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95522B1 - 건축물 유지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건축물 유지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95522B1
KR101695522B1 KR1020140168920A KR20140168920A KR101695522B1 KR 101695522 B1 KR101695522 B1 KR 101695522B1 KR 1020140168920 A KR1020140168920 A KR 1020140168920A KR 20140168920 A KR20140168920 A KR 20140168920A KR 101695522 B1 KR101695522 B1 KR 1016955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pection
maintenance
building
information
insp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689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65361A (ko
Inventor
김경주
윤원건
김도근
윤광원
이윤성
Original Assignee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401689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95522B1/ko
Publication of KR201600653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653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55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55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effecting co-operative working between equipments covered by two or more of main groups G06K1/00 - G06K15/00, e.g. automatic card files incorporating conveying and reading operation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사물 시각화 정보 제공 방법은, 건축물에 포함된 복수의 점검 대상물에 대한 제원 정보, 위치공간 정보, 태그 ID, 점검 주기, 교체 주기, 점검 항목, 점검 내용 및 점검 방안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건축물 유지관리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건축물 유지관리 정보를 기초로 점검 스케줄 및 위치공간별 리스트를 자동으로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점검 스케줄을 기초로 하여, 제1 시점에 점검이 수행되어야 할 제1 점검 대상물에 부착된 태그에 대한 제1 접촉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접촉 신호를 기초로 상기 제1 점검 대상물에 대응되는 체크리스트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제1 점검 대상물에 대응되는 체크리스트에 대한 작업 수행 결과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점검 대상물에 대한 작업 수행 종료 후, 상기 제1 점검 대상물에 부착된 태그에 대한 제2 접촉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점검자가 점검항목의 특성 및 점검방안, 기존유지관리 이력 등을 쉽게 파악하고, 새로운 점검 사항 및 유지관리 내용을 실시간으로 입력할 수 있으므로 건축물 유지관리 업무의 시간적 효율성 확보 및 이로 인한 비용절감효과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관리자와 점검자, 보수자간 서로 정보를 공유하고, 점검자의 전문성 향상을 위해 각 설비별 체크리스트를 고도화하여 현장에서 문제 발생 시 관리자와 정보공유를 통해 공동으로 대응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유지관리 이력을 DB화하여 설비별 보수시기, 예산투입시기 및 보수단가 결정 등 건축물 유지관리에 필요한 의사결정을 지원할 수 있다.

Description

건축물 유지관리 시스템 {BUILDING MAINTENANCE AND MANAGEMENT SYSTEM}
본 발명은 건축물 유지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건축물 유지관리 효율성을 위한 점검진단 및 관리업무 프로세스에 관한 것이다.
국내의 경우 저층위주의 도시 건축물들이 중, 고층의 건축물들로 변화되고 있는 과정에 있으며, 건축된 지 20~30년 이상의 건축물들이 매우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다. 이들 건축물들의 상태는 시간의 경과와 함께 기능의 저하 혹은 노후화되어 가는 비율이 높아지고 있는 상태이다.
그러나, 기존 유지관리 체계는 노동집약적인 형태를 띄며, 시행상 필요로 하거나 생성되는 정보의 수집 및 활용에 시간과 비용측면에서 비효율성이 발생해왔다. 또한, 기존 법령상 사용승인 이후부터는 소유자나 관리자의 독자적 판단에 의해서만 유지 관리되며, 유지관리에 필요한 구체적인 기준이 없어 관리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였다.
이에, 2013년 국토교통부에서는 건축물 유지관리 점검제도의 객관성 및 실효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건축물 유지관리 점검 매뉴얼을 새로 제정하여 시행하였고, 새롭게 재정된 내용에 의하면 다중이용건축물 등의 소유자나 관리자는 사용승인 후 10년이 지난날부터 2년마다 점검자, 건축분야 안전진단 전문기관을 선정하여 정기 점검을 하고 그 결과를 허가권자에게 보고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그러나, 현재의 건축물 유지관리는 유지관리대장 및 유지관리 계획서에 따라 적용되며 수시점검, 일상점검, 정기점검, 정밀안전점검들을 통해 이상 및 결함을 발견하여 보수, 보강하는 체계를 갖추고 있으나, 유지관리 기준 및 부재별 매뉴얼, 교육 및 전문화 미흡, 유지관리대상의 이력관리체계 미흡, 유지관리 기술 및 정보 공유 효율성 부족, 유지관리 의사결정 지원체계 미흡, 유지관리 업무의 효율성 저하 등의 문제점이 상존하고 있다.
따라서, 기존의 아날로그 형식으로 이루어지던 건축물 안전점검의 비효율성을 극복하고, 유지관리 이력관리의 편의를 극대화하며, 각 시설의 유지관리 주체 간 정보공유 및 양방향 의사소통이 가능한 건축물 유지관리 시스템에 대한 연구 개발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인터넷 환경 및 근거리 무선통신 하에서, 하나의 건축물에서 관리되어야 할 각종 설비에 대한 유지관리 업무를 수행하고, 유지관리 주체 간 원활한 정보공유와 업무 모니터링이 가능한 건축물 유지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각종 이력자료를 데이터베이스화 함으로서 예방보전, 업무처리비용 절감 및 보수시점 예측 등을 위한 정보를 제공하는 건축물 유지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유지관리 방법은, 건축물에 포함된 복수의 점검 대상물에 대한 제원 정보, 위치공간 정보, 태그 ID, 점검 주기, 교체 주기, 점검 항목, 점검 내용 및 점검 방안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건축물 유지관리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건축물 유지관리 정보를 기초로 점검 스케줄 및 위치공간별 리스트를 자동으로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점검 스케줄을 기초로 하여, 제1 시점에 점검이 수행되어야 할 제1 점검 대상물에 부착된 태그에 대한 제1 접촉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접촉 신호를 기초로 상기 제1 점검 대상물에 대응되는 체크리스트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제1 점검 대상물에 대응되는 체크리스트에 대한 작업 수행 결과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점검 대상물에 대한 작업 수행 종료 후, 상기 제1 점검 대상물에 부착된 태그에 대한 제2 접촉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접촉 신호는 상기 제1 점검 대상물에 대한 작업 개시 신호이고, 상기 제2 접촉 신호는 상기 제1 점검 대상물에 대한 작업 완료 신호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유지관리 방법은, 상기 제1 접촉 신호 및 제2 접촉 신호를 기초로 하여, 점검 소요시간을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점검 대상물에 대한 작업 수행 결과 및 상기 점검 소요시간을 포함하는 점검 이력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검검 대상물에 대한 운영상태 정보를 실시간으로 획득하고, 상기 점검 이력 정보 및 상기 운영상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점검 대상물에 대한 보수주기를 예측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유지관리 방법은, 상기 위치공간별 리스트는, 상기 복수의 점검 대상물이 설치되어 있는 위치 공간이 표시된 하나 이상의 지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점검 대상물에 대한 작업 종료 후, 상기 점검 스케줄을 기초로 하여 제2 시점에 점검이 수행되어야 할 제2 대상물이 설치된 위치공간별 리스트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점검자가 점검항목의 특성 및 점검방안, 기존유지관리 이력 등을 쉽게 파악하고, 새로운 점검 사항 및 유지관리 내용을 실시간으로 입력할 수 있으므로 건축물 유지관리 업무의 시간적 효율성 확보 및 이로 인한 비용절감효과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관리자와 점검자, 보수자간 서로 정보를 공유하고, 점검자의 전문성 향상을 위해 각 설비별 체크리스트를 고도화하여 현장에서 문제 발생 시 관리자와 정보공유를 통해 공동으로 대응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유지관리 이력을 DB화하여 설비별 보수시기, 예산투입시기 및 보수단가 결정 등 건축물 유지관리에 필요한 의사결정을 지원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유지관리 시스템이 동작하는 환경을 나타내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유지관리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유지관리 시스템의 표준 분류 체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표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유지관리 매뉴얼을 설명하기 위한 도표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유지관리 시스템의 체크리스트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 위한 도표이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유지관리 시스템에 따른 관리자 장치 상에 실행되는 소프트웨어를 예로 들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유지관리 업무 프로세스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이다.
도 12 내지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유지관리 시스템에 따른 점검자 장치 상에 실행되는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예로 들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유지관리 업무 프로세스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이다.
도 21 내지 도 2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유지관리 시스템에 따른 점검자 장치 상에 실행되는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예로 들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을 용이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의해 한정되지 아니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용어 중 "접속" 이나 "연결"은 반드시 직접적인 접속 또는 연결만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며, 매개체를 통한 간접적인 접속 또는 연결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또한 "모듈" 또는 "부"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하는 용어이므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도는 기능을 가지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의 설명 과정에서 이용되는 숫자(예를 들어, 제1, 제2 등)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한 식별기호에 불과하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여기서, 도면은 본 발명에 관한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이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도면상 동일한 도면 부호가 사용되고, 중복된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특별한 정의나 언급이 없는 경우에 본 설명에 사용하는 방향을 표시하는 용어는 도면에 표시된 상태를 기준으로 한다.
한편, 도면상에서 표시되는 각 구성은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그 두께나 치수가 과장될 수 있으며, 실제로 해당 치수나 구성간의 비율로 구성되어야 함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아니하고 수정 또는 변형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아니하는 수정 또는 변형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아니하는 수정예 또는 변형예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후술할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지 아니한다.
1. 동작 환경
이하에서는,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유지관리시스템이 동작하는 환경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유지관리 시스템이 동작하는 환경을 개략적으로 나타내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 유지관리 시스템(1)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관리자 장치(10), 점검자 장치(20) 및 보수자 장치(30)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관리자 장치(10)는 건축물의 유지관리를 위한 전체 프로세스를 관리하고, 건축물의 점검 및 보수 작업을 지시하는 관리 주체에게 할당된 장치이다. 상기 관리자 장치(10)는, 예를 들어, PC, 노트북 컴퓨터 등일 수 있으며, 관리자용 웹 소프트웨어에 의해 상기 건축물의 유지관리 업무가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건축물 유지관리 시스템(1)은, 상기 관리자 장치(10)와 무선 인터넷 통신, 예를 들어 TCP/IP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각종 정보를 주고 받을 수 있다.
점검자 장치(20)는 건축물에 대한 점검 작업을 수행하는 점검자에게 할당된 장치이고, 보수자 장치(30)는 건축물에 대한 보수 작업을 수행하는 보수자에게 할당된 장치이다. 상기 점검자 장치(20) 또는 보수자 장치(30)는 상기 점검자 보수자가 작업을 수행하는 동안 실시간으로 현장 정보를 전달할 수 있도록 휴대가 용이한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상기 점검자 장치(20) 및 보수자 장치(30)는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과 같은 모바일 장치일 수 있으며, 상기 모바일 장치 내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상기 건축물에 대한 점검 작업 또는 보수 작업이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건축물 유지관리 시스템(1)은 상기 점검자 장치(20) 또는 보수자 장치(30)와 무선 인터넷 통신, 예를 들어, WiFi, 3G, 4G, Ethernet 등을 이용하여 각종 정보를 주고 받을 수 있다.
또한, 상기 건축물에는 각종 시설물들이 설치되어 있고, 각 시설물 마다 NFC 태그가 부착되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점검자 장치(20) 또는 보수자 장치(30)는 상기 각 시설물에 부착된 NFC 태그에 접촉하여 상기 건축물에 설치된 시설물 별로 점검 및 보수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건축물에 포함된 주요 시설물에 NFC 태그가 부착된 경우, 관리자 또는 보수자는 스마트폰으로 NFC 태그에 접촉하여 상기 각종 시설물의 특성 및 기존 유지관리 이력 내용 등을 쉽게 파악할 수 있으며, 새로운 점검 내용 및 유지 관리 내용을 실시간으로 입력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유지관리 시스템에서 NFC(Near Field Communication) 기술을 채택하고 있는 이유는, NFC가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와 같은 다른 근거리 무선통신기술보다 통신거리는 짧으나 스마트폰 등 기기간 접촉만으로 간편하게 인식이 가능하고, 암호화 기술을 적용할 수 있어 보안에 유리하다는 장점이 있기 때문이다. 또한, NFC 태그는 정보의 읽기뿐만 아니라 쓰기가 모두 가능하고 무선인터넷이 가능한 지역에서는 정보교환에 유리해 응용범위가 매우 넓은 장점이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건축물 유지관리 시스템(1)은 점검자 장치(20) 및 보수자 장치(30)로부터 건축물 유지 관리에 관련된 각종 이력정보를 수집하여 데이터베이스화할 수 있고, 관리자 장치(10)에 대하여 예방보전, 업무처리비용 절감 및 보수시점 예측 등과 같은 각종 의사결정을 위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건축물 유지관리 시스템(1)에 관련된 구체적인 구성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2. 건축물 유지관리 시스템
이하에서는 도 2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유지관리 시스템에 관련된 구체적인 구성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유지관리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유지관리 시스템의 표준 분류 체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표이며,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유지관리 매뉴얼을 설명하기 위한 도표이다. 또한,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유지관리 시스템의 체크리스트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 위한 도표이고,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유지관리 시스템에 따른 관리자 장치 상에 실행되는 소프트웨어를 예로 들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유지관리 시스템은, 시설물 관리부(100), 일정 관리부(200), 점검 이력 관리부(300), 의사결정 지원부(40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시설물 관리부(100)는 건축물에서 관리되어야 할 점검 대상물들의 유지관리 업무 수행에 필요한 정보들을 등록 하기 위한 구성일 수 있다.
상기 점검 대상물에는, 건축물에 포함된 각종 시설물, 운영설비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각종 시설물에는 벽체, 바닥, 계단, 천장, 지붕 등이 포함될 수 있고, 상기 운영설비에는 보일러, 온풍 난방기, 터보식 냉동기, 패키지 에어컨, 공기열원 히트펌프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건축물의 유지관리 업무 수행에 필요한 정보에는, 시설물 정보, 점검 대상물의 위치 및 공간 정보, 설비 제원 정보, 점검 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으며, 기타 상기 점검대상물들의 유지관리 업무 수행에 필요한 모든 정보들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시설물 정보에는 건물명, 준공일자, 설계자, 시공사, 감리업체, 건축용도, 대지면적, 건축 면적 등 시설물에 대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점검 대상물의 위치 및 공간 정보에는 각 점검 대상물이 설치되어 있는 위치 및 공간 정보, 지도, 도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시설물 관리부(100)는 상기 점검 대상물의 위치 및 공간 정보를 기초로, 상기 복수의 점검 대상물이 설치되어 있는 위치 공간이 표시된 하나 이상의 도면을 포함하는 위치공간별 리스트를 자동으로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위치공간별 리스트는 층별로 생성될 수 있고, 각 층마다 배치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점검 대상물의 위치가 지도상에 표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는, 예를 들어, 상기 위치공간별 리스트는 특정 공간 단위로 생성될 수 있고, 공간 마다 배치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점검 대상물의 위치가 지도상에 표시되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점검자는 해당 점검 대상물에 대한 점검 작업을 수행함에 있어서, 상기 위치 공간별로 등록된 지도를 기초로 쉽게 찾아갈 수 있다.
또한, 설비 제원 정보는 각 점검 대상물에 할당된 태그 ID, 점검 주기, 교체 주기, 체크리스트 형식, 설비 단가, 최초 설치일, 장비 구입처, 카탈로그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점검 대상물에 할당된 태그ID는, 상기 점검 대상물에 부착된 NFC 태그에 대한 고유의 ID일 수 있다. 상기 NFC 태그는 해당 점검 대상물과 건축물 유지관리 시스템(1)간의 연동을 위한 장치이다. 예를 들어, 앞서 설명한 점검자 장치(20)가 벽체에 부착된 NFC 태그에 접촉되면, 상기 건축물 유지관리 시스템(1)으로부터 상기 태그 ID에 대응되는 각종 정보가 조회될 수 있고, 상기 점검자 장치(20)는 상기 벽체에 관련된 각종 유지관리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한편, 상기 NFC 태그는, 점검 대상물의 기본 기능이 유지되고 사용자의 업무에 방해가 되지 않는 곳이라면 어느 위치에 장착되어도 무관하다. 또한, 상기 NFC 태그는 단일 품목으로 기기 각각을 점검해야 하는 항목에 대해서는 단일 점검 항목에 태그가 부착될 수 있으며, 대상물이 단일 물품이 아닌 구조체, 외부 시설물, 설비류 및 위생장비의 경우에는 점검 대상을 그룹핑하여 공간별로 점검함으로써 점검자가 보다 손쉽게 점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마감제 및 외부시설물의 경우 층별로 구분하여 점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점검 주기는 일정 기간 동안 반복적으로 수행되어야 할 점검 시기에 관한 정보로, 정기점검, 정밀점검, 수시점검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관리자는 업무 효율성 향상을 위하여 위치 및 공간 별로 각 점검 대상물의 설비 제원 정보를 엑셀 파일 형식으로 업로드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시설물 관리부는 상기 업로드된 설비 제원 정보를 기초로 하여, 위치 및 공간별로 각 점검 대상물을 자동으로 등록할 수 있고, 상기 점검 대상물이 도면 상의 해당 위치 및 공간 상에 배치되도록 자동으로 위치공간별 리스트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또한, 점검 정보에는 각 점검 대상물에 대한 점검 항목, 점검 내용, 점검 지침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점검 정보는 다양한 표준 분류 체계에 따라 관리자에 의해 입력될 수 있다.
상기 표준 분류 체계는 건축 분야, 기계설비분야, 전기 정보통신설비분야를 기준으로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건축분야의 유지관리를 위한 세부 항목은 각종 구조체를 기준으로 분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을 참조하면, 건축 공종(101)의 중분류(102)는 구조체, 마감 등으로 분류될 수 있고, 상기 마감의 소분류(103)에는 벽체(외벽), 벽체(내벽), 바닥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벽체(외벽)의 세분류(104)에는 타일, 도장, 방수, 결로 및 단열, 석재, 미장, 콘크리트 마감 등 세부 점검 내용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각 점검 대상물에는 소분류 또는 세분류 별로 NFC 태그(105)가 부착되어 있을 수 있고, 점검자는 상기 점검 대상물에 부착된 NFC 태그에 접촉하여, 소분류 또는 세분류에 속하는 구조체 별로 효율적인 점검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건축 공종(101)의 경우, 상기 소분류(103)를 기준으로 기둥, 벽체(외벽)및 상기 벽체(내벽)(105)에 공간별 태그가 부착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기계설비분야의 유지관리를 위한 세부 항목은 각종 운영설비를 기준으로 분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를 참조하면, 기계 설비(111)의 중분류(112)는 열원 장비, 공조장비 등으로 분류될 수 있고, 상기 열원장비의 소분류(113)에는 주철제 보일러, 강제보일러, 무압온수/진공온수 보일러, 온풍 난방기등이 포함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기계 설비(111)의 경우 세분류(114)가 소분류(113)와 동일할 수 있다. 또한, 각 점검 대상물에는 소분류 별로 NFC 태그가 부착되어 있을 수 있고, 점검자는 상기 점검 대상물에 부착된 NFC 태그에 접촉하여 각 운영 설비 별로 효율적인 점검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계 설비(111)의 경우 주철제 보일러, 강제보일러, 온풍 난방기 등 소분류(113)를 기준으로 NFC 태그가 부착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전기 정보통신 설비분야의 유지관리를 위한 세부 항목은 각종 설비를 기준으로 분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를 참조하면, 전기 통신 설비(121)의 중분류(122)는 통신 정보 설비, 구내 배전선로 및 통신선로 등으로 분류될 수 있고, 상기 통신 정보 설비의 소분류(123)는 구내 교환설비, 구내 정보통신망 설비, 전기시계설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각 점검 대상물에는 중분류 또는 소분류 별로 NFC 태그가 부착(125)되어 있을 수 있고, 점검자는 상기 점검 대상물에 부착된 NFC 태그에 접촉하여, 중분류 또는 소분류에 속하는 구조체 별로 효율적인 점검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통신 정보 설비의 소분류(123)를 기준으로 태그가 부착되어 있을 수 있으며, 또는 구내 배전선로 및 통신선로의 경우 중분류(122)를 기준으로 태그가 부착되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분야별 표준 분류 체계에 의하면, 점검 작업의 속도가 향상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관리자에 의한 점검자 작업관리 파악에 용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표준 분류 체계에 따른 건축물 유지관리 매뉴얼은, 건축물의 각종 설비 항목별 점검 항목(132), 점검 주기(133), 점검 내용(134) 등을 기준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을 참조하면, 구조체의 철골(131a)에 대한 점검 항목은 기둥, 보, 지주, 바닥, 지붕 및 발코니에 관한 제1 항목(132a), 내화피복제에 관한 제2 항목(132b)이 포함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항목(132a) 및 상기 제2 항목(132b)에 대한 점검 주기는 각각 1년으로 지정되어 있을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제1 항목(132a)에 대한 점검 내용은 첫째, 부재 및 용접부의 균열 및 변형의 유무, 둘째, 부재 및 용접부의 녹 및 부식의 유무, 셋째, 도장 및 표면 처리의 노화 유무, 넷째, 지주의 느슨해짐 유무, 다섯째, 이상한 휨 및 진동의 유무 등과 같이 점검 항목에 대한 구체적인 점검 내용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상기 표준 분류 체계에 따른 건축물 유지관리 매뉴얼에는,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각종 설비 항목별 보수 방안이 더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표준 분류 체계에 따른 건축물 유지관리 매뉴얼은 건축물 유지관리 점검을 위한 관련 법규를 기준으로 점검 리스트를 구성할 수 있다. 이는 전문적이며 합리적인 건축물 유지관리 점검을 위하여 관련 법규를 바탕으로 점검 리스트를 구성함으로써 점검자 및 관리자로 하여금 건축물 유지관리 업무의 전문성을 향상 시키기 위함이다. 예를 들어, 도 7을 참조하면, 건축공종의 마감 중 바닥에 대한 점검 항목 체크리스트(142)에는 콘크리트 마감, 몰탈마감, 타일 붙임, 돌 붙임을 포함하는 마감재가 있을 수 있으며, 상기 마감재에 대한 점검 리스트는 균열의 유무, 들듬 및 박리의 유무, 파손 유무, 단차의 유무, 배수상태의 양부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각종 설비 항목별 표준 분류 체계에 의하면, 점검 작업의 속도가 향상될 뿐만 아니라 복잡한 각종설비에 대한 점검자의 전문성 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
또한, 점검 지침에는 각 점검 대상물 별로 유지관리에 필요한 유지보수 지침이 포함될 수 있다. 이는, 점검자로 하여금 점검 시 전문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예를 들어, 상기 유지보수 지침에는 점검 주기 별로 해당 점검이 수행되어야 할 시기에 관련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즉, 정기점검은 반기별 1회 이상 수행되어야 하며, 정밀 점검은 준공 후 6개월 이내에 수행 되어야 하고, 정기적 정밀 점검은 2년에 1회 이상 수행되어야 하고, 긴급 점검 중 손상 점검은 재해나 사고 시에 수행될 수 있고, 특별 점검은 결함 의심 시에 수행될 수 있다는 정보가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상기 유지보수 지침에는 점검자가 해당 점검 대상물에 대한 점검 작업 시 고려해야 할 사항 등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홍수기 전 점검 시 바닥 보호공의 변화상태 등에 유의하여 하부의 공동발생 및 세굴 상황을 확인하고, 콘크리트 구조부분의 갈라짐과 품질저하는 필요시 계측에 의해 진행상황을 확인하여야 한다는 정보가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한편, 상기 시설물 관리부(100)는 상기 관리자로부터 입력된 건축물의 유지관리 업무 수행에 필요한 정보들을 기초로, 각 점검 대상물에 맞는 점검 항목, 점검 내용 등을 포함하는 체크리스트를 자동으로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8을 참조하면 바닥에 대한 점검 리스트(151)는 균열의 유무(151a), 들뜸 및 박리의 유무(151b), 파손 유무(151c), 단차의 유무(151d), 배수상태의 양부(151e) 등을 포함할 수 있고, 각 항목에 대해서는 좋음(A), 양호(B), 불량(C)과 같이 평가 등급이 설정되어 있을 수 있다.
일정 관리부(200)는, 상기 시설물 관리부(100)를 통하여 관리자로부터 입력된 점검주기, 교체 주기 등을 기초로 점검 일정을 생성하고 관리하기 위한 구성일 수 있다. 즉, 일정 관리부(200)는 상기 시설물 관리부(100)를 통하여 입력되는 점검 주기, 교체 주기를 일정에 맞게 자동으로 일정관리에 추가하여 스케줄 정보를 생성할 수 있으며, 상기 일정관리는 다양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일정 관리부(200)는 관리자 또는 점검자가 한눈에 작업일정을 확인할 수 있도록 캘린더 형태로 스케줄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는, 예를 들어, 상기 일정 관리부(200)는 점검자가 점검주기 별로 점검해야 할 점검 대상물의 리스트를 위치 및 공간 별 목록 형태로 제공할 수 있다. 즉,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일정 관리부(200)는 정기 점검에 해당하는 점검 대상물의 리스트(L)를 제공할 수 있으며, 나아가 상기 위치 및 공간 별 점검 리스트에 포함된 점검 대상물들이 지도(M) 상에 대응되도록 생성하여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일정 관리부(200)는 점검자에 의한 점검 작업이 완료된 경우, 해당 일자에 대응되는 점검 작업이 완료되었음을 상기 캘린터 또는 목록에 별도로 표시할 수 있다.
점검 이력 관리부(300)는 점검자에 의한 점검 결과를 관리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점검 결과를 저장하고, 제공하기 위한 구성일 수 있다. 상기 점검 이력 관리부(300)는 점검 주기별, 설비 별, 또는 위치 공간 별로 점검 이력 정보를 저장할 수 있으며, 관리자, 점검자 또는 보수자의 요청에 따라 점검 이력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점검자에 의한 점검 작업이 완료된 경우, 상기 건축물 유지관리 시스템(1)은 상기 점검자 장치(20)로부터 상기 점검 작업 결과를 수신할 수 있고, 상기 점검 작업 결과는 상기 점검 이력 관리부(300)에 저장될 수 있다. 이후 보수자에 의해 상기 점검 대상물에 대한 보수 작업이 필요한 경우, 상기 건축물 유지관리 시스템(1)은 상기 점검 이력 관리부(300)로부터 상기 점검 대상물에 대응되는 상기 점검 이력 정보를 조회할 수 있고, 검색된 점검 이력 정보를 상기 보수자 장치(30)에 전달할 수 있다. 따라서 보수자는 상기 점검 대상물에 대한 점검 이력 정보를 기초로 보수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또는, 예를 들어, 관리자는 점검 주기 별, 설비 별 또는 위치 공간 별로 점검 결과에 대한 자료를 실시간으로 요청하여 해당 점검자에 의한 점검 작업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다.
의사결정 지원부(400)는, 상기 점검 이력 관리부(300)에 저장된 점검 이력 정보 등을 기초로 해당 점검 대상물에 대한 수선 계획, 보수 계획, 유지관리 비용 분석, 하자 유형 분석, 적정 교체 주기 분석 등과 같은 각종 정보 분석을 위한 구성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관리자가 건축물에 설치된 시설물에 대한 보수 계획을 세우고자 하는 경우, 상기 의사결정 지원부(400)는 상기 점검 이력 관리부(300)로부터 획득되는 점검 이력 정보 등을 기초로 적정한 보수 주기를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의사결정 지원부(400)는 상기 보수 주기를 산출함에 있어서, 관리자 장치(10)로부터 상기 시설물의 초기 구매 가격 및 유지보수 발생시 예상되는 비용을 더 획득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의사결정 지원부(400)는 상기 관리자 장치(10)로부터 입력된 상기 시설물의 초기 구매 가격, 유지보수 발생시 예상되는 비용을 더 고려하여 상기 시설물에 대한 보수 주기를 산출하여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의사결정 지원부(400)는 실시간 장비의 운영상태 정보 등을 더 고려하여 상기 보수 주기 산출에 활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유지관리 시스템에 따르면, 관리자는 상기 의사결정 지원부(400)로부터 제공되는 분석 자료를 기초로 상기 건축물의 유지관리에 필요한 각종 의사 결정을 실시간으로 수행할 수 있으며, 나아가 점검 대상물에 대한 안전 점검 계획을 예측 관리할 수 있다.
3. 건축물 유지관리 업무 프로세스
이하에서는 도 11 내지 도 1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유지관리 시스템의 전체적인 유지관리업무 프로세스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유지관리 업무 프로세스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이다. 도 12 내지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유지관리 시스템에 따른 점검자 장치 상에 실행되는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예로 들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유지관리업무 프로세스는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 건축물 유지관리 시스템을 기반으로 구현되는 것을 전제로 설명한다.
기존 점검진단 프로세스에 의하면 점검자는 작업지시가 접수되면, 각각의 점검에 해당하는 법적 근거 및 관련 점검 사항을 검토하여 점검항목을 선정하고, 점검 방안을 분석하는 사전 진행이 필요하였다. 따라서, 점검자의 현장 도착 시 기존에 조사하였던 점검 설비 등의 위치를 건축물 관리자에게 문의하여 파악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발생할 뿐만 아니라, 점검 동선의 체계가 불안전하여 비효율적 시간을 소비하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점검 진단 프로세스에 의하면,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각종 점검 항목별 사양 및 점검 주기, 점검 방안, 보수 방안 등이 상기 건축물 유지관리 시스템(1) 내에 데이터베이스화하여 구축되어 있기 때문에, 점검자의 종합적인 점검파악이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점검 진단 프로세스는, 건축물 유지 관리 시스템에 로그인 하는 단계(S10), 하나 이상의 작업지시 명령을 확인하는 단계(S11), 제1 시점에 수행하여야 할 제1 작업지시 명령을 선택하는 단계(S12), 제1 작업 지시 명령에 대응되는 점검 대상물에 부착된 태그에 대한 접촉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S13), 상기 점검 대상물에 대응되는 체크리스트를 획득하는 단계(S14), 상기 체크리스트를 기초로 점검 작업 결과를 전송하는 단계(S15)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각 단계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점검자 장치(20)는 스마트 폰이며, 상기 스마트 폰 내에서 실행되는 NFC 기반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점검 작업이 수행되는 경우를 상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점검자 장치(20)는 상기 건축물 유지관리 시스템(1)에 접속하기 위한 로그인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S10),
구체적으로, 상기 건축물 유지관리 시스템(1)은 미리 할당된 점검자 장치(20)만이 상기 건축물 유지관리 시스템(1)에 접속하여 점검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권한을 부여하고 있을 수 있다.
즉, 건축물에 대한 점검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권한이 부여된 점검자는 상기 점검자 장치(20) 상에서 실행되는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고, 사용자 인증 정보를 입력하여 상기 건축물 유지관리 시스템(1)에 접속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2를 참조하면, 점검자는 미리 부여된 아이디(ID) 및 비밀번호(PW)를 입력하여 상기 건축물 유지관리 시스템(1)에 적법하게 접속할 수 있다. 만약, 상기 건축물 유지관리 시스템(1)으로부터 점검자로부터 입력된 아이디(ID) 및 비밀번호(PW) 중 적어도 하나가 일치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된 경우, 상기 건축물 유지관리 시스템(1)에 대한 접속이 제한될 수 있다.
점검자 장치(20)는 하나 이상의 작업지시 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S11).
구체적으로 전 단계에서 사용자 인증을 완료한 점검자는 스마트폰(20)을 통하여 해당 점검자에게 할당된 하나 이상의 작업지시 명령을 확인할 수 있다. 즉, 담당 업무에 맞는 작업 내역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 하나 이상의 작업지시 명령은 건축물에 포함된 각종 시설물, 운영설비들에 대한 점검 작업을 수행할 것을 요청하기 위한 것으로, 수시 점검, 정기 점검, 정밀 점검, 긴급 점검 중 어느 하나에 해당되는 작업 내역일 수 있다. 또한, 전술한 관리자 장치(10)는 상기 건축물 유지관리 시스템(1)을 통하여 하나 이상의 작업지시 명령을 전송할 수 있으며, 상기 점검자 장치(20)는 상기 건축물 유지관리 시스템(1)을 통하여 하나 이상의 작업지시 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점검자 장치(20)에 할당된 하나 이상의 작업지시 명령은 다양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건축물 유지관리 시스템(1)은 해당 점검자가 날짜 별로 수행하여야 할 작업 리스트를 상기 점검자 장치(20)를 통해 제공할 수 있다. 도 13을 참조하면, 상기 건축물 유지관리 시스템(1)은 날짜 별로 수행하여야 할 작업의 개수가 표시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즉, 2014년 11월 4일자에는 '14개'의 작업 리스트(W1)가 존재함이 표시되어 있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점검자가 상기 점검자 장치(20)를 통하여 해당 날짜에 대응되는 영역, 아이콘 또는 이미지를 선택하면, '14개'의 작업리스트를 제공하기 위한 별도의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더 제공될 수 있다.
또는, 예를 들어, 상기 건축물 유지관리 시스템(1)은 점검자가 수행하여야 할 작업 목록이 캘린더 상에 표시된 상태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4를 참조하면, 현재 11월 4일에 해당하는 경우, 해당 날짜에 해당되는 달력에 수행하여야 할 작업의 개수 또는 작업 목록이 표시된 상태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 때, 점검자가 상기 점검자 장치(20)를 통하여 해당 날짜에 대응되는 영역, 아이콘 또는 이미지를 선택하여 11월 4일자에 해당되는 상세한 작업리스트를 제공하기 위한 별도의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더 제공될 수 있다.
또는, 예를 들어, 상기 건축물 유지관리 시스템(1)은 상기 관리자 장치(10)로부터 긴급 점검 작업 지시 명령이 수신된 경우, 상기 점검자 장치(20) 상에 팝업 메시지 형식으로 작업지시 명령을 표시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점검자 장치(20)는 제1 시점에 수행하여야 할 제1 작업지시 명령을 선택하는 입력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S12).
즉, 상기 점검자 장치(20)는, 점검자로부터, 상기 하나 이상의 작업지시 명령 중, 현재 시점에 수행하여야 할 하나의 작업지시 명령을 선택하는 입력을 수신할 수 있고, 상기 점검자로부터 입력된 신호를 상기 건축물 유지관리 시스템(1)으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도 15를 참조하면, 상기 점검자 장치(20)를 통하여 점검자로부터 하나의 작업지시 명령을 선택하는 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건축물 유지관리 시스템(1)은 선택된 입력을 재확인하기 위한 메시지(M)를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U1)를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점검자는 상기 점검 장치(20)상에 제공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UI)에 표시되는 'OK'에 해당되는 이미지 또는 아이콘을 선택하여 선택한 작업지시 명령에 대한 작업을 시작할 수 있다. 또는, 점검자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UI)에 표시되는 'Cancel'에 해당되는 이미지 또는 아이콘을 선택하여, 선택된 입력을 취소하고 다른 작업지시 명령을 선택할 수 있다.
한편, 동일한 일자(day)에 수행하여야 할 작업지시 명령이 하나 이상인 경우에는, 작업지시 명령이 수행되어야 할 순서를 결정하는 방법은 다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점검자는 하나 이상의 작업지시 명령 중, 임의의 작업을 우선적으로 수행하도록 선택할 수 있다.
또는, 예를 들어, 상기 건축물 유지관리 시스템(1)은 수시 점검, 정기 점검, 정밀 점검, 긴급 점검에 따라 중요도를 다르게 부여할 수 있으며, 상기 건축물 유지관리 시스템(1)은 상기 중요도를 기준으로 작업을 수행할 순서를 결정하여 작업 내역을 목록의 형태로 제공할 수 있다.
또는, 상기 건축물 유지관리 시스템(1)은 관리자로부터 작업지시 명령이 수신된 순서대로 작업을 수행하도록 작업 내역을 목록의 형태로 전송할 수 있다.
또는, 예를 들어, 상기 건축물 유지관리 시스템(1)은 효율적으로 점검 작업이 수행될 수 있도록 점검 대상물들의 위치 및 공간 정보를 기초로, 작업 동선을 생성할 수 있으며, 상기 작업 동선을 기준으로 작업을 수행할 순서를 결정하여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점검자에 의해 선택된 제1 작업지시 명령에 대응되는 점검 대상물이 설치된 위치 및 공간 정보를 표시하는 지도(R1)이 상기 점검자 장치(20) 상에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점검자 장치(20)는 제1 작업 지시 명령에 대응되는 점검 대상물에 부착된 태그에 대한 접촉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S13).
즉, 점검자는 상기 점검자 장치(20) 상에 제공되는 상기 제1 작업 지시 명령에 대응되는 점검 대상물의 위치 및 공간 정보를 기초로, 상기 점검 대상물이 설치된 위치로 이동할 수 있으며, 상기 점검자 장치(20)를 이용하여 상기 점검 대상물에 부착된 태그에 접촉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점검자 장치(20)는 상기 점검 대상물에 부착된 태그에 대한 접촉 신호를 상기 건축물 유지관리 시스템(1)으로 전송할 수 있고, 상기 건축물 유지관리 시스템(1)은 상기 태그에 대응되는 각종 정보를 조회할 수 있다.
상기 점검자 장치(20)는 상기 점검 대상물에 대응되는 체크리스트를 획득할수 있다(S14).
즉, 점검자가 상기 점검자 장치(20)를 이용하여 상기 점검 대상물에 부착된 NFC 태그를 접촉하면 상기 태그 접촉 신호에 대응되는 체크리스트가 상기 건축물 유지관리 시스템(1)으로부터 검색될 수 있다.
상기 건축물 유지관리 시스템(1)은 상기 점검 대상물에 포함된 세부 항목 별 점검 리스트 및 상기 세부 항목 별 점검 리스트에 대한 평가 등급을 입력할 수 있는 체크리스트(C)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7을 참조하면, 상기 점검 대상물에는 본체 및 부속품, 온도계 및 입력계, 보온재 및 보냉재, 동력반에 대한 점검 항목이 포함될 수 있으며, 각각의 점검 항목 별로 점검 리스트가 하나 이상 제공될 수 있다. 즉,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 및 부속품에 대해서는 부식, 변형, 파손 등의 노화 유무를 점검하도록 점검 리스트(C1)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온도계 및 입력계에 대해서는 파손의 유무를 점검하도록 점검 리스트(C2)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보온재 및 보냉제에 대해서는 보온재 및 보냉재의 손상 및 탈락의 유무를 점검하도록 점검리스트(C3)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동력반에 대해서는 냉방 또는 난방의 절환에 오류가 없는지를 확인하고(C4), 절연 저항을 측정해서 그 값이 1MΩ 이상에 있는지를 확인하고(C5), 작동의 양부를 점검하도록 점검 리스트(C6)가 제공될 수 있다.
점검자 장치(20)는 상기 체크리스트를 기초로 입력된 점검 작업 결과를 전송할 수 있다(S15).
즉, 점검자는 상기 점검자 장치(20) 상에 제공되는 체크리스트(C)를 기초로 각각의 점검 리스트(C1~C5)에 대한 점검 작업을 순차적으로 수행할 수 있고, 점검 작업 수행결과를 상기 체크리스트(C)상에 입력할 수 있다. 상기 점검 작업 수행 결과는, 상기 각각의 점검 리스트(C1~C5)마다 미리 설정된 평가 등급을 기준 중 어느 하나를 선택 입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평가 등급은 상기 건축물 유지관리 시스템(1) 내에 미리 설정된 기준일 수 있으며,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좋음'(A)'양호'(B)'불량'(C)과 같이 3단계로 구성될 수도 있다. 또는, 예를 들어, '상' '중' '하'와 같이 3단계로 구성될 수도 있다. 또는, 예를 들어, '1점' '2점' '3점' '4점' '5점'과 같이 5단계로 구성될 수도 있다. 또는, 예를 들어, 각 점검 리스트의 특성에 따라 평가 등급 기준이 다르게 설정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도 17를 참조하면, 점검자는 본체 및 부속품에 대한 부식, 변형, 파손 등의 노화 유무에 대한 점검 리스트(C1)에 대하여 각 기능의 이상 유무를 체크할 수 있다. 즉, 예를 들어, 점검자는 상기 본체 및 부속품에 대한 부식, 변형, 파손 등의 노화 유무에 대한 점검 결과 노화 정도가 미미하다고 판단된 경우, '좋음'에 대응되는 도형, 이미지 또는 영역(A1)에 표시되도록 입력을 실행할 수 있다. 이 때, 점검자가 최초 선택한 평가 등급을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 변경 하고자 하는 평가 등급, 예를 들어, '양호'에 대응되는 이미지에 표시되도록 입력을 실행할 수 있고, 최초 선택한 '좋음'에 대한 입력은 자동으로 제거될 수 있다. 한편, 점검자가 상기 체크리스트(C) 상에 작업 수행결과를 입력하는 방법은 다양할 수 있다.
상기 건축물 유지관리 시스템(1)은, 상기 점검자에 의한 상기 점검 대상물에 대한 점검 작업 수행 결과 상기 점검 대상물에 하자가 발생한 것으로 확인된 경우, 상기 점검자 장치(20)를 통하여 하자 발생에 대한 결과를 더 입력할 수 있도록 별도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더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8을 참조하면, 상기 점검자는 상기 점검자 장치(20)에 내장되어 있는 카메라(도면 미도시)를 이용하여 하자가 발생한 부분의 이미지(I)를 즉시 촬영할 수 있고, 점검 내용에 '하자 발생'(D) 하였음을 입력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점검자 장치(20)는 상기 하자가 발생한 부분의 이미지를 포함하는 하자 발생에 대한 결과를 상기 건축물 유지관리 시스템(1)으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도 1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건축물 유지관리 시스템(1)은 상기 점검 대상물에 대한 관리자의 연락처 정보(N1)를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도 1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점검자는 상기 점검자 장치(20)상에 제공되는 관리자의 연락처 정보를 기초로 관리자가 통화를 시도하거나 메시지를 전송하는 방법으로 상기 점검 대상물에 하자가 발생되었음을 즉시 알릴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점검자 장치(20)에 의한 점검 작업 결과 및 하자 발생 보고는 상기 건축물 유지관리 시스템(1)으로 전송될 수 있고, 상기 건축물 유지관리 시스템(1)의 점검 이력 관리부(300)에 저장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점검 진단 프로세스에 의하면, 기존보다 단순하고 효율적이며 전문화된 점검 업무 수행이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도 20 내지 도 24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점검 진단 프로세스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2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유지관리 업무 프로세스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이고, 도 21 내지 도 2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유지관리 시스템에 따른 점검자 장치 상에 실행되는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예로 들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점검 진단 프로세스는, 건축물에 포함된 복수의 점검 대상물에 대한 건축물 유지관리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S20), 상기 건축물 유지관리 정보를 기초로 하여 점검 스케줄 및 위치공간별 리스트를 자동으로 생성하는 단계(S21), 상기 점검 스케줄을 기초로 하여, 제1 시점에 점검이 수행되어야 할 제1 점검 대상물에 부착된 태그에 대한 제1 접촉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S22), 상기 제1 접촉 신호를 기초로 상기 제1 점검 대상물에 대응되는 체크리스트를 제공하는 단계(S23), 상기 제1 점검 대상물에 대응되는 체크리스트에 대한 작업 수행 결과를 수신하는 단계(S24), 상기 제1 점검 대상물에 대한 작업 수행 종료 후, 상기 제1 점검 대상물에 부착된 태그에 대한 제2 접촉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S25), 상기 제1 접촉 신호 및 제2 접촉 신호를 기초로 하여, 점검 소요시간을 산출하는 단계(S26)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하 각 단계에 대하여 설명함에 있어서,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한 S11 내지 S15 단계에 대한 설명과 중복되는 부분에 대해서는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에서는 각 단계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건축물 유지관리 시스템(1)은, 건축물에 포함된 복수의 점검 대상물에 대한 건축물 유지관리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S20).
상기 건축물 유지관리 정보는, 건축물의 유지관리에 필요한 모든 정보 일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건축물 유지관리 정보는, 복수의 점검 대상물에 대한 제원 정보, 위치 및 공간 정보, 태그 ID, 점검 주기, 교체 주기, 점검 항목, 점검 내용 및 점검 방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원 정보는, 상기 점검 대상물의 설비 단가, 최초 설치일, 장비 구입처, 카탈로그, 시공사, 감리업체, 용도 등과 같은 점검 대상물의 일반적인 사양에 관련된 정보일 수 있다. 상기 위치 및 공간 정보는, 상기 점검 대상물이 설치된 위치 및 공간에 관련된 정보이며, 상기 점검대상물이 설치된 위치 및 공간에 대한 지도 또는 도면 등을 포함하는 정보일 수 있다. 상기 태그 ID는, 상기 점검 대상물에 부착된 NFC 태그에 대한 고유의 ID일 수 있다. 상기 건축물 유지관리 시스템(1)은 점검자 장치(20)로부터 NFC 태그에 대한 접촉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접촉신호에 대응되는 태그 ID를 기초로 상기 점검 대상물에 대응되는 건축물 유지관리 정보를 검색할 수 있다. 상기 점검 주기는 일정 기간 동안 반복적으로 수행되어야 할 점검 지기에 관한 정보로 정기점검, 정밀점검, 수시점검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점검 주기는 주 단위, 월 단위 또는 년 단위로 설정될 수 있다. 상기 교체 주기는 상기 건축물에 설치된 운영 설비 자체의 교체 시기 또는 상기 운영 설비의 유지관리에 필요한 부품 등의 교체 시기에 관련된 정보일 수 있다.
상기 점검 항목, 점검 내용 및 점검 방안 등은 다양한 표준 분류 체계에 따라 관리자에 의해 입력될 수 있으며, 상기 점검 항목, 점검 내용 및 점검 방안에 대해서는 앞서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므로, 이하에서는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즉, 상기 건축물 유지관리 시스템(1)은 건축물에서 관리되어야 할 점검 대상물들의 유지관리 업무 수행에 필요한 각종 정보들을 관리자로부터 입력 받을 수 있으며, 상기 건축물 유지관리 정보는 시설물 관리부(100)에 저장될 수 있다.
상기 건축물 유지관리 시스템(1)은, 상기 건축물 유지관리 정보를 기초로 하여 점검 스케줄 및 체크 리스트를 자동으로 생성할 수 있다(S21).
즉, 일정 관리부(200)는 상기 건축물 유지관리 정보에 포함된 점검 주기상기 정보를 기초로, 점검 대상물들에 대한 점검 스케줄은 자동으로 생성할 수 있으며, 상기 점검 스케줄은 날짜 별 또는 주기 별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관리자 또는 점검자가 한눈에 작업일정을 확인할 수 있도록 캘린더 형태로 스케줄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일정 관리부(200)는 건축물 유지관리 시스템(1)에 할당된 점검자 장치(20) 별로 스케케줄 정보를 생성하여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시설물 관리부(100)는 상기 건축물 유지관리 정보에 포함된 점검 항목, 점검 내용 및 점검 방안 등을 기초로 각 점검 대상물에 맞는 체크리스트를 자동으로 생성할 수 있다.
상기 건축물 유지관리 시스템(1)은, 상기 점검 스케줄을 기초로 하여, 제1 시점에 점검이 수행되어야 할 제1 점검 대상물에 부착된 태그에 대한 제1 접촉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S22).
즉, 점검자는 스마트 폰(20) 상에 제공되는 점검 스케줄을 기초로 하여, 제1 시점에 점검이 수행되어야 할 제1 점검 대상물을 확인할 수 있고, 상기 스마트 폰(20) 상에 제공되는 상기 제1 점검 대상물의 위치 및 공간 정보를 기초로 상기 제1 점검 대상물이 설치된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도 21을 참조하면, 이후 점검자는, 상기 스마트 폰(20)을 이용하여 상기 제1 점검 대상물에 부착된 NFC 태그(T1)에 접촉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건축물 유지관리 시스템(1)는 상기 스마트폰(20)으로부터 상기 태그에 대한 제1 접촉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건축물 유지관리 시스템(1)은, 상기 제1 접촉 신호를 기초로 상기 제1 점검 대상물에 대응되는 체크리스트를 제공할 수 있다(S23).
즉, 상기 건축물 유지관리 시스템(1)은, 상기 제1 접촉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제1 접촉 신호에 대응되는 태그 ID를 기초로 상기 제1 점검 대상물에 관련된 건축물 유지관리 정보 등을 검색할 수 있고, 상기 제1 점검 대상물에 맞는 체크리스트를 생성하여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체크리스트는 상기 제1 점검 대상물에 포함된 세부 항목 별 점검 리스트 및 상기 세부 항목 별 점검 리스트에 대한 평가 등급을 입력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형태로 제공될 수 있으며, 이에 관련된 설명은 전술하였으므로 이하에서는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건축물 유지관리 시스템(1)은, 상기 제1 점검 대상물에 대응되는 체크리스트에 대한 작업 수행 결과를 수신할 수 있다(S24).
즉, 점검자는 상기 스마트폰(20) 상에 제공되는 체크리스트를 기초로 상기 제1 점검 대상물에 대한 점검 작업을 순차적으로 수행할 수 있고, 점검 작업 수행 결과를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에 입력할 수 있다.
한편, 도 22를 참고하면, 점검자는 상기 제1 점검 대상물에 하자가 발생된 것을 발견할 수 있고, 상기 스마트폰(20)에 내장된 카메라를 이용하여 하자가 발생된 부분을 즉시 촬영할 수 있다. 따라서,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점검자는 상기 스마트폰(20)을 이용하여 하자가 발생된 부분의 사진(I2) 및 하자 내용을 입력하여 업로드할 수 있고, 상기 건축물 유지관리 시스템은 상기 하자 발생 내용을 포함하는 작업 수행결과를 저장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건축물 유지관리 시스템(1)은 상기 스마트 폰(20)으로부터 전송되는 작업 수행 결과를 수신할 수 있고, 점검 이력 관리부(300)에 저장할 수 있다.
상기 건축물 유지관리 시스템(1)은, 상기 제1 점검 대상물에 대한 작업 수행 종료 후, 상기 제1 점검 대상물에 부착된 태그에 대한 제2 접촉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S25).
즉, 점검자는 상기 제1 점검 대상물에 대한 점검 작업이 완료되었음을 나타내기 위하여, 상기 제1 점검 대상물에 대한 작업 수행 결과를 전송한 다음, 다시 상기 제1 점검 대상물에 부착된 태그에 접촉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건축물 유지관리 시스템(1)은, 특정 점검 대상물에 대한 제1 접촉 신호는 상기 특정 점검 대상물에 대한 점검 작업의 개시 신호로 인식할 수 있으며, 제2 접촉 신호는 상기 특정 점검 대상물에 대한 점검 작업의 완료 신호로 인식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건축물 유지관리 시스템(1)은 상기 제1 접촉 신호가 수신된 다음, 미리 결정된 시간 이내에 제2 접촉 신호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 점검 작업의 오류 또는 실패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미리 결정된 시간은 각 점검 대상물 별로 점검에 필요한 평균적인 시간일 수 있으며, 관리자에 미리 설정되어 있는 시간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점검 대상물에 대한 점검 작업에 복수의 점검 리스트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상기 건축물 유지관리 시스템(1)은 각각의 점검 리스트에 해당되는 점검 작업이 완료될 때 마다 상기 제1 점검 대상물에 부착된 NFC 태그에 접촉하도록 설정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건축물 유지관리 시스템(1)은, 상기 제1 접촉 신호 및 제2 접촉 신호를 기초로 하여, 점검 소요시간을 산출할 수 있다(S26).
예를 들어, 상기 제1 접촉 신호는 점검 작업의 개시 신호이고, 상기 제2 접촉 신호는 점검 작업의 완료 신호인 경우, 상기 제1 접촉 신호가 수신된 시간 및 상기 제2 접촉 신호가 수신된 시간을 기초로 점검 소요시간을 측정할 수 있다. 또는, 예를 들어, 복수의 점검 리스트 각각에 대한 점검 작업이 완료될 때마다, 태그 접촉 신호가 수신된 경우 상기 태그 접촉 신호가 수신된 시간을 기초로 각 점검 리스트 별 점검 소요시간을 측정할 수 있다.
따라서, 관리자는 실시간으로 점검자의 점검 업무 소요시간을 체크하여 건축물 유지관리 업무의 생산성을 관리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건축물 유지관리 시스템(1)은 상기 업무 소요시간 정보를 기초로, 실제 업무계획 대비 실행 측정 및 유지관리 요소 별 업무 소요 예산 및 비용 관리에 활용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건축물 유지관리 시스템(1)은, 상기 점검자 장치(20)로부터 특정 점검 대상물에 부착된 태그에 대한 접촉 신호가 수신될 때 마다, 상기 특정 점검 대상물의 운영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건축물 유지관리 시스템(1)은 상기 운영상태에 관련된 정보를 실시간으로 획득하여 저장할 수 있고, 상기 운영상태에 관련된 정보를 각종 정보 분석에 활용할 수 있다.
상기 건축물 유지관리 시스템(1)은, 상기 제1 점검 대상물에 대한 작업 종료 후, 상기 점검 스케줄을 기초로 하여 제2 시점에 점검이 수행되어야 할 제2 점검 대상물에 대한 위치공간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즉, 상기 건축물 유지관리 시스템(1)은, 상기 관리자 장치(20)로부터 상기 제1 점검 대상물에 대한 작업 종료를 나타내는 제2 접촉 신호가 수신되면, 점검 스케줄을 기초로 다음으로 점검 작업을 수행할 제2 점검 대상물에 대한 위치공간별 리스트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4를 참조하면, 상기 건축물 유지관리 시스템(1)은 상기 제2 점검 대상물이 설치된 1층 101호의 특정 위치를 쉽게 찾을 수 있도록 1층 101호에 해당하는 위치공간별 리스트를 제공할 수 있고, 상기 위치공간별 리스트에는 상기 제2 점검 대상물이 설치된 위치를 표시(M2)하는 지도가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점검자는 제1 점검 대상물에 대한 작업 종료 후, 다음으로 수행하여야 할 제2 점검 대상물이 설치된 위치를 쉽게 찾을 수 있기 때문에 효율적인 건축물의 점검 작업이 가능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점검자가 점검항목의 특성 및 점검방안, 기존유지관리 이력 등을 쉽게 파악하고, 새로운 점검 사항 및 유지관리 내용을 실시간으로 입력할 수 있으므로 건축물 유지관리 업무의 시간적 효율성 확보 및 이로 인한 비용절감효과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관리자와 점검자, 보수자간 서로 정보를 공유하고, 점검자의 전문성 향상을 위해 각 설비별 체크리스트를 고도화하여 현장에서 문제 발생 시 관리자와 정보공유를 통해 공동으로 대응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유지관리 이력을 DB화하여 설비별 보수시기, 예산투입시기 및 보수단가 결정 등 건축물 유지관리에 필요한 의사결정을 지원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또한 본 문서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은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1: 건축물 유지관리 시스템
10: 관리자 장치
20: 점검자 장치
30: 보수자 장치
100: 시설물 관리부
200: 일정 관리부
300: 점검이력 관리부
400: 의사결정 지원부

Claims (5)

  1. 건축물에 포함된 복수의 점검 대상물에 대한 제원 정보, 위치공간 정보, 태그 ID, 점검 주기, 교체 주기, 점검 항목, 점검 내용 및 점검 방안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건축물 유지관리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건축물 유지관리 정보를 기초로 점검 스케줄 및 위치공간별 리스트를 자동으로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점검 스케줄을 기초로 하여, 제1 시점에 점검이 수행되어야 할 제1 점검 대상물에 부착된 태그에 대한 제1 접촉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접촉 신호를 기초로 상기 제1 점검 대상물에 대응되는 체크리스트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제1 점검 대상물에 대응되는 체크리스트에 대한 작업 수행 결과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점검 대상물에 대한 작업 수행 종료 후, 상기 제1 점검 대상물에 부착된 태그에 대한 제2 접촉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접촉 신호는 상기 제1 점검 대상물에 대한 작업 개시 신호이고, 상기 제2 접촉 신호는 상기 제1 점검 대상물에 대한 작업 완료 신호인
    건축물 유지관리 방법.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촉 신호 및 제2 접촉 신호를 기초로 하여, 점검 소요시간을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점검 대상물에 대한 작업 수행 결과 및 상기 점검 소요시간을 포함하는 점검 이력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건축물 유지관리 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점검 대상물에 대한 운영상태 정보를 실시간으로 획득하고,
    상기 점검 이력 정보 및 상기 운영상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점검 대상물에 대한 보수주기를 예측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유지관리 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공간별 리스트는, 상기 복수의 점검 대상물이 설치되어 있는 위치 공간이 표시된 하나 이상의 지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점검 대상물에 대한 작업 종료 후, 상기 점검 스케줄을 기초로 하여 제2 시점에 점검이 수행되어야 할 제2 대상물이 설치된 위치공간별 리스트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건축물 유지관리 방법.

KR1020140168920A 2014-11-28 2014-11-28 건축물 유지관리 시스템 KR1016955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8920A KR101695522B1 (ko) 2014-11-28 2014-11-28 건축물 유지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8920A KR101695522B1 (ko) 2014-11-28 2014-11-28 건축물 유지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5361A KR20160065361A (ko) 2016-06-09
KR101695522B1 true KR101695522B1 (ko) 2017-01-12

Family

ID=561386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68920A KR101695522B1 (ko) 2014-11-28 2014-11-28 건축물 유지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95522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2395B1 (ko) * 2019-05-08 2019-10-21 주식회사 맥서브 도로 및 터널에 설치되어 동작 상태를 점검하는 cctv 및 차로 제어 장치
KR20230076237A (ko) 2021-11-24 2023-05-31 조혜성 건축물관리계획수립 시스템
KR102591283B1 (ko) 2023-05-24 2023-10-19 박철수 건축물의 유지보수 방법 및 시스템
KR102662222B1 (ko) 2024-02-07 2024-04-30 케이윈드 주식회사 지역 기상 정보와 연계된 풍력 발전기 점검 스케줄링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0054B1 (ko) * 2017-10-19 2018-08-17 (주)엘씨씨코리아 기후 데이터와 안전성 평가 알고리즘 기반 중소 규모 건축물의 건축물 안전성 평가 방법 및 건축물 안전성 평가 장치
FI20185696A1 (en) * 2018-08-24 2020-02-25 Fira Group Oy Method for maintenance work and maintenance system
KR102184135B1 (ko) * 2019-02-15 2020-11-27 (주)새움소프트 아파트 현장 점검 관리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KR102462571B1 (ko) * 2020-01-28 2022-11-03 주식회사 모노라마 건축물 하자 관리 방법, 서버 및 시스템
KR102213710B1 (ko) * 2020-05-27 2021-02-09 주식회사 땡스엔젤 주택 관리 정보 모니터링 및 공유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492474B1 (ko) * 2021-11-19 2023-01-30 (주)부영이엔지 지능형 공동주택의 초고속 정보통신설비 연계 시스템 제공방법
WO2023128003A1 (ko) * 2021-12-29 2023-07-06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건축 도면의 자료 구조화 방법 및 장치
KR102539543B1 (ko) * 2022-09-27 2023-06-02 유세영 학교시설 하자관리 시스템
KR102616562B1 (ko) * 2023-08-10 2023-12-21 주식회사 엔서치랩 관리 시설물 운영 관리 플랫폼 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57114A (ja) 2000-06-15 2001-12-26 Maeda Corp 建物情報管理方法、管理装置、及びシステム
JP2005228025A (ja) 2004-02-13 2005-08-25 Marusei Co Ltd ビルの保守管理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9445B1 (ko) * 2004-12-17 2007-07-13 한국유지관리 주식회사 무선 주파수 인식 기술을 이용한 산업기간 시설물의 정보관리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57114A (ja) 2000-06-15 2001-12-26 Maeda Corp 建物情報管理方法、管理装置、及びシステム
JP2005228025A (ja) 2004-02-13 2005-08-25 Marusei Co Ltd ビルの保守管理システム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논문1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2395B1 (ko) * 2019-05-08 2019-10-21 주식회사 맥서브 도로 및 터널에 설치되어 동작 상태를 점검하는 cctv 및 차로 제어 장치
KR20230076237A (ko) 2021-11-24 2023-05-31 조혜성 건축물관리계획수립 시스템
KR102591283B1 (ko) 2023-05-24 2023-10-19 박철수 건축물의 유지보수 방법 및 시스템
KR102591731B1 (ko) 2023-05-24 2023-10-23 박철수 비아이엠과 아이오티를 이용한 건축물의 유지보수 방법
KR102662222B1 (ko) 2024-02-07 2024-04-30 케이윈드 주식회사 지역 기상 정보와 연계된 풍력 발전기 점검 스케줄링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5361A (ko) 2016-06-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95522B1 (ko) 건축물 유지관리 시스템
Tsai et al. A BIM-based approach for predicting corrosion under insulation
Bortolini et al. Building inspection system for evaluating the technical performance of existing buildings
US10706465B2 (en) Connected device-based property evaluation
JP6955941B2 (ja) 構造物点検支援システム
Matos et al. Building condition assessment supported by Building Information Modelling
KR102131656B1 (ko) 소방관리업무 클라우드 서비스 플랫폼 시스템
AU2013346438A1 (en) A system and method for facilitating property management
JP2002328970A (ja) 建築物のメンテナンスプログラム管理システム及び管理方法
Ong et al. Developing a quality-embedded EVM tool to facilitate the iron triangle in architectural, construction, and engineering practices
JP7312581B2 (ja) コンクリート構造物管理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コンクリート構造物の管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3973195B2 (ja) 災害復旧システム
US8428994B2 (en)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facilities
TW201023061A (en) System and method of prognostic analysis and resource planning for apparatu
Sulaiman et al. Maintainability factors and risks in building design
KR102297794B1 (ko) 공사 현황 관리 장치
JP2005056023A (ja) 作業管理システム
AU2015201957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quality assessment of a field service operation
JP5503361B2 (ja) 導管網の故障原因予測システム
Zainudin Application of drone in visual inspection for construction project
Kim et al. Workforce information database system to support production planning in construction projects
Öztürk et al. Maintenance and maintenance management systems in accommodation
JP7356242B2 (ja) コンクリート構造物管理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コンクリート構造物の管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6905030B2 (ja) 営繕業務支援システム
Matos et al. COST TU1406—An overview of European standardization on quality control of road bridg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