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18556B1 - 하자 보수 관리를 위한 관리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하자 보수 관리를 위한 관리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18556B1
KR102018556B1 KR1020180121343A KR20180121343A KR102018556B1 KR 102018556 B1 KR102018556 B1 KR 102018556B1 KR 1020180121343 A KR1020180121343 A KR 1020180121343A KR 20180121343 A KR20180121343 A KR 20180121343A KR 102018556 B1 KR102018556 B1 KR 1020185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fect
information
terminal
image
rep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13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희승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컴패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컴패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컴패스
Priority to KR10201801213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855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85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85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Abstract

본 발명은 아파트 또는 다세대 주택 등의 시설물의 입주자들로부터 요청된 하자 보수를 관리하기 위한 시스템에 대한 것으로, 상기 시설물에서 발생된 하자의 유형에 관련된 하자 유형 정보를 입력받고 상기 하자 유형 정보를 포함하는 하자 정보를 생성하는 제1 단말기와, 상기 하자 정보에 대응하는 시설물의 하자 보수 결과에 관련된 보수 정보를 생성하는 제2 단말기 및, 상기 하자 정보를 상기 제2 단말기에 전송하고, 상기 보수 정보를 상기 제1 단말기로 상기 보수 정보를 전송하는 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단말기와 상기 제2 단말기는, 상기 서버와 통신 연결이 종료된 상태에서 각각 상기 하자 정보 및 상기 보수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서버와의 동기화가 선택되면 상기 서버와 통신 연결을 수립하여 상기 하자 정보 및 상기 보수 정보를 상기 서버에 각각 전송하며, 상기 하자 정보 또는 상기 보수 정보의 전송이 완료되면 상기 서버와의 통신 연결을 다시 종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하자 보수 관리를 위한 관리 시스템 및 방법{MANAGEMENT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DEFECT REPAIRING}
본 발명은 아파트 또는 다세대 주택 등의 건물의 입주자들로부터 요청된 하자 보수를 관리하기 위한 시스템에 대한 것이다.
현재 도시와 같은 인구 밀집 영역의 경우 아파트 또는 다세대 주택과 같이 하나의 시설물에 다수의 세대가 주거하는 주거 밀집 지역이 대거 형성되고 있는 추세이다.
그리고 통상적으로 하자 보수 관리는, 주거 밀집 지역에 거주하는 각 입주자들이 개별적으로 직접 하자 보수를 요청하고, 입주자가 선택한 보수 업체가 요청된 하자를 보수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한편 아파트 등의 주거 밀집 시설물 등의 경우 하자에 대한 보수 관리를 상기 시설물을 건설한 건설사가 실시하도록 의무적으로 규정되어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상술한 바와 같이 하자 보수의 요청 및 하자 보수가 입주자들 개별적으로 이루어지므로, 시설물에 대한 체계적인 하자 점검 및 보수 처리 결과가 체계적으로 관리되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아파트 또는 다세대 주택과 같은 주거 밀집 시설물들에 대해 하자의 보수 및 관리가 체계적으로 관리될 수 있도록 하는 통합적 하자 보수 관리 시스템 및 하자 보수 관리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하자 보수를 요청한 요청자와 상기 하자를 보수한 보수자 사이에서 요청된 하자의 내용과 상기 하자를 보수한 결과를 서로 명확하게 비교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요청자와 보수자 사이에서 발생할 수 있는 분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하자 보수 관리 시스템 및 하자 보수 관리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또는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시설물의 하자 보수를 관리하는 하자 보수 관리 시스템은, 상기 시설물에서 발생된 하자의 유형에 관련된 하자 유형 정보를 입력받고 상기 하자 유형 정보를 포함하는 하자 정보를 생성하는 제1 단말기와, 상기 하자 정보에 대응하는 시설물의 하자 보수 결과에 관련된 보수 정보를 생성하는 제2 단말기 및, 상기 하자 정보를 상기 제2 단말기에 전송하고, 상기 보수 정보를 상기 제1 단말기로 상기 보수 정보를 전송하는 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단말기와 상기 제2 단말기는, 상기 서버와 통신 연결이 종료된 상태에서 각각 상기 하자 정보 및 상기 보수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서버와의 동기화가 선택되면 상기 서버와 통신 연결을 수립하여 상기 하자 정보 및 상기 보수 정보를 상기 서버에 각각 전송하며, 상기 하자 정보 또는 상기 보수 정보의 전송이 완료되면 상기 서버와의 통신 연결을 다시 종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제1 단말기로부터 하자 정보가 수신되면, 수신된 하자 정보에 포함된 하자 유형 정보를 분석한 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시설물의 하자를 보수할 보수자를 결정하고, 상기 제2 단말기는, 상기 하자 유형 정보를 분석한 결과에 근거하여 자동으로 결정된 상기 보수자의 단말기임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2 단말기는, 상기 서버로부터 하자 정보가 전송되면, 하자 정보의 수신을 알리기 위한 이벤트 발생 알림 정보를 출력하고, 상기 제1 단말기는, 상기 서버로부터 보수 정보가 전송되면, 보수 정보의 수신을 알리기 위한 이벤트 알림 정보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1 단말기는, 상기 하자에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하자 이미지가 저장되면, 상기 하자 이미지를 더 포함하는 상기 하자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하자 이미지는, 상기 하자가 발생한 시설물의 일부를, 기 설정된 제1 거리 이내에서 촬영한 근거리 촬영 이미지 및, 기 설정된 제2 거리를 벗어나서 촬영한 원거리 촬영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2 단말기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하자 이미지를 포함하는 상기 하자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하자 이미지를 표시하고, 상기 하자의 보수에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보수 결과 이미지가 저장되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하자 이미지에 각각 대응되게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보수 관련 이미지를 저장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하자 이미지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보수 결과 이미지를 더 포함하는 상기 보수 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보수 결과 이미지는, 상기 하자가 보수된 시설물의 일부를, 상기 제1 거리 이내에서 촬영한 근거리 촬영 이미지 및, 상기 제2 거리를 벗어나서 촬영한 원거리 촬영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1 단말기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하자 이미지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보수 결과 이미지를 포함하는 보수 정보가 전송되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하자 이미지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보수 결과 이미지를, 같은 촬영 방식에 따라 촬영된 이미지끼리 서로 비교가 가능하도록 서로 대응하는 위치에 표시하며, 상기 촬영 방식은, 상기 제1 거리 이내에서 촬영되었는지 또는 상기 제2 거리를 벗어나서 촬영되었는지 여부에 따라 구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1 단말기는, 상기 하자 이미지가 표시되는 디스플레이부 상의 일 지점에 터치 입력 및 상기 터치 입력을 드래그 하는 드래그 입력이 감지되면, 상기 터치 입력이 드래그 되는 경로를 구분되게 표시하고, 상기 경로가 폐곡선을 형성하는 경우, 상기 경로의 표시를 종료 및 상기 폐곡선을 상기 하자 이미지의 일부로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1 단말기는, 상기 하자 이미지의 촬영을 위한 촬영 방식이 선택되면, 선택된 촬영 방식에 대응하는 가이드 정보를 표시하고, 상기 가이드 정보는, 선택된 촬영 방식에 따라, 상기 하자가 발생한 시설물의 일 영역으로부터 기 설정된 최적 촬영 거리만큼 이격된 상기 시설물 내의 일 지점의 위치 정보를 최적 촬영 위치의 정보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정보는, 상기 제1 단말기가 산출한 상기 시설물 내의 상기 제1 단말기 위치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단말기는, 상기 제1 단말기의 위치와 상기 최적 촬영 위치 정보를 함께 표시하고, 상기 제1 단말기의 위치 이동에 따라 상기 제1 단말기의 위치가 변경되면, 변경된 상기 제1 단말기의 위치가 상기 최적 촬영 위치인지 여부를 판단하며, 판단 결과에 따라 촬영 알림 정보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1 단말기는, 상기 제1 단말기의 자세에 관련된 정보를 수집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자세 센서 및 상기 제1 단말기의 위치를 검출하는 제1 위치 정보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하자 이미지가 저장될 때, 상기 제1 자세 센서의 감지값에 따른 촬영 방향 및 상기 제1 위치 정보 모듈의 제1 단말기 위치에 따른 촬영 위치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촬영 방향 및 촬영 위치에 대한 정보를 더 포함하는 상기 하자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2 단말기는, 상기 제2 단말기의 자세에 관련된 정보를 수집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자세 센서 및 상기 제2 단말기의 위치를 검출하는 제2 위치 정보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하자 이미지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면, 선택된 하자 이미지의 촬영 방향 및 촬영 위치를 표시 및, 상기 제2 자세 센서 및 제2 위치 정보 모듈의 감지값에 따른 상기 제2 단말기의 촬영 방향 및 촬영 위치를 표시하며, 상기 제2 단말기의 촬영 방향 및 촬영 위치가, 상기 하자 이미지의 촬영 방향 및 촬영 위치와 같을 때에 센싱된 보수 결과 이미지를, 상기 선택된 하자 이미지에 대응하는 보수 결과 이미지로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또는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시설물을 관리하는 하자 보수 관리 방법은, 상기 제1 단말기가, 상기 시설물에서 발생한 하자의 유형에 관련된 하자 유형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하자 정보를 생성하는 제1 단계와, 상기 제1 단말기가, 상기 서버와 통신을 연결하여 상기 하자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서버와 통신을 다시 종료하는 제2 단계와, 상기 서버가, 상기 하자 정보에 포함된 하자 유형 정보를 분석하고 분석 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하자를 보수할 보수자를 결정하는 제3 단계와, 상기 서버가, 상기 결정된 보수자의 단말기인 상기 제2 단말기에 상기 하자 정보를 전송하는 제4 단계와, 상기 제2 단말기가, 상기 하자 정보를 표시 및 상기 하자의 보수 결과에 관련된 보수 정보를 생성하는 제5 단계와, 상기 제2 단말기가, 상기 서버와 통신을 연결하여 상기 보수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서버와 통신을 다시 종료하는 제6 단계 및, 상기 서버가, 상기 보수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하자 보수를 요청한 요청자의 단말기인 상기 제1 단말기에 상기 보수 정보를 전송하는 제7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1 단계는, 상기 제1 단말기가, 상기 하자가 발생한 시설물의 일부를, 기 설정된 제1 거리 이내에서 촬영하거나, 기 설정된 제2 거리를 벗어나서 촬영하여 적어도 하나의 하자 이미지를 저장하는 제1-1 단계 및, 상기 제1 단말기가, 저장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하자 이미지를 더 포함하는 상기 하자 정보를 생성하는 제1-2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1-1 단계는, 상기 제1 단말기가, 상기 하자가 발생한 시설물의 일 영역으로부터 기 설정된 최적 촬영 거리만큼 이격된 상기 시설물 내의 일 지점의 위치 정보를 최적 촬영 위치의 정보로 포함하는 가이드 정보를 표시하는 a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상기 제1 단말기가, 상기 제1 단말기의 위치를 검출하는 a-1 단계와, 상기 제1 단말기가, 검출된 상기 제1 단말기의 위치와 상기 최적 촬영 위치 정보를 함께 표시하는 a-2 단계 및, 상기 제1 단말기가, 상기 제1 단말기의 위치가 상기 최적 촬영 위치인지 여부에 따라 촬영 알림 정보를 출력하는 a-3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1-1 단계는, 상기 제1 단말기가, 상기 제1 단말기의 자세에 관련된 정보를 수집 및, 상기 제1 단말기의 위치를 검출하는 b 단계 및, 상기 제1 단말기가, 상기 하자 이미지에 대응하며, 상기 하자 이미지가 저장될 때의 상기 제1 단말기 자세에 따른 촬영 방향 정보 및 상기 제1 단말기 위치에 따른 촬영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하자 정보를 생성하는 c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5 단계는, 상기 제2 단말기가, 상기 하자 정보에 포함된 하자 이미지가 표시되면, 상기 하자 이미지에 대응하는 촬영 방향 정보 및 촬영 위치 정보를 더 표시하는 제5-1 단계 및, 상기 제2 단말기가, 상기 하자의 보수 결과가 입력되면, 상기 하자의 보수 결과를 포함하는 상기 보수 정보를 생성하는 제5-2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하자의 보수 결과는, 상기 하자가 보수된 시설물의 일 영역을 기 설정된 제1 거리 이내에서 촬영하거나, 기 설정된 제2 거리를 벗어나서 촬영한 적어도 하나의 보수 결과 이미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5-2 단계는, 상기 제2 단말기가, 상기 제2 단말기의 자세에 관련된 정보를 수집 및, 상기 제2 단말기의 위치를 검출하는 d 단계와, 상기 제2 단말기가, 상기 표시된 하자 이미지에 대응하는 촬영 방향 정보 및 촬영 위치를 표시 및, 상기 제2 단말기의 자세 및 위치에 따른 상기 제2 단말기의 촬영 방향 및 촬영 위치를 표시하는 e 단계 및, 상기 제2 단말기가, 상기 제2 단말기의 촬영 방향 및 촬영 위치가, 상기 표시된 하자 이미지에 대응하는 촬영 방향 및 촬영 위치인지 여부를 검출하고, 검출 결과에 따라 촬영 알람 정보를 출력하는 f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하자 보수 관리 시스템 및 하자 보수 관리 방법의 효과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본 발명은 하자 보수 관리 시스템이, 하자 보수를 요청한 요청자가 하자 정보를 입력하면, 입력된 하자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하자를 보수할 보수자를 결정하고, 결정된 보수자로부터 입력된 보수 결과를 포함하는 보수 정보를 상기 요청자에게 전달함으로써, 상기 요청된 하자의 보수 및 관리가 체계적으로 관리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본 발명의 실시 따른 하자 보수 관리 시스템 및 하자 보수 관리 방법은, 하자 보수를 요청한 요청자와, 하자 보수 요청에 따라 하자를 보수한 보수자가, 서로 동일한 기준 또는 가이드를 근거로 하자 정보 또는 상기 하자를 보수한 결과에 대한 보수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정보가 서로 비교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요청자와 보수자 사이에서 하자 보수 결과에 대해 발생할 수 있는 분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하자 보수 관리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하자 보수 관리 시스템에서, 요청자의 단말기 및 보수자의 단말기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a 내지 도 3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하자 보수 관리 시스템을 통해 하자 보수가 요청되고 요청된 하자의 보수가 관리되는 동작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하자 보수 관리 시스템에서, 요청자 단말기를 통해 하자 정보가 입력되는 예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하자 보수 관리 시스템에서, 요청자 단말기(10)를 통해 입력된 하자 이미지 중 일 영역을 구분되게 표시하는 예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하자 보수 관리 시스템에서, 보수자 단말기(20)를 통해 하자 정보의 표시 및 하자를 보수한 결과가 입력되는 예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하자 보수 관리 시스템에서, 하자 이미지를 촬영하기 위한 가이드 정보가 제공되는 예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하자 보수 관리 시스템에서, 하자 이미지가 촬영된 위치 및 방향에 대한 정보가 보수자 단말기에 제공되는 예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에는 동일,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단말기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슬레이트 PC(slate PC), 태블릿 PC(tablet PC), 울트라북(ultrabook),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예를 들어, 워치형 단말기 (smartwatch))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에 따른 구성은 이동 단말기에만 적용 가능한 경우를 제외하면, 디지털 TV, 데스크탑 컴퓨터, 디지털 사이니지 등과 같은 고정 단말기에도 적용될 수도 있음을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먼저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하자 보수 관리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1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하자 보수 관리 시스템은, 하자 보수를 요청하는 적어도 하나의 요청자의 단말기(이하 요청자 단말기(10)라 하기로 한다)와, 상기 하자 보수 요청에 따라 시설물의 하자를 보수하는 적어도 하나의 보수자의 단말기(이하 보수자 단말기(20)라고 하기로 한다)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요청자 단말기(10)와 적어도 하나의 보수자 단말기(2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하자 보수 관리 시스템의 서버(30)를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요청자 단말기(10)라 함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하자 보수 관리 시스템에 따른 하자 요청 애플리케이션 또는 하자 요청 프로그램이 설치된 단말기일 수 있다. 즉, 상기 요청자 단말기(1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하자 보수 관리 시스템에 전용으로 사용되는 단말기 뿐만 아니라, 일반적인 단말기, 즉 통상적인 스마트 폰의 경우에도 상기 하자 요청 애플리케이션 또는 하자 요청 프로그램이 설치되는 경우 상기 요청자 단말기로 사용될 수 있다.
이와 유사하게 상기 보수자 단말기(20)라 함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하자 보수 관리 시스템에 따른 보수 관리 애플리케이션 또는 보수 관리 프로그램이 설치된 단말기일 수 있다. 즉, 상기 보수자 단말기(2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하자 보수 관리 시스템에 전용으로 사용되는 단말기 뿐만 아니라, 일반적인 단말기, 즉 통상적인 스마트 폰의 경우에도 상기 보수 관리 애플리케이션 또는 보수 관리 프로그램이 설치되는 경우 상기 보수자 단말기(20)로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요청자 단말기(10)는 아파트 또는 다세대 주택 등의 시설물에 거주하는 입주자 별로 복수개 있을 수 있다. 또한 상기 보수자 단말기(20)는 하자의 유형 별로 서로 다른 복수개가 있을 수 있다. 그러나 이하의 설명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하나의 요청자 단말기(10)와, 상기 요청자 단말기(10)를 통해 요청된 하자의 유형에 따라 결정되는 어느 하나의 보수자 단말기(20)가 상기 서버(30)를 통해 연결되는 것을 가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이러한 가정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물론이다.
먼저 입주자는 시설물에 하자가 발견되면, 상기 요청자 단말기(10)를 통해 발견된 하자의 보수를 요청할 수 있다. 이 경우 입주자는 발견된 하자와 관련된 하자의 유형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여기서 하자의 유형 정보는 하자가 발생한 대상, 상기 하자가 발생한 위치나 장소, 영역, 그리고 하자의 종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하자의 유형은 상기 입주자가 선택하는 정보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일 예로 시설물의 일면에 도배된 벽지가 일부 찢어진 경우, 입주자는 먼저 하자가 발생한 위치나 장소를 선택할 수 있다(예 : 벽). 그리고 선택된 장소에서 상기 하자가 발생한 대상을 선택할 수 있다(예 : 벽지). 따라서 현재 발생된 하자는 벽면-벽지에 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하자 보수 관리 시스템은 현재 발생된 하자가, 도배(塗褙)에 관련된 것으로 하자 유형을 결정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하자 보수 관리 시스템은 기 설정된 다양한 하자 유형에 각각 대응하는 보수자들 중, 현재 결정된 하자 유형, 즉 '도배(塗褙)'에 대응하는 보수자를 결정할 수 있다.
한편 보수 요청과 함께 입주자는 상기 요청자 단말기(10)를 통해 상기 발견된 하자에 관련된 자세한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일 예로 입주자는 발견된 하자를 포함하는 이미지를 일정 거리 이내에서 저장한 근거리 촬영 및 상기 일정 거리보다 더 먼 거리에서 상기 발견된 하자를 포함하는 이미지를 저장하는 원거리 촬영을 통해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하자 관련 정보로 입력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요청자 단말기(10)는 입주자에게 상기 하자 이미지의 촬영을 위한 가이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가이드 정보는 현재 설정된 하자에 관련하여 원거리 또는 근거리 촬영을 위한 최적의 위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술한 예와 같이 시설물 내부의 특정 벽의 '벽지'에 대한 하자가 발생시, 원거리에서 상기 하자가 발생한 상기 특정 벽의 이미지를 촬영하기에 최적의 위치 또는 근거리에서 상기 하자가 발생한 상기 특정 벽의 이미지를 촬영하기에 최적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입주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처럼 하자 이미지의 촬영을 위한 가이드 정보가 제공되는 예를 하기 도 7을 참조하여 보다 자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이러한 정보의 제공을 위해, 상기 요청자 단말기(10)는 시설물의 구조 및 내부 형태 등 상기 시설물과 관련된 정보를 저장할 수 있으며, 이러한 정보들은 입주자가 하자 보수 요청을 위해 서버(30)에 접속하는 경우, 상기 서버(30)로부터 전송될 수 있다. 이 경우 서버(30)는 상기 요청자 단말기(10)가 상기 시설물의 구조 및 내부 형태 등 상기 시설물에 관련된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경우, 상기 시설물 관련 정보를 전송하지 않을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상기 하자 보수 관리 시스템은 상기 촬영된 하자 이미지로부터 하자와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요청자 단말기(10)의 제어부는 하자 이미지의 촬영이 이루어지면, 상기 하자 이미지로부터 하자의 크기에 관련된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하자의 크기는 요청자 단말기(10)와 하자가 발생된 영역 사이의 거리에 근거하여 산출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요청자 단말기(10)와 하자가 발생된 영역 사이의 거리는 상기 가이드 정보에 포함된 최적의 위치로부터 상기 하자가 발생한 영역 사이의 거리일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요청자 단말기(10)의 제어부는 상기 하자와 관련된 정보로서 하자의 깊이 정보를 더 산출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일 예로 상기 요청자 단말기(10)의 제어부는 상기 하자가 발생한 영역 이외의 영역으로부터 상기 요청자 단말기(10)까지의 거리와 상기 하자가 발생한 영역으로부터 검출되는 거리의 차이에 근거하여 상기 하자의 깊이 정보를 더 추출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요청자 단말기(10)와 하자가 발생된 영역 사이의 거리가 더 필요한 경우 상기 가이드 정보에 포함된 최적의 위치로부터 상기 하자가 발생한 영역 사이의 거리에 근거하여 상기 하자의 깊이 정보가 산출될 수 있다.
한편 입주자에 의해 하자 이미지가 저장되는 경우, 요청자 단말기(10)는 저장된 하자 이미지를 서버(30)에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요청자 단말기(10)는 상기 하자 이미지와 함께, 상기 하자 이미지가 촬영된 위치 및 촬영된 방향에 대한 정보를 전송할 수도 있다. 즉, 요청자 단말기(10)는 상기 시설물 내부에서 상기 하자 이미지가 촬영될 당시의 자신의 위치를 산출하고, 산출된 위치 정보와 함께 상기 요청자 단말기(10)의 카메라 렌즈가 향하는 방향에 대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요청자 단말기(10)는 자이로스코프 등의 자세 센서의 센싱값에 근거하여 상기 요청자 단말기(10)의 자세에 관련된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그리고 수집된 자세 정보에 근거하여 카메라의 렌즈가 향하는 방향을 식별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수집된 자세 정보는 상기 요청자 단말기(10)가 요청자에 의해 거치된 상태에 대한 정보일 수 있으며, 상기 거치된 상태로부터 상기 카메라의 렌즈가 형성된 요청자 단말기(10) 본체의 면, 예를 들어 상기 요청자 단말기(10)가 스마트 폰이고, 상기 스마트 폰의 후면 카메라를 통해 하자 이미지가 촬영되는 경우, 상기 요청자 단말기(10)의 후면이 향하는 방향이 상기 카메라의 렌즈가 향하는 방향이 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자세 센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자이로스코프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자이로스코프는 단말기의 바디와 일체화된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 내에서 자유롭게 회전하여 항상 지표면과 수평 및 수직 상태를 이루도록 형성되는 회전자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프레임의 기준점과 상기 회전자에 근거하여 단말기가 거치된 상태 및, 바디와 일체화된 프레임과 상기 회전자의 위치로부터, 단말기가 기 설정된 기준 방향으로부터 회전된 회전각이 센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단말기의 후면 방향, 즉 카메라 렌즈가 향하는 방향이 센싱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자이로스코프는 물리 센서 뿐만 아니라 소프트웨어 센서로 형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하자의 크기 정보와 깊이 정보를 포함하는 하자 관련 정보가 추출되면 요청자 단말기(10)는 상기 하자 이미지의 전송과 함께 상기 하자 관련 정보를 함께 서버(30)에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요청자 단말기(10)는 요청자로부터 별도의 텍스트 정보를 입력받을 수도 있다. 그리고 하자 이미지 및 관련 정보, 그리고 요청자가 직접 입력한 텍스트 정보들이 저장되면, 상기 요청자 단말기(10)는 상기 저장된 정보를 하자 정보로서 서버(30)에 전송할 수 있다. 그러면 서버(30)는 상기 하자 유형에 따라 결정된 보수자에게 상기 하자 정보와 상기 하자를 요청한 입주자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서버(30)로부터 하자 정보를 수신한 보수자 단말기(20)는 수신된 입주자 정보와 하자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하자 정보는 상기 요청자 단말기(10)가 전송한 하자 이미지 및 하자관련 정보들, 예를 들어 하자의 크기 및 깊이에 관련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보수자는 상기 입주자와 연락을 통해 보수 작업을 스케줄링하고, 스케줄링된 보수작업에 따라 보수를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보수자가 보수를 완료하는 경우, 보수자는 하자가 보수된 결과에 대한 보수 정보를 보수자 단말기(20)로 입력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보수 정보는 보수자가 보수자 단말기(20)를 통해 촬영한 보수 결과 이미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보수자 단말기(20)는 상기 하자 정보에 포함된 하자 이미지가 촬영된 위치와 동일한 위치에서 상기 보수 결과 이미지가 촬영되도록 상기 하자 이미지가 촬영된 위치에 관련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제공되는 위치 정보는, 보수가 이루어진 시설물 내에서 상기 하자 이미지를 촬영한 요청자 단말기(10)의 위치 정보일 수 있다.
한편 상기 위치 정보는 상기 하자 이미지가 촬영된 방향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하자 이미지가 촬영된 방향에 대한 정보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하자 이미지가 촬영될 당시에 상기 요청자 단말기(10)의 카메라 렌즈가 향하는 방향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보수자 단말기(20)는 보수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하자 이미지가 촬영된 요청자 단말기(10)의 위치 정보와 함께, 상기 요청자 단말기(10)의 카메라 렌즈가 향하는 방향을 표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보수자는 상기 표시되는 위치 및 방향에 근거하여 보수 결과 이미지를 촬영하고, 촬영된 보수 결과 이미지를 포함하는 보수 정보를 서버(30)에 전송할 수 있다. 이하 이처럼 보수자의 요청에 따라 하자 이미지가 촬영된 요청자 단말기(10)의 위치 정보와 함께, 상기 요청자 단말기(10)의 카메라 렌즈가 향하는 방향을 표시하는 예를 하기 도 8을 참조하여 보다 자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 보수 정보가 서버(30)에 전송되면, 서버(30)는 상기 보수 정보를 요청자 단말기(10)에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요청자 단말기(10)는 수신된 보수 정보를 디스플레이부 상에 표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하자 보수 관리 시스템은 요청자가 촬영한 하자 이미지와 동일한 위치 및 동일한 방향에서 상기 하자 보수 결과 이미지가 촬영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동일한 기준으로, 즉 하자가 발생된 지점으로부터 동일한 거리 및 동일한 방향에서 촬영된 두 개의 이미지가 서로 비교될 수 있으므로, 요청자와 보수자 사이에서 하자 보수 결과에 대해 발생할 수 있는 분쟁이 미연에 방지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요청자 단말기(10) 및 보수자 단말기(20)는 필요에 따라서만 상기 서버(30)와 통신 연결을 유지하도록 설정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즉, 네이티브(native) 방식으로, 요청자 단말기(10)는 서버(30)와 통신이 유지되지 않은 상태에서도, 요청자로부터 하자 보수 이미지 및 관련된 텍스트 정보 등 다양한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그리고 요청자가 서버(30)와의 동기화를 선택하는 경우에 한하여 상기 서버(30)와 통신 연결을 수립하고, 요청자로부터 입력된 하자 정보를 서버(30)에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하자 정보의 전송, 즉 동기화가 완료되면 다시 서버(30)와 통신 연결이 종료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보수자 단말기(20) 역시 상기 네이티브 방식으로 서버(30)와 연결될 수 있다. 즉, 보수자 단말기(20)는 서버(30)와 통신이 유지되지 않은 상태에서도, 보수자로부터 보수 결과 이미지 등 하자 보수에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그리고 보수자가 서버(30)와의 동기화를 선택하는 경우에 한하여 상기 서버(30)와 통신 연결을 수립하고, 보수자로부터 입력된 보수 정보를 서버(30)에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보수 정보의 전송, 즉 동기화가 완료되면 다시 서버(30)와 통신 연결이 종료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서버(30)와의 통신 연결은 다양한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예로 요청자 단말기(10) 및 보수자 단말기(20)는 WLAN(Wireless LAN), Wi-Fi(Wireless-Fidelity), WiBro(Wireless Broadband), LTE(Long Term Evolution) 등 다양한 근거리 통신 방식으로 통신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요청자 단말기(10) 및 보수자 단말기(20)는 상기 서버(30)와의 통신 연결을 위한 다양한 모듈 및, 하자 정보 또는 보수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출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자 정보 또는 보수 정보를 요청자 또는 보수자로부터 입력받기 위한 입력부 및, 하자 이미지 또는 보수 결과 이미지를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와 같은 구성부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이처럼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하자 보수 관리 시스템에서, 요청자 단말기(10) 및 보수자 단말기(20)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이하 도 2의 설명에서는 요청자 단말기(10)를 기준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보수자 단말기(20) 역시 후술하는 요청자 단말기(10)와 동일한 구성요소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먼저 요청자 단말기(10)는, 제어부(100)와 상기 제어부(100)에 연결되며 상기 제어부(100)에 의해 제어되는 통신부(110), 입력부(120), 카메라(130), 메모리(140), 출력부(150), 전원 공급부(160), 및 감지부(17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은 요청자 단말기(10)를 구현하는데 있어서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본 명세서 상에서 설명되는 요청자 단말기(10)는 위에서 열거된 구성요소들 보다 더 많거나, 또는 더 적은 구성요소들을 가질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구성요소들 중 통신부(110)는, 요청자 단말기(1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또는 요청자 단말기(10)와 서버(30)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신부(110)는, 요청자 단말기(10)를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에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무선 통신부(110)는, 무선 통신 모듈(111) 및 위치정보 모듈(112)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무선 통신 모듈(111)은 무선 통신 기술 또는 근거리 통신 기술에 따라 통신망 또는 외부 서버로부터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무선 통신 기술로는 WLAN, Wi-Fi, WiBro, LTE,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등이 있을 수 있으며, 근거리 무선 통신 기술로는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Ultra Wideband) 등이 있을 수 있다. 또한 상기 무선 통신부(110)는 상기에 나열되지 않은 통신 기술까지 포함한 범위에서 적어도 하나의 무선 통신 기술 또는 근거리 통신 기술에 따라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위치정보 모듈(112)은 요청자 단말기(10)의 위치(또는 현재 위치)를 획득하기 위한 모듈로서, 그의 대표적인 예로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모듈 또는 WiFi(Wireless Fidelity) 모듈이 있다. 예를 들어, 요청자 단말기(10)는 GPS모듈을 활용하면, GPS 위성에서 보내는 신호를 이용하여 요청자 단말기(10)의 위치를 획득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요청자 단말기(10)는 Wi-Fi모듈을 활용하면, Wi-Fi모듈과 무선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하는 무선 AP(Wireless Access Point)의 정보에 기반하여, 요청자 단말기(10)의 위치를 획득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서, 위치정보 모듈(112)은 치환 또는 부가적으로 요청자 단말기(10)의 위치에 관한 데이터를 얻기 위해 통신부(110)의 다른 모듈 중 어느 하나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위치정보 모듈(112)은 요청자 단말기(10)의 위치(또는 현재 위치)를 획득하기 위해 이용되는 모듈로, 요청자 단말기(10)의 위치를 직접적으로 계산하거나 획득하는 모듈로 한정되지는 않는다.
입력부(120)는, 요청자로부터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것으로, 기계식 (mechanical) 입력수단 및 터치식 입력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서, 터치식 입력수단은, 소프트웨어적인 처리를 통해 터치스크린에 표시되는 가상 키(virtual key), 소프트 키(soft key) 또는 비주얼 키(visual key)로 이루어지거나, 상기 터치스크린 이외의 부분에 배치되는 터치 키(touch key)로 이루어질 수 있다.
카메라(130)는 카메라 센서(예를 들어, CCD, CMOS 등)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피사체와의 거리 측정을 위한 적외선 센서 또는 레이저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130)는 상기 카메라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그리고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되거나 메모리(140)에 저장될 수 있다.
출력부(15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디스플레이부(151), 음향 출력부(152), 햅팁 모듈(153), 광 출력부(154)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요청자 단말기(1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한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51)는 요청자 단말기(10)에서 구동되는 응용 프로그램의 실행화면 정보, 또는 이러한 실행화면 정보에 따른 UI(User Interface), GUI(Graphic User Interface)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음향 출력부(152)는 호 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1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17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부(152)는 요청자 단말기(10)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하기도 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부(152)에는 리시버(receiver),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햅틱 모듈(haptic module)(153)은 요청자가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킨다. 햅틱 모듈(153)이 발생시키는 촉각 효과의 대표적인 예로는 진동이 될 수 있다. 햅틱 모듈(153)에서 발생하는 진동의 세기와 패턴 등은 요청자의 선택 또는 제어부의 설정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햅틱 모듈(153)은 서로 다른 진동을 합성하여 출력하거나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3)은, 진동 외에도, 접촉 피부면에 대해 수직 운동하는 핀 배열, 분사구나 흡입구를 통한 공기의 분사력이나 흡입력, 피부 표면에 대한 스침, 전극(electrode)의 접촉, 정전기력 등의 자극에 의한 효과와, 흡열이나 발열 가능한 소자를 이용한 냉온감 재현에 의한 효과 등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
햅틱 모듈(153)은 직접적인 접촉을 통해 촉각 효과를 전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요청자가 손가락이나 팔 등의 근 감각을 통해 촉각 효과를 느낄 수 있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3)은 요청자 단말기(10)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광출력부(154)는 요청자 단말기(10)의 광원의 빛을 이용하여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요청자 단말기(10)에서 발생 되는 이벤트의 예로는 서버(30)로부터 전송되는 보수 정보 수신, 알람, 일정 알림, 이메일 수신, 애플리케이션을 통한 정보 수신 등이 될 수 있다. 한편 만약 보수자 단말기(20)의 경우 상기 이벤트의 예로는 하자 정보 수신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감지부(170)는 요청자 단말기(10) 내 정보, 요청자 단말기(10)의 다양한 상태 및 상기 요청자 단말기(10)를 둘러싼 주변 환경 정보를 센싱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감지부(170)는 근접센서, 조도 센서, 터치 센서, 가속도 센서, 자기 센서(magnetic sensor), 중력 센서, 자이로스코프 센서(gyroscope sensor), 모션 센서, RGB 센서, 적외선 센서(IR 센서: infrared sensor), 초음파 센서, 광 센서(optical sensor), 마이크로폰, 배터리 게이지(battery gaug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 개시된 요청자 단말기(10)는, 이러한 센서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의 센서에서 센싱되는 정보들을 조합하여 활용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140)는 요청자 단말기(10)의 다양한 기능을 지원하는 데이터를 저장한다. 메모리(140)는 요청자 단말기(10)에서 구동되는 다수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 program 또는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요청자 단말기(10)의 동작을 위한 데이터들, 명령어들을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무선 통신을 통해 서버(30)로부터 다운로드 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요청자 단말기(10)의 기본적인 기능을 위하여 출고 당시부터 요청자 단말기(10)상에 존재할 수 있다. 한편, 응용 프로그램은, 메모리(140)에 저장되고, 요청자 단말기(10) 상에 설치되어, 제어부(180)에 의하여 상기 요청자 단말기(10)의 동작(또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동될 수 있다.
제어부(100)는 상기 응용 프로그램과 관련된 동작 외에도, 통상적으로 요청자 단말기(1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100)는 위에서 살펴본 구성요소들을 통해 입력 또는 출력되는 신호, 데이터, 정보 등을 처리하거나 메모리(140)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함으로써, 요청자에게 적절한 정보 또는 기능을 제공 또는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00)는 메모리(140)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하기 위하여, 도 1과 함께 살펴본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를 제어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00)는 상기 응용 프로그램의 구동을 위하여, 요청자 단말기(10)에 포함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을 서로 조합하여 동작시킬 수 있다.
전원공급부(160)는 제어부(100)의 제어 하에서,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 받아 요청자 단말기(10)에 포함된 각 구성요소들에 전원을 공급한다. 이러한 전원공급부(160)는 배터리를 포함하며, 상기 배터리는 내장형 배터리 또는 교체가능한 형태의 배터리가 될 수 있다.
상기 각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는, 이하에서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요청자 단말기(10)의 동작, 제어, 또는 제어방법을 구현하기 위하여 서로 협력하여 동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요청자 단말기(10)의 동작, 제어, 또는 제어방법은 상기 메모리(140)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응용 프로그램의 구동에 의하여 요청자 단말기(10) 상에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보수자 단말기(20)는 상기 요청자 단말기(10)와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이하에서는, 위에서 살펴본 요청자 단말기(10) 및 보수자 단말기(20)가 서버(30)를 통해 하자 보수가 관리되는 동작 과정을 살펴보기로 한다.
도 3a 내지 도 3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하자 보수 관리 시스템을 통해 하자 보수가 요청되고 요청된 하자의 보수가 관리되는 동작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3a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요청자는 하자 보수 요청을 위해 먼저 요청자 단말기(10)에 로그인할 수 있다(S300). 일 예로 요청자는 요청자 단말기(10)에 기 지정된 아이디 및 비밀번호를 입력할 수 있으며, 자신의 이름과 자신의 연락처를 입력할 수 있다. 그러면 요청자 단말기(10)는 입력된 아이디 및 비밀번호를, 기 지정된 아이디 및 비밀번호와 비교할 수 있다. 그리고 일치하는 경우 하자 보수를 위한 정보들을 입력할 수 있는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요청자 단말기(10)는 표시된 화면을 통해 입력되는 하자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S302). 여기서 하자 정보는, 하자의 유형 정보와 발생된 하자에 관련된 이미지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요청자 단말기(10)는 큰 범위에서 작은 범위로, 요청자가 하자가 발생한 대상이나 위치, 장소 등에 대해 선택할 때마다 보다 세부적인 항목을 선택할 수 있도록 형성된 하자 유형 정보 메뉴가 표시될 수 있다. 즉, 요청자가 '벽'을 선택하는 경우, 상기 '벽'과 관련된 세부 항목 '콘센트', '벽지', '창문' 등과 같은 세부항목을 선택할 수 있는 메뉴가 표시될 수 있다. 그리고 요청자가 '벽지'를 선택하는 경우 '벽지'에 관련된 보다 세부적인 항목들, 예를 들어 '도배', '찢어짐', '오염' 등을 선택할 수 있는 메뉴가 표시될 수 있다. 그리고 요청자가 이러한 항목들을 차례대로 선택함에 따라 현재 발생된 하자의 유형 정보(하자 유형 정보)가 수집될 수 있다.
한편 요청자 단말기(10)는 상기 S302 단계에서 요청자의 선택에 따라 하자 이미지를 저장할 수 있다. 상기 하자 이미지는 원거리에서 촬영된 이미지와 근거리에서 촬영된 이미지로 구분될 수 있다. 여기서 근거리 촬영 이미지는 하자가 발생한 대상으로부터 기 설정된 제1 거리 이내에서 촬영된 이미지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원거리 촬영 이미지는 상기 하자가 발생한 대상으로부터 기 설정된 제2 거리를 벗어나서 촬영된 이미지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거리와 제2 거리는 서로 같은 거리일 수 있다.
요청자 단말기(10)는 촬영된 이미지와 상기 하자가 발생한 대상 사이의 거리에 근거하여 촬영된 이미지가 근거리 촬영 이미지인지 또는 원거리 촬영 이미지인지를 자동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는 요청자 단말기(10)는 상기 근거리 촬영 또는 원거리 촬영을 위해 서로 구분된 메뉴를 통해 요청자가 직접 어느 하나의 촬영 방식을 선택하도록 할 수 있으며, 이미지가 촬영되면 촬영된 이미지를 요청자가 선택한 방식에 따라 촬영된 하자 이미지로 저장할 수도 있다.
또한 요청자가 직접 입력하는 텍스트가 있는 경우, 요청자 단말기(10)는 상기 요청자가 입력한 텍스트를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요청자가 하자 요청 정보의 입력을 완료하면, 상기 텍스트와 하자 유형 정보, 그리고 하자 이미지를 하자 정보로서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요청자 단말기(10)는 요청자가 서버(30)와의 동기화를 선택하였는지 여부를 검출할 수 있다(S304).
그리고 요청자 단말기(10)는 S304 단계에서 요청자가 동기화를 선택하는 경우, 서버(30)와의 통신 연결을 수립할 수 있다(S306). 예를 들어 상기 S306 단계는 무선 통신 또는 근거리 통신 방식을 통해 상기 요청자 단말기(10)와 상기 서버(30)가 무선으로 연결 및 데이터 통신 회선을 수립하는 단계일 수 있다. 그러면 요청자 단말기(10)는 상기 데이터 통신 회선을 통해 상기 하자 정보와, 상기 하자의 보수를 요청하는 요청자의 정보, 즉 입주자 관련 정보(입주자 정보)를 서버(30)에 전송할 수 있다(S308).
그리고 상기 하자 정보와 입주자 정보가 서버(30)에 전송되면, 요청자 단말기(10)와 서버(30)는 다시 서로 간의 통신 연결을 종료할 수 있다(S310).
한편 요청자 단말기(10)로부터 하자 정보가 수신되면, 서버(30)는 하자 정보를 분류 및 저장할 수 있다(S312). 서버(30)는 상기 하자 정보에 포함된 하자의 유형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하자 정보를 분류할 수 있다. 그리고 분류된 하자 정보의 하자 유형에 근거하여 상기 하자를 보수할 보수자를 결정할 수 있다(S314). 예를 들어 서버(30)는 기 저장된 서로 다른 유형의 하자들에 각각 대응하는 보수자들의 정보를 포함하며, 하자 정보가 수신되면 이를 분류한 하자 정보의 하자 유형에 대응하는 어느 하나의 보수자를, 현재 요청된 하자의 보수자로 결정할 수 있다.
한편 보수자가 결정되면, 서버(30)는 결정된 보수자의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수신된 하자 정보 및, 하자를 요청한 요청자의 입주자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S316). 그러면 보수자의 보수자 단말기(20)는 하자 정보의 수신을 알리기 위한 알람을 출력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보수자 단말기(20)는 상기 하자 정보의 수신을 이벤트의 발생으로 판단할 수 있으며, 상기 이벤트의 발생을 알리기 위한 알람을 출력할 수 있다. 그러면 보수자는 상기 알람을 통해 하자 정보가 수신되었음을 인지할 수 있으며, 보수자 단말기(20)에 로그인을 수행할 수 있다(S318).
상기 S318 단계에서 보수자는 보수자 단말기(20)에 기 지정된 아이디 및 비밀번호를 입력할 수 있다. 그러면 보수자 단말기(20)는 입력된 아이디 및 비밀번호를 기 지정된 아이디 및 비밀번호와 비교할 수 있다. 그리고 일치하는 경우 수신된 하자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S320).
그러면 보수자는 보수자 단말기(20)에 표시되는 하자 정보를 통해 요청자가 요청한 하자 보수 내용을 식별할 수 있다. 그리고 요청된 하자 보수를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보수자 단말기(20)는 도 3b에서 보이고 있는 바와 같이 보수 정보가 입력되었는지 여부를 검출할 수 있다(S350). 여기서 상기 보수 정보는 보수자가 작성한 보수 내용 및, 보수자가 하자를 보수한 후 보수된 결과를 촬영한 이미지(보수 결과 이미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수 결과 이미지는, 하자 이미지와 동일하게 원거리에서 촬영된 이미지와 근거리에서 촬영된 이미지로 구분될 수 있다. 여기서 근거리 촬영 이미지는 하자가 보수된 대상으로부터 기 설정된 제1 거리 이내에서 촬영된 이미지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원거리 촬영 이미지는 상기 하자가 보수된 대상으로부터 기 설정된 제2 거리를 벗어나서 촬영된 이미지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거리와 제2 거리는 서로 같은 거리일 수 있다.
보수자 단말기(20)는 촬영된 이미지와 상기 하자가 보수된 대상 사이의 거리에 근거하여 촬영된 이미지가 근거리 촬영 이미지인지 또는 원거리 촬영 이미지인지를 자동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는 보수자 단말기(20)는 상기 근거리 촬영 또는 원거리 촬영을 위해 서로 구분된 메뉴를 통해 보수자가 직접 어느 하나의 촬영 방식을 선택하도록 할 수 있으며, 이미지가 촬영되면 촬영된 이미지를 보수자가 선택한 방식에 따라 촬영된 보수 결과 이미지로 저장할 수도 있다.
그리고 보수자 단말기(20)는 보수자가 서버(30)와의 동기화를 선택하였는지 여부를 검출할 수 있다(S352).
그리고 보수자 단말기(20)는 S352 단계에서 보수자가 동기화를 선택하는 경우, 서버(30)와의 통신 연결을 수립할 수 있다(S354). 예를 들어 상기 S354 단계는 무선 통신 또는 근거리 통신 방식을 통해 상기 보수자 단말기(20)와 상기 서버(30)가 무선으로 연결 및 데이터 통신 회선을 수립하는 단계일 수 있다. 그러면 보수자 단말기(20)는 상기 데이터 통신 회선을 통해 상기 보수 결과 정보를 포함하는 보수 정보를 서버(30)에 전송할 수 있다(S356). 또한 보수자 단말기(20)는 상기 하자 보수를 요청한 입주자의 정보를 함께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보수 정보와 입주자 정보가 서버(30)에 전송되면, 요청자 단말기(10)와 서버(30)는 다시 서로 간의 통신 연결을 종료할 수 있다(S358).
한편 보수자 단말기(20)로부터 보수 정보가 수신되면, 서버(30)는 보수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S360). 여기서 서버(30)는 상기 보수자 단말기(20)로부터 수신된 입주자 정보에 따라 보수 정보를 분류 및 저장할 수 있다. 따라서 서버(30)에는 요청자 단말기(10)로부터 수신된 하자 정보에 대응되도록 상기 보수자 단말기(20)로부터 수신된 보수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그리고 서버(30)는 상기 입주자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보수 정보를 전송할 단말기, 즉 요청자 단말기(10)를 선택할 수 있다(S362). 그리고 선택된 요청자 단말기(10)에 상기 보수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S364).
그러면 상기 보수 정보를 수신한 요청자 단말기(10)는 보수 정보의 수신을 알리기 위한 알람을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요청자 단말기(10)는 상기 보수 정보의 수신을 이벤트의 발생으로 판단할 수 있으며, 상기 이벤트의 발생을 알리기 위한 알람을 출력할 수 있다. 그러면 요청자는 상기 알람을 통해 보수 정보가 수신되었음을 인지할 수 있으며, 요청자 단말기(10)에 로그인을 수행할 수 있다(S366).
그리고 상기 S366 단계에서 로그인을 위해 입력된 아이디 및 비밀번호에 따라 로그인이 성공적으로 수행되면, 요청자 단말기(10)는 수신된 보수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S368). 이 경우 상기 보수 정보는 보수 결과 이미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보수 결과 이미지는 요청자가 촬영한 하자 이미지와 함께 표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요청자는 자신이 촬영한 하자 이미지와 보수 결과 이미지를 비교하여, 보수가 이루어졌는지 여부를 평가할 수 있으며, 평가 결과에 따라 보수가 완료되었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하자 보수 관리 시스템에서는 요청자 단말기(10)와 보수자 단말기(20)가, 서버(30)와 동기화되는 경우에 한하여 서버(30)와 통신이 연결될 수 있다. 즉, 상기 요청자 단말기(10)는 서버(30)와 통신이 연결되지 않은 상태에서 발생된 하자와 관련된 다양한 정보 및 이미지를 입력할 수 있으며, 입력이 완료되는 경우에 상기 서버(30)와의 통신 연결을 통해 입력된 하자 정보를 서버(30)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보수자 단말기(20) 역시 서버(30)와 동기화되는 경우에 한하여 서버(30)와 통신이 연결될 수 있으므로, 요청된 보수 작업을 수행하는 동안 상기 서버(30)와 통신 연결을 유지할 필요가 없으며, 보수가 완료되는 경우에 상기 서버(30)와의 통신 연결을 통해 완료된 보수 결과를 서버(30)에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서버(30)와의 통신 연결을 항시 유지할 필요가 없으므로, 한정적인 무선 자원을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요청자와 보수자가 보다 통신 연결의 제약없이 보다 편리하게 하자 보수의 요청 및 보수 결과를 상대방에게 전달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하자 보수 관리 시스템은, 요청자로부터 입력된 하자 유형 정보에 근거하여 하자를 보수할 보수자를 자동으로 결정하고, 결정된 보수자에게 상기 요청된 하자에 관련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발생된 하자 유형에 따른 보수자를 요청자가 선택할 필요가 없으므로, 보수자 선택에 따른 어려움 없이 편리하게 하자 보수를 요청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세부적으로 자세하게 분석된 하자 유형 정보에 근거하여 적합한 보수자를 자동으로 결정함으로서, 서로 다른 하자 보수를 담당하는 다수의 보수자 중 발생된 하자에 가장 적합한 보수자가 선택될 수 있다.
한편 이상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하자 보수 관리 시스템의 구성 및, 상기 하자 보수 관리 시스템을 구성하는 각 구성 요소들간의 동작 흐름을 살펴보았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상기 하자 보수 관리 시스템의 요청자 단말기(10)와 보수자 단말기(20)에서 표시되는 화면들을 참조하여, 요청자 단말기(10)를 통해 하자 보수가 요청되는 예 및, 요청된 하자 보수에 따른 보수 결과가 입력되는 예들을 다수의 예시도를 참조하여 보다 자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이하의 도면들은 좌측 상단의 도면을 시작으로, 시계 방향 순서로 설명하며, 좌측 상단의 도면은, '첫 번째 도면', 우측 상단의 도면은 '두 번째 도면', 우측 하단의 도면은 '세 번째 도면', 좌측 하단의 도면은 '네 번째 도면'으로 명명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하자 보수 관리 시스템에서, 요청자 단말기(10)를 통해 하자 정보가 입력되는 예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먼저 도 4의 첫 번째 도면은 요청자 단말기(10)에서 하자 보수 요청을 위한 로그인 화면이 표시되는 예를 도시한 것이다. 로그인 화면은 도 4의 첫 번째 도면에서 보이고 있는 바와 같이, 아이디와 비밀번호가 입력되는 항목(400)과 하자 보수를 요청하는 입주자의 이름 및 전화번호가 입력될 수 있는 항목(402)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로그인 화면은, 요청자가 요청자 단말기(10)의 전원을 온 시키거나, 또는 요청자의 스마트 폰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하자 보수 요청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경우, 상기 도 4의 첫 번째 도면에서 보이고 있는 바와 같이 요청자 단말기(10)의 디스플레이부(150) 상에 표시될 수 있다.
한편 도 4의 첫 번째 도면과 같은 로그인 화면에서 요청자가 기 지정된 아이디 및 비밀번호를 입력하면, 요청자 단말기(10)는 하자 보수의 요청을 위한 화면들을 표시할 수 있다. 먼저 요청자 단말기(10)는 요청될 하자 보수의 유형을 결정하기 위해 도 4의 두 번째 도면에서 보이고 있는 바와 같은 하자 유형 선택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도 4의 두 번째 도면을 살펴보면, 요청자 단말기(10)는 현재 입력된 아이디 및 비밀번호에 대응하는 입주자 정보로서, 하자 정보를 요청하는 입주자의 주소 정보(410)를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입주자 정보에 대응하는 시설물의 이미지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일 예로 도 4의 두 번째 도면에서 보이고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입주자 정보가 주소 정보(410)인 경우, 상기 주소 정보(410)에 대응하는 실내 영역의 평면도가 상기 시설물의 이미지 정보로서 표시될 수 있다.
한편 도 4의 두 번째 도면에서 보이고 있는 바와 같이, 하자 유형 선택 화면에서는 하자의 유형을 선택할 수 있는 하자 유형 정보 메뉴(414)가 표시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하자 유형 정보 메뉴(414)는 하자가 발생한 대상이나 위치, 장소 등이 대해 선택될 때마다 보다 세부적인 항목이 선택될 수 있도록 형성된 메뉴일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상기 하자 유형 정보 메뉴(414)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경우 관련된 세부 항목들을 포함하는 다른 메뉴가 표시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과정이 적어도 1회 반복 수행될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과정이 반복되어 현재 발생된 하자의 유형이 명확하게 지정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도 4의 두 번째 도면에서 보이고 있는 하자 유형 정보 메뉴(414)를 통해 하자의 유형이 결정되면, 요청자 단말기(10)는 도 4의 세 번째 도면에서 보이고 있는 바와 같이, 하자 이미지를 촬영할 수 있는 메뉴를 포함하는 화면(420)을 디스플레이부(150) 상에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하자 이미지 촬영 메뉴(420)는 원거리 촬영(422) 및 근거리 촬영(424)을 포함할 수 있으며, 어느 하나의 메뉴가 선택 및 촬영을 통해 이미지가 저장되면, 저장된 이미지를 디스플레이부(151) 상에 표시할 수 있다.
이 경우 만약 요청자가 원거리 촬영(422) 및 근거리 촬영(424)을 순차적으로 선택하여 각 항목에 대응하는 이미지들을 저장하는 경우라면, 요청자 단말기(10)는 상기 저장된 이미지들 모두를 하나의 디스플레이부(151) 상에 표시할 수 있다. 따라서 도 4의 네 번째 도면에서 보이고 있는 바와 같이, 원거리 촬영(422)이 선택된 상태에서 촬영된 원거리 하자 이미지(432)와, 근거리 촬영(424)이 선택된 상태에서 촬영된 근거리 하자 이미지(434)가 서로 비교 가능하도록 표시될 수 있다.
한편 요청자 단말기(10)는 입력부(120)를 통해 텍스트를 입력받을 수 있으며, 입력된 텍스트는 도 4의 네 번째 도면에서 보이고 있는 바와 같이 텍스트 항목(416)에 표시될 수 있다. 따라서 요청자 단말기(10)는 하자 보수를 요청하는 요청자의 이름 및 연락처, 하자 보수 유형과 관련된 하자 보수 유형 정보, 원거리 및 근거리에서 촬영된 하자 이미지들 및, 부가적으로 입력된 텍스트 정보를 포함하는 하자 정보를 생성하고 저장할 수 있다.
한편 촬영된 하자 이미지들이 표시되는 도 4의 네 번째 도면의 경우 저장된 하자 정보를 서버(30)에 전송하기 위한 동기화 항목(438)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요청자 단말기(10)는 상기 동기화 항목(438)이 선택되면, 서버(30)와 무선 통신을 수립하고, 서버(30)에 상기 저장된 하자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동기화를 통해 상기 하자 정보가 모두 전송되면 다시 서버(30)와의 무선 통신을 종료할 수 있다.
반면 요청자가 '다음'을 선택하는 경우, 요청자 단말기(10)는 다시 도 4의 두 번째 도면에서 보이고 있는 화면을 표시하여, 새로운 하자에 대한 정보를 요청자로부터 입력받을 수 있다.
한편 요청자는 도 4의 세 번째 도면 및 네 번째 도면에서 보이고 있는 갤러리 메뉴(426)와 카메라 메뉴(428)를 선택할 수 있으며, 이 중 카메라 메뉴(428)가 선택되면, 요청자 단말기(10)는 도 4의 네 번째 도면에서 보이고 있는 화면에서, 하자 이미지 촬영 메뉴(420)를 포함하는 화면(도 4의 세 번째 도면)을 표시할 수 있다. 그러면 요청자는 원거리 촬영(422) 및 근거리 촬영(424) 중 적어도 하나를 다시 선택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선택된 각각의 메뉴에 따른 촬영이 다시 수행될 수 있다. 한편 도 4의 세 번째 도면에서 보이고 있는 화면에서 갤러리 메뉴(426)를 선택하는 경우, 요청자 단말기(10)는 현재 촬영된 이미지들이 표시되는 도 4의 네 번째 도면에서 보이고 있는 화면을 다시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도 4의 네 번째 도면에서 보이고 있는 바와 같이, 촬영된 하자 이미지들이 표시되는 상태에서, 요청자 단말기(10)는 상기 하자 이미지들 중 요청자로부터 선택된 일 영역을 다른 영역과 구분되게 표시할 수도 있다.
도 5는 이처럼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하자 보수 관리 시스템에서, 요청자 단말기(10)를 통해 입력된 하자 이미지 중 일 영역을 구분되게 표시하는 예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이를 위해 요청자 단말기(10)는 현재 표시되고 있는 하자 이미지 중 어느 하나에 인가되는 터치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터치 입력에 이어 인가되는 드래그에 따라 상기 어느 하나의 이미지 중 일 영역을 다른 영역과 구분되게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의 첫 번째 도면에서 보이고 있는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51) 상에 하자 이미지들(432, 434)이 표시되는 상태에서, 제1 하자 이미지(432)에 요청자의 터치 입력(500)이 인가될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도 5의 두 번째 도면에서 보이고 있는 바와 같이 상기 터치 입력(500)이 드래그되는 경우, 요청자 단말기(10)는 상기 터치 입력(500)이 드래그되는 경로(510)를 구분되게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드래그 되는 경로(510)가 폐곡선을 형성하는 경우라면 상기 드래그 경로(510)의 표시를 종료할 수 있다. 따라서 도 5의 세 번째 도면에서 보이고 있는 바와 같이 요청자의 터치 입력(500) 드래그에 따라 형성되는 드래그 경로의 폐곡선(510)에 따라 제1 하자 이미지(432)의 일 영역이 구분되게 표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폐곡선(510)은 상기 제1 하자 이미지(432)의 일부로서 저장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폐곡선(510)을 포함하는 하자 정보가 생성 및 저장될 수 있으며, 보수자의 보수자 단말기(20)로 전송되는 경우 보수자 단말기(20)의 디스플레이부(151) 상에서도 표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하자가 발생된 영역이 명확하게 구분됨으로써, 상기 하자가 발생된 영역이 보다 명확하게 보수자에게 식별될 수 있다.
한편 이와 같이 하자 정보가 생성 및 저장되면, 저장된 하자 정보는 요청자 단말기(10)와 서버(30) 사이의 동기화에 따라 상기 서버(30)로 전송될 수 있다. 그러면 서버(30)는 하자 유형 정보에 근거하여 보수자를 결정하고 결정된 보수자에게 하자 정보 및 하자 보수를 요청한 입주자의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그러면 결정된 보수자의 보수자 단말기(20)는 이를 알리기 위한 알람을 출력할 수 있으며, 수신된 하자 정보를 디스플레이부(250) 상에 출력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하자 보수 관리 시스템에서, 보수자 단말기(20)를 통해 하자 정보의 표시 및 하자를 보수한 결과가 입력되는 예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먼저 도 6의 첫 번째 도면은 하자 정보가 전송된 보수자 단말기(20)에서 하자 정보 확인을 위한 로그인 화면이 표시되는 예를 도시한 것이다. 로그인 화면은 도 6의 첫 번째 도면에서 보이고 있는 바와 같이, 아이디와 비밀번호가 입력되는 항목(600)과 하자 보수를 요청하는 보수자의 이름 및 전화번호가 입력될 수 있는 항목(602)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로그인 화면은, 보수자가 보수자 단말기(20)에서 출력되는 알람에 대한 응답으로 보수자 단말기(20)의 기능을 활성화 시키거나, 또는 보수자의 스마트 폰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하자 보수 관리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경우, 상기 도 6의 첫 번째 도면에서 보이고 있는 바와 같이 보수자 단말기(20)의 디스플레이부(250) 상에 표시될 수 있다.
도 6의 첫 번째 도면과 같은 로그인 화면에서 보수자가 기 지정된 아이디 및 비밀번호를 입력하면, 보수자 단말기(20)는 서버(30)로부터 수신한 하자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따라서 도 6의 두 번째 도면에서 보이고 있는 바와 같이, 하자 보수를 요청한 입주자의 주소 정보(610), 하자 이미지들(622, 624), 그리고 하자 보수에 관련된 텍스트 정보(620)가 디스플레이부(250) 상에 표시될 수 있다.
한편 이처럼 하자 정보가 수신되면, 보수자는 수신된 하자 정보에 근거하여 하자를 보수할 수 있다. 그리고 하자 보수가 완료되면 하자 보수 결과 이미지를 촬영 및 저장할 수 있다. 따라서 보수를 완료한 후 보수자가 도 6의 두 번째 도면에서 보이고 있는 화면에서, '다음'을 선택하면, 도 6의 세 번째 도면에서 보이고 있는 바와 같이, 보수 결과 이미지를 입력할 수 있는 보수 이미지 메뉴(650)가 디스플레이부(250) 상에 표시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보수 이미지 메뉴(650)는, 도 4의 하자 이미지 촬영 메뉴(420)와 유사하게 원거리 촬영(652) 항목 및 근거리 촬영(654) 항목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도 6의 두 번째 도면 및 세 번째 도면에서 보이고 있는 바와 같이 원거리 하자 이미지(622) 및 근거리 하자 이미지(624)가 하자 정보에 모두 포함된 경우, 보수자는 각각의 하자 이미지(622, 624)에 대응하는 보수 결과 이미지를 촬영 및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보수자가 각각의 하자 이미지(622, 624)에 대응하는 보수 결과 이미지들(670, 672)을 촬영 및 저장하는 경우, 보수자 단말기(20)는 보수 결과 이미지들(670, 672)을 디스플레이부(250) 상에 표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6의 네 번째 도면에서 보이고 있는 바와 같이, 하자 이미지들(622, 624) 각각과 보수 결과 이미지들(670, 672) 각각이 서로 비교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자 이미지들(622, 624)과 보수 결과 이미지들(670, 672)을 포함하는 보수 정보가 생성 및 저장될 수 있다. 한편 비록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보수자가 보수 상태에 대해 부가적으로 입력한 텍스트가 있는 경우, 도 6의 세 번째 도면 및 네 번째 도면에 상기 입력된 텍스트의 내용을 표시하는 항목이 더 추가될 수 있다. 이 경우 보수자가 입력한 텍스트 정보 역시 상기 보수 정보에 포함될 수 있다.
한편 하자 보수 완료 후, 부가적으로 보수 결과 이미지들이 저장되는 도 6의 세 번째 및 네 번째 도면들은, 저장된 보수 정보를 서버(30)에 전송하기 위한 동기화 항목(66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보수자 단말기(20)는 상기 동기화 항목(660)이 선택되면, 서버(30)와 무선 통신을 수립하고, 서버(30)에 상기 저장된 보수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동기화를 통해 상기 보수 정보가 모두 전송되면 다시 서버(30)와의 무선 통신을 종료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설명에 따르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하자 관리 시스템은, 상기 하자 보수의 요청자가 하자 이미지를 촬영하는데 있어서, 원거리 또는 근거리 촬영을 위한 가이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음을 언급한 바 있다.
도 7은 이처럼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하자 보수 관리 시스템에서, 하자 이미지를 촬영하기 위한 가이드 정보가 요청자 단말기(10)에 제공되는 예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상기 가이드 정보는 선택된 촬영 방식에 따라 현재 선택된 하자 유형에 대응하는 하자 영역 또는 지점을 촬영하기에 최적의 장소일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하자 보수 관리 시스템의 요청자 단말기(10)는, 상기 가이드 정보를 제공하기 전에 먼저 하자 유형을 선택받을 수 있다.
즉, 도 7의 첫 번째 도면에서 보이고 있는 바와 같이 세부적으로 구분된 하자 유형 정보 메뉴(414)를 통해 요청자가 어느 하나의 하자 유형을 선택하면, 요청자 단말기(10)는 선택된 하자 유형을 통해 하자가 발생된 대상 이나 하자 발생 지점 또는 하자 발생 영역을 검출할 수 있다.
따라서 도 7의 첫 번째 도면에서 보이고 있는 바와 같이, 하자 유형으로 '제1 콘센트'가 선택되는 경우, 요청자 단말기(10)는 도 7의 두 번째 도면에서 보이고 있는 바와 같이 시설물의 이미지, 즉 하자 보수를 요청한 입주자의 주소 정보(410)에 대응하는 실내 영역의 평면도(412)로부터 상기 선택된 '제1 콘센트'에 대응하는 지점(720)을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요청자 단말기(10)는 검출된 하자 발생 지점에 대응하는 가이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가이드 정보는, 하자 이미지 촬영을 위해 현재 검출된 하자 발생 지점으로부터 최적의 거리가 이격된 일 지점의 위치, 즉 최적 촬영 위치(730)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가이드 정보는 요청자 단말기(10)는, 상기 최적 촬영 위치(730)의 정보 뿐만 아니라 자신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요청자 단말기(10)는 도 7의 두 번째 도면에서 보이고 있는 바와 같이, 선택된 하자 유형에 따라 검출된 하자 발생 지점(720) 및 상기 하자 발생 지점(720)에 대응하는 최적 촬영 위치(730), 그리고 현재 요청자 단말기(10)의 위치(750)가 상기 시설물의 이미지, 즉 주소 정보(410)에 대응하는 실내 영역의 평면도(412) 상에 표시될 수 있다.
따라서 요청자는, 도 7의 세 번째 도면에서 보이고 있는 바와 같이 요청자 단말기(10)에 표시되는 요청자 단말기(10)의 위치(750)에 근거하여 상기 최적 촬영 위치(730)로 이동할 수 있다. 그리고 요청자의 이동에 따라 도 7의 네 번째 도면에서 보이고 있는 바와 같이, 요청자 단말기(10)의 위치(750)와 상기 최적 촬영 위치(730)와 중첩되면 요청자 단말기(10)는 현재 요청자 단말기(10)가 최적 촬영 위치(730)에 있음을 알리기 위한 알림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이러한 알림 정보는 진동 또는 기 설정된 음향 신호나 LED의 광 신호일 수 있다.
따라서 도 7의 네 번째 도면에서 보이고 있는 바와 같이, 요청자 단말기(10)의 위치(750)와 상기 최적 촬영 위치(730)와 중첩되면, 요청자 단말기(10)에서 기 설정된 진동이 출력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요청자는 요청자 단말기(10)의 현재 위치가 최적 촬영 위치(730)임을 인지할 수 있다. 그리고 '다음'을 선택하여 표시되는 하자 이미지 촬영 메뉴(420)를 통해 하자 이미지를 촬영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가이드 정보 중, 상기 최적 위치 정보는 선택된 하자 유형에 따라 검출되는 하자 발생 지점 또는 영역 별로 각각 다르게 미리 설정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최적 위치 정보는 요청자 단말기(10)에 미리 저장된 정보일 수 있으며, 또는 서버(30)와 요청자 단말기(10)가 동기화를 수행할 때에 상기 서버(30)로부터 요청자 단말기(10)로 전송된 정보일 수도 있다. 또는 요청자 단말기(10)가 별도의 외부 서버를 통해 획득한 정보일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최적 촬영 위치는 원거리 촬영을 가정한 최적의 촬영 위치일 수 있다. 이는 근거리 촬영의 경우 하자 발생 지점 또는 영역과 최적 촬영 위치가 서로 인접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하자 유형에 근거하여 검출된 하자 발생 지점 또는 영역이, 바로 근거리 촬영을 위한 최적의 촬영 위치일 수 있기 때문이다.
한편 상술한 설명에 따르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하자 보수 관리 시스템의 요청자 단말기(10)는 하자 이미지가 촬영될 때, 요청자 단말기(10)의 위치 및, 감지부(170)에서 수집된 요청자 단말기(10)의 자세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요청자 단말기(10)의 카메라 렌즈가 향하는 방향에 대한 정보를 하자 이미지와 함께 전송할 수 있음을 언급한 바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하자 보수 관리 시스템의 보수자 단말기(20)는, 수신된 하자 정보로부터 하자 이미지가 촬영된 위치의 정보 및 상기 하자 이미지가 촬영될 당시에 카메라 렌즈가 향하는 방향에 대한 정보를 추출할 수 있으며, 추출된 정보에 근거하여 카메라 가이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도 8은 이처럼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하자 보수 관리 시스템에서, 하자 이미지가 촬영된 위치 및 방향에 대한 카메라 가이드 정보가 제공되는 예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보수자 단말기(20)는 도 6의 세 번째 도면에서 보이고 있는 바와 같이 보수 이미지 메뉴(650)의 원거리 촬영 항목(652) 또는 근거리 촬영 항목(654)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면, 선택된 촬영 항목과 같은 방식으로 촬영된 하자 이미지를 디스플레이부(250) 상에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그 하자 이미지가 촬영된 위치 및 방향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카메라 가이드를 디스플레이부(250) 상에 표시할 수 있다.
따라서 도 6의 세 번째 도면에서, 원거리 촬영 항목(652)이 선택되는 경우, 보수자 단말기(20)는 도 8의 첫 번째 도면에서 보이고 있는 바와 같이, 하자 이미지들(622, 624) 중 원거리에서 촬영된 하자 이미지(622) 및, 현재 선택된 촬영 항목, 즉 원거리 촬영 항목(652)을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원거리 촬영된 하자 이미지(622)가 촬영된 위치(820) 및 방향(822) 정보를 포함하는 카메라 가이드(800)를 포함하는 화면을 디스플레이부(250) 상에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카메라 가이드(800)는, 시설물의 이미지, 즉 하자 보수를 요청한 입주자의 주소 정보(610)에 대응하는 실내 영역의 평면도(810) 상에 표시될 수 있다.
한편 도 8의 첫 번째 도면과 같은 화면이 표시되는 상태에서, 보수자 단말기(20)는 원거리 촬영 항목(652)이 선택되었는지 여부에 근거하여 카메라로부터 이미지를 센싱할 수 있다. 이 경우 센싱되는 이미지는 도 8의 두 번째 도면에서 보이고 있는 바와 같이 이미지(840)와 같이 디스플레이부(250) 상에 표시될 수 있으며, 프리뷰 이미지의 형태로 출력될 수 있다.
한편 카메라로부터 이미지가 센싱되면 보수자 단말기(20)는, 상술한 요청자 단말기(10)와 유사하게, 보수자 단말기(20) 위치를 검출할 수 있다. 그리고 검출된 위치(830)를 카메라 가이드(800) 상에 표시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보수자 단말기(20)는 감지부를 통해 자세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그리고 요청자 단말기(10)와 유사하게, 상기 수집된 자세 정보에 근거하여 카메라의 렌즈가 향하는 방향(832)을 검출할 수 있다. 그리고 검출된 방향(832)을 상기 카메라 가이드(800) 상에 표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보수자는 상기 카메라 가이드(800)를 참조하여 보수자 단말기(20)의 위치 및 보수자 단말기(20)의 카메라 렌즈가 향하는 방향을 변경할 수 있다. 그리고 도 8의 세 번째 도면에서 보이고 있는 바와 같이, 원거리 촬영된 하자 이미지(622)가 촬영된 위치(820) 및 방향(822) 정보와, 현재 보수자 단말기(20)의 위치(830)와 보수자 단말기(20)의 카메라 렌즈가 향하는 방향(832)이 각각 일치하는 경우, 보수자 단말기(20)는 하자 이미지(622)가 촬영된 위치(820) 및 방향(822)과 동일함을 알리기 위한 알림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이러한 알림 정보는 진동 또는 기 설정된 음향 신호나 LED의 광 신호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도 8의 세 번째 도면과 같은 화면이 표시되는 상태에서, 보수자가 현재 표시되는 프리뷰 이미지(840)를 선택, 예를 들어 터치 입력을 인가하는 경우, 상기 보수자 단말기(20)는 프리뷰 이미지(840)를 캡쳐할 수 있다. 그러면 캡쳐된 프리뷰 이미지(840)는 현재 선택된 촬영 항목, 즉 원거리 촬영 항목(622)에 따른 이미지로 저장될 수 있다. 그러면 보수자 단말기(20)는 도 8의 네 번째 도면에서 보이고 있는 화면과 같이 저장된 이미지(840)를, 대응하는 촬영 항목, 즉 원거리 촬영 항목(622)이 표시되는 영역에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보수자 단말기(20)는 사용자가 근거리 촬영 항목(624)을 더 선택하는 경우, 상술한 과정과 유사한 과정으로 보수자 단말기(20)의 카메라에서 센싱되는 이미지를 저장할 수 있다. 이 경우 근거리 촬영 항목(622)에 대응하는 항목에 저장된 이미지가 표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6의 네 번째 도면에서 보이고 있는 것과 같은 화면이 보수자 단말기(20)의 디스플레이부(151) 상에 표시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설명에서는 보수자 단말기(20)에서 촬영된 보수 결과 이미지에 대해 일 영역을 표시하는 구성에 대해서는 자세하게 설명하지 않았으나, 이 역시 상기 도 5에서 기술된 방식과 유사한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즉 촬영된 보수 결과 이미지에 대해 터치 입력이 인가되고 드래그 되어 폐곡선을 형성하는 경우, 상기 폐곡선을 형성하는 드래그 경로를 구분되게 표시하여, 상기 보수 결과 이미지의 일 영역이 명확하게 식별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보수 정보를 수신한 요청자가 상기 폐곡선으로 구분된 영역을 보다 명확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상기 구분되게 표시된 폐곡선이 상기 보수 결과 이미지의 일부로서 저장되어 서버(30)로 전송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전술한 본 발명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HDD(Hard Disk Drive), SSD(Solid State Disk), SDD(Silicon Disk Drive),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컴퓨터는 단말기의 제어부(180)를 포함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Claims (18)

  1. 시설물의 하자 보수를 관리하는 하자 보수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시설물에서 발생된 하자의 유형에 관련된 하자 유형 정보를 입력받고, 상기 하자 유형 정보 및 상기 하자에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하자 이미지를 포함하는 하자 정보를 생성하는 제1 단말기;
    상기 하자 정보에 대응하는 시설물의 하자 보수 결과에 관련된 보수 정보를 생성하는 제2 단말기; 및
    상기 하자 정보를 상기 제2 단말기에 전송하고, 상기 보수 정보를 상기 제1 단말기로 전송하는 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단말기는,
    상기 하자에 대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하자 이미지가 촬영될 당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하자 이미지를 촬영하는 상기 제1 단말기의 카메라 렌즈가 향하는 방향과 관련된 상기 제1 단말기의 자세 정보를 수집하는 제1 자세 센서; 및
    상기 하자에 대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하자 이미지가 촬영될 당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하자 이미지를 촬영하는 상기 제1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검출하는 제1 위치 정보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단말기에서 생성되는 하자 정보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하자 이미지, 상기 제1 단말기의 자세 정보 및 상기 제1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단말기는,
    상기 제2 단말기의 자세에 관련된 정보를 수집하는 제2 자세 센서 및 상기 제2 단말기의 위치를 검출하는 제2 위치 정보 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단말기는,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된 하자 정보에 포함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하자 이미지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면, 상기 하자 정보에 포함된 상기 제1 단말기의 자세 정보 및 상기 제1 단말기의 위치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선택된 하자 이미지를 촬영한 상기 제1 단말기의 카메라 렌즈가 향하는 방향 및 촬영 위치에 대응되는 가이드 정보를 표시하고,
    상기 제2 단말기의 상기 제2 자세 센서 및 상기 제2 위치 정보 모듈의 감지 값에 따른 상기 제2 단말기의 촬영 방향 및 촬영 위치를 표시하며,
    상기 제2 단말기의 촬영 방향 및 촬영 위치가, 상기 선택된 하자 이미지의 촬영 방향 및 촬영 위치에 대응되는 경우, 알림 정보를 출력하고,
    사용자의 선택에 근거하여, 상기 제2 단말기의 카메라를 통하여 촬영을 수행하고, 상기 제2 단말기의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영상을 상기 선택된 하자 이미지에 대응하는 보수 결과 이미지로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제1 단말기와 상기 제2 단말기는,
    상기 서버와 통신 연결이 종료된 상태에서 각각 상기 하자 정보 및 상기 보수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서버와의 동기화가 선택되면 상기 서버와 통신 연결을 수립하여 상기 하자 정보 및 상기 보수 정보를 상기 서버에 각각 전송하며, 상기 하자 정보 또는 상기 보수 정보의 전송이 완료되면 상기 서버와의 통신 연결을 다시 종료하고,
    상기 서버는,
    서로 다른 유형의 하자들에 각각 대응하는 보수자들의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하자 정보에 포함된 하자의 유형에 근거하여 상기 시설물의 하자를 보수할 보수자를 자동으로 결정하고,
    상기 제2 단말기는,
    상기 자동으로 결정된 상기 보수자의 단말기임을 특징으로 하는 하자 보수 관리 시스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말기는,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하자 정보가 전송되면, 상기 하자 정보의 수신을 알리기 위한 이벤트 발생 알림 정보를 출력하고,
    상기 제1 단말기는,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보수 정보가 전송되면, 상기 보수 정보의 수신을 알리기 위한 이벤트 알림 정보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자 보수 관리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하자 이미지는,
    상기 하자가 발생한 시설물의 일부를, 기 설정된 제1 거리 이내에서 촬영한 근거리 촬영 이미지 및, 기 설정된 제2 거리를 벗어나서 촬영한 원거리 촬영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자 보수 관리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말기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하자 이미지를 포함하는 상기 하자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하자 이미지를 표시하고,
    상기 하자의 보수에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보수 결과 이미지가 저장되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하자 이미지에 각각 대응되게 적어도 하나의 보수 관련 이미지를 저장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하자 이미지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보수 결과 이미지를 더 포함하는 상기 보수 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보수 결과 이미지는,
    상기 하자가 보수된 시설물의 일부를, 상기 제1 거리 이내에서 촬영한 근거리 촬영 이미지 및, 상기 제2 거리를 벗어나서 촬영한 원거리 촬영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자 보수 관리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말기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하자 이미지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보수 결과 이미지를 포함하는 보수 정보가 전송되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하자 이미지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보수 결과 이미지를, 같은 촬영 방식에 따라 촬영된 이미지끼리 서로 비교가 가능하도록 서로 대응하는 위치에 표시하며,
    상기 촬영 방식은,
    상기 제1 거리 이내에서 촬영되었는지 또는 상기 제2 거리를 벗어나서 촬영되었는지 여부에 따라 구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자 보수 관리 시스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하자 보수 요청과 관련된 하자 정보를 생성하는 제1 단말기와, 상기 하자 정보에 대응하는 시설물의 보수 결과에 관련된 보수 정보를 생성하는 제2 단말기, 및 상기 하자 정보를 상기 제2 단말기에 전송하고 상기 보수 정보를 상기 제1 단말기에 전송하는 서버를 포함하는 하자 보수 관리 시스템의 하자 관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 단말기가, 상기 시설물에서 발생한 하자의 유형에 관련된 하자 유형 정보 및 상기 하자에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하자 이미지를 포함하는 상기 하자 정보를 생성하는 제1 단계;
    상기 제1 단말기가, 상기 서버와 통신을 연결하여 상기 하자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서버와 통신을 다시 종료하는 제2 단계;
    상기 서버가, 상기 하자 정보에 포함된 하자 유형 정보를 분석하고 분석 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하자를 보수할 보수자를 결정하는 제3 단계;
    상기 서버가, 상기 결정된 보수자의 단말기인 상기 제2 단말기에 상기 하자 정보를 전송하는 제4 단계;
    상기 제2 단말기가, 상기 하자 정보를 표시 및 상기 하자의 보수 결과에 관련된 보수 정보를 생성하는 제5 단계;
    상기 제2 단말기가, 상기 서버와 통신을 연결하여 상기 보수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서버와 통신을 다시 종료하는 제6 단계; 및
    상기 서버가, 상기 보수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하자 보수를 요청한 요청자의 단말기인 상기 제1 단말기에 상기 보수 정보를 전송하는 제7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단말기는,
    상기 하자에 대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하자 이미지가 촬영될 당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하자 이미지를 촬영하는 상기 제1 단말기의 카메라 렌즈가 향하는 방향과 관련된 상기 제1 단말기의 자세 정보를 수집하는 제1 자세 센서; 및
    상기 하자에 대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하자 이미지가 촬영될 당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하자 이미지를 촬영하는 상기 제1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검출하는 제1 위치 정보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단말기에서 생성되는 하자 정보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하자 이미지, 상기 제1 단말기의 자세 정보 및 상기 제1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단말기는,
    상기 제2 단말기의 자세에 관련된 정보를 수집하는 제2 자세 센서 및 상기 제2 단말기의 위치를 검출하는 제2 위치 정보 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단말기는,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된 하자 정보에 포함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하자 이미지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면, 상기 하자 정보에 포함된 상기 제1 단말기의 자세 정보 및 상기 제1 단말기의 위치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선택된 하자 이미지를 촬영한 상기 제1 단말기의 카메라 렌즈가 향하는 방향 및 촬영 위치에 대응되는 가이드 정보를 표시하고,
    상기 제2 단말기의 상기 제2 자세 센서 및 상기 제2 위치 정보 모듈의 감지 값에 따른 상기 제2 단말기의 촬영 방향 및 촬영 위치를 표시하며,
    상기 제2 단말기의 촬영 방향 및 촬영 위치가, 상기 선택된 하자 이미지의 촬영 방향 및 촬영 위치에 대응되는 경우, 알림 정보를 출력하고,
    사용자의 선택에 근거하여, 상기 제2 단말기의 카메라를 통하여 촬영을 수행하고, 상기 제2 단말기의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영상을 상기 선택된 하자 이미지에 대응하는 보수 결과 이미지로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서버는,
    서로 다른 유형의 하자들에 각각 대응하는 보수자들의 정보를 포함하여,
    상기 제3 단계는,
    상기 서버가, 상기 보수자들의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하자 유형 정보를 분석한 결과에 대응하는 보수자를 자동으로 결정하는 단계임을 특징으로 하는 하자 보수 관리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계는,
    상기 제1 단말기가, 상기 하자가 발생한 시설물의 일부를, 기 설정된 제1 거리 이내에서 촬영하거나, 기 설정된 제2 거리를 벗어나서 촬영하여 적어도 하나의 하자 이미지를 저장하는 제1-1 단계; 및,
    상기 제1 단말기가, 저장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하자 이미지를 더 포함하는 상기 하자 정보를 생성하는 제1-2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자 보수 관리 시스템의 하자 보수 관리 방법.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KR1020180121343A 2018-10-11 2018-10-11 하자 보수 관리를 위한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20185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1343A KR102018556B1 (ko) 2018-10-11 2018-10-11 하자 보수 관리를 위한 관리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1343A KR102018556B1 (ko) 2018-10-11 2018-10-11 하자 보수 관리를 위한 관리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18556B1 true KR102018556B1 (ko) 2019-09-05

Family

ID=679494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1343A KR102018556B1 (ko) 2018-10-11 2018-10-11 하자 보수 관리를 위한 관리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1855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42224A (ko) * 2021-04-14 2022-10-21 나병일 오피스텔의 하자 보수 관리 시스템
KR102460292B1 (ko) * 2022-03-02 2022-10-27 에스케이디앤디 주식회사 집합건물 VoC 처리시스템
KR102558142B1 (ko) * 2022-10-24 2023-07-24 임호빈 업무 효율을 향상시킨 모바일 기반의 준공 점검과 입주 사전 점검 방법, 시스템 및 준공 점검 서버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68729A (ja) * 2010-09-21 2012-04-05 Mitsubishi Denki Information Technology Corp 情報処理装置及び管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2012194778A (ja) * 2011-03-16 2012-10-11 Toshiba Corp 原子力施設の保守支援システム及び支援方法
KR101422352B1 (ko) * 2012-11-05 2014-07-30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건설현장의 하자관리시스템 및 방법
KR101440188B1 (ko) * 2012-04-20 2014-09-17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하자관리시스템 및 하자관리방법
KR20140145030A (ko) * 2013-06-12 2014-12-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740514B1 (ko) * 2015-10-20 2017-06-08 미래이앤시주식회사 합성수지 파형관용 하자구간 검출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하자구간 검출공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68729A (ja) * 2010-09-21 2012-04-05 Mitsubishi Denki Information Technology Corp 情報処理装置及び管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2012194778A (ja) * 2011-03-16 2012-10-11 Toshiba Corp 原子力施設の保守支援システム及び支援方法
KR101440188B1 (ko) * 2012-04-20 2014-09-17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하자관리시스템 및 하자관리방법
KR101422352B1 (ko) * 2012-11-05 2014-07-30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건설현장의 하자관리시스템 및 방법
KR20140145030A (ko) * 2013-06-12 2014-12-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740514B1 (ko) * 2015-10-20 2017-06-08 미래이앤시주식회사 합성수지 파형관용 하자구간 검출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하자구간 검출공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42224A (ko) * 2021-04-14 2022-10-21 나병일 오피스텔의 하자 보수 관리 시스템
KR102598059B1 (ko) * 2021-04-14 2023-11-02 나병일 오피스텔의 하자 보수 관리 시스템
KR102460292B1 (ko) * 2022-03-02 2022-10-27 에스케이디앤디 주식회사 집합건물 VoC 처리시스템
KR102558142B1 (ko) * 2022-10-24 2023-07-24 임호빈 업무 효율을 향상시킨 모바일 기반의 준공 점검과 입주 사전 점검 방법, 시스템 및 준공 점검 서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23732B1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JP4812812B2 (ja) 携帯装置の傾斜及び並進運動成分の識別
US9870057B1 (en) Gesture detection using an array of short-range communication devices
KR102018556B1 (ko) 하자 보수 관리를 위한 관리 시스템 및 방법
CN102681958A (zh) 使用物理姿势传输数据
CN108924737B (zh) 定位方法、装置、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KR101844726B1 (ko) 건축물 감리용 드론 및 이를 이용한 건축물 감리방법
CN111327953B (zh) 直播投票方法及装置、存储介质
CN110457571B (zh) 获取兴趣点信息的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US20200084574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identifying location by electronic device
CN111553196A (zh) 检测隐藏摄像头的方法、系统、装置、以及存储介质
WO2021000956A1 (zh) 一种智能模型的升级方法及装置
CN111209313A (zh) 基于区块链的医疗项目数据的查询方法及装置
CN110852850A (zh) 共享物品推荐方法、装置、计算机设备及存储介质
CN112328911A (zh) 地点推荐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CN113269877B (zh) 获取房间布局平面图的方法和电子设备
US9756475B2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place recognition
CN110134902B (zh) 资料信息生成方法、装置及存储介质
JP2021013159A (ja) 情報処理装置、テレプレゼンスロボット、拠点制御システム、遠隔制御システム、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CN112818733A (zh) 信息处理方法、装置、存储介质及终端
CN110990728A (zh) 兴趣点信息的管理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US11950030B2 (en) Electronic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and recording medium
CN112529871B (zh) 评价图像的方法、装置及计算机存储介质
CN112101297B (zh) 训练数据集确定方法、行为分析方法、装置、系统及介质
JP7419121B2 (ja) 画像生成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