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21682B1 - 시설물 실시간 점검 장치 및 점검 방법 - Google Patents

시설물 실시간 점검 장치 및 점검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21682B1
KR101721682B1 KR1020160074367A KR20160074367A KR101721682B1 KR 101721682 B1 KR101721682 B1 KR 101721682B1 KR 1020160074367 A KR1020160074367 A KR 1020160074367A KR 20160074367 A KR20160074367 A KR 20160074367A KR 101721682 B1 KR101721682 B1 KR 1017216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facility
unit
measurement
inspec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743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윤
Original Assignee
모바일기술연구소(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모바일기술연구소(주) filed Critical 모바일기술연구소(주)
Priority to KR10201600743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2168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16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16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3/00Testing or monitoring of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 G05B23/02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 G06F17/21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7Strategic management or analysis, e.g. setting a goal or target of an organisation; Planning actions based on goals; Analysis or evaluation of effectiveness of go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sting Or Calibration Of Command Record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설물의 안전점검 현장에서 시설물 데이터를 관리하고, 다양한 계측장비를 통해 자동으로 입력되는 계측 데이터(시험측정 데이터)를 활용하여 시설물의 상태평가를 수행하며 상태평가에 기인한 보고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출력함으로써, 작업자가 현장에서 시설물의 상태평가 수행 결과 및 그에 따라 도출되는 시설물의 안전등급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시설물 실시간 점검 장치 및 점검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시설물 실시간 점검 장치 및 점검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CHECKING THE SAFETY INSPECTION OF A BUILDING IN REAL-TIME}
본 발명은 시설물 실시간 점검 장치 및 점검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 시설물의 안전점검 현장에서 시설물 데이터를 관리하고, 다양한 계측장비를 통해 자동으로 입력되는 계측 데이터(시험측정 데이터)를 활용하여 시설물의 상태평가를 수행하며 상태평가에 기인한 보고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출력함으로써, 작업자가 현장에서 시설물의 상태평가 수행 결과 및 그에 따라 도출되는 시설물의 안전등급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시설물 실시간 점검 장치 및 점검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대사회는 끊임없는 신소재, 신기술 개발을 통해, 더 높고 더 넓으며 더 화려한 시설물 혹은 건축물들이 서로 경쟁하듯 설계되고 있으며, 이러한 시설물들은 단순히 휴식, 주거, 편리의 영역을 넘어 한 기업, 한 도시, 한 나라를 상징하거나 대표하는 중요한 '트레이드마크'로서 자리매김하게 되었다.
이러한 시설물(건축물을 포함함)에 대한 안전점검 및 정밀안전진단(이하, '점검 및 진단' 이라 함)은 '시설물 안전관리에 관한 특별법'에 의거하여 현 국토해양부에서 발표된 '안전점검 및 정밀안전진단 세부지침'에 따라 이루어지고 있는데, 건축물에 대한 점검 및 진단은 수행절차에 따라 사전조사, 현장조사, 안전등급평가 및 부여, 보고서 작성 및 제출의 단계로 나뉠 수 있다.
한편, 현재 대부분의 점검 및 진단 현장에서 이루어지는 일련의 과정들은 현장의 작업자들의 수작업을 토대로 이루어지고 있는데, 특히 계측장비를 통해 계측된 데이터들은 모두 작업자들의 수작업으로 입력되고 있으며 이렇게 기록된 데이터들은 추후 PC에 별도로 타이핑하는 과정을 통해 저장되게 된다.
이때, 작업자에 의해 입력된 데이터가 PC에 저장됨에 있어서, 사람이 행하는 동작에는 실수가 발생되기 마련이기에 타이핑 과정에서 누락되는 데이터가 발생되거나 또는 전혀 다른 데이터가 저장될 우려가 있다.
또한, 현장에 마련된 계측장비를 통해 반발경도 시험, 초음파전달속도 시험, 철근탐사 시험, 철근부식도 시험 또는 콘크리트 탄산화깊이 측정 시험 등을 자체적으로 수행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종래에는 해당 시설물의 안전등급을 평가하기 위하여 외부 서버에 해당 계측 데이터를 업로드 해야 하는 과정과, 추후 평가 담당자들이 해당 외부 서버에 접속한 후 해당 계측 데이터를 이용하여 측정장비에 따라 각기 다른 보정 및 분석 알고리즘을 통해 각각 연산하여 상태평가용 데이터를 도출하는 과정 등의 전산처리가 수행된다는 불편함을 가지고 있었다.
그에 따라, 현장 작업자, 해당 시설물의 점검 및 진단을 의뢰한 의뢰자는 현장에서 시설물의 안전등급을 확인할 수 없었기에 시설물의 점검 및 진단 과정이 끝났음에도 불구하고 최종 보고서를 마냥 기다려야만 한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뿐만 아니라, 계측장비를 통한 시설물 점검 및 진단 과정에 있어서 특정 점검 항목 별로 진행기록이 필요한 상황(예를 들어, 점검 관리자, 담당자, 의뢰자 등의 확인 여부를 녹취, 서명 등 기록으로 남겨야 하는 상황)이 필요하기 마련인데, 종래에는 이러한 상황에서 적절하게 대처하지 못한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또한, 종래에는 현장의 작업자들이 JPG 포맷 형식의 도면 상에 시설물의 결함 부위에 대한 위치를 입력하게 되는데, 이때 도면은 외부 서버에서 시설물의 안전등급을 평가할 시 참고자료로 활용될 뿐, 최종 보고서를 작성함에 있어 표준화된 도면 파일(예를 들어, 표준 CAD 파일 등)을 작성하기 위해서는 표준 CAD 파일 원본 상에 해당 결함 부위를 다시금 입력하여야 한다는 번거로움이 존재하였다.
이에, 본 발명자는 상술한 종래의 시설물 점검 및 진단 현장에서 이루어지는 '점검 및 진단 과정'에 대한 불편함과 번거로움, 각종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하여, 시설물의 안전점검 현장에서 시설물 데이터를 관리하고, 다양한 계측장비를 통해 자동으로 입력되는 계측 데이터(시험측정 데이터)를 활용하여 시설물의 상태평가를 수행하며 상태평가에 기인한 보고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출력함으로써, 작업자가 현장에서 시설물의 상태평가 수행 결과 및 그에 따라 도출되는 시설물의 안전등급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며, 또한 작업자가 입력하는 결함 부위의 위치가 표준 CAD 파일 형식으로 저장될 수 있도록 하는 시설물 실시간 점검 장치 및 점검 방법을 개발하기에 이르렀다.
한국등록특허 제10-1335706호
본 발명의 목적은, 시설물의 안전점검 현장에서 시설물 데이터를 관리하고, 다양한 계측장비를 통해 자동으로 입력되는 계측 데이터(시험측정 데이터)를 활용하여 시설물의 상태평가를 수행하며 상태평가에 기인한 보고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출력함으로써, 작업자가 현장에서 시설물의 상태평가 수행 결과 및 그에 따라 도출되는 시설물의 안전등급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시설물 실시간 점검 장치 및 점검 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계측장비 별로 필요로 하는 데이터 보정 혹은 데이터 분석을 통해 상태평가용 데이터를 도출할 수 있도록 각 계측장비 별 식별정보, 각 계측장비 별 보정 및 분석 알고리즘을 미리 DB화하고, 연결되는 각각의 계측장비의 식별정보를 자동으로 식별한 후, 식별된 식별정보와 기 저장된 식별정보와의 매칭여부를 통해 해당 계측장비를 자동으로 인식함은 물론, 상태평가용 데이터 도출 시 그에 따른 보정 및 분석 알고리즘을 자동으로 선택하여 적용할 수 있는 시설물 실시간 점검 장치 및 점검 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작업자가 입력하는 결함 부위에 대한 위치가 표준 CAD 파일 형식으로 저장될 수 있도록 하는 시설물 실시간 점검 장치 및 점검 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시설물 점검 및 진단 과정에 있어서 특정 점검 항목 별로 진행기록이 필요한 상황에서, 점검 관리자, 담당자, 의뢰자 등의 확인 여부를 녹취 혹은 서명 등 기록으로 남길 수 있는 시설물 실시간 점검 장치 및 점검 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설물 실시간 점검 장치는 점검 대상 시설물에 대한 외관조사 데이터 및 하나 이상의 계측장비로부터 획득되는 계측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 베이스부, 상기 외관조사 데이터 및 상기 계측 데이터를 토대로 상기 점검 대상 시설물에 대한 상태평가를 수행하는 평가부 및 상기 상태평가 결과 도출되는 상기 점검 대상 시설물에 대한 안전등급을 포함하는 보고 데이터를 생성 및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시설물 실시간 점검 장치는 사용자로부터 상기 점검 대상 시설물에 대한 시설물 데이터 및 상기 점검 대상 시설물의 결함 부위에 대한 위치 데이터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입력 받도록 구성되는 제1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입력되는 상기 위치 데이터는 상기 점검 대상 시설물의 도면 데이터 상에 표시되어 상기 데이터 베이스부 내에서 상기 보고 데이터에 상응하는 형식으로 저장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시설물 실시간 점검 장치는 유무선 계측장비 연결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유무선 계측장비 연결부를 통해 상기 계측장비와 연결되어 상기 계측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데이터 베이스부는 상기 유무선 계측장비 연결부와 연결 가능한 하나 이상의 계측장비 각각의 식별정보 및 상기 점검 대상 시설물의 상태평가용 데이터를 도출하기 위한 제1 알고리즘을 정의한 데이터를 기 저장하며, 상기 유무선 계측장비 연결부는 연결된 특정 계측장비의 식별정보를 자동으로 검출하여 상기 데이터 베이스부 내에 기 저장된 식별정보와의 매칭여부를 판단하고, 판단결과 매칭되는 식별정보가 존재하는 경우 해당 연결된 계측장비로부터 상기 계측 데이터를 기 정해진 데이터 수신 방식에 따라 자동으로 획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시설물 실시간 점검 장치는 상기 점검 대상 시설물의 상태평가용 데이터를 도출하기 위한 제1 알고리즘에 상기 계측 데이터를 적용한 후, 상기 상태평가용 데이터를 도출하는 상태평가용 데이터 도출부, 사용자로부터 상기 점검 대상 시설물의 점검 진행에 관한 메모 데이터를 입력 받도록 구성되는 제2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 상기 점검 대상 시설물의 점검 진행 상황을 촬영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촬영부 및 상기 점검 대상 시설물의 점검 진행 상황을 녹취(record)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녹취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상태평가용 데이터 도출부는 상기 연결된 계측장비에 따라 서로 다른 보정 및 분석 알고리즘을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계측 데이터는 상기 점검 대상 시설물의 기둥, 보, 내력벽 및 슬래브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부재에 대한 부재 내력 계측값, 콘크리트 압축 강도 계측값, 철근 배근 간격 계측값, 철근 탐사 계측값, 피복 두께 계측값, 부재 균열 폭 계측값, 부재 면적율 계측값, 콘크리트 탄산화 진행 깊이 계측값, 철근 부식 상태 계측값, 부식 환경 계측값, 철근 표면 열화 계측값, 부재 반발 경도 계측값 및 초음파 전달속도 계측값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평가부는 상기 점검 대상 시설물의 평가등급을 산출하기 위한 제2 알고리즘에 상기 외관조사 데이터 및 상기 상태평가용 데이터를 적용한 후, 상기 점검 대상 시설물의 평가등급을 산출하여 상기 데이터 베이스부 내에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시설물 실시간 점검 장치는 관리자에게 상기 평가부의 판별 결과에 대한 서명을 요청하며, 상기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서 상기 관리자로부터 필기 데이터, 지문 인식 데이터 및 녹취 입력 데이터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서명 데이터를 입력 받는 서명 데이터 획득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출력부는 상기 보고 데이터를 외부로 시인 가능하도록 하는 출력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시설물 실시간 점검 장치는 네트워크 통신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네트워크 통신부를 통해 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점검 대상 시설물에 대한 시설물 데이터 또는 상기 점검 대상 시설물의 점검 진행에 관한 일정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상기 생성된 보고 데이터를 상기 서버로 업로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시설물 실시간 점검 방법은 점검 대상 시설물에 대한 외관조사 데이터 및 하나 이상의 계측 장치로부터 획득되는 계측 데이터를 데이터 베이스부에 저장하는 단계, 평가부에서 상기 외관조사 데이터 및 상기 계측 데이터를 토대로 상기 점검 대상 시설물에 대한 상태평가를 수행하는 단계 및 출력부에서 상기 평가부의 상태평가 결과를 토대로 보고 상기 점검 대상 시설물에 대한 안전등급을 포함하는 보고 데이터를 생성 및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시설물 실시간 점검 방법은 제1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상기 점검 대상 시설물에 대한 시설물 데이터 및 상기 점검 대상 시설물의 결함 부위에 대한 위치 데이터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입력 받는 단계 및 상기 제1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입력되는 상기 위치 데이터를 상기 점검 대상 시설물의 도면 데이터 상에 표시하여 상기 데이터 베이스부 내에 상기 보고 데이터에 상응하는 형식으로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시설물 실시간 점검 방법은 유무선 계측장비 연결부를 통해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계측장비 각각의 식별정보 및 상기 점검 대상 시설물의 상태평가용 데이터를 도출하기 위한 제1 알고리즘을 정의한 데이터를 기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유무선 계측장비 연결부를 통해 상기 계측장비로부터 계측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시설물 실시간 점검 방법은 상기 유무선 계측장비 연결부와 연결된 특정 계측장비의 식별정보를 자동으로 검출하는 단계, 상기 데이터 베이스부 내에 기 저장된 식별정보와의 매칭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판단결과 매칭되는 식별정보가 존재하는 경우 해당 연결된 계측장비로부터 상기 계측 데이터를 기 정해진 데이터 수신 방식에 따라 자동으로 획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시설물 실시간 점검 방법은 상태평가용 데이터 도출부를 통해 상기 점검 대상 시설물의 상태평가용 데이터를 도출하기 위한 제1 알고리즘에 상기 계측 데이터를 적용한 후 상기 상태평가용 데이터를 도출하는 단계, 제2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상기 점검 대상 시설물의 점검 진행에 관한 메모 데이터를 입력 받는 단계, 촬영부를 통해 상기 점검 대상 시설물의 점검 진행 상황을 촬영하는 단계 및 녹취부를 통해 상기 점검 대상 시설물의 점검 진행 상황을 녹취하는 단계 중 어느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상태평가용 데이터를 도출하는 단계는 상태평가용 데이터 도출부에서 상기 연결된 계측장비에 따라 서로 다른 보정 및 분석 알고리즘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데이터 베이스부에 저장하는 단계는 상기 점검 대상 시설물의 기둥, 보, 내력벽 및 슬래브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부재에 대한 부재 내력 계측값, 콘크리트 압축 강도 계측값, 철근 배근 간격 계측값, 철근 탐사 계측값, 피복 두께 계측값, 부재 균열 폭 계측값, 부재 면적율 계측값, 콘크리트 탄산화 진행 깊이 계측값, 철근 부식 상태 계측값, 부식 환경 계측값, 철근 표면 열화 계측값, 부재 반발 경도 계측값 및 초음파 전달속도 계측값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계측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상태평가를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평가부에서 상기 점검 대상 시설물의 평가등급을 산출하기 위한 제2 알고리즘에 상기 외관조사 데이터 및 상기 상태평가용 데이터를 적용한 후, 상기 점검 대상 시설물의 평가등급을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시설물 실시간 점검 방법은 서명 데이터 획득부를 통해 관리자에게 상기 평가부의 판별 결과에 대한 서명을 요청하는 단계 및 상기 서명 데이터 획득부를 통해 상기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서 상기 관리자로부터 필기 데이터, 지문 인식 데이터 및 녹취 입력 데이터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서명 데이터를 입력 받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보고 데이터를 생성 및 출력하는 단계는 출력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상기 보고 데이터를 외부로 시인 가능하도록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데이터 베이스부에 저장하는 단계는 네트워크 통신부를 통해 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점검 대상 시설물에 대한 시설물 데이터 또는 상기 점검 대상 시설물의 점검 진행에 관한 일정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보고 데이터를 상기 서버로 업로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시설물의 안전점검 현장에서 시설물에 대한 시설물 데이터를 관리할 수 있음은 물론, 시설물의 상태평가 및 등급부여 결과에 따른 결과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출력함으로써, 작업자가 현장에서 시설물의 안전성 평가 결과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연결되는 각각의 계측장비의 식별정보를 식별할 수 있으며, 식별된 식별정보와 기 저장된 식별정보와의 매칭여부를 통해 해당 계측장비를 자동으로 인식할 수 있음은 물론, 해당 계측장비로부터 별도의 데이터 변환과정, 연결진행과정 없이도 계측 데이터를 자동으로 수신함으로써, 현장에서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계측 데이터를 입력함에 따라 발생될 수 있는 데이터 입력 실수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현장의 작업자들이 JPG 포맷 형식의 도면 상에 입력하는 시설물의 결함 부위 위치가 최종 보고서의 표준 CAD 파일 형식으로 저장될 수 때문에, 최종 보고서 생성 시 결함 부위 위치를 재입력하지 않아도 된다는 이점을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시설물 점검 및 진단 과정 중 특정 점검 항목 별로 진행기록이 필요한 상황에서 점검 관리자, 담당자, 의뢰자 등의 확인 여부에 대한 서명을 필기로 입력 받거나 또는 영상 혹은 음성을 녹화, 녹취하여 기록으로 남길 수 있는 이점을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설물 실시간 점검 장치(100)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시설물 실시간 점검 장치(100)를 통해 시설물의 안전점검을 진행하는 일련의 과정을 순서대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한다. 그러나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쉽게 이해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일 뿐,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의 내용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설물 실시간 점검 장치(100)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살펴보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설물 실시간 점검 장치(100)는 데이터 베이스부(110), 평가부(120) 및 출력부(1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일 실시예에서는 추가적으로 유무선 계측장비 연결부(140),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50), 상태평가용 데이터 도출부(160),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70), 촬영부(180), 녹취부(190), 서명 데이터 획득부(200) 및 네트워크 통신부(21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먼저, 데이터 베이스부(110)는 점검 대상 시설물에 대한 외관조사 데이터 및 하나 이상의 계측장비(10)로부터 획득되는 계측 데이터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에서, 하나 이상의 계측장비(10)로부터 획득되는 계측 데이터라 함은, 비파괴 시험 데이터, 재현 실험 데이터 등과 같이 현장에서 직접 조사하여 획득 가능한 데이터를 의미할 수 있으며, 해당 점검 대상 시설물의 손상을 발견한 공간(동, 층 실), 손상 부재, 손상 부위, 손상 종류, 손상 정도, 손상 발생 원인, 유지 관리 방안, 손상 사진, 손상 전경, 점검 대상 시설물의 기둥, 보, 내력벽 및 슬래브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부재에 대한 부재 내력 계측값, 콘크리트 압축 강도 계측값, 철근 배근 간격 계측값, 철근 탐사 계측값, 피복 두께 계측값, 부재 균열 폭 계측값, 부재 면적율 계측값, 콘크리트 탄산화 진행 깊이 계측값, 철근 부식 상태 계측값, 부식 환경 계측값, 철근 표면 열화 계측값, 부재 반발 경도 계측값 및 초음파 전달속도 계측값 등을 포함하는 데이터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상기의 '계측 데이터를 수신하여 데이터 베이스부(110)에 저장한다'는 의미는 하나 이상의 계측장비(10)와 본 발명에 따른 시설물 실시간 점검 장치(100)가 서로 연결되어 계측 데이터를 유무선 네트워크 통신을 기반으로 수신 및 저장할 수 있다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이를 가능하게 하게 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시설물 실시간 점검 장치(100)는 유무선 계측장비 연결부(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유무선 계측장비 연결부(140)는 상술한 바와 같이 하나 이상의 계측장비(10)와 시설물 실시간 점검 장치(100)를 물리적으로 연결시킴으로써 계측 데이터를 유무선 네트워크 통신 기술을 기반으로 실시간으로 수신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유무선 계측장비 연결부(140)는 소정의 길이를 가지며 일측단에 연결잭이 구비된 케이블 일 수도 있고, 하나 이상의 계측장비(10)로부터 연장된 케이블의 일측단에 구비된 연결잭이 삽입될 수 있는 포트일 수 있으며, 또는 하나 이상의 계측장비(10)와 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는 무선 통신 프로토콜에 기반된 통신장비일 수도 있다.
한편, 유무선 계측장비 연결부(140)의 종류 및 구성은 상기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며, 하나 이상의 계측장비(10)와 연결되어 자동으로 계측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어떠한 형태, 종류, 장치 및 방법이 적용될 수 있음을 유의한다.
또한, 하나 이상의 계측장비(10)를 통해 획득되는 계측 데이터는 상기의 종류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며, 점검 대상 시설물의 안전성 및 그에 따른 등급을 평가할 수 있는 항목에 해당하는 모든 계측값을 포함할 수 있음을 유의한다.
일 실시예에서, 유무선 계측장비 연결부(140)는 해당 연결된 계측장비(10)로부터 기 정해진 데이터 수신 방식(혹은 양식)에 따라 계측 데이터를 자동으로 획득할 수 있는데, 이를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데이터 베이스부(110) 내에는 각 계측장비(10) 별 데이터 수신 방식을 정의한 정의 데이터(일종의 연결용 드라이버 파일)가 미리 저장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유무선 계측장비 연결부(140)는 하기의 과정을 토대로 연결된 계측장비(10)로부터 계측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10개의 점검항목 별로 각각 10개의 계측장비(A 내지 J)가 구비된다고 가정하는 경우, 데이터 베이스부(110) 내에는 A 계측장비의 식별정보, B 계측장비의 식별정보 내지 J 계측장비의 식별정보 등과 같이 각각의 계측장비에 대한 식별정보가 모두 기 저장될 수 있다.
여기에서, 계측장비의 식별정보라 함은, 각각의 계측장비를 식별하기 위한 일종의 ID값을 의미할 수 있으며, ID값 외에도, 각각의 계측장비와의 유무선 통신이 가능하기 위한 프로토콜 데이터를 의미할 수도 있다.
한편, 유무선 계측장비 연결부(140)에 B 계측장비가 연결되는 경우(예를 들어, B 계측장비에 구비된 연결잭이 유무선 계측장비 연결부(140) 일측에 구비된 포트에 삽입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경우 등), 유무선 계측장비 연결부(140)는 먼저 연결된 B 계측장비의 식별정보를 확인하고, 다음으로 데이터 베이스부(110) 내에 기 저장된 A 내지 J 계측장비의 식별정보 중에서 B 계측장비의 식별정보와 매칭, 상응 혹은 대응되는 식별정보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별하게 된다.
현재 데이터 베이스부(110) 내에는 B 계측장비의 식별정보가 기 저장되어 있으므로, 유무선 계측장비 연결부(140)는 해당 B 계측장비와 별도의 연결진행과정 없이도 B 계측장비로부터 계측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는 상태로 변경될 수 있고, 따라서 유무선 계측장비 연결부(140)는 B 계측장비로부터 획득된 계측 데이터를 별도의 데이터 변환과정, 연결진행과정 없이도 자동으로 수신할 수 있으며 이렇게 수신된 계측 데이터는 자동으로 데이터 베이스부(110) 내에 저장될 수 있다.
한편, 상기의 일 예는 데이터 베이스부(110) 내에 하나 이상의 계측장비(10)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정보가 미리 저장될 수 있다는 점과, 유무선 계측장비 연결부(140)는 연결되는 각각의 계측장비로부터 식별정보를 확인한 후, 데이터 베이스부(110) 내에 기 저장된 식별정보와의 매칭 여부를 통해 계측장비와 자동으로 연결된다는 점, 그리고 연결된 계측장비로부터 계측 데이터를 자동으로 수신할 수 있다는 점을 설명하기 위한 하나의 예에 불과하며, 계측장비 및 식별정보의 종류, 형식, 포맷 등은 상기의 예에 국한되지 아니함을 유의한다.
일 실시예에서, 데이터 베이스부(110) 내에는 상기의 계측장비 식별정보와 함께, 점검 대상 시설물의 상태평가용 데이터를 도출하기 위한 제1 알고리즘(보정 및 분석 알고리즘)을 정의한 데이터를 미리 저장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제1 알고리즘이라 함은, 국토해양부에서 발표된 '안전점검 및 정밀안전진단 세부지침'에 공지된 건축물의 안전등급평가를 위한 상태평가용 데이터를 연산할 수 있는 알고리즘을 의미할 수 있으며, 상태평가용 데이터 도출부(160)에서는 각각의 계측장비로부터 수신되는 계측 데이터를 제1 알고리즘에 적용함으로써 상태평가용 데이터를 도출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제1 알고리즘이라 함은 건축물의 각 항목 별 안전등급평가를 상태평가용 데이터를 연산할 수 있는 모든 종류의 알고리즘을 포괄하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이는 상술한 바와 같이 국토해양부에서 발표된 '안전점검 및 정밀안전진단 세부지침'에 공지된 사항이고, 또한 건축물의 안전등급을 평가하는 종래의 분야에서 널리 이용되는 기술에 해당하므로 제1 알고리즘에 계측 데이터를 적용하여 상태평가용 데이터를 연산하는 일련의 연산과정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다음으로, 평가부(120)는 외관조사 데이터 및 상술한 상태평가용 데이터 도출부(160)를 통해 도출된 상태평가용 데이터를 제2 알고리즘(퍼지 연산 알고리즘)에 적용하여 점검 대상 시설물의 상태평가를 수행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제2 알고리즘이라 함은, 국토해양부에서 발표된 '안전점검 및 정밀안전진단 세부지침'에 공지된 건축물의 상태평가를 수행할 수 있는 연산 알고리즘을 의미할 수 있으며, 평가부(120)에서는 외관조사 데이터 및 상태평가용 데이터를 기반으로 특정 연산(예를 들어, 퍼지 연산 등)을 통해 시설물의 상태평가를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제2 알고리즘이라 함은 상술한 바와 같이 국토해양부에서 발표된 '안전점검 및 정밀안전진단 세부지침'에 공지된 사항이고, 또한 건축물의 안전등급을 평가하는 종래의 분야에 널리 이용되는 기술에 해당하므로 제2 알고리즘에 점검 대상 시설물의 외관조사 데이터 및 상태평가용 데이터를 적용하여 상태평가용 데이터를 연산하는 일련의 연산과정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다음으로, 출력부(130)는 상술한 평가부(120)의 판단 결과를 토대로 보고 데이터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때 보고 데이터를 외부로 시인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출력 인터페이스부(131)를 포함할 수 있다.
출력 인터페이스부(131)는 LCD 표시 장치 혹은 LED 표시 장치와 같이 보고 데이터(이미지, 텍스트, 기타 미디어 데이터)를 가시화 가능한 모니터를 의미할 수 있으며, 현장에서는 상기 출력 인터페이스부(131)를 통해 점검 대상 시설물의 점검, 진단 및 안전성 평과 결과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시설물 실시간 점검 장치(100)는 사용자로부터 점검 대상 시설물에 대한 기본적인 정보인 시설물 데이터 및 점검 대상 시설물의 외관조사 및 시험측정 결과 검출된 결함 부위에 대한 위치 데이터를 입력 받도록 구성되는 제1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150)를 정전식 터치 패드, 감압식 터치 패드 혹은 물리적인 키패드 등과 같이 다양한 이미지 데이터, 텍스트 데이터 등을 입력 받을 수 있도록 구현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점검 대상 시설물의 도면 데이터, 점검 대상 시설물의 개요 데이터, 운영 관리 데이터, 부속 시설물 목록 데이터, 건축 시설 데이터, 토목 옥외 시설 데이터, 설계 도서 데이터, 보수 보강 이력 데이터, 점검 이력 데이터 및 외관조사, 시험측정 결과 도출된 결함 부위에 대한 위치 데이터 등을 입력 받을 수 있다.
만약 위치 데이터를 입력 받는 경우에는 데이터 베이스부(110) 내에 기 저장된 점검 대상 시설물에 대한 도면 데이터가 제1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150) 상에 표시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해당 표시된 도면 데이터를 터치하는 방식 등을 통해 도출된 결함 부위에 대한 위치를 표시할 수 있으며, 제1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150)는 도면 데이터 상에 표시된 결함 부위에 대한 위치를 위치 데이터로서 데이터 베이스부(110) 내에 저장할 수 있고, 이렇게 저장된 도면 데이터는 출력부(130)를 통해 출력되는 보고 데이터(혹은 최종 보고서 등)에서 반영, 적용 혹은 이용 가능한 표준 도면 데이터(예를 들어, 보고 데이터에 포함 가능한 CAD 파일 형식 등)로서 저장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데이터 베이스부(110) 내에 상기의 시설물 데이터가 기 저장된 경우, 제1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150)를 통해 상기 시설물 데이터의 다양한 항목들 중에서 항목 별로 표준화된 목록에서 특정 항목을 선택 받을 수 없으며, 만약 해당 항목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사용자로부터 이미지 데이터, 텍스트 데이터 등을 직접 입력 받을 수 있으며 이를 위하여 제1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150) 상에는 표준화된 목록을 표시하는 다단메뉴창 혹은 입력창이 표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출력부(130)는 생성된 보고 데이터를 텍스트, 이미지 혹은 전자문서 등의 형식으로 변환한 후 이를 메시지, 이메일 등에 첨부하여 네트워크 통신을 기반으로 전송하는 전자우편 송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시설물 실시간 점검 장치(100)는 점검 대상 시설물의 점검 현장에서 하나 이상의 계측장비(10)를 통해 획득되는 계측 데이터와는 별개로, 추가적으로 점검 현상을 기록하기 위한 다양한 구성을 포함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상태평가용 데이터 도출부(160),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70), 촬영부(180), 녹취부(190) 및 서명 데이터 획득부(200) 등을 의미할 수 있다.
상태평가용 데이터 도출부(160)는 상술한 바와 같이, 각각의 계측장비로부터 수신되는 계측 데이터를 제1 알고리즘에 적용함으로써 상태평가용 데이터를 도출한 후 평가부(120)에 제공할 수 있으며,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70)는 사용자로부터 점검 대상 시설물의 점검 진행에 관한 각종 메모를 텍스트 데이터 형식으로 입력받은 후 데이터 베이스부(110)에 저장할 수 있으며, 촬영부(180)는 점검 대상 시설물의 점검 진행 상황을 촬영하여 사진 데이터, 영상 데이터 등의 형식으로 데이터 베이스부(110)에 저장할 수 있고, 녹취부(190)는 점검 대상 시설물의 점검 진행 상황을 녹취(record)하여 음성 데이터 형식으로 데이터 베이스부(110)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서명 데이터 획득부(200)는 점검 대상 시설물의 점검 현장에 있는 점검 관리자, 점검 의뢰자 혹은 건물주 등의 사람들에게 점검 결과에 대한 확인이 필요한 경우, 평가부(120)의 판별 결과에 대한 서명을 요청할 수 있으며, 그에 대한 응답으로서 상기 점검 관리자, 점검 의뢰자 혹은 건물주의 필기 데이터, 지문 인식 데이터 및 녹취 입력 데이터 등을 통해 서명을 받을 수 있으며 서명 확인에 대한 기록을 남길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시설물 실시간 점검 장치(100)는 외부 서버(20)에 유무선 네트워크 통신 기술을 기반으로 접속 되며, 상기 외부 서버(20)로부터 점검 대상 시설물에 대한 시설물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점검 대상 시설물의 점검 진행에 관한 일정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또는 출력부(130)를 통해 생성된 보고 데이터를 외부 서버(20)로 업로드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네트워크 통신부(21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출력부(130)를 통해 생성된 보고 데이터가 외부에서 즉시 열람되어야 하는 경우, 네트워크 통신부(210)를 통해 보고 데이터를 외부 서버(20)로 실시간으로 업로드함으로써 외부에서 상기 외부 서버(20)에 접속하여 보고 데이터를 즉시 열람할 수 있다.
또한, 현장의 작업자 혹은 점검 관리자 등으로부터 점검 대상 시설물의 기본적인 정보를 직접 입력받지 않더라도, 네트워크 통신부(210)를 통해 외부 서버(20)로부터 점검 대상 시설물의 기본적인 정보를 포함한 시설물 데이터를 직접 수신(다운로드)함으로써 데이터 베이스부(110)에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시설물 실시간 점검 장치(100)는 점검 대상 시설물에 위치한 작업자, 계측자 등의 위치를 확인하는 위성 항법 시스템(GPS) 수신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네트워크 통신부(210)는 외부 서버(20)로부터, 위치가 확인된 작업자, 계측자의 위치에 대응하여 점검 대상 시설물의 기본적인 정보를 포함한 시설물 데이터를 자동으로 수신(다운로드)할 수 있다.
다음으로는, 도 2를 통해 본 발명에 따른 시설물 실시간 점검 장치(100)를 이용하여 점검 대상 시설물의 점검을 진행하는 일련의 과정을 개략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시설물 실시간 점검 장치(100)를 통해 시설물의 안전점검을 진행하는 일련의 과정을 순서대로 도시한 도면이다.
먼저, 유무선 계측장비 연결부(140)는 기 저장된 계측장비 별 식별정보를 기반으로, 연결되는 특정 계측장비의 식별정보를 식별 및 연결한 후(S201), 기 정해진 데이터 수신 방식에 따라 계측 데이터와 함께 외관조사 데이터를 수신한 후 데이터 베이스부(110)에 저장한다(S202).
이때, 상기 S201 단계 또는 S202 단계에서는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50)를 통해 입력되는 점검 대상 시설물의 결함 부위에 대한 위치 데이터가 데이터 베이스부(110)에 저장될 수 있으며, 이때 저장되는 형식은 보고 데이터에 반영, 적용 될 수 있는 표준 도면 파일 형식으로 저장될 수 있다.
그 다음, 상태평가용 데이터 도출부(160)에서는 수신된 계측 데이터를 제1 알고리즘에 적용하여 상태평가용 데이터를 도출하고(S203), 평가부(120)에서는 외관조사 데이터 및 상태평가용 데이터를 제2 알고리즘에 적용하여 점검 대상 시설물의 상태평가를 수행 및 안전등급을 도출한다(S204).
그 다음, 출력부(130)는 상기 S204 단계를 통해 도출된 안전등급을 포함하는 보고 데이터를 생성하고(S205), 생성된 보고 데이터를 출력 인터페이스부(131)를 통해 표시함으로써 현장의 작업자, 점검 관리자, 계측자, 점검 의뢰자 혹은 건물주 등이 실시간으로 시인 가능하도록 한다(S206).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설물 실시간 점검 장치(100) 및 이를 활용한 시설물 실시간 점검 방법에 따르면, 점검 대상 시설물의 점검 현장에서 시설물 데이터를 직접 입력받거나 혹은 외부 서버로부터 실시간으로 수신하여 저장할 수 있고, 하나 이상의 다양한 계측장비로부터 획득되는 계측 데이터를 작업자로부터 직접 수작업으로 입력 받는 것이 아닌 자동으로 수신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진다.
또한, 출력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점검 대상 시설물의 안전점검 평가 결과에 대한 보고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출력함으로써 현장에서 이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고, 점검 진행 과정에서 도면 데이터 상에 표시되는 점검 대상 시설물의 결함 부위 위치는 표준 도면 파일 형식(예를 들어, 표준 CAD 파일 형식 등)으로 저장되어 보고 데이터에 반영될 수 있으며, 시설물 점검 및 진단 과정 중 특정 점검 항목 별로 진행기록이 필요한 상황에서 점검 관리자, 담당자, 의뢰자 등의 확인 여부에 대한 서명을 필기로 입력 받거나 또는 영상 혹은 음성을 녹화, 녹취하여 기록으로 남길 수 있는 이점을 가진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계측장비
20: 외부 서버
100: 시설물 실시간 점검 장치
110: 데이터 베이스부
120: 평가부
130: 출력부
131: 출력 인터페이스부
140: 유무선 계측장비 연결부
150: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160: 상태평가용 데이터 도출부
170: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180: 촬영부
190: 녹취부
200: 서명 데이터 획득부
210: 네트워크 통신부

Claims (20)

  1. 점검 대상 시설물에 대한 외관조사 데이터 및 하나 이상의 계측장비로부터 획득되는 계측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 베이스부;
    상기 외관조사 데이터 및 상기 계측 데이터를 토대로 상기 점검 대상 시설물에 대한 상태평가를 수행하는 평가부;
    상기 상태평가 결과 도출되는 상기 점검 대상 시설물에 대한 안전등급을 포함하는 보고 데이터를 생성 및 출력하는 출력부;
    유무선 계측장비 연결부; 및
    관리자에게 상기 평가부의 판별 결과에 대한 서명을 요청하며, 상기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서 상기 관리자로부터 필기 데이터, 지문 인식 데이터 및 녹취 입력 데이터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서명 데이터를 입력 받는 서명 데이터 획득부;를 포함하며,
    상기 유무선 계측장비 연결부를 통해 상기 계측장비와 물리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계측 데이터를 획득하고, 그리고
    상기 데이터 베이스부는 상기 유무선 계측장비 연결부와 연결 가능한 하나 이상의 계측장비 각각의 식별정보 및 상기 점검 대상 시설물의 상태평가용 데이터를 도출하기 위한 제1 알고리즘을 정의한 데이터를 기 저장하고,
    상기 유무선 계측장비 연결부는 연결된 특정 계측장비의 식별정보를 자동으로 검출하여 상기 데이터 베이스부 내에 기 저장된 식별정보와의 매칭여부를 판단하고, 판단결과 매칭되는 식별정보가 존재하는 경우 해당 연결된 계측장비로부터 상기 계측 데이터를 기 정해진 데이터 수신 방식에 따라 자동으로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설물 실시간 점검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설물 실시간 점검 장치는,
    사용자로부터 상기 점검 대상 시설물에 대한 시설물 데이터 및 상기 점검 대상 시설물의 결함 부위에 대한 위치 데이터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입력 받도록 구성되는 제1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입력되는 상기 위치 데이터는 상기 점검 대상 시설물의 도면 데이터 상에 표시되어 상기 데이터 베이스부 내에서 상기 보고 데이터에 상응하는 형식으로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설물 실시간 점검 장치.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설물 실시간 점검 장치는,
    상기 제1 알고리즘에 상기 계측 데이터를 적용한 후, 상기 상태평가용 데이터를 도출하는 상태평가용 데이터 도출부;
    사용자로부터 상기 점검 대상 시설물의 점검 진행에 관한 메모 데이터를 입력 받도록 구성되는 제2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
    상기 점검 대상 시설물의 점검 진행 상황을 촬영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촬영부; 및
    상기 점검 대상 시설물의 점검 진행 상황을 녹취(record)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녹취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설물 실시간 점검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평가용 데이터 도출부는 상기 연결된 계측장비에 따라 서로 다른 보정 및 분석 알고리즘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설물 실시간 점검 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평가부는,
    상기 점검 대상 시설물의 평가등급을 산출하기 위한 제2 알고리즘에 상기 외관조사 데이터 및 상기 상태평가용 데이터를 적용한 후, 상기 점검 대상 시설물의 평가등급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설물 실시간 점검 장치.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부는,
    상기 보고 데이터를 외부로 시인 가능하도록 하는 출력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설물 실시간 점검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설물 실시간 점검 장치는,
    네트워크 통신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네트워크 통신부를 통해 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점검 대상 시설물에 대한 시설물 데이터 또는 상기 점검 대상 시설물의 점검 진행에 관한 일정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상기 생성된 보고 데이터를 상기 서버로 업로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설물 실시간 점검 장치.
  11. 점검 대상 시설물에 대한 외관조사 데이터 및 하나 이상의 계측 장치로부터 획득되는 계측 데이터를 데이터 베이스부에 저장하는 단계;
    평가부에서 상기 외관조사 데이터 및 상기 계측 데이터를 토대로 상기 점검 대상 시설물에 대한 상태평가를 수행하는 단계;
    출력부에서 상기 평가부의 상태평가 결과를 토대로 보고 상기 점검 대상 시설물에 대한 안전등급을 포함하는 보고 데이터를 생성 및 출력하는 단계;
    유무선 계측장비 연결부를 통해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계측장비 각각의 식별정보 및 상기 점검 대상 시설물의 상태평가용 데이터를 도출하기 위한 제1 알고리즘을 정의한 데이터를 기 저장하는 단계;
    상기 유무선 계측장비 연결부와 연결된 특정 계측장비의 식별정보를 자동으로 검출하는 단계;
    상기 데이터 베이스부 내에 기 저장된 식별정보와의 매칭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판단결과 매칭되는 식별정보가 존재하는 경우 해당 연결된 계측장비로부터 상기 계측 데이터를 기 정해진 데이터 수신 방식에 따라 자동으로 획득하는 단계;
    서명 데이터 획득부를 통해 관리자에게 상기 평가부의 판별 결과에 대한 서명을 요청하는 단계; 및
    상기 서명 데이터 획득부를 통해 상기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서 상기 관리자로부터 필기 데이터, 지문 인식 데이터 및 녹취 입력 데이터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서명 데이터를 입력 받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설물 실시간 점검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시설물 실시간 점검 방법은,
    제1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상기 점검 대상 시설물에 대한 시설물 데이터 및 상기 점검 대상 시설물의 결함 부위에 대한 위치 데이터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입력 받는 단계; 및
    상기 제1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입력되는 상기 위치 데이터를 상기 점검 대상 시설물의 도면 데이터 상에 표시하여 상기 데이터 베이스부 내에 상기 보고 데이터에 상응하는 형식으로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설물 실시간 점검 방법.
  13. 삭제
  14. 삭제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시설물 실시간 점검 방법은,
    상태평가용 데이터 도출부를 통해 상기 제1 알고리즘에 상기 계측 데이터를 적용한 후 상기 상태평가용 데이터를 도출하는 단계;
    제2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상기 점검 대상 시설물의 점검 진행에 관한 메모 데이터를 입력 받는 단계;
    촬영부를 통해 상기 점검 대상 시설물의 점검 진행 상황을 촬영하는 단계; 및
    녹취부를 통해 상기 점검 대상 시설물의 점검 진행 상황을 녹취하는 단계; 중 어느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설물 실시간 점검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평가용 데이터를 도출하는 단계는,
    상태평가용 데이터 도출부에서 상기 연결된 계측장비에 따라 서로 다른 보정 및 분석 알고리즘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설물 실시간 점검 방법.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평가를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평가부에서 상기 점검 대상 시설물의 평가등급을 산출하기 위한 제2 알고리즘에 상기 외관조사 데이터 및 상기 상태평가용 데이터를 적용한 후, 상기 점검 대상 시설물의 평가등급을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설물 실시간 점검 방법.
  18. 삭제
  19.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보고 데이터를 생성 및 출력하는 단계는,
    출력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상기 보고 데이터를 외부로 시인 가능하도록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설물 실시간 점검 방법.
  20.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베이스부에 저장하는 단계는,
    네트워크 통신부를 통해 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점검 대상 시설물에 대한 시설물 데이터 또는 상기 점검 대상 시설물의 점검 진행에 관한 일정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보고 데이터를 상기 서버로 업로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설물 실시간 점검 방법.
KR1020160074367A 2016-06-15 2016-06-15 시설물 실시간 점검 장치 및 점검 방법 KR1017216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4367A KR101721682B1 (ko) 2016-06-15 2016-06-15 시설물 실시간 점검 장치 및 점검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4367A KR101721682B1 (ko) 2016-06-15 2016-06-15 시설물 실시간 점검 장치 및 점검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21682B1 true KR101721682B1 (ko) 2017-03-30

Family

ID=585033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74367A KR101721682B1 (ko) 2016-06-15 2016-06-15 시설물 실시간 점검 장치 및 점검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2168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72972A (ko) * 2018-12-13 2020-06-23 (주) 파이디언 소방 안전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이의 실행 방법
KR20220019909A (ko) * 2020-08-11 2022-02-18 나기성 시설 감리ㆍ점검 보고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06467A (ko) * 2004-07-16 2006-01-19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시설물유지관리시스템 및 시설물 유지 관리 방법
KR20130026549A (ko) * 2011-07-25 2013-03-14 주식회사 두산 장비 점검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255028B1 (ko) * 2012-09-18 2013-04-16 한국도로공사 구조물 점검 관리 시스템 및 구조물 점검 관리 방법
KR101335706B1 (ko) 2013-02-22 2013-12-16 모바일기술연구소(주) 시설물 점검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06467A (ko) * 2004-07-16 2006-01-19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시설물유지관리시스템 및 시설물 유지 관리 방법
KR20130026549A (ko) * 2011-07-25 2013-03-14 주식회사 두산 장비 점검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255028B1 (ko) * 2012-09-18 2013-04-16 한국도로공사 구조물 점검 관리 시스템 및 구조물 점검 관리 방법
KR101335706B1 (ko) 2013-02-22 2013-12-16 모바일기술연구소(주) 시설물 점검 장치 및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72972A (ko) * 2018-12-13 2020-06-23 (주) 파이디언 소방 안전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이의 실행 방법
KR102234346B1 (ko) * 2018-12-13 2021-03-31 (주) 파이디언 소방 안전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이의 실행 방법
KR20220019909A (ko) * 2020-08-11 2022-02-18 나기성 시설 감리ㆍ점검 보고 시스템
KR102378997B1 (ko) 2020-08-11 2022-03-24 나기성 시설 감리ㆍ점검 보고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378810B (zh) 测量数据的远程共享
US9916588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quality assessment of a field service operation based on dynamic assessment parameters
JP5557718B2 (ja) 配管施工管理システム、携帯端末及び施工情報管理サーバ
KR101909212B1 (ko) 시설물 안전점검 시스템 및 방법
KR101721682B1 (ko) 시설물 실시간 점검 장치 및 점검 방법
CN115314637B (zh) 一种施工现场全景影像的处理系统、处理方法和电子设备
KR20140093351A (ko) 하수관로 시설물 조사 장치 및 방법
KR101335706B1 (ko) 시설물 점검 장치 및 방법
KR20220151263A (ko) 스마트 휴대기기를 활용한 시설물 안전점검 시스템 및 그 방법
CA2729590C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quality assessment of a field service operation
JP5854452B2 (ja) コンクリート構造物の劣化診断用画像表示システム
CN112781518A (zh) 一种房屋形变监测方法及系统
KR20210115701A (ko) 스마트 체크리스트를 이용한 건축물 사전점검 시스템 및 그 방법
US10692160B1 (en) Property damage estimator
KR102470072B1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의 품질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2559631B1 (ko) 시설물 점검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시설물 점검방법
CN212747877U (zh) 一种数字化桥梁检测系统
KR20220154976A (ko) 건설 자재 관리 시스템
JP6350988B2 (ja) 橋梁の損傷診断用カメラ
KR102039902B1 (ko) 원격 기자재 정도 검사 시스템 및 방법
CN113408916A (zh) 基于智能ai和移动app的消防设施检测及现场验收评定系统
JP2016139351A (ja) 構造物点検支援システム
JP7288769B2 (ja) 断熱材の厚さ管理システムおよびサーバ
KR102625537B1 (ko) 3차원 모델을 통한 안전진단 플랫폼 및 그 방법
JP2021060287A (ja) 塗膜状態の評価装置および塗膜状態の評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