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61404B1 - 고장방지 효과를 고려한 예방정비 직무 선정 시스템, 방법 및 예방정비 직무를 선정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고장방지 효과를 고려한 예방정비 직무 선정 시스템, 방법 및 예방정비 직무를 선정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61404B1
KR102061404B1 KR1020180014489A KR20180014489A KR102061404B1 KR 102061404 B1 KR102061404 B1 KR 102061404B1 KR 1020180014489 A KR1020180014489 A KR 1020180014489A KR 20180014489 A KR20180014489 A KR 20180014489A KR 102061404 B1 KR102061404 B1 KR 1020614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ventive maintenance
facility
failure
maintenance
jo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44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94855A (ko
Inventor
주태영
이상대
김왕배
Original Assignee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144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61404B1/ko
Publication of KR201900948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948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14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14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1Scheduling, planning or task assignment for a person or group
    • G06Q10/063112Skill-based matching of a person or a group to a task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5Human resour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6Energy or water supply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DNUCLEAR POWER PLANT
    • G21D3/00Control of nuclear power plant
    • G21D3/04Safety arrangem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30/00Energy generation of nuclear origi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10/00Systems supporting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4S10/50Systems or methods supporting the power network operation or management, involving a certain degree of interaction with the load-side end user application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arket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lasma & Fu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Testing And Monitoring For Control Systems (AREA)
  • Monitoring And Testing Of Nuclear Reac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장방지 효과를 고려한 예방정비 직무 선정 시스템, 방법 및 프로그램에 관한 것으로, 설비의 예방정비를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직무를 우선순위에 따라 우선적으로 적용함으로써 설비에 대한 고장방지를 수행하고, 이에 따라 설비 신뢰도를 높일 수 있다.

Description

고장방지 효과를 고려한 예방정비 직무 선정 시스템, 방법 및 예방정비 직무를 선정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Preventive maintenance job selection system, method considering failure prevention effect and storing medium of program executing preventive maintenance job selection}
본 발명은 고장방지 효과를 고려한 예방정비 직무 선정 시스템, 방법 및 예방정비 직무를 선정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예방정비 직무를 선정함으로써 원자력발전소에서 수행되는 고장방지를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예방정비 직무 선정에 관한 것이다.
원자력발전소의 안정성과 신뢰성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설비에 대한 적절한 정비가 필수적이다. 이러한 설비에 대한 정비는 고장정비 및 예방정비로 구분할 수 있다.
여기서, 고장정비는 설비 및 장비에 고장이 발생한 후 규정된 상태로 회복하기 위해 수행되는 계획되지 않은 모든 정비 활동을 일컫는다. 따라서 고장정비는 고장 식별, 고장 부분의 분리와 해체, 교체 및 수리, 재조립, 점검과 보증 등의 활동을 포함한다.
또한, 예방정비는 설비의 성능을 유지하기 위해 설비의 노화 및 열화를 방지하기 위한 예비적 조치이며, 이를 위해서 윤활, 청소, 조정, 점검, 교체 등 일상의 정비활동과 함께 설비를 계획적으로 정기 점검, 정기 수리, 정기 교체하는 정비 활동을 일컫는다. 이러한 예방정비는 고장으로 인한 손실이 큰 기계나 설비에 적용되고 있다. 예방정비는 원자력발전소의 안정성과 신뢰도 확보 측면에서 필수적으로 수행되어야 할 정비활동이다.
따라서 고장 발생에 따른 원자력발전소의 안정성에 영향을 미치는 정도에 따라 설비의 중요도를 정하고, 중요 설비에 대해서는 고장 발생 이전에 예방정비를 수행함으로써 관리하며, 상대적으로 중요도가 떨어지는 설비는 고장 발생 시 고장정비를 수행하고 있는 실정이다.
종래에는 원자력발전소 설비 중 예방정비의 대상으로 선정된 중요 설비에 대해 예방정비를 수행하는 직무를 선정하는데 있어서, 예방정비를 수행하는 작업자의 정비 경험 및 설비의 고장에 관한 이력 등을 기반으로 수행하였다.
하지만 설비에 고장이 발생하는 사례는 다양하기 때문에 고장 발생에 관한 예방정비를 수행하는 직무를 제한 없이 적용하기에는 현재 보유한 정비기술, 인력 및 자재 등 가용할 수 있는 자원의 한계로 인해 실제로 적용되는 직무가 한정되어 있다.
결과적으로, 예방정비를 수행하는 직무가 효과적으로 선정될 수 있다면 제한된 자원과 기술만으로도 요구되는 수준의 설비 신뢰도를 유지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적절한 고장 방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효과로 인해 한정된 인력 및 자원에서 설비 신뢰도를 유지하기 위해 예방정비에 관한 직무 선정을 실시하는 방법은 다양하게 연구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82244호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예방정비를 수행하는 직무들을 분류하고, 분류된 직무들 중에서 예방정비를 수행하였을 시 고장방지 효과가 큰 직무들에 우선순위를 적용하여 예방정비 직무를 적용함으로써 설비에 대한 고장발생을 방지하고, 설비 신뢰도를 높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예방정비 직무 선정 시스템은 원자력발전소에서 설비에 대한 예방정비를 실시함에 있어서, 상기 설비에 대한 설비정보 및 정비정보를 수집하는 정보수집부; 상기 설비정보를 이용하여 각각의 중요도 정보를 통해 예방정비를 적용하는 대상을 선정 및 상기 예방정비를 수행하는 복수의 직무들을 분류하는 분류부; 상기 설비에 대한 고장이력을 조사하여 고장원인을 분석함으로써, 상기 설비에 대한 상기 예방정비의 방법에 따라 상기 예방정비를 실시하였을 시 발생하는 효과를 기준으로 상기 복수의 직무의 우선순위를 선정하는 분석부; 및 상기 예방정비를 수행하기 위해 선정된 상기 복수의 직무들을 상기 우선순위에 따라 최종적으로 적용하는 적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설비정보는 상기 설비의 설비유형, 설비클래스, 제작사, 모델번호, 설치위치, 운전환경 및 작동빈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비정보는 상기 설비 또는 설비유형 그룹에 상기 예방정비를 수행하는 절차에 관한 지침, 설명 및 예방정비 시 주의사항 등이 포함된 정비 절차서 및 상기 예방정비를 수행하는 주기가 포함된 규제요건을 포함할 수 있다.
또, 상기 예방정비를 미 수행할 시 발생하는 상기 설비의 고장증가 확률 및 추가로 상기 예방정비를 수행할 시 상기 설비의 설비 신뢰도가 향상하는 확률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적용부는 상기 예방정비를 미 수행할 시 상기 설비에 대한 고장확률이 50% 증가하거나 상기 설비에 대한 고장방지 효과가 High로 평가되는 직무를 1순위로 적용하고, 상기 예방정비를 미 수행할 시 상기 설비에 대한 고장확률이 25% 증가하거나 상기 예방정비를 추가로 수행할 시 상기 설비 신뢰도가 향상되는 직무를 2순위로 적용하며, 상기 예방정비를 미 수행할 시 상기 설비에 대한 고장확률이 25% 미만으로 증가하거나 상기 설비에 대한 고장방지 효과가 Low로 평가되는 직무를 3순위로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예방정비를 수행하는 직무들은 예측정비 및 성능감시를 수행하는 상태감시 직무, 주기가 지정된 정비 직무 및 AR(As Required(필요에 따른)) 직무로 분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AR 직무는 상기 상태감시 직무와 병행하여 수행되어 상기 상태감시 직무가 수행하는 상기 설비에 대한 상태감시 결과, 성능저하의 징후가 있는 경우 정비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중요도는 상기 설비의 고장이 원자로 안전 및 발전소 운전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중요(Critical) 등급, 상기 중요 등급에 포함되지는 않으나, 상기 설비의 고장이 발전소 안전성 및 신뢰도, 산업안전에 간접적인 영향을 줄 수 있는 보통(Minor) 등급 및 상기 중요 등급 및 보통 등급 이외에 고장이 나더라도 발전소 안전성, 신뢰도 및 산업안전에 직간접적 영향을 줄 수 없는 무관(No impact) 등급으로 분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예방정비 직무 선정 방법은 원자력발전소에서 설비에 대한 예방정비를 실시함에 있어서, 상기 설비에 대한 설비정보 및 정비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설비정보를 이용하여 각각의 중요도 정보를 통해 예방정비를 적용하는 대상을 선정 및 상기 예방정비를 수행하는 복수의 직무들을 분류하는 단계; 상기 설비에 대한 고장이력을 조사하여 고장원인을 분석함으로써, 상기 설비에 대한 상기 예방정비의 방법에 따라 상기 예방정비를 실시하였을 시 발생하는 효과를 기준으로 상기 복수의 직무의 우선순위를 선정하는 단계; 및 상기 예방정비를 수행하기 위해 선정된 상기 복수의 직무들을 상기 우선순위에 따라 최종적으로 적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 상기 설비정보는 상기 설비의 설비유형, 설비클래스, 제작사, 모델번호, 설치위치, 운전환경 및 작동빈도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예방정비 직무를 선정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는 원자력발전소에서 설비에 대한 예방정비를 실시함에 있어서, 상기 설비에 대한 설비정보 및 정비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설비정보를 이용하여 각각의 중요도 정보를 통해 예방정비를 적용하는 대상을 선정 및 상기 예방정비를 수행하는 복수의 직무들을 분류하며, 상기 설비에 대한 고장이력을 조사하여 고장원인을 분석함으로써, 상기 설비에 대한 상기 예방정비의 방법에 따라 상기 예방정비를 실시하였을 시 발생하는 효과를 기준으로 상기 복수의 직무의 우선순위를 선정하고, 상기 예방정비를 수행하기 위해 선정된 상기 복수의 직무들을 상기 우선순위에 따라 최종적으로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예방정비 직무 선정 시스템, 방법 및 예방정비 직무를 선정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한정된 인력 및 자원 내에서 효율적으로 예방정비를 실시할 수 있다. 종래에는 원자력발전소에서 설비의 예방정비에 대한 직무를 선정함에 있어서, 설비에 대한 정비를 실시했던 경험과 설비의 고장이력을 기반으로 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정비 경험을 기반으로 하여 예방정비에 대한 직무를 선정하는 것은 기술적 발전으로 인해 설비 유형별로 나타나는 고장유형과 고장원인에 대한 정보가 업데이트됨에 따라 효율적인 대처가 미흡한 실정이다. 이러한 고장유형과 고장원인은 시간이 지날수록 매우 다양해지고, 고장원인을 분석하여 고장방지를 위한 대처방안이 마련된다 하더라도 기술 및 자원의 한계로 인해 예방정비가 가능한 직무를 적용하는 것에 한계가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예방정비 직무 선정은 고장을 방지하기 위해 가장 효과적인 예방정비 직무를 선정하고 우선순위에 따라 이를 적용함으로써, 주어진 인력, 기술 및 자원 내에서 원자력발전소의 설비에 대해 효율적으로 고장 방지를 수행할 수 있다.
둘째, 설비 신뢰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예방정비 직무 선정은 고장유형의 사례를 통해 신규로 확인되는 고장유형에 대해서는 고장원인에 대한 분석을 반영함으로써 예방정비에 대한 직무를 선정함에 있어서 우선순위를 조정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지속적으로 고장유형 및 고장원인 분석을 업데이트하여 예방정비를 통해 설비를 관리함으로써 설비 신뢰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장방지 효과를 고려한 예방정비 직무 선정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장방지 효과를 고려한 예방정비 직무 선정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장방지 효과를 고려한 예방정비 직무 선정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설비 별로 적용하는 직무를 분류한 것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설비 별로 적용하는 직무의 우선순위를 선정하는 것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다만 발명의 요지와 무관한 일부 구성은 생략 또는 압축할 것이나, 생략된 구성이라고 하여 반드시 본 발명에서 필요가 없는 구성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예방정비 직무 선정 시스템의 구성>
도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장방지 효과를 고려한 예방정비 직무 선정 시스템, 설비 및 관리자 단말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장방지 효과를 고려한 예방정비 직무 선정 시스템(100)은 원자력발전소 내의 설치되어 있는 설비(300) 및 관리자 단말(200)과 연결되어 관리자에게 해당 설비(300)에 예방정비를 수행할 수 있는 직무들을 선정하고, 우선순위에 따라 적용시킬 수 있다.
도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장방지 효과를 고려한 예방정비 직무 선정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장방지 효과를 고려한 예방정비 직무 선정 시스템(100)은 정보수집부(110), 분류부(120), 분석부(130), 적용부(140), 저장부(150) 및 제어부(160)를 포함한다.
정보수집부(110)는 원자력발전소에서 설치되어 있는 모든 설비(300)들에 대한 설비정보를 수집하는 구성으로, 이러한 설비정보에는 해당 설비(300)의 설비유형에 대한 정보, 설비(300)를 제작한 제작사에 대한 정보, 다양한 설비(300)를 분류한 설비클래스에 대한 정보, 해당 설비(300)를 관리하기 위한 고유의 설비번호 및 모델번호, 원자력발전소 내에서 해당 설비(300)가 설치된 설치위치 및 기능위치에 대한 정보, 해당 설비(300)가 설치되어 운전하는 위치에서의 주변온도, 압력, 진동, 습도, 조사선량, 부식성 조건, 침식성 조건 등을 포함한 운전환경에 대한 정보, 해당 설비(300)가 작동 또는 운전하는 빈도, 설비 각각의 중요도 정보 및 구조유형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정비정보에는 정비 절차서 및 규제요건이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정비 절차서는 예방정비를 실시하는 설비(300) 또는 설비유형 그룹에 대하여 예방정비를 수행하는 절차에 관한 지침, 설명 및 예방정비 시 주의사항 등이 포함될 수 있고, 규제요건에는 예방정비를 수행하는 주기가 포함될 수 있다.
분류부(120)는 설비(300)에 대한 예방정비를 수행할 수 있는 직무들을 분류하는 구성으로, 수집된 설비정보로부터 중요도를 활용함으로써 예방정비를 수행해야 하는 설비(300)들을 선정하고, 해당 설비(300)들에 예방정비를 수행할 수 있는 직무들을 1차적으로 분류한다. 이러한 분류는 설비유형, 운전환경 및 작동빈도에 대한 정보를 활용하여 실시될 수 있다.
분석부(130)는 설비유형 또는 각각의 설비(300) 별로 고장이력을 조사하여 고장원인을 분석하는 구성으로, 해당 고장원인을 사전에 해결할 수 있도록 정비 절차서를 참고하여 예방정비를 수행하는 방법에 따라 해당 설비(300)에 예방정비를 수행하였을 시 발생하는 고장방지 효과를 기준으로 함으로써, 예방정비를 수행하는 직무의 우선순위를 선정한다.
적용부(140)는 설비(300)에 대하여 예방정비를 수행하는 직무를 최종적으로 적용하는 구성으로, 분류부(120)에서 설비(300)에 대해 예방정비를 수행하는 직무들을 분류한 결과와 정비 절차서 및 규제요건을 활용하여 분석부(130)에서 예방정비를 수행하는 직무의 우선순위를 최종적으로 적용한다.
저장부(150)는 원자력발전소에서 설치되어 있는 설비(300)에 대한 설비정보, 해당 설비(300)에 대해 예방정비를 미 수행하였을 시 해당 설비(300)의 고장증가 확률 및 추가 수행 시 설비 신뢰도가 향상하는 확률 등의 정보가 저장되어 있다.
제어부(160)는 우선순위를 선정하여 예방정비를 실시해야 하는 직무들을 적용하는 것을 제어하는 구성으로, 정보수집부(110)에서 설비(300)에 대한 설비정보 및 정비정보를 수집하는 것과, 분류부(120)에서 설비(300)에 대한 예방정비를 수행할 수 있는 직무들을 분류하는 구성으로, 수집된 설비정보로부터 중요도를 활용함으로써 예방정비를 수행해야 하는 설비(300)들을 선정하고, 해당 설비(300)들에 예방정비를 수행할 수 있는 직무들을 1차적으로 분류하는 것과, 분석부(130)에서 정비 절차서를 참고하여 예방정비를 수행하는 방법에 따라 해당 설비(300)에 예방정비를 수행하였을 시 발생하는 고장방지 효과를 기준으로 함으로써 예방정비를 수행하는 직무의 우선순위를 선정하는 것과, 적용부(140)에서 설비(300)에 대해 예방정비를 수행하는 직무들을 분류한 결과와 정비 절차서 및 규제요건을 활용하여 분석부(130)에서 예방정비를 수행하는 직무의 우선순위를 최종적으로 적용하는 것을 제어한다.
<예방정비 직무 선정 방법>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고하여 예방정비 직무를 선정하는 방법에 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장방지 효과를 고려한 예방정비 직무 선정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장방지 효과를 고려한 예방정비 직무 선정 방법은 최초에 정보수집부(110)가 설비(300)에 대한 설비정보, 정비정보를 수집한다.<S30>
이러한 설비정보에는 해당 설비(300)의 설비유형에 대한 정보, 설비(300)를 제작한 제작사에 대한 정보, 다양한 설비(300)를 분류한 설비클래스, 해당 설비(300)를 관리하기 위한 고유의 설비번호 및 모델번호, 원자력발전소 내에서 해당 설비(300)가 설치된 설치위치 및 기능위치에 대한 정보, 해당 설비(300)가 설치되어 운전하는 위치에서의 주변온도, 압력, 진동, 습도, 조사선량, 부식성 조건, 침식성 조건 등을 포함한 운전환경에 대한 정보, 해당 설비(300)가 작동 또는 운전하는 빈도, 설비 각각의 중요도 정보 및 구조유형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정비정보에는 정비 절차서 및 규제요건이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정비 절차서는 예방정비를 실시하는 설비(300) 또는 설비유형 그룹에 대하여 예방정비를 수행하는 절차에 관한 지침, 설명 및 예방정비 시 주의사항 등이 포함될 수 있고, 규제요건에는 예방정비를 수행하는 주기가 포함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설비(300)에 대한 설비정보, 정비정보는 정보수집부(110)가 각각의 설비(300)에서 수집할 수도 있고, 저장부(150)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를 수집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분류부(120)가 설비정보를 이용하여 각각의 중요도 정보를 통해 예방정비를 수행하는 설비를 선정 및 예방정비를 수행하는 복수의 직무들을 분류한다.<S31> 이를 도4를 참고하여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설비(300) 별로 적용하는 직무를 분류한 것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비정보에서 기능위치는 원자력발전소 내에서 기능을 수행하는 연관관계를 표시한 것으로, 발전소 하위 단계에 계통이 포함되고, 계통 하위 단계에는 주요설비가 포함되며, 주요설비 하위 단계에는 보조설비가 포함되는 구조이다. 분류부(120)는 이러한 기능위치를 코드로 부여하여 표시함으로써, 작업자 및 원자력발전소 관리자가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설비정보에서 설비번호는 원자력발전소에서 해당 설비(300)를 관리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번호를 부여한 관리번호를 일컫는다.
아울러, 설비클래스는 원자력발전소 내의 다양한 설비(300)들을 그룹화 하고, 세부 분류인 대분류, 중분류 및 소분류로 나눠 설비유형을 분류하고, 각 설비유형에 코드를 부여한 항목이다.
또, 주기전략은 중요도, 운전환경, 작동빈도(또는 운전빈도)를 포함하여 해당 설비(300)를 어느 정도의 주기로 예방정비 해야 할 지를 대략적으로 표시하는 항목이다. 이러한 주기전략을 결정하는 방법은 예방정비 기준을 운영함에 있어서 원자력발전소 설비관리에 대한 우선순위를 결정하고, 이에 따라 효율적인 예방정비를 실시하기 위하여 중요도, 운전빈도 및 운전환경을 조합하여 결정한다.
구체적으로, 중요도는 중요(Critical) 등급, 보통(Minor) 등급, 무관(No impact) 등급으로 분류할 수 있다.
여기서, 중요 등급은 설비(300)의 고장이 원자로 안전 및 원자력발전소 운전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설비(300)의 등급인 것으로 분류될 수 있다.
또한, 보통 등급은 중요 등급에는 포함되지 않으나 설비(300)의 고장이 원자력발전소의 안정성, 신뢰도 및 산업안전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설비(300)의 등급인 것으로 분류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무관 등급은 중요 등급 및 보통 등급 이외의 등급으로써, 설비(300)에 고장이 발생하더라도 원자력발전소의 안정성, 신뢰도 및 산업안전에 직접적 또는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 설비(300)인 것으로 분류될 수 있다.
다음으로, 작동빈도 또는 운전빈도는 높음(High) 등급 및 낮음(Low) 등급으로 분류할 수 있다. 이러한 작동빈도는 해당 설비(300)가 지속운전, 주 2회 이상 작동, 빈번하게 조절 또는 지속적으로 가압되는 경우일 시 높음 등급으로 분류할 수 있다.
아울러, 작동빈도는 해당 설비(300)가 해당 설비(300)가 간헐적 운전, 주 2회 미만 작동, 간헐적으로 조절 또는 간헐적으로 가압되는 경우일 시 낮음 등급으로 분류할 수 있다.
다음으로, 운전환경은 심함(Severe) 등급 및 약함(mild) 등급으로 분류할 수 있다. 이러한 운전환경은 주변온도가 섭씨 49℃ 이상, 압력 70kg/cm2 이상 또는 고진동, 고습도, 조사선량 1R/h 이상 및 부식성 조건 또는 침식성 조건에 해당되는 경우 심함 등급으로 분류할 수 있다.
아울러, 운전환경은 주변온도가 섭씨 49℃ 미만, 압력 70kg/cm2 미만 또는 저진동, 저습도, 조사선량 1R/h 미만 및 부식성 조건 또는 침식성 조건이 아닌 경우에 해당될 시 약함 등급으로 분류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중요도, 작동빈도 및 운전환경 등급의 첫 자를 조합하면, CHS는 중요도가 중요 등급인 Critical이고, 작동빈도는 높음 등급인 High이며, 운전환경은 심함 등급인 Severe이고, MHS는 중요도가 보통 등급인 Minor이고, 작동빈도는 높음 등급인 High이며, 운전환경은 심함 등급인 Severe로 표시될 수 있다.
이처럼 주기전략은 CHS, MHS를 비롯하여 CLS, CHM, CLM, MHS, MLS, MHM, MLM까지 8가지로 분류할 수 있다.
한편, 위와 같은 중요도, 작동빈도 및 운전환경에 대한 등급을 분류하는 구체적인 기준은 하나의 예시일 뿐, 원자력발전소 별로 각 설비에 적용하는 기준은 서로 상이할 수 있음을 밝혀둔다.
또한, 제작사는 해당 설비(300)를 제작한 업체를 표시한 항목이다.
아울러, 모델번호는 해당 설비(300)를 제작할 시 제작사가 설비(300)들을 구분하기 위해 부여한 일련번호를 표시한 항목이다.
또, 구조유형은 다양한 설비(300)들의 구조에 대해 번호를 부여하여 해당 설비(300)의 구조형태를 용이하게 파악하기 위한 항목이다.
예방정비기준에서는 예방정비가 실시되는 간단한 기준을 표시한 항목으로써, 예방정비를 수행하는 표준직무명이 표시될 수 있고, 예방정비를 실시하는 주기가 표시될 수 있다.
여기서, 표준직무명은 해당 설비(300)에 대해 예방정비를 수행하는 다양한 직무를 표시한 부분이다. 직무의 종류에는 설비(300)의 상태를 감시하는 직무, 주기를 지정하여 주기적으로 예방정비를 수행하는 직무, 필요에 따라 예방정비를 수행하는 AR(As required) 직무로 카테고리를 분류할 수 있고, 각각의 카테고리에는 구체적인 직무명이 나열될 수 있다.
또한, 주기는 해당 설비(300)에 대해 예방정비를 수행하는 다양한 직무의 예방정비 주기를 표시한다. 이러한 주기는 설비(300)의 상태에서 필요에 따라 예방정비를 수행할 수도 있고, 월 단위 또는 연 단위로 주기가 지정되어 예방정비를 수행할 수도 있다.
현행 예방정비에서는 현재 상태에서 예방정비 시 적용되는 다양한 항목을 나타낸 부분이다. 이러한 현행 예방정비에서는 예방정비를 선택하였는지의 여부, 예방정비를 실시하는 구체적인 직무명, 예방정비 주기, 직무리스트 및 유지보수품목이 포함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적용여부는 현재 또는 이전에 예방정비가 적용되었는지를 표시하는 항목이다.
이처럼 도4에 도시된 예방정비 직무 분류는 파일로 생성되어 원자력발전소의 관리자가 사용하는 관리자 단말(200)의 디스플레이에 도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분류부(120)에서 예방정비를 수행하는 직무를 분류한 후에는, 분석부(130)에서 설비(300)에 대한 고장이력을 조사하여 고장원인을 분석함으로써, 설비(300)에 대한 예방정비를 실시하였을 시 발생하는 효과를 기준으로 분류된 직무의 우선순위를 선정한다.<S32> 먼저 분석부(130)에서 설비(300)에 대한 고장이력을 조사할 시 분석부(130)는 해당 설비(300)에서 고장사례에 대한 분포를 조사할 수도 있고, 저장부(150)에 저장되어 있는 해당 설비(300)의 고장사례에 대한 분포를 조사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분석부(130)는 설비(300)의 고장이 발생하는 원인들을 분석하여 고장을 발생시키는 원인을 순차적으로 분류할 수 있다.
이후 해당 설비(300)의 정비 절차서를 참고하여 각각의 고장원인에 따라 해당 고장원인을 해소할 수 있는 예방정비 방법을 고장원인과 매칭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고장원인과 예방정비 방법을 매칭시킨 후에는 작업자가 예방정비를 수행하였을 시 발생하는 고장방지 효과를 기준으로 예방정비를 수행하는 직무의 우선순위를 선정한다.
구체적으로, 분류부(120)에서 예방정비 기준에 제시된 각각의 직무 중에는 예방정비를 수행하였을 시 설비(300)의 고장방지 및 설비 신뢰도를 향상시키는 효과가 다르게 발생한다. 따라서 저장부(150)에는 예방정비를 미 수행할 시 발생하는 고장증가 확률과 추가로 예방정비를 수행할 시 설비 신뢰도가 향상되는 확률이 저장되어 있다.
결과적으로, 분석부(130)는 예방정비를 미 수행할 시 고장확률이 50% 증가하거나 고장방지 효과가 High로 평가되는 직무를 1순위로 우선순위를 선정하고, 예방정비를 미 수행할 시 고장확률이 25% 증가하는 직무와 추가로 예방정비를 수행할 시 설비 신뢰도가 향상될 수 있는 직무를 2순위로 우선순위를 선정하며, 예방정비를 미 수행할 시 고장확률이 25% 미만으로 증가하거나 고장방지 효과가 Low로 평가되는 직무를 3순위로 우선순위를 선정한다.
이렇게 예방정비를 수행하는 직무의 우선순위를 선정한 후에는 이에 대한 결과를 원자력발전소의 관리자가 사용하는 관리자 단말(200)에 도시할 수 있다. 이를 도5를 참고하여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설비(300) 별로 적용하는 직무의 우선순위를 선정하는 것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석부(130)에서는 예방정비를 수행하는 설비유형 코드를 표시하고, 내역 항목에는 구체적으로 예방정비를 수행하는 설비(300)에 대해 표시를 하며, 표준직무리스트에는 해당 설비(300)에 대해 예방정비를 수행할 수 있는 직무를 나열하고, 고장방지 효과 항목에는 표준직무리스트에서 나열된 직무에 대해 미 수행 시 고장확률 50% 증가, 추가 수행 시 설비 신뢰도 향상, High, Low로 표시될 수 있고, 대체직무 항목에는 표준직무리스트에 나열된 직무를 수행할 수 없는 경우 유사한 효과를 가진 다른 직무로 대체하여 해당 설비(300)에 대한 예방정비를 수행할 수 있는 직무를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AR(As required)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필요에 따라 수행되는 예방정비를 의미한다. 이러한 AR 직무는 상태감시 직무와 병행하여 수행되어 상태감시 직무가 수행하는 설비(300)에 대한 상태감시 결과 성능저하의 징후가 있는 경우 정비를 수행한다.
마지막으로, 적용부(140)가 예방정비를 수행하기 위해 선정된 복수의 직무들을 우선순위에 따라 최종적으로 적용한다.<S33> 이렇게 최종적으로 직무를 적용하는 것은 정비 절차서 및 규제요건을 참고하여 직무를 조정하는 단계를 거쳐 실시된다.
구체적으로, 특정 설비(300)에 대해 예방정비를 실시할 시 최초에 1순위 직무, 2순위 직무 및 3순위 직무를 모두 적용할 수 있는 상황이라면, 이를 모두 적용하여 고장예방 효과를 충분히 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1순위 직무를 수행하는 것으로 고장예방 효과가 충분하지 않아 설비(300)의 고장빈도가 예상 또는 목표보다 증가하게 되는 경우, 2순위 또는 3순위 직무를 추가로 적용하여 설비(300)에 대한 예방정비를 수행함으로써, 설비(300)의 고장빈도 확률을 감소시키고, 설비 신뢰도를 확보하는 것이다.
반면, 먼저 1순위로 선정된 직무가 적용되어 예방정비를 수행해야 하지만, 예방정비를 수행하는 해당 작업자들이 다른 작업을 수행함으로써 예방정비를 수행하는 인력이 부족한 상황을 비롯해 예방정비를 수행하는데 있어서 다양한 제약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예방정비를 수행하는 직무 중 1순위로 선정된 직무에서 예방정비를 수행하지 못할 경우에는 2순위 또는 3순위로 선정된 직무로 예방정비를 수행하는 작업이 조정하게 되고, 이에 따라 원자력발전소의 관리자는 해당 직무를 수행하는 작업자들에게 오더를 전달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일련의 과정으로 인해, 본 발명에서는 한정된 인력 및 자원 내에서 특정 설비(300)에 예방정비를 수행할 수 있는 직무들을 분류하고, 분류된 직무들 중에서 예방정비로 인한 발생효과가 가장 현저한 직무들을 우선순위로 선정함으로써, 원자력발전소 내에 설치된 설비(300)의 예방정비를 효율적으로 실시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예방정비 직무 선정은 설비(300)에 고장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가장 효과적인 예방정비 직무를 분류하여 우선순위에 따라 해당 직무들을 적용함으로써, 주어진 기술 및 자원 내에서 원자력발전소의 설비(300)에 대해 효율적으로 고장 방지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설비 신뢰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예방정비 직무 선정은 고장유형의 사례를 통해 신규로 확인되는 고장유형에 대해서는 고장원인에 대한 분석을 반영하여 예방정비에 대한 직무를 선정함에 있어서 우선순위를 조정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지속적으로 고장유형 및 고장원인 분석을 업데이트하여 예방정비를 통해 설비(300)를 관리함으로써 설비 신뢰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해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본 발명의 특허청구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100 : 예방정비 직무 선정 시스템
110 : 정보수집부
120 : 분류부
130 : 분석부
140 : 적용부
150 : 저장부
160 : 제어부
200 : 관리자 단말
300 : 설비

Claims (10)

  1. 원자력발전소에서 설비에 대한 예방정비 직무 선정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설비에 대한 설비정보 및 정비정보를 수집하는 정보수집부;
    상기 설비정보를 이용하여 각각의 중요도 정보를 통해 예방정비를 적용하는 대상을 선정 및 상기 예방정비를 수행하는 복수의 직무들을 분류하는 분류부;
    상기 설비에 대한 고장이력을 조사하여 고장원인을 분석함으로써, 상기 설비에 대한 상기 예방정비의 방법에 따라 상기 예방정비를 실시하였을 시 발생하는 효과를 기준으로 상기 복수의 직무의 우선순위를 선정하는 분석부; 및
    상기 예방정비를 수행하기 위해 선정된 상기 복수의 직무들을 상기 우선순위에 따라 최종적으로 적용하는 적용부;를 포함하되,
    상기 예방정비를 미 수행할 시 발생하는 상기 설비의 고장증가 확률 및 추가로 상기 예방정비를 수행할 시 상기 설비의 설비 신뢰도가 향상하는 확률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적용부는 상기 예방정비를 미 수행할 시 상기 설비에 대한 고장확률이 50% 증가하거나 상기 설비에 대한 고장방지 효과가 High로 평가되는 직무를 1순위로 적용하고, 상기 예방정비를 미 수행할 시 상기 설비에 대한 고장확률이 25% 증가하거나 상기 예방정비를 추가로 수행할 시 상기 설비 신뢰도가 향상되는 직무를 2순위로 적용하며, 상기 예방정비를 미 수행할 시 상기 설비에 대한 고장확률이 25% 미만으로 증가하거나 상기 설비에 대한 고장방지 효과가 Low로 평가되는 직무를 3순위로 적용하고,
    상기 1순위, 상기 2순위 및 상기 3순위로 평가된 직무는 예방정비를 수행하는 상황에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을 적용하며,
    상기 예방정비를 수행하는 직무들은 예측정비 및 성능감시를 수행하는 상태 감시 직무, 주기가 지정된 정비 직무 및 AR(As Required(필요에 따른)) 직무로 분류하고,
    상기 AR 직무는 상기 상태감시 직무와 병행하여 수행되어 상기 상태감시 직무가 수행하는 상기 설비에 대한 상태감시 결과, 성능저하의 징후가 있는 경우 정비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장방지 효과를 고려한 예방정비 직무 선정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설비정보는 상기 설비의 설비유형, 설비클래스, 제작사, 모델번호, 설치위치, 중요도, 운전환경 및 작동빈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장방지 효과를 고려한 예방정비 직무 선정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비정보는 상기 설비 또는 설비유형 그룹에 상기 예방정비를 수행하는 절차에 관한 지침, 설명 및 예방정비 시 주의사항이 포함된 정비 절차서 및
    상기 예방정비를 수행하는 주기가 포함된 규제요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장방지 효과를 고려한 예방정비 직무 선정 시스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요도는 상기 설비의 고장이 원자로 안전 및 발전소 운전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중요(Critical) 등급,
    상기 중요 등급에 포함되지는 않으나, 상기 설비의 고장이 발전소 안전성 및 신뢰도, 산업안전에 간접적인 영향을 줄 수 있는 보통(Minor) 등급 및
    상기 중요 등급 및 보통 등급 이외에 고장이 나더라도 발전소 안전성, 신뢰도 및 산업안전에 직간접적 영향을 줄 수 없는 무관(No impact) 등급으로 분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장방지 효과를 고려한 예방정비 직무 선정 시스템.
  9. 원자력발전소에서 설비에 대한 예방정비 직무 선정 방법에 있어서,
    정보수집부가 상기 설비에 대한 설비정보 및 정비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분류부가 상기 설비정보를 이용하여 각각의 중요도 정보를 통해 예방정비를 적용하는 대상을 선정 및 상기 예방정비를 수행하는 복수의 직무들을 분류하는 단계;
    분석부가 상기 설비에 대한 고장이력을 조사하여 고장원인을 분석함으로써, 상기 설비에 대한 상기 예방정비의 방법에 따라 상기 예방정비를 실시하였을 시 발생하는 효과를 기준으로 상기 복수의 직무의 우선순위를 선정하는 단계; 및
    적용부가 상기 예방정비를 수행하기 위해 선정된 상기 복수의 직무들을 상기 우선순위에 따라 최종적으로 적용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예방정비를 미 수행할 시 발생하는 상기 설비의 고장증가 확률 및 추가로 상기 예방정비를 수행할 시 상기 설비의 설비 신뢰도가 향상하는 확률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적용부는 상기 예방정비를 미 수행할 시 상기 설비에 대한 고장확률이 50% 증가하거나 상기 설비에 대한 고장방지 효과가 High로 평가되는 직무를 1순위로 적용하고, 상기 예방정비를 미 수행할 시 상기 설비에 대한 고장확률이 25% 증가하거나 상기 예방정비를 추가로 수행할 시 상기 설비 신뢰도가 향상되는 직무를 2순위로 적용하며, 상기 예방정비를 미 수행할 시 상기 설비에 대한 고장확률이 25% 미만으로 증가하거나 상기 설비에 대한 고장방지 효과가 Low로 평가되는 직무를 3순위로 적용하고,
    상기 1순위, 상기 2순위 및 상기 3순위로 평가된 직무는 예방정비를 수행하는 상황에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을 적용하며,
    상기 예방정비를 수행하는 직무들은 예측정비 및 성능감시를 수행하는 상태 감시 직무, 주기가 지정된 정비 직무 및 AR(As Required(필요에 따른)) 직무로 분류하고,
    상기 AR 직무는 상기 상태감시 직무와 병행하여 수행되어 상기 상태감시 직무가 수행하는 상기 설비에 대한 상태감시 결과, 성능저하의 징후가 있는 경우 정비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장방지 효과를 고려한 예방정비 직무 선정 방법.
  10. 원자력발전소에서 예방정비 직무 선정 시스템에 의해 실행될 때 설비에 대한 예방정비 직무 선정 방법을 수행하게 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로써,
    정보수집부가 상기 설비에 대한 설비정보 및 정비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분류부가 상기 설비정보를 이용하여 각각의 중요도 정보를 통해 예방정비를 적용하는 대상을 선정 및 상기 예방정비를 수행하는 복수의 직무들을 분류하는 단계;
    분석부가 상기 설비에 대한 고장이력을 조사하여 고장원인을 분석함으로써, 상기 설비에 대한 상기 예방정비의 방법에 따라 상기 예방정비를 실시하였을 시 발생하는 효과를 기준으로 상기 복수의 직무의 우선순위를 선정하는 단계; 및
    적용부가 상기 예방정비를 수행하기 위해 선정된 상기 복수의 직무들을 상기 우선순위에 따라 최종적으로 적용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예방정비를 미 수행할 시 발생하는 상기 설비의 고장증가 확률 및 추가로 상기 예방정비를 수행할 시 상기 설비의 설비 신뢰도가 향상하는 확률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적용부는 상기 예방정비를 미 수행할 시 상기 설비에 대한 고장확률이 50% 증가하거나 상기 설비에 대한 고장방지 효과가 High로 평가되는 직무를 1순위로 적용하고, 상기 예방정비를 미 수행할 시 상기 설비에 대한 고장확률이 25% 증가하거나 상기 예방정비를 추가로 수행할 시 상기 설비 신뢰도가 향상되는 직무를 2순위로 적용하며, 상기 예방정비를 미 수행할 시 상기 설비에 대한 고장확률이 25% 미만으로 증가하거나 상기 설비에 대한 고장방지 효과가 Low로 평가되는 직무를 3순위로 적용하고,
    상기 1순위, 상기 2순위 및 상기 3순위로 평가된 직무는 예방정비를 수행하는 상황에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을 적용하며,
    상기 예방정비를 수행하는 직무들은 예측정비 및 성능감시를 수행하는 상태 감시 직무, 주기가 지정된 정비 직무 및 AR(As Required(필요에 따른)) 직무로 분류하고,
    상기 AR 직무는 상기 상태감시 직무와 병행하여 수행되어 상기 상태감시 직무가 수행하는 상기 설비에 대한 상태감시 결과, 성능저하의 징후가 있는 경우 정비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장방지 효과를 고려한 예방정비 직무 선정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1020180014489A 2018-02-06 2018-02-06 고장방지 효과를 고려한 예방정비 직무 선정 시스템, 방법 및 예방정비 직무를 선정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KR1020614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4489A KR102061404B1 (ko) 2018-02-06 2018-02-06 고장방지 효과를 고려한 예방정비 직무 선정 시스템, 방법 및 예방정비 직무를 선정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4489A KR102061404B1 (ko) 2018-02-06 2018-02-06 고장방지 효과를 고려한 예방정비 직무 선정 시스템, 방법 및 예방정비 직무를 선정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4855A KR20190094855A (ko) 2019-08-14
KR102061404B1 true KR102061404B1 (ko) 2020-02-11

Family

ID=676219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4489A KR102061404B1 (ko) 2018-02-06 2018-02-06 고장방지 효과를 고려한 예방정비 직무 선정 시스템, 방법 및 예방정비 직무를 선정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6140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627584B (zh) * 2020-04-30 2023-11-24 中国核电工程有限公司 一种核电厂征兆导向功能恢复事故导则确认工况选取方法
CN112465353A (zh) * 2020-11-27 2021-03-09 华能华家岭风力发电有限公司 一种丘陵风电场维检任务智能调度方法
KR102500136B1 (ko) * 2022-08-31 2023-02-17 (주)원프랜트 원자력 발전소 유지보수 관리 장치 및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52311A (ja) * 2005-03-11 2006-09-21 Toshiba Corp 設備保全計画支援システムおよびその支援方法
KR101010717B1 (ko) * 2009-11-10 2011-01-24 한국동서발전(주) 상태기반 발전소 운전 및 정비 관리 시스템
KR101282244B1 (ko) * 2012-02-13 2013-07-10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원자력발전소 설비의 예방/고장 정비정보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3092B1 (ko) * 2009-12-29 2011-10-12 한국남동발전 주식회사 설비 고장 정비 시스템 및 설비 고장 정비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52311A (ja) * 2005-03-11 2006-09-21 Toshiba Corp 設備保全計画支援システムおよびその支援方法
KR101010717B1 (ko) * 2009-11-10 2011-01-24 한국동서발전(주) 상태기반 발전소 운전 및 정비 관리 시스템
KR101282244B1 (ko) * 2012-02-13 2013-07-10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원자력발전소 설비의 예방/고장 정비정보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4855A (ko) 2019-08-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61404B1 (ko) 고장방지 효과를 고려한 예방정비 직무 선정 시스템, 방법 및 예방정비 직무를 선정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CN111080140A (zh) 工控设备维修调度系统及方法
JP4550632B2 (ja) 設備保全計画支援システムおよびその支援方法
US20040193467A1 (en) Statistical analysis and control of preventive maintenance procedures
US8583405B2 (en) Contingency analysis information for utility service network
JP6678222B2 (ja) 設備管理システム及び設備管理方法
JP2019116377A (ja) 昇降機故障診断システム
KR20140038265A (ko) 고장관리장치 및 이의 고장관리방법
KR101171274B1 (ko) 전사적 자원관리시스템과의 연계를 통해 원전 계획예방정비를 위한 리스크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JP6530252B2 (ja) リソース管理システム、及びリソース管理方法
Rukijkanpanich et al. Enhancing performance of maintenance in solar power plant
US7212876B2 (en) Maintenance opportunity planning system and method
JP5746565B2 (ja) 保守管理システム、作業優先順位算出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Setiawan et al. Maintenance system design on air jet loom (AJL) machine using reliability centered maintenance (RCM) method
EP2712391B1 (en) Automated root cause analysis
JPH04344967A (ja) 機器保全管理最適化の支援装置
JP2010272023A (ja) プラント保全装置およびプラント保全方法
Bluvband et al. Knowledge base approach to integrated FMEA
JP2007265112A (ja) 保全支援方法及びその装置
EP3985467A1 (de) Überwachung eines stromrichters
JP6733004B1 (ja) 設備機器・部品の故障評価装置及び故障評価方法
Di Dio et al. A framework for the choice of the opportunistic maintenance policy in industrial contexts
Elbadawi et al. Application of Failure Mode Effect and Criticality Analysis (FMECA) to a Computer Integrated Manufacturing (CIM) Conveyor Belt.
JPH02208597A (ja) プラントの総合予防保全システム
US20240095853A1 (en) System and method for supplier risk prediction and interactive risk mitigation in automotive manufactur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