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11532B1 - 복수 설비 자주보전 시스템 - Google Patents

복수 설비 자주보전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11532B1
KR101811532B1 KR1020160073625A KR20160073625A KR101811532B1 KR 101811532 B1 KR101811532 B1 KR 101811532B1 KR 1020160073625 A KR1020160073625 A KR 1020160073625A KR 20160073625 A KR20160073625 A KR 20160073625A KR 101811532 B1 KR101811532 B1 KR 1018115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pection
facility
check
facility management
faciliti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736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지기헌
Original Assignee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736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1153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15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15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3/00Testing or monitoring of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 G05B23/02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7Strategic management or analysis, e.g. setting a goal or target of an organisation; Planning actions based on goals; Analysis or evaluation of effectiveness of go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1/00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 H04L51/04Real-time or near real-time messaging, e.g. instant messaging [I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arket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 알람, 점검 매뉴얼 관리, 이메일 연동, 조치 이력관리를 통한 점검주기조정 등의 기능을 이용하여 자주보전활동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여주는 복수설비 자주보전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개시된 복수의 설비를 자주보전하기 위하여 상기 복수의 설비 각각에 대응하여 구비되는 복수의 설비관리장치 및 설비관리서버를 포함하는 자주보전시스템의 설비관리서버는 상기 설비관리장치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고, 상기 설비관리장치로부터 수신한 상기 설비의 상태정보 및 점검이력을 저장하는 통신부, 상기 점검이력을 바탕으로 상기 설비의 점검주기를 확립하는 점검주기관리부, 상기 점검주기관리부에서 확립한 상기 설비의 점검주기가 도래하거나(주기점검) 또는 상기 상태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설비의 점검이 필요하다고 판단한 경우(긴급점검) 상기 설비의 점검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설비관리장치로 전달하는 점검요청부, 및 상기 복수의 설비 각각에 대하여 확립된 상기 점검주기를 비교한 결과, 상기 점검주기 간에 차이가 있는 경우 원인분석을 요청하는 점검주기분석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복수의 설비에 대하여 자주보전 활동을 위한 점검 주기를 설비 별 확립하고, 점검 시기에 알람을 생성하여 알려줌으로써 효율적인 자주보전활동이 가능하도록 하여 설비가 최적의 상태에서 효율적으로 사용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Description

복수 설비 자주보전 시스템{Autonomous Maintenance System for a Plural of Facilities}
본 발명은 복수 설비에 대한 자주보전활동을 위한 시스템으로서, 더욱 자세하게는 자동알람, 점검 매뉴얼 관리, 이메일 연동, 점검이력을 바탕으로 한 점검주기조정 등의 기능을 이용하여 자주보전활동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여주는 복수설비 자주보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자주보전활동이란 설비를 운전하는 운전자가 자기 설비에 대해 일상점검, 급유, 부품교환, 수리, 이상의 조기 발견 등을 행하여 설비가 최적의 상태에서 운전될 수 있도록 하는 활동이다. 하지만, 기술의 진보에 따라 설비가 고도화 복잡화됨에 따라 운전자가 설비를 관리하기 어려운 상황에 처하였고 자주보전활동을 적극적으로 하기가 어려워지면서, 설비운전자는 생산하는 것에만 전념하고, 보전부문 관리자가 복수의 설비에 대하여 보전활동을 하게 되었다. 이러한 현실에서 보전활동은 설비를 최적의 상태에서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중요한 활동이며 이러한 보전활동의 효율성을 기하기 위하여 최근 IT 기술과의 결합이 시도되고 있으며 종래의 보전활동에 더하여 설비의 고장을 미리 예측, 진단하거나, 설비 개개의 특성에 맞는 점검 주기를 확립하는 등의 고도의 기술을 실현할 수 있는 보전활동 시스템이 요구되고 있다.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설비의 최적 사용을 위하여 설비의 특성에 맞는 점검주기를 확립하는 복수 설비 자주보전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복수의 설비를 자주보전하기 위하여 상기 복수의 설비 각각에 대응하여 구비되는 복수의 설비관리장치 및 설비관리서버를 포함하는 자주보전시스템의 설비관리서버는 상기 설비관리장치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고, 상기 설비관리장치로부터 수신한 상기 설비의 상태정보 및 점검이력을 저장하는 통신부, 상기 점검이력을 바탕으로 상기 설비의 점검주기를 확립하는 점검주기관리부, 상기 점검주기관리부에서 확립한 상기 설비의 점검주기가 도래하거나(주기점검) 또는 상기 상태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설비의 점검이 필요하다고 판단한 경우(긴급점검) 상기 설비의 점검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설비관리장치로 전달하는 점검요청부, 및 상기 복수의 설비 각각에 대하여 확립된 상기 점검주기를 비교한 결과, 상기 점검주기 간에 차이가 있는 경우 원인분석을 요청하는 점검주기분석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점검주기관리부는 상기 점검이력을 바탕으로 상기 설비의 점검이 실행된 시간 간의 시간간격을 추출하고, 추출한 상기 시간간격의 평균 또는 추출한 상기 시간간격의 최소값을 바탕으로 점검주기를 확립할 수 있고, 또는 상기 점검이력을 바탕으로 상기 주기점검 이후에 상기 긴급점검이 발생하였을 때까지의 시간간격을 추출하고, 추출된 상기 시간간격의 평균 또는 추출한 상기 시간간격의 최소값을 바탕으로 점검주기를 확립할 수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복수의 설비를 자주보전하기 위하여 상기 복수의 설비 각각에 대응하여 구비되는 복수의 설비관리장치 및 설비관리서버를 포함하는 자주보전시스템의 설비관리장치는 상기 설비관리서버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대응하는 설비의 상태를 점검하여 상태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상기 설비관리서버로 전달하는 상태점검부, 및 상기 설비관리서버로부터 수신한 상기 대응하는 설비 점검요청에 따라 상기 대응하는 설비를 점검하고, 점검시간 및 점검결과를 포함하는 점검이력을 생성하여 상기 설비관리서버로 전달하는 점검처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상기 상태정보 및 상기 점검이력 중 적어도 하나를 표시하는 화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점검처리부는 상기 점검이력을 생성하기 위하여 점검결과를 입력하기 위한 점검결과 형식을 상기 화면부에 표시할 수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복수의 설비를 자주보전하기 위하여 상기 복수의 설비 각각에 대응하여 구비되는 복수의 설비관리장치 및 설비관리서버를 포함하는 자주보전시스템의 설비관리서버에서의 제 1 설비에 대한 점검주기 확립 방법은 상기 제 1 설비에 대하여 제조사에서 제시하는 점검주기인 표준주기를 점검주기로 확립하는 단계, 상기 제 1 설비에 대한 점검이력을 수집하는 단계, 및 수집한 상기 점검이력을 바탕으로 새로운 점검주기를 확립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수집한 상기 점검이력을 바탕으로 새로운 점검주기를 확립하는 단계는 상기 점검이력을 바탕으로 상기 제 1 설비의 점검이 실행된 시간 간의 시간간격을 추출하고, 추출한 상기 시간간격의 평균 또는 추출한 상기 시간간격의 최소값을 바탕으로 새로운 점검주기를 확립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고, 또는 상기 점검이력을 바탕으로 상기 제 1 설비에 대한 상기 점검주기에 따른 주기점검 이후에 상기 제 1 설비의 상태를 바탕으로 하여 실행되는 긴급점검이 발생하였을 때까지의 시간간격을 추출하고, 추출된 상기 시간간격의 평균 또는 추출한 상기 시간간격의 최소값을 바탕으로 새로운 점검주기를 확립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복수의 설비를 자주보전하기 위하여 상기 복수의 설비 각각에 대응하여 구비되는 복수의 설비관리장치 및 설비관리서버를 포함하는 자주보전시스템의 설비관리장치에서의 상기 설비관리서버의 점검요청을 처리하는 방법은 상기 점검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점검요청을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 상기 점검요청에 대응되는 점검 매뉴얼을 상기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 점검결과를 입력하기 위한 점검결과 양식을 상기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점검결과 양식을 포함하는 점검이력을 상기 설비관리서버로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복수의 설비에 대하여 자주보전 활동을 위한 점검 주기를 설비 별 확립하고, 점검 시기에 알람을 생성하여 알려줌으로써 효율적인 자주보전활동이 가능하도록 하여 설비가 최적의 상태에서 효율적으로 사용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복수 설비 자주보전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에에 따른 설비관리서버(100)의 구성을 간략하게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설비관리장치(300)의 구성을 간략하게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설비관리서버(100)에서 특정 설비 또는 특정 부품에 대한 점검주기를 확립하는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설비관리장치(300a 내지 300d)에서 설비관리서버(100)의 점검요청을 처리하는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 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어느 부분이 다른 부분의 "위에" 있다고 언급하는 경우, 이는 바로 다른 부분의 위에 있을 수 있거나 그 사이에 다른 부분이 수반될 수 있다. 대조적으로 어느 부분이 다른 부분의 "바로 위에" 있다고 언급하는 경우, 그 사이에 다른 부분이 수반되지 않는다.
제1, 제2 및 제3 등의 용어들은 다양한 부분, 성분, 영역, 층 및/또는 섹션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나 이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들 용어들은 어느 부분, 성분, 영역, 층 또는 섹션을 다른 부분, 성분, 영역, 층 또는 섹션과 구별하기 위해서만 사용된다. 따라서, 이하에서 서술하는 제1 부분, 성분, 영역, 층 또는 섹션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제2 부분, 성분, 영역, 층 또는 섹션으로 언급될 수 있다.
여기서 사용되는 전문 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아래", "위" 등의 상대적인 공간을 나타내는 용어는 도면에서 도시된 한 부분의 다른 부분에 대한 관계를 보다 쉽게 설명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들은 도면에서 의도한 의미와 함께 사용 중인 장치의 다른 의미나 동작을 포함하도록 의도된다. 예를 들면, 도면 중의 장치를 뒤집으면, 다른 부분들의 "아래"에 있는 것으로 설명된 어느 부분들은 다른 부분들의 "위"에 있는 것으로 설명된다. 따라서 "아래"라는 예시적인 용어는 위와 아래 방향을 전부 포함한다. 장치는 90˚ 회전 또는 다른 각도로 회전할 수 있고, 상대적인 공간을 나타내는 용어도 이에 따라서 해석된다.
다르게 정의하지는 않았지만, 여기에 사용되는 기술용어 및 과학용어를 포함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일반적으로 이해하는 의미와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보통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 기술문헌과 현재 개시된 내용에 부합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추가 해석되고,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매우 공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복수 설비 자주보전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복수 설비 자주보전 시스템은 설비관리장치(300a 내지 300d), 설비관리서버(100) 및 데이터베이스(200)를 포함할 수 있다.
설비관리장치(300a 내지 300d)는 운전하는 각 설비(400a 내지 400d)에 대응되어 설비(400a 내지 400d)의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설비에 대한 점검이 행하여진 경우 점검 결과를 입력할 수 있는 장치로서, 설비에 관련하여 수집된 정보를 설비관리서버(100)로 사내망을 통하여 전달할 수 있다. 사내망은 회사 내의 통신기기끼리만 통신할 수 있도록 설치된 망(network)으로서 VPN(Virtual Private Network) 등을 사용하면 다수의 원격지에 소재하는 설비관리장치(300a 내지 300d) 및 설비관리서버(100) 간에 통신할 수 있도록 하여준다. 따라서, 하나의 설비관리서버(100)가 복수 개의 설비관리장치(300a 내지 300d)와 연결되어 복수 개의 설비(400a 내지 400d)에 대한 자주보전활동을 관리할 수 있다.
또한, 설비관리장치(300a 내지 300d)는 자신이 담당하고 있는 설비(400a 내지 400d)에 대한 점검 매뉴얼을 가지고 있어, 운전자의 자주보전활동으로의 설비 점검 시 점검 매뉴얼을 운전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초보 운전자라도 쉽게 자주점검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설비관리서버(100)는 복수의 설비(400a 내지 400d)에 대한 상태정보 및 점검정보를 설비관리장치(300a 내지 300d)로부터 획득하고 이를 바탕으로 각 설비에 대한 점검주기를 확립하고, 점검주기가 도래하면 설비관리장치(300a 내지 300d)에 점검요청 메시지를 전송하여 설비관리장치(300a 내지 300d)가 화면에 보여줌으로써 운전자가 자주점검을 할 수 있도록 하여 주며, 자주점검이 완료된 이후에 설비관리장치(300a 내지 300d)가 보내는 점검결과를 수신하여 데이터베이스(200)에 저장할 수 있다. 이때 설비관리장치(300a 내지 300d)는 이메일(e-mail) 또는 메신저 등을 사용하여 현장관리자에게 점검 결과를 발송할 수도 있다.
설비관리서버(100)는 설비관리장치(300a 내지 300d)로부터 받은 상태정보로부터 점검이 즉시 필요하다는 것을 확인하면 설비관리장치(300a 내지 300d)에 긴급점검을 요청할 수 있다. 일 예로서 운전시 필요한 오일의 양이 최저점 이하라는 상태정보를 수신한 경우, 설비관리서버(100)는 설비관리장치(300a 내지 300d)에 오일을 보충할 것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전송하여 운전자가 설비를 점검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설비관리서버(100)는 설비관리장치(300a 내지 300d)로부터 오는 모든 점검결과, 점검일 및/또는 점검시간 등을 포함하는 점검이력을 데이터베이스(200)에 저장하고 이를 바탕으로 각 설비에 대한 점검주기를 확립할 수 있다. 일 실시 예로서 설비(400a 내지 400d) 중 특정 부품에 대하여 부품공급업자에 의해 제시된 점검주기가 90일이지만 이 부품에 대한 점검일 정보를 분석한 결과 45일 이후에 문제가 발생하여 부품에 대한 점검이 수행되었다는 것을 인식하고 점검주기를 45일로 확립할 수 있다. 그러면 문제가 발생하기 전 점검을 할 수 있고, 그 결과로서 설비를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설비관리서버(100)는 확립된 점검주기를 동일한 부품에 대하여 또는 동일한 설비에 대하여 서로 비교하여 볼 수 있고, 그 결과로서 특정 설비가 동일한 타설비에 비하여 점검주기가 예외적으로 빠른 경우에는 이 특정 설비에 대한 원인분석을 요청할 수 있다. 일 실시 예로서 동일한 설비 A, B에 있어서 설비 A(410)의 필터 교체횟수는 1년에 4회인데 설비 B(440)의 필터 교체횟수는 1년에 16회로 나타난 경우 설비 B의 필터 교체횟수가 왜 이렇게 많은 지에 대하여 분석을 요청할 수 있다. 분석은 전문가 그룹에서 행해질 수 있으며, 분석결과 구조적 차이에 문제가 있다는 것을 확인한다면, 설비 B(440)의 구조적 차이를 개선함으로써 설비 B(440)의 필터 교체횟수를 줄일 수 있을 것이다.
데이터베이스(200)는 설비의 상태정보 및 점검정보 등 모든 필요한 정보를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저장하고자 하는 정보의 양이 많은 경우에는 데이터베이스(200)가 설비관리서버(100) 내에 포함되지 않고 외부에 있을 수 있지만 데이터베이스(200)는 설비관리서버(100)의 일 구성요소로도 존재할 수도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에에 따른 설비관리서버(100)의 구성을 간략하게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설비관리서버(100)는 통신부(110), 점검요청부(120), 점검주기관리부(140), 및 점검주기분석부(150)를 포함할 수 있고, 이에 더하여 데이터베이스(1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110)는 설비관리장치(300a 내지 300d)와 데이터통신을 수행하는 모듈로서 설비관리장치(300a 내지 300d)로부터 오는 설비(400a 내지 400d)의 상태정보나 점검정보 등을 수신할 수 있고, 설비관리서버(100)가 설비관리장치(300a 내지 300d)로 보내는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점검요청부(120)는 설비(400a 내지 400d)의 점검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 점검요청부(120)는 통신부(110)를 통해 획득한 설비(400a 내지 400d)의 상태정보를 바탕으로 긴급 점검이 필요하다고 판단하는 경우 설비점검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생성하여 설비관리장치(300a 내지 300d)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점검요청부(120)는 점검주기관리부(140)에서 확립한 점검주기에 따른 주기가 도래한 설비에 대하여 점검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생성하여 그 설비를 관리하는 설비관리장치(300a 내지 300d)로 전달할 수 있다.
점검주기관리부(140)는 설비의 점검주기를 확립할 수 있다. 이때 특정 설비의 전체를 점검하는 것에 대한 주기일 수도 있고, 특정 설비 내 특정 부품에 대하여 점검을 요청하는 주기일 수도 있다.
점검주기관리부(140)는 특정 설비 또는 특정 부품에 대한 점검이력을 관리한다. 이때의 점검이력은 주기점검에 의한 점검뿐만 아니라 상태정보를 바탕으로 이루어진 긴급 점검에 의한 점검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점검이력에는 점검날짜, 점검시간, 및/또는 점검 결과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점검주기관리부(140)는 점검이력을 바탕으로 특정 설비 또는 특정 부품에 대한 점검이 실행된 시간 간격을 추출하고 이를 이용하여 특정 설비 또는 특정 부품에 대한 점검주기를 평균 시간 간격 또는 최소 시간 간격으로 확립할 수 있다. 또 다른 방법으로 주기점검 이후에 긴급 점검이 발생했을 때까지의 시간 간격만을 추출하고 이를 바탕으로 특정 설비 또는 특정 부품에 대한 점검주기를 확립할 수 있다. 또한 점검주기관리부(140)는 특정 설비 또는 특정 부품의 설치사 또는 제조사에서 제시하는 표준주기를 바탕으로 점검주기를 확립할 수도 있다. 즉 설비의 초기 설치 경우에는 점검이력이 없는바 이때에는 설치사 또는제조사에서 제시하는 표준주기를 점검주기로 확립하고, 이후 점검이력이 쌓이면 점검이력에 맞추어서 점검주기를 다시 확립할 수 있다.
점검주기분석부(150)는 동일한 설비 또는 동일한 부품 간에 확립된 점검주기를 비교, 분석할 수 있다. 복수의 동일한 설비의 점검주기 비교 결과, 특정한 설비에서의 점검주기가 다른 설비의 점검주기와 상당한 차이가 있는 경우에는 그 원인에 대한 분석을 요청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130)는 설비관리장치(300a 내지 300d)에서 오는 상태정보 및 점검이력을 저장할 수 있다. 이때 데이터베이스(130)는 설비관리서버(100) 내에 존재할 수도 있지만, 설비관리서버(100) 외부에 별도로 존재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설비관리장치(300)의 구성을 간략하게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설비관리장치(300)는 통신부(310), 화면부(320), 상태점검부(330), 점검처리부(340)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310)는 설비관리서버(100)와의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여 상태정보, 점검결과정보 등을 받아 설비관리서버(100)로 전송하고, 설비관리서버(100)로부터 점검요청 정보 등을 수신하여 관련된 모듈로 전송할 수 있다.
상태점검부(330)는 설비관리장치(300)가 관리하는 설비의 상태를 점검하고 상태정보를 생성하여 통신부(310)를 통해 설비관리서버(100)로 전달할 수 있다. 동시에 상태점검부(330)는 상태점검부(330)에서 확인한 설비의 상태를 화면부(320)에 표시할 수 있다.
점검처리부(340)는 설비관리서버(100)로부터 오는 점검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여 점검 요청 사항을 화면부(320)에 표시하여 운전자가 점검 요청이 왔음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점검처리부(340)는 운전자에게 이메일 또는 메신저 등을 이용하여 점검 요청을 알려줄 수도 있다. 운전자가 점검을 시작하게 되면 점검에 필요한 매뉴얼을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점검 매뉴얼은 점검방법, 주의사항 등 모든 사항이 신입사원도 쉽게 자주점검을 할 수 있도록 자세히 기록될 수 있다. 또한 점검처리부(340)는 정형화된 점검결과 형식을 화면에 표시하여 운전자가 점검결과를 형식에 맞추어 신뢰성 있게 입력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점검에 의하여 조치가 완료되면 점검결과를 설비관리서버(100)로 전달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점검처리부(340)는 점검결과를 현장관리자에게도 이메일 또는 메신저 등을 이용하여 전달할 수 있다. 그러면 이메일 또는 메신저를 확인한 현장관리자가 직접 점검 부위를 확인하고 즉각적인 피드백(feedback)이 가능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설비관리서버(100)에서 특정 설비 또는 특정 부품에 대한 점검주기를 확립하는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설비관리서버(100)는 특정 설비 또는 특정 부품이 최초 설치된 경우에는 표준주기로 점검주기를 확립할 수 있다. 여기서 표준주기는 특정 설비 또는 특정 부품의 설치사 또는 제조사에서 제시하는 점검 주기일 수 있다. 또는 기존에 운용되었거나 운용 중인 동일한 설비 또는 동일한 부품의 점검 이력으로부터 확립하여 설정한 주기일 수 있다. 일 예로서 제조사에서 제시한 필터의 교체 주기가 1년인 경우 1년을 표준주기로 설정할 수 있다. 또 다른 일 실시 예로서 제조사에서 제시한 필터의 교체 주기는 1년이지만 기존에 사용되고 있던 필터의 점검 이력을 분석해본 결과 14개월 주기로 점검하여도 문제가 없는 것으로 나타나 이 필터에 대한 표준주기를 14개월로 설정할 수 있다.
표준주기를 설정 후 표준주기에 따라 점검을 요청하고 점검이력을 수집(S420)할 수 있다. 점검이력은 점검일, 점검시간, 및/또는 점검결과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확립된 점검주기에 따라 수행되는 주기점검뿐만 아니라 대상 설비 또는 대상 부품의 상태정보를 바탕으로 요청된 긴급점검이 수행된 시간과 점검결과도 점검이력에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수집된 점검이력을 바탕으로 점검주기를 변경(S430)하여 확립할 수 있다. 이때의 변경된 점검주기는 점검이 이루어진 시간 간격을 추출하고, 추출된 시간 간격의 평균, 또는 최소값이 될 수 있다. 또 다른 방법으로 기존에 확립된 점검주기에 따라 수행된 주기점검 이후에 긴급 점검이 발생했을 때까지의 시간 간격만을 추출하고, 추출된 시간 간격의 평균, 또는 최소값을 변경된 점검주기로 확립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설비관리장치(300a 내지 300d)에서 설비관리서버(100)의 점검요청을 처리하는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설비관리장치(300a 내지 300d)는 설비관리서버(100)로부터 점검요청을 수신(S510)하고, 점검요청이 왔음을 화면부(320)에 표시(S520)하여 운전자에게 점검요청이 왔음을 알려준다. 이에 추가적으로 운전자에게 이메일이나 메신저로도 점검요청이 왔음을 알려줄 수 있다. 표시된 점검요청에 대응하여 운전자가 점검을 시작하면 점검 매뉴얼을 화면부(320)에 표시(S530)한다. 점검 매뉴얼은 점검방법, 주의사항 등 모든 사항이 신입사원도 쉽게 자주점검을 할 수 있도록 자세히 기록될 수 있다. 운전자가 점검 매뉴얼에 따라 점검을 진행할 수 있도록 도와줄 수 있다. 그리고 설비관리장치(300a 내지 300d)는 점검결과 형식을 표시(S540)할 수 있다. 점검결과 형식은 점검 매뉴얼과 동시에 표시될 수도 있어 점검 매뉴얼의 각 단계가 진행될 때마다 점검결과 형식에 결과를 기입할 수도 있다. 또 다른 방법으로는 별도로 점검결과 양식을 표시하여 운전자가 점검 후에 점검결과를 양식에 기입하도록 할 수 있다. 이렇게 입력된 점검결과는 설비관리서버(100)로 전달(S550)할 수 있고, 이를 수신한 설비관리서버(100)는 점검이력으로 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여 추후 정비주기 확립에 사용할 수 있다.
전술한 자주점검을 위한 설비관리서버, 설비관리장치, 설비관리 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자주점검 방법을 사용함으로써 좀 더 효율적으로 자주점검이 가능하고 그 결과로서 설비의 최적 사용이 가능하게 될 것이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설비관리서버
110: 설비관리서버의 통신부
120: 설비관리서버의 점검요청부
130: 설비관리서버의 데이터베이스
140: 설비관리서버의 점검주기관리부
150: 설비관리서버의 점검주기분석부
200: 데이터베이스
300, 300a 내지 300d: 설비관리장치
310: 설비관리장치의 통신부
320: 설비관리장치의 화면부
330: 설비관리장치의 상태점검부
340: 설비관리장치의 점검처리부
400a 내지 400d: 설비

Claims (11)

  1. 복수의 설비를 자주보전하기 위하여 상기 복수의 설비 각각에 대응하여 구비되는 복수의 설비관리장치 및 설비관리서버를 포함하는 자주보전시스템의 설비관리서버로서,
    상기 복수의 설비관리장치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고, 상기 복수의 설비관리장치로부터 수신한 상기 복수의 설비의 상태정보 및 점검이력을 저장하는 통신부;
    상기 점검이력을 바탕으로 상기 복수의 설비 각각에 대하여 점검주기를 확립하는 점검주기관리부;
    상기 점검주기관리부에서 확립한 상기 복수의 설비 중 적어도 하나의 점검주기가 도래하거나(주기점검) 또는 상기 상태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복수의 설비 중 적어도 하나의 설비의 점검이 필요하다고 판단한 경우(긴급점검) 설비의 점검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복수의 설비관리장치 중 해당하는 적어도 하나의 설비관리장치로 전달하는 점검요청부; 및
    복수의 동일한 설비 각각에 대하여 확립된 상기 점검주기를 비교한 결과, 상기 점검주기 간에 차이가 있는 경우 전문가 그룹에 원인분석을 요청하는 점검주기분석부; 를 포함하는,
    설비관리서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점검주기관리부는,
    상기 점검이력을 바탕으로 상기 설비의 점검이 실행된 시간 간의 시간간격을 추출하고, 추출한 상기 시간간격의 평균 또는 추출한 상기 시간간격의 최소값을 바탕으로 점검주기를 확립하는,
    설비관리서버.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점검주기관리부는,
    상기 점검이력을 바탕으로 상기 주기점검 이후에 상기 긴급점검이 발생하였을 때까지의 시간간격을 추출하고, 추출된 상기 시간간격의 평균 또는 추출한 상기 시간간격의 최소값을 바탕으로 점검주기를 확립하는,
    설비관리서버.
  4. 복수의 설비를 자주보전하기 위하여 자주보전 시스템으로서,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설비관리 서버; 및
    상기 복수의 설비 각각에 대응하여 구비되는 복수의 설비관리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설비관리장치는,
    상기 설비관리서버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대응하는 설비의 상태를 점검하여 상태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상기 설비관리서버로 전달하는 상태점검부; 및
    상기 설비관리서버로부터 수신한 상기 대응하는 설비 점검요청에 따라 상기 대응하는 설비를 점검하고, 점검시간 및 점검결과를 포함하는 점검이력을 생성하여 상기 설비관리서버로 전달하는 점검처리부; 를 포함하는,
    자주보전 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설비관리장치는,
    상기 상태정보 및 상기 점검이력 중 적어도 하나를 표시하는 화면부를 더 포함하는,
    자주보전 시스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점검처리부는 상기 대응하는 설비에 대한 점검 요청을 상기 대응하는 설비의 운전자에게 알리기 위하여 상기 화면부에 표시하는,
    자주보전 시스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점검처리부는 상기 점검이력을 생성하기 위하여 점검결과를 입력하기 위한 점검결과 형식을 상기 화면부에 표시하는,
    자주보전 시스템.
  8. 복수의 설비를 자주보전하기 위하여 상기 복수의 설비 각각에 대응하여 구비되는 복수의 설비관리장치 및 설비관리서버를 포함하는 자주보전시스템의 자주보전 방법으로서,
    상기 복수의 설비 각각에 대하여 제조사에서 제시하는 점검주기인 표준주기를 점검주기로 확립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설비에 대하여 상태정보 및 점검이력을 수집하는 단계;
    상기 점검이력을 바탕으로 상기 복수의 설비 각각에 대하여 점검주기를 확립하는 단계
    상기 확립한 점검주기가 도래한 설비(주기점검) 또는 상기 상태정보를 바탕으로 점검이 필요하다고 판단된 설비에 대하여 점검을 요청하는 단계;
    점검이 요청되면 해당하는 설비를 점검하고, 점검시간 및 점검결과를 포함하는 점검이력을 생성하는 단계; 및
    복수의 동일한 설비 각각에 대하여 확립된 상기 점검주기를 비교하고, 비교한 점검주기 간에 차이가 있는 경우 전문가 그룹에 원인분석을 요청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자주보전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점검이력을 바탕으로 상기 복수의 설비 각각에 대하여 점검주기를 확립하는 단계는,
    상기 점검이력을 바탕으로 상기 복수의 설비 각각에 대하여 점검이 실행된 시간 간의 시간간격을 추출하고, 추출한 상기 시간간격의 평균 또는 추출한 상기 시간간격의 최소값을 바탕으로 점검주기를 확립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자주보전 방법.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점검이력을 바탕으로 상기 복수의 설비 각각에 대하여 점검주기를 확립하는 단계는,
    상기 점검이력을 바탕으로 상기 복수의 설비 각각에 대하여 상기 점검주기에 따른 주기점검 이후에 상기 상태정보를 바탕으로 하여 실행되는 긴급점검이 발생하였을 때까지의 시간간격을 추출하고, 추출된 상기 시간간격의 평균 또는 추출한 상기 시간간격의 최소값을 바탕으로 점검주기를 확립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자주보전 방법.
  11. 삭제
KR1020160073625A 2016-06-14 2016-06-14 복수 설비 자주보전 시스템 KR1018115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3625A KR101811532B1 (ko) 2016-06-14 2016-06-14 복수 설비 자주보전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3625A KR101811532B1 (ko) 2016-06-14 2016-06-14 복수 설비 자주보전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11532B1 true KR101811532B1 (ko) 2017-12-21

Family

ID=609360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73625A KR101811532B1 (ko) 2016-06-14 2016-06-14 복수 설비 자주보전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1153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1116B1 (ko) * 2018-09-20 2019-10-14 주식회사 이에스피 전기차 충전기의 원격 자가진단 피드백 시스템 및 방법
KR20210046399A (ko) * 2019-10-18 2021-04-28 주식회사 이에스피 피드백을 이용한 전기차 충전소의 자가진단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84712A (ja) 2004-03-30 2005-10-13 Seiko Epson Corp 設備保全管理装置及び設備保全管理方法ならびにそのプログラム
JP2006244006A (ja) 2005-03-02 2006-09-14 Seiko Epson Corp 設備保全管理装置及び設備保全管理方法ならびにそのプログラム、記録媒体
JP2013088828A (ja) 2011-10-13 2013-05-13 Hitachi Ltd リスク評価を用いた設備定期点検支援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84712A (ja) 2004-03-30 2005-10-13 Seiko Epson Corp 設備保全管理装置及び設備保全管理方法ならびにそのプログラム
JP2006244006A (ja) 2005-03-02 2006-09-14 Seiko Epson Corp 設備保全管理装置及び設備保全管理方法ならびにそのプログラム、記録媒体
JP2013088828A (ja) 2011-10-13 2013-05-13 Hitachi Ltd リスク評価を用いた設備定期点検支援システム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1116B1 (ko) * 2018-09-20 2019-10-14 주식회사 이에스피 전기차 충전기의 원격 자가진단 피드백 시스템 및 방법
KR20210046399A (ko) * 2019-10-18 2021-04-28 주식회사 이에스피 피드백을 이용한 전기차 충전소의 자가진단 방법
KR102300207B1 (ko) * 2019-10-18 2021-09-10 주식회사 이에스피 피드백을 이용한 전기차 충전소의 자가진단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026894B (zh) 用于通过工业资产递送自动通知的装置和方法
KR101768810B1 (ko) 풍력단지 통합 제어 모니터링 시스템
KR101789923B1 (ko) 풍력단지 통합제어 모니터링 방법
KR101059061B1 (ko) 스마트 그리드용 시설물 통합 시스템 및 그 방법
CN109507924B (zh) 用于油田作业设备的远程监控系统
CN102124486B (zh) 用于跟踪飞行器状态的设备和相关方法
JP6532603B2 (ja) エレベーター遠隔保守支援システム、およびエレベーター遠隔保守支援方法
US20130282333A1 (en) Service port explorer
US10673684B2 (en) System and method for autonomus data center operation and healing
EP2519931A1 (en) Method and system for enterprise building automation
KR101869697B1 (ko) 사물인터넷을 이용한 발전소 관리시스템 및 방법
CN114787875A (zh) 用于与数据中心运营或云基础设施一起使用虚拟或增强现实的系统和方法
US11423494B2 (en) Plant assistance assessment system and plant assistance assessment method
KR20170097468A (ko)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신재생 에너지 설비의 진단관리방법 및 그 시스템
KR101811532B1 (ko) 복수 설비 자주보전 시스템
CN109392192B (zh) 用于快速通信的scada系统的装置连接的方法以及系统
KR101663504B1 (ko) 스마트 워터 그리드 기반 통합 운영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JP5245990B2 (ja) 通信ネットワークにおける提供サービスの管理システムおよびその方法
US10534360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utomatic detection and classification of industrial alarms
KR101884267B1 (ko) 생산현장의 위협요소 분석을 통한 프로젝트 관리 시스템 및 방법
CN112534139B (zh) 用于从远程平台控制压缩机的操作方面的系统和方法
KR20160108883A (ko) 사물 인터넷과 아이티 기술을 이용한 건물 설비 안전 안전 관리 시스템
TWI665560B (zh) 行動製造管理和優化平台
JP2019057196A (ja) 情報収集装置、情報収集方法
WO2021042233A1 (en) Remote diagnosis system, apparatus and method for power too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