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94649B1 - 스마트 체크리스트를 이용한 건축물 사전점검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스마트 체크리스트를 이용한 건축물 사전점검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94649B1
KR102594649B1 KR1020200031858A KR20200031858A KR102594649B1 KR 102594649 B1 KR102594649 B1 KR 102594649B1 KR 1020200031858 A KR1020200031858 A KR 1020200031858A KR 20200031858 A KR20200031858 A KR 20200031858A KR 102594649 B1 KR102594649 B1 KR 1025946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pection
checklist
check
defect
sm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318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15701A (ko
Inventor
홍종익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홈포유터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홈포유터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홈포유터치
Priority to KR10202000318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4649B1/ko
Publication of KR202101157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157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46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4649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8Construc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TMEASUREMENT OF NUCLEAR OR X-RADIATION
    • G01T1/00Measuring X-radiation, gamma radiation, corpuscular radiation, or cosmic radiation
    • G01T1/16Measuring radiation intensity
    • G01T1/167Measuring radioactive content of objects, e.g. contamin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1Scheduling, planning or task assignment for a person or grou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20Administration of product repair or mainten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30Transforming light or analogous information into electric information
    • H04N5/33Transforming infrared radiation

Abstract

본 발명은 스마트 체크리스트를 이용한 건축물 사전점검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건축물의 설계도면과 부합하는 사전점검 체크항목을 색인하고, 촬영된 영상과 사전점검 체크항목을 매칭시켜 사전점검 체크리스트를 생성하는 스마트 디바이스; 사전점검 대상 건축물에서 열화상 이미지를 측정하여 계측정보를 생성하는 검사장치; 및 정보통신망을 통해 접속된 스마트 디바이스로 사전점검 대상정보를 전송하여 수신한 사전점검 체크리스트를 세대별로 분류하여 저장 및 관리하고, 사전점검 체크리스트에 포함된 보수요청 항목과 대응하는 공사 담당업체를 색인하여 해당 공사 담당업체로 보수요청 항목을 전송하는 관리서버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건축물 입주 전에 시행하는 사전점검을 스마트 디바이스를 통해 수행하고, 검출된 하자내역을 대행사 서버 또는 시공사 서버로 업로드 함으로써, 사전점검을 통해 접수된 세대별 하자내역 검출과 하자보수 접수에 이르는 절차를 전산화하여 정확하고 빠른 처리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스마트 체크리스트를 이용한 건축물 사전점검 시스템 및 그 방법{Building pre-check system and method using smart check list}
본 발명은 스마트 체크리스트를 이용한 건축물 사전점검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건축물 입주 전에 시행하는 사전점검을 스마트 디바이스를 통해 수행하고, 검출된 하자내역을 대행사 서버 또는 시공사 서버로 업로드함에 따라, 사전점검을 통해 접수된 세대별 하자내역 검출과 하자보수 접수에 이르는 절차를 전산화하여 정확하고 빠른 처리가 가능하게 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 시공업체는 신축 건물에 대해서 준공 시점 이전에 건축물에 하자가 있는지를 자체점검하게 되며, 건축물이 분양시 계약사항에 부합하도록 시공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입주자 사전점검을 실시하고 있다.
사전점검이 시작되면 입주자는 해당 건축물에 내방하여 하자가 있는지 여부를 수기로 체크하게 되고, 하자내역을 정리한 기록지를 시공사에게 제출하게 된다.
또한, 시공사는 입주자들로부터 접수한 기록지를 토대로 하자가 발생된 부분의 공사를 담당한 하도급 업체에 재점검 및 보수작업을 지시하여 입주전에 보수하도록 하고 있다.
이처럼 사전점검을 통해 접수된 하자내역에 대한 보수가 완료되면 보수업체는 이를 입주자 및 시공사에 안내하고, 준공허가 승인을 마친 건축물에 세대별로 입주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사전점검은 시공된 건축물이 분양시 계약사항에 부합하도록 시공되었는지 여부를 전문적인 지식이 없는 각 세대원이 점검하게 된다.
이러한 종래의 사전점검 절차에 의하면 건축물 구조나 설계에 대한 지식이 없는 대다수 세대원들이, 사전점검 기간에 하자 여부에 대한 판단을 육안으로 확인이 가능하면서 표면적으로 계약사항과 불일치한 부분만을 고려해 하자내역을 발견할 수밖에 없다. 따라서, 전문가만이 확인 가능한 다수의 하자 내역이 누락되는 문제점이 있다.
즉, 종래에 시행되고 있는 사전점검의 경우, 세대원이 육안으로 확인한 하자내역을 기록지에 수기로 기입해야하는 번거로움이 있고, 하자가 발생한 부위에 스티커를 붙이고 이를 촬영하더라도, 하자 발생 부위와 다수의 촬영 이미지들 간에 매칭이 어려움이 있다.
또한, 하자내역 기록지를 접수한 시공사의 경우, 기록지에 기재된 하자내역에 대한 전산 입력에 많은 시간과 비용이 발생하며, 이때 오기 또는 오타로 인해 누락되거나 잘못된 정보가 입력되어 하자보수 접수에 어려움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출원인은 건축물 입주 전에 시행하는 사전점검을 스마트 디바이스를 통해 수행하고, 검출된 하자내역을 대행사 서버 또는 시공사 서버로 업로드함에 따라, 사전점검을 통해 접수된 세대별 하자내역 검출과 하자보수 접수에 이르는 절차를 전산화하여 정확하고 빠른 처리가 가능한 시스템을 제안하고자 한다.
아울러, 라돈측정기, 공기질 측정기 또는 열화상 카메라 등의 장비를 구비한 전문 검사원과 연계하여 사전점검을 수행함에 따라 일반인이 지나치기 쉬운 부분이나 육안으로 확인하지 못하는 부위까지도 확인함으로써, 빠짐없이 정확한 하자 검출이 가능한 시스템을 제안하고자 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4-0072429호(2004.08.18.공개)
본 발명의 목적은, 건축물 입주 전에 시행하는 사전점검을 스마트 디바이스를 통해 수행하고, 검출된 하자내역을 대행사 서버 또는 시공사 서버로 업로드함으로써, 사전점검을 통해 접수된 세대별 하자내역 검출과 하자보수 접수에 이르는 절차를 전산화하여 정확하고 빠르게 처리하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라돈측정기, 공기질 측정기 또는 열화상 카메라 등의 장비를 구비한 전문 검사원과 연계하여 사전점검을 수행함으로써, 일반인이 지나치기 쉬운 부분이나 육안으로 확인하지 못하는 부위까지도 확인이 가능해 빠짐없이 정확한 하자 검출이 가능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사전점검 내역과 해당 보수내역을 대행사 서버 또는 시공사 서버에 업로드하여 관리함으로써, 원격지에서도 사전점검 및 보수내역에 대한 모니터링이 가능하도록 하는데 있다.
이러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스마트 체크리스트를 이용한 건축물 사전점검 시스템으로서, 건축물의 설계도면과 부합하는 사전점검 체크항목을 색인하고, 촬영된 영상과 사전점검 체크항목을 매칭시켜 사전점검 체크리스트를 생성하는 스마트 디바이스를 포함하되, 스마트 디바이스는 고유 식별ID 인증을 통해 기 생성된 계정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고, 관리서버로부터 수신한 사전점검 대상정보를 고유 식별ID와 매칭시켜 사전점검 인증을 수행하는 점검 인증부; 사전점검 대상정보로부터 배정세대별 사전점검 체크항목을 색인하는 색인부; 및 사전점검 체크항목 중에 어느 하나에 대한 하자발견 검출신호를 입력받는 경우 내장된 카메라를 활성화시켜 촬영한 이미지를, 상기 하자발견 검출신호와 대응하는 사전점검 체크항목과 매칭시켜 사전점검 체크리스트를 생성하는 점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점검부는 디스플레이 중인 사전점검 체크항목 중에 어느 하나에 대한 하자발견 검출신호를 입력받는 경우, 내장된 카메라를 활성화시켜 하자발생 부위를 촬영이 가능하도록 구동시키되, 입력된 촬영신호를 감지하는 경우, 카메라를 제어하여 하자발생 부위를 촬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체크리스트를 이용한 건축물 사전점검 시스템은, 사전점검 대상 건축물에서 열화상 이미지를 측정하여 계측정보를 생성하는 검사장치를 포함하되, 검사장치는 고유 식별ID 인증을 통해 기 생성된 계정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고, 관리서버로부터 수신한 사전점검 대상정보를 고유 식별ID와 매칭시키는 장비사용 인증을 통해 활성화 정보를 생성하는 장비 인증부; 및 장비 인증부로부터 활성화 정보를 인가받은 이후, 스마트 디바이스로부터 사전점검 체크항목 중에 어느 하나에 대한 하자발견 검출신호를 입력받는 경우, 점검 대상을 지향하며 촬영한 열화상 이미지를 하자발견 검출신호와 대응하는 사전점검 체크항목과 매칭시켜 계측정보를 생성하는 열화상 카메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검사장치는 장비 인증부로부터 활성화 정보를 인가받은 이후, 스마트 디바이스로부터 사전점검 체크항목 중에 어느 하나에 대한 하자발견 검출신호를 입력받는 경우, 점검 대상을 지향하며 측정한 라돈 측정데이터를 하자발견 검출신호와 대응하는 사전점검 체크항목과 매칭시키는 라돈 측정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체크리스트를 이용한 건축물 사전점검 시스템은, 정보통신망을 통해 접속된 스마트 디바이스로 사전점검 대상정보를 전송하여 수신한 사전점검 체크리스트를 세대별로 분류하여 저장 및 관리하고, 상기 사전점검 체크리스트에 포함된 보수요청 항목과 대응하는 공사 담당업체를 색인하여 해당 공사 담당업체로 보수요청 항목을 전송하는 관리서버를 포함하되, 관리서버는, 사전점검 체크리스트를 세대별로 분류하여 저장 및 관리하되, 사전점검 체크리스트에 포함된 보수요청 항목과 대응하는 공사 담당업체를 색인하는 데이터베이스; 및 색인된 공사 담당업체의 디바이스로 사전점검 체크리스트에 포함된 보수요청 항목을 전송하는 하자내역 전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데이터베이스는 사전점검 체크리스트에 포함된 하자내역이 동일한 하자내역이 기 설정된 횟수를 초과해 빈번하게 발생한 공사 담당업체 리스트를 색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체크리스트를 이용한 건축물 사전점검 시스템은, 건축물의 설계도면과 부합하는 사전점검 체크항목을 색인하고, 촬영된 영상과 사전점검 체크항목을 매칭시켜 사전점검 체크리스트를 생성하는 스마트 디바이스; 사전점검 대상 건축물에서 열화상 이미지를 측정하여 계측정보를 생성하는 검사장치; 및 정보통신망을 통해 접속된 스마트 디바이스로 사전점검 대상정보를 전송하여 수신한 사전점검 체크리스트를 세대별로 분류하여 저장 및 관리하고, 사전점검 체크리스트에 포함된 보수요청 항목과 대응하는 공사 담당업체를 색인하여 해당 공사 담당업체로 보수요청 항목을 전송하는 관리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시스템을 기반으로 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체크리스트를 이용한 건축물 사전점검 방법은, 관리서버가 스마트 디바이스로 건축물의 설계도면과 부합하는 사전점검 체크항목을 포함하는 사전점검 대상정보를 전송하는 (a) 단계; 스마트 디바이스가 건축물의 설계도면과 부합하는 사전점검 체크항목을 색인하는 (b) 단계; 스마트 디바이스가 촬영된 영상과 체크항목을 매칭시켜 사전점검 체크리스트를 생성하는 (c) 단계; 관리서버가 수신한 사전점검 체크리스트를 세대별로 분류하여 저장 및 관리하는 (d) 단계; 및 관리서버가 사전점검 체크리스트에 포함된 보수요청 항목과 대응하는 공사 담당업체를 색인하여 해당 공사 담당업체로 보수요청 항목을 전송하는 (e)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는, (c) 단계는, 스마트 디바이스가 화면에 디스플레이 중인 사전점검 체크항목 중에 어느 하나에 대한 하자발견 검출신호를 입력받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c-1) 단계; (c-1) 단계의 판단결과, 하자발견 검출신호를 입력받는 경우, 스마트 디바이스가 내장된 카메라를 활성화시켜 촬영이 가능하도록 구동시키는 (c-2) 단계; 및 스마트 디바이스가 촬영된 이미지를 하자발견 검출신호와 대응하는 사전점검 체크항목과 매칭시켜 사전점검 체크리스트를 생성하는 (c-3)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e) 단계는 관리서버가 사전점검 체크리스트에 포함된 보수요청 항목과 대응하는 공사 담당업체를 색인하는 (e-1) 단계; 관리서버가 색인된 공사 담당업체의 디바이스로 사전점검 체크리스트에 포함된 보수요청 항목을 전송하는 (e-2) 단계; 및 관리서버가 사전점검 대상정보, 사전점검 체크항목, 사전점검 체크리스트, 계측정보 및 보수요청 항목을 기 설정된 관리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e-3)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건축물 입주 전에 시행하는 사전점검을 스마트 디바이스를 통해 수행하고, 검출된 하자내역을 대행사 서버 또는 시공사 서버로 업로드 함으로써, 사전점검을 통해 접수된 세대별 하자내역 검출과 하자보수 접수에 이르는 절차를 전산화하여 정확하고 빠른 처리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라돈측정기, 공기질 측정기 또는 열화상 카메라 등의 장비를 구비한 전문 검사원과 연계하여 사전점검을 수행함으로써, 일반인이 지나치기 쉬운 부분이나 육안으로 확인하지 못하는 부위까지도 확인이 가능해 빠짐없이 정확한 하자 검출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전점검 내역과 해당 보수내역을 대행사 서버 또는 시공사 서버에 업로드하여 관리함으로써, 원격지에서도 사전점검 및 보수내역에 대한 모니터링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체크리스트를 이용한 건축물 사전점검 시스템을 도시한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체크리스트를 이용한 건축물 사전점검 시스템의 스마트 디바이스를 도시한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체크리스트를 이용한 건축물 사전점검 시스템의 검사장치를 도시한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체크리스트를 이용한 건축물 사전점검 시스템의 관리서버를 도시한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체크리스트를 이용한 건축물 사전점검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체크리스트를 이용한 건축물 사전점검 방법의 제S504단계에 대한 세부과정을 도시한 순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체크리스트를 이용한 건축물 사전점검 방법의 제S506단계에 대한 세부과정을 도시한 순서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체크리스트를 이용한 건축물 사전점검 방법의 제S510단계에 대한 세부과정을 도시한 순서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체크리스트를 이용한 건축물 사전점검 방법의 제S502단계 이후에 수반되는 검사장치 운용과정을 도시한 순서도.
본 발명의 구체적인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 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관련된 공지 기능 및 그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였음에 유의해야 할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체크리스트를 이용한 건축물 사전점검 시스템(S)은, 건축물의 설계도면과 부합하는 사전점검 체크항목을 색인하되, 촬영된 영상과 사전점검 체크항목을 매칭시켜 사전점검 체크리스트를 생성하는 스마트 디바이스(100)와, 사전점검 대상 건축물에서 측정한 열화상 이미지, 라돈 수치 또는 공기질 수치 중에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계측정보를 생성하는 검사장치(200), 및 정보통신망을 통해 접속된 스마트 디바이스(100)로 사전점검 대상정보를 전송하여 수신한 사전점검 체크리스트를 세대별로 분류하여 저장 및 관리하고, 사전점검 체크리스트에 포함된 보수요청 항목과 대응하는 공사 담당업체를 색인하여 해당 공사 담당업체로 보수요청 항목을 전송하는 관리서버(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하에서는 그 구체적인 언급을 생략하겠으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체크리스트를 이용한 건축물 사전점검 시스템(S)은, 정보통신망을 통해 접속된 서버와 통신이 가능한 스마트 디바이스(스마트폰 또는 태블릿 중에 어느 하나)에 설치되고, 온라인을 통해 배포되어 설치되는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구동된다.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체크리스트를 이용한 건축물 사전점검 시스템(S)의 스마트 디바이스(100)에 대한 세부 구성을 살피면 아래와 같다.
구체적으로, 스마트 디바이스(100)는 고유 식별ID 인증을 통해 기 생성된 계정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고, 관리서버(300)로부터 수신한 사전점검 대상정보를 고유 식별ID와 매칭시켜 사전점검 인증을 수행하는 점검 인증부(102)와, 점검 인증부(102)로부터 인가받은 사전점검 대상정보로부터 배정세대별 사전점검 체크항목을 색인하는 색인부(104), 및 사전점검 체크항목 중에 어느 하나에 대한 하자발견 검출신호를 입력받는 경우, 내장된 카메라를 활성화시켜 촬영한 이미지를 하자발견 검출신호와 대응하는 사전점검 체크항목과 매칭시켜 사전점검 체크리스트를 생성하는 점검부(10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하자발견 검출신호란 사전점검 체크항목들 중에 어느 하나의 항목에 대해 하자를 발견하는 경우, 점검자가 화면에 디스플레이된 해당 항목을 터치하여 하자가 발견되었음을 입력받는 신호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인증부(102)는 관리서버(300)로부터 사전점검 대상정보를 수신하고 고유 식별ID와 비밀번호를 입력받아 기 등록된 점검자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며, 사전점검 대상정보에 포함된 배정세대와 인증된 고유 식별ID가 사전에 등록된 경우, 사전점검 인증을 완료하고 인증된 고유 식별ID가 배정세대와 매칭되어 사전에 등록되지 않은 경우 사전점검 인증을 불허하도록 구성된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싱예에 따른 인증부(102)는 단순히 점검자 인증만을 수행하는 것이 아니라, 인증된 점검자일 지라도 사전에 등록되어 배정된 세대에 국한하여 사전점검이 이루어지도록 이중 인증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이에 따라 사전점검 절차의 중복 수행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색인부(104)는 인증부(102)로부터 인가받은 사전점검 대상정보에 포함된 사전점검 체크항목을 배정세대별로 색인하여 화면에 디스플레이 하고, 사전점검 체크항목에는 점검시간, 배정세대, 세대 연락처, 검사세대 평면도, 동선(검사순서), 또는 체크리스트 중에 어느 하나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색인부(104)는 인증부(102)로부터 인가받은 사전점검 대상정보에 포함된 사전점검 체크항목을 색인하거나, 정보통신망을 통해 접속된 관리서버(300) 조회를 통해 추가/수정에 의해 갱신된 사전점검 체크항목을 색인할 수 있다.
그리고, 점검부(106)는 점검자의 조작을 통해 화면에 디스플레이 중인 사전점검 체크항목 중에 어느 하나에 대한 하자발견 검출신호를 입력받는 경우, 내장된 카메라를 활성화시켜 하자발생 부위를 촬영이 가능하도록 구동시키고, 점검자의 조작을 통해 입력된 촬영신호를 감지하는 경우, 카메라를 제어하여 하자발생 부위를 촬영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점검부(106)는 하자발견 검출신호를 입력받아 카메라를 활성화시킨 이후, 점검자에 의한 별도의 조작 없이 기 설정된 시간 동안의 카운팅 이후 자동으로 촬영하도록 카메라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점검부(106)는 촬영된 이미지를 하자발견 검출신호와 대응하는 사전점검 체크항목과 매칭시켜 사전점검 체크리스트를 생성하고, 생성한 사전점검 체크리스트를 고유 식별ID와 함께 관리서버(300)로 전송한다.
더불어, 스마트 디바이스(100)는 정보통신망을 통해 접속된 프린터를 통해 점검부(106)에 의해 생성된 사전점검 체크리스트를 서면으로 출력하도록 구성되고, 관리서버(300)와 접속하여 사전점검이 이뤄진 이후에도 지속적인 보수완료 내역 및 추가적인 하자검출 업로드가 가능하며, 파일로 저장하여 공유할 수 있다.
아울러, 스마트 디바이스(100)는 검사원 검사 품질 평준화를 위해 생성된 차트 또는 사전점검 체크리스트 기반 검사 시에 검사방법, 유의사항, 적출요령 및 누적데이터 사진을 제시하여 검사원의 하자적출을 가이드 하도록 구성된다.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체크리스트를 이용한 건축물 사전점검 시스템(S)의 검사장치(200)에 대한 세부 구성을 살피면 아래와 같다.
구체적으로, 검사장치(200)는 고유 식별ID 인증을 통해 기 생성된 계정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고, 관리서버(300)로부터 수신한 사전점검 대상정보를 고유 식별ID와 매칭시키는 장비사용 인증을 통해 활성화 정보를 생성하는 장비 인증부(202)와, 장비 인증부(202)로부터 활성화 정보를 인가받은 이후, 스마트 디바이스(100)로부터 사전점검 체크항목 중에 어느 하나에 대한 하자발견 검출신호를 입력받는 경우, 점검 대상을 지향하며 촬영한 열화상 이미지를 하자발견 검출신호와 대응하는 사전점검 체크항목과 매칭시켜 계측정보를 생성하는 열화상 카메라(204)와, 장비 인증부(202)로부터 활성화 정보를 인가받은 이후, 스마트 디바이스(100)로부터 사전점검 체크항목 중에 어느 하나에 대한 하자발견 검출신호를 입력받는 경우, 점검 대상을 지향하며 측정한 라돈 측정데이터를 하자발견 검출신호와 대응하는 사전점검 체크항목과 매칭시켜 계측정보를 생성하는 라돈 측정기(206), 및 장비 인증부(202)로부터 활성화 정보를 인가받은 이후, 스마트 디바이스(100)로부터 사전점검 체크항목 중에 어느 하나에 대한 하자발견 검출신호를 입력받는 경우, 점검 대상을 지향하며 측정한 공기질 데이터를 하자발견 검출신호와 대응하는 사전점검 체크항목과 매칭시켜 계측정보를 생성하는 공기질 측정기(208)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하에서는 그 구체적인 언급을 생략하겠으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검사장치(200)는 장비 인증부(202)를 필수 구성요소로 포함하되, 그밖에 열화상 카메라(204), 라돈 측정기(206) 또는 공기질 측정기(208) 중에 어느 하나의 구성요소는 장비 인증부(202)를 통한 인증 여부에 따라 택일적으로 추가되거나 변경될 수 있다.
또한, 검사장치(200)는 스마트 디바이스(100)와 무선랜, 와이파이(Wi-Fi),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WCDAM, LTE 또는 NR 중에 어느 하나의 무선통신망을 통해 접속되며, 스마트 디바이스(100)로부터 하자발견 검출신호를 입력받는 구성 외에 점검자의 조작을 통해 직접 입력받도록 설계될 수 있다.
그리고, 검사장치(200)는 열화상 카메라(204), 라돈 측정기(206) 또는 공기질 측정기(208) 중에 어느 하나로부터 생성한 계측정보를 무선통신망을 통해 접속된 관리서버(300)로 전송한다.
이때, 계측정보에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열화상 이미지, 라돈 수치 또는 공기질 수치 중에 어느 하나가 포함될 수 있으며, 열화상 이미지의 경우 정지영상 외에 동영상이 포함될 수 있고, 라돈 수치 및 공기질 수치는 계측한 시점에 생성한 값 외에 기 설정된 시간동안의 시계열적인 계측값 또는 평균값이 포함될 수 있고, 계측한 값에 대한 시계열적인 그래프가 포함될 수 있다.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체크리스트를 이용한 건축물 사전점검 시스템(S)의 관리서버(300)에 대한 세부 구성을 살피면 아래와 같다.
구체적으로, 관리서버(300)는 정보통신망을 통해 접속된 스마트 디바이스(100)의 점검 인증부(102) 및 검사장치(200)의 장비 인증부(202)로 사전점검 대상정보를 전송하고, 스마트 디바이스(100)의 색인부(104)로 갱신된 사전점검 체크항목을 전송하며, 점검부(106)로부터 사전점검 체크항목과 매칭된 사전점검 체크리스트를 수신하고, 검사장치(200)로부터 계측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302)와, 통신부(302)로부터 인가받은 사전점검 체크리스트를 세대별로 분류하여 저장 및 관리하되, 사전점검 체크리스트에 포함된 보수요청 항목과 대응하는 공사 담당업체를 색인하는 데이터베이스(304)와, 색인된 공사 담당업체의 디바이스로 사전점검 체크리스트에 포함된 보수요청 항목을 전송하는 하자내역 전송부(306), 및 사전점검 대상정보, 사전점검 체크항목, 사전점검 체크리스트, 계측정보 및 보수요청 항목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함과 동시에 기 설정된 관리자 단말기로 전송하고, 보수요청 항목과 대응하는 보수요청 완료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보수요청 항목을 전송했던 스마트 디바이스(100) 또는 해당 세대주의 단말기로 보수요청 완료정보를 전송하는 모니터링부(308)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부연하면, 통신부(302)는 스마트 디바이스(100) 및 검사장치(200)와 와이파이(Wi-Fi),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WCDAM, LTE 또는 NR 중에 어느 하나의 무선통신망을 통해 접속되어 사전점검 대상정보를 전송하고, 스마트 디바이스(100)로부터 사전점검 체크리스트를 수신하고, 검사장치(200)로부터 계측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통신부(302)는 무선통신망 외에 유선으로도 접속이 가능하며, 사전점검 체크리스트를 서면으로 출력하는 프린터와 접속될 수 있다.
또한, 데이터베이스(304)는 사전점검 체크리스트를 세대별로 분류하여 저장 및 관리함과 더불어, 건축물 명칭별, 분양 일자별, 준공 일자별 또는 공사 담당업체별로 분류하며, 사전점검 체크리스트에 포함된 하자내역이 동일한 하자내역이 기 설정된 횟수를 초과해 빈번하게 발생한 공사 담당업체 리스트를 색인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베이스(304)는 누적 저장된 사전점검 체크리스트들 중에서 다수 적출된 하자내역을 자동으로 색인하여 출력하고 통신부(302)를 통해 스마트 디바이스(100) 또는 세대주의 단말기로 안내할 수 있다.
또한, 하자내역 전송부(306)는 공사 담당업체의 디바이스로 사전점검 체크리스트에 포함된 보수요청 항목을 전송하되, 공사 담당업체의 디바이스로 수신확인 요청정보를 전송하여 수신확인 완료정보를 피드백 받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하자내역 전송부(306)에 의하면, 수신확인 완료정보에 포함된 담당자 연락처 및 하자보수 일정을 피드백 받아 스마트 디바이스(100) 또는 세대주의 단말기로 안내할 수 있다.
그리고, 모니터링부(308)는 공사 담당업체의 디바이스로부터 보수요청 완료정보는 수신하되, 하자내역 전송부(306)에 의해 기 전송된 보수요청 항목과 대응해 하자내역이 완료된 리스트, 촬영된 사진 또는 담당자 연락처 중에 어느 하나가 포함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체크리스트를 이용한 건축물 사전점검 시스템(S)의 관리/운영 파트, 검사원(육안/장비) 및 결과보고서 측면에서의 서비스 운영 절차에 대해 살피면 아래와 같다.
관리/운영 파트
1) 관리/운영 주체가 검사원 계정을 생성하여 인력풀을 관리
2) 검사세대 평면도를 입력하고, 동선(검사순서)을 설정하며, 검사항목을 배치
3) 검사장치의 정상 또는 이상 범위 수치를 사전에 설정
4) 검사원 배정
5) 검사현황 모니터링
검사원(육안)
1) 로그인 후 배정세대 확인/방문 전 전화통화
2) 할당받은 세대 방문
3) 시스템 구동 후 사전 입력된 동선 이동하면 검사시행
4) 검사항목별 이상유무 체크
5) 이상 발견시 모든 하자는 사진 촬영
6) 항목에 없는 하자는 별도 입력(사례 데이터 누적 수집하며 검사항목 추가) / 하자부위 스티커 부착
7) 모든 검사 종료 후 종료 보고
8) 고객 간략 브리핑(보고서 출력하여 고객 전달)
9) 고객 확인 사인
검사원(장비)
1) 로그인 후 배정세대 확인/방문 전 전화통화
2) 할당받은 세대 방문
3) 시스템 구동 후 사전 입력된 동선 이동하면 검사시행
4) 장비 측정 후 수치입력(동시에 핸드폰/패드로 기기 측정결과 촬영)
5) 이상부위 정밀 측정 및 시스템에 이상내용 기록
6) 이상 발견 시 모든 하자는 사진 촬영
7) 항목에 없는 하자는 별도 입력(사례 데이터 누적 수집하며 검사항목 추가) / 하자부위 스티커 부착
8) 모든 검사 종료 후 종료 보고
9) 고객 간략 브리핑(보고서 출력하여 고객 전달)
10) 고객 확인 사인
결과보고서(스마트리포트)
1) 세대 검사 종료 후 현장본부에서 보고서 출력
2) 전문가 정밀 분석 필요시 시스템(관리서버)에서 열람, 수정
3) 사후 검사를 위해 서버 보관
이하,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체크리스트를 이용한 건축물 사전점검 방법에 대해 살피면 아래와 같다.
먼저, 관리서버(300)가 스마트 디바이스(100)로 건축물의 설계도면과 부합하는 사전점검 체크항목을 포함하는 사전점검 대상정보를 전송한다(S502).
이어서, 스마트 디바이스(100)가 건축물의 설계도면과 부합하는 사전점검 체크항목을 색인한다(S504).
뒤이어, 스마트 디바이스(100)가 촬영된 영상과 체크항목을 매칭시켜 사전점검 체크리스트를 생성한다(S506).
이어서, 관리서버(300)가 수신한 사전점검 체크리스트를 세대별로 분류하여 저장 및 관리한다(S508).
그리고, 관리서버(300)가 사전점검 체크리스트에 포함된 보수요청 항목과 대응하는 공사 담당업체를 색인하여 해당 공사 담당업체로 보수요청 항목을 전송한다(S510).
이하,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체크리스트를 이용한 건축물 사전점검 방법의 제S504단계에 대한 세부과정을 살피면 아래와 같다.
제S502단계 이후, 스마트 디바이스(100)가 고유 식별ID 인증을 통해 기 생성된 계정에 대한 인증을 수행한다(S602).
이어서, 스마트 디바이스(100)가 관리서버(300)로부터 수신한 사전점검 대상정보를 고유 식별ID와 매칭시켜 사전점검 인증을 수행한다(S604).
그리고, 스마트 디바이스(100)가 사전점검 대상정보로부터 배정세대별 사전점검 체크항목을 색인한다(S606). 또한, 전술한 S602단계 및 S604단계에서 인증이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 이전단계로 절차를 이행하게 된다.
이하,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체크리스트를 이용한 건축물 사전점검 방법의 제S506단계에 대한 세부과정을 살피면 아래와 같다.
제S504단계 이후, 스마트 디바이스(100)가 화면에 디스플레이 중인 사전점검 체크항목 중에 어느 하나에 대한 하자발견 검출신호를 입력받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702).
제S702단계의 판단결과, 하자발견 검출신호를 입력받는 경우, 스마트 디바이스(100)가 내장된 카메라를 활성화시켜 촬영이 가능하도록 구동시킨다(S704).
그리고, 스마트 디바이스(100)가 촬영된 이미지를 하자발견 검출신호와 대응하는 사전점검 체크항목과 매칭시켜 사전점검 체크리스트를 생성한다(S706).
이하,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체크리스트를 이용한 건축물 사전점검 방법의 제S510단계에 대한 세부과정을 살피면 아래와 같다.
제S508단계 이후, 관리서버(300)가 사전점검 체크리스트에 포함된 보수요청 항목과 대응하는 공사 담당업체를 색인한다(S802).
이어서, 관리서버(300)가 색인된 공사 담당업체의 디바이스로 사전점검 체크리스트에 포함된 보수요청 항목을 전송한다(S804).
그리고, 관리서버(300)가 사전점검 대상정보, 사전점검 체크항목, 사전점검 체크리스트, 계측정보 및 보수요청 항목을 기 설정된 관리자 단말기로 전송한다(S806).
아울러, 전술한 S510단계 이후, 관리서버(300)가 보수요청 항목과 대응하는 보수요청 완료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보수요청 항목을 전송했던 스마트 디바이스(100) 또는 해당 세대주의 단말기로 보수요청 완료정보를 전송하는 절차가 뒤따를 수 있다.
이하,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체크리스트를 이용한 건축물 사전점검 방법의 제S502단계 이후에 수반되는 검사장치 운용과정에 살피면 아래와 같다.
제S502단계 이후, 검사장치(200)가 관리서버(300)로부터 수신한 사전점검 대상정보를 고유 식별ID와 매칭시켜 장비사용 인증을 통해 활성화 정보를 생성한다(S902).
이어서, 검사장치(200)가 스마트 디바이스(100)로부터 사전점검 체크항목 중에 어느 하나에 대한 하자발견 검출신호를 입력받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904).
제S904단계의 판단결과, 하자발견 검출신호를 입력받는 경우, 검사장치(200)가 열화상 이미지 촬영, 라돈 측정 또는 공기질 측정 중에 어느 하나의 기능을 수행하여 계측정보를 생성한다(S906).
그리고, 관리서버(300)가 검사장치(200)로부터 수신한 계측정보를 사전점검 체크리스트별로 저장 및 관리하고, 제S510단계로 절차를 이행한다(S908).
이처럼,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건축물 입주 전에 시행하는 사전점검을 스마트 디바이스를 통해 수행하고, 검출된 하자내역을 대행사 서버 또는 시공사 서버로 업로드 함으로써, 사전점검을 통해 접수된 세대별 하자내역 검출과 하자보수 접수에 이르는 절차를 전산화하여 정확하고 빠른 처리가 가능하다.
뿐만 아니라, 라돈측정기, 공기질 측정기 또는 열화상 카메라 등의 장비를 구비한 전문 검사원과 연계하여 사전점검을 수행함으로써, 일반인이 지나치기 쉬운 부분이나 육안으로 확인하지 못하는 부위까지도 확인이 가능해 빠짐없이 정확한 하자 검출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하고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며, 기술적 사상의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해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 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S: 스마트 체크리스트를 이용한 건축물 사전점검 시스템
100: 스마트카드 디바이스
102: 점검 인증부 104: 색인부
106: 점검부
200: 검사장치
202: 장비 인증부 204: 열화상 카메라
206: 라돈 측정기 208: 공기질 측정기
300: 관리서버
302: 통신부 304: 데이터베이스
306: 하자내역 전송부 308: 모니터링부

Claims (10)

  1. 건축물의 설계도면과 부합하는 사전점검 체크항목을 색인하고, 촬영된 영상과 사전점검 체크항목을 매칭시켜 사전점검 체크리스트를 생성하는 스마트 디바이스;
    사전점검 대상 건축물에서 열화상 이미지를 측정하여 계측정보를 생성하는 검사장치; 및
    정보통신망을 통해 접속된 스마트 디바이스로 사전점검 대상정보를 전송하여 수신한 사전점검 체크리스트를 세대별로 분류하여 저장 및 관리하고, 상기 사전점검 체크리스트에 포함된 보수요청 항목과 대응하는 공사 담당업체를 색인하여 해당공사 담당업체로 보수요청 항목을 전송하는 관리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는,
    고유 식별ID 인증을 통해 기 생성된 계정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고, 관리서버로부터 수신한 사전점검 대상정보를 고유 식별ID와 매칭시켜 사전점검 인증을 수행하는 점검 인증부; 상기 사전점검 대상정보로부터 배정세대별 사전점검 체크항목을 색인하는 색인부; 및 상기 사전점검 체크항목 중에 어느 하나에 대한 하자발견 검출신호를 입력받는 경우 내장된 카메라를 활성화시켜 촬영한 이미지를, 상기 하자발견 검출신호와 대응하는 사전점검 체크항목과 매칭시켜 사전점검 체크리스트를 생성하는 점검부를 포함하고,
    상기 검사장치는,
    고유 식별ID 인증을 통해 기 생성된 계정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고, 관리서버로부터 수신한 사전점검 대상정보를 고유 식별ID와 매칭시키는 장비사용 인증을 통해 활성화 정보를 생성하는 장비 인증부; 및 상기 장비 인증부로부터 활성화 정보를 인가받은 이후,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로부터 사전점검 체크항목 중에 어느 하나에 대한 하자발견 검출신호를 입력받는 경우, 점검 대상을 지향하며 촬영한 열화상 이미지를 상기 하자발견 검출신호와 대응하는 사전점검 체크항목과 매칭시켜 계측정보를 생성하는 열화상 카메라;
    상기 장비 인증부로부터 활성화 정보를 인가받은 이후, 스마트 디바이스로부터 사전점검 체크항목 중에 어느 하나에 대한 하자발견 검출신호를 입력받는 경우, 점검 대상을 지향하며 측정한 라돈 측정데이터를 하자발견 검출신호와 대응하는 사전점검 체크항목과 매칭시키는 라돈 측정기; 및
    장비 인증부로부터 활성화 정보를 인가받은 이후, 스마트 디바이스로부터 사전점검 체크항목 중에 어느 하나에 대한 하자발견 검출신호를 입력받는 경우, 점검 대상을 지향하며 측정한 공기질 데이터를 하자발견 검출신호와 대응하는 사전점검 체크항목과 매칭시켜 계측정보를 생성하는 공기질 측정기;를 포함하고,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사전점검 체크리스트를 세대별로 분류하여 저장 및 관리하되, 사전점검 체크리스트에 포함된 보수요청 항목과 대응하는 공사 담당업체를 색인하는 데이터베이스; 및 색인된 공사 담당업체의 디바이스로 사전점검 체크리스트에 포함된 보수요청 항목을 전송하는 하자내역 전송부를 포함하고,
    상기 색인부는,
    상기 사전점검 체크항목으로 검사방법, 유의사항, 적출요령, 누적데이터 사진 및 동선(검사순서)를 포함하여, 점검자가 신속하고 정확하게 하자를 검출하게 하고,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누적 저장된 사전점검 체크리스트들 중 다수 적출된 하자내역을 자동으로 색인하여 출력하여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에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체크리스트를 이용한 건축물 사전점검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점검부는,
    디스플레이 중인 사전점검 체크항목 중에 어느 하나에 대한 하자발견 검출신호를 입력받는 경우, 내장된 카메라를 활성화시켜 하자발생 부위를 촬영이 가능하도록 구동시키되,
    입력된 촬영신호를 감지하는 경우, 카메라를 제어하여 하자발생 부위를 촬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체크리스트를 이용한 건축물 사전점검 시스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상기 사전점검 체크리스트에 포함된 하자내역이 동일한 하자내역이 기 설정된 횟수를 초과해 빈번하게 발생한 공사 담당업체 리스트를 색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체크리스트를 이용한 건축물 사전점검 시스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200031858A 2020-03-16 2020-03-16 스마트 체크리스트를 이용한 건축물 사전점검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5946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1858A KR102594649B1 (ko) 2020-03-16 2020-03-16 스마트 체크리스트를 이용한 건축물 사전점검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1858A KR102594649B1 (ko) 2020-03-16 2020-03-16 스마트 체크리스트를 이용한 건축물 사전점검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5701A KR20210115701A (ko) 2021-09-27
KR102594649B1 true KR102594649B1 (ko) 2023-10-27

Family

ID=779257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1858A KR102594649B1 (ko) 2020-03-16 2020-03-16 스마트 체크리스트를 이용한 건축물 사전점검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9464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68750B1 (ko) * 2023-03-24 2023-08-24 이형진 아파트 하자 관리 방법 및 아파트 하자 관리 시스템
CN117150097B (zh) * 2023-08-31 2024-03-01 应急管理部大数据中心 一种执法检查清单自动匹配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64074B1 (ko) * 2014-09-17 2015-10-29 주식회사 포스코건설 Bim 기반 공동주택 하자/민원 접수·처리정보 구축 시스템 및 접수·처리정보 처리 방법
KR101665385B1 (ko) * 2016-01-15 2016-10-12 주식회사 아이자랩 휴대용 라돈 측정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1683441B1 (ko) * 2016-05-26 2016-12-07 주식회사 휴다임건축사사무소 모바일 기반의 준공 점검 방법 및 시스템
KR101830121B1 (ko) * 2017-05-22 2018-03-30 주식회사 씨엠엑스건축사사무소 시공 상태 점검 및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이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서버 및 사용자 단말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72429A (ko) 2003-02-12 2004-08-18 주식회사 네오컨텍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건축물 하자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2311532B1 (ko) * 2018-08-27 2021-10-13 조한광 시설물 유지 관리 시스템 및 이의 실행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64074B1 (ko) * 2014-09-17 2015-10-29 주식회사 포스코건설 Bim 기반 공동주택 하자/민원 접수·처리정보 구축 시스템 및 접수·처리정보 처리 방법
KR101665385B1 (ko) * 2016-01-15 2016-10-12 주식회사 아이자랩 휴대용 라돈 측정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1683441B1 (ko) * 2016-05-26 2016-12-07 주식회사 휴다임건축사사무소 모바일 기반의 준공 점검 방법 및 시스템
KR101830121B1 (ko) * 2017-05-22 2018-03-30 주식회사 씨엠엑스건축사사무소 시공 상태 점검 및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이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서버 및 사용자 단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5701A (ko) 2021-09-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378810B (zh) 测量数据的远程共享
EP3746998B1 (en) Safety device inspection
CN106952011B (zh) 一种房地产查勘方法及系统
TWI592906B (zh) Work support system, mobile terminal and work support method
KR102594649B1 (ko) 스마트 체크리스트를 이용한 건축물 사전점검 시스템 및 그 방법
US20150039466A1 (en)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assessing the condition of tangible property that is loaned, rented, leased, borrowed or placed in the trust of another person
JP5867881B2 (ja) 現場管理装置およびシステム
US20150186988A1 (en)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the automatic detection of property features when documenting the condition of tangible property
KR102228403B1 (ko) 차량 정보 수집 시스템 및 방법
KR101335706B1 (ko) 시설물 점검 장치 및 방법
JP2017062606A (ja) 消防用設備の点検システム
JP6174178B1 (ja) 運転整備記録管理システム
US11520793B2 (en) Servicing, diagnosing, logging, and surveying building equipment assets
JP5772360B2 (ja) 端末監視装置及び端末監視システム並びにプログラム
US11138542B2 (en) Confirming field technician work based on photographic time and location device
CN216621410U (zh) 一种无人值守磅房自动称重管理系统
TW201738812A (zh) 維護系統 、維護裝置、維護方法及電腦可讀取記錄媒體
JP2021033626A (ja) 保守管理システム
KR102544533B1 (ko) 전자 펜 기록정보와 사진 이미지 정보 매칭을 통한 대상물 관리시스템
JP2021012499A (ja) 試験結果報告方法及び試験結果報告システム
JP2015022488A (ja) 巡回業務支援システム、巡回業務支援方法及び巡回業務支援システム用プログラム
JP7123513B2 (ja) 検査管理システム
JP7426181B2 (ja) 検査管理システム
JP6912094B2 (ja) 店舗管理システム、及び管理サーバー
KR101835602B1 (ko) 모바일 품질관리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