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09212B1 - 시설물 안전점검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시설물 안전점검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09212B1
KR101909212B1 KR1020170146626A KR20170146626A KR101909212B1 KR 101909212 B1 KR101909212 B1 KR 101909212B1 KR 1020170146626 A KR1020170146626 A KR 1020170146626A KR 20170146626 A KR20170146626 A KR 20170146626A KR 101909212 B1 KR101909212 B1 KR 1019092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cility
information
area
constituent
image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466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학기
이석현
박정훈
Original Assignee
(주)바인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바인테크 filed Critical (주)바인테크
Priority to KR10201701466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0921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92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92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7Mechanical or electrical details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 H04N5/2257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Investigat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설물 안전 점검 중 확인된 손상된 시설물의 영상정보를 전송 시 시설물의 손상된 구성부분의 위치관련 정보도 자동으로 인지하여 함께 전송할 뿐만 아니라 시설물에서 손상이 발생한 영역의 영상정보만 캡쳐해서 전송함으로써, 시설물에 발생된 손상된 구성 위치를 명확하게 안내하여 시설물 점검 시 정확한 정확한 진단을 가능하게 하고, 시설물 안점 점검을 위한 작업시간도 단축시켜 주며, 적은 용량의 영상정보만으로도 고해상도를 갖는 영상정보의 전송이 가능케 하여 무선전송 시 과부하의 위험성도 제거시켜 주는 시설물 안전점검 시스템으로, 각 구성 부위마다 부착되는 것으로, 각 구성 부위를 식별하는 구성부위별 식별자 표시영역(110a,110b,110c) 및 실측 길이를 연산할 수 있게 기설정된 길이로 표시되는 실측길이 연산용 기준길이영역(120a,120b,120c)이 인쇄된 시설물(100)과; 상기 시설물(100)을 이루는 각 구성부위가 캐드파일형태로 저장되는 것으로, 각 구성부위가 표면좌표 값으로 인지되는 시설물 구성부위별 캐드도면정보 및 해당 시설물 구성부위별 캐드도면정보에 대응되는 각 구성부위를 식별하는 구성부위별 식별코드가 한 조로 저장되는 정보저장부(210), 상기 구성부위별 식별자 표시영역(110a,110b,110c) 및 실측길이 연산용 기준길이영역(120a,120b,120c)을 포함하는 상기 시설물(100)의 구성부위의 촬영요청에 따라 요청 시설물 구성부위 촬영이미지정보를 생성하는 카메라(220), 정보출력부(230), 정보입력부(240) 및 무선통신부(250)가 구비되고, 상기 요청 시설물 구성부위 촬영이미지정보에 표시된 구성부위별 식별자 표시영역(110a,110b,110c) 및 실측길이 연산용 기준길이영역(120a,120b,120c)을 이미지 프로세싱을 통해 검출하며, 그 검출된 정보 중 구성부위별 식별자 표시영역(110a,110b,110c)을 상기 정보저장부(210)와 매칭하여, 매칭되는 구성부위별 식별코드와 한 조의 시설물 구성부위별 캐드도면정보를 추출하고, 검출된 정보 중 상기 실측길이 연산용 기준길이영역(120a,120b,120c)을 통해 상기 요청 시설물 구성부위 촬영이미지정보에서 상기 실측길이 연산용 기준길이영역(120a,120b,120c)의 평면위치를 인지한 상태에서 상기 실측길이 연산용 기준길이영역(120a,120b,120c)의 기설정된 길이에 따라 상기 시설물 구성부위별 캐드도면정보의 표면좌표 값을 참조하여 상기 요청 시설물 구성부위 촬영이미지정보와 동일한 영역에 해당하는 부분을 상기 시설물 구성부위별 캐드도면정보에서 자르기하여 시설물 구성부위별 크랍 캐드도면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정보출력부(230)를 통해 상기 요청 시설물 구성부위 촬영이미지정보를 출력하고, 그 출력된 요청 시설물 구성부위 촬영이미지정보 중 정보입력부(240)를 통해 시설물의 손상된 영역인 지정손상영역(511)이 선정되면, 그 선정된 영역만을 캡쳐한 시설물 구성부위별 손상영역 캡쳐이미지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시설물 구성부위별 크랍 캐드도면정보를 통해 상기 시설물 구성부위별 손상영역 캡쳐이미지정보의 표면좌표 값인 시설물 구성부위별 손상영역 표면좌표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구성부위별 식별코드, 상기 시설물 구성부위별 손상영역 캡쳐이미지정보 및 상기 시설물 구성부위별 손상영역 표면좌표정보로 이루어진 시설물별 검사신호를 상기 무선통신부(250)를 통해 전송하는 시설물용 안전관리 앱(201)이 탑재된 검사자단말(200)과; 상기 검사자단말(200)로부터 시설물별 검사신호를 전송받는 시설물 안전관리서버(300);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시설물 안전점검 시스템 및 방법{Facility safety check system and method}
본 발명은 시설물 안전 점검 중 확인된 손상된 시설물의 영상정보를 전송 시 시설물의 손상된 구성부분의 위치관련 정보도 자동으로 인지하여 함께 전송할 뿐만 아니라 시설물에서 손상이 발생한 영역의 영상정보만 캡쳐해서 전송함으로써, 시설물에 발생된 손상된 구성 위치를 명확하게 안내하여 시설물 손상평가 및 상대평가 시 정확한 정확한 진단을 가능하게 하고, 시설물 안점 점검을 위한 작업시간도 단축시켜 주며, 적은 용량의 영상정보만으로도 고해상도를 갖는 영상정보의 전송이 가능케 하여 무선전송 시 과부하의 위험성도 제거시켜 주는 시설물 안전점검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전에, 삼풍 백화점 및 성수 대교 붕괴 이후 우리나라에서는 주요 시설물에 대한 주기적 점검 및 진단을 통한 안전 관리를 관련 법령에 의하여 의무화하여 시행하고 있다.
즉, 1995년 제정된 "시설물의 안전 관리에 관한 특별법"에 근거하여 일정 규모 이상의 1종 및 2종 시설물을 대상으로 정기 점검과, 정밀 점검, 및 정밀 안전 진단이 관련 전문가에 의하여 주기적으로 수행되고 있다.
여기서, 1종시설물은 500m이상 교량, 1000m이상 터널, 다목적댐, 5만톤급이상 갑문시설, 21층이상 건축물 등 대형·특수시설물로서 공중의 이용편의와 안전을 도모하기 위하여 특별히 관리할 필요가 있고 고도의 기술이 필요하다고 인정하여 시설물안전관리특별법령이 정하는 시설물이고, 2종시설물은 1종시설물외에 100m 이상 교량, 터널, 항만, 댐, 16층 이상의 건축물, 5,000㎡이상의 다중이용 건축물 등 시설물안전관리특별법령이 정하는 시서물이다.
이와 더불어, "재난 및 안전관리 기본법" 및 소방 방재청의 "특정 관리 대상 시설 지정/ 관리 지침"에 의하여 상기 1종 및 2종 시설물에 해당하지 않는 시설(3종 시설물) 중 특정 관리 대상 시설을 지정하여 책임 주체(중앙 및 지방 자치 단체, 재난 관리 책임 기관, 시설주)들에 의한 주기적인 안전 점검이 수행되고 있다.
특히, 안전 관리 업무 수행과 점검 및 진단 결과에 대한 사후 관리는 육안점검을 통해 이루어진다.
이러한 육안검사는 시설물의 파손 및 외관 상태 등의 확인이 주목적이며, 이를 통해, 크랙이 발생하거나 부식과 같은 시설물의 파손 내지 부식과 같은 손상이 관측된 경우 서면 상에 스케치 또는 문장으로 기록하고, 그 기록된 정보를 재차 전산화하여 해당 시설물의 손상평가 및 상대평가 등급의 산정 자료로 활용하고 있기 때문에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발생한다.
즉, 시설물의 손상평가 및 상대평가를 위한 자료인 해당 시설물의 손상된 부분은 검사자가 스케치나 문장으로 기록하기 때문에 부정확한 문제점이 있다.
더욱이, 2010년 국토 해양부에서 집계한 우리나라의 건축물은 대략 6.676.518개이며 이 중에서 1. 2종을 제외한 건축물이 대략 6.635.887개로서 전체 건축물 중 99.4%를 차지하기 때문에, 하루에도 검사자가 이동한 행정구역에 속하는 여러 곳의 시설물들을 돌아다니며, 육안검사를 해야 하기 때문에 수기로 기록된 시물 관련자료를 재차 전산화하는 작업에 걸리는 시간도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도 있다.
이에, 검사자가 스마트폰과 같은 무선인터넷 서비스가 가능한 전용단말을 이용하여 해당 부분을 촬영하여 무선전송할 경우에도 손상된 해당 시설물 부분의 위치가 어디인지 확인할 수가 없을 뿐만 아니라 정밀한 영상을 확보키 위해서는 해당 영상정보의 용량이 10메가바이트 정도의 대용량으로 전송되어야 하기 때문에 무선전송에 과부하가 걸리는 문제점도 있다.
KR 100606861 b1
본 발명은 상기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시설물 안전 점검 중 확인된 손상된 시설물의 영상정보를 전송 시 시설물의 손상된 구성부분의 위치관련 정보도 자동으로 인지하여 함께 전송할 뿐만 아니라 시설물에서 손상이 발생한 영역의 영상정보만 캡쳐해서 전송함으로써, 시설물에 발생된 손상된 구성 위치를 명확하게 안내하여 시설물 손상평가 및 상대평가 시 정확한 정확한 진단을 가능하게 하고, 시설물 안점 점검을 위한 작업시간도 단축시켜 주며, 적은 용량의 영상정보만으로도 고해상도를 갖는 영상정보의 전송이 가능케 하여 무선전송 시 과부하의 위험성도 제거된 시설물 안전점검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사상으로 본 발명의 시설물 안전점검 시스템은, 각 구성 부위마다 부착되는 것으로, 각 구성 부위를 식별하는 구성부위별 식별자 표시영역 및 실측 길이를 연산할 수 있게 기설정된 길이로 표시되는 실측길이 연산용 기준길이영역이 인쇄된 시설물과; 상기 시설물을 이루는 각 구성부위가 캐드파일형태로 저장되는 것으로, 각 구성부위가 표면좌표 값으로 인지되는 시설물 구성부위별 캐드도면정보 및 해당 시설물 구성부위별 캐드도면정보에 대응되는 각 구성부위를 식별하는 구성부위별 식별코드가 한 조로 저장되는 정보저장부, 상기 구성부위별 식별자 표시영역 및 실측길이 연산용 표시영역을 포함하는 상기 시설물의 구성부위의 촬영요청에 따라 요청 시설물 구성부위 촬영이미지정보를 생성하는 카메라, 정보출력부, 정보입력부 및 무선통신부가 구비되고, 상기 요청 시설물 구성부위 촬영이미지정보에 표시된 구성부위별 식별자 표시영역 및 실측길이 연산용 표시영역을 이미지 프로세싱을 통해 검출하며, 그 검출된 정보 중 구성부위별 식별자 표시영역을 상기 정보저장부와 매칭하여, 매칭되는 구성부위별 식별코드와 한 조의 시설물 구성부위별 캐드도면정보를 추출하고, 검출된 정보 중 상기 실측길이 연산용 기준길이영역을 통해 상기 요청 시설물 구성부위 촬영이미지정보에서 상기 실측길이 연산용 기준길이영역의 평면위치를 인지한 상태에서 상기 실측길이 연산용 기준길이영역의 기설정된 길이에 따라 상기 시설물 구성부위별 캐드도면정보의 표면좌표 값을 참조하여 상기 요청 시설물 구성부위 촬영이미지정보와 동일한 영역에 해당하는 부분을 상기 시설물 구성부위별 캐드도면정보에서 자르기하여 시설물 구성부위별 크랍 캐드도면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정보출력부를 통해 상기 요청 시설물 구성부위 촬영이미지정보를 출력하고, 그 출력된 요청 시설물 구성부위 촬영이미지정보 중 정보입력부를 통해 시설물의 손상된 영역인 지정손상영역이 선정되면, 그 선정된 영역만을 캡쳐한 시설물 구성부위별 손상영역 캡쳐이미지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시설물 구성부위별 크랍 캐드도면정보를 통해 상기 시설물 구성부위별 손상영역 캡쳐이미지정보의 표면좌표 값인 시설물 구성부위별 손상영역 표면좌표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구성부위별 식별코드, 상기 시설물 구성부위별 손상영역 캡쳐이미지정보 및 상기 시설물 구성부위별 손상영역 표면좌표정보로 이루어진 시설물별 검사신호를 상기 무선통신부를 통해 전송하는 시설물용 안전관리 앱이 탑재된 검사자단말과; 상기 검사자단말로부터 시설물별 검사신호를 전송받는 시설물 안전관리서버;로 이루어진다.
상기 시설물 안전관리서버에는, DB부; 및 이미지 가공엔진;을 포함하고, 상기 DB부에는, 행정구역별로 구분되어 저장되는 것으로, 시설물을 이루는 각 구성 부위마다 촬영한 이미지인 시설물 구성부위별 이미지정보, 상기 시설물 구성부위별 이미지정보를 이루는 시설물의 구성부위를 표면좌표 값으로 나타낸 시설물 구성부위별 표면좌표정보 및 해당 시설물 구성부위별 이미지정보에 대응하는 각 구성부위를 식별하는 구성부위별 참조식별코드가 한 조로 저장되는 시설물 구성부위별 이미지정보 DB와; 행정구역별로 구분되어 저장되는 것으로, 상기 시설물 구성부위별 이미지정보의 해당 영역에 상기 시설물 구성부위별 손상영역 캡쳐이미지정보가 중첩 가공된 시설물 구성부위별 이미지정보가 저장되는 시설물 구성부위별 가공 이미지정보 DB;를 포함하고, 상기 이미지 가공엔진은, 상기 검사자단말로부터 전송된 시설물별 검사신호에 포함된 정보 중 구성부위별 식별코드를 상기 시설물 구성부위별 이미지정보 DB와 매칭하여 매칭되는 구성부위별 참조식별코드와 한 조로 구성된 시설물 구성부위별 이미지정보 및 시설물 구성부위별 표면좌표정보를 추출하고, 그 추출된 정보 중 시설물 구성부위별 표면좌표정보와 상기 시설물별 검사신호에 포함된 시설물 구성부위별 손상영역 표면좌표정보를 대비하여 상기 시설물 구성부위별 손상영역 캡쳐이미지정보를 상기 시설물 구성부위별 이미지정보의 동일한 영역에 중첩 가공시켜 시설물 구성부위별 가공 이미지정보로 가공한 후 이를, 상기 시설물 구성부위별 가공 이미지정보 DB에 저장되도록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시설물 안전점검 시스템에는, 상기 정보저장부에 저장되는 정보로, 시설물 구성부위별 손상 위치 안내화면;을 포함하고, 상기 시설물 구성부위별 손상 위치 안내화면에는, 상기 요청 시설물 구성부위 촬영이미지정보가 출력표시되는 촬영 시설물 표시창, 상기 시설물 구성부위별 크랍 캐드도면정보가 출력표시되는 손상위치 확인용 캐드도면 표시창이 구비되어진다.
상기 검사자단말의 시설물용 안전관리 앱은, 상기 정보출력부를 통해, 상기 시설물 구성부위별 손상 위치 안내화면이 출력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정보입력부를 통해 상기 촬영 시설물 표시창에서 상기 지정손상영역이 선정되면, 상기 손상위치 확인용 캐드도면 표시창의 동일한 영역에도 상기 지정손상영역에 대응하는 확인손상영역이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검사자단말의 시설물용 안전관리 앱은, 상기 정보입력부를 통해 상기 손상위치 확인용 캐드도면 표시창에 표시된 상기 확인손상영역의 이동이 요청되면, 그 이동요청된 영역으로 상기 확인손상영역이 이동되도록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시설물 안전점검 시스템을 이용하여 시설물의 안전 관리 업무를 위해 안전점검 및 진단을 수행하는 과정은, 검사자단말의 시설물용 안전관리 앱에서, 정보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시설물의 행정구역별 관련 정보로 해당 시설물의 위치를 인지하는 단계(S100)와; 검사자단말의 시설물용 안전관리 앱에서,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정보로, 해당 시설물의 구성부위별 식별자 표시영역 및 실측길이 연산용 표시영역을 포함하는 요청 시설물 구성부위 촬영이미지정보를 생성하는 단계(S110)와; 검사자단말의 시설물용 안전관리 앱에서, 상기 요청 시설물 구성부위 촬영이미지정보에 표시된 구성부위별 식별자 표시영역 및 실측길이 연산용 표시영역을 이미지 프로세싱을 통해 검출하는 단계(S120)와; 검사자단말의 시설물용 안전관리 앱에서, 그 검출된 정보 중 구성부위별 식별자 표시영역을 정보저장부와 매칭하여, 매칭되는 구성부위별 식별코드와 한 조로 이루어진 시설물 구성부위별 캐드도면정보를 추출하는 단계(S130)와; 검사자단말의 시설물용 안전관리 앱에서, 검출된 정보 중 상기 실측길이 연산용 기준길이영역을 통해 상기 요청 시설물 구성부위 촬영이미지정보에서 상기 실측길이 연산용 기준길이영역의 평면위치를 인지한 상태에서 상기 실측길이 연산용 기준길이영역의 기설정된 길이에 따라 상기 시설물 구성부위별 캐드도면정보의 표면좌표 값을 참조하여 상기 요청 시설물 구성부위 촬영이미지정보와 동일한 영역에 해당하는 부분을 상기 시설물 구성부위별 캐드도면정보에서 자르기하여 시설물 구성부위별 크랍 캐드도면정보를 생성하는 단계(S140)와; 검사자단말의 시설물용 안전관리 앱에서, 시설물 구성부위별 손상 위치 안내화면을 이루는 촬영 시설물 표시창 및 손상위치 확인용 캐드도면 표시창에 상기 요청 시설물 구성부위 촬영이미지정보 및 시설물 구성부위별 크랍 캐드도면정보를 각각 삽입한 후 정보출력부를 통해 출력하는 단계(S150)와; 검사자단말의 시설물용 안전관리 앱에서, 시설물 구성부위별 손상 위치 안내화면의 촬영 시설물 표시창 상에 정보입력부를 통해 시설물의 손상된 영역인 지정손상영역이 선정되면, 상기 손상위치 확인용 캐드도면 표시창의 동일한 영역에도 상기 지정손상영역에 대응하는 확인손상영역이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단계(S160)와; 검사자단말의 시설물용 안전관리 앱에서, 손상위치 확인용 캐드도면 표시창에 표시된 상기 확인손상영역의 이동 요청이 있는지 확인하는 단계(S170)와; 검사자단말의 시설물용 안전관리 앱에서, 손상위치 확인용 캐드도면 표시창에 표시된 상기 확인손상영역의 이동 요청이 없는 경우 손상위치 확인용 캐드도면 표시창에 표시된 상기 확인손상영역의 표면좌표값인 시설물 구성부위별 손상영역 표면좌표정보를 획득하는 단계(S180)와; 검사자단말의 시설물용 안전관리 앱에서, 시설물 구성부위별 손상 위치 안내화면의 촬영 시설물 표시창 상에 지정된 지정손상영역만을 캡쳐한 시설물 구성부위별 손상영역 캡쳐이미지정보를 생성하는 단계(S190)와; 검사자단말의 시설물용 안전관리 앱에서, 상기 구성부위별 식별코드, 상기 시설물 구성부위별 손상영역 캡쳐이미지정보 및 상기 시설물 구성부위별 손상영역 표면좌표정보로 이루어진 시설물별 검사신호를 무선통신부를 통해 전송하는 단계(S200)와; 시설물 안전관리서버에서, 상기 시설물별 검사신호를 전송받는 단계(S210);로 이루어진다.
상기 검사자단말의 시설물용 안전관리 앱에서, 손상위치 확인용 캐드도면 표시창에 표시된 상기 확인손상영역의 이동 요청이 있는지 확인하는 S170단계에 있어서, 손상위치 확인용 캐드도면 표시창에 표시된 상기 확인손상영역의 이동 요청이 있는 경우 검사자단말의 시설물용 안전관리 앱에서, 그 이동요청된 영역으로 상기 확인손상영역이 이동되도록 제어한 상태에서 그 이동된 확인손상영역의 표면좌표값인 시설물 구성부위별 손상영역 표면좌표정보를 획득하는 단계(S171); 이후, 검사자단말(200)의 시설물용 안전관리 앱에서, 시설물 구성부위별 손상 위치 안내화면의 촬영 시설물 표시창 상에 지정된 지정손상영역만을 캡쳐한 시설물 구성부위별 손상영역 캡쳐이미지정보를 생성하는 S190단계로 진입한다.
본 발명의 시설물 안전점검 시스템을 이용하여 시설물의 안전 관리 업무를 위해 안전점검 및 진단을 수행하는 과정에는, 시설물 안전관리서버의 이미지 가공엔진에서, 검사자단말로부터 전송된 상기 시설물별 검사신호에 포함된 정보 중 구성부위별 식별코드를 시설물 구성부위별 이미지정보 DB와 매칭하여 매칭되는 구성부위별 참조식별코드와 한 조로 구성된 시설물 구성부위별 이미지정보 및 시설물 구성부위별 표면좌표정보를 추출하는 단계(S210)와; 시설물 안전관리서버의 이미지 가공엔진에서, 그 추출된 정보 중 시설물 구성부위별 표면좌표정보와 상기 시설물별 검사신호에 포함된 시설물 구성부위별 손상영역 표면좌표정보를 대비하여 상기 시설물 구성부위별 손상영역 캡쳐이미지정보를 상기 시설물 구성부위별 이미지정보의 동일한 영역에 중첩 가공시켜 시설물 구성부위별 가공 이미지정보로 가공한 후 이를, 시설물 구성부위별 가공 이미지정보 DB에 저장되도록 제어하는 단계(S22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시설물 안전 점검 중 확인된 손상된 시설물의 영상정보를 전송 시 시설물의 손상된 구성부분의 위치관련 정보도 자동으로 인지하여 함께 전송할 뿐만 아니라 시설물에서 손상이 발생한 영역의 영상정보만 캡쳐해서 전송함으로써, 시설물에 발생된 손상된 구성 위치를 명확하게 안내하여 시설물 손상평가 및 상대평가 시 정확한 정확한 진단을 가능하게 하고, 시설물 안점 점검을 위한 작업시간도 단축시켜 주며, 적은 용량의 영상정보만으로도 고해상도를 갖는 영상정보의 전송이 가능케 하여 무선전송 시 과부하의 위험성도 제거시켜 주는 효과를 발휘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시설물 안전점검 시스템을 나타낸 전체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시설물 안전점검 시스템을 이루는 구성 중 검사자단말을 나타낸 블록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시설물 안전점검 시스템을 이루는 구성 중 시설물 안전관리서버를 나타낸 블록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시설물 안전점검 시스템을 이루는 구성 중 검사자단말에 출력된 행정구역별 시설물 식별자 입력 화면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시설물 안전점검 시스템을 이루는 구성 중 검사자단말에 출력된 시설물 구성부위별 손상 위치 안내화면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시설물 안전점검 시스템을 이루는 구성 중 검사자단말에 출력된 시설물 구성부위별 손상 위치 안내화면 상에서 검사자가 시설물의 손상된 영역을 선정한 것을 나타낸 도면.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시설물 안전점검 시스템을 이용하여 시설물의 안전 관리 업무를 위해 안전점검 및 진단을 수행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하기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고자 언급된 것일 뿐이지,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각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를 과장되게 표현하거나, 또는 단순화하여 표현하고 있으나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경우에는 가급적 동일한 도면부호를 명기하기로 한다. 이와 더불어, 본 발명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하기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며,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시설물 안전점검 시스템은 크게 시설물(100), 검사자단말(200) 및 시설물 안전관리서버(300)로 이루어진다.
먼저, 시설물(100)은 행정구역별로 전국각지에 분포된 것으로, 시설물(100)의 각 구성 부위마다 부착되는 것으로, 각 구성 부위를 식별하는 구성부위별 식별자 표시영역(110a,110b,110c) 및 실측 길이를 연산할 수 있게 기설정된 길이로 표시되는 실측길이 연산용 기준길이영역(120a,120b,120c)이 인쇄된 부재이다.
여기서, 구성부위별 식별자 표시영역(110a,110b,110c) 및 실측길이 연산용 기준길이영역(120a,120b,120c)은 후술되는 검사자단말(200)의 시설물용 안전관리앱(201)에서 이미지 검출 프로세싱을 통해 인지되는 것으로, 구성부위별 식별자 표시영역(110a,110b,110c)은 문자, 숫자, 기호, 또는 도형으로 표시되어 시설물의 구성부위를 인지하거나 또는 실측길이 연산용 기준길이영역(120a,120b,120c) 상에서의 배치 위치를 통해서도 인지가능하다.
또한, 실측길이 연산용 기준길이영역(120a,120b,120c)은 일정한 기준의 길이, 예를 들어, 50cm, 1m 또는 3m로 표시되고, 촬영된 영상정보를 통해 그 길이가 원근감에 의해 작게는 mm길이에서 cm길이까지 표시된 것을 기준길이와 비례율에 따라 영상정보에서의 실제 길이를 계측할 수 있게 안내하여 준다.
상기 검사자단말(200)은 탑재된 시설물용 안전관리 앱(201)을 운영하여, 시설물 안전 점검 중 확인된 손상된 시설물의 영상정보를 전송 시 시설물의 손상된 구성부분의 위치관련 정보도 자동으로 인지하여 함께 전송할 뿐만 아니라 시설물에서 손상이 발생한 영역의 영상정보만 캡쳐해서 전송함으로써, 시설물에 발생된 손상된 구성 위치를 명확하게 안내하여 시설물 손상평가 및 상대평가 시 정확한 정확한 진단을 가능하게 하고, 시설물 안점 점검을 위한 작업시간도 단축시켜 주며, 적은 용량의 영상정보만으로도 고해상도를 갖는 영상정보의 전송이 가능케 하여 무선전송 시 과부하의 위험성도 제거시켜 주는 부재이다.
여기서, 시설물용 안전관리 앱(201)은 응용프로그램으로서, 검사자단말(200)에 임베디드(embeded) 방식으로 탑재되거나, 검사자단말(200)의 구동시스템(OS)에 인스톨(install)하는 방식으로 탑재되어진다. 즉, 검사자가 검사자단말(200)을 통해 앱스토어 접속하여 다운로드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앞에서 언급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검사자단말(200)에는 정보저장부(210), 카메라(220), 정보출력부(230), 정보입력부(240), 무선통신부(250) 및 제어부(260)가 구비되어진다.
먼저, 정보저장부(210)는 시설물 안전 점검 중 확인된 손상된 시설물의 영상정보를 전송 시 시설물의 손상된 구성부분의 위치관련 정보도 자동으로 인지하여 함께 전송할 뿐만 아니라 시설물에서 손상이 발생한 영역의 영상정보만 캡쳐해서 전송하는데 필요한 시설물용 안전관리 앱(201)과 같은 응용프로그램과, 시설물 구성부위별 손상 위치 안내화면(500) 및 행정구역별 시설물 식별자 입력 화면(400)과 같은 각종 데이터가 저장되는 부재이다.
또한, 정보저장부(210)에는 시설물(100)을 이루는 각 구성부위가 캐드파일형태로 저장되는 것으로, 각 구성부위가 표면좌표 값으로 인지되는 시설물 구성부위별 캐드도면정보 및 해당 시설물 구성부위별 캐드도면정보에 대응되는 각 구성부위를 식별하는 구성부위별 식별코드가 한 조로 구분되어 저장되어진다.
이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는 정보저장부(21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행정구역별 시설물 식별자 입력 화면(400)은 시설물의 위치를 행정구역별로 식별하기 위해 행정구역 및 해당 시설물명을 입력하기 위해 필요한 화면부재로서, 이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는 행정구역별 시설물 식별자 입력 화면(400)에는 시설물이 위치하는 행정구역명을 입력하는 행정구역 입력칸(410)과 해당 시설물의 명칭을 입력하는 시설물명 입력칸(420)이 구비되어진다.
또한, 시설물 구성부위별 손상 위치 안내화면(500)은 시설물 안전 점검 중 확인된 손상된 시설물의 영상정보를 전송 전 시설물의 손상된 구성부분의 위치를 검사자가 인지하고, 시설물의 손상된 영역인 지정손상영역(511)을 검사자가 선정할 수 있게 안내하기 위한 화면부재로서, 이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는 시설물 구성부위별 손상 위치 안내화면(500)에는 요청 시설물 구성부위 촬영이미지정보가 출력표시되는 촬영 시설물 표시창(510) 및 시설물 구성부위별 크랍 캐드도면정보가 출력표시되는 손상위치 확인용 캐드도면 표시창(520)이 구비되어진다.
이를 통해, 검사자단말(200)의 시설물용 안전관리 앱(201)은 정보출력부(230)를 통해, 시설물 구성부위별 손상 위치 안내화면(500)이 출력되도록 제어하고, 정보입력부(240)를 통해 촬영 시설물 표시창(510)에서 지정손상영역(511)이 선정되면, 손상위치 확인용 캐드도면 표시창(520)의 동일한 영역에도 지정손상영역(511)에 대응하는 확인손상영역(521)이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검사자단말(200)의 시설물용 안전관리 앱(201)은 정보입력부(240)를 통해 손상위치 확인용 캐드도면 표시창(520)에 표시된 확인손상영역(521)의 이동이 요청되면, 그 이동요청된 영역으로 상기 확인손상영역(521)이 이동되도록 제어하는 기능도 수행한다.
상기 카메라(220)는 시설물에 인쇄된 구성부위별 식별자 표시영역(110a,110b,110c) 및 실측길이 연산용 기준길이영역(120a,120b,120c)을 포함하는 상기 시설물(100)의 구성부위의 촬영요청에 따라 요청 시설물 구성부위 촬영이미지정보를 생성하는 부재로서, 국부적인 영역도 촬영할 수 있도록 인출 및 인입이 가능한 렌즈가 탑재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해상도 또한, 적어도 1000만 화소 정도의 고해상도가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기능을 수행하는 카메라(220)는 통상적으로, 촬영된 광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카메라 센서 및 카메라 센서로부터 촬영되는 아날로그 영상신호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는 신호처리부가 구비된다. 여기서 카메라 센서는 CCD(Charge Coupled Device) 센서를 주로 사용하며, 신호처리부는 DSP(Digital Signal Processor: DSP)로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카메라 센서 및 신호처리부는 일체형으로 구현하거나 또는 분리하여 구현하는 등 다양하게 적용하여 구현할 수도 있다.
또한 카메라(220)에는 추가적으로, 카메라(220)에서 출력되는 영상신호를 표시하기 위한 화면 데이터를 발생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영상처리모듈이 탑재되며, 이러한 기능을 수행하는 영상처리모듈은 카메라(220)에서 출력되는 영상신호를 프레임 단위로 처리하며, 이러한 처리를 거친 프레임 영상데이터를 정보출력부(230)의 특성 및 크기에 맞춰 출력한다. 또한 영상처리모듈은 영상 코덱을 구비하며, 정보출력부(230)에 표시되는 프레임 영상데이터를 설정된 방식으로 압축하거나, 압축된 프레임 영상데이터를 원래의 프레임 영상데이터로 복원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정보출력부(230)는 시설물 안전 점검 중 확인된 손상된 시설물의 영상정보를 전송 시 시설물의 손상된 구성부분의 위치관련 정보도 자동으로 인지하여 함께 전송할 뿐만 아니라 시설물에서 손상이 발생한 영역의 영상정보만 캡쳐해서 전송하는데 필요한 다양한 정보가 출력되는 부재로서, 스피커 및 디스플레이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디스플레이부의 경우에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등 다양한 출력부재가 선택 적용되어질 수 있다.
상기 정보입력부(240)는 시설물 안전 점검 중 확인된 손상된 시설물의 영상정보를 전송 시 시설물의 손상된 구성부분의 위치관련 정보도 자동으로 인지하여 함께 전송할 뿐만 아니라 시설물에서 손상이 발생한 영역의 영상정보만 캡쳐해서 전송하는데 필요한 다양한 정보를 입력하기 위해 필요한 감사자단말(200)의 동작 제어를 수행하는 부재이다.
이러한 정보입력부(240)에는 키패드(key pad) 돔스위치 (dome switch), 터치패드(정압/정전), 조그휠, 조그 스위치, 터치펜 등이 조합되어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무선통신부(250)는 시설물 안전 점검을 위해 필요한 영상정보를 포함하는 시설물별 검사신호를 후술되는 시설물 안전관리서버(300)로 무선전송하는 통신 인터페이스 기능을 수행하는 부재로서, LTE, WiMAX, 3G, WiFi 와 같은 다양한 무선통신모듈을 혼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260)는 감사자단말(2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부재로서, 시설물용 안전관리 앱(201)을 운영하여 요청 시설물 구성부위 촬영이미지정보에 표시된 구성부위별 식별자 표시영역(110a,110b,110c) 및 실측길이 연산용 기준길이영역(120a,120b,120c)을 이미지 프로세싱을 통해 검출하며, 그 검출된 정보 중 구성부위별 식별자 표시영역(110a,110b,110c)을 정보저장부(210)와 매칭하여, 매칭되는 구성부위별 식별코드와 한 조의 시설물 구성부위별 캐드도면정보를 추출하고, 검출된 정보 중 상기 실측길이 연산용 기준길이영역(120a,120b,120c)을 통해 요청 시설물 구성부위 촬영이미지정보에서 실측길이 연산용 기준길이영역(120a,120b,120c)의 평면위치를 인지한 상태에서 실측길이 연산용 기준길이영역(120a,120b,120c)의 기설정된 길이에 따라 시설물 구성부위별 캐드도면정보의 표면좌표 값을 참조하여 요청 시설물 구성부위 촬영이미지정보와 동일한 영역에 해당하는 부분을 시설물 구성부위별 캐드도면정보에서 자르기하여 시설물 구성부위별 크랍 캐드도면정보를 생성하며, 정보출력부(230)를 통해 요청 시설물 구성부위 촬영이미지정보를 출력하고, 그 출력된 요청 시설물 구성부위 촬영이미지정보 중 정보입력부(240)를 통해 시설물의 손상된 영역인 지정손상영역(511)이 선정되면, 그 선정된 영역만을 캡쳐한 시설물 구성부위별 손상영역 캡쳐이미지정보를 생성하며, 시설물 구성부위별 크랍 캐드도면정보를 통해 시설물 구성부위별 손상영역 캡쳐이미지정보의 표면좌표 값인 시설물 구성부위별 손상영역 표면좌표정보를 획득하고, 구성부위별 식별코드, 시설물 구성부위별 손상영역 캡쳐이미지정보 및 시설물 구성부위별 손상영역 표면좌표정보로 이루어진 시설물별 검사신호를 무선통신부(250)를 통해 전송되도록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시설물 안전점검 시스템은 시설물 안전 점검 중 확인된 손상된 시설물의 영상정보를 전송 시 시설물의 손상된 구성부분의 위치관련 정보도 자동으로 인지하여 함께 전송할 뿐만 아니라 시설물에서 손상이 발생한 영역의 영상정보만 캡쳐해서 전송함으로써, 시설물에 발생된 손상된 구성 위치를 명확하게 안내하여 시설물 손상평가 및 상대평가 시 정확한 정확한 진단을 가능하게 하고, 시설물 안점 점검을 위한 작업시간도 단축시켜 주며, 적은 용량의 영상정보만으로도 고해상도를 갖는 영상정보의 전송이 가능케 하여 무선전송 시 과부하의 위험성도 제거시켜 주는 이점을 제공한다.
상기 시설물 안전관리서버(300)는 검사자단말(200)로부터 시설물별 검사신호를 전송받고, 그 전송된 시설물별 검사신호에 포함된 정보 중 구성부위별 식별코드를 토대로 시설물의 손상된 영역 부근의 이미지를 시설물 구성부위별 손상영역 표면좌표정보를 참조하여 해당 시설물 구성부위별 이미지정보의 동일한 영역에 중첩되게 가공되도록 제어하는 부재이다.
이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시설물 안전관리서버(300)에는 DB부(310) 및 이미지 가공엔진(320)이 구비되어진다.
먼저, DB부(310)에는 행정구역별로 구분되어 저장되는 것으로, 시설물을 이루는 각 구성 부위마다 촬영한 이미지인 시설물 구성부위별 이미지정보, 상기 시설물 구성부위별 이미지정보를 이루는 시설물의 구성부위를 표면좌표 값으로 나타낸 시설물 구성부위별 표면좌표정보 및 해당 시설물 구성부위별 이미지정보에 대응하는 각 구성부위를 식별하는 구성부위별 참조식별코드가 한 조로 저장되는 시설물 구성부위별 이미지정보 DB(311) 및 행정구역별로 구분되어 저장되는 것으로, 상기 시설물 구성부위별 이미지정보의 해당 영역에 상기 시설물 구성부위별 손상영역 캡쳐이미지정보가 중첩 가공된 시설물 구성부위별 이미지정보가 저장되는 시설물 구성부위별 가공 이미지정보 DB(312)를 포함한다.
상기 이미지 가공엔진(320)은 검사자단말(200)로부터 전송된 시설물별 검사신호에 포함된 정보 중 구성부위별 식별코드를 시설물 구성부위별 이미지정보 DB(311)와 매칭하여 매칭되는 구성부위별 참조식별코드와 한 조로 구성된 시설물 구성부위별 이미지정보 및 시설물 구성부위별 표면좌표정보를 추출하고, 그 추출된 정보 중 시설물 구성부위별 표면좌표정보와 시설물별 검사신호에 포함된 시설물 구성부위별 손상영역 표면좌표정보를 대비하여 시설물 구성부위별 손상영역 캡쳐이미지정보를 시설물 구성부위별 이미지정보의 동일한 영역에 중첩 가공시켜 시설물 구성부위별 가공 이미지정보로 가공한 후 이를, 시설물 구성부위별 가공 이미지정보 DB(312)에 저장되도록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시설물 안전점검 시스템을 이용하여 시설물의 안전 관리 업무를 위해 안전점검 및 진단을 수행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검사자는 안전점검을 수행하고자 하는 해당 시설물이 위치하는 지역에 방문한 상태에서 검사자단말(200)에 탑재된 시설물용 안전관리 앱(201)을 실행한다.
실행된, 검사자단말(200)의 시설물용 안전관리 앱(201)은 검사자의 요청에 의해 정보저장부(210)에서 행정구역별 시설물 식별자 입력 화면(400)을 추출하고, 이를 정보출력부(230)로 출력되도록 제어한다.
검사자는 정보출력부(230)를 통해 출력된 행정구역별 시설물 식별자 입력 화면(400) 상의 행정구역 입력칸(410) 및 시설물명 입력칸(420)에 각각 시설물이 위치하는 행정구역명과 해당 시설물의 명칭을 입력하면, 검사자단말(200)의 시설물용 안전관리 앱(201)은 정보입력부(240)를 통해 입력된 행정구역정보 및 시설물명 정보를 포함하는 시설물(100)의 행정구역별 관련 정보로 해당 시설물(100)의 위치를 인지(S100)한다.
이후, 검사자단말(200)의 시설물용 안전관리 앱(201)은 카메라(220)를 통해 검사자가 촬영한 정보인 해당 시설물(100)의 구성부위별 식별자 표시영역(110a,110b,110c) 및 실측길이 연산용 기준길이영역(120a,120b,120c)을 포함하는 요청 시설물 구성부위 촬영이미지정보가 생성(S110)되면, 요청 시설물 구성부위 촬영이미지정보에 표시된 구성부위별 식별자 표시영역(110a,110b,110c) 및 실측길이 연산용 기준길이영역(120a,120b,120c)을 이미지 프로세싱을 통해 검출(S120)한다.
이후, 검사자단말(200)의 시설물용 안전관리 앱(201)은 그 검출된 정보 중 구성부위별 식별자 표시영역(110a,110b,110c)을 정보저장부(210)와 매칭하여, 매칭되는 구성부위별 식별코드와 한 조로 이루어진 시설물 구성부위별 캐드도면정보를 추출(S130)한다.
이후, 검사자단말(200)의 시설물용 안전관리 앱(201)은 검출된 정보 중 실측길이 연산용 기준길이영역(120a,120b,120c)을 통해 요청 시설물 구성부위 촬영이미지정보에서 실측길이 연산용 기준길이영역(120a,120b,120c)의 평면위치를 인지한 상태에서 실측길이 연산용 기준길이영역(120a,120b,120c)의 기설정된 길이에 따라 시설물 구성부위별 캐드도면정보의 표면좌표 값을 참조하여 요청 시설물 구성부위 촬영이미지정보와 동일한 영역에 해당하는 부분을 시설물 구성부위별 캐드도면정보에서 자르기하여 시설물 구성부위별 크랍 캐드도면정보를 생성(S140)한다.
이후, 검사자단말(200)의 시설물용 안전관리 앱(201)은 정보저장부(210)에서 시설물 구성부위별 손상 위치 안내화면(500)을 추출하고, 그 추출된 시설물 구성부위별 손상 위치 안내화면(500)을 이루는 촬영 시설물 표시창(510) 및 손상위치 확인용 캐드도면 표시창(520)에 요청 시설물 구성부위 촬영이미지정보 및 시설물 구성부위별 크랍 캐드도면정보를 각각 삽입한 후 정보출력부(230)를 통해 출력(S150)되도록 제어한다.
이후, 검사자는 정보출력부(230)를 통해 출력된 시설물 구성부위별 손상 위치 안내화면(500) 중 촬영 시설물 표시창(510) 상에 정보입력부(240)를 조작하여 시설물의 손상된 영역인 지정손상영역(511)을 선정한다.
검사자단말(200)의 시설물용 안전관리 앱(201)은 지정손상영역(511)이 선정되면, 손상위치 확인용 캐드도면 표시창(520)의 동일한 영역에도 상기 지정손상영역(511)에 대응하는 확인손상영역(521)이 표시되도록 제어(S160)한다.
여기서, 검사자는 정보출력부(230)를 통해 출력된 시설물 구성부위별 손상 위치 안내화면(500)을 열람하여, 촬영 시설물 표시창(510)에 출력표시된 요청 시설물 구성부위 촬영이미지정보와 손상위치 확인용 캐드도면 표시창(520)에 출력표시된 시설물 구성부위별 크랍 캐드도면정보를 대비하여, 확인손상영역(521)의 위치가 지정손상영역(511)의 위치와 별 차이가 없는 경우에는 확인손상영역(521)의 이동을 요청(S170)하지 않고,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전송메뉴를 클릭하여 정보의 전송을 요청한다.
검사자단말(200)의 시설물용 안전관리 앱(201)은 손상위치 확인용 캐드도면 표시창(520)에 표시된 확인손상영역(521)의 이동 요청 없이 바로 전송요청이 입력되면, 손상위치 확인용 캐드도면 표시창(520)에 표시된 상기 확인손상영역(521)의 표면좌표값인 시설물 구성부위별 손상영역 표면좌표정보를 획득(S180)하고, 시설물 구성부위별 손상 위치 안내화면(500)의 촬영 시설물 표시창(510) 상에 지정된 지정손상영역(511)만을 캡쳐한 시설물 구성부위별 손상영역 캡쳐이미지정보를 생성(S190)한다.
이후, 검사자단말(200)의 시설물용 안전관리 앱(201)은 구성부위별 식별코드, 시설물 구성부위별 손상영역 캡쳐이미지정보 및 시설물 구성부위별 손상영역 표면좌표정보로 이루어진 시설물별 검사신호를 무선통신부(250)를 통해 시설물 안전관리서버(300)로 무선 전송(S200)한다.
한편, 검사자단말(200)의 시설물용 안전관리 앱(201)은 손상위치 확인용 캐드도면 표시창(520)에 표시된 확인손상영역(521)의 이동 요청(S170단계)을 확인하는 과정에서, 검사자가 정보입력부(240)를 조작하여 손상위치 확인용 캐드도면 표시창(520)에 표시된 확인손상영역(521)의 이동을 요청하면, 그 이동요청된 영역으로 상기 확인손상영역(521)이 이동되도록 제어한 상태에서 그 이동된 확인손상영역(521)의 표면좌표값인 시설물 구성부위별 손상영역 표면좌표정보를 획득(S171)한 후, 시설물 구성부위별 손상 위치 안내화면(500)의 촬영 시설물 표시창(510) 상에 지정된 지정손상영역(511)만을 캡쳐한 시설물 구성부위별 손상영역 캡쳐이미지정보를 생성하는 과정(S190)을 수행한다.
시설물 안전관리서버(300)의 이미지 가공엔진(320)은 검사자단말(200)로부터 전송된 시설물별 검사신호에 포함된 정보 중 구성부위별 식별코드를 시설물 구성부위별 이미지정보 DB(311)와 매칭하여 매칭되는 구성부위별 참조식별코드와 한 조로 구성된 시설물 구성부위별 이미지정보 및 시설물 구성부위별 표면좌표정보를 추출(S210)한다.
이후, 시설물 안전관리서버(300)의 이미지 가공엔진(320)은 그 추출된 정보 중 시설물 구성부위별 표면좌표정보와 시설물별 검사신호에 포함된 시설물 구성부위별 손상영역 표면좌표정보를 대비하여 시설물 구성부위별 손상영역 캡쳐이미지정보를 시설물 구성부위별 이미지정보의 동일한 영역에 중첩 가공시켜 시설물 구성부위별 가공 이미지정보로 가공한 후 이를, 시설물 구성부위별 가공 이미지정보 DB(312)에 저장되도록 제어(S220)함으로써, 시설물의 안전점검 자료로 활용할 수 있도록 데이터베이스화 작업을 수행한다.
100 : 시설물
110a,110b,110c : 구성부위별 식별자 표시영역
120a,120b,120c : 실측길이 연산용 기준길이영역
200 : 검사자단말 201 : 시설물용 안전관리앱
210 : 정보저장부 220 : 카메라
230 : 정보출력부 240 : 정보입력부
250 : 무선통신부 260 : 제어부
300 : 시설물 안전관리서버 310 : DB부
311 : 시설물 구성부위별 이미지정보 DB
312 : 시설물 구성부위별 가공 이미지정보 DB
320 : 이미지 가공엔진
400 : 행정구역별 시설물 식별자 입력 화면
410 : 행정구역 입력칸 420 : 시설물명 입력칸
500 : 시설물 구성부위별 손상 위치 안내화면
510 : 촬영 시설물 표시창 511 : 지정손상영역
520 : 손상위치 확인용 캐드도면 표시창
521 : 확인손상영역

Claims (8)

  1. 각 구성 부위마다 부착되는 것으로, 각 구성 부위를 식별하는 구성부위별 식별자 표시영역 및 실측 길이를 연산할 수 있게 기설정된 길이로 표시되는 실측길이 연산용 기준길이영역이 인쇄된 시설물과;
    상기 시설물을 이루는 각 구성부위가 캐드파일형태로 저장되는 것으로, 각 구성부위가 표면좌표 값으로 인지되는 시설물 구성부위별 캐드도면정보 및 해당 시설물 구성부위별 캐드도면정보에 대응되는 각 구성부위를 식별하는 구성부위별 식별코드가 한 조로 저장되는 정보저장부, 상기 구성부위별 식별자 표시영역 및 실측길이 연산용 표시영역을 포함하는 상기 시설물의 구성부위의 촬영요청에 따라 요청 시설물 구성부위 촬영이미지정보를 생성하는 카메라, 정보출력부, 정보입력부 및 무선통신부가 구비되고, 상기 요청 시설물 구성부위 촬영이미지정보에 표시된 구성부위별 식별자 표시영역 및 실측길이 연산용 표시영역을 이미지 프로세싱을 통해 검출하며, 그 검출된 정보 중 구성부위별 식별자 표시영역을 상기 정보저장부와 매칭하여, 매칭되는 구성부위별 식별코드와 한 조의 시설물 구성부위별 캐드도면정보를 추출하고, 검출된 정보 중 상기 실측길이 연산용 기준길이영역을 통해 상기 요청 시설물 구성부위 촬영이미지정보에서 상기 실측길이 연산용 기준길이영역의 평면위치를 인지한 상태에서 상기 실측길이 연산용 기준길이영역의 기설정된 길이에 따라 상기 시설물 구성부위별 캐드도면정보의 표면좌표 값을 참조하여 상기 요청 시설물 구성부위 촬영이미지정보와 동일한 영역에 해당하는 부분을 상기 시설물 구성부위별 캐드도면정보에서 자르기하여 시설물 구성부위별 크랍 캐드도면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정보출력부를 통해 상기 요청 시설물 구성부위 촬영이미지정보를 출력하고, 그 출력된 요청 시설물 구성부위 촬영이미지정보 중 정보입력부를 통해 시설물의 손상된 영역인 지정손상영역이 선정되면, 그 선정된 영역만을 캡쳐한 시설물 구성부위별 손상영역 캡쳐이미지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시설물 구성부위별 크랍 캐드도면정보를 통해 상기 시설물 구성부위별 손상영역 캡쳐이미지정보의 표면좌표 값인 시설물 구성부위별 손상영역 표면좌표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구성부위별 식별코드, 상기 시설물 구성부위별 손상영역 캡쳐이미지정보 및 상기 시설물 구성부위별 손상영역 표면좌표정보로 이루어진 시설물별 검사신호를 상기 무선통신부를 통해 전송하는 시설물용 안전관리 앱이 탑재된 검사자단말과;
    상기 검사자단말로부터 시설물별 검사신호를 전송받는 시설물 안전관리서버;로 이루어지고,
    상기 시설물 안전관리서버에는, DB부; 및 이미지 가공엔진;을 포함하며,
    상기 DB부에는, 행정구역별로 구분되어 저장되는 것으로, 시설물을 이루는 각 구성 부위마다 촬영한 이미지인 시설물 구성부위별 이미지정보, 상기 시설물 구성부위별 이미지정보를 이루는 시설물의 구성부위를 표면좌표 값으로 나타낸 시설물 구성부위별 표면좌표정보 및 해당 시설물 구성부위별 이미지정보에 대응하는 각 구성부위를 식별하는 구성부위별 참조식별코드가 한 조로 저장되는 시설물 구성부위별 이미지정보 DB와;
    행정구역별로 구분되어 저장되는 것으로, 상기 시설물 구성부위별 이미지정보의 해당 영역에 상기 시설물 구성부위별 손상영역 캡쳐이미지정보가 중첩 가공된 시설물 구성부위별 이미지정보가 저장되는 시설물 구성부위별 가공 이미지정보 DB;를 포함하고,
    상기 이미지 가공엔진은, 상기 검사자단말로부터 전송된 시설물별 검사신호에 포함된 정보 중 구성부위별 식별코드를 상기 시설물 구성부위별 이미지정보 DB와 매칭하여 매칭되는 구성부위별 참조식별코드와 한 조로 구성된 시설물 구성부위별 이미지정보 및 시설물 구성부위별 표면좌표정보를 추출하고, 그 추출된 정보 중 시설물 구성부위별 표면좌표정보와 상기 시설물별 검사신호에 포함된 시설물 구성부위별 손상영역 표면좌표정보를 대비하여 상기 시설물 구성부위별 손상영역 캡쳐이미지정보를 상기 시설물 구성부위별 이미지정보의 동일한 영역에 중첩 가공시켜 시설물 구성부위별 가공 이미지정보로 가공한 후 이를, 상기 시설물 구성부위별 가공 이미지정보 DB에 저장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설물 안전점검 시스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저장부에 저장되는 정보로, 시설물 구성부위별 손상 위치 안내화면;을 포함하고,
    상기 시설물 구성부위별 손상 위치 안내화면에는, 상기 요청 시설물 구성부위 촬영이미지정보가 출력표시되는 촬영 시설물 표시창, 상기 시설물 구성부위별 크랍 캐드도면정보가 출력표시되는 손상위치 확인용 캐드도면 표시창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설물 안전점검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검사자단말의 시설물용 안전관리 앱은, 상기 정보출력부를 통해, 상기 시설물 구성부위별 손상 위치 안내화면이 출력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정보입력부를 통해 상기 촬영 시설물 표시창에서 상기 지정손상영역이 선정되면, 상기 손상위치 확인용 캐드도면 표시창의 동일한 영역에도 상기 지정손상영역에 대응하는 확인손상영역이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설물 안전점검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검사자단말의 시설물용 안전관리 앱은, 상기 정보입력부를 통해 상기 손상위치 확인용 캐드도면 표시창에 표시된 상기 확인손상영역의 이동이 요청되면, 그 이동요청된 영역으로 상기 확인손상영역이 이동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설물 안전점검 시스템.
  6. 검사자단말의 시설물용 안전관리 앱에서, 정보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시설물의 행정구역별 관련 정보로 해당 시설물의 위치를 인지하는 단계(S100)와;
    검사자단말의 시설물용 안전관리 앱에서,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정보로, 해당 시설물의 구성부위별 식별자 표시영역 및 실측길이 연산용 표시영역을 포함하는 요청 시설물 구성부위 촬영이미지정보를 생성하는 단계(S110)와;
    검사자단말의 시설물용 안전관리 앱에서, 상기 요청 시설물 구성부위 촬영이미지정보에 표시된 구성부위별 식별자 표시영역 및 실측길이 연산용 표시영역을 이미지 프로세싱을 통해 검출하는 단계(S120)와;
    검사자단말의 시설물용 안전관리 앱에서, 그 검출된 정보 중 구성부위별 식별자 표시영역을 정보저장부와 매칭하여, 매칭되는 구성부위별 식별코드와 한 조로 이루어진 시설물 구성부위별 캐드도면정보를 추출하는 단계(S130)와;
    검사자단말의 시설물용 안전관리 앱에서, 검출된 정보 중 상기 실측길이 연산용 기준길이영역을 통해 상기 요청 시설물 구성부위 촬영이미지정보에서 상기 실측길이 연산용 기준길이영역의 평면위치를 인지한 상태에서 상기 실측길이 연산용 기준길이영역의 기설정된 길이에 따라 상기 시설물 구성부위별 캐드도면정보의 표면좌표 값을 참조하여 상기 요청 시설물 구성부위 촬영이미지정보와 동일한 영역에 해당하는 부분을 상기 시설물 구성부위별 캐드도면정보에서 자르기하여 시설물 구성부위별 크랍 캐드도면정보를 생성하는 단계(S140)와;
    검사자단말의 시설물용 안전관리 앱에서, 시설물 구성부위별 손상 위치 안내화면을 이루는 촬영 시설물 표시창 및 손상위치 확인용 캐드도면 표시창에 상기 요청 시설물 구성부위 촬영이미지정보 및 시설물 구성부위별 크랍 캐드도면정보를 각각 삽입한 후 정보출력부를 통해 출력하는 단계(S150)와;
    검사자단말의 시설물용 안전관리 앱에서, 시설물 구성부위별 손상 위치 안내화면의 촬영 시설물 표시창 상에 정보입력부를 통해 시설물의 손상된 영역인 지정손상영역이 선정되면, 상기 손상위치 확인용 캐드도면 표시창의 동일한 영역에도 상기 지정손상영역에 대응하는 확인손상영역이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단계(S160)와;
    검사자단말의 시설물용 안전관리 앱에서, 손상위치 확인용 캐드도면 표시창에 표시된 상기 확인손상영역의 이동 요청이 있는지 확인하는 단계(S170)와;
    검사자단말의 시설물용 안전관리 앱에서, 손상위치 확인용 캐드도면 표시창에 표시된 상기 확인손상영역의 이동 요청이 없는 경우 손상위치 확인용 캐드도면 표시창에 표시된 상기 확인손상영역의 표면좌표값인 시설물 구성부위별 손상영역 표면좌표정보를 획득하는 단계(S180)와;
    검사자단말의 시설물용 안전관리 앱에서, 시설물 구성부위별 손상 위치 안내화면의 촬영 시설물 표시창 상에 지정된 지정손상영역만을 캡쳐한 시설물 구성부위별 손상영역 캡쳐이미지정보를 생성하는 단계(S190)와;
    검사자단말의 시설물용 안전관리 앱에서, 상기 구성부위별 식별코드, 상기 시설물 구성부위별 손상영역 캡쳐이미지정보 및 상기 시설물 구성부위별 손상영역 표면좌표정보로 이루어진 시설물별 검사신호를 무선통신부를 통해 전송하는 단계(S200)와;
    시설물 안전관리서버의 이미지 가공엔진에서, 검사자단말로부터 전송된 상기 시설물별 검사신호에 포함된 정보 중 구성부위별 식별코드를 시설물 구성부위별 이미지정보 DB와 매칭하여 매칭되는 구성부위별 참조식별코드와 한 조로 구성된 시설물 구성부위별 이미지정보 및 시설물 구성부위별 표면좌표정보를 추출하는 단계(S210)와;
    시설물 안전관리서버의 이미지 가공엔진에서, 그 추출된 정보 중 시설물 구성부위별 표면좌표정보와 상기 시설물별 검사신호에 포함된 시설물 구성부위별 손상영역 표면좌표정보를 대비하여 상기 시설물 구성부위별 손상영역 캡쳐이미지정보를 상기 시설물 구성부위별 이미지정보의 동일한 영역에 중첩 가공시켜 시설물 구성부위별 가공 이미지정보로 가공한 후 이를, 시설물 구성부위별 가공 이미지정보 DB에 저장되도록 제어하는 단계(S2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설물 안전점검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검사자단말의 시설물용 안전관리 앱에서, 손상위치 확인용 캐드도면 표시창에 표시된 상기 확인손상영역의 이동 요청이 있는지 확인하는 S170단계에 있어서,
    손상위치 확인용 캐드도면 표시창에 표시된 상기 확인손상영역의 이동 요청이 있는 경우 검사자단말의 시설물용 안전관리 앱에서, 그 이동요청된 영역으로 상기 확인손상영역이 이동되도록 제어한 상태에서 그 이동된 확인손상영역의 표면좌표값인 시설물 구성부위별 손상영역 표면좌표정보를 획득하는 단계(S171); 이후,
    검사자단말(200)의 시설물용 안전관리 앱에서, 시설물 구성부위별 손상 위치 안내화면의 촬영 시설물 표시창 상에 지정된 지정손상영역만을 캡쳐한 시설물 구성부위별 손상영역 캡쳐이미지정보를 생성하는 S190단계로 진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설물 안전점검방법.
  8. 삭제
KR1020170146626A 2017-11-06 2017-11-06 시설물 안전점검 시스템 및 방법 KR1019092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6626A KR101909212B1 (ko) 2017-11-06 2017-11-06 시설물 안전점검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6626A KR101909212B1 (ko) 2017-11-06 2017-11-06 시설물 안전점검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09212B1 true KR101909212B1 (ko) 2018-10-17

Family

ID=640993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6626A KR101909212B1 (ko) 2017-11-06 2017-11-06 시설물 안전점검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09212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1713B1 (ko) * 2018-12-21 2019-08-19 주식회사 지에스지 연속구조물 결함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KR102112046B1 (ko) * 2019-12-04 2020-05-18 (주) 다음기술단 시설물 안전진단 및 유지관리 방법
KR102133386B1 (ko) 2019-07-22 2020-07-14 (주)바인테크 유실예방용 시설물 안전점검 시스템
KR102204016B1 (ko) * 2020-07-23 2021-01-18 (주)에이톰엔지니어링 3차원 기반의 시설물 안전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2428220B1 (ko) 2021-11-12 2022-08-04 로드브로스 주식회사 안전점검용역의 중개 서버 및 그 중개방법
KR102565689B1 (ko) 2022-10-12 2023-08-09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딥러닝 기반 이동식 시설물 안전진단 및 모니터링 방법 및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6451B1 (ko) * 2012-10-18 2013-10-08 현대건설주식회사 콘크리트 표면 균열 측정장치, 측정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설치된 스마트 폰 및 컴퓨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6451B1 (ko) * 2012-10-18 2013-10-08 현대건설주식회사 콘크리트 표면 균열 측정장치, 측정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설치된 스마트 폰 및 컴퓨터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1713B1 (ko) * 2018-12-21 2019-08-19 주식회사 지에스지 연속구조물 결함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KR102133386B1 (ko) 2019-07-22 2020-07-14 (주)바인테크 유실예방용 시설물 안전점검 시스템
KR102112046B1 (ko) * 2019-12-04 2020-05-18 (주) 다음기술단 시설물 안전진단 및 유지관리 방법
KR102204016B1 (ko) * 2020-07-23 2021-01-18 (주)에이톰엔지니어링 3차원 기반의 시설물 안전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2428220B1 (ko) 2021-11-12 2022-08-04 로드브로스 주식회사 안전점검용역의 중개 서버 및 그 중개방법
KR102565689B1 (ko) 2022-10-12 2023-08-09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딥러닝 기반 이동식 시설물 안전진단 및 모니터링 방법 및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09212B1 (ko) 시설물 안전점검 시스템 및 방법
KR102273691B1 (ko) 드론을 이용한 건설현장 공정관리 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 건설현장 공정관리 방법
US11893538B1 (en) Intelligent system and method for assessing structural damage using aerial imagery
KR102203135B1 (ko) 드론을 이용한 인공지능 기반 재난 피해정보 탐지 방법 및 시스템
JP6952469B2 (ja) 現場施工管理システム
JP6532412B2 (ja) 自己位置推定システム、自己位置推定方法、モバイル端末、サーバおよび自己位置推定プログラム
JP6725063B2 (ja) 設備管理システム
JP7065477B2 (ja) 災害状況判定システムおよび災害判定飛行システム
JP2008310446A (ja) 画像検索システム
KR20210115246A (ko) 3d 모델링 기반 댐 안전 관리를 위한 통합 유지보수 관제 방법 및 시스템
KR102195890B1 (ko) 스마트글래스 안전진단 시스템 및 안전진단 방법
WO2017051735A1 (ja) 撮像支援システム及び装置及び方法、並びに撮像端末
KR101480784B1 (ko) 근거리무선통신〔nfc〕을 이용한 하천 시설물 유지관리 방법
JP2022054521A (ja) 巡視点検作業評価システム、巡視点検作業評価装置、操作端末、位置検出端末、及び巡視点検作業評価方法
JP7312581B2 (ja) コンクリート構造物管理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コンクリート構造物の管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2036792B1 (ko) 업무안내용 시설물 안전점검 시스템 및 방법
KR102039666B1 (ko) 사고예방용 시설물 안전점검 시스템 및 방법
JP6886670B2 (ja) 建設現場端末、建設現場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JP2001344285A (ja) 被害情報収集管理装置
JP7026438B2 (ja) 既存構造物の管理情報確認システム
KR102098263B1 (ko) 웹기반 풍력발전 블레이드 관리 시스템
KR20210006018A (ko) 건설 기계의 점검 지원 시스템, 관리 서버 및 점검 리포트 작성 시스템
KR101564223B1 (ko) 지반침하를 예방하기 위한 하수관거 점검시스템
EP3070459A1 (en) Inspection target object extraction apparatus and inspection target object extraction method
KR102387717B1 (ko) 드론 촬영 및 사진첩 기법을 이용한 시설물 손상 진단 및 점검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