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58732A - 건설현장의 하자관리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건설현장의 하자관리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58732A
KR20140058732A KR1020120124168A KR20120124168A KR20140058732A KR 20140058732 A KR20140058732 A KR 20140058732A KR 1020120124168 A KR1020120124168 A KR 1020120124168A KR 20120124168 A KR20120124168 A KR 20120124168A KR 20140058732 A KR20140058732 A KR 201400587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information
manager
construction site
defe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241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22352B1 (ko
Inventor
박찬식
박희택
권오성
고휘경
Original Assignee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201241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22352B1/ko
Publication of KR201400587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587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23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23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8Constru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06K7/10009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 G06K7/10019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resolving collision on the communication channels between simultaneously or concurrently interrogated record carriers.
    • G06K7/10079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resolving collision on the communication channels between simultaneously or concurrently interrogated record carriers. the collision being resolved in the spatial domain, e.g. temporary shields for blindfolding the interrogator in specific directions
    • G06K7/10089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resolving collision on the communication channels between simultaneously or concurrently interrogated record carriers. the collision being resolved in the spatial domain, e.g. temporary shields for blindfolding the interrogator in specific directions the interrogation device using at least one directional antenna or directional interrogation field to resolve the collision
    • G06K7/10099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resolving collision on the communication channels between simultaneously or concurrently interrogated record carriers. the collision being resolved in the spatial domain, e.g. temporary shields for blindfolding the interrogator in specific directions the interrogation device using at least one directional antenna or directional interrogation field to resolve the collision the directional field being used for pinpointing the location of the record carrier, e.g. for finding or locating an RFID tag amongst a plurality of RFID tags, each RFID tag being associated with an object, e.g. for physically locating the RFID tagged object in a warehous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20Administration of product repair or mainten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006Mixed rea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3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mutual or relative location information between multiple location based services [LBS] targets or of distance threshol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Toxic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건설현장의 하자관리시스템 및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설현장의 하자관리시스템은, 건설현장의 하자에 대한 하자정보를 통지받아, 상기 하자정보에 따른 보수작업의 완료정보를 생성하여 보고하는 작업자 단말기; 상기 하자정보를 생성하여 통지하며, 상기 완료정보의 점검 결과에 기초하여 점검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점검정보를 보고하는 관리자 단말기; 및 상기 점검정보를 확인하여 승인정보를 생성하는 책임자 단말기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건설현장의 하자관리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MANAGEING DEFECT OF CONSTRUCTION SITE}
본 발명은 건설현장의 하자관리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건설현장의 작업자와 관리자 간 정보 공유 및 커뮤니케이션을 원활하게 하고, 실시간으로 정보를 수집하여 건설현장의 하자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건설현장의 하자관리시스템 및 하자관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설 프로젝트의 공사업체는 신축 건물에 대해서 준공 시점 수십일 전에 건축물에 하자가 있는지를 자체점검하게 되며, 입주자 또는 발주처 등의 요구사항을 만족시키기 위해 사전점검을 실시하게 된다.
또한, 준공허가 승인을 받은 후 입주가 개시되면서, 키 불출, 검침, 시설물 확인, 입주현황 파악 등의 입주관리를 하게 된다. 이때, 점검과 관리 과정에서 하자가 발생되면, 하자가 발생된 부분의 공사를 담당한 업체에 재점검 및 보수작업을 지시함으로써 보수 작업을 진행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건설 프로젝트에서 하자의 발생은 반복적으로 불가피하게 발생하게 된다. 하자가 발생하게 되면, 프로젝트의 완료 일정이 지연되게 되며 프로젝트에 책정된 비용이 초과되는 주요한 요인을 구성한다.
이와 같이 불가피하게 발생하는 하자를 적절하게 관리 및 개선하는 작업은 매우 중요하며, 하자를 관리하기 위한 시스템에 대한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실시간으로 정보를 수집하여 건설현장의 하자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건설현장의 하자관리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건설현장의 하자 관리 시스템을 구현한 어플리케이션을 모바일 기기에 적용함으로써, 작업자와 관리자 간 정보 공유 및 커뮤니케이션을 원활히 하여 건설현장의 하자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건설현장의 하자관리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설현장의 하자관리시스템은, 건설현장의 하자에 대한 하자정보를 통지받아, 상기 하자정보에 따른 보수작업의 완료정보를 생성하여 보고하는 작업자 단말기; 상기 하자정보를 생성하여 통지하며, 상기 완료정보의 점검 결과에 기초하여 점검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점검정보를 보고하는 관리자 단말기; 및 상기 점검정보를 확인하여 승인정보를 생성하는 책임자 단말기를 포함한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설현장의 하자관리시스템은, 건설현장의 작업자, 관리자, 책임자 간에 모바일에 의해 연결되어 하자를 관리하는 건설현장의 하자관리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건설현장의 하자에 대한 하자정보를 기초로 하자 보수를 지시하는 작업지시서를 생성하여 상기 작업자의 단말기에 전송하며, 상기 작업지시서에 기초한 작업이 완료되어 상기 작업자로부터 전송되는 작업완료서를 확인하여 승인요청서를 생성하고, 상기 승인요청서를 상기 책임자의 단말기에 전송하는 상기 관리자의 관리자 단말기; 상기 관리자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작업지시서에 기초하여 작업이 완료된 경우, 상기 작업완료서를 생성하여 상기 관리자 단말기에 전송하는 상기 작업자의 작업자 단말기; 및 상기 관리자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승인요청서를 확인하여 승인확인서를 생성하며, 상기 승인확인서를 상기 관리자 단말기에 전송하는 상기 책임자의 책임자 단말기를 포함한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설현장의 하자관리방법은, 건설현장의 작업자, 관리자, 책임자 간에 모바일에 의해 연결되어 하자를 관리하는 건설현장의 하자관리방법에 있어서, 상기 건설현장의 하자에 대한 하자정보를 기초로 하자 보수를 지시하는 작업지시서를 생성하여 상기 작업자의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작업지시서에 기초한 작업이 완료된 경우, 작업완료서를 생성하여 상기 관리자의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작업완료서를 확인하여 승인요청서를 생성하여 상기 책임자의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승인요청서를 확인하여 승인확인서를 생성하여 상기 관리자의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기타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실시간으로 정보를 수집하여 건설현장의 하자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또한, 모바일 기기에 의해 건설현장의 하자를 관리할 수 있어 작업자와 관리자 간 정보 공유를 원활히 할 수 있다.
그리고, 작업자와 관리자 간 건설현장의 하자를 실시간으로 공유할 수 있어 건설현장의 하자 보수 작업 및 이에 대한 관리를 효율적으로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설현장의 하자관리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의 하자관리시스템의 단말기 간 정보 전송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a는 도 1의 하자관리시스템의 작업자 단말기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b는 도 1의 하자관리시스템의 관리자 단말기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c는 도 1의 하자관리시스템의 책임자 단말기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하자관리시스템의 작업자 또는 관리자 단말기에 표시되는 증강현실(AR)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도 1의 하자관리시스템의 관리자 단말기에서 하자 정보를 생성하는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설현장의 하자관리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 구성도이다.
도 7은 도 6의 하자관리시스템의 단말기 간 정보 전송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a 내지 도 8i는 도 6의 하자관리시스템의 관리자 단말기에서 하자에 관한 하자 보고서를 생성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설현장의 하자관리방법의 순서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소자, 구성요소 및/또는 섹션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소자, 구성요소 및/또는 섹션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소자, 구성요소 또는 섹션들을 다른 소자, 구성요소 또는 섹션들과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소자, 제1 구성요소 또는 제1 섹션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소자, 제2 구성요소 또는 제2 섹션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이루어지다(made of)"는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에 따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설현장의 하자관리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설현장의 하자관리시스템(10)은, 건설현장의 하자에 대한 하자정보를 통지받아, 상기 하자정보에 따른 보수작업의 완료정보를 생성하여 보고하는 작업자 단말기(100), 상기 하자정보를 생성하여 통지하며, 상기 완료정보의 점검 결과에 기초하여 점검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점검정보를 보고하는 관리자 단말기(200), 그리고 상기 점검정보를 확인하여 승인정보를 생성하는 책임자 단말기(300)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설현장의 하자관리시스템(10)은, 하자관리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물리적 또는 논리적 저장공간인 데이터베이스(40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단말기(100, 200, 300)는 무선 인터넷 또는 휴대 인터넷을 통하여 통신하는 셀룰러폰(Cellular phone), 피씨에스폰(PCS phone: Personal Communications Services phone), 동기식/비동기식 IMT-2000(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등 이동 단말을 포함하고, 이외에도 팜 PC(Palm Personal Computer), 개인용 디지털 보조기(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스마트폰(Smart phone), 왑폰(WAP phone: Wireless application protocol phone) 등 데이터베이스(400)에 접속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갖는 모든 유무선 가전/통신 장치를 포괄적으로 의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작업자 단말기(100)는 건설현장에서 직접 작업을 수행하는 작업자가 휴대할 수 있는 모든 종류의 모바일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관리자 단말기(200)는 건설현장에서 작업자의 작업을 관리 감독하는 관리자가 휴대할 수 있는 모든 종류의 모바일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작업자 단말기(100) 또는 책임자 단말기(300)는, 사용자에 의해 위치 이동이 가능하며, 2세대 또는 3세대 이동통신망이나 HSDPA, WIBRO, WiFi 등을 통해 유/무선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다른 단말기나 장치와 통신이 가능하다.
또한, 관리자 단말기(200)는 건설현장의 프로젝트를 총괄하는 책임자가 휴대할 수 있는 모든 종류의 모바일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관리자 단말기(200)도, 사용자에 의해 위치 이동이 가능하며, 2세대 또는 3세대 이동통신망이나 HSDPA, WIBRO, WiFi 등을 통해 유/무선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다른 단말기나 장치와 통신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사무실 등의 장소에 설치된 PC 등이 관리자 단말기(200)로 활용될 수도 있다.
그리고, 데이터베이스(400)는 작업자 단말기(100), 관리자 단말기(200), 및 책임자 단말기(300)에 의해 획득 및 생성되는 각종 정보를 전송받아 저장한다. 즉, 데이터베이스(400)는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서버를 의미하며, 예를 들어, 오라클(Oracle) 사의 Oracle DBMS, 마이크로소프트(Microsoft) 사의 MS-SQL DBMS, 사이베이스(Sybase) 사의 SYBASE DBMS 등의 형태일 수 있으나, 이에만 한정되지 않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할 것이다.
도 2는 도 1의 하자관리시스템의 단말기 간 정보 전송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먼저, 관리자가 건설현장의 하자를 확인하여 관리자 단말기(200)를 통해 하자 정보를 기록한다(S10). 이때, 관리자 단말기(200)에 기록된 하자정보는 관리자 단말기(200)에 저장될 수 있다.
그런 후에, 관리자 단말기(200)로부터 작업자 단말기(100)로 하자정보가 통지된다(S12). 여기에서, 관리자 단말기(200)로부터 책임자 단말기(300)로 하자정보가 통지될 수 있다.
그리고, 작업자가 하자정보에 기초하여 건설현장의 하자 보수작업을 완료하고, 작업자 단말기(100)로부터 관리자 단말기(200)로 작업의 완료정보를 보고한다(S14).
다음으로, 관리자가 건설현장의 하자가 보수되었는지 완료정보를 점검한다(S16). 하자의 완료 여부에 따라(S17), 하자가 완료되었으면(Yes), 관리자 단말기(200)로부터 책임자 단말기(300)로 점검정보가 보고된다(S20). 하자가 완료되지 않았으면(No), 관리자 단말기(200)로부터 작업자 단말기(100)로 다시 하자정보가 통지되어(S18), 전술한 S10~S16 단계가 다시 한 번 실행된다. 즉, 완료정보의 점검 결과 하자의 보수작업의 이상이 없을 경우, 관리자 단말기(200)에서 점검정보를 생성하여 책임자 단말기(300)로 전송되고, 완료정보의 점검 결과 보수작업의 이상이 있을 경우, 작업자 단말기(100)로 새로운 하자가 다시 통지되는 것이다.
그 다음으로, 책임자는 관리자 단말기(200)로부터 보고된 점검정보를 확인하여(S22) 책임자 단말기(300)를 통해 상기 점검정보에 대한 승인정보를 관리자 단말기(200)로 통지한다(S24). 이러한 단계를 통해 하자에 대한 보수작업이 최종 완료되며, 관리자는 관리자 단말기(200)로부터 작업자 단말기(100)로 보수작업의 최종 종료를 통지할 수 있다(S26).
특히, 각각의 작업자 단말기(100), 관리자 단말기(200), 책임자 단말기(300) 간에 전송되는 정보, 상기 각 단말기(100, 200, 300)에서 생성 및 처리되는 정보는 각 단말기(100, 200, 300)에 저장될 뿐만 아니라, 추후 다른 건설 프로젝트에 이용하기 위해 데이터베이스(400)에 저장될 수도 있다. 데이터베이스(400)에 저장된 정보들은 다른 건설 프로젝트의 하자관리업무의 기초가 되는 것이다.
도 3a는 도 1의 하자관리시스템의 작업자 단말기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3b는 도 1의 하자관리시스템의 관리자 단말기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c는 도 1의 하자관리시스템의 책임자 단말기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a를 참조하면, 작업자 단말기(100)는, 관리자 단말기(200)와 통신하는 제1 통신모듈(110)과, 정보가 입력되는 제1 입력모듈(120)과, 건설현장에 대한 위치정보를 획득하는 제1 위치정보모듈(130)과, 상기 건설현장에 대한 영상정보를 획득하는 제1 카메라모듈(140)과, 상기 건설현장에 대한 현장정보 및 상기 작업자 단말기(100)가 획득하는 정보 등을 작업자에게 표시하는 제1 표시모듈(150)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 통신모듈(110), 상기 제1 입력모듈(120), 상기 제1 위치정보모듈(130), 상기 제1 카메라모듈(140), 상기 제1 표시모듈(15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1 제어모듈(160)과, 상기 작업자 단말기(100)에서 생성, 송수신, 처리되는 정보 등을 저장하는 제1 저장모듈(170)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듈"이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또는 FPGA또는 ASIC과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모듈은 어떤 역할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모듈은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모듈은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모듈은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버들, 펌웨어, 마이크로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모듈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모듈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모듈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구성요소들 및 모듈들은 디바이스 또는 보안 멀티미디어카드 내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CPU들을 재생시키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작업자 단말기(100)는 제1 통신모듈(110)을 통해 관리자 단말기(200)와 통신한다. 또한, 작업자 단말기(100)는 상기 제1 통신모듈(110)을 통해 책임자 단말기(300)와도 통신이 가능하다. 그리고, 제1 표시모듈(150)을 통해 관리자 단말기(200) 및 책임자 단말기(300)로부터 수신되는 정보, 제1 입력모듈(120)에 의해 입력되는 정보, 제1 위치정보모듈(130) 및 제1 카메라모듈(140)에 의해 획득되는 정보 등을 작업자에게 표시한다.
제1 표시모듈(150)을 통해 2D 또는 3D 형태로 건설현장의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작업자가 설치하고자 하는 구조물의 규격, 설치 위치 등에 대한 정보를 텍스트 또는 이미지 형태로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제1 표시모듈(150)을 통해 건설현장의 정보를 표시함에 있어, 제1 위치정보모듈(130) 및 제1 카메라모듈(140)에 기초하여 증강현실(Augmented Reality; AR) 형태로 출력할 수 있다.
도 3b를 참조하면, 관리자 단말기(200)는, 작업자 단말기(100) 및 책임자 단말기(300)와 통신하는 제2 통신모듈(210)과, 하자정보 및 점검정보 등이 입력되는 제2 입력모듈(220)과, 건설현장에 대한 위치정보를 획득하는 제2 위치정보모듈(230)과, 건설현장에 대한 영상정보를 획득하는 제2 카메라모듈(240)과, 건설현장에 대한 현장정보 및 관리자 단말기(200)가 획득하는 정보 등을 관리자에게 표시하는 제2 표시모듈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2 통신모듈(210), 상기 제2 입력모듈(220), 상기 제2 위치정보모듈(230), 상기 제2 카메라모듈(240), 상기 제2 표시모듈(25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2 제어모듈(260)과, 상기 관리자 단말기(200)에서 생성, 송수신, 처리되는 정보 등을 저장하는 제2 저장모듈(270)을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작업자 단말기(100)와 마찬가지로, 관리자 단말기(200)는 제2 표시모듈(250)을 통해 작업자 단말기(100) 및 책임자 단말기(300)로부터 수신되는 정보, 제2 입력모듈(220)에 의해 입력되는 정보, 제2 위치정보모듈(230) 및 제2 카메라모듈(240)에 의해 획득되는 정보 등을 관리자에게 표시한다.
그리고, 제2 표시모듈(250)을 통해 2D 또는 3D 형태로 건설현장의 정보를 표시할 수 있고, 제2 표시모듈(250)을 통해 건설현장의 정보를 표시함에 있어, 제2 위치정보모듈(230) 및 제2 카메라모듈(240)로부터 획득한 정보에 기초하여 증강현실(Augmented Reality; AR) 형태로 출력할 수 있다.
여기에서, 작업자 단말기(100) 및 관리자 단말기(200)에 표시되는 하자정보 및 증강현실 형태의 정보는 후술하여 살펴 보도록 한다.
도 3c를 참조하면, 책임자 단말기(300)는, 관리자 단말기(200)와 통신하는 제3 통신모듈(310)과, 정보가 입력되는 제3 입력모듈(320)과, 건설현장에 대한 현장정보 및 책임자 단말기(300)가 획득하는 정보 등을 책임자에게 표시하는 제3 표시모듈(350)을 포함한다. 또한, 책임자 단말기(300)도 작업자 단말기(100) 및 관리자 단말기(200)와 마찬가지로 제3 위치정보모듈(330), 제3 카메라모듈(340) 등을 더 포함할 수 있으나, 책임자 단말기(300)는 건설현장 외부에 위치하는 것이 일반적이므로, 작업자 단말기(100) 및 관리자 단말기(200)에서 획득한 위치정보 및 영상정보 등을 제3 통신모듈(310)을 통해 수신하여 이용할 수도 있다. 그리고, 책임자 단말기(300)는 제3 제어모듈(360) 및 제3 저장모듈(370)을 더 포함하며, 구체적 기능은 전술한 작업자 단말기(100) 및 관리자 단말기(200)의 제어/저장 모듈과 동일하므로 생략하도록 한다.
일반적으로, 책임자 단말기(300)는 관리자 단말기(200)로부터 정보를 보고받는 단말기의 역할을 수행하나, 작업자 단말기(100)와 통신하여 직접 정보를 작업자 단말기(100)로부터 수신할 수도 있으며, 이에 따라 책임자 단말기(300)는 상기 제3 통신모듈(310)을 통해 작업자 단말기(100)와 통신 가능함은 물론이다.
전술한 작업자 단말기(100) 및 관리자 단말기(200)와 마찬가지로, 책임자 단말기(300)는 제3 표시모듈(350)을 통해 제3 입력모듈(320)에 의해 입력되는 정보, 제3 위치정보모듈(330) 및 제3 카메라모듈(340)에 의해 획득되거나 작업자 단말기(100) 및 관리자 단말기(200)에 의해 획득되어 전송되는 정보 등을 책임자에게 표시한다.
그리고, 제3 표시모듈(350)을 통해 2D 또는 3D 형태로 건설현장의 정보를 표시할 수 있고, 제3 표시모듈(350)을 통해 건설현장의 정보를 표시함에 있어, 작업자 단말기(100) 및 관리자 단말기(200)에 의해 획득되어 전송되는 정보에 기초하여 증강현실(Augmented Reality; AR) 형태로 출력할 수 있다. 물론, 책임자 단말기(300) 내에 제3 위치정보모듈(330) 및 제3 카메라모듈(340)이 구비되어 획득한 정보에 기초하여 증강현실(Augmented Reality; AR) 형태로 출력할 수도 있다.
도 4는 도 1의 하자관리시스템의 작업자 또는 관리자 단말기에 표시되는 증강현실(AR)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작업자 단말기(100)의 제1 표시모듈(150)에 증강현실(AR) 형태로 건설현장의 정보가 제공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표시모듈(150)을 통해, 건설현장의 실제 영상정보(53)와 오버랩된 형태로 표시되는 건설현장정보(51)가 표시된다. 작업자는 원하는 영역을 카메라모듈(340)로 비추고, 해당 영역의 건설현장정보(51)를 영상정보와 함께 표시할 수 있다.
작업자 단말기(100)뿐만 아니라 관리자 단말기(200)도 동일한 역할을 수행하며, 이는 책임자 단말기(300)에도 구현 가능하게 설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하여, 작업자는 영상정보에 하자가 발생한 건설현장의 하자정보를 오버랩시켜서 자신이 수행해야 할 작업의 내용을 신속하게 파악할 수 있으며, 관리자는 영상정보에 하자정보를 오버랩시켜 작업자에게 전송하게 되어 정확한 작업지시가 가능하다.
도 5는 도 1의 하자관리시스템의 관리자 단말기에서 하자 정보를 생성하는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하자정보는 관리자 단말기(200)의 제2 위치정보모듈(230)을 이용하여 표시할 수도 있으나, RFID를 이용하여 획득한 실내의 정확한 위치를 BIM(Building Information Modeling)과 결합하여 3D 또는 AR(Augmented Reality)로 제2 표시모듈(250)에 표시할 수 있다.
먼저, RFID를 이용하여 위치를 추적할 수 있다(S510). 이때, 건설현장에 RFID 리더기를 복수개 설치하고, 관리자 단말기(200)에 태그(tag)를 부착하여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는 역으로, 관리자 단말기(200)를 RFID 리더기로 하여 건설현장에 복수개 설치된 태그를 인식하여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RFID에 의해 획득된 위치 정보로부터 하자가 발생한 위치의 좌표값을 획득할 수 있다(S520). 그런 후에, 좌표값을 BIM에 전송하고(S530), BIM에 상기 좌표값을 가진 위치를 표시하고(S540), 하자 위치를 단말기(200)의 입력모듈(220)로 선택하고(S550), 이에 따라 하자와 관련된 정보가 자동으로 추출되어 하자정보가 생성된다(S560). 이렇게 생성된 하자정보는 관리자 단말기(200)로부터 작업자 단말기(100) 및/또는 책임자 단말기(300)로 전송되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설현장의 하자관리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설현장의 하자관리시스템(50)은, 건설현장의 작업자, 관리자, 책임자 간에 모바일에 의해 연결되어 하자를 관리하는 건설현장의 하자관리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건설현장의 하자에 대한 하자정보를 기초로 하자 보수를 지시하는 작업지시서를 생성하여 상기 작업자의 단말기에 전송하며, 상기 작업지시서에 기초한 작업이 완료되어 상기 작업자로부터 전송되는 작업완료서를 확인하여 승인요청서를 생성하고, 상기 승인요청서를 상기 책임자의 단말기에 전송하는 상기 관리자의 관리자 단말기(600), 상기 관리자 단말기(600)로부터 전송되는 작업지시서에 기초하여 작업이 완료된 경우, 상기 작업완료서를 생성하여 상기 관리자 단말기(600)에 전송하는 상기 작업자의 작업자 단말기(500), 및 상기 관리자 단말기(600)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승인요청서를 확인하여 승인확인서를 생성하며, 상기 승인확인서를 상기 관리자 단말기(600)에 전송하는 상기 책임자의 책임자 단말기(700)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설현장의 하자관리시스템(50)은, 상기 작업자 단말기(500), 상기 관리자 단말기(600), 및 상기 책임자 단말기(700)에 의해 생성 및 전송되는 각종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800)를 더 포함한다.
도 7은 도 6의 하자관리시스템의 단말기 접속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먼저, 관리자 단말기(600)를 통해 건설현장의 하자가 있는지 확인된다(S50). 이때, 관리자 단말기(600)는 하자가 있는 경우, 하자에 관한 하자정보를 포함하는 작업지시서를 생성한다.
그런 후에, 관리자 단말기(600)로부터 작업자 단말기(500)로 작업지시서가 전송된다(S52). 여기에서, 작업지시서는 건설현장의 하자정보를 포함한다. 이때, 관리자 단말기(600)는 상기 작업지시서를 책임자 단말기(700)에도 전송할 수 있다.
다음으로, 작업자는 작업지시서에 기초하여 하자의 보수작업을 수행하고, 작업자 단말기(500)를 통해 작업완료서를 생성하여 관리자 단말기(600)로 전송한다(S54).
그 다음으로, 관리자 단말기(600)를 통해, 상기 작업완료를 확인하여(S56), 작업완료서가 이상이 없을 경우, 승인요청서가 생성되어 책임자 단말기(700)로 전송된다(S60). 만일, 상기 작업완료서를 확인하여(S56), 상기 작업지시서에 기초한 작업이 완료되지 않은 경우, 새로운 작업지시서를 생성하여 상기 작업자 단말기(500)에 전송한다(S58). 즉, 하자의 보수작업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 새로운 작업지시서에 따라 상기 S50~S56 단계가 다시 한번 실행된다.
그리고, 책임자 단말기(700)를 통해, 승인요청서를 확인하여, 문제가 없는 경우, 승인확인서를 생성하여 관리자 단말기(600)로 전송한다(S64).
최종적으로, 관리자 단말기(600)가 상기 승인확인서를 수신한 경우, 하자 보수의 작업 완료를 알리는 작업종료서가 관리자 단말기(600)를 통해 생성되어 작업자 단말기(500)로 전송될 수 있다(S66).
전술한 하자관리시스템의 실행은 작업자 단말기(500), 관리자 단말기(600), 책임자 단말기(700)에서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구현될 수 있으며, 이는 후술하여 살펴보도록 한다.
도 8a 내지 도 8i는 도 6의 하자관리시스템의 관리자 단말기에서 하자에 관한 하자 보고서를 생성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하자관리시스템의 실행은 작업자 단말기(500), 관리자 단말기(600), 책임자 단말기(700)에서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즉,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PC와 같은 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하자관리시스템을 구현할 수 있다. 도 8a 내지 도 8i를 참조하여 관리자 단말기(600)에서 하자에 관한 하자 보고서를 생성하는 과정이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살펴보도록 한다.
도 8a를 참조하면, 관리자가 하자를 발견하면, 하자(defect)를 체크하고, 이에 따라 하자를 보고하기 위한 양식이 생성된다. 이러한 양식은 작업지시서의 기초가 된다. 도 8a에서, 제목(Title), 날짜(Date), 책임자(Director), 관리자(Publisher) 항목에 대해 관리자가 기재할 수 있다.
도 8b를 참조하면, 관리자(Publisher)가 하자 유형(Defect Type) 항목을 탭(tab)하여 하자의 유형을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Crack, Leak, Condensation, Sinking, Dimension 등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을 선택할 수 있다.
도 8c를 참조하면, 공간(Space) 항목을 탭하여 하자가 위치하는 정보를 특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방(Room), 거실(Living room), 주방(Dining room), 화장실(Bath room), 홀(Hall) 등 여러 장소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을 선택할 수 있다.
도 8d를 참조하면, 엘리먼트(Element) 항목을 탭하여 벽(Wall), 바닥(Floor), 천장(Ceilling) 등 여러 엘리먼트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선택할 수 있다.
도 8e를 참조하면, 작업(Work) 항목을 탭하여 작업의 유형을 특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벽돌공사(Masonry), 방수(Waterproof) 등 여러 작업 유형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도 8f를 참조하면, 콘텐트(Content) 항목을 탭하여 하자정보를 표현하는 유형을 특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촬영(Take a picture), 포토 앨범(Photo album), 2D 도면(2D drawing), 증강 현실(BIM +AR) 중 적어도 하나의 형태로 단말기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여기에서, 촬영(Take a picture) 탭 및 포토 앨범(Photo album) 탭은 동영상을 포함할 수도 있다. 도 8f에서 관리자가 BIM +AR 탭을 클릭하는 경우, 위치 정보(Location Information)에 대응하는 2D 도면 및 3D BIM 모델링을 확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할당된 관련 위치의 정확한 정보 및 마커의 코드 넘버(Marker? code number)를 획득할 수 있다. 그리하여, 3D BIM model이 AR 구조의 일부가 된다. 그러므로, 관리자는 하자가 발생한 위치에 따른 하자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도 8g를 참조하면, 텍스트(Text) 항목을 클릭하여 하자의 내용을 채워 작업자가 참고하도록 할 수 있다.
도 8h를 참조하면, 수신인(Recipient) 항목을 클릭하여 건설 프로젝트에 참가하고 있는 책임자(directors), 관리자(field managers), 작업자(workers) 등을 확인하여 수신인을 지정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복잡한 보고 체계를 단순화하고 정보 수신인이 누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8i를 참조하면, 수신인에 따라 제공되는 정보의 등급(level)을 정할 수 있다. 이는 책임(responsibility) 항목으로 표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하자 발생은 하자의 책임에 대해 검사 행렬(check matrix)을 만들어 최소화된다. 사용자가 건물로 들어온 후, 사용자들이 하자 주장(deferct claim)에 대해 법적 조치를 취할 때 유연한 조치가 책임(responsibility)에 의해 미리 준비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설현장의 하자관리방법의 순서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설현장의 하자관리방법은, 건설현장의 작업자, 관리자, 책임자 간에 모바일에 의해 연결되어 하자를 관리하는 건설현장의 하자관리방법에 있어서, 상기 건설현장의 하자에 대한 하자정보를 기초로 하자 보수를 지시하는 작업지시서를 생성하여 상기 작업자의 단말기에 전송하고(S910), 상기 작업지시서에 기초한 작업이 완료된 경우, 작업완료서를 생성하여 상기 관리자의 단말기에 전송하며(S920), 상기 작업완료서를 확인하여 작업이 완료되었는지 체크한다(S930). 그런 후에, 승인요청서를 생성하여 상기 책임자의 단말기에 전송하며(S940), 상기 승인요청서를 확인하여 승인이 가능한지 체크한 후(S950), 승인확인서를 생성하여 상기 관리자의 단말기에 전송한다(S960).
특히, 작업완료서를 확인하여 상기 작업지시서에 기초한 작업이 완료되지 않은 경우(S930, N), 새로운 작업지시서를 생성하여 상기 작업자의 단말기에 전송한다(S935). 또한, 상기 승인요청서를 확인하여 승인이 가능하지 않은 경우(S950, N), 작업 완료서를 확인하여(S930) 새로운 작업지시서를 작업자에게 전송(S935)하도록 관리자의 단말기에 통지한다.
여기에서, 승인확인서가 수신된 경우, 하자 보수의 작업 완료를 알리는 작업종료서를 관리자의 단말기에서 생성하여 작업자의 단말기로 전송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작업지시서, 상기 작업완료서, 상기 승인요청서, 상기 승인확인서를 전송받아 별도의 저장 장치 또는 매체에 저장할 수 있다. 물론, 상기 작업지시서, 상기 작업완료서, 상기 승인요청서, 상기 승인확인서가 각각의 단말기에 저장될 것이나, 별도의 저장 장치 또는 매체에 각종 정보 및 보고서를 저장하여 건설현장에서의 하자를 통합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설현장의 하자관리방법은, 건설현장의 하자 관리 시스템이 구현된 어플리케이션을 모바일 기기에 적용함으로써 실행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작업자와 관리자 간 정보 공유 및 커뮤니케이션을 원활하게 하고, 실시간으로 정보를 수집하여 건설현장의 하자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0, 500: 작업자 단말기
200, 600: 관리자 단말기
300, 700: 책임자 단말기
400, 800: 데이터베이스

Claims (26)

  1. 건설현장의 하자에 대한 하자정보를 통지받아, 상기 하자정보에 따른 보수작업의 완료정보를 생성하여 보고하는 작업자 단말기;
    상기 하자정보를 생성하여 통지하며, 상기 완료정보의 점검 결과에 기초하여 점검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점검정보를 보고하는 관리자 단말기; 및
    상기 점검정보를 확인하여 승인정보를 생성하는 책임자 단말기를 포함하는, 건설현장의 하자관리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자 단말기는,
    상기 관리자 단말기와 통신하는 제1 통신모듈과,
    상기 완료정보가 입력되는 제1 입력모듈과,
    상기 건설현장에 대한 위치정보를 획득하는 제1 위치정보모듈과,
    상기 건설현장에 대한 영상정보를 획득하는 제1 카메라모듈과,
    상기 건설현장에 대한 현장정보 및 상기 작업자 단말기가 획득하는 정보 등을 작업자에게 표시하는 제1 표시모듈을 포함하는, 건설현장의 하자관리시스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자 단말기는, 상기 제1 통신모듈을 통해 상기 책임자 단말기와 통신하는, 건설현장의 하자관리시스템.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자 단말기는, 상기 제1 표시모듈을 통해 상기 작업자에게 증강현실(AR) 형태로 상기 현장정보를 제공하는, 건설현장의 하자관리시스템.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자 단말기는, 상기 제1 표시모듈을 통해 상기 작업자에게 2D 또는 3D 형태로 상기 현장정보를 제공하는, 건설현장의 하자관리시스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자 단말기는,
    상기 작업자 단말기 및 상기 책임자 단말기와 통신하는 제2 통신모듈과,
    상기 하자정보 및 상기 점검정보가 입력되는 제2 입력모듈과,
    상기 건설현장에 대한 위치정보를 획득하는 제2 위치정보모듈과,
    상기 건설현장에 대한 영상정보를 획득하는 제2 카메라모듈과,
    상기 건설현장에 대한 현장정보 및 상기 관리자 단말기가 획득하는 정보 등을 관리자에게 표시하는 제2 표시모듈을 포함하는, 건설현장의 하자관리시스템.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자 단말기는, 상기 제2 통신모듈을 통해 상기 하자정보를 상기 책임자 단말기로 전송하여 통지하는, 건설현장의 하자관리시스템.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자 단말기는, 상기 제2 표시모듈을 통해 상기 관리자에게 증강현실(AR) 형태로 상기 현장정보를 제공하는, 건설현장의 하자관리시스템.
  9.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자 단말기는, 상기 제2 표시모듈을 통해 상기 관리자에게 2D 또는 3D 형태로 상기 현장정보를 제공하는, 건설현장의 하자관리시스템.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자 단말기는, 상기 완료정보의 점검 결과 상기 보수작업의 이상이 없을 경우, 상기 점검정보를 생성하는, 건설현장의 하자관리시스템.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자 단말기는, 상기 완료정보의 점검 결과 상기 보수작업의 이상이 있을 경우, 상기 작업자 단말기에 새로운 하자를 다시 통지하는, 건설현장의 하자관리시스템.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책임자 단말기는,
    상기 관리자 단말기와 통신하는 제3 통신모듈과,
    상기 승인정보가 입력되는 제3 입력모듈과,
    상기 건설현장에 대한 현장정보 및 상기 책임자 단말기가 획득하는 정보 등을 책임자에게 표시하는 제3 표시모듈을 포함하는, 건설현장의 하자관리시스템.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책임자 단말기는, 상기 제3 통신모듈을 통해 상기 작업자 단말기와 통신하는, 건설현장의 하자관리시스템.
  14.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책임자 단말기는, 상기 제3 표시모듈을 통해 상기 책임자에게 증강현실(AR) 형태로 상기 현장정보를 제공하는, 건설현장의 하자관리시스템.
  15.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책임자 단말기는, 상기 제3 표시모듈을 통해 상기 책임자에게 2D 또는 3D 형태로 상기 현장정보를 제공하는, 건설현장의 하자관리시스템.
  1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자 단말기, 상기 관리자 단말기, 및 상기 책임자 단말기에 의해 획득 및 생성되는 각종 정보를 전송받아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를 더 포함하는, 건설현장의 하자관리시스템.
  17. 건설현장의 작업자, 관리자, 책임자 간에 모바일에 의해 연결되어 하자를 관리하는 건설현장의 하자관리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건설현장의 하자에 대한 하자정보를 기초로 하자 보수를 지시하는 작업지시서를 생성하여 상기 작업자의 단말기에 전송하며, 상기 작업지시서에 기초한 작업이 완료되어 상기 작업자로부터 전송되는 작업완료서를 확인하여 승인요청서를 생성하고, 상기 승인요청서를 상기 책임자의 단말기에 전송하는 상기 관리자의 관리자 단말기;
    상기 관리자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작업지시서에 기초하여 작업이 완료된 경우, 상기 작업완료서를 생성하여 상기 관리자 단말기에 전송하는 상기 작업자의 작업자 단말기; 및
    상기 관리자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승인요청서를 확인하여 승인확인서를 생성하며, 상기 승인확인서를 상기 관리자 단말기에 전송하는 상기 책임자의 책임자 단말기를 포함하는, 건설현장의 하자관리시스템.
  18.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자 단말기는, 상기 하자정보를 포함하는 작업지시서를 생성하는, 건설현장의 하자관리시스템.
  19.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자 단말기는, 상기 작업지시서를 상기 책임자 단말기에 전송하는, 건설현장의 하자관리시스템.
  20.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자 단말기는, 상기 작업완료서를 확인하여 상기 작업지시서에 기초한 작업이 완료되지 않은 경우, 새로운 작업지시서를 생성하여 상기 작업자 단말기에 전송하는, 건설현장의 하자관리시스템.
  21.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자 단말기는, 상기 승인확인서가 수신된 경우, 상기 하자 보수의 작업 완료를 알리는 작업종료서를 생성하여 상기 작업자 단말기에 전송하는, 건설현장의 하자관리시스템.
  22.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자 단말기, 상기 관리자 단말기, 및 상기 책임자 단말기에 의해 생성 및 전송되는 각종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를 더 포함하는, 건설현장의 하자관리시스템.
  23. 건설현장의 작업자, 관리자, 책임자 간에 모바일에 의해 연결되어 하자를 관리하는 건설현장의 하자관리방법에 있어서,
    상기 건설현장의 하자에 대한 하자정보를 기초로 하자 보수를 지시하는 작업지시서를 생성하여 상기 작업자의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작업지시서에 기초한 작업이 완료된 경우, 작업완료서를 생성하여 상기 관리자의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작업완료서를 확인하여 승인요청서를 생성하여 상기 책임자의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승인요청서를 확인하여 승인확인서를 생성하여 상기 관리자의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건설현장의 하자관리방법.
  24. 제 24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완료서를 확인하여 상기 작업지시서에 기초한 작업이 완료되지 않은 경우, 새로운 작업지시서를 생성하여 상기 작업자의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건설현장의 하자관리방법.
  25. 제 24항에 있어서,
    상기 승인확인서가 수신된 경우, 상기 하자 보수의 작업 완료를 알리는 작업종료서를 생성하여 상기 작업자의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건설현장의 하자관리방법.
  26. 제 24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지시서, 상기 작업완료서, 상기 승인요청서, 상기 승인확인서를 전송받아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건설현장의 하자관리방법.
KR1020120124168A 2012-11-05 2012-11-05 건설현장의 하자관리시스템 및 방법 KR1014223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4168A KR101422352B1 (ko) 2012-11-05 2012-11-05 건설현장의 하자관리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4168A KR101422352B1 (ko) 2012-11-05 2012-11-05 건설현장의 하자관리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8732A true KR20140058732A (ko) 2014-05-15
KR101422352B1 KR101422352B1 (ko) 2014-07-30

Family

ID=508888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24168A KR101422352B1 (ko) 2012-11-05 2012-11-05 건설현장의 하자관리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22352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2861B1 (ko) * 2016-07-21 2016-12-06 김대진 조선해양플랜트 현장 시공작업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1959459B1 (ko) * 2017-11-23 2019-07-04 현대건설(주) 건설 분야 하자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하자 관리 방법
KR20190132050A (ko) * 2018-05-18 2019-11-27 (주)씨소 공간 공유 서비스 장치
KR20200027928A (ko) * 2020-01-23 2020-03-13 김옥남 효율적인 건설감정 시스템 및 그 시스템 운용방법
KR20200128237A (ko) 2019-04-23 2020-11-12 주식회사 포스코건설 빅데이터 분석 기반의 시공 품질 관리 장치, 방법 및 컴퓨터로 독출 가능한 기록 매체
KR20220043295A (ko) 2020-09-29 2022-04-05 주식회사 포스코건설 빅데이터 분석 기반의 시공 하자 관리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로 독출 가능한 기록 매체
KR20220169826A (ko) * 2021-06-21 2022-12-28 정재헌 건축물의 설계, 시공 및 감리 서비스 제공 서버, 방법 및 프로그램
KR20230055453A (ko) * 2021-10-18 2023-04-26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증강 현실 기반의 건설 현장 안전 점검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88665A1 (ko) * 2016-04-26 2017-11-02 주식회사 지에스아이엘 현장착용자 장치, 가상현실 장치 및 현장착용자 장치의 360도 카메라와 가상현실 장치를 이용한 원격 관제 시스템
KR102018556B1 (ko) * 2018-10-11 2019-09-05 주식회사 컴패스 하자 보수 관리를 위한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2462571B1 (ko) 2020-01-28 2022-11-03 주식회사 모노라마 건축물 하자 관리 방법, 서버 및 시스템
KR102312015B1 (ko) 2020-03-03 2021-10-14 주식회사 코아소프트 증강현실을 이용한 원격지원 장치
KR102254773B1 (ko) 2020-09-14 2021-05-24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영상정보를 이용한 건물 부위별 하자의 자동 판정과 분류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30064215A (ko) 2021-11-03 2023-05-10 (주)대우건설 Stt 및 인공지능 기능을 탑재한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모바일 기반의 건설작업 관리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65407A (ja) * 1998-03-17 1999-09-28 Ishikawajima Transport Machinery Co Ltd 複数の建設現場の工程管理方法
JP4327545B2 (ja) * 2003-09-25 2009-09-09 株式会社東芝 現場監視システムおよび現場監視方法
KR101171264B1 (ko) * 2010-08-30 2012-08-06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증강현실기법을 이용한 건축 구조물 정보 제공 장치, 건축 구조물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건축 구조물 유지 보수 방법
KR101166920B1 (ko) * 2011-06-08 2012-08-07 구기남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건축물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2861B1 (ko) * 2016-07-21 2016-12-06 김대진 조선해양플랜트 현장 시공작업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1959459B1 (ko) * 2017-11-23 2019-07-04 현대건설(주) 건설 분야 하자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하자 관리 방법
KR20190132050A (ko) * 2018-05-18 2019-11-27 (주)씨소 공간 공유 서비스 장치
KR20200128237A (ko) 2019-04-23 2020-11-12 주식회사 포스코건설 빅데이터 분석 기반의 시공 품질 관리 장치, 방법 및 컴퓨터로 독출 가능한 기록 매체
KR20200027928A (ko) * 2020-01-23 2020-03-13 김옥남 효율적인 건설감정 시스템 및 그 시스템 운용방법
KR20220043295A (ko) 2020-09-29 2022-04-05 주식회사 포스코건설 빅데이터 분석 기반의 시공 하자 관리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로 독출 가능한 기록 매체
KR20220169826A (ko) * 2021-06-21 2022-12-28 정재헌 건축물의 설계, 시공 및 감리 서비스 제공 서버, 방법 및 프로그램
KR20230055453A (ko) * 2021-10-18 2023-04-26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증강 현실 기반의 건설 현장 안전 점검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22352B1 (ko) 2014-07-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22352B1 (ko) 건설현장의 하자관리시스템 및 방법
Li et al. An Internet of Things-enabled BIM platform for on-site assembly services in prefabricated construction
JP6616883B2 (ja) 動映像基盤の建物施工及び維持保守の統合管理方法
Kassem et al. BIM in facilities management applications: a case study of a large university complex
Stanley et al. The benefits of, and barriers to, implementation of 5D BIM for quantity surveying in New Zealand
Kelly et al. BIM for facility management: a review and a case study investigating the value and challenges
US11805170B2 (en) Fire service and equipment inspection test and maintenance system
KR101830121B1 (ko) 시공 상태 점검 및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이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서버 및 사용자 단말
WO2013144787A1 (en) Work and quality management system, device and method
US20150227893A1 (en) Estimate method and generator
US20150312773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site acquisition services
US20130282418A1 (en) System and method for field services automation
KR102370134B1 (ko) 스마트 건설 플랫폼을 이용한 공정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317476B1 (ko) Qr코드를 이용한 건설 공사의 통합 관리 시스템
CN109360123B (zh) 一种基于房间的多专业施工管理方法和系统
KR20210128822A (ko) 360도 전방위 영상 기반의 건설현장 관리시스템
US20140229204A1 (en) Estimate method and generator
KR20160069008A (ko) Ict 기반의 공정관리 시스템
Brinda et al. Developments of facility management using building information modelling
US20170228689A1 (en) A management platform for a distribution network
Naticchia et al. Mixed reality approach for the management of building maintenance and operation
JP2021131751A (ja) データ管理システム,管理方法,管理プログラム
JP2016122361A (ja) 道路構造物の点検情報管理システム
US20220300889A1 (en) Work management apparatus, work management method, and recording medium
Sanchez et al. Benefits dictionar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