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27103A - 정보 제공장치, 시공업자 관리장치, 정보 제시장치, 프로그램, 통신 시스템 및 정보 제공방법 - Google Patents

정보 제공장치, 시공업자 관리장치, 정보 제시장치, 프로그램, 통신 시스템 및 정보 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27103A
KR20150127103A KR1020157025237A KR20157025237A KR20150127103A KR 20150127103 A KR20150127103 A KR 20150127103A KR 1020157025237 A KR1020157025237 A KR 1020157025237A KR 20157025237 A KR20157025237 A KR 20157025237A KR 20150127103 A KR20150127103 A KR 201501271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contractor
construction
work
re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252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다케시 나가하마
료헤이 하나이
Original Assignee
알시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알시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알시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501271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2710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16Real estate
    • G06Q50/163Real estate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5Needs-based resource requirements planning or analysi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과제는 의뢰주로부터의 의뢰에 따라서 시공을 수주 및 발주하는, 시공 발주 대행 서비스의 업무 효율을 향상시켜, 시공 발주 대행 서비스에 대한, CS도를 향상시키는 정보 제공장치 등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통신 시스템(1)은, 의뢰주로부터 시공 의뢰를 받은 경우에, 서비스 센터(SC)의 서버장치(30)에 의해 해당 시공 의뢰정보에 대응하는 시공에 적절한 기능을 갖는 시공업자로서, 현장까지의 2지점간 거리에 근거하여, 각 시공업자에 대응하는 우선도를 산출하고, 우선도가 높은 시공업자에 관한 정보를 추천정보로서 운영자용 단말장치(10)의 디스플레이에 표시시킨다.

Description

정보 제공장치, 시공업자 관리장치, 정보 제시장치, 프로그램, 통신 시스템 및 정보 제공방법{INFORMATION PROVISION DEVICE, CONSTRUCTOR MANAGEMENT APPARATUS, INFORMATION PRESENTATION DEVICE, PROGRAM, COMMUNICATION SYSTEM, AND INFORMATION PROVISION METHOD}
본 발명은 희망자에 대해서 적절한 정보를 추천 및 제공하는 정보 제공장치, 정보 제시장치, 프로그램, 정보 제공 시스템과 정보 제공방법, 및 시공업자를 관리하는 시공업자 관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건축물 등에 설치된 공조, 조명설비 등의 전기설비, 배관설비, 건축물 자체, 또는 일반 전기제품을 포함하는 각종 설비(이하, "설비"라고 한다)의 설치, 보수, 점검, 수리 등의 작업(이하, "시공"이라고 한다)을 실시하는 경우에, 해당 설비의 사용자(이하, 간단히 "사용자"라고 한다), 설비 판매업자, 또는 설비에 관련되는 전기제품의 제조업자, 종합 건설 업자, 맨션 개발업자, 혹은 주택업자 등에 의한 시공 의뢰를 고객 센터 등의 시설에서 일괄적으로 접수하고, 해당 시설의 운영자가, 의뢰 내용에 적절한 시공업자를 수배하는 시공 발주 대행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다.
이러한 상황 하에서, 최근에는, 현장으로부터의 거리 등에 근거하여, 소정의 시간 내에 현장에 도착하는 것(이하, "현장도착"이라고 한다)이 가능한 하나 이상의 시공업자를 선정하고, 해당 시공업자에 관한 정보(연락처 전화번호, 휴대 전화의 전자메일 주소, 소재지, 업자명 등)를 추천정보로서 운영자용 단말장치(이하, "운영자용 단말장치"라고 한다)에 표시시킴으로써, 운영자에 의한 시공의 수주 및 발주 업무를 원활하게 하고, 그 작업 효율을 향상시킨 시스템이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특히, 이 시스템에 있어서는, 현장 주소와 시공업자의 소재지로부터 양자 사이의 2지점간 거리 등에 근거하여, 각 시공업자가 현장도착에 요하는 추정 소요 시간을 산출하고, 하나 이상의 시공업자를 선정해서 운영자에게 추천하도록 되어 있다.
특허문헌 1: 일본 특허공개 2008-204403호 공보
그러나, 상기 특허 문헌 1에 개시된 시스템에 있어서는, 신속하게 현장도착이 가능한 시공업자를 특정할 수 있지만, 작업 내용에 따라서 소정의 기능(국가 자격이나 업계 추천 자격 등)을 갖는 것이, 시공의 필요 조건으로 되어 있는 경우가 많이 존재하기 때문에, 선정된 시공업자가 의뢰된 시공을 실시하기 위해서 필요한 기능을 갖고 있지 않아, 적절한 시공업자의 추천 및 선정을 실시할 수 없는 경우도 있다.
또, 상기 특허 문헌 1에 개시된 시스템에 있어서는, 각 시공업자가 이미 다른 시공을 수주하고 있는 경우도 있으므로, 스케줄 조정 등에 시간을 요하며, 신속하게 시공을 실행시킬 수 없는 경우도 있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의뢰주로부터의 의뢰에 따라서 시공 작업을 수주 및 발주하는 시공 발주 대행 서비스의 업무 효율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한 정보 추천 제공장치 등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1)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르는 정보 제공장치 등은, 복수의 시공업자의 각각에 대해 해당 시공업자의 소재지 및 명칭을 적어도 포함하는 시공업자 속성정보와, 그 시공업자가 시공 가능한 작업 종별을 나타내는 기능정보 및 해당 시공업자가 시공 작업을 수주 가능한 스케줄을 나타내는 스케줄 정보를 적어도 포함하는 자격정보가 대응해서 기록되는 데이터베이스를 관리하는 기록 관리수단과, 의뢰주로부터 상기 시공 작업이 의뢰된 경우에, 시공 현장의 위치, 시공할 작업의 내용을 나타내는 시공내용 및 스케줄을 포함한 시공 의뢰정보를 외부로부터 취득하는 시공 의뢰정보 취득수단과, 상기 취득된 시공 의뢰정보에 의해 나타나는 시공내용 및 스케줄과 상기 기록되어 있는 자격정보에 근거하여, 해당 의뢰된 시공 작업을 수주 가능한 상기 시공업자를 상기 기록수단으로부터 추출하는 추출수단과, 상기 현장의 위치와 상기 시공업자 속성정보에 포함되는 시공업자 소재지의 2지점간 거리를 적어도 포함하는 산정 요소에 근거하여, 상기 의뢰된 시공 작업을 수주 가능한 각 시공업자의 우선도를 나타내는 우선도 정보를 산출하는 산출수단과, 상기 산출된 우선도에 근거하여, 적어도 하나의 시공 작업을 수주 가능한 상기 시공업자를 선정 시공업자로서 선정하는 선정수단과, 상기 선정한 시공업자에 관한 정보를, 추천정보로서 해당 시공업자의 선정을 희망하는 희망자에게 열람 가능하도록 제공하는 정보 제공수단을 구비하는 구성을 갖고 있다.
(2) 또,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르는 시공업자 관리장치는, 상기 정보 제공장치와, 상기 추천정보에 근거하여 선정된 하나의 시공업자며, 상기 시공 작업을 수주한 수주 시공업자의 통신 단말장치로부터 해당 시공업자가 상기 시공 현장에 도착한 것을 나타내는 현장도착 보고와, 해당 현장도착 보고시의 위치를 나타내는 현장도착 위치정보를 대응해서 취득하는 현장도착 보고 취득수단과, 상기 현장도착 보고의 취득 일시를 나타내는 현장도착 일시의 정보를 취득하는 현장도착 일시정보 취득수단과, 상기 현장도착 취득 위치정보에 의해 나타나는 현장도착 위치와 상기 현장의 소재지가 일치하는지 여부를 대조하는 현장 위치정보 대조수단과, 상기 취득된 현장도착 일시와 상기 현장도착 위치의 대조 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수주 시공업자에 있어서의 시공 작업 상황을 데이터 관리하는 관리수단을 구비하는 구성을 갖고 있다.
(3) 또,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르는 시공업자 관리장치는, 상기 정보 제공장치와, 상기 수주 시공업자의 통신 단말장치로부터, 해당 시공 작업이 완료된 것을 나타내는 작업완료 보고를 취득하는 작업완료 보고 취득수단과, 상기 작업완료 보고의 취득 일시를 나타내는 작업완료 일시의 정보를 취득하는 작업완료 일시정보 취득수단과, 상기 취득된 작업완료 일시에 근거하여 상기 수주 시공업자에 있어서의 시공 작업 상황을 데이터 관리하는 관리수단을 구비하는 구성을 갖고 있다.
(4) 또, 본 발명에 따르는 정보 제시장치는, 의뢰주로부터 시공 작업이 의뢰된 경우에, 해당 시공 현장의 위치, 시공할 작업의 내용을 나타내는 시공내용 및 공기(工期)를 나타내는 시공 의뢰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조작수단과, 상기 취득된 시공 의뢰정보에 의해 나타나는 시공내용 및 공기에 근거하여, 선정된 상기 시공업자로부터, 상기 현장의 위치와 상기 시공업자 속성정보에 포함되는 시공업자 소재지의 2지점간 거리를 적어도 포함하는 산정 요소에 근거하여, 선정되는 적어도 하나의 선정 시공업자에 관한 정보를, 추천정보로서 취득하는 추천정보 취득수단과, 상기 추천정보 취득수단에 의해서 취득된 상기 추천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선정 시공업자에 관한 정보를 희망자가 열람 가능하도록 표시하는 정보 제시수단을 갖는 구성을 갖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르는 정보 제공장치 등은, 의뢰주로부터의 의뢰에 따라서 시공 작업의 수주 및 발주를 실시하는 시공 발주 대행 서비스의 업무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음과 동시에, 보고시의 위치를 관리하고, 시공업자, 또는 그 작업원에 의한 부정 보고를 방지하는 등 적절히 시공 작업을 관리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르는 일실시예에 있어서의 통신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시스템 구성도다.
도 2는 일실시예의 서버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다.
도 3은 일실시예의 서버장치 내에 설치된 의뢰주 관리 데이터베이스에 기록되는 데이터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일실시예의 서버장치 내에 설치된 시공업자 관리 데이터베이스에 기록되는 데이터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일실시예의 서버장치 내에 설치된 시공 이력 관리 데이터베이스에 기록되는 데이터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일실시예의 서버장치 내에 설치된 보고서 데이터베이스에 기록되는 데이터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일실시예의 보고서 데이터베이스에 기록되는 보고서 데이터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일실시예의 자격 관리 DB에 기록되는 데이터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일실시예의 보고 데이터 작성용 화상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일실시예의 운영자용 단말장치에 표시되는 작업완료 보고의 화상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일실시예의 통신 시스템의 서버장치에 있어서, 의뢰주로부터 시공이 의뢰되었을 때에 실행되는 추천정보 제공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다.
도 12는 일실시예의 통신 시스템의 시공업자용 단말장치(40)에 있어서 시공 작업 의뢰시에 인쇄되는 작업 지시서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일실시예의 통신 시스템의 시공업자용 단말장치 및 서버장치에 있어서 현장도착 보고 및 작업완료 보고를 실시하는 보고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실시예는, 각 시공업자가 소지하는 통신 단말장치(이하, "시공업자용 단말장치"라고 한다)와, 해당 시공업자용 단말장치와 네트워크를 통해서 통신 가능하게 접속하는 서버장치와, 해당 서버장치와 연동하고 운영자의 조작에 근거하여 각종 처리를 실행하는 단말장치(운영자용 단말장치)를 갖는 통신 시스템에 대해, 본 발명에 따르는 정보 제공장치, 정보 제시장치, 시공업자 관리장치, 프로그램, 통신 시스템 및 정보 제공방법을 적용한 경우의 실시예다.
[1] 통신 시스템
먼저, 도 1을 이용하여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통신 시스템(1)의 구성 및 개요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도 1은 본 실시예의 통신 시스템(1)의 구성을 나타내는 시스템 구성도다. 또, 도 1에 있어서는, 도면이 번잡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일부 시공업자 및 운영자만을 나타내었다. 즉, 실제의 통신 시스템(1)에 있어서는, 표시한 것보다도 많은 수의 시공업자, 운영자 및 시공업자용 단말장치, 운영자용 단말장치가 존재하게 된다.
본 실시예의 통신 시스템(1)은, 도시하지 않은 의뢰주로부터의 시공 의뢰를 접수한 경우에, 해당 의뢰된 내용(즉, 시공 작업의 내용, 또는 종류, 현장 주소, 희망 공기 등)을 나타내는 정보(이하, "시공 의뢰정보"라고 한다)에 근거하여, 해당 시공에 적절한 하나 또는 복수의 시공업자를 선정하고, 해당 선정한 시공업자에 관한 정보(연락처 전화번호, 업자명, 또는 소재지 등)를 추천정보로서 제공하는 시스템이다.
또, 본 실시예의 통신 시스템(1)은, 선정한 시공업자며 시공 작업을 수주한 하나의 시공업자(이하, "수주 시공업자"라고 한다)에 있어서의 현장 작업을 데이터 관리하는 시스템이다.
특히, 통신 시스템(1)은,
(1) 의뢰된 시공 작업에 필요한 기능을 갖고 있으면서, 스케줄상, 시공 작업에 착수 가능한 시공업자(즉, 스케줄이 비어 있는 시공업자)를 복수의 시공업자 중에서 추출하고,
(2) 각종 정보에 근거하여, 추출한 각 시공업자에 있어서의 우선도를 산출하고,
(3) 산출한 우선도에 대해 소정의 조건을 만족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시공업자를 선정하고,
(4) 해당 선정한 시공업자에 관한 정보(예를 들면, 소재지, 연락처 전화번호 및 전자메일 주소 등)를 추천정보로서 생성하고,
(5) 생성한 추천정보를 운영자 등의 추천정보를 희망하는 희망자에게 열람 가능하도록 제공하는,
구성을 갖고 있다.
그리고, 통신 시스템(1)은, 추천정보에 근거하여 희망자가 하나의 시공업자를 특정하면, 해당 시공업자로의 통지 처리, 현장도착의 보고(이하, "현장도착 보고"라고 한다), 시공 작업개시의 보고(이하, "작업개시 보고"라고 한다) 및 시공 완료의 보고(이하, "작업완료 보고"라고 한다) 등의 작업 보고 처리, 및 결제에 관한 결제 처리 같은 각종 처리를 실행하고, 해당 시공 작업 및 해당 시공 작업을 실행하는 시공업자에 관한 여러 가지 데이터 관리를 실시하는 구성을 갖고 있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의 통신 시스템(1)은, 서비스 센터(SC)에 설치된 복수의 운영자용 단말장치(10)와, 네트워크(20)와, 시공 작업 가능한 추천하고자 하는 시공업자를 추천정보로서 운영자용 단말장치(10) 또는 의뢰주의 통신 단말장치(도시하지 않음)에 직접적으로 제공함과 동시에, 시공 작업에 관한 각종 데이터 관리를 실시하는 서버장치(30)와, 각 시공업자가 소유하는 시공업자용 단말장치(40)를 갖고 있다.
또한, 서비스 센터(SC)는, 의뢰주로부터의 시공 의뢰를 전화 또는 웹 서비스(web service)에 의해서 접수한 경우에, 접수한 시공 의뢰에 근거한 시공 의뢰정보를 통신 시스템에 등록하기 위한 운영자용 단말장치(10)와, 해당 시공 의뢰에 근거하여 해당 의뢰된 시공을 수배(발주)하고, 관리하는 서버장치(30)가 설치되어 있는 시설이다.
또, 본 실시예에 있어서, 시공 의뢰 접수 방법은 임의이며, 예를 들면, 의뢰주로부터의 전화 또는 팩시밀리 등의 운영자에 의한 인적 시공 의뢰 접수 이외에, 전자 메일에 의한 접수, 또는 서버장치(30)에 형성된 WWW(World Wide Web)의 웹 서비스에 있어서의 시공 신청용 웹사이트(Website)의 신청 페이지에 의한 전자적인 시공 의뢰 접수가 포함된다.
단, 서버장치(30)는, 전화로 운영자가 시공 의뢰를 접수한 경우에, 운영자에 의해서 운영자용 단말장치(10)를 통해서 입력된 시공 의뢰정보를 취득하거나, 또는 전자 메일이나 시공 신청용 웹사이트에서 시공 의뢰를 접수한 경우에는, 직접적으로 시공 의뢰정보를 취득하도록 되어 있다.
운영자용 단말장치(10)는, 서비스 센터(SC)내에 설치된 PC(Personal Computer) 등의 단말장치며, 서버장치(30)와 직접, 또는 서비스 센터(SC)내의 도시하지 않은 인트라넷을 통해서 통신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또한, 운영자용 단말장치(10)의 상호통신 기능과 관련해서는,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다.
또, 운영자용 단말장치(10)는, 전화 또는 팩시밀리 등 인적으로 의뢰주로부터 시공 의뢰가 이루어진 경우에, 운영자의 입력 조작에 따라서 시공 의뢰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화면을 표시하는 구성을 갖고 있으며, 운영자의 입력에 따라서 시공 의뢰정보를 생성하고, 서버장치(30)에 제공하는 구성을 갖고 있다.
한편으로, 운영자용 단말장치(10)는, 전자 메일 등 전자적으로 의뢰주로부터 시공 의뢰가 이루어진 경우에, 서버장치(30)의 지시 하에, 그 취지를 화면에 표시함과 동시에, 수신한 의뢰주로부터의 의뢰정보를 화면에 표시하도록 되어 있다.
특히, 운영자용 단말장치(10)는, 생성한 시공 의뢰정보 또는 취득한 시공 의뢰정보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면서, 해당 시공 의뢰정보에 따라서 운영자에 의해서 실시되는 시공업자에 대한 시공 작업의 발주를 실행할 때에 이용하는 것이 가능한 구성을 갖고 있다.
다른 한편으로, 운영자용 단말장치(10)는, 하나의 시공업자가 특정된 경우에, 해당하는 시공업자용 단말장치(40)와 연동해서, 해당 시공업자에게 시공 작업 정보를 제공하는 구성을 갖고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 시공 작업 정보를 시공업자용 단말장치(40)에 제공하는 제공방법으로서는,
(1) 시공 작업 정보 및 주변 지도를 취득하기 위해서 필요한 URL(Uniform Resource Locator), 또는 바코드(QR코드(등록상표) 등)를 전자 메일에 기술하고 운영자용 단말장치(10)로부터 시공업자용 단말장치(40)에 송신하는 방법, 또는
(2) 시공업자용 단말장치(40)에 의해서 소정의 어플리케이션을 기동시키고, 해당 어플리케이션의 순서에 따라서 시공 작업 정보 및 주변 지도를 취득하는 방법,
중 어느 하나에 의해서 실행하도록 되어 있다. 단, 해당 제공방법은 임의이며,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서버장치(30)는, 각종 데이터베이스(이하, "DB"라고 한다)를 갖는 기록장치(330)를 구비하며, 운영자용 단말장치(10) 또는 의뢰주의 통신 단말장치(도시하지 않음)로부터, 시공 의뢰정보를 취득하면서, DB 내의 데이터 및 시공 의뢰정보에 근거하여, 추천정보를 생성하고 운영자용 단말장치(10) 또는 의뢰주의 통신 단말장치에 제공하도록 되어 있다.
또, 서버장치(30)는, 시공 의뢰정보를 취득한 경우에, 해당 시공 의뢰를 고유하게 식별하기 위한 시공 ID를 할당하고, 각 시공을 시공 ID에 근거하여 관리함과 동시에, 운영자용 단말장치(10) 및 시공업자용 단말장치(40)와 연계해서, 각종 데이터를 등록 및 갱신하고, 시공 발주 대행 서비스의 전체를 관리하는 구성을 갖고 있다.
시공업자용 단말장치(40)는, 예를 들면, 스마트폰, 태블릿형 정보 단말장치, 또는 휴대용 전화기 등과 같은 시공업자의 작업원이 휴대 가능한 통신 단말장치며, 운영자가 시공을 발주할 때에, 서비스 센터(SC)로부터 시공에 필요한 시공 작업 정보를 취득하고, 작업원에게 제시하기 위해서 이용한다.
구체적으로, 이 시공업자용 단말장치(40)는, URL에 근거하여 시공 작업 정보 등, 음성 통화 기능, 전자 메일의 송수신 기능 및 XML(eXtensible Markup Language) 등의 마크업 언어에 의해서 기술되어 있는 리소스 데이터를 취득하고, 해당 리소스 데이터에 근거하여, 브라우징 기능에 의해서 화상의 표시 및 데이터 통신을 실시하는 구성을 갖고 있다.
또, 시공업자용 단말장치(40)는, 서버장치(30)에서 개설한 웹사이트에 액세스하고, 브라우징 기능에 의해서 서버장치(30)와 연동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함으로써, 또는 소정의 형식을 갖는 전자 메일을 이용함으로써, 작업개시 보고를 포함한 현장도착 보고 및 작업완료 보고의 보고 처리를 실행하는 구성을 갖고 있다.
또한, 시공업자용 단말장치(40)는, 현장도착 보고 및 작업완료 보고의 보고 처리를 실행하는 경우에,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위성(50)으로부터 GPS 신호를 수신하면서, 해당 GPS 신호에 근거하여, 자신 기계의 현재 위치(위도 및 경도)를 나타내는 위치정보를 검출하고, 해당 검출된 위치정보를 부가한 상태에서, 서버장치(30)에 현장도착 보고 및 작업완료 보고 같은 각종 보고 처리를 실행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시공업자용 단말장치(40)는, 블루투스(bluetooth, 등록상표) 등의 인터페이스를 가지며, 예를 들면, 휴대형 프린터 또는 IC카드 리더 등과 PAN(Personal Area Network)를 구축하고, 시공 작업 정보에 대응하는 작업 명세 전표(이하, "작업 지시서"라고도 한다), 영수증 등을 인쇄할 수 있음과 동시에, 시공 요금의 결제에 있어서는, 신용카드를 이용한 결제 수속을 실시하는 것이 가능한 구성을 갖고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가짐으로써, 본 실시예의 통신 시스템(1)은, 외부로부터 의뢰된 시공을 실시하는 기능이 없는 시공업자, 및 스케줄적으로 수주할 수 없는 시공업자를 제외하면서, 상기 현장의 위치에서부터 시공업자까지의 거리에 근거하여 신속하게 시공작업의 실행이 가능한 시공업자의 정보를, 추천정보로서 운영자(즉, 해당 시공업자의 선정을 희망하는 희망자)에게 정확하게 제공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통신 시스템(1)은, 시공업자의 선정을 희망하는 희망자에 대해서, 의뢰주로부터의 의뢰에 따라서 간단하고, 신속하면서 정확하게 시공 작업이 가능한 시공업자를 결정해서 시공 작업을 발주할 수 있으므로, 의뢰주로부터의 의뢰에 따라서 시공 작업의 수주 및 발주를 실시하는 시공 발주 대행 서비스의 업무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 본 실시예의 통신 시스템(1)은, 의뢰한 시공업자가 현장에 도착한 일시를 확실히 파악하여, 시공 의뢰에서부터 현장도착까지 요하는 시간을 관리할 수 있음과 동시에, 보고시의 위치를 관리하고, 시공업자, 또는 그 작업원에 의한 부정 보고를 방지하는 등, 적절히 시공 작업을 데이터 관리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2] 서버장치
다음에, 도 2 내지 도 10을 이용하여 본 실시예의 각 서버장치(30)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도 2는 본 실시예의 서버장치(30)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며, 도 3, 도 4, 도 5 및 도 6은 각각, 본 실시예의 의뢰주 관리 DB(331), 시공업자 관리 DB(332), 시공 이력 DB(333) 및 보고서 DB(334)에 기록되는 데이터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또, 도 7은 보고서 DB(334)에 기록되는 보고서 데이터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8은 본 실시예의 자격 관리 DB(335)에 기록되는 데이터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또한, 도 9는 본 실시예의 시공업자용 단말장치(40)에 표시되는 보고 데이터 작성용 화상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10은 운영자용 단말장치(10)에 표시되는 작업완료 보고의 화상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실시예의 서버장치(30)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네트워크(20)에 통신 가능하게 접속되는 통신 제어부(310)와, 각종 메모리로서 기능하는 ROM/RAM(320)과, 각종 DB를 갖는 기록장치(330)와, 장치 전체를 제어하는 서버 관리 제어부(340)와, 시공 의뢰정보에 대응하는 시공업자를 선정하고, 추천정보를 생성하는 시공업자 추천 처리를 실행하는 데이터 처리부(350)와, 현재 일시를 특정하기 위한 타이머(360)를 갖는다. 또한, 상기의 각 부는, 버스(B)에 의해서 서로 접속되며, 각 구성요소 간에 있어서의 데이터의 전송이 실행된다.
통신 제어부(310)는, 소정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며, 네트워크(20)를 통해서 시공업자용 단말장치(40), 및 도시하지 않은 의뢰주의 통신 단말장치와 통신 채널을 구축하고, 각종 데이터를 주고 받음과 동시에, 운영자용 단말장치(10)와 각종 데이터를 주고 받는다.
또한, 통신 제어부(310)는, 네트워크(20) 접속용 인터페이스와, 인트라넷용 인터페이스를 별개로 가지며, 네트워크(20)와의 통신과, 인트라넷 내의 통신을 구분해서 통신하도록 해도 된다.
ROM/RAM(320)에는, 서버장치(30)의 구동에 필요한 각종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다. 또, ROM/RAM(320)은, 각종 처리가 실행될 때의 작업 영역으로서 이용된다.
기록장치(330)는 HDD(Hard Disc Drive), 또는 SSD(Solid State Drive)에 의해 구성된다. 그리고, 기록장치(330)는, 적어도 의뢰주 관리 DB(331)와, 시공업자 관리 DB(332)와, 시공 이력 DB(333)와, 보고서 DB(334)와, 자격 관리 DB(335)를 갖고 있다. 또한, 예를 들면, 본 실시예의 기록장치(330)는, 본 발명의 데이터베이스를 구성한다.
의뢰주 관리 DB(331)는, 시공 발주 대행 서비스의 의뢰주(서비스 이용 사용자)를 관리하기 위한 각종 정보가 데이터로서 등록되는 데이터베이스다. 예를 들면, 의뢰주 관리 DB(331)에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1) 각 의뢰주에 할당된 의뢰주 ID와,
(2) 해당 의뢰주의 성명 또는 명칭, 주소 또는 소재지, 전화번호, 전자메일 주소 및 결제정보를 적어도 포함하는 의뢰주 속성정보와,
(3) 해당 의뢰주에 의한 과거의 의뢰 이력을 나타내는 의뢰 이력정보,
가 대응해서 등록된다.
예를 들면, 도 3에 예시한 바와 같은 경우에는, 의뢰주 ID "U001"과 대응해서 의뢰자명 "00주식회사", 소재지 "도쿄도…", 전화번호 "03*****", 메일 주소 "**@00.co.jp", 결제정보 "00은행 보통**"로 된 의뢰주 속성정보가 등록되어 있으며, 의뢰 이력정보로서, 의뢰 회수 "10회", 시공 금지업자 "ㅧㅧ전기"로 된 정보가 등록되어 있다.
또한, 이 의뢰주 관리 DB(331)에는, 첫회의 시공 의뢰시에 이들 정보가 등록되도록 해도 된다. 단,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데이터의 관리, 등록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사전에 사용자 등록을 실시함으로써, 이들 정보가 등록되는 것으로 한다.
또, 시공 금지업자는, 과거의 시공 의뢰에 있어서의 만족도가 낮은 등, 의뢰주가 시공의 발주를 금지한 경우에 개별적으로 등록되는 정보며, 예를 들면, 해당 시공업자의 명칭 등, 서비스 센터(SC)에서, 해당 시공업자를 특정할 수 있는 정보가 등록된다.
또한, 의뢰 이력정보에는, 현장 주소, 과거에 의뢰한 시공 작업을 수주한 시공업자, 그 때의 시공 요금, 시공 일시, 시공 작업의 내용 등 여러 가지 정보가 기록되어 있어도 된다.
시공업자 관리 DB(332)는, 각 시공업자를 관리하기 위한 정보가 데이터로서 등록되는 DB다. 예를 들면, 시공업자 관리 DB(332)에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1) 각 시공업자를 식별하기 위한 시공업자 ID와,
(2) 해당 시공업자의 명칭, 소재지, 전화번호, 메일 주소 등의 정보를 포함하는 시공업자 속성정보와,
(3) 해당 시공업자에 대응하는 자격정보
가 대응해서 등록된다.
또, 자격정보에는,
(a) 해당 시공업자가 보유하고 있는 국가 자격 등(이하, "자격 등"이라고 한다)을 나타내는 기능정보와,
(b) 해당 시공업자의 과거의 수주율을 나타내는 수주율 정보와,
(c) 해당 시공업자가 시공을 수임 가능한 일정을 나타내는 수임 가능기간과,
(d) 해당 시공업자가 과거에 실시한 시공에 대한 의뢰주의 평가를 나타내는 평가정보,
가 포함된다.
특히, 자격정보에는, (a) 내지 (d)의 각 정보 모두가 반드시 포함될 필요는 없으며, 적어도 (a) 및 (c)의 정보가 포함되어 있으면 된다.
또, 평가정보는, 과거의 소정 기간 내에 실시된 시공에 대한 평가의 평균값을 이용해도 되고, 과거 소정 기간중에 실시한 시공에 대한 모든 평가를 포함하는 것이라도 된다. 단,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시공업자의 재교육 등에 의해, 시공업자의 능력이 향상될 가능성이 높고, 오래된 평가의 유효성은 낮은 것이라고 볼 수 있으므로, 1년 이상 전에 실시된 시공에 대한 평가정보는, 원칙적으로 평가정보에는 포함되지 않도록 되어 있다.
또한, 시공업자 관리 DB(332)에 등록되는 시공업자 속성정보 및 기능정보는, 시공업자를 사전에 등록했을 때에, 등록되는 것이다.
한편, 수주율이란, 예를 들면, 과거의 시공에 있어서, 선정된 시공업자가, 시공전의 시공 요금 견적 기타에 의해서, 실제로 수주한 비율을 나타내는 것이며, 자동적으로 산출해서 등록해도 되고, 운영자용 단말장치(10)의 조작에 근거해서 등록해도 된다.
또한, 도 4는 시공업자 관리 DB(332)에 기록된 각 시공업자를 관리하기 위한 정보를 예시한다. 구체적으로, 도 4는 시공업자 ID "C001"가, "ABC 전기"로 된 시공업자에 대응하는 것으로 되어 있으며, 자격정보로서, 기능정보 "전기 시공사(2종)", 수주율 "30%", 평가정보 "☆☆☆"가 등록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또, 도 4의 예시에 있어서는, 평가정보를, 별의 개수로 표현하고 있지만, 해당 시공업자에 대한 의뢰주의 평가 레벨을 나타내는 숫자로 표현해도 되고, "좋음", "보통", "나쁨"의 3 단계로 평가하도록 해도 된다. 이 평가정보는, 의뢰주가, 시공 완료 후에 실시된 해당 시공에 대해서 사후적으로 실시하는 평가에 근거하여 결정되고, 시공업자 관리 DB(332)에 등록되어 있다.
또한, 의뢰주가 시공 작업의 실시를 거부하고 싶은 시공업자, 즉, 시공 작업을 금지하는 시공업자(이하, "시공 금지업자")에 대해서는, 평가정보에 포함시키도록 해도 된다. 단,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데이터의 관리를 간단하게 하기 위해, 별도로 시공 금지업자로서 의뢰주 관리 DB(331)에 등록하고, 시공업자 ID, 또는 시공업자명에 의해 평가정보와 연관되도록 구성해도 된다.
시공 이력 DB(333)는, 과거에 실시된 시공의 시공 이력에 관한 정보를 데이터로서 관리하기 위한 DB다. 예를 들면, 시공 이력 DB(333)에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시공 작업에 할당된
(1) 시공 ID와,
(2) 시공 의뢰정보와,
(3) 해당 시공의 시공 의뢰 일시와,
(4) 작업 이력정보,
가 대응해서 등록된다.
특히, 시공 의뢰정보에는, 의뢰주의 담당자 연락처, 현장 주소, 시공 희망 일시, 시공 작업 내용 및 시공 종별 등이 포함된다.
또, 작업 이력정보는, 시공업자용 단말장치(40)를 이용하여 작업원이 실시한 현장도착 보고 및 작업완료 보고에 근거하여,
(a) 현장도착 보고 일시와,
(b) 현장도착시 위치정보와,
(c) 현장도착 보고에 대한 대조 결과와,
(d) 작업완료 보고 일시와,
(e) 완료시 위치정보와,
(f) 작업완료 보고에 대한 대조 결과와,
(g) 작업 상태를 나타내는 상태 정보,
를 포함한다.
또한, 대조 결과란, 각각, 현장도착 보고 및 작업완료 보고에 부가된 위치정보와, 현장의 소재지가 일치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것이며, 상태 정보는, 해당 시공이 작업중인지, 기완료된 것인지의 스테이터스(status)를 나타내는 정보다. 특히, 상태 정보는, 시공 발주 후, 시공 완료 보고가 이루어질 때까지는 "작업중", 완료 보고를 받은 시점에서는 "완료"로, 스테이터스가 변경된다.
예를 들면, 도 5에는, 시공 ID "W001", 시공 의뢰정보 "의뢰 1"에 의해 특정되는 시공에 대해서, 작업원이 "2013/02/01/12:00"에 현장도착 보고를 실시하면서, 그 때의 위치정보는, "N:36.626446, W:138.723444"로, 현장의 소재지와 일치하며, 작업완료 보고가 "2013/02/01/17:00"에 "N:36.626446, W:138.723444"로 된 장소에서 실시된 경우의 데이터가 도시되어 있다.
보고서 DB(334)는, 시공업자용 단말장치(40)로부터 작업완료 보고와 함께, 업로드된 보고서를 구성하는 데이터(이하, "보고서 데이터"라고 한다)를 기록 및 관리하기 위한 DB다. 또,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시공 ID와 대응해서, 보고서 데이터가 등록되어 있다.
예를 들면, 도 6에는, 시공 ID "W001"로 나타낸 시공 작업의 소정 데이터 형식을 갖는 보고서 데이터로서, "보고서 1"로 된 정보가 등록된 예가 도시되어 있다. 또, 예를 들면, 각 보고서 데이터에는,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현장 명칭, 현장 주소, 작업 내용, 작업일, 각종 사진 및 각 사진에 대한 코멘트 같은 각종 정보가 포함됨과 동시에,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은 표시 형식을 규정하는 포맷 정보도 포함된다.
또한, 도 7에는, "다운라이트의 인버터 교체"을 실시하는 시공 작업에 있어서, 작업개시 전의 현장 사진(P1)과, 고장 부품 및 신규로 장착할 부품의 사진(P2 및 P3)과, 작업완료 후의 현장 사진(P4)이 보고서에 첨부된 예가 도시되어 있으며, 각 사진에 대응하는 텍스트 코멘트가 기재된 보고서 데이터의 예가 도시되어 있다.
또, 보고서 데이터는, 시공업자용 단말장치(40)에 있어서, 웹사이트 또는 어플리케이션과 연동해서 생성되어 업로드되도록 되어 있다.
자격 관리 DB(335)는, 시공내용마다 해당 시공을 실시하기 위해서 필요한 자격 등을 관리하기 위한 DB다. 예를 들면, 자격 관리 DB(335)에는,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시공내용과 대응해서, 해당 시공의 실시에 법률 등이 정하고 있는 자격명이 대응해서 기록된다.
또한, 도 8에 예시하는 경우에는, 시공내용마다 필수 자격명이 등록되어 있지만, 예를 들면, 자격명마다 실시 가능한 시공내용(작업 내용)을 플래그 등에 의해 특정할 수 있도록 해도 된다.
서버 관리 제어부(340)는, 주로 중앙연산 처리장치(CPU)에 의해서 구성되며,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서버장치(30)의 각 부를 통합 제어한다.
데이터 처리부(350)는, 서버 관리 제어부(340)에 의한 제어 하에,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함으로써, 통신 제어부(310) 및 기록장치(330)와 연동해서, 각 DB로의 데이터의 등록 및 갱신을 실행하는 DB관리 제어부(351)와, 시공업자 추천 처리를 실행하는 시공업자 추천부(352)와, 시공 요금의 결제를 실시하는 결제 처리부(353)를 실현한다.
또한, 예를 들면, 본 실시예의 DB관리 제어부(351)는, 본 발명의 기록 관리수단과, 시공 의뢰정보 취득수단과, 의뢰정보 취득수단과, 현장도착 보고 취득수단과, 작업완료 보고 취득수단과, 보고서 제공수단을 구성하며, 시공업자 추천부(352)는, 추출수단, 산출수단, 선정수단 및 정보 제공수단을 구성한다.
DB관리 제어부(351)는, 운영자용 단말장치(10), 또는 의뢰주의 도시하지 않은 단말장치로부터 취득된 시공 의뢰정보의 등록 및 관리를 실행함과 동시에, 시공업자용 단말장치(40)로부터의 현장도착 보고, 작업완료 보고에 근거한 의뢰주 관리 DB(331), 시공업자 관리 DB(332), 시공 이력 DB(333)에 대한 데이터의 등록 및 갱신을 실시한다.
또, DB관리 제어부(351)는, 시공업자용 단말장치(40)를 이용하여 작업원이 작성한 현장도착 보고 및 작업완료 보고의 각종 보고 데이터를, 웹사이트를 통해서 또는 전자 메일에 의해서 수신하면, 해당 보고 데이터에 포함되는 시공 작업의 시공 ID를 특정하면서, 해당 시공 ID와, 해당 보고 데이터에 포함되는 보고서 데이터를 대응해서, 보고서 DB(334)에 등록시키는 현장도착 보고 및 작업완료 보고의 보고 처리를 실행한다.
예를 들면,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시공업자용 단말장치(40)에 의해서, 현장도착시에는 "현장도착" 버튼을 선택하고, 작업완료시에는 작업 보고를 입력하고, 현장 사진을 촬영하며, "작업완료" 버튼을 선택함으로써, 현장도착 보고 및 보고서 데이터를 포함하는 작업완료 보고의 각종 보고 데이터가 송신되면, DB관리 제어부(351)는, 해당 각종 보고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한 보고 데이터에 근거하여, 시공 이력 DB(333) 및 관리 보고서 DB(334)를 갱신한다.
한편, DB관리 제어부(351)는, 운영자용 단말장치(10) 또는 소정의 웹사이트를 통해서 의뢰주가 소정 시공 작업의 보고서 데이터의 열람을 희망한 경우에는, 시공 이력 DB(333) 및 관리 보고서 DB(334)에 기록된 각종 정보에 근거하여, 소정의 표시 형식에 따른 화상 데이터를 생성하고, 생성한 화상 데이터를 운영자용 단말장치(10) 또는 도시하지 않은 의뢰주의 통신 단말장치에 제공한다.
예를 들면, 운영자용 단말장치(10)의 지시 하에, 해당하는 시공 작업의 작업완료 보고의 열람이 지시되면, DB관리 제어부(351)는, 관리 보고서 DB(334)로부터 해당하는 시공 작업의 각종 정보를 읽어내어,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은 화상 데이터(D)를 생성하고, 생성한 화상 데이터(D)를 해당하는 운영자용 단말장치(10)에 제공한다.
또, DB관리 제어부(351)는, 의뢰주의 도시하지 않은 통신 단말장치의 지시 하에, 시공 작업을 담당한 시공업자에 대한 평가를 접수하고, 의뢰주에 의한 평가가 이루어진 경우에는, 해당 평가 결과에 근거하여, 시공업자 관리 DB(332)의 평가정보를 갱신한다.
시공업자 추천부(352)는, 시공업자 추천 처리를 실행함으로써, 추천정보를 생성하고, 해당 추천정보를 운영자용 단말장치(10) 또는 도시하지 않은 시공주의 통신 단말장치에 제공한다. 또한, 본 실시예의 시공업자 추천부(352) 및 시공업자 추천 처리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결제 처리부(353)는, 발주한 시공의 시공 요금을 산출하고, 결제에 필요한 처리를 실행한다. 또한, 결제 처리부(353)는, 네트워크(20)에 결제 전용 서버장치(도시하지 않음)를 설치하고, 해당 서버장치에 의해서 실현하도록 해도 되고, 해당 결제 전용 서버장치와 연동해서 결제 처리를 실현해도 된다.
[2.2] 시공업자 추천부
시공업자 추천부(352)는, 운영자용 단말장치(10)에 의한 운영자의 지시 하에, 시공업자 추천 처리를 실행하기 위해서, 의뢰된 시공 작업에 필요한 기능을 가지며, 스케줄상, 시공에 착수 가능한 시공업자를 추출하는 시공업자 추출부(352A)와, 추출된 각 시공업자에 대응하는 우선도를 산출하는 우선도 산출부(352B)와, 산출된 우선도에 근거하여 시공업자를 선정하는 시공업자 선정부(352C)와, 추천정보를 생성하고, 운영자용 단말장치(10)에 제공하는 추천정보 생성부(352D)를 갖는다.
시공업자 추출부(352A)는, 운영자용 단말장치(10), 또는 의뢰주의 단말장치로부터 시공 의뢰정보를 취득하고, 해당 취득된 시공 의뢰정보에 포함된 시공내용에 근거하여, 자격 관리 DB(335)를 검색하고, 의뢰된 시공 작업에 필요한 자격을 특정한다. 그리고, 시공업자 추출부(352A)는, 해당 자격을 검색 키로서 시공업자 관리 DB(332)를 검색하고, 해당 검색 결과, 추출된 모든 시공업자의 시공업자 ID를 읽어내어, ROM/RAM(320)에 기록한다.
또, 시공업자 추출부(352A)는, 읽어낸 시공업자 중에서 공기가 수주 가능기간과 합치하는 시공업자를 선정하고, ROM/RAM(320)에 기록된 시공업자 ID를 갱신한다. 또한, 이때, ROM/RAM(320)에는, 의뢰된 시공을 실시하는 기능을 가지며, 스케줄상, 시공 작업에 대해 작업 가능한 시공업자의 시공업자 ID만 기록된 상태가 된다.
우선도 산출부(352B)는, ROM/RAM(320)에 기록된 시공업자 ID(즉, 의뢰된 시공 작업에 대해 작업 가능한 시공업자)에 근거하여 시공업자 속성정보를 시공업자 관리 DB(332)로부터 읽어내어, 시공 의뢰정보에 포함된 현장 위치와, 시공업자 소재지의 2지점간의 거리(이하, "2지점간 거리"라고 한다) X를 산출하고, 예를 들면, (식 1)에 따라서, 우선도 P를 산출한다.
[수학식 1]
우선도 P = A(1/X)+BY+CZ … (식 1)
또한, (식 1)에 있어서 "A", "B" 및 "C"는 가중 계수를 나타내고, "Y"는 평가정보를 수치화한 값을 나타낸다. 또, "Z"는 수주율을 나타낸다.
단, 과거의 의뢰주의 평가가 높은 시공업자의 우선도 P가 높아지도록 설정하는 것, 또는 거리, 즉 신속하게 현장도착이 가능한 시공업자의 우선도 P가 높아지도록 설정하는 것 등, 우선도 P의 산출 기준을 시대나 의뢰주의 요구에 맞춰 변경하기 위해서, "A", "B" 및 "C"는, 임의로 설정 및 변경 가능하게 되어 있다.
예를 들면, 우선도 산출부(352B)는,
(1) 현장으로부터의 거리가 "20㎞", 평가가 "☆☆☆", 수주율이 "30%"인 시공업자 1과,
(2) 거리가 "5㎞", 평가가 "☆☆", 수주율이 "80%"인 시공업자 2와,
(3) 현장으로부터의 거리가 "30㎞", 평가가 "☆☆☆☆", 수주율이 "70%"인 시공업자 3,
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1) 시공업자 1의 우선도: P1 = A/20+3B+0.3C,
(2) 시공업자 2의 우선도: P2 = A/5+2B+0.8C,
(3) 시공업자 3의 우선도: P3 = A/30+4B+0.7C,
라고 하는 연산식에 의해서 각 우선도 P를 산출한다.
또한, 이때, "A=80", "B=10", "C=5"라고 설정하면, P1=35.5, P2=40.0, P3=23.5가 되어, 시공업자 2, 시공업자 1, 시공업자 3의 순서로 우선도가 높아진다.
시공업자 선정부(352C)는, 우선도 산출부(352B)에 의해서 산출되고 우선도에 근거하여, ROM/RAM(320)에 기록된 소정의 조건을 구비한 시공업자를 선정한다. 구체적으로, 시공업자 선정부(352C)는, 우선도에 근거하여 소정의 조건을 구비한 시공업자 ID를 ROM/RAM(320)에 기록된 시공업자 ID중에서 특정해 시공업자를 선정한다.
예를 들면, 시공업자 선정부(352C)는, 소정의 조건을 구비한 시공업자로서, 가장 우선도가 가장 높은 시공업자 ID를 갖는 시공업자를 설정하고, 소정의 상위 우선도를 갖는 시공업자(예를 들면, 상위 5개 업자)를 선정하거나, 또는 우선도가 소정의 임계값을 넘는 시공업자를, 추천하고자 하는 시공업자로서 선정한다.
추천정보 생성부(352D)는, 선정된 시공업자의 시공업자 ID와 대응해서 시공업자 관리 DB(332)에 등록된 시공업자 속성정보를 읽어내고, 해당 시공업자 속성정보에 근거하여, 추천정보를 생성한다. 그리고, 추천정보 생성부(352D)는, 생성한 추천정보를 해당하는 운영자용 단말장치(10)(즉, 시공업자 추천 처리를 지시한 운영자용 단말장치(10))에 제공한다.
또한, 이때, 추천정보 생성부(352D)는, 시공 금지업자를 의뢰주 관리 DB(331)에 근거하여 특정하고, 추천정보에서 제외하도록 되어 있다.
[3] 통신 시스템의 동작
다음에, 도 11 내지 도 13을 이용하여 본 실시예의 통신 시스템(1)에서 실행되는 구체적인 처리에 대해 설명한다.
[3.1] 시공 작업 의뢰시의 동작
먼저, 도 11 및 도 12를 이용하여, 본 실시예의 통신 시스템(1)에서 실행되는 시공 작업 의뢰시의 처리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도 11은 본 실시예의 통신 시스템(1)의 서버장치(30)에 있어서, 의뢰주로부터 시공이 의뢰되었을 때에 실행되는 추천정보 제공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며, 도 12는 시공업자용 단말장치(40)에 있어서 시공 작업 의뢰시에 인쇄되는 작업 지시서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동작에 있어서, 각 의뢰주 및 발주 가능 시공업자의 각 정보는, 사전에 등록됨과 동시에, 의뢰주 관리 DB(331) 및 시공업자 DB(332)에 필요한 정보가 미리 등록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또, 본 동작에 있어서, 의뢰주는 서비스 센터(SC)에 전화, 팩시밀리, 전자 메일에 의해서 시공을 의뢰하거나, 또는 서비스 센터(SC)의 개설한 사이트에 있는 시공 신청 페이지에서 시공 의뢰를 실행한다.
먼저, DB관리 제어부(351)는, 운영자용 단말장치(10)와 연동해서, 또는 직접, 통신 제어부(310)를 통해서, 의뢰주가 의뢰한 시공 의뢰정보를 취득하면(스텝 Sa200), 취득한 시공 의뢰정보가 운영자용 단말장치(10)로부터 취득된 의뢰인지, 또는 의뢰주의 도시하지 않은 통신 단말장치로부터 직접 취득한 의뢰인지를 판정한다(스텝 Sa201).
이때, DB관리 제어부(351)는, 시공 의뢰정보가 의뢰주의 도시하지 않은 통신 단말장치로부터 직접 취득한 것이라고 판정한 경우에는, 스텝 Sa202의 처리로 이행한다. 또, DB관리 제어부(351)는, 시공 의뢰정보가 운영자용 단말장치(10)로부터 취득된 의뢰라고 판정한 경우에는, 직접 스텝 Sa203의 처리로 이행한다.
다음에, DB관리 제어부(351)는, 시공 의뢰정보가 의뢰주의 도시하지 않은 통신 단말장치로부터 직접 취득한 것이라고 판정한 경우에는, 미리 정해진 운영자용 단말장치(10)에 해당 시공 의뢰정보를 송신하고(스텝 Sa202), 스텝 Sa203의 처리로 이행한다. 예를 들면, 데이터 처리부(350)는, 기동중이며 대기중인 운영자용 단말장치(10)에 시공 의뢰정보를 송신한다.
다음에, DB관리 제어부(351)는, 수신한 시공 의뢰정보에 대해서, 시공 ID를 할당함과 동시에, 타이머(360)로부터 시공 의뢰정보의 취득 일시를 취득하면서, 해당 시공 의뢰주에 대응하는 의뢰주 ID를 특정한다(스텝 Sa203).
또한, 의뢰주 ID의 특정 방법에 대해서는 임의이며, 예를 들면 시공 의뢰정보에 포함된 성명 등, 또는 연락처에 근거하여 의뢰주 관리 DB(331)를 검색하도록 해도 된다.
다음에, DB관리 제어부(351)는, 특정한 의뢰주 ID에 근거하여, 의뢰주 관리 DB(331)로부터 해당 의뢰주의 의뢰주 속성정보 및 의뢰 이력정보를 읽어내 취득하고(스텝 Sa204), ROM/RAM(320)에 기록한다.
다음에, DB관리 제어부(351)는, 할당된 시공 ID와 시공 의뢰정보를 대응해서 시공 이력 DB(333)에 기록함으로써, 시공 이력 DB(333)를 갱신한다(스텝 Sa205).
이때, DB관리 제어부(351)는, 타이머(360)로부터 현재 일시를 취득하고, 의뢰 일시로서 시공 이력 DB(333)에 기록한다. 또, 이때, DB관리 제어부(351)는, 상태 정보의 스테이터스를 "작업중"으로 변경한다.
다음에, 시공업자 추출부(352A)는, 시공 의뢰정보에 근거하여, 시공업자 관리 DB(332)를 검색하고, 해당 시공 작업을 실시하는 기능을 갖고 있으면서, 의뢰주의 희망 일시에 스케줄이 비어 있는 시공업자를 추출한다(스텝 Sa206).
특히, 시공업자 추출부(352A)는, 시공 의뢰정보에 의해 나타나는 시공의 실시가 가능한 자격을 자격 관리 DB에 근거하여 특정하면서, 해당 자격 등을 갖춘 시공업자를, 시공업자 관리 DB(332)에 기등록된 자격정보에 근거하여 추출한다.
다음에, 시공업자 선정부(352C)는, 의뢰주 관리 DB(331)에 등록된 의뢰 이력정보를 참조하면서, 추출한 시공업자 중에서 시공 금지업자에 대응하는 시공업자를 제외한다(스텝 Sa207).
다음에, 시공업자 선정부(352C)는, 이 시공업자 선정부(352C)에 추출된 시공업자 중, 시공 금지업자를 제외한 나머지 업자의 각각에 대해 우선도 P를 산출함과 동시에, 각 우선도 P에 대해 소정의 조건을 구비한 시공업자를 특정한다(스텝 Sa208). 구체적으로, 우선도 산출부(352B)는, 시공 의뢰정보에 포함된 현장 주소와 시공업자의 소재지에 근거하여, 2지점 간의 거리 X를 산출하고, 소정의 연산(예를 들면, (식 1))에 따라서, 우선도 P를 산출한다. 또, 예를 들면, 시공업자 선정부(352C)는, 소정의 조건을 구비한 시공업자로서 최상위 시공업자 ID, 최상위로부터 소정수의 시공업자 ID 또는 일정 우선도 이상의 시공업자를 특정한다.
다음에, 추천정보 생성부(352D)는, 특정된 시공업자의 시공업자 ID와 대응해서 시공업자 관리 DB(331)에 등록된 시공업자 속성정보를 읽어내고, 해당 시공업자 속성정보에 근거하여, 추천정보를 생성한다(스텝 Sa209).
마지막으로, 추천정보 생성부(352D)는, 생성한 추천정보를 해당하는 운영자용 단말장치(10) 또는 의뢰주의 도시하지 않은 통신 단말장치에 공급하고(스텝 Sa210), 본 동작을 종료한다.
또한, 운영자용 단말장치(10)는, 추천정보를 수신하면, 운영자의 조작에 근거하여 추천된 시공업자를, 또 복수의 추천된 시공업자 중에서 하나의 시공업자를 선택하면, 시공 의뢰정보 및 현장의 주변 지도에 대응하는 URL, 또는 이들 내용을 갖는 바코드를 시공 작업 정보로서 시공업자용 단말장치(40)에 송신하고, 견적 발행 의뢰 및 견적 승인후 시공 작업의 발주를 실시한다.
또, 시공 작업의 발주시에, 운영자용 단말장치(10)는, 해당하는 시공업자용 단말장치(즉, 발주처의 시공업자용 단말장치)(40)의 어플리케이션과 연동하거나, 또는 해당하는 시공업자용 단말장치(40)가 수신 가능하게 전자 메일에 의해서, 현장 주소를 포함한 현장 주변의 지도를 표시하기 위한 URL을 포함한 시공 작업 정보를, 시공업자용 단말장치(40)에서 시공업자의 작업원이 열람 가능하도록 전송한다.
또한, 시공업자용 단말장치(40)는, 소정의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수신한 시공 작업 정보를 작업원에게 통지할 수 있고, 보고 처리를 실행할 때의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해서 내부에 등록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은 작업 지시서로서, 휴대형 프린터에 의해서 지면에 출력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특히, 지면에 출력된 작업 지시서는, 해당 시공 작업을 특정하기 위한 바코드를 갖고 있으며, 현장도착 보고 및 작업완료 보고를 실시할 때에 이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3.2] 현장도착 및 작업완료 보고시의 동작
다음에, 도 13을 이용하여 본 실시예의 시공업자용 단말장치(40) 및 서버장치(30)에서 실행되는 현장도착 보고 및 작업완료 보고를 포함한 보고 처리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도 13은 본 실시예의 시공업자용 단말장치(40) 및 서버장치(30)에서 실행되는 현장도착 보고 및 작업완료 보고를 포함한 보고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다. 또, 이 처리에 앞서, 복수의 작업 의뢰가 실행됨과 동시에, 소정의 정보가 각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먼저, 시공업자용 단말장치(40)는, 시공업자 작업원의 보고 지시를 검출하면(스텝 Sb100), 해당 작업원의 조작을 검출하면서, 시공 작업을 특정하기 위한 시공 ID를 취득한다(스텝 Sb101).
예를 들면, 시공업자용 단말장치(40)는, 시공업자용 단말장치(40)의 카메라 기능을 기동시킴과 동시에, 상술한 바와 같이 지면에 출력된 작업 지시서의 바코드를 취득해 화상 해석하고, 시공 ID를 특정한다. 또, 시공업자용 단말장치(40)는, 소정의 어플리케이션을 기동하여 운영자용 단말장치(10)로부터 송신되고 내부에 등록한 시공 작업 정보에 근거하여, 시공 ID를 특정한다.
다음에, 시공업자용 단말장치(40)는, 특정한 시공 ID에 근거하여, 해당 시공 작업의 보고(즉, 현장도착 보고 및 작업완료 보고)를 실행하기 위한 표시(즉, 작업원의 입력을 재촉하기 위한 표시)를 하기 위한 것으로, 또, 서버장치(30)에 보고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리소스 데이터(이하, "보고 데이터 송신용 리소스 데이터"라고 한다)를 취득한다(스텝 Sb102).
또한, 시공업자용 단말장치(40)는, 소정의 어플리케이션에 의해서 시공 ID에 근거하여 보고 데이터 송신용 리소스 데이터를 생성해도 되고, 서버장치(30)와 연동하면서, 특정한 시공 ID에 근거하여, URL 등 현장도착 보고 및 작업완료 보고를 실시하기 위한 Web 페이지를 특정하여 해당 보고 데이터 송신용 리소스 데이터를 취득해도 된다.
다음에, 시공업자용 단말장치(40)는, 취득한 리소스 데이터에 근거하여, 예를 들면,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은 소정의 화상(이하, "보고 데이터 작성용 화상"이라고 한다)을 표시하고, 작업원에 의한 입력 조작을 대기한다(스텝 Sb103).
다음에, 시공업자용 단말장치(40)는, 작업원의 조작 입력을 검출하면(스텝 S104), GPS 신호를 수신하여 현재지에 대응하는 위치정보를 생성함과 동시에(스텝 Sb105), 해당 위치정보를 부가한 현장도착 보고, 또는 작업완료 보고를 나타내는 보고 데이터를 송신하고(스텝 Sb106), 본 동작을 종료한다.
또한, 시공업자용 단말장치(40)는, 작업완료 보고시에, 코멘트 입력, 및, 카메라 기능에 의한 현장의 촬상을 재촉해서, 코멘트 및 현장의 화상을 취득한다. 그리고, 시공업자용 단말장치(40)는, 취득한 코멘트 및 화상에 근거하여, 소정의 데이터 포맷에 있어서의 보고서 데이터를 작성하고, 해당 생성한 보고서 데이터를 첨부한 보고 데이터를 송신한다. 단, 현장도착 보고시에 코멘트 및 현장의 화상을 취득해서 보고 데이터에 첨부해도 된다.
또, 시공업자용 단말장치(40)는, 작업완료 보고시에, 결산 처리를 후일에 실시할지 또는 작업완료시에 실시할지를 나타내는 결산 정보를 보고 데이터에 첨부해도 된다. 이 경우에, 시공업자용 단말장치(40)는, 의뢰주 또는 그 담당자가 결제방법을 선택하도록 하고, 의뢰주가 지시한 지불 방법을 결산 정보로서 보고 데이터에 첨부한다. 또, 시공업자용 단말장치(40)는, 부품 또는 부재 교체 등의 시공 작업에서 신규 부품 또는 부재의 비용이 발생한 경우에는, 작업원의 입력에 근거하여, 해당 추가 비용에 관한 데이터를 보고 데이터에 첨부한다.
한편, 서버장치(30)에 있어서는, 통신 제어부(310)가, 시공업자용 단말장치(40)에 의해서 송신된 보고 데이터를 수신하면(스텝 Sb200), DB관리 제어부(351)는, 타이머(360)로부터 수신 일시를 취득하고(스텝 Sb201), 해당 수신한 보고 데이터에 의해 나타나는 보고가 현장도착 보고인지 작업완료 보고인지를 판정한다(스텝 Sb202).
다음에, DB관리 제어부(351)는, 수신한 보고 데이터에 의해 나타나는 보고가 현장도착 보고라고 판정한 경우에는, 시공 이력 DB(333)에, 현장도착 일시 및 위치정보(즉, 현장도착 위치정보)를 기록하고(스텝 Sb203), 본 동작을 종료한다.
또한, 이때, DB관리 제어부(351)는, 보고에 부가된 위치정보와 현장 주소를 비교해서 대조 결과를 취득하고, 그 결과를 시공 이력 DB(333)에 등록한다. 또, DB관리 제어부(351)는, 보고 데이터에 코멘트 또는 화상이 첨부되어 있는 경우에는, 각종 데이터를 시공 이력 DB(333)에 등록해도 된다.
한편, DB관리 제어부(351)는, 수신한 보고 데이터에 의해 나타나는 보고가 작업완료 보고라고 판정한 경우에, 해당 완료 보고에 대응하는 시공 ID를 특정하고, 수신 일시 및 보고 데이터에 포함되는 위치정보에 근거하여, 시공 이력 DB(333)의 각종 정보를 갱신하면서, 보고 데이터에 첨부된 보고서 데이터를 시공 ID와 대응해서 보고서 DB(334)에 기록한다(스텝 Sb204).
구체적으로, 시공 이력 DB(333)의 갱신과 관련해서, DB관리 제어부(351)는, 수신 일시를 작업완료 일시로서 시공 이력 DB(333)에 기록함과 동시에, 보고 데이터에 부가된 위치정보와 현장 주소를 비교해서 대조 결과를 취득하고, 그 결과를 시공 이력 DB(333)에 기록한다. 또, DB관리 제어부(351)는, 시공 이력 DB(334) 상태 정보의 스테이터스를 "완료"로 변경한다.
다음에, 결제 처리부(353)는, 도시하지 않은 견적 데이터와 시공 ID가 대응된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견적 데이터를 취득하거나, 또는 현장도착 일시부터, 작업완료까지 요하는 시간수(공정수)를 산출하고, 시공 요금의 산출 처리를 실행한다(스텝 Sb205). 또한, 결제 처리부(353)는, 부품 대금 등의 추가 비용이 발생한 경우에, 보고 데이터에 첨부된 추가 비용에 관한 정보에 근거하여 추가 비용을 포함한 시공 요금을 산출한다.
또한, 추가 요금과 관련해서는, 보고서 데이터에 기재된 정보에 근거하여, 운영자가 수동으로 결정해도 되고, 해당 보고서 데이터와 미리 등록된 부품 등의 추가 요금 데이터에 근거하여 자동적으로 결정해도 된다.
다음에, 결제 처리부(353)는, 시공 ID에 근거하여, 또는 보고 데이터에 첨부된 결산 정보에 근거하여, 후일 결산 처리인지 작업완료시 결산 처리인지를 판정하고(스텝 Sb206), 후일 결산 처리로 판정한 경우에는, 그대로 본 동작을 종료시킨다. 단, 결제 처리부(353)는, 후일 결산 처리로 판정한 경우에, 그 취지를 해당하는 운영자용 단말장치(10)에 통지한다.
한편, 결제 처리부(353)는, 작업완료시 결산 처리로 판정한 경우에, 시공업자용 단말장치(40)와 연동해서, 신용카드 결제 등 소정의 결제 처리를 실행하고(스텝 Sb207), 본 동작을 종료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결제 처리는, 종래와 동일하므로,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의 통신 시스템(1)에 있어서는, 의뢰된 시공 작업을 실시하는 기능이 없는 시공업자, 및 스케줄적으로 수주할 수 없는 시공업자를 제외하면서, 상기 현장의 위치에서부터 시공업자까지가 적어도 2지점간 거리에 근거하여 신속하게 시공작업의 실행이 가능한 시공업자의 정보를, 추천정보로서 해당 시공업자의 선정을 희망하는 희망자에게 정확하게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통신 시스템(1)에 있어서는, 운영자 또는 의뢰주(담당자 포함함) 등의 시공업자의 선정을 희망하는 희망자에 대해서, 의뢰주의 의뢰에 따라서 신속하면서 정확하게 시공 작업이 가능한 시공업자를 선정할 수 있으므로, 의뢰주로부터의 의뢰에 따라서 시공 작업의 수주 및 발주를 실시하는 시공 발주 대행 서비스의 업무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본 실시예의 통신 시스템(1)에 있어서는, 각 시공업자가 과거에 실시한 시공에 대한 의뢰주의 평가(예를 들면, 의뢰주의 만족도를 점수로 평가한 것 등)를 시공업자의 시공 이력으로서 데이터베이스에 축적하고, 평가가 높은 시공업자를 우선적으로 선정할 수 있으므로, 의뢰주에 있어서의 시공 작업의 만족도(즉, CS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 본 실시예의 통신 시스템(1)에 있어서는, 의뢰주가 과거의 의뢰 경험으로부터, 의뢰를 거부하고 싶은 시공업자를 개별적으로 지정하면, 해당 시공업자에게 재차 시공이 발주되는 사태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 본 실시예의 통신 시스템(1)에 있어서는, 각 시공업자가 과거의 수주 상황에 근거하여, 예를 들면, 시공업자와 의뢰주의 신뢰 관계를 나타내는 하나의 바로미터가 되는, 시공업자에 있어서 시공 의뢰에 대한 시공 실적을 나타내는 수주율이 높은 시공업자를 우선적으로 선정으로 할 수 있으므로, 시공 작업의 효율화 및 의뢰주에 있어서의 CS도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 본 실시예의 통신 시스템(1)에 있어서는, 예를 들면, 과거의 의뢰주의 평가가 높은 시공업자의 우선도가 높아지도록 설정하거나, 또는 거리에 근거하여 신속하게 현장도착이 가능한 시공업자의 우선도가 높아지도록 설정하는 등, 우선도의 산출 기준을 시공의 종별 또는 의뢰주의 요구에 맞춰 변경할 수 있다.
또, 본 실시예의 통신 시스템(1)에 있어서는, 우선도의 산출 기준을 의뢰주의 요구에 맞춰 변경할 수 있다.
또, 본 실시예의 통신 시스템(1)에 있어서는, 2지점간 거리 등에 의해서 일률적으로 시공업자를 판단하는 것이 어려운 경우라도, 소정의 조건을 구비한 시공 작업 실행을 위한 시공업자 후보를 추려낼 수 있으므로, 많은 시공업자 중에서 의뢰할 시공업자를 결정하는 경우에 비해서, 해당 결정 작업을 용이하게 실행시킬 수 있다.
또, 본 실시예의 통신 시스템(1)에 있어서는, 가장 적합한 시공업자에게 시공 작업을 의뢰할 수 있으므로, 시공 발주 대행 서비스의 업무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본 실시예의 통신 시스템(1)에 있어서는, 예를 들면, 의뢰된 시공을 잘하는 시공업자를 우선적으로 추천할 수 있고, 긴급성을 갖는 경우 등 시공 의뢰 상황에 따라 대응 가능한 시공업자를 우선적으로 추천할 수 있으므로, 보다 적절한 시공업자를 선정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통신 시스템(1)에 있어서는, 의뢰주의 CS도를 향상시킬 수 있음과 동시에, 여러 가지 시공에 대해서도 적용시킬 수 있다.
[4] 변형예
[4. 1] 변형예 1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는, 서버장치(30)에서 결제 처리를 실행하는 구성으로 했지만, 네트워크(20)에 결제 전용 서버장치를 설치하고, 해당 서버에서 결제 처리를 실행하도록 해도 된다.
[4. 2] 변형예 2
또,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는, 서버장치(30)내에 각종 DB를 설치하고, 일원적으로 관리하도록 했지만, 각 데이터베이스의 관리, 제어 주체가 되는 컴퓨터 시스템을, 각각 별개의 컴퓨터 시스템에 의해서 가동하도록 해도 된다. 이 경우, 각 컴퓨터 시스템은, 각각 다른 국가에 설치하도록 해도 된다.
[4. 3] 변형예 3
또,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는, 물품의 설치 또는 보수 등을 포함한 시공 작업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본 발명에 따르는 정보 제공장치 등은, 시설의 청소 등에도 적용할 수 있다. 이 경우라도, 상기 실시예의 통신 시스템(1)과 동일한 구성에 의해 실현 가능하다.
[4. 4] 변형예 4
또,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는, 보고서에 작업 내용 텍스트와 화상 데이터만을 포함하는 보고서 데이터를 등록하는 구성으로 했지만, 보고서 데이터에, 시공 작업에서 교체한 부품에 관한 정보로서, 모델번호나 교체 이유를 기술하도록 해도 된다. 그리고, 의뢰된 시공 작업이, 설비 사용자측의 책임이라고 생각되는 경우와 설비 제조자, 또는 관리자측의 책임이라고 생각되는 경우로 나누고, 자동적으로 청구처를 변경하는 구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4. 5] 변형예 5
또,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는, 우선도 P의 산출 방법으로서 (식 1)을 이용하는 예를 나타냈지만, 평가정보를 과거 소정 기간분, 전체를 DB에 남기는 구성을 채용하는 경우에는, 새로운 평가와 오래된 평가를 나누고, 새로운 평가의 비중을 크게 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특히, 평가에 관해서는, 오래된 평가보다 새로운 평가가 유용성이 높아지므로, 우선도 산출의 정확도를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4. 6] 변형예 6
또, 상기 실시예의 우선도 산출부(352B)에 있어서는, 예를 들면 (식 1)을 이용하여 우선도 P를 산출할 때에, "거리", "평가", "수주율"의 각 항목, 즉, "AX", "BY", "CZ"에 대해서, "AX"가 "80"점, "BY"가 "50"점, "CZ"가 "30"점이라고 하는 바와 같이 상한값을 설정하도록 해도 된다. 또, 우선도 산출부(352B)는, (식 1) 대신에 (식 2)에 근거하여 우선도 P를 산출하도록 해도 된다.
[수학식 2]
우선도 P = AX+B(ay1+by2+cy3)+CZ … (식 2)
또한, (식 2)에 있어서, "A", "B", "C", "X", "Z"는 상기 (식 1)과 동일하며, a, b 및 c는 변경 가능한 중요 계수를 나타냄과 동시에, y1=공기적(工期的)인 만족도(10점 평가 등), y2=가격적인 만족도, y3=품질적인 만족도를 나타낸다. 또 "A", "B", "C", "a", "b", "c"의 6개의 계수를 각각 가변으로 하면, 예를 들면, 공기를 우선시하는 의뢰주, 가격을 우선시하는 의뢰주, 품질을 우선시하는 의뢰주 등, 의뢰주의 사정을 반영시키면서 시공업자를 선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우선도 산출부(352B)는, "평가"와 관련해서 우선도 P의 산출에 이용하지 않고, 참고값으로서만 운영자용 단말장치(10)에 표시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이러한 참고값으로서는, 과거에 시공 작업한 작업 건수의 정보도 포함되며, 우선도 산출부(352B)는, 해당 작업 건수도 참고값으로서 운영자용 단말장치(10)에 표시하도록 해도 된다.
[4. 7] 변형예 7
또,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는, 운영자용 단말장치(10)와 서버장치를 별개의 컴퓨터 시스템으로 하는 구성을 채용했지만, 서버장치(30)에 입력용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디스플레이를 설치하고, 서버장치(30) 단독으로, 서비스 센터(SC)를 총괄 관리하도록 해도 된다.
또, 서비스 센터(SC)를 해외에 설치하고, 서버장치(30)만 국내에서 운용하도록 해도 된다. 이 경우, 해외의 서비스 센터(SC)에 운영자용 단말장치(10)만을 설치하고, 네트워크(20)를 통해서 국내의 서버장치(30)와 데이터 통신을 실시하도록 하면 된다.
[4. 8] 변형예 8
또,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는, 시공업자마다 자격정보나 시공 이력을 관리하는 구성을 채용했지만, 작업원마다 자격정보 및 공사 이력을 관리하도록 해도 된다.
[4. 9] 변형예 9
또,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는, 기능정보에 시공에 필수 자격 등에 대응하는 정보만을 기록하도록 했지만, 예를 들면, 옵션 정보로서 "LAN(Local Area Network) 공사", "분전(分電), 브레이커 공사", "인테리어 공사" 등, 시공업자가 잘하는 작업 종별, 또는 과거에 시공 경험이 많은 작업 종별을 기능정보에 포함시키도록 해도 된다. 또한, "24시간 대응 가능" 등의 서비스 체제에 관한 정보를 기능정보에 포함시키도록 해도 된다.
이 구성을 채용함으로써, 예를 들면, 의뢰된 시공을 잘하는 시공업자를 우선적으로 추천하는 등, 보다 자유도가 높은 시공업자 추천을 실현하는 것 및 서비스 체제를 가미한 시공업자의 추천을 실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통신 시스템 10: 운영자용 단말장치
20: 네트워크 30: 서버장치
40: 시공업자용 단말장치 310: 통신 제어부
320: ROM/RAM 330: 기록장치
331: 의뢰주 관리 DB 332: 시공업자 관리 DB
333: 시공 이력 DB 334: 보고서 DB
335: 자격 관리 DB 340: 서버 관리 제어부
350: 데이터 처리부 351: DB관리 제어부
352: 시공업자 추천부 352A: 시공업자 추출부
352B: 우선도 산출부 352C: 시공업자 선정부
352D: 추천정보 생성부 353: 결산 처리부
360:타이머

Claims (25)

  1. 복수의 시공업자의 각각에 대해 해당 시공업자의 소재지 및 명칭을 적어도 포함하는 시공업자 속성정보와, 해당 시공업자가 시공 가능한 작업 종별을 나타내는 기능정보 및 해당 시공업자가 시공 작업을 수주 가능한 스케줄을 나타내는 스케줄 정보를 적어도 포함하는 자격정보가 대응해서 기록되는 데이터베이스를 관리하는 기록 관리수단과,
    의뢰주로부터 상기 시공 작업이 의뢰된 경우에, 시공 현장의 위치, 시공 작업의 내용을 나타내는 시공내용 및 스케줄을 포함한 시공 의뢰정보를 외부로부터 취득하는 시공 의뢰정보 취득수단과,
    상기 취득된 시공 의뢰정보에 의해 나타나는 시공내용 및 스케줄과 상기 기록되어 있는 자격정보에 근거하여, 해당 의뢰된 시공 작업을 수주 가능한 상기 시공업자를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하는 추출수단과,
    상기 현장의 위치와 상기 시공업자 속성정보에 포함되는 시공업자 소재지의 2지점간 거리를 적어도 포함하는 산정 요소에 근거하여, 상기 의뢰된 시공 작업을 수주 가능한 각 시공업자의 우선도를 나타내는 우선도 정보를 산출하는 산출수단과,
    상기 산출된 우선도에 근거하여, 적어도 하나의 시공 작업을 수주 가능한 선정 시공업자로서 선정하는 선정수단과,
    상기 선정한 시공업자에 관한 정보를, 추천정보로서 해당 시공업자의 선정을 희망하는 희망자에게 열람 가능하도록 제공하는 정보 제공수단,
    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제공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베이스에는, 상기 자격정보 및 상기 시공업자 속성정보와 대응해서, 해당 시공업자가 과거에 실시한 시공에 대한, 상기 의뢰주의 평가를 나타내는 평가정보가 추가로 기록되어 있고,
    상기 산출수단은, 상기 2지점간 거리와 함께 상기 평가정보를 포함한 산정 요소에 근거하여 상기 우선도 정보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제공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평가정보에는, 상기 의뢰주가, 시공의 발주를 거부하는 해당 시공업자를 나타내는 거부 정보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제공장치.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 관리에는, 상기 자격정보 및 상기 시공업자 속성정보에 대응해서, 상기 선정된 시공업자며 과거에 시공 작업을 수주한 것을 나타내는 수주 정보 또는 해당 수주 정보와 관련되는 수주 관련 정보가 추가로 기록되어 있고,
    상기 산출수단은, 상기 우선도 정보를 산출할 때에, 상기 2지점간 거리와 함께 상기 수주 정보 또는 상기 수주 관련 정보를 포함한 산정 요소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제공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산출수단은, 상이한 상기 산정 요소에 대해서, 각각 소정의 가중을 부여하면서 상기 우선도 정보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제공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산출수단은, 상기 의뢰주마다 상기 상이한 산정 요소의 각각에 대한 가중 계수를 변경하면서, 상기 우선도 정보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제공장치.
  7. 제 1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선정수단은, 상기 우선도가 미리 정해진 조건을 구비한 복수의 시공업자를, 상기 선정 시공업자로서 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제공장치.
  8. 제 1항 내지 제 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선정수단은, 상기 우선도가 가장 높은 시공업자를 상기 선정 시공업자로서 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제공장치.
  9. 제 1항 내지 제 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정보에는, 해당 시공업자가 잘하는 작업, 시공 경험이 있는 작업, 및 해당 시공업자의 서비스 대응 체제를 나타내는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제공장치.
  10. 제 1항 내지 제 9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정보 제공장치와,
    상기 추천정보에 근거하여 선정된 하나의 시공업자며, 상기 시공 작업을 수주한 수주 시공업자의 통신 단말장치로부터 해당 시공업자가 상기 시공 현장에 도착한 것을 나타내는 현장도착 보고와, 해당 현장도착 보고시의 위치를 나타내는 현장도착 위치정보를 대응시켜서 취득하는 현장도착 보고 취득수단과,
    상기 현장도착 보고의 취득 일시를 나타내는 현장도착 일시의 정보를 취득하는 현장도착 일시정보 취득수단과,
    상기 현장도착 취득 위치정보에 의해 나타나는 현장도착 위치와 상기 현장의 소재지가 일치하는지 여부를 대조하는 현장 위치정보 대조수단과,
    상기 취득된 현장도착 일시와 상기 현장도착 위치의 대조 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수주 시공업자에 있어서의 시공 작업 상황을 데이터 관리하는 관리수단,
    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공업자 관리장치.
  11. 제 1항 내지 제 9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정보 제공장치와,
    상기 수주 시공업자의 통신 단말장치로부터, 해당 시공 작업이 완료된 것을 나타내는 작업완료 보고를 취득하는 작업완료 보고 취득수단과,
    상기 작업완료 보고의 취득 일시를 나타내는 작업완료 일시의 정보를 취득하는 작업완료 일시정보 취득수단과,
    상기 취득된 작업완료 일시에 근거하여 상기 수주 시공업자에 있어서의 시공 작업 상황을 데이터 관리하는 관리수단,
    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공업자 관리장치.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완료 보고 취득수단은, 상기 작업완료 보고와 함께, 해당 시공 작업을 실행한 상기 시공업자, 또는 해당 시공업자의 작업원에 의해 작성된 작업 보고서의 데이터를 보고서 데이터로서 취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공업자 관리장치.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보고서 데이터에는, 현장에서 촬영된 화상을 구성하는 화상 데이터가 적어도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공업자 관리장치.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데이터에는, 시공 작업전의 현장 화상, 및 시공 작업 후의 현장 화상의 화상 데이터가 적어도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공업자 관리장치.
  15. 제 13항 또는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보고서 데이터에는, 상기 화상에 대한 코멘트 데이터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공업자 관리장치.
  16. 제 11항 내지 제 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고서 데이터가 취득된 경우에, 해당 보고서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에 기록함과 동시에, 소정의 통신 단말장치로부터의 요구에 근거하여, 기록된 보고서 데이터중에서 해당하는 보고서 데이터를 열람 가능하도록 제공하는 보고서 제공수단을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공업자 관리장치.
  17. 컴퓨터를,
    복수의 시공업자의 각각에 대해 해당 시공업자의 소재지 및 명칭을 적어도 포함하는 시공업자 속성정보와, 해당 시공업자가 시공 가능한 작업 종별을 나타내는 기능정보 및 해당 시공업자가 시공 작업을 수주 가능한 스케줄을 나타내는 스케줄 정보를 적어도 포함하는 자격정보가 대응해서 기록되는 데이터베이스를 관리하는 기록 관리수단,
    의뢰주로부터 상기 시공 작업이 의뢰된 경우에, 시공 현장의 위치, 시공 작업의 내용을 나타내는 시공내용 및 스케줄을 포함한 시공 의뢰정보를 외부로부터 취득하는 시공 의뢰정보 취득수단,
    상기 취득된 시공 의뢰정보에 의해 나타나는 시공내용 및 스케줄과 상기 기록되어 있는 자격정보에 근거하여, 해당 의뢰된 시공 작업을 수주 가능한 상기 시공업자를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하는 추출수단,
    상기 현장의 위치와 상기 시공업자 속성정보에 포함되는 시공업자 소재지의 2지점간 거리를 적어도 포함하는 산정 요소에 근거하여, 상기 의뢰된 시공 작업을 수주 가능한 각 시공업자의 우선도를 나타내는 우선도 정보를 산출하는 산출수단,
    상기 산출된 우선도에 근거하여, 적어도 하나의 시공 작업을 수주 가능한 상기 시공업자를 선정 시공업자로서 선정하는 선정수단, 및
    상기 선정한 시공업자에 관한 정보를, 추천정보로서 해당 시공업자의 선정을 희망하는 희망자에게 열람 가능하도록 제공하는 정보 제공수단,
    으로서 기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
  18.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를,
    상기 추천정보에 근거하여 선정된 하나의 시공업자며, 상기 시공 작업을 수주한 수주 시공업자의 통신 단말장치로부터 해당 시공업자가 상기 시공 현장에 도착한 것을 나타내는 현장도착 보고와, 해당 현장도착 보고시의 위치를 나타내는 현장도착 위치정보를 대응시켜서 취득하는 현장도착 보고 취득수단,
    상기 현장도착 보고의 취득 일시를 나타내는 현장도착 일시의 정보를 취득하는 현장도착 일시정보 취득수단,
    상기 현장도착 취득 위치정보에 의해 나타나는 현장도착 위치와 상기 현장의 소재지가 일치하는지 여부를 대조하는 현장 위치정보 대조수단, 및
    상기 취득된 현장도착 일시와 상기 현장도착 위치의 대조 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수주 시공업자에 있어서의 시공 작업 상황을 데이터 관리하는 관리수단,
    으로서 추가로 기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
  19.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를,
    상기 수주 시공업자의 통신 단말장치로부터, 해당 시공 작업이 완료된 것을 나타내는 작업완료 보고를 취득하는 작업완료 보고 취득수단,
    상기 작업완료 보고의 취득 일시를 나타내는 작업완료 일시의 정보를 취득하는 작업완료 일시정보 취득수단, 및
    상기 취득된 작업완료 일시에 근거하여 상기 수주 시공업자에 있어서의 시공 작업 상황을 데이터 관리하는 관리수단,
    으로서 추가로 기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
  20. 의뢰주로부터 시공 작업이 의뢰된 경우에, 시공 현장의 위치, 시공 작업의 내용을 나타내는 시공내용 및 스케줄을 포함한 시공 의뢰정보를 외부로부터 취득하는 시공 의뢰정보 취득 스텝과,
    데이터베이스에 시공업자의 소재지 및 명칭을 적어도 포함하는 시공업자 속성정보에 대응해서 기록되고, 시공업자가 시공 가능한 작업 종별을 나타내는 기능정보 및 해당 시공업자가 시공 작업을 수주 가능한 스케줄을 나타내는 스케줄 정보를 적어도 포함하는 자격정보와, 상기 취득된 시공 의뢰정보에 의해 나타나는 시공내용 및 스케줄에 근거하여, 해당 의뢰된 시공 작업을 수주 가능한 상기 시공업자를 해당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하는 추출 스텝과,
    상기 현장의 위치와 상기 시공업자 속성정보에 포함되는 시공업자 소재지의 2지점간 거리를 적어도 포함하는 산정 요소에 근거하여, 상기 의뢰된 시공 작업을 수주 가능한 각 시공업자의 우선도를 나타내는 우선도 정보를 산출하는 산출 스텝과,
    상기 산출된 우선도에 근거하여, 적어도 하나의 시공 작업을 수주 가능한 상기 시공업자를 선정 시공업자로서 선정하는 선정 스텝과,
    상기 선정한 시공업자에 관한 정보를, 추천정보로서 해당 시공업자의 선정을 희망하는 희망자에게 열람 가능하도록 제공하는 정보 제공 스텝,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제공방법.
  21. 복수의 통신 단말장치와,
    상기 통신 단말장치에 통신 가능하게 접속되고, 각종 정보를 상기 통신 단말장치에 제공하는 서버장치,
    를 구비하고,
    상기 서버장치는,
    복수의 시공업자의 각각에 대해 해당 시공업자의 소재지 및 명칭을 적어도 포함하는 시공업자 속성정보와, 해당 시공업자가 시공 가능한 작업 종별을 나타내는 기능정보 및 해당 시공업자가 시공 작업을 수주 가능한 스케줄을 나타내는 스케줄 정보를 적어도 포함하는 자격정보가 대응해서 기록되는 데이터베이스를 관리하는 기록 관리수단과,
    의뢰주로부터 상기 시공 작업이 의뢰된 경우에, 시공 현장의 위치, 시공 작업의 내용을 나타내는 시공내용 및 스케줄을 포함한 시공 의뢰정보를 외부로부터 취득하는 시공 의뢰정보 취득수단과,
    상기 취득된 시공 의뢰정보에 의해 나타나는 시공내용 및 스케줄과 상기 기록되어 있는 자격정보에 근거하여, 해당 의뢰된 시공 작업을 수주 가능한 상기 시공업자를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하는 추출수단과,
    상기 현장의 위치와 상기 시공업자 속성정보에 포함되는 시공업자 소재지의 2지점간 거리를 적어도 포함하는 산정 요소에 근거하여, 상기 의뢰된 시공 작업을 수주 가능한 각 시공업자의 우선도를 나타내는 우선도 정보를 산출하는 산출수단과,
    상기 산출된 우선도에 근거하여, 적어도 하나의 시공 작업을 수주 가능한 상기 시공업자를 선정 시공업자로서 선정하는 선정수단과,
    상기 선정한 시공업자에 관한 정보를, 추천정보로서 해당 시공업자의 선정을 희망하는 희망자에게 열람 가능하도록 제공하는 정보 제공수단,
    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
  22. 의뢰주로부터 시공 작업이 의뢰된 경우에, 해당 시공 현장의 위치, 시공할 작업의 내용을 나타내는 시공내용 및 공기(工期)를 나타내는 시공 의뢰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조작수단과,
    상기 취득된 시공 의뢰정보에 의해 나타나는 시공내용 및 공기에 근거하여 추출된 상기 시공업자 중에서, 상기 현장의 위치와 상기 시공업자 속성정보에 포함되는 시공업자 소재지의 2지점간 거리를 적어도 포함하는 산정 요소에 근거하여 선정된 적어도 하나의 선정 시공업자에 관한 정보를, 추천정보로서 취득하는 추천정보 취득수단과,
    상기 취득된 상기 추천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선정 시공업자에 관한 정보를 희망자에게 열람 가능하도록 제시하는 제시수단,
    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제시장치.
  23. 제 22항에 있어서,
    상기 선정 시공업자의 통신 단말장치로부터 해당 시공업자가 상기 시공 현장에 도착한 것을 나타내는 현장도착 보고와, 해당 현장도착 보고시의 위치를 나타내는 현장도착 위치정보를 대응해서 취득하는 현장도착 보고 취득수단과,
    상기 현장도착 보고의 취득 일시를 나타내는 현장도착 일시의 정보를 취득하는 현장도착 일시정보 취득수단과,
    상기 현장도착 취득 위치정보에 의해 나타나는 현장도착 위치와 상기 현장의 소재지가 일치하는지 여부를 대조하는 현장 위치정보 대조수단과,
    상기 취득된 현장도착 일시와 상기 현장도착 위치의 대조 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수주 시공업자에 있어서의 시공 작업 상황을 관리하는 데이터 관리수단을 추가로 가지며,
    상기 제시수단은, 상기 관리수단에 의해서 관리되는 상기 작업 상황 및 상기 대조 결과를 희망자에게 열람 가능하도록 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제시장치.
  24. 제 22항에 있어서,
    상기 수주 선정 시공업자의 통신 단말장치로부터, 해당 시공 작업이 완료된 것을 나타내는 작업완료 보고를 취득하는 작업완료 보고 취득수단과,
    상기 작업완료 보고의 취득 일시를 나타내는 작업완료 일시의 정보를 취득하는 작업완료 일시정보 취득수단과,
    상기 취득된 작업완료 일시에 근거하여 상기 수주 시공업자에 있어서의 시공 작업 상황을 데이터 관리하는 관리수단,
    을 추가로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제시장치.
  25. 컴퓨터를,
    의뢰주로부터 시공이 의뢰된 경우에, 해당 시공 현장의 위치, 시공할 작업의 내용을 나타내는 시공내용 및 공기(工期)를 나타내는 시공 의뢰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조작수단,
    상기 취득된 시공 의뢰정보에 의해 나타나는 시공내용 및 공기에 근거하여 추출된 상기 시공업자 중에서, 상기 현장의 위치와 상기 시공업자 속성정보에 포함되는 시공업자 소재지의 2지점간 거리를 적어도 포함하는 산정 요소에 근거하여 선정된 적어도 하나의 선정 시공업자에 관한 정보를, 추천정보로서 취득하는 추천정보 취득수단, 및
    상기 추천정보 취득수단에 의해서 취득된 상기 추천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선정 시공업자에 관한 정보를 희망자가 열람 가능하도록 표시하는 정보 제시수단,으로서 기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
KR1020157025237A 2013-03-11 2014-03-10 정보 제공장치, 시공업자 관리장치, 정보 제시장치, 프로그램, 통신 시스템 및 정보 제공방법 KR2015012710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3-048540 2013-03-11
JP2013048540A JP5848276B2 (ja) 2013-03-11 2013-03-11 情報推薦提供装置、プログラム及び通信システム
PCT/JP2014/056187 WO2014142077A1 (ja) 2013-03-11 2014-03-10 情報提供装置、施工業者管理装置、情報提示装置、プログラム、通信システム及び情報提供方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7103A true KR20150127103A (ko) 2015-11-16

Family

ID=515367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25237A KR20150127103A (ko) 2013-03-11 2014-03-10 정보 제공장치, 시공업자 관리장치, 정보 제시장치, 프로그램, 통신 시스템 및 정보 제공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5848276B2 (ko)
KR (1) KR20150127103A (ko)
SG (1) SG11201507392WA (ko)
WO (1) WO2014142077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15730A (ko) * 2016-04-08 2017-10-18 이주성 부동산 정보 처리 장치 및 방법
KR20170115736A (ko) * 2016-04-08 2017-10-18 이주성 부동산 정보 처리 장치 및 방법
KR20170115734A (ko) * 2016-04-08 2017-10-18 이주성 부동산 정보 처리 장치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912454B2 (ja) * 2016-03-09 2021-08-04 日本電気株式会社 情報処理システム及び情報処理方法、クライアント、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CN109450090B (zh) * 2018-11-14 2022-03-15 遵义华正电缆桥架有限公司 一种缺处作业安全保护系统
JP6871893B2 (ja) * 2018-12-06 2021-05-19 ヤフ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JP6871894B2 (ja) * 2018-12-06 2021-05-19 ヤフ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JP7381373B2 (ja) 2019-07-09 2023-11-15 株式会社竹中工務店 管理システム、及び管理プログラム
JP7376284B2 (ja) 2019-08-29 2023-11-08 パナソニックホームズ株式会社 サービス提供システム、及び、サービス提供方法
KR102356330B1 (ko) * 2019-10-04 2022-01-27 주식회사 야크솔루션 Qr코드를 이용한 건설공정 자동관리 시스템
JP2021117576A (ja) * 2020-01-23 2021-08-10 ナインアンドパートナーズ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紹介情報作成方法
JP7354935B2 (ja) * 2020-06-08 2023-10-03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制御装置、システム、及び判定方法
JP2022081319A (ja) * 2020-11-19 2022-05-31 株式会社丸菱製作所 検索システム
WO2024095345A1 (ja) * 2022-10-31 2024-05-10 株式会社Fuji マッチングシステムおよびマッチング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09740A (ja) * 2000-01-24 2001-08-03 Kyokuto Sanki Co Ltd 内外装工事受注・施工システム
JP2001357239A (ja) * 2000-06-15 2001-12-26 Knowledge & Intelligence:Kk 就職斡旋サーバおよび就職斡旋方法
JP2002133003A (ja) * 2000-10-27 2002-05-10 Toto Ltd 業者紹介システム及び方法
JP2003281402A (ja) * 2002-03-22 2003-10-03 Osaka Gas Co Ltd 出力方法、受発注システム、仲介装置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2005266960A (ja) * 2004-03-16 2005-09-29 Chugoku Electric Power Co Inc:The 工事請負会社選定システム
JP4413150B2 (ja) * 2005-01-28 2010-02-10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サービス要素切り替え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08176421A (ja) * 2007-01-16 2008-07-31 Neomars Corporation Inc 工事仲介システム、プログラム及び方法
JP5048359B2 (ja) * 2007-02-22 2012-10-17 ラナベイク株式会社 工事業者選定システム
JP5637347B2 (ja) * 2009-05-29 2014-12-10 健 坪井 顧客紹介支援システム
JP2012059209A (ja) * 2010-09-13 2012-03-22 Gir Co Ltd 住宅完成バックアップ方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15730A (ko) * 2016-04-08 2017-10-18 이주성 부동산 정보 처리 장치 및 방법
KR20170115736A (ko) * 2016-04-08 2017-10-18 이주성 부동산 정보 처리 장치 및 방법
KR20170115734A (ko) * 2016-04-08 2017-10-18 이주성 부동산 정보 처리 장치 및 방법
KR20210098928A (ko) * 2016-04-08 2021-08-11 (주) 아키드로우 부동산 정보 처리 장치 및 방법
KR20210102155A (ko) * 2016-04-08 2021-08-19 (주) 아키드로우 부동산 정보 처리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848276B2 (ja) 2016-01-27
SG11201507392WA (en) 2015-10-29
WO2014142077A1 (ja) 2014-09-18
JP2014174852A (ja) 2014-09-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127103A (ko) 정보 제공장치, 시공업자 관리장치, 정보 제시장치, 프로그램, 통신 시스템 및 정보 제공방법
JP6465012B2 (ja) データフロー制御装置およびデータフロー制御方法
US20150120388A1 (en) Work and quality management system, device and method
US20100257012A1 (en) Lead management system
KR102434732B1 (ko) 제품의 유지보수 관리 시스템
JP5973095B1 (ja) 現場作業員管理システム
KR101979365B1 (ko) 고객 및 정비사 간 중개 기반 차량 정비 서비스 제공 방법
CN105051765A (zh) 承办人定位器、调度、安排以及部件购买服务
KR102180189B1 (ko) 증강현실을 이용한 인테리어 중개서버
KR101335212B1 (ko) Qr코드를 이용한 온라인 세탁물 관리 시스템
CN103250168A (zh) 自动打印机的仪表盘
US20180322598A1 (en) Property management systems and method thereof
TW201712626A (zh) 配送服務系統、配送服務方法、配送服務用伺服器及配送服務用配送者終端
KR20180015670A (ko) 자산 통신 허브
CN108615080A (zh) 一种电力营销服务移动作业客户端
US20130268388A1 (en) At home service quotation platform and method
CN109286652B (zh) 应用销售管理服务器系统以及边缘服务器
CN112308651A (zh) 应用程序销售管理服务器系统、应用程序销售管理系统、管理控制装置和发布控制装置
JP2021163280A (ja) チラシ受発注仲介サーバ、チラシ発注支援サーバ及びチラシ受発注方法
KR20170115219A (ko) 집수리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CN105912647B (zh) 一种移动互联网服务管理系统
WO2018207226A1 (ja) アグリゲータ側システム、プロシューマ側システム、及びアグリゲーションシステム、並びにアグリゲーション方法
JPWO2013038905A1 (ja) 情報管理装置、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情報管理プログラム、および情報管理方法
JP7111654B2 (ja) エンドユーザサイトが起点になるインシデント管理装置、インシデント管理システム及びインシデント管理方法
JP2008176421A (ja) 工事仲介システム、プログラム及び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