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95274B1 - 신재생 에너지 설비의 진단결과 분석방법 및 그 장치 - Google Patents

신재생 에너지 설비의 진단결과 분석방법 및 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95274B1
KR101895274B1 KR1020160019251A KR20160019251A KR101895274B1 KR 101895274 B1 KR101895274 B1 KR 101895274B1 KR 1020160019251 A KR1020160019251 A KR 1020160019251A KR 20160019251 A KR20160019251 A KR 20160019251A KR 101895274 B1 KR101895274 B1 KR 1018952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item
failure
renewable energy
insp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192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97462A (ko
Inventor
신원
김영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로맥스인싸이트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로맥스인싸이트코리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로맥스인싸이트코리아
Priority to KR10201600192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5274B1/ko
Priority to GBGB1610941.5A priority patent/GB201610941D0/en
Priority to GB1610944.9A priority patent/GB2550223A/en
Priority to PCT/IB2017/050964 priority patent/WO2017141227A1/ko
Publication of KR201700974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974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52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52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3/00Testing or monitoring of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 G05B23/02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 G05B23/0205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by means of a monitoring system capable of detecting and responding to faults
    • G05B23/0259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by means of a monitoring system capable of detecting and responding to faults characterized by the response to fault detection
    • G05B23/0267Fault communication, e.g. human machine interface [HMI]
    • G05B23/0272Presentation of monitored results, e.g. selection of status reports to be displayed; Filtering information to the user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3/00Testing or monitoring of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 G05B23/02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 G06F17/21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3Workflow analysi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7Strategic management or analysis, e.g. setting a goal or target of an organisation; Planning actions based on goals; Analysis or evaluation of effectiveness of go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3Workflow collaboration or project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20Administration of product repair or maintenanc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20/00Combustion technologies with mitigation potential
    • Y02E20/34Indirect CO2mitigation, i.e. by acting on non CO2directly related matters of the process, e.g. pre-heating or heat recover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90/00Enabling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contribution to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P90/80Management or planning
    • Y02P90/82Energy audits or management systems theref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10/00Systems supporting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4S10/50Systems or methods supporting the power network operation or management, involving a certain degree of interaction with the load-side end user applic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10/00Systems supporting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4S10/50Systems or methods supporting the power network operation or management, involving a certain degree of interaction with the load-side end user applications
    • Y04S10/52Outage or fault management, e.g. fault detection or location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rket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신재생 에너지 설비의 진단결과 분석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신재생 에너지 설비의 진단결과 분석장치는, 신재생 에너지 설비에 대한 기술정보가 저장된 데이터베이스와; 상기 기술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신재생 에너지 설비에 대한 설정된 작업범위에 해당하는 점검항목정보가 포함된 작업계획서를 생성하는 작업계획서생성모듈과; 송수신모듈을 통하여 상기 작업계획서를 해당 작업자의 모바일 단말기로 전송하고,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점검결과정보 및 고장항목에 대한 보수결과정보를 상기 작업계획서에 대응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제어모듈과; 상기 점검결과정보 및 보수결과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신재생 에너지 설비에 대한 점검보고서를 생성하는 보고서생성모듈과; 동일기종의 상기 신재생 에너지 설비에 대한 복수의 상기 점검보고서에 포함된 상기 보수결과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고장항목을 분석한 고장분석정보와, 고장 내용에 대한 이슈정보를 추출하는 분석모듈;을 포함하여,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고장분석정보에 기초하여 생성한 상기 고장항목에 대한 진단내용 변경정보와 상기 이슈정보를 동일기종의 상기 신재생 에너지 설비의 상기 각 작업계획서에 반영하여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현장에서 발견되는 수천 개의 이슈사항을 균일화함으로써 우선순위별, 설비별, 고장모드별 등으로 검색 및 분석이 가능하여 각종 유지보수정보의 통합적인 관리가 가능하다. 또한, 작업자가 진단시 해당 고장항목에 대하여 세부내용을 선택하여 입력할 수 있으므로, 작업자가 고장항목을 입력할 때 입력이 매우 용이함과 동시에, 작업자마다 입력시 서로 달라지는 표현을 균일화함으로써 데이터의 일관성을 유지하고, 고장 모드별 원인과 조치사항의 통계적 분석이 가능하여, 분석데이터의 가치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신재생 에너지 설비의 진단결과 분석방법 및 그 장치{ANALYTICAL METHOD FOR DIAGNOSYS RESULTS OF RENEWABLE ENERGY FACILITY AND THE APPARATUS THEREOF}
본 발명은 신재생 에너지 설비의 진단결과 분석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현장에서 발견되는 수천 개의 이슈사항을 균일화함으로써 우선순위별, 설비별, 고장모드별 등으로 검색 및 분석이 가능하여 각종 유지보수정보의 통합적인 관리가 가능한 신재생 에너지 설비의 진단결과 분석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에너지 고갈 및 환경 오염 등을 대비하기 위하여, 세계적으로 풍력 발전기나 태양광 발전기와 같은 친환경적인 신재생 에너지를 이용하는 발전 설비 설치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며, 이와 더불어 이들 신재생 에너지 설비의 안정성 및 신뢰성을 담보하기 위하여 지속적인 유지 보수 및 점검이 요구되고 있다.
통상적으로 신재생 에너지 설비의 관리는 작업자가 현장에 접근하여 진단 및 유지보수 작업을 수행하는 데, 작업의 수행 전후로 점검 항목과 상세 내용을 수기로 작성하고, 작업의 과정 사진을 휴대폰 등을 통해 찍어 저장한 후에 사무실로 돌아와서 보고서에 다시 옮겨 작성한다.
그런데, 진단작업시 작업계획서가 제공되고는 있으나, 작업자의 숙련도에 따라 각 점검항목에 대한 기재정도가 다르기 때문에 일정 수준 이상의 진단 수준을 유지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실수로 점검항목을 누락하는 경우나 진단결과를 기재한 경우라도 점검기준에 따라 진단을 하지 못한 경우에는 작업자가 다시 현장을 방문해야하기 때문에 진단작업의 효율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
한편, 특정 설비에 대한 진단시 고장으로 판단하는 경우, 고장의 세부원인이나 심각도 그리고 대응방법은 현장에 있는 작업자의 수준에 절대적으로 의존할 수 밖에 없어 유지보수에 따른 신뢰성을 담보하는 것이 불가능하고, 각 작업자의 숙련도에 따라 고장원인 및 조치사항이 서로 상이하여 균일한 수준의 유지보수를 수행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나아가, 각 고장모드에 대하여 보고한 내용 및 이슈는 각 작업자마다 표현이 서로 상이하여 이를 취합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을 뿐 아니라, 이러한 수천개의 이슈사항을 검색 및 분석하여 통합적인 유지보수관리체계를 구현하는 것이 불가능하여 점검효율을 향상시키는 것에 한계가 있었다.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044264호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현장에서 발견되는 수천 개의 이슈사항을 균일화함으로써 우선순위별, 설비별, 고장모드별 등으로 검색 및 분석이 가능하여 각종 유지보수정보의 통합적인 관리가 가능한 신재생 에너지 설비의 진단결과 분석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점검항목별로 고장원인 및 대응방법으로 분석된 결과가 카테고리화되어 작업계획서에 추가되어 제공되므로, 현장에서 작업자의 숙련도와 무관하게 최적의 유지보수를 수행할 수 있으며, 작업의 정확도가 향상되고 작업시간을 절감할 수 있는 신재생 에너지 설비의 진단결과 분석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설비별 고장모드에 관한 원인과 대처방안에 대한 노하우가 축적됨으로써 새로운 발전설비에의 적용에 따른 관리진입장벽을 낮출 수 있어 최소의 시간으로 최적의 관리수준에 도달할 수 있는 신재생 에너지 설비의 진단결과 분석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신재생 에너지 설비에 대한 기술정보가 저장된 데이터베이스와; 상기 기술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신재생 에너지 설비에 대한 설정된 작업범위에 해당하는 점검항목정보가 포함된 작업계획서를 생성하는 작업계획서생성모듈과; 송수신모듈을 통하여 상기 작업계획서를 해당 작업자의 모바일 단말기로 전송하고,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점검결과정보 및 고장항목에 대한 보수결과정보를 상기 작업계획서에 대응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제어모듈과; 상기 점검결과정보 및 보수결과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신재생 에너지 설비에 대한 점검보고서를 생성하는 보고서생성모듈과; 동일기종의 상기 신재생 에너지 설비에 대한 복수의 상기 점검보고서에 포함된 상기 보수결과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고장항목을 분석한 고장분석정보와, 고장 내용에 대한 이슈정보를 추출하는 분석모듈;을 포함하여,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고장분석정보에 기초하여 생성한 상기 고장항목에 대한 진단내용 변경정보와 상기 이슈정보를 동일기종의 상기 신재생 에너지 설비의 상기 각 작업계획서에 반영하여 저장하는 신재생 에너지 설비의 진단결과 분석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보수결과정보는 상기 고장항목에 대한 세부원인정보, 심각도정보, 작업자 코멘트정보 및 대응방법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분석모듈은, 다수의 상기 각 보수결과정보에 포함된 고장항목 리스트, 세부원인, 고장발생빈도, 심각도 수준 및 대응방법의 종류를 포함하는 상기 고장분석정보를 생성하는 고장모드분석부와, 상기 고장항목별로 상기 작업자의 코멘트 정보의 분류 및 이에 대한 작업계획자의 코멘트를 포함하는 상기 이슈정보를 생성하는 이슈생성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장모드분석부는 상기 고장항목 별로, 상기 세부원인, 심각도 수준 및 세부원인별 대응방법을 분류하여 테이블화하여 작업자가 진단시 해당 고장항목에 대하여 세부내용을 선택하여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보수가이드정보를 추가로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보수가이드정보를 상기 작업계획서의 해당 점검항목에 추가하여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이슈생성부는, 상기 고장항목과 관련하여 추가적으로 점검이 필요한 점검항목을 추출하고, 상기 고장항목에 대한 작업계획자의 추가 이슈를 입력받아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진단내용 변경정보는, 상기 고장항목에 대한 점검항목 필수여부, 점검 우선순위 또는 점검주기 변경 중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점검우선순위는 상기 고장항목에 대한 빈도와 심각도를 기준으로 선정될 수 있다.
상기 기술정보는 상기 신재생 에너지 설비의 설비정보, 유지보수방법 및 보수이력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설비정보는 상기 신재생 에너지 설비의 기종정보, 설치회사정보, 발전단지정보 및 제조자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점검항목정보는 상기 신재생 에너지 설비의 점검항목리스트, 점검관련 매뉴얼, 고장시 심각도 평가방법, 점검 기준값정보, 점검 기준색정보, 점검방법정보, 필수 점검여부, 점검 우선순위 또는 점검주기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목적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신재생 에너지 설비에 대한 기술정보에 기초하여 설정된 작업범위에 해당하는 점검항목정보가 포함된 작업계획서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작업계획서를 해당 작업자의 모바일 단말기로 전송하고,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점검결과정보 및 고장항목에 대한 보수결과정보를 상기 작업계획서에 대응하여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점검결과정보 및 보수결과정보에 기초하여 점검보고서를 생성하는 단계와; 동일기종의 상기 신재생 에너지 설비에 대한 복수의 점검보고서에 포함된 상기 보수결과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고장항목을 분석한 고장분석정보와, 고장 내용에 대한 이슈정보를 추출하는 단계와; 상기 고장분석정보에 기초하여 생성한 상기 고장항목에 대한 진단내용 변경정보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진단내용 변경정보를 상기 작업계획서에 반영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신재생 에너지 설비의 진단결과 분석방법에 의해서도 달성된다.
상기 진단내용 변경정보와 상기 이슈정보를 동일기종의 상기 신재생 에너지 설비의 상기 각 작업계획서에 반영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장분석정보를 추출하는 단계는, 상기 다수의 각 보수결과정보에 포함된 고장항목별로, 상기 각 고장항목에 대하여 입력된 세부원인 및 고장발생빈도, 심각도수준 및 대응방법의 종류를 항목화하여 분류하고 카운트하는 단계와; 상기 각 항목별로 작업자가 선택하여 입력이 가능하도록 테이블화하여 보수가이드정보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보수가이드정보를 상기 작업계획서의 해당 점검항목에 추가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슈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고장항목과 관련하여 추가적으로 점검이 필요한 점검항목을 추출하는 단계와; 상기 고장항목에 대한 작업계획자의 추가 이슈를 입력받아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신재생 에너지 설비의 진단결과 분석방법 및 그 장치에 따르면, 현장에서 발견되는 수천 개의 이슈사항을 균일화함으로써 우선순위별, 설비별, 고장모드별 등으로 검색 및 분석이 가능하여 각종 유지보수정보의 통합적인 관리가 가능하다.
또한, 작업자가 진단시 해당 고장항목에 대하여 세부내용을 선택하여 입력할 수 있으므로, 작업자가 고장항목을 입력할 때 입력이 매우 용이함과 동시에, 작업자마다 입력시 서로 달라지는 표현을 균일화함으로써 데이터의 일관성을 유지하고, 고장 모드별 원인과 조치사항의 통계적 분석이 가능하여, 분석데이터의 가치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특정 점검항목에 대하여 고장여부를 판단하는 방법과, 고장상태에서의 가능한 세부원인 리스트를 제공함으로써 세부원인에 대한 판단이 용이하게 하고, 각 세부원인에 대하여 수행되었던 유지보수방법(대응방법)을 제공함으로써 작업자의 숙련도와 상관없이 적절한 유지보수가 수행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신재생 에너지 설비의 진단결과 분석장치의 구성도,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에 구현된 화면,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점검보고서의 화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슈정보의 일 화면,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신재생 에너지 설비의 진단결과 분석방법의 흐름도,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신재생 에너지 설비의 진단결과 분석방법의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설명에 앞서, 본 명세서에서, 신재생 에너지 설비(100)는 구체적으로 풍력 발전기 또는 태양광 발전기와 같이 신재생 에너지를 이용한 발전 설비를 예로 들어 지칭하는 것이나, 본 발명의 적용이 신재생 에너지 분야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진단의 대상이 되는 다양한 분야 및 종류의 전기설비에 제한 없이 적용될 수 있음을 명확히 밝혀둔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신재생 에너지 설비의 진단결과 분석장치(10)는, 데이터베이스(11)와, 송수신모듈(12)과, 제어모듈(13)과, 작업계획서생성모듈(14)과, 보고서생성모듈(15)과, 분석모듈(16)을 포함한다.
이하, 구성별로 설명한다.
데이터베이스(11)는 신재생 에너지 설비(100)에 대한 기술정보를 포함하여 후술할 다양한 정보가 저장된다.
먼저, 데이터베이스(11)에 저장되는 정보를 개괄적으로 설명하면, 크게 신재생 에너지 설비(100)의 세부사항 및 실제 발전단지의 세부속성을 정의하는 부분(예를 들어, 상기 기술정보), 점검 프로젝트 별 작업의 범위 및 속성을 부여하는 부분(후술할 작업계획서), 그리고 점검과 작업의 결과를 보고서로 표현하는 부분(후술할 점검보고서, 고장분석정보, 이슈정보 및 진단내용 변경정보)으로 구성된다.
상기 기술정보를 바탕으로 생성된 상기 작업계획서는 상기 점검보고서 등에 의해 분석되고 분석된 내용은 다시 상기 기술정보 및 작업계획서에 업데이트 되어 데이터베이스(11)에 저장된다.
상기의 내용을 순서대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기술정보는 신재생 에너지 설비(100)의 설비정보, 유지보수방법 및 보수이력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설비정보는 신재생 에너지 설비(100)의 기종정보, 설치회사정보, 발전단지정보 및 제조사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각 신재생 에너지 설비(100)는 특정 위치에 설치되어 독립적으로 구동되는 하나의 발전설비로서 다른 발전설비와 구분되는 고유의 식별정보가 부여될 수 있다. 즉, 발전회사는 여러 개의 발전단지를 가질 수 있고, 각 발전단지마다 여러 개의 발전설비를 가질 수 있으므로, 상기 식별정보로 대표되는 상기 설비정보에는 발전회사 및 발전단지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종정보에는 신재생 에너지 설비(100)의 모델명, GPS 위치, 설치일자, 세부 구성과, 사용중인 기어박스의 제조사와 분류, 작업 담당자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지보수방법은 상기 기종정보에서 분류되는 각 점검항목에 대하여 점검의 방법, 예상되는 고장의 종류와 이에 대응하는 방법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보수이력은 해당 신재생 에너지 설비(100)에 대한 과거의 보수이력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며, 후술할 점검결과정보의 내용이 제어모듈(13)에 의해 업데이트될 수 있다.
송수신모듈(12)은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하여 작업자가 소지한 모바일 단말기(30)와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모바일 단말기(30)는 각 신재생 에너지 설비(100)를 진단하는 작업자가 소유한 단말기로서,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킹을 통하여 신재생 에너지 설비의 진단결과분석장치(10)에 접속가능하게 마련된다.
모바일 단말기(30)는 스마트폰, 태블릿 PC, 노트북 등 공지된 다양한 종류의 단말기게 제한없이 사용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진단을 위한 전용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스마트폰으로 마련될 수 있다.
모바일 단말기(3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미지생성모듈(31)과, 송수신모듈(33), 입출력모듈(35) 및 보고서생성모듈(37)을 포함할 수 있다. 각 구성은 이하 해당 항목에서 설명한다.
작업계획서생성모듈(14)은 상기 기술정보에 기초하여 신재생 에너지 설비(100)에 대한 설정된 작업범위에 해당하는 점검항목정보가 포함된 작업계획서를 생성한다.
진단 프로젝트의 작업범위는 발전단지를 운영함에 있어서, 다양한 조합의 작업이 다수의 발전기에 동일하게 시행되므로, 작업의 범위에 따라 같은 점검항목을 포함하는 작업계획서를 다수 생성할 수 있다.
즉, 매번 동일한 점검항목리스트를 가지고 점검을 수행할 수도 있으나, 발전설비를 점검하는 목적에 따라서 세부적인 점검항목이 변경될 수 있으며, 같은 점검항목에 있어서도 후술하는 고장항목의 발생 및 점검결과에 따라 필수 항목여부 또는 우선순위나 점검주기의 변동이 발생하므로 이를 반영하는 설정된 작업범위에 따라 상기 작업계획서가 생성되는 것이다.
상기 작업계획서는 다양한 내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상기 설비정보 및 점검항목정보와 작업자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점검항목정보는 신재생 에너지 설비(100)의 점검항목리스트, 점검관련 매뉴얼, 고장시 심각도 평가방법, 점검 기준값정보, 점검 기준색정보, 점검방법정보, 필수 점검여부, 점검 우선순위 또는 점검주기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작업계획서는 신재생 에너지 설비(100)의 기종에 따라서 서로 달라질 수 있으며, 동일한 기종의 것이라도 진단을 수행하는 목적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렇게 생성된 상기 작업계획서는 제어모듈(13)이 송수신모듈(12)을 통하여 해당 작업자의 모바일 단말기(30)로 전송한다.
여기서, 제어모듈(13)은 상기 작업계획서를 해당 작업자의 모바일 단말기(30)로 푸시하여 전송할 수도 있으나, 모바일 단말기(30)에서 신재생 에너지 설비의 진단결과분석장치(10)로 접속을 시도하여 접속이 허여된 경우에 상기 작업계획서를 전송할 수도 있다.
후자의 경우, 신재생 에너지 설비의 진단결과분석장치(10)는 보안인증모듈을 더 포함하여 접속을 시도하는 모바일 단말기(30)의 접속 허여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나아가, 모바일 단말기(30)는 작업자가 현장에서 진단작업을 위해 진단결과분석장치(10)에 접속할 때마다 수신받을 수도 있으나, 모바일 단말기(30) 내에 이미 상기 작업계획서가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후자의 경우, 신재생 에너지 설비(100)가 설치된 장소에서 유무선 네트워킹이 불가능한 경우라도 작업자가 상기 작업정보를 확인하고 진단관리를 수행할 수 있다. 이후 유무선 네트워킹이 가능한 지역에서 상기 작업계획서와 수행된 점검결과정보가 진단결과분석장치(10)와 동기화된다. 이 때, 동기화 시점의 기준시각은 진단결과분석장치(10)의 것을 기준으로 할 수 있다. 한편, 다수의 모바일 단말기(30)가 진단결과분석장치(10)를 통하여 데이터베이스(20)에 접근할 때에는, 읽기로 접근하는 경우에는 다중 접속을 허용하나 쓰기로 접근하는 경우에는 순서를 부여하여 업데이트가 순차적으로 진행되도록 할 수 있다.
제어모듈(13)은 작업자가 상기 작업계획서에 따라 진단작업을 수행한 결과인 점검결과정보와 보수결과정보를 상기 작업계획서에 대응하여 데이터베이스(11)에 저장한다.
이를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 및 도 3은, 모바일 단말기(30)에서 입출력모듈(35)을 통해 표시된 화면을 나타낸 것이다.
점검항목은 상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재생 에너지 설비(100)의 구조에 따라 카테고리화하여 제공되며, 예를 들어, 상위 항목인 "Assembly"와 이에 속하는 하위 항목인 "Component"로 구성될 수 있다.
도 2의 가장 왼쪽에는 후술할 점검보고서 작성 후에 생성된 통계제공을 위한 특수 탭이 제공되며(도 2a), 그 이후로는 "Assembly"의 리스트가 탭 스트립(Tap strip)으로 표시되고 각 탭(Assembly)의 내용으로서 "Component"의 리스트가 위치한다(도 2b). 각 "Component"에 만약 이미 사진과 평가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사진의 썸네일 리스트와 최상위 심각도(도 2c의 오른쪽 숫자)를 함께 나타낼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특정 "Component"가 반드시 수행해야 하는 필수 점검항목인 경우에는 도 2d와 같이 화면에 강조 표시와 함께 점검결과정보가 입력되지 않으면 점검보고서를 생성할 수 없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필수 점검항목의 표시 여부는 작업자로 하여금 진단 대상에 대한 필요 최소한의 진단작업이 수행될 수 있도록 보장하는 동시에, 진단에 필요한 시간이 부족한 경우 작업자의 재량에 따라 필수 점검항목만을 빠르게 찾아 점검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모바일 단말기(30)에서 각 "Component"의 세부 화면으로 이동하면, 특정 점검항목에 대한 점검방법 상세설명, 사진 추가 버튼, "Component"별 심각도 및 코멘트가 구성된다(도 3a 및 3b). 이미지생성모듈(31)을 통해 사진을 여러 장 연속적으로 추가할 수 있으며, 모바일 단말기(30)에 내장된 카메라를 이용하되 해상도의 조절, 플래시 모드의 조절, 사진 촬영후의 크기, 자르기 및 색보정 처리를 위해 외부 카메라앱을 이용하지 않고 직접 시스템 API를 통해 카메라를 제어하여 통합할 수 있다.
이미지생성모듈(31)은 작업자가 직접 촬영한 사진 영역과 그 외의 사진 데이터를 분리하여 관리하며(사진의 출처관리), 진단결과분석장치(10)에 업로드가 필요한 사진들은 모바일 단말기(30)가 현재 속해있는 네트워크가 Wifi일 경우에만 업로드가 진행되도록 할 수 있으며, 업로드가 실패하는 경우 개별 사진별로 재시도를 진행할 수 있다.
사진 촬영 후에는 해당 점검항목이 고장항목으로 판단된 경우, 고장모드로 전환하여 사진의 심각도를 평가하고, 세부원인 및 대응방법과 작업자의 코멘트를 입력한 보수결과정보를 생성한다(도 3c 및 3d). 이 경우, 진단결과분석장치(10)에서 제공된 보수가이드정보를 기본으로 편집 또는 추가 입력할 수 있다.
입출력모듈(35)은 진단관리서버(10)로부터 수신된 상기 작업계획서의 조회 및 상기 점검결과정보의 입력을 수행한다. 입출력모듈(35)을 통한 상기 점검결과정보 및 보수결과정보는 송수신모듈(33)을 통해 진단결과분석장치(10)와 동기화되며, 이후 다른 모바일 단말기(30)나 진단관리서버로 전파될 수 있다.
이미지생성모듈(31)은 상기 작업계획서의 특정 점검항목에서 사진을 입력해야 하는 경우에 사진 촬영을 위해 마련된다.
한편, 모바일 단말기(30)는, 완료된 상기 점검결과정보에 따라 작업자의 점검결과보고서를 생성하는 보고서생성모듈(37)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수결과정보는 상기 고장항목에 대한 세부원인정보, 심각도정보, 작업자 코멘트정보 및 대응방법정보를 포함한다.
즉, 상기 보수결과정보는 특정 점검항목이 고장항목으로 판단된 경우, 고장의 상태(구체적으로, 녹(Rust)인지, 스크래치인지, 마모인지, 부식인지 여부), 고장의 세부원인(습기, 간섭 등), 심각도의 정도(1,2,3,4등급)와, 상기 내용 외에 작업자가 추가하는 코멘트와, 해당 고장내용에 대하여 수행한 유지보수내용 등을 포함한다.
보고서생성모듈(15)은 상기 점검결과정보 및 보수결과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신재생 에너지 설비(100)에 대한 점검보고서를 생성한다.
보고서생성모듈(15)은 상기 작업계획서에서 지정된 탬플릿과, 모바일 단말기(30)로부터 수신된 상기 점검결과정보 및 상기 보수결과정보를 인풋으로 받아 웹브라우저와 프린터에 상호 호환되는 문서를 생성하는 기능이다.
상기 점검보고서는 특정 신재생 에너지 설비(100)에 대하여 특정 작업범위를 갖는 상기 작업계획서에 의해 수행된 상기 점검결과정보와, 점검시 전송된 사진 그리고 상기 점검결과정보에 대한 평가부분을 포함한다.
상기 점검보고서는, 예를 들어, 특정 점검항목의 "Component" 하위에 사진이 여러개 추가될 수 있으며, 사진 별로 점검평가를 여러개 추가할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점검평가는 특정 고장항목에 대한 심각도, 고장모드, 가능한 세부원인 및 후속필요 조치사항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보고서생성모듈(15)은 예를 들어, 문서구조 생성부, 테이터베이스 쿼리 실행부, 사진 메모리관리부, 보고서 편집부, 목차 생성부, PDF 문서 생성부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문서 구조와 쿼리는 템플릿에 포함되며 쿼리 결과가 문서의 태그를 치환하는 방식으로 문서구조가 확장될 수 있다. 사진 메모리 관리부는 브라우저에서 수천 개의 사진을 동시에 로드할 경우 메모리 부족현상으로 비정상적으로 종료되는 현상을 방지하고, 문서 자체의 로딩 시간을 줄이기 위해 화면에 보이거나 보이는 영역 가까이에 있는 사진들만 데이터베이스(11)에서 내려받아 로컬에 저장해서 보여줄 수 있다. 또한, 보고서 편집부를 통하여, 상기 점검결과정보 또는 보수결과정보에서 입력했던 모든 항목(심각도, 사진, 코멘트 등)에 대해 해당 부분을 수정할 수 있으며, 수정사항은 데이터베이스(11)에 반영된다.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화면의 오른쪽에는 현재 편집중인 위치를 알 수 있도록 목차가 자동으로 확장될 수 있다.
상기 점검보고서에서 사진(이미지)은 가장 기본적인 단위 데이터로 취급될 수 있으며, 사진과 점검평가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컬러코드(노란색 또는 파란색)를 포함하여 표현될 수 있다.
상기 보고서 편집부를 통하여 상기 점검보고서를 편집할 때에는 별도의 사진 업로드부가 존재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브라우저에서 새로운 사진이나 외부 사진을 손쉽게 보고서에 추가하여 작업자의 모바일 단말기(30)에서 생성되지 않은 사진 데이터를 통합할 수 있다.
상기 PDF 문서 생성부는, 웹 화면을 PDF로 변환하는 프로그램과 PDF 출력을 관리하는 데이터베이스 테이블, 그리고 출력모드에서 문서 구조를 출력용으로 전환하는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PDF 생성요청이 발생하면 웹 브라우저를 통해 문서를 보는 것과 같은 효과를 가지며, 보고서생성모듈(15)에서 해당 보고서를 시점별로 스냅샷을 남기는 기능을 한다. 상기 점검보고서는 검토와 승인 완료 후 제출모드로 변경하면 더 이상의 수정이 불가능하게 할 수 있다.
분석모듈(16)은 동일기종의 상기 신재생 에너지 설비(100)에 대한 복수의 상기 점검보고서에 포함된 상기 보수결과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고장항목을 분석한 고장분석정보와, 고장 내용에 대한 이슈정보를 추출한다.
분석모듈(16)은 고장모드분석부(161)와 이슈생성부(163)를 포함할 수 있다.
고장모드분석부(161)는 다수의 상기 각 보수결과정보에 포함된 고장항목리스트, 세부원인, 고장발생빈도, 심각도 수준 및 대응방법의 종류를 포함하는 상기 고장분석정보를 생성한다.
고장모드분석부(161)는 동일 기종별, 점검항목("Component")별로 고장모드와 그에 대응되는 세부원인, 그리고 조치사항의 분포를 분석하는 것으로, 상기 점검보고서 작성시 점검평가의 각 세부 입력부분에 따라 분포리스트를 제공하고 자동완성기능을 제공한다.
즉, 상기 분포리스트와 자동완성기능은 개별 작업자가 리포트를 작성할 때 사용하는 조금씩 다른 개개인들의 표현을 균일화하여 데이터의 일관성을 유지하고, 고장모드별 원인과 조치사항의 데이터베이스를 점차 더 크게 구축할 수 있도록 하며, 고장의 주요 분포를 파악해 현장에서의 점검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고장분석정보는 도 2a와 같이 각 점검항목별 고장모드의 통계적 수치와 분포를 포함할 수 있으며, 도 3의 C 및 D와 같이 그 증상이나 원인을 카테고리화하여 테이블로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분석의 대상이 되는 상기 점검보고서는, 상기 고장항목이 발생한 기종과 동일한 기종의 모든 점검보고서를 포함할 수 있다.
고장모드분석부(161)는 상기 고장항목별로, 상기 세부원인, 심각도 수준 및 세부 원인별 대응방법을 분류하여 테이블화하여 보수가이드정보를 추가로 생성할 수 있다.
상기 보수가이드정보는 고장모드분석부(161)에서 분석한 결과와 현재까지 축적된 유지보수정보를 이용하여, 작업자가 현장에서 고장모드를 진단하였을 때 이를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특정 점검항목에 대하여 고장여부를 판단하는 방법과, 고장상태에서의 가능한 세부원인 리스트를 제공함으로써 세부원인에 대한 판단이 용이하게 하고, 각 세부원인에 대하여 수행되었던 유지보수방법(대응방법)을 제공함으로써 작업자의 숙련도와 상관없이 적절한 유지보수가 수행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나아가, 상기 보수가이드정보에 따라 추가로 입력된 보수결과정보는 다시 상기 점검보고서를 통해 취합되고 분석모듈(16)을 통하여 분석되어 다시 보수가이드정보로 상기 작업계획서에 반영되는 절차가 반복된다.
제어모듈(13)은 상기 보수가이드정보를 상기 작업계획서의 해당 점검항목에 추가하여 저장한다.
이슈생성부(163)는 상기 고장항목별로 상기 작업자의 코멘트 정보의 분류 및 이에 대한 작업계획자의 코멘트를 포함하는 상기 이슈정보를 생성한다.
이슈생성부(163)는 상기 점검보고서 단위 내에서 추가적으로 주의를 요하는 이슈에 대하여 별도의 자동 요약 테이블을 제공하는 기능과, 작업범위에서 프로젝트별로 이슈의 요약 테이블을 제공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슈생성부(163)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점검항목별로 색깔에 의하여 점검주의 여부를 표시할 수 있으며, 앞선 진단시에 고장항목으로 판단된 점검항목에 대하여는 고장모드의 내용을 요약하여 제공할 수 있고, 이와 관련하여 작업계획자의 코멘트를 추가 입력받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장항목과 관련하여 추가적으로 점검이 필요한 관련 점검항목을 추출할 수 있으며, 이를 도 상기 고장항목에 대한 작업계획자의 추가 이슈를 입력받아 저장할 수 있다.
추가로 이슈생성부(163)는 동일한 점검항목별로 다른 발전기와의 사진 비교검색이 가능한 사진을 제공하는 기능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제어모듈(13)은 후술할 분석모듈(16)에서 생성된 상기 고장분석정보에 기초하여 생성한 상기 고장항목에 대한 진단내용 변경정보와 상기 이슈정보를 동일기종의 신재생 에너지 설비(100)의 각 작업계획서에 반영하여 저장한다.
상기 진단내용 변경정보는 상기 고장항목에 대한 점검항목 필수여부, 점검 우선순위 또는 점검주기 변경 중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제어모듈(13)은 해당 고장항목의 발생 빈도 또는 심각도에 따라 상기 점검항목의 점검 우선순위를 상향조정하고, 해당 점검항목을 필수 점검항목으로 변경하며, 점검 주기를 단축시켜 점검의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점검 우선순위는 상기 고장항목에 대한 빈도와 심각도를 기준으로 선정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상기 진단결과분석은 동일 기종의 발전설비 뿐만 아니라 서로 다른 이종기종에 대한 점검결과를 통합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신재생 에너지 설비의 진단결과 분석장치에 따르면, 현장에서 발견되는 수천 개의 이슈사항을 균일화함으로써 우선순위별, 설비별, 고장모드별 등으로 검색 및 분석이 가능하여 각종 유지보수정보의 통합적인 관리가 가능하다.
나아가, 점검항목별로 고장원인 및 대응방법으로 분석된 결과가 카테고리화되어 작업계획서에 추가되어 제공되므로, 현장에서 작업자의 숙련도와 무관하게 최적의 유지보수를 수행할 수 있으며, 작업의 정확도가 향상되고 작업시간이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설비별 고장모드에 관한 원인과 대처방안에 대한 노하우가 축적됨으로써 새로운 발전설비에의 적용에 따른 관리진입장벽을 낮출 수 있어 최소의 시간으로 최적의 관리수준에 도달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신재생 에너지 설비의 진단결과 분석방법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신재생 에너지 설비(100)에 대한 기술정보에 기초하여 설정된 작업범위에 해당하는 점검항목정보가 포함된 작업계획서를 생성한다(S11).
상기 작업계획서를 해당 작업자의 모바일 단말기(30)로 전송하고, 모바일 단말기(30)로부터 수신된 점검결과정보 및 고장항목에 대한 보수결과정보를 상기 작업계획서에 대응하여 저장한다(S12).
상기 점검결과정보 및 보수결과정보에 기초하여 점검보고서를 생성한다(S13).
동일 기종의 신재생 에너지 설비(100)에 대한 복수의 점검보고서에 포함된 상기 보수결과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고장항목을 분석한 고장분석정보와, 고장 내용에 대한 이슈정보를 추출한다(S14).
상기 고장분석정보에 기초하여 생성한 상기 고장항목에 대한 진단내용 변경정보를 생성한다(S15). 이후, 상기 진단내용 변경정보를 상기 작업계획서에 반영하여 저장한다(S16).
여기서, 상기 진단내용 변경정보와 상기 이슈정보를 동일기종의 신재생 에너지 설비(100)의 각 작업계획서에 반영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고장분석정보를 추출하는 단계는, 상기 다수의 각 보수결과정보에 포함된 고장항목별로, 상기 각 고장항목에 대하여 입력된 세부원인 및 고장발생빈도, 심각도 수준 및 대응방법의 종류를 항목화하여 분류하고 카운트하는 단계(S141)와, 상기 각 항목별로 작업자가 선택하여 입력이 가능하도록 테이블화하여 보수가이드정보를 생성하는 단계(S142)와, 상기 보수가이드정보를 상기 작업계획서의 해당 점검항목에 추가하여 저장하는 단계(S14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슈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고장항목과 관련하여 추가적으로 점검이 필요한 점검항목을 추출하는 단계와, 상기 고장항목에 대한 작업계획자의 추가 이슈를 입력받아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10 : 신재생 에너지 설비의 진단결과 분석장치.
11 : 데이터베이스 12 : 송수신모듈
13 : 제어모듈 14 : 작업계획서생성모듈
15 : 보고서생성모듈 16 : 분석모듈
161 : 고장모드분석부 163 : 이슈생성부
30 : 모바일 단말기
31 : 이미지생성모듈 33 : 송수신모듈
35 : 입출력모듈 37 : 보고서생성모듈

Claims (12)

  1. 신재생 에너지 설비에 대한 기술정보가 저장된 데이터베이스와;
    상기 기술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신재생 에너지 설비에 대한 설정된 작업범위에 해당하는 점검항목정보가 포함된 작업계획서를 생성하는 작업계획서생성모듈과;
    송수신모듈을 통하여 상기 작업계획서를 해당 작업자의 모바일 단말기로 전송하고,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점검결과정보 및 고장항목에 대한 보수결과정보를 상기 작업계획서에 대응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제어모듈과;
    상기 점검결과정보 및 보수결과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신재생 에너지 설비에 대한 점검보고서를 생성하는 보고서생성모듈과;
    동일기종의 상기 신재생 에너지 설비에 대한 복수의 상기 점검보고서에 포함된 상기 보수결과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고장항목을 분석한 고장분석정보와, 고장 내용에 대한 이슈정보를 추출하는 분석모듈;을 포함하여,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고장분석정보에 기초하여 생성한 상기 고장항목에 대한 진단내용 변경정보와 상기 이슈정보를 동일기종의 상기 신재생 에너지 설비의 상기 각 작업계획서에 반영하여 저장하며,
    상기 분석모듈은, 다수의 상기 각 보수결과정보에 포함된 고장항목 리스트, 세부원인, 고장발생빈도, 심각도 수준 및 대응방법의 종류를 포함하는 상기 고장분석정보를 생성하는 고장모드분석부와, 상기 고장항목별로 상기 작업자의 코멘트 정보의 분류 및 이에 대한 작업계획자의 코멘트를 포함하는 상기 이슈정보를 생성하는 이슈생성부를 포함하고,
    상기 이슈생성부는 상기 점검보고서 단위 내에서 상기 이슈정보에 대하여 추가로 생성된 자동 요약 테이블을 제공하거나, 상기 고장항목과 관련된 상기 점검항목별로 색깔을 달리하여 점검주의 여부를 표시하거나, 진단시 고장항목으로 판단된 상기 점검항목에 대하여 고장모드의 내용을 요약하여 제공하거나, 또는 상기 고장항목과 관련하여 추가적으로 점검이 필요한 설정된 점검항목을 추출하는 것 중 어느 하나 또는 2 이상을 수행하되,
    상기 진단내용 변경정보는, 상기 고장항목에 대한 점검항목 필수여부, 점검 우선순위 또는 점검주기 변경 중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점검우선순위는 상기 고장항목에 대한 빈도와 심각도를 기준으로 선정되어,
    상기 제어모듈에서 상기 점검 우선순위를 기준으로 변경된 상기 진단내용 변경정보를 상기 작업계획서에 반영하고, 상기 송수신모듈을 통하여 동일기종의 상기 신재생 에너지설비를 점검하는 모든 작업자의 모바일로 전송하는 신재생 에너지 설비의 진단결과 분석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수결과정보는 상기 고장항목에 대한 세부원인정보, 심각도정보, 작업자 코멘트정보 및 대응방법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재생 에너지 설비의 진단결과 분석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장모드분석부는 상기 고장항목 별로, 상기 세부원인, 심각도 수준 및 세부원인별 대응방법을 분류하여 테이블화하여 작업자가 진단시 해당 고장항목에 대하여 세부내용을 선택하여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보수가이드정보를 추가로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재생 에너지 설비의 진단결과 분석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보수가이드정보를 상기 작업계획서의 해당 점검항목에 추가하여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재생 에너지 설비의 진단결과 분석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슈생성부는 상기 고장항목에 대한 작업계획자의 추가 이슈를 입력받아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재생 에너지 설비의 진단결과 분석장치.
  6. 삭제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술정보는 상기 신재생 에너지 설비의 설비정보, 유지보수방법 및 보수이력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설비정보는 상기 신재생 에너지 설비의 기종정보, 설치회사정보, 발전단지정보 및 제조자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점검항목정보는 상기 신재생 에너지 설비의 점검항목리스트, 점검관련 매뉴얼, 고장시 심각도 평가방법, 점검 기준값정보, 점검 기준색정보, 점검방법정보, 필수 점검여부, 점검 우선순위 또는 점검주기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재생 에너지 설비의 진단결과 분석장치.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KR1020160019251A 2016-02-18 2016-02-18 신재생 에너지 설비의 진단결과 분석방법 및 그 장치 KR1018952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9251A KR101895274B1 (ko) 2016-02-18 2016-02-18 신재생 에너지 설비의 진단결과 분석방법 및 그 장치
GBGB1610941.5A GB201610941D0 (en) 2016-02-18 2016-06-22 Diagnostic and managing method of new renewable energy appatus using mobile device and the system thereof
GB1610944.9A GB2550223A (en) 2016-02-18 2016-06-22 Method of Analyzing Diagnostic Results from New Renewable Energy Equipment Units, and an Apparatus thereof
PCT/IB2017/050964 WO2017141227A1 (ko) 2016-02-18 2017-02-20 신재생 에너지 설비의 진단결과 분석방법 및 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9251A KR101895274B1 (ko) 2016-02-18 2016-02-18 신재생 에너지 설비의 진단결과 분석방법 및 그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7462A KR20170097462A (ko) 2017-08-28
KR101895274B1 true KR101895274B1 (ko) 2018-10-18

Family

ID=568951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19251A KR101895274B1 (ko) 2016-02-18 2016-02-18 신재생 에너지 설비의 진단결과 분석방법 및 그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1895274B1 (ko)
GB (2) GB201610941D0 (ko)
WO (1) WO2017141227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7605B1 (ko) * 2005-06-08 2006-12-20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작업 관리 방법 및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154281B2 (ja) * 2003-05-13 2008-09-24 三井化学株式会社 工場設備の診断システムおよび工場設備の診断方法
KR101073092B1 (ko) * 2009-12-29 2011-10-12 한국남동발전 주식회사 설비 고장 정비 시스템 및 설비 고장 정비 방법
KR20110076198A (ko) * 2009-12-29 2011-07-06 주식회사 포스코 제철설비 점검 단말기, 제철설비 점검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제철설비 점검 방법
KR101157631B1 (ko) * 2010-08-03 2012-06-18 한국남부발전 주식회사 유비쿼터스 기반의 발전설비의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1044264B1 (ko) 2011-03-07 2011-06-28 박기주 태양광 발전 설비 관리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7605B1 (ko) * 2005-06-08 2006-12-20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작업 관리 방법 및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7462A (ko) 2017-08-28
WO2017141227A1 (ko) 2017-08-24
GB201610941D0 (en) 2016-08-03
GB201610944D0 (en) 2016-08-03
GB2550223A (en) 2017-1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Zhao et al. Developing a conceptual framework for the application of digital twin technologies to revamp building operation and maintenance processes
Galar et al. Maintenance decision making based on different types of data fusion
KR101874098B1 (ko)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신재생 에너지 설비의 진단관리방법 및 그 시스템
CN110083340A (zh) 代码生成方法、装置、计算机设备及存储介质
KR100971009B1 (ko) 제품 재생 관리 시스템
US20140279443A1 (en) Remote Sharing of Measurement Data
Nie et al. Constraints: the core of supporting automated product configuration of cyber-physical systems
CN107479540B (zh) 故障诊断方法以及系统
KR102543064B1 (ko) Rpa 기반 제조환경 모니터링 서비스 제공 시스템
US8527550B1 (en) Bridge inspection diagnostic system
CN106227654A (zh) 一种测试平台
Fisch et al. State-based modeling of buildings and facilities
KR100910336B1 (ko) 논리 프로세스 및 물리 프로세스 모델을 맵핑한 비즈니스 프로세스 모델을 관리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101157631B1 (ko) 유비쿼터스 기반의 발전설비의 관리 시스템 및 방법
CN111680983A (zh) 一种数据库自动生成会计凭证装置
CN100428243C (zh) 用于在模型上实现动作的方法和系统
CN112215526B (zh) 一种计量系统评估方法、装置及可读存储介质
KR101365481B1 (ko) 도심재생사업의 수행을 지원하기 위한 사업별 포털 생성 관리 시스템
US11949076B2 (en) Maintenance support method, maintenance support system, maintenance support device, and computer program
KR101895274B1 (ko) 신재생 에너지 설비의 진단결과 분석방법 및 그 장치
EP4016408A1 (en) Maintenance assistance system and maintenance assistance method
JP2003140735A (ja) ポンプ場点検システム
Yiftachel et al. The study of resource allocation among software development phases: an economics-based approach
De Vasconcelos Batalha et al. Industry 4.0 with a Lean perspective-Investigating IIoT platforms' possible influences on data driven Lean
KR102613526B1 (ko) 배관이음부 생애주기 관리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배관이음부 생애주기 관리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