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84485B1 -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승강기 스마트검사 시스템 - Google Patents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승강기 스마트검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84485B1
KR101584485B1 KR1020150069888A KR20150069888A KR101584485B1 KR 101584485 B1 KR101584485 B1 KR 101584485B1 KR 1020150069888 A KR1020150069888 A KR 1020150069888A KR 20150069888 A KR20150069888 A KR 20150069888A KR 101584485 B1 KR101584485 B1 KR 1015844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vator
inspection
server
mobile terminal
scre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698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진모
류병호
김철회
최형순
나남규
Original Assignee
한국승강기 안전관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승강기 안전관리원 filed Critical 한국승강기 안전관리원
Priority to KR10201500698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8448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44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44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006Monitoring devices or performance analysers
    • B66B5/0018Devices monitoring the operating condition of the elevator syste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006Monitoring devices or performance analysers
    • B66B5/0037Performance analysers
    • H04M1/72522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승강기 안전관리 프로그램을 구비한 모바일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승강기 안전관리 프로그램이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서 실행될 때, 상기 프로그램은, 승강기 정보, 상기 승강기가 설치된 건물의 건물정보, 및 복수개의 검사항목을 포함하는 승강기 검사기준을 외부의 서버 장치로부터 수신받는 기능; 수신한 상기 승강기 검사기준에 대한 승강기의 검사결과를 입력받는 기능; 및 입력된 상기 승강기의 검사결과를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화면을 통해 디스플레이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승강기 스마트검사 시스템 {Elevator safety system using mobile device}
본 발명은 승강기 안전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하여 승강기 검사결과를 입력할 수 있고 검사결과의 결재 및 우편물 발송에 이르기까지의 과정을 처리할 수 있는 승강기 스마트검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승강기시설안전관리법상 5층 이상의 건물에는 의무적으로 엘리베이터와 같은 승강기가 설치되어 있어야 하며, 이러한 승강기는 운행시 안전을 위해 한국승강기안전관리원과 같은 관리기관에 의해 주기적으로 검사를 받고 있으며, 현재까지의 승강기 검사는 검사원이 승강기를 검사하면서 측정한 각종 수치나 검사 결과를 직접 종이에 기입한 후 나중에 컴퓨터를 통해 입력하여 전산화하고 있었다.
이와 관련하여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2003-0048621호(2003년 6월 25일 공개)는 인트라넷을 응용한 승강기 관리 시스템 및 방법을 제안하였다. 이 선행기술에서 승강기 보수관리회사가 인트라넷을 접목시켜 승강기의 보수 관리를 수행하는 구체적 방안으로서 자체점검 기술자가 단말기를 통해 데이터를 입력하는 기술을 개시하였지만, 그러나 이 선행기술에서는 단말기를 통해 승강기 자체점검결과를 입력하거나 승강기 관리주체의 확인과 인증을 받는 역할만 할 수 있고, 승강기 법정검사에 대한 결과의 입력 및 확인, 인증 후 최종 결재된 서류를 발송하는 것은 여전히 오프라인 상에서 수동으로 처리하고 있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2003-0048621호 (2003년 6월 25일 공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하여 검사대상 승강기정보 확인 단계부터 승강기 검사결과 입력, 검사결과의 결재 및 우편물 발송에 이르기까지의 전과정을 처리할 수 있는 승강기 스마트검사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승강기 안전관리 프로그램을 구비한 모바일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승강기 안전관리 프로그램이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서 실행될 때, 상기 프로그램은, 승강기 정보, 상기 승강기가 설치된 건물의 건물정보, 및 복수개의 검사항목을 포함하는 승강기 검사기준을 외부의 서버 장치로부터 수신받는 기능; 수신한 상기 승강기 검사기준에 대한 승강기의 검사결과를 입력받는 기능; 및 입력된 상기 승강기의 검사결과를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화면을 통해 디스플레이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술한 모바일 단말기, 및 네트워크를 통해 이 모바일 단말기와 통신가능한 승강기 관리서버를 포함하는 승강기 안전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승강기 관리서버는, 상기 모바일 단말기와 통신가능한 제1 웹서버; 및 승강기 정보, 상기 승강기가 설치된 건물의 건물정보, 복수개의 검사항목을 포함하는 승강기 검사기준, 및 각 승강기에 대한 검사결과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DB)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웹서버가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상기 승강기 정보, 건물정보, 또는 승강기 검사기준에 대한 데이터의 전송 요청을 수신하면, 상기 제1 웹서버가 상기 DB 서버에서 상기 요청된 데이터를 수신받아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 안전관리 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하여 검사대상 승강기정보 확인 단계부터 승강기 검사결과를 입력, 검사결과의 결재 및 우편물 발송에 이르기까지의 전과정을 승강기 안전관리 시스템상에서 자동으로 처리할 수 있으므로 현장 업무 효율성을 향상시키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검사원의 승강기 검사결과를 모바일 단말기의 스마트 브리핑 기능을 이용하여 건물주나 건물 관리자에게 브리핑함으로써 승강기에 대한 이해도를 향상시키고 안전 의식을 제고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승강기 스마트검사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기 안전관리 프로그램의 예시적 기능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기 안전관리 프로그램의 메인 화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기 안전관리 프로그램의 건물원장관리 화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기 안전관리 프로그램의 일정통합관리 화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7a 내지 도7d는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기 안전관리 프로그램의 승강기 상태조사 화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8a 내지 도8c 및 도9는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기 안전관리 프로그램의 검사결과 입력 화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10은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기 안전관리 프로그램의 검사기록표 화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1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기 안전관리 프로그램의 최종검사확인 화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1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기 안전관리 프로그램의 검사성적서 검토 화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13 내지 도1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기 안전관리 프로그램의 스마트 브리핑 화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19는 일 실시예에 따라 메인 관리 시스템이 모바일 단말 또는 데스크탑 컴퓨터에 데이터를 제공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20은 일 실시예에 따라 메인 관리 시스템이 승강기 검사결과 데이터를 모바일 단말에 제공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21은 일 실시예에 따라 데스크탑 컴퓨터에서의 결제완료 명령에 따른 메인 관리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상의 본 발명의 목적들, 다른 목적들, 특징들 및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통해서 쉽게 이해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의 "위"(또는 "아래", "오른쪽", 또는 "왼쪽")에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구성요소의 위(또는 아래, 오른쪽, 또는 왼쪽)에 직접 위치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3의 구성요소가 개재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구성요소간의 위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는 '상부', '하부', '좌측", '우측', '전면', '후면' 등의 표현은 절대적 기준으로서의 방향이나 위치를 의미하지 않으며, 각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할 때 해당 도면을 기준으로 설명의 편의를 위해 사용되는 상대적 표현이다.
본 명세서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가 구성요소들을 기술하기 위해서 사용된 경우, 이들 구성요소들이 이 같은 용어들에 의해서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어느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시키기 위해서 사용되었을 뿐이다. 여기에 설명되고 예시되는 실시예들은 그것의 상보적인 실시예들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아래의 특정 실시예들을 기술하는데 있어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은 발명을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작성되었다. 하지만 본 발명을 이해할 수 있을 정도로 이 분야의 지식을 갖고 있는 독자는 이러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이 없어도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인지할 수 있다. 어떤 경우에는, 발명을 기술하는 데 있어서 흔히 알려졌으면서 발명과 크게 관련 없는 부분들은 본 발명을 설명하는 데 있어 혼돈을 막기 위해 기술하지 않음을 미리 언급해 둔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승강기 스마트검사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1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기 스마트검사 시스템은 하나 이상의 모바일 단말기(10), 하나 이상의 데스크탑 단말장치(20), 및 승강기 관리서버(40)를 포함한다. 이들 구성요소는 네트워크(30)를 통해 유선 및/또는 무선으로 서로 통신가능하게 연결된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승강기 스마트검사 시스템은 네트워크(30)를 통해 우체국 서버(50)와 연결될 수 있다.
모바일 단말기(10)는 예를 들어 스마트폰, 태블릿 PC, PDA, 노트북 등의 휴대용 단말장치 중 하나일 수 있다. 모바일 단말기(10)는 승강기 관리를 위한 어플리케이션으로서 승강기 안전관리 프로그램이 설치될 수 있다. 승강기 검사원 등의 사용자는 모바일 단말기(10)에서 이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각종 승강기 검사 항목에 따른 검사결과를 입력하고 이에 대한 데이터를 승강기 관리서버(40)로 전송할 수 있다. 모바일 단말기(10)에 대해서는 도2를 참조하여 후술하고 승강기 안전관리 프로그램의 예시적 실시예에 대해서는 도3 내지 도18을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데스크탑 단말장치(20)는 예컨대 일반적인 퍼스널 컴퓨터(PC) 등의 사용자 단말장치가 될 수 있다. 그러나 대안적으로 노트북 컴퓨터, 태블릿 PC 등도 포함할 수 있다. 모바일 단말기(10)가 모바일용 웹 서버를 통해 승강기 관리서버(40) 내의 데이터베이스(DB)에 액세스하는 반면, 데스크탑 단말장치(20)는 기존의 기간계(레거시) 웹서버를 통해 DB에 액세스하는 점에서 구별된다.
승강기 관리서버(40)는 승강기 관리를 위한 각종 정보를 저장하는 DB 및/또는 저장장치를 포함한다. 도시한 실시예에서 승강기 관리서버(40)는 건물정보 DB(41), 승강기 정보 DB(42), 검사원 DB(43), 검사기준 DB(44), 및 검사결과 데이터(45)를 포함한다.
건물정보 DB(41)는 승강기가 설치된 건물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건물정보는 예를 들어 건물 명칭, 주소, 승강기 설치대수 등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고, 도5를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승강기 정보 DB(42)는 검사대상인 승강기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승강기 정보는 예를 들어 승강기 관리번호, 설치된 건물 명칭, 승강기 종류, 승강기 형식, 점검 담당자 등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고 도6, 도7 등을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검사원 DB(43)는 승강기를 검사하는 검사원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검사원 정보는 검사원 근태, 관리일정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검사기준 DB(44)는 승강기 검사에 적용되는 검사기준을 포함하며, 예컨대 법령에 규정된 승강기 검사기준, 및 이 승강기 검사기준에 따른 검사항목을 포함한다.
검사결과 데이터(45)는 승강기 검사원이 각 승강기를 검사하면서 입력한 검사결과 데이터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각 검사원은 승강기 검사시 자신의 모바일 단말기(10)를 통해 검사결과를 입력하고, 이 입력된 검사결과가 승강기 관리서버(40)로 전송되어 검사결과 데이터(45)로 축적된다. 검사결과를 입력하는 예시적 구성에 대해서는 도8 및 도9 등을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도시한 실시예에서 상술한 정보들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또는 정보)의 저장 형식은 제한되지 않는다. 즉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라 상술한 정보 및 데이터들이 데이터베이스 형식, 파일 형식 또는 또다른 임의의 데이터 저장 형식에 따라 저장되어 사용될 수 있다.
도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10)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도1의 모바일 단말기(10)의 예시적인 구성을 도시하였다.
도2를 참조하면, 모바일 단말기(1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10), 디스플레이부(120), 프로세서(130), 메모리(140), 저장부(150), 및 통신부(160)를 포함할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10)는 이 외에도 다른 구성소자를 더 포함할 수 있지만 본 발명과 직접 관련없는 것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시를 생략하였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10)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거나 사용자에게 각종 정보와 데이터를 보여주는 기능부이고 디스플레이부(120)는 각종 정보나 데이터를 사용자에게 보여주는 기능부이다.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디스플레이부(120)가 터치 스크린 방식으로 구현되는 경우가 많으며 이 경우 터치스크린으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10)와 디스플레이부(120)가 터치스크린으로 통합되어 구현됨을 이해할 것이다.
프로세서(130)는 모바일 디바이스(10)의 중앙처리장치로서 예컨대 모바일 디바이스(10)가 스마트폰인 경우 AP(Application Processor)를 의미할 수 있고, 메모리(140)에 로딩된 프로그램이나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메모리(140)는 랜덤액세스 메모리(RAM)나 롬(ROM)과 같은 저장수단으로 구현될 수 있고, 모바일 디바이스(10)의 동작에 필요한 운영체제(OS), 펌웨어, 응용 프로그램(어플리케이션), 데이터 등이 로딩될 수 있다.
저장부(150)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비휘발성 저장장치로서 예컨대 하드디스크 드라이브(HDD) 등의 자기기록장치, 또는 플래시 메모리, SD 메모리 카드 등의 반도체 메모리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저장부(150)는 도3 내지 도18을 참조하여 후술하는 승강기 안전관리 프로그램(145)을 저장한다. 일 실시예에서 승강기 안전관리 프로그램(145)은 저장부(150)로부터 메모리(140)로 로딩되어 프로세서(13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승강기 안전관리 프로그램(145)은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로 구현될 수 있으며, 예컨대 자체 MDM(Mobile Device Management) 장비나 앱스토어 등을 통해 모바일 단말기(10)로 다운로드된 후 실행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승강기 안전관리 프로그램(145)이 모바일 단말기(10)에서 실행될 때, 이 프로그램은, 승강기 정보, 승강기가 설치된 건물의 건물정보, 및 복수개의 검사항목을 포함하는 승강기 검사기준 등을 외부의 서버 장치(예컨대 승강기 관리서버(40))로부터 수신받는 기능, 수신한 승강기 검사기준에 대한 승강기의 검사결과를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10)를 통해 입력받는 기능, 및 입력된 승강기의 검사결과를 모바일 단말기(10)의 디스플레이부(120)를 통해 디스플레이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승강기 안전관리 프로그램(145)은,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10)를 통해 승강기 검사결과를 입력받을 때, 승강기 검사기준의 각 검사항목에 대한 검사결과를 입력받는 기능, 및 승강기 검사기준의 모든 검사항목에 따른 검사판정을 입력받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기 안전관리 프로그램(145)의 예시적 인터페이스 구성 및 기능을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기 안전관리 프로그램(145)의 예시적 기능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각 기능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화면의 예시적인 계층 구조를 나타내었다.
도시한 실시예에 따르면, 승강기 검사원 등의 사용자가 프로그램(145)을 실행한 후 로그인을 하면 메인 메뉴(61)가 표시된다. 메인 메뉴(61) 화면은 예컨대 검사원 근태관리(63), 검사원 검사일정관리(64), 및 주요 메뉴(65)가 각각 표시되는 분할화면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화면상에서 이 메뉴들(63,64,65) 중 하나를 선택하면 해당 메뉴의 하위 계층의 메뉴 또는 데이터가 화면에 표시될 수 있다.
도시한 실시예에서 주요 메뉴(65)는, 건물원장관리(66), 승강기 원장관리(67), 검사실시 리스트(68), 일정통합관리(69), 건물정보 수집(70), 승강기 상태조사(71), 검사결과 입력(72), 최종검사확인(74), 검토요청(75), 검사성적서 검토(76), 및 스마트 브리핑(80)에 관한 메뉴를 하위 계층으로 포함할 수 있다.
건물원장관리(66)는 승강기가 설치된 건물에 대한 각종 정보를 입력, 수정, 및/또는 조회할 수 있는 메뉴이고, 승강기 원장관리(67)는 각 승강기에 대한 정보를 입력, 수정, 및/또는 조회할 수 있는 메뉴이고, 검사실시 리스트(68)는 지정된 기간 내에 검사해야 할 승강기의 리스트를 조회할 수 있는 메뉴이다. 또한 일정통합관리(69)는 건물정보 수집에서부터 검사결과 입력, 및 검토요청까지의 승강기 검사 작업을 한 화면에서 처리할 수 있도록 통합 관리하는 메뉴이고, 이에 따라 일 실시예에서 일정통합관리(69) 화면은 건물정보 수집(70), 승강기 상태조사(71), 검사결과 입력(72), 최종검사확인(74), 및 검토요청(75)의 하위 메뉴를 한 화면에 포함할 수 있다.
검사성적서 검토(76)는 승강기 검사결과로서의 검사성적서를 조회하고 검토할 수 있는 메뉴이고, 스마트 브리핑(80)은 승강기 검사결과를 해당 건물의 건물주나 승강기 관리자에게 설명하기 위한 메뉴이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주요메뉴(65) 중 일부 메뉴들은, 다른 메뉴 화면에서도 화면상의 소정 위치에 계속 표시될 수 있다. 예컨대 도3에서 회색으로 표시된 건물원장관리(66), 승강기 원장관리(67), 검사실시 리스트(68), 일정통합관리(69), 검사성적서 검토(76), 및 스마트 브리핑(80) 메뉴는 도5 또는 도6에 도시한 것처럼 화면의 왼쪽에 계속하여 표시됨으로써 사용자가 다른 메뉴로 쉽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도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기 안전관리 프로그램의 메인 화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일 예로서 메인 메뉴(61)의 화면을 나타낸다. 도시한 실시예에서 메인 메뉴(61) 화면은 검사원 근태관리(63), 검사원 검사일정관리(64), 및 주요 메뉴(65)가 각각 표시되는 분할화면을 포함할 수 있고, 검사원의 검사일정관리(64)는 예컨대 주간 검사일정(641), 금일 검사일정(642), 및 월간 현황(643)을 보여주는 분할화면을 포함할 수 있다. 각 분할화면의 메뉴들(63, 641, 642, 643, 65)은 하위 메뉴를 선택하는 아이콘 등이 표시되고 사용자가 이를 선택하면 선택된 메뉴의 하위 계층의 메뉴 또는 데이터가 화면에 표시될 수 있다.
도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기 안전관리 프로그램의 건물원장관리 화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건물원장관리(66) 메뉴가 화면에 표시된 상태를 나타낸다. 건물원장관리(66) 화면은 승강기가 설치된 건물에 대한 기본 정보를 조회하고 입력할 수 있는 화면이다. 화면의 좌측에는 건물원장관리(66), 승강기 원장관리(67), 검사실시 리스트(68), 일정통합관리(69) 등과 같이 주요 메뉴(65) 중 일부 메뉴의 리스트가 표시될 수 있다.
건물원장관리(66) 화면은 예컨대 관리번호, 건물명, 주소 등과 같은 건물의 기본 정보가 표시되는 영역(663) 및 해당 건물에 설치된 승강기에 대한 기본 정보가 표시되는 영역(665)을 포함할 수 있다. 건물원장관리(66) 화면에 표시되는 정보들은 예컨대 승강기 관리서버(40)의 건물정보 DB(41)에 저장되어 있고, 모바일 단말기(10)로부터의 요청에 의해 건물정보를 단말기(10)로 전송하고 이를 수신한 단말기(10)가 건물원장관리(66) 화면에 이를 디스플레이 함으로써 사용자가 이를 조회할 수 있다.
도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기 안전관리 프로그램의 일정통합관리(69) 화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일정통합관리(69)는 건물정보 수집에서부터 검토요청까지의 승강기 검사 작업을 한 화면에서 처리할 수 있도록 통합 관리하는 메뉴로서, 검사할 승강기가 설치된 건물에 대한 기본 정보가 표시되는 영역(692) 및 해당 건물에 설치된 승강기에 대한 간략 정보가 표시된 리스트 영역(693)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일정통합관리(69)의 하위 메뉴로서 건물정보수집(70), 승강기상태 조사(71), 최종검사확인(74), 및 검토요청(75)을 선택할 수 있는 버튼이 표시될 수 있다.
도시한 일정통합관리(69) 화면 상에서 사용자는 건물정보수집(70)을 선택하여 건물원장 정보 수정, 이해관계자 수정, 안전관리자 선임 및 해임 접수 등의 작업을 할 수 있고, 승강기상태 조사(71)를 선택하여 개별 승강기에 대한 원장 수정, 원장조사, 자체점검조사, 국가정보 조회 및 수정 등의 작업을 할 수 있다. 또한 최종검사확인(74)을 선택하면 승강기 검사결과에 관한 서류를 발송할 우편물 수령처, 검사확인 서명 등의 작업을 할 수 있고, 검토요청(74)을 선택하면 검사문서를 조회하고 상급자에게 검토를 요청하는 작업을 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도7a 내지 도7d는 승강기상태 조사(71)의 예시적인 하위 메뉴 화면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도6에서 승강기상태 조사(71)를 선택하면 도7a의 화면이 표시된다. 도7a를 참조하면, 승강기상태 조사(71) 화면은 승강기 검사에 관한 간단한 정보가 표시되는 영역(701)을 포함하며, 또한 하위 메뉴로서 원장조사(702), 현장평가(703), 자체 점검자 조사(704), 및 국가정보(705) 중 하나를 선택하여 해당 하위 메뉴의 데이터를 조회하는 영역(706)을 포함할 수 있다.
도7a는 일 예로서 원장조사(702)가 선택되었을 때 승강기 원장의 리스트가 영역(706)에 표시된 상태를 나타내며, 도7b는 현장평가(703)를 선택하였을 때의 화면, 도7c는 자체 점검자 조사(704)를 선택하였을 때의 화면, 그리고 도7d는 국가정보(705)를 선택하였을 때의 화면을 각각 나타낸다.
도7a과 같이 원장조사(702)가 선택되면 영역(706)에 승강기의 각 호기별 정보를 포함하는 리스트가 표시되고, 검사원은 이 정보를 조회하고 필요에 따라 수정할 수 있다. 도7b와 같이 현장평가(703)가 선택되면, 왼쪽 영역(707)에 현재 건물에 설치된 승강기 리스트가 나타나고, 여기서 특정 승강기를 선택하면 오른쪽 영역(708)에 해당 승강기에 대한 유지관리 상태가 표시될 수 있다. 또한 도7c에서와 같이 자체 점검자 조사(704)가 선택되면, 해당 승강기들을 매달 점검하는 점검자가 표시되는 영역(709) 및 각 승강기별 점검자가 표시되는 영역(710)이 화면에 나타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점검자를 등록하거나 수정할 수 있다. 그리고 도7d과 같이 국가정보(705)가 선택되면 각 승강기 호기별 국가정보를 조회하여 해당 승강기와 관련된 중대사고, 중대고장 등의 이력을 볼 수 있다.
한편 도7a 내지 도7d의 승강기상태조사(71)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승강기 관련 정보들은 예컨대 승강기 관리서버(40)의 승강기정보 DB(42)에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승강기 관리서버(40)는 모바일 단말기(10)로부터 요청에 의해 승강기 정보를 단말기(10)로 전송하고, 이를 수신한 단말기(10)가 승강기 관련 정보들을 도7a 내지 도7d와 같은 화면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다시 도6을 참조하면, 검사원은 도6의 일정통합관리(69)의 승강기 리스트 영역(693)에서 임의의 승강기를 선택하여 이 승강기에 대해 실제로 검사한 결과를 입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리스트 영역(693)의 오른쪽의 "결과관리"란의 '확인'(695) 버튼을 선택하면 이 승강기에 대한 검사 결과를 입력할 수 있는 도8과 도9의 화면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도8a 내지 도8c 및 도9는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기 안전관리 프로그램의 검사결과 입력 화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8a를 참조하면, 검사결과 입력(72)을 위한 화면은 검사대상인 승강기에 대한 기본 정보를 표시하는 영역(721)을 포함한다. 또한 검사결과 입력(72) 화면은, 하위 메뉴로서 승강기 정보(722), 제원(723), 검사기록표(724), 및 검사판정(725)을 선택할 수 있는 버튼 및 이 버튼 중 하나가 선택되었을 때 해당 하위 메뉴에 대한 데이터를 표시하는 영역(729)을 더 포함한다.
승강기 정보(722)는 해당 승강기에 대한 상세정보를 조회할 수 있는 메뉴이고, 제원(723)은 승강기 크기나 형식 등의 각종 제원을 표시하는 메뉴이고, 검사기록표(724)는 승강기 검사기준이 항목별로 표시되며 검사원이 실제 검사한 수치들을 입력할 수 있는 메뉴이고, 검사판정(725)은 검사기록표(724)에 입력된 각종 검사항목의 결과로서 해당 승강기에 대한 최종 검사결과를 입력할 수 있는 메뉴이다.
도8a는 일 예로서 검사기록표(724)가 선택되었을 때의 화면을 나타낸다. 전체 검사항목은 정량적인 검사항목과 정성적인 검사항목으로 나뉠 수 있고, 이에 따라 정량적 검사항목을 입력하기 위한 수치항목(727) 버튼과 정성적 검사항목을 입력하기 위한 검사기준(728) 버튼이 표시된다. 도8a는 수치항목(727)이 선택되었을 때의 화면으로, 영역(729)에는 승강기에 대한 각종 수치항목들이 표시되고, 검사원은 실제 측정 결과를 각 항목에 입력할 수 있다.
이 때 일부 수치항목은, 다른 수치항목의 기입된 수치값으로부터 자동적으로 계산되어 수치값이 입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도8a에서 "마모율"을 입력하기 위해 이를 선택하는 경우, 도8b와 같은 팝업창(731)이 나타난다. 사용자가 이 팝업창(731)에서 "마모되 로프"와 "마모안된 로프"를 각각 입력하고 "계산" 버튼을 누르면 마모율 값이 자동으로 계산되어 표시되고, 이에 따라 도8c에서와 같이 마모 관련 수치값들이 수치항목(732)에 자동적으로 반영된다.
종래기술에서는 검사원이 검사기록표를 작성할 때 일일이 계산기를 사용하여 수동으로 입력해야 했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특정 항목에 관련된 다른 항목의 수치값이 입력되면 미리 설정된 계산식에 따라 이 특정 항목의 수치값을 계산하고 그 계산 결과를 자동으로 입력할 수 있게 함으로써 검사원의 검사 편의를 도모할 뿐만 아니라 검사결과 입력시의 실수를 방지할 수 있다.
도9는 정성적 검사항목의 검사결과를 입력하기 위한 화면으로, 예컨대 도8a에서 검사기준(728) 버튼을 누르면 도9와 같은 화면이 표시된다. 검사원은 각 검사항목에 대해 영역(729)의 아래쪽에 표시된 '불합격', '해당없음', 및 '시정권고' 중 하나를 선택하고, 선택이 완료되면 해당 검사항목의 오른쪽에 검사결과가 표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도8 및 도9에 도시한 것처럼 검사기록표(724)의 화면상에서 각종 검사결과를 입력한 후, 이러한 검사결과의 종합 결과로서 해당 승강기에 대한 최종 검사판정을 한다. 예를 들어 도8a 또는 도9의 화면에서 검사판정(725)이 선택되면 이러한 검사판정을 입력할 수 있는 화면이 디스플레이된다.
일 실시예에서 검사원은 검사판정 화면상에서 검사판정으로서 '합격', '조건부 합격', 및 '불합격'의 3가지 중 하나를 선택하여 입력할 수 있다. 이 때 일 실시예에서, 도9의 정성적 검사결과 입력시 임의의 검사항목에 하나라도 '불합격' 또는 '시정권고'가 입력되어 있는 상태에서 검사원이 검사판정 화면상에서 '합격'을 입력하는 경우, 단말기의 화면상에 오기입력 상태임을 알리는 팝업창이 뜨거나 경고음이 울리는 등의 방법으로 검사원에게 주의를 촉구할 수 있고, 따라서 검사결과와 부합하지 않는 검사판정이 일어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
한편 위와 같이 승강기를 검사한 후 도8 및 도9와 같이 모바일 단말기(10)의 화면을 통해 입력되는 검사결과 데이터들은 승강기 관리서버(40)로 전송되어 검사결과 데이터(45)로 저장된다.
도10은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기 안전관리 프로그램의 검사기록표 화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도10의 검사기록표(771) 화면은, 도8 및 도9의 화면상에서 검사원이 입력한 정성적 및 정량적 검사결과를 문서 형식으로 디스플레이하여 현장에서 바로 조회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예를 들어 도6의 일정통합관리(69) 화면의 아래쪽 승강기 리스트 영역(693) 중 임의의 승강기에 대한 "뷰"(694) 항목의 아이콘을 선택하면, 도10과 같이 각종 검사결과가 양식에 입력된 검사기록표(771)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검사기록표(771)가 디스플레이되는 영역 아래쪽에는 예컨대 검사기록표의 페이지 이동, 확대 및 축소, 이메일 보내기 등의 기능을 선택할 수 있는 메뉴 영역(772)가 표시될 수 있다.
도1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기 안전관리 프로그램의 최종검사확인 화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최종검사확인(74) 화면은, 도8 및 도9를 참조하여 설명한 검사결과 입력 및 검사판정 입력에 의해 최종적으로 현장의 검사가 완료되면, 상급자에게 검사확인을 받기 위해 결재를 올릴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서 도11의 최종검사확인(74) 화면은 예컨대 도6의 일정통합관리(69) 화면 상에서 최종검사확인(74)을 선택함으로써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최종검사확인(74)은 승강기에 대한 기본 정보가 표시되는 영역(741), 최종검사확인의 하위 메뉴에 따른 데이터가 표시되는 영역(745 및 746)을 포함한다.
최종검사확인의 하위 메뉴는 예컨대 도시한 것처럼 우호도(742), 우편물 수령처(743), 및 최종검사확인(744)를 포함하며, 도11은 최종검사확인(744)가 선택되었을 때 데이터가 영역(745,746)에 표시된 상태를 일 예로서 나타낸다. 검사원은 도11의 화면상에서 해당 승강기에 대해 입력된 검사판정을 다시 확인하고 영역(746)에 표시된 서명 버튼을 선택함으로써 최종서명을 할 수 있다. 검사원이 최종서명을 한 후 예컨대 도6의 일정통합관리(69) 화면상에서 검토요청(75)을 선택함으로써, 해당 승강기에 대한 검사성적서의 결재 요청이 완료된다.
도1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기 안전관리 프로그램의 검사성적서 검토 화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예를 들어 도5 또는 도6 등의 화면의 왼쪽 리스트(661)에서 “검사성적서 검토”를 선택하면 검사원이 결재 요청을 올린 검사성적서의 리스트가 표시될 수 있고, 그 중에서 임의의 검사성적서를 선택하면 도12에 도시한 것처럼 검사성적서의 결재자 정보를 표시하는 영역(761), 검사성적서에 관련된 각종 서류들의 리스트가 표시되는 영역(762), 및 선택된 서류가 표시되는 영역(763)이 디스플레이된다. 도12는 일 예로서 리스트 영역(762)에서 검사기록표를 선택하였을 때 영역(763)에 이 검사기록표(771)가 디스플레이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13 내지 도1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기 안전관리 프로그램의 스마트 브리핑 화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서 스마트 브리핑은 승강기가 설치된 건물의 건물주나 관리인 등 일반인에게 승강기 검사결과를 이해하기 쉽게 설명할 수 있는 기능으로, 승강기의 3차원(3D) 표준 모델에 승강기 검사항목에 따른 검사결과를 매칭시켜 보여줌으로써 일반인들이 승강기의 검사결과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도13은 스마트 브리핑의 첫화면으로, 예컨대 도5 또는 도6의 화면 상의 왼쪽 리스트(661)에서 "스마트 브리핑"을 선택함으로써 도13의 화면이 표시될 수 있다.
도시한 스마트 브리핑(80)의 예시적인 화면은, 스마트 브리핑 대상인 승강기를 검색하는 영역(801), 검색된 승강기의 리스트를 표시하는 영역(802), 및 브리핑 가능한 승강기 표준모델의 종류를 표시하는 영역(803)을 포함한다. 도시한 실시예에서 승강기는 5개의 표준모델, 즉 MR(기계실이 건물 상부에 있는 엘리베이터), MRL(기계실과 엘리베이터가 함께 움직이는 엘리베이터), 유압식 EL(유압식 엘리베이터), ES(에스컬레이터), 및 MW(무빙워크)로 분류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도1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기 안전관리 프로그램이 제공하는 스마트 브리핑 화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스마트 브리핑용 표준모델(91)이 디스플레이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시한 실시예에서 도14의 스마트 브리핑 화면은 브리핑 대상인 승강기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는 영역(805), 해당 승강기가 속하는 분류의 3D 표준모델을 디스플레이하는 영역(806), 및 해당 승강기에 대한 검사기준 및/또는 검사결과를 표시하는 영역(807)을 포함하며, 이에 따라 스마트 브리핑은 3D 표준모델 및 승강기 검사기준의 각 검사항목에 대한 검사결과를 동시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3D 표준모델 디스플레이 영역(806)은 3D 표준모델(91)의 애니메이션 플레이를 위한 버튼(92), 표준모델에 승강기의 각 부품 명칭을 매칭시켜 표시하는 기능을 활성화하는 버튼(93), 및 해당 표준모델의 종류를 나타내는 영역(808)을 더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승강기의 3D 표준모델은 3D 애니메이션으로 표시된다. 예컨대 애니메이션 플레이 버튼(92)을 누르면 승강기의 기본 동작을 애니메이션으로 볼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부(120) 상에서 손으로 핀치업, 터치 및 드래그 등 동작을 통해 승강기 구조를 여러 각도에서 보거나 확대 또는 축소하여 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부품 명칭을 활성화하는 버튼(93)을 선택하면, 예컨대 도15 내지 도17에 도시한 것처럼 표준모델의 각 부품에 대응하여 부품명칭에 표시된다. 이를 위해, 일 실시예에서 모바일 단말기(10)의 저장부(150)에 승강기 종류별로 각각의 표준모델의 3D 애니메이션 파일 및 각 표준모델에서의 승강기 구성부품의 부품명칭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도15는 특정 승강기에 대한 스마트 브리핑 실행시의 예시적 화면을 나타낸다. 승강기 정보 표시 영역(805)에 이 승강기에 대한 간략한 정보가 표시되고, 3D 표준모델 디스플레이 영역(806)에는 이 승강기의 표준모델이 디스플레이된다. 또한 검사기준 및/또는 검사결과를 표시하는 영역(807)에는 해당 승강기의 제원이 표시되거나(도15 참조) 또는 이 승강기에 대한 검사기준이 표시될 수 있다(도16 또는 도17 참조).
도15에서 영역(807)에 표시되는 '제원요약'은 해당 승강기의 기본 정보를 보여주며, 예컨대 승강기원장 관리(67) 또는 승강기상태 조사(71) 화면에서 조회되는 승강기의 정보들 중 일부가 표시될 수 있다. 도15에서 화면상에서 '제원요약'을 제거하면 도16 또는 도17에서와 같이 영역(807)에 해당 승강기에 적용되는 승강기 검사기준이 표시될 수 있고, 주요 구성부품 별로 검사기준을 조회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승강기 검사기준의 각 검사항목마다 표준모델에서의 승강기 구성부품이 적어도 하나씩 매칭되어 있다. 영역(807) 내에서 특정 검사기준을 선택하면, 선택된 검사기준의 상세내용이 이 영역(807)에 표시되며, 이와 동시에, 왼쪽의 영역(806)에 상기 선택된 검사기준과 관련된 구성부품이 빨간색으로 표시되어 사용자가 쉽게 구분할 수 있도록 한다.
검사결과 각 구성부품이 합격이면 도16과 같이 나타나고, 특정 구성부품에 불합격 사항이 있는 경우 도17과 같이 해당 불합격된 구성부품의 검사기준 옆에 예컨대 느낌표(821)와 같이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는 마크가 표시된다. 이 마크된 검사기준을 선택하면 영역(807)에 이 검사기준의 상세내용이 표시되어 조회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17에서 비상조명장치의 첫째 항목인 "예비전원에 의한 카 조명"에 불합격 마크가 표시되어 이를 선택하면, 도18a에서 도시한 것처럼 검사기준의 상세설명이 표시된다. 이와 동시에 표준모델 디스플레이 영역(806)에서 표준모델의 대응 구성부품이 빨간색으로 깜빡이게 설정할 수도 있다.
또한 도18a에서 상세설명 아래의 수치항목(823), 불합격 내역(824), 시정권고 등의 하위 메뉴를 더 선택함으로써 상세 현황을 조회할 수 있으며, 예컨대 수치항목(823)을 선택한 경우 해당 검사기준에 관련하여 측정한 수치가 있으면 이 수치값이 새로운 팝업창(810)에 표시될 수 있다. 만일 상세설명의 아래의 불합격 내역(824)를 선택하면, 도18b에서와 같이 불합격된 상세 내역이 새로운 팝업창(811)에 표시될 수 있다. 또한 도18a에서 상세설명 아래의 검사사진(825)을 선택하면, 해당 검사기준에 관련된 승강기 구성부품을 촬영한 사진 등이 업로드되어 있으면 이 사진이 새로운 팝업창에 표시될 수도 있다.
일반 건물주나 건물관리인은 엘리베이터 등 승강기의 내부 구조나 동작 메커니즘을 잘 알지 못하는 경우가 대부분인데, 위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스마트 브리핑 기능을 구현함으로써, 단순히 검사결과 합격, 불합격 여부만 통지하는 것이 아니라 승강기의 기본 동작이나 불합격된 구성부품을 애니메이션으로 보여주고 설명함으로써 건물주나 관리자를 더욱 잘 이해시키고 안전 의식을 제고하는 이점이 있다.
도19는 일 실시예에 따라 메인 관리 시스템이 모바일 단말 또는 데스크탑 컴퓨터에 데이터를 제공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시한 일 실시예에서, 승강기 관리서버(40)는 웹서버(410), 기간계 서버(420), 데이터베이스(DB) 서버(430), 리포트 서버(440), 스케줄러(450), 네트워크 결합 저장장치(NAS: Network Attached Storage)(460), 및 연계서버(470)를 포함한다.
웹서버(410)는 모바일 단말기(10)와 통신가능한 서버이고, 기간계 서버(420)는 데스크탑 단말장치(20)와 통신가능한 서버이다. 즉 모바일 단말기(10)는 모바일용 서버인 웹서버(410)를 통해 DB 서버(430)에 액세스하며 데스크탑 단말장치(20)는 기존에 구축되어 있던 기간계(레거시) 서버(420)를 통해 DB 서버(430)에 액세스할 수 있다.
DB 서버(430)는 하나 이상의 저장장치 및/또는 DB 장치를 포함할 수 있고, 승강기 정보, 승강기가 설치된 건물의 건물정보, 복수개의 검사항목을 포함하는 승강기 검사기준, 및 각 승강기에 대한 검사결과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DB 서버(430)는 도1에 도시한 것과 같은 건물정보 DB(41), 승강기정보 DB(42), 검사원 DB(43), 검사기준 DB(44), 및 검사결과 데이터(45)를 저장하는 하나 이상의 저장장치를 포함한다.
리포트 서버(440)는 웹서버(410), 기간계 서버(420), 및 DB 서버(430)와 통신할 수 있으며, DB 서버(430)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여 웹서버(410)에 전달하는 기능, 기간계 서버(420)로부터의 요청을 DB 서버(430)에 전달하는 기능 등을 수행할 수 있다.
스케줄러(450)는 DB 서버(430)로부터 검사결과 데이터 중 적어도 일부 데이터를 수신받고 이로부터 예컨대 pdf 파일 형식과 같은 소정 형식의 검사성적서 파일을 생성할 수 있다. 생성된 검사성적서 파일은 NAS(460)에 저장된다. 연계서버(470)는 NAS(460)에 저장된 검사성적서 파일을 일정 주기 또는 일정 이벤트 발생시마다 가져온 후 네트워크(30)를 통해 우체국 서버(50)와 같은 외부 장치로 전송한다.
상술한 승강기 관리서버(40)의 구성에 따르면, 만일 검사원이 모바일 단말기(10)를 사용하여 승강기 검사결과를 입력하는 경우, 이 입력된 검사결과들은 단계① 및 단계②를 거쳐 DB 서버(430)의 검사결과 데이터(45)의 저장장치에 저장된다.
다른 예로서, 만일 일반적인 건물정보, 승강기 정보, 및/또는 검사원 정보를 모바일 단말기(10)로 전송하는 경우, 우선 모바일 단말기(10)에서 특정 정보에 대한 요청(request)을 웹서버(410)에 전달한다(도19의 단계①). 웹서버(410)는 요청받은 정보(예컨대 건물정보, 승강기 정보, 또는 검사원 정보)를 DB 서버(430)에 요청하고(단계②), DB 서버(430)는 요청에 따라 정보를 검색하고 추출한 뒤 웹서버(410)로 전달하고(단계③), 웹서버(410)는 응답(response)으로서 모바일 단말기(10)로 정보를 전송한다(단계④).
또 다른 예로서, 만일 데스크탑 단말장치(20)를 통해 건물정보, 승강기 정보, 및/또는 검사원 정보를 요청하는 경우에는, 상술한 단계와 유사한 단계를 거쳐서 정보를 전송받을 수 있다. 단, 이 경우에는 모바일용 웹서버(410)가 아니라 기간계 서버(420)를 통해 통신하므로 도19에 도시한 단계들(⑤, ⑥, ⑦, ⑧)을 거쳐 데스크탑 단말장치(20)가 DB 서버(430)의 정보를 전송받게 됨을 이해할 것이다.
도20은 일 실시예에 따라 메인 관리 시스템이 승강기 검사결과 데이터를 모바일 단말에 제공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예를 들어 도10 또는 도12를 참조하여 설명한 검사기록표 등과 같이 일정 양식에 따라 데이터가 기입된 자료를 모바일 단말기(10)에 제공하는 경우의 처리과정을 나타낸다.
이 경우 예컨대 모바일 단말기(10)가 도10과 같이 특정 승강기에 대한 검사기록표(771)를 승강기 관리서버(40)에 요청하는 경우(단계①), 웹서버(410)가 이러한 요청을 수신한 후 리포트 서버(440)에 이를 전달하고(단계②), 리포트 서버(440)는 이 요청에 따라 검사결과 데이터 중 검사기록표(771)에 포함되어야 할 정보들을 DB 서버(430)에 요청한다(단계③). 그 후 리포트 서버(440)는, DB 서버(430)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면(단계④), 리포트 서버(440) 내에 기저장되어 있던 소정 양식에 따라 검사기록표(771)를 생성하고 이를 웹서버(410)를 통해 모바일 단말기(10)로 전송한다(단계⑤,⑥). 모바일 단말기(10)는 수신한 검사기록표(771)를 수신한 뒤 도10 또는 도12와 같은 화면을 통해 이를 디스플레이한다.
도21은 일 실시예에 따라 데스크탑 컴퓨터에서의 결제완료 명령에 따른 메인 관리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예를 들어 상급 결재자가 검사원이 작성한 검사성적서를 최종적으로 결재한 이후의 처리과정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도11을 참조하여 설명하였듯이 검사원이 도6의 일정통합관리(69) 화면상에서 검토요청(75)을 선택하여 결재 요청을 한 후, 결재자가 데스크탑 단말장치(20) 상에서 최종 결재를 한 경우를 가정한다. 최종 결재가 이루어지면 이러한 결재완료 정보가 데스크탑 단말장치(20)에서 기간계 서버(420)로 전송되고(단계①), 기간계 서버(420)는 결재완료 정보를 리포트 서버(440)를 통해 DB 서버(430)로 통지한다(단계②).
그 후 일 실시예에서 리포트 서버(440)는 도12에 도시한 여러 검사결과 관련 서류들 중 건물주나 건물 관리자 등에게 발송해야 할 서류에 관한 데이터를 DB 서버(430)에게 요청할 수 있다(단계③). DB 서버(430)는 이러한 요청에 따라 필요한 데이터를 스케줄러(450)에게 전달하고(단계④), 스케줄러(450)는 수신한 데이터로부터 pdf와 같은 소정 파일 형식의 검사결과 관련 서류들을 생성한다.
대안적으로, 단계③에서 리포트 서버(440)가 결재완료 정보를 DB 서버(430)로 전달하면, DB 서버(430)가 검사결과 관련 서류들의 생성에 대한 작업(job)을 작업 리스트에 올려놓을 수 있다. 스케줄러(450)는 일정 주기마다 이 작업 리스트를 조회하여 서류 생성 작업(job)이 있는지를 판단하며, 작업을 확인한 경우 서류 생성에 필요한 데이터를 DB 서버(430)로부터 읽어와서 서류를 생성할 수 있다.
스케줄러(450)는 pdf와 같은 소정 형식의 검사결과 관련 서류들을 생성한 후 이를 NAS(460)와 같은 저장장치에 저장하고(단계⑤), 연계서버(470)는 일정 주기, 일정 이벤트 발생시마다 NAS(460)에서 데이터를 읽어온 후(단계⑥), 네트워크(30)를 통해 우체국 서버(50)와 같은 외부 장치로 전송한다(단계⑦). 대안적으로, 연계서버(470)는 일정 주기나 이벤트마다 DB 서버(430)의 작업 리스트를 조회하여 자신에게 할당된 작업이 있는지 판단하고, 작업이 있으면 이에 따라 NAS(460)에 저장된 데이터를 읽어와서 우체국 서버(50)로 전송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술한 명세서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 모바일 단말기
20: 데스크탑 단말장치
30: 네트워크
40: 승강기 관리서버
410: 웹서버
420: 기간계 서버
430: DB 서버
440: 리포트 서버
450: 스케줄러
460: NAS 서버
470: 연계서버

Claims (10)

  1. 승강기 안전관리 프로그램을 구비한 모바일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승강기 안전관리 프로그램이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서 실행될 때, 상기 프로그램은,
    승강기 정보, 상기 승강기가 설치된 건물의 건물정보, 및 복수개의 검사항목을 포함하는 승강기 검사기준을 외부의 서버 장치로부터 수신받는 기능;
    수신한 상기 승강기 검사기준에 대한 승강기의 검사결과를 입력받는 기능; 및
    입력된 상기 승강기의 검사결과를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화면을 통해 디스플레이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고,
    상기 검사결과를 입력받는 기능은,
    상기 승강기 검사기준의 각 검사항목에 대한 검사결과를 입력받는 기능;
    상기 승강기 검사기준의 모든 검사항목에 따른 검사판정을 입력받는 기능;을 포함하고,
    상기 각 검사항목에 대한 검사결과의 입력시 적어도 불합격, 해당없음, 및 시정권고 중 하나의 검사결과가 선택되어 입력될 수 있고,
    상기 검사판정의 입력시 적어도 합격, 조건부 합격, 및 불합격 중 하나의 검사판정이 선택되어 입력될 수 있고, 이 때 상기 각 검사항목에 대한 검사결과 중 불합격 또는 시정권고가 하나라도 입력된 후 상기 검사판정 입력시 합격이 입력되는 경우,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화면을 통해 사용자에게 오기입력 상태임을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단말기는, 승강기 종류별로 각각의 표준모델의 3차원(3D) 애니메이션 파일 및 각 표준모델에서의 승강기 구성부품에 대응하는 부품명칭 데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승강기의 검사결과를 디스플레이하는 기능은,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화면상에 상기 표준모델 및 상기 승강기 검사기준의 각 검사항목에 대한 검사결과를 동시에 디스플레이 기능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기 검사기준의 각 검사항목마다 상기 표준모델에서의 승강기 구성부품이 적어도 하나씩 매칭되어 저장되고,
    사용자가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화면상에서 상기 승강기 검사기준의 임의의 검사항목을 선택하면 이 선택된 검사항목에 매칭되는 승강기 구성부품이 상기 화면상의 표준모델에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
  6. 청구항 제1항, 제4항, 및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모바일 단말기, 및 네트워크를 통해 이 모바일 단말기와 통신가능한 승강기 관리서버를 포함하는 승강기 안전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승강기 관리서버는,
    상기 모바일 단말기와 통신가능한 제1 웹서버(410); 및
    승강기 정보, 상기 승강기가 설치된 건물의 건물정보, 복수개의 검사항목을 포함하는 승강기 검사기준, 및 각 승강기에 대한 검사결과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DB) 서버(430);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웹서버가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상기 승강기 정보, 건물정보, 또는 승강기 검사기준에 대한 데이터의 전송 요청을 수신하면, 상기 제1 웹서버가 상기 DB 서버에서 상기 요청된 데이터를 수신받아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 안전관리 시스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기 관리서버가 리포트 서버(44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웹서버(410)가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검사성적서 요청을 수신하면, 상기 리포트 서버(440)가, 상기 DB 서버(430)로부터 상기 검사결과 데이터 중 적어도 일부 데이터를 수신하여 이를 상기 제1 웹서버로 전달하고 상기 제1 웹서버가 상기 일부 데이터를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 안전관리 시스템.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기 관리서버가,
    데스크탑 단말장치와 통신가능한 제2 웹서버(420); 및
    상기 DB 서버(430)로부터 상기 검사결과 데이터 중 적어도 일부 데이터를 수신받고 이로부터 검사성적서 파일을 생성하는 스케줄러(45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 안전관리 시스템.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웹서버(420)가 상기 데스크탑 단말장치로부터 결재완료 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제2 웹서버(420)가 결재완료 정보를 상기 리포트 서버(440)를 통해 상기 DB 서버(430)에 통지하고, 상기 DB 서버(430)가 검사성적서 파일 생성 작업을 상기 스케줄러(450)에 요청함으로써 상기 스케줄러가 검사성적서 파일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 안전관리 시스템.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기 관리서버가,
    생성된 상기 검사성적서 파일을 저장하는 저장장치(460); 및
    저장된 상기 검사성적서 파일을 상기 저장장치로부터 수신하고 이 수신한 검사성적서 파일을 상기 승강기 관리서버 외부의 장치로 전송하는 연계서버(47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 안전관리 시스템.
KR1020150069888A 2015-05-19 2015-05-19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승강기 스마트검사 시스템 KR1015844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9888A KR101584485B1 (ko) 2015-05-19 2015-05-19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승강기 스마트검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9888A KR101584485B1 (ko) 2015-05-19 2015-05-19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승강기 스마트검사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84485B1 true KR101584485B1 (ko) 2016-01-12

Family

ID=551702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69888A KR101584485B1 (ko) 2015-05-19 2015-05-19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승강기 스마트검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84485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651517A (zh) * 2016-07-23 2018-02-02 梁兴伟 升降梯安全预警和维护系统及其预警和维护方法
KR101931424B1 (ko) * 2017-03-24 2018-12-21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Bim을 이용한 건물 안전 및 유지관리 법규 자동화 점검 방법
KR102032107B1 (ko) 2018-10-31 2019-10-15 최인석 휴대용 승강기 관리 시스템
IL254691B (en) * 2017-09-25 2022-09-01 Harel Sagie Management system and control method for the Shabbat elevator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99902A (ja) * 2003-04-01 2004-10-28 Mitsubishi Electric Building Techno Service Co Ltd エレベーター点検項目実施漏れ防止装置
JP2007031082A (ja) * 2005-07-27 2007-02-08 Hitachi Building Systems Co Ltd エレベータの点検報告書作成方法及び点検報告書作成装置
KR101335929B1 (ko) * 2013-06-14 2013-12-04 현대엘리베이터주식회사 모바일 앱을 이용한 엘리베이터의 고장 처리 원격보수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99902A (ja) * 2003-04-01 2004-10-28 Mitsubishi Electric Building Techno Service Co Ltd エレベーター点検項目実施漏れ防止装置
JP2007031082A (ja) * 2005-07-27 2007-02-08 Hitachi Building Systems Co Ltd エレベータの点検報告書作成方法及び点検報告書作成装置
KR101335929B1 (ko) * 2013-06-14 2013-12-04 현대엘리베이터주식회사 모바일 앱을 이용한 엘리베이터의 고장 처리 원격보수 시스템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651517A (zh) * 2016-07-23 2018-02-02 梁兴伟 升降梯安全预警和维护系统及其预警和维护方法
CN107651517B (zh) * 2016-07-23 2019-04-09 梁兴伟 升降梯安全预警和维护系统及其预警和维护方法
KR101931424B1 (ko) * 2017-03-24 2018-12-21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Bim을 이용한 건물 안전 및 유지관리 법규 자동화 점검 방법
IL254691B (en) * 2017-09-25 2022-09-01 Harel Sagie Management system and control method for the Shabbat elevator
KR102032107B1 (ko) 2018-10-31 2019-10-15 최인석 휴대용 승강기 관리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35036B1 (ko) 건설 현장 안전 관리 시스템
US20200193049A1 (en) Lockout-tagout and safety compliance systems and methods
US20190156443A1 (en)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and managing information
JP6743657B2 (ja) 巡回点検システム、巡回点検装置、巡回点検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US20150287152A1 (en) System and Method for Facilitating Property Management
US20180267500A1 (en) Method and system for integrated manufacturing production quality inspections
KR101887056B1 (ko) 검측 업무용 솔루션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1584485B1 (ko)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승강기 스마트검사 시스템
US8527550B1 (en) Bridge inspection diagnostic system
US20140344181A1 (en) Construction trade building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software and method
US9915929B1 (en) Monitoring availability of facility equipment
US20150227893A1 (en) Estimate method and generator
KR101675034B1 (ko) 건물에 대한 실시간 공사 감리를 지원하기 위한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20140058732A (ko) 건설현장의 하자관리시스템 및 방법
JP6242923B2 (ja) 報告書作成システム
KR102304781B1 (ko) 시설물 점검 방법 및 시설물 점검 방법을 수행하는 사용자 단말
JP2009193407A (ja) 工事管理システム
JP7312581B2 (ja) コンクリート構造物管理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コンクリート構造物の管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1335706B1 (ko) 시설물 점검 장치 및 방법
KR101620605B1 (ko) 스마트 안전 진단 보고 장치 및 그 방법
CA2842592A1 (en) Estimate method and generator
CN107219825B (zh) 提供检查指令的方法、施工现场管理系统、存储介质
JP4252196B2 (ja) 施工検査システム、施工検査情報表示装置、および建築物の施工検査方法
US11138542B2 (en) Confirming field technician work based on photographic time and location device
US20200311741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validating order reques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07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