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62571B1 - 건축물 하자 관리 방법, 서버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건축물 하자 관리 방법, 서버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62571B1
KR102462571B1 KR1020200009668A KR20200009668A KR102462571B1 KR 102462571 B1 KR102462571 B1 KR 102462571B1 KR 1020200009668 A KR1020200009668 A KR 1020200009668A KR 20200009668 A KR20200009668 A KR 20200009668A KR 102462571 B1 KR102462571 B1 KR 1024625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defect
building
user terminal
constru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096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96353A (ko
Inventor
김창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모노라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모노라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모노라마
Priority to KR10202000096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62571B1/ko
Publication of KR202100963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963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25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25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8Constru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5Retrieval from the web
    • G06F16/951Indexing; Web crawling techniqu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20/00Machine learn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20Administration of product repair or mainten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06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the encryption apparatus using shift registers or memories for block-wise or stream coding, e.g. DES systems or RC4; Hash functions; Pseudorandom sequence generators
    • H04L9/0643Hash functions, e.g. MD5, SHA, HMAC or f9 MA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08Key distribution or management, e.g. generation, sharing or updating, of cryptographic keys or passwords
    • H04L9/0861Generation of secret information including derivation or calculation of cryptographic keys or passwor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08Key distribution or management, e.g. generation, sharing or updating, of cryptographic keys or passwords
    • H04L9/0894Escrow, recovery or storing of secret information, e.g. secret key escrow or cryptographic key stora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5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using hash chains, e.g. blockchains or hash tre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프로세서 및 메모리를 포함하고, 이용자 단말기에 하자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 또는 웹 페이지를 제공하는 하자 관리 서버에 의해 실행되는 건축물 하자 관리 방법은, 이용자 단말기로부터 개인식별정보 및 건물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건물정보에 기초한 하자 체크리스트에 따라 이용자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하자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하자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저장된 하자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된 하자 보수 신청을 업체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업체 장치로부터 수신한 하자보수 계획 및 공사진행 정보를 포함하는 보수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보수 정보를 상기 어플리케이션 또는 웹 페이지를 통해 상기 이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건축물 하자 관리 방법, 서버 및 시스템{METHOD, SERVER AND SYSTEM FOR MANAGING BUILDING DEFECT}
본 발명은 건축물 하자 관리 방법, 서버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신축 건물에 대한 자체점검, 입주자 사전점검, 입주 관리 등을 모바일 내지 온라인을 통해 실시하여, 하자에 대하여 신속히 체계적으로 대처할 수 있으며, 하자 관련 정보를 블록체인화하여 효율적이면서도 신뢰성 있는 관리가 가능한 건축물 하자 관리 방법, 서버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사업체는 신축 건물에 대해서 준공 시점 수십일 전에 건축물에 하자가 있는지를 자체점검하고, 입주자 요구사항을 만족시키기 위해 입주자 사전점검도 실시한다. 입주자 사전전검이란 입주자가 입주 전 미리 건물을 방문해서 둘러보고 하자가 있는지 확인하고 하자가 있을 경우 시공사에 보수를 요구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아파트 같은 경우 사전점검일에 관리사무실에서 점검표 및 하자체크용 스티커를 받아 해당 동호에 방문하여 사전점검을 하고 점검표를 제출하는 방식이다. 또한, 준공허가 승인을 받은 후 입주가 개시되면서, 키 불출, 검침, 시설물 확인, 입주현황 파악 등의 입주관리를 하게 된다.
이때, 점검과 관리 과정에서 하자가 발견되면, 원도급 공사업체는 하자가 발생된 부분의 공사를 담당한 하도급 업체에 재점검 및 보수작업을 지시하게 되고, 보수가 완료되면 이를 입주자 또는 본사에 알리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점검에서 보수까지의 절차가 현재는 오프라인에서 서면으로 이루어지고 있어서, 원도급 업체 본사, 현장 관리자, 입주자, 하도급 업체 등 이해관계자들 간에 의사전달 과정에서 하자에 대한 전달이 늦어지고, 각 당사자들의 관점이 서로 상이하여 하자에 대한 정확한 판단이 어려우며, 이로 인해 하자 대처가 늦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각 당사자들이 하자 발생 및 보수작업에 대한 데이터를 각각 별도의 장치(PC)로 관리하고 있어, 이중 작업이 발생하고, 이는 전수 검사가 아닌 샘플링 검사만을 수행하는 등 점검을 소홀히 하는 원인이 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하자 관리를 모바일 기기를 이용하여 처리하는 시스템들이 시도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시스템들은 주로 시공사나 시행사 중심의 시스템으로, 모든 하자 관련 데이터는 시공사 또는 시행사에 의해 관리되고 있어 입주자나 건축주의 이익이나 관점을 대변하지 못하고 있다. 즉, 하자 점검에서 전문가가 아닌 입주자는 관리업체나 시공사 등이 제공하는 체크리스트에 기반하여 하자 점검을 하게 되는데 이는 입주자의 신뢰나 이해를 제대로 얻기에 부족하다. 그리고, 건축물 사전점검 결과에 포함되는 하자 정보는 계약의 일방인 시행사측에 의해 수집 및 관리되므로 타방 당사자인 입주자에게는 이에 대한 관리 권한이 없어 서로 이해관계가 상반되는 쌍방 간에 정보의 비대칭성 문제가 있다. 따라서, 계약의 일방 주체인 입주자의 신뢰를 얻기 어렵고, 하자 정보 관리의 안전성 및 신뢰성 확보에 문제가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 10-1422352호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들을 해결하여 공개 정보에 기초하여 하자 체크리스트를 자동 생성하여 비전문가인 입주자에게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또한 입주자가 입주자 단말을 통해 생성한 하자 정보를 관리자나 관련업체 또는 허가 받지 않은 자가 임의로 수정할 수 없도록 보안성이 향상된 하자 관리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건축물 하자 관리 정보를 블록체인화하여 정보 비대칭성을 해소하고 하자 관리의 품질을 향상하되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고자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건축물 하자 관리 방법은, 이용자 단말기에 하자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 또는 웹 페이지를 제공하는 하자 관리 서버에 의해 실행되는 방법이고, 하자 관리 서버는 프로세서 및 메모리를 포함한다.
상기 건축물 하자 관리 방법은 이용자 단말기로부터 개인식별정보 및 건물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건물정보에 기초한 하자 체크리스트에 따라 이용자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하자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하자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저장된 하자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된 하자 보수 신청을 업체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업체 장치로부터 수신한 하자보수 계획 및/또는 공사진행 정보를 포함하는 보수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보수 정보를 상기 어플리케이션 또는 웹 페이지를 통해 상기 이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하자 관리 서버는 크롤링에 의해 설계 도면을 포함한 건축 정보를 수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자 관리 서버는 학습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학습부는 수집된 건축 정보를 이용하여 기계학습을 함으로써 인공지능학습모델을 생성한다.
상기 인공지능학습모델은 설계도면을 입력 셋(set)으로 하고, 해당 공간에 대한 정보인 영역 정보와 공사 정보를 출력셋(set)은 하여 기계학습을 함으로써 생성되는 것이다.
상기 하자 관리 서버는 체크리스트 생성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체크리스트 생성부에 의해 상기 영역 정보와 공사정보로부터 하자 체크리스트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보안키에 의해 암호화된 상기 개인식별정보 및 하자 정보는 분리된 별개의 데이터베이스에 각기 저장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하자 정보는 이용자, 하자항목 및 저장시점에 따라 각기 별개의 보안키에 의해 암호화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하자 관리 방법은 암호화된 하자 정보의 해쉬값을 블록체인 상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하자 항목은 영역정보, 공사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하자 정보는 영상, 이미지, 문자 및 음성 중 하나 이상의 데이터 형태인 하자 내용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하자 관리 서버는, 프로세서 및 메모리를 포함한다. 하자 관리 서버는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고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에 의해, 이용자 단말기에 하자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 또는 웹 페이지를 제공하여 건축물의 하자 관리를 수행한다.
상기 프로그램은, 이용자 단말기로부터 개인식별정보 및 건물정보를 수신하는 동작; 상기 건물정보에 기초한 하자 체크리스트에 따라 이용자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하자 정보를 수신하는 동작; 상기 하자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동작; 상기 저장된 하자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된 하자 보수 신청을 업체 장치로 전송하는 동작; 및 상기 업체 장치로부터 수신한 하자보수 계획 및 공사진행 정보를 포함하는 보수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보수 정보를 상기 어플리케이션 또는 웹 페이지를 통해 상기 이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자 관리 서버는 학습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학습부는 수집된 건축 정보를 이용하여 기계학습을 함으로써 인공지능학습모델을 생성한다.
상기 인공지능학습모델은 설계도면을 입력 셋(set)으로 하고 출력셋(set)은 해당 공간에 대한 정보인 영역 정보와 공사 정보로 하여 기계학습을 함으로써 생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건축물 하자 관리 서버는 복수의 데이터베이스를 구비하고, 보안키에 의해 암호화된 상기 개인식별정보 및 하자 정보는 각기 별개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다. 상기 하자 정보는 이용자, 하자항목 및 저장시점에 따라 각기 별개의 보안키에 의해 암호화된다.
암호화된 하자 정보의 해쉬값은 블록체인 상에 저장되고, 상기 해쉬값이 저장되는 블록체인 네트워크는 이용자 단말기와 건축물 하자 관리 서버를 블록체인 노드로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하자 관리 시스템은 하자 관리서버, 이용자 단말기 및 업체 장치를 포함한다.
하자 관리 서버는 메모리에 저장되고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에 의해, 이용자 단말기에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 또는 웹 페이지를 제공하여 건축물의 하자 관리를 수행한다.
이용자 단말기는 상기 어플리케이션 또는 웹 페이지를 통해 하자 정보를 입력하고 보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업체 장치는 상기 하자 관리 서버로부터 하자 요청을 수신하고 이에 대응하는 보수 정보를 전송하는 것이다.
상기 이용자 단말기에 입력된 개인식별정보 및 건물정보는 상기 하자 관리 서버로 전송되고, 상기 하자 관리 서버는, 상기 건물정보에 기초한 하자 체크리스트에 따라 입력된 하자 정보를 이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하고, 보안키에 의해 암호화된 상기 개인식별정보 및 하자 정보를 각기 별개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다.
상기 하자 정보는 이용자, 하자항목 및 저장시점에 따라 각기 별개의 보안키에 의해 암호화되며, 암호화된 하자 정보의 해쉬값은 블록체인 상에 저장된다.
상기 해쉬값이 저장되는 블록체인 네트워크는 이용자 단말기와 건축물 하자 관리 서버를 블록체인 노드로 포함한다.
본 발명은 건축물 하자 관리 시스템의 정보 비대칭성을 해소하고 보안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입주자 측에서 생성한 하자 정보의 허가 받지 않은 변경이나 수정, 삭제를 방지 및 추적할 수 있도록 하여, 쌍방 대립하는 이해 당사자 간에 신뢰와 형평성이 향상된 하자 관리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하자 관리 시스템의 개략도로서, 이용자 단말기, 서비스 관리 서버, 업체 장치 및 외부 장치와의 관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이용자 단말기, 서비스 관리 서버, 업체 장치 간의 정보 송수신 관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서비스 관리 서버에서 인공지능 학습을 위해 건축물의 하자점검용 설계 도면을 크롤링(crawling)에 의해 수집하는 것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서비스 관리 서버에서 설계도면으로부터 추출한 영역 정보 및 공사 정보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서비스 관리 서버의 학습부(210)가 설계 도면에서 학습을 통해 도출하는 데이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하자 관리 시스템에서 개인식별정보와 하자정보를 이원화하여 저장하는 개념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하자 관리 시스템에서 하자 정보의 암호화 및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개념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또는 통신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하자 관리 시스템의 서비스 관리 서버(200)와 이용자 단말기(100), 시공사 등의 공사를 수행하거나 책임지는 업체 장치(300), 기타 하청 업체 등의 작업자가 이용하는 외부 장치(400)와의 관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하자 관리 시스템을 설명하면, 하자 관리 시스템은 이용자 단말기(100), 서비스 관리 서버(200) 및 업체 장치(300)를 포함한다. 이용자 단말기(100), 서비스 관리 서버(200) 및 업체 장치(300)는 각기 프로세서, 메모리 및 통신 모듈을 포함하고,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정보처리장치이다.
입주자 또는 입주자의 대리인은 소지하는 이용자 단말기(100), 예를 들어 스마트폰, 노트북, 스마트워치, 태블릿 PC 등을 이용하여 입주 예정 건물의 하자점검을 수행하고 그 결과를 서비스 관리 서버(200)로 전송한다.
서비스 관리 서버(200)는 이용자 단말기(100)에 입주 예정 건축물의 현장 점검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 program) 또는 웹 페이지를 제공한다. 어플리케이션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모바일 클라이언트 어플리케이션은 iOS, 안드로이드, 윈도우 및 다른 모바일 플랫폼들 중 하나 이상과 호환 가능할 수 있고 사용자가 이들 전체 사용자 체험을 제어 및 관리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데 사용된다. 이의 기능들은 또한 웹 브라우저 또는 단일 목적의 태블릿 디바이스를 통해 이용 가능한 웹 페이지들 내에 임베딩될 수 있다.
아래에서 설명하는 본 발명의 방법들은 이용자 장치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 또는 웹페이지 내에 임베딩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으로 구현되고, 어플리케이션은 본 발명의 방법을 구현하기 위해 입력 및 출력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상기 어플리케이션 또는 웹 페이지에는 점검 대상 건축물 정보, 예를 들어 설계 도면, 건축물 주소(아파트명, 동, 호수 포함) 또는 입주자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UI(user Interface)가 제공된다.
도 2에 의하면, 입주자는 사용자 단말에 제공되는 상기 어플리케이션, 웹페이지에서 점검 대상 건물의 설계 도면, 건축물 주소(아파트명, 동, 호수 포함) 또는 입주자 정보를 입력한다. 서비스 관리 서버(200)는 입력된 건물 정보 또는 입주자 정보에 기초한 하자체크 리스트를 이용자 단말기로 제공한다. 입력된 건물 정보를 이용하여 하나 이상의 하자 항목을 포함하는 하자체크 리스트를 생성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후에 상술한다.
상기 이용자 단말기(100)에 제공되는 하자체크리스트에 따라 입주자 또는 그 대리인은 각종 하자 항목에 대응하는 하자 정보를 입력한다. 예를 들어, 거실 창문의 유리가 금이 가 있는 경우, 그 하자 내용을 문자, 음성, 촬영 이미지, 영상 등의 형태로 입력할 수 있고, 경우에 따라서는 깨짐/금/오염 등의 선택항목을 선택함으로써 입력할 수 있다.
이용자 단말기(100)는 입력된 하자 정보에 기초하여 하자 보고서를 생성하고 통신망을 통해 서비스 관리 서버(200)에 전송하면, 서비스 관리서버(200)는 하자 보고서를 수신 및 저장한다. 하자 보고서는 사용자별, 항목별, 저장시점별로 생성되는 raw data를 포함하고, 상기 raw data는 각기 Key Vault 방식으로 암호화되어 서비스 관리서버(200)로 전송되고, 전송된 암호화 데이터는 서비스 관리서버(200)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다. 서비스 관리 서버(200)는 하자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별도의 업체가 운영하는 서버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시공사 또는 시행사가 운영하는 서버일 수도 있다.
서비스 관리서버(200)는 상기 하자보고서나 하자정보를 업체 장치(300), 외부 장치(400)로 전송할 수 있다. 업체 장치(300)는 해당 건물의 시공사 서버 또는 시공사의 하자 담당자 단말기, 시행사 서버, 하청업체 단말기 등 해당 건물의 하자에 대해 책임을 지는 업체의 정보처리장치이면 족하다.
서비스 관리서버(200)로부터 하자 정보를 수신한 업체 장치(300)는 직접 또는 제3의 장치를 통해 하자 정보를 하도급 업체의 장치(400)로 전달한다. 하도급 업체 또는 시행사는 하자 처리를 한 결과인 보수 정보를 업체 장치(300) 또는 외부 장치(400)에 입력하고 이를 서비스 관리서버(200)로 전송한다. 서비스 관리 서버(200)는 수신한 보수 정보를 확인하고 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 후 이용자 단말기(100)로 전송한다.
이하, 이용자 단말기(100)에 입력된 건물 정보를 이용하여 하나 이상의 하자 항목을 포함하는 하자체크 리스트를 생성하는 방법에 대해 도 3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이용자 단말기(100)에는 건축물의 현장 점검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 program) 또는 웹 페이지가 관리 서버(200)에 의해 제공되고, 어플리케이션 또는 웹페이지는 관리 서버의 프로그램과 연동되어 실행된다. 이용자 단말기(100)에는 어플리케이션 또는 웹페이지에 의해, 건물 정보(아파트명, 동, 호수, 설계 도면 포함), 개인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UI(user Interface)가 제공된다. UI는 시각, 청각 등 다양한 수단으로 제공되고, 개인 정보는 입주자의 이름, ID 등 식별자, 주소, 주민번호, 전화번호, 입주예정 아파트 정보(주소, 동, 호수, 평형 타입)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이용자 단말기(100)에 제공되는 UI를 통해 개인정보가 입력되면, 상기 개인 정보는 관리 서버(200)로 전송되어 개인정보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다. 상기 개인 정보에 입주 예정 아파트 정보가 포함될 경우, 관리 서버는 해당 건물의 하자 체크리스트를 이용자 단말기(1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는 아파트 시공사 또는 공개 정보로부터 입수한 설계도면을 이용하여 관리서버(200)가 하자 체크 리스트를 생성하고 이를 이용자 단말기에 제공하게 된다.
도 3은 서비스 관리 서버(200)가 크롤링에 의해 아파트 정보 및 설계도면을 수집하는 것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관리 서버(200)는 크롤링에 의해 아파트 설계도면 이미지, 텍스트 등 다양한 아파트 관련 정보를 수집하고 전처리 과정을 통해 데이터를 변경한 후 이를 기계 학습에 이용하게 된다.
전처리 과정은, 설계도면을 흑백치환, 연결선상에 있는 line, 특히 bold line에 의해 경계 획득하고, 이때 창문(Window), 문(door) 도면 기호도 경계구분에 활용될 수 있다. 특히 문의 경우 열리는 방향에 따라 구분해 낸 경계의 공간이 일반 실(Room)인지, 아닌지를 구문할 때 활용될 수 있다. 경계 내의 텍스트와 이미지를 추출하고 text는 OCR로 읽고 경계가 공간에서 하는 역할을 예상 또는 파악할 수 있고, 경계 내 의 이미지가 무엇인지 인지하여, 인지된 내용과 OCR로 파악된 역할을 간단한 매칭(예 - 부엌/인버터, 거실/TV,쇼파, 화장실/변기,세면대)을 통해 비교하여 해당 공간의 역할을 확정할 수 있다. 이 때 도면 내에 치수 정보가 있으면 경계 정보를 더욱 명확히 획득할 수 있고, 범례가 있다면 기계학습에 활용하여 도면의 각각의 부호를 명확히 파악할 수 있다. 범례 이미지 자체, 예를 들어, 출입구, 미닫이문 등에 대한 기계학습을 통해 설계 도면 내의 각 부호를 알 수 있다.
관리 서버(200)의 학습부(210)는 설계도면을 입력 셋(set)으로 하고 출력셋(set)은 해당 공간에 대한 정보인 영역 정보와 공사 정보로 하여 기계학습을 함으로써 인공지능학습모델을 생성한다.
구체적으로, 학습부는 상기 설계도면을 입력셋으로, 설계도면에 포함된 영역의 기능 내지 용도에 대한 정보인 영역 정보(침실, 거실, 욕실, 부엌, 현관)와 대공종(건축, 설비, 전기 등 공사 대분류), 중공종(목창호공사, 타일공사, 도장공사, 유리 공사 등 공사 중분류), 세부공종(목문틀, PL 창호, 아트월, 유리코킹 등 공사 소분류)를 출력셋(output set)으로 한다. 도 4에는 이러한 영역 정보 및 공사 정보에 대한 예시가 표로서 도시되어 있다.
도 5에는 학습부(210)의 상기 기계 학습 결과 생성된 인공지능학습모델이 설계도면으로부터 추출하는 영역정보와 공사 정보가 예시적으로 도시된다. 설계도면은 전세계적인 규약이고, 가구나 설비(침대, 변기, 욕조) 등의 표현 형태가 대동소이하고 인터넷에 다양한 이미지가 배포되어 있어 학습이 용이하다. 관리서버(200)는 체크리스트 생성부를 더 포함하고, 체크리스트 생성부는 상기 영역 정보와 대공종, 중공종, 세부공종을 포함한 공사정보로부터 하자 체크리스트를 생성한다. 체크리스트 생성부는 사전에 정해진 테이블을 이용하여 영역 정보와 공사정보, 특히 세부공종에 기초하여 하자 체크리스트를 생성한다. 예를 들어, 거실, 건축, 타일공사, 아트월에 대해서는 타일 상태 점검(깨짐, 타일 들뜸 등)이 대응되어 있는 형태의 룩업테이블이 미리 작성되어 있고, 영역 정보 및 공사정보에 대응하는 각각의 체크하자가 상기 룩업테이블로부터 결정되는 방식으로 하자 체크리스트가 생성된다.
한편, 크롤링에 의해 수집된 아파트 정보는 특정 위치의 특정 아파트, 평형, 설계도면을 포함하고, 특정 아파트 동 호수에 대응하는 설계 도면이 저장되어 있어, 이용자 단말기(100)를 통해 특정 아파트 동, 호수를 입력하면, 이에 대응하는 설계도면과 이로부터 생성되는 하자 체크리스트가 연관되어 있어 이용자 단말기로부터 설계도면을 입력할 필요가 없을 수도 있다.
이처럼 인공지능학습모델을 이용하여 설계도면으로부터 하자체크리스트를 생성할 경우, 시공사로부터 별도 정보를 입수하지 않아도 관리서버가 자동으로 아파트 등 건축물의 하자체크리스트를 생성할 수 있다. 지속적인 기계 학습에 의해 인공지능학습모델의 영역정보 및 공정 정보 추출 정확도는 향상되고, 학습된 결과물은 아파트 입주자들의 보정 또는 관리자, 시공사 등의 보정을 거쳐 더욱 정확하고 정교화된다.
한편, 입주자는 이용자 단말기(100)에 제공되는 하자 체크리스트에 따라서 건물의 하자를 점검하고 하자 정보를 입력한다. 예를 들어, 침실 1의 창틀의 유리에 하자가 없는지 확인하고 유리에 금이 가 있다면 이를 이용자 단말에 포함된 카메라로 촬영하고 촬영된 이미지 또는 영상을 입력한다. 사진만으로 상황을 인지할 수 있도록하여 '창문에 금이 갔음' 이라고 인공지능알고리즘에 의해 인지할 수 있고, 이를 Default로 setting 할 수 있어 사용자 편의를 제공할 수 있고, 누적되는 사진과 하자내용을 지속적으로 학습시키면 별도의 입력없이 정리할 수 있다.
추가로 "유리창의 금"이라는 하자 내용을 문자 또는 음성으로 입력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하자 체크리스트는 이용자 단말기(100)에 사전에 입력된 인공지능학습 모델에 의해 생성될 수도 있다. 즉, 관리서버(200)의 학습부(210)에서 기계학습에 의해 생성된 인공지능학습모델이 이용자 단말기(100)에 전송되어 사전에 저장되거나 수시로 업데이트될 수 있다. 이용자 단말기(100)에 포함된 카메라 모듈을 통해 설계도면이 촬상되어 입력되면 설계도면에 기초하여 인공지능학습 모델을 이용하여 하자 체크리스트가 관리서버(200)가 아닌 이용자 단말기(100)에서 생성될 수도 있다. 이때 하자 체크리스트의 생성 방법은 인공지능학습모델에 의해 추출된 영역정보 및 공정정보에 기초하여 룩업테이블 등에서 각각의 체크될 하자가 결정되는 방식으로 생성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이하 도 6 내지 8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용자 단말기(100)를 통해 입력된 하자 정보는 각기 관리 서버(200)로 전송되어 하자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다. 그런데, 이처럼 통신망을 통해 단말기 등 다양한 외부 장치와 연결되는 서버의 경우 외부 해커의 공격에 노출될 수 있고, 또 관리 서버(200)의 관리자에 의해 임의로 수정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특히 관리 서버(200)가 시공사 또는 시행사에 의해 운영될 경우, 계약 일방으로 이해관계자인 시공자 등에 의해 유리한 방식으로 하자 정보가 수정, 변경될 수 있어 입주자 또는 건축주에게 신뢰를 줄 수 없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자는 하자 관련 데이터를 이원화하여 하자 정보와 개인정보를 서로 다른 데이터베이스에 각기 저장하되, 하자 정보와 개인 정보를 각각 별개의 보안 키(security key)로 암호화하여 저장하며, 항목별 하자 정보 및 보안 키를 블록체인화 한다.
도 6에는 관리서버(200)의 구조와 데이터 이원화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으로서, 하자 정보 데이터베이스(261)와 개인 정보 데이터베이스(262)는 관리 서버(200)에 의해 관리 및 모니터링 되는 것으로 관리서버에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별개의 저장장치를 구비할 수도 있다.
도 6에 의하면, 개별 이용자가 소지한 이용자 단말기(100)에서 하자정보와 개인식별정보는 각기 다른 암호화 키에 의하여 암호화되어 관리 서버(200)로 전송된다. 관리 서버(200)의 데이터베이스(261, 262)에 각기 다른 암호화키에 의해 암호화된 정보가 저장된다.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는 하자 정보는 이용자별, 항목별, 저장시점별로 각기 별개의 데이터로서 다른 보안키에 의해 암호화된다. 즉, 개별 하자 내용(유리 파손 사진, 파손 내용을 설명하는 음성, 문자)이 하나의 raw data로 암호화되어 하자정보 데이터베이스(261)에 저장된다.
개인식별정보에는 이용자(입주자) 식별자(ID), 이름, 주민번호, 보유 건물의 주소가 포함된다. 하자 정보에는 이용자 식별자, 하자항목정보(건물 정보, 영역정보, 공정정보), 하자 내용, 시간 정보가 포함된다. 하자내용은 하자의 이미지 또는 영상, 텍스트, 음성 등을 포함하고, 하자내용을 제외한 다른 하자 정보인 이용자 식별자, 하자항목정보, 저장시간은 하자내용 데이터의 메타데이터로 저장될 수도 있고, 하자내용과 함께 구조화된 하자정보로 저장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하자정보는 이용자 ID, 서울시 00구 00동 000번지 00동 00호, 침실 1, 목창호공사, 문목틀, 창틀 파손 사진, 2020/01/12/09:32:23의 구조화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이용자의 항목별 하자 정보 또는 하자 내용은 이용자, 하자항목 및 저장시점에 따라 각기 별개의 보안키에 의해 암호화되어 저장된 후 관리서버(200)로 전송되어 데이터베이스(261)에 저장된다. 이와는 별개로 이용자의 개인식별정보도 암호화되어 관리서버로 전송되어 데이터베이스(262)에 저장된다. 이 때 보안키는 이용자, 하자항목 및 저장시점에 따라 각기 상이한 보안키가 적용되어, key vault에 의해 관리되고 추출된다.
즉, 별도의 보안키 저장소에 보안키들이 저장되고 API에 의해 어플리케이션 및 관리 서버의 프로그램에 연동된다. 관리서버를 통해 업체 장치가 특정 하자 정보 및 이용자의 개인정보에 접근하기 위해서는 이용자의 승인을 받아야 하는데 이 경우 key vault의 일반적인 방식에 의한다. 즉, 이용자는 암호화에 사용된 key 값들을 key vault에서 분출하여 인지할 수 있도록 하며, 이때 key vault는 이용자에 대한 인증을 필요로 하며, 인증에 성공하면 key vault 에서 제공되는 API 방식 같은 연동으로 관리서버에 통보한다.
이용자 단말기(100)에서 각각의 암호화된 항목별 하자 정보(raw data)는 해쉬함수(hash function)에 의해 해쉬값이 도출된다. 상기 하자 정보 raw data의 해쉬값, 저장시점에 따른 블록 version, 암호화된 항목별 하자 정보(raw data)의 pointer(하자정보의 저장소 타입-File/Database-에 따른 데이터 position /파일경로, 주소/저장위치), 이용자 ID, 상기 하자정보 raw data의 보안 키 및 데이터 type(하자항목)을 블록으로 하는 블록체인을 형성하여 저장할 수 있다. 여기에서 관리서버(200) 또는 해당 하자정보가 입력된 이용자 단말기(100)가 genesis node로서 해당 블록을 생성하고, 이용자 단말기(100)들, 업체 장치(300)들, 관리서버(200)를 포함하는 private chain을 고려할 수 있다. 이 프라이빗체인에 하자정보(raw data)의 해쉬값과 이용자 식별자, 보안키, 하자항목을 포함하는 블록이 분산원장으로 저장된다.
각각의 블록에는 블록헤더, 블록값(하자 정보 raw data의 해쉬값, 저장시점에 따른 블록 version, 암호화된 항목별 하자 정보(raw data)의 pointer, 이용자 ID, 상기 raw data의 보안 키 및 데이터 type), 블록해쉬값이 포함되어 상기 프라이빗체인에 저장된다.
또 다른 방식에 의해, 스마트컨트랙트 정보가 저장되고, 변호사 등이 추가로 데이터를 참조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은 개인식별정보와 하자 정보를 이원화하여 각기 상이한 보안키에 의해 암호화하여 관리서버의 데이터베이스에 각기 저장함으로써 데이터 자체의 저장은 중앙화되어 있어 하자 관리 등이 용이하면서도 개인정보의 보안성이 향상된다.
한편, 하자정보, 특히 암호화된 하자내용 raw data의 해쉬값과 이용자 식별자, raw data 포인터, 보안키를 포함하는 블록체인을 형성하여 이용자 단말기를 포함하는 프라이빗체인에서 분산저장함으로써 중앙화된 하자 정보의 위변조를 방지하고 확인할 수 있다.
해커나 임의의 당사자가 관리서버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하자정보를 위조 또는 변조할 경우 raw data의 해쉬값이 변하게 되므로, 해당 하자 정보 raw data에 대응하는 블록의 블록해쉬값과 raw data의 해쉬값을 이용한 블록해쉬값을 대조함으로써 위변조 여부를 쉽게 확인할 수 있다. 또한, 하자정보 raw data 자체는 용량이 커 블록체인화하기에 적절하지 않고, 분산화할 경우 데이터 관리성이 낮아 하자 보수 시스템이 원활하게 운영되기 힘들다. 따라서, 하자 정보 자체는 중앙화하면서 하자 정보(Raw data)의 해쉬값을 블록체인화함으로써 데이터 위변조를 감시할 수 있다.
단일 서버로 구현될 경우, 하자 관리 서버(200)는 컴퓨터 판독 가능 프로그램 코드 또는 프로세스 구현 명령어들이 실행될 수 있는 컴퓨터로서, 프로세서, 저장부(메모리 또는 영구 스토리지), 통신부, 입출력 유닛을 포함한다. 프로세서는 메모리에 로드될 수 있는 소프트웨어에 대한 명령을 실행하는 데 사용되고,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집합이거나 멀티 프로세서 코어(특정 구현에 따라 다름)일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는 메인 프로세서가 단일 칩에 있는 하나 이상의 이질적인 프로세서 시스템을 사용하여 구현할 수 있고 또 다른 예로, 동일한 유형의 여러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대칭 다중 프로세서(SMP) 시스템일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100)는 사용자가 소지하는 정보처리 장치로서 프로세서, 메모리, 통신모듈, 위치정보를 제공하는 GPS 모듈, 사용자의 운동 정보를 획득할 수 있는 가속도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장치는 예를 들어, 스마트 워치 등의 웨어러블 디바이스, 스마트폰, 태블릿PC 등으로서, 외부와 통신이 가능하고 위치 감지 가능한 정보처리 장치라면 그 종류에 구애 받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부"는 프로세서 또는 회로와 같은 하드웨어 구성(hardware component), 및/또는 프로세서와 같은 하드웨어 구성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구성(software component)일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이용자 단말기 200: 관리서버

Claims (10)

  1. 프로세서 및 메모리를 포함하고, 이용자 단말기에 하자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 또는 웹 페이지를 제공하는 하자 관리 서버에 의해 실행되는 건축물 하자 관리 방법으로서,
    건물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된 하자 체크리스트에 따라 이용자 단말기에 입력되는 하자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하자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저장된 하자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된 하자 보수 신청을 업체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업체 장치로부터 수신한 하자보수 계획 및 공사진행 정보를 포함하는 보수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보수 정보를 상기 어플리케이션 또는 웹 페이지를 통해 상기 이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건물정보는 설계도면 또는 건축물 주소를 포함하고,
    체크될 하나 이상의 하자 항목을 포함하는 상기 하자 체크리스트는 영역정보 및 공사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되고, 영역정보 및 공사정보는 상기 설계도면 또는 건축물 주소에 대응하는 설계도면으로부터 인공지능학습모델을 이용하여 추출되고,
    상기 하자 관리 서버는 학습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학습부는 수집된 설계도면를 입력 셋으로, 공사정보와 영역정보를 출력 셋으로 하여 기계 학습을 함으로써 상기 인공지능학습모델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하자 관리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자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전에,
    이용자 단말기로부터 건물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건물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된 하자 체크리스트를 이용자 단말기로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하자 관리 서버는 크롤링에 의해 설계도면을 포함한 건축 정보를 수집하여 상기 기계 학습에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하자 관리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학습부에서 기계학습에 의해 생성된 인공지능학습모델이 이용자 단말기에 사전에 전송되어 저장되거나 수시로 업데이트되고,
    이용자 단말기에 설계도면이 입력되면 입력된 설계도면으로부터 상기 인공지능학습 모델을 이용하여 하자 체크리스트가 이용자 단말기에서 생성되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하자 관리 방법.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영역정보는 침실, 거실, 욕실, 부엌, 현관과 같은 설계도면에 포함된 영역의 기능 또는 용도에 대한 정보이고,
    상기 공사정보는 대공종, 중공종 및 세부공종을 포함하고,
    대공종은 건축, 설비, 전기 등의 공사 대분류이고, 중공종은 목창호공사, 타일공사, 도장공사, 유리 공사 등의 공사 중분류이고, 세부공종은 목문틀, PL 창호, 아트월, 유리코킹 등의 공사 소분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하자 관리 방법.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보안키에 의해 암호화된 상기 하자 정보를 분리된 별개의 데이터베이스에 각기 저장하는 단계; 및
    암호화된 하자 정보의 해쉬값을 블록체인 상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하자 정보는 이용자, 하자항목 및 저장시점에 따라 각기 별개의 보안키에 의해 암호화되고,
    상기 하자 정보는 영상, 이미지, 문자 및 음성 중 하나 이상의 데이터 형태인 하자 내용을 포함하는 건축물 하자 관리 방법.
  6. 프로세서 및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고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에 의해, 이용자 단말기에 하자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 또는 웹 페이지를 제공하여 건축물의 하자 관리를 수행하는 하자 관리 서버로서,
    상기 프로그램은,
    이용자 단말기로부터 개인식별정보 및 건물정보를 수신하는 동작;
    상기 건물정보에 기초한 하자 체크리스트에 따라 이용자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하자 정보를 수신하는 동작;
    상기 하자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동작;
    상기 저장된 하자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된 하자 보수 신청을 업체 장치로 전송하는 동작; 및
    상기 업체 장치로부터 수신한 하자보수 계획 및 공사진행 정보를 포함하는 보수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보수 정보를 상기 어플리케이션 또는 웹 페이지를 통해 상기 이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동작;을 포함하고,
    상기 건물정보는 설계도면 또는 건축물 주소를 포함하고,
    체크될 하나 이상의 하자 항목을 포함하는 상기 하자 체크리스트는 영역정보 및 공사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되고, 영역정보 및 공사정보는 상기 설계도면 또는 건축물 주소에 대응하는 설계도면으로부터 인공지능학습모델을 이용하여 추출되고,
    상기 하자 관리 서버는 학습부를 포함하고, 상기 학습부는 수집된 설계도면를 입력 셋으로, 해당 공간에 대한 정보인 영역정보와 공사정보를 출력 셋으로 하여 기계 학습을 함으로써 상기 인공지능학습모델을 생성하는, 건축물 하자 관리 서버.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건축물 하자 관리 서버는 복수의 데이터베이스를 구비하고,
    보안키에 의해 암호화된 상기 개인식별정보 및 하자 정보는 각기 별개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고,
    상기 하자 정보는 이용자, 하자항목 및 저장시점에 따라 각기 별개의 보안키에 의해 암호화되고,
    암호화된 하자 정보의 해쉬값은 블록체인 상에 저장되고,
    상기 해쉬값이 저장되는 블록체인 네트워크는 이용자 단말기와 건축물 하자 관리 서버를 블록체인 노드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하자 관리 서버.
  8. 메모리에 저장되고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에 의해, 이용자 단말기에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 또는 웹 페이지를 제공하여 건축물의 하자 관리를 수행하는 하자 관리 서버,
    상기 어플리케이션 또는 웹 페이지를 통해 하자 정보를 입력하고 보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는 이용자 단말기, 및
    상기 하자 관리 서버로부터 하자 요청을 수신하고 이에 대응하는 보수 정보를 전송하는 업체 장치를 포함하는 건축물 하자 관리 시스템으로서,
    상기 이용자 단말기에 입력된 개인식별정보 및 건물정보는 상기 하자 관리 서버로 전송되고,
    상기 하자 관리 서버는, 상기 건물정보에 기초한 하자 체크리스트에 따라 입력된 하자 정보를 이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하자 관리 서버는 학습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학습부는 수집된 설계도면를 입력 셋으로, 영역정보와 공사정보를 출력 셋으로 하여 기계 학습을 함으로써 인공지능학습모델을 생성하고,
    체크될 하나 이상의 하자 항목을 포함하는 상기 하자 체크리스트는 영역정보 및 공사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되고, 영역정보 및 공사정보는 상기 건물정보의 설계도면으로부터 인공지능학습모델을 이용하여 추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하자 관리 시스템.
  9. 제 8항에 있어서,
    하자 정보는 암호화되고, 암호화된 하자 정보의 해쉬값은 블록체인 상에 저장되고,
    상기 해쉬값이 저장되는 블록체인 네트워크는 이용자 단말기와 건축물 하자 관리 서버를 블록체인 노드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하자 관리 시스템.

  10. 삭제
KR1020200009668A 2020-01-28 2020-01-28 건축물 하자 관리 방법, 서버 및 시스템 KR1024625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9668A KR102462571B1 (ko) 2020-01-28 2020-01-28 건축물 하자 관리 방법, 서버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9668A KR102462571B1 (ko) 2020-01-28 2020-01-28 건축물 하자 관리 방법, 서버 및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96353A KR20210096353A (ko) 2021-08-05
KR102462571B1 true KR102462571B1 (ko) 2022-11-03

Family

ID=773164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9668A KR102462571B1 (ko) 2020-01-28 2020-01-28 건축물 하자 관리 방법, 서버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6257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13765B1 (ko) * 2021-09-06 2023-12-14 주식회사 평행공간 3d 투어를 이용한 건축물의 하자 보수 요청 장치 및 방법
KR102525882B1 (ko) * 2022-10-18 2023-04-25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산업현장 안전 관리 방법 및 시스템
KR102558142B1 (ko) * 2022-10-24 2023-07-24 임호빈 업무 효율을 향상시킨 모바일 기반의 준공 점검과 입주 사전 점검 방법, 시스템 및 준공 점검 서버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262580A (ja) * 2009-05-11 2010-11-18 Toshiba Elevator Co Ltd チェックシステム、該チェックシステムを備える設備計画システム及び設備計画方法
KR101683441B1 (ko) * 2016-05-26 2016-12-07 주식회사 휴다임건축사사무소 모바일 기반의 준공 점검 방법 및 시스템
KR101911447B1 (ko) * 2018-05-09 2018-10-24 권오성 구조설계 도면의 패턴분석을 통한 3차원 구조해석 모델 생성 장치
KR101957064B1 (ko) * 2017-12-29 2019-03-11 건양대학교산학협력단 블록체인 상의 개인정보보호를 위한 otp 기반 복호화 시스템
JP6521170B1 (ja) * 2018-12-12 2019-05-29 ジャパンパイル株式会社 施工データの管理システム及びそ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2352B1 (ko) 2012-11-05 2014-07-30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건설현장의 하자관리시스템 및 방법
KR101695522B1 (ko) * 2014-11-28 2017-01-12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건축물 유지관리 시스템
KR20180101074A (ko) * 2017-03-03 2018-09-1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3차원 지도 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262580A (ja) * 2009-05-11 2010-11-18 Toshiba Elevator Co Ltd チェックシステム、該チェックシステムを備える設備計画システム及び設備計画方法
KR101683441B1 (ko) * 2016-05-26 2016-12-07 주식회사 휴다임건축사사무소 모바일 기반의 준공 점검 방법 및 시스템
KR101957064B1 (ko) * 2017-12-29 2019-03-11 건양대학교산학협력단 블록체인 상의 개인정보보호를 위한 otp 기반 복호화 시스템
KR101911447B1 (ko) * 2018-05-09 2018-10-24 권오성 구조설계 도면의 패턴분석을 통한 3차원 구조해석 모델 생성 장치
JP6521170B1 (ja) * 2018-12-12 2019-05-29 ジャパンパイル株式会社 施工データの管理システム及びそ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96353A (ko) 2021-08-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76223B2 (en) Media management system
US11276131B2 (en) Property management system utilizing a blockchain network
US11468408B2 (en) Building automation system with visitor management
KR102462571B1 (ko) 건축물 하자 관리 방법, 서버 및 시스템
CN104040543B (zh) 基于文件库和云的文档公正服务
US20130325704A1 (en) Social media and social networks for event credentialing
US20160292493A1 (en) Determining access permission
WO2019200737A1 (zh) 不动产资料上传方法、装置、计算机设备和存储介质
JP2024038422A (ja) 顔認証管理サーバおよび顔認証管理方法
US20140346222A1 (en) System and method for management of collected field samples
KR20200094897A (ko) 건물의 하자 진단 보고서를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
US11196810B2 (en) System and method for dynamically generating a site survey
AU2018286643A1 (en) Method and system for identity proofing
US20160004880A1 (en) Method and System for Personal Identity Verification
JP7221182B2 (ja) 鍵管理方法および鍵管理システム
JP2023157932A (ja) 顔認証登録装置および顔認証登録方法
US20220292549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computer-aided appraisal
KR101648018B1 (ko) 참여 방식의 가족관계 형성 활동 제공을 위한 네트워크 서비스 시스템 및 그에 의한 가족사 형성 방법
CN114175599B (zh) 用于楼宇管理环境的警报问题管理
JP2002092083A (ja) 建設現場管理システム
JP7296607B2 (ja) 顔認証機および顔認証方法
JP7373211B2 (ja) 情報処理方法、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JP7266185B2 (ja) 顔認証システムおよび顔認証方法
JP7299598B2 (ja) 契約管理サーバ
WO2024003985A1 (ja) サーバ装置、システム、サーバ装置の制御方法及び記憶媒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