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06018A - 건설 기계의 점검 지원 시스템, 관리 서버 및 점검 리포트 작성 시스템 - Google Patents

건설 기계의 점검 지원 시스템, 관리 서버 및 점검 리포트 작성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06018A
KR20210006018A KR1020217000429A KR20217000429A KR20210006018A KR 20210006018 A KR20210006018 A KR 20210006018A KR 1020217000429 A KR1020217000429 A KR 1020217000429A KR 20217000429 A KR20217000429 A KR 20217000429A KR 20210006018 A KR20210006018 A KR 202100060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pection
image
guidance
data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004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37932B1 (ko
Inventor
다카미 구사키
도모히로 요시다
마스타카 구마사카
가즈오 후지시마
사토시 이노세
Original Assignee
히다찌 겐끼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다찌 겐끼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히다찌 겐끼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100060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60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79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79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5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ill image data
    • G06F16/54Browsing; Visualisation theref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20Administration of product repair or maintenanc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0Drives; Control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5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ill image data
    • G06F16/53Querying
    • G06F16/538Presentation of query resul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5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ill image data
    • G06F16/58Retrieval characterised by using metadata, e.g. metadata not derived from the content or metadata generated manually
    • G06F16/5866Retrieval characterised by using metadata, e.g. metadata not derived from the content or metadata generated manually using information manually generated, e.g. tags, keywords, comments, manually generated location and time inform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3Resource planning in a project environ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3Workflow collaboration or project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8Constru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5/00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vehicles
    • G07C5/008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vehicles communicating information to a remotely located station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5/00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vehicles
    • G07C5/08Registering or indicating performance data other than driving, working, idle, or waiting time, with or without registering driving, working, idle or waiting tim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04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a single signalling line, e.g. in a closed loop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1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Component Parts Of Construction Machinery (AREA)
  • Operation Control Of Excavators (AREA)
  • Testing And Monitoring For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카메라(416)와 디스플레이(414)를 갖고, 점검 리포트에 게재할 건설 기계의 화상 데이터를 취득하는 건설 기계의 점검 지원 시스템에 있어서, 화상 데이터로서 촬영하는 촬영 대상의 구도를 나타내는 가이던스 화상을 디스플레이(414)에 표시시키는 가이던스 표시부(432)와, 카메라(416)의 피사체상을 화상 데이터로서 취득하는 촬영부(450)와, 취득한 화상 데이터를, 점검 리포트를 관리하는 관리 서버(300)로 송신하는 송신부를 구비하는 건설 기계의 점검 지원 시스템.

Description

건설 기계의 점검 지원 시스템, 관리 서버 및 점검 리포트 작성 시스템{INSPECTION SUPPORT SYSTEM FOR CONSTRUCTION MACHINE, MANAGEMENT SERVER, AND INSPECTION REPORT CREATION SYSTEM}
본 발명은, 건설 기계의 점검 리포트를 작성하는 기술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점검 리포트 작성용 데이터 수집을 행하는 점검을 지원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유압 셔블 등의 건설 기계에 관하여, 가동 상황을 관리하는 관리 시스템이 있다. 이 관리 시스템에서는, 건설 기계로부터 매일 송신되는 가동 정보나, 서비스맨에 의한 현지에서의 점검 결과를 이용하여, 서비스 리포트가 작성된다.
또한, 건설 기계의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휴대 단말기를 이용하는 기술이 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에는, 「건설 기계에는 제어 장치가 설치되고, 관리 센터에는, 하나 또는 복수의 단말기, 휴대 단말기와 인터넷을 통해 통신 네트워크망이 구축되는 서버가 설치되어 있다. GPS에 의해 건설 기계가 그 가동 영역의 밖으로 나왔을 때에는, 서버에서는 이 건설 기계가 도난되었다고 판정하여, 통신 네트워크망을 구성하는 모든 단말기 및 모든 휴대 단말기에 그 취지의 통지를 행한다(요약 발췌).」가 개시되어 있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03-27530호 공보
서비스 리포트는, 단순히 건설 기계의 가동 상황의 보고뿐만 아니라, 고객에 대한 메인터넌스나 수리의 제안, 예방 보전의 제안 등에도 사용된다. 따라서, 기초가 되는 데이터의 정밀도, 품질은 중요하다. 특히, 실제로 현지에 가서 건설 기계를 점검하고, 그 결과를 정리한 점검 리포트는, 제안형 서비스의 설득력을 높이기 위한 중요한 근거가 된다.
그러나 점검 리포트의 바탕이 되는 데이터는, 서비스맨이 현지에 가서 수집하기 때문에, 서비스맨의 역량이나 경험에 의존하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데이터에 기초하여 작성되는 점검 리포트에 대해서도, 반드시 일정 품질을 확보할 수는 없었다.
본 발명은, 상기 사정에 비추어 이루어진 것으로, 서비스맨의 역량이나 경험에 의존하지 않고, 또한 작성 공정수를 증대시키는 일 없이 점검을 지원하고, 안정된 품질의 점검 리포트의 작성을 지원하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카메라와 디스플레이를 갖고, 점검 리포트에 게재할 건설 기계의 화상 데이터를 취득하는, 건설 기계의 점검 지원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화상 데이터로서 촬영하는 촬영 대상의 구도를 나타내는 가이던스 화상을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시키는 가이던스 표시부와, 상기 카메라의 피사체상을 화상 데이터로서 취득하는 촬영부와, 취득한 상기 화상 데이터를, 상기 점검 리포트를 관리하는 관리 서버로 송신하는 송신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 기계의 점검 지원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서비스맨의 역량이나 경험에 의존하지 않고, 또한 작성 공정수를 증대시키는 일 없이, 안정된 품질의 점검 리포트를 작성할 수 있다. 상기 이외의 과제, 구성 및 효과는, 이하의 실시 형태의 설명에 의해 밝혀진다.
도 1은 제1 실시 형태의 관리 시스템의 전체도이다.
도 2는 제1 실시 형태의 유압 셔블의 외관도이다.
도 3의 (a)는 제1 실시 형태의 휴대 단말기의 하드웨어 구성도이고, (b) 및 (c)는 제1 실시 형태의 휴대 단말기의 외관도이고, (d)는 제1 실시 형태의 관리 서버의 하드웨어 구성도이다.
도 4는 제1 실시 형태의 관리 서버와 휴대 단말기의 기능 블록도이다.
도 5의 (a) 내지 (d)는 각각, 제1 실시 형태의 가동 정보, 차체 정보, 고객 데이터, 메인터넌스 정보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6의 (a) 내지 (c)는 각각, 제1 실시 형태의 촬영 대상 데이터베이스, 점검 종별 데이터베이스, 제2 실시 형태의 제2 점검 종별 데이터베이스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7은 제1 실시 형태의 가이던스 데이터베이스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8의 (a) 및 (b)는 각각, 제1 실시 형태의 초기 가이던스 화면 및 가이던스 화면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9는 제1 실시 형태의 점검 리포트 작성 처리의 흐름도이다.
도 10은 제1 실시 형태의 가이던스 데이터 작성 처리의 흐름도이다.
도 11은 제1 실시 형태의 점검 리포트 작성 시의, 가이던스 화면의 천이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12는 제1 실시 형태의 점검 리포트 예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13은 제1 실시 형태의 변형예 2의 점검 리포트 예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14는 제2 실시 형태의 관리 서버와 휴대 단말기의 기능 블록도이다.
도 15는 제2 실시 형태의 점검 리포트 처리의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도면에 기초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실시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모든 도면에 있어서, 동일한 기능을 갖는 부재에는 동일 또는 관련된 부호를 붙이고, 그 반복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의 실시 형태에서는, 특별히 필요할 때 이외에는 동일 또는 마찬가지의 부분의 설명을 원칙적으로 반복하지 않는다.
또한, 이하의 각 실시 형태에서는, 건설 기계로서, 유압 셔블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그러나 대상으로 하는 건설 기계는, 유압 셔블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휠 셔블이나 그 밖의 건설 기계에도 적용할 수 있다.
<<제1 실시 형태>>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는, 건설 기계의 가동 상황을 관리하는 관리 시스템 내에서 점검 및 점검 리포트의 작성을 지원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서비스맨은, 현지에서, 휴대 단말기를 사용하여, 점검 리포트 작성을 위한 데이터를 수집한다. 이때, 빠짐없이 필요한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도록, 데이터 수집을 지원하는 가이던스 화면을 당해 휴대 단말기에 표시한다. 가이던스 화면에는, 필수적인 화상 데이터의 구도, 필수적인 코멘트의 유형 등이 포함된다.
[관리 시스템]
먼저, 본 실시 형태의 점검 리포트 작성 시스템을 갖는 관리 시스템(100)의 개략을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의 관리 시스템(100)은, 유압 셔블(200) 등의 관리 대상인 건설 기계로부터 매일 송신되는 가동 정보나, 서비스맨이 취득하는 데이터를 관리하여, 점검 리포트의 작성이나, 메인터넌스나 수리의 제안, 예방 보전의 제안 등을 정리한 서비스 리포트의 작성 등을 행한다.
도 1은, 본 실시 형태의 관리 시스템(100)의 개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실시 형태의 관리 시스템(100)에 있어서는, 1대 이상의 유압 셔블(200)을 관리한다.
본 실시 형태의 관리 시스템(100)은, 관리 서버(300)와, 휴대 단말기(400)와, 고객 정보 처리 장치(고객 PC)(500)를 구비한다. 관리 서버(300)와, 휴대 단말기(400)와, 고객 PC(500)는, 예를 들어 공중 회선망 등의 네트워크(101)를 통해 접속된다. 또한, 휴대 단말기(400)는, 도시하지 않은 무선국이나 접속 기기 등을 통해, 네트워크(101)에 접속된다.
[유압 셔블]
관리 대상인 유압 셔블(200)은, 각 부의 상태를 상태 데이터로서 검출하는 센서와, 센서로 검출한 상태 데이터를, 관리 서버(300)로 송신하는 컨트롤러를 구비한다. 각 센서로 검출한 상태 데이터는, 예를 들어 통신 위성(111), 기지국(110) 및 네트워크(101)를 통해 관리 서버(300)로 송신된다.
여기서, 본 실시 형태의 관리 대상인 유압 셔블(200)을 설명한다. 도 2는, 본 실시 형태의 유압 셔블의 외관도이다.
유압 셔블(200)은, 유압 셔블을 주행시키는 하부 주행대를 갖는 하부 차체(201)와, 하부 차체(201)에 선회 가능하게 설치된 상부 선회체(202)와, 운전실(203)과, 상부 선회체(202)의 전방부에 상하 요동 가능하게 설치된 작업 프론트(207)와, 각 부를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구비한다.
작업 프론트(207)는, 상부 선회체(202)에 대해 상하 요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붐(210)과, 붐(210)의 선단에 상하 요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암(211)과, 암(211)의 선단에 상하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버킷(212)과, 각각을 구동시키는 유압 실린더인 붐 실린더(213)와, 암 실린더(214)와, 버킷 실린더(215)를 구비한다.
또한, 유압 셔블(200)에는, 각 부의 상태를 검출하는 각종 센서(220)군이 설치된다. 설치되는 센서(220)에는, 예를 들어 경사 센서, 압력 센서, 유온 센서, 키 센서, 회전수 센서 등이 있다.
경사 센서는, 예를 들어 작업 프론트(207)의 자세를 검출한다. 또한, 압력 센서는, 예를 들어 상부 선회체(202)의 선회 조작량, 주행 조작량, 유압 구동 회로 내의 펌프의 토출압 등을 검출한다. 유온 센서는, 유압 구동 회로 내의 작동유의 온도인 유온을 검출한다. 키 센서는, 엔진의 시동, 정지 스위치의 ON/OFF를 검출한다. 회전수 센서는, 엔진의 크랭크축의 회전수를 검출한다.
각 센서에 의해 검출된 검출값은, 컨트롤러를 통해, 상태 데이터(가동 정보)로서, 관리 서버(300)로 송신된다.
[휴대 단말기]
휴대 단말기(400)는, 서비스맨(401)이 점검 시에 휴대하고, 유압 셔블(200)의, 미리 정한 점검 개소의 촬영을 행하여, 관리 서버(300)로 송신한다. 이하, 본 명세서에서는, 유압 셔블(200)의 전체 상도 포함하여, 점검을 위해 촬영하는 부위를 촬영 대상이라고 칭한다. 도 3의 (a)는 휴대 단말기(400)의 하드웨어 구성도이고, 도 3의 (b)는 휴대 단말기(400)의 외관 표면도의, 도 3의 (c)는 휴대 단말기(400)의 외관 배면(이면)도의, 각각의 일례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휴대 단말기(400)는, CPU(411)와, 메모리(412)와, 기억 장치(413)와, 통신 인터페이스(I/F)(415)를 구비하는 정보 처리 장치이다. 또한, 촬영 수단으로서, 카메라(416)를 구비한다. 또한, 위치 정보 취득 수단으로서, GPS 안테나(417)를 구비한다. 또한, 유저 인터페이스로서, 처리 결과 등을 표시하고, 지시를 접수하는 디스플레이(414)를 구비한다. 또한, 휴대 단말기(400)는, 통화 기능 등을 더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후술하는 휴대 단말기(400)의 각 기능은, 기억 장치(413)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CPU(411)가 메모리(412)에 로드하여 실행함으로써 실현된다. 또한, 후술하는 데이터 유지부가 유지하는 데이터 등, 기능을 실현하는 데 있어서 필요한 각종 데이터, 처리 중에 생성되는 데이터는, 기억 장치(413) 등에 저장된다.
또한, 도 3의 (b) 및 도 3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414)는, 예를 들어 카메라(416)의 렌즈(418)와는 반대측의 면에 설치되고, 카메라(416)로 촬영하는 피사체상을 눈으로 보아 확인하는 전자 뷰파인더 기능도 겸한다. 또한, 카메라(416)의 렌즈(418)는, 디스플레이(414)와 동일한 면에도 더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관리 서버]
본 실시 형태의 관리 서버(300)는, 각 유압 셔블(200)로부터 송신되는 상태 데이터를 가동 정보로서 관리하고, 필요에 따라서 리포트를 작성하여, 고객 PC(500)로 송신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휴대 단말기(400)로부터 송신되는 화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점검 리포트를 작성하여, 고객 PC(500)로 송신한다.
이것을 실현하는 관리 서버(300)의 하드웨어 구성을 도 3의 (d)에 도시한다. 도 3의 (d)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관리 서버(300)는, CPU(311)와, 메모리(312)와, 기억 장치(313)와, 입출력 인터페이스(I/F)(314)와, 통신 I/F(315)를 구비하는 정보 처리 장치이다.
후술하는 관리 서버(300)의 각 기능은, 기억 장치(313)에 미리 유지되는 프로그램을, CPU(311)가 메모리(312)에 로드하여 실행함으로써 실현된다. 후술하는 데이터 유지부가 유지하는 데이터 등, 기능을 실현하는 데 있어서 필요한 각종 데이터, 처리 중에 생성되는 데이터는, 기억 장치(313) 등에 저장된다. 각 기능은, 미리 정한 타이밍, 혹은 입출력 I/F(314)를 통한 유저로부터의 지시에 의해 실행된다. 또한, 통신 I/F(315)를 통해, 외부 장치와 데이터의 송수신을 행한다.
[관리 서버·휴대 단말기]
다음으로, 관리 시스템(100) 중, 점검 리포트 작성 부분에 관한 관리 서버(300)와 휴대 단말기(400)의 기능을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휴대 단말기(400)는, 점검 리포트 작성용 정보를 취득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점검 어플리케이션)을 미리 인스톨하고, 점검 어플리케이션과 함께 제공된 가이던스 데이터에 따라서, 필요한 정보를 취득하는 점검 지원 시스템을 실현한다. 그리고 취득한 정보를, 점검 데이터로서 관리 서버(300)로 송신(업로드)한다. 그리고 정보를 수취한 관리 서버(300)는, 수취한 점검 데이터를 사용하여 점검 리포트를 작성한다.
이것들을 실현하는 관리 서버(300) 및 휴대 단말기(400)에 대해 설명한다. 도 4는, 관리 서버(300) 및 휴대 단말기(400)의 상기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기능 블록도이다.
관리 서버(300)는, 송수신부(320)와, 데이터 수집부(330)와, 점검 리포트 작성부(340)와, 가동 정보 관리부(350)와, 데이터 유지부(370)를 구비한다.
송수신부(320)는, 네트워크(101)를 통해 외부 장치와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휴대 단말기(400)와의 사이에서 데이터의 송수신을 행한다. 또한, 각 유압 셔블(200)로부터 센서 정보를 수신하여, 후술하는 가동 정보(371)로서 데이터 유지부(370)에 유지한다. 송수신부(320)는, 통신 I/F(315)에 의해 실현된다.
데이터 수집부(330)는, 휴대 단말기(400)로부터 송신되는 점검 데이터를 수집한다.
점검 리포트 작성부(340)는, 데이터 수집부(330)가 수집한 점검 데이터에 기초하여 점검 리포트를 작성한다. 이때, 데이터 유지부(370)에 유지되는 각종 데이터를 사용한다. 데이터 유지부(370)에 유지되는 데이터의 상세는, 후술한다. 또한, 작성한 점검 리포트는, 후술하는 과거 리포트 DB에 유지함과 함께, 고객 PC(500)로 송신된다.
가동 정보 관리부(350)는, 후술하는 가동 정보를 감시하고, 미리 정한 범위 밖의 데이터가 발생한 경우, 알람 플래그를 설정한다.
한편, 휴대 단말기(400)는, 송수신부(420)와, 점검 어플리케이션 실행부(430)와, 조작부(440)와, 촬영부(450)와, 위치 정보 취득부(460)와, 데이터 유지부(470)를 구비한다.
송수신부(420)는, 네트워크(101)를 통해, 외부 장치와의 데이터의 송수신을 행한다. 송수신부(420)는, 통신 I/F(415)에 의해 실현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예를 들어 외부 서버로부터 점검 어플리케이션이나 가이던스 데이터 등을 다운로드하고, 점검 어플리케이션에 따라서 수집한 점검 데이터를 관리 서버(300)에 업로드한다. 다운로드한 점검 어플리케이션이나 가이던스 데이터 등은, 기억 장치(413) 등에 보존한다.
조작부(440)는, 휴대 단말기(400)에 대한 유저(여기서는, 서비스맨(401))의 조작을 접수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디스플레이(414)를 통해 지시를 접수한다. 조작부(440)는, 예를 들어 카메라(416)에 의한 촬영의 지시를 접수한다. 또한, 점검 어플리케이션 실행 시에 요구되는 각종 지시, 코멘트 등의 입력을 접수한다.
촬영부(450)는, 카메라(416)에 의해 피사체상(여기서는, 촬영 대상)을 촬영하여, 화상 데이터를 얻는다. 카메라(416)로 촬영하는 피사체상은, 디스플레이(414)의 전자 뷰파인더로서의 영역(파인더 영역)에 표시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서비스맨(401)으로부터 촬영의 지시를 접수하면, 그 시점에서 디스플레이(414)의 파인더 영역에 표시되는 피사체상을 화상 데이터로서 취득한다.
위치 정보 취득부(460)는, GPS 안테나(417)로 수집한 측거 위성 데이터로부터, 휴대 단말기(400)의 위치 정보를 산출한다.
점검 어플리케이션 실행부(430)는, 점검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한다. 여기서는, 인스톨한 점검 어플리케이션을 CPU(411)가 메모리(412)에 전개하여 실현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점검 어플리케이션 실행부(430)는, 기체 ID 접수부(431)와, 가이던스 표시부(432)와, 데이터 취득부(433)와, 가이던스 데이터 추출부(434)의 기능을 실현한다.
기체 ID 접수부(431)는, 점검 대상인 유압 셔블(200)의 기체를 식별하는 정보(기종 및 기체 ID)의 입력을 접수한다.
가이던스 데이터 추출부(434)는, 접수한 기종에 따라서, 또한 접수한 점검 종별에 따라서, 데이터 유지부(470)로부터 가이던스 데이터를 추출한다. 또한, 가이던스 데이터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가이던스 화상과, 코멘트 유형 등을 구비한다. 또한, 이때, 가이던스 데이터는, 당해 점검 종별의 점검의, 점검 리포트를 작성하기 위해 필요한 전체 화상 데이터만큼 추출된다.
가이던스 표시부(432)는, 카메라(416)를 기동하여, 디스플레이(414)에 후술하는 가이던스 화면을 표시한다. 또한, 가이던스 데이터 추출부(434)가 추출한 가이던스 화상을, 가이던스 화면이 구비하는 가이던스 화상 표시 영역에, 1매씩, 차례로 표시한다. 이때, 가이던스 화상 표시 영역에, 가이던스 화상과, 카메라(416)에 의한 피사체상을 합성하여 표시한다. 가이던스 화면의 상세는, 후술한다.
데이터 취득부(433)는, 서비스맨(401)으로부터 촬영의 지시를 접수하면, 그 시점에서 디스플레이(414)에 표시되는 피사체상을 화상 데이터로서 일시 보존한다. 예를 들어, 촬영부(450)에 지시를 내려, 화상 데이터로서 취득시키고, 그 화상 데이터를 일시 보존한다. 또한, 서비스맨(401)으로부터 코멘트의 입력을 접수하면, 그 시점에서 가이던스 화상 표시 영역에 표시되는 화상 데이터에 대응지어 일시 보존한다. 이것들의 보존 장소는, 예를 들어 기억 장치(413) 등으로 한다.
또한, 데이터 취득부(433)는, 화상 데이터를 관리 서버(300)로 송신하기 전에, 그 적합 여부를 판별한다. 또한, 여기서의 판별은, 화상 데이터의 유무 뿐이어도 되고, 간이한 품질 체크여도 된다. 간이한 품질 체크는, 예를 들어 화상 해석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취득한 화상 데이터와 가이던스 화상 사이에서 화상 매칭 처리를 실행하여, 소정 이상의 일치도를 나타낸 경우, 적합하다고 판별한다. 화상 매칭 처리로 일치도를 판별하는 것은, 예를 들어 촬영 방향, 촬영 사이즈, 콘트라스트 등이다.
[데이터 유지부]
여기서, 관리 서버(300)의 데이터 유지부(370) 및 휴대 단말기(400)의 데이터 유지부(470)에 유지되는 데이터를 설명한다. 관리 서버(300)의 데이터 유지부(370)에는, 가동 정보(371)와, 차체 관리 정보(372)와, 리포트 데이터(381)와, 과거 리포트 데이터베이스(과거 리포트 DB)(382)가 유지된다. 또한, 휴대 단말기(400)의 데이터 유지부(470)에는, 가이던스 데이터베이스(가이던스 DB)(473)와, 점검 데이터베이스(점검 DB)(474)가 유지된다.
가동 정보(371)는, 유압 셔블(200)로부터 송신되는 상태 데이터이다. 가동 정보(371)는, 기체마다, 송신 타이밍마다 레코드가 작성되어, 유지된다. 각 레코드에는, 예를 들어 도 5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압 셔블(200)을 특정하는 기체 ID(371a) 및 상태 데이터의 송신 시각(371b)마다 상태 데이터(371c)가 등록된다. 등록되는 상태 데이터(371c)는, 예를 들어 파일럿압, 펌프압, 작동유 온도, 엔진 회전수, 아워 미터 등이다.
차체 관리 정보(372)는, 차체 정보(375)와, 고객 데이터(376)와, 메인터넌스 정보(377)를 구비한다.
차체 정보(375)는, 관리 시스템(100)에서 관리하는 각 유압 셔블(200)의 차체에 관한 정보이다. 차체 정보(375)의 각 레코드에는, 도 5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기종(375a), 형식(375b), 호기 번호(375c), 기체 ID(375d) 등의 정보가 등록된다. 기체 ID(375d)는, 상술한 바와 같이 각 유압 셔블(200)의 식별 번호이며, 차체마다 일의적으로 설정된다. 차체 정보(375)의 레코드는, 예를 들어 기체 ID(375d)마다 작성된다.
고객 데이터(376)는, 고객 고유의 정보이다. 고객 데이터(376)의 각 레코드에는, 예를 들어 도 5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객을 특정하는 고객 ID(376a)와, 고객명(376b)과, 사용 기체 ID(376c), 업종(376d) 등이 등록된다. 사용 기체 ID(376c)는, 당해 고객이 사용하고 있는 기체를 식별하는 정보이며, 차체 정보(375)의 기체 ID(375d)가 등록된다.
메인터넌스 정보(377)는, 각 차체의 수리 이력이다. 메인터넌스 정보(377)의 각 레코드에는, 예를 들어 도 5의 (d)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체 ID(377a)마다, 수리 일시(377b), 수리 개소(377c) 및 수리 내용(377d)이 등록된다.
점검 DB(474)는, 점검 리포트에 게재할 촬영 대상을 특정하는 정보(촬영 대상명)를 등록하는 촬영 대상 데이터베이스(DB)(478)와, 부위나 가동 정보마다의 점검 종별이 등록되는 점검 종별 DB(479)를 구비한다.
촬영 대상 DB(478)는, 도 6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압 셔블의 기종(478a)마다, 점검 종별(478b)마다의, 촬영 대상명(478c)이 등록되는 데이터베이스이다. 촬영 대상명(478c)은, 촬영 대상의 화상을 취득하는 순으로 등록되어 있어도 된다.
점검 종별(478b)에는, 예를 들어 정기 점검, 고장 부위마다의 점검, 이상 발생 개소마다의 점검, 특별한 사양의 기종에 대한 점검, 유압 셔블(200)을 사용하는 업종에 따른 점검 등이 포함된다.
예를 들어, 점검 종별(478b)이 「정기 점검」인 경우, 명판, 유압 셔블(200)을 사선 앞에서 본 화상(사선 앞), 동 사선 뒤에서 본 화상(사선 뒤), 모니터, 엔진, 상부 선회체(202), 하부 주행대, 섀시, 작업 프론트(207), 예를 들어 버킷(212) 등의 어태치먼트 등이, 이 순서로 등록된다.
또한, 점검 종별(478b)이, 사양으로 특정되는 「브레이커 사양기 점검」인 경우, 촬영 대상명(478c)에는, 브레이커용 배관, 브레이커 본체(어태치먼트), 브레이커 사양 전용 부품 등이 등록된다. 또한, 점검 종별(478b)이, 사용 업종으로 특정되는 「산업 폐기물기 점검」인 경우, 촬영 대상명(478c)에는, 라디에이터 주위, 라디에이터 코어부 확대 등이 등록된다. 점검 종별(478b)이 「펌프 이상」인 경우, 촬영 대상명(478c)에는, 펌프 토출압을 검출하는 센서부 확대, 센서까지의 하니스 등이 등록된다. 점검 종별(478b)이 「작동유 및/또는 수온 이상」인 경우, 촬영 대상명(478c)에는, 라디에이터 주위, 라디에이터 코어부의 확대 등이 등록된다.
점검 종별 DB(479)에는, 도 6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부위나 상태 데이터(부위/상태 데이터)(479a)에 따른 점검 종별(479b)이 등록된다. 부위/상태 데이터(479a)는, 가동 정보(371)의, 알람 플래그로 설정되는 상태 데이터(371c)나, 메인터넌스 정보(377)의 수리 개소(377c)에 대응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가이던스 데이터 추출부(434)가, 추출하는 가이던스 데이터를 선택할 때에 사용된다.
가이던스 DB(473)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압 셔블(200)의 기종(473a)마다, 각 촬영 대상(촬영 대상명(473b))의 가이던스 화상(473c)과, 코멘트 유형(473d)이 등록되는 데이터베이스이다. 가이던스 화상(473c)은, 촬영 대상의 방향, 화상 내의 사이즈 등을 포함하는 촬영 구도를 특정하는 화상이다. 코멘트 유형(473d)은, 촬영 대상마다 미리 정한 입력 코멘트의 유형이다. 서비스맨(401)은, 촬영 대상의 상태를 코멘트 유형(473d)으로부터 선택함으로써, 코멘트를 입력할 수 있다. 또한, 유압 셔블(200)의 형식마다, 가이던스 화상 등을 유지해도 된다.
또한, 코멘트 유형(473d)은, 동일한 촬영 대상이라도, 점검 종별에 따라 상이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촬영 대상 DB(478)의, 각 촬영 대상명(478c)에 대응지어 등록되어도 된다.
리포트 데이터(381)에는, 점검 리포트의 폼이 저장된다. 점검 리포트의 폼은, 예를 들어 점검 종별마다 저장되어도 된다. 점검 리포트 작성부(340)는, 데이터 수집부(330)가 수집한 점검 데이터와, 점검 리포트의 폼과, 가동 정보(371)와, 차체 관리 정보(372)를 사용하여 점검 리포트를 작성한다. 점검 리포트 예는, 후술한다.
과거 리포트 DB(382)에는, 작성한 점검 리포트가 축적된다. 점검 리포트 자체와, 당해 점검 리포트를 작성하기 위해 사용한 화상 데이터, 코멘트 등이 축적된다.
[가이던스 화면]
다음으로, 점검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함으로써, 휴대 단말기(400)의 디스플레이(414)에 표시되는 가이던스 화면을 설명한다.
점검 어플리케이션 실행부(430)가 최초에 점검 어플리케이션을 기동하였을 때, 디스플레이(414)에 표시되는 초기 가이던스 화면(620)을 도 8의 (a)에 도시한다. 본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초기 가이던스 화면(620)은, 점검 종별 및 점검 대상의 기종 및 기체 ID의 입력을 접수하는 기체 ID 접수 영역(621)을 구비한다. 또한, 점검 종별은, 접수하지 않아도 된다.
기체 ID 접수부(431)는, 기체 ID 접수 영역(621)을 통해 서비스맨(401)으로부터 입력된 점검 종별, 기종 및 기체 ID를 접수한다.
또한, 기체 ID 접수 영역(621)은, 점검 종별, 기종 및 기체 ID를 특정하는 정보의 입력을, 직접 접수해도 되고, 미리 선택 가능한 기종 및 기체 ID의 리스트를 유지하여, 당해 리스트 중에서 선택시키도록 구성해도 된다.
또한, 선택 가능한 기종 및 기체 ID의 리스트는, 관리 서버(300)로부터 송신하도록 구성해도 된다. 이 경우, 관리 서버(300)측은, 예를 들어 휴대 단말기(400)로부터 위치 정보의 송신을 받고, 송신되는 기종 및 기체 ID의 리스트를 압축해도 된다. 관리 시스템(100)에서는, 각 고객의 건설 기계마다의 위치 정보를 관리하고 있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기(400)의 위치 정보를 중심으로 하여, 소정의 범위 내에 있는 건설 기계의 기종 및 기체 ID만을 추출하여, 리스트로서 휴대 단말기(400)로 송신해도 된다.
다음으로, 가이던스 표시부(432)에 의해 디스플레이(414)에 표시되는 가이던스 화면(610)을 설명한다. 도 8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이던스 화면(610)은 가이던스 화상 표시 영역(611)과, 촬영 지시 접수 영역(612)과, 가이던스 화상 정보 표시 영역(613)과, 코멘트 접수 영역(614)과, 확정 지시 접수 영역(615)을 구비한다.
가이던스 화상 표시 영역(611)은, 가이던스 화상을 표시하는 영역이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가이던스 표시부(432)는, 카메라(416)에 의한 피사체상도, 가이던스 화상 표시 영역(611)에 표시한다. 즉, 본 실시 형태에서는, 카메라(416)의 전자 뷰파인더인 파인더 영역은, 가이던스 화상 표시 영역(611)으로 설정된다. 서비스맨(401)은, 화상 데이터 취득 시, 가이던스 화상 표시 영역(611) 내에 표시되는 피사체상을 가이던스 화상에 합치시켜 촬영을 행함으로써, 필요한 구도의 화상 데이터를 용이하게 얻을 수 있다. 또한, 파인더 영역은 디스플레이(414)의 전체면에 설정되고, 가이던스 화상 표시 영역 내의 피사체상만이 절취되어, 화상 데이터로서 취득되도록 구성되어도 된다.
촬영 지시 접수 영역(612)은, 촬영 지시를 접수하는 영역이다. 본 영역을 통해 촬영 지시를 접수하면, 촬영부(450)는, 그 시점에서 가이던스 화상 표시 영역(611)에 표시되는 피사체상을 화상 데이터로서 취득한다.
가이던스 화상 정보 표시 영역(613)은, 가이던스 화상 표시 영역(611)에 표시되어 있는 가이던스 화상의 정보를 표시하는 영역이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예를 들어 촬영 대상명(473b)이 표시된다.
코멘트 접수 영역(614)은, 서비스맨(401)에 의한 코멘트의 입력을 접수한다. 코멘트는, 예를 들어 미리 준비된 코멘트 유형(473d) 중에서 선택하도록 구성해도 되고, 서비스맨(401)이 자유롭게 입력 가능하도록 구성해도 된다. 입력은, 휴대 단말기(400)의 텍스트 입력 기능을 사용하여 행한다. 또한, 코멘트 유형(473d)은, 가이던스 화상 표시 영역(611)에 표시되어 있는 가이던스 화상(473c)에 대응지어, 가이던스 데이터로서 미리 제공된다. 또한, 코멘트 유형(473d)으로부터의 선택과 직접 입력을 조합해도 된다. 예를 들어, 이상 있음을 선택한 경우만, 이상의 내용을 입력하는 것 등이다.
확정 지시 접수 영역(615)은, 화상 데이터의 취득 및 코멘트의 입력을 종료한 의사(확정 지시)를 접수하는 영역이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확정 지시 접수 영역(615)을 통해 확정 지시를 접수하면, 가이던스 표시부(432)는 먼저, 가이던스 데이터 추출부(434)가 추출한 가이던스 화상 중, 미표시 가이던스 화상의 유무를 판별한다. 그리고 미표시 가이던스 화상이 있는 경우는, 다음 가이던스 화상 및 촬영 대상명을 각각, 가이던스 화상 표시 영역(611) 및 가이던스 화상 정보 표시 영역(613)에 표시시킨다. 한편, 가이던스 데이터 추출부(434)가 추출한 모든 가이던스 화상의 표시를 종료한 경우는, 데이터 취득부(433)에 일단 보존한 후, 취득한 모든 화상 데이터 등을 점검 데이터로서, 송수신부(420)를 통해 관리 서버(300)로 송신시킨다.
[점검 지원 처리의 흐름]
다음으로, 본 실시 형태의 휴대 단말기(400)에 의한 점검 지원 처리의 흐름을 설명한다. 도 9는, 본 실시 형태의 점검 지원 처리의 흐름도이다. 본 실시 형태의 점검 지원 처리는, 서비스맨(401)이 휴대 단말기(400)를 휴대하고, 점검 대상의 유압 셔블(200) 근방에 도착하여, 휴대 단말기(400)의 초기 가이던스 화면(620)에 점검 종별과 기체 ID 등을 입력하는 것을 계기로 개시된다.
기체 ID 접수부(431)를 통해 점검 종별과 기체 ID 등의 입력을 접수하면, 가이던스 데이터 추출부(434)는, 가이던스 데이터를 추출한다(스텝 S1101). 가이던스 데이터 추출 처리의 상세는, 후술한다.
가이던스 표시부(432)는, 가이던스 화면(610)의 가이던스 화상 표시 영역(611)에, 가이던스 화상을 1매 표시한다(스텝 S1102). 이때, 가이던스 표시부(432)는, 카메라(416)를 기동하여, 가이던스 화상 표시 영역(611)에 피사체상을 표시시킨다.
데이터 취득부(433)는, 서비스맨(401)으로부터 촬영 지시를 접수하면, 촬영부(450)에 촬영시켜, 화상 데이터를 취득한다(스텝 S1103). 여기서 취득되는 화상 데이터는, 가이던스 화상 표시 영역(611)에 표시되어 있는 피사체상이다.
그리고 데이터 취득부(433)는, 확정 지시를 접수하면, 취득한 화상 데이터를 기억 장치(413) 등에 일시 보존한다. 이때, 화상 데이터는, 가이던스 화상 표시 영역(611)에 표시되는 가이던스 화상의 촬영 부위명에 대응지어 보존된다. 또한, 데이터 취득부(433)는, 코멘트가 입력된 경우, 코멘트도 아울러 촬영 부위명에 대응지어 보존한다.
데이터 취득부(433)는, 다음 가이던스 화상의 유무를 판별하고(스텝 S1104), 다음 가이던스 화상이 있는 경우는, 스텝 S1102로 되돌아가, 처리를 반복한다.
한편, 다음 가이던스 화상이 없는 경우, 즉, 모든 화상의 촬영을 종료한 경우는(스텝 S1104), 데이터 취득부(433)는, 상술한 방법으로, 취득한 각 화상 데이터의 적합 여부를 판별한다(스텝 S1105).
모두 적합하다고 판별된 경우(스텝 S1106), 데이터 취득부(433)는, 보존되어 있는 모든 화상 데이터 및 코멘트를, 점검 데이터로서 관리 서버(300)로 송신한다(스텝 S1107). 또한, 관리 서버(300)측에서는, 화상 데이터 및 코멘트를 수신하면, 점검 리포트 작성부(340)는, 송신된 점검 데이터를 사용하여 점검 리포트를 작성한다.
한편, 스텝 S1106에서, 적절하지 않다고 판별된 화상 데이터가 있는 경우, 데이터 취득부(433)는, 가이던스 데이터 추출부(434)에 통지한다. 그리고 가이던스 데이터 추출부(434)는, 당해 화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가이던스 데이터를 재추출하고(스텝 S1108), 스텝 S1102로 되돌아가, 처리를 반복한다.
다음으로, 스텝 S1101의 가이던스 데이터 추출부(434)에 의한 가이던스 데이터 추출 처리의 흐름을 설명한다. 도 10은, 본 실시 형태의 가이던스 데이터 추출 처리의 처리 플로이다.
가이던스 데이터 추출부(434)는 먼저, 점검 종별의 지정 유무를 판별한다(스텝 S1201).
점검 종별이 지정되어 있는 경우, 촬영 대상 DB(478)를 참조하여, 지정된 기종(478a) 및 지정된 점검 종별(478b)에 대응지어 등록되는 하나 이상의 촬영 대상명(478c)을 추출한다(스텝 S1203).
그리고 가이던스 DB(473)를 참조하여, 추출한 각 촬영 대상명(473b)에 대응지어 등록되는 가이던스 화상(473c) 및 코멘트 유형(473d)을 추출하고(스텝 S1204), 처리를 종료한다.
한편, 스텝 S1201에 있어서, 점검 종별이 지정되어 있지 않은 경우, 먼저, 중점 점검 개소가 있는지 여부를 판별한다(스텝 S1211). 여기서는, 가이던스 데이터 추출부(434)는, 관리 서버(300)의 가동 정보(371)에 액세스하여, 이상 데이터가 발생한 상태 데이터가 있는지 여부를 판별한다. 예를 들어, 가동 정보 관리부(350)가 알람 플래그를 설정하고 있는 상태 데이터(371c)가 있으면, 그 상태 데이터(371c)를 중점 점검 개소로서 추출한다. 또한, 메인터넌스 정보(377)에 액세스하여, 수리 이력으로서 등록된 수리 개소(377c)가 있는지 여부를 판별한다. 메인터넌스 정보(377)에 수리 이력이 있으면, 수리 개소(377c)를 중점 점검 개소로서 추출한다. 또한, 여기서, 추출하는 중점 점검 개소는 1개소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스텝 S1211에 있어서, 중점 점검 개소가 있다고 판별되어, 중점 점검 개소가 추출된 경우, 점검 종별 DB(479)를 참조하여, 해당되는 부위/상태 데이터(479a)(중점 점검 개소)에 대응지어 등록되는 점검 종별(479b)을 특정한다(스텝 S1212). 또한, 여기서 특정되는 점검 종별은, 하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점검 종별(479b)을 특정 후, 스텝 S1203으로 이행한다. S1203 및 S1204의 처리는, 특정된 점검 종별만큼 반복한다.
한편, 스텝 S1211에 있어서, 중점 점검 개소가 없다고 판별된 경우, 점검 종별을 정기 점검으로 하고(스텝 S1213), 스텝 S1203으로 이행한다.
다음으로, 점검 지원 처리의 스텝 S1103에서 디스플레이(414)에 표시되는 가이던스 화면(610)의, 처리 루프마다의 변화(천이) 상태를 도 11에 도시한다.
여기서는, 점검 종별을 정기 점검으로 하고, 명판(631), 차체의 사선 전방(632), 차체의 사선 후방(633), 모니터(아워 미터)(634), 엔진(635), 상부 선회체(636), 하부 주행대(637), 섀시(638), 작업 프론트(639), 어태치먼트(640)의 순으로, 화상 데이터를 취득하는 경우를 예시한다.
이 경우, 상술한 각 가이던스 화상이, 상기 순으로 설정되어 가이던스 데이터로서 휴대 단말기(400)로 송신된다. 그리고,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차례로 가이던스 화상 표시 영역(611)에 표시된다.
서비스맨(401)은, 새로운 가이던스 화상이 표시될 때마다, 가이던스 화상 표시 영역(611)에 표시되는 가이던스 화상과, 피사체상을 맞추어 촬영을 행한다. 또한, 코멘트를 입력한다. 그 후, 확정 지시 접수 영역(615)을 통해 촬영 종료의 지시를 입력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하여 취득된 점검 데이터(화상 데이터 및 코멘트)를 사용하여, 점검 리포트 작성부(340)에 의해 작성되는 점검 리포트(700)의 예를 도 12에 도시한다.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점검 리포트(700)는, 차체 정보 영역(710)과, 본체 영역(720)을 구비한다. 본체 영역(720)에는, 화상 데이터 영역(721)과, 코멘트 영역(722)이 화상 데이터마다 마련된다.
점검 리포트 작성부(340)는, 차체 정보 영역(710)을, 차체 관리 정보(372)로부터 필요한 정보를 취득하여, 작성한다.
또한, 점검 리포트 작성부(340)는, 화상 데이터 영역(721)에는, 데이터 수집부(330)에 의해 수집되고, 보존된 점검 데이터의 화상 데이터를 첨부한다. 또한, 이때, 화상 사이즈, 해상도 등을 적절하게 가공하여 표시해도 된다. 코멘트 영역(722)에는, 화상 데이터와 함께 송신된 코멘트 및 촬영 부위명을 삽입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서비스맨(401)이 휴대하는 휴대 단말기(400)의, 카메라(416)의 파인더를 겸하는 디스플레이(414)에, 촬영 대상의 촬영 구도를 나타내는 가이던스 화상이 표시된다. 이 때문에, 서비스맨(401)은, 표시되는 가이던스 화상에 피사체상을 맞추어 촬영하는 것만으로, 원하는 구도의 화상 데이터를 얻을 수 있다.
또한, 가이던스 화상은, 점검 리포트의 작성에 필요한 모든 화상분 추출되어, 표시된다. 디스플레이(414)에는, 화상 데이터를 1매 취득할 때마다, 다음 가이던스 화상이 표시된다. 이 때문에, 서비스맨(401)은, 가이던스에 따라서, 각 가이던스 화상에 합치하는 화상 데이터를 취득하는 것만으로, 점검 리포트의 작성에 필요한 모든 화상 데이터를 얻을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가이던스에 따라서 촬영하는 것만으로, 점검 리포트 작성에 필요한 화상을, 의도한 구도로, 빠짐없이 취득할 수 있다. 즉,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점검 리포트 작성에 필요한 화상 데이터의 수집을 적절하게 지원할 수 있어, 본 실시 형태의 관리 시스템(100)은, 서비스맨(401)의 역량이나 경험에 의존하지 않고, 안정된 품질의 화상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상기 방법으로 수집한 화상 데이터를 사용하여 점검 리포트를 작성한다. 이 때문에, 서비스맨의 역량이나 경험에 의존하지 않고, 안정된 품질의 점검 리포트를 용이하게 작성할 수 있다.
<변형예>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휴대 단말기(400)는, 전체 촬영 대상의 화상 데이터를 일괄하여 휴대 단말기(400)로부터 송신한다. 그러나 이 방법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취득한 화상 데이터를 1매씩 관리 서버(300)로 송신해도 된다. 이 경우, 휴대 단말기(400)는 화상 데이터를 취득할 때마다, 적합 여부를 확인한다.
<변형예 2>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점검 리포트(700)를, 송신된 점검 데이터(화상 데이터 및 코멘트)만을 사용하여 작성하고 있다. 그러나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과거의 동일 기체의 점검 리포트의 내용을 다시 사용해도 된다.
이 경우, 점검 리포트 작성부(340)는, 최신의 점검 데이터와, 과거 리포트 DB(382)에 유지되는, 동일한 촬영 대상의 점검 데이터(화상 데이터 및 코멘트)를 사용하여, 점검 리포트를 작성한다.
예를 들어, 도 13에 도시한 점검 리포트(700a)와 같이, 동일한 촬영 대상에 대해, 전회의 점검 리포트 작성 시의 점검 데이터와, 금회의 송신된 점검 데이터를 병렬로 표기한다.
이에 의해, 점검 부위인 각 촬영 대상의, 시간적인 변화를 파악 가능한 점검 리포트를 작성할 수 있다.
<<제2 실시 형태>>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제1 실시 형태에서는, 휴대 단말기(400)에 있어서, 취득한 화상 데이터가 원하는 품질인지 여부만을 판별하고 있다. 그러나 본 실시 형태에서는, 관리 서버(300)에 있어서, 송신된 화상 데이터를 해석하여, 새로운 점검의 필요 여부를 판별한다. 그리고 새로운 점검이 필요하다고 판별된 경우, 그 취지를 휴대 단말기(400)에 통지한다. 이하, 본 실시 형태에 대해, 제1 실시 형태와 상이한 구성에 주안점을 두고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의 관리 서버(300)는, 제1 실시 형태의 구성 외에도,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데이터 수집부(330)가 점검 결과 해석부(335)를 더 구비한다. 또한, 데이터 유지부(370)는, 도 6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해석 결과(380a)마다, 점검이 필요한 경우의 점검 종별(380b)을 저장하는 제2 점검 종별 DB(380)를 더 구비한다.
점검 결과 해석부(335)는, 휴대 단말기(400)로 취득되어, 송신된 점검 데이터를 해석한다. 예를 들어, 기존의 화상 해석 소프트웨어 등을 사용하여 화상 데이터를 해석하고, 촬영 대상의 손상의 유무, 변형 등의 유무, 파손의 유무 등을 판별한다.
점검 결과 해석부(335)는 또한, 해석 결과에 따라서, 새로운 점검의 필요 여부를 판별한다. 판별은, 해석 결과가, 제2 점검 종별 DB(380)의 해석 결과(380a)에 등록되어 있는지 여부에 의해 행한다. 즉, 점검 결과 해석부(335)는, 해석 결과가 등록되어 있는 경우는, 새로운 점검이 필요하다고 판별한다. 그리고 새로운 종별의 점검이 필요하다고 판별한 경우, 제2 점검 종별 DB(380)를 참조하여 필요한 점검 종별(380b)을 특정하고, 휴대 단말기(400)에 통지한다.
또한, 휴대 단말기(400)에서는, 점검 결과 해석부(335)로부터 점검 종별의 통지를 접수하면, 가이던스 데이터 추출부(434)는 촬영 대상 DB(478)와, 가이던스 DB(473)를 참조하여, 당해 점검 종별(478b)에 대응지어 등록되는 가이던스 데이터를 추출한다.
이 경우의 점검 지원 처리의 흐름을, 도 15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의 점검 지원 처리는, 스텝 S1107의 점검 데이터의 송신까지는,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이다.
스텝 S1107에서, 점검 데이터를 송신한 후, 소정의 시간 내에, 관리 서버(300)로부터 새로운 점검 종별을 수신한 경우(스텝 S2101), 스텝 S1101로 되돌아가, 가이던스 데이터 추출부(434)는, 당해 점검 종별에 대응하는 가이던스 데이터를 추출하고, 다시 처리를 반복한다. 또한, 가이던스 데이터의 추출 방법은,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이다.
한편, 스텝 S2101에서, 소정의 시간 내에, 관리 서버(300)로부터 새로운 점검 종별을 수신하지 않는 경우, 점검 어플리케이션 실행부(430)는 그대로 처리를 종료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제1 실시 형태 마찬가지로, 점검 리포트 작성에 필요한 화상 데이터의 수집을 적절하게 지원할 수 있어, 서비스맨(401)의 역량이나 경험에 의존하지 않고, 안정된 품질의 점검 리포트를 작성할 수 있다.
또한, 점검 결과에 따라서, 자동적으로 추가 점검의 유무를 판정하여, 필요한 경우는, 재점검을 행하도록 휴대 단말기(400)에 통지한다. 이 때문에, 한 번 현장에 가면, 필요한 점검을 모두 커버할 수 있다. 즉, 서비스맨(401)은, 몇 번이나 현장에 직접 갈 필요가 없다. 이 때문에,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안정된 품질의 점검 리포트를 효율적으로 작성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도, 가이던스 화상을 1매씩 송신하도록 구성해도 된다. 또한, 작성하는 점검 리포트도, 과거의 점검 리포트의 점검 데이터를 병기하는 것이어도 된다.
<변형예>
상기 각 실시 형태에서는, 점검 대상의 기종 및 기체 ID에 대해, 서비스맨(401)이 입력하도록 구성하고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상술한 바와 같이 명판 등, 기종 및 기체 ID를 특정 가능한 촬영 부위를 촬영하고, 그 촬영 결과를 해석하여, 식별해도 된다.
또한, 각 기체가 기종 및 기체 ID를 등록한 IC 칩을 구비하는 경우, 예를 들어 휴대 단말기(400)가,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등에 의해 통신을 행하여, 당해 IC 칩 내의 기종 및 기체 ID를 판독함으로써, 기종 및 기체 ID를 취득해도 된다.
또한, 상기 각 실시 형태에서는, 서비스맨(401)은, 가이던스 화상으로서 미리 준비되는 구도만, 화상 데이터를 취득하고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 이외의 촬영 대상의 화상 데이터도 취득 가능하도록 구성해도 된다. 또한, 가이던스 화상을 표시하여 화상 데이터를 취득하는 모드와, 표시하지 않고 취득하는 모드를 선택 가능하도록 구성해도 된다.
가이던스 화상 이외의 구도의 화상 데이터를 취득한 경우, 서비스맨(401)은, 취득한 화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촬영 대상명을 입력한다. 데이터 취득부(433)는, 송수신부(420)를 통해 화상 데이터와 함께 입력된 촬영 대상명을 관리 서버(300)로 송신한다. 또한, 가이던스 화상 이외의 구도의 화상 데이터를 취득한 경우, 점검 어플리케이션 실행부(430)는, 당해 화상 데이터와 촬영 대상명을, 새로운 가이던스 화상으로서, 가이던스 DB(473)나, 촬영 대상 DB(478)에 등록한다. 또한, 등록은, 서비스맨(401)이 등록 필요하다고 판별한 경우만 행하도록 구성해도 된다.
또한, 상기 각 실시 형태에서는, 가이던스 DB(473)나 점검 DB(474)에 유지하는 데이터를, 점검 어플리케이션과 함께, 미리 휴대 단말기(400)에 제공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지만, 이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이들 데이터는, 관리 서버(300)가 유지하고, 휴대 단말기(400)로부터의 요구에 따라서 제공하도록 구성해도 된다.
100 : 관리 시스템
101 : 네트워크
110 : 기지국
111 : 통신 위성
200 : 유압 셔블
201 : 하부 차체
202 : 상부 선회체
203 : 운전실
207 : 작업 프론트
210 : 붐
211 : 암
212 : 버킷
213 : 붐 실린더
214 : 암 실린더
215 : 버킷 실린더
220 : 센서
300 : 관리 서버
311 : CPU
312 : 메모리
313 : 기억 장치
314 : 입출력 I/F
315 : 통신 I/F
320 : 송수신부
330 : 데이터 수집부
335 : 점검 결과 해석부
340 : 점검 리포트 작성부
350 : 가동 정보 관리부
370 : 데이터 유지부
371 : 가동 정보
371a : 기체 ID
371b : 송신 시각
371c : 상태 데이터
372 : 차체 관리 정보
374 : 점검 DB
375 : 차체 정보
375a : 기종
375b : 형식
375c : 호기 번호
375d : 기체 ID
376 : 고객 데이터
376a : 고객 ID
376b : 고객명
376c : 사용 기체 ID
376d : 업종
377 : 메인터넌스 정보
377a : 기체 ID
377b : 수리 일시
377c : 수리 개소
377d : 수리 내용
380 : 제2 점검 종별 DB
380a : 해석 결과
380b : 점검 종별
381 : 리포트 데이터
382 : 과거 리포트 DB
400 : 휴대 단말기
401 : 서비스맨
411 : CPU
412 : 메모리
413 : 기억 장치
414 : 디스플레이
415 : 통신 I/F
416 : 카메라
417 : GPS 안테나
418 : 렌즈
420 : 송수신부
430 : 점검 어플리케이션 실행부
431 : 기체 ID 접수부
432 : 가이던스 표시부
433 : 데이터 취득부
434 : 가이던스 데이터 추출부
440 : 조작부
450 : 촬영부
460 : 위치 정보 취득부
470 : 데이터 유지부
473 : 가이던스 DB
473a : 기종
473b : 촬영 대상명
473c : 가이던스 화상
473d : 코멘트 유형
478 : 촬영 대상 DB
478a : 기종
478b : 점검 종별
478c : 촬영 대상명
479 : 점검 종별 DB
479a : 부위/상태 데이터
479b : 점검 종별
500 : 고객 PC
610 : 가이던스 화면
611 : 가이던스 화상 표시 영역
612 : 촬영 지시 접수 영역
613 : 가이던스 화상 정보 표시 영역
614 : 코멘트 접수 영역
615 : 확정 지시 접수 영역
620 : 초기 가이던스 화면
621 : 기체 ID 접수 영역
631 : 명판
632 : 사선 앞
633 : 사선 뒤
634 : 모니터
635 : 엔진
636 : 상부 선회체
637 : 하부 주행대
638 : 섀시
639 : 작업 프론트
640 : 어태치먼트
700 : 점검 리포트
700a : 점검 리포트
710 : 차체 정보 영역
720 : 본체 영역
721 : 화상 데이터 영역
722 : 코멘트 영역

Claims (5)

  1. 카메라와 디스플레이를 갖고, 점검 리포트에 게재할 건설 기계의 피사체상을 화상 데이터로서 취득하는, 건설 기계의 점검 지원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화상 데이터로서 촬영하기 위해 상기 피사체상을 표시함과 동시에, 촬영 대상으로 되는 상기 피사체상의 방향, 화상 내의 사이즈를 포함하는 촬영 구도를 나타내는 가이던스 화상을 표시하는 가이던스 화상 표시 영역과, 상기 가이던스 화상 표시 영역에 표시되어 있는 상기 가이던스 화상의 정보를 표시하는 가이던스 화상 정보 표시 영역과, 코멘트를 입력하는 코멘트 접수 영역과, 상기 가이던스 화상 표시 영역에 표시되는 상기 피사체상을 상기 화상 데이터로서 취득하는 촬영 지시를 접수하는 촬영 지시 접수 영역을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시키는 가이던스 표시부와,
    상기 가이던스 표시부의 촬영 지시 접수 영역을 통한 촬영 지시에 의해 상기 가이던스 화상 표시 영역에 표시된 상기 피사체상을 화상 데이터로서 취득하는 촬영부와,
    취득한 상기 화상 데이터를, 상기 점검 리포트를 관리하는 관리 서버로 송신하는 송신부와,
    상기 건설 기계의 기체 식별 정보의 지정을 접수하는 기체 식별 정보 접수부와,
    상기 건설 기계의 상기 기체 식별 정보로 특정되는 기종마다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상기 가이던스 화상을 유지하는 데이터 유지부와,
    상기 기체 식별 정보 접수부에서 접수한 상기 기체 식별 정보로 특정되는 기종에 대응지어 상기 데이터 유지부에 유지되는 상기 가이던스 화상을 추출하는 가이던스 데이터 추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데이터 유지부는 또한, 상기 건설 기계의 점검 종별마다 상기 가이던스 화상을 특정하는 정보, 상기 건설 기계의 가동 정보, 차체 관리 정보 및 상기 점검 종별마다의 촬영 대상을 유지하고,
    상기 가이던스 데이터 추출부는, 상기 데이터 유지부가 유지하는 건설 기계의 가동 정보 및 차체 관리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건설 기계의 상기 점검 종별을 특정하고, 특정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데이터 유지부로부터 상기 점검 종별마다 대응하는 상기 가이던스 화상을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 기계의 점검 지원 시스템.
  2. 카메라와 디스플레이를 갖는 휴대 단말기에서, 촬영 대상의 방향, 화상 내의 사이즈를 포함하는 촬영 구도를 나타내는 가이던스 화상과 피사체상을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하여, 촬영한 상기 피사체상의 화상 데이터를 사용하여, 건설 기계의 점검 리포트를 작성하는 관리 서버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기로부터 송신되는 상기 화상 데이터를 해석하여, 추가 점검 필요 여부를 판별하고, 점검 필요하다고 판별한 경우, 당해 점검에서 필요한 점검 종별을 특정하고, 이 특정된 상기 점검 종별마다 대응하는 가이던스 화상을 특정하여, 상기 휴대 단말기에 통지하는 점검 결과 해석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리 서버.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건설 기계의 과거의 점검 리포트를 유지하는 과거 리포트 데이터베이스와,
    상기 휴대 단말기로부터 송신된 최신의 화상 데이터와, 상기 과거 리포트 데이터베이스에 유지되는 과거의 동일한 촬영 대상의 화상 데이터를 사용하여, 상기 점검 리포트를 작성하는 점검 리포트 작성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리 서버.
  4. 카메라와 디스플레이를 갖는 휴대 단말기와, 상기 휴대 단말기로 취득한 화상을 사용하여 건설 기계의 점검 리포트를 작성하는 관리 서버를 갖는 건설 기계의 점검 리포트 작성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기는,
    화상 데이터로서 촬영하기 위한 피사체상을 표시함과 동시에, 상기 피사체상의 방향, 화상 내의 사이즈를 포함하는 촬영 구도를 나타내는 가이던스 화상을 표시하는 가이던스 화상 표시 영역과, 상기 가이던스 화상 표시 영역에 표시되어 있는 상기 가이던스 화상의 정보를 표시하는 가이던스 화상 정보 표시 영역과, 코멘트를 입력하는 코멘트 접수 영역과, 상기 가이던스 화상 표시 영역에 표시되는 상기 피사체상을 상기 화상 데이터로서 취득하는 촬영 지시를 접수하는 촬영 지시 접수 영역을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시키는 가이던스 표시부와,
    상기 가이던스 표시부의 촬영 지시 접수 영역을 통한 촬영 지시에 의해 상기 가이던스 화상 표시 영역에 표시된 상기 피사체상을 상기 화상 데이터로서 취득하는 촬영부와,
    취득한 상기 화상 데이터를, 상기 점검 리포트를 관리하는 관리 서버로 송신하는 송신부와,
    상기 건설 기계의 기체 식별 정보의 지정을 접수하는 기체 식별 정보 접수부와,
    상기 건설 기계의 상기 기체 식별 정보로 특정되는 기종마다 및 점검 종별마다, 상기 건설 기계의 촬영 대상이며 상기 점검 리포트에 게재할 상기 화상 데이터의 촬영 대상의 상기 촬영 구도를 나타내는 상기 가이던스 화상을 유지하는 데이터 유지부와,
    상기 기체 식별 정보 접수부에서 지정된 상기 기체 식별 정보로 특정되는 기종에 대응지어 상기 데이터 유지부에 유지되는 상기 가이던스 화상을 추출하는 가이던스 데이터 추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휴대 단말기로부터 송신되는 상기 화상 데이터를 해석하여, 추가 점검 필요 여부를 판별하고, 점검 필요하다고 판별한 경우, 당해 점검의 점검 종별을 특정하여, 상기 휴대 단말기로 송신하는 점검 결과 해석부를 구비하고,
    상기 휴대 단말기의 상기 가이던스 데이터 추출부는, 상기 관리 서버로부터 상기 점검 종별이 송신되면, 당해 점검 종별에 대응지어 상기 데이터 유지부에 유지되는 상기 가이던스 화상을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 기계의 점검 리포트 작성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건설 기계의 과거의 점검 리포트를 유지하는 과거 리포트 데이터베이스와,
    상기 휴대 단말기로부터 송신된 최신의 화상 데이터와, 상기 과거 리포트 데이터베이스에 유지되는 과거의 동일한 촬영 대상의 화상 데이터를 사용하여, 상기 점검 리포트를 작성하는 점검 리포트 작성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 기계의 점검 리포트 작성 시스템.
KR1020217000429A 2017-09-29 2017-09-29 건설 기계의 점검 지원 시스템, 관리 서버 및 점검 리포트 작성 시스템 KR10223793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7/035716 WO2019064581A1 (ja) 2017-09-29 2017-09-29 建設機械の点検支援システム、管理サーバおよび点検レポート作成システム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03772A Division KR20190045160A (ko) 2017-09-29 2017-09-29 건설 기계의 점검 지원 시스템, 관리 서버 및 점검 리포트 작성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6018A true KR20210006018A (ko) 2021-01-15
KR102237932B1 KR102237932B1 (ko) 2021-04-08

Family

ID=65902327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03772A KR20190045160A (ko) 2017-09-29 2017-09-29 건설 기계의 점검 지원 시스템, 관리 서버 및 점검 리포트 작성 시스템
KR1020217000429A KR102237932B1 (ko) 2017-09-29 2017-09-29 건설 기계의 점검 지원 시스템, 관리 서버 및 점검 리포트 작성 시스템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03772A KR20190045160A (ko) 2017-09-29 2017-09-29 건설 기계의 점검 지원 시스템, 관리 서버 및 점검 리포트 작성 시스템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640425B2 (ko)
EP (1) EP3690764A4 (ko)
JP (1) JP6825079B2 (ko)
KR (2) KR20190045160A (ko)
CN (2) CN117522378A (ko)
WO (1) WO201906458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494470B2 (ja) * 2020-01-10 2024-06-04 コベルコ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の点検システム
US11354943B2 (en) 2020-02-28 2022-06-07 Zonar Systems, Inc. Asset map view, dwell time, pre-populate defects, and visual-inspection guidanc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27530A (ja) 2001-07-23 2003-01-29 Hitachi Constr Mach Co Ltd 建設機械の管理システム
JP2015124514A (ja) * 2013-12-26 2015-07-06 株式会社安藤・間 車両系建設機械インターロックシステム
JP2016053531A (ja) * 2014-09-04 2016-04-14 東日本旅客鉄道株式会社 車両検査システム
WO2016137016A1 (ja) * 2016-03-28 2016-09-01 株式会社小松製作所 評価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163233A1 (en) * 2000-05-04 2003-08-28 Jin-Ho Song Automatic vehicle management apparatus and method using wire and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US20040054600A1 (en) * 2000-08-01 2004-03-18 Chikashi Shike Rental system
JP2003002176A (ja) * 2001-06-20 2003-01-08 Mitsubishi Electric Corp 自動車点検システム
JP4264955B2 (ja) * 2005-07-11 2009-05-20 株式会社Jm 認証画像付き報告書作成システム
CA2619083A1 (en) * 2007-01-26 2008-07-26 Service Repair Solutions, Inc. Smart inspections
JP2011170540A (ja) * 2010-02-17 2011-09-01 Fujifilm Corp 検査システム及び方法、管理サーバ、携帯端末、プログラム、並びに記憶媒体
US20120185260A1 (en) * 2011-01-18 2012-07-19 Francis Perez System and method for inspecting equipment and estimating refurbishment costs thereof
US9298351B2 (en) * 2011-08-03 2016-03-29 Olympus Corporation Inspection image display apparatus, inspection image display method and storage medium
US20130262497A1 (en) * 2012-04-02 2013-10-03 Caterpillar Inc. Inspection Tool
US8510196B1 (en) * 2012-08-16 2013-08-13 Allstate Insurance Company Feedback loop in mobile damage assessment and claims processing
US20140316998A1 (en) * 2013-03-15 2014-10-23 RPM Industries, LLC Machine inspection tool with service report synchronization
US9723251B2 (en) * 2013-04-23 2017-08-01 Jaacob I. SLOTKY Technique for image acquisition and management
US10089396B2 (en) * 2014-07-30 2018-10-02 NthGen Software Inc. System and method of a dynamic interface for capturing vehicle data
US10304260B2 (en) 2015-10-26 2019-05-28 Verizon Patent And Licensing, Inc. Automated vehicle identification and inspection data processing system
US10713488B2 (en) * 2015-11-10 2020-07-14 Nec Corporation Inspection spot output apparatus, control method, and storage medium
CN106408491B (zh) * 2016-02-04 2020-06-05 苏州易信安工业技术有限公司 一种监控方法、装置及系统
US10692050B2 (en) * 2016-04-06 2020-06-23 American International Group, Inc. Automatic assessment of damage and repair costs in vehicles
CA2936854A1 (en) * 2016-07-22 2018-01-22 Edmond Helstab Methods and systems for assessing and managing asset condition
WO2018104794A1 (en) * 2016-12-07 2018-06-14 Abb Schweiz Ag System and method for handling and charting data obtained by an inspection vehicle
AU2018250622B2 (en) * 2017-04-12 2020-07-16 Roadtec, Inc. System for tracking operating time for conveyor of working machin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27530A (ja) 2001-07-23 2003-01-29 Hitachi Constr Mach Co Ltd 建設機械の管理システム
JP2015124514A (ja) * 2013-12-26 2015-07-06 株式会社安藤・間 車両系建設機械インターロックシステム
JP2016053531A (ja) * 2014-09-04 2016-04-14 東日本旅客鉄道株式会社 車両検査システム
WO2016137016A1 (ja) * 2016-03-28 2016-09-01 株式会社小松製作所 評価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37932B1 (ko) 2021-04-08
US20200142923A1 (en) 2020-05-07
US11640425B2 (en) 2023-05-02
WO2019064581A1 (ja) 2019-04-04
EP3690764A4 (en) 2021-01-27
KR20190045160A (ko) 2019-05-02
CN109863514A (zh) 2019-06-07
JP6825079B2 (ja) 2021-02-03
EP3690764A1 (en) 2020-08-05
CN109863514B (zh) 2024-04-02
CN117522378A (zh) 2024-02-06
JPWO2019064581A1 (ja) 2019-1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020986B2 (ja) 対象物特定システム、対象物特定サーバ及び対象物特定端末
JP5557718B2 (ja) 配管施工管理システム、携帯端末及び施工情報管理サーバ
KR101614013B1 (ko) 쇼벨, 그 감시장치 및 쇼벨의 출력장치
KR101439282B1 (ko) 정착대를 이용한 스마트폰 결합형 구조물 균열 측정장치
JP6946527B2 (ja) 建設機械の点検支援システム
KR20160019514A (ko) 차량에 야기된 손상의 식별 방법 및 시스템
EP1391837A1 (en) Managing device and managing system for construction machinery
CN109426869B (zh) 工程机械的消耗品维护日程信息调整服务器及方法
JP6017013B2 (ja) ショベル支援装置及びショベル支援方法
KR102237932B1 (ko) 건설 기계의 점검 지원 시스템, 관리 서버 및 점검 리포트 작성 시스템
AU2017242392B2 (en) Terminal device, control device, data-integrating device, work vehicle, image-capturing system, and image-capturing method
KR101944816B1 (ko) 굴삭 작업 검측 자동화 시스템
KR101725760B1 (ko) 차량 블랙박스를 이용한 교통법규위반 신고 시스템 및 그 방법
JP5170108B2 (ja) 苦情情報管理システム、苦情情報管理方法、プログラム及び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US9843493B2 (en) Test-software-supported measuring system and measuring method
JP7269785B2 (ja) 監視システム、監視方法および監視プログラム
JP6929162B2 (ja) 観測設定管理システム及び観測設定管理方法
KR101944817B1 (ko)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굴삭 작업 검측 자동화 시스템
KR102666424B1 (ko) 드론을 이용한 건물 외벽 진단 시스템
KR102109691B1 (ko) 건설기계 인디케이터 모니터링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모니터링 방법
JP2019065467A (ja) 杭位置検査装置及び杭位置検査方法
JP6557427B2 (ja) 投写型表示装置、投写型表示装置の作動方法、投写型表示装置の作動プログラム
CN115691056A (zh) 地震黑箱期的信息速报系统、方法和相关设备
CN114731388A (zh) 作业支援服务器、作业支援方法以及作业支援系统
JP2005105682A (ja) トンネルデータ管理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