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35706B1 - 시설물 점검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시설물 점검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35706B1
KR101335706B1 KR1020130019021A KR20130019021A KR101335706B1 KR 101335706 B1 KR101335706 B1 KR 101335706B1 KR 1020130019021 A KR1020130019021 A KR 1020130019021A KR 20130019021 A KR20130019021 A KR 20130019021A KR 101335706 B1 KR101335706 B1 KR 1013357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cility
inspection
data
inspection target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190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윤
Original Assignee
모바일기술연구소(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모바일기술연구소(주) filed Critical 모바일기술연구소(주)
Priority to KR10201300190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3570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57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57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9/00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Determin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such systems
    • G01S19/01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transmitting time-stamped messages,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 [Global Orbiting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r GALILEO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Remote Sens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sting And Monitoring For Control System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시설물 점검 장치 및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시설물 점검 장치는, 하나 이상의 점검 대상 시설물을 포함하는 점검 대상 시설물 목록을 표시하고, 표시된 상기 점검 대상 시설물 목록 중에서 사용자의 입력을 받아 선택된 점검 대상 시설물에 대응하는 시설물 정보를 수신하는 시설물 정보 수신부; 상기 점검 대상 시설물의 관리 담당자와의 면담을 통하여 획득된 유지관리 현황 데이터를 입력하는 유지관리 현황 데이터 입력부; 상기 점검 대상 시설물의 현장을 조사하여 획득된 현장 조사 데이터를 입력하는 현장 조사 데이터 입력부; 및 상기 시설물 정보, 상기 유지관리 현황 데이터 및 상기 현장 조사 데이터를 포함하는 점검 데이터를 저장하는 점검 데이터 저장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시설물 점검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inspecting facilities}
본 발명은 시설물 점검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점검 대상 시설물에 대응하는 시설물 정보, 점검 대상 시설물의 관리 담당자와의 면담을 통하여 획득된 유지관리 현황 데이터 및 점검 대상 시설물의 현장을 조사하여 획득된 현장 조사 데이터를 포함하는 점검 데이터를 입력하여 저장하고 시설물 관리 서버로 전송함으로써, 시설물을 점검하는 사용자가 현장 점검을 손쉽게 할 수 있고 현장 점검 및 보고 절차를 한번에 수행할 수 있어서 현장 점검 및 보고 절차에 걸리는 노력 및 시간을 크게 절감할 수 있는 시설물 점검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아파트, 백화점, 학교, 행정청사, 병원, 군부대, 공장, 교량, 공항, 항만 등 많은 사람들이 이용하는 건축물은 붕괴 사고가 발생할 경우 대량의 인명 피해가 발생할 수 있으며, 그 내부에 설치된 각종 설비 또한 오작동으로 인한 피해와 혼란을 야기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건축물과 그 설비 등 시설물 전반에 대한 정기적인 점검과 진단이 매우 중요하다.
종래에는 이러한 시설물들에 대하여 우선 현장 점검 담당자가 현장을 방문하여 특정 양식의 기록지 등에 1차적으로 점검 결과를 기록하거나 현장을 카메라 등의 촬영 장치를 이용하여 사진을 촬영한다. 그 다음 현장 점검 담당자가 사무실로 돌아와 개인용 컴퓨터(Personal Computer; PC)를 이용하여 보관 및 분석에 용이한 전자문서 형태로 2차 작성하고, 업무 처리 시에 별도 양식의 보고서 등을 작성하면서 3차적으로 또 기입을 하여야 한다. 따라서, 종래의 현장 점검 방식에 따르면, 현장 점검 담당자가 동일한 사항을 반복적으로 확인하여 기록하여야 하므로 업무가 과중되고 시간이 지체될 뿐만 아니라, 여러 과정을 거치면서 업무 처리 중 실수가 발생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점검 대상 시설물에 대응하는 시설물 정보, 점검 대상 시설물의 관리 담당자와의 면담을 통하여 획득된 유지관리 현황 데이터 및 점검 대상 시설물의 현장을 조사하여 획득된 현장 조사 데이터를 포함하는 점검 데이터를 입력하여 저장하고 시설물 관리 서버로 전송함으로써, 시설물을 점검하는 사용자가 현장 점검을 손쉽게 할 수 있고 현장 점검 및 보고 절차를 한번에 수행할 수 있어서 현장 점검 및 보고 절차에 걸리는 노력 및 시간을 크게 절감할 수 있는 시설물 점검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설물 점검 장치는, 하나 이상의 점검 대상 시설물을 포함하는 점검 대상 시설물 목록을 표시하고, 표시된 상기 점검 대상 시설물 목록 중에서 사용자의 입력을 받아 선택된 점검 대상 시설물에 대응하는 시설물 정보를 수신하는 시설물 정보 수신부; 상기 점검 대상 시설물의 관리 담당자와의 면담을 통하여 획득된 유지관리 현황 데이터를 입력하는 유지관리 현황 데이터 입력부; 상기 점검 대상 시설물의 현장을 조사하여 획득된 현장 조사 데이터를 입력하는 현장 조사 데이터 입력부; 및 상기 시설물 정보, 상기 유지관리 현황 데이터 및 상기 현장 조사 데이터를 포함하는 점검 데이터를 저장하는 점검 데이터 저장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시설물 점검 장치는, 상기 점검 데이터를 상기 점검 대상 시설물을 관리하는 시설물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점검 데이터 송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시설물 정보 수신부는, 상기 시설물 관리 서버에 저장된 점검 대상 시설물 목록을 상기 시설물 관리 서버로부터 수신하여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시설물 점검 장치는, 상기 사용자의 위치를 확인하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수신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시설물 정보 수신부는, 상기 GPS 수신기에 의해 확인된 상기 사용자의 위치에 대응하는 점검 대상 시설물 목록을 상기 시설물 관리 서버로부터 수신하여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유지관리 현황 데이터 입력부는, 상기 점검 대상 시설물에 대한 유지관리 현황 항목별 입력 사항 목록 중에서 하나 이상의 입력 사항을 선택하여 상기 유지관리 현황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다.
상기 현장 조사 데이터 입력부는, 상기 점검 대상 시설물에 대한 현장 조사 항목별 입력 사항 목록 중에서 하나 이상의 입력 사항을 선택하여 상기 현장 조사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다.
상기 시설물 점검 장치는, 상기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텍스트 또는 자유선을 포함하는 메모 데이터를 입력하는 메모 데이터 입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점검 데이터는, 상기 메모 데이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시설물 점검 장치는, 상기 점검 대상 시설물의 현장과 관련한 하나 이상의 물리량을 측정하는 측정부; 및 상기 점검 대상 시설물의 현장과 관련한 하나 이상의 영상을 촬영하는 촬영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현장 조사 데이터 입력부는, 상기 측정부에 의해 측정된 상기 하나 이상의 물리량 또는 상기 촬영부에 의해 촬영된 상기 하나 이상의 영상을 상기 현장 조사 데이터로 입력할 수 있다.
상기 현장 조사 데이터 입력부는, 상기 점검 대상 시설물의 현장과 관련한 하나 이상의 물리량을 측정하는 외부 측정 장치에 의해 측정된 상기 하나 이상의 물리량 또는 상기 점검 대상 시설물의 현장과 관련한 하나 이상의 영상을 촬영하는 외부 촬영 장치에 의해 촬영된 상기 하나 이상의 영상을 상기 현장 조사 데이터로 입력할 수 있다.
상기 시설물 점검 장치는, 상기 점검 데이터를 입력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고, 상기 사용자의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대한 입력을 처리하는 인터랙션 처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설물 점검 방법은, 하나 이상의 점검 대상 시설물을 포함하는 점검 대상 시설물 목록을 표시하는 단계; 표시된 상기 점검 대상 시설물 목록 중에서 사용자의 입력을 받아 선택된 점검 대상 시설물에 대응하는 시설물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점검 대상 시설물의 관리 담당자와의 면담을 통하여 획득된 유지관리 현황 데이터를 입력하는 단계; 상기 점검 대상 시설물의 현장을 조사하여 획득된 현장 조사 데이터를 입력하는 단계; 및 상기 시설물 정보, 상기 유지관리 현황 데이터 및 상기 현장 조사 데이터를 포함하는 점검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시설물 점검 방법은, 상기 점검 데이터를 상기 점검 대상 시설물을 관리하는 시설물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점검 대상 시설물 목록을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시설물 관리 서버에 저장된 점검 대상 시설물 목록을 상기 시설물 관리 서버로부터 수신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점검 대상 시설물 목록을 표시하는 단계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수신기에 의해 확인된 상기 사용자의 위치에 대응하는 점검 대상 시설물 목록을 상기 시설물 관리 서버로부터 수신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지관리 현황 데이터를 입력하는 단계는, 상기 점검 대상 시설물에 대한 유지관리 현황 항목별 입력 사항 목록 중에서 하나 이상의 입력 사항을 선택하여 상기 유지관리 현황 데이터를 입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현장 조사 데이터를 입력하는 단계는, 상기 점검 대상 시설물에 대한 현장 조사 항목별 입력 사항 목록 중에서 하나 이상의 입력 사항을 선택하여 상기 현장 조사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다.
상기 시설물 점검 방법은, 상기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텍스트 또는 자유선을 포함하는 메모 데이터를 입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점검 데이터는, 상기 메모 데이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현장 조사 데이터를 입력하는 단계는, 측정부가 상기 점검 대상 시설물의 현장과 관련한 하나 이상의 물리량을 측정하는 단계; 촬영부가 상기 점검 대상 시설물의 현장과 관련한 하나 이상의 영상을 촬영하는 단계; 및 상기 측정부에 의해 측정된 상기 하나 이상의 물리량 또는 상기 촬영부에 의해 촬영된 상기 하나 이상의 영상을 상기 현장 조사 데이터로 입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현장 조사 데이터를 입력하는 단계는, 상기 점검 대상 시설물의 현장과 관련한 하나 이상의 물리량을 측정하는 외부 측정 장치에 의해 측정된 상기 하나 이상의 물리량 또는 상기 점검 대상 시설물의 현장과 관련한 하나 이상의 영상을 촬영하는 외부 촬영 장치에 의해 촬영된 상기 하나 이상의 영상을 상기 현장 조사 데이터로 입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점검 대상 시설물에 대응하는 시설물 정보, 점검 대상 시설물의 관리 담당자와의 면담을 통하여 획득된 유지관리 현황 데이터 및 점검 대상 시설물의 현장을 조사하여 획득된 현장 조사 데이터를 포함하는 점검 데이터를 입력하여 저장하고 시설물 관리 서버로 전송함으로써, 시설물을 점검하는 사용자가 현장 점검을 손쉽게 할 수 있고 현장 점검 및 보고 절차를 한번에 수행할 수 있어서 현장 점검 및 보고 절차에 걸리는 노력 및 시간을 크게 절감할 수 있는 시설물 점검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설물 점검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설물 점검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3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설물 점검 방법의 일 구현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반복되는 설명,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의 용어는 하나 이상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설물 점검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설물 점검 장치(100)는 시설물 관리 서버(2)로부터 시설물 정보를 수신하거나 사용자(1)에 의해 입력된 점검 데이터를 시설물 관리 서버(2)로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설물 점검 장치(100)는 필요에 따라 각종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부, 각종 정보를 송수신하기 위한 통신부, 각종 정보를 처리하기 위한 제어부 등을 포함한 단말의 형태로서 구현되거나, 상기 단말에 포함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단말은 개인용 컴퓨터, 스마트폰, 개인용 휴대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 태블릿(tablet) 컴퓨터, 및 랩톱(laptop) 컴퓨터 중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설물 점검 장치(100)는 인터랙션 처리부(110), 시설물 정보 수신부(120),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수신기(121), 유지관리 현황 데이터 입력부(130), 현장 데이터 입력부(140), 측정부(141), 촬영부(142), 메모 데이터 입력부(150), 점검 데이터 저장부(160), 및 점검 데이터 송신부(17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장치(100)는 일 실시예에 따른 것이고 도 1에 도시된 블록들은 모든 블록이 필수 구성요소는 아니며, 다른 실시예에서 일부 블록이 추가, 변경 또는 삭제될 수 있다.
시설물 정보 수신부(120) 및 점검 데이터 송신부(170)는 시설물 관리 서버(2)와 각종 정보를 송수신하기 위한 네트워크 접속 장치로 구성될 수 있다. 이 때, 네트워크 접속 장치는 무선 통신 기능이 있는 경우에는, 이동 통신, 와이파이(Wi-Fi), 블루투스 등의 무선 통신을 통하여 무선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고, 무선 통신 기능이 없거나 무선 통신 기능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USB(Universal Serial Bus) 또는 이더넷(Ethernet) 등의 유선 통신을 통하여 유선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다.
인터랙션 처리부(110)는 시설물 정보 수신부(120), 유지관리 현황 데이터 입력부(130), 현장 데이터 입력부(140), 메모 데이터 입력부(160) 등으로부터 입력된 점검 데이터를 입력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고, 사용자(1)의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대한 입력을 처리한다. 이를 위하여, 인터랙션 처리부(110)는 터치 패널을 포함한 디스플레이 장치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터랙션 처리부(110)는 감압식 터치 패널 또는 정전식 터치 패널을 포함한 LCD(Liquid Crystal Display) 장치, LED(Light Emitting Diode) 장치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시설물 정보 수신부(120)는 하나 이상의 점검 대상 시설물을 포함하는 점검 대상 시설물 목록을 표시하고, 표시된 상기 점검 대상 시설물 목록 중에서 사용자의 입력을 받아 선택된 점검 대상 시설물에 대응하는 시설물 정보를 수신한다. 일 실시예에서, 시설물 정보 수신부(120)는 시설물 관리 서버(2)로부터 시설물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시설물 정보는 시설물 관리 서버(2)에 사전에 입력되어 저장된 정보로서, 시설물 개요, 부재 구성, 도면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설물 점검 장치(100)가 GPS 수신기(121)를 포함할 경우, GPS 수신기(121)는 사용자(1)의 위치를 확인하고, 시설물 정보 수신부(120)는 GPS 수신기(121)에 의해 확인된 사용자(1)의 위치에 대응하는 상기 점검 대상 시설물 목록을 시설물 관리 서버(2)로부터 수신하여 표시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설물 점검 장치(100)가 GPS 수신기(121)를 포함하지 않을 경우, 시설물 정보 수신부(120)는 시설물 관리 서버(2)에 저장된 점검 대상 시설물 목록을 시설물 관리 서버(2)로부터 수신하여 표시할 수 있다.
유지관리 현황 데이터 입력부(130)는 상기 점검 대상 시설물의 관리 담당자와의 면담을 통하여 획득된 유지관리 현황 데이터를 입력한다. 일 실시예에서, 유지관리 현황 데이터 입력부(130)는 사용자(1)의 입력을 받아 상기 점검 대상 시설물의 관리 담당자와의 면담을 통하여 획득된 유지관리 현황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다. 상기 유지관리 현황 데이터는 현장 조사만으로는 획득이 어려워 관리 담당자와의 면담을 통하여 획득 가능한 데이터로서, 해당 점검 대상 시설물의 일반 개요, 운영 관리 정보, 부속 시설물 목록, 건축 시설 정보, 토목 옥외 시설 정보, 설계 도서 정보, 보수 보강 이력 및 점검 이력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유지관리 현황 데이터 입력부(130)는 상기 점검 대상 시설물에 대한 유지관리 현황 항목별 입력 사항 목록 중에서 하나 이상의 입력 사항을 선택하여 상기 유지관리 현황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다. 유지관리 현황 데이터 입력부(130)는 해당 시설물별 유지관리 현황 항목별로 표준화된 목록에서 선택하거나 목록에 없는 경우에는 직접 텍스트(text)로 입력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표준화된 목록은 직관적인 다단메뉴와 함께 직접 텍스트를 입력할 수 있는 특화된 입력창을 표시하는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유지관리 현황 데이터 입력부(130)는 각종 유지관리 현황 데이터의 용이한 입력이 가능하다.
현장 조사 데이터 입력부(140)는 상기 점검 대상 시설물의 현장을 조사하여 획득된 현장 조사 데이터를 입력한다. 일 실시예에서, 현장 조사 데이터 입력부(140)는 사용자(1)의 입력을 받아 상기 점검 대상 시설물의 현장을 조사하여 획득된 현장 조사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다. 상기 현장 조사 데이터는 외관 조사, 비파괴 시험, 재현 실험 등을 통해 현장을 직접 조사하여 획득이 가능한 데이터로서, 해당 점검 대상 시설물의 손상을 발견한 공간(동, 층, 실), 손상 부재, 손상 부위, 손상 종류 및 정도, 손상 발생 원인, 유지 관리 방안, 손상 사진 및 전경 사항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설물 점검 장치(100)가 측정부(141) 및 촬영부(142)를 포함할 경우, 측정부(141)는 상기 점검 대상 시설물의 현장과 관련한 하나 이상의 물리량을 측정하고, 촬영부(142)는 상기 점검 대상 시설물의 현장과 관련한 하나 이상의 영상을 촬영한다. 이 때, 현장 조사 데이터 입력부(140)는 측정부(141)에 의해 측정된 상기 하나 이상의 물리량 또는 촬영부(142)에 의해 촬영된 상기 하나 이상의 영상을 상기 현장 조사 데이터로 입력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설물 점검 장치(100)가 측정부(141) 및 촬영부(142)를 포함하지 않을 경우, 현장 조사 데이터 입력부(140)는 상기 점검 대상 시설물의 현장과 관련한 하나 이상의 물리량을 측정하는 외부 측정 장치에 의해 측정된 상기 하나 이상의 물리량 또는 상기 점검 대상 시설물의 현장과 관련한 하나 이상의 영상을 촬영하는 외부 촬영 장치에 의해 촬영된 상기 하나 이상의 영상을 상기 현장 조사 데이터로 입력할 수 있다.
이처럼, 현장 조사 데이터 입력부(140)는 내부 또는 외부에 구비된 측정 장치 또는 촬영 장치를 통하여, 현장 조사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다. 현장 조사 데이터 입력부(140)는 상기 내부 또는 외부에 구비된 측정 장치 또는 촬영 장치를 직접 제어하고 그 결과 자료를 받아와서 입력 화면에서 사용자가 바로 확인이 가능하도록 하여 직관적이고 편리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 때, 측정부(141) 또는 상기 외부 측정 장치는 온도 측정 장치, 습도 측정 장치, 유리 두께 측정 장치, 길이 측정 장치 및 비파괴 검사 장비 중 하나 이상일 있다. 촬영부(142) 또는 상기 외부 촬영 장치는 디지털 카메라 또는 열화상 카메라일 수 있다. 또한, 외부 측정 장치 또는 외부 촬영 장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설물 점검 장치(100)에 장착 가능한 장착형 장치로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현장 조사 데이터 입력부(140)는 상기 점검 대상 시설물에 대한 현장 조사 항목별 입력 사항 목록 중에서 하나 이상의 입력 사항을 선택하여 상기 현장 조사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다. 현장 조사 데이터 입력부(140)는 해당 시설물별 현장 조사 항목별로 표준화된 목록에서 선택하거나 목록에 없는 경우에는 직접 텍스트(text)로 입력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표준화된 목록은 직관적인 다단메뉴와 함께 직접 텍스트를 입력할 수 있는 특화된 입력창을 표시하는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현장 조사 데이터 입력부(140)는 각종 현장 조사 데이터의 용이한 입력이 가능하다.
메모 데이터 입력부(150)는 상기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텍스트 또는 자유선을 포함하는 메모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다. 메모 데이터 입력부(150)는 유지관리 현황 데이터 입력부(130)의 유지관리 현황 항목 또는 현장 조사 데이터 입력부(140)의 현장 조사 항목과 관련하여, 또는 상기 항목들과 독립적으로 사용자(1)에 의해 입력된 설명 또는 그림을 포함하는 메모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한다. 이처럼, 메모 데이터 입력부(150)는 유지관리 현황 확인 과정 또는 현장 조사 과정의 예기치 못한 내용을 빠짐없이 기록할 수 있도록 편리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점검 데이터 저장부(160)는 시설물 정보, 유지관리 현황 데이터, 현장 조사 데이터, 메모 데이터와 같은 점검 데이터를 저장한다. 점검 데이터 저장부(16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설물 점검 장치(100)가 네트워크에 접속이 되지 않은 경우에, 점검 데이터를 저장하여, 조회, 수정 또는 삭제 등의 관리가 가능하도록 하며, 별도의 데이터 파일로 저장하여 외부로의 자료 이동을 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점검 데이터 저장부(160)는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하드 디스크(hard disk), 스마트폰 내장 메모리, SD(Secure Digital) 카드와 같은 메모리 장치일 수 있다.
점검 데이터 송신부(170)는 상기 점검 데이터를 상기 점검 대상 시설물을 관리하는 시설물 관리 서버(2)로 전송한다. 점검 데이터 송신부(170)는 사용자(1)의 요청에 의해 데이터 전송 기능을 수행할 경우, 유선 또는 무선으로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유지관리 현황 데이터와 현장 조사 데이터 일체를 외부에 존재하는 시설물 관리 서버(2)로 모두 전송하고, 전송 결과 확인 기능을 이용하여 시설물 관리 서버(2)에 전송한 데이터를 조회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설물 점검 장치(100)는 점검 데이터를 일괄적으로 시설물 관리 서버(2)로 전송하고, 시설물 관리 서버(2)에서는 수신된 점검 데이터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보고서를 생성함으로써, 보고서 작성에 소요되는 시간을 줄일 수 있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설물 점검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설물 점검 방법이 시작되면, 먼저 하나 이상의 점검 대상 시설물을 포함하는 점검 대상 시설물 목록을 표시한다(S11). 이 때, 단계(S11)에서 상기 시설물 관리 서버에 저장된 점검 대상 시설물 목록을 상기 시설물 관리 서버로부터 수신하여 표시하거나, GPS 수신기에 의해 확인된 상기 사용자의 위치에 대응하는 점검 대상 시설물 목록을 상기 시설물 관리 서버로부터 수신하여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표시된 상기 점검 대상 시설물 목록 중에서 사용자의 입력을 받아 선택된 점검 대상 시설물에 대응하는 시설물 정보를 수신한다(S12).
그리고 나서, 상기 점검 대상 시설물의 관리 담당자와의 면담을 통하여 획득된 유지관리 현황 데이터를 입력하고(S13), 상기 점검 대상 시설물의 현장을 조사하여 획득된 현장 조사 데이터를 입력한다(S14). 단계(S13)에서 상기 점검 대상 시설물에 대한 유지관리 현황 항목별 입력 사항 목록 중에서 하나 이상의 입력 사항을 선택하여 상기 유지관리 현황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다. 또한, 단계(S14)에서 상기 점검 대상 시설물에 대한 현장 조사 항목별 입력 사항 목록 중에서 하나 이상의 입력 사항을 선택하여 상기 현장 조사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단계(S14)는 측정부가 상기 점검 대상 시설물의 현장과 관련한 하나 이상의 물리량을 측정하는 단계; 촬영부가 상기 점검 대상 시설물의 현장과 관련한 하나 이상의 영상을 촬영하는 단계; 및 상기 측정부에 의해 측정된 상기 하나 이상의 물리량 또는 상기 촬영부에 의해 촬영된 상기 하나 이상의 영상을 상기 현장 조사 데이터로 입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단계(S14)는 상기 점검 대상 시설물의 현장과 관련한 하나 이상의 물리량을 측정하는 외부 측정 장치에 의해 측정된 상기 하나 이상의 물리량 또는 상기 점검 대상 시설물의 현장과 관련한 하나 이상의 영상을 촬영하는 외부 촬영 장치에 의해 촬영된 상기 하나 이상의 영상을 상기 현장 조사 데이터로 입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S13), 단계(S14) 외에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설물 점검 방법은 상기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텍스트 또는 자유선을 포함하는 메모 데이터를 입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점검 데이터는 상기 유지관리 현황 데이터, 현장 조사 데이터 및 메모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점검 데이터가 입력되고 나면, 상기 점검 데이터를 저장한다(S15). 그리고 나서, 상기 점검 데이터를 상기 점검 대상 시설물을 관리하는 시설물 관리 서버로 전송한다(S16).
도 2에 도시된 시설물 점검 방법은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설물 점검 장치와 유사하게 시설물 점검 과정이 진행되므로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도 1에의 설명이 그대로 적용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2에서도 도 1에서와 마찬가지로 도 2에 도시된 순서도의 각 단계들은 모든 단계가 필수 단계는 아니며, 다른 실시예에서 일부 단계가 추가, 변경 또는 삭제될 수 있다.
전술한 시설물 점검 방법은 도면에 제시된 순서도를 참조로 하여 설명되었다. 간단히 설명하기 위하여 상기 방법은 일련의 블록들로 도시되고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 블록들의 순서에 한정되지 않고, 몇몇 블록들은 다른 블록들과 본 명세서에서 도시되고 기술된 것과 상이한 순서로 또는 동시에 일어날 수도 있으며, 동일한 또는 유사한 결과를 달성하는 다양한 다른 분기, 흐름 경로, 및 블록의 순서들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방법의 구현을 위하여 도시된 모든 블록들이 요구되지 않을 수도 있다.
도 3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설물 점검 방법의 일 구현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8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설물 점검 방법이 일 구현예로서 프로그램으로 구현되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설물 점검 방법은 프로그램으로 구현되어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형태로 씨디롬(CD-ROM), 램(RAM), 롬(ROM), 플로피 디스크(floppy disk), 하드 디스크(hard disk), 광자기 디스크, SD(Secure Digital) 카드, 마이크로(micro) SD 카드와 같은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설물 점검 방법은 웹 기반(web-based) 프로그램의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고, 모바일(mobile) 단말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의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설물 점검 방법이 구현된 프로그램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설물 점검 장치에 설치된 형태일 수도 있다. 이 때, 도 3 내지 도 8의 화면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설물 점검 장치의 인터랙션 처리부에 의해 표시될 수 있는 화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설물 점검 장치의 시설물 정보 수신부에 의해 제공될 수 있는 점검 대상 시설물 목록를 표시하는 화면(300)이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점검 대상 시설물 목록에는 점검 대상 시설물들이 나열되어 배치된다. 이러한 점검 대상 시설물 목록은 시설물 관리 서버에 사전에 저장된 것이거나, GPS 수신기에 의해 확인된 사용자의 위치에 대응하는 것일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설물 점검 장치의 시설물 정보 수신부에 의해 수신되어 표시될 수 있는 시설물 정보를 표시하는 화면(400)이다. 도 4에 도시된 화면(400)을 통해 사용자는 시설물 관리 서버로부터 수신된 시설물 정보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시설물 정보는 시설물 관리 서버에 사전에 입력되어 저장된 정보로서, 시설물 개요, 부재 구성, 도면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설물 점검 장치의 유지관리 현황 데이터 입력부 에 의해 제공될 수 있는 유지관리 현황 데이터 입력 화면(500)이다. 도 5에 도시된 화면(500)을 통해 사용자는 상기 점검 대상 시설물의 관리 담당자와의 면담을 통하여 획득된 유지관리 현황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유지관리 현황 데이터는 현장 조사만으로는 획득이 어려워 관리 담당자와의 면담을 통하여 획득 가능한 데이터로서, 해당 점검 대상 시설물의 일반 개요, 운영 관리 정보, 부속 시설물 목록, 건축 시설 정보, 토목 옥외 시설 정보, 설계 도서 정보, 보수 보강 이력 및 점검 이력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설물 점검 장치의 현장 조사 데이터 입력부에 의해 제공될 수 있는 현장 조사 데이터 입력 화면(600, 700)이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화면(600, 700)을 통해 사용자는 상기 점검 대상 시설물의 현장을 조사하여 획득된 현장 조사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현장 조사 데이터는 외관 조사, 비파괴 시험, 재현 실험 등을 통해 현장을 직접 조사하여 획득이 가능한 데이터로서, 해당 점검 대상 시설물의 손상을 발견한 공간(동, 층, 실), 손상 부재, 손상 부위, 손상 종류 및 정도, 손상 발생 원인, 유지 관리 방안, 손상 사진 및 전경 사항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지관리 현황 데이터 입력 화면(500) 및 현장 조사 데이터 입력 화면(600, 700)은 표준화된 점검 내용 항목을 목록에서 선택시 4단계 내지 5단계 이상의 다단계 선택항목을 한 선택창에 사용자가 터치와 드래그 행위로 직관적으로 선택할 수 있도록 하여, 편리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설물 점검 장치의 현장 조사 데이터 입력부에 의해 제공될 수 있는 촬영 데이터 입력 화면(800)이다. 상기 기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설물 점검 장치의 현장 조사 데이터 입력부는 내부 또는 외부에 구비된 측정 장치 또는 촬영 장치를 통하여, 현장 조사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화면(800)을 통해 사용자는 내부 또는 외부에 구비된 측정 장치 또는 촬영 장치로부터 측정 또는 촬영된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를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은 첨부된 도면과 상기한 설명내용에 한정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변형이 가능함은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한 사실이며, 이러한 형태의 변형은, 본 발명의 정신에 위배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고 볼 것이다.
100: 시설물 점검 장치
110: 인터랙션 처리부
120: 시설물 정보 수신부
130: 유지관리 현황 데이터 입력부
140: 현장 조사 데이터 입력부
150: 메모데이터 입력부
160: 점검 데이터 저장부
170: 점검 데이터 송신부

Claims (19)

  1. 하나 이상의 점검 대상 시설물을 포함하는 점검 대상 시설물 목록을 표시하고, 표시된 상기 점검 대상 시설물 목록에 포함된 점검 대상 시설물 중 하나 이상의 점검 대상 시설물의 시설물 정보를 수신하는 시설물 정보 수신부;
    상기 점검 대상 시설물의 일반 개요, 운영 관리 정보, 부속 시설물 목록, 건축 시설 정보, 토목 옥외 시설 정보, 설계 도서 정보, 보수 보강 이력 및 점검 이력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유지관리 현황 데이터를 입력하는 유지관리 현황 데이터 입력부;
    상기 점검 대상 시설물의 손상을 발견한 공간, 손상 부재, 손상 부위, 손상 종류 및 정도, 손상 발생 원인, 유지 관리 방안, 손상 사진 및 전경 사항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현장 조사 데이터를 입력하는 현장 조사 데이터 입력부;
    텍스트 또는 자유선을 포함하는 메모 데이터를 입력하는 메모 데이터 입력부; 및
    상기 시설물 정보, 상기 유지관리 현황 데이터, 상기 현장 조사 데이터 및 상기 메모 데이터를 포함하는 점검 데이터를 저장하는 점검 데이터 저장부를 포함하되,
    상기 시설물 정보 수신부는,
    상기 점검 대상 시설물을 관리하는 시설물 관리 서버에 저장된 점검 대상 시설물 목록 및 시설물 정보를 상기 시설물 관리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설물 점검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점검 데이터를 상기 점검 대상 시설물을 관리하는 시설물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점검 데이터 송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설물 점검 장치.
  3. 삭제
  4. 제2항에 있어서,
    사용자의 위치를 확인하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수신기를 더 포함하되,
    상기 시설물 정보 수신부는,
    상기 GPS 수신기에 의해 확인된 상기 사용자의 위치에 대응하는 점검 대상 시설물 목록을 상기 시설물 관리 서버로부터 수신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설물 점검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관리 현황 데이터 입력부는,
    상기 점검 대상 시설물에 대한 유지관리 현황 항목별 입력 사항 목록 중에서 하나 이상의 입력 사항을 선택하여 상기 유지관리 현황 데이터를 입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설물 점검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현장 조사 데이터 입력부는,
    상기 점검 대상 시설물에 대한 현장 조사 항목별 입력 사항 목록 중에서 하나 이상의 입력 사항을 선택하여 상기 현장 조사 데이터를 입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설물 점검 장치.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점검 대상 시설물의 현장과 관련한 하나 이상의 물리량을 측정하는 측정부; 및
    상기 점검 대상 시설물의 현장과 관련한 하나 이상의 영상을 촬영하는 촬영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현장 조사 데이터 입력부는,
    상기 측정부에 의해 측정된 상기 하나 이상의 물리량 또는 상기 촬영부에 의해 촬영된 상기 하나 이상의 영상을 상기 현장 조사 데이터로 입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설물 점검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현장 조사 데이터 입력부는,
    상기 점검 대상 시설물의 현장과 관련한 하나 이상의 물리량을 측정하는 외부 측정 장치에 의해 측정된 상기 하나 이상의 물리량 또는 상기 점검 대상 시설물의 현장과 관련한 하나 이상의 영상을 촬영하는 외부 촬영 장치에 의해 촬영된 상기 하나 이상의 영상을 상기 현장 조사 데이터로 입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설물 점검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점검 데이터를 입력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고, 상기 사용자의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대한 입력을 처리하는 인터랙션 처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설물 점검 장치.
  11. 시설물 정보 수신부가 하나 이상의 점검 대상 시설물을 포함하는 점검 대상 시설물 목록을 표시하는 단계;
    상기 시설물 정보 수신부가 표시된 상기 점검 대상 시설물 목록에 포함된 점검 대상 시설물 중 하나 이상의 점검 대상 시설물의 시설물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유지관리 현황 데이터 입력부가 상기 점검 대상 시설물의 일반 개요, 운영 관리 정보, 부속 시설물 목록, 건축 시설 정보, 토목 옥외 시설 정보, 설계 도서 정보, 보수 보강 이력 및 점검 이력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유지관리 현황 데이터를 입력하는 단계;
    현장 조사 데이터 입력부가 상기 점검 대상 시설물의 손상을 발견한 공간, 손상 부재, 손상 부위, 손상 종류 및 정도, 손상 발생 원인, 유지 관리 방안, 손상 사진 및 전경 사항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현장 조사 데이터를 입력하는 단계;
    메모 데이터 입력부가 텍스트 또는 자유선을 포함하는 메모 데이터를 입력하는 단계; 및
    점검 데이터 저장부가 상기 시설물 정보, 상기 유지관리 현황 데이터, 상기 현장 조사 데이터 및 상기 메모 데이터를 포함하는 점검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점검 대상 시설물 목록을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시설물 정보 수신부가 상기 점검 대상 시설물을 관리하는 시설물 관리 서버에 저장된 점검 대상 시설물 목록 및 시설물 정보를 상기 시설물 관리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설물 점검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점검 데이터 송신부가 상기 점검 데이터를 상기 점검 대상 시설물을 관리하는 시설물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설물 점검 방법.
  13. 삭제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점검 대상 시설물 목록을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시설물 정보 수신부가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수신기에 의해 확인된 사용자의 위치에 대응하는 점검 대상 시설물 목록을 상기 시설물 관리 서버로부터 수신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설물 점검 방법.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관리 현황 데이터를 입력하는 단계는,
    상기 유지관리 현황 데이터 입력부가 상기 점검 대상 시설물에 대한 유지관리 현황 항목별 입력 사항 목록 중에서 하나 이상의 입력 사항을 선택하여 상기 유지관리 현황 데이터를 입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설물 점검 방법.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현장 조사 데이터를 입력하는 단계는,
    상기 현장 조사 데이터 입력부가 상기 점검 대상 시설물에 대한 현장 조사 항목별 입력 사항 목록 중에서 하나 이상의 입력 사항을 선택하여 상기 현장 조사 데이터를 입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설물 점검 방법.
  17. 삭제
  18.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현장 조사 데이터를 입력하는 단계는,
    측정부가 상기 점검 대상 시설물의 현장과 관련한 하나 이상의 물리량을 측정하는 단계;
    촬영부가 상기 점검 대상 시설물의 현장과 관련한 하나 이상의 영상을 촬영하는 단계; 및
    상기 현장 조사 데이터 입력부가 상기 측정부에 의해 측정된 상기 하나 이상의 물리량 또는 상기 촬영부에 의해 촬영된 상기 하나 이상의 영상을 상기 현장 조사 데이터로 입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설물 점검 방법.
  19.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현장 조사 데이터를 입력하는 단계는,
    상기 현장 조사 데이터 입력부가 상기 점검 대상 시설물의 현장과 관련한 하나 이상의 물리량을 측정하는 외부 측정 장치에 의해 측정된 상기 하나 이상의 물리량 또는 상기 점검 대상 시설물의 현장과 관련한 하나 이상의 영상을 촬영하는 외부 촬영 장치에 의해 촬영된 상기 하나 이상의 영상을 상기 현장 조사 데이터로 입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설물 점검 방법.
KR1020130019021A 2013-02-22 2013-02-22 시설물 점검 장치 및 방법 KR1013357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9021A KR101335706B1 (ko) 2013-02-22 2013-02-22 시설물 점검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9021A KR101335706B1 (ko) 2013-02-22 2013-02-22 시설물 점검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35706B1 true KR101335706B1 (ko) 2013-12-16

Family

ID=499869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19021A KR101335706B1 (ko) 2013-02-22 2013-02-22 시설물 점검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35706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1682B1 (ko) 2016-06-15 2017-03-30 모바일기술연구소(주) 시설물 실시간 점검 장치 및 점검 방법
WO2017119656A1 (ko) * 2016-01-04 2017-07-13 서울시립대학교산학협력단 모바일 현장조사 시스템 및 방법
WO2018010913A1 (de) * 2016-07-11 2018-01-18 Siemens Schweiz Ag Verfahren zum betreiben eines ticketmanagementsystems und entsprechendes ticketmanagementsystem
KR102059424B1 (ko) * 2019-05-13 2019-12-26 (주) 이베스트엔지니어링 상수도 설비인 무인 배수지 및 무인 가압장의 시설물 점검 방법
KR102073032B1 (ko) * 2019-05-13 2020-02-04 (주) 이베스트엔지니어링 무인 하수 종말 처리장의 시설물 점검 시스템
KR102585650B1 (ko) * 2023-03-06 2023-10-13 한방유비스 주식회사 원자력발전소의 전기설비 관리 방법 및 시스템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19656A1 (ko) * 2016-01-04 2017-07-13 서울시립대학교산학협력단 모바일 현장조사 시스템 및 방법
KR101721682B1 (ko) 2016-06-15 2017-03-30 모바일기술연구소(주) 시설물 실시간 점검 장치 및 점검 방법
WO2018010913A1 (de) * 2016-07-11 2018-01-18 Siemens Schweiz Ag Verfahren zum betreiben eines ticketmanagementsystems und entsprechendes ticketmanagementsystem
KR102059424B1 (ko) * 2019-05-13 2019-12-26 (주) 이베스트엔지니어링 상수도 설비인 무인 배수지 및 무인 가압장의 시설물 점검 방법
KR102073032B1 (ko) * 2019-05-13 2020-02-04 (주) 이베스트엔지니어링 무인 하수 종말 처리장의 시설물 점검 시스템
KR102585650B1 (ko) * 2023-03-06 2023-10-13 한방유비스 주식회사 원자력발전소의 전기설비 관리 방법 및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35706B1 (ko) 시설물 점검 장치 및 방법
US11676223B2 (en) Media management system
CN105378810B (zh) 测量数据的远程共享
KR102204016B1 (ko) 3차원 기반의 시설물 안전관리 시스템 및 방법
US20150186988A1 (en)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the automatic detection of property features when documenting the condition of tangible property
US20190026846A1 (en) Inspection system and related methods
US20210097490A1 (en) Networked activity management with media collection and selectable activity insertion
JP6316176B2 (ja) 点検履歴管理システム、点検履歴管理方法
JP2017004279A (ja) 情報収集システム、情報収集端末装置、情報収集サーバ装置、及び情報収集方法
KR101480784B1 (ko) 근거리무선통신〔nfc〕을 이용한 하천 시설물 유지관리 방법
US20140346222A1 (en) System and method for management of collected field samples
JP2017215878A (ja) 工事情報管理システム
JP7312581B2 (ja) コンクリート構造物管理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コンクリート構造物の管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09193407A (ja) 工事管理システム
US10970876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image locating relative to the global structure
KR20150138958A (ko) Nfc 기반 플랜트 관리 시스템
KR102594649B1 (ko) 스마트 체크리스트를 이용한 건축물 사전점검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20154467A (ja) コンクリート構造物管理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コンクリート構造物の管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20230128643A1 (en) Photographing program
US10977735B1 (en) Providing user interaction data associated with a property
KR102559631B1 (ko) 시설물 점검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시설물 점검방법
KR101721682B1 (ko) 시설물 실시간 점검 장치 및 점검 방법
JP2018081713A (ja) 情報収集システム、情報収集端末装置、情報収集サーバ装置、及び情報収集方法
JP2012234231A (ja) 現場調査支援システムおよびそのプログラム
KR20160066222A (ko) 모바일기기를 이용한 건축물 유지관리 점검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6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