 하자 검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시설물 관리자 단말기의 하자 검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설물 관리자 단말기의 식별코드를 이용한 체크리스트 이용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설물 관리자 단말기의 하자검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a 내지 도 8e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학교시설 하자관리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들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설물 관리자 단말기의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설물 관리자 단말기의 하자 검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시설물 관리자 단말기의 하자 검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시설물 관리자 단말기의 하자 검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설물 관리자 단말기의 식별코드를 이용한 체크리스트 이용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설물 관리자 단말기의 하자검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a 내지 도 8e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학교시설 하자관리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들이다.
본 명세서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형태들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에 있어서 '모듈' 혹은 '부'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수행하는 기능적 부분을 의미하며,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부" 또는 “모듈”이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FPGA 또는 ASIC과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부" 또는 “모듈”은 어떤 역할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부" 또는 “모듈”은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부" 또는 “모듈”은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 또는 “모듈”은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 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 또는 “모듈”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 또는 “모듈”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 또는 “모듈”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학교시설 하자관리 시스템의 개략적인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설물 관리자 단말기의 도면이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학교시설 하자관리 시스템(10)은 온라인 상에서 운영되는 하자관리 지원 플랫폼을 통해 학교시설 별로 하자점검 이력을 전산화하여 관리하고, 시설물 관리자의 전문성 보유 여부와 상관없이 학교시설 하자관리 어플리케이션(APP)을 통해 표준화된 하자관리 수준을 제공한다.
학교시설 하자관리 시스템(10)은 시설물 관리자 단말기(100)와 하자관리 지원 플랫폼 서버(200)를 포함한다.
시설물 관리자 단말기(100)는 학교시설 하자관리 어플리케이션(APP)이 실행되며, 하자관리 지원 플랫폼 서버(200)에서 운영하는 하자관리 지원 플랫폼에 접속할 수 있는 통신 장치이다.
실시 예에 따라, 시설물 관리자 단말기(100)는 PC(personal computer), 스마트 폰(smart phone), 태블릿 (tablet) PC, 모바일 인터넷 장치(mobile internet device(MID)), 인터넷 태블릿, IoT(internet of things) 장치, IoE(internet of everything) 장치, 데스크 탑 컴퓨터(desktop computer), 랩탑(laptop) 컴퓨터, 워크스테이션 컴퓨터,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및 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중 어느 하나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모든 종류의 통신 장치가 포함될 수 있다.
시설물 관리자 단말기(100)는 프로세서(110), 표시모듈(120), 촬영모듈(130), 통신모듈(140), 저장모듈(150), 및 입출력 인터페이스(160)를 포함한다.
프로세서(110)는 특정한 계산들 또는 태스크들을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프로세서(110)는 집적 회로(integrated circuit(IC)),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plication processor(AP)), 모바일(mobile) AP를 제어할 수 있는 프로세서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프로세서(110)는 학교시설 하자관리 어플리케이션(APP)을 실행하여 하자점검에 필요한 일련의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프로세서(110)는 하자관리 지원 플랫폼 서버(200)로부터 수신된 제1 체크리스트를 기초로 하자검사정보가 입력된 제2 체크리스트를 생성할 수 있으며, 촬영모듈(130)에 의해 생성된 제1 이미지를 분석하여 하자 발생 여부를 판단할 수 있고, 증강현실 영상이 삽입된 제1 이미지를 생성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10)는 하자관리 지원 플랫폼 서버(200)로부터 수신된 제1 체크리스트를 분석하여 각 검사항목을 인식하고, 검사대상 시설물의 식별정보에 매칭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체크리스트의 검사항목에는 검사대상 시설물마다 검사내용 및 검사방식이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검사대상 시설물은 사업분야에 따라 노후시설개선분야, 외부환경개선분야, 학교안전시설분야, 교육활동 및 수업환경조성분야, 학습교구개선분야로 구분된다.
노후시설개선 분야는 옥상방수, 외벽방수, 외벽보수, 바닥보수, 외부창호 교체, 복도중창 교체, 이중천장 교체, 천장텍스 교체, 선홈통 교체, 화장실 개량, 화장실 증축, 정화조 개수, 급배수관 교체, 급수펌프 교체, 물탱크 교체, 노후전등 교체, 간선 및 분전반 교체, 수배전반 교체, 특고압인입 및 간선 교체의 19개 사업을 포함하며, 검사대상 시설물은 19개 사업 각각에 관련된 시설물로 설정된다.
외부환경개선 분야는 담장, 휀스, 교문, 스탠드, 배수로, 운동장 정비, 포장 및 경계석, 조례대의 8개 사업을 포함하며, 검사대상 시설물은 8개 사업 각각에 관련된 시설물로 설정된다.
학교안전시설 분야는 옹벽 및 석축, 비탈면 정비, 옥상난간대, 계단난간대, 옥외난간대, 옥내소화전 개수, 자탐시설 개수, 소방펌프 교체, 방화셔터 및 방화문의 9개 사업을 포함하며, 검사대상 시설물은 9개 사업 각각에 관련된 시설물로 설정된다.
교육활동 및 수업환경조성 분야는 정보통신시설 개수, 방송장비 교체, 방송시설 개수, 냉난방 개선의 4개 사업을 포함하며, 검사대상 시설물은 4개 사업 각각에 관련된 시설물로 설정된다.
학습교구개선 분야는 학생 책걸상, 사물함, 칠판 및 게시판, 신발장의 4개 사업을 포함하며, 검사대상 시설물은 4개 사업 각각에 관련된 시설물로 설정된다.
프로세서(110)는 시설물 관리자에 의해 입력된 하자검사정보를 제1 체크리스트의 각 검사항목에 입력할 수 있는데, 검사항목 중 식별정보와 매칭된 검사항목에만 입력을 허용할 수 있다.
여기서, 식별정보는 식별 ID, 모델 정보, 설치연월, 규격 등 검사대상 시설물마다 부여된 정보로서, 검사대상 시설물에는 식별태그로 변환된 식별정보가 제공된다. 예컨대, 식별태그는 1차원 바코드 및 2차원 바코드 중 어느 하나로 변환된 형태로 출력되어 검사대상 시설물에 부착되며, 프로세서(110)는 촬영모듈(130)에 의해 식별태그를 인식하여 식별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이때, 식별태그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 태그로도 구현될 수 있다.
만약, 프로세서(110)가 식별정보와의 매칭없이 모든 검사항목의 입력을 허용한다면, 시설물 관리자가 실제로 검사대상 시설물을 확인하지 않거나 검사대상 시설물에 가까이 가지 않고도 임의로 하자검사정보를 입력하는 문제가 생길 수 있다.
따라서, 프로세서(110)는 인식된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검사항목을 활성화하여 하자검사정보의 입력을 허용하며, 나머지 검사항목은 비활성화하여 하자검사정보의 입력을 차단할 수 있다. 즉, 프로세서(110)는 동시에 복수의 검사대상 시설물에 대한 하자검사정보의 입력을 허용하지 않는다.
또한, 제1 체크리스트에 항시 하자검사정보의 입력을 허용한다면, 실제 하자검사가 진행되고 장기간 시간이 지난 후에 하자검사정보를 제1 체크리스트에 입력하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 프로세서(110)는 제1 체크리스트가 시설물 관리 단말기에 수신된 이후 기설정된 하자점검기간 동안에만 활성화되어 하자검사정보의 입력을 허용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제1 체크리스트에 포함된 모든 검사항목에 하자검사정보가 입력되면, 이를 제2 체크리스트로서 통신모듈(140)을 통해 하자관리 지원 플랫폼 서버(200)에 제공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프로세서(110)는 촬영 모듈에 의해 생성된 제1 이미지를 분석하여 검사대상 시설물의 부위별 검사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이미지는 촬영모듈(130)에 의해 생성된 검사대상 시설물이 포함된 이미지를 의미한다.
프로세서(110)는 제1 이미지를 복수의 영역들로 분할하고, 영역 별로 특성을 분석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프로세서(110)는 분할된 영역들 각각에 포함된 감시대상 시설물에 특징점을 부여하여, 영역별로 특징점의 위치 및 개수를 판단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110)는 감시대상 시설물에 대한 특징점의 위치 및 개수만을 판단하고, 감시대상 시설물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불필요한 특징점은 시설물 관리자에 의해 미리 설정된 조건에 따라 제거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제1 이미지를 분석한 분석정보와 기저장된 부위별 검사위치에 따른 특징점 정보를 비교하여, 각 영역에 위치한 부위별 검사위치를 식별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10)는 시설물 관리자의 하자점검의 이해를 돕기 위해, 식별된 부위별 검사위치마다 증강현실 영상으로 구현된 검사항목 및 검사방법을 중첩하여 표시모듈(120)에 표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시설물 관리자는 제1 이미지와 증강현실 영상을 확인하여 하자점검을 수행해야하는 부위를 확인할 수 있고, 검사하는 방법도 증강현실을 통해 학습할 수 있어, 하자점검에 대한 경험이 없거나 숙련도가 낮은 시설물 관리자도 신뢰성 높은 검사를 수행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라, 프로세서(110)는 검사대상 시설물을 촬영한 제1 이미지를 분석하여 하자발생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제1 이미지를 다수의 영역으로 분할하고, 각 영역에 포함된 특징점의 개수 및 위치를 판단하여 검사대상 시설물의 검사대상 부위를 식별하고, 기저장된 표준 이미지와 검사대상 부위에 대응하는 영역과 이미지 일치율을 비교하여 기준 일치율 이하인 경우 하자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프로세서(110)는 제1 이미지 내 모든 영역의 이미지 일치율을 판단하는 것이 아니라, 검사대상 부위에 대응하는 영역만의 이미지 일치율을 판단하기 때문에 프로세서(110)의 작업 처리량을 줄일 수 있다.
만약, 이미지 일치율을 계산하여 하자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 프로세서(110)는 시설물 관리자의 대응을 돕기 위해 다른 학교시설에 배치된 유사한 사례를 표시모듈(120) 상에 표시할 수 있다. 즉, 프로세서(110)는 검사대상 시설물의 식별정보를 분석하여 검사대상 시설물의 모델 정보와 동일한 다른 학교시설의 검사대상 시설물을 선별할 수 있고, 다른 학교시설의 검사대상 시설물을 포함하는 제2 이미지와 하자점검정보를 표시모듈(120)에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하자점검정보는 하자내용, 하자수리기간, 소요비용, 수리업체 정보, 지역정보 등 시설물 관리자에 의해 필터링 조건이 설정되어 선택적으로 표시될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제1 이미지를 표시모듈(120)의 구분 영역인 제1 영역에 표시하고, 표시모듈(120)의 나머지 영역인 제2 영역에 제2 이미지와 하자점검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라, 프로세서(110)는 실시간으로 촬영된 제1 이미지를 상기 표시모듈(120)의 구분 영역인 제1 영역에 표시하고, 검사대상 시설물의 식별정보를 분석하여 검사대상 시설물에 대한 표준 이미지 및 검사설명 영상을 표시모듈(120)의 나머지 영역인 제2 영역에 표시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110)는 하자점검시 검사대상 시설물 이미지를 생성하기 위해 하자관리 지원 플랫폼 서버(200)로부터 이미지 생성 UI를 수신받을 수 있다. 이미지 생성 UI는 학교시설 하자관리 어플리케이션(APP) 상에서 실행되는 프로그램으로서, 설치 후 일정 시간동안에만 유효하게 실행되어 검사대상 시설물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시설물 관리자가 과거에 생성한 검사대상 시설물 이미지를 현재상태정보로서 하자관리 지원 플랫폼 서버(200)에 전송하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기 때문에, 프로세서(110)는 일정 시간 동안에만 실행되는 이미지 생성 UI를 통해 검사대상 시설물을 촬영하여 검사대상 시설물 이미지를 생성하고, 검사대상 시설물 이미지에 워터마크를 삽입한 이미지를 검사대상 시설물의 현재상태정보로서 하자관리 지원 플랫폼 서버(200)에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10)는 이미지 생성 UI를 학교시설 하자관리 어플리케이션(APP) 상에서 삭제하여 허용되지 않은 검사대상 시설물 이미지의 생성을 사전에 차단할 수 있다.
표시모듈(120)은 촬영모듈(130)에 의해 생성된 제1 이미지를 실시간으로 표시할 수 있으며, 프로세서(110)의 제어에 대응하여 제1 이미지에 증강현실 영상을 중첩하여 함께 표시할 수 있으며, 프로세서(110)의 제어에 따라 제1 영역과 제2 영역으로 구분되어 서로 다른 이미지들을 표시할 수 있다.
촬영모듈(130)은 시설물 관리자 단말기(100)에 구비된 카메라로 구현될 수 있으며, 검사대상 시설물을 촬영하여 제1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통신모듈(140)은 네트워크 통신망을 통해 하자관리 지원 플랫폼 서버(200)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으며, LAN(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LTE(Long Term Evolution), EPC(Evolved Packet Core) 등의 통신 방식을 사용할 수 있어, 어느 하나의 통신 방식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저장모듈(150)은 프로세서(110)의 제어에 따라 데이터를 리드 또는 라이트할 수 있으며, 제1 및 제2 체크리스트, 제1 이미지, 제2 이미지, 증강현실 영상 등을 저장할 수 있다.
입출력 인터페이스(160)는 시설물 관리자 또는 다른 외부 기기로부터 입력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시설물 관리자 단말기(100)의 다른 구성요소에 전달하거나, 시설물 관리자 단말기(100)의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수신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다른 외부 기기로 출력할 수 있다.
하자관리 지원 플랫폼 서버(200)는 온라인 상에서 운영되는 하자관리 지원 플랫폼을 운영하며, 하자관리 지원 플랫폼을 통해 하자점검 이력을 전산화하여 관리하고, 유효한 권한을 보유한 사용자에게 하자관리 지원 플랫폼의 접속을 허가한다.
하자관리 지원 플랫폼 서버(200)는 온라인 네트워크를 호스팅할 수 있고, 네트워크 주소 지정이 가능하며, 시설물 관리자 단말기(100)와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하자관리 지원 플랫폼 서버(200)는 검사대상 시설물의 검사 항목이 포함된 제1 체크리스트를 시설물 관리 단말기에 제공하고, 시설물 관리 단말기로부터 검사 항목이 체크된 제2 체크리스트를 수신하여 학교시설 별로 하자점검이력을 저장할 수 있다.
이로써, 하자관리 지원 플랫폼에서는 각 학교시설 별로 하자점검이력이 과거부터 현재까지 순차적으로 기록되어 관리되며, 시설물 관리자 단말기(100)로부터 수신된 검사대상 시설물 이미지도 함께 저장되기 때문에, 하자관리 지원 플랫폼의 사용자는 하자점검이력과 검사대상 시설물 이미지를 통해 검사대상 시설물의 상태를 학교시설과 멀리 떨어진 지역에서도 확인이 가능하다.
실시 예에 따라, 하자관리 지원 플랫폼 서버(200)는 각 학교시설의 건축물 설계도면을 3D 도면으로 변환하여 관리하며, 제2 체크리스트에 포함된 하자검사정보를 3D 도면 내 검사대상 시설물의 위치에 매핑하여 저장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라, 하자관리 지원 플랫폼 서버(200)는 기저장된 하자관리 이력을 기초로 학교시설별 하자관리 스케줄을 생성하여 하자점검기간마다 시설물 관리 단말기에 하자관리 알림을 제공할 수 있다. 시설물 관리자는 하자관리 알림에 응답하여 하자점검을 수행함으로써, 정기적으로 검사대상 시설물의 하자관리가 이루어진다.
한편, 하자관리 지원 플랫폼 서버(200)는 시설물 관리자 단말기(100)의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시설물 관리자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상술한 식별태그의 기능을 대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시설물 관리자 단말기(100)의 위치정보는 단말기의 GPS 정보 등을 통해 자동적으로 인식될 수 있다.
이를 통해, 하자관리 지원 플랫폼 서버(200)는 시설물 관리자 단말기(100)의 근처에 존재하는 검사대상 시설물에 대한 정보를 해당 단말기(100)에 자동적으로 표시할 수 있으며, 시설물 관리자는 이러한 표시 정보를 활용하여 시설물 관리를 수행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설물 관리자 단말기의 하자 검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시설물 관리자 단말기(100)는 하자관리 지원 플랫폼 서버(200)로부터 제1 체크리스트를 수신할 수 있다(S100).
시설물 관리자 단말기(100)는 촬영모듈(130)을 이용하여 감시대상 시설물에 부착된 식별태그를 촬영하여 식별정보를 인식할 수 있다(S110). 예컨대, 식별태그는 1차원 바코드 및 2차원 바코드 중 어느 하나로 변환된 형태로서, 촬영모듈(130)에 의해 식별태그를 인식하여 식별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시설물 관리자 단말기(100)는 식별정보와 대응하는 제1 체크리스트의 검사항목을 활성화할 수 있다(S120). 시설물 관리자 단말기(100)는 제1 체크리스트를 분석하여 각 검사항목을 인식하고 검사대상 시설물의 식별정보에 매칭을 수행하며, 인식된 식별정보와 매칭되는 검사항목만을 활성화하고 나머지 검사항목은 비활성화한다.
시설물 관리자 단말기(100)는 시설물 관리자로부터 입출력 인터페이스(160)를 통해 하자점검정보를 입력받아 제1 체크리스트의 검사항목에 입력할 수 있다(S130).
시설물 관리자 단말기(100)는 검사항목의 입력이 완료된 제2 체크리스트를 하자관리 지원 플랫폼 서버(200)에 전송할 수 있다(S140). 하자관리 지원 플랫폼 서버(200)는 시설물 관리 단말기로부터 검사 항목이 체크된 제2 체크리스트를 수신하여 학교시설 별로 하자점검이력을 저장하며, 제2 체크리스트에 포함된 하자검사정보를 3D 도면 내 검사대상 시설물의 위치에 매핑하여 저장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시설물 관리자 단말기의 하자 검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시설물 관리자 단말기(100)는 감시대상 시설물을 촬영하여 제1 이미지를 실시간으로 생성하여 표시할 수 있으며, 제1 이미지를 다수 영역으로 분할 수 있다(S200).
시설물 관리자 단말기(100)는 각 영역에 포함된 감시대상 시설물에 특징점을 부여하고, 특징점의 개수와 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S210). 이때, 시설물 관리자 단말기(100)는 감시대상 시설물에 대한 특징점의 위치 및 개수만을 판단하고, 감시대상 시설물과 관계없는 특징점들은 판단에서 제외된다.
시설물 관리자 단말기(100)는 제1 이미지의 각 영역을 분석한 분석정보와 기저장된 부위별 검사위치에 따른 특징점 정보를 비교하여, 각 영역에 위치한 부위별 검사위치를 식별할 수 있다(S220).
시설물 관리자 단말기(100)는 기저장된 표준 이미지와 검사대상 부위에 대응하는 영역과 이미지 일치율을 비교할 수 있고, 비교 결과값이 기준 일치율 이하인 경우 하자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S230, S240).
시설물 관리자 단말기(100)는 검사대상 시설물에 하자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검사대상 시설물의 식별정보를 분석하여 검사대상 시설물의 모델 정보와 동일한 다른 학교시설의 검사대상 시설물을 선별한 후, 다른 학교시설의 검사대상 시설물을 포함하는 제2 이미지와 하자점검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시설물 관리자 단말기의 하자 검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시설물 관리자 단말기(100)는 하자관리 지원 플랫폼 서버(200)로부터 이미지 생성 UI를 수신받아 학교시설 하자관리 어플리케이션(APP) 상에서 실행할 수 있다(S300).
시설물 관리자 단말기(100)는 이미지 생성 UI를 통해 검사대상 시설물을 촬영하여 검사대상 시설물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S310). 이때, 이미지 생성 UI는 학교시설 하자관리 어플리케이션(APP) 상에서 설치된 이후, 일정 시간동안에만 유효하게 실행이 가능하기 때문에 제한된 시간 내에 검사대상 시설물을 촬영해야 한다.
시설물 관리자 단말기(100)는 검사대상 시설물 이미지에 워터마크를 삽입하고(S320), 워터마크가 삽입된 검사대상 시설물 이미지를 하자관리 지원 플랫폼 서버(200)에 전송할 수 있다(S330).
시설물 관리자 단말기(100)는 이미지 생성 UI를 학교시설 하자관리 어플리케이션(APP) 상에서 삭제하여 허용되지 않은 검사대상 시설물 이미지의 생성을 사전에 차단할 수 있다(S340).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설물 관리자 단말기의 식별코드를 이용한 체크리스트 이용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시설물 관리자 단말기(100)는 제1 체크리스트(CH)가 시설물 관리 단말기에 수신된 이후 기설정된 하자점검기간 동안에만 활성화되어 하자검사정보의 입력을 허용하며, 인식된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검사항목을 활성화하여 하자검사정보의 입력을 허용할 수 있다.
그리고, 시설물 관리자 단말기(100)는 나머지 검사항목을 비활성화하여 하자검사정보의 입력을 차단함으로써, 동시에 복수의 검사대상 시설물에 대한 하자검사정보의 입력을 허용하지 않는다.
예컨대, 시설물 관리자 단말기(100)는 제1 감시대상 시설물(TA1)에 부착된 제1 식별태그(QR1)를 촬영하여 제1 식별정보를 인식하고, 제1 체크리스트(CH)에 포함된 검사항목 중 제1 식별정보와 매칭하는 '검사항목 1'만을 활성화하여 시설물 관리자(US)에게 제1 감시대상 시설물(TA1)에 대한 하자검사정보의 입력을 허용할 수 있다.
이후, 시설물 관리자 단말기(100)는 제2 감시대상 시설물(TA2)의 하자점검시, 제2 감시대상 시설물(TA2)에 부착된 제2 식별태그(QR2)를 촬영하여 제2 식별정보를 인식하고, 제1 체크리스트(CH)에 포함된 검사항목 중 제2 식별정보와 매칭하는 '검사항목 2'만을 활성화하여 시설물 관리자(US)에게 제2 감시대상 시설물(TA2)에 대한 하자검사정보의 입력을 허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시설물 관리자 단말기(100)는 제1 체크리스트(CH)의 '검사항목 1'과 '검사항목 2'에 대해서 동시에 하자검사정보의 입력을 허용하지 않는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설물 관리자 단말기의 하자검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시설물 관리자 단말기(100)는 검사대상 시설물(TA1a)을 실시간으로 촬영하여 제1 이미지를 생성하고, 생성된 제1 이미지를 표시모듈(120) 상에 표시할 수 있다.
시설물 관리자 단말기(100)는 제1 이미지를 분석하여 검사대상 시설물(TA1a)의 부위별 검사위치를 판단하고, 식별된 부위별 검사위치마다 증강현실 영상(VR)으로 구현된 검사항목 및 검사방법을 중첩하여 표시모듈(120)에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시설물 관리자 단말기(100)는 제1 영역(AR1)과 제2 영역(AR2)으로 구분되어 서로 다른 이미지들을 표시할 수 있는데, 제1 이미지와 증강현실 영상(VR)을 표시모듈(120)의 구분 영역인 제1 영역(AR1)에 표시하고, 표시모듈(120)의 나머지 영역인 제2 영역(AR2)에 제2 이미지와 하자점검정보(TXT)를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이미지는 다른 학교시설의 검사대상 시설물(TA1b)을 포함하는 이미지이며, 하자점검정보(TXT)는 다른 학교시설의 검사대상 시설물(TA1b)에 대한 하자내용, 하자수리기간, 소요비용, 수리업체 정보, 지역정보 등에 관한 정보일 수 있다.
도 8a 내지 도 8e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학교시설 하자관리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들이다.
도 8a 내지 도 8e를 참조하면, 통합적으로 운영되는 학교시설 하자관리 시스템의 하자관리 프로세스, 공사관리 프로세스와, 하자계획관리 프로세스, 시설하자점검 프로세스, 시설하자점검 하자처리(상태) 프로세스에 관한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하게 변형 실시할 수 있을 것으로 이해된다.
100: 시설물 관리자 단말기
110: 프로세서
120: 표시모듈
130: 촬영모듈
140: 통신모듈
150: 저장모듈
160: 입출력 인터페이스
200: 하자관리 지원 플랫폼 서버
110: 프로세서
120: 표시모듈
130: 촬영모듈
140: 통신모듈
150: 저장모듈
160: 입출력 인터페이스
200: 하자관리 지원 플랫폼 서버
Claims (5)
- 온라인 상에서 학교시설 내 검사대상 시설물의 하자점검이력을 전산화하여 통합 관리하는 하자관리 지원 플랫폼을 운영하며, 네트워크 통신망을 통해 상기 검사대상 시설물의 검사 항목이 포함된 제1 체크리스트를 시설물 관리 단말기에 제공하고, 상기 시설물 관리 단말기로부터 검사 항목이 체크된 제2 체크리스트를 수신하여 학교시설 별로 하자점검이력을 저장하는 하자관리 지원 플랫폼 서버; 및
상기 하자관리 지원 플랫폼과 연동되는 하자관리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어 표시모듈 상에 상기 제1 체크리스트를 표시하며, 상기 제1 체크리스트에 포함된 검사항목마다 시설물 관리자로부터 하자검사정보를 입력 받아 상기 제2 체크리스트를 생성하는 시설물 관리 단말기를 포함하고,
상기 하자관리 지원 플랫폼 서버는,
각 학교시설의 건축물 설계도면을 3D 도면으로 변환하여 관리하며, 상기 제2 체크리스트에 포함된 하자검사정보를 상기 3D 도면 내 검사대상 시설물의 위치에 매핑하여 저장하고, 상기 하자점검이력을 기초로 학교시설별 하자관리 스케줄을 생성하여 하자점검기간마다 상기 시설물 관리 단말기에 하자관리 알림을 제공하고,
상기 시설물 관리 단말기는,
하자 점검시 상기 검사대상 시설물에 부착된 식별태그를 촬영하여 식별정보를 로드하고, 상기 제1 체크리스트에 포함된 검사항목 중 상기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검사항목만 활성화하여 상기 하자검사정보의 입력을 허용하고,
하자 점검시 실시간으로 촬영된 상기 검사대상 시설물에 대한 제1 이미지를 상기 표시모듈 상에 표시하고, 상기 제1 이미지를 분석하여 상기 검사대상 시설물의 부위별 검사위치를 식별하며, 식별된 부위별 검사위치마다 검사항목 및 검사방법을 증강현실 영상으로 삽입하여 표시하고,
상기 제1 이미지를 다수의 영역으로 분할하고, 각 영역에 포함된 특징점의 개수 및 위치를 판단하여 상기 검사대상 시설물의 검사대상 부위를 식별하고, 기저장된 표준 이미지와 상기 검사대상 부위에 대응하는 영역과 이미지 일치율을 비교하여 기준 일치율 이하인 경우 하자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하며,
하자 발생시 상기 제1 이미지를 상기 표시모듈의 구분 영역인 제1 영역에 표시하고, 상기 식별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검사대상 시설물의 모델 정보와 동일한 다른 학교시설의 검사대상 시설물을 선별하고, 상기 다른 학교시설의 검사대상 시설물을 포함하는 제2 이미지와 하자점검정보를 상기 표시모듈의 나머지 영역인 제2 영역에 표시하고,
상기 하자점검정보는 하자내용, 하자수리기간, 소요비용, 수리업체 정보, 및 지역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체크리스트는 상기 시설물 관리 단말기에 수신된 이후 기설정된 하자점검기간 동안에만 활성화되어 입력된 하자검사정보를 기록하며, 상기 하자점검기간 이후에는 비활성화되어 편집이 차단되는 학교시설 하자관리 시스템.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설물 관리 단말기는,
상기 제1 이미지를 상기 표시모듈의 구분 영역인 제1 영역에 표시하고, 상기 식별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검사대상 시설물에 대한 표준 이미지 및 검사설명 영상을 상기 표시모듈의 나머지 영역인 제2 영역에 표시하는 학교시설 하자관리 시스템.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설물 관리 단말기는,
하자점검시 상기 하자관리 지원 플랫폼 서버로부터 설치 후 일정 시간 동안에만 실행되는 이미지 생성 UI를 수신 받고, 상기 이미지 생성 UI를 통해 상기 검사대상 시설물을 촬영하여 검사대상 시설물 이미지를 생성하며, 상기 검사대상 시설물 이미지에 워터마크를 삽입한 이미지를 상기 검사대상 시설물의 현재상태정보로서 상기 하자관리 지원 플랫폼 서버에 전송하는 학교시설 하자관리 시스템.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122105A KR102539543B1 (ko) | 2022-09-27 | 2022-09-27 | 학교시설 하자관리 시스템 |
KR1020230068917A KR102692882B1 (ko) | 2022-09-27 | 2023-05-30 | 시설 하자관리 시스템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122105A KR102539543B1 (ko) | 2022-09-27 | 2022-09-27 | 학교시설 하자관리 시스템 |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30068917A Division KR102692882B1 (ko) | 2022-09-27 | 2023-05-30 | 시설 하자관리 시스템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539543B1 true KR102539543B1 (ko) | 2023-06-02 |
Family
ID=86755356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0122105A KR102539543B1 (ko) | 2022-09-27 | 2022-09-27 | 학교시설 하자관리 시스템 |
KR1020230068917A KR102692882B1 (ko) | 2022-09-27 | 2023-05-30 | 시설 하자관리 시스템 |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30068917A KR102692882B1 (ko) | 2022-09-27 | 2023-05-30 | 시설 하자관리 시스템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2) | KR102539543B1 (ko)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80784B1 (ko) * | 2013-03-27 | 2015-01-13 | (주)웹솔루스 | 근거리무선통신〔nfc〕을 이용한 하천 시설물 유지관리 방법 |
JP2015036908A (ja) * | 2013-08-14 | 2015-02-23 | 新日鉄住金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 プラント点検支援システム |
KR20160065361A (ko) * | 2014-11-28 | 2016-06-09 |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 건축물 유지관리 시스템 |
KR102121958B1 (ko) * | 2018-07-18 | 2020-06-11 | 주식회사 케이엠티엘 | 콘크리트 구조물 결함 분석 서비스 제공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프로그램 |
KR102203173B1 (ko) * | 2019-11-22 | 2021-01-15 | 한방유비스 주식회사 | 증강현실 기반의 소방시설 점검 방법, 장치 및 컴퓨터-판독가능 기록매체 |
-
2022
- 2022-09-27 KR KR1020220122105A patent/KR102539543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23
- 2023-05-30 KR KR1020230068917A patent/KR102692882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80784B1 (ko) * | 2013-03-27 | 2015-01-13 | (주)웹솔루스 | 근거리무선통신〔nfc〕을 이용한 하천 시설물 유지관리 방법 |
JP2015036908A (ja) * | 2013-08-14 | 2015-02-23 | 新日鉄住金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 プラント点検支援システム |
KR20160065361A (ko) * | 2014-11-28 | 2016-06-09 |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 건축물 유지관리 시스템 |
KR102121958B1 (ko) * | 2018-07-18 | 2020-06-11 | 주식회사 케이엠티엘 | 콘크리트 구조물 결함 분석 서비스 제공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프로그램 |
KR102203173B1 (ko) * | 2019-11-22 | 2021-01-15 | 한방유비스 주식회사 | 증강현실 기반의 소방시설 점검 방법, 장치 및 컴퓨터-판독가능 기록매체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692882B1 (ko) | 2024-08-07 |
KR20240043660A (ko) | 2024-04-0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1676223B2 (en) | Media management system | |
Kwon et al. | A defect management system for reinforced concrete work utilizing BIM, image-matching and augmented reality | |
CN111815916A (zh) | 一种目标区域的监控预警方法、系统和移动终端 | |
CN109697326B (zh) | 道路病害的处理方法、装置、计算机设备和存储介质 | |
CN104567985A (zh) | 桥梁信息处理方法及装置 | |
WO2014091302A2 (en) | System and method for quantified quality analysis and benchmarking for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 |
US20210350038A1 (en) | Systems and Methods for Rapidly Developing Annotated Computer Models of Structures | |
US20210263510A1 (en) | Systems and methods for generating a facilities report | |
US10979678B1 (en) | Property inspection devices, methods, and systems | |
KR102539543B1 (ko) | 학교시설 하자관리 시스템 | |
JP3973195B2 (ja) | 災害復旧システム | |
KR20230056006A (ko) | 3차원 모델을 통한 인공지능 기반 안전진단 장치 및 그 방법 | |
Mott et al. | What, why and when to go virtual: An international analysis of early adopters of virtual building energy codes inspections | |
CN115170993A (zh) | 基于ar采集分析的废气处理设备现场检查方法及系统 | |
KR20230043419A (ko) | Ai 기반의 건물 하자 점검 시스템 | |
CN109559031B (zh) | 一种智能化消防管理系统 | |
KR102355680B1 (ko) | 화재 현장정보를 기반으로 하는 복구맵을 이용한 화재복구 관리시스템 | |
WO2021023499A1 (de) | Verfahren und anordnung zur darstellung von technischen objekten | |
KR102616136B1 (ko) | 스마트 유지 관리 통합 시스템 및 이의 실행 방법 | |
US20240311775A1 (en) | Systems and methods for material assessment | |
US20210398356A1 (en) | Remote visually enabled contracting | |
US20210398268A1 (en) | Remote visually enabled contracting | |
US20230334586A1 (en) | Remote Real Property Inspection | |
KR102226001B1 (ko) | 하수관로 진단지원 시스템 | |
CN117275112A (zh) | 基于巡检标识进行现场灵活巡检的巡检系统及巡检方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107 |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