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08883A - 사물 인터넷과 아이티 기술을 이용한 건물 설비 안전 안전 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사물 인터넷과 아이티 기술을 이용한 건물 설비 안전 안전 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08883A
KR20160108883A KR1020150032234A KR20150032234A KR20160108883A KR 20160108883 A KR20160108883 A KR 20160108883A KR 1020150032234 A KR1020150032234 A KR 1020150032234A KR 20150032234 A KR20150032234 A KR 20150032234A KR 20160108883 A KR20160108883 A KR 201601088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management
facility
building
mainten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322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민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올케어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올케어시스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올케어시스템
Priority to KR10201500322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108883A/ko
Publication of KR201601088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0888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7/3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effecting co-operative working between equipments covered by two or more of main groups G06K1/00 - G06K15/00, e.g. automatic card files incorporating conveying and reading oper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건물 설비 관리 시스템은, 관리 대상 건물의 각각의 관리 대상 설비에 부착되며, 각각의 관리 대상 설비의 식별 번호가 수록되는 태그; 각각의 관리 대상 건물 및 각각의 관리 대상 설비에 관한 정보가 기록된 데이터 베이스를 포함하는 관리용 서버 장치; 각각의 관리 대상 건물의 관리 책임자가 보유하며, 관리 대상 설비의 이상 상태를 기록하고, 상기 관리용 서버 장치에 인터넷망 또는 이동통신망으로 연결되어 상기 이상 상태에 관한 정보를 상기 관리용 서버 장치에 송신하는 제1 정보 기기; 및 관리 대상 설비의 보수 담담자가 보유하며, 상기 관리용 서버 장치에 인터넷망 또는 이동통신망으로 연결되어, 상기 관리용 서버 장치로부터 상기 관리 대상 건물의 관리 대상 설비에 대한 보수 요청을 수신하는 제2 정보 기기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건물 설비 관리 시스템{SYSTEM FOR MANAGING FACILITIES OF BUILINGS}
본 발명은 건물 설비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건물에 설치된 각종의 설비에서 이상 상태가 발생하는 경우에의 보수 및 정기 점검 등을 인터넷이나 이동통신망 등의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으로 관리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사무용 빌딩이나 공동 주택에는 냉난방 설비, 조명기구, 승강기 및 각종 배관 등이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사무용 빌딩이나 공동 주택에는 통상 관리자가 상주하면서 각종 설비를 점검하고 이상이 발생하면 직접 해당 설비를 보수하거나 전문적인 보수 전문가에게 보수를 의뢰하기도 한다.
그러나, 대부분의 빌딩 관리자들은 각종 설비에 대한 전문적인 지식을 가진 것이 아니므로 점검이나 고장의 보수 등을 해당 설비의 보수 전문가에게 의뢰하여야 한다. 이러한 과정은 매우 시간 소모적이며 과다한 비용이 발생한다.
더욱이, 대부분의 건물을 관리하는 관리 사무소에는 소수의 관리 인력만을 보유하며, 이들 관리 인력은 설비의 점검이나 보수만이 아니라, 입주자 관리, 주차시설의 관리, 건물의 청소를 포함한 각종 업무를 담당하므로, 건물에 설치된 각종 설비의 목록을 작성하고 해당 설비의 점검 및 이상 발생 여부를 관리하여 기록하는 일은 매우 어려운 일이다.
또한, 빌딩 관리자가 교체되는 경우, 새로운 관리자는 관리 대상 건물의 설비나 건물 구조에 관하여 잘 알지 못하고, 특히 각종 설비에 관한 기록의 부재로 인하여 각종 설비등의 사양이나 점검과 고장 보수의 이력에 대해서 알기 어렵기 때문에, 앞으로 발생하는 각종 이상 상황에 대해 대처하기 어렵고 적절한 점검을 하기도 곤란하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하나의 방안으로서, 특허 제423558호에서는, 건물 내에 설치된 각종 설비에 고장 여부를 체크하는 센서 장치를 설치하고, 이 센서 장치가 고장을 감지한 경우에 해당 건물의 관리 사무소의 서버 장치에 고장 정보가 송신되고, 관리 사무소의 서버 장치가 설비 보수 회사의 서버로 고장 정보를 송신하여 설비 보수 전문 회사의 보수 전문가에게 통보되도록 하는 시스템 및 방법을 제안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특허 제423558호 발명의 제안은 현실에 전혀 부합하지 않고 실현 가능성이 매우 낮다. 건물에 설치되는 각종 설비에 대해서 그 고장 상태를 자동으로 감지하는 센서 장치로서 실용화되어 있는 것은 거의 없으며, 현재 사용 가능한 센서 장치는 몇가지 설비의 작동 유무 정도만을 체크할 수 있을 뿐이다.
더욱이 작동 유무만을 체크하는 센서 장치도 매우 고가이므로, 하나의 건물에 무수히 많이 설치되는 설비들, 예컨대 개별적인 조명 장치나 개별 공간에 사용되는 냉난방 장치 등에 이러한 센서 장치를 부착하는 일은 엄청한 비용이 드는 일이다. 더욱이, 특허 제423558호 발명의 제안에 따르면, 센서 장치는 건물 내의 서버에 설비의 이상 발생 여부를 자동 통보하여야 하므로, 각 센서 장치마다 통신 모듈 및 정보 송수신 계통이 마련되어야 하는데, 이는 센서 장치의 가격을 사용 불가능한 수준으로 높인다.
따라서, 특허 제423558호 발명의 제안은 적어도 현재의 기술 수준에서는 건물의 관리 시스템으로서 적용 불가능하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고려하여, 건물의 설비에 대해 전문적인 지식과 경험을 가진 인력을 보유한 별도의 관리 회사가 이 회사의 서비스에 가입한 건물의설비에 대해 관리를 하는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관리 대상 건물의 실정이나 설비의 현황에 대해 충분한 지식이 없는 사람이 해당 건물을 관리하는 경우에도 설비의 이상 발생이나 정기적인 점검이 원할히 이루어질 수 있는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더욱이, 본 발명에서는 실현 불가능한 센서 등을 통하여 설비의 상태를 모니터링하지 않고도 건물의 설비의 유지 보수가 이루어질 수 있는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는 본 명세서에 첨부된 청구의 범위에 개시된 발명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건물 설비 관리 시스템은, 관리 대상 건물의 각각의 관리 대상 설비에 부착되며, 각각의 관리 대상 설비의 식별 번호가 수록되는 태그; 각각의 관리 대상 건물 및 각각의 관리 대상 설비에 관한 정보가 기록된 데이터 베이스를 포함하는 관리용 서버 장치; 각각의 관리 대상 건물의 관리 책임자가 보유하며, 관리 대상 설비의 이상 상태를 기록하고, 상기 관리용 서버 장치에 인터넷망 또는 이동통신망으로 연결되어 상기 이상 상태에 관한 정보를 상기 관리용 서버 장치에 송신하는 제1 정보 기기; 및 관리 대상 설비의 보수 담담자가 보유하며, 상기 관리용 서버 장치에 인터넷망 또는 이동통신망으로 연결되어, 상기 관리용 서버 장치로부터 상기 관리 대상 건물의 관리 대상 설비에 대한 보수 요청을 수신하는 제2 정보 기기를 포함하고,
상기 관리용 서버 장치의 상기 데이터 베이스에는 관리 대상 건물에 관한 정보, 상기 제1 정보 기기에 관한 정보, 각각의 상기 관리 대상 설비에 관한 정보 및 제2 정보 기기에 관한 정보가 기록되되, 상기 관리 대상 설비에 관한 정보에는 각각의 관리 대상 설비의 식별 번호, 각각의 관리 대상 설비의 이상 상태의 종류 및 보수 담당자에 관한 정보가 포함되며, 상기 관리용 서버 장치는 상기 제1 정보 기기로부터 상기 관리 대상 설비의 이상 상태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데이터 베이스로부터 상기 관리 대상 건물에 관한 정보, 상기 관리 대상 설비에 관한 정보 및 이상 상태의 종류의 정보 및 보수 담당자에 대한 정보를 추출하여 보수 요청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보수 담당자가 보유하는 상기 제2 정보 기기에 상기 보수 요청 신호를 송신하는 것이다.
전술한 본 발명에 따른 건물 설비 관리 시스템에 따른 건물 설비 관리 방법은,
관리 대상 건물의 관리 대상 설비 각각에 식별 번호를 부여하고, 식별 번호가 수록된 태그를 부착하는 단계;
각각의 상기 관리 대상 건물에 대한 정보, 각각의 관리 대상 건물에 설치된 관리 대상 설비의 정보를 수집하여 상기 데이터 베이스에 기록하는 단계;
관리 대상 설비에 이상 상태가 발생하면, 이상 상태에 관한 정보 및 이상 상태가 발생한 관리 대상 설비의 식별 번호를 상기 제1 정보 기기에 입력하는 단계;
상기 제1 정보 기기가 상기 관리용 서버 장치에 접속하여 관리 대상 설비의 식별 번호 및 이상 상태에 관한 정보를 상기 관리용 서버 장치에 송신하는 단계;
상기 관리용 서버 장치가 상기 제1 정보 기기로부터 수신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데이터 베이스로부터 관리 대상 건물에 관한 정보, 관리 대상 설비에 관한 정보 및 이상 상태의 종류에 관한 정보 및 보수 담당자의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보수 담당자가 보유하는 제2 정보 기기에 보수 요청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 및
제2 정보 기기를 보유한 보수 담당자가 제2 정보 기기가 수신한 보수 요청 신호에 기초하여 이상 상태가 발생한 관리 대상 설비에 대한 보수를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건물 설비 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따르면, 빌딩의 관리자는 건물 내의 설비에 이상 상태 발생 시에 단지 이상 상태의 종류 및 해당 설비의 식별 번호만을 인식하여 제1 정보 기기에 입력하는 것으로 빌딩 관리자의 조치는 완료되고, 보수를 담당하는 보수 담당자는 제2 정보 기기를 통하여 수신한 신호에 기초하여 빌딩 관리자의 조력 없이 이상 상태가 발생한 설비에 접근하여 보수를 진행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양태로서, 상기 제1 정보 기기는 식별 번호가 부여되며, 상기 데이터 베이스에는 각각의 상기 제1 정보 기기의 식별 번호에 대해 상기 제1 정보 기기의 보유자, 이 보유자의 관리 대상 건물이 매칭되어 기록된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관리용 서버 장치는 설비의 이상 상태에 관한 정보를 송신하는 제1 정보 기기의 식별 번호에 기초하여 설비에 이상 상태가 발생한 건물이 어느 것이고 해당 건물의 관리 책임자가 누구인지를 판별할 수 있고, 이러한 정보는 제2 정보 기기에 송신되어, 보수 담당자가 설비에 이상 상태가 발생한 건물 및 건물의 관리 책임자를 바로 특정하여 조치를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추가의 실시 양태로서, 상기 데이터 베이스에는 상기 관리 대상 설비에 관한 정보로서 정기 점검의 시기, 정기 점검 사항 및 점검 담당자에 관한 정보가 더 포함되고, 상기 관리용 서버 장치는 상기 데이터 베이스로부터 각각의 상기 관리 대상 설비에 관한 정보로부터 정기 점검의 시기, 정기 점검 사항 및 점검 담당자에 관한 정보를 추출하여 정기 점검 신호를 생성하고, 이 정기 점검 신호를 정기적인 점검의 시기로부터 소정의 시기 앞서 점검 담당자가 보유하는 상기 제2 정보 기기 및 당해 관리 대상 건물의 관리 책임자가 보유하는 제1 정보 기기에 송신하는 것일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건물의 관리자는 각각의 설비의 정기 점검에 대해 별도의 관리를 할 필요가 없으며, 관리용 서버 장치에 기록된 정기 점검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정기 점검의 담당자 및 관리 책임자가 정기 점검의 시기 및 점기 정검 사항을 파악하여 정기 점검을 실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추가의 실시 양태로서, 상기 제1 정보 기기는 각각의 관리 대상 건물에 마련된 건물 관리용 컴퓨터 또는 관리 대상 건물의 관리 책임자가 보유하는 휴대전화기이고, 상기 제1 정보 기기는 상기 관리용 서버 장치에 억세스하여 건물 관리에 요하는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관리 대상 건물의 관리 책임자는 관리 대상 설비에 대한 기록을 별도로 유지할 필요가 없으며, 자신이 보유하는 컴퓨터나 휴대전화기를 통하여 관리용 서버 장치에 억세스하여 관리 대상 설비에 관한 정보를 열람 및파악하고 필요에 따라 자신의 장치에 기록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추가의 실시 양태로서, 상기 관리 서버 장치는 상기 제2 정보 기기에 상기 보수 요청 신호 또는 정기 점검 신호를 송신하는 것과 함께 상기 제1 정보 기기에도 보수 요청 신호 또는 정기 점검 신호를 송신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건물의 관리 책임자는 자신이 입력한 정보에 따라 본 발명의 시스템에 의해 설비에 대한 보수가 이루어질 것인지 여부를 알 수 있고, 또한 정기 점검이 이루어질 것을 알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추가의 실시 양태로서, 상기 제2 정보 기기는 보수 담당자가 입력하는 상기 관리 대상 설비의 이상 상태에 대한 보수 정보 또는 정기 점검 정보 완료의 정보를 상기 관리 서버 장치로 송신하고, 상기 관리 서버 장치는 상기 보수 정보 또는 상기 정기 점검 정보 완료의 정보를 수신하여 해당 관리 대상 설비를 보유하는 관리 대상 건물의 관리 책임자가 보유하는 제1 정보 기기에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단지 관리 대상 건물의 설비의 이상 여부 또는 정기 점검에 대한 실행이 이루어지도록 조치되는 것 외에도 설비의 이상 상태에 대한 보수가 완료되었는지 여부 및 정기 점검의 실시 여부가 기록되어 추후에 확인이 가능하고, 건물의 관리 책임자도 보수 또는 정기 점검의 실시 여부를 체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의 실시 양태로서, 상기 관리 대상 설비에 부착되는 태그는 이 태그가 부착되는 관리 대상 설비의 식별 번호가 기록된 RFID 칩을 포함하고, 상기 RFID 칩으로부터 상기 관리 대상 설비의 식별 번호를 판독하는 스캐너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각각의 관리 대상 건물에는 가격이 매우 저렴한 RFID 칩이 부착되므로 건물의 관리 책임자는 역시 매우 가격이 저렴한 스캐너를 소지하다가 이상 상태가 발생한 설비에 부착된 태그에 스캐너를 접촉 또는 접근시켜 해당 설비의 식별 번호를 판독하므로, 식별 번호 인식에 오류가 없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빌딩 관리 시스템의 개략적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건물 설비 관리 시스템 및 이 시스템을 이용한 건물 설비 관리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건물 설비 관리 시스템과 건물 설비 관리 방법은 건물 시설 관리를 전문으로 하는 시설 관리 회사가 이 회사의 서비스에 가입한 복수의 건물에 대해 각 건물에 설치된 설비들 대한 일상적인 점검 및 보수를 시행하는 것이다. 이러한 서비스의 실행을 위한 건물 설비 관리 시스템이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도 1에는 건물 내에 설치된 설비의 하나로서 에어컨(10)을 도시하고 있다. 이 에어컨(10)의 외부 표면에는 이 에어컨의 식별 번호가 기록된 RFID 칩(11)이 부착되어 있다. 이러한 RFID 칩(11)에는 건물 내에 설치되어 관리되는 각각의 설비에 대한 식별 번호가 수록되어 있고, RFID 칩(10)의 외부 표면에는 사람이 육안으로 식별 번호를 확인할 수 있도록 표시되어 있다. RFID 칩에는 식별 번호 외에도 이 칩이 부착된 설비의 종류, 설치 시기, 점검 시기 등의 정보가 기록될 수도 있다.
관리 설비로는 에어컨 외에도 각종 조명기기, 상수도, 하수도, 변기, 배관, 난방 설비 등이 포함되며, 각각의 관리 대상 설비에는 고유의 식별 번호가 부여되며, 그러한 식별 번호는 태그에 기록되어 해당 설비에 부착될 수 있지만, 전술한 바와 같이 RFID 칩에 기록되어 해당 설비에 부착될 수 있고, 바코드로 인쇄된 태그를 부착할 수도 있다.
이 RFID 칩(10)의 식별 번호를 판독하는 스캐너(20)가 마련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스캐너(20)는 RFID 칩(10)을 스캔하여 저장된 식별 번호를 판독하여 그 디스플레이(21)에 표시하고, 내장된 통신 모듈을 통하여 건물의 소유주 또는 관리 책임자가 건물 관리에 사용하는 컴퓨터(30)로 송신한다.
다른 방안으로서, 이 스캐너는 건물 관리 책임자의 스마트폰에 장착되어, 스캔하여 판독한 식별 번호를 바로 스마트폰에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관리 대상 설비의 식별 번호를 바코드로 표시하는 경우에는 이 스캐너는 이동식 바코드 스캐너일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건물 설비 관리 시스템에는 제1 정보 기기로서 관리 대상 건물의 관리 책임자가 건물 관리에 이용하는 컴퓨터(30) 및 시설 관리 회사가 본 실시예에 따른 건물 설비 관리 방법을 실시하는 데 사용하는 서버 장치(50)가 포함되어 있다.
본 실시예는 관리 대상 건물의 관리 책임자가 이용하는 컴퓨터(30)가 인터넷망(40)을 통하여 시설 관리 회사의 서버 장치(50)에 접속하는 것으로 구성하였지만, 관리 대상 건물의 관리 책임자가 보유하는 스마트폰을 통하여 이동통신망을 통하여 서버 장치(50)에 접속하고 건물의 시설 관리에 관한 서비스를 이용할 수도 있다.
설비 관리 회사의 서버 장치(50)는 본 실시예에 따른 건물 설비 관리 방법이 구현되는 웹서비스를 제공하고, 관리 대상 건물들의 관리 책임자가 이용하는 컴퓨터(30)는 인터넷망(40)을 통하여 이 웹서비스에 접속하여 설비의 이상 상태 등에 관한 정보를 기록하는 것은 물론이고, 서버 장치(50)의 데이터 베이스로부터 당해 관리 책임자가 관리하는 건물에 관한 각종 정보를 취득할 수 있다.
또한, 서버 장치(50)는 관리 책임자의 컴퓨터(30)에 일방으로 정보를 전송하여, 관리 책임자가 컴퓨터(30)를 통하여 웹서비스에 접속하였을 때에 서버 장치(50)가 통지하는 정보가 우선적으로 디스플레이되도록 할 수 있다.
설비 관리 회사의 서버 장치(50)에는 관리 대상 건물들 각각에 설치된 관리 대상 설비에 관한 정보 등이 수록된 데이터 베이스(미도시)가 마련되어 있다.
데이터 베이스에는 관리 대상 건물에 관한 정보, 각각의 상기 제1 정보 기기에 관한 정보, 각각의 상기 관리 대상 건물에 설치된 각각의 상기 관리 대상 설비에 관한 정보 및 각 시설의 유지 보수를 담당하는 보수 담당자에 관한 정보가 수록되어 있다.
관리 대상 건물에 관한 정보로서는 각 건물의 주소, 건물의 도면, 건물의 관리 책임의 인적 사항, 관리 책임자가 건물 관리에 이용하는 컴퓨터(30) 또는 스마트폰의 식별 번호가 수록되고, 제1 정보 기기에 관한 정보로서는 해당 제1 정보 기기의 식별 번호와 이 제1 정보 기기의 보유자에 관한 정보가 수록되고, 관리 대상 설비에 관한 정보로서는, 각 설비의 식별 번호, 설비의 설치 위치, 설비의 종류, 제조일자, 수명, 보수를 위한 부품 목록, 각 설비의 이상 상태의 종류 및 보수 방법, 이상 상태의 발생 사항, 보수 이력 및 정기 점검의 시기, 정기 점검 사항 등이 수록되며, 보수 담당자에 관한 정보로서는 각 보수 담당자가 유지 보수를 담당할 수 있는 설비의 종류, 각 보수 담당자의 식별 번호, 보수 담당자가 보유하는 스마트폰과 같은 이동식 정보 기기에 관한 정보가 수록되어 있다.
이러한 데이터 베이스의 정보 중에서, 관리 대상 건물에 관한 정보 및 관리 대상 설비에 관한 정보는 특정 건물이 본 실시예에 따른 관리 전문 회사의 서비스에 가입한 후에 관리 전문 회사의 담당자가 관리 대상 건물을 방문하여 관련 정보를 수집하되, 각 설비의 식별 번호는 관리 전문 회사의 담당자가 이를 부여하고, RFID 칩에 식별 번호를 기록하여 각각의 관리 대상 설비에 부착하는 것이다.
설비의 유지 보수를 담당하는 보수 담당자들은 이동통신망(60)을 통하여 서버 장치(50)와 통신하는 제2 정보 기기로서 스마트폰(70)을 보유하고 있다. 각 보수 담당자가 보유하는 스마트폰(70)의 전화번호 또는 별도로 부여되는 고유 식별 번호가 서버 장치(50)의 데이터 베이스에 기록되어 있고, 각 스마트폰(70)이 서버 장치(50)에 접속하면, 서버 장치(50)는 해당 스마트폰(70)의 번호를 인식하여 서버 장치(50)의 서비스에 접속한 스마트폰(70)의 보유자로서 보수 담당자를 인식할 수 있고, 필요 시에 보수 담당자가 보유하는 스마트폰(70)에 각종 정보와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이하, 이러한 구성을 갖는 관리 시스템의 작동 및 건물 설비 관리 방법에 대해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어느 건물이 설비 관리 전문 회사의 서비스에 가입하면, 설비 관리 전문 회사의 담당자가 해당 건물을 방문하여 서비스의 실행에 필요한 정보로서 관리 대상 건물에 대한 정보 및 각각의 관리 대상 건물에 설치된 관리 대상 설비의 정보를 수집하고 각 설비에 식별 번호를 수록한 RFID 칩(11)을 부착한다. 정보 수집 등을 시행한 담당자는 설비 관리 회사에 복귀하여 수집한 정보 및 식별 번호들을 관리용 서버 장치(50)의 데이터 베이스에 기록한다.
관리 대상 건물에서 관리 대상인 설비의 오작동, 정지, 수명의 만료로 인한 작동 중지 등의 이상 상태가 발생하면, 건물의 관리 책임자 또는 관리 담당자나 건물 입주자는 스캐너(20) 또는 육안으로 해당 설비의 식별 번호를 판독하고 고장 등의 이상 상황의 종류를 판별한다.
건물의 관리 책임자 등은 관리에 이용되는 컴퓨터(30)를 통하여 설비 관리 전문 회사의 서버 장치(50)의 웹서비스에 접속한다. 접속 시에 서버 장치(50)는 접속하는 컴퓨터(30)에 대하여 식별 번호를 묻고, 식별 번호가 입력되면 입력된 식별 번호를 데이터 베이스에 수록된 식별 번호와 대조하여, 해당 식별 번호에 상응하는 건물을 탐색하여 접속하려는 컴퓨터(30)가 이 서비스에 가입된 어느 건물에 속한 것인지를 파악하고, 접속을 승인한다.
컴퓨터(30)가 서버 장치(50)의 웹서비스에 접속하면, 서버 장치(50)는 필요한 서비스가 무엇인지를 선택할 수 있는 화면을 제공하고, 컴퓨터(30)를 이용하고 있는 건물의 관리 책임자가 예컨대 설비의 이상 상태에 대한 대처를 요구하는 메뉴를 선택하면, 서버 장치(50)는 이상 상태가 발생한 설비의 식별 번호의 송신을 요구하고, 컴퓨터(30)를 통하여 해당 설비의 식별 번호를 수신하면, 데이터 베이스로부터 해당 설비의 이상 상태의 종류에 대한 정보를 탐색하여, 이상 상태의 종류에 대한 정보를 컴퓨터(30)에 보내어, 컴퓨터(30)의 이용자가 이상 상태의 종류를 선택하도록 한다.
컴퓨터(30)로부터의 정보를 통하여 이상 상태가 발생한 건물과 해당 설비가 특정되고, 이러한 정보로부터 데이터 베이스로부터 해당 설비 및 이상 상태의 종류가 특정된다.
데이터 베이스에는 각각의 설비의 종류 및 이상 상태의 종류에 따른 보수 방법에 관한 정보 및 보수에 요하는 부품의 정보가 더 수록되어 있는데, 서버 장치(50)는 이상 상태의 종류 및 해당 설비의 종류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데이터 베이스로부터 해당 설비를 보수할 수 있는 보수 담당자의 정보, 보수 방법에 관한 정보 및 보수에 요하는 부품의 정보를 추출하고, 해당 건물의 정보, 설비의 정보, 이상 상태의 종류의 정보, 보수 방법에 관한 정보 및 보수에 요하는 부품의 정보를 수합하여 보수 요청 신호를 생성한다.
이렇게 생성된 보수 요청 신호는 앞 단계에서 추출된 보수 담당자의 정보로부터 추출한 보수 담당자가 보유하는 제2 정보 기기로서의 스마트폰(70)에 이동 통신망((60)을 통하여 전송된다. 이러한 보수 요청 신호는 휴대전화 문자 메시지 형태로 생성될 수도 있고, 'SNS'를 통한 메시지 형태로 생성될 수도 있다.
보수 담당자가 보유하는 스마트폰(70)에는 이동 통신망(60)을 통하여 서버 장치(50)에 접속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어서, 서버 장치(50)의 웹서비스에 접속하여 서버 장치(50)로부터 보수 요청 신호를 받고 보수 요청 신호와 관련한 상세 정보를 서버 장치(50)의 데이터 베이스로부터 조회하여 열람할 수 있다.
또한, 보수 요청 신호는 설비에 이상 상태가 발생한 건물의 컴퓨터(30)에도 송신되어, 건물의 관리 책임자가 설비의 보수가 이루어질 것을 예측할 수 있다. 이러한 수리 요청 신호의 송신이 없어도, 건물의 관리 책임자는 컴퓨터(30)를 통하여 서버 장치(50)가 제공하는 웹서비스에 접속하여 보수의 요청 여부와 보수 완료 여부를 체크할 수도 있다.
스마트폰(70)을 통하여 수신한 보수 요청 신호에 따라 보수 담당자는 설비의 보수에 요하는 부품 및 장비를 준비하여 설비에 이상이 발생한 건물에 방문하여 보수를 진행한다.
보수가 완료되면, 보수 담당자는 스마트폰(70)을 통하여 서버 장치(50)에 접속하여 해당 보수 작업이 완료하였다는 것을 서버 장치(50)가 제공하는 웹 서비스 화면에 입력하고, 이러한 입력된 정보는 서버 장치(50)를 통하여 해당 건물의 관리용 컴퓨터(30)에 전송되어, 건물의 관리 책임자가 보수의 완료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한편, 관리용 서버 장치(50)의 데이터 베이스에는 각각의 관리 대상 설비에 대한 정기적인 검검에 관한 정보가 수록되어 있다. 그러한 정보로서는 정기적인 점검의 시기, 정기적인 점검 사항 및 정기 점검 담당자에 관한 정보가 있다.
예컨대, 관리 대상 건물의 에어컨 설비에 대하여 매년 일정 시기에 냉매 잔량 체크 및 냉매 보충을 하여야 하는 경우, 설비 관리 회사의 담당자는 이 회사의 서비스에 가입한 건물을 방문하여 에어컨에 식별 번호를 부여하면서 해당 에어컨 설비에 대한 정기적인 점검 사항으로서 '냉매 잔량의 체크'라는 항목 및 냉매 잔량의 체크 시기를 설정하여 관리용 서버 장치(50)의 데이터 베이스에 기록하여 둔다.
관리용 서버 장치(50)를 주기적으로 데이터 베이스에서 정기 점검에 관한 사항을 체크하여, 예컨대 정기 점검의 시점이 일주일 앞서 정기 점검 대상 설비에 대하여 정기 점검의 시기, 정기 점검 사항 및 점검 담당자에 관한 정보를 추출하고, 이 정보로부터 정기 점검 신호를 생성하여 점검 담당자가 보유하는 스마트폰(70)으로 정기 점검 신호를 송신한다. 이러한 정기 점검 신호는 건물의 관리 책임자의 컴퓨터(30)에 도 송신된다.
스마트폰(70)에 설치된 설비 관리용 어플리케이션은 수신한 정기 점검 신호로부터 정기 점검 대상 설비에 관한 정보와 정기 점검 사항 및 정기 점검 신호를 추출하여 디스플레이에 표시하고, 이 스마트폰(70)을 보유한 점검 담당자는 디스플레이된 정보에 기초하여 정기 점검을 실시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전술한 실시예에 따른 건물 설비 관리 시스템과 방법에 따르면, 건물의 소유주 또는 관리 책임자 입장에서는 단지 설비 관리 전문 회사의 서비스에 가입하고 가입 시에 해당 건물 내의 설비들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며, 건물에 설치된 설비들에 대해서는 이상 상태의 발생 시에 해당 이상 상태의 종류만을 파악하고 이상이 발생한 설비의 일련 번호만을 파악하여 건물의 관리용으로 사용하는 컴퓨터에 입력하는 것으로 조치가 완료된다.
또한, 설비 관리 회사의 입장에서는 관리 대상 건물에 대해 초기에 각각의 관리 대상 설비에 식별 번호를 부여하고 유지 보수에 관한 정보를 데이터 베이스에 입력하여 놓으면, 건물 내의 설비의 이상 상태 발생 시에 건물의 관리자가 생성하는 정보로부터 바로 보수를 담당하는 전문가에게 보수 요청이 이루어지므로, 관리 대상 건물에 이상 상황이 발생하였을 때, 이에 대한 파악을 위하여 건물을 방문할 필요가 없으며 보수를 위한 대응이 늦어질 우려도 없다.
특히, 이러한 관리 방법을 실시하기 위해 관리 대상 건물 내의 각각의 설비에 상당한 비용이 드는 센서 장치와 통신 모듈을 설치하는 일이 없이 고장이나 오작동 같은 이상 상태에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다.

Claims (12)

  1. 건물 설비 관리 시스템으로서,
    관리 대상 건물의 각각의 관리 대상 설비에 부착되며, 각각의 관리 대상 설비의 식별 번호가 수록되는 태그;
    상기 관리 대상 건물 및 관리 대상 설비에 관한 정보가 기록된 데이터 베이스를 포함하는 관리용 서버 장치;
    각각의 관리 대상 건물의 관리 책임자가 보유하며, 각각의 관리 대상 설비의 이상 상태 및 식별 번호를 기록하여 이상 상태에 관한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관리용 서버 장치에 인터넷망 또는 이동통신망으로 연결되어 상기 이상 상태에 관한 정보를 상기 관리용 서버 장치에 송신하는 제1 정보 기기; 및
    관리 대상 설비의 보수 담담자가 보유하며, 상기 관리용 서버 장치에 인터넷망 또는 이동통신망으로 연결되어, 상기 관리용 서버 장치로부터 상기 관리 대상 건물의 관리 대상 설비에 대한 보수 요청을 수신하는 제2 정보 기기
    를 포함하고,
    상기 관리용 서버 장치의 상기 데이터 베이스에는 관리 대상 건물에 관한 정보, 상기 제1 정보 기기에 관한 정보, 상기 관리 대상 설비에 관한 정보 및 제2 정보 기기에 관한 정보가 기록되되, 상기 관리 대상 설비에 관한 정보에는 각 관리 대상 설비의 식별 번호, 각 관리 대상 설비의 이상 상태의 종류 및 보수 담당자에 관한 정보가 포함되며,
    상기 관리용 서버 장치는 상기 제1 정보 기기로부터 상기 관리 대상 설비의 이상 상태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데이터 베이스로부터 상기 관리 대상 건물에 관한 정보, 상기 관리 대상 설비에 관한 정보 및 이상 상태의 종류의 정보 및 보수 담당자에 대한 정보를 추출하여 보수 요청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보수 담당자가 보유하는 상기 제2 정보 기기에 상기 보수 요청 신호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설비 관리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정보 기기는 식별 번호가 부여되며, 상기 데이터 베이스에는 각각의 상기 제1 정보 기기의 식별 번호에 대해 상기 제1 정보 기기의 보유자, 이 보유자의 관리 대상 건물이 매칭되어 기록되는 것인 건물 설비 관리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베이스에는 상기 관리 대상 설비에 관한 정보로서 정기 점검의 시기, 정기 점검 사항 및 점검 담당자에 관한 정보가 더 포함되고,
    상기 관리용 서버 장치는 상기 데이터 베이스로부터 각각의 상기 관리 대상 설비에 관한 정보로부터 정기 점검의 시기, 정기 점검 사항 및 점검 담당자에 관한 정보를 추출하여 정기 점검 신호를 생성하고, 이 정기 점검 신호를 정기적인 점검의 시기로부터 소정의 시기 앞서 상기 점검 담당자가 보유하는 상기 제2 정보 기기 및 당해 관리 대상 건물의 관리 책임자가 보유하는 상기 제1 정보 기기에 송신하는 것인 건물 설비 관리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정보 기기는 각각의 관리 대상 건물에 마련된 건물 관리용 컴퓨터 또는 관리 대상 건물의 관리 책임자가 보유하는 휴대전화기이고, 상기 제1 정보 기기는 상기 관리용 서버 장치에 억세스하여 건물 관리에 요하는 정보를 송수신하는 것인 건물 설비 관리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대상 설비에 부착되는 태그는 이 태그가 부착되는 관리 대상 설비의 식별 번호가 기록된 RFID 칩 또는 바코드를 포함하고,
    상기 RFID 칩 또는 바코드로부터 상기 관리 대상 설비의 식별 번호를 판독하는 스캐너를 더 포함하는 것인 건물 설비 관리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서버 장치는 상기 제2 정보 기기에 상기 보수 요청 신호를 송신하는 것과 함께 상기 제1 정보 기기에도 보수 요청 신호를 송신하는 것인 건물 설비 관리 시스템.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서버 장치는 상기 제2 정보 기기에 상기 정기 점검 신호를 송신하는 것과 함께 상기 제1 정보 기기에도 상기 정기 점검 신호를 송신하는 것인 건물 설비 관리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정보 기기는 보수 담당자가 입력하는 상기 관리 대상 설비의 이상 상태에 대한 보수 완료의 정보를 상기 관리 서버 장치로 송신하고, 상기 관리 서버 장치는 상기 보수 완료의 정보를 수신하여 해당 관리 대상 설비를 보유하는 관리 대상 건물의 관리 책임자가 보유하는 제1 정보 기기에 송신하는 것인 건물 설비 관리 시스템.
  9.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정보 기기는 점검 담당자가 입력하는 상기 관리 대상 설비의 정기 점검 정보 완료의 정보를 상기 관리 서버 장치로 송신하고, 상기 관리 서버 장치는 상기 정기 점검 완료의 정보를 수신하여 해당 관리 대상 설비를 보유하는 관리 대상 건물의 관리 책임자가 보유하는 상기 제1 정보 기기에 송신하는 것인 건물 설비 관리 시스템.
  10. 제1항에 따른 건물 설비 관리 시스템을 이용한 건물 설비 관리 방법으로서,
    관리 대상 건물의 관리 대상 설비 각각에 식별 번호를 부여하고, 식별 번호가 수록된 태그를 부착하는 단계;
    각각의 상기 관리 대상 건물에 대한 정보, 각각의 관리 대상 건물에 설치된 관리 대상 설비의 정보를 수집하여 상기 데이터 베이스에 기록하는 단계;
    관리 대상 설비에 이상 상태가 발생하면, 이상 상태에 관한 정보 및 이상 상태가 발생한 관리 대상 설비의 식별 번호를 상기 제1 정보 기기에 입력하는 단계;
    상기 제1 정보 기기가 상기 관리용 서버 장치에 접속하여 관리 대상 설비의 식별 번호 및 이상 상태에 관한 정보를 상기 관리용 서버 장치에 송신하는 단계;
    상기 관리용 서버 장치가 상기 제1 정보 기기로부터 수신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데이터 베이스로부터 관리 대상 건물에 관한 정보, 관리 대상 설비에 관한 정보 및 이상 상태의 종류에 관한 정보 및 보수 담당자의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보수 담당자가 보유하는 제2 정보 기기에 보수 요청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 및
    제2 정보 기기를 보유한 보수 담당자가 제2 정보 기기가 수신한 보수 요청 신호에 기초하여 이상 상태가 발생한 관리 대상 설비에 대한 보수를 실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인 건물 설비 관리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베이스에는 상기 관리 대상 설비에 관한 정보로서 정기적인 점검의 시기, 정기적인 점검 사항 및 정기 점검 담당자에 관한 정보가 더 포함되고,
    상기 관리용 서버 장치가 상기 데이터 베이스로부터 각각의 상기 관리 대상 설비에 관한 정보로부터 정기적인 점검의 시기, 정기적인 점검 사항 및 점검 담당자에 관한 정보를 추출하여 정기 점검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이 정기 점검 신호를 정기적인 점검의 시기로부터 소정의 시기 앞에 점검 담당자가 보유하는 상기 제2 정보 기기 및 당해 관리 대상 건물의 관리 책임자가 보유하는 제1 정보 기기에 송신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인 건물 설비 관리 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보수를 실행하는 단계 후에, 상기 보수 담당자가 상기 제2 정보 기기에 상기 관리 대상 설비의 이상 상태에 대한 보수 정보를 입력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정보 기기가 상기 입력된 보수 정보를 상기 관리 서버 장치 또는 제1 정보 기기에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인 건물 설비 관리 방법.
KR1020150032234A 2015-03-09 2015-03-09 사물 인터넷과 아이티 기술을 이용한 건물 설비 안전 안전 관리 시스템 KR2016010888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2234A KR20160108883A (ko) 2015-03-09 2015-03-09 사물 인터넷과 아이티 기술을 이용한 건물 설비 안전 안전 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2234A KR20160108883A (ko) 2015-03-09 2015-03-09 사물 인터넷과 아이티 기술을 이용한 건물 설비 안전 안전 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8883A true KR20160108883A (ko) 2016-09-21

Family

ID=570800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32234A KR20160108883A (ko) 2015-03-09 2015-03-09 사물 인터넷과 아이티 기술을 이용한 건물 설비 안전 안전 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108883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4883B1 (ko) 2019-01-31 2019-11-14 에스이엔에스(주) 인공지능 기반의 직접 디지털 제어기를 이용한 건물 자동 제어장치
WO2020039126A1 (en) * 2018-08-24 2020-02-27 Fira Group Oy Method for maintenance work and maintenance system
CN112825163A (zh) * 2019-11-19 2021-05-21 上海高屋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物业运维管理系统及其使用方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39126A1 (en) * 2018-08-24 2020-02-27 Fira Group Oy Method for maintenance work and maintenance system
KR102044883B1 (ko) 2019-01-31 2019-11-14 에스이엔에스(주) 인공지능 기반의 직접 디지털 제어기를 이용한 건물 자동 제어장치
CN112825163A (zh) * 2019-11-19 2021-05-21 上海高屋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物业运维管理系统及其使用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378810B (zh) 测量数据的远程共享
EP1450923B1 (en) Regulatory compliance system and method
KR101730451B1 (ko) 무선통신망을 이용한 공장설비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1869697B1 (ko) 사물인터넷을 이용한 발전소 관리시스템 및 방법
CN102804211B (zh) 信息处理设备、信息处理系统、信息处理方法和信息处理程序
JP4261435B2 (ja) 設備点検支援システム
JP2006209594A (ja) メインテナンス支援システム
JP6893726B2 (ja) グローバル・メンテナンスサービス・サポートシステム
WO2005122046A2 (en)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CN106249707B (zh) 信息收集系统以及信息收集方法
KR20150127103A (ko) 정보 제공장치, 시공업자 관리장치, 정보 제시장치, 프로그램, 통신 시스템 및 정보 제공방법
JP2018113006A5 (ko)
CN107651517A (zh) 升降梯安全预警和维护系统及其预警和维护方法
KR102484018B1 (ko) 인공지능(AI).사물인터넷(IoT) 기반의 승강기 고장부위 및 필요자재 예측 시스템 및 방법
CN107341207A (zh) 一种节点信息管理方法及装置
JP2021535511A (ja) 自動車再仕上げ修理プロセスをデジタル的に追跡及び監視する方法及びシステム
KR100683580B1 (ko) 지능형 플랜트 정보시스템
KR20160108883A (ko) 사물 인터넷과 아이티 기술을 이용한 건물 설비 안전 안전 관리 시스템
KR20210097008A (ko) 무인 단말기 유지 보수 방법
US20030046192A1 (en) Distribution management system, distribution management method, and program
CA2699133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monitoring water heaters or boilers
KR20120013005A (ko) 유비쿼터스 기반의 발전설비의 관리 시스템 및 방법
US11520793B2 (en) Servicing, diagnosing, logging, and surveying building equipment assets
US20130262170A1 (en) Data center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KR101811532B1 (ko) 복수 설비 자주보전 시스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