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93260B1 - 시설물 점검용 사진 정리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시설물 점검용 사진의 정리 방법 - Google Patents

시설물 점검용 사진 정리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시설물 점검용 사진의 정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93260B1
KR102193260B1 KR1020200059048A KR20200059048A KR102193260B1 KR 102193260 B1 KR102193260 B1 KR 102193260B1 KR 1020200059048 A KR1020200059048 A KR 1020200059048A KR 20200059048 A KR20200059048 A KR 20200059048A KR 102193260 B1 KR102193260 B1 KR 1021932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cility
photo
terminal
display unit
datab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590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변종걸
Original Assignee
변종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변종걸 filed Critical 변종걸
Priority to KR10202000590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326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32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32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5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ill image data
    • G06F16/51Indexing; Data structures therefor; Storage struc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5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ill image data
    • G06F16/58Retrieval characterised by using metadata, e.g. metadata not derived from the content or metadata generated manually
    • G06F16/587Retrieval characterised by using metadata, e.g. metadata not derived from the content or metadata generated manually using geographical or spatial information, e.g. lo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서버 및 데이터베이스와, 상기 서버를 통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시설물 표시부 및 시설물 블록부를 저장하되, 점검하고자 하는 시설물의 손상부위를 사진 촬영할 수 있는 사진촬영기능과, 사진 촬영시 손상부위가 발생한 위치의 시설물 블록부를 선택할 수 있는 시설물 표시부 선택 기능이 포함하며, 시설물 블록부를 통한 시설물 내에서 손상부위 위치에 대한 정보가 포함된 사진데이터를 저장 및 서버를 통해 데이터베이스에 전송할 수 있는 사진 정리 프로그램이 탑재된 단말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어, GPS 및 통신이 안되는 난청 구간에서도 손상부위의 위치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는 사진 데이터에 의해 작업자가 손상부위가 발생한 위치에 대한 사진을 정확하게 선별할 수 있고, 데이테베이스에 저장되는 시설물 표시부와 시설물 블록부를 작업자 또는 점검자가 직접 생성함으로써 다양한 시설물에 적용할 수 있으며, 시설물에 표기된 위치표시부를 기준으로 위치표시부 내에서 작업자 또는 점검자가 분할함으로써 손상부위의 정확한 위치를 손쉽게 파악할 수 있는 시설물 점검용 사진 정리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시설물 점검용 사진의 정리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시설물 점검용 사진 정리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시설물 점검용 사진의 정리 방법{A system for organizing photos for inspection of facilities and a method for organizing photos for inspection of facilities using it}
본 발명은 시설물 점검시 촬영한 사진의 정리를 손쉽게 실시하기 위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난청지역에서도 손상부위의 위치표시 및 손상부위에 대한 내용을 별도의 작업 없이도 표시하여 사진 정리를 손쉽게 실시할 수 있는 시설물 점검용 사진 정리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시설물 점검용 사진의 정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시설물의 안전점검은 정기점검, 정밀점검 및 긴급점검으로 구분하여 실시한다. 점검은 모니터링, 외관조사, 구조검토 등의 항목으로 이루어지며, 점검결과를 바탕으로 보수, 보강, 해체, 철거, 기능 회복여부를 판단하게 된다.
따라서, 시설물의 결함이나 내재되어 있는 위험요소를 빠르게 발견하고 조치를 취하여 붕괴나 사고의 위험성을 방지해야 하므로 안전진단 및 유지관리점검은 매우 중요하다.
한편, 통상의 시설물의 점검은 한명 이상의 점검자가 해당 시설물을 이동하면서 손상부위의 종류, 진행상황 등을 육안으로 확인 한 후 해당 손상부위를 촬영하게 된다.
특히, 상기와 같이 시설물의 손상부위의 촬영시에는 손상부위의 식별 및 상태를 표현하기 위해 다양한 각도에서 여러 컷의 사진을 촬영하게 되며, 이렇게 촬영한 사진을 기반으로 손상부위 내용, 위치 및 가장 잘 표현된 사진을 선택하여 기록으로 보관하기 위한 야장을 작성하게 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시설물에 대한 손상부위에 대한 기록 작성을 위한 야장은 점검자가 점검을 마친 후 당일 또는 수일 후 사무실에서 시설물에 대한 사진을 정리하면서 시설물의 어느 위치에 손상이 발생하였는지, 손상내용은 어떠한 것인지 및 손상의 정도에 대해 기재해야 한다.
더욱이, 하나의 손상부위에 대해 손상부위를 잘 표현하기 위해 여러컷의 사진을 촬영한 만큼 사진의 선별하는 데에만 적게는 수시간에서 많게는 수일까지 시간이 소요될 수 있으며, 또한, 선택한 사진을 이용하여 손상위치, 손상내용 및 상태를 기억력에 의존하여 작성해야 하기 때문에 매우 주관적이며, 정확도가 저하됨은 물론 작업효율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근래에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06002호(이하, '특허문헌 1'이라 함)가 제안된 바 있다.
상기 특허문헌 1은,
(a) 현장조사 및 상태평가를 위한 모바일단말기가 시설물의 개별부재별로 부착된 QR코드를 촬영하면 모바일단말기는 통신망을 통해 메인서버에 보안 접속되고 메인서버는 해당하는 QR코드에 포함된 개별부재별로 데이터를 기록하거나 데이터의 명칭을 써 넣을 수 있는 전자야장(Electronic Data Recorder, 전자자료 기록장치) 및 정보이력을 모바일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와,
(b) 상기 모바일단말기는 현장조사를 통하여 시설물의 개별부재별로 반발경도 및 탄산화 깊이 시험에 따른 외관 및 내구성조사를 포함하는 손상정보가 입력된 전자야장과 더불어 균열 및 단면결손으로 구분하여 촬영된 사진정보를 메인서버로 전송하는 단계와,
(c) 상기 메인서버는 모바일단말기로부터 수신된 균열에 관한 사진정보로부터 메인서버에 설치된 이미지 기반균열 검출프로그램의 이미지 프로세싱을 통하여 검출된 균열위치와 손상규모를 손상 물량 산정프로그램으로 산정하는 단계와,
(d) 상기 메인서버는 모바일단말기로부터 수신된 단면결손에 관한 사진정보로부터 메인서버에 설치된 이미지 기반 균열 검출프로그램의 이미지 프로세싱과 더불어 전자야장에 입력된 손상정보로부터 검출된 손상위치 및 손상규모를 손상 물량 산정프로그램으로 산정하는 단계와,
(e) 상기 메인서버는 모바일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전자야장에 입력된 반발경도 및 탄산화 깊이 정보에서 상태평가 등급을 산정하는 단계와,
(f) 상기 메인서버는 검출된 개별부재별 균열위치, 손상위치 및 손상규모를 포함하는 손상정보를 부재별 상태평가 알고리즘을 통해 손상평가 등급을 산정하는 단계와,
(g) 상기 메인서버는 개별부재별로 산정된 상태평가 등급과 손상평가 등급을 상태평가 알고리즘을 통해 복합부재 및 종합 상태평가의 등급으로 산정하는 단계, 및
(h) 상기 메인서버는 모바일단말기에서 수신된 데이터가 기록된 전자야장과, 상태평가 알고리즘으로 산정된 상태평가 정보 및 사진첩을 포함하는 종합 상태평가 내용을 보고서 형태로 출력 및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특허문헌 1은 위치 기반의 시설물의 부재별 QR코드를 설치하여 별도의 측점분할이 필요 없어 즉각적인 현장 조사가 가능하고, 서버연동으로 상태평가 산출이 가능하며, 점검 및 진단보고서를 적용하여 점검 및 진단에 따른 기간단축을 기대할 수 있으며, 이미지 기반의 손상 규모의 객관성을 확보와 위치 기반의 손상위치의 정확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서버연동으로 상태평가 알고리즘 분석과 더불어 관리주체나 지자체의 비전공의 담당 공무원의 자체 점검이 가능하고, 시설별, 개별적인 부재별로 보수 이력과 점검 및 진단 이력을 관리할 수 있으며, 점검 및 진단 기간의 단축으로 인한 비용 절검과 재난이나 재해를 사전에 예방할 수 있어 경제적인 손실을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스마트 디바이스를 사용하여 관리자 및 점검자가 모바일을 통한 애플리케이션 서비스를 활용할 수 있고, 사용자의 분석을 통한 효과적인 UI를 적용할 수 있는 편의를 제공한 이점이 있다.
(특허문헌 1) KR10-1606002 B1 정보통신기술 기반의 시설물 안전점검 및 유지관리 방법
한편, 상기와 같은 특허문헌 1은 정보통신기술을 활용하여 위와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었지만, 이를 위해서는 첫째, 시설물에 필수적으로 위치 기반의 QR코드가 설치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처음 점검하는 시설물에는 매번 QR코드를 설치하여야 하기 때문에 작업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QR코드를 통해 서버연동으로 작업이 이루어져야 하기 때문에 GPS 및 통신이 이루어지지 않는 지하구조물이나 난청지역의 시설물에는 적용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시설물 점검용 사진 정리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시설물 점검용 사진의 정리 방법은 다양한 시설물별 시설물 표시부 및 시설물 표시부를 다수의 섹터를 분할하여 형성한 시설물 블록부를 형성하고, 점검자가 단말기에 포함된 사진 정리 프로그램을 이용해 손상부위가 발견된 위치의 점검구역을 선택한 후에 사진촬영기능을 이용해 손상부위의 사진촬영이 이루어져 GPS 및 통신이 안되는 난청 구간에서도 손상부위의 위치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는 사진 데이터에 의해 작업자가 손상부위가 발생한 위치에 대한 사진을 정확하게 선별할 수 있는 시설물 점검용 사진 정리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시설물 점검용 사진의 정리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단말기에 포함된 사진 정리 프로그램을 통한 손상내용 선택기능을 통해 사진촬영 기능시 손상부위에 대한 내용이 사진데이터에 포함되어 점검자가 쉽게 사진을 정리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데이테베이스에 저장되는 시설물 표시부와 시설물 블록부를 작업자 또는 점검자가 직접 생성함으로써 다양한 시설물에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는 시설물 블록부는 해당 시설물에 표기된 위치표시부를 기준으로 위치표시부 내에서 작업자 또는 점검자가 분할함으로써 손상부위의 정확한 위치를 손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점검자가 저장 전 사진선별기능을 통해 사진을 선별함으로써 데이터베이스의 저장용량 확보 및 사진 정리 작업에 대한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한 시설물별 시설물 표시부 및 시설물 표시부를 다수의 섹터를 분할하여 형성한 시설물 블록부를 형성하고, 점검자가 단말기에 포함된 사진 정리 프로그램을 이용해 손상부위가 발견된 위치의 점검구역을 선택한 후에 사진촬영기능을 이용해 손상부위의 사진촬영이 이루어져 GPS 및 통신이 안되는 난청 구간에서도 손상부위의 위치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는 사진 데이터에 의해 작업자가 손상부위가 발생한 위치에 대한 사진을 정확하게 선별할 수 있다.
또한, 단말기에 포함된 사진 정리 프로그램을 통한 손상내용 선택기능을 통해 사진촬영 기능시 손상부위에 대한 내용이 사진데이터에 포함되어 점검자가 쉽게 사진을 정리할 수 있다.
그리고 데이테베이스에 저장되는 시설물 표시부와 시설물 블록부를 작업자 또는 점검자가 직접 생성함으로써 다양한 시설물에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는 시설물 블록부는 해당 시설물에 표기된 위치표시부를 기준으로 위치표시부 내에서 작업자 또는 점검자가 분할함으로써 손상부위의 정확한 위치를 손쉽게 파악할 수 있다.
아울러, 점검자가 저장 전 사진선별기능을 통해 사진을 선별함으로써 데이터베이스의 저장용량 확보 및 사진 정리 작업에 대한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유용한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시설물 점검용 사진 정리시스템을 도시한 블록도.
도 3은 시설물을 도시한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에서 사진 정리 프로그램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에서의 시설물 점검용 사진 정리시스템을 이용한 시설물 점검용 사진의 정리 방법을 도시한 블록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구성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통상의 서버(10)와 데이터베이스(20) 및 사진 정리 프로그램(40)이 탑재된 사진촬영이 가능한 단말기(30)로 이루어져 있다.
본 발명에서의 서버(10) 및 데이터베이스(20)는 통상적인 구성으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상기 데이터베이스(20)에는 도 2에서와 같이 점검하고자 하는 시설물에 대한 시설물 표시부(3)와 상기 시설물 표시부(3)를 다수의 섹터로 분할하여 형성한 다수의 시설물 블록부(4)를 포함하고 있다.
여기서, 상기 시설물 표시부(3)는 점검하고자 하는 시설물의 도면이나 또는 스캔한 사진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시설물 표시부(3)는 실제 길이에 대한 내용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예컨대, 전체가 가로 100m, 세로 20m의 시설물일 경우 이에 대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시설물 블록부(4)는 위의 시설물 표시부(3)를 다수의 섹터로 분할하여 점검자가 시설물 내에서 손상부위에 대한 위치를 알고자 하기 위해 형성하는 것으로 가로, 세로 별로 다양한 개수로 분할하여 데이터화시킬 수 있고, 이와는 다르게 가로, 세로의 길이 별로 섹터를 분할하여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시설물 블록부(4)를 나누는 기준은 시설물 내에 위치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표시한 문자로 이루어진 위치표시부(2)를 기준으로 위치표시부(2) 내에서 점검자가 다수의 섹터로 분할하여 형성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시설물 표시부(3) 및 시설물 블록부(4)는 작업자 또는 점검자가 단말기(30)에 탑재된 사진 정리 프로그램(40)을 이용해 직접 생성하여 데이터베이스(20)에 저장할 수 있다.
다음으로, 단말기(30)는 상술한 사진 정리 프로그램(40)이 탑재된 전자기기 형태로 사진 정리 프로그램(40)가 탑재되어 서버(10)를 통해 데이터베이스(20)에 저장된 내용을 전송 받아 저장하거나 저장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기기이다.
이러한, 단말기(30)는 도 1에서와 같이 휴대용 무선통신 단말기(31) 및 컴퓨터(32)를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사진 정리 프로그램(40)은 상기 단말기(30)에 포함되는 프로그램으로 단말기(30) 내에서 저장된 데이터를 활용해 데이터를 생성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사진 정리 프로그램(40)은 도 1 및 도 3에서와 같이 사진촬영기능(41), 시설물 블록부 선택기능(42), 손상부위 선택기능(43), 사진선별기능(44) 및 리포트 작성기능(45)을 포함한다.
상기 사진촬영기능(41)은 점검자가 시설물 점검시 손상부위에 대한 사진 촬영을 하기 위한 구성이다.
또한, 시설물 블록부 선택기능(42)은 데이터베이스(20)에서 전송받은 시설물 표시부(3)를 구획하여 형성되는 다수의 시설물 블록부(4)를 사진 촬영시에 선택하기 위한 기능이다.
그리고 손상부위 선택기능(43)은 사진 촬영시에 손상부위에 대한 내용을 별도로 기재하지 않고도 해당 내용을 기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성이다.
이러한 손상부위 선택기능(43)은 다양한 형태의 손상부위가 존재하기 때문에 점검자가 선택할 수 있는 일반적으로 많이 발생하는 손상부위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되, 점검자가 해당 내용을 직접 입력할 수 있는 사용자 입력 메뉴도 포함시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시설물 블록부 선택기능(42)과 손상부위 선택기능(43)은 사진촬영기능(41) 전, 후에 실시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가 사진촬영기능(41) 전에 사용하기를 원할 경우에는 사진촬영기능(41)이 이루어지기 전에 시설물 블록부 선택기능(42)과 손상부위 선택기능(43)을 선택할 수 있도록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형성하면 되고, 이와 반대로 사진촬영기능(41) 후에 사용하기를 원할 경우에는 사진촬영기능(41) 후에 기능이 활성화될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며, 사진촬영기능(41) 전, 후에 사용하기를 원한다면, 사진촬영기능(41) 전, 후에도 기능을 활성화시키면 된다.
또한, 사진선별기능(44)은 점검자가 다수의 손상부위 사진을 촬영하였을 때에 최종적으로 저장하고자 하는 한개 이상의 사진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기능으로서 당연히 사진촬영기능(41) 이후에 작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야 할 것이다.
그리고 리포트 작성기능(45)은 사진촬영기능(41)과는 별개로 이루어지는 기능으로 손상부위 위치 및 손상내용이 포함되어 있는 사진데이터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하나 이상의 리포트 폼의 형태로 리포트를 작성해주기 위한 기능이다.
여기서,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시설물 점검용 사진 정리시스템을 이용한 시설물 점검용 사진의 정리 방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서의 사진의 정리방법은 서버를 통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시설물 표시부 및 시설물 블록부를 단말기의 사진 정리 프로그램을 통해 단말기에 전송받아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단계와, 상기 사진 정리 프로그램이 탑재된 단말기를 이용해 시설물의 손상부위를 촬영하되, 손상부위의 촬영시 사진 정리 프로그램을 통해 점검자가 위치한 시설물 블록부를 선택해 위치를 설정하여 사진을 촬영하는 사진촬영단계와, 상기 촬영된 사진을 저장 및 서버를 통해 데이터베이스에 전송하는 사진데이터 전송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우선, 데이터 저장단계는, 상술한 데이터베이스(20) 내에 저장되어 있는 시설물 표시부(3) 및 시설물 블록부(4)의 데이터를 단말기(30)에 탑재된 사진 정리 프로그램(40)을 이용하여 전송받아 저장하기 위한 단계이다.(데이터 저장단계)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단말기(30)가 통신이 가능한 위치에 있거나 또는 통신 가능한 다른 기기를 이용한 후 이를 유선으로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단계인 데이터 저장단계 이전에는 작업자 또는 점검자가 시설물 표시부(3) 및 시설물 블록부(4)를 생성하기 위한 점검자 또는 작업자 데이터 생성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단계는 데이터베이스(20)에 저장할 시설물 표시부(3) 및 시설물 블록부(4)를 생성하는 단계로서 다양한 시설물에 적용하여 작업자 또는 점검자가 위의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데이터의 생성은 작업자 또는 점검자가 단말기(30)에 탑재된 사진 정리 프로그램(40)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우선, 시설물 표시부(3)는 시설물에 대한 도면 또는 시설물을 스캔한 사진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저장하게 된다.
또한, 상기 시설물 표시부(3)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작업자 또는 점검자가 점검시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크기로 섹터를 분할하여 다수의 시설물 블록부(4)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시설물 블록부(4)의 생성은 시설물 표시부(3)의 가로, 세로 길이를 인지한 상태에서 일정 길이로 섹터를 나눌 수도 있고, 작업자 또는 점검자가 가로, 세로의 칸수를 지정하여 나눌 수도 있다.
특히, 시설물 블록부(4)의 생성시에는 실제 시설물에 설치되어 있는 위치표시부(2)를 기준으로 하여 위치표시부(2) 내에서 일정한 규칙에 의해 다수의 섹터로 분할하여 작업할 수 있다.
이때에, 본 발명에서는 단말기(30)가 휴대용 무선통신 단말기(31)와 컴퓨터(32)를 포함하게 되는데, 작업의 용이성을 위해 컴퓨터(32)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이 좋다.
한편, 상기 데이터 저장단계 이후 검검자는 단말기(30)를 휴대한 후 점검하고자 하는 시설물의 점검이 이루어지게 되며, 시설물(3) 중 손상부위가 발견된면 단말기(30)의 사진 정리 프로그램(40)을 구동시킨 후 시설물 블록부 선택기능(42)을 통해 점검자가 위치한 손상부위가 발생한 시설물의 위치를 특정한 후에 사진촬영기능(41)을 활성화하여 사진을 촬영(사진촬영단계)한다.
이때에, 상기 사진촬영기능(41)을 통한 사진촬영은 다양한 각도, 줌인, 줌아웃을 통해 손상부위를 촬영할 수 있으며, 위의 사진촬영단계는 시설물을 점검하면서 동일 반복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특히, 본 단계에서의 사진 정리 프로그램(40)에는 손상부위 선택기능(43)이 더 포함되어 있어 사진촬영기능(41)을 통한 사진촬영시 손상부위 선택기능(41)을 이용해 손상부위에 대한 내용을 선택할 수 있다.
만약, 미리 정해놓은 손상부위의 내용에 점검시 발생한 손상부위에 대한 내용이 없을 경우 사용자 설정을 통해 점검자가 직접 손상부위에 대한 내용을 기재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사진촬영을 반복적으로 실시하여 시설물 내의 손상부위에 대한 사진촬영을 완료하도록 한다.
여기서, 본 단계에서는 시서물(1) 점검을 위해 이동하면서 사진을 촬영하여야 하기 때문에 단말기(30)는 휴대가 편하고 사진촬영이 가능한 휴대용 무선통신 단말기(31)를 이용하는 것이 좋다.
그런 후, 시설물의 점검이 완료되면 사진 정리 프로그램(40)을 통해 촬영한 위치정보 및 손상내용이 포함된 사진데이터를 서버(10)를 통해 데이터베이스(20)에 저장하게 된다.
여기서, 시설물의 점검시 사진촬영은 여러번 반복적으로 촬영하기 때문에 하나의 손상부위에 적게는 수십장에서 많게는 백여장 가까이 촬영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사진촬영단계 이후에 사진 정리 프로그램(40)의 사진선별기능(44)을 이용하여 사용하고자 하는 사진만을 선택할 수 있는 사진선별단계를 도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사진 선별작업이 완료되면 사진데이터는 단말기(30)에 저장됨은 물론, 사진 정리 프로그램(40)을 이용하여 서버(10)를 통해 데이터베이스(20)에 저장된다.
따라서, 점검자는 시설물 점검시 손상부위의 사진을 촬영할 때에 시설물 블록부(4)의 선택과 손상부위 선택 및 사진선별기능(44)을 통한 사진 선별작업만을 실시하게 되면 자동으로 사진이 정리되어 작업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되는것이다.
특히, 기존 시설물에 설치되는 위치를 표시하기 위한 위치표시부(2)를 기준으로 하여 시설물 블록부(4)를 분할하여 생성하였기 때문에 시설물이 통신 및 GPS 등이 어려운 난청지역이더라도 정확한 위치를 파악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사진 정리 프로그램(40)의 리포트 작성기능(45)을 이용하여 관공서 및 상급기관 등에 제출할 리포트를 자동으로 작업 가능하기 때문에 작업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상술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대해 기재한 것이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음은 본 발명에 속하는 통상의 기술자들에게 있어서 자명한 사항임을 명시한다.
2 : 시설물의 위치표시부
3 : 시설물 표시부 4 : 시설물 블록부
10 : 서버
20 : 데이터베이스
30 : 단말기
31 : 휴대용 무선통신 단말기 32 : 컴퓨터
40 : 사진 정리 프로그램
41 : 사진촬영기능 42 : 시설물 블록부 선택기능
43 : 손상부위 선택기능 44 : 사진선별기능 45 : 리포트 작성기능
50 : 시설물 점검용 사진 정리시스템

Claims (16)

  1. 서버;
    점검하고자 하는 시설물의 구조에 대한 시설물 표시부와 상기 점검하고자 하는 시설물에 대한 시설물 표시부를 다수의 섹터로 분할하여 형성한 다수의 시설물 블록부를 포함하는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베이스;
    상기 서버를 통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시설물 표시부 및 시설물 블록부를 저장하되,
    점검하고자 하는 시설물의 손상부위를 사진 촬영할 수 있는 사진촬영기능과,
    사진 촬영시 손상부위가 발생한 위치의 시설물 블록부를 선택할 수 있는 시설물 표시부 선택 기능이 포함하며,
    시설물 블록부를 통한 시설물 내에서 손상부위 위치에 대한 정보가 포함된 사진데이터를 저장 및 서버를 통해 데이터베이스에 전송할 수 있는 사진 정리 프로그램이 탑재된 사진촬영이 가능한 단말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시설물에 대한 시설물 표시부 및 시설물 블록부는 단말기에 탑재된 사진 정리 프로그램을 이용해 작업자 또는 점검자가 생성하여 저장하고,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시설물 표시부를 섹터로 분할한 다수의 시설물 블록부는 해당 시설물에 표기된 위치표시부를 기준으로 하여 위치표시부 내에서 작업자 또는 점검자가 다수의 섹터로 분할하는 것에 특징이 있는 시설물 점검용 사진 정리시스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시설물 표시부는 시설물의 도면 또는 시설물을 스캔한 사진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에 특징이 있는 시설물 점검용 사진 정리시스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에 탑재된 사진 정리 프로그램은 사진 촬영시 시설물의 손상내용을 선택할 수 있는 손상내용 선택기능을 포함하여 사진데이터에 손상내용이 포함되어 저장되는 것에 특징이 있는 시설물 점검용 사진 정리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는 휴대용 무선통신 단말기 및 컴퓨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에 특징이 있는 시설물 점검용 사진 정리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에 탑재된 사진 정리 프로그램에는 사진데이터를 선별하는 사진선별기능이 더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에 특징이 있는 시설물 점검용 사진 정리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에 탑재된 사진 정리 프로그램에는 사용자가 설정한 하나 이상의 리포트 폼을 통해 리포트를 작성할 수 있는 리포트 작성기능이 더 포함되는 것에 특징이 있는 시설물 점검용 사진 정리시스템.
  9. 제1항의 시설물 점검용 사진 정리시스템을 이용한 시설물 점검용 사진의 정리 방법에 있어서,
    서버를 통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시설물 표시부 및 시설물 블록부를 단말기의 사진 정리 프로그램을 통해 단말기에 전송받아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단계;
    상기 사진 정리 프로그램이 탑재된 단말기를 이용해 시설물의 손상부위를 촬영하되, 손상부위의 촬영시 사진 정리 프로그램을 통해 점검자가 위치한 시설물 블록부를 선택해 위치를 설정하여 사진을 촬영하는 사진촬영단계;
    상기 촬영된 사진을 저장 및 서버를 통해 데이터베이스에 전송하는 사진데이터 전송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데이터 저장단계 이전에 시설물 표시부 및 시설물 블록부를 단말기에 탑재된 사진 정리 프로그램을 이용해 작업자가 생성하여 저장하는 점검자 또는 작업자 데이터 생성단계;가 더 포함되어 구성되고,
    상기 데이터 저장단계에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시설물 표시부를 섹터로 분할한 다수의 시설물 블록부는 해당 시설물에 표기된 위치표시부를 기준으로 하여 위치표시부 내에서 작업자 또는 점검자가 다수의 섹터로 분할하는 것에 특징이 있는 시설물 점검용 사진 정리시스템을 이용한 시설물 점검용 사진의 정리 방법.
  10. 삭제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저장단계에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시설물 표시부는 시설물의 도면 또는 시설물을 스캔한 사진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에 특징이 있는 시설물 점검용 사진 정리시스템을 이용한 시설물 점검용 사진의 정리 방법.
  12. 삭제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사진촬영단계에서 단말기에 탑재된 사진 정리 프로그램은 사진 촬영시 시설물의 손상내용을 선택할 수 있는 손상내용 선택기능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에 특징이 있는 시설물 점검용 사진 정리시스템을 이용한 시설물 점검용 사진의 정리 방법.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사진촬영단계에서의 단말기는 휴대용 무선통신 단말기 및 컴퓨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에 특징이 있는 시설물 점검용 사진 정리시스템을 이용한 시설물 점검용 사진의 정리 방법.
  15.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사진촬영단계 이후 단말기에 탑재된 사진 정리 프로그램에는 사진데이터를 선별하는 사진선별기능을 통해 사진을 선별하는 사진선별단계가 더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에 특징이 있는 시설물 점검용 사진 정리시스템을 이용한 시설물 점검용 사진의 정리 방법.
  16.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사진촬영단계 이후 단말기에 탑재된 사진 정리 프로그램에는 사용자가 설정한 하나 이상의 리포트 폼을 통해 리포트를 작성하는 리포트 작성기능을 이용해 리포트를 제작하는 리포트 제작단계;가 더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에 특징이 있는 시설물 점검용 사진 정리시스템을 이용한 시설물 점검용 사진의 정리 방법.
KR1020200059048A 2020-05-18 2020-05-18 시설물 점검용 사진 정리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시설물 점검용 사진의 정리 방법 KR1021932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9048A KR102193260B1 (ko) 2020-05-18 2020-05-18 시설물 점검용 사진 정리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시설물 점검용 사진의 정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9048A KR102193260B1 (ko) 2020-05-18 2020-05-18 시설물 점검용 사진 정리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시설물 점검용 사진의 정리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93260B1 true KR102193260B1 (ko) 2020-12-22

Family

ID=740867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9048A KR102193260B1 (ko) 2020-05-18 2020-05-18 시설물 점검용 사진 정리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시설물 점검용 사진의 정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93260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34979A (ko) * 2015-09-21 2017-03-30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건축물 안전점검 및 정밀진단 앱을 탑재한 모바일 피씨 기반의 장치
KR102039666B1 (ko) * 2018-08-06 2019-11-01 (주)바인테크 사고예방용 시설물 안전점검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34979A (ko) * 2015-09-21 2017-03-30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건축물 안전점검 및 정밀진단 앱을 탑재한 모바일 피씨 기반의 장치
KR102039666B1 (ko) * 2018-08-06 2019-11-01 (주)바인테크 사고예방용 시설물 안전점검 시스템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04016B1 (ko) 3차원 기반의 시설물 안전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2298260B1 (ko) 증강현실 기반의 시공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시공관리 방법
KR102080462B1 (ko) 딥러닝에 기반한 도로 안전 진단과 관리 방법 및 시스템
KR101909212B1 (ko) 시설물 안전점검 시스템 및 방법
CN109697326B (zh) 道路病害的处理方法、装置、计算机设备和存储介质
US8527550B1 (en) Bridge inspection diagnostic system
KR102238193B1 (ko) 증강현실에 기반하여 공사 정보 및 유지관리 정보를 관리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서버
CN109813219B (zh) 对既有结构检测鉴定加固信息采集和处理的方法及系统
KR20170034979A (ko) 건축물 안전점검 및 정밀진단 앱을 탑재한 모바일 피씨 기반의 장치
JP2009193407A (ja) 工事管理システム
JP2016126769A (ja) 検査結果出力装置、検査結果出力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4677295B2 (ja) 現場調査報告作成支援システム
KR101606002B1 (ko) 정보통신기술 기반의 시설물 안전점검 및 유지관리 방법
WO2015113568A1 (en) Construction site image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KR102559631B1 (ko) 시설물 점검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시설물 점검방법
JP2020154466A (ja) コンクリート構造物管理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コンクリート構造物の管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2193260B1 (ko) 시설물 점검용 사진 정리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시설물 점검용 사진의 정리 방법
KR20210116353A (ko) 외관조사망도에 기반한 상태평가 장치 및 방법
KR102229423B1 (ko) 3차원 bim 모델과 접목된 외관망도의 손상 특징, 3차원 위치와 크기 정보를 파라미터로 가지는 외관 조사망도 구축 시스템 및 코드화 표현방법
US8866637B1 (en) Data collection process for optical leak detection
JP7112277B2 (ja) 遠隔立会システム、及び遠隔立会方法
KR102387717B1 (ko) 드론 촬영 및 사진첩 기법을 이용한 시설물 손상 진단 및 점검방법
JP2009217694A (ja) 検査システム
JP2020154467A (ja) コンクリート構造物管理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コンクリート構造物の管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5774449A (en) Multimedia-based decision support system for hazards recognition and abate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