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98260B1 - 증강현실 기반의 시공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시공관리 방법 - Google Patents

증강현실 기반의 시공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시공관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98260B1
KR102298260B1 KR1020200160456A KR20200160456A KR102298260B1 KR 102298260 B1 KR102298260 B1 KR 102298260B1 KR 1020200160456 A KR1020200160456 A KR 1020200160456A KR 20200160456 A KR20200160456 A KR 20200160456A KR 102298260 B1 KR102298260 B1 KR 1022982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struction
dedicated application
mobile terminal
augmented reality
bim mod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604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형진
서명배
김두식
Original Assignee
한국건설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건설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건설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2001604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826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82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82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8Constru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0Computer-aided design [CAD]
    • G06F30/10Geometric CAD
    • G06F30/13Architectural design, e.g. computer-aided architectural design [CAAD] related to design of buildings, bridges, landscapes, production plants or roa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006Mixed reality
    • H04M1/72522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32Displays for viewing with the aid of special glasses or head-mounted displays [HM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11/00Details relating to CAD techniques
    • G06F2111/18Details relating to CAD techniques using virtual or augmented reality

Abstract

본 발명은 인터넷으로 연결된 서버를 두고 수행되는 것으로,
건설현장에서 시공관리자가 자신의 이동식단말기에 설치된 전용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고,
상기 이동식단말기의 카메라를 통해 실제 건축구조물을 촬영하면 증강현실을 이용하여 상기 서버상에 저장된 상기 건축구조물과 일치하는 BIM모델이 상기 이동식단말기의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 기반의 시공관리 시스템을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이동식단말기의 카메라를 통해 실제 건축구조물을 촬영하면 증강현실을 이용하여 상기 서버상에 저장된 상기 건축구조물과 일치하는 BIM모델이 촬영된 상기 건축구조물에 중첩되도록 매칭되어 상기 이동식단말기의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 기반의 시공관리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BIM모델은 예정 공기에 따른 순차적인 다수개의 예정 공기 BIM모델로 구성되고,
촬영 날짜 및 시간에 부합하는 해당 예정 공기 BIM모델이 상기 이동식단말기의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므로,
완성부분과 미완성부분을 확인할 수 있어 공정관리 및 시공관리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 기반의 시공관리 시스템을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증강현실 기반의 시공관리 시스템을 이용한 것으로, (1) 상기 시공관리자가 시공관리가 필요한 소정의 위치에서 자신의 이동식단말기에 설치된 전용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는 준비단계;
(2) 상기 전용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해당 프로젝트를 선택하는 프로젝트선택단계;
(3) 상기 카메라를 구동하여 건축구조물을 촬영하는 촬영단계;
(4) 촬영된 상기 구조물에 상기 BIM모델이 증강현실을 통하여 중첩되게 매칭되어 디스플레이되는 매칭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 기반의 시공관리 시스템을 이용한 시공관리 방법을 제공하며,
상기 증강현실 기반의 시공관리 시스템을 이용한 것으로, (1) 상기 시공관리자가 시공관리가 필요한 소정의 위치에서 자신의 이동식단말기에 설치된 전용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는 준비단계;
(2) 상기 전용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해당 프로젝트를 선택하는 프로젝트선택단계;
(3) 상기 카메라를 구동하여 건축구조물을 촬영하는 촬영단계;
(4) 촬영된 상기 구조물에 상기 해당 예정 공기 BIM모델이 증강현실을 통하여 중첩되게 매칭되어 디스플레이되는 매칭단계;
(5) 촬영된 상기 구조물과 상기 해당 예정 공기 BIM모델의 불일치 부분을 분석하여 완성부분과 미완성부분으로 분류하는 하자서치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 기반의 시공관리 시스템을 이용한 시공관리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증강현실 기반의 시공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시공관리 방법{the construction managing system based on augmented reality and the construction management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증강현실기술을 활용하여 건축물 시공관리를 지원하는 전반적인 지원시스템으로,
종래의 방식에서 시공관리자가 도면과 실제 시공된 현장을 시간적 공간적 이격된 상태에서 비교하는 행위는 사용자의 경험과 능력에 크게 좌우되어 일관성이 부족하며, 시간의 경과에 따른 공정도를 별도로 검토해야 해야 하는 문제점과 시공오류의 기록 및 재작업 지시가 공사현장에서 수기로 이루어지고 있어, 지속적인 추적관리가 제대로 이루어지고 있지 않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실내 또는 실외 공간에서 증강현실을 구현 기술, 디지털화된 3차원 건축물 모델의 저장 및 매칭 기술, 시공관리자의 의사결정 지원 기술, 건축물 시공과정의 자동 기록 등을 포함하여, 실제 촬영화면에 해당 예정 공기 BIM모델이 상기 이동식단말기의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므로, 완성부분과 미완성부분을 확인할 수 있어 공정관리 및 시공관리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 기반의 시공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시공관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건설현장에서는 예정대로 공사가 진척되고 있는 지, 설계도서와 같은 치수, 재료 등으로 시공되고 있는 지 등이 시공관리에 있어서 중요하다.
보통 종래의 건설현장의 경우, 건축물 시공 시 시공관리자는 책자 형태로 인쇄된 2D 도면 또는 타블릿 형태의 단말기에서 2D 도면 또는 3D 도면을 확인하고, 도면과 동일하게 건축물이 시공되었는지를 시공관리자의 경험에 의해서 눈으로 확인하고 있다.
그리고 확인한 결과를 사진을 찍어서 관리하고, 도면과 상이한 시공오류 발생 시 구두 또는 문서로 재작업 지시를 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방식에서 시공관리자가 도면과 실제 시공된 현장을 시간적 공간적 이격된 상태에서 비교하는 행위는 사용자의 경험과 능력에 크게 좌우되어 일관성이 부족하며, 시간의 경과에 따른 공정도를 별도로 검토해야 한다.
또한 시공오류의 기록 및 재작업 지시가 공사현장에서 수기로 이루어지고 있어, 지속적인 추적관리가 제대로 이루어지고 있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문헌 1]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936121호 '기상 데이터와 BIM 데이터를 이용한 해상구조물 시공관리 시스템', 2019년01월02일 [문헌 2]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501010호 '인터넷을 이용한 건축 설계, 수ㅇ발주 및 시공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2005년07월04일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서 제시되는 것이다. 그 목적은 실내 또는 실외 공간에서 증강현실을 구현 기술, 디지털화된 3차원 건축물 모델의 저장 및 매칭 기술, 시공관리자의 의사결정 지원 기술, 건축물 시공과정의 자동 기록 등을 포함하여, 실제 촬영화면에 해당 예정 공기 BIM모델이 상기 이동식단말기의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므로, 완성부분과 미완성부분을 확인할 수 있어 공정관리 및 시공관리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 기반의 시공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시공관리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인터넷으로 연결된 서버를 두고 수행되는 것으로,
건설현장에서 시공관리자가 자신의 이동식단말기에 설치된 전용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고,
상기 이동식단말기의 카메라를 통해 실제 건축구조물을 촬영하면 증강현실을 이용하여 상기 서버상에 저장된 상기 건축구조물과 일치하는 BIM모델이 상기 이동식단말기의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 기반의 시공관리 시스템을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이동식단말기의 카메라를 통해 실제 건축구조물을 촬영하면 증강현실을 이용하여 상기 서버상에 저장된 상기 건축구조물과 일치하는 BIM모델이 촬영된 상기 건축구조물에 중첩되도록 매칭되어 상기 이동식단말기의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 기반의 시공관리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BIM모델은 예정 공기에 따른 순차적인 다수개의 예정 공기 BIM모델로 구성되고,
촬영 날짜 및 시간에 부합하는 해당 예정 공기 BIM모델이 상기 이동식단말기의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므로,
완성부분과 미완성부분을 확인할 수 있어 공정관리 및 시공관리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 기반의 시공관리 시스템을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증강현실 기반의 시공관리 시스템을 이용한 것으로, (1) 상기 시공관리자가 시공관리가 필요한 소정의 위치에서 자신의 이동식단말기에 설치된 전용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는 준비단계;
(2) 상기 전용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해당 프로젝트를 선택하는 프로젝트선택단계;
(3) 상기 카메라를 구동하여 건축구조물을 촬영하는 촬영단계;
(4) 촬영된 상기 구조물에 상기 BIM모델이 증강현실을 통하여 중첩되게 매칭되어 디스플레이되는 매칭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 기반의 시공관리 시스템을 이용한 시공관리 방법을 제공하며,
상기 증강현실 기반의 시공관리 시스템을 이용한 것으로, (1) 상기 시공관리자가 시공관리가 필요한 소정의 위치에서 자신의 이동식단말기에 설치된 전용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는 준비단계;
(2) 상기 전용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해당 프로젝트를 선택하는 프로젝트선택단계;
(3) 상기 카메라를 구동하여 건축구조물을 촬영하는 촬영단계;
(4) 촬영된 상기 구조물에 상기 해당 예정 공기 BIM모델이 증강현실을 통하여 중첩되게 매칭되어 디스플레이되는 매칭단계;
(5) 촬영된 상기 구조물과 상기 해당 예정 공기 BIM모델의 불일치 부분을 분석하여 완성부분과 미완성부분으로 분류하는 하자서치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 기반의 시공관리 시스템을 이용한 시공관리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실내 또는 실외 공간에서 증강현실을 구현 기술, 디지털화된 3차원 건축물 모델의 저장 및 매칭 기술, 시공관리자의 의사결정 지원 기술, 건축물 시공과정의 자동 기록 등을 포함하여, 실제 촬영화면에 해당 예정 공기 BIM모델이 상기 이동식단말기의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므로, 완성부분과 미완성부분을 확인할 수 있어 공정관리 및 시공관리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 기반의 시공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시공관리 방법을 제공한다.
도 1 내지 5는 본 발명의 배경 내지 필요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증강현실 기반의 시공관리 시스템을 이용한 시공관리 방법을 순서대로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으로 인한 파급효과를 도시한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증강현실 기반의 시공관리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 9는 도 8을 구체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10 내지 11은 본 발명의 증강현실 기반의 시공관리 시스템의 실시예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사용되는 관련 기술을 도시한 것이다.
도 13은 본 발명으로 인한 파급효과를 다시 도시한 것이다.
도 14 내지 20은 본 발명에서 실제 촬영된 화면과 BIM모델을 각기 다른 화면에 비교하여 도시한 것이다.
도 21 내지 24는 본 발명에서 건축구조물을 촬영하는 이동식단말기의 카메라와 BIM모델이 구현되는 가상의 카메라를 동기화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도 25 내지 28은 전용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여 본 발명을 구현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과 함께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개념이 바람직하게 구현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5는 본 발명의 배경 내지 필요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증강현실 기반의 시공관리 시스템을 이용한 시공관리 방법을 순서대로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으로 인한 파급효과를 도시한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증강현실 기반의 시공관리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 9는 도 8을 구체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10 내지 11은 본 발명의 증강현실 기반의 시공관리 시스템의 실시예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사용되는 관련 기술을 도시한 것이다.
도 13은 본 발명으로 인한 파급효과를 다시 도시한 것이다.
도 14 내지 20은 본 발명에서 실제 촬영된 화면과 BIM모델을 각기 다른 화면에 비교하여 도시한 것이다.
도 21 내지 24는 본 발명에서 건축구조물을 촬영하는 이동식단말기의 카메라와 BIM모델이 구현되는 가상의 카메라를 동기화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도 25 내지 28은 전용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여 본 발명을 구현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증강현실 기반의 시공관리 시스템은,
인터넷으로 연결된 서버를 두고 수행되는 것으로,
건설현장에서 시공관리자가 자신의 이동식단말기에 설치된 전용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고,
상기 이동식단말기의 카메라를 통해 실제 건축구조물을 촬영하면 증강현실을 이용하여 상기 서버상에 저장된 상기 건축구조물과 일치하는 BIM모델이 상기 이동식단말기의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이동식단말기의 카메라를 통해 실제 건축구조물을 촬영하면 증강현실을 이용하여 상기 서버상에 저장된 상기 건축구조물과 일치하는 BIM모델이 촬영된 상기 건축구조물에 중첩되도록 매칭되어 상기 이동식단말기의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BIM모델은 예정 공기에 따른 순차적인 다수개의 예정 공기 BIM모델로 구성되고,
촬영 날짜 및 시간에 부합하는 해당 예정 공기 BIM모델이 상기 이동식단말기의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므로,
완성부분과 미완성부분을 확인할 수 있어 공정관리 및 시공관리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증강현실 기술을 활용하여 시공관리자의 스마트폰과 같은 이동식 단말기 화면을 통해 BIM 모델인 디지털화된 3차원 도면과 실제 시공된 현장 구조물을 서로 겹쳐서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통해 BIM 모델인 디지털화된 3차원 도면과 상이한 구조물을 용이하게 판별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기록, 주석, 저장, 추적관리 기능을 제공하여 시공관리 업무를 지원한다.
이때 도 11과 같이,
이동식 단말기 화면에 예정 공기에 대응하는 해당 예정 공기 BIM모델이 촬영된 건축구조물에 중첩되도록 매칭되어 디스플레이된다.
그리고 시공관리자는 화면을 터치하여 부재 및 부위 별 공사공종과 시공사 그리고 담당자 등을 확인할 수 있으며,
시공과정 중에는 촬영된 건축구조물에 해당 예정 공기 BIM모델이 매칭되므로 시공이 덜된 미완성부분 또는 하자부분, 완성부분 혹은 초과 시공된 부분을 모두 한눈에 확인할 수 있으며, 규격에 어긋난 부분도 한눈에 확인이 가능하다.
즉, 상기 해당 예정 공기 BIM모델은 상기 전용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상기 이동식단말기 화면에 부재 및 부위 별 공사공종과 시공사 그리고 담당자를 디스플레이하여 촬영된 상기 구조물과 상기 해당 예정 공기 BIM모델의 불일치 부분을 분석할 수 있다.
시공종료 후에는 완성된 건축구조물의 실내 또는 실외를 촬영하여 BIM모델과 매칭하므로 시공이 덜된 미완성부분과 완성부분 혹은 초과 시공된 부분을 모두 한눈에 확인할 수 있으며, 규격에 어긋난 부분도 한눈에 확인이 가능하다.
또한 블록 또는 벽돌의 개수, 위치 등 자재의 위치 별 확인도 가능하며, BIM모델에 내재된 질감을 불러와 실제 시공 현장과도 비교할 수 있다.
즉, 상기 해당 예정 공기 BIM모델은 상기 전용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상기 이동식단말기 화면에 미리 저장된 부재의 질감을 디스플레이하여 촬영된 상기 구조물과 상기 해당 예정 공기 BIM모델의 불일치 부분을 분석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시공관리자가 현장에서 공정관리 및 시공관리를 직접할 수도 있으나,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공관리자가 촬영하여 보낸 화면을 그대로 원격으로 본사 관리실에서 대화면에서 확인하여 공정관리 및 시공관리를 할 수 있다.
그리고 현장의 시공관리자 또는 본사 관리실은 화면을 터치하여 부재 및 부위 별 공사공종과 시공사 그리고 담당자 등을 확인하고 담당자를 터치하면 하자부분 또는 미완성부분에 대한 그래픽 및 상세 정보가 담당자에게 실시간으로 전송되게 할 수 있으며,
상기 담당자는 공사지연 사유를 실시간으로 자신의 이동식단말기를 통하여 시공관리자 또는 본사 관리실에 통보할 수 있다.
즉, 상기 담당자가 공사지연 사유를 실시간으로 자신의 이동식단말기를 통하여 시공관리자에게 통보할 수 있도록 상기 전용어플리케이션은 미완성부분 또는 하자부분에 대한 그래픽 및 상세 정보를 담당자에게 실시간으로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이 구현되기 위해서는 미리 구축된 BIM모델에 자재 정보, 단가 정보 등이 미리 탑재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공기 및 공정 정보가 미리 탑재되어 해당 날짜 및 시간에 맞는 해당 예정 공기 BIM모델이 실시간으로 구현되어야 한다.
도 14 내지 20은 본 발명에서 실제 촬영된 화면과 BIM모델을 각기 다른 화면에 비교하여 도시한 것이다.
실제 촬영된 화면과 BIM모델이 중첩되어 매칭될 수도 있고, 도 14 내지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기 별개 화면으로 비교할 수도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증강현실 기반의 시공관리 시스템을 이용한 시공관리 방법을 순서대로 도시한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증강현실 기반의 시공관리 시스템을 이용한 시공관리 방법은,
상기 증강현실 기반의 시공관리 시스템을 이용한 것으로,
(1) 상기 시공관리자가 시공관리가 필요한 소정의 위치에서 자신의 이동식단말기에 설치된 전용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는 준비단계;
(2) 상기 전용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해당 프로젝트를 선택하는 프로젝트선택단계;
(3) 상기 카메라를 구동하여 건축구조물을 촬영하는 촬영단계;
(4) 촬영된 상기 구조물에 상기 BIM모델이 증강현실을 통하여 중첩되게 매칭되어 디스플레이되는 매칭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증강현실 기반의 시공관리 시스템을 이용한 시공관리 방법의 다른 실시예는,
상기 증강현실 기반의 시공관리 시스템을 이용한 것으로,
(1) 상기 시공관리자가 시공관리가 필요한 소정의 위치에서 자신의 이동식단말기에 설치된 전용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는 준비단계;
(2) 상기 전용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해당 프로젝트를 선택하는 프로젝트선택단계;
(3) 상기 카메라를 구동하여 건축구조물을 촬영하는 촬영단계;
(4) 촬영된 상기 구조물에 상기 해당 예정 공기 BIM모델이 증강현실을 통하여 중첩되게 매칭되어 디스플레이되는 매칭단계;
(5) 촬영된 상기 구조물과 상기 해당 예정 공기 BIM모델의 불일치 부분을 분석하여 완성부분과 미완성부분으로 분류하는 하자서치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본 발명은 증강현실을 이용하여 시공관리를 하기 위하여 전용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시공관리자의 이동식단말기가 인터넷으로 서버와 연결되어 수행되는 것으로,
(1) 상기 전용어플리케이션이 구동되는 준비단계;
(2) 상기 전용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해당 프로젝트가 선택되는 프로젝트선택단계;
(3) 상기 전용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상기 이동식단말기에 설치된 카메라가 구동되어 건축구조물이 촬영되는 촬영단계;
(4) 상기 전용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촬영된 상기 구조물에 상기 서버에서 전송된 해당 예정 공기 BIM모델이 증강현실을 통하여 중첩되게 매칭되어 디스플레이되는 매칭단계;
(5) 상기 전용어플리케이션이 촬영된 상기 구조물과 상기 해당 예정 공기 BIM모델의 불일치 부분을 분석하여 완성부분과 미완성부분으로 분류하는 하자서치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해당 예정 공기 BIM모델은 상기 전용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상기 이동식단말기 화면에, 부재 및 부위 별 공사공종과 시공사 그리고 담당자를 디스플레이하며, 미리 저장된 부재의 질감을 디스플레이하여, 촬영된 상기 구조물과 상기 해당 예정 공기 BIM모델의 불일치 부분을 분석할 수 있으며,
상기 담당자가 공사지연 사유를 실시간으로 자신의 이동식단말기를 통하여 시공관리자에게 통보할 수 있도록 상기 전용어플리케이션은 미완성부분 또는 하자부분에 대한 그래픽 및 상세 정보를 담당자에게 실시간으로 전송할 수 있고,
상기 이동식단말기인 스마트폰에 내장된 자이로센서와 카메라를 이용하여 이동 및 회전과 간은 스마트폰의 움직임을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해당 예정 공기 BIM모델을 보고 있는 가상의 화면을 스마트폰의 움직임과 동기화시켜, 실제의 화면과 가상의 화면을 일치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 기반의 시공관리 방법을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시공관리자는 전용어플리케이션이 탑재된 자신의 이동식 단말기인 스마트폰을 들고 시공관리 하고자 하는 위치로 이동한다.
그리고 전용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한다.
전용어플리케이션 UI에서 해당 프로젝트를 선택하여 로딩한다.
해당 층과 실을 선택한다.
BIM 모델과 실제 카메라에 보이는 구조물과의 매칭 과정 실시한다.
이때 매칭과정에서 불일치가 일어나면 BIM 모델을 드래그하여 영점을 맞춘다. (예시 : 붉은색 표시된 벽체 1M 길이만큼, 실제 카메라의 화면에서 손으로 드래그 하여 표시)
이동식단말기인 스마트폰의 자이로센서와 카메라를 이용하여 스마트폰의 움직임(회전, 이동)을 서버로 전송하고, BIM 모델을 보고 있는 가상의 화면을 그 움직임대로 동기화시켜, 결론적으로 실제의 화면과 가상의 화면이 일치하게 한다.
실제 카메라가 촬영중인 화면에 BIM 모델이 겹쳐서 스마트폰의 화면에 출력된다.
전용어플리케이션 UI 하단부에 날짜가 표시되며, 해당 날짜의 BIM 모델을 투영할 수 있다.(BIM 모델은 날짜 정보가 포함)
시공관리자가 BIM 도면과 실제 시공 구조물의 오류를 발견한 경우, 화면상에 스마트펜 등을 활용하여 직접 노트 작성한다.
작성된 노트는 BIM 도면에 저장된 작업자 또는 담당자 연락처로 송부된다.
시공관리자는 현장검측 과정을 모두 녹화할 수 있으며, 녹화된 영상은 서버로 전송되며, 서버에서 프로젝트별, 일자별, 층, 실별 등으로 분류하여 저장한다.
결론으로 본 발명은 상용화된 스마트폰을 활용하여 원격지의 공사현장을 지연 없이 고해상도로 실시간 모니터링하고,
해당 현장의 실시간 영상과 BIM 도면을 동일한 카메라 시점으로 제공함으로써 건설사의 원격 의사결정을 효율적으로 지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시공결과의 체계적인 검토를 통한 건설 품질 신뢰도 및 안전도 향상에 기여하며,
기존 시공검토 체계의 개선으로 시공결과에 대한 면밀한 검토 가능하고,
체계적인 공정관리 기술 도입을 통한 건설 품질 신뢰도 향상에 기여하는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며,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청구범위는 이건 발명의 진정한 범위 내에 속하는 수정 및 변형을 포함한다.

Claims (5)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증강현실을 이용하여 시공관리를 하기 위하여 전용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시공관리자의 이동식단말기가 인터넷으로 서버와 연결되어 수행되는 것으로,
    (1) 상기 전용어플리케이션이 구동되는 준비단계;
    (2) 상기 전용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해당 프로젝트가 선택되는 프로젝트선택단계;
    (3) 상기 전용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상기 이동식단말기에 설치된 카메라가 구동되어 건축구조물이 촬영되는 촬영단계;
    (4) 상기 전용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촬영된 상기 구조물에 상기 서버에서 전송된 해당 예정 공기 BIM모델이 증강현실을 통하여 중첩되게 매칭되어 디스플레이되는 매칭단계;
    (5) 상기 전용어플리케이션이 촬영된 상기 구조물과 상기 해당 예정 공기 BIM모델의 불일치 부분을 분석하여 완성부분과 미완성부분으로 분류하는 하자서치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해당 예정 공기 BIM모델은 상기 전용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상기 이동식단말기 화면에, 부재 및 부위 별 공사공종과 시공사 그리고 담당자를 디스플레이하며, 미리 저장된 부재의 질감을 디스플레이하여, 촬영된 상기 구조물과 상기 해당 예정 공기 BIM모델의 불일치 부분을 분석할 수 있으며,
    상기 담당자가 공사지연 사유를 실시간으로 자신의 이동식단말기를 통하여 시공관리자에게 통보할 수 있도록 상기 전용어플리케이션은 미완성부분 또는 하자부분에 대한 그래픽 및 상세 정보를 담당자에게 실시간으로 전송할 수 있고,
    상기 이동식단말기인 스마트폰에 내장된 자이로센서와 카메라를 이용하여 이동 및 회전과 간은 스마트폰의 움직임을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해당 예정 공기 BIM모델을 보고 있는 가상의 화면을 스마트폰의 움직임과 동기화시켜, 실제의 화면과 가상의 화면을 일치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 기반의 시공관리 방법.
KR1020200160456A 2020-11-25 2020-11-25 증강현실 기반의 시공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시공관리 방법 KR1022982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0456A KR102298260B1 (ko) 2020-11-25 2020-11-25 증강현실 기반의 시공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시공관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0456A KR102298260B1 (ko) 2020-11-25 2020-11-25 증강현실 기반의 시공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시공관리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98260B1 true KR102298260B1 (ko) 2021-09-07

Family

ID=777972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60456A KR102298260B1 (ko) 2020-11-25 2020-11-25 증강현실 기반의 시공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시공관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98260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761641A (zh) * 2021-10-20 2021-12-07 金刚幕墙集团有限公司 幕墙测绘与bim技术结合的一体化下料方法
KR20220156432A (ko) 2021-05-18 2022-11-25 디엘이앤씨 주식회사 딥러닝을 활용한 사진 기반 건축공사 하자 검출 시스템
KR20230055453A (ko) * 2021-10-18 2023-04-26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증강 현실 기반의 건설 현장 안전 점검 장치
KR102568100B1 (ko) 2022-11-24 2023-08-18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증강 현실에 기반한 건축공사 안전관리 지원 시스템 및 방법
CN116703657A (zh) * 2023-08-08 2023-09-05 克拉玛依市鼎泰建设(集团)有限公司 一种基于bim模型的房建工程施工管理系统
KR102616285B1 (ko) * 2022-11-09 2023-12-19 현대엔지니어링 주식회사 건설 공사의 기성 금액 계산 방법 및 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01010B1 (ko) 2000-09-19 2005-07-18 오종혁 인터넷을 이용한 건축 설계, 수·발주 및 시공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20020303A (ko) * 2010-08-30 2012-03-08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증강현실기법을 이용한 건축 구조물 정보 제공 장치, 건축 구조물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건축 구조물 유지 보수 방법
KR20120121634A (ko) * 2011-04-27 2012-11-06 대림산업 주식회사 공정 및 비용 관리를 위한 웹 기반의 bim 시스템 및 그의 운용 방법
KR101936121B1 (ko) 2017-12-13 2019-04-03 지에스건설주식회사 기상 데이터와 bim 데이터를 이용한 해상구조물 시공관리 시스템
KR102088579B1 (ko) * 2018-09-06 2020-04-23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플랜트 시공 단계에서의 클라우드 컴퓨팅 기반 공간 빅데이터 분석 및 시각화를 통한 모바일 플랜트 정도 관리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01010B1 (ko) 2000-09-19 2005-07-18 오종혁 인터넷을 이용한 건축 설계, 수·발주 및 시공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20020303A (ko) * 2010-08-30 2012-03-08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증강현실기법을 이용한 건축 구조물 정보 제공 장치, 건축 구조물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건축 구조물 유지 보수 방법
KR20120121634A (ko) * 2011-04-27 2012-11-06 대림산업 주식회사 공정 및 비용 관리를 위한 웹 기반의 bim 시스템 및 그의 운용 방법
KR101936121B1 (ko) 2017-12-13 2019-04-03 지에스건설주식회사 기상 데이터와 bim 데이터를 이용한 해상구조물 시공관리 시스템
KR102088579B1 (ko) * 2018-09-06 2020-04-23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플랜트 시공 단계에서의 클라우드 컴퓨팅 기반 공간 빅데이터 분석 및 시각화를 통한 모바일 플랜트 정도 관리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56432A (ko) 2021-05-18 2022-11-25 디엘이앤씨 주식회사 딥러닝을 활용한 사진 기반 건축공사 하자 검출 시스템
KR20230055453A (ko) * 2021-10-18 2023-04-26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증강 현실 기반의 건설 현장 안전 점검 장치
KR102539838B1 (ko) 2021-10-18 2023-06-08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증강 현실 기반의 건설 현장 안전 점검 장치
CN113761641A (zh) * 2021-10-20 2021-12-07 金刚幕墙集团有限公司 幕墙测绘与bim技术结合的一体化下料方法
CN113761641B (zh) * 2021-10-20 2023-09-12 金刚幕墙集团有限公司 幕墙测绘与bim技术结合的一体化下料方法
KR102616285B1 (ko) * 2022-11-09 2023-12-19 현대엔지니어링 주식회사 건설 공사의 기성 금액 계산 방법 및 장치
KR102568100B1 (ko) 2022-11-24 2023-08-18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증강 현실에 기반한 건축공사 안전관리 지원 시스템 및 방법
CN116703657A (zh) * 2023-08-08 2023-09-05 克拉玛依市鼎泰建设(集团)有限公司 一种基于bim模型的房建工程施工管理系统
CN116703657B (zh) * 2023-08-08 2023-11-03 克拉玛依市鼎泰建设(集团)有限公司 一种基于bim模型的房建工程施工管理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98260B1 (ko) 증강현실 기반의 시공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시공관리 방법
US11288412B2 (en) Computation of point clouds and joint display of point clouds and building information models with project schedules for monitoring construction progress, productivity, and risk for delays
Han et al. Potential of big visual data and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for construction performance analytics: An exploratory study
US10878634B2 (en) Methods for augmented reality applications
US20230186413A1 (en) Image analysis system
US7042468B2 (en) Text overlay for multi-dimensional construction project models
JP7463315B2 (ja) 設備管理方法、設備管理装置、設備管理プログラム、記録媒体
JP7391317B2 (ja) 情報管理装置、情報管理システム、情報管理方法および情報管理プログラム
US11783580B2 (en) Input apparatus, input method of input apparatus, and output apparatus
CN109697326B (zh) 道路病害的处理方法、装置、计算机设备和存储介质
US20180300552A1 (en) Differential Tracking for Panoramic Images
KR102568100B1 (ko) 증강 현실에 기반한 건축공사 안전관리 지원 시스템 및 방법
JP2009235696A (ja) 建物の経年変化を調査するためのシステム、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20210081971A (ko) 타워 크레인을 이용한 건축물 감리 시스템 및 그 방법
JP6471986B2 (ja) 写真撮影・管理用の携帯式電子デバイス及びプログラム
CN112383745A (zh) 一种基于全景影像的大型集群化施工项目的数字化呈现方法
US20110214085A1 (en) Method of user display associated with displaying registered images
Ostkamp et al. Supporting design, prototyping, and evaluation of public display systems
JP2007004349A (ja) 現場調査報告作成支援システム
KR101375971B1 (ko) 시공 현장의 실시간 관리 장치
CN111242498A (zh) 一种基于建筑信息模型的施工进度管理系统及管理方法
CN114283255A (zh) 一种与工况时序匹配的地下工程巡查全景影像处理方法
CN111985035B (zh) 基于bim的校园还原系统的成果展示方法、装置及存储介质
JP7026438B2 (ja) 既存構造物の管理情報確認システム
WO2023068323A1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