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57605B1 -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작업 관리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작업 관리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57605B1
KR100657605B1 KR1020050048767A KR20050048767A KR100657605B1 KR 100657605 B1 KR100657605 B1 KR 100657605B1 KR 1020050048767 A KR1020050048767 A KR 1020050048767A KR 20050048767 A KR20050048767 A KR 20050048767A KR 100657605 B1 KR100657605 B1 KR 1006576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worker
portable terminal
work
jo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487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규식
김덕한
최진호
김성균
김재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Priority to KR10200500487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5760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576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576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effecting co-operative working between equipments covered by two or more of main groups G06K1/00 - G06K15/00, e.g. automatic card files incorporating conveying and reading oper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06K19/06018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one-dimensional coding
    • G06K19/06028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one-dimensional coding using bar cod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arketing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작업 관리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르면, 휴대용 단말기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는 시스템에서 현장 작업을 관리하는 방법으로서, 현장에서 이루어지는 작업 종류에 대한 코드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상기 코드 정보는 상하위 계층으로 구분되는 작업 종류의 식별 정보를 포함함-; 상기 코드 정보를 상기 휴대용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코드 정보를 이용하여 작업자가 입력한 작업 내역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상기 작업 내역 정보는 작업자 식별 정보, 작업 일시 정보 및 작업자가 입력한 작업 종류의 코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함-; 및 상기 수신된 작업 내역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상기 코드 정보에 상응하는 작업 종류를 표시하는 작업 내역 입력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출력하는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작업 관리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현장에서 이루어질 수 있는 작업 종류를 미리 설정된 방식으로 코드화함으로써 휴대용 단말기를 통해 작업 내역을 용이하게 입력할 수 있도록 하고, 통계 처리를 용이하게 하는 장점이 있다.
작업, 내역, 코드, 인터페이스, 분류, 공동 작업자, 바코드

Description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작업 관리 방법 및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WORK USING PORTABLE TERMINAL}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작업 관리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작업 관리 서버의 모듈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작업 내역 제공 모듈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웹 서버의 모듈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작업 내역 등록 과정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작업 내역 수정 과정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웹 서버의 결과 데이터 제공 과정을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작업 종류의 테이블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작업 내역 입력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도시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일일 작업 내역 등록 현황의 예시 화면을 도시한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개인별 일일 작업 관리 예시 화면을 도시한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소속별 일일 작업 통계 예시 화면을 도시한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기간별 일별 작업 통계 예시 화면을 도시한 도면.
도 1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장애 처리 통계 예시 화면을 도시한 도면.
도 1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업무별 작업 통계 예시 화면을 도시한 도면.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작업 관리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현장에 있는 작업자가 수행할 수 있는 다양한 작업 종류들을 코드화하고 이를 통해 작업자가 자신의 작업 내역을 용이하게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작업 관리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과거에, 유통, 물류, 영업 관리 및 장비 점검과 같은 작업 관리는 현장에 파견된 작업자가 메모 형식의 작업 일지를 작성하고, 이를 본사에 보고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졌다.
상기와 같이 작업 일지를 수기로 작성하고 이를 본사에 보고하는 경우, 현장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작업 관리에 대해 본사에서 실시간으로 보고를 받는 것이 불가능하고, 또한, 작업자의 입장에서도 본사로부터 실시간으로 작업 지시를 받거나, 작업 관리에 필요한 정보를 얻는 것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최근에는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와 같은 휴대용 단말기의 빠른 보급과 무선 인터넷 기술의 비약적인 발전을 통해,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하여 현장에 파견된 작업자에게 실시간으로 작업 지시를 내리거나 또는 작업 관리의 결과를 전송 받는 것이 가능해지고 있는 추세이다.
그러나, 종래의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작업 관리는 단순히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하여 본사 서버에 접속해 작업 관리에 필요한 간략한 정보를 조회하거나 작업 관리 결과만을 본사 서버로 전송하는 수준에 불과하였다.
현장에 파견된 작업자가 수행하는 업무는 상당히 다양할 수 있는데, 종래에 는 다양한 작업 종류 중 특히 중요하다고 생각되는 일부 항목에 대해서만 작업자가 처리 결과를 보고하는 형식으로 작업 관리가 이루어졌다.
예를 들어, 이동 통신 사업자 측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작업 관리는 현장에 배치된 기지국 및 중계기에 대한 정기 점검, 부대시설점검, 장애 처리 및 품질 개선과 같이, 다양하게 분류될 수 있는데, 종래에는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하여 어느 작업자가 특정 기지국 또는 중계기 장비에 대한 정기 점검을 했는지 여부에 대한 결과 정보만을 본사 서버로 전송하였고, 그밖에 특정 장비의 어떠한 부품을 교체하였는지 여부, 장애에 대하여 어떠한 처리를 하였는지 여부에 대한 상세 정보는 별도의 작업 일지를 수기로 작성하여 본사에 보고하고, 이를 컴퓨터에 새로이 입력하여 데이터베이스화 하였다.
이와 같이, 종래에는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하여 작업 관리를 한다고 하더라도, 휴대용 단말기가 단순히 특히 중요한 작업에 대한 결과 정보 만을 전송하는 정도로만 활용되었기 때문에 실질적인 작업 환경의 개선이 이루어지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종래에는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하여 장비에 대한 점검 결과만을 전송하였기 때문에 작업자가 장비에 대한 점검 등을 수행하지 않고 정기 점검이 이루어졌다는 결과를 전송하더라도 본사에서는 이를 확인할 방법이 존재하지 않았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현장에서 이루어지는 작업의 상세 내역을 무선으로 전송할 수 있도록 하는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작업 관리 방법 및 시스템을 제안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작업자가 휴대용 단말기를 통해 자신의 작업 내역을 용이하고, 상세하게 입력할 수 있도록 하고, 이를 통해 다양한 작업 내역에 대한 통계 처리가 가능하도록 하는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작업 관리 방법, 시스템 및 이를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작업자가 실제로 특정 장비에 대한 점검을 수행하였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작업 관리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휴대용 단말기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는 시스템에서 현장 작업을 관리하는 방법으로서, 현장에서 이루어지는 작업 종류에 대한 코드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상기 코드 정보는 상하위 계층으로 구분되는 작업 종류의 식별 정보를 포함함-; 상기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작업자 아이디를 수신하고, 상기 작업자 아이디에 포함되는 공동 작업자의 작업 내역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코드 정보 및 상기 공동 작업자의 작업 내역 정보를 상기 휴대용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코드 정보를 이용하여 작업자가 입력한 작업 내역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상기 작업 내역 정보는 작업자 식별 정보, 작업 일시 정보 및 작업자가 입력한 작업 종류의 코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함-; 및 상기 수신된 작업 내역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작업 종류는 상하위 계층으로 이루어진 n개의 분류 항목을 포함하고,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상기 코드 정보에 상응하는 작업 종류를 표시하고 작업 내역을 입력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구비되며, 상위 계층의 분류 항목 선택에 따라 하위 계층의 분류 항목들은 변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작업 관리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작업 관리 시스템으로서, 현장에서 이루어지는 작업 종류에 대한 코드 정보를 저장하고-상기 코드 정보는 상하위 계층으로 이루어진 n개의 분류 항목을 포함하는 작업 종류의 식별 정보를 포함함-, 상기 코드 정보를 상기 휴대용 단말기로 전송하며, 상기 코드 정보를 이용하여 작업자가 입력한 작업 내역 정보를 수신하는 작업 관리 서버-상기 작업 내역 정보는 작업자 식별 정보, 작업 일시 정보 및 작업자가 입력한 작업 종류의 코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함-; 및 상기 작업 종류의 코드 정보 및 상기 작업자가 입력한 작업 내역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되, 상기 작업관리 서버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로 상기 코드 정보를 전송하는 코드 정보 제공 모듈; 상기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작업자 아이디를 포함하는 로그인 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작업자를 인증하는 작업자 인증 모듈; 상기 작업자 아이디에 상응하는 작업 내역 정보 및 공동 작업자의 작업 내역 정보를 상기 휴대용 단말기로 전송하는 작업 내역 제공 모듈; 및 상기 작업자가 입력한 작업 내역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작업 내역 관리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상기 코드 정보에 상응하는 작업 종류를 표시하고 작업 내역을 입력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구비되며, 상위 계층의 분류 항목 선택에 따라 하위 계층의 분류 항목들은 변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작업 관리 시스템이 제공된다.
삭제
삭제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작업 관리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하기에서는 작업 관리 중, 이동 통신 사업자 측에서 이루어지는 기지국 및 중계기 등에 대한 점검 및 장애 처리 등을 중심으로 설명할 것이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유통, 물류, 영업 관리 및 공사 현장 관리와 같은 다양한 분야에서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다는 점을 상기하여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작업 관리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작업 관리 시스템은 작업 관리 서버(114), 데이터베이스(116) 및 웹 서버(118)를 포함할 수 있다.
휴대용 단말기(100)는 작업 관리 서버(114) 및 웹 서버(118)와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할 수 있으며,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100)는 PDA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됨이 없이, 무선 통신이 가능한 어떠한 종류의 단말기라도 본 발명의 휴대용 단말기(100)에 포함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네트워크는 이동통신망(108), 게이트웨이(110) 및 인터넷망(112)을 포함할 할 수 있다.
이동통신망(108)은 기지국(Base Transceiver Station: BTS), 기지국 제어기(Base Station Controller: BSC), 홈위치등록기(Home Location Resister: HLR) 및 교환기(Mobile Switching Center: MSC)를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서, 휴대용 단말기(100)에 통화 기능 제공하고, 휴대용 단말기(100)가 무선으로 인터넷망(112)에 연결될 수 있도록 한다.
게이트웨이(110)는 이동통신망(108)과 인터넷망(112)을 연결하는 관문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예를 들어, WAP(Wireless Application Protocol) 게이트웨이인 경우, WSP와 HTTP 사이의 프로토콜의 변환 및 WML 컨텐츠의 암호화 및 복호화, 접근 제어(Access Control) 및 보안 기능을 수행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네트워크를 통해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100)는 현장 작업에 필요한 어플리케이션 및 그밖에 필요한 정보들을 제공 받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100)는 무선 인터넷 브라우저(102), 작업 어플리케이션(104) 및 바코드 리더 모듈(106)을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브라우저(102)는 작업 관리 서버(114)가 제공하는 무선 페이지를 표시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무선 인터넷 브라우저는 WAP(Wireless Application Protocol) 브라우저, ME(Mobile Explorer) 등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작업자는 현장에서 작업하는 중에 작업 관리 서버(114)에 접속하여 작업에 필요한 정보를 무선 인터넷 브라우저(102)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작업에 필요한 정보는 반드시 작업 관리 서버(114)에서 제공하는 것은 아니며, 본사 등에서 관리하는 그밖에 다른 서버를 통해 제공할 수도 있다는 점은 당업자에게 있어 자명할 것이다.
작업 어플리케이션(104)은 작업자가 작업 내역의 등록, 수정, 삭제 및 조회 등을 할 수 있도록 휴대용 단말기(100)에 설치된 프로그램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현장에서 이루어질 수 있는 모든 작업 종류를 상하위 계층으로 세분화하여 이를 코드화하고, 작업 종류의 코드 정보를 휴대용 단말기(100)에 전송하는데,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작업 종류의 테이블 구조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베이스(116)에 저장된 작업 종류 테이블에서 작업 종류는 업무 분류(800), 대분류(802), 중분류(804) 및 소분류(806)로 구분되고, 이들 각각에 대해 코드 정보(즉, 식별 정보)가 부여된다.
업무 분류(800)는 작업 종류 분류의 최상위 계층에 해당하는 것으로서, 기지 국 업무 및 중계기 업무 등으로 나뉘어질 수 있으며, 각각에 대해 A 및 B라는 코드가 부여될 수 있다.
대분류(802)는 업무 분류(800)의 하위 계층으로서, 예를 들어, 업무 분류(800)가 기지국 업무인 경우, 정기 점검 및 부대시설 점검 등으로 구분될 수 있으며, 대분류(802)에 부여되는 코드는 A01, A02와 같이, 상위 계층이 있는 업무 분류(800)의 코드를 포함하게 된다.
중분류(804)는 대분류(802)에 속하는 항목들을 더욱 세분화한 것으로서, 대분류(802)가 정기 점검인 경우, 보드교체 및 송신단 점검이 정기 점검이라는 대분류(802)에 속하는 중분류(804)에 해당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코드는 A0101, A0102와 같이, 대분류(802)에 부여되는 코드인 A01을 포함하게 된다.
특정 중분류의 하위 계층에 해당하는 소분류에 대해서도 중분류의 코드를 포함하는 코드가 부여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소분류 또는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으나, 소분류의 하위 계층에 해당하는 상세 분류에는 예를 들어, 정기 점검 또는 부대시설 점검의 경우, 작업자가 취한 조치, 교체한 부품의 세부 명칭 및 교체 부품의 제조사와 같은 정보들이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코드화한 다양한 작업 종류의 코드 정보를 휴대용 단말기(100)에 제공하는데, 휴대용 단말기(100)에 설치된 작업 어플리케이션(104)은 작업 종류의 코드 정보를 수신하여, 코드 정보에 상응하는 작업 종류를 표시하는 작업 내역 입력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출력한다.
본 명세서에서, 작업 내역은 상하위 계층의 작업 종류를 포함하여 작업자가 수행한 작업이 무엇인지 알 수 있는 형태로 완성된 정보를 의미하나, 반드시 상하위 계층의 작업 종류를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한정되지는 않는다.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작업 내역 입력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인터페이스에는 작업자, 작업자가 속한 센터, 작업 시작 시간, 종료 시간, 업무 분류, 대분류, 중분류, 소분류, 상세 분류 및 장비명과 개별 항목을 선택 입력할 수 있는 영역이 존재한다.
각 개별 항목의 입력 영역에는 드랍다운(Dropdown) 버튼(900)이 구비될 수 있는데, 작업자가 특정 항목에 대한 드랍다운 버튼을 선택하는 경우, 본 발명에 따른 작업 어플리케이션(104)은 작업 관리 서버(114)로부터 전송된 코드 정보에 상응하는 작업 종류의 명칭을 드랍다운 메뉴화면(902)에 표시함으로써 작업자가 이들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각 개별 항목에 대한 드랍다운 메뉴화면에는 작업자가 선택한 상위 계층이 따라 다른 명칭을 표시하게 된다.
예를 들어, 업무 분류가 기지국 업무로 선택된 경우, 대분류 입력란(904)의 드랍다운 메뉴화면에는 기지국 업무에 속하는 대분류 명칭만이 표시되며, 중분류에 대해서도 선택된 대분류에 속하는 중분류 명칭만이 표시된다.
즉, 작업자가 선택한 업무 분류 코드가 A(기지국 업무)인 경우, 대분류의 드랍다운 메뉴화면에는 전체 대분류 항목 중 코드 정보 A를 포함하는 대분류 항목의 명칭들이 표시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100)를 이용하여 작업자는 자신이 수행하고 있는 작업 또는 수행 완료한 작업에 대해 상위 계층부터 하위 계층까지 순차적으로 입력하면서, 상세한 작업 내역을 작성할 수 있게 된다.
이후, 작업자가 각 개별 항목에 대해 작업 종류를 선택하고, 이를 작업 관리 서버(114)에 전송하는 경우, 작업자가 선택한 개별 항목의 코드 정보가 작업 관리 서버(114)로 전송되며, 작업 관리 서버(114)는 코드 정보를 통해 작업 내역을 관리하기 때문에 통계 정보를 용이하게 산출할 수 있다.
한편, 현장에 설치된 기지국 장비 또는 중계기 장비에는 각 장비를 식별할 수 있도록 하는 바코드가 부착될 수 있는데,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100)에 설치된 바코드 리더 모듈(106)은 각 장비에 부착된 바코드 정보를 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현장 작업자는 특정 장비에 대한 관리 시, 상기와 같은 바코드 정보를 작업 관리 서버(114)로 전송하는데, 이를 통해 본사에서는 현장 작업자가 실제 장비가 있는 구역에 방문했는지를 파악할 수 있게 된다.
작업 어플리케이션(104)은 상기와 같이, 인터페이스 출력 이외에 특정 작업자의 작업 내역 리스트를 관리하는 기능도 수행한다.
여기서, 작업 내역 리스트는 일별 또는 특정 기간별로 특정 작업자에게 할당된 하나 이상의 업무 정보를 포함할 수 있는데, 작업자가 수행하는 작업에 따라 작업 어플리케이션(104)은 작업 내역 리스트를 갱신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작업 관리 서버(114)는 휴대용 단말기(100)가 작업 관리 서버(114)에 접속하고자 하는 경우, 작업자를 인증하는 과정을 수행하고, 작업자가 작성하는 작업 내역을 관리 저장하며, 휴대용 단말기(100)에 작업 종류 항목의 명칭이 표시될 수 있도록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작업 종류의 코드 정보를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작업 관리 서버(114)는 휴대용 단말기(100)로 현재 특정 작업을 수행하고자 하는 작업자의 작업 내역 정보 및 다른 공동 작업자의 작업 내역 정보를 전송한다.
작업 내역 정보는 작업자가 수행하여야 할 전체 업무와 현재까지 수행한 업무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작업자는 자신이 수행하여야 할 업무를 확인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현장 작업 관리는 하나 이상의 작업자가 동일한 구역에서 교대로 장비 관리 등의 업무를 수행할 수 있는데, 종래에는 다른 공동 작업자의 업무를 확인하기 위해, 따로 전화를 해보거나, 다른 공동 작업자의 작업 일지를 미리 확인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으며, 이에 따라 특정 장비에 대한 중복 관리가 이루어질 수도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르면, 작업 관리 서버(114)가 공동 작업자 작업 내역 정보를 작업자에게 제공함으로써 특정 장비의 중복 관리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공동 작업자도 상기와 같은 코드 정보 및 인터페이스를 통해 자신의 작업 내역을 등록할 수 있기 때문에, 추후에 작업자가 작업 관리 서버 (114)에 접속한 경우, 작업 관리 서버(114)는 접속한 작업자의 공동 작업자 정보를 추출하고, 공동 작업자의 작업 내역 정보를 전송함으로써 장비의 중복 관리를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작업 관리 서버(114)는 작업자가 전송하는 작업 내용을 가공하여 데이터베이스(116)에 저장하며, 특정 작업자별, 팀/센터별, 일별, 기간별 작업 내역 및 작업 종류별로 작업 내역 정보를 통계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본 명세서에서, 팀/센터는 현장 작업자가 속해있는 그룹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팀이 상위 개념, 센터가 하위 개념일 수 있으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이며, 그밖에 다른 그룹의 명칭이 사용될 수 있다는 점은 당업자에게 있어 자명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웹 서버(118)는 작업자가 현장에서 입력한 작업 내역을 조회하고, 보고서를 생성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웹 서버(118)는 관리자 또는 작업자로부터 작업 내역의 조회 조건을 수신하고, 수신한 조회 조건에 대한 데이터를 작업 관리 서버(114)에 요청하며, 작업 관리 서버(114)가 조회 조건에 대해 데이터베이스(116)로부터 추출한 결과 데이터를 수신하고, 이를 관리자 등에게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작업 관리 서버(114)는 추출된 결과 데이터를 소정 기준에 따라 통계 처리 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통계 처리된 결과 데이터를 웹 서버(118)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상기에서는 장비 점검과 같은 작업적인 부분에 대해서만 코드화하고, 작업자가 휴대용 단말기(100)를 통해 작업 종류를 선택 입력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에 따른 작업 종류는 장비의 점검, 장애 처리와 같은 작업적인 부분뿐만 아니라, 이동, 식사, 교육 및 회의와 같은 비작업적인 부분까지 포함하는 개념으로서, 휴대용 단말기(100)는 이와 같은 비작업적인 부분을 선택 입력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도 출력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현장에서 이루어질 수 있는 작업 내역을 작업자가 상세하게 입력하는 것이 가능하며, 본사 입장에서는 각지에 있는 작업자에 의해 행해지는 작업 내역을 상세하게 확인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작업 관리 서버의 모듈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작업 관리 서버는 코드 정보 제공 모듈(200), 작업자 인증 모듈(202), 작업 내역 제공 모듈(204), 작업 내역 관리 모듈(206) 및 통계 처리 모듈(208)을 포함할 수 있다.
코드 정보 제공 모듈(200)은 작업 종류에 부여되는 코드 정보를 휴대용 단말기(100)로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작업 종류의 코드 정보는 상위 계층 및 하위 계층의 분류 항목으로 구분된 작업 종류를 식별할 수 있도록 하는 정보를 의미한다.
이와 같은 코드 정보를 통해 휴대용 단말기(100)의 작업 어플리케이션(104)은 작업 내역 입력을 위한 인터페이스에 코드 정보에 상응하는 작업 종류의 명칭이 표시될 수 있도록 한다.
작업자 인증 모듈(202)은 작업자 아이디 및 패스워드를 이용하여 접속한 작업자가 인증된 작업자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과정을 수행한다.
작업 내역 제공 모듈(204)은 작업자의 요청이 있는 경우, 또는 작업자가 작업 관리 서버(114)에 접속한 경우, 자동적으로 특정 장비에 대한 작업 내역 및 접속한 작업자의 작업 내역을 제공한다.
도 3은 작업 내역 제공 모듈의 상세한 구성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작업 내역 제공 모듈(204)은 장비 작업 내역 제공 모듈(300), 작업자 작업 내역 제공 모듈(302) 및 통계 정보 제공 모듈(304)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기지국 또는 중계기와 같은 장비에는 장비 식별을 위한 바코드가 부착될 수 있는데, 휴대용 단말기(100)는 바코드 리더 모듈(106)을 이용하여 바코드 정보를 읽고, 이를 작업 관리 서버(114)로 전송한다.
작업 관리 서버(114)의 장비 내역 제공 모듈(300)은 휴대용 단말기(100)로부터 바코드 정보를 수신하여 데이터베이스(116)로부터 바코드에 상응하는 장비에 대한 작업 내역 정보를 추출한 후, 이를 휴대용 단말기(100)로 전송한다.
이를 통해, 작업자는 자신이 점검하고자 하는 장비의 이전 점검 내역 등을 확인할 수 있으며, 또한 작업 관리 서버(114)에는 바코드 정보 수신 결과가 저장될 수 있으므로 팀/센터의 관리자는 작업자가 실제로 장비의 점검을 하였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작업자 작업 내역 제공 모듈(302)은 현재 작업 관리 서버(100)에 접속 한 작업자 아이디에 상응하는 작업 내역 정보를 데이터베이스(116)로부터 추출하여 휴대용 단말기(100)로 전송하며, 나아가, 다른 공동 작업자에 대한 작업 내역 정보도 함께 추출하여 전송하는 과정을 수행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공동 작업자의 작업 내역 리스트를 함께 전송함으로써 동일한 작업이 중복되어 수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작업 내역 제공 모듈(204)은 작업자에게 소정의 통계 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는데, 통계 정보 제공 모듈(304)은 특정 작업자에 대한 작업 내역 통계, 팀/센터별 작업 내역 통계 및 특정 장비에 대한 작업 통계 및 장애 처리 통계 정보 등을 휴대용 단말기(100)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작업 내역 관리 모듈(206)은 작업자가 도 9에 도시된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한 작업 내역을 수신하여 데이터베이스(116)에 저장하는 과정을 수행하고, 작업자가 입력하는 조회 조건에 따라 특정한 작업 내역을 데이터베이스(116)로부터 조회하며, 작업자의 작업 내역의 수정, 삭제 요청이 있는 경우, 수정 및 삭제된 내용으로 데이터베이스(116)를 갱신하는 과정을 수행한다.
통계 처리 모듈(208)은 복수의 작업자로부터 수신한 작업 내역을 소정 기준에 따라 통계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작업자는 작업 내역을 상세하게 분류한 코드 정보를 이용하여 자신이 수행한 작업 내역을 입력할 수 있고, 작업 관리 서버(114)는 작업자의 휴대용 단말기(100)로부터 작업자, 센터, 작업 일자, 장비명 및 작업 내역의 상세 정보(업무 분류, 대분류, 중분류 등)에 대한 코드 정보를 수신하기 때문에 작업자 별, 작업 일자별, 장비별 및 작업 종류별 통계 처리를 수행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상기와 같은 통계 처리는 웹 서버(118)로부터 쿼리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에 이루어질 수 있는데 이에 대해서는 하기에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웹 서버의 모듈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웹 서버(118)는 팀/센터 관리자 또는 현장 작업자에게 작업 내역에 관한 통계 정보를 제공하거나, 현장 작업자가 자신의 작업 내역에 관한 보고서를 생성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 팀/센터 관리자 또는 현장 작업자는 통계 정보 수신 및 보고서 생성을 위해, 데스크탑 PC 및 노트북을 이용하여 웹 서버(118)에 접속할 수 있을 것이나,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웹 서버(118)는 관리 현황 확인 또는 통계 정보 확인을 위해, 팀/센터 관리자 및 현장 작업자와 같은 사용자가 접속한 경우, 조회 조건 입력을 위한 페이지를 제공하며, 웹 서버(118)의 조회 조건 수신 모듈(400)은 사용자가 입력한 조회 조건을 수신한다.
이때, 조회 조건은, 작업자, 날짜, 팀/센터, 장비 및 특정 작업 종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조회 조건을 수신한 경우, 웹 서버의 쿼리(query) 정보 전송 모듈(402)은 작업 관리 서버(114)로 쿼리 정보를 전송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휴대용 단말기(100)를 이용하여 각 현장에서 작업자가 입력한 작업 내역은 1차적으로 작업 관리 서버(114)와 연결된 데이터베이스(116)에 저장되어 있으므로, 작업 관리 서버(114)는 수신된 쿼리 정보에 따라 조회 조건을 만족하는 결과 데이터를 추출하는 과정을 수행하며, 추출된 결과 데이터를 웹 서버(118)로 전송하는데, 웹 서버의 결과 데이터 전송 모듈(404)은 작업 관리 서버(114)로부터 결과 데이터를 수신하여 이를 사용자에게 전송하게 된다.
이때, 작업 관리 서버(114)는 추출된 결과 데이터를 소정 기준에 따라 통계 처리하는 과정을 수행할 수 있으며, 통계 처리된 결과 데이터를 웹 서버(118)로 전송한다.
하기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은 과정으로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결과 데이터의 예시 화면에 대해 설명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일일 작업 내역 등록 현황의 예시 화면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 10은 팀 관리자가 현장 작업 내역을 일목요연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고, 자신의 팀 업무 현황과 다른 팀/센터 업무 현황과 비교할 수 있도록 하는 예시 화면이다.
도 10의 상단에는 관리자가 조회 조건을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인터페이스가 도시되어 있으며, 하단에는 관리자가 선택한 기간 및 팀에 대한 검색 결과가 표시된다.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개인별 일일 작업 관리 예시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팀/센터 관리자 등이 센터에 소속된 작업자의 작업 내역을 확인하는 예시 화면으로서, 도 11의 상단에 기간 및 작업자를 선택하여 검색을 요청하면 웹 서버(118)는 작업 관리 서버(114)로부터 조회 조건에 따른 결과 데이터를 수신하여 도 11의 하단과 같이, 작업자의 상세한 작업 내역을 표시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작업 관리 서버(114)는 작업자의 휴대용 단말기(100)로부터 작업자, 소속 팀/센터, 작업 일자에 관한 정보 및 상세하게 구분된 작업 종류를 포함하는 작업 내역 정보를 수신하기 때문에, 본 발명에 따른 웹 서버(118)는 상기와 같이, 개인별 작업 통계 정보 뿐만 아니라, 도 12 내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속별 또는 일별 및 기간별 통계 정보를 상기한 작업 관리 서버(114)로부터 제공 받아 관리자 등에게 제공할 수 있다.
현장 작업에서 특정 장비에 장애가 있는지 여부, 장애가 어떻게 처리되었는지 여부 및 장애가 발생한 장비의 제조사가 중요할 수 있는데, 본 발명에 따른 작업 관리 서버(114)는 코드 정보를 통해 작업자가 작성한 작업 내역 중 대분류 항목에 장애 처리가 포함된 데이터를 추출하게 되며, 웹 서버(118)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리자가 장애 처리 통계 인터페이스 화면에서 선택한 기간, 팀 및 센터에 대한 장애 처리 통계 데이터를 관리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그밖에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업무(작업 종류)별 작업 통계 데이터도 제공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작업 관리 방법은 작업 내역을 상세하게 구분한 코드 정보를 이용하여 각 현장에서 휴대용 단말기(100)를 통해 수집된 작업 내역을 저장하기 때문에 어떠한 형태로도 통계 처리된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작업 내역 등록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작업자의 휴대용 단말기(100)는 작업 관리 서버(114)로 작업자의 아이디 및 패스워드를 포함하는 로그인 요청 정보를 전송하며(S500), 작업 관리 서버(114)는 로그인 요청에 대한 응답 정보를 전송한다(S502).
작업자가 작업 내역 입력을 위해, 일일 작업 메뉴를 선택하는 경우(S504), 휴대용 단말기(100)는 작업 관리 서버(114)로 작업 내역에 관한 코드 정보의 전송을 요청하며(S506), 작업 관리 서버(114)는 코드 정보를 추출하여 휴대용 단말기(100)로 전송한다(S508).
상기한 바와 같이, 휴대용 단말기(100)로 전송되는 작업 내역에 관한 코드 정보는 현장에서 이루어질 수 있는 다양한 작업 내역에 관한 식별 정보일 수 있으며, 휴대용 단말기(100)는 이와 같은 코드 정보를 이용하여 작업 내역의 입력을 위한 인터페이스에 코드에 상응하는 명칭이 표시될 수 있도록 한다.
이후, 휴대용 단말기(100)는 작업자 소속 센터의 검색을 요청하며(S510), 작업 관리 서버(114)는 작업자의 검색 요청을 수신하여 작업자의 로그인 아이디가 속하는 소속 센터의 리스트를 추출하는 과정을 수행한다(S512).
추출된 소속 센터 리스트는 휴대용 단말기(100)로 전송되고(S514), 작업자는 소속 센터 리스트를 확인하여 자신이 속한 센터를 선택하며, 휴대용 단말기(100)는 작업자가 선택한 센터 정보를 작업 관리 서버(114)로 전송한다(S516).
상기 단계(S510 내지 S516)는 일반적으로 작업자 로그인 아이디가 여러 센터 에 소속되어 있는 경우에 수행되는 것으로서, 만일, 작업자 한명이 하나의 센터에만 소속되어 있는 경우에는 상기한 단계는 수행되지 않을 수도 있을 것이다.
작업자가 자신의 전체 작업 내역을 확인하고자 하는 경우, 작업자의 요청에 따라 또는 작업 관리 서버(114)로의 접속 시, 휴대용 단말기(100)는 작업 관리 서버(114)로 작업자의 작업 내역 검색을 요청하며(S518), 작업 관리 서버(114)는 작업자의 작업 내역 리스트를 데이터베이스에서 추출하여 휴대용 단말기(100)로 전송한다(S520).
휴대용 단말기(100)로 전송되는 작업자의 작업 내역 리스트는 작업자의 일일 할당 업무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정 기간별 할당 업무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특정 작업 구역에 2명 이상의 작업자가 배정될 수 있는데, 본 발명에 따르면, 중복 작업을 방지할 수 있도록 휴대용 단말기(100)는 작업 관리 서버(114)로 공동 작업자 검색을 요청하며(S522), 작업 관리 서버(114)는 공동 작업자 리스트를 추출하여 휴대용 단말기(100)로 전송한다(S524).
작업자는 전송된 공동 작업자 리스트에서 자신의 공동 작업자를 선택할 수 있으며(S526), 공동 작업자의 선택이 있는 경우, 휴대용 단말기(100)는 작업 관리 서버(114)에 선택된 공동 작업자의 작업 내역 전송을 요청하며(S528), 작업 관리 서버(114)는 선택된 공동 작업자의 작업 내역 리스트를 추출하여 휴대용 단말기(100)로 전송한다(S530).
한편, 작업자가 공동 작업자의 작업 내역을 요청함이 없이, 작업자가 작업 관리 서버(114)에 접속한 경우, 작업 관리 서버(114)가 작업자의 로그인 아이디를 통해 로그인 아이디에 포함되는 공동 작업자를 추출하고, 추출된 공동 작업자의 작업 내역 리스트를 휴대용 단말기(100)로 전송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작업자는 공동 작업자의 작업 리스트를 확인하여 작업 내역의 중복 여부를 체크하며(S532),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은 인터페이스를 통해 작업 시간, 업무 분류, 대분류, 소분류 항목을 선택하거나 직접 입력하는 방법으로 작업 내역을 입력한다(S534).
휴대용 단말기(100)의 작업 어플리케이션(104)은 작업자가 작업 내역의 입력을 완료한 경우, 입력한 작업 내역을 작업 내역 리스트에 저장하며(S536), 작업 내역 리스트를 작업 관리 서버(114)로 전송한다(S538).
이에 응답하여 작업 관리 서버(114)는 작업 내역의 등록 결과를 전송하며(S540), 휴대용 단말기(100)는 등록 결과를 표시함으로써 작업자가 그 결과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S542).
상기에서는 복수의 작업 내역을 포함하는 작업 내역 리스트를 작업 관리 서버(114)로 전송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됨이 없이 하나의 작업 내역에 대한 전송이 이루어질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작업 내역 수정 과정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 6을 참조하면, 우선, 작업자가 일일 작업 관리 메뉴를 선택하고(S600), 작업 일자 및 작업자를 선택하는 경우(S602), 휴대용 단말기(100)는 선택된 작업 일자 및 작업자에 해당하는 작업 내역 리스트를 작업 관리 서버(114) 로 요청한다(S604).
작업 관리 서버(114)는 해당 작업 내역 리스트를 추출하여 휴대용 단말기(100)로 전송한다(S606).
작업 관리 서버(114)에서 전송한 작업 내역 리스트에는 특정 일자에 특정 작업자가 수행한 하나 이상의 작업 내역이 포함될 수 있는데, 작업자는 이중 수정이 필요한 작업 내역을 선택할 수 있으며(S608), 작업 내역을 수정하는 과정을 수행한다(S610).
이때, 작업 내역의 수정은 작업자, 작업 일자, 업무 분류, 대분류 등의 수정 등에 해당할 수 있으며, 도 9에 도시된 것과 유사한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작업자가 수정을 완료한 경우, 휴대용 단말기(100)는 작업 관리 서버(114)로 작업 내역의 수정을 요청하며(S614), 작업 관리 서버(114)는 수정된 작업 내역으로 데이터베이스를 갱신한 후에 수정 결과를 휴대용 단말기(100)로 전송한다(S616).
이때, 휴대용 단말기(100)는 수정 결과를 표시함으로써 작업자가 작업 내역이 올바르게 수정되었는지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단계(S606)에서 작업 관리 서버(114)로부터 전송된 작업 내역 리스트 중 작업자가 삭제할 작업 내역을 선택하는 경우(S618), 휴대용 단말기(100)는 작업자가 선택한 작업 내역의 삭제를 작업 관리 서버(114)에 요청하며(S620), 작업 관리 서버(114)는 데이터베이스(116)에서 삭제 요청된 데이터를 삭제하고, 삭제 결과를 휴대용 단말기(100)로 전송한다(S622).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웹 서버의 결과 데이터 제공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팀/센터의 관리자 등은 각 현장에서 입력된 작업 내역의 통계 정보 등을 확인할 수 있는데, 우선 관리자 등은 조회하고자 하는 조건, 즉, 작업일자, 작업자, 팀/센터, 장애 처리 및 특정 작업 종류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 입력한다(S700).
관리자 클라이언트는 상기한 조회 조건을 포함하는 검색 요청 정보를 웹 서버(118)로 전송하며(S702), 웹 서버(118)는 검색 요청 정보를 수신하여 작업 관리 서버(114)로 쿼리 정보를 전송한다(S704).
작업 관리 서버(114)는 쿼리 정보를 통해 현재, 데이터베이스(116)에 저장되어 있는 작업 내역들로부터 쿼리 정보에 상응하는 데이터를 추출하며(S706), 추출된 결과 데이터를 웹 서버(118)로 전송한다(S708).
웹 서버(118)는 작업 관리 서버(114)로부터 전송된 결과 데이터를 관리자 클라이언트로 전송하며(S710), 관리자 클라이언트는 결과 정보를 소정 화면에 표시하고(S712), 표시된 결과 정보를 보고서 양식으로 변환한다(S714).
전술한 바와 같이, 관리자 등이 검색 요청한 작업자별, 팀/센터별, 일별, 장애 처리별 및 업무별 결과는 도 10 내지 도 15에서 같이 표시될 수 있다.
상기에서는 이동 통신 사업자 측에서 기지국 및 중계기 관리 업무 또는 장애 처리 업무를 수행하는 것을 중심으로 기술하였으나, 이에 한정됨이 없이 다양한 작업 내역을 코드화하고, 이를 통해 현장에 있는 작업자가 휴대용 단말기를 통해 자 신의 작업 내역을 용이하게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라면, 유통, 물류, 영업 관리 및 공사 현장 관리 어디에도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해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현장에서 이루어질 수 있는 모든 작업 종류를 코드화하고, 이를 휴대용 단말기에 전송함으로써 작업자의 작업 내역 입력이 용이해지고, 작업 내역을 상세하게 입력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현장 작업자로부터 수신한 작업 내역이 작업 종류에 관한 코드 정보를 포함하고 있으므로 작업 내역의 통계 처리가 용이해지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현장에 설치된 장비에 부착된 바코드 정보를 전송하도록 함으로써 장비에 대한 실제 관리가 이루어졌는지 확인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따르면, 개인별, 일별 및 조직별 통계 정보를 용이하게 수집할 수 있어 ROI(Return On Investment)를 용이하게 산출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장애 처리에 관한 통계를 통해 문제가 자주 발생하는 제조사를 파악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Claims (15)

  1. 휴대용 단말기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는 시스템에서 현장 작업을 관리하는 방법으로서,
    현장에서 이루어지는 작업 종류에 대한 코드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상기 코드 정보는 상하위 계층으로 구분되는 작업 종류의 식별 정보를 포함함-;
    상기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작업자 아이디를 수신하고, 상기 작업자 아이디에 포함되는 공동 작업자의 작업 내역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코드 정보 및 상기 공동 작업자의 작업 내역 정보를 상기 휴대용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코드 정보를 이용하여 작업자가 입력한 작업 내역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상기 작업 내역 정보는 작업자 식별 정보, 작업 일시 정보 및 작업자가 입력한 작업 종류의 코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함-; 및
    상기 수신된 작업 내역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작업 종류는 상하위 계층으로 이루어진 n개의 분류 항목을 포함하고,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상기 코드 정보에 상응하는 작업 종류를 표시하고 작업 내역을 입력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구비되며, 상위 계층의 분류 항목 선택에 따라 하위 계층의 분류 항목들은 변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작업 관리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현장에 설치된 장비의 바코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바코드 정보에 상응하는 장비의 작업 내역 정보를 상기 휴대용 단말기 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작업 관리 방법.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상기 작업자 아이디에 포함되는 공동 작업자 검색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작업자 아이디에 포함되는 공동 작업자 리스트를 추출하여 상기 휴대용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공동 작업자 선택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공동 작업자의 작업 내역 정보를 상기 휴대용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작업 관리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자 아이디가 속하는 센터 리스트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추출된 센터 리스트를 상기 휴대용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상기 센터 리스트 중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터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작업 관리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는 드랍다운 방식으로 각 계층들의 분류 항목들이 표시되도록 하는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작업 관리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은 관리자 클라이언트에 연결되는 웹 서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웹 서버로부터 상기 관리자 클라이언트가 조회 요청한 작업 내역의 쿼리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쿼리 정보에 상응하는 결과 데이터를 추출하여 통계 처리하는 단계; 및
    상기 통계 처리된 결과 데이터를 상기 웹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작업 관리 방법.
  8.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작업 관리 시스템으로서,
    현장에서 이루어지는 작업 종류에 대한 코드 정보를 저장하고-상기 코드 정보는 상하위 계층으로 이루어진 n개의 분류 항목을 포함하는 작업 종류의 식별 정보를 포함함-, 상기 코드 정보를 상기 휴대용 단말기로 전송하며, 상기 코드 정보를 이용하여 작업자가 입력한 작업 내역 정보를 수신하는 작업 관리 서버-상기 작업 내역 정보는 작업자 식별 정보, 작업 일시 정보 및 작업자가 입력한 작업 종류의 코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함-; 및
    상기 작업 종류의 코드 정보 및 상기 작업자가 입력한 작업 내역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되,
    상기 작업관리 서버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로 상기 코드 정보를 전송하는 코드 정보 제공 모듈; 상기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작업자 아이디를 포함하는 로그인 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작업자를 인증하는 작업자 인증 모듈; 상기 작업자 아이디에 상응하는 작업 내역 정보 및 공동 작업자의 작업 내역 정보를 상기 휴대용 단말기로 전송하는 작업 내역 제공 모듈; 및 상기 작업자가 입력한 작업 내역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작업 내역 관리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상기 코드 정보에 상응하는 작업 종류를 표시하고 작업 내역을 입력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구비되며, 상위 계층의 분류 항목 선택에 따라 하위 계층의 분류 항목들은 변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작업 관리 시스템.
  9. 삭제
  10. 제8항에 있어서,
    관리자 클라이언트에 연결되는 웹 서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웹 서버로부터 상기 관리자 클라이언트가 요청한 작업 내역의 쿼리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쿼리 정보에 상응하는 결과 데이터를 추출하여 통계 처리하는 통계 처리 모듈을 더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작업 관리 시스템.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현장에 설치된 장비의 바코드를 읽는 바코드 리더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작업 내역 제공 모듈은,
    상기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바코드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바코드 정보에 상응하는 장비의 작업 내역 정보를 전송하는 장비 작업 내역 제공 모듈을 더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작업 관리 시스템.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는 드랍다운 방식으로 각 계층들의 분류 항목들이 표시되도록 하는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작업 관리 시스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KR1020050048767A 2005-06-08 2005-06-08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작업 관리 방법 및 시스템 KR1006576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8767A KR100657605B1 (ko) 2005-06-08 2005-06-08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작업 관리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8767A KR100657605B1 (ko) 2005-06-08 2005-06-08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작업 관리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57605B1 true KR100657605B1 (ko) 2006-12-20

Family

ID=378146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48767A KR100657605B1 (ko) 2005-06-08 2005-06-08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작업 관리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5760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41227A1 (ko) * 2016-02-18 2017-08-24 주식회사 로맥스인싸이트코리아 신재생 에너지 설비의 진단결과 분석방법 및 그 장치
KR101874098B1 (ko) * 2016-02-18 2018-07-03 주식회사 로맥스인싸이트코리아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신재생 에너지 설비의 진단관리방법 및 그 시스템
KR20190084147A (ko) * 2017-12-19 2019-07-16 한국전력공사 빅데이터 기반의 배전설비 고장 예측 장치 및 그 방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41227A1 (ko) * 2016-02-18 2017-08-24 주식회사 로맥스인싸이트코리아 신재생 에너지 설비의 진단결과 분석방법 및 그 장치
KR20170097462A (ko) * 2016-02-18 2017-08-28 주식회사 로맥스인싸이트코리아 신재생 에너지 설비의 진단결과 분석방법 및 그 장치
KR101874098B1 (ko) * 2016-02-18 2018-07-03 주식회사 로맥스인싸이트코리아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신재생 에너지 설비의 진단관리방법 및 그 시스템
KR101895274B1 (ko) * 2016-02-18 2018-10-18 주식회사 로맥스인싸이트코리아 신재생 에너지 설비의 진단결과 분석방법 및 그 장치
KR20190084147A (ko) * 2017-12-19 2019-07-16 한국전력공사 빅데이터 기반의 배전설비 고장 예측 장치 및 그 방법
KR102020365B1 (ko) * 2017-12-19 2019-09-11 한국전력공사 빅데이터 기반의 배전설비 고장 예측 장치 및 그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15464B2 (en)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tooling activities
US7620621B2 (en) Methods and system for providing context sensitive information
US7852222B2 (en) Method and system of asset identification and tracking for enterprise asset management
CN102947819B (zh) 信息追踪系统和方法
US2003008853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work management for facility maintenance
US20070145113A1 (en) Barcode based time and location tracking method and system
US20080249791A1 (en) System and Method to Document and Communicate On-Site Activity
MX2015000675A (es) Sistema, aparato y metodo para orientacion y segumiento.
KR20200028817A (ko) Gps 정보를 이용한 근태 관리 플랫폼 제공 시스템
US20050273381A1 (en)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employee productivity, attendance and safety
JP2020135098A (ja) 施工管理システムおよび施工管理方法
JP2018036927A (ja) 遺言書管理システム、遺言書管理装置、遺言書管理方法
KR100657605B1 (ko)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작업 관리 방법 및 시스템
Fleisch et al. Business perspectives on ubiquitous computing
JP2005092342A (ja) 勤怠情報管理システム、携帯端末、および勤怠情報管理センタ
Su Effective mobile assets management system using RFID and ERP technology
KR100815432B1 (ko) 사업 재난 관리 시스템,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실행시키기위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매체
JP4944060B2 (ja) グループウェアサーバ装置、グループウェアサーバプログラム及びグループウェアサーバ装置の動作方法
CN104408568A (zh) 用于业主项目部的任务信息处理方法和装置
WO2003098511A1 (fr) Systeme et procede d'amelioration de l'autonomie dans un processus commercial
US20040049414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haring information related to a continuous process improvement project
JP4449256B2 (ja) 作業情報管理方法および作業情報管理システム
KR20210150678A (ko) 관리자를 위한 네트워크 기반 인력 관리 시스템
CN113807797A (zh) 融入bim与智能算法的地下工程施工管理与监控系统
US20240020655A1 (en) Method and system for tracking asse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6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