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33386B1 - 유실예방용 시설물 안전점검 시스템 - Google Patents

유실예방용 시설물 안전점검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33386B1
KR102133386B1 KR1020190088290A KR20190088290A KR102133386B1 KR 102133386 B1 KR102133386 B1 KR 102133386B1 KR 1020190088290 A KR1020190088290 A KR 1020190088290A KR 20190088290 A KR20190088290 A KR 20190088290A KR 102133386 B1 KR102133386 B1 KR 1021333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cility
information
component
inspector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82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학기
박정훈
Original Assignee
(주)바인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바인테크 filed Critical (주)바인테크
Priority to KR10201900882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3338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33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33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9/00Measuring inclination, e.g. by clinometers, by levels
    • G01C9/02Detai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5/00Investigating the elasticity of structures, e.g. deflection of bridges or air-craft wings
    • G01M5/0033Investigating the elasticity of structures, e.g. deflection of bridges or air-craft wings by determining damage, crack or wea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7/00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 waves, e.g. lidar systems
    • G01S17/02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f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 waves
    • G01S17/06Systems determining position data of a target
    • G01S17/46Indirect determination of position data
    • G01S17/48Active triangulation systems, i.e. using the transmission and reflection of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 wav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4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camera module assemb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522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Remote Sens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설물에서 처짐과 같은 변위 발생 시 이를 실시간으로 인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시설물이 위치하는 곳의 외부환경에 따른 센서의 불량을 판별하는 유실예방용 시설물 안전점검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시설물과; 검사자 진입확인 안내신호가 수신되면, 이를 중계전송하는 검사자단말과; 상기 검사자단말을 소지한 검사자가 소지하는 것으로, 상기 검사자단말을 식별하는데 이용되는 검사자단말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단말식별신호를 전송하는 검사자 태그와; 상기 시설물 쪽으로 진입하는 부근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검사자 태그로부터 단말식별신호를 전송받고, 그 전송된 단말식별신호에 포함된 정보 중 검사자단말 식별정보를 참조하여 검사자임을 인지하고, 상기 검사자단말 식별정보 및 상기 시설물을 식별하는 시설물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검사자 진입확인 안내신호를 상기 검사자단말로 전송하는 검사자 식별용 스캐너와; 상기 시설물을 이루는 각 구성 부위에 부착되는 것으로, 각 구성 부위의 경사각도를 감지하여 시설물 구성부위별 경사각 정보를 생성하고, 이를 전송하는 경사계용 센서와; 상기 검사자단말로부터 중계전송되는 검사자 진입확인 안내신호를 참조하여, 해당 시설물에 존재하는 손상영역의 위치를 안내하는 시설물 손상영역 위치안내신호를 상기 검사자단말로 전송되도록 제어하는 시설물 안전관리서버;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유실예방용 시설물 안전점검 시스템{Safety inspection system for facilities to prevent leakage}
본 발명은 시설물에서 처짐과 같은 변위 발생 시 이를 실시간으로 인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시설물이 위치하는 곳의 외부환경에 따른 센서의 불량을 판별함으로써, 정확한 시설물의 변형 여부를 감지할 수 있게 안내하여 주는 유실예방용 시설물 안전점검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삼풍 백화점 및 성수 대교 붕괴 이후 우리나라에서는 주요 시설물에 대한 주기적 점검 및 진단을 통한 안전 관리를 관련 법령에 의하여 의무화하여 시행하고 있다.
즉, 1995년 제정된 "시설물의 안전 관리에 관한 특별법"에 근거하여 일정 규모 이상의 1종 및 2종 시설물을 대상으로 정기 점검과, 정밀 점검, 및 정밀 안전 진단이 관련 전문가에 의하여 주기적으로 수행되고 있다.
여기서, 1종시설물은 500m 이상 교량, 1000m 이상 터널, 다목적댐, 5만톤급 이상 갑문시설, 21층 이상 건축물 등 대형·특수시설물로서 공중의 이용 편의와 안전을 도모하기 위하여 특별히 관리할 필요가 있고 고도의 기술이 필요하다고 인정하여 시설물안전관리특별법령이 정하는 시설물이고, 2종시설물은 1종시설물 외에 100m 이상 교량, 터널, 항만, 댐, 16층 이상의 건축물, 5,000㎡ 이상의 다중이용 건축물 등 시설물안전관리특별법령이 정하는 시설물이다.
이와 더불어, "재난 및 안전관리 기본법" 및 소방 방재청의 "특정 관리 대상 시설 지정/ 관리 지침"에 의하여 상기 1종 및 2종 시설물에 해당하지 않는 시설(3종 시설물) 중 특정 관리 대상 시설을 지정하여 책임 주체(중앙 및 지방 자치 단체, 재난 관리 책임 기관, 시설주)들에 의한 주기적인 안전 점검이 수행되고 있다.
특히, 안전 관리 업무 수행과 점검 및 진단 결과에 대한 사후 관리는 육안 점검을 통해 이루어진다.
이러한 육안검사는 시설물의 파손 및 외관 상태 등의 확인이 주목적이며, 이를 통해, 크랙이 발생하거나 부식과 같은 시설물의 파손 내지 부식과 같은 손상이 관측된 경우 서면상에 스케치 또는 문장으로 기록하고, 그 기록된 정보를 재차 전산화하여 해당 시설물의 손상평가 및 상대평가 등급의 산정 자료로 활용하고 있다.
그런데, 시설물의 손상평가 및 상대평가를 위한 자료로서, 활용되는 종래의 육안검사는 해당 시설물의 손상된 부분을 검사자가 스케치나 문장으로 기록하기 때문에 부정확하고, 수기로 기록된 시물 관련자료를 재차 전산화하는 작업에 걸리는 시간도 많이 소요되고 있다.
이에, 육안검사를 수행하는 검사자가 스마트폰과 같은 무선인터넷 서비스가 가능한 전용단말을 이용하여 해당 부분을 촬영하여 무선 전송할 경우에도 손상된 해당 시설물 부분의 위치가 어디인지 확인할 수가 없을 뿐만 아니라 정밀한 영상을 확보키 위해서는 해당 영상정보의 용량이 10메가바이트 정도의 대용량으로 전송되어야 하기 때문에 무선전송에 과부하가 걸리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은 본 출원인에 의해 특허등록된 시설물 안전점검 시스템(특허문헌 1 참조)에 의해 해소되었다.
종래의 시설물 안전점검 시스템은 검사자가 방문한 시설물의 안전 점검 중 손상된 시설물의 영상정보를 전송 시 시설물의 손상된 구성부분의 위치관련 정보도 자동으로 인지하여 함께 전송할 뿐만 아니라 시설물에서 손상이 발생한 영역의 영상정보만 캡쳐해서 전송함으로써, 시설물의 손상된 위치를 명확하게 안내하여 시설물 손상평가 및 상대평가 시 정확한 정확한 진단을 가능하게 하고, 적은 용량의 영상정보만으로도 고해상도를 갖는 영상정보의 전송이 가능케 하여 무선전송 시 과부하의 위험성도 제거시켜주는 이점을 제공하고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은, 이점에도 불구하고, 종래의 시설물 안전점검 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2010년 기준으로, 국토 해양부에서 집계한 우리나라의 건축물은 대략 6.676.518개이며 이 중에서 1. 2종을 제외한 건축물이 대략 6.635.887개로서 전체 건축물 중 99.4%를 차지하고 있다.
이에 따라, 1. 2종을 제외한 시설물은 행정구역별로 최소 수백 개 정도로, 다수의 검사자들이 행정구역별로 구분관리되는 수백 개의 시설물들을 분담하여 시설물 안전 검사를 수행해야 하기 때문에, 해당 검사는 검사지역의 이동 경로를 따라 분포된 시설물들을 순차적으로 검사해야 하는데, 이때 검사하는 시설물들은 다른 검사자들이 검사했던 시설물들이 많아 해당 시설물들에 존재하는 훼손영역을 사전에 인지할 수 없어 검사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시설물 안전점검 시스템은 시설물을 통해 주행하는 차량 등에 의해 처짐과 같은 변위 발생 시 이를 실시간으로 인지하여 관리하는 수단은 제공하지 못하는 문제점도 있다.
또한, 종래의 시설물 안전점검 시스템은 시설물을 안전 검사하는 검사자는 시설물 검사 이후 예측되는 폭염, 혹한, 태풍, 폭설과 같은 극도의 기상환경으로 인해 시설물에 야기된 훼손영역이 보수까지 필요로 하는 지경으로 커질 수가 있는데, 이를 예측할 수 없어 자신이 관리하고 있는 시설물에서 야기될 수 있는 사고 발생을 예방하기 어려운 문제점도 있다.
KR 10-1909212 B1
본 발명은 상기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검사자가 시설물의 안전 검사를 위해 시설물에 방문 시 해당 검사자의 신원을 인식하여, 해당 검사자에게 해당 시설물에 존재하는 훼손영역의 위치를 자동으로 안내하여 주는 유실감지용 시설물 안전점검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시설물에서 처짐과 같은 변위 발생 시 이를 실시간으로 인지하여 관리하는 수단이 구비된 유실감지용 시설물 안전점검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월 단위 이상으로 예측 가능한 기상예보를 바탕으로 시설물에 존재하는 손상영역의 훼손비례 정도를 분석하여 보수가 필요하다고 판단된 경우 해당 시설물에 존재하는 손상영역의 보수를 요청하는 신호를 해당 검사자에게 통보함으로써, 검사자가 관리하는 시설물에서 사고발생의 위험성을 최소화시켜주는 유실감지용 시설물 안전점검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사상으로 본 발명의 유실예방용 시설물 안전점검 시스템은, 시설물과; 상기 시설물의 안전 점검을 위해 필요한 정보를 안내하는 시설물용 안전관리 앱이 탑재된 것으로, 검사자 진입확인 안내신호가 수신되면, 이를 중계전송하는 검사자단말과; 상기 검사자단말을 소지한 검사자가 소지하는 것으로, 상기 검사자단말을 식별하는데 이용되는 검사자단말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단말식별신호를 전송하는 검사자 태그와; 상기 시설물 쪽으로 진입하는 부근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검사자 태그로부터 단말식별신호를 전송받고, 그 전송된 단말식별신호에 포함된 정보 중 검사자단말 식별정보를 참조하여 검사자임을 인지하고, 상기 검사자단말 식별정보 및 상기 시설물을 식별하는 시설물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검사자 진입확인 안내신호를 상기 검사자단말로 전송하는 검사자 식별용 스캐너와; 상기 시설물을 이루는 각 구성 부위에 부착되는 것으로, 각 구성 부위의 경사각도를 감지하여 시설물 구성부위별 경사각 정보를 생성하고, 이를 전송하는 경사계용 센서와; 상기 검사자단말로부터 중계전송되는 검사자 진입확인 안내신호를 참조하여, 해당 시설물에 존재하는 손상영역의 위치를 안내하는 시설물 손상영역 위치안내신호를 상기 검사자단말로 전송되도록 제어하는 시설물 안전관리서버;로 이루어진다.
상기 시설물에는, 각 구성 부위마다 부착되는 것으로, 각 구성 부위를 식별하는 구성부위별 식별자 표시영역 및 실측 길이를 연산할 수 있게 기설정된 길이로 표시되는 실측길이 연산용 기준길이영역이 인쇄되고, 상기 검사자단말에는, 해당 검사자단말의 기울기를 감지하는 센서부; 및 카메라;를 포함하며, 검사자단말의 시설물용 안전관리 앱은, 시설물의 구성부위의 촬영요청에 따라 상기 카메라로부터 생성되는 정보인, 상기 구성부위별 식별자 표시영역 및 상기 실측길이 연산용 표시영역을 포함하는 요청 시설물 구성부위 촬영이미지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센서부에서 감지한 정보로서, 그 요청 시설물 구성부위 촬영이미지정보가 획득되는 시점의 해당 검사자단말의 기울기를 나타내는 촬영시점 시설물 구성부위별 단말기울기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요청 시설물 구성부위 촬영이미지정보 및 상기 촬영시점 시설물 구성부위별 단말기울기정보를 포함하는 시설물 구성부위별 실측 기울기 신호를 생성하며, 이를 상기 시설물 안전관리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시설물 안전관리서버에는, DB부; 및 보수 관리엔진;을 포함하며, 상기 DB부에는, 시설물을 이루는 각 구성 부위에 부착된 경사계용 센서로부터 전송된 시설물 구성부위별 경사각 정보가 시설물의 구성 부위별로 구분되어 누적저장되는 시설물 구성부위별 센서측 경사각 정보 DB; 및 시설물을 이루는 각 구성 부위를 촬영한 검사자단말에서 촬영한 정보인 요청 시설물 구성부위 촬영이미지정보 및 촬영시점 시설물 구성부위별 단말기울기정보가 시설물을 이루는 구성 부위별로 누적저장되는 시설물 구성부위별 단말측 기울기정보 DB;를 포함하고, 상기 보수 관리엔진은, 경사계용 센서로부터 상기 시설물 구성부위별 경사각 정보를 수신하고, 검사자단말로부터 상기 시설물 구성부위별 실측 기울기 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시설물 구성부위별 실측 기울기 신호에 포함된 요청 시설물 구성부위 촬영이미지정보 및 촬영시점 시설물 구성부위별 단말기울기정보를 토대로 연산된 촬영된 해당 시설물 구성부위의 실제 기울기인 시설물 구성부위별 실측 기울기정보와 상기 시설물 구성부위별 경사각 정보를 대비하여 시설물 구성부위별 실측 기울기를 기준으로 시설물 구성부위별 경사각의 오차범위 이내인 실측기준 경사각 허용오차범위를 벗어난 경우, 해당 경사계용 센서의 점검을 안내하는 메시지를 포함하는 시설물 구성부위별 센서검측 안내신호를 생성하고, 이를 상기 검사자단말로 전송되도록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유실예방용 시설물 안전점검 시스템을 이용하여 시설물의 상판을 포함하는 각종 구성물의 유실을 예방하기 위해 필요한 안전점검 및 진단을 수행하는 과정은, 안전점검을 위해 시설물에 진입하는 검사자가 소지한 검사자 태그에서, 기설정된 주기마다 검사자단말을 식별하는데 이용되는 검사자단말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단말식별신호를 전송하는 단계와; 검사자 식별용 스캐너에서, 상기 검사자 태그로부터 단말식별신호를 전송받고, 그 전송된 단말식별신호에 포함된 정보 중 검사자단말 식별정보를 참조하여 검사자임을 인지하며, 상기 검사자단말 식별정보 및 상기 시설물을 식별하는 시설물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검사자 진입확인 안내신호를 상기 검사자단말로 전송하는 단계와; 검사자단말의 시설물용 안전관리 앱에서, 전송되는 상기 검사자 진입확인 안내신호를 시설물 안전관리서버로 중계전송하는 단계와; 시설물 안전관리서버에서, 중계전송되는 상기 검사자 진입확인 안내신호를 참조하여, 해당 시설물에 존재하는 손상영역의 위치를 안내하는 시설물 손상영역 위치안내신호를 상기 검사자단말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시설물을 이루는 각 구성 부위에 부착된 경사계용 센서에서, 해당 구성 부위의 경사각도를 감지하여 시설물 구성부위별 경사각 정보를 생성하고, 이를 시설물 안전관리서버로 전송하는 단계와; 시설물 안전관리서버에서, 상기 시설물 구성부위별 경사각 정보가 수신되면, 보수 관리엔진을 운영하여, 상기 시설물 구성부위별 경사각 정보가 시설물의 기울기 정도가 안전하다고 판단된 기울기인 기준 시설물 안전 기울기 구간에서 벗어나는지 확인하는 단계와; 시설물 안전관리서버의 보수 관리엔진에서, 상기 시설물 구성부위별 경사각 정보가 기준 시설물 안전 기울기 구간에서 벗어난 경우 해당 시설물의 구성부위의 촬영을 요청하는 시설물 구성부위 촬영요청신호를 생성하고, 이를 상기 검사자단말로 전송하는 단계와; 검사자단말의 시설물용 안전관리 앱에서, 상기 시설물 구성부위 촬영요청신호가 수신됨에 따라 카메라로부터 생성되는 정보인 시설물에 표시된 구성부위별 식별자 표시영역 및 실측길이 연산용 표시영역을 포함하는 요청 시설물 구성부위 촬영이미지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요청 시설물 구성부위 촬영이미지정보가 획득되는 시점의 해당 검사자단말의 기울기를 나타내는 촬영시점 시설물 구성부위별 단말기울기정보를 센서부에서 획득하며, 상기 요청 시설물 구성부위 촬영이미지정보 및 상기 촬영시점 시설물 구성부위별 단말기울기정보를 포함하는 시설물 구성부위별 실측 기울기 신호를 생성하고, 이를 상기 시설물 안전관리서버로 전송하는 단계와; 시설물 안전관리서버의 보수 관리엔진에서, 상기 시설물 구성부위별 실측 기울기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시설물 구성부위별 실측 기울기 신호에 포함된 요청 시설물 구성부위 촬영이미지정보 및 촬영시점 시설물 구성부위별 단말기울기정보를 토대로 연산된 촬영된 해당 시설물 구성부위의 실제 기울기인 시설물 구성부위별 실측 기울기정보와 상기 시설물 구성부위별 경사각 정보를 대비하여 시설물 구성부위별 실측 기울기를 기준으로 시설물 구성부위별 경사각의 오차범위 이내인 실측기준 경사각 허용오차범위를 벗어나는지 확인하는 단계와; 시설물 안전관리서버의 보수 관리엔진에서, 시설물 구성부위별 실측 기울기정보와 상기 시설물 구성부위별 경사각 정보를 대비하여 시설물 구성부위별 실측 기울기를 기준으로 시설물 구성부위별 경사각의 오차범위 이내인 실측기준 경사각 허용오차범위를 벗어난 경우, 해당 경사계용 센서의 점검을 안내하는 메시지를 포함하는 시설물 구성부위별 센서검측 안내신호를 생성하고, 이를 상기 검사자단말로 전송하는 단계와; 시설물 안전관리서버의 보수 관리엔진에서, 시설물 구성부위별 실측 기울기정보와 상기 시설물 구성부위별 경사각 정보를 대비하여 시설물 구성부위별 실측 기울기를 기준으로 시설물 구성부위별 경사각의 오차범위 이내인 실측기준 경사각 허용오차범위를 벗어나지 않은 경우, 해당 시설물의 구성부위의 안전 점검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포함하는 시설물 구성부위별 안전점검 요청신호를 생성하고, 이를 상기 검사자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검사자가 시설물의 검사를 위해 시설물에 방문 시 해당 검사자의 신원을 실시간으로 인식한 상태에서, 해당 검사자에게 해당 시설물에 존재하는 훼손영역의 위치를 자동으로 안내하여, 시설물에 존재하는 훼손영역의 안전 검사를 해당 검사자가 신속하게 시설물의 안전검사를 수행할 수 있게 제공함으로써, 검사시간을 단축시켜 주는 효과를 발휘한다.
또한, 본 발명은 시설물에서 처짐과 같은 변위 발생 시 이를 실시간으로 인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시설물이 위치하는 곳의 외부환경에 따른 센서의 불량을 판별함으로써, 정확한 시설물의 변형 여부를 감지할 수 있게 안내하여 주는 효과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월 단위 이상으로 예측 가능한 기상예보를 바탕으로 시설물에 존재하는 손상영역의 훼손비례 정도를 분석하여 보수가 필요하다고 판단된 경우 해당 시설물에 존재하는 손상영역의 보수를 요청하는 신호를 해당 검사자에게 통보함으로써, 검사자가 관리하는 시설물에서 사고발생의 위험성을 추가로 최소화시켜주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유실예방용 시설물 안전점검 시스템을 나타낸 전체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유실예방용 시설물 안전점검 시스템을 통해 안전 점검을 받는 시설물의 평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유실예방용 시설물 안전점검 시스템을 이루는 구성 중 검사자단말을 나타낸 블록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유실예방용 시설물 안전점검 시스템을 이루는 구성 중 시설물 안전관리서버를 나타낸 블록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유실예방용 시설물 안전점검 시스템을 이루는 구성 중 검사자단말에 출력된 시설물 구성부위별 손상 위치 안내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유실예방용 시설물 안전점검 시스템을 이루는 구성 중 검사자단말에 출력된 시설물 구성부위별 손상 위치 안내화면 상에서 검사자가 시설물의 손상된 영역을 선정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유실예방용 시설물 안전점검 시스템을 이용하여 시설물의 상판을 포함하는 각종 구성물의 유실을 예방하기 위해 필요한 안전점검 및 진단을 수행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 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기재에 의해 정의된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소자,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소자,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함을 배제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유실예방용 시설물 안전점검 시스템은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시설물(100), 검사자단말(200), 검사자 태그(310), 검사자 식별용 스캐너(320), 경사계용 센서(330), 시설물 안전관리서버(400) 및 기상안내서버(600)로 이루어진다.
먼저, 시설물(100)은 행정구역별로 전국각지에 분포된 것으로, 시설물(100)의 각 구성 부위마다 부착되는 것으로, 각 구성 부위를 식별하는 구성부위별 식별자 표시영역(110a,110b,110c) 및 실측 길이를 연산할 수 있게 기설정된 길이로 표시되는 실측길이 연산용 기준길이영역(120a,120b,120c)이 인쇄된 부재이다.
여기서, 구성부위별 식별자 표시영역(110a,110b,110c) 및 실측길이 연산용 기준길이영역(120a,120b,120c)은 후술되는 검사자단말(200)의 시설물용 안전관리앱(201)에서 이미지 검출 프로세싱을 통해 인지되는 것으로, 구성부위별 식별자 표시영역(110a,110b,110c)은 문자, 숫자, 기호, 또는 도형으로 표시되어 시설물의 구성부위를 인지하거나 또는 실측길이 연산용 기준길이영역(120a,120b,120c) 상에서의 배치 위치를 통해서도 인지 가능하다.
또한, 실측길이 연산용 기준길이영역(120a,120b,120c)은 일정한 기준의 길이, 예를 들어, 50cm, 1m 또는 3m로 표시되고, 촬영된 영상정보를 통해 그 길이가 원근감에 의해 작게는 mm길이에서 cm길이까지 표시된 것을 기준길이와 비례율에 따라 영상정보에서의 실제 길이를 계측할 수 있게 안내하여 준다.
상기 검사자단말(200)은 시설물의 안전 점검을 위해 필요한 정보를 안내하는 시설물용 안전관리 앱(201)이 탑재된 단말부재이다.
여기서, 시설물용 안전관리 앱(201)은 응용프로그램으로서, 검사자단말(200)에 임베디드(embeded) 방식으로 탑재되거나, 검사자단말(200)의 구동시스템(OS)에 인스톨(install)하는 방식으로 탑재되어진다. 즉, 검사자가 검사자단말(200)을 통해 앱스토어 접속하여 다운로드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검사자 태그(310)는 검사자단말(200)을 소지한 검사자가 소지하는 것으로, 자신의 검사자단말(200)을 식별하는데 이용되는 검사자단말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단말식별신호를 기설정된 주기마다 전송하는 부재이다.
이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는 검사자 태그(310)는 블루투스 프로토콜 기반의 근거리 무선통신장치로 비콘모듈이나 블루투스모듈을 이용할 수 있으며, 그 오차가 센티미터 단위로 발생되기 때문에 그 위치에 대한 정확성이 매우 높은 효율을 갖는다.
한편, 본 실시예의 설명에서는 비콘모듈을 이용하여 단말식별신호를 무선으로 전송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겠지만, 이러한 단말식별신호를 무선으로 전송하는 검사자 태그(310)는 비콘모듈에 제한되지 않으며 다양한 종류의 검사자 태그(310)가 이용될 수 있다.
상기 검사자 식별용 스캐너(320)는 시설물 쪽으로 진입하는 부근에 설치되는 것으로, 검사자 태그(310)로부터 단말식별신호를 전송받고, 그 전송된 단말식별신호에 포함된 정보 중 검사자단말 식별정보를 참조하여 검사자임을 인지하고, 검사자단말 식별정보 및 시설물을 식별하는 시설물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검사자 진입확인 안내신호를 검사자단말(200)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부재로서, 검사자 태그(310)의 정보를 센싱하고, 이를 가공하여 검사자단말(200)로 전송하는 노드(node)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검사자 식별용 스캐너(320)는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시설물인 교량에 설치될 때 검사자가 이용하는 차량이 한쪽 차선에서 진입할 수 있고, 아니면 반대쪽 차선에서 진입할 수도 있기 때문에, 교량의 양측 진입로 쪽에 각각 설치하여 제공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검사자단말(200)의 시설물용 안전관리 앱(201)은 검사자 진입확인 안내신호가 수신되면, 이를 후술되는 시설물 안전관리서버(400)로 중계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경사계용 센서(330)는 시설물을 이루는 상판과 같은 각 구성의 연결 부위 쪽에 부착되는 것으로, 각 구성 부위의 경사각도를 감지하여 시설물 구성부위별 경사각 정보를 생성하고, 이를 전송하는 센싱부재이다.
이를 통해, 실시간으로 시설물의 처짐과 같은 거동을 주기적으로 감지하여 이상유무를 원격지에서도 판단할 수 있게 안내하여 주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기능을 수행하는 경사계용 센서(330)에는 기울기 센서, 가속도 센서 및 자이로 센서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져 제공될 수 있다.
한편, 검사자단말(200)은 검사자 식별용 스캐너(320) 및 시설물 안전관리서버(400) 간의 통신을 위해, 정보통신부(250)가 설치제공된다.
이를 위해, 정보통신부(250)에는 무선인터넷 통신모듈(251) 및 근거리통신모듈(252)로 구분되어진다.
먼저, 근거리통신모듈(252)은 검사자 식별용 스캐너(320)로부터 전송되는 검사자 진입확인 안내신호를 통신하는 인터페이스 기능을 수행하는 부재로서, 이러한 기능을 수행하는 근거리통신모듈(252)은 블루투스 통신, 적외선통신, 가시광통신, 인체통신 혹은 매개통신, 지그비(Zigbee) 통신, NFC(Near Field Communication)통신,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통신 등과 같이 다양한 근거리통신 방식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블루투스 통신 특히, BLE(Bluetooth Low Energy) 기술이 적용된 것으로 설명한다.
상기 무선인터넷 통신모듈(251)은 후술되는 시설물 안전관리서버(400)와 안전점검을 위해 필요한 다양한 정보를 송수신하는 통신인터페이스 기능을 수행하는 부재이다.
상기 시설물 안전관리서버(400)는 검사자단말(200)로 부터 중계전송되는 검사자 진입확인 안내신호를 참조하여, 해당 시설물에 존재하는 손상영역의 위치를 안내하는 시설물 손상영역 위치안내신호를 검사자단말(200)로 전송되도록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를 통해, 검사자단말(200)의 시설물용 안전관리 앱(201)은 전송되는 검사자 진입확인 안내신호를 출력함으로써, 시설물(100)에 존재하는 손상영역의 위치를 바로 인지할 수 있어, 안전 점검 시간을 단축시켜 주는 이점을 제공한다.
이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시설물 안전관리서버에는 DB부(410) 및 이미지 가공엔진(420)이 구비되어진다.
상기 DB부(410)에는 행정구역별로 구분되어 저장되는 것으로, 시설물 구성부위별 이미지정보의 해당 영역에 시설물 구성부위별 손상영역 캡처이미지정보, 상기 시설물 구성부위별 손상영역 캡처이미지정보의 표면좌표값인 시설물 구성부위별 손상영역 표면좌표정보 및 시설물 구성부위별 손상영역 캡처이미지정보가 중첩 가공된 시설물 구성부위별 가공 이미지정보가 저장되는 시설물 구성부위별 가공 이미지정보 DB(412)를 포함한다.
이를 통해, 이미지 가공엔진(420)은 검사자 진입확인 안내신호에 포함된 정보 중 시설물 식별정보를 참조하여, 시설물 구성부위별 가공 이미지정보 DB(412)에서 해당 시설물의 시설물 구성부위별 손상영역 캡처이미지정보와 시설물 구성부위별 손상영역 표면좌표정보를 추출하고, 그 추출된 시설물 구성부위별 손상영역 캡처이미지정보와 시설물 구성부위별 손상영역 표면좌표정보로 이루어진 시설물 손상영역 위치안내신호를 생성한다.
그리고 시설물 손상영역 위치안내신호를 전송받는 검사자단말(200)에는 정보저장부(210) 및 정보출력부(230)가 구비되어진다.
먼저 정보저장부(210)에는, 행정구역별로 구분되어 저장되는 것으로, 시설물을 이루는 각 구성 부위마다 촬영한 이미지인 시설물 구성부위별 이미지정보, 상기 시설물 구성부위별 이미지정보를 이루는 시설물의 구성부위를 표면좌표 값으로 나타낸 시설물 구성부위별 표면좌표정보 및 해당 시설물 구성부위별 이미지정보에 대응하는 각 구성부위를 식별하는 구성부위별 참조식별코드가 한 조로 저장관리된다.
이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는 정보저장부(21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정보출력부(230)는 시설물의 안전 점검을 수행하는데 필요한 다양한 정보가 출력되는 부재로서, 스피커 및 디스플레이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디스플레이부의 경우에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등 다양한 출력부재가 선택 적용되어질 수 있다.
이를 통해, 검사자단말(200)의 시설물용 안전관리 앱(201)은, 전송된 시설물 손상영역 위치안내신호에 포함된 정보 중 시설물 구성부위별 손상영역 표면좌표정보를 정보저장부(210)와 매칭하여 대응되는 해당 구성부위별 참조식별코드와 한 조로 구성된 시설물 구성부위별 이미지정보 및 시설물 구성부위별 표면좌표정보를 추출하고, 그 추출된 정보 중 시설물 구성부위별 표면좌표정보와 상기 시설물 구성부위별 손상영역 표면좌표정보를 대비하여 상기 시설물 구성부위별 손상영역 캡처이미지정보를 시설물 구성부위별 이미지정보의 동일한 영역에 중첩 가공시켜 시설물 구성부위별 가공 이미지정보로 가공한 후 이를, 정보출력부(230)를 통해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한편, 검사자가 안전 검사를 수행하는 시설물(100)의 구조가 복잡할 경우 정보출력부(230)를 통해 표시되는 시설물 구성부위별 가공 이미지정보인 시설물의 손상영역의 위치를 바로 인지하기가 어려울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유실예방용 시설물 안전점검 시스템에서는 현재 위치하는 검사자의 위치에서 시설물에 존재하는 손상영역의 위치까지 안내하여 주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시설물(100) 주변에 검사자 위치확인용 스캐너(340)들이 설치 제공되어진다.
이처럼, 제공되는 검사자 위치확인용 스캐너(340)들은 시설물(100) 내에 위치하는 검사자 태그(310)로부터 단말식별신호를 전송받고, 그 전송된 단말식별신호의 수신신호세기를 측정하며, 그 측정된 값인 위치확인용 세기측정정보를 생성하여 이를 검사자단말(200)로 전송하는 부재로서, 검사자 태그(310)의 정보를 센싱하고, 이를 가공하여 검사자단말(200)로 전송하는 노드(node)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시설물(100)에 설치되는 검사자 식별용 스캐너(320)의 개수는 시설물의 규모에 따라 적어도 2개 이상이 설치되며, 바람직 하기로는 3개 이상 설치되는 것이 좋다.
이에 따라, 검사자단말(200)의 시설물용 안전관리앱(201)은 검사자 위치확인용 스캐너(340)들로부터 전송되는 위치확인용 세기측정정보들을 토대로 삼변 측량 알고리즘을 기반으로 검사자 현재위치좌표정보를 특정하고, 그 특정된 검사자 현재위치좌표정보에서 시설물 구성부위별 손상영역 표면좌표정보를 참조하여 손상영역이 존재하는 시설물의 해당 위치까지 이동할 수 있게 안내하는 메시지정보가 정보출력부(230)를 통해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정보출력부(230)를 통해 출력되는 메시지정보는 시설물(100)에서 검사자의 현재위치와 손상영역의 위치를 표시하는 2차원 평면 이미지이거나 또는 음성으로 제공할 수 있다.
검사자는 시설물(100)에 존재하는 손상영역의 위치에 도착한 후 안전 점검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검사자단말(200)의 시설물용 안전관리 앱(201)은 시설물 안전 점검 중 확인된 손상된 시설물의 영상정보를 전송 시 시설물의 손상된 구성부분의 위치관련 정보도 자동으로 인지하여 함께 전송할 뿐만 아니라 시설물에서 손상이 발생한 영역의 영상정보만 캡처해서 전송함으로써, 시설물에 발생된 손상된 구성 위치를 명확하게 안내하여 시설물 손상평가 및 상대평가 시 정확한 진단을 가능하게 하고, 시설물 안전 점검을 위한 작업시간도 단축시켜 주며, 적은 용량의 영상정보만으로도 고해상도를 갖는 영상정보의 전송이 가능케 하여 무선전송 시 과부하의 위험성도 제거시켜 주는 기능도 수행한다.
이를 위해, 검사자단말(200)에는 카메라(220), 정보입력부(240) 및 제어부(270)가 추가로 구비되어진다.
먼저, 앞에서 언급한 정보저장부(210)에는 시설물 안전 점검 중 확인된 손상된 시설물의 영상정보를 전송 시 시설물의 손상된 구성부분의 위치관련 정보도 자동으로 인지하여 함께 전송할 뿐만 아니라 시설물에서 손상이 발생한 영역의 영상정보만 캡처해서 전송하는데 필요한 시설물용 안전관리 앱(201)과 같은 응용프로그램과, 시설물 구성부위별 손상 위치 안내화면(500)과 같은 각종 데이터가 저장되어 진다.
또한, 정보저장부(210)에는 시설물(100)을 이루는 각 구성부위가 캐드파일형태로 저장되는 것으로, 각 구성부위가 표면좌표 값으로 인지되는 시설물 구성부위별 캐드도면정보 및 해당 시설물 구성부위별 캐드도면정보에 대응되는 각 구성부위를 식별하는 구성부위별 식별코드가 한 조로 구분되어 저장되어진다.
여기서, 시설물 구성부위별 손상 위치 안내화면(500)은 시설물 안전 점검 중 확인된 손상된 시설물의 영상정보를 전송 전 시설물의 손상된 구성부분의 위치를 검사자가 인지하고, 시설물의 손상된 영역인 지정손상영역(511)을 검사자가 선정할 수 있게 안내하기 위한 화면부재로서, 이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는 시설물 구성부위별 손상 위치 안내화면(500)에는 요청 시설물 구성부위 촬영이미지정보가 출력표시되는 촬영 시설물 표시창(510) 및 시설물 구성부위별 크랍 캐드도면정보가 출력표시되는 손상위치 확인용 캐드도면 표시창(520)이 구비되어진다.
이를 통해, 검사자단말(200)의 시설물용 안전관리 앱(201)은 정보출력부(230)를 통해, 시설물 구성부위별 손상 위치 안내화면(500)이 출력되도록 제어하고, 정보입력부(240)를 통해 촬영 시설물 표시창(510)에서 지정손상영역(511)이 선정되면, 손상위치 확인용 캐드도면 표시창(520)의 동일한 영역에도 지정손상영역(511)에 대응하는 확인손상영역(521)이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검사자단말(200)의 시설물용 안전관리 앱(201)은 정보입력부(240)를 통해 손상위치 확인용 캐드도면 표시창(520)에 표시된 확인손상영역(521)의 이동이 요청되면, 그 이동요청된 영역으로 상기 확인손상영역(521)이 이동되도록 제어하는 기능도 수행한다.
상기 카메라(220)는 시설물에 인쇄된 구성부위별 식별자 표시영역(110a,110b,110c) 및 실측길이 연산용 기준길이영역(120a,120b,120c)을 포함하는 상기 시설물(100)의 구성부위의 촬영요청에 따라 요청 시설물 구성부위 촬영이미지정보를 생성하는 부재로서, 국부적인 영역도 촬영할 수 있도록 인출 및 인입이 가능한 렌즈가 탑재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해상도 또한, 적어도 1000만 화소 정도의 고해상도가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기능을 수행하는 카메라(220)는 통상적으로, 촬영된 광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카메라 센서 및 카메라 센서로부터 촬영되는 아날로그 영상신호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는 신호처리부가 구비된다.
여기서 카메라 센서는 CCD(Charge Coupled Device) 센서를 주로 사용하며, 신호처리부는 DSP(Digital Signal Processor: DSP)로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카메라 센서 및 신호처리부는 일체형으로 구현하거나 또는 분리하여 구현하는 등 다양하게 적용하여 구현할 수도 있다.
또한 카메라(220)에는 추가적으로, 카메라(220)에서 출력되는 영상신호를 표시하기 위한 화면 데이터를 발생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영상처리모듈이 탑재되며, 이러한 기능을 수행하는 영상처리모듈은 카메라(220)에서 출력되는 영상신호를 프레임 단위로 처리하며, 이러한 처리를 거친 프레임 영상데이터를 정보출력부(230)의 특성 및 크기에 맞춰 출력한다. 또한 영상처리모듈은 영상 코덱을 구비하며, 정보출력부(230)에 표시되는 프레임 영상데이터를 설정된 방식으로 압축하거나, 압축된 프레임 영상데이터를 원래의 프레임 영상데이터로 복원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정보입력부(240)는 시설물 안전 점검 중 확인된 손상된 시설물의 영상정보를 전송 시 시설물의 손상된 구성부분의 위치관련 정보도 자동으로 인지하여 함께 전송할 뿐만 아니라 시설물에서 손상이 발생한 영역의 영상정보만 캡처해서 전송하는데 필요한 다양한 정보를 입력하기 위해 필요한 감사자단말(200)의 동작 제어를 수행하는 부재이다.
이러한 정보입력부(240)에는 키패드(key pad) 돔스위치 (dome switch), 터치패드(정압/정전), 조그휠, 조그 스위치, 터치펜 등이 조합되어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270)는 감사자단말(2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부재로서, 시설물용 안전관리 앱(201)을 운영하여 요청 시설물 구성부위 촬영이미지정보에 표시된 구성부위별 식별자 표시영역(110a,110b,110c) 및 실측길이 연산용 기준길이영역(120a,120b,120c)을 이미지 프로세싱을 통해 검출하며, 그 검출된 정보 중 구성부위별 식별자 표시영역(110a,110b,110c)을 정보저장부(210)와 매칭하여, 매칭되는 구성부위별 식별코드와 한 조의 시설물 구성부위별 캐드도면정보를 추출하고, 검출된 정보 중 상기 실측길이 연산용 기준길이영역(120a,120b,120c)을 통해 요청 시설물 구성부위 촬영이미지정보에서 실측길이 연산용 기준길이영역(120a,120b,120c)의 평면위치를 인지한 상태에서 실측길이 연산용 기준길이영역(120a,120b,120c)의 기설정된 길이에 따라 시설물 구성부위별 캐드도면정보의 표면좌표 값을 참조하여 요청 시설물 구성부위 촬영이미지정보와 동일한 영역에 해당하는 부분을 시설물 구성부위별 캐드도면정보에서 자르기하여 시설물 구성부위별 크랍 캐드도면정보를 생성하며, 정보출력부(230)를 통해 요청 시설물 구성부위 촬영이미지정보를 출력하고, 그 출력된 요청 시설물 구성부위 촬영이미지정보 중 정보입력부(240)를 통해 시설물의 손상된 영역인 지정손상영역(511)이 선정되면, 그 선정된 영역만을 캡처한 시설물 구성부위별 손상영역 캡처이미지정보를 생성하며, 시설물 구성부위별 크랍 캐드도면정보를 통해 시설물 구성부위별 손상영역 캡처이미지정보의 표면좌표 값인 시설물 구성부위별 손상영역 표면좌표정보를 획득하고, 구성부위별 식별코드, 시설물 구성부위별 손상영역 캡처이미지정보 및 시설물 구성부위별 손상영역 표면좌표정보로 이루어진 시설물별 검사신호를 무선인터넷 통신모듈(251)을 통해 전송되도록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유실예방용 시설물 안전점검 시스템은 시설물 안전 점검 중 확인된 손상된 시설물의 영상정보를 전송 시 시설물의 손상된 구성부분의 위치관련 정보도 자동으로 인지하여 함께 전송할 뿐만 아니라 시설물에서 손상이 발생한 영역의 영상정보만 캡처해서 전송함으로써, 시설물에 발생된 손상된 구성 위치를 명확하게 안내하여 시설물 손상평가 및 상대평가 시 정확한 진단을 가능하게 하고, 시설물 안전 점검을 위한 작업시간도 단축시켜 주며, 적은 용량의 영상정보만으로도 고해상도를 갖는 영상정보의 전송이 가능케 하여 무선전송 시 과부하의 위험성도 제거시켜 주는 이점을 제공한다.
그리고 시설물 안전관리서버(400)는 검사자단말(200)로부터 시설물별 검사신호를 전송받고, 그 전송된 시설물별 검사신호에 포함된 정보 중 구성부위별 식별코드를 토대로 시설물의 손상된 영역 부근의 이미지를 시설물 구성부위별 손상영역 표면좌표정보를 참조하여 해당 시설물 구성부위별 이미지정보의 동일한 영역에 중첩되게 가공되도록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시설물 안전관리서버(400)의 DB부(410)에는 행정구역별로 구분되어 저장되는 것으로, 시설물을 이루는 각 구성 부위마다 촬영한 이미지인 시설물 구성부위별 이미지정보, 상기 시설물 구성부위별 이미지정보를 이루는 시설물의 구성부위를 표면좌표 값으로 나타낸 시설물 구성부위별 표면좌표정보 및 해당 시설물 구성부위별 이미지정보에 대응하는 각 구성부위를 식별하는 구성부위별 참조식별코드가 한 조로 저장되는 시설물 구성부위별 이미지정보 DB(411)가 추가로 관리되어진다.
이에 따라, 이미지 가공엔진(420)은 검사자단말(200)로부터 전송된 시설물별 검사신호에 포함된 정보 중 구성부위별 식별코드를 시설물 구성부위별 이미지정보 DB(411)와 매칭하여 매칭되는 구성부위별 참조식별코드와 한 조로 구성된 시설물 구성부위별 이미지정보 및 시설물 구성부위별 표면좌표정보를 추출하고, 그 추출된 정보 중 시설물 구성부위별 표면좌표정보와 시설물별 검사신호에 포함된 시설물 구성부위별 손상영역 표면좌표정보를 대비하여 시설물 구성부위별 손상영역 캡처이미지정보를 시설물 구성부위별 이미지정보의 동일한 영역에 중첩 가공시켜 시설물 구성부위별 가공 이미지정보로 가공한 후 이를, 시설물 구성부위별 가공 이미지정보 DB(412)에 저장되도록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한편, 본 발명의 유실예방용 시설물 안전점검 시스템에서는 교량의 상판처럼 시설물에서 처짐과 같은 변위 발생 시 이를 실시간으로 인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시설물이 위치하는 곳의 외부환경에 따른 센서부의 불량을 판별함으로써, 정확한 시설물의 변형 여부를 감지할 수 있게 안내하여 주는 이점도 제공한다.
이를 위해, 검사자단말(200)에는, 해당 검사자단말(200)의 기울기를 감지하는 센서부(260)가 구비되어진다.
이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는 센서부(260)에는 가속도 센서, 각속도 센서 또는 지자기 센서 중에서 적어도 하나가 구비되어진다.
그리고 시설물 안전관리서버(400)의 DB부(410)에는 시설물(100)을 이루는 각 구성 부위에 부착된 경사계용 센서(330)로부터 전송된 시설물 구성부위별 경사각 정보가 시설물(100)의 구성 부위별로 구분되어 누적저장되는 시설물 구성부위별 센서측 경사각 정보 DB(416) 및 시설물(100)을 이루는 각 구성 부위를 촬영한 검사자단말(200)에서 촬영한 정보인 요청 시설물 구성부위 촬영이미지정보 및 촬영시점 시설물 구성부위별 단말기울기정보가 시설물(100)을 이루는 구성 부위별로 누적저장되는 시설물 구성부위별 단말측 기울기정보 DB(417)를 포함한다.
이를 통해, 검사자단말(200)의 시설물용 안전관리 앱(201)은 시설물(100)의 구성부위의 촬영요청에 따라 카메라(220)로부터 생성되는 정보인, 구성부위별 식별자 표시영역 및 실측길이 연산용 표시영역을 포함하는 요청 시설물 구성부위 촬영이미지정보를 획득하고, 센서부(260)에서 감지한 정보로서, 그 요청 시설물 구성부위 촬영이미지정보가 획득되는 시점의 해당 검사자단말(200)의 기울기를 나타내는 촬영시점 시설물 구성부위별 단말기울기정보를 획득하고, 요청 시설물 구성부위 촬영이미지정보 및 촬영시점 시설물 구성부위별 단말기울기정보를 포함하는 시설물 구성부위별 실측 기울기 신호를 생성하며, 이를 시설물 안전관리서버(400)로 전송한다.
그리고 시설물 안전관리서버(400)는 시설물 구성부위별 실측 기울기 신호와 시설물 구성부위별 경사각 정보가 수신되면, 보수 관리엔진(430)을 운영하여, 시설물 구성부위별 실측 기울기 신호에 포함된 요청 시설물 구성부위 촬영이미지정보 및 촬영시점 시설물 구성부위별 단말기울기정보를 토대로 연산된 촬영된 해당 시설물 구성부위의 실제 기울기인 시설물 구성부위별 실측 기울기정보와 시설물 구성부위별 경사각 정보를 대비하여 시설물 구성부위별 실측 기울기를 기준으로 시설물 구성부위별 경사각의 오차범위 이내인 실측기준 경사각 허용오차범위를 벗어난 경우, 해당 경사계용 센서(330)의 점검을 안내하는 메시지를 포함하는 시설물 구성부위별 센서검측 안내신호를 생성하고, 이를 검사자단말(200)로 전송되도록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후, 검사자단말(200)의 시설물용 안전관리 앱(201)은 수신되는 시설물 구성부위별 센서검측 안내신호를 정보출력부(230)를 통해 출력되도록 함으로써, 검사자가 출력된 정보를 통해 오작동 하는 경사계용 센서(330)의 수리를 진행할 수 있도록 안내하여 준다.
이와 더불어, 본 발명의 유실예방용 시설물 안전점검 시스템에는 월 단위 이상으로 예측가능한 기상예보를 바탕으로 시설물에 존재하는 손상영역의 훼손비례 정도를 분석하여 보수가 필요하다고 판단된 경우 해당 시설물에 존재하는 손상영역의 보수를 요청하는 신호를 해당 검사자에게 통보함으로써, 검사자가 관리하는 시설물에서 사고발생의 위험성을 최소화시켜주는 이점도 제공한다.
이를 위해, 시설물 안전관리서버(400)에 추가로 보수관리엔진(430)이 탑재되고, DB부(410)에도 시설물별 보수안내정보 DB(413), 일별 기상안내정보 DB(414) 및 시설물별 응급보수 메뉴얼정보(415)가 더 구비되어진다.
여기서, 시설물별 보수안내정보 DB(413)는 관리대상의 시설물들을 종류 및 크기별로 구분한 종류별 시설물 크기 군집정보 및 그 종류별 시설물 크기 군집정보에 해당하는 시설물들에 손상영역이 존재 시 그 손상영역의 크기가 보수를 해야 할 정도의 크기에 해당하는 시설물별 보수진행 손상영역 기준크기정보가 저장된 데이터베이스 부재이다.
일별 기상안내정보 DB(414)는 날씨, 온도, 습도, 바람, 일사량, 강수량, 적설량 등을 포함하는 기후정보가 일별로 구분되어 저장되는 데이터베이스 부재이다.
상기 일별 기상안내정보 DB(414)에 누적저장되는 일별 기상안내정보는 매일 기상안내서버(600)로부터 제공받아 저장관리되어진다.
시설물별 응급보수 메뉴얼정보(415)는 행정구역별로 구분되어 저장되는 것으로, 해당 시설물에 존재하는 손상영역의 크기가 보수를 해야 할 정도의 크기에 해당하는 시설물별 보수진행 손상영역 기준크기정보를 초과한 경우 해당 시설물의 손상영역에 대한 응급보수를 순차적으로 수행하는 업무절차가 표시된 시설물별 손상영역 응급보수 메뉴얼정보가 저장되는 데이터베이스 부재이다.
이를 통해, 보수관리엔진(430)은, 시설물별 보수안내정보 DB(413)에서 해당 시설물에 대응하는 종류별 시설물 크기 군집정보의 시설물별 보수진행 손상영역 기준크기정보를 추출하고, 시설물 구성부위별 가공 이미지정보 DB(412)에 누적저장된 해당 시설물의 시설물 구성부위별 가공 이미지정보 중 현재 검사일에 저장된 시설물 구성부위별 가공 이미지정보와 이전 검사일에 저장된 시설물 구성부위별 가공 이미지정보를 바탕으로 손상영역의 크기 변화를 나타낸 손상영역 크기 변화량정보를 생성하며, 일별 기상안내정보 DB(414)에서 이전 검사일부터 현재 검사일까지의 일별 기상안내정보들을 추출하고, 그 추출된 일별 기상안내정보들에 포함된 온도, 습도, 강우량 또는 강설량의 각 누적값을 나타낸 기상평균 누적량정보를 생성하며, 주기별 기후예측정보에 포함된 일별 마다의 기상안내정보들의 온도, 습도, 강우량 또는 강설량의 각 값을 누적하여 나타낸 예상 기상평균 누적량정보를 생성하고, 기상평균 누적량정보에 따라 상기 손상영역 크기 변화량정보의 손상영역 비례 정도를 산출한 기후별 손상영역 크기 변화 산출정보를 생성하며, 기후별 손상영역 크기 변화 산출정보를 토대로 예상 기상평균 누적량정보에 의해 현재 검사일에 해당하는 시설물 구성부위별 가공 이미지정보에 나타난 손상영역의 비례 정도를 산출한 예상 손상영역 크기정보를 생성하고, 시설물별 보수진행 손상영역 기준크기정보의 손상영역 크기보다 예상 손상영역 크기정보의 손상영역 크기가 더 클 경우 해당 시설물에 존재하는 손상영역의 보수를 요청하는 시설물 보수요청신호를 상기 검사자단말로 전송되도록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보수관리엔진은(430) 시설물별 응급보수 메뉴얼 정보 DB(415)에서 해당 시설물의 시설물별 손상영역 응급보수 메뉴얼정보를 추출하고, 그 추출된 시설물별 손상영역 응급보수 메뉴얼정보를 시설물 보수요청신호에 취합하여 전송되도록 제어한다.
그리고 검사자단말(200)의 시설물용 안전관리 앱(201)은 시설물 안전관리서버(400)로부터 전송되는 시설물 보수요청신호에 포함된 시설물별 손상영역 응급보수 메뉴얼정보를 정보출력부(230)를 통해 출력되도록 제어하여, 검사자가 해당 시설물의 손상영역에 대한 응급보수를 순차적으로 수행하는 업무절차를 밟을 수 있게 안내하여 주는 기능을 수행함으로써, 검사자가 시설물별 손상영역 응급보수 메뉴얼정보를 참조하면서 응급보수를 순차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안내하여 주는 이점을 제공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유실예방용 시설물 안전점검 시스템을 이용하여 시설물의 상판을 포함하는 각종 구성물의 유실을 예방하기 위해 필요한 안전점검 및 진단을 수행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검사자는 안전점검을 수행하고자 하는 해당 시설물(100)이 위치하는 지역에 진입한다.
이때, 검사자가 소지한 검사자 태그(310)에서는 기설정된 주기마다 검사자단말(200)을 식별하는데 이용되는 검사자단말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단말식별신호를 전송(S10)한다.
시설물(100) 쪽으로 진입하는 부근에 설치되는 검사자 식별용 스캐너(320)는 검사자 태그(310)로부터 단말식별신호를 전송받고, 그 전송된 단말식별신호에 포함된 정보 중 검사자단말 식별정보를 참조하여 검사자임을 인지하며, 검사자단말 식별정보 및 시설물을 식별하는 시설물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검사자 진입확인 안내신호를 검사자단말(200)로 전송(S20)한다.
이후, 검사자단말(200)의 시설물용 안전관리 앱(201)은 수신되는 검사자 진입확인 안내신호를 시설물 안전관리서버(400)로 중계전송(S30)한다.
이후, 시설물 안전관리서버(400)는 중계전송되는 검사자 진입확인 안내신호를 참조하여, 해당 시설물에 존재하는 손상영역의 위치를 안내하는 시설물 손상영역 위치안내신호를 검사자단말(200)로 전송(S40)한다.
이때, 시설물 안전관리서버(400)의 이미지 가공엔진(420)은 검사자 진입확인 안내신호에 포함된 정보 중 시설물 식별정보를 참조하여, 시설물 구성부위별 가공 이미지정보 DB(412)에서 해당 시설물의 시설물 구성부위별 손상영역 캡처이미지정보와 시설물 구성부위별 손상영역 표면좌표정보를 추출하고, 그 추출된 시설물 구성부위별 손상영역 캡처이미지정보와 시설물 구성부위별 손상영역 표면좌표정보로 이루어진 시설물 손상영역 위치안내신호를 생성한다.
이후, 검사자단말(200)의 시설물용 안전관리 앱(201)은 전송된 시설물 손상영역 위치안내신호에 포함된 정보 중 시설물 구성부위별 손상영역 표면좌표정보를 정보저장부(210)와 매칭하여 대응되는 해당 구성부위별 참조식별코드와 한 조로 구성된 시설물 구성부위별 이미지정보 및 시설물 구성부위별 표면좌표정보를 추출하고, 그 추출된 정보 중 시설물 구성부위별 표면좌표정보와 상기 시설물 구성부위별 손상영역 표면좌표정보를 대비하여 상기 시설물 구성부위별 손상영역 캡처이미지정보를 시설물 구성부위별 이미지정보의 동일한 영역에 중첩 가공시켜 시설물 구성부위별 가공 이미지정보로 가공한 후 이를, 정보출력부(230)를 통해 출력(S120)한다.
이후, 검사자단말(200)의 시설물용 안전관리앱(201)은 검사자 위치확인용 스캐너(330)들로부터 전송되는 위치확인용 세기측정정보들을 토대로 삼변 측량 알고리즘을 기반으로 검사자 현재위치좌표정보를 특정하고, 그 특정된 검사자 현재위치좌표정보에서 상기 시설물 구성부위별 손상영역 표면좌표정보를 참조하여 손상영역이 존재하는 시설물의 해당 위치까지 이동할 수 있게 안내하는 메시지정보가 상기 정보출력부(230)를 통해 출력되도록 제어(S130)한다.
이후, 검사자단말(200)의 시설물용 안전관리앱(201)은 시설물별 검사신호를 생성하고, 이를 시설물 안전관리서버(400)로 전송한다.
여기서, 시설물별 검사신호의 세부적인 생성과정은 다음과 같다.
먼저, 검사자단말(200)의 시설물용 안전관리 앱(201)은 카메라(220)를 통해 검사자가 촬영한 정보인 해당 시설물(100)의 구성부위별 식별자 표시영역(110a,110b,110c) 및 실측길이 연산용 기준길이영역(120a,120b,120c)을 포함하는 요청 시설물 구성부위 촬영이미지정보가 생성되면, 요청 시설물 구성부위 촬영이미지정보에 표시된 구성부위별 식별자 표시영역(110a,110b,110c) 및 실측길이 연산용 기준길이영역(120a,120b,120c)을 이미지 프로세싱을 통해 검출한다.
이후, 검사자단말(200)의 시설물용 안전관리 앱(201)은 그 검출된 정보 중 구성부위별 식별자 표시영역(110a,110b,110c)을 정보저장부(210)와 매칭하여, 매칭되는 구성부위별 식별코드와 한 조로 이루어진 시설물 구성부위별 캐드도면정보를 추출한다.
이후, 검사자단말(200)의 시설물용 안전관리 앱(201)은 검출된 정보 중 실측길이 연산용 기준길이영역(120a,120b,120c)을 통해 요청 시설물 구성부위 촬영이미지정보에서 실측길이 연산용 기준길이영역(120a,120b,120c)의 평면위치를 인지한 상태에서 실측길이 연산용 기준길이영역(120a,120b,120c)의 기설정된 길이에 따라 시설물 구성부위별 캐드도면정보의 표면좌표 값을 참조하여 요청 시설물 구성부위 촬영이미지정보와 동일한 영역에 해당하는 부분을 시설물 구성부위별 캐드도면정보에서 자르기하여 시설물 구성부위별 크랍 캐드도면정보를 생성한다.
이후, 검사자단말(200)의 시설물용 안전관리 앱(201)은 정보저장부(210)에서 시설물 구성부위별 손상 위치 안내화면(500)을 추출하고, 그 추출된 시설물 구성부위별 손상 위치 안내화면(500)을 이루는 촬영 시설물 표시창(510) 및 손상위치 확인용 캐드도면 표시창(520)에 요청 시설물 구성부위 촬영이미지정보 및 시설물 구성부위별 크랍 캐드도면정보를 각각 삽입한 후 정보출력부(230)를 통해 출력되도록 제어한다.
이후, 검사자는 정보출력부(230)를 통해 출력된 시설물 구성부위별 손상 위치 안내화면(500) 중 촬영 시설물 표시창(510) 상에 정보입력부(240)를 조작하여 시설물의 손상된 영역인 지정손상영역(511)을 선정한다.
검사자단말(200)의 시설물용 안전관리 앱(201)은 지정손상영역(511)이 선정되면, 손상위치 확인용 캐드도면 표시창(520)의 동일한 영역에도 상기 지정손상영역(511)에 대응하는 확인손상영역(521)이 표시되도록 제어한다.
여기서, 검사자는 정보출력부(230)를 통해 출력된 시설물 구성부위별 손상 위치 안내화면(500)을 열람하여, 촬영 시설물 표시창(510)에 출력표시된 요청 시설물 구성부위 촬영이미지정보와 손상위치 확인용 캐드도면 표시창(520)에 출력표시된 시설물 구성부위별 크랍 캐드도면정보를 대비하여, 확인손상영역(521)의 위치가 지정손상영역(511)의 위치와 별 차이가 없는 경우에는 확인손상영역(521)의 이동을 요청하지 않고,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전송메뉴를 클릭하여 정보의 전송을 요청한다.
검사자단말(200)의 시설물용 안전관리 앱(201)은 손상위치 확인용 캐드도면 표시창(520)에 표시된 확인손상영역(521)의 이동 요청 없이 바로 전송요청이 입력되면, 손상위치 확인용 캐드도면 표시창(520)에 표시된 상기 확인손상영역(521)의 표면좌표값인 시설물 구성부위별 손상영역 표면좌표정보를 획득하고, 시설물 구성부위별 손상 위치 안내화면(500)의 촬영 시설물 표시창(510) 상에 지정된 지정손상영역(511)만을 캡처한 시설물 구성부위별 손상영역 캡처이미지정보를 생성한다.
이후, 검사자단말(200)의 시설물용 안전관리 앱(201)은 구성부위별 식별코드, 시설물 구성부위별 손상영역 캡처이미지정보 및 시설물 구성부위별 손상영역 표면좌표정보로 이루어진 시설물별 검사신호를 정보통신부(250)를 통해 시설물 안전관리서버(400)로 무선 전송한다.
한편, 검사자단말(200)의 시설물용 안전관리 앱(201)은 손상위치 확인용 캐드도면 표시창(520)에 표시된 확인손상영역(521)의 이동 요청을 확인하는 과정에서, 검사자가 정보입력부(240)를 조작하여 손상위치 확인용 캐드도면 표시창(520)에 표시된 확인손상영역(521)의 이동을 요청하면, 그 이동요청된 영역으로 상기 확인손상영역(521)이 이동되도록 제어한 상태에서 그 이동된 확인손상영역(521)의 표면좌표값인 시설물 구성부위별 손상영역 표면좌표정보를 획득한 후, 시설물 구성부위별 손상 위치 안내화면(500)의 촬영 시설물 표시창(510) 상에 지정된 지정손상영역(511)만을 캡처한 시설물 구성부위별 손상영역 캡처이미지정보를 생성하는 과정을 수행한다.
시설물 안전관리서버(400)의 이미지 가공엔진(420)은 검사자단말(200)로부터 전송된 시설물별 검사신호에 포함된 정보 중 구성부위별 식별코드를 시설물 구성부위별 이미지정보 DB(411)와 매칭하여 매칭되는 구성부위별 참조식별코드와 한 조로 구성된 시설물 구성부위별 이미지정보 및 시설물 구성부위별 표면좌표정보를 추출한다.
이후, 시설물 안전관리서버(400)의 이미지 가공엔진(420)은 그 추출된 정보 중 시설물 구성부위별 표면좌표정보와 시설물별 검사신호에 포함된 시설물 구성부위별 손상영역 표면좌표정보를 대비하여 시설물 구성부위별 손상영역 캡처이미지정보를 시설물 구성부위별 이미지정보의 동일한 영역에 중첩 가공시켜 시설물 구성부위별 가공 이미지정보로 가공한 후 이를, 시설물 구성부위별 가공 이미지정보 DB(412)에 저장되도록 제어(S150)함으로써, 시설물의 안전점검 자료로 활용할 수 있도록 데이터베이스화 작업을 수행한다.
한편, 시설물(100)을 이루는 상판과 같은 각 구성의 연결 부위 쪽에 부착된 경사계용 센서(330)에서는 기설정된 주기마다 각 구성 부위의 경사각도를 감지하여 시설물 구성부위별 경사각 정보를 생성하고, 이를 시설물 안전관리서버(400)로 전송(S50)한다.
이후, 시설물 안전관리서버(400)는 시설물 구성부위별 경사각 정보가 수신되면, 이를 시설물 구성부위별 센서측 경사각정보 DB(416)에 누적저장함과 동시에 보수 관리엔진(430)을 운영하여, 시설물 구성부위별 경사각 정보가 시설물(100)의 기울기 정도가 안전하다고 판단된 기울기인 기준 시설물(100) 안전 기울기 구간에서 벗어나는지 확인(S60)한다.
시설물 안전관리서버(400)의 보수 관리엔진(430)은 시설물 구성부위별 경사각 정보가 기준 시설물(100) 안전 기울기 구간에서 벗어나지 않은 경우 시설물 구성부위별 가공 이미지정보를 출력하는 S120단계로 진입한다.
한편, 시설물 안전관리서버(400)의 보수 관리엔진(430)은 시설물 구성부위별 경사각 정보가 기준 시설물(100) 안전 기울기 구간에서 벗어난 경우 해당 시설물(100)의 구성부위의 촬영을 요청하는 시설물 구성부위 촬영요청신호를 생성하고, 이를 검사자단말(200)로 전송(S70)한다.
이후, 검사자단말(200)의 시설물용 안전관리 앱(201)은 시설물 구성부위 촬영요청신호가 수신됨에 따라 카메라(220)로부터 생성되는 정보인 시설물(100)에 표시된 구성부위별 식별자 표시영역 및 실측길이 연산용 표시영역을 포함하는 요청 시설물 구성부위 촬영이미지정보를 획득하고, 요청 시설물 구성부위 촬영이미지정보가 획득되는 시점의 해당 검사자단말(200)의 기울기를 나타내는 촬영시점 시설물 구성부위별 단말기울기정보를 센서부(260)에서 획득하며, 요청 시설물 구성부위 촬영이미지정보 및 촬영시점 시설물 구성부위별 단말기울기정보를 포함하는 시설물 구성부위별 실측 기울기 신호를 생성하고, 이를 시설물 안전관리서버(400)로 전송(S80)한다.
이후, 시설물 안전관리서버(400)의 보수 관리엔진(430)은 시설물 구성부위별 실측 기울기 신호가 수신되면, 시설물 구성부위별 실측 기울기 신호에 포함된 요청 시설물 구성부위 촬영이미지정보 및 촬영시점 시설물 구성부위별 단말기울기정보를 토대로 연산된 촬영된 해당 시설물 구성부위의 실제 기울기인 시설물 구성부위별 실측 기울기정보와 시설물 구성부위별 경사각 정보를 대비하여 시설물 구성부위별 실측 기울기를 기준으로 시설물 구성부위별 경사각의 오차범위 이내인 실측기준 경사각 허용오차범위를 벗어나는지 확인(S90)한다.
시설물 안전관리서버(400)의 보수 관리엔진(430)은 시설물 구성부위별 실측 기울기정보와 시설물 구성부위별 경사각 정보를 대비하여 시설물 구성부위별 실측 기울기를 기준으로 시설물 구성부위별 경사각의 오차범위 이내인 실측기준 경사각 허용오차범위를 벗어난 경우, 해당 경사계용 센서(330)의 점검을 안내하는 메시지를 포함하는 시설물 구성부위별 센서검측 안내신호를 생성하고, 이를 검사자단말(200)로 전송(S100)한다.
이를 통해, 검사자단말(200)의 시설물용 안전관리 앱(201)은 수신되는 시설물 구성부위별 센서검측 안내신호를 정보출력부(230)를 통해 출력되도록 함으로써, 검사자가 출력된 정보를 통해 오작동 하는 경사계용 센서(330)의 수리를 진행할 수 있도록 안내하여 준다.
한편, 시설물 안전관리서버(400)의 보수 관리엔진(430)은 시설물 구성부위별 실측 기울기정보와 시설물 구성부위별 경사각 정보를 대비하여 시설물 구성부위별 실측 기울기를 기준으로 시설물 구성부위별 경사각의 오차범위 이내인 실측기준 경사각 허용오차범위를 벗어나지 않은 경우, 해당 시설물(100)의 구성부위의 안전 점검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포함하는 시설물 구성부위별 안전점검 요청신호를 생성하고, 이를 검사자단말(200)로 전송(S110)한다.
이때, 시설물 안전관리서버(400)의 보수 관리엔진(430)은 시설물별 보수안내정보 DB(413)에서 시설물의 기울기 변위에 따른 대응절차가 안내된 해당 시설물의 시설물별 손상영역 응급보수 메뉴얼정보를 시설물별 응급보수 메뉴얼 정보 DB(415)에서 추출하고 이를, 시설물 구성부위별 안전점검 요청신호에 취합함으로써, 점검자가 경력이 낮은 초보일지라도 순차적으로 안전점검을 수행할 수 있도록 유도하여 준다.
이에 따라, 검사자단말(200)의 시설물용 안전관리 앱(201)은 수신되는 시설물 구성부위별 안전점검 요청신호를 정보출력부(230)를 통해 출력되도록 함으로써, 검사자가 출력된 정보를 통해 해당 시설물의 안전점검을 수행할 수 있도록 안내하여 준다.
한편, 기상안내서버(600)는 날씨, 온도, 습도, 바람, 일사량, 강수량, 적설량 등을 포함하는 기후정보를 기설정 주기별로 예측하는 주기별 기후예측정보를 시설물 안전관리서버(400)로 전송(S160)한다.
또한, 기상안내서버(600)는 날씨, 온도, 습도, 바람, 일사량, 강수량, 적설량 등을 포함하는 기후정보가 일별로 구분된 일별 기상안내정보도 매일 시설물 안전관리서버(400)로 전송한다.
시설물 안전관리서버(400)는 전송되는 정보 중 일별 기상안내정보는 일별 기상안내정보 DB(414)에 누적시켜 저장관리한다.
또한, 시설물 안전관리서버(400)는 전송되는 주기별 기후예측정보를 통해 시설물별 검사신호에 포함된 설물 구성부위별 손상영역 캡처이미지정보인 해당 시설물의 손상영역이 그 주기별 기후예측정보에 따라 해당 시설물의 손상영역의 훼손비례 정도를 분석하여 보수가 필요하다고 판단된 경우 해당 시설물에 존재하는 손상영역의 보수를 요청하는 시설물 보수요청신호를 검사자단말(200)로 전송(S170)한다.
여기서, 시설물 보수요청신호를 검사자단말(200)로 전송하는 S170단계의 세부과정은 다음과 같다.
먼저, 시설물 안전관리서버(400)의 보수관리엔진(430)은 시설물별 보수안내정보 DB(413)에서 해당 시설물에 대응하는 종류별 시설물 크기 군집정보의 시설물별 보수진행 손상영역 기준크기정보를 추출(S171)한다.
이후, 시설물 안전관리서버(400)의 보수관리엔진(430)은 시설물 구성부위별 가공 이미지정보 DB(412)에 누적저장된 해당 시설물의 시설물 구성부위별 가공 이미지정보 중 현재 검사일에 저장된 시설물 구성부위별 가공 이미지정보와 이전 검사일에 저장된 시설물 구성부위별 가공 이미지정보를 바탕으로 손상영역의 크기 변화를 나타낸 손상영역 크기 변화량정보를 생성(S172)한다.
이후, 시설물 안전관리서버(400)의 보수관리엔진(430)은 일별 기상안내정보 DB(414)에서 이전 검사일부터 현재 검사일까지의 일별 기상안내정보들을 추출하고, 그 추출된 일별 기상안내정보들에 포함된 온도, 습도, 강우량 또는 강설량의 각 누적값을 나타낸 기상평균 누적량정보를 생성(S173)한다.
이후, 시설물 안전관리서버(400)의 보수관리엔진(430)은 주기별 기후예측정보에 포함된 일별 마다의 기상안내정보들의 온도, 습도, 강우량 또는 강설량의 각 값을 누적하여 나타낸 예상 기상평균 누적량정보를 생성(S174)한다.
이후, 시설물 안전관리서버(400)의 보수관리엔진(430)은 기상평균 누적량정보에 따라 손상영역 크기 변화량정보의 손상영역 비례 정도를 산출한 기후별 손상영역 크기 변화 산출정보를 생성(S175)한다.
이후, 시설물 안전관리서버(400)의 보수관리엔진(430)은 기후별 손상영역 크기 변화 산출정보를 토대로 예상 기상평균 누적량정보에 의해 현재 검사일에 해당하는 시설물 구성부위별 가공 이미지정보에 나타난 손상영역의 비례 정도를 산출한 예상 손상영역 크기정보를 생성(S176)한다.
이후, 시설물 안전관리서버(400)의 보수관리엔진(430)은 시설물별 보수진행 손상영역 기준크기정보의 손상영역 크기보다 예상 손상영역 크기정보의 손상영역 크기가 더 큰지 확인(S270)하여, 시설물별 보수진행 손상영역 기준크기정보의 손상영역 크기보다 예상 손상영역 크기정보의 손상영역 크기가 작을 경우 종료하고, 시설물별 보수진행 손상영역 기준크기정보의 손상영역 크기보다 예상 손상영역 크기정보의 손상영역 크기가 더 클 경우 해당 시설물에 존재하는 손상영역의 보수를 요청하는 시설물 보수요청신호를 검사자단말(200)로 전송(S178)한다.
이때, 시설물 안전관리서버(400)의 보수관리엔진(430)은 시설물별 응급보수 메뉴얼 정보 DB(415)에서 해당 시설물의 시설물별 손상영역 응급보수 메뉴얼정보를 추출하고, 그 추출된 시설물별 손상영역 응급보수 메뉴얼정보를 시설물 보수요청신호에 취합하여 전송되도록 제어한다.
100 : 시설물
110a,110b,110c : 구성부위별 식별자 표시영역
120a,120b,120c : 실측길이 연산용 기준길이영역
200 : 검사자단말 201 : 시설물용 안전관리앱
210 : 정보저장부 220 : 카메라
230 : 정보출력부 240 : 정보입력부
250 : 무선통신부 260 : 센서부
270 : 제어부 310 : 검사자 태그
320 : 검사자 식별용 스캐너 330 : 경사계용 센서
340 : 검사자 위치 확인용 스캐너
400 : 시설물 안전관리서버 410 : DB부
411 : 시설물 구성부위별 이미지정보 DB
412 : 시설물 구성부위별 가공 이미지정보 DB
413 : 시설물별 보수안내정보 DB
414 : 일별 기상안내정보 DB
415 : 시설물별 응급보수 메뉴얼정보 DB
416 : 시설물 구성부위별 센서측 경사각정보 DB
417 : 시설물 구성부위별 단말측 기울기정보 DB
420 : 이미지 가공엔진 430 : 보수관리엔진
500 : 시설물 구성부위별 손상 위치 안내화면
510 : 촬영 시설물 표시창 511 : 지정손상영역
520 : 손상위치 확인용 캐드도면 표시창
521 : 확인손상영역 600 : 기상안내서버

Claims (5)

  1. 시설물과;
    상기 시설물의 안전 점검을 위해 필요한 정보를 안내하는 시설물용 안전관리 앱이 탑재된 것으로, 검사자 진입확인 안내신호가 수신되면, 이를 중계전송하는 검사자단말과;
    상기 검사자단말을 소지한 검사자가 소지하는 것으로, 상기 검사자단말을 식별하는데 이용되는 검사자단말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단말식별신호를 전송하는 검사자 태그와;
    상기 시설물 쪽으로 진입하는 부근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검사자 태그로부터 단말식별신호를 전송받고, 그 전송된 단말식별신호에 포함된 정보 중 검사자단말 식별정보를 참조하여 검사자임을 인지하고, 상기 검사자단말 식별정보 및 상기 시설물을 식별하는 시설물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검사자 진입확인 안내신호를 상기 검사자단말로 전송하는 검사자 식별용 스캐너와;
    상기 시설물을 이루는 각 구성 부위에 부착되는 것으로, 각 구성 부위의 경사각도를 감지하여 시설물 구성부위별 경사각 정보를 생성하고, 이를 전송하는 경사계용 센서와;
    상기 검사자단말로부터 중계전송되는 검사자 진입확인 안내신호를 참조하여, 해당 시설물에 존재하는 손상영역의 위치를 안내하는 시설물 손상영역 위치안내신호를 상기 검사자단말로 전송되도록 제어하는 시설물 안전관리서버;로 이루어지며,
    상기 시설물에는, 각 구성 부위마다 부착되는 것으로, 각 구성 부위를 식별하는 구성부위별 식별자 표시영역 및 실측 길이를 연산할 수 있게 기설정된 길이로 표시되는 실측길이 연산용 기준길이영역이 인쇄되고,
    상기 검사자단말에는, 해당 검사자단말의 기울기를 감지하는 센서부; 및 카메라;를 포함하며,
    검사자단말의 시설물용 안전관리 앱은, 시설물의 구성부위의 촬영요청에 따라 상기 카메라로부터 생성되는 정보인, 상기 구성부위별 식별자 표시영역 및 상기 실측길이 연산용 표시영역을 포함하는 요청 시설물 구성부위 촬영이미지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센서부에서 감지한 정보로서, 그 요청 시설물 구성부위 촬영이미지정보가 획득되는 시점의 해당 검사자단말의 기울기를 나타내는 촬영시점 시설물 구성부위별 단말기울기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요청 시설물 구성부위 촬영이미지정보 및 상기 촬영시점 시설물 구성부위별 단말기울기정보를 포함하는 시설물 구성부위별 실측 기울기 신호를 생성하며, 이를 상기 시설물 안전관리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시설물 안전관리서버에는, DB부; 및 보수 관리엔진;을 포함하며,
    상기 DB부에는, 시설물을 이루는 각 구성 부위에 부착된 경사계용 센서로부터 전송된 시설물 구성부위별 경사각 정보가 시설물의 구성 부위별로 구분되어 누적저장되는 시설물 구성부위별 센서측 경사각 정보 DB; 및 시설물을 이루는 각 구성 부위를 촬영한 검사자단말에서 촬영한 정보인 요청 시설물 구성부위 촬영이미지정보 및 촬영시점 시설물 구성부위별 단말기울기정보가 시설물을 이루는 구성 부위별로 누적저장되는 시설물 구성부위별 단말측 기울기정보 DB;를 포함하고,
    상기 보수 관리엔진은, 경사계용 센서로부터 상기 시설물 구성부위별 경사각 정보를 수신하고, 검사자단말로부터 상기 시설물 구성부위별 실측 기울기 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시설물 구성부위별 실측 기울기 신호에 포함된 요청 시설물 구성부위 촬영이미지정보 및 촬영시점 시설물 구성부위별 단말기울기정보를 토대로 연산된 촬영된 해당 시설물 구성부위의 실제 기울기인 시설물 구성부위별 실측 기울기정보와 상기 시설물 구성부위별 경사각 정보를 대비하여 시설물 구성부위별 실측 기울기를 기준으로 시설물 구성부위별 경사각의 오차범위 이내인 실측기준 경사각 허용오차범위를 벗어난 경우, 해당 경사계용 센서의 점검을 안내하는 메시지를 포함하는 시설물 구성부위별 센서검측 안내신호를 생성하고, 이를 상기 검사자단말로 전송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설물 안전점검 시스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설물 안전관리서버에는, DB부; 및 이미지 가공엔진;을 포함하며,
    상기 DB부에는, 행정구역별로 구분되어 저장되는 것으로, 시설물 구성부위별 이미지정보의 해당 영역에 시설물 구성부위별 손상영역 캡처이미지정보, 상기 시설물 구성부위별 손상영역 캡처이미지정보의 표면좌표값인 시설물 구성부위별 손상영역 표면좌표정보 및 상기 시설물 구성부위별 손상영역 캡처이미지정보가 중첩 가공된 시설물 구성부위별 가공 이미지정보가 저장되는 시설물 구성부위별 가공 이미지정보 DB;를 포함하고,
    상기 이미지 가공엔진은, 상기 검사자 진입확인 안내신호에 포함된 정보 중 시설물 식별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시설물 구성부위별 가공 이미지정보 DB에서 해당 시설물의 시설물 구성부위별 손상영역 캡처이미지정보와 시설물 구성부위별 손상영역 표면좌표정보를 추출하고, 그 추출된 시설물 구성부위별 손상영역 캡처이미지정보와 시설물 구성부위별 손상영역 표면좌표정보로 이루어진 상기 시설물 손상영역 위치안내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설물 안전점검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검사자단말에는, 정보저장부; 및 정보출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정보저장부에는, 행정구역별로 구분되어 저장되는 것으로, 시설물을 이루는 각 구성 부위마다 촬영한 이미지인 시설물 구성부위별 이미지정보, 상기 시설물 구성부위별 이미지정보를 이루는 시설물의 구성부위를 표면좌표 값으로 나타낸 시설물 구성부위별 표면좌표정보 및 해당 시설물 구성부위별 이미지정보에 대응하는 각 구성부위를 식별하는 구성부위별 참조식별코드가 한 조로 저장관리되고,
    검사자단말의 시설물용 안전관리 앱은, 전송된 상기 시설물 손상영역 위치안내신호에 포함된 정보 중 시설물 구성부위별 손상영역 표면좌표정보를 상기 정보저장부와 매칭하여 대응되는 해당 구성부위별 참조식별코드와 한 조로 구성된 시설물 구성부위별 이미지정보 및 시설물 구성부위별 표면좌표정보를 추출하고, 그 추출된 정보 중 시설물 구성부위별 표면좌표정보와 상기 시설물 구성부위별 손상영역 표면좌표정보를 대비하여 상기 시설물 구성부위별 손상영역 캡처이미지정보를 상기 시설물 구성부위별 이미지정보의 동일한 영역에 중첩 가공시켜 시설물 구성부위별 가공 이미지정보로 가공한 후 이를, 상기 정보출력부를 통해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설물 안전점검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시설물 주변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시설물 내에 위치하는 상기 검사자 태그로부터 단말식별신호를 전송받고, 그 전송된 단말식별신호의 수신신호세기를 측정하며, 그 측정된 값인 위치확인용 세기측정정보를 생성하여 이를 상기 검사자단말로 전송하는 검사자 위치확인용 스캐너들;을 포함하고,
    검사자단말의 시설물용 안전관리앱은, 상기 검사자 위치확인용 스캐너들로부터 전송되는 위치확인용 세기측정정보들을 토대로 삼변 측량 알고리즘을 기반으로 검사자 현재위치좌표정보를 특정하고, 그 특정된 검사자 현재위치좌표정보에서 상기 시설물 구성부위별 손상영역 표면좌표정보를 참조하여 손상영역이 존재하는 시설물의 해당 위치까지 이동할 수 있게 안내하는 메시지정보가 상기 정보출력부를 통해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설물 안전점검 시스템.
KR1020190088290A 2019-07-22 2019-07-22 유실예방용 시설물 안전점검 시스템 KR1021333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8290A KR102133386B1 (ko) 2019-07-22 2019-07-22 유실예방용 시설물 안전점검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8290A KR102133386B1 (ko) 2019-07-22 2019-07-22 유실예방용 시설물 안전점검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33386B1 true KR102133386B1 (ko) 2020-07-14

Family

ID=715268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8290A KR102133386B1 (ko) 2019-07-22 2019-07-22 유실예방용 시설물 안전점검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33386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24146A (ko) * 2009-05-18 2010-11-26 주식회사 에스원 방범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60028758A (ko) * 2014-09-04 2016-03-1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구역 기반의 사용자확인 시스템과 그 방법 및 구역 기반의 사용자확인 서버
KR101909212B1 (ko) 2017-11-06 2018-10-17 (주)바인테크 시설물 안전점검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24146A (ko) * 2009-05-18 2010-11-26 주식회사 에스원 방범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60028758A (ko) * 2014-09-04 2016-03-1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구역 기반의 사용자확인 시스템과 그 방법 및 구역 기반의 사용자확인 서버
KR101909212B1 (ko) 2017-11-06 2018-10-17 (주)바인테크 시설물 안전점검 시스템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09212B1 (ko) 시설물 안전점검 시스템 및 방법
KR102112046B1 (ko) 시설물 안전진단 및 유지관리 방법
US8780207B2 (en) Image acquisition
US10641898B1 (en) Structural displacement measurement using unmanned aerial vehicles equipped with lasers
KR102075630B1 (ko) 표적을 이용한 구조물 표면 균열 측정 방법 및 이를 기록한 기록매체
CN112740023B (zh) 优化检测保温层下腐蚀的部署条件的机器学习系统和数据融合
US20190394448A1 (en) Automated feature analysis of a structure
US20150338305A1 (en) Monitoring a response of a bridge based on a position of a vehicle crossing the bridge
US11635390B2 (en) Measurement cycle determination device, measurement cycle determination program and method thereof
US20220172475A1 (en) Damage detection and analysis using three-dimensional surface scans
KR101461184B1 (ko) Cctv 영상을 이용한 기상 상황 정보 추출 시스템
CN112781518B (zh) 一种房屋形变监测方法及系统
JP2019023901A (ja) 点検計画立案支援システム、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カメラ並びにタブレット端末
KR102036792B1 (ko) 업무안내용 시설물 안전점검 시스템 및 방법
Winkler et al. Innovative long-term monitoring of the great belt bridge expansion joint using digital image correlation
KR102039666B1 (ko) 사고예방용 시설물 안전점검 시스템 및 방법
KR101542134B1 (ko) 스마트 카메라모듈을 통한 열차선로 상의 낙석·사람으로 이루어진 관심 객체 실시간 감시 장치 및 방법
Perez Jimeno et al. An integrated framework for non-destructive evaluation of bridges using UAS: A case study
KR102133386B1 (ko) 유실예방용 시설물 안전점검 시스템
KR102227031B1 (ko) 화상데이터 내의 척도마커의 추적을 통한 구조물 표면의 균열 감시 방법
CN116823192A (zh) 一种铁塔智能检测系统
KR101564223B1 (ko) 지반침하를 예방하기 위한 하수관거 점검시스템
KR101111434B1 (ko) 가상 측량자를 이용한 실측방법 및 가상 측량자를 이용한 실측시스템
KR102559631B1 (ko) 시설물 점검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시설물 점검방법
KR102210571B1 (ko) Gps 좌표와 이동통신시스템을 이용한 교량과 터널의 안전진단 원격감시 경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