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76198A - 제철설비 점검 단말기, 제철설비 점검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제철설비 점검 방법 - Google Patents

제철설비 점검 단말기, 제철설비 점검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제철설비 점검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76198A
KR20110076198A KR1020090132839A KR20090132839A KR20110076198A KR 20110076198 A KR20110076198 A KR 20110076198A KR 1020090132839 A KR1020090132839 A KR 1020090132839A KR 20090132839 A KR20090132839 A KR 20090132839A KR 20110076198 A KR20110076198 A KR 201100761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pection
facility
equipment
management server
identification nu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328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형진
이종오
김계홍
박해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0901328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76198A/ko
Publication of KR201100761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7619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effecting co-operative working between equipments covered by two or more of main groups G06K1/00 - G06K15/00, e.g. automatic card files incorporating conveying and reading oper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Factory Administr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대형이고 접근이 용이하지 않은 제철소 설비의 점검에 사용하는 제철설비 점검 단말기, 제철설비 점검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제철설비 점검 방법을 개시한다. 개시된 제철설비 점검 시스템은, 제철설비에 부착되어 설비식별번호를 저장하는 태그 및 설비식별번호를 기반으로 설비이력정보, 점검작업목록, 점검지침을 저장 및 관리하는 관리서버와 연동하여 제철설비를 점검하는 이동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제철 설비에 부착된 상기 태그의 설비식별번호를 리드하기 위한 태그 리더와, 설비 점검에 사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장비를 포함하는 점검장비모듈과, 이미지 데이타를 화면으로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와, 버튼 조작에 따른 신호를 발생시키는 키입력부와, 상기 키입력부로부터의 신호에 따라서 상기 태그 리더, 상기 점검장비모듈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동작을 제어하며 상기 태그 리더를 통해 리드한 설비식별번호가 상기 관리서버로 전송되도록 하고 이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관리서버로부터 설비이력정보, 점검작업목록 및 점검지침이 수신되면 상기 수신한 설비이력정보, 점검작업목록 및 점검지침이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도록 하고 작업자가 상기 설비 점검장비모듈들을 사용하여 상기 해당 설비를 점검하여 획득되는 설비점검결과가 상기 관리서버로 전송하도록 컨트롤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제철설비 점검 단말기, 제철설비 점검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제철설비 점검 방법{INSPECTION TERMINAL OF IRONWORKS INSTALLMENT, INSPECTION SYSTEM OF IRONWORKS INSTALLMENT AND INSPECTION METHOD USING THE SYSTEM}
본 발명은 제철설비의 점검, 특히 제철소와 같이 대형이고 접근이 용이하지 않은 제철 설비를 사용할 수 있는 제철설비 점검 단말기, 제철설비 점검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제철설비 점검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제철설비의 점검에 사용되는 장비의 휴대성 및 점검 작업의 편리성을 향상시킴과 아울러 설비점검작업 및 설비이력정보를 통합적이고, 체계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제철설비 점검 단말기, 제철설비 점검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제철설비 점검방법에 관한 것이다.
제철소와 같이 대형이고 구동동력이 높은 공장 내의 제철설비들이 고장 없이 운전되기 위해서는 설비 상태를 점검하여 이상 상태가 발생할 경우에는 그 심각 정도에 따라 경보를 예지하고, 이상시 원인추적과 상황 재현을 통해 상세 분석을 하고 설비 특성별 정밀진단을 행하여 이를 교정함으로써 설비 가동률과 제품의 질을 최적화시킬 필요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제철설비 점검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제철설비 점검 과정은, 작업자가 컴퓨터에 저장되어있거나 기타 다른 방법으로 보존된 설비점검목록 등으로부터 문서를 프린트(print)하여 체크 시트(sheet) 등을 만들고, 체크 시트와 함께 제철설비의 점검에 필요한 여러 가지 장비들을 휴대하고 공장으로 이동해 제철설비들을 점검하고, 그 결과를 체크 시트 등에 손으로 기록한 다음, 사무실로 돌아와서 체크 시트 등에 기록된 데이타를 컴퓨터 또는 문서대장에 입력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은 작업자가 점검작업에 필요한 여러 개의 장비들을 가지고 다녀야 하므로 휴대성이 떨어지고 장비를 분실할 위험이 큰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설비점검항목에 따라 필요한 장비를 바꿔가면서 설비 상태를 확인하므로, 장비를 교체하는 과정, 즉 이전에 사용한 장비를 보관하고 이후 사용할 장비를 찾아 교환해야하는 과정을 수차례 반복해야 하므로, 작업자의 시간과 노력이 많이 소모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작업자가 점검 결과를 손으로 일일이 체크 시트 등에 기록하고 사무실로 돌아와서 체크 시트에 기록된 데이타를 컴퓨터 또는 문서 대장 등에 다시 옮겨야 하므로, 점검 결과를 기록하는데 작업자의 시간과 노력이 많이 소모될 뿐만 아니라, 체크 시트 등에 기록된 데이타를 컴퓨터 또는 문서 대장 등에 입력하는 과정에서 작업자의 실수에 의한 데이타 입력 오류가 빈번히 발생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개인차에 의해 설비점검방법이 달라질 수 있고 표준화가 어려우며 작업자의 숙련도에 따라 설비점검결과가 달라질 수 있으며, 설비이력정보가 개인 또는 개별 조직을 중심으로 관리되는 경향이 있으므로 설비이력정보의 활용도가 떨어지는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특히 제철소와 같은 대형장비를 사용하고 사용 동력이 높은 설비의 점검에 사용되는 장비의 휴대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설비 점검시 여러 가지 장비를 사용함으로 인한 노력과 시간을 줄일 수 있는 제철설비 점검 단말기, 제철 설비 점검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제철설비 점검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점검 결과를 일일이 수기 또는 별도의 과정을 통해 기록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줄일 수 있고, 점검 데이타를 컴퓨터 등에 옮기는 과정에서 발생 되는 데이타 입력 오류를 방지할 수 있는 제철설비 점검 단말기, 제철 설비 점검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제철설비 점검 방법을 제공함에, 다른 목적 있다.
본 발명은, 설비점검작업의 신뢰성 및 설비이력정보의 활용도를 높일 수 있는 제철설비 점검 단말기, 제철 설비 점검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제철설비 점검 방법을 제공함에,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른 제철설비 점검 단말기는, 제철설비에 부착되어 설비식별번호를 저장하는 태그 및 설비식별번호를 기반으로 설비이력정보, 점검작업목록, 점검지침을 저장 및 관리하는 관리서버와 연동하여 제철설비를 점검하는 이동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제철 설비에 부착된 상기 태그의 설비식별번호를 리드하기 위한 태그 리더와, 설비 점검에 사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장비를 포함하는 점검 장비모듈과, 이미지 데이타를 화면으로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와, 버튼 조작에 따른 신호를 발생시키는 키입력부와, 상기 키입력부로부터의 신호에 따라서 상기 태그 리더, 상기 점검장비모듈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동작을 제어하며 상기 태그 리더를 통해 리드한 설비식별번호가 상기 관리서버로 전송되도록 하고 이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관리서버로부터 설비이력정보, 점검작업목록 및 점검지침이 수신되면 상기 수신한 설비이력정보, 점검작업목록 및 점검지침이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도록 하고 작업자가 상기 설비 점검장비모듈들을 사용하여 상기 해당 설비를 점검하여 획득되는 설비점검결과가 상기 관리서버로 전송하도록 컨트롤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점검장비모듈은, 온도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점검장비모듈은, 가스감지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키입력부는, 상기 태그 리더 및 상기 점검장비모듈에 포함된 장비들을 작동시키기 위한 핫키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태양에 따른 제철설비 점검 시스템은, 제철 설비에 부착되며 설비식별번호가 저장된 태그와, 설비식별번호를 기반으로 설비이력정보, 점검작업목록, 점검지침을 저장 및 관리하는 관리서버와, 설비점검 이동단말기를 포함하며, 상기 설비점검 이동단말기는 상기 태그의 설비식별번호를 리드하기 위한 태그 리더와, 설비 점검에 사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장비를 포함하는 점검장비모듈과, 이미지 데이타를 화면으로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와, 버튼 조작에 따른 신호를 발생시키는 키입력부와, 상기 키입력부로부터의 신호에 따라서 상기 태그 리더, 상기 점검장비 모듈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동작을 제어하며 상기 태그 리더를 통해 리드한 설비식별번호가 상기 관리서버로 전송되도록 하고 이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관리서버로부터 설비이력정보, 점검작업목록 및 점검지침이 수신되면 상기 수신한 설비이력정보, 점검작업목록 및 점검지침이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도록 하고 작업자가 상기 설비 점검장비모듈들을 사용하여 상기 해당 설비를 점검하여 획득되는 설비점검결과가 상기 관리서버로 전송하도록 컨트롤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설비식별번호를 기반으로 설비이력정보를 저장하는 설비이력관리 데이타 베이스와, 상기 설비식별번호를 기반으로 점검작업목록 및 점검지침을 저장하는 설비점검관리 데이타 베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설비점검 이동단말기로부터 상기 설비점검결과를 수신하여 상기 설비이력정보의 업데이트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관리서버의 상기 점검작업목록, 점검지침을 업데이트하는 관리자 컴퓨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설비점검 이동단말기와 상기 관리서버는 무선통신망을 사용하여 통신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무선통신망은 CMDA 통신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태그 및 상기 태그 리더는 RFID 기술을 토대로 하는 태그 및 태그 리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점검장비모듈은, 온도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점검장비모듈은, 가스감지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키입력부는, 상기 태그 리더 및 상기 점검장비모듈에 포함된 장비들을 작동시키기 위한 핫키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태양에 따른 제철설비 점검 방법은, 설비점검 이동단말기를 사용하여 점검하고자 하는 해당 제철설비에 부착된 태그의 설비식별번호를 리드하는 단계와, 상기 설비식별번호를 관리서버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설비식별번호로 상기 관리서버의 데이타 베이스를 검색하여 설비이력정보, 점검작업목록, 점검지침을 획득하는 단계와, 상기 획득한 설비이력정보, 점검작업목록, 점검지침을 해당 설비점검 이동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해당 설비점검 이동단말기에 설비이력정보, 점검작업목록, 점검지침이 디스플레이되는 단계와, 작업자가 상기 해당 설비점검 이동단말기의 점검장비모듈 내의 장비를 사용하여 상기 해당 제철설비를 점검하여 획득한 설비점검결과가 상기 해당 설비점검 이동단말기에 입력되는 단계와, 상기 설비점검결과를 상기 관리서버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설비점검결과를 상기 관리서버의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하여 상기 설비식별번호에 할당된 설비이력정보를 업데이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설비식별번호로 상기 관리서버의 데이타 베이스를 검색하여 설비이력정보, 점검작업목록, 점검지침을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데이타 베이스에서 상기 설비식별번호에 할당된 설비이력정보, 점검작업목록, 점검지침을 찾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제철설비 점검 단말기, 제철 설비 점검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제철설비 점검 방법은, 제철설비 점검에 필요한 다양한 장비들을 하나로 통합하여 구성함으로써, 장비의 휴대성이 향상될 뿐만 아니라, 점검작업에 소모되는 노력과 시간을 절감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제철설비 점검 단말기, 제철 설비 점검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제철설비 점검 방법은, 설비점검결과를 현장에서 바로 관리서버에 등록할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설비점검결과를 일일이 손으로 기록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줄일 수 있고, 설비점검결과를 컴퓨터로 옮기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데이타 오류를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제철설비 점검 단말기, 제철 설비 점검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제철설비 점검 방법은, 작업자에게 표준화된 설비점검목록 및 점검지침을 제공하므로써, 설비점검결과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제철설비 점검 단말기, 제철 설비 점검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제철설비 점검 방법은, 설비이력정보를 통합적으로 관리함으로써, 설비이력정보의 활용도를 높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철설비 점검 단말기 및 이를 포함하는 설비 점검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철설비 점검 시스템(100)은 대략, 예컨대 제철소와 같은 공장 내의 설비(200)에 부착되며 설비식별번호가 저장된 RFID 태그(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tag, 110), 설비 점검 단말기(120), 설비 점검 단말기(120)와 무선통신망(300)을 통해 연결되는 관리서버(130)를 포함한다. 그 외에, 관리자 컴퓨터(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설비(200)는 제철소 내의 제철 설비를 나타내며, 이후에 설비, 제철 설비로 기재된 것은 모두 제철 설비를 의미한다.
상기 관리서버(130)에는 설비이력관리 DB와 설비점검관리 DB 등 공장 전체 설비의 축적된 데이타를 저장하고 있어 작업자가 필요에 따라 적절한 데이타를 출력하여 필요한 작업을 수행할 준비를 할 수 있도록 한다. 관리서버(130)에 저장된 데이타는 두 가지 경로를 통하여 입력될 수 있는데, 그 중 하나는 관리서버(130)에 유선으로 연결된 관리자 컴퓨터(140)을 통하여 입력하는 것이고, 다른 하나의 경로는 작업자가 휴대하는 단말기(120)을 통하여 무선으로 입력하는 것이다. 데이타의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입력되는 데이타의 경로를 나타낼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공장 내의 설비(200)에는 RFID 태그가 부착된다. 본 발명에서는 편의상 RFID 태그를 사용하는 것으로 기술하였으나, 이와는 달리 정보를 능동적 또는 수동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다른 기술도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RFID 기술은 무선주파수를 사용하여 RFID 태그가 가지고 있는 정보를 비접촉식으로 독출(read)하거나 기록(write)하는 기술로, RFID 리더(reader)를 이용해 RFID 태그(tag)를 부착한 물건이나 동물 등을 인식ㆍ추적ㆍ관리할 수 있는 기술을 말한다. 1980년대부터 등장한 이 기술은 전용근거리통신(Dedicated Short Range Communiucatio, DSRC) 또는 무선식별시스템이라고도 한다.
RFID 기술은 궁극적으로 여러 개의 정보를 동시에 판독하거나, 수정, 갱신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바코드(bar-code) 기술이 극복하지 못한 여러 가지 문제점들을 해결 또는 능동적으로 대체함으로써, 물류, 보안 분야 등 현재 여러 분야에서 각광받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본 발명에서는 가장 바람직한 기술로서 RFID 태그를 사용하는 것이다.
자세히 도시하지 않았지만, RFID 태그(110)는 트랜스폰더 칩(transponder chip)과 안테나(antenna)를 포함한다.
RFID 태그(110)는 수동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수동식 RFID 태그(110)는 전원없이 RFID 태그(110)의 정보를 리드하는 RFID 리더의 전파신호로부터 에너지를 공급받아 동작하여 이동단말기(120)에 자신에게 저장된 데이타를 단말기로 제공한다. 이와 달리, RFID 태그(110)를 능동식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능동식 RFID 태그(110)는 자체에 전원을 내장하여 내장된 전원으로부터 동력을 얻는다. 이 경우에는 RFID 태그(110)가 활성화되는 것은 이동단말기(120)의 접근 거리에 따라 결정되도록 하는 것이 다른 설비에 마련된 태그로부터 발생될 수도 있는 신호와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하여 좋을 것이다.
이렇게 구성된 RFID 태그(110)는 공장 내의 설비(200)에 부착되어, 해당 설비(200)에 할당된 고유한 설비식별번호를 저장한다. 이렇게 부여된 설비식별번호에 의해 해당 설비의 점검내용이 관리서버(130)에 저장되어 향후 관리유지를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설비점검 이동단말기(120)는 대체로 RFID 리더(121), 점검장비모듈(122), 키입력부(123), 디스플레이부(124), 통신부(125) 및 제어부(126)를 포함한다.
RFID 리더(121)는 설비(200)에 부착된 RFID 태그(110)로부터 설비식별번호를 리드(read)하여 제어부(126)로 출력한다.
자세히 도시하지 않았지만, RFID 리더(121)는 본체와 안테나로 구성된다. RFID 리더(121)는 RFID 태그(110)로부터 설비식별번호를 수신하기 위하여 안테나를 통해 일정한 주파수를 신호 형태로 전송하고 주파수 유효범위 안에 근접시 RFID 태그(110)로부터 설비식별번호를 비접촉 방식으로 수신한다. RFID 리더(121)의 안테나로는 금속 패치(patch)를 이용한 패치 안테나(patch antenna)가 사용될 수 있다. 예컨데, 폭과 길이가 각각 33mm 이하, 두께가 5.3mm 이하인 패치 안테나가 사용될 수 있다.
점검장비모듈(122)은 설비 점검에 사용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장비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점검장비모듈(122)을 온도계(122A) 또는 가스 감지기(122D)를 포함할 수 있다. 그 외에, 카메라(122B) 및 조명(122C)을 포함할 수 있다.
온도계(122A)는 설비(200)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것으로, 비접촉식으로 온도측정이 가능한 적외선(Infrared Ray, IR) 온도계를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적외선 온도계는 물체로부터 방사되는 에너지를 렌즈 및 디텍터(Detector)를 통하여 수집하고, 방사되는 에너지의 양에 비례하여 전기 신호로 생성하고 전기 신호로부터 온 도값을 산출한다. 적외선 온도계는 비접촉식으로 온도 측정이 가능하기 때문에, 특히, 움직이는 설비, 접촉 불가한 설비, 위험한 설비, 고온의 설비의 온도 측정에 유용하다.
그 외에, 온도계(122A)로 바이메탈 온도계, 수은 온도계, 가스 온도계 등의 접촉식 온도계를 사용할 수도 있다. 접촉식 온도계는 접촉식으로 온도를 측정하기 때문에, 비접촉식 온도계에 비하여 온도 측정의 정확도가 높은 장점이 있다.
카메라(122B)는 설비(200)의 상태를 기록하기 위한 것으로, 상용화된 핸드폰, PDA 등의 이동단말기에 사용되는 카메라와 동일한 형태를 갖는다. 조명(122C)은 어두운 곳에 위치한 설비 추적에 사용하기 위한 것으로, LED(Light Emitting Diode)를 사용할 수 있다.
키입력부(123)는 문자 입력을 위한 문자키, 숫자 입력을 위한 숫자키 외에, RFID 리더(121), 온도계(122A), 카메라(122B), 조명(122C), 가스감지기(122D)을 작동시키기 위한 핫키(hot key)들과 관리 서버(130)로의 데이타 전송을 위한 데이타 전송키를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RFID 태그(110)를 인식하는 RFID 리더(121)를 작동시키기 위한 핫키를 태그인식키, 온도계(122A)를 작동시키기 위한 핫키를 온도계키, 카메라(122B)를 작동시키기 위한 핫키를 카메라키, 가스감지기(122D)를 작동시키기 위한 핫키를 가스감지키, 조명(122C)을 작동시키기 위한 핫키를 조명키라고 정의하고, 이후부터는 상기 핫키들을 여기에서 정의한 용어를 사용하여 설명할 것이다.
설비점검 이동단말기(200)는 이동성 및 휴대성을 보장하기 위하여 소형으로 제작되어야 하기 때문에, 설치 가능한 버튼의 개수가 제한된다. 이러한 이유로, 상기 키입력부(123)는 설비점검 이동단말기(120)의 사이즈에 맞추어 적절한 개수의 버튼을 설치하고 버튼에 상기 키들의 기능을 부여하는 형태로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하나의 버튼에 2개 이상의 키가 할당될 수 있다. 하나의 버튼에 할당된 키들은 예컨데 버튼을 누르는 시간의 길이에 따라서 서로 다른 키로 인식함으로써 구별될 수 있으며, 이러한 방식을 토대로 하나의 버튼에 2개 이상의 키를 할당할 수 있는 것이다.
디스플레이부(124)는 제어부(126)로부터의 컨트롤 신호에 따라서 각종 이미지 데이타를 화면으로 표시한다.
통신부(125)는 RFID 리더(121)를 통해 읽어들인 설비식별번호를 해당 설비점검 이동단말기(120)에 할당된 단말기식별번호와 함께 관리서버(130)로 전송하고, 이에 대한 응답으로 관리서버(130)로부터 설비이력정보, 점검작업목록, 점검지침을 수신한다. 그리고, 설비(200)를 점검하여 얻어진 설비점검결과를 단말기식별번호 및 설비점검시간과 함께 관리서버(130)로 전송한다.
본 실시예에서, 통신부(125)와 관리서버(130)는 무선통신망(300)을 통해 통신한다. 통신부(125)와 관리서버(130)간 데이타 송수신 방식으로는 CDMA(Code Division Multiplex Access)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이 경우, 무선통신망(300)은 CDMA 통신망이 사용된다.
CDMA 방식은 디지털 신호에 난수(random number)를 부가, 여러 개의 디지털 코드로 변환해 통신을 하는 것으로, 통화자의 채널에 고유하게 부여된 코드만을 인 식, 통화품질이 좋을 뿐만 아니라 통신 비밀이 보장되는 장점을 갖는다. 따라서, 설비이력정보, 점검작업목록, 점검지침 등 보완을 요하는 데이타의 외부 누출이 방지되는 장점을 갖는다.
제어부(126)는 RFID 리더(121), 점검장비모듈(122), 키입력부(123), 디스플레이부(124) 및 통신부(125)와 데이타를 교환함과 아울러, RFID 리더(121), 점검장비모듈(122), 디스플레이부(124) 및 통신부(125)의 동작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26)는 RFID 리더(121)를 통해 읽어들인 설비식별번호가 통신부(125)를 통해 관리서버(130)에 전송되도록 제어하고, 이에 대한 응답으로 관리서버(130)로부터 수신되는 설비이력정보, 점검작업목록, 점검지침이 디스플레이부(124)를 통해 표시될 수 있도록 제어한다. 그리고, 작업자가 설비(200)를 점검하여 획득한 설비점검결과가 디스플레이부(124)에 표시될 수 있도록 제어함과 아울러, 설비점검결과가 통신부(125)를 통해 관리서버(130)로 전송되도록 제어한다.
제어부(126)는 데이타 로거(data logger, 미도시)가 내장될 수 있다. 데이타 로거는 제어부(126)의 데이타 처리 과정을 감시, 기록 등을 행함으로써, 데이타의 오차를 줄이고, 오류를 신속히 발견할 수 있도록 한다.
제어부(126)에는 작업자와의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를 위한 설비점검 응용 프로그램이 설치된다. 설비점검 응용 프로그램은, 작업자가 설비 점검과 관련된 작업을 수행하는데 필요한 제반 환경을 제공함으로써, 작업자가 설비점검 이동단말기(120)를 이용하여 현장에서 설비이력정보, 설비점검목록, 점검지침을 확인하여 설비를 점검하고, 설비를 점검한 결과를 현장에서 바로 관리서버(130)에 전송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도시하지 않고 구체적으로 설명하지 않았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설비점검 이동단말기(120)는, 음성 통화 기능 모듈, 데이타 송수신 기능 모듈, 인터넷 접속 기능에 필요한 모듈, ERP(Enterprise Resources Planning) 서비스 접속에 필요한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설비점검 이동단말기(120)의 일예가, 도 3에 도시되어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설비점검 이동단말기의 실제 모델을 나타낸 사진으로, 설비점검 이동단말기(120)의 케이스 전면부에는 키입력부(123)와 디스플레이부(124)가 설치되고, 케이스 후면부 상단에 온도계(122A)와 일체로 구성된 RFID 리더(121)가 장착되고, RFID 리더(121) 아래쪽에 카메라(122B)와 조명(122C)이 설치되어 있다.
미설명된 도면부호, 121A, 121B는 각각 RFID 리더(121)의 본체 및 안테나를 나타내고, 120A, 120B, 120C는 관리서버(130)와의 데이타 교환에 필요한 CDMA 안테나, 음성 통화에 필요한 스피커 및 마이크를 나타낸다.
도 2를 다시 참조하면, 상기 관리서버(130)는 설비점검관리 DB(131) 및 설비이력관리 DB(132) 등 공장 전체 설비의 축적된 데이타를 저장하고 있어 작업자가 필요에 따라 적절한 데이타를 출력하여 필요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설비점검관리 DB(132)는 공장 전체 설비들에 대하여 각 설비별로 어떤 점검작업을 해야 하는지(점검작업목록), 점검작업을 어떠한 방법으로 수행해야 하는지(점검지침)에 대한 데이타를 저장하고 있다. 설비점검관리 DB(132)에서의 데이타 관리는 공장 전체 설비들 각각에 부여된 설비식별번호를 기반으로 점검작업목록과 점검지침을 저장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설비점검관리 DB(132)에 저장된 데이타는 변경 이슈가 발생된 경우에 관리자가 관리서버(130)에 유선으로 연결된 관리자 컴퓨터(140)를 통해 변경된 내용을 입력함으로써 업데이트된다.
설비이력관리 DB(132)는 설비를 점검하여 얻어진 설비점검결과, 설비를 점검한 단말기의 식별번호, 설비를 점검한 시간 등의 설비점검정보가 축적된 결과물인 설비이력정보를 저장하고 있다. 설비이력관리 DB(132)에서의 데이타 관리는, 공장 전체 설비들 각각에 부여된 설비식별번호를 기반으로 설비이력정보를 저장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설비이력관리 DB(132)에 저장된 데이타는 설비점검 이동단말기(120)로부터 설비점검정보가 수신될 때마다 업데이트된다.
전술한 설비점검 시스템(100)을 이용한 설비 점검 방법은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철 설비점검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설비 점검 방법은, 설비점검 이동단말기(120)로 점검하고자 하는 해당 제철 설비(200)에 부착된 RFID 태그(110)의 설비식별번호를 리드하는 단계(S401), 설비식별번호를 관리서버(130)로 전송하는 단계(S402), 설비식별번호로 관리서버(130)의 데이타 베이스를 검색하여 설비이력정보, 점검작업목록, 점검지침을 획득하는 단계(S403), 획득한 설비이력정보, 점검작업목록, 점검지침을 해당 설비점검 이동단말기(120)로 전송하는 단계(S404), 해당 설비점검 이동단말기(120)에 설비이력정보, 점검작업목록, 점검지침이 디스플레이되는 단계(S405), 작업자가 해당 설비점검 이동단말기(120)에 구비된 점검장비모 듈(122)을 사용하여 해당 제철 설비(200)를 점검하여 획득한 설비점검결과가 해당 설비점검 이동단말기(120)에 입력되는 단계(S406), 설비점검결과를 관리서버(130)로 전송하는 단계(S407), 관리서버(130)의 데이타 베이스가 업데이트되는 단계(S408)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먼저, 설비점검 이동단말기(120)로 점검하고자 하는 해당 제철 설비(200)에 부착된 RFID 태그(110)의 설비식별번호를 리드하는 단계가 수행된다(S401).
이 단계에서, 작업자가 설비점검 이동단말기(120)를 휴대하고 공장으로 이동하여 점검하고자 하는 제철 설비(200)에 부착된 RFID 태그(110)에 설비점검 이동단말기(120)를 접근시킨 상태에서 키입력부(123)의 태그인식키를 조작하여 RFID 리더(121)를 작동시키면, RFID 리더(121)가 RFID 태그(110)로부터 설비식별번호를 리드한다. 이후, RFID 리더(121)에서 리드된 설비식별번호는 제어부(126)에 입력된다.
다음으로, 리드한 설비식별번호를 관리서버(130)로 전송하는 단계가 수행된다(S402).
이 단계에서, 제어부(126)는 RFID 리더(121)로부터 입력되는 설비식별번호를 통신부(125)에 출력하고, 통신부(125)는 제어부(126)로부터 받은 설비식별번호를 무선통신망(300)을 통하여 관리서버(130)로 전송한다. 이때, 통신부(125)는 해당 설비점검 이동단말기(120)에 할당된 단말기식별번호가 설비식별번호와 함께 관리서버(130)에 전송될 수 있도록, 신호를 가공한다.
그 다음, 관리서버(130)에서 설비식별번호를 수신하여 수신한 설비식별번호로 관리서버(130)의 데이타 베이스를 검색하여 설비이력정보, 점검작업목록, 점검지침을 획득하는 단계가 수행된다(S403).
이 단계에서, 관리서버(130)는 설비점검 이동단말기(120)로부터 설비식별번호를 수신하여, 수신한 설비식별번호로 설비점검관리 DB(131)를 검색하여 설비점검관리 DB(131)로부터 점검작업목록 및 점검지침을 획득하고, 설비이력관리 DB(132)로부터 설비이력정보를 획득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설비점검관리 DB(131)에는 설비식별번호를 기반으로 점검작업목록 및 점검지침이 저장되어 있고, 설비이력관리 DB(132)에는 설비식별번호를 기반으로 설비이력정보가 저장되어 있다. 상기 S403 단계는, 설비점검관리 DB(131)에서 수신한 설비식별번호에 할당된 점검작업목록, 점검지침을 찾고, 설비이력관리 DB(132)에서 수신한 설비식별번호에 할당된 설비이력정보를 찾는 단계이다.
다음으로, 획득한 설비이력정보, 점검작업목록, 점검지침을 해당 설비점검 이동단말기(120)로 전송하는 단계가 수행된다(S404).
이 단계에서, 관리서버(130)는 획득한 설비이력정보, 점검작업목록, 점검지침을 무선통신망(300)을 통해 해당 설비점검 이동단말기(120)로 전송한다.
다음으로, 해당 설비점검 이동단말기(120)에서 설비이력정보, 점검작업목록, 점검지침을 수신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단계가 수행된다(S405).
이 단계에서, 통신부(125)는 관리서버(130)로부터 설비이력정보, 점검작업목록, 점검지침을 수신하여 제어부(126)로 출력하며, 디스플레이부(124)는 제어 부(126)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따라서 수신한 설비이력정보, 점검작업목록, 점검지침을 화면에 표시한다.
이어, 작업자가 해당 설비점검 이동단말기(120)에 구비된 점검장비모듈(122)을 사용하여 해당 제철 설비(200)를 점검하여 획득한 설비점검결과가 해당 설비점검 이동단말기(120)에 입력되는 단계가 수행된다(S406).
이 단계에서, 작업자는 설비점검 이동단말기(120)의 디스플레이부(124)에 표시된 설비이력정보, 점검작업목록, 점검지침을 확인하고, 점검장비모듈(122) 내의 장비들을 사용하고 점검작업목록, 점검지침을 토대로 하는 적절한 방법으로 해당 설비(200)를 점검한다.
상기 점검작업목록으로는, 예를 들어, 온도 측정, 사진 촬영, 기어박스 마모 측정 등을 수 있다.
온도 측정시에 작업자는 키입력부(123)의 온도계키를 눌러 설비점검 이동단말기(120)에 내장된 온도계(122A)를 작동시켜, 온도를 측정한다. 온도계(122A)에서 측정된 온도값은 제어부(126)에 임시로 저장되고 디스플레이부(124)에 표시된다. 이후, 작업자는 디스플레이부(126)에 표시된 온도값을 확인하고 입력부(123)의 키를 조작하여 온도값 저장 여부를 결정한다.
사진 촬영 작업시에 작업자는 키입력부(123)의 카메라키를 눌러 설비점검 이동단말기(120)에 내장된 카메라(122B)를 작동시켜, 이미지 데이타를 획득한다. 카메라(122B)에서 획득된 이미지 데이타는 제어부(126)에 임시로 저장되고 디스플레이부(124)에 디스플레이된다. 이후, 작업자는 디스플레이부(126)에 표시된 이미지 를 확인하고 입력부(123)의 키를 조작하여 이미지 저장 여부를 결정한다.
기어박스 마모값 측정시, 작업자가 기어박스 마모값을 눈금자를 이용해 측정하고, 키입력부(123)의 문자키 및 숫자키 등을 조작하여 측정한 기어박스 마모값을 입력한다.
그 다음으로, 설비점검결과를 관리서버(130)로 전송하는 단계가 수행된다(S407).
이 단계는, 작업자가 키입력부(123)의 데이타 전송키를 누름으로써 개시된다. 제어부(126)는 키입력부(123)로부터 데이타 전송키 누름 신호가 수신되면 통신부(125)를 인에이블시키고 통신부(125)의 동작을 제어한다. 통신부(125)는 제어부(125)의 제어에 의하여 설비점검결과를 해당 설비점검 이동단말기(120)에 할당된 단말기식별번호 및 설비점검시간과 함께 무선통신망(300)을 통해 관리서버(130)로 전송한다.
이후, 관리서버(130)에 설비점검결과가 수신되면, 관리서버(130)의 설비이력 DB 업데이트되는 단계가 수행된다(S408).
이 단계에서, 관리서버(130)는 수신한 설비점검결과, 단말기식별번호 및 설비점검시간을 설비이력관리 DB(132)에 저장하여 설비이력관리 DB(132)를 업데이트한다.
이상의 과정을 통해 수행하여, 하나의 제철 설비에 대한 점검을 완료한다.
이상,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는 특정 실시예에 관련하고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그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하의 특허청구의 범위는 본 발명의 정신과 분야를 이탈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형될 수 있다는 것을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알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제철설비 점검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철설비 점검 단말기 및 이를 포함하는 설비 점검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철설비 점검 이동단말기의 실제 구현 모델을 나타낸 사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철설비 점검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0 : 제철설비 점검 시스템
110 : RFID 태그
120 : 설비점검 이동단말기
121 : RFID 리더
122 : 점검장비모듈
123 : 키입력부
124 : 디스플레이부
125 : 통신부
126 : 제어부
130 : 관리서버

Claims (16)

  1. 제철설비에 부착되어 설비식별번호를 저장하는 태그 및 설비식별번호를 기반으로 설비이력정보, 점검작업목록, 점검지침을 저장 및 관리하는 관리서버와 연동하여 제철설비를 점검하는 이동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제철 설비에 부착된 상기 태그의 설비식별번호를 리드하기 위한 태그 리더;
    설비 점검에 사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장비를 포함하는 점검장비모듈;
    이미지 데이타를 화면으로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버튼 조작에 따른 신호를 발생시키는 키입력부; 및
    상기 키입력부로부터의 신호에 따라서 상기 태그 리더, 상기 점검장비모듈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동작을 제어하며 상기 태그 리더를 통해 리드한 설비식별번호가 상기 관리서버로 전송되도록 하고 이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관리서버로부터 설비이력정보, 점검작업목록 및 점검지침이 수신되면 상기 수신한 설비이력정보, 점검작업목록 및 점검지침이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도록 하고 작업자가 상기 설비 점검장비모듈들을 사용하여 상기 해당 설비를 점검하여 획득되는 설비점검결과가 상기 관리서버로 전송하도록 컨트롤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철설비 점검 이동단말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점검장비모듈은, 온도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철설비 점검 이동 단말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점검장비모듈은, 가스감지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철설비 점검 이동 단말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키입력부는, 상기 태그 리더 및 상기 점검장비모듈에 포함된 장비들을 작동시키기 위한 핫키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철설비 점검 이동 단말기.
  5. 제철 설비에 부착되며 설비식별번호가 저장된 태그;
    설비식별번호를 기반으로 설비이력정보, 점검작업목록, 점검지침을 저장 및 관리하는 관리서버;및
    설비점검 이동단말기;
    를 포함하며,
    상기 설비점검 이동단말기는,
    상기 태그의 설비식별번호를 리드하기 위한 태그 리더와,
    설비 점검에 사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장비를 포함하는 점검장비모듈과,
    이미지 데이타를 화면으로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와,
    버튼 조작에 따른 신호를 발생시키는 키입력부와,
    상기 키입력부로부터의 신호에 따라서 상기 태그 리더, 상기 점검장비모듈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동작을 제어하며 상기 태그 리더를 통해 리드한 설비식별번호가 상기 관리서버로 전송되도록 하고 이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관리서버로부터 설비이력정보, 점검작업목록 및 점검지침이 수신되면 상기 수신한 설비이력정보, 점검작업목록 및 점검지침이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도록 하고 작업자가 상기 설비 점검장비모듈들을 사용하여 상기 해당 설비를 점검하여 획득되는 설비점검결과가 상기 관리서버로 전송하도록 컨트롤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철설비 점검 시스템.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설비식별번호를 기반으로 설비이력정보를 저장하는 설비이력관리 데이타 베이스;및
    상기 설비식별번호를 기반으로 점검작업목록 및 점검지침을 저장하는 설비점검관리 데이타 베이스;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철설비 점검 시스템.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설비점검 이동단말기로부터 상기 설비점검결과를 수신하여 상기 설비이력정보의 업데이트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철설비 점검 시스템.
  8.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서버의 상기 점검작업목록, 점검지침을 업데이트하는 관리자 컴퓨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철설비 점검 시스템.
  9.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설비점검 이동단말기와 상기 관리서버는 무선통신망을 사용하여 통신함을 특징으로 하는 제철설비 점검 시스템.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통신망은 CMDA 통신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철설비 점검 시스템.
  11.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태그 및 상기 태그 리더는 RFID 기술을 토대로 하는 태그 및 태그 리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철설비 점검 시스템.
  12.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점검장비모듈은, 온도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철설비 점검 시스템.
  13.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점검장비모듈은, 가스감지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철설비 점검 시스템.
  14.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키입력부는, 상기 태그 리더 및 상기 점검장비모듈에 포함된 장비들을 작동시키기 위한 핫키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철설비점검 시스템.
  15. 설비점검 이동단말기를 사용하여 점검하고자 하는 해당 제철설비에 부착된 태그의 설비식별번호를 리드하는 단계;
    상기 설비식별번호를 관리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설비식별번호로 상기 관리서버의 데이타 베이스를 검색하여 설비이력정보, 점검작업목록, 점검지침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획득한 설비이력정보, 점검작업목록, 점검지침을 해당 설비점검 이동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해당 설비점검 이동단말기에 설비이력정보, 점검작업목록, 점검지침이 디스플레이되는 단계;
    작업자가 상기 해당 설비점검 이동단말기의 점검장비모듈 내의 장비를 사용하여 상기 해당 제철설비를 점검하여 획득한 설비점검결과가 상기 해당 설비점검 이동단말기에 입력되는 단계;
    상기 설비점검결과를 상기 관리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및
    상기 설비점검결과를 상기 관리서버의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하여 상기 설비식별번호에 할당된 설비이력정보를 업데이트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철설비 점검 방법.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설비식별번호로 상기 관리서버의 데이타 베이스를 검색하여 설비이력정보, 점검작업목록, 점검지침을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데이타 베이스에서 상기 설비식별번호에 할당된 설비이력정보, 점검작업목록, 점검지침을 찾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철설비 점검 방법.
KR1020090132839A 2009-12-29 2009-12-29 제철설비 점검 단말기, 제철설비 점검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제철설비 점검 방법 KR2011007619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32839A KR20110076198A (ko) 2009-12-29 2009-12-29 제철설비 점검 단말기, 제철설비 점검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제철설비 점검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32839A KR20110076198A (ko) 2009-12-29 2009-12-29 제철설비 점검 단말기, 제철설비 점검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제철설비 점검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76198A true KR20110076198A (ko) 2011-07-06

Family

ID=449161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32839A KR20110076198A (ko) 2009-12-29 2009-12-29 제철설비 점검 단말기, 제철설비 점검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제철설비 점검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76198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41227A1 (ko) * 2016-02-18 2017-08-24 주식회사 로맥스인싸이트코리아 신재생 에너지 설비의 진단결과 분석방법 및 그 장치
CN108873826A (zh) * 2017-05-08 2018-11-23 台泥资讯股份有限公司 巡检管理方法及系统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41227A1 (ko) * 2016-02-18 2017-08-24 주식회사 로맥스인싸이트코리아 신재생 에너지 설비의 진단결과 분석방법 및 그 장치
KR20170097462A (ko) * 2016-02-18 2017-08-28 주식회사 로맥스인싸이트코리아 신재생 에너지 설비의 진단결과 분석방법 및 그 장치
CN108873826A (zh) * 2017-05-08 2018-11-23 台泥资讯股份有限公司 巡检管理方法及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821601B2 (ja) 統合資産保全性管理システム
RU2370895C2 (ru) Система и способ обеспечения виртуальной радиосвязи
CN103210357B (zh) 具有改进诊断的手持现场维护工具
US9383225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ading gauge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in a process control system or other data collection system
CN110709905A (zh) 自动检查系统以及自动检查系统的控制方法
JP5069936B2 (ja) 資材保管位置管理システムおよびその方法
CN105408898A (zh) 测量数据的自动记录和图形生成
KR20170038879A (ko) 공장에서 모니터링될 대상의 재고를 검출하기 위한 시스템
CA2663839A1 (en) Apparatus of analizing the construction productivity using rfid based on the wireless communication and thereof
CN104376340A (zh) 打卡方法及装置
EP2535781A1 (en) Collecting data in an industrial plant
CA3110503C (en) Method and system to digitally track and monitor an automotive refinish repair process
RU2009122062A (ru) Портативное устройство технической поддержки для бытового электроприбора
KR20180009849A (ko) 사물인터넷을 이용한 발전소 관리시스템 및 방법
KR100933775B1 (ko) 이동 통신 시스템의 자산 정보를 관리하는 방법 및 시스템
US11797950B2 (en) Method and system to digitally track and monitor an automotive refinish repair process
KR20190029115A (ko) 복수종류의 시설물 관리를 위한 스마트기기를 활용한 환경정보수집 방법
KR20120077332A (ko) 피측정물의 상태 및 이력을 측정하고 관리하는 방법 및 시스템
CN105513154A (zh) 一种列车智能巡检管理系统
KR20110076198A (ko) 제철설비 점검 단말기, 제철설비 점검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제철설비 점검 방법
CN113632148B (zh) 用于提供运行数据的系统
KR101791193B1 (ko) 비콘을 이용한 전력설비 순시 검침 시스템
US20180024029A1 (en) Plant instrument status collection system
JP2010026907A (ja) 検針システム
US9070030B2 (en) Management system for container data cent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