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12005B1 - 전기차 충전 인프라 이동식 점검 시스템 - Google Patents

전기차 충전 인프라 이동식 점검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12005B1
KR102012005B1 KR1020180027047A KR20180027047A KR102012005B1 KR 102012005 B1 KR102012005 B1 KR 102012005B1 KR 1020180027047 A KR1020180027047 A KR 1020180027047A KR 20180027047 A KR20180027047 A KR 20180027047A KR 102012005 B1 KR102012005 B1 KR 1020120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tocol
charger
electric vehicle
information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70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재현
박재신
김동준
서민호
이태영
Original Assignee
한전케이디엔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전케이디엔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전케이디엔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270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200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20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20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06Q50/4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30Transportation; Commun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30Constructional details of charging stations
    • B60L53/305Communication interf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60Monitoring or controlling charging st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72Electromobility specific charging systems or methods for batteries, ultracapacitors, supercapacitors or double-layer capaci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2Electric charging st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6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improving the operation of electric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전기차 충전 인프라 이동식 점검 시스템은, 다양한 전기차 프로토콜 방식을 사용하는 전기차 충전기들을 관리 및 운용하기 위한 상위 충전인프라 운영시스템과 연계되며, 상기 전기차 충전기들이 설치된 장소로 이동하여, 진단 전에 상기 충전인프라 운영시스템으로부터 기본정보 및 검수환경 설정정보를 전송 받아 상기 전기차 충전기들의 프로토콜의 정합성 검증, 오류 진단 및 고장원인을 파악하며, 분석된 결과 정보를 리포트 파일로 작성한 후 상기 충전인프라 운영시스템으로 전송하는 휴대용 충전기 진단장치를 제공함에 기술적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전기차 충전 인프라 이동식 점검 시스템{ELECTRIC VEHICLE CHARGING INFRASTRUCTURE PORTABLE INSPECTION SYSTEM}
본 발명은 전기차 충전 인프라 이동식 점검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다양한 전기차 프로토콜 방식을 사용하는 전기차 충전기들을 관리 및 운용하기 위한 상위 충전인프라 운영시스템과 연계되며, 상기 전기차 충전기들이 설치된 장소로 이동하여, 진단 전에 상기 충전인프라 운영시스템으로부터 기본정보 및 검수환경 설정정보를 전송 받아 상기 전기차 충전기들의 프로토콜의 정합성 검증, 오류 진단 및 고장원인을 파악하며, 분석된 결과 정보를 리포트 파일로 작성한 후 상기 충전인프라 운영시스템으로 전송하는 휴대용 충전기 진단장치를 제공하는, 전기차 충전 인프라 이동식 점검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전기차(Electric Vehicle, EV)는 가솔린이나 디젤 자동차보다 먼저 제작되었으나, 배터리의 무거운 중량, 충전에 걸리는 시간 등의 문제로 실용화되지 못하다가, 최근 화석 에너지의 고갈과 환경오염으로 인해 화석 에너지를 사용하지 않고 전기 에너지를 이용하는 전기 자동차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이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전기차는 석유 연료와 엔진을 사용하지 않고, 전기 배터리와 전기 모터를 사용하는 즉, 전기를 동력으로 하여 운행하는 자동차이다.
이러한 전기차는 배터리에 충전된 전기로 모터를 회전시켜서 자동차를 구동시키므로 배터리의 충전을 위한 장치가 요구된다.
최근 전기차의 보급에 따라 충전 인프라 보급이 확대되고 있지만, 효과적인 전기 사용 부과 방법 등이 제시되지 않는 한 획기적인 충전 인프라 보급은 요원할 수 밖에 없다.
한편 종래기술은 전기차 충전기와 상위 충전인프라 운영시스템 간에 통신 프로토콜을 사용하고 있으나, 연계되는 데이터의 도메인이 프로토콜 정의 내역과 상이하여 충전인프라 운영시스템이 정상적인 서비스를 수행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하고 하였다.
또한 종래기술은 전기차 충전기와 상위 충전인프라 운영시스템 간에 통신장애 발생 시 신속한 원인파악이 어려우며, 충전인프라 운영시스템에 누적된 로그 이력을 분석하는 것이 유일한 방법이었다.
이와 같이 종래기술은 전기차 충전기 프로토콜을 점검하기 위한 진단도구를 제공하지 못함으로써, 상위 충전인프라 운영시스템에서 보다 안정적인 전기차 충전 관리 및 운영을 도모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2-0113139호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다양한 전기차 프로토콜 방식을 사용하는 전기차 충전기들을 관리 및 운용하기 위한 상위 충전인프라 운영시스템과 연계되며, 상기 전기차 충전기들이 설치된 장소로 이동하여, 진단 전에 상기 충전인프라 운영시스템으로부터 기본정보 및 검수환경 설정정보를 전송 받아 상기 전기차 충전기들의 프로토콜의 정합성 검증, 오류 진단 및 고장원인을 파악하며, 분석된 결과 정보를 리포트 파일로 작성한 후 상기 충전인프라 운영시스템으로 전송하는 휴대용 충전기 진단장치를 제공하는, 전기차 충전 인프라 이동식 점검 시스템 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전기차 충전 인프라 이동식 점검 시스템은, 다양한 전기차 프로토콜 방식을 사용하는 전기차 충전기들을 관리 및 운용하기 위한 상위 충전인프라 운영시스템과 연계되며, 상기 전기차 충전기들이 설치된 장소로 이동하여, 진단 전에 상기 충전인프라 운영시스템으로부터 기본정보 및 검수환경 설정정보를 전송 받아 상기 전기차 충전기들의 프로토콜의 정합성 검증, 오류 진단 및 고장원인을 파악하며, 분석된 결과 정보를 리포트 파일로 작성한 후 상기 충전인프라 운영시스템으로 전송하는 휴대용 충전기 진단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휴대용 충전기 진단장치를 이용하여 다양한 방식의 전기차 충전기 통신 프로토콜의 정합성을 검증하고, 오류를 진단하고, 분석된 결과 정보를 상위 충전인프라 운영시스템으로 전송함으로써, 상위 충전인프라 운영시스템에서 보다 안정적으로 전기차 충전 관리 및 운영을 도모할 수 있는 기술적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차 충전 인프라 이동식 점검 시스템의 주요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충전기 진단장치의 주요 구성을 상세히 나타낸 것이다.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로, 휴대용 충전기 진단장치의 구성 중 프로토콜 분류모듈을 구성하는 다양한 방식의 충전기 프로토콜을 나타낸 것이다.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충전기 진단장치의 구성 중 충전기 외관점검 모듈의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충전기 점검관리 모듈의 주요 구성을 상세히 나타낸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차 충전 인프라 이동식 점검 시스템의 주요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전기차 충전 인프라 이동식 점검 시스템(1000)은 전기차 충전기 그룹(10), 휴대용 충전기 진단장치(100) 및 충전인프라 운영시스템(200)을 포함한다.
전기차 충전기 그룹(10)은 다양한 프로토콜 방식으로 운영되는 제1 전기차 충전기(10-1) ~ 제N 전기차 충전기(10-N)를 포함하며, 각각의 전기차(EV)로 충전을 위한 전기를 공급 한다.
이를테면, 도 3a에 도시된 바대로, 각각의 전기차 충전기(10-1 ~ 10-N)는 한전 충전기 프로토콜(111a), 충전 사업자 프로토콜(111b), 환경부 프로토콜(111c), SCOS 프로토콜(111d) 등 다양한 전기차 프로토콜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SCOS(Smart Charge Operating System)는 양방향 충전기에 충전과 방전을 수행하기 위한 스케줄을 생성하여 전달하고, DR(Demand Response) 응동 및 BEMS(Building Energy Management System) 부하피크 제어를 위해 충전제어 및 V2G(Vehicle-to-Grid) 제어를 관리하는 장치를 의미한다.
휴대용 충전기 진단장치(100)는 작업자가 제1 전기차 충전기(10-1) ~ 제N 전기차 충전기(10-N)가 위치한 장소로 이동하여 간편하게 충전기 진단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로서, 충전인프라 운영시스템(200)에서 수신 받은 기본정보와 설정정보를 바탕으로 제1 전기차 충전기(10-1) ~ 제N 전기차 충전기(10-N)와 데이터를 송수신하고, 충전기 통신 패킷을 취득하고 프로토콜 항목별 오류를 진단하며, 충전기 자체 로그를 취득하여 고장원인을 파악하는 등 상위 충전인프라 운영시스템(200)의 안정적 운영을 위해 전기차 충전기 통신 프로토콜의 정합성을 검증하고, 오류를 진단하는 기술을 구현하는데,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도 2에서 후술한다.
충전인프라 운영시스템(200)은 운영시스템 모듈(210) 및 충전기 점검관리 모듈(220)을 포함하며, 이들 구성 모듈은 상호 연계되어 운영된다.
운영시스템 모듈(210)은 상기 충전기 점검관리 모듈(220)과 연계하여 상기 휴대용 충전기 진단장치(100)로 충전기 진단 준비데이터를 송신하도록 명령하고, 상기 휴대용 충전기 진단장치(100)로부터 수신된 충전기 진단 결과데이터를 상기 충전기 점검관리 모듈(220)에서 관리하도록 명령 등을 통해 충전인프라를 효율적으로 운영할 수 있도록 해 준다.
충전기 점검관리 모듈(220)은 상기 운영시스템 모듈(210)의 각종 제어 명령에 따라 사용자 정보관리, 점검대상 충전기 정보관리, 진단환경 설정관리, 연계데이터 관리, 고장이력 관리 및 고장통계 관리 등을 수행하는데,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도 4에서 후술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충전기 진단장치의 주요 구성을 상세히 나타낸 것이고,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로, 휴대용 충전기 진단장치의 구성 중 프로토콜 분류모듈을 구성하는 다양한 방식의 충전기 프로토콜을 나타낸 것이며,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충전기 진단장치의 구성 중 충전기 외관점검 모듈의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충전기 진단장치(100)는, 프로토콜 분류모듈(111), 패킷 수집모듈(112), 소켓통신 점검모듈(113), RESTFul 통신점검모듈(114), 기본정보 관리모듈(115), 검수환경 설정모듈(116), 프로토콜 오류분석 모듈(117), 충전기 로그분석 모듈(118), 진단결과 연계모듈(119) 및 충전기 외관점검 모듈(120)을 포함한다.
이하 도 1 ~ 도 3b를 참조하여, 휴대용 충전기 진단장치(100)의 각각의 구성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프로토콜 분류모듈(111)은 도 3a에 도시된 바대로, 한전 충전기 프로토콜(111a), 충전 사업자 프로토콜(111b), 환경부 프로토콜(111c) 및 SCOS 프로토콜(111d)을 포함하여, 충전기 진단 시 각각의 전기차 충전기 별로 분류하여 사용되는 프로토콜을 손쉽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해준다.
이 경우 한전 충전기 프로토콜(111a)은 이를테면, 전기차 충전기 그룹(10) 중 한전 Flagship 충전기(미 도시)가 사용하는 프로토콜이고, 충전 사업자 프로토콜(111b)은 전기차 충전기 그룹(10) 중 충전 사업자 충전기(미 도시)가 사용하는 프로토콜이며, 환경부 프로토콜(111c)은 전기차 충전기 그룹(10) 중 환경부 충전기(미 도시)가 사용하는 프로토콜이고, SCOS 프로토콜(111d)은 전기차 충전기 그룹(10) 중 SCOS(미 도시)가 사용하는 프로토콜이다.
패킷 수집모듈(112)은 상기 프로토콜 분류모듈(111)을 통해 인지된 전기차 충전기 별 프로토콜 방식에 따라 전송된 각각의 패킷(packet) 들을 수집한다.
이 경우 충전소에 설치된 전기차 충전기들의 종류에 따라 소켓(socket) 통신 또는 RESTFful 통신으로 분류할 수 있으며, 소켓 또는 RESTFful 통신 방식에 따라 수신되는 패킷의 기본 구성에 대한 정합성 판단 방식은 차이가 존재하는데, 이하 소켓통신 점검모듈(113), RESTFul 통신점검모듈(114) 및 프로토콜 오류분석 모듈(117)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소켓통신 점검모듈(113)은 소켓(socket) 통신으로 패킷을 수신하고, 수신된 패킷에 대해 프로토콜 오류분석 모듈(117)을 통해 패킷의 기본 구성에 대한 정합성 판단을 할 수 있도록 해준다.
이를 부연설명하면, 우선, 프로토콜 오류분석 모듈(117)은 상기 소켓통신 점검모듈(113)을 통해 수신된 패킷의 맨 앞(Header)의 4byte를 추출한 후, EMBLEM을 확인하여 장치 및 프로토콜 종류를 확인하며, 이때 프로토콜 종류가 확인되지 않으면 점검대상이 아니므로 오류를 반환하는 과정을 수행한다.
다음으로, 프로토콜 오류분석 모듈(117)은 프로토콜 종류를 확인하고 수신한 패킷을 하기 표1과 같이 Header 28byte와 나머지 byte를 Data로 구분하는 과정을 수행한다.
[표1]
Figure 112018023108018-pat00001
다음으로, 프로토콜 오류분석 모듈(117)은 하기 표2와 같이 byte 별로 파싱하여 항목의 누락여부와 도메인을 검증하는 과정을 수행한다.
[표2]
Figure 112018023108018-pat00002
여기서, 니모닉(명령어) 별 항목의 ASC문자열은 개별 항목이 구분자'|'로 구분되어 있으며, 구분자로 파싱한 항목별 도메인을 검증하며, 니모닉(명령어) 별 항목은 하기 표3과 같다.
[표3]
Figure 112018023108018-pat00003
마지막으로, 프로토콜 오류분석 모듈(117)은 상기 표3의 프로토콜 니모닉(명령어)의 요청에 상응하는 응답을 상기 소켓통신 점검모듈(113)을 통해 전송하도록 명령하고, 응답코드에 따라 새로운 프로토콜 니모닉(명령어)을 요청하거나 검증을 완료하는 과정을 수행한다.
다음으로, RESTFul 통신점검모듈(114)은 RESTFul 통신으로 패킷을 수신하고, 수신된 패킷에 대해 프로토콜 오류분석 모듈(117)을 통해 패킷의 기본 구성에 대한 정합성 판단을 할 수 있도록 해준다.
이를 부연설명하면, 우선, 프로토콜 오류분석 모듈(117)은 상기 소RESTFul 통신점검모듈(114)을 통해 수신된 패킷의 http 전문을 요청하여 header와 body(XML형태)로 나누는 과정을 수행한다.
다음으로, 프로토콜 오류분석 모듈(117)은 하기 표4에 도시된 바대로, header의 User-Agent 항목을 확인하여 장치 인증키와 프로토콜버전 정보를 검증하는 과정을 수행한다.
[표4]
Figure 112018023108018-pat00004
다음으로, 프로토콜 오류분석 모듈(117)은 하기 표5에 도시된 바대로, header의 항목을 확인하여, 항목 누락여부 및 데이터 도메인을 검증하는 과정을 수행한다.
[표5]
Figure 112018023108018-pat00005
다음으로, 프로토콜 오류분석 모듈(117)은 하기 표6에 도시된 바대로, body의 항목을 확인하여, 항목 누락여부 및 데이터 도메인을 검증하는 과정을 수행한다.
[표6]
Figure 112018023108018-pat00006
이 경우 body 항목은, 하기 표7에 도시된 바대로, API에 따라 XML 형태로 정의되어 도메인을 검증한다.
[표7]
Figure 112018023108018-pat00007
마지막으로, 프로토콜 오류분석 모듈(117)은 상기 표7의 프로토콜 API의 요청에 상응하는 응답을 상기 RESTFul 통신점검모듈(114)을 통해 전송하도록 명령하고, 응답코드에 따라 새로운 프로토콜 API를 요청하거나 검증을 완료하는 과정을 수행한다.
여기서 REST(Representational State Transfer)Ful 통신 방식은 웹 상의 자료를 HTTP위에서 SOAP이나 쿠키를 통한 세션 트랙킹 같은 별도의 전송 계층 없이 전송하기 위한 아주 간단한 인터페이스로 웹서비스 디자인 표준 이며, 이는 웹의 모든 리소스를 URI로 표현하고, 모든 리소스를 구조적이고 유기적으로 연결하여, 비 상태 지향적인 방법으로 정해진 method만을 사용하여 리소스를 사용하는 아키텍처 이다.
이와 같은 RESTFul 통신의 특성으로 인해, 본 발명은 추후 클라우드 기반의 충전인프라 운영시스템이 도입될 경우, RESTFul 통신 방식을 사용하는 복수 대의 전기차(EV) 충전기들의 시스템 확장 시 유리한 장점을 제공한다.
기본정보 관리모듈(115)은 충전소 진단 전에 상기 운영시스템 모듈(210)로부터 RESTFul 통신방식으로 전송 받은 기본정보를 관리한다.
이를 부연설명하면, 상기 기본정보는 상기 충전기 점검관리 모듈(220) 중 사용자정보 연계모듈(221) 및 점검대상 충전기정보 연계모듈(222)에서 사전에 관리되는 정보로, 상기 운영시스템 모듈(210)을 통해 사전에 관리된 기본정보를 RESTFul 통신방식을 사용해 휴대용 충전기 진단장치(100)로 전송한다.
여기서 기본정보는 이를테면, 충전소 정보, 충전기 장치 정보(ID, IP, PORT, 인증키 등 필수정보 포함) 및 충전기 사용자 정보를 포함한다.
이 경우 휴대용 충전기 진단장치(100)가 외부의 운영시스템 모듈(210)로부터 기본정보를 전송 받아 이를 충전기 점검을 위한 자료로 활용하는 이유는, 휴대용 충전기 진단장치(100)는 터치 스크린을 HMI(Human Machine Interface) 입력 도구로 사용하는 단말장치로서, 작업자가 기본정보를 일일이 입력하기에 불편할 뿐 아니라 입력시간이 많이 소요되기 때문이다.
검수환경 설정모듈(116)은 상기 기본정보 관리모듈(115)과 마찬가지 방식으로, 상기 운영시스템 모듈(210)로부터 RESTFul 통신방식으로 전송 받은 검수환경 설정정보를 관리한다.
이를테면, 검수환경 설정모듈(116)은 충전기 점검 시나리오를 설정하여 프로토콜 점검 API 호출 순서, 반복횟수 및 점검항목 제외를 지정할 수 있다.
여기서 검수환경 설정정보는 충전기 진단을 위한 환경설정 정보로서, 이를테면, "점검오류 코드와 설명 텍스트"정보 , "조치사항 코드 와 설명 텍스트"정보, 프로토콜 정보, 프로토콜의 API 및 니모닉(명령어) 항목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검수환경 설정정보는 상기 충전기 점검관리 모듈(220) 중 진단환경 설정모듈(223)에서 프리셋(preset) 되며, 상기 운영시스템 모듈(210)을 통해 프리셋(preset) 된 검수환경 설정정보를 RESTFul 통신방식을 사용해 휴대용 충전기 진단장치(100)로 전송한다.
이로써, 작업자(검수자)는 프리셋의 설정정보를 수신하여 휴대용 충전기 진단장치(100)에서 텍스트 입력 없이 검수환경을 설정(API, 니모닉(명령어)의 수행순서, 반복횟수, 생략여부 등) 하고, 진단 결과에 따른 후속 조치를 직접 입력하기만 하면 된다. (입력 편의성)
프로토콜 오류분석 모듈(117)은 상기 소켓통신 점검모듈(113) 또는 상기 RESTFul 통신점검모듈(114)에서 수신한 패킷에 대하여 소켓통신 또는 RESTFul 통신을 고려하여, 충전기별 프로토콜의 정합성을 검증하는데,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앞에서 설명한 바 있으므로 생략한다.
충전기 로그분석 모듈(118)은 상기 전기차 충전기(10-1 ~ 10-N) 내부에 각각 저장된 로그(log) 파일을 수집 및 분석하여 상기 전기차 충전기(10-1 ~ 10-N) 별로 오류 원인을 체크 한다.
진단결과 연계모듈(119)은 상기 프로토콜 오류분석 모듈(117)을 획득한 충전기 프로토콜 진단결과 정보, 상기 충전기 로그분석 모듈(118)을 통해 획득한 충전기 내부 로그파일 분석정보 및 충전기 외관 점검모듈(120)을 통해 획득한 충전기 외관 점검 결과와 이미지 정보를 엑셀 및 워드 기반의 리포트 파일로 작성하여 저장 한다.
또한 진단결과 연계모듈(119)은 작성된 리포트 파일은 RESTFul 통신방식으로 상위 충전인프라 운영시스템(200)으로 전송되어, 내부에 구비된 충전기 점검관리 모듈(220)의 연계데이터 관리모듈(225)에서 상호 연계되어 관리된다.
충전기 외관 점검모듈(120)은 도 3b에 도시된 바대로, 이미지 저장모듈(120a) 및 이미지 매핑 모듈(120b)을 포함한다.
이 경우 이미지 저장모듈(120a)은 진단 시 카메라를 통해 촬영한 각각의 전기차 충전기(10-1 ~ 10-N)의 외관 촬영 이미지를 메모리에 저장한다.
이미지 매핑 모듈(120b)은 상기 이미지 저장모듈(120a)에 저장된 외관 촬영 이미지를 분석하여 해당되는 충전소 및 충전소 위치 정보와 자동으로 매핑(mapping) 시킨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충전기 점검관리 모듈의 주요 구성을 상세히 나타낸 것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충전기 점검관리 모듈(220)은 사용자 정보 연계모듈(221), 점검대상 충전기 연계모듈(222), 진단환경 설정모듈(223), 연계데이터 관리모듈(224), 고장이력 관리모듈(225) 및 고장통계 관리모듈(226)을 포함한다.
사용자 정보 연계모듈(221)은 상기 운영시스템 모듈(210)을 통해 사전에 관리된 기본정보(이를테면, 충전기 사용자 정보)를 RESTFul 통신방식을 사용해 휴대용 충전기 진단장치(100)로 전송하는데, 이에 대한 설명은 앞에서 설명한 바 있으므로 생략한다.
점검대상 충전기 연계모듈(222)은 상기 운영시스템 모듈(210)을 통해 사전에 관리된 기본정보(이를테면, 충전소 정보, 충전기 장치 정보(ID, IP, PORT, 인증키 등 필수정보 포함) 등)를 RESTFul 통신방식을 사용해 휴대용 충전기 진단장치(100)로 전송하는데, 이에 대한 설명은 앞에서 설명한 바 있으므로 생략한다.
진단환경 설정모듈(223)은 상기 운영시스템 모듈(210)을 통해 사전에 관리된 검수환경 설정정보(이를테면, "점검오류 코드와 설명 텍스트"정보 , "조치사항 코드 와 설명 텍스트"정보, 프로토콜 정보, 프로토콜의 API 및 니모닉(명령어) 항목 정보 등)를 RESTFul 통신방식을 사용해 휴대용 충전기 진단장치(100)로 전송하는데, 이에 대한 설명은 앞에서 설명한 바 있으므로 생략한다.
연계데이터 관리모듈(224)은 휴대용 충전기 진단장치(100)의 진단결과 연계모듈(119)을 통해 획득한 충전기 프로토콜 진단결과 정보, 충전기 내부 로그파일 분석정보 및 충전기 외관 점검 결과와 이미지 정보에 대한 리포트 파일을 RESTFul 통신방식으로 전송 받아 관리하는데, 이에 대한 설명은 앞에서 설명한 바 있으므로 생략한다.
고장이력 관리모듈(225)은 상기 연계데이터 관리모듈(224)의 리포트 파일을 토대로 각각의 전기차 충전기(10-1 ~ 10-N)의 진단결과에 대한 후속 조치 계획 및 미 조치 사유 등 전기차 충전기 별 고장 이력(history) 정보를 통합 관리한다.
고장통계 관리모듈(226)은 상기 고장이력 관리모듈(225)이 제공하는 전기차 충전기 별 고장 이력(history) 정보를 가공하여 각각의 전기차 충전기(10-1 ~ 10-N)에 대한 월별, 주별, 일별, 요일별, 분기별 등 고장통계 현황을 그래프 등으로 제공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 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
10 : 전기차 충전기 그룹
10-1 ~ 10-N : 제1 전기차 충전기 ~ 제N 전기차 충전기
100 : 휴대용 충전기 진단장치
200 : 충전인프라 운영시스템
210 : 운영시스템 모듈
220 : 충전기 점검관리 모듈

Claims (7)

  1. 다양한 전기차 프로토콜 방식을 사용하는 전기차 충전기들을 관리 및 운용하기 위한 상위 충전인프라 운영시스템과 연계되며, 전기차 충전기들이 설치된 장소로 이동하여, 진단 전에 충전인프라 운영시스템으로부터 기본정보 및 검수환경 설정정보를 전송 받아 전기차 충전기들의 프로토콜의 정합성 검증, 오류 진단 및 고장원인을 파악하며, 분석된 결과 정보를 리포트 파일로 작성한 후 충전인프라 운영시스템으로 전송하는 휴대용 충전기 진단장치를 제공하고;
    휴대용 충전기 진단장치는 한전 충전기 프로토콜, 충전 사업자 프로토콜, 환경부 프로토콜 및 SCOS 프로토콜을 포함하여 전기차 프로토콜을 분류하여 충전기 진단 시 각각의 전기차 충전기들이 사용하는 전기차 프로토콜 방식을 손쉽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해주는 프로토콜 분류모듈; 프로토콜 분류모듈을 통해 인지된 전기차 충전기 별 프로토콜 방식에 따라 전송된 각각의 패킷들을 수집하는 패킷 수집모듈; 소켓 통신으로 패킷을 수신하고, 수신된 패킷에 대해 프로토콜 오류분석 모듈을 통해 패킷의 기본 구성에 대한 정합성 판단을 할 수 있도록 해주는 소켓통신 점검모듈; RESTFul 통신으로 패킷을 수신하고, 수신된 패킷에 대해 프로토콜 오류분석 모듈을 통해 패킷의 기본 구성에 대한 정합성 판단을 할 수 있도록 해주는 RESTFul 통신점검모듈; 충전인프라 운영시스템으로부터 수신한 기본정보를 관리하는 기본정보 관리모듈; 충전인프라 운영시스템으로부터 수신한 검수환경 설정정보를 관리하는 검수환경 설정모듈; 전기차 충전기들이 사용하는 소켓통신 또는 RESTFul 통신을 고려하여, 수신한 패킷에 대하여 충전기별 프로토콜의 정합성을 검증하는 것으로, 소켓통신 점검모듈을 통해 수신된 패킷의 맨 앞의 4byte를 추출한 후, EMBLEM을 확인하여 장치 및 프로토콜 종류를 확인하며, 프로토콜 종류가 확인되지 않으면 점검대상이 아니므로 오류를 반환하는 과정을 수행하고, 프로토콜 종류를 확인하고 수신한 패킷을 Header 28byte와 나머지 byte를 Data로 구분하는 과정을 수행하고, byte 별로 파싱하여 항목의 누락여부와 도메인을 검증하는 과정을 수행하고, RESTFul 통신점검모듈을 통해 수신된 패킷의 http 전문을 요청하여 header와 body(XML형태)로 나누는 과정을 수행하고, header의 User-Agent 항목을 확인하여 장치 인증키와 프로토콜버전 정보를 검증하는 과정을 수행하고, header의 항목을 확인하여, 항목 누락여부 및 데이터 도메인을 검증하는 과정을 수행하고, body의 항목을 확인하여, 항목 누락여부 및 데이터 도메인을 검증하는 과정을 수행하고, 프로토콜 API의 요청에 상응하는 응답을 RESTFul 통신점검모듈을 통해 전송하도록 명령하고, 응답코드에 따라 새로운 프로토콜 API를 요청하거나 검증을 완료하는 과정을 수행하는 프로토콜 오류분석 모듈; 프로토콜 오류분석 모듈을 통해 획득한 충전기 프로토콜 진단결과 정보, 충전기 로그분석 모듈을 통해 획득한 충전기 내부 로그파일 분석정보 및 충전기 외관 점검모듈을 통해 획득한 충전기 외관 점검 결과와 이미지 정보를 엑셀 및 워드 기반의 리포트 파일로 작성하여 저장하고, 작성된 리포트 파일은 RESTFul 통신방식으로 상위 충전인프라 운영시스템으로 전송되어, 내부에 구비된 충전기 점검관리 모듈의 연계데이터 관리모듈에서 상호 연계되어 관리되도록 하는 진단결과 연계모듈을 포함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차 충전 인프라 이동식 점검 시스템.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본정보는, 상기 전기차 충전기들 각각에 대한 충전소 정보, 충전기 장치 정보 및 충전기 사용자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차 충전 인프라 이동식 점검 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검수환경 설정정보는, 상기 전기차 충전기들 각각에 대한"점검오류 코드와 설명 텍스트"정보, "조치사항 코드 와 설명 텍스트"정보, 프로토콜 정보, 프로토콜의 API 및 니모닉 항목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차 충전 인프라 이동식 점검 시스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토콜 오류분석 모듈은, 소켓 통신을 통해 수신한 패킷에 대하여 프로토콜 니모닉 요청에 상응하는 응답을 전송하는 방식으로 충전기별 프로토콜의 정합성을 검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차 충전 인프라 이동식 점검 시스템.
  6. 삭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인프라 운영시스템과 상기 휴대용 충전기 진단장치는,
    상기 기본정보, 상기 검수환경 설정정보 및 상기 리포트 파일을 REST(Representational State Transfer)Ful 통신 방식을 통해 수신 또는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차 충전 인프라 이동식 점검 시스템.
KR1020180027047A 2018-03-07 2018-03-07 전기차 충전 인프라 이동식 점검 시스템 KR1020120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7047A KR102012005B1 (ko) 2018-03-07 2018-03-07 전기차 충전 인프라 이동식 점검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7047A KR102012005B1 (ko) 2018-03-07 2018-03-07 전기차 충전 인프라 이동식 점검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12005B1 true KR102012005B1 (ko) 2019-08-19

Family

ID=678069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7047A KR102012005B1 (ko) 2018-03-07 2018-03-07 전기차 충전 인프라 이동식 점검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1200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51347A (ko) * 2019-10-30 2021-05-10 한전케이디엔주식회사 전기차 충전기 고장대응 시스템 및 그 방법
US11674910B2 (en) 2020-12-04 2023-06-13 Aroboticscompany Inc. Robotic systems and methods for surface imaging of structure's vertical surface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51259A (ja) * 2003-11-17 2005-06-09 Toshiba Corp データ転送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KR20120113139A (ko) 2011-04-04 2012-10-12 신광섭 전기자동차 충전을 위한 무인 전기 판매 시스템 및 전기자동차 충전을 위한 무인 전기 판매 방법
JP2017507381A (ja) * 2013-12-17 2017-03-16 アティジオ リミテッド ライアビリティ カンパニー 自動化された実験プラットホーム
KR20170097468A (ko) * 2016-02-18 2017-08-28 주식회사 로맥스인싸이트코리아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신재생 에너지 설비의 진단관리방법 및 그 시스템
KR101773947B1 (ko) * 2016-03-29 2017-09-07 (주)제주전기자동차서비스 전기자동차 충전기 전용 검사장비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51259A (ja) * 2003-11-17 2005-06-09 Toshiba Corp データ転送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KR20120113139A (ko) 2011-04-04 2012-10-12 신광섭 전기자동차 충전을 위한 무인 전기 판매 시스템 및 전기자동차 충전을 위한 무인 전기 판매 방법
JP2017507381A (ja) * 2013-12-17 2017-03-16 アティジオ リミテッド ライアビリティ カンパニー 自動化された実験プラットホーム
KR20170097468A (ko) * 2016-02-18 2017-08-28 주식회사 로맥스인싸이트코리아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신재생 에너지 설비의 진단관리방법 및 그 시스템
KR101773947B1 (ko) * 2016-03-29 2017-09-07 (주)제주전기자동차서비스 전기자동차 충전기 전용 검사장비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51347A (ko) * 2019-10-30 2021-05-10 한전케이디엔주식회사 전기차 충전기 고장대응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264549B1 (ko) * 2019-10-30 2021-06-11 한전케이디엔주식회사 전기차 충전기 고장대응 시스템 및 그 방법
US11674910B2 (en) 2020-12-04 2023-06-13 Aroboticscompany Inc. Robotic systems and methods for surface imaging of structure's vertical surfa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306298B (zh) 基于整车网络的远程无线测试系统及测试方法
CN103259826A (zh) 用于充电机和电动车之间的数据传输装置及方法
KR102012005B1 (ko) 전기차 충전 인프라 이동식 점검 시스템
CN108544941B (zh) 充电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CN102439466A (zh) 电能供应系统中一个或多个特征的验证和引入方法
CN103259299A (zh) 多标准兼容的充电机
CN108828353A (zh) 一种充电桩故障检修系统及方法
CN103914059A (zh) 一种远程总线诊断方法及其系统
CN106329585A (zh) 无线充电认证方法及装置
KR102333213B1 (ko) 배터리 전력 공유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CN102354179A (zh) 锂离子电池组远程监控及故障诊断系统
US20200074372A1 (en) Fleet management system
CN110208615A (zh) 一种电磁兼容大电流注入抗扰测试方法
CN105785965A (zh) 一种新能源汽车整车控制策略及网络测试平台
CN113433923A (zh) 车辆远程诊断方法、系统、可读存储介质及设备
KR101859067B1 (ko) 전기자동차 정보 관리 시스템
CN105548763B (zh) 电动汽车和用于电动汽车的测试系统
KR101999291B1 (ko) 데이터 분산 서비스를 이용한 전기차 충전 인프라 시스템
KR20220075134A (ko) 전기차 성능 평가정보 제공 시스템
KR101848610B1 (ko) 실시간 충전 데이터 모니터링 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 및 시스템
CN112685472A (zh) 一种电网多站融合监控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KR20210058365A (ko) 전기차 충전기 운영시스템 및 방법
DE102014101728B4 (de) Verfahren zum Identifizieren eines Fehlers in einer Batteriezelle sowie Batteriezellendiagnosesystem
KR20200080361A (ko) 전기차 충전 인프라의 통합 운영 시스템
Gabbar et al. Design of Test Platform of Connected-Autonomous Vehicles and Transportation Electrific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