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73092B1 - 설비 고장 정비 시스템 및 설비 고장 정비 방법 - Google Patents

설비 고장 정비 시스템 및 설비 고장 정비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73092B1
KR101073092B1 KR1020090133160A KR20090133160A KR101073092B1 KR 101073092 B1 KR101073092 B1 KR 101073092B1 KR 1020090133160 A KR1020090133160 A KR 1020090133160A KR 20090133160 A KR20090133160 A KR 20090133160A KR 101073092 B1 KR101073092 B1 KR 1010730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cility
information
maintenance
failure
insp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331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76451A (ko
Inventor
송기욱
최우성
김범신
김봉수
Original Assignee
한국남동발전 주식회사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남동발전 주식회사,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한국남동발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1331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73092B1/ko
Publication of KR201100764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764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730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730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4Forecasting or optimisation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or management purposes, e.g. linear programming or "cutting stock proble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Market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설비 고장 정비 시스템 및 설비 고장 정비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설비의 고장을 예측 정비하는 설비 고장 정비 시스템에 있어서, 설비 관리 정보 및 정비 결과 정보를 이용하여 정비할 설비를 추출하며, 추출한 설비에 대한 위험도를 생성하고, 상기 위험도를 이용하여 설정한 설비 정비 주기를 포함하는 예방 정비 계획 정보를 생성하는 예방 정비 장치; 설비 목록 정보 및 점검 결과 정보를 이용하여 설비의 고장 모드 및 고장 원인을 판단하여 설비 점검 주기를 포함하는 예측 점검 계획 정보를 생성하는 예측 점검 장치; 및 상기 예방 정비 계획 정보 및 상기 예측 점검 계획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설비의 정비 작업을 설계해서 작업 요청서를 생성하는 고장 관리 장치를 포함하는 설비 고장 정비 시스템이 제공된다.
설비, 고장, 예측, 예방, 신뢰도, 위험도

Description

설비 고장 정비 시스템 및 설비 고장 정비 방법{FAULT MAINTENANCE SYSTEM OF EQUIPMENT AND METHOD OF THE SAME}
본 발명은 설비 고장 정비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신뢰도 및 위험도를 기반으로 하는 설비 고장 정비 시스템 및 설비 고장 정비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설비는 장기적인 사용에 의해 열화가 진행되고 성능 저하가 계속 이루어지면 잦은 고장이 발생한다. 따라서, 주기적으로 설비를 점검하여 고장을 방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설비를 점검하는 방법 중 신뢰도 기반 기술은 설비 신뢰성 중심의 유지 및 보수하는 방법으로서, 각 설비의 특성 파악과 운용 환경에 따른 설비의 고장 모드 분석 및 임계해석 평가를 통해 목표한 신뢰도를 유지하기 위한 가장 효율적이고 경제적인 유지 보수 계획을 수립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다시 말하면, 신뢰도 기반 기술은 입력받은 설비에 대한 데이터를 신뢰도를 계산하여 고장 주기를 예측해서 설비의 고장을 진단할 수 있는 방법이다.
설비를 점검하는 방법 중 위험도 기반 기술은 설비에 대한 점검 및 검사 기록을 바탕으로 설비의 위험도를 평가하여 위험도 평가를 통해 산정된 정비 주기에 따라 정비 작업을 지시하고, 해당하는 정비 작업에 반영한다.
그러나, 종래의 설비를 점검하는 방법은 전문가가 고장의 원인을 분석하여 대안을 마련하였으므로 분석 결과를 신뢰할 수 없는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종래의 설비를 점검하는 방법은 고장이 감소하거나 설비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없는 문제가 발생한다. 그리고, 종래의 설비를 점검하는 방법은 설비별, 부품별 및 계통별 각각의 정비 자료를 분석하고 현 상태의 평가가 불가능하여 효율적인 정비 업무를 수행할 수 없는 문제가 발생한다.
본 발명은 설비를 점검해야 할 정비 주기를 설정할 수 있는 설비 고장 정비 시스템 및 설비 고장 정비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설비에서 고장이 발생하기 이전에 설비 정비 방법을 제공할 수 있는 설비 고장 정비 시스템 및 설비 고장 정비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고장을 미리 예측하여 설비의 고장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설비의 품질을 향상시키고 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설비 고장 정비 시스템 및 설비 고장 정비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설비의 고장을 예측 정비하는 설비 고장 정비 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설비의 고장을 예측 정비하는 설비 고장 정비 시스템에 있어서, 설비 관리 정보 및 정비 결과 정보를 이용하여 정비할 설비를 추출하며, 추출한 설비에 대한 위험도를 생성하고, 상기 위험도를 이용하여 설정한 설비 정비 주기를 포함하는 예방 정비 계획 정보를 생성하는 예방 정비 장치; 설비 목록 정보 및 점검 결과 정보를 이용하여 설비의 고장 모드 및 고장 원인을 판단하여 설비 점검 주기를 포함하는 예측 점검 계획 정보를 생성하는 예측 점검 장치; 및 상기 예방 정비 계획 정보 및 상기 예측 점검 계획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설비의 정비 작업을 설계해서 작업 요청서를 생성하는 고장 관리 장치를 포함하는 설비 고장 정비 시스템이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예방 정비 장치는, 상기 고장 관리 장치로부터 수신한 설비 관리 정보 및 상기 점검 결과 정보를 이용하여 정비할 상기 설비를 추출하는 추출부; 상기 추출한 설비에서 고장이 발생할 확률을 판단하여 고장 발생 확률 정보를 설정하는 고장 판단부; 상기 추출한 설비에서 고장이 발생할 경우에 고장으로 인한 피해 규모를 판단하여 피해 규모 정보를 설정하는 피해 규모 판단부; 및 상기 고장 발생 확률 정보 및 상기 피해 규모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위험도를 생성하는 연산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예방 정비 장치는 상기 설비 관리 정보에 포함된 운전 이력 정 보를 이용하여 운영 수익 정보 및 운전 상태 정보를 설정하는 운전 상태 판단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연산부는 상기 고장 발생 확률, 상기 피해 규모 정보 및 상기 운전 상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위험도를 생성한다.
이때, 상기 피해 규모 판단부는 상기 고장 관리 장치로부터 수신한 정비 관리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추출한 설비에서 고장이 발생하여 정비할 경우에 발생하는 비용을 나타내는 정비 비용 정보를 설정한다.
그리고, 상기 예방 정비 장치는, 상기 위험도, 상기 피해 규모 정보, 상기 정비 비용 정보 및 상기 운영 수익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설비 정비 주기를 설정하고, 상기 설비 정비 주기를 이용하여 차기 설비 정비 시기를 설정하는 주기 설정부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예방 정비 장치는, 상기 추출한 설비를 정비할 방법을 나타내는 정비 방법 정보를 설정하며, 상기 추출한 설비에서 정비할 범위를 나타내는 정비 범위 정보를 설정하고, 상기 설비 정비 주기, 상기 차기 설비 정비 시기, 상기 정비 방법 정보 및 상기 정비 범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상기 예방 정비 계획 정보를 생성하는 처리부를 더 포함한다.
한편, 상기 예측 점검 장치는, 상기 고장 관리 장치로부터 수신한 상기 점검 결과 정보와 상기 설비 목록 정보에 포함된 전체 설비 정보 및 설비 대상 정보를 이용하여 복수의 설비 각각에 대한 고장 모드 및 고장 원인을 판단하는 설비 판단부; 상기 설비 각각에 대한 고장 모드 및 고장 원인을 이용하여 점검할 설비를 나타내는 점검 항목 정보, 상기 설비에서 점검할 부위를 나타내는 점검 부위 정보 및 점검할 주기를 나타내는 설비 점검 주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점검 기준 정보를 생성하는 기준 생성부; 및 상기 설비 각각에 대한 점검 기준 정보를 이용하여 점검할 설비를 그룹화하여 그룹 설비 정보를 생성하는 그룹 설정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예측 점검 장치는, 상기 그룹 설비 정보 및 상기 점검 기준 정보를 포함하는 예측 점검 계획 정보를 생성하는 정보 생성부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고장 관리 장치는, 상기 예방 정비 계획 정보에 대한 정비 수행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정비 결과 정보를 업그레이드하고, 상기 예측 점검 계획 정보에 대한 점검 수행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점검 결과 정보를 업그레이드한다.
한편, 상기 예방 정비 장치는 위험도 기반 유지 보수 장치(Risk Based Maintenance : RBM)이다.
그리고, 상기 예측 점검 장치는 신뢰도 기반 유지 보수 장치(Reliability Centered Maintenance : RCM)이다.
또한, 상기 고장 관리 장치는 전사적 자원관리 시스템(Enterprise Resource Planning : ERP), 전산 정비관리 시스템 (Computerized Maintenance Management System : CMMS) 및 전사적 정비 관리 시스템(Enterprise Asset Management : EAM) 중 적어도 하나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설비 고장 정비 시스템이 설비의 고장을 예측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설비 고장 정비 시스템이 설비의 고장을 예 측하는 방법에 있어서, 설비 관리 정보 및 정비 결과 정보를 이용하여 정비할 설비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추출한 설비에 대해 생성한 위험도를 이용하여 설비 정비 주기를 설정하고, 상기 설비 정비 주기를 포함하는 예방 정비 계획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설비 목록 정보 및 점검 결과 정보를 이용하여 설비의 고장 모드 및 고장 원인을 판단하는 단계; 상기 설비의 고장 모드 및 고장 원인을 이용하여 설비 점검 주기를 설정하고, 상기 설비 점검 주기를 포함하는 예측 점검 계획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예방 정비 계획 정보 및 상기 예측 점검 계획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설비의 정비 작업을 설계해서 작업 요청서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설비 고장 정비 방법이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추출한 설비에 대해 생성한 위험도를 이용하여 설비 정비 주기를 설정하고, 상기 설비 정비 주기를 포함하는 예방 정비 계획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추출한 설비에서 고장이 발생할 확률을 판단하여 고장 발생 확률 정보를 설정하는 단계; 상기 추출한 설비에서 고장이 발생할 경우에 고장으로 인한 피해 규모를 판단하여 피해 규모 정보를 설정하는 단계; 상기 설비 관리 정보에 포함된 운전 이력 정보를 이용하여 운영 수익 정보 및 운전 상태 정보를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고장 발생 확률 정보, 상기 피해 규모 정보 및 상기 운전 상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위험도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추출한 설비에 대해 생성한 위험도를 이용하여 설비 정비 주기를 설정하고, 상기 설비 정비 주기를 포함하는 예방 정비 계획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설비의 정비 내역 및 정비 비용을 포함하는 정비 관리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추출한 설비에서 고장이 발생하여 설비를 정비할 경우에 발생하는 비용을 나타내는 정비 비용 정보를 설정하는 단계; 상기 피해 규모 정보, 상기 정비 비용 정보 및 상기 운영 수익 정보를 이용하여 설비 정비 주기를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설비 정비 주기를 이용하여 차기 설비 정비 시기를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추출한 설비에 대해 생성한 위험도를 이용하여 설비 정비 주기를 설정하고, 상기 설비 정비 주기를 포함하는 예방 정비 계획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추출한 설비를 정비할 방법을 나타내는 정비 방법 정보를 설정하는 단계; 상기 추출한 설비에서 정비할 범위를 나타내는 정비 범위 정보를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설비 정비 주기, 상기 차기 설비 정비 시기, 상기 정비 방법 정보 및 상기 정비 범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상기 예방 정비 계획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설비 목록 정보 및 점검 결과 정보를 이용하여 설비의 고장 모드 및 고장 원인을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설비의 고장 부위 정보, 고장 모드 정보, 고장 원인 정보 및 점검 내역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점검 결과 정보 및 상기 설비 목록 정보에 포함된 전체 설비 정보 및 설비 대상 정보를 이용하여 복수의 설비 각각에 대한 고장 모드 및 고장 원인을 판단하는 단계이다.
한편, 상기 설비의 고장 모드 및 고장 원인을 이용하여 설비 점검 주기를 설정하고, 상기 설비 점검 주기를 포함하는 예측 점검 계획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설비 각각에 대한 고장 모드 및 고장 원인을 이용하여 점검할 설비를 나타내는 점검 항목 정보, 상기 설비에서 점검할 부위를 나타내는 점검 부위 정보 및 상 기 설비를 점검할 주기를 나타내는 상기 설비 점검 주기를 설정하는 단계; 상기 점검 항목 정보, 상기 점검 부위 정보 및 상기 설비 점검 주기를 포함하는 점검 기준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설비 각각에 대한 점검 기준 정보를 이용하여 점검할 설비를 그룹화하여 그룹 설비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그룹 설비 정보 및 상기 점검 기준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예측 점검 계획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설비 고장 정비 방법은 상기 예방 정비 계획 정보 및 상기 예측 점검 계획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설비의 정비 작업을 설계해서 작업 요청서를 생성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예방 정비 계획 정보에 대한 정비 수행 정보를 입력받고, 상기 예측 점검 계획 정보에 대한 점검 수행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정비 수행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정비 결과 정보를 업그레이드하는 단계; 및 상기 점검 수행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점검 결과 정보를 업그레이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설비 고장 정비 시스템 및 설비 고장 정비 방법은 설비를 점검해야 할 정비 주기를 설정할 수 있는 효과가 발생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설비 고장 정비 시스템 및 설비 고장 정비 방법은 설비에서 고장이 발생하기 이전에 설비 정비 방법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발생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설비 고장 정비 시스템 및 설비 고장 정비 방법은 고장을 미리 예측하여 설비의 고장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설비의 품질을 향상시키고, 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발생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설비 고장 정비 시스템 및 설비 고장 정비 방법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장 정비 시스템을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설비 고장 정비 시스템을 간략하게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설비 고장 정비 시스템(500)은 입력 장치(100), 예방 정비 장치(200), 예측 점검 장치(300), 고장 관리 장치(400), 표시 장치(450) 및 출력 장치(470)를 포함한다.
입력 장치(100)는 사용자로부터 정비 수행 정보 및 점검 수행 정보를 입력받는다. 이때, 사용자는 표시 장치(450)를 통해 표시된 작업 요청서를 이용하여 설비를 정비하고 설비 정비 결과 정보 및 설비 정비 이력 정보를 포함하는 정비 수행 정보를 입력 장치(100)를 통해 입력한다. 또한, 사용자는 표시 장치(450)를 통해 표시된 작업 요청서를 이용하여 설비를 점검하고 설비 점검 결과 정보 및 설비 점검 이력 정보를 포함하는 점검 수행 정보를 입력 장치(100)를 통해 입력한다.
또한, 입력 장치(100)는 사용자로부터 설비의 고장을 정비하기 위해 필요한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다. 이러한, 입력 장치(100)는 사용자로부터 각종 데이터를 입력받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 UI)로서, 그 구현 방식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다. 예를 들어, 입력 장치(100)는 키보드(keyboard), 터치-패드(touch-pad), 마우스(mouse) 및 키-패드(key-pad) 등과 같이 데이터를 입력받을 수 있는 수단이면 무관하다.
예방 정비 장치(200)는 설비를 정비하기 위해 정비할 설비를 추출하고, 설비의 위험도를 생성하여 설비에 대한 예방 정비 계획 정보를 생성한다. 다시 말하면, 예방 정비 장치(200)는 설비 관리 정보 및 정비 결과 정보를 이용하여 정비할 설비를 추출한다. 그리고, 예방 정비 장치(200)는 추출한 설비에 대해 고장이 발생할 확률 및 고장이 발생하면 발생할 피해 규모를 이용하여 위험도를 생성한다.
예방 정비 장치(200)는 위험도를 이용하여 설비에 대한 설비 정비 주기를 설정하고, 설비 정비 주기를 포함하는 예방 정비 계획 정보를 생성한다. 여기서, 예방 정비 장치(200)는 위험도 기반 유지 보수 장치(Risk Based Maintenance : RBM)일 수 있다. 이러한, 예방 정비 장치(200)는 도 2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예측 점검 장치(300)는 설비를 점검하기 위해 설비의 고장 모드 및 고장 원인을 판단하고, 고장 모드 및 고장 원인을 이용하여 예측 점검 계획 정보를 생성한다. 다시 말하면, 예측 점검 장치(300)는 설비 목록 정보 및 점검 결과 정보를 이용하여 점검할 설비를 추출하고, 설비에 대한 고장 모드 및 고장 원인을 판단한다. 예측 점검 장치(300)는 설비에 대한 고장 모드 및 고자 원인을 이용하여 점검할 설 비의 설비 점검 주기를 포함하는 점검 기준 정보를 생성한다.
그리고, 예측 점검 장치(300)는 설비를 점검하기 위해 점검 기준 정보를 포함하는 예측 점검 계획 정보를 생성한다. 이때, 예측 점검 장치(300)는 신뢰도 기반 유지 보수 장치(Reliability Centered Maintenance : RCM)일 수 있다. 이러한, 예측 점검 장치(300)는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고장 관리 장치(400)는 예방 정비 계획 정보 및 예측 점검 계획 정보를 이용하여 작업 요청서를 생성한다. 다시 말하면, 고장 관리 장치(400)는 예방 정비 장치(200)로부터 예방 정비 계획 정보를 수신하고, 예측 점검 장치(300)로부터 예측 점검 계획 정보를 수신한다.
고장 관리 장치(400)는 설비를 정비하고 점검하기 위해 예방 정비 계획 정보 및 예측 점검 계획 정보를 이용하여 작업자에게 설비의 고장을 정비하고 점검하기 위해 설비에서 점검해야 할 내용을 나타내는 작업 요청서를 생성한다. 이때, 작업 요청서는 설비를 정비하고 점검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이다. 즉, 작업 요청서는 복수의 설비 각각에 대한 설비 정비 주기 및 설비 점검 주기를 포함하며, 설비 정비 주기는 설비를 중단시키고 설비를 정비하는 주기를 나타내며, 설비 점검 주기는 설비를 중단시키기지 않고 설비를 점검하는 주기를 나타낸다. 또한, 작업 요청서는 설비를 정비하기 위한 정비 방법 정보 및 정비 범위 정보를 포함하며, 설비를 점검하기 위한 점검 항목 정보 및 점검 부위 정보를 포함한다.
그리고, 고장 관리 장치(400)는 설비의 과장을 정비하기 위해 필요한 데이터 및 설비 고장 정비 장치의 구성 요소에서 생성한 데이터를 저장하고 관리한다. 즉, 고장 관리 장치(400)는 입력 장치(100)를 통해 수신한 데이터를 저장하고, 예방 정비 장치(200) 및 예측 점검 장치(300)에서 생성한 데이터를 저장한다. 예를 들어, 고장 관리 장치(400)는 예방 정비 장치(200)에서 생성한 예방 정비 계획 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할 수 있으며, 예측 점검 장치(300)에서 생성한 예측 점검 계획 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할 수 있다. 고장 관리 장치(400)는 입력 장치(100)를 통해 입력받은 정비 수행 정보 및 점검 수행 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할 수 있다.
한편, 고장 관리 장치(400)는 전사적 자원관리 시스템(Enterprise Resource Planning : ERP), 전산 정비관리 시스템 (Computerized Maintenance Management System : CMMS) 및 전사적 정비 관리 시스템(Enterprise Asset Management : EAM)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표시 장치(450)는 고장 관리 장치(400)에서 생성한 작업 요청서를 표시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표시 장치(450)를 통해 표시된 작업 요청서를 확인하고, 작업 요청서를 이용하여 설비를 정비하고 정비 수행 정보를 입력 장치(100)를 통해 입력하며, 설비를 점검하고 점검 수행 정보를 입력 장치(100)를 통해 입력한다.
또한, 표시 장치(450)는 입력 장치(100), 예방 정비 장치(200), 예측 점검 장치(300) 및 고장 관리 장치(400)에서 수행하는 과정 및 결과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 장치(450)는 입력 장치(100)를 통해 입력받는 정비 수행 정보 및 점검 수행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표시 장치(450)는 예방 정비 장치(200)에서 생성한 예방 정비 계획 정보를 표시할 수 있고, 예측 점검 장치(300)에서 생성한 예측 점검 계획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표시 장치(450)는 사용자로부터 입력 장 치(100)를 통해 정비 수행 정보 및 점검 수행 정보를 입력받기 위해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할 수 있다. 표시 장치(450)는 사용자로부터 입력 장치(100)를 통해 입력받은 정비 수행 정보 및 점검 수행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이때, 표시 장치(450)는 음극선관,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 LCD), 유기 발광 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 OLED), 전기 영동 표시 장치(Electro Phoretic Display : EPD) 및 플라즈마 표시 패널(Plasma Display Panel : PDP) 등과 같이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일 수 있고,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하는 컴퓨터일 수 있다. 또한, 표시 장치(450)는 터치 스크린 등을 이용하여 사용자로부터 데이터를 입력받는 입력 장치(100)와 일체형으로 구현될 수 있다.
출력 장치(470)는 작업 요청서를 출력한다. 즉, 출력 장치(470)는 고장 관리 장치(400)에서 생성한 작업 요청서를 종이와 같은 출력물을 통해 출력한다. 여기서, 출력 장치(470)는 작업 요청서를 종이와 같은 출력물을 통해 출력할 수 있으면 그 종류는 무관하다. 예를 들어, 출력 장치(470)는 프린트(printer)일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설비 고장 정비 시스템의 예방 정비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예방 정비 장치(200)는 수신부(210), 추출부(220), 고장 판단부(230), 피해 규모 판단부(240), 운전 상태 판단부(250), 연산부(260), 주기 설정부(270), 처리부(280) 및 송신부(290)를 포함한다.
수신부(210)는 예방 정비 계획 정보를 생성하기 위해 필요한 데이터를 수신한다. 즉, 수수신부(210)는 고장 관리 장치(400)와 접속하여 설비 관리 정보 및 정비 결과 정보를 고장 관리 장치(400)로부터 수신한다. 이때, 설비 관리 정보는 설비 식별 번호, 설비 위치, 설비의 기본적인 스펙(spec)을 나타내는 설비 제반 조전 및 운전 이력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전체 설비 정보는 설비 고장 정비 시스템에 연결된 전체 설비의 목록을 나타내며, 설비 이름 및 설비 식별 번호와 같이 설비를 식별할 수 있는 설비 식별 정보로 이루질 수 있다. 설비 대상 정보는 설비를 정비할 목록을 나타내며 설비 식별 정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운전 이력 정보는 설비의 운전 이력을 나타내며 운전 환경 변화 정보 및 운전 가동률 정보를 포함한다. 그리고, 정비 결과 정보는 정비를 수행한 이력을 나타내며, 정비 주기 정보, 정비 이력 정보, 정비 항목 정보 및 정비 내역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수신부(210)는 정비 관리 정보를 고장 관리 장치(400)로부터 수신한다. 이때, 정비 관리 정보는 설비에서 고장이 발생할 경우에 고장을 해결하기 위해 발생되는 비용을 나타내며, 고장 정보에 연계되어 비용을 저장한다.
추출부(220)는 설비 관리 정보 및 정비 결과 정보를 이용하여 정비할 설비를 추출한다. 즉, 추출부(220)는 설비 관리 정보를 이용하여 설비를 판단하고, 정비 결과 정보에 포함된 정비 이력 정보 및 정비 주기 정보를 이용하여 정비할 설비를 추출한다. 이때, 정비 주기 정보는 설비를 생산할 때 기본적으로 수행해야 하는 정비 주기를 나타낼 수 있다.
고장 판단부(230)는 설비의 고장 발생 확률 정보를 설정한다. 다시 말하면, 고장 판단부(230)는 설비의 위험도를 생성하기 위해 정비 결과 정보를 이용하여 추출한 설비에서 고장이 발생할 확률을 판단하여 고장 발생 확률 정보를 설정한다. 만약, 고장 판단부(230)는 추출한 설비가 복수일 경우에 복수의 설비 각각에 대한 고장 발생 확률 정보를 설정할 수 있다. 고장 판단부(230)는 고장 발생 확률 정보를 연산부(260)로 제공한다.
피해 규모 판단부(240)는 설비의 피해 규모 정보를 설정한다. 즉, 피해 규모 판단부(240)는 설비의 위험도를 생성하기 위해 필요한 피해 규모 정보를 설정하기 위해 정비 결과 정보를 이용하여 추출한 설비에서 고장이 발생할 경우에 고장으로 인한 피해 규모를 판단하여 피해 규모 정보를 설정한다. 그리고, 피해 규모 판단부(240)는 설정한 피해 규모 정보를 연산부(260)로 제공한다.
또한, 피해 규모 판단부(240)는 설비의 정비 비용 정보를 설정한다. 구체적으로, 피해 규모 판단부(240)는 추출한 설비에서 고장이 발생하여 정비할 경우에 발생하는 비용을 나타내는 정비 비용 정보를 정비 관리 정보에서 추출한다. 즉, 피해 규모 판단부(240)는 정비 비용 정보에서 설비에 연계된 비용을 검색하고, 설비에 연계된 비용을 정비 비용 정보에서 추출하여 정비 비용 정보를 설정한다.
운전 상태 판단부(250)는 설비의 운전 상태 정보를 설정한다. 다시 말하면, 운전 상태 판단부(250)는 설비 관리 정보에 포함된 운전 이력 정보에서 운전 환경 변화 정보와 가동률 정보를 이용하여 운영 수익 정보 및 운전 상태 정보를 설정한다. 이때, 운영 수익 정보는 설비를 운영할 경우에 발생하는 수익을 나타내며, 운전 상태 정보는 설비를 운영할 경우 설비의 운전 상태를 나타낼 수 있다.
연산부(260)는 고장 발생 확률 정보 및 피해 규모 정보를 이용하여 위험도를 생성한다. 다시 말하면, 연산부(260)는 설비의 위험도를 판단하기 위해 고장 발생 확률 정보, 피해 규모 정보 및 운전 상태 정보를 이용하여 위험도를 생성한다. 여기서, 위험도는 설비에서 고장이 발생할 경우 복수의 설비를 포함하는 전체 시스템에 미치는 영향의 정도를 나타낼 수 있다.
주기 설정부(270)는 설비를 정비할 설비 정비 주기를 설정한다. 구체적으로, 주기 설정부(270)는 위험도, 피해 규모 정보, 정비 비용 정보 및 운영 수익 정보를 이용하여 최소한의 비용을 소비하면서 피해 규모를 줄일 수 있는 설비 정비 주기를 설정한다. 이때, 설비 정비 주기는 복수의 설비를 포함하는 시스템의 동작을 멈추고 복수의 설비를 정비하는 주기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설비 정비 주기는 5년, 10년, 15년과 같이 일정 주기로 설정될 수 있다. 그리고, 주기 설정부(270)는 설비 정비 주기를 이용하여 다음에 설비를 중단하기 설비를 정비할 시기를 나타내는 차기 설비 정비 시기를 설정한다.
처리부(280)는 설비 정비 주기를 포함하는 예방 정비 계획 정보를 생성한다. 구체적으로, 처리부(280)는 점검 결과 정보를 이용하여 추출한 설비를 정비할 방법을 나타내는 정비 방법 정보를 설정하고, 추출한 설비에서 정비할 범위를 나타내는 정비 범위 정보를 설정한다. 그리고, 처리부(280)는 설비 정비 주기, 차기 설비 정비 시기, 정비 방법 정보 및 정비 범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예방 정비 계획 정보를 생성한다.
송신부(290)는 고장 관리 장치(400)와 접속하여 고장 관리 장치(400)로 데이 터를 전송한다. 다시 말하면, 송신부(290)는 고장 관리 장치(400)로 처리부(280)에서 생성한 예방 정비 계획 정보를 전송한다.
여기서 수신부(210)와 송신부(290)를 별도의 블록으로 표시한 이유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설비 고장 진단 시스템의 예방 정비 장치(200)를 용이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수신부(210)와 송신부(290)가 수행하는 기능 및 역할을 하나의 구성 요소가 통합하여 수행할 수도 있으며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경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설비 고장 정비 시스템의 예측 점검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예측 점검 장치(300)는 통신부(310), 설비 판단부(320), 기준 생성부(330), 그룹 설정부(340), 정보 생성부(350) 및 전송부(360)를 포함한다.
통신부(310)는 설비 목록 정보 및 점검 결과 정보를 수신한다. 다시 말하면, 통신부(310)는 고장 관리 장치(400)와 접속하여 고장 관리 장치(400)로부터 설비 목록 정보 및 점검 결과 정보를 수신한다.
설비 판단부(320)는 설비에 대한 고장 모드 및 고장 원인을 판단한다. 구체적으로, 설비 판단부(320)는 설비 목록 정보에 포함된 전체 설비 정보 및 설비 대상 정보를 이용하여 점검할 복수의 설비를 판단하고, 설비 목록 정보 및 점검 결과 정보를 이용하여 고장이 발생해서 점검할 복수의 설비를 추출한다. 이때, 점검 결 과 정보는 복수의 설비 각각에 대한 고장 부위 정보, 고장 모드 정보, 고장 원인 정보 및 점검 내역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설비 판단부(320)는 점검 결과 정보를 이용하여 복수의 설비에 대한 고장 모드 및 고장 원인을 판단한다.
한편, 설비 판단부(320)는 사용자로부터 입력 장치(100)를 통해 설비에 대한 고장 모드 및 고장 원인을 입력받아 설비의 고장 모드 및 고장 원인을 판단할 수 있다.
기준 생성부(330)는 복수의 설비에 대한 점검 기준 정보를 생성한다. 다시 말하면, 기준 생성부(330)는 점검할 설비를 나타내는 점검 항목 정보를 설정한다. 기준 생성부(330)는 점검 결과 정보에서 고장 모드 및 고장 원인에 연계된 점검 내역 정보를 추출하며 점검 내역 정보를 이용하여 고장 모드 및 고장 원인을 해결하기 위해 점검해야 할 점검 부위 정보를 설정한다.
그리고, 기준 생성부(330)는 점검 결과 정보를 이용하여 고장 모드 및 고장 원인을 해결하기 위한 점검 방법 정보를 설정한다. 기준 생성부(330)는 설비의 점검을 수행해야 할 주기를 나타내는 설비 점검 주기를 설정한다. 그리고, 기준 생성부(330)는 점검 항목 정보, 점검 부위 정보, 점검 방법 정보 및 설비 점검 주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점검 기준 정보를 생성한다.
그룹 설정부(340)는 동시에 점검을 수행할 수 있는 설비를 그룹화한다. 구체적으로, 그룹 설정부(340)는 복수의 설비 각각에 대한 점검 기준 정보를 이용하여 동시에 점검을 수행할 수 있는 설비를 판단하고, 동시에 점검을 수행할 수 있는 복수의 설비를 그룹화하여 그룹 설비 정보를 생성한다. 이때, 그룹 설비 정보는 설비 이름 및 설비 식별 번호와 같이 설비를 식별할 수 있는 설비 식별 정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정보 생성부(350)는 설비를 점검하기 위해 설비 점검 주기를 포함하는 예측 점검 계획 정보를 생성한다. 다시 말하면, 정보 생성부(350)는 그룹 설정부(340)에서 생성한 그룹 설비 정보에 기준 생성부(330)에서 생성한 점검 기준 정보를 연계하여 예측 점검 계획 정보를 생성한다.
전송부(360)는 고장 관리 장치(400)와 접속한다. 전송부(360)는 정보 생성부(350)에서 생성한 예측 점검 계획 정보를 고장 관리 장치(400)로 전송한다.
여기서 통신부(310)와 전송부(360)를 별도의 블록으로 표시한 이유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설비 고장 진단 시스템의 예측 점검 장치(300)를 용이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통신부(310)와 전송부(360)가 수행하는 기능 및 역할을 하나의 구성 요소가 통합하여 수행할 수도 있으며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경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설비의 고장을 정비하는 방법을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설비 고장 정비 방법을 간략하게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설비 고장 정비 시스템은 설비 관리 정보 및 정비 결과 정보를 이용하여 정비할 설비를 추출한다(S410). 즉, 설비 고장 정비 시스템의 예방 정비 장치(200)는 고장 관리 장치(400)로부터 설비 관리 정보 및 정비 결과 정보를 수신한다. 그리고, 예방 정비 장치(200)는 설비 관리 정보 및 정비 결과 정보를 이용하여 정비할 설비를 추출한다.
설비 고장 정비 시스템은 추출한 설비에 대한 예방 정비 계획 정보를 생성한다(S430). 다시 말하면, 설비 고장 정비 시스템의 예방 정비 장치(200)는 추출한 설비에 대한 위험도를 생성한다. 예방 정비 장치(200)는 위험도를 이용하여 설비 정비 주기를 설정하고, 설정한 설비 정비 주기를 포함하는 예방 정비 계획 정보를 생성한다. 예방 정비 장치(200)는 예방 정비 계획 정보를 고장 관리 장치(400)로 전송한다.
설비 고장 정비 시스템은 설비 목록 정보 및 점검 결과 정보를 이용하여 설비의 고장 모드 및 고장 원인을 판단한다(S450). 즉, 설비 고장 정비 시스템의 예측 점검 장치(300)는 고장 관리 장치(400)로부터 설비 목록 정보 및 점검 결과 정보를 수신한다. 예측 점검 장치(300)는 점검 결과 정보 및 설비 목록 정보에 포함된 전체 설비 정보와 설비 대상 정보를 이용하여 복수의 설비 각각에 대한 고장 모드 및 고장 원인을 판단한다.
설비 고장 정비 시스템은 설비에 대한 예측 점검 계획 정보를 생성한다(S470). 즉, 설비 고장 정비 시스템의 예측 점검 장치(300)는 설비의 고장 모드 및 고장 원인을 이용하여 점검할 설비의 점검 항목 정보, 점검 부위 정보 및 설비 점검 주기를 설정한다. 그리고, 예측 점검 장치(300)는 점검 항목 정보, 점검 부위 정보 및 설비 점검 주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예측 점검 계획 정보를 생성한 다.
설비 고장 정비 시스템은 예방 정비 계획 정보 및 예측 점검 계획 정보를 이용하여 작업 요청서를 생성한다(S490). 다시 말하면, 설비 고장 정비 시스템의 고장 관리 장치(400)는 예방 정비 장치(200)로부터 예방 정비 계획 정보를 수신하고, 예측 점검 장치(300)로부터 예측 점검 계획 정보를 수신한다. 고장 관리 장치(400)는 예방 정비 계획 정보 및 예측 점검 계획 정보를 이용하여 설비를 예측 정비하고 예방 정비할 시기를 설정하여 작업 요청서를 생성한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설비 고장 정비 방법을 상세하게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예방 정비 장치(200)는 설비 관리 정보 및 정비 결과 정보를 이용하여 정비할 설비를 추출한다(S513). 우선, 예방 정비 장치(200)가 고장 관리 장치(400)로 설비 관리 정보 및 정비 결과 정보를 요청하면 고장 관리 장치(400)는 예방 정비 장치(200)의 수신부(210)를 통해 설비 관리 정보 및 정비 결과 정보를 수신한다. 추출부(220)는 설비 관리 정보의 설비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설비를 판단하고, 정비 결과 정보에 포함된 정비 이력 정보 및 정비 주기 정보를 이용하여 정비할 설비를 추출한다.
예방 정비 장치(200)는 설비의 위험도를 생성하기 위해 설비의 고장 발생 확률 정보 및 피해 규모 정보를 설정한다(S515). 다시 말하면, 예방 정비 장치(200)의 고장 판단부(230)는 정비 결과 정보를 이용하여 추출한 설비에서 고장이 발생할 확률을 판단하여 고장 발생 확률 정보를 설정한다. 그리고, 피해 규모 판단부(240)는 정비 결과 정보를 이용하여 추출한 설비에서 고장이 발생할 경우에 고장으로 인한 패해 규모를 판단하여 피해 규모 정보를 설정한다.
예방 정비 장치(200)는 설비의 운영 수익 정보 및 운전 상태 정보를 설정한다(S517). 즉, 예방 정비 장치(200)의 운전 상태 판단부(250)는 설비 관리 정보에 포함된 운전 이력 정보에서 운전 환경 변화 정보와 가동률 정보를 설비를 운영할 경우에 발생하는 수익을 나타내는 운영 수익 정보 및 설비를 운영할 경우에 설비의 운전 상태를 나타내는 운전 상태 정보를 설정한다.
예방 정비 장치(200)는 설비의 위험도를 생성한다(S519). 다시 말하면, 예방 정비 장치(200)의 연산부(260)는 고장 발생 확률 정보, 피해 규모 정보 및 운전 상태 정보를 이용하여 위험도를 생성한다. 이때, 연산부(260)는 고장 발생 확률 정보를 X축으로 설정하고, 피해 규모 정보를 Y축으로 설정하여 위험도 매트릭스(matrix)를 생성할 수 있다.
예방 정비 장치(200)는 설비의 정비 비용 정보를 설정한다(S521). 즉, 예방 정비 장치(200)의 피해 규모 판단부(240)는 정비 관리 정보에 포함된 설비의 정비 내역 및 정비 비용을 이용하여 정비 비용 정보를 설정한다. 이때, 정비 비용 정보는 추출한 설비에서 고장이 발생하여 설비를 정비할 경우에 발생하는 비용을 나타낸다.
예방 정비 장치(200)는 피해 규모 정보, 정비 비용 정보 및 운영 수익 정보를 이용하여 설비 정비 주기를 설정한다(S523). 다시 말하면, 예방 정비 장치(200) 의 주기 설정부(270)는 위험도, 피해 규모 정보, 정비 비용 정보 및 운영 수익 정보를 이용하여 최소한의 비용을 소비하면서 피해 규모를 줄일 수 있는 설비 정비 주기를 설정한다. 그리고, 주기 설정부(270)는 정비 결과 정보에 포함된 정비 이력 정보를 이용하여 설비를 정비한 시기를 판단하고, 설비를 정비한 시기 및 설비 정비 주기를 이용하여 다음에 설비를 정비할 시기를 나타내는 차기 설비 정비 시기를 설정한다.
예방 정비 장치(200)는 설비 정비 주기를 포함하는 예방 정비 계획 정보를 생성한다(S525). 구체적으로, 예방 정비 장치(200)의 처리부(280)는 점검 결과 정보를 이용하여 설비 식별 정보, 정비 방법 정보 및 정비 범위 정보를 포함하는 예방 정비 계획 정보를 생성한다. 이때, 설비 식별 정보는 설비 이름 및 설비 식별 번호와 같이 설비를 구별할 수 있는 것이면 무관하다. 정비 방법 정보는 설비를 정비할 방법을 나타내며, 정비 범위 정보는 설비에서 정비할 범위를 나타낸다. 그리고, 처리부(280)는 설비 식별 정보에 설비 정비 주기, 차기 설비 정비 시기, 정비 방법 정보 및 정비 범위 정보를 연계하여 예방 정비 계획 정보를 생성한다. 그리고, 예방 정비 장치(200)는 송신부(290)를 통해 예방 정비 계획 정보를 고장 관리 장치(400)로 전송한다.
한편, 예측 점검 장치(300)는 설비의 고장 모드 및 고장 원인을 판단한다(S531). 다시 말하면, 예측 점검 장치(300)의 설비 판단부(320)는 설비 목록 정보에 포함된 전체 설비 정보 및 설비 대상 정보를 이용하여 복수의 설비를 판단한다. 설비 판단부(320)는 복수의 설비 중 복수의 설비에 대한 설비 목록 정보 및 점 검 결과 정보를 이용하여 고장이 발생해서 점검할 복수의 설비를 추출한다. 그리고, 설비 판단부(320)는 점검 결과 정보를 이용하여 추출한 복수의 설비의 고장 모드 및 고장 원인을 판단한다. 또한, 설비 판단부(320)는 사용자로부터 입력 장치(100)를 통해 고장 모드 및 고장 원인을 입력받아 복수의 설비에 대한 고장 모드 및 고장 원인을 판단할 수 있다.
예측 점검 장치(300)는 복수의 설비에 대한 설비 점검 주기를 설정한다(S533). 즉, 예측 점검 장치(300)의 기준 생성부(330)는 고장 모드 및 고장 원인을 이용하여 설비의 설비 점검 주기를 설정한다. 이때, 설비 점검 주기는 설비의 동작을 멈추지 않고 설비를 점검하는 주기를 나타낸다. 기준 생성부(330)는 설비 점검 주기를 이용하여 다음에 수행해야 할 시기를 나타내는 차기 설비 점검 시기를 설정한다.
예측 점검 장치(300)는 설비 점검 주기를 포함하는 점검 기준 정보를 생성한다(S535). 구체적으로, 예측 점검 장치(300)의 기준 생성부(330)는 점검할 설비를 나타내는 점검 항목 정보를 설정한다. 이때, 점검 항목 정보는 설비 이름 및 설비 식별 번호를 포함하는 설비 식별 정보로 이루어질 수 있다. 기준 생성부(330)는 점검 결과 정보에서 고장 모드 및 고장 원인에 연계된 점검 내역 정보를 추출하고, 점검 내역 정보를 이용하여 고장 모드 및 고장 원인을 해결하기 위해 점검해야 할 점검 부위 정보를 설정한다.
기준 생성부(330)는 점검 결과 정보를 이용하여 고장 모드 및 고장 원인을 해결하기 위해 설비를 점검할 점검 방법 정보를 설정한다. 그리고, 기준 생성 부(330)는 설비 식별 정보, 점검 부위 정보, 점검 항목 정보, 점검 방법 정보, 설비 점검 주기 및 차기 설비 점검 시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점검 기준 정보를 생성한다.
예측 점검 장치(300)는 복수의 설비를 그룹화하여 그룹 설비 정보를 생성한다(S537). 다시 말하면, 예측 점검 장치(300)의 그룹 설정부(340)는 점검 기준 정보를 이용하여 동시에 점검할 수 있는 복수의 설비를 판단하고, 복수의 설비를 그룹화하여 그룹 설비 정보를 생성한다. 이때, 그룹 설비 정보는 그룹화한 설비의 설비 식별 정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측 점검 장치(300)는 설비 점검 주기를 포함하는 예측 점검 계획 정보를 생성한다(S539). 즉, 예측 점검 장치(300)의 정보 생성부(350)는 설비를 점검하기 위해 그룹 설정부(340)에서 생성한 그룹 설비 정보 및 기준 생성부(330)에서 생성한 점검 기준 정보를 포함하는 예측 점검 계획 정보를 생성한다. 이후, 전송부(360)는 정보 생성부(350)에서 생성한 예측 점검 계획 정보를 고장 관리 장치(400)로 전송한다.
고장 관리 장치(400)는 예방 정비 계획 정보 및 예측 점검 계획 정보를 이용하여 작업 요청서를 생성한다(S541). 다시 말하면, 고장 관리 장치(400)는 예방 계획 장치로부터 수신한 예방 정비 계획 정보 및 예측 점검 장치(300)로부터 수신한 예측 점검 계획 정보를 이용하여 작업자에서 설비를 점검하고 정비하기 위해 설비에서 정비하고 점검해야 할 내용을 나타내는 작업 요청서를 생성한다. 이후, 표시 장치(450)는 작업 요청서를 표시하며, 출력 장치(470)는 작업 요청서를 출력물을 통해 출력한다.
입력 장치(100)는 사용자로부터 정비 수행 정보를 입력받는다(S543). 즉, 사용자는 표시 장치(450)를 통해 표시된 작업 요청서 또는 출력 장치(470)를 통해 출력된 작업 요청서를 통해 정비할 내용을 판단하고, 설비를 정비한 후의 결과를 나타내는 설비 정비 결과 정보 및 설비 정비 이력 정보를 포함하는 정비 수행 정보를 입력 장치(100)를 통해 입력한다.
고장 관리 장치(400)는 정비 수행 정보를 이용하여 정비 결과 정보를 업그레이드한다(S545). 즉, 고장 관리 장치(400)는 사용자로부터 입력 장치(100)를 통해 입력받은 정비 수행 정보를 이용하여 이전에 저장된 정비 결과 정보를 업그레이드한다.
입력 장치(100)는 사용자로부터 점검 수행 정보를 입력받는다(S547). 이때, 사용자는 표시 장치(450)를 통해 표시된 작업 요청서나 출력 장치(470)를 통해 출력된 작업 요청서를 이용하여 설비 점검을 수행하고 설비 점검한 후의 결과를 나타내는 점검 수행 정보를 입력 장치(100)를 통해 입력한다. 이때, 점검 수행 정보는 설비 점검 결과 정보, 정비 이력 정보, 고장 모드 정보, 고장 원인 정보 및 고장 부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고장 관리 장치(400)는 점검 수행 정보를 이용하여 점검 결과 정보를 업그레이드한다(S549). 다시 말하면, 고장 관리 장치(400)는 사용자로부터 설비를 점검한 후 입력받은 점검 수행 정보를 이용하여 이전에 저장된 점검 결과 정보를 업그레이드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설비 고장 정비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 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로피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또한 상술한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구조 등을 지정하는 신호를 전송하는 반송파를 포함하는 광 또는 금속선, 도파관 등의 전송 매체일 수도 있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설비 고장 정비 시스템을 간략하게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설비 고장 정비 시스템의 예방 정비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설비 고장 정비 시스템의 예측 점검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설비 고장 정비 방법을 간략하게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설비 고장 정비 방법을 상세하게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0 : 예방 정비 장치
220 : 추출부
230 : 고장 판단부
240 : 피해 규모 판단부
250 : 운전 상태 판단부
260 : 연산부
270 : 주기 설정부
280 : 처리부
300 : 예측 점검 장치
320 : 설비 판단부
330 : 기준 생성부
340 : 그룹 설정부
350 : 정보 생성부
400 : 고장 관리 장치
500 : 설비 고장 정비 장치

Claims (20)

  1. 설비의 고장을 예측 정비하는 설비 고장 정비 시스템에 있어서,
    설비 관리 정보 및 정비 결과 정보를 이용하여 정비할 설비를 추출하며, 추출한 설비에 대한 위험도를 생성하고, 상기 위험도를 이용하여 설정한 설비 정비 주기를 포함하는 예방 정비 계획 정보를 생성하는 예방 정비 장치;
    설비 목록 정보 및 점검 결과 정보를 이용하여 설비의 고장 모드 및 고장 원인을 판단하여 설비 점검 주기를 포함하는 예측 점검 계획 정보를 생성하는 예측 점검 장치; 및
    상기 예방 정비 계획 정보 및 상기 예측 점검 계획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설비의 정비 작업을 설계해서 작업 요청서를 생성하는 고장 관리 장치를 포함하는 설비 고장 정비 시스템.
    상기 예방 정비 장치는,
    상기 고장 관리 장치로부터 수신한 설비 관리 정보 및 상기 점검 결과 정보를 이용하여 정비할 상기 설비를 추출하는 추출부;
    상기 추출한 설비에서 고장이 발생할 확률을 판단하여 고장 발생 확률 정보를 설정하는 고장 판단부;
    상기 추출한 설비에서 고장이 발생할 경우에 고장으로 인한 피해 규모를 판단하여 피해 규모 정보를 설정하는 피해 규모 판단부;
    상기 고장 발생 확률 정보 및 상기 피해 규모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위험도를 생성하는 연산부; 및
    상기 설비 관리 정보에 포함된 운전 이력 정보를 이용하여 운영 수익 정보 및 운전 상태 정보를 설정하는 운전 상태 판단부를 포함하되,
    상기 연산부는 상기 고장 발생 확률, 상기 피해 규모 정보 및 상기 운전 상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위험도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비 고장 정비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피해 규모 판단부는 상기 고장 관리 장치로부터 수신한 정비 관리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추출한 설비에서 고장이 발생하여 정비할 경우에 발생하는 비용을 나타내는 정비 비용 정보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비 고장 정비 시스템.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예방 정비 장치는,
    상기 위험도, 상기 피해 규모 정보, 상기 정비 비용 정보 및 상기 운영 수익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설비 정비 주기를 설정하고, 상기 설비 정비 주기를 이용하여 차기 설비 정비 시기를 설정하는 주기 설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비 고장 정비 시스템.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예방 정비 장치는,
    상기 추출한 설비를 정비할 방법을 나타내는 정비 방법 정보를 설정하며, 상기 추출한 설비에서 정비할 범위를 나타내는 정비 범위 정보를 설정하고, 상기 설비 정비 주기, 상기 차기 설비 정비 시기, 상기 정비 방법 정보 및 상기 정비 범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상기 예방 정비 계획 정보를 생성하는 처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비 고장 정비 시스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예측 점검 장치는,
    상기 고장 관리 장치로부터 수신한 상기 점검 결과 정보와 상기 설비 목록 정보에 포함된 전체 설비 정보 및 설비 대상 정보를 이용하여 복수의 설비 각각에 대한 고장 모드 및 고장 원인을 판단하는 설비 판단부;
    상기 설비 각각에 대한 고장 모드 및 고장 원인을 이용하여 점검할 설비를 나타내는 점검 항목 정보, 상기 설비에서 점검할 부위를 나타내는 점검 부위 정보 및 점검할 주기를 나타내는 설비 점검 주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점검 기준 정보를 생성하는 기준 생성부; 및
    상기 설비 각각에 대한 점검 기준 정보를 이용하여 점검할 설비를 그룹화하여 그룹 설비 정보를 생성하는 그룹 설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비 고장 정비 시스템.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예측 점검 장치는,
    상기 그룹 설비 정보 및 상기 점검 기준 정보를 포함하는 예측 점검 계획 정보를 생성하는 정보 생성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비 고장 정비 시스템.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장 관리 장치는,
    상기 예방 정비 계획 정보에 대한 정비 수행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정비 결과 정보를 업그레이드하고, 상기 예측 점검 계획 정보에 대한 점검 수행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점검 결과 정보를 업그레이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비 고장 정비 시스템.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예방 정비 장치는 위험도 기반 유지 보수 장치(Risk Based Maintenance : RB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비 고장 정비 시스템.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예측 점검 장치는 신뢰도 기반 유지 보수 장치(Reliability Centered Maintenance : RC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비 고장 정비 시스템.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장 관리 장치는 전사적 자원관리 시스템(Enterprise Resource Planning : ERP), 전산 정비관리 시스템 (Computerized Maintenance Management System : CMMS) 및 전사적 정비 관리 시스템(Enterprise Asset Management : EAM)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비 고장 정비 시스템.
  13. 설비 고장 정비 시스템이 설비의 고장을 예측하는 방법에 있어서,
    설비 관리 정보 및 정비 결과 정보를 이용하여 정비할 설비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추출한 설비에 대해 생성한 위험도를 이용하여 설비 정비 주기를 설정하고, 상기 설비 정비 주기를 포함하는 예방 정비 계획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설비 목록 정보 및 점검 결과 정보를 이용하여 설비의 고장 모드 및 고장 원인을 판단하는 단계;
    상기 설비의 고장 모드 및 고장 원인을 이용하여 설비 점검 주기를 설정하고, 상기 설비 점검 주기를 포함하는 예측 점검 계획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예방 정비 계획 정보 및 상기 예측 점검 계획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설비의 정비 작업을 설계해서 작업 요청서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추출한 설비에 대해 생성한 위험도를 이용하여 설비 정비 주기를 설정하고, 상기 설비 정비 주기를 포함하는 예방 정비 계획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추출한 설비에서 고장이 발생할 확률을 판단하여 고장 발생 확률 정보를 설정하는 단계;
    상기 추출한 설비에서 고장이 발생할 경우에 고장으로 인한 피해 규모를 판단하여 피해 규모 정보를 설정하는 단계;
    상기 설비 관리 정보에 포함된 운전 이력 정보를 이용하여 운영 수익 정보 및 운전 상태 정보를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고장 발생 확률 정보, 상기 피해 규모 정보 및 상기 운전 상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위험도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비 고장 정비 방법.
  14. 삭제
  15.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한 설비에 대해 생성한 위험도를 이용하여 설비 정비 주기를 설정하고, 상기 설비 정비 주기를 포함하는 예방 정비 계획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설비의 정비 내역 및 정비 비용을 포함하는 정비 관리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추출한 설비에서 고장이 발생하여 설비를 정비할 경우에 발생하는 비용을 나타내는 정비 비용 정보를 설정하는 단계;
    상기 피해 규모 정보, 상기 정비 비용 정보 및 상기 운영 수익 정보를 이용하여 설비 정비 주기를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설비 정비 주기를 이용하여 차기 설비 정비 시기를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비 고장 정비 방법.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한 설비에 대해 생성한 위험도를 이용하여 설비 정비 주기를 설정하고, 상기 설비 정비 주기를 포함하는 예방 정비 계획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추출한 설비를 정비할 방법을 나타내는 정비 방법 정보를 설정하는 단계;
    상기 추출한 설비에서 정비할 범위를 나타내는 정비 범위 정보를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설비 정비 주기, 상기 차기 설비 정비 시기, 상기 정비 방법 정보 및 상기 정비 범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상기 예방 정비 계획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비 고장 정비 방법.
  17.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설비 목록 정보 및 점검 결과 정보를 이용하여 설비의 고장 모드 및 고장 원인을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설비의 고장 부위 정보, 고장 모드 정보, 고장 원인 정보 및 점검 내역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점검 결과 정보 및 상기 설비 목록 정보에 포함된 전체 설비 정보 및 설비 대상 정보를 이용하여 복수의 설비 각각에 대한 고장 모드 및 고장 원인을 판단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비 고장 정비 방법.
  18.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설비의 고장 모드 및 고장 원인을 이용하여 설비 점검 주기를 설정하고, 상기 설비 점검 주기를 포함하는 예측 점검 계획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설비 각각에 대한 고장 모드 및 고장 원인을 이용하여 점검할 설비를 나타내는 점검 항목 정보, 상기 설비에서 점검할 부위를 나타내는 점검 부위 정보 및 상기 설비를 점검할 주기를 나타내는 상기 설비 점검 주기를 설정하는 단계;
    상기 점검 항목 정보, 상기 점검 부위 정보 및 상기 설비 점검 주기를 포함하는 점검 기준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설비 각각에 대한 점검 기준 정보를 이용하여 점검할 설비를 그룹화하여 그룹 설비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그룹 설비 정보 및 상기 점검 기준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예측 점검 계획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비 고장 정비 방법.
  19.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예방 정비 계획 정보 및 상기 예측 점검 계획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설비의 정비 작업을 설계해서 작업 요청서를 생성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예방 정비 계획 정보에 대한 정비 수행 정보를 입력받고, 상기 예측 점검 계획 정보에 대한 점검 수행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정비 수행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정비 결과 정보를 업그레이드하는 단계; 및
    상기 점검 수행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점검 결과 정보를 업그레이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비 고장 정비 방법.
  20. 제 13항, 제15항 내지 제 19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에 의하여 설비 고장 정비 시스템에서 실행 가능한 명령어들이 구현되어 설비 고장 정비 시스템에 의해 판독될 수 있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KR1020090133160A 2009-12-29 2009-12-29 설비 고장 정비 시스템 및 설비 고장 정비 방법 KR1010730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33160A KR101073092B1 (ko) 2009-12-29 2009-12-29 설비 고장 정비 시스템 및 설비 고장 정비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33160A KR101073092B1 (ko) 2009-12-29 2009-12-29 설비 고장 정비 시스템 및 설비 고장 정비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76451A KR20110076451A (ko) 2011-07-06
KR101073092B1 true KR101073092B1 (ko) 2011-10-12

Family

ID=449163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33160A KR101073092B1 (ko) 2009-12-29 2009-12-29 설비 고장 정비 시스템 및 설비 고장 정비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7309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3685B1 (ko) * 2012-10-31 2014-06-05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원자력발전소의 기능적중요도결정 기기목록을 활용한 고장설비와 정비효과성감시모듈 성능기준간 자동 연계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405567B1 (ko) * 2012-11-28 2014-06-10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원전설비 건전성과 엔지니어링프로세스 유효성 평가를 위한 관리시스템 및 방법
KR101403689B1 (ko) * 2012-10-30 2014-06-11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원자력 발전소 정기 및 주기시험에 대한 위험도 평가 시스템 및 그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1248B1 (ko) * 2012-03-27 2013-12-12 한국남동발전 주식회사 발전설비의 위험도 기반 정비 시스템
KR101399412B1 (ko) * 2012-10-31 2014-05-30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고장정보마스터수목을 이용한 설비유형별 고장분류테이블 생성 시스템
KR101378164B1 (ko) * 2013-05-16 2014-03-27 (주)피씨엠솔루션 수중 회전기기용 롤러베어링의 원격 고장 진단 장치 및 방법
KR101683256B1 (ko) * 2014-12-31 2016-12-07 주식회사 효성 전력 설비 자산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1895274B1 (ko) * 2016-02-18 2018-10-18 주식회사 로맥스인싸이트코리아 신재생 에너지 설비의 진단결과 분석방법 및 그 장치
KR102091532B1 (ko) * 2016-10-19 2020-04-23 현대일렉트릭앤에너지시스템(주) 배전반 통합관리 시스템
KR101943438B1 (ko) 2016-12-28 2019-01-29 효성중공업 주식회사 전력설비의 자산관리 방법
KR101904868B1 (ko) 2017-04-28 2018-10-10 효성중공업 주식회사 변전소의 자산 관리 방법
KR101982235B1 (ko) * 2017-07-28 2019-05-24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생존 함수 기반의 특질 추출 방법을 이용한 유사 설비 군집화 방법 및 장치
KR102061404B1 (ko) * 2018-02-06 2020-02-11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고장방지 효과를 고려한 예방정비 직무 선정 시스템, 방법 및 예방정비 직무를 선정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KR102328842B1 (ko) * 2018-05-29 2021-11-22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설비 관리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장치
KR102373563B1 (ko) * 2019-12-26 2022-03-10 네모시스 주식회사 시스템 정비 안내 장치 및 방법
KR102359033B1 (ko) * 2020-02-18 2022-02-04 목포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Lng 선박 정비 연관성을 이용한 예방 정비 모델 생성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2252740B1 (ko) * 2020-03-06 2021-05-17 세메스 주식회사 프로브 스테이션의 예측 정비 방법 및 시스템
KR102536984B1 (ko) * 2020-05-01 2023-05-25 주식회사 에이티지 발전설비용 정비전략수립을 위한 의사결정 방법 및 시스템
CN113487044B (zh) * 2021-05-14 2023-01-06 中国长江三峡集团有限公司 一种大型水力发电机组检修计划制作方法
KR102524553B1 (ko) * 2021-08-20 2023-04-24 한국전력공사 튜브 고온 손상 예방을 위한 검사 시스템 및 방법
KR20240044063A (ko) 2022-09-28 2024-04-04 안재욱 석탄 이송 컨베이어의 아이들롤러 이상작동 진단장치와 그 진단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철도전력시스템의 신뢰성공학기반 유지보수 기술개발, 한국철도기술연구원 (2007.12.)*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3689B1 (ko) * 2012-10-30 2014-06-11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원자력 발전소 정기 및 주기시험에 대한 위험도 평가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403685B1 (ko) * 2012-10-31 2014-06-05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원자력발전소의 기능적중요도결정 기기목록을 활용한 고장설비와 정비효과성감시모듈 성능기준간 자동 연계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405567B1 (ko) * 2012-11-28 2014-06-10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원전설비 건전성과 엔지니어링프로세스 유효성 평가를 위한 관리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76451A (ko) 2011-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73092B1 (ko) 설비 고장 정비 시스템 및 설비 고장 정비 방법
CN104966141B (zh) 更新用于生成工业资产健康状况简档的模型的方法和系统
US9740554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prioritizing replacement of at least one part for vehicle fault analysis
US10589764B2 (en) Determining root cause of locomotive failure
US20160093116A1 (en) Integrating Economic Considerations to Develop a Component Replacement Policy Based on a Cumulative Wear-Based Indicator for a Vehicular Component
US8065334B2 (en) Warranty insight solution framework system and method
AU2016243935A1 (en) Predictive analytic reliability tool set for detecting equipment failures
US10963797B2 (en) System for analyzing machine data
US11221903B2 (en) Maintenance management system and maintenance management confirmation device used for the same
US20220317676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automatically scheduling maintenance
KR101030812B1 (ko) 설비 고장 진단 시스템 및 설비 고장 진단 방법
US20240019086A1 (en) System for providing integrated pipeline integrity data
Phillips et al. Perspectives on the commercial development of landing gear health monitoring systems
Ochuba et al. Predictive analytics in the maintenance and reliability of satellite telecommunications infrastructure: a conceptual review of strategies and technological advancements
KR101670235B1 (ko) 원전의 결함 정보 분석 시스템 및 방법
CN112819262A (zh) 存储器、工艺管道检维修决策方法、装置和设备
US8539588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electing measure by evaluating recovery time
KR101262289B1 (ko) 고장률 분석 방법 및 고장률 분석 방법을 실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Embrey et al. A set of computer based tools identifying and preventing human error in plant operations
CN112215510A (zh) 核电厂的工作优先级生成方法、装置、设备和存储介质
US20230169367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edicting a target event associated with a machine
JP2020061073A (ja) シミュレーション装置、およびシミュレーション方法
Srinivasan et al. Predictive Maintenance & PHM in KSA Using MT EcoSystem
Pellet Are you ready for the internet of things
US11749070B2 (en) Identification of anomalies in an automatic teller machine (ATM) networ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0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2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