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92474B1 - 지능형 공동주택의 초고속 정보통신설비 연계 시스템 제공방법 - Google Patents

지능형 공동주택의 초고속 정보통신설비 연계 시스템 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92474B1
KR102492474B1 KR1020210160116A KR20210160116A KR102492474B1 KR 102492474 B1 KR102492474 B1 KR 102492474B1 KR 1020210160116 A KR1020210160116 A KR 1020210160116A KR 20210160116 A KR20210160116 A KR 20210160116A KR 102492474 B1 KR102492474 B1 KR 1024924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ule
information
mounting body
monitoring unit
hou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601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기문
Original Assignee
(주)부영이엔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부영이엔지 filed Critical (주)부영이엔지
Priority to KR10202101601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247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24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24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3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unstructured textual data
    • G06F16/33Query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5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ill image data
    • G06F16/53Query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rket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능형 공동주택의 초고속 정보통신설비 연계 시스템 제공방법으로서, 통합관리 시스템이 설계되는 단계; 상기 통합관리 시스템이 설치현장에 설치되는 단계; 상기 통합관리 시스템이 동작하여 운용되는 단계; 및 상기 통합관리 시스템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설치현장에서 모니터링 유닛에 의하여 모니터링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통합관리 시스템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에서 수행 가능한 명령들을 저장하는 하나 이상의 메모리를 포함하며, 주기적 과금 결제가 이루어지는 주택 임차인 계정에 등록된 주소지에 기설정된 주기마다 방문하여 주택의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점검자 계정이 접속한 점검자 단말에서 실행되며, 주택의 스펙 및 주택 모니터링 이력에 따라서 서로 다르게 선택되어 주택의 상태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질의 정보가 출력되고, 상기 질의 정보에 대한 텍스트 또는 이미지 데이터를 포함하는 응답 정보의 입력이 가능한 주택 관리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인터페이스 제공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지능형 공동주택의 초고속 정보통신설비 연계 시스템 제공방법{Providing method of an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for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facilities in apartment houses}
본 발명은 지능형 공동주택의 초고속 정보통신설비 연계 시스템 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주택에 배치되는 관리 대상 객체들을 초고속 정보통신설비에 연계된 온라인 상에서 효과적으로 모니터링하는 기술에 관한 것으로, 주택에 대한 점검 서비스를 제공하는 업체에 속하여 주택의 모니터링을 위해파견되는 점검자가 용이하게 주택의 관리 요소 별로 모니터링 정보 입력이 가능하고, 점검자의 입력에 따라서 주택의 관리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컨텐츠를 주택 또는 공동주택에 설치된 초고속 정보통신 설비를 통하여 주택의 임대인 및 임차인 사이에 공유하며, 각 주택의 관리 요소에 대한 하자 보수 책임을 명확히 할 수 있는 지능형 공동주택의 초고속 정보통신설비 연계 시스템 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하의 설명에서 주택과 공동주택은 같은 의미이고 문맥에 적합하게 선택적으로 기재하기로 한다.
스마트 홈과 같은 분야에서는, IoT를 이용한 홈오토메이션 기술이 발달되면서, 주택(공동주택)의 다양한 기기를 휴대 단말 등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제어와 관리하는 서비스가 출시되고 있으며 특히, 초고속 정보통신설비에 연계된 온라인을 경유하는 응용 기술분야가 계속 개발되고 확장되는 추세에 있다.
이러한 주택 관련 초고속 정보통신설비에 연계된 온라인 서비스 기술은 상술한 홈 오토메이션 등, 주택 내의 기기 제어와 이에 대한 관리 기술에 치우쳐 있는데, 이에 따라서 상대적으로 주택 내의 각 관리 대상에 대한 모니터링 등에 대한 기술은 개발이 뒤쳐지고 있다.
그러나, 하자 보수 등 주택에 설치 또는 배치된 관리 대상들에 대한 모니터링은 삶의 질과관련하여 직접적으로 관련된 것이어서 이에 대한 모니터링 서비스 기술 특히, 지능형 또는 인공지능(AI)을 이용한 해당 기술의 개발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
본 발명은 주택에 설치된 설비, 자재 등의 모니터링 대상으로서 주택 관리 요소들에 대해서 실질적으로 구현 가능한 모니터링 기술을 제공하고, 특히 모니터링 결과에 대해서 임차인과 임대인이 초고속 정보통신설비에 연계된 온라인을 통하여 해당 정보를 효율적이고 직관적이며 빠르게 확인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하여 공동주택 관리에 있어서의 편의성 및 효율성을 높이는 기술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은 하자 보수의 필요성에 따라서 모니터링 정보를 초고속 정보통신설비에 연계된 온라인을 통하여 관리할 수 있도록 하며 하나 보수의 임차인과 임대인의 책임 요소를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여, 임차인과 임대인의 주택 이용에 대한 갈등을 최소화하고 합리적인 하자 보수의 처리를 가능하도록 하는 기술을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하자 보수의 수행 시 초고속 정보통신설비에 연계된 온라인을 경유한 정보 공유 상태에서 하자 보수에 소요되는 수리 금액을 지능형으로 예측할 수 있도록 하여, 하자 보수의 효율성과 투명성을 보장하고 합리적인 주택 이용과 관리를 가능하도록 하는 기술을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검증과 관리를 사후에 입증자료로 제공가능하여 문제의 발생원인과 배상책임 등을 명확히 하도록 할 수 있는 지능형 공동주택의 초고속 정보통신설비 연계 시스템 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검증과 관리를 수행하여 즉각적인 실시간 조치가 가능하여 대량 작업과 대량 설치로 인한 돌이킬 수 없는 오류와 피해 발생 등을 방지할 수 있는 지능형 공동주택의 초고속 정보통신설비 연계 시스템 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검증과 관리를 수행함에 있어 다수의 대상을 모니터하고, 주변 기후적 환경 혹은 동작조건 및 오염 노출상황 등에 대응하여 전체적 혹은 일부분의 보호수납, 동작의 선택적 제어 등이 가능한 지능형 공동주택의 초고속 정보통신설비 연계 시스템 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모니터수단 자체의 내진구조와 충격완화를 위한 구조가 적용되어 보다 안정적이고 신뢰성이 있는 동작이 가능한 지능형 공동주택의 초고속 정보통신설비 연계 시스템 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상기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지능형 공동주택의 초고속 정보통신설비 연계 시스템 제공방법으로서, 통합관리 시스템이 설계되는 단계; 상기 통합관리 시스템이 설치현장에 설치되는 단계; 상기 통합관리 시스템이 동작하여 운용되는 단계; 및 상기 통합관리 시스템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설치현장에서 모니터링 유닛에 의하여 모니터링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통합관리 시스템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에서 수행 가능한 명령들을 저장하는 하나 이상의 메모리를 포함하며, 주기적 과금 결제가 이루어지는 주택 임차인 계정에 등록된 주소지에 기설정된 주기마다 방문하여 주택의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점검자 계정이 접속한 점검자 단말에서 실행되며, 주택의 스펙 및 주택 모니터링 이력에 따라서 서로 다르게 선택되어 주택의 상태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질의(질문) 정보가 출력되고, 상기 질의(질문) 정보에 대한 텍스트 또는 이미지 데이터를 포함하는 응답 정보의 입력이 가능한 주택 관리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인터페이스 제공부를 포함하는 지능형 공동주택의 초고속 정보통신설비 연계 시스템 제공방법을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이 있다.
본 발명은, 주택에 설치된 설비, 자재 등의 모니터링 대상으로서 주택 관리 요소들에 대해서 실질적으로구현 가능한 모니터링 기술을 제공하고, 특히 모니터링 결과에 대해서 임차인과 임대인이 초고속 정보통신설비에 연계된 온라인을 통하여 해당 정보를 효율적이고 직관적이며 빠르게 확인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하여, 주택 관리에 있어서의 편의성 및 효율성을 높이는 기술을 제공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은 하자 보수의 필요성에 따라서 모니터링 정보를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하자 보수의 임차인 및 임대인의 책임 요소를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여, 임차인과 임대인의 주택 이용 시의 갈등을 최소화하고,합리적인 하자 보수의 처리가 가능하도록 하는 기술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하자 보수의 수행 시, 정보 공유 상태에서 즉시 하자 보수에 소요되는 수리 금액을 예측할 수 있도록 하여, 하자 보수의 효율성 및 투명성을 보장하여 합리적인 주택 이용 및 관리가 가능하도록 하는 기술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검증과 관리를 사후에 입증자료로 제공가능하여 문제의 발생원인과 배상책임 등을 명확히 하도록 할 수 있는 지능형 공동주택의 초고속 정보통신설비 연계 시스템 제공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검증과 관리를 수행하여 즉각적인 실시간 조치가 가능하여 대량 작업과 대량 설치로 인한 돌이킬 수 없는 오류와 피해 발생 등을 방지할 수 있는 지능형 공동주택의 초고속 정보통신설비 연계 시스템 제공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검증과 관리를 수행함에 있어 다수의 대상을 모니터하고, 주변 기후적 환경 혹은 동작조건 및 오염 노출상황 등에 대응하여 전체적 혹은 일부분의 보호수납, 동작의 선택적 제어 등이 가능한 지능형 공동주택의 초고속 정보통신설비 연계 시스템 제공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모니터수단 자체의 내진구조와 충격완화를 위한 구조가 적용되어 보다 안정적이고 신뢰성이 있는 동작이 가능한 지능형 공동주택의 초고속 정보통신설비 연계 시스템 제공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른 지능형 공동주택의 초고속 정보통신설비 연계 시스템 구성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택 관리 인터페이스의 점검자 계정의 화면의 예.
도 3 및 4는 연관 정보에 따라서 질의 정보가 출력되는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 내지 8은 결과 보고서 컨텐츠에 포함된 화면들의 예.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컴퓨팅 장치의 내부 구성의 일 예.
도 10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주요 구성들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이하에서는 다양한 실시 예들 및 또는 양상들이 첨부된 모든 도면들을 참조하여 개시된다.
하기 설명에서는 설명을 목적으로, 하나이상의 양상들의 전반적 이해를 돕기 위해 다수의 구체적인 세부사항들이 개시된다. 그러나, 이러한 양상(들)은 이러한 구체적인 세부사항들 없이도 실행될 수 있다는 점 또한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지식을 가진 자에게 인식될 수 있을 것이다. 이후의 기재 및 첨부된 도면들은 하나 이상의 양상들의 특정한 예시적인 양상들을 상세하게 기술한다.
이러한 양상들은 예시적인 것이고 다양한 양상들의 원리들에서의 다양한 방법들 중 일부가 이용될 수 있으며, 기술되는 설명들은 그러한 양상들 및 그들의 균등물들을 모두 포함하고자 하는 의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실시 예", "예", "양상", "예시" 등은 기술되는 임의의 양상 또는 설계가 다른 양상 또는 설계들보다 양호하다거나, 이점이 있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을 수도 있다. 또한, "포함한다" 및 또는 "포함하는"이라는 용어는, 해당 특징 및/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지만, 하나이상의 다른 특징, 구성요소 및 또는 이들의 그룹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제 1, 제 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 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 항목들 중의 어느 한 항목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서, 별도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명백하게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른 지능형 공동주택의 초고속 정보통신설비 연계 시스템의 구성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택 관리 인터페이스의 점검자 계정의 화면의 예, 도 3 및 4는 연관 정보에 따라서 질의 정보가 출력되는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 내지 8은 결과 보고서 컨텐츠에 포함된 화면들의 예이다.
상술한 도면들을 함께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택 관리 정보 모니터링과 공유 서비스 제공 시스템(또는 시스템)(10)은, 인터페이스 제공부(11), 보고서 컨텐츠 생성부(12), 보고서 컨텐츠 공유부(1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의 구현에 있어서 데이터베이스(15) 및 유지 보수 관리부(14)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시스템(10)은 점검자 단말(20), 임차인 단말(30) 및 임대인 단말(40)과 유무선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어 데이터 송수신을 통해 시스템(10)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시스템(10)은 도 9 에 대한 설명에서 언급하는 바와 같이,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에서 수행 가능한 명령들을 저장하는 하나 이상의 메모리를 포함하는 컴퓨팅 장치로 구현될 수 있는데, 구체적으로 시스템(10)은 특정 서버 또는 가상의 클라우드 서버에서 구현되거나, 점검자 단말(20), 임차인 단말(30) 및 임대인 단말(40) 중 적어도 하나에 구현되고, 나머지 단말들에 데이터 송수신을 통해 각 시스템(10) 별로 후술하는 기능 구현에 따른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점검자 단말(20), 임차인 단말(30) 및 임대인 단말(40)은 시스템(10)의 기능 구현에 따른 서비스제공 주체에 가입된 점검자 계정, 임차인 계정 및 임대인 계정이 시스템(10)에 접속하여 서비스를 제공받거나 제공하기 위해서 사용하는 단말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점검자 단말(20), 임차인 단말(30) 및 임대인 단말(40) 등의 단말은, 본 발명의 기능 수행이 가능한 통신 기기로서 유/무선 전화기(wire/wireless telephone), 개인용 컴퓨터(Personal computer), 태블릿PC(Tablet PC), 랩톱(Laptop), 스마트폰(Smartphone), 개인 휴대용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및 이동통신 단말기(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중 어느 하나가 이용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또한, 이외에 각 단말의 기능 수행이 가능한 다양한 단말들이 제한없이 사용될 수 있음은 당연할 것이다.
또한, 시스템(10)의 각 구성에 대한 설명에 있어서 본 발명에서는 본 발명의 핵심적인 기능에 대한 설명만을 언급할 것이나, 개인 정보 보호, 계정 생성, 로그인, 과금, 금융 프로세스 등 본 발명의 핵심적인 기능 수행을 위한 기타 보조적인 기능에 대한 모든 공지의 기술들이 사용될 수 있고, 해당 기술들의 구현을 위한 시스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모듈 등의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 구성이 시스템(10)에 포함될 것이다.
한편 데이터베이스(15)는 점검자, 임차인 및 임대인 계정의 모든 정보들뿐 아니라, 주택 모니터링 이력으로서 관리되는 정보들을 포함하여 본 발명에서 관리되거나 이용되는 모든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 공간을 의미한다.
인터페이스 제공부(11)는 주기적 과금 결제가 이루어지는 주택 임차인 계정에 등록된 주소지에 기설정된 주기마다 방문하여 주택의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점검자 계정이 접속한 점검자 단말에서 실행되며, 주택의 스펙 및 주택 모니터링 이력에 따라서 서로 다르게 선택되어 주택의 상태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질의 정보가 출력되고, 상기 질의 정보에 대한 텍스트 또는 이미지 데이터를 포함하는 응답 정보의 입력이 가능한 주택 관리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본 발명에서 인터페이스는 단말 형태에 따라서 특정 메뉴 및 화면 등의 출력 및 출력된 화면을 확인한 유저가입력 수단을 통해 화면 상의 특정 입력 창 또는 선택 메뉴 등에 대한 입력 또는 선택 입력 등을 통해 특정 데이터의 입력이 가능한 프로그램 단위를 의미하며, 해당 인터페이스는 시스템(10)의 구현에 따른 서비스 제공 및 이용을 위하여 각 단말(20, 30, 40)에 서로 같거나 다르게 설치되어 실행되는 프로그램, 웹 프로그램 또는 어플리케이션 등의 실행에 의하여 구동된다.
주기적 과금 결제는 월 과금 또는 이와 유사한 주기적인 과금을 통해 임차인 계정에서 일정 금액이 차감 또는 결제되는 형태를 의미하며, 이 외에 임차인과 임대인의 계약에 따른 주택의 임대 기간 전체를 커버하도록 일회성 결제가 이루어질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될 것이다. 주택 임차인 계정에 등록된 주소지라 함은 임차인이 임대인으로부터 임차하여 이용하고 있는 거주지, 즉 주택의 주소지를 의미함이 바람직하고, 서비스 이용을 위해서 임차인이 임차인 계정 정보를 등록 또는 수정 시 관리되는 개인 정보 중 하나로서 관리된다.
점검자는 시스템(10)의 기능 수행을 통해 제공되는 서비스 제공 업체에 등록되어 활동하는 용역 수행자로서, 주택에 방문하여 각 주택의 설비 등을 점검하는 주체를 의미한다.
즉, 상술한 바와 같이 기설정된 주기(예를 들어1달)마다 방문하여 주택의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주체이다.
이때 주택의 상태는, 주택에 설치되는 설비 및 주택의 외관 등에 대한 현 상태 및 하자 보수의 필요성 등에 대한 모든 개념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주택 관리 인터페이스는 점검자 단말(20)에서 실행되며, 주택 상태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질의 정보가 출력되고, 이에 대한 점검자 단말(20)의 입력 수단을 통한 점검자 계정에 의하여 상술한 응답 정보의 입력이 수행된다.
질의(질문) 정보는 상술한 바와 같이 주택의 스펙 및 주택에 대한 모니터링 이력에 따라서 선택적으로 또는 우선순위가 결정되어 출력된다.
예를 들어, 인터페이스 제공부(11)는 질의 정보를 출력할 때, 이전 주기들에 기 생성된 결과 보고서 컨텐츠의 생성에 이용된 응답 정보에 대응되는 질의 정보가 우선순위로 출력되도록 하는 제1 출력 방식, 이전 주기들에 기 생성된 결과 보고서 컨텐츠에 포함된 관리 심각도 정보가 높은 주택 관리 요소에 관련된 질의 정보가 우선순위로 출력되도록 하는 제2 출력 방식 및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정보로서 주택에 대한 하자 보수 이력에 대응되는 주택 관리 요소에 관련된 질의 정보가 우선순위로 출력되도록 하는 제3 출력 방식 중 어느 한 방식을 이용하여 질의 정보가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제1 출력 방식은 후술하는 결과 보고서 컨텐츠의 생성에 이용된 응답 정보에 대응되는 질의 정보이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결과 보고서 컨텐츠는 주택의 상태를 모니터링한 점검자가 각 모니터링 순간마다 상술한 주택 관리 인터페이스를 통해 질의 정보를 선택적으로 확인하여 이에 대응되는 응답 정보를 입력하거나 특정 질의 정보가 자동으로 출력 시 해당 질의 정보에 대응되는 주택의 상태를 모니터링하여 응답 정보를 입력한 결과를 가공하여 생성되는 일종의 시각적 컨텐츠이다.
즉, 이미 생성된 결과 보고서 컨텐츠는 이전에 점검자가 해당 주택에 방문하여 주택의 상태를 모니터링한 결과를나타내는 컨텐츠이며, 이 결과 보고서 컨텐츠의 생성에 이용된 응답 정보는 해당 모니터링 시 질의 정보에 따라입력된 응답 정보로서, 현재 주기에서 다시 한 번 체크할 필요성이 큰 것으로 판단하여, 해당 응답 정보에 대응되는 질의 정보를 다른 질의 정보보다 우선적으로 출력되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제2 출력 방식은 이전 주기들, 즉 이전에 점검자가 해당 주택에 방문한 시점마다 기 생성된 결과 보고서컨텐츠에 포함될 수 있는 정보로서, 후술하는 관리 심각도 정보가 높은 주택 관리 요소에 관련된 질의 정보를 우선적으로 출력하는 방식이며, 관리 심각도 정보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주택의 점검 시 하자 보수의 필요성이 상대적으로 큰 주택 관리 요소가 무엇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정보이며, 이 역시 점검자 계정의 응답 정보에 따라서 생성되거나, 질의 정보와 연관되어 생성되는 정보이다.
본 발명에서 주택 관리 요소는 주택의 상태를 모니터링 시 상태 정보가 관리되는 단위를 의미하며, 주택에 설치되거나 배치된 하자 보수의 대상이 되는 객체의 종류에 따라 결정되는 하자 보수 단위를 의미함이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싱크대, 덕트, 벽지, 천장 마감, 단열재, 문, 샤시 등 하자 보수의 필요성 또는 주택의상태를 체크할 때 어떤 객체를 체크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구분의 단위로 이해되어야 하는 것이다.
즉, 제2 출력 방식은 제1 출력 방식보다 보다 직접적으로 하자 보수의 필요성이 높을 것으로 판단되는 주택 관리요소에 관련된 질의 정보를 우선 선택하는 것을 의미한다.
제3 출력 방식은 제2 출력 방식보다 더욱 직접적인 우선순위의 결정 기준으로서, 상술한 바와 같이 이전에 하자 보수의 이력이 있는 주택 관리 요소에 관련된 질의 정보를 우선 출력하는 것이다. 즉, 이전에 하자 보수를한 적이 있는 주택 관리 요소를 먼저 체크하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제1 내지 제3 출력 방식의 구현에 있어서, 이전 주기들 또는 제3 출력 방식에서 하자 보수 이력은 처음점검 주기부터를 의미하거나, 현재 주기에서 일정 주기 전의 이내의 주기들, 즉 예를 들어 현재 주기로부터 6개월 내의 주기들 또는 해당 기간 내의 하자 보수 이력으로 설정되어 정보가 조회되도록 할 수 있다.
이미 하자보수가 완료된 주택 관리 요소이거나, 지나치게 오래되어 의미가 없는 주기의 정보들은 제외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 있어서 질의 정보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점검자가 이를 확인하고 텍스트 또는 이미지 데이터를 포함하는 응답 정보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텍스트 또는 이미지 데이터를 포함하는 정보를 의미한다.
질의 정보는 주택 관리 요소별로 관리되며 상술한 바와 같이 각 주택마다 효과적인 질의 정보의 우선순위 출력 또는선택적 출력을 위해서, 질의 정보에 대한 응답 정보의 입력 순서 또는 입력 이력 등이 데이터베이스(15)에 의하여 관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벽지에 해당하는 주택 관리 요소에 대한 질의 정보들은 "벽지의 색이 어떤가", "벽지가 훼손되었나","벽지에 곰팡이가 있나", "벽지가 습기에 의하여 젖거나 찢어졌나"등을 포함할 수 있고, 이때 응답 정보는 예/아니오의 선택형 또는 특정 텍스트 또는 벽지를 촬영한 이미지 데이터로서 입력 가능할 것이다.
또 다른 예로는 욕실 욕조에 해당하는 주택 관리 요소에 대한 질의 정보로서 "욕실의 어떤 구성에 대한 것인가", "해당 구성이 훼손되었나", "녹물이 나오는가", "배수가 되지 않는가", "샤워헤드에서 물이 나오지않는가" 등을 포함할 수 있고, 역시 응답 정보는 예/아니오의 선택형 또는 특정 텍스트 또는 욕조 전체 또는 일부 구성을 촬영한 이미지 데이터로서 입력 가능할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이러한 질의 정보는, 상술한 예와 같이, 주택 관리 요소, 주택 관리 요소의 하자 보수 종류 및 주택 관리 요소의 하자 보수의 필요성에 대한 응답이 가능한 질의 컨텐츠를 포함하도록 관리되되, 데이터베이스 내에 질의 정보에 따른 응답 정보에 따라서 후 순위 질의 정보에 대한 연관 정보가 설정되어 관리된다.
이때 인터페이스 제공부(11)는, 질의 정보를 출력 시, 연관 정보에 따라서 순차적으로 질의 정보가 출력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예에서 연관 정보는 예를 들어 제1 순위 질의 정보"벽지의 색이 어떤가", 제2 순위 질의 정보"벽지가 훼손되었나", 제3 순위 질의 정보"벽지에 곰팡이가 있나", 및 "벽지가 습기에 의하여 젖거나 찢어졌나"의 순서로관리되는데, 이때 제1 순위 내지 제3 순위 순으로 연관 정보가 설정될 수 있다.
즉, 제1 순위 질의 정보에서 응답 정보가 벽지의 색이 원래 색보다 다르다는 내용을 담은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제2 순위 질의 정보로서 벽지가 훼손되었는지 여부를 묻고, 이에 대한 응답 정보가 "예"인 경우, 벽지에 곰팡이가 있는지 여부 또는 습기에의하여 젖거나 찢어졌는지 여부를 선택적으로 묻는 방식으로 질의 정보가 출력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제1 순위 내지 제3 순위의 질의 정보는 상술한 바와 같이 응답 정보에 따라서 서로 연관되어 출력되며, 상술한 예와 같은 응답 정보가 선택되지 않을 경우 출력되지 않는 것이다.
즉, 연관 정보는 응답 정보에 따라서 질의 정보를 순차적으로 출력하기 위해서 질의 정보 및 이에 대한 응답 정보별로 설정되는 일종의 플로우 링크 정보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연관 정보를 기준으로 질의 정보를 순차적으로 선택하여 점검자 계정에 출력한다. 점검자단말(20)은 본 발명의 특성 상 휴대 단말이 가능성이 크고, 스마트 폰 등의 휴대 단말은 정보 출력 영역이 매우한정적이기 때문에, 이러한 연관 정보를 통해서 하나 또는 소수의 질의 정보가 하나의 화면에 출력되고, 응답정보에 따라서 후순위의 질의 정보를 출력하도록 하여 점검자의 편의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다수의질의 정보를 한 번에 출력함에 따른 점검자의 업무 혼란성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이러한 연관 정보는 상술한 바와 같이, 주택 관리 요소, 주택 관리 요소의 하자 보수 종류 및 주택 관리 요소의 하자 보수의 필요성 순으로 질의 정보가 연관되도록 설정되는 정보일 것이다.
특히, 연관 정보는 응답 정보 및 질의 정보와 관련해서, 모니터링 대상이 되는 주택의 스펙 정보로서, 적어도 주택의 위치, 주택의 종류, 주택의 크기가 서로 유사한 주택들에 대하여 기 입력된 응답 정보의 선택 순서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설정될 수 있다.
초기에 질의 정보는 점검자 계정에서 키워드 검색 등을 통해 조회되고 이에 대한 응답 정보를 입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충분한 응답 정보와 후순위 질의 정보의 연관성이 입증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점검자 계정이 직접 응답 정보 입력 후 후순위의 질의 정보를 선택 또는 검색하도록 하는 플로우를 이용 가능하도록 주택 관리인터페이스가 구성되는 것이다.
이때, 연관 정보에 대한 학습을 위해서, 본 발명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해당 주택과 유사한 위치, 유사한 종류(일반 주택, 다세대 주택, 아파트 등), 유사한 크기를 갖는 주택들에 대한 모니터링 이력에 따라서 연관 정보를 학습하여 자동으로 설정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상술한 예 이외에, 현재 체크 대상이 되는 주택과 같은 아파트의 같은 동의 주택에 대한 모니터링 결과에 있어서 벽지에 대한 훼손 체크 후 배수관에 대한 체크가 이루어진 이력이 있는 경우로서 상술한 제3 순위질의 정보 "벽지가 습기에 의하여 젖거나 찢어졌나"에 대한 응답 정보가 "예"이고, 이후 점검자 계정에서 선택한 질의 정보가 "주방 주위에 누수가 있을 것으로 판단되는가"인 경우, 현재 체크 대상이 되는 주택에 대한 상술한 제3 순위 질의 정보에 연관된 제4 순위 질의 정보가 "주방 주위에 누수가 있을 것으로 판단되는가"또는 누수와 관련된 질의 정보로 선택되도록 연관 정보가 자동으로 설정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질의 정보는 초기에는 점검자 계정에서 조회되어 선택되고, 이에 대한 응답 정보가 입력 가능하도록 주택 관리 인터페이스가 구성될 수 있다.
그러나 머신 러닝 및 AI 학습 도구의 적용에 의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주택 모니터링 이력 관리를 통해서 질의 정보를 모니터링 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연관 정보에 따라서 순차적또는 단계적으로 출력하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주택 관리 인터페이스의 예 또는 질의 정보의 구조적 관리에 대한 예가 도 2 내지 4에 도시되어 있다. 먼저 도 2의 화면(100)을 참조하면, 점검자 계정(M1)의 단말에 주택 관리 인터페이스의 구동에 따른 화면(100)이 출력됨을 확인할 수 있다.
이때 상술한 연관 정보에 따라서 제1 순위 질의 정보(A), 제2 순위 질의 정보(B)등 이전 순위 질의 정보(101)를 따라서 제3 순위 질의 정보(C)가 출력됨을 확인할 수 있고, 구체적인 질의 정보(102) 및 이에 대한 응답 정보의 선택 메뉴(103)이 출력된다.
이때, 도 3 및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전의 모니터링 이력(50)에 따라서, 상술한 순위별로 질의 정보가 L1,"L21, L22, L23", "L31, L32"등으로 관리되며, 이때 연관 정보(R1, R2)가 설정되어 질의 정보의 출력 순서에 따라서 상술한 예와 같이 출력되도록 관리될 수 있다.
한편, 보고서 컨텐츠 생성부(12)는 주택 관리 인터페이스를 통해 점검자 계정으로부터 입력된 응답 정보를 가공하여 주택의 상태를 모니터링한 결과를 확인 가능한 결과 보고서 컨텐츠를 생성하되, 적어도 모니터링된 주택관리 요소별로 응답 정보에 따라서 하자 보수의 필요성을 기설정된 요소별 기준 정보에 따라서 분류한 결과 설정되는 관리 심각도 정보에 따라서, 각 결과 보고서 상의 주택 관리 요소별 모니터링 결과 출력 영역에 서로 다른 시각적 효과 컨텐츠가 적용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본 발명에서 결과 보고서 컨텐츠는 웹 문서를 포함한 문서 형식의 컨텐츠로서, 텍스트, 이미지, 동영상, 소리등의 컨텐츠가 포함된 컨텐츠를 의미한다.
또한, 결과 보고서 컨텐츠는 예를 들어 응답 정보를 결합하여 점검자가 해당 회차에 수행한 모니터링 결과를 일괄적이고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가공된 형태의 컨텐츠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도 5와 같은 형태가 결과 보고서 컨텐츠로서 임대인 또는 임차인 계정에 제공되도록 생성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하나의 결과 보고서 컨텐츠(110)에는 주택 정보, 모니터링 일자 정보 등과 함께, 각 주택 관리 요소에 대한 질의 정보와 응답 정보를 바탕으로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내용이 포함되어 있다.
이때 상술한 바와 같이 결과 보고서 컨텐츠에는 관리 심각도 정보에 따라서 주택 관리 요소별 모니터링 결과 출력 영역별로 서로 다른 시각적 효과 컨텐츠(111, 112)가 적용된다.
서로 다른 시각적 효과 컨텐츠라 함은, 도 5에 도시된 효과(111, 112)와 같이 해당 주택 관리 요소의 모니터링 결과를 서로 다른 색, 음영 등으로 표시하여확인하는 유저가 직관적으로 어떤 주택 관리 요소의 상태가 심각한지 여부를 인지할 수 있도록 하거나, 이외의크기, 글자체, 아이콘 표시, 점멸 등의 효과를 적용하는 것을 포함한다.
관리 심각도 정보는 상대적인 정보로서, 상대적 개념은 하나의 결과 보고서 컨텐츠에서의 상대적 개념 또는 전체적인 시스템(10) 상에서의 상대적 개념으로 이해될 수 있다.
관리 심각도 정보는 상술한 바와 같이 하자 보수의 필요성을 인지할 수 있도록 설정되는 개념이다.
예를 들어 "유지 가능", "지속적 체크 필요", "빠른 시일 내수리 필요", "즉시 수리 필요" 등의 순으로 설정되는 개념일 수 있다.
이러한 관리 심각도 정보는 질의 정보에 대한 응답 정보로 산출될 수 있는데, 상술한 예를 들면, "벽지가 습기에 의하여 젖거나 찢어졌나"에 대한 응답 정보가 "예"이고, 이에 연관 정보를 가져 선택되는 질의 정보가 "즉시수리되지 않으면 물이 바닥에 샐 가능성이 있는가"이며 이에 대한 응답 정보가 "예"인 경우, 상술한 관리 심각도 정보가 "즉시 수리 필요"로 산출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질의 정보 및 응답 정보에 따른 관리 심각도 정보는, 상술한 바와 같이 질의 정보 및 응답 정보에 따라서 시스템(10) 상에서 관리자 등의 설정에 따라서 설정되어 있거나, 상술한 질의 정보 및 응답 정보에 따른 관리 결과 자동으로 설정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보고서 컨텐츠 공유부(13)는 보고서 컨텐츠 생성부(120에 의하여 생성된 결과 보고서 컨텐츠를 임차인계정 및 임차인 계정에 등록된 주소지의 주택의 소유자인 임대인 계정에 공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보고서컨텐츠 공유부(13)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생성된 결과 보고서 컨텐츠를, 해당 주택의 관계자인 임차인 및 임대인의 계정에 전송하여, 임차인 단말(30) 및 임대인 단말(40)을 통해 임차인 및 임대인이 해당 결과를 확인할 수있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기능 수행에 의하면, 임차인의 과금에 의하여 주택 관리를 위해 주기적으로 주택을 방문하는 점검자가 편리한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체계적으로 주택에 대한 모니터링 정보를 입력하고, 이에 의하여 생성된 결과 보고서 컨텐츠를 임차인 및 임대인 사이에 공유하도록 하기 때문에, 실제로 구현 가능한 정도의 비즈니스 모델을 통해 주택의 관리 요소들을 관리할 수 있어, 주택 관리의 편의성 및 효율성을 구현 가능하도록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관리되는 결과 보고서 컨텐츠에는 관리 심각도 정보에 따라서 수리가 필요한 주택 관리 요소를 확인할 수 있는데, 주택 관리 요소 및 주택 관리 요소에 대한 수리의 종류 등에 따라, 임차인이 해당 수리를 부담하거나, 임대인이 해당 수리를 부담해야 하는 경우가 있다.
즉, 임대차 보호법 등에 의하면, 임대인은 임차 인이 주택 등을 임차하여 사용하는 도중, 임차인의 실수가 아닌 주택 자체의 문제에 의한 하자 보수 등의 책임이 있고, 임차인은 주택 사용 도중 주택의 각 요소들을 훼손하는 경우 수리의 책임이 있고, 임대차 계약 만료시, 주택이나 거주지, 사무실 등에 대한 원상복귀 의무가 있다.
이러한 임차인과 임대인의 책임 요소는, 상술한 결과 보고서 컨텐츠에 포함된 질의 정보 및 응답 정보를 통해서유추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결과 보고서 컨텐츠를 이용하면, 임차인과 임대인이 주택의 이용에 있어서 합리적이고 투명하게 하자 보수 필요성 및 책임 여부 등을 확인할 수 있어, 임차인과 임대인의 주택 이용에 따른 갈등을 최소화하고, 합리적으로 하자 보수를 처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러한 효과를 달성하기 위해서 예를 들어 보고서 컨텐츠 생성부(12)는 결과 보고서 컨텐츠를 생성 시, 주택관리 요소와 이에 관련된 응답 정보에 따라서 설정되는 정보로서, 주택 관리 요소의 하자 보수의 책임에 대한 정보인 책임 정보를 주택 관리 요소별로 설정하여 결과 보고서 컨텐츠에 포함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책임 정보는 결과 보고서 컨텐츠가 생성되는 시점에서 시스템(10) 관리자에게 결과 보고서 컨텐츠의 공유 전 체크 프로세스를 통해 관리자 계정에서 입력하도록 하거나, 질의 정보 및 응답 정보에 따라서 자동으로 해당 책임 정보를 설정하도록 할 수 있다.
자동 설정 시, 질의 정보 및 응답 정보에 미리 데이터베이스(15) 상에 해당 책임 정보가 설정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의 화면(120)을 참조하면, 제1 순위 질의 정보에 "샷시 상태를 체크하는가", 응답 정보에 "예", 제2 순위 질의 정보에 "샷시가 정상 상태인가", 응답 정보에 "아니오", 제3 순위 질의 정보에 "샷시가 훼손되었는가", 응답 정보에 "아니오", 제4 순위 질의 정보에 "샷시의 프레임이나 방충망에 녹이 슬었는가", 응답 정보에 "예", 제5 순위 질의 정보에 "샷시의 교체 필요성이 있는가", 응답 정보에 "예" 등의 순으로 질의와 응답이 수행된 경우, 도 6의 화면(120)과 같이 "샷시 방충망 노후"의 결과가 도출되고, 경우에 따라서 점검자가 이를 촬영한 이미지(I5)가 포함될 수 있다.
샷시의 방충망이 노후되는 것은, 임차인이 주택을 이용하는 도중 임차인의 실수에 의하여 생긴 상황이 아니기
때문에, 임대인이 이에 대한 유지 보수의 의무가 있을 것이며, 이 경우, 상술한 수동 또는 자동적인 책임 정보의 설정 결과에 따라서 임대인이 해당 하자에 대한 보수 책임이 있는 것으로 책임 정보가 설정되는 것이다.
결과 보고서 컨텐츠의 일 화면(120)에 상술한 바와 같은 책임 정보가 설정되도록 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임차인과 임대인이 주택의 이용에 있어서 합리적이고 투명하게 하자 보수 필요성 및 책임 여부 등을 확인할 수 있어, 임차인과 임대인의 주택 이용에 따른 갈등을 최소화하고, 합리적으로 하자 보수를 처리할 수 있는 것이다.
보고서 컨텐츠 생성부(12)의 기능 수행에 따라서 각 주택 관리 요소의 하자 보수의 책임에 대한 책임 정보가 설정되면, 보고서 컨텐츠 공유부(13)는, 임차인 계정에 결과 보고서 컨텐츠를 공유 시, 임대인 계정에 책임 정보가 설정된 주택 관리 요소에 대한 하자 보수를 요청할 수 있는 수리 요청 인터페이스가 상기 결과 보고서 컨텐츠에 연동되어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예가 도 7 등에 도시되어 있다.
먼저 도 6의 화면(120) 상에는 비용 견적 메뉴(121) 및 소통하기 메뉴(122)가 출력되는데, 임차인 계정의 화면 상에서 소통하기 메뉴(122)는 채팅 인터페이스 등을 통해 해당 정보를 임대인 계정과 공유하고 이에 대한 수리 등의 협의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비용 견적 메뉴(121)를 선택 시, 임차인 계정 등에는 도 7의 인터페이스 화면(130)이 출력될 수 있다.
도 7의 인터페이스 화면(130)은 하자 보수 관리부(14)의 기능 수행에 따라 출력되는 화면인데, 본 발명에서 하자 보수 관리부(14)는, 비용 견적 메뉴(121) 등에 대한 임차인 계정의 선택을 통한 수리 요청 인터페이스에 대한 임차인 계정의 수리 요청 입력을 수신 시, 하자 보수의 대상이 되는 주택 관리 요소의 수리가 가능한 물품을 추출하고, 추출된 물품의 구매가 가능한 쇼핑몰에 대한 물품 판매 정보 조회 및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주택 관리 요소 별 수리 공임 정보를 이용하여, 수리 요청 입력에 대응되는 수리 비용 견적을 자동으로 산출하여 임차인 계정 및 임대인 계정에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수리 요청 입력을 수신 후 수리 요청 인터페이스를 출력하거나, 수리 요청 인터페이스 자체가 도 7의 화면(130)을 의미하는 경우, 비용 견적 메뉴(121)에 대한 선택을 통해 수리 비용 견적을 산출한 후, 도 7의 요청하기 메뉴(131)를 선택하는 것을 통해 수리 요청 입력을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시스템(10)의 기능 수행에 따른 서비스 제공 업체에는 하자 보수를 수행하거나 해당 하자 보수에 필요한 물품등을 판매하는 쇼핑몰이 연계될 수 있는데, 이때 임차인 계정에서 비용 견적 메뉴(121)를 선택 시, 해당 쇼핑몰 및 연계된 하자 보수 업체 또는 서비스 제공 업체에 소속된 하자 보수 인력 등에 대한 정보 공유 등을 통해서, 하자 보수에 필요한 물품의 견적(S10)과 하자 보수에 소요되는 공임비 견적(S11)을 산출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수리 비용 견적(총 견적)이 산출될 수 있고, 요청하기 메뉴(131)를 통해서 임차인 계정은 임대인계정에 임대인 계정에 책임 정보가 설정된 주택 관리 요소에 대한 하자 보수를 요청할 수 있다. 한편, 임차인 계정에 책임 정보가 설정되는 경우, 임대인 계정 역시 상술한 도 6 내지 7에 대한 설명에서 언급된 기능과 동일한 인터페이스 및 프로세스를 통해서, 임차인 계정에 수리를 요청할 수 있다.
그러나, 임차인 계정에서 즉시 하자 보수에 연관된 수리를 수행하지 못하는 경우 등에 대해서, 임대인 계정에 불필요한 피해를 방지하기 위한 실시예가 구현될 수 있다. 상기의 실시예로서, 보고서 컨텐츠 공유부(13)는, 임대인 계정에 결과 보고서 컨텐츠를 공유 시, 임차인 계정에 책임 정보가 설정된 주택 관리 요소에 대해서, 임대차 계약에 따른 보증금에서 하자 보수 관리부의 기능 수행에 따라서 산출된 주택 관리 요소에 대한 수리 비용 견적에 대응되는 금액을 차감하는 제1 방식, 임차인 계정에 주택 관리 요소에 대한 수리를 요청하는 제2 방식 및 임차인 계정에 임대차 계약 만료 시 주택 관리 요소에 대한원상 복구 의무를 설정하고 설정된 원상 복구 의무를 고지하는 제3 방식 중 임대인 계정으로부터 선택된 어느한 방식에 따라서 임차인 계정에 상기 선택된 어느 한 방식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예는 도 8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도 8의 인터페이스 화면(140)을 참조하면, 임대인 계정에는 방충망의 임차인에 의한 훼손에 따라서 상술한 예와 동일한 프로세스를 통해서 수리 비용 견적이 산출된 상태에서, 다양한 방식으로 임차인에게 책임에 대한 의무 수행을 요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방식으로서, 임차인이 임대차 계약 시 예치한 보증금에서, 해당 수리 비용 견적을 차감하고 임대인이 해당 하자 보수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거나 수리를 하지 않는 차감 처리 메뉴(141), 제2 방식으로서 직접 임차인에게 수리를 요청하는 수리 요청 메뉴(143), 제1 방식 및 제2 방식 이외에, 해당 상태를 유지하면서 임차인이 임차를 유지한 상태에서, 임대차 계약 만료 시 해당 주택 관리 요소를 수리하여 임차 개시 시점에서의 주택 관리 요소의 상태로의 원상 복귀를 미리 고지하는 제3 방식의 의무 고지 메뉴(145)를 선택할 수 있다.
이러한 도 8의 인터페이스 화면(140)에 대한 임대인 계정의 선택은 임차인과의 소통을 통해 취소메뉴(142, 144, 146)를 통해 취소 및 재설정될 수 있고, 임대인인 이력 보기 메뉴(147)를 통해 해당 임차인과의 하자 보수에 대한 히스토리를 조회하고, 적절한 방식을 선택할 수 있다.
임대인이 최종적으로 제1 내지 제3 방식 중 어느 한방식을 선택 시, 임차인 계정에는 각 하자 보수에 대해서 결정된 처리 방식을 상술한 바와 같이 제공하여, 추후투명하게 각 하자 보수의 책임 요소에 대해서 확인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실시 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또, 다른 한편 도 9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컴퓨팅 장치의 내부 구성의 일 예를 도시하였으며,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상술한 도 1 내지 11에 대한 설명과 중복되는 불필요한 실시 예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한다.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컴퓨팅 장치(10000)은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processor)(11100), 메모리(memory)(11200), 주변장치 인터페이스(peripheral interface)(11300), 입/출력 서브시스템(I/O subsystem)(11400), 전력 회로(11500) 및 통신 회로(11600)를 적어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컴퓨팅 장치(10000)은 촉각 인터페이스 장치에 연결된 유저 단말이기(A) 혹은 전술한 컴퓨팅 장치(B)에 해당될 수 있다.
메모리(11200)는 일례로 고속 랜덤 액세스 메모리(high-speed random access memory), 자기 디스크, 에스램(SRAM), 디램(DRAM), 롬(ROM), 플래시 메모리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1200)는 컴퓨팅장치(10000)의 동작에 필요한 소프트웨어 모듈, 명령어 집합 또는 그밖에 다양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11100)나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1300) 등의 다른 컴포넌트에서 메모리(11200)에 액세스하는 것은 프로세서(1110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1300)는 컴퓨팅 장치(10000)의 입력 및/또는 출력 주변장치를 프로세서(11100) 및 메모리(11200)에 결합시킬 수 있다.
프로세서(11100)는 메모리(11200)에 저장된 소프트웨어 모듈 또는 명령어 집합을 실행하여 컴퓨팅 장치(10000)을 위한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고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
입력과 출력(입/출력) 서브시스템(11400)은 다양한 입/출력 주변장치들을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1300)에 결합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입/출력 서브시스템(11400)은 모니터나 키보드, 마우스, 프린터 또는 필요에 따라 터치스크린이나 센서 등의 주변장치를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1300)에 결합시키기 위한 컨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 따르면, 입/출력 주변장치들은 입/출력 서브시스템(11400)을 거치지 않고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1300)에 결합될 수도 있다.
전력 회로(11500)는 단말기의 컴포넌트의 전부 또는 일부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력 회로(11500)는 전력 관리 시스템, 배터리나 교류(AC) 등과 같은 하나 이상의 전원, 충전 시스템, 전력 실패 감지 회로(power failure detection circuit), 전력 변환기나 인버터, 전력 상태 표시자 또는 전력 생성, 관리, 분배를 위한 임의의 다른 컴포넌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 회로(11600)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포트를 이용하여 다른 컴퓨팅 장치와 통신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는, 상술한 바와 같이 필요에 따라 통신 회로(11600)는 RF 회로를 포함하여 전자기 신호(electromagnetic signal)라고도 알려진 RF 신호를 송수신함으로써, 다른 컴퓨팅 장치와 통신을 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
이러한 도 9의 실시 예는, 컴퓨팅 장치(10000)의 일례일 뿐이고, 컴퓨팅 장치(11000)은 도 9에 도시된 일부 컴포넌트가 생략되거나, 도 9에 도시되지 않은 추가의 컴포넌트를 더 구비하거나, 2개 이상의 컴포넌트를 결합시키는 구성 또는 배치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바일 환경의 통신 단말을 위한 컴퓨팅 장치는 도 9에도시된컴포넌트들 외에도, 터치스크린이나 센서 등을 더 포함할 수도 있으며, 통신 회로(1160)에 다양한 통신방식(WiFi, 3G, LTE, Bluetooth, NFC, Zigbee 등)의 RF 통신을 위한 회로가 포함될 수도 있다.
컴퓨팅 장치(10000)에 포함 가능한 컴포넌트들은 하나 이상의 신호 처리 또는 어플리케이션에 특화된 집적 회로를 포함하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양자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법들은 다양한 컴퓨팅 장치를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instruction)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 예에 따른 프로그램은 PC 기반의 프로그램 또는 모바일 단말 전용의 어플리케이션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이 적용되는 애플리케이션은 파일배포 시스템이 제공하는 파일을 통해 이용자 단말에 설치될 수 있다. 일 예로, 파일 배포 시스템은 이용자 단말이기의 요청에 따라 상기 파일을 전송하는 파일 전송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장치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구 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 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 (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팅 장치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 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 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실시 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 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 의 범위에 속한다.
전술한 내용에 근거하여 도 10 내지 도 13를 참조하면 지능형 공동주택의 초고속 정보통신설비 연계 시스템 제공방법으로서, 통합관리 시스템이 설계되는 단계; 상기 통합관리 시스템이 설치현장에 설치되는 단계; 상기 통합관리 시스템이 동작하여 운용되는 단계; 및 상기 통합관리 시스템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설치현장에서 모니터링 유닛에 의하여 모니터링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통합관리 시스템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에서 수행 가능한 명령들을 저장하는 하나 이상의 메모리를 포함하며, 주기적 과금 결제가 이루어지는 주택 임차인 계정에 등록된 주소지에 기설정된 주기마다 방문하여 주택의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점검자 계정이 접속한 점검자 단말에서 실행되며, 주택의 스펙 및 주택 모니터링 이력에 따라서 서로 다르게 선택되어 주택의 상태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질의 정보가 출력되고, 상기 질의 정보에 대한 텍스트 또는 이미지 데이터를 포함하는 응답 정보의 입력이 가능한 주택 관리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인터페이스 제공부를 포함한다.
아울러 상기 모니터링 유닛은, 현장에 단수 혹은 다수로 구비되어 원격위치감지시스템을 이루는 요소들을 다수에 대하여 모니터할 수 있다.
이러헌 상기 모니터유닛은 일측에 위치되는 바 형상의 제1기둥모듈(110')과, 타측에 위치되는 바 형상의 제2기둥모듈(210')과, 상기 제1기둥모듈(110')상에 설치되는 제1구동몸체(115')와, 상기 제2기둥모듈(210')상에 설치되는 제2구동몸체(215')와, 상기 제1구동몸체(115')와 상기 제2구동몸체(215')의 대향하는 양측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관리모듈가 장착되는 바 형상의 수용모듈(310')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관리모듈은 제1감시부(CM1)와 제2감시부(CM2)를 포함한다.
상기 수용모듈(310')은, 일측면에 상기 제1감시부(CM1)가 장착되며 타측면에 상기 제2감시부(CM2)가 장착되며, 상기 제1구동몸체(115')와 상기 제2구동몸체(215') 사이에서 설정반경으로 축회전된다.
아울러 상기 모니터유닛은, 상기 제1구동몸체(115')의 상부로 설치되는 제1서브기둥모듈(120')과, 상기 제2구동몸체(215')의 상부로 설치되는 제2서브기둥모듈(220')과, 상기 제1서브기둥모듈(120')과 상기 제2서브기둥모듈(220')의 대향하는 양측으로 설치되는 가동패널(320')과, 상기 가동패널(320')의 중앙부에 설치되며 상기 수용모듈(310')을 고정시키거나 고정을 해제하기 위한 상방가동모듈(330')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상방가동모듈(330')의 좌측에 해당되는 상기 가동패널(320')의 일측은 하부에 유체를 분사하여 상기 관리모듈에 대한 온도를 조절하는 제1온도조절부(331')가 구비된다.
상기 상방가동모듈(330')의 좌측에 해당되는 상기 가동패널(320')의 일측은 하부에 유체를 분사하여 상기 관리모듈에 대한 온도를 조절하는 제2온도조절부(332')가 구비되며, 상기 상방가동모듈(330')은 하부에 유체를 분사하여 상기 관리모듈에 대한 온도를 조절하는 제3온도조절부(333')가 구비된다.
아울러 상기 제1온도조절부(331')와 상기 제2온도조절부(332')는 상기 수용모듈(310')에 대한 유체분사를 통해 설정오도로의 냉각 또는 히팅을 수행하되, 상기 수용모듈(310')이 무회전되는 일반상태에서 상기 유체분사를 수행하는 제1동작모드와, 상기 수용모듈(310')이 축회전되는 회전상태에서 상기 유체분사를 수행하는 제2동작모드로 동작 가능하되, 상기 제1감시부(CM1)는 상기 수용모듈(310')의 상측에 장착되고, 상기 제2감시부(CM2)는 상기 제1감시부(CM1)와 대향하도록 상기 수용모듈(310')의 하측에 장착되며, 상기 제2동작모드를 통해 상기 제1감시부(CM1)와 상기 제2감시부(CM2)에 상기 유체분사가 고르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제2동작모드를 기준으로, 상기 제1감시부(CM1) 중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1온도조절부(331')와 대향하는 제1영역과, 상기 제2온도조절부(332')와 대향하는 제2영역과, 상기 제3온도조절부(333')의 대향하는 제3영역에 위치되어 상기 유체분사가 이루어지며, 상기 제2감시부(CM2) 중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1온도조절부(331')와 대향하는 제1영역과, 상기 제2온도조절부(332')와 대향하는 제2영역과, 상기 제3온도조절부(333')의 대향하는 제3영역에 위치되어 상기 유체분사가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상방가동모듈(330')은, 하부로 돌출하여 상기 수용모듈(310')의 상부에 장착되는 제1장착체(341')와 하부로 돌출하여 상기 수용모듈(310')의 상부에 장착되는 제2장착체(342')가 구비된다.
상기 제1장착체(341')는 상기 제3온도조절부(333')를 기준으로 좌측에 위치되어 상기 수용모듈(310')에 장착되며, 상기 제2장착체(342')는 상기 제3온도조절부(333')를 기준으로 우측에 위치되어 상기 수용모듈(310')에 장착된다.
아울러 상기 제1장착체(341')와 상기 제2장착체(342')는, 상기 제2동작모드를 급정지 시키도록 기설정된 제1강도로 상기 수용모듈(310')을 누르는 제1정지모드와, 상기 제2동작모드를 점진적으로 정지 시키도록 상기 제1강도보다 약한 제2강도로 상기 수용모듈(310')을 누르는 제2정지모드로의 동작이 가능하다.
상기 제1서브기둥모듈(120')과 상기 제2서브기둥모듈(220')은, 각각 상기 제1구동몸체(115')와 상기 제2구동몸체(215')로부터 상방과 하방간에 위치이동이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상방가동모듈(330')은 상기 위치이동에 기반하여 상기 수용모듈(310')에 대한 상기 제1장착체(341')와 상기 제2장착체(342')의 누름정도가 저감 혹은 보강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상방가동모듈(330')은, 상기 제1기둥모듈(110')의 내측면에 구비되는 제1구동패널(351')과, 상기 제2가동모듈(210')의 내측면에 구비되는 제2구동패널(352')과, 상기 제1구동패널(351')과 상기 제2구동패널(352') 사이에 구비되는 하방가동모듈(360')을 더 포함한다.
상기 하방가동모듈(360')의 상부 일측는 상부로 유체를 분사하여 상기 관리모듈에 대한 온도를 조절하는 제4온도조절부(361')가 구비되며, 상기 하방가동모듈(360')의 상부 타측는 상부로 유체를 분사하여 상기 관리모듈에 대한 온도를 조절하는 제5온도조절부(362')가 구비된다.
상기 제4온도조절부(361')와 상기 제5온도조절부(362')는, 상기 수용모듈(310')에 대한 제2유체분사를 통해 설정오도로의 냉각 또는 히팅을 수행하되, 상기 제1동작모드와 상기 제2동작모드에 기반하여 상기 제2유체분사를 수행하며, 상기 제2동작모드를 통해 상기 제1감시부(CM1)와 상기 제2감시부(CM2)에 상기 제2유체분사가 고르게 이루어지도록한다.
아울러 상기 제4온도조절부(361')는 상기 제1장착체(341')의 대향하는 위치로 구비되며, 상기 제5온도조절부(362')는 상기 제2장착체(342')의 대향하는 위치로 구비된다.
상기 상방가동모듈(330')은, 상부로 돌출하여 상기 수용모듈(310')의 상부에 장착되는 제3장착체(370')와 상기 제3장착체(370') 좌측에 위치되며, 상부로 돌출하여 상기 수용모듈(310')의 상부에 장착되는 제4장착체(371')와 상기 제3장착체(370') 우측에 위치되며, 상부로 돌출하여 상기 수용모듈(310')의 상부에 장착되는 제5장착체(372')를 포함한다.
상기 제2동작모드를 기반으로, 상기 제1감시부(CM1) 중 적어도 다른 일부는 상기 제4온도조절부(361')와 대향하는 제4영역과, 상기 제5온도조절부(362')와 대향하는 제5영역에 위치되어 상기 유체분사가 이루어지며, 상기 제2감시부(CM2) 중 적어도 다른 일부는 상기 제4온도조절부(361')와 대향하는 제4영역과, 상기 제5온도조절부(362')와 대향하는 제5영역에 위치되어 상기 유체분사가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제4장착체(371')와 상기 제5장착체(372')는, 상기 제2동작모드를 급정지 시키도록 기설정된 제3강도로 상기 수용모듈(310')을 누르는 제3정지모드와, 상기 제2동작모드를 점진적으로 정지 시키도록 상기 제3강도보다 약한 제4강도로 상기 수용모듈(310')을 누르는 제4정지모드로의 동작이 가능하다.
이러한 상기 제1구동패널(351')과 상기 제2구동패널(352')은, 상기 제1기동모듈과 상기 제2기동모듈로부터 상하로 제2위치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하방가동모듈(360')은,상기 제2위치이동에 기반하여 상기 수용모듈(310')에 대한 상기 제3장착체(370'), 상기 제4장착체(371') 및 상기 제5장착체(372')의 누름정도가 저감 혹은 보강되도록 한다.
상기 모니터유닛은, 상기 제1기둥모듈(110')의 하부에 장착되어 상기 제1기둥모듈(110')을 위치고정시키는 제1고정모듈(410')과, 상기 제2기둥모듈(210')의 하부에 장착되어 상기 제2기둥모듈(210')을 위치고정시키는 제2고정모듈(510')을 더 포함한다.
상기 제1기둥모듈(110')은 하방단부에 외주면이 축소된 제1연장부(1101')가 구비되며, 상기 제1고정모듈(410')은, 하부의 제1본체패널(411')과, 상기 제1본체패널(411')의 상부 양측으로 구비되는 제1압입모듈(412')과, 상기 제1압입모듈(412')의 상부 양측으로 각각 구비되는 제1서브압입모듈(413')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1본체패널(411')은 상기 제1연장부(1101')가 거치되며, 상기 제1압입모듈(412')은 상기 제1연장부(1101')의 둘레부를 압입하여 고정하며, 상기 제1서브압입모듈(413')은 상기 제1기둥모듈(110')의 둘레부를 압입하여 고정한다.
한편 상기 제2기둥모듈(210')은 하방단부에 외주면이 축소된 제2연장부(2101')가 구비되며, 상기 제2고정모듈(510')은, 하부의 제2본체패널(511')과, 상기 제2본체패널(511')의 상부 양측으로 구비되는 제2압입모듈(512')과, 상기 제2압입모듈(512')의 상부 양측으로 각각 구비되는 제2서브압입모듈(513')을 포함하며, 상기 제2본체패널(511')은 상기 제2연장부(2101')가 거치되며, 상기 제2압입모듈(512')은 상기 제2연장부(2101')의 둘레부를 압입하여 고정하며, 상기 제2서브압입모듈(513')은 상기 제2기둥모듈(210')의 둘레부를 압입하여 고정한다.
상기 제1서브압입모듈(413')과 상기 제2서브압입모듈(513')은 각각 상기 제1압입모듈(412')과 상기 제2압입모듈(512')에서 둘레방향 회전을 기반으로 압입을 수행하되, 상기 제1서브압입모듈(413')과 상기 제2서브압입모듈(513')은 각각 상기 제1압입모듈(412')과 상기 제2압입모듈(512')에서 둘레방향 회전과 함께 상기 제1기둥모둘과 상기 제2기둥모듈(210')을 향하여 둘레방향회전과 함께 근접이동이 가미되어 압입을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제1압입모듈(412')의 상부에 제1연장바(4131')가 구비되며, 상기 제1연장바(4131') 상단에 설치되는 제1고정플랜지(4132')가 구비되며, 상기 제2압입모듈(512')의 상부에 제2연장바(5131')가 구비되며, 상기 제2연장바(5131') 상단에 설치되는 제2고정플랜지(5132')가 구비되며, 상기 제1고정플랜지(4132')는 상기 제1기둥모듈(110') 외측에 삽입 장착되며 상기 제1연장바(4131')는 상기 제1기둥모듈(110')이 삽입 장착된 상태에서 하강하며, 상기 제2고정플랜지(5132')는 상기 제2기둥모듈(210') 외측에 삽입 장착되며 상기 제2연장바(5131')는 상기 제2기둥모듈(210')이 삽입 장착된 상태에서 하강한다.
아울러 상기 제1연장바(4131')와 상기 제2연장바(5131')의 하강에 기반하여 상기 제1고정플랜지(4132')와 상기 제2고정플랜지(5132')가 상기 제1기둥모둘(110')과 상기 제2기둥모듈(210')을 하부로 당겨 고정력을 부여한다.
상기 모니터유닛은 내부 수용공간이 형성된 보관체(610')가 덮어지며, 상기 보관체(610')는 상기 제1고정플랜지(4132')와 상기 제2고정플랜지(5132')에 안착되며, 상기 보관체(610')는 상기 모니터유닛을 밀폐시켜 상기 관리모듈에 대한 상기 유체분사와 상기 제2유체분사에 따라 유체가 내부 충진되도록 한다.
이상에서 전술한 물리적 구성들의 구동방식은 모터, 엑츄에이터 등을 기반으로 전후유동, 회전이동이 이루어지며 각 구성부의 형상과 크기는 설치 현장과 구현하고자하는 자재들에 따라 다양하게 선택되어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2)

  1. 지능형 공동주택의 초고속 정보통신설비 연계 시스템 제공방법으로서,
    통합관리 시스템이 설계되는 단계; 상기 통합관리 시스템이 설치현장에 설치되는 단계; 상기 통합관리 시스템이 동작하여 운용되는 단계; 및 상기 통합관리 시스템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설치현장에서 모니터링 유닛에 의하여 모니터링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통합관리 시스템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에서 수행 가능한 명령들을 저장하는 하나 이상의 메모리를 포함하며, 주기적 과금 결제가 이루어지는 주택 임차인 계정에 등록된 주소지에 기설정된 주기마다 방문하여 주택의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점검자 계정이 접속한 점검자 단말에서 실행되며, 주택의 스펙 및 주택 모니터링 이력에 따라서 서로 다르게 선택되어 주택의 상태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질의 정보가 출력되고, 상기 질의 정보에 대한 텍스트 또는 이미지 데이터를 포함하는 응답 정보의 입력이 가능한 주택 관리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인터페이스 제공부를 포함하되,
    상기 모니터링 유닛은,
    일측에 위치되는 바 형상의 제1기둥모듈(110')과, 타측에 위치되는 바 형상의 제2기둥모듈(210')과, 상기 제1기둥모듈(110')상에 설치되는 제1구동몸체(115')와, 상기 제2기둥모듈(210')상에 설치되는 제2구동몸체(215')와, 상기 제1구동몸체(115')와 상기 제2구동몸체(215')의 대향하는 양측 사이에 설치되며 촬영을 수행하는 관리모듈이 장착되는 바 형상의 수용모듈(310')을 포함하며, 상기 관리모듈은 제1감시부(CM1)와 제2감시부(CM2)를 포함하되,
    상기 수용모듈(310')은,
    일측면에 상기 제1감시부(CM1)가 장착되며 타측면에 상기 제2감시부(CM2)가 장착되며,
    상기 제1구동몸체(115')와 상기 제2구동몸체(215') 사이에서 설정반경으로 축회전되며,
    상기 모니터링 유닛은,
    상기 제1구동몸체(115')의 상부로 설치되는 제1서브기둥모듈(120')과, 상기 제2구동몸체(215')의 상부로 설치되는 제2서브기둥모듈(220')과, 상기 제1서브기둥모듈(120')과 상기 제2서브기둥모듈(220')의 대향하는 양측으로 설치되는 가동패널(320')과, 상기 가동패널(320')의 중앙부에 설치되며 상기 수용모듈(310')을 고정시키거나 고정을 해제하기 위한 상방가동모듈(320')을 포함하되,
    상기 상방가동모듈(320')의 좌측에 해당되는 상기 가동패널(320')의 일측은 하부에 유체를 분사하여 상기 관리모듈에 대한 온도를 조절하는 제1온도조절부(321')가 구비되며,
    상기 상방가동모듈(320')의 좌측에 해당되는 상기 가동패널(320')의 타측은 하부에 유체를 분사하여 상기 관리모듈에 대한 온도를 조절하는 제2온도조절부(322')가 구비되며,
    상기 상방가동모듈(320')은 하부에 유체를 분사하여 상기 관리모듈에 대한 온도를 조절하는 제3온도조절부(333')가 구비되며,
    상기 제1온도조절부(321')와 상기 제2온도조절부(322')는 상기 수용모듈(310')에 대한 유체분사를 통해 설정 온도로의 냉각 또는 히팅을 수행하되,
    상기 수용모듈(310')이 무회전되는 일반상태에서 상기 유체분사를 수행하는 제1동작모드와,
    상기 수용모듈(310')이 축회전되는 회전상태에서 상기 유체분사를 수행하는 제2동작모드로 동작 가능하되,
    상기 제1감시부(CM1)는 상기 수용모듈(310')의 상측에 장착되고,
    상기 제2감시부(CM2)는 상기 제1감시부(CM1)와 대향하도록 상기 수용모듈(310')의 하측에 장착되며,
    상기 제2동작모드를 통해 상기 제1감시부(CM1)와 상기 제2감시부(CM2)에 상기 유체분사가 고르게 이루어지도록 하되,
    제2동작모드를 기준으로, 상기 제1감시부(CM1) 중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1온도조절부(321')와 대향하는 제1영역과, 제2온도조절부(322')와 대향하는 제2영역과, 제3온도조절부(333')의 대향하는 제3영역에 위치되어 유체분사가 이루어지며, 상기 제2감시부(CM2) 중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1온도조절부(321')와 대향하는 제1영역과, 상기 제2온도조절부(322')와 대향하는 제2영역과, 상기 제3온도조절부(333')의 대향하는 제3영역에 위치되어 상기 유체분사가 이루어지고,
    상기 상방가동모듈(320')은 하부로 돌출하여 수용모듈(310')의 상부에 장착되는 제1장착체(341')와 하부로 돌출하여 수용모듈(310')의 상부에 장착되는 제2장착체(342')가 구비되고,
    상기 제1장착체(341')는 상기 제3온도조절부(333')를 기준으로 좌측에 위치되어 상기 수용모듈(310')에 장착되며,
    상기 제2장착체(342')는 상기 제3온도조절부(333')를 기준으로 우측에 위치되어 상기 수용모듈(310')에 장착되고,

    상기 제1장착체(341')와 상기 제2장착체(342')는,
    상기 제2동작모드를 급정지 시키도록 기설정된 제1강도로 상기 수용모듈(310')을 누르는 제1정지모드와,
    상기 제2동작모드를 점진적으로 정지 시키도록 상기 제1강도보다 약한 제2강도로 상기 수용모듈(310')을 누르는 제2정지모드로의 동작이 가능하되,
    상기 제1서브기둥모듈(120')과 상기 제2서브기둥모듈(220')은, 각각 상기 제1구동몸체(115')와 상기 제2구동몸체(215')로부터 상방과 하방간에 위치이동이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상방가동모듈(330')은 상기 위치이동에 기반하여 상기 수용모듈(310')에 대한 상기 제1장착체(341')와 상기 제2장착체(342')의 누름정도가 저감 혹은 보강되도록 하며,
    상기 상방가동모듈(330')은,
    상기 제1기둥모듈(110')의 내측면에 구비되는 제1구동패널(351')과, 상기 제2기둥모듈(210')의 내측면에 구비되는 제2구동패널(352')과, 상기 제1구동패널(351')과 상기 제2구동패널(352') 사이에 구비되는 하방가동모듈(360')을 더 포함하고,
    상기 하방가동모듈(360')의 상부 일측는 상부로 유체를 분사하여 상기 관리모듈에 대한 온도를 조절하는 제4온도조절부(361')가 구비되며, 상기 하방가동모듈(360')의 상부 타측는 상부로 유체를 분사하여 상기 관리모듈에 대한 온도를 조절하는 제5온도조절부(362')가 구비되며,
    상기 제4온도조절부(361')와 상기 제5온도조절부(362')는, 상기 수용모듈(310')에 대한 제2유체분사를 통해 설정오도로의 냉각 또는 히팅을 수행하되, 상기 제1동작모드와 상기 제2동작모드에 기반하여 상기 제2유체분사를 수행하며, 상기 제2동작모드를 통해 상기 제1감시부(CM1)와 상기 제2감시부(CM2)에 상기 제2유체분사가 고르게 이루어지도록하며,
    상기 제4온도조절부(361')는 상기 제1장착체(341')의 대향하는 위치로 구비되며, 상기 제5온도조절부(362')는 상기 제2장착체(342')의 대향하는 위치로 구비된다. 상기 상방가동모듈(330')은, 상부로 돌출하여 상기 수용모듈(310')의 상부에 장착되는 제3장착체(370')와 상기 제3장착체(370') 좌측에 위치되며, 상부로 돌출하여 상기 수용모듈(310')의 상부에 장착되는 제4장착체(371')와 상기 제3장착체(370') 우측에 위치되며, 상부로 돌출하여 상기 수용모듈(310')의 상부에 장착되는 제5장착체(372')를 포함하고,
    상기 제2동작모드를 기반으로, 상기 제1감시부(CM1) 중 적어도 다른 일부는 상기 제4온도조절부(361')와 대향하는 제4영역과, 상기 제5온도조절부(362')와 대향하는 제5영역에 위치되어 상기 유체분사가 이루어지며, 상기 제2감시부(CM2) 중 적어도 다른 일부는 상기 제4온도조절부(361')와 대향하는 제4영역과, 상기 제5온도조절부(362')와 대향하는 제5영역에 위치되어 상기 유체분사가 이루어지되,
    상기 제4장착체(371')와 상기 제5장착체(372')는, 상기 제2동작모드를 급정지 시키도록 기설정된 제3강도로 상기 수용모듈(310')을 누르는 제3정지모드와, 상기 제2동작모드를 점진적으로 정지 시키도록 상기 제3강도보다 약한 제4강도로 상기 수용모듈(310')을 누르는 제4정지모드로의 동작이 가능한 것이고,
    상기 제2동작모드를 기반으로, 상기 제1감시부(CM1) 중 적어도 다른 일부는 상기 제4온도조절부(361')와 대향하는 제4영역과, 상기 제5온도조절부(362')와 대향하는 제5영역에 위치되어 상기 유체분사가 이루어지며, 상기 제2감시부(CM2) 중 적어도 다른 일부는 상기 제4온도조절부(361')와 대향하는 제4영역과, 상기 제5온도조절부(362')와 대향하는 제5영역에 위치되어 상기 유체분사가 이루어지되,
    상기 제4장착체(371')와 상기 제5장착체(372')는, 상기 제2동작모드를 급정지 시키도록 기설정된 제3강도로 상기 수용모듈(310')을 누르는 제3정지모드와, 상기 제2동작모드를 점진적으로 정지 시키도록 상기 제3강도보다 약한 제4강도로 상기 수용모듈(310')을 누르는 제4정지모드로의 동작이 가능하며,
    상기 제1구동패널(351')과 상기 제2구동패널(352')은 상기 제1기둥모듈(110')과 상기 제2기둥모듈(210')로부터 상하로 제2위치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하방가동모듈(360')은 상기 제2위치이동에 기반하여 상기 수용모듈(310')에 대한 상기 제3장착체(370'), 상기 제4장착체(371') 및 상기 제5장착체(372')의 누름정도가 저감 혹은 보강되도록 하고,
    상기 모니터링유닛은,
    상기 제1기둥모듈(110')의 하부에 장착되어 상기 제1기둥모듈(110')을 위치고정시키는 제1고정모듈(410')과,
    상기 제2기둥모듈(210')의 하부에 장착되어 상기 제2기둥모듈(210')을 위치고정시키는 제2고정모듈(420')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1기둥모듈(110')은 하방단부에 외주면이 축소된 제1연장부(1101')가 구비되며,
    상기 제1고정모듈(410')은 하부의 제1본체패널(411')과, 상기 제1본체패널(411')의 상부 양측으로 구비되는 제1압입모듈(412')과, 상기 제1압입모듈(412')의 상부 양측으로 각각 구비되는 제1서브압입모듈(413')을 포함하는 것인, 지능형 공동주택의 초고속 정보통신설비 연계 시스템 제공방법.
  2. 삭제
KR1020210160116A 2021-11-19 2021-11-19 지능형 공동주택의 초고속 정보통신설비 연계 시스템 제공방법 KR1024924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0116A KR102492474B1 (ko) 2021-11-19 2021-11-19 지능형 공동주택의 초고속 정보통신설비 연계 시스템 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0116A KR102492474B1 (ko) 2021-11-19 2021-11-19 지능형 공동주택의 초고속 정보통신설비 연계 시스템 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92474B1 true KR102492474B1 (ko) 2023-01-30

Family

ID=851060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60116A KR102492474B1 (ko) 2021-11-19 2021-11-19 지능형 공동주택의 초고속 정보통신설비 연계 시스템 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92474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25787A (ko) * 2014-04-30 2015-11-10 와이드브릿지 주식회사 아파트 하자 관리 방법, 아파트 하자 관리 장치 및 아파트 하자 관리 시스템
KR20160065361A (ko) * 2014-11-28 2016-06-09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건축물 유지관리 시스템
KR102213710B1 (ko) * 2020-05-27 2021-02-09 주식회사 땡스엔젤 주택 관리 정보 모니터링 및 공유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259604B1 (ko) * 2019-12-02 2021-06-02 주식회사케이엘 주택 하자 관리시스템을 이용한 주택 하자 관리 방법
KR102300163B1 (ko) * 2021-03-03 2021-09-10 주식회사 엠피코씨엠 드론을 활용한 송배전선로 전력설비 감시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25787A (ko) * 2014-04-30 2015-11-10 와이드브릿지 주식회사 아파트 하자 관리 방법, 아파트 하자 관리 장치 및 아파트 하자 관리 시스템
KR20160065361A (ko) * 2014-11-28 2016-06-09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건축물 유지관리 시스템
KR102259604B1 (ko) * 2019-12-02 2021-06-02 주식회사케이엘 주택 하자 관리시스템을 이용한 주택 하자 관리 방법
KR102213710B1 (ko) * 2020-05-27 2021-02-09 주식회사 땡스엔젤 주택 관리 정보 모니터링 및 공유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300163B1 (ko) * 2021-03-03 2021-09-10 주식회사 엠피코씨엠 드론을 활용한 송배전선로 전력설비 감시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62940B2 (en)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faults and/or for providing optimization measures to enhance the performance of one or more buildings
US10767885B2 (en) Building automation system with an energy optimization builder and generic data model designer
Wang et al. Engagement of facilities management in design stage through BIM: framework and a case study
KR102213710B1 (ko) 주택 관리 정보 모니터링 및 공유 서비스 제공 시스템
US20150350303A1 (en) Manufacturing optimization platform and method
US20180307215A1 (en) Flexible assembly system for multi-product production, and method of reconfiguring production line
US20140279571A1 (en) Contractor locator and dispatch service
US20140089209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linking building information models with building maintenance information
Galiano-Garrigos et al. Building information modelling in operations of maintenance at the university of alicante
KR20150110985A (ko) 건물통합관리 시스템 및 이에 의한 건물통합관리 방법
CN106485342A (zh) 使企业营运与设施能量使用相互关联的分析引擎
KR102492474B1 (ko) 지능형 공동주택의 초고속 정보통신설비 연계 시스템 제공방법
US20200302352A1 (en) Cognitive system for automatic risk assessment, solution identification, and action enablement
US20210102868A1 (en) Values for drivetrain
Talamo et al. Methodological experimentation: proposal of a datasheet template for FM activities in the BIM environment
JP4404156B1 (ja) 住宅履歴の管理システム
KR102183229B1 (ko) 부동산 임대 관리 장치 및 방법
KR20220148611A (ko) 보일러 및 난방배관 수리/교체/시공 중개 서비스 플랫폼 및 이를 지원하는 시스템
JP2007219679A (ja) 施設補修見積システム
US2012008947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ssessing Residential Customer Pre-Installation Criteria
Valmaseda et al. An event-driven SOA-based platform for energy-efficiency applications in buildings
KR20240087192A (ko) 모바일 기반의 건축 현장 감리 및 공사 최적화 모니터링 시스템
Diep et al. Integration of agents and RFID in a manufacturing simulation
GB2577269A (en) App for monitored occupancy
Huizinga Optimized Environmental Stress Screening of US Army Electronic Hardwa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