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99291B1 - 데이터 분산 서비스를 이용한 전기차 충전 인프라 시스템 - Google Patents

데이터 분산 서비스를 이용한 전기차 충전 인프라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99291B1
KR101999291B1 KR1020170094991A KR20170094991A KR101999291B1 KR 101999291 B1 KR101999291 B1 KR 101999291B1 KR 1020170094991 A KR1020170094991 A KR 1020170094991A KR 20170094991 A KR20170094991 A KR 20170094991A KR 101999291 B1 KR101999291 B1 KR 1019992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ger
data
operating system
dds
gateway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949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12079A (ko
Inventor
김현옥
최선
Original Assignee
한전케이디엔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전케이디엔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전케이디엔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949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9291B1/ko
Publication of KR201900120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20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92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92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60Monitoring or controlling charging st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30Constructional details of charging stations
    • B60L53/305Communication interf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60Monitoring or controlling charging stations
    • B60L53/66Data transfer between charging stations and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60Monitoring or controlling charging stations
    • B60L53/67Controlling two or more charging st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66Arrangements for connecting between networks having differing types of switching systems, e.g. gatewa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2Standardisation; Integration
    • H04L41/022Multivendor or multi-standard integr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08Protocols for interworking; Protocol convers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18Multiprotocol handlers, e.g. single devices capable of handling multiple protoco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72Electromobility specific charging systems or methods for batteries, ultracapacitors, supercapacitors or double-layer capaci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2Electric charging st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6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improving the operation of electric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 Remote Monitoring And Control Of Power-Distribution Networks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데이터 분산 서비스를 이용한 전기차 충전 인프라 시스템은, 전기차를 충전시키는 충전기들로부터 동일한 충전기 통신프로토콜 방식들이 적용된 충전기 데이터들을 수신하고, 수신된 상기 충전기 데이터들에 대해 데이터분산서비스(DDS)를 적용하여 외부의 운영 시스템과 DDS(Data Distribution Service) 통신을 수행하는 충전기 게이트웨이(G/W)들을 제공하되, 상기 충전기 게이트웨이(G/W)들은, 상기 운영 시스템의 운영 타입을 고려하여, 지역별로 그루핑(grouping) 하고 지역정보를 세팅한 지역 파티션(Area partition) 형태로 운영할지를 선택하는 기술을 제공함에 기술적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데이터 분산 서비스를 이용한 전기차 충전 인프라 시스템{ELECTRIC VEHICLE CHARGING INFRASTRUCTURE SYSTEM USING DATA DISTRIBUTION SERVICE}
본 발명은 데이터 분산 서비스를 이용한 전기차 충전 인프라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기차를 충전시키는 충전기들로부터 동일한 충전기 통신프로토콜 방식들이 적용된 충전기 데이터들을 수신하고, 수신된 상기 충전기 데이터들에 대해 데이터분산서비스(DDS)를 적용하여 외부의 운영 시스템과 DDS(Data Distribution Service) 통신을 수행하는 충전기 게이트웨이(G/W)들을 제공함으로써, 발간(publisher)/구독(subscriber) 방식의 분산 통신 처리로 인해 실시간으로 대용량의 통신 처리가 가능해지고, 또한 각각의 운영시스템에서 원하는 데이터만 직접 가져오는 방식으로 변경됨으로 인해 데이터 송수신량 및 통신 속도가 향상되고, 통신 실패율도 낮아지는, 데이터 분산 서비스를 이용한 전기차 충전 인프라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전기차(Electric Vehicle, EV)는 가솔린이나 디젤 자동차보다 먼저 제작되었으나, 배터리의 무거운 중량, 충전에 걸리는 시간 등의 문제로 실용화되지 못하다가, 최근 화석 에너지의 고갈과 환경오염으로 인해 화석 에너지를 사용하지 않고 전기 에너지를 이용하는 전기 자동차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이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전기차는 석유 연료와 엔진을 사용하지 않고, 전기 배터리와 전기 모터를 사용하는 즉, 전기를 동력으로 하여 운행하는 자동차이다.
이러한 전기차는 배터리에 충전된 전기로 모터를 회전시켜서 자동차를 구동시키므로 배터리의 충전을 위한 장치가 요구된다.
다만, 최근 기술 발전에 따라 배터리의 용량이 커졌다고는 하나, 여전히 화석에너지를 사용하는 일반적인 자동차들이 주유소에서 주유하듯이 전기차의 배터리도 충전이 필수적이다.
이로 인해, 전기차의 효율적 사용과 사용자 편의를 위하여 충전기의 충전 데이터 및 충전기 정보를 수집하고 제공하는 충전인프라 운영시스템이 존재하여 운영되어 왔다.
현재 충전기와 상위 운영 시스템 간의 통신 프로토콜은 충전기 제조사 및 운영시스템마다 상이하기 때문에, 다양한 충전기의 통신 프로토콜을 수용하기 위해서는 운영시스템이 해당 프로토콜을 처리할 수 있는 기능을 개발해야 한다.
또한 충전기의 통신 프로토콜은 계속적으로 변경 및 신규 개발되고 있어서, 그 때마다 운영시스템의 변경이 불가피하며, 충전기와 운영시스템 간의 통신을 위해서는 서로 접속을 위한 정보(이를테면, IP, 포트 등)를 알아야 하고, 접속정보를 항상 유지 및 관리해야 함으로 인해 운영비용이 높아진다.
최근 전기차 및 충전기의 보급 확대로 인해, 관리 대상 충전인프라가 급속히 증가하고 있어서, 종래 기술에 따른 중앙 집중식인 클라이언트(Client)_서버(Server) 방식의 통신 처리방법으로는 실시간으로 대용량의 충전 데이터를 처리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 기술은 충전기 데이터를 지역별 운영시스템에서 수집하고, 이를 다시 통합 운영시스템으로 전송하는 구조로 인해, 데이터의 송수신량이 많고, 통신대상 구간이 많아 통신 실패의 확률이 높은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0-0130452호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전기차를 충전시키는 충전기들로부터 동일한 충전기 통신프로토콜 방식들이 적용된 충전기 데이터들을 수신하고, 수신된 상기 충전기 데이터들에 대해 데이터분산서비스(DDS)를 적용하여 외부의 운영 시스템과 DDS(Data Distribution Service) 통신을 수행하는 충전기 게이트웨이(G/W)들을 제공함으로써, 발간(publisher)/구독(subscriber) 방식의 분산 통신 처리로 인해 실시간으로 대용량의 통신 처리가 가능해지고, 또한 각각의 운영시스템에서 원하는 데이터만 직접 가져오는 방식으로 변경됨으로 인해 데이터 송수신량 및 통신 속도가 향상되고, 통신 실패율도 낮아지는, 데이터 분산 서비스를 이용한 전기차 충전 인프라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분산 서비스를 이용한 전기차 충전 인프라 시스템은, 전기차를 충전시키는 충전기들로부터 동일한 충전기 통신프로토콜 방식들이 적용된 충전기 데이터들을 수신하고, 수신된 상기 충전기 데이터들에 대해 데이터분산서비스(DDS)를 적용하여 외부의 운영 시스템과 DDS(Data Distribution Service) 통신을 수행하는 충전기 게이트웨이(G/W)들을 제공하되, 상기 충전기 게이트웨이(G/W)들은, 상기 운영 시스템의 운영 타입을 고려하여, 지역별로 그루핑(grouping) 하고 지역정보를 세팅한 지역 파티션(Area partition) 형태로 운영할지를 선택하는 기술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발간(publisher)/구독(subscriber) 방식의 분산 통신 처리로 인해 실시간으로 대용량의 통신 처리가 가능해지고, 또한 각각의 운영시스템에서 원하는 데이터만 직접 가져오는 방식으로 변경됨으로 인해 데이터 송수신량 및 통신 속도가 향상되고, 통신 실패율도 낮아지는 기술적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충전기 게이트웨이(G/W)와 운영 시스템 간의 데이터분산 서비스(DDS)를 이용한 전기차 충전 인프라 통신 방법에 대한 개념을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로, 지역별 충전기 게이트웨이(G/W)의 그루핑을 통한 지역 운영시스템 및 통합 운영시스템의 운영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충전기 게이트웨이(G/W)의 구성을 상세히 나타낸 것이다.
도 4a는 본 발명에 따른 통합 운영시스템의 구성을 상세히 나타낸 것이다.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지역 운영시스템의 구성을 상세히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운영 시스템이 기동할 경우, 통합 운영시스템 또는 지역 운영시스템 별로 데이터분산서비스(DDS)를 통해 충전기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과정을 순서도로 나타낸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충전기 게이트웨이(G/W)와 운영 시스템 간의 데이터분산 서비스(DDS)를 이용한 전기차 충전 인프라 통신 방법에 대한 개념을 나타낸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전기차 그룹(C10), 충전기 그룹(10), 충전기 G/W 그룹(100) 및 운영시스템(200)을 포함한다.
이 경우 전기차 그룹(C10)은 제1 전기차(C10-1) ~ 제n 전기차(C10-n)를 포함하고, 충전기 그룹(10)은 제1 충전기(10-1) ~ 제n 충전기(10-n)를 포함하며, 충전기 게이트웨이(gate way, 이하 'G/W') 그룹(100)은 제1 충전기 G/W(100-1) ~ 제n 충전기 G/W(100-n)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1 전기차(C10-1)는 제1 충전기(10-1)에서 충전을 하며, 이 경우 제1 충전기(10-1)는 제1 통신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제1 충전 데이터를 제1 충전기 G/W(100-1)로 전송하면, 제1 충전기 G/W(100-1)는 수신한 제1 충전 데이터를 DDS(Data Distribution Service) 통신 처리가 가능한 프로토콜(protocol)로 변환한 후 운영시스템(200)으로 전송한다.
마찬가지로, 제n 전기차(C10-n)는 제n 충전기(10-n)에서 충전을 하며, 이 경우 제n 충전기(10-n)는 제n 통신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제n 충전 데이터를 제n 충전기 G/W(100-n)로 전송하면, 제n 충전기 G/W(100-n)는 수신한 제n 충전 데이터를 DDS(Data Distribution Service) 통신 처리가 가능한 프로토콜(protocol)로 변환한 후 운영시스템(200)으로 전송한다.
즉 각각의 제1 충전기 G/W(100-1) ~ 제n 충전기 G/W(100-n)는 제1 충전기(10-1) ~ 제n 충전기(10-n) 각각의 서로 다른 제1 통신프로토콜 ~ 제n 통신프로토콜이 적용된 제1 충전 데이터 ~ 제n 충전 데이터를 수신하며, 수신한 제1 충전 데이터 ~ 제n 충전 데이터를 DDS(Data Distribution Service) 통신 처리가 가능한 프로토콜(protocol)로 변환한 후 운영시스템(200)으로 전송한다.
이를 부연설명하면, 충전기 G/W 그룹(100)은 서로 다른 종류의 통신프로토콜의 개수에 상응하여 그 개수만큼 충전기 G/W의 설치가 필요하며, 만일 지역별로 설치된 충전소들이 동일한 종류의 통신프로토콜을 사용하는 경우, 이를 하나의 지역으로 그루핑(grouping)하고, 이를 처리할 충전기 G/W를 설치하면 되는데, 이에 대한 구체적인 실시예는 도2에서 후술한다.
운영시스템(200)은 제1 충전기(10-1) ~ 제n 충전기(10-n)로부터 제1 충전 데이터 ~ 제n 충전 데이터를 제1 충전기 G/W(100-1) ~ 제n 충전기 G/W(100-n)를 통해 수집하고, 수집된 충전 데이터를 토대로 전기차 충전 서비스에 관련된 각종 명령들을 처리 및 운영하는데, 이 경우 운영시스템(200)은 수집된 전체 충전 데이터들을 처리하기 위한 통합 운영시스템(210)과, 지역별로 수집된 충전 데이터들을 처리하기 위한 지역 운영시스템(220)으로 구분하여 운영할 수 있는데, 이들 각각의 구성 및 기능에 대해서는 도 4a 및 도 4b에서 후술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로, 지역별 충전기 게이트웨이(G/W)의 그루핑을 통한 지역 운영시스템 및 통합 운영시스템의 운영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것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우선 본 발명은 제1 지역에 설치되고, 그루핑(grouping) 된 충전기_A G/W(100-1) 및 충전기_B G/W(100-2)와, 상기 충전기_A G/W(100-1) 및 상기 충전기_B G/W(100-2)를 운영하기 위한 제1 지역 운영시스템(220-1)을 포함한다.
여기서 충전기_A G/W(100-1)는 A사 충전기(1개 또는 2개 이상 가능)로부터 A 통신프로토콜을 수신하고, 충전기_B G/W(100-2)는 B사 충전기(1개 또는 2개 이상 가능)로부터 B 통신프로토콜을 수신한다고 가정한다.
이 경우 충전기_A G/W(100-1) 및 충전기_B G/W(100-2)는 각각의 도메인 정보(ID)와, 지역별로 그루핑(grouping) 된 지역 파티션(Area partition)에 대한 지역 코드 정보로 제1 지역 파티션(310)을 동일하게 설정하면, 제1 지역 운영시스템(220-1)도 마찬가지로 상기 도메인 정보(ID) 및 상기 지역 코드 정보를 설정하고, 시스템을 기동함으로써, 특정지역(제1 지역)으로 그루핑(grouping) 된 충전기 게이트웨이(G/W)들을 관리할 수 있게 된다.
이를 부연설명하면, 제1 지역 운영시스템(220-1)은 DDS 도메인(300)의 제1 지역 파티션(310)을 통해 충전기_A G/W(100-1)에서 발간(publisher) 된 충전기 데이터_A(311) 및 충전기_B G/W(100-2)에서 발행된 충전기 데이터_B(312)를 구독(subscriber)할 수 있으며, 마찬가지로 충전기_A G/W(100-1) 및 충전기_B G/W(100-2)는 DDS 도메인(300)의 제1 지역 파티션(310)을 통해 제1 지역 운영시스템(220-1)에서 발간(publisher) 된 제1 지역 운영시스템 데이터(313)를 구독(subscriber)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제2 지역에 설치되고, 그루핑(grouping) 된 충전기_C G/W(100-3) ~ 충전기_N G/W(100-4)와, 상기 충전기_C G/W(100-3) ~ 상기 충전기_N G/W(100-4)를 운영하기 위한 제2 지역 운영시스템(220-2)을 포함한다.
여기서 충전기_C G/W(100-3)는 C사 충전기(1개 또는 2개 이상 가능)로부터 C 통신프로토콜을 수신하고, 충전기_N G/W(100-4)는 N사 충전기(1개 또는 2개 이상 가능)로부터 N 통신프로토콜을 수신한다고 가정한다.
이 경우 앞의 제1 지역에 설치되고 운영되는 방식과 동일하게, 충전기_C G/W(100-3) ~ 충전기_N G/W(100-4)는 각각의 도메인 정보(ID) 및 지역별로 그루핑(grouping) 된 지역 파티션(Area partition)에 대한 지역 코드 정보로 제2 지역 파티션(320)을 동일하게 설정하면, 제2 지역 운영시스템(220-2)도 마찬가지로 상기 도메인 정보(ID) 및 상기 지역 코드 정보(Area Partition)를 설정하고, 시스템을 기동함으로써, 특정지역(제2 지역)으로 그루핑(grouping) 된 충전기 게이트웨이(G/W)들을 관리할 수 있게 된다.
이를 부연설명하면, 제2 지역 운영시스템(220-2)은 DDS 도메인(300)의 제2 지역 파티션(320)을 통해 충전기_C G/W(100-3)에서 발간(publisher) 된 충전기 데이터_C(321)와, 기타 충전기_N G/W(100-4)에서 발간(publisher) 된 충전기 데이터_N(322)을 구독(subscriber) 할 수 있으며, 마찬가지로 충전기_C G/W(100-3) ~ 충전기_N G/W(100-4)는 DDS 도메인(300)의 제2 지역 파티션(320)을 통해 제2 지역 운영시스템(220-2)에서 발간(publisher) 된 제2 지역 운영시스템 데이터(323)를 구독(subscriber)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지역별로 설치된 상기 충전기_A G/W(100-1) ~ 상기 충전기_N G/W(100-4) 전체를 통합적으로 운영하기 위한 통합 운영시스템(210)을 포함한다.
이 경우 통합 운영시스템(210)은 전국 또는 광역 단위로 설치되어 전국 또는 광역 단위에 설치된 충전기를 관리 및 운영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제1 지역 운영시스템(220-1) 및 상기 제2 지역 운영시스템(220-2)과 달리, 지역별 충전기 연결을 위한 지역 코드 정보(Area Partition)를 설정할 필요가 없고, 단지 충전기 게이트웨이(G/W)들 각각의 도메인 정보(ID) 만을 설정함으로써, 전체 충전기들의 정보를 수집할 수 있게 된다.
이를 부연설명하면, 통합 운영시스템(210)은 충전기_A G/W(100-1), 충전기_B G/W(100-2), 충전기_C G/W(100-3) ~ 충전기_N G/W(100-4) 각각의 도메인 정보(ID)를 설정함으로써, DDS 도메인(300)을 통해 충전기_A G/W(100-1), 충전기_B G/W(100-2), 충전기_C G/W(100-3) ~ 충전기_N G/W(100-4)가 각각 발간(publisher) 한 충전기 데이터_A(311), 충전기 데이터_B(312), 충전기 데이터_C(321) ~ 충전기 데이터_N(322)을 구독(subscriber) 할 수 있으며, 마찬가지로, 충전기_A G/W(100-1), 충전기_B G/W(100-2), 충전기_C G/W(100-3) ~ 충전기_N G/W(100-4)는 통합 운영시스템(210)에서 발간(publisher) 한 통합 운영시스템 데이터(333)를 구독(subscriber) 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통합 운영시스템(210) 및 지역 운영시스템(220)을 하나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에서 도메인 정보(ID), 또는 도메인 정보(ID)와 지역별로 그루핑(grouping) 된 지역 파티션(Area partition)에 대한 지역 코드 정보의 설정만을 이용하여 해당 충전기들과 DDS(Data Distribution Service) 통신 및 데이터 모니터링 등을 구현할 수 있게 되는데,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이하 도 3 ~ 도 5에서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충전기 게이트웨이(G/W)의 구성을 상세히 나타낸 것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충전기 게이트웨이(G/W, 100)는 충전기 통신프로토콜 처리부(110), 통신프로토콜 변환부(120), DDS 통신 엔진부(130), 충전기 데이터 타입처리부(140), 운영시스템 데이터 타입처리부(150), 서비스품질(QoS) 관리부(160) 및 통신로그 기록부(170)를 포함한다.
충전기 통신프로토콜 처리부(110)는 지역별로 설치된 충전기들로부터 다양한 종류의 충전기 프로토콜 데이터를 수신한다.
통신프로토콜 변환부(120)는 상기 충전기 통신프로토콜 처리부(110)에서 수신한 다양한 종류의 충전기 프로토콜 데이터를 DDS(Data Distribution Service) 통신 처리가 가능하도록 변환시킨다.
DDS 통신 엔진부(130)는 외부의 운영 시스템(200)과 DDS(Data Distribution Service) 통신을 구현하기 위한 엔진으로서, DCPS 부(131) 및 RTPS 부(132)를 포함한다.
여기서, DCPS(Data-Centric Publish-Subscribe) 부(131)는 응용 프로그램에 제공되는 데이터 발간(publisher)/구독(subscriber)을 위한 인터페이스로써, 이 계층을 통해 응용 프로그램은 데이터를 교환할 상대에 대한 인지 없이 원하는 데이터의 발간(publisher)/구독(subscriber) 만을 수행하게 된다.
RTPS(Real Time Publish-Subscribe) 부(132)는 분산된 DDS 어플리케이션 사이의 데이터 전송 프로토콜로써, OMG에 의해 표준화된 데이터 중심 배포 서비스를 가능케 해준다.
충전기 데이터 타입처리부(140)는 충전기 데이터를 운영 시스템(200)으로 전송(발간)하기 위해 것으로써, 운영시스템(200)의 운영 형태 즉 통합 운영시스템(210) 또는 지역 운영시스템(220)에 따라 설정되는 타입을 결정한다.
이를테면, 앞의 도 2에서 설명 한 바대로, 충전기 게이트웨이(G/W)들이 발간한 충전 데이터를 통합 운영시스템(210)으로 전송하기 위해서는 충전기 게이트웨이(G/W)들의 도메인 정보(ID) 만을 설정하면 되지만, 충전기 게이트웨이(G/W)들이 발간한 충전 데이터를 지역 운영시스템(220)으로 전송하기 위해서는 충전기 게이트웨이(G/W)들의 도메인 정보(ID) 및 각각의 지역별 충전기 연결을 위한 지역 코드 정보(Area Partition)(이를테면, 제1 지역 파티션, 제2 지역 파티션)를 설정하면 된다.
운영시스템 데이터 타입처리부(150)는 외부의 운영 시스템(200)에서 전송(발간)한 데이터를 수신(구독) 하기 위한 것으로써, 운영 시스템(200)의 운영 형태 즉 통합 운영시스템(210) 또는 지역 운영시스템(220) 인지를 고려하여 데이터 설정 타입을 결정한다.
이를테면, 앞의 도 2에서 설명 한 바대로, 통합 운영시스템(210)에서 발간된 통합 운영시스템 데이터(333)를 구독하기 위해서, 각각의 충전기 게이트웨이(G/W)들은 도메인 정보(ID) 만을 설정하면 되지만, 지역 운영시스템(220)에서 발간된 지역 운영시스템 데이터(313, 323)를 구독하기 위해서 각각의 충전기 게이트웨이(G/W)들은 도메인 정보(ID) 및 지역 파티션(310, 320)을 설정하면 된다.
서비스품질(QoS) 관리부(160)는 충전기 게이트웨이(G/W)와 운영 시스템(200) 간에 데이터의 발간(publisher) 및 구독(subscriber) 시 데이터들의 서비스품질(QoS)의 설정(입력) 및 관리(수정) 한다.
통신로그 기록부(170)는 충전기 게이트웨이(G/W)와 운영 시스템(200) 간의 통신 로그(log) 이력 정보를 기록 및 관리한다.
도 4a는 본 발명에 따른 통합 운영시스템의 구성을 상세히 나타낸 것이다.
도 4a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통합 운영시스템(210)은 통합 연결부(211), DDS 통신 엔진부(212), 통합운영시스템 데이터 타입처리부(213), 충전기 데이터 타입처리부(214), 충전기 G/W 모니터링부(215), 서비스품질(QoS) 관리부(216), 전체 데이터 처리부(217), 전체 데이터 저장부(218) 및 전체 데이터 표시부(219)를 포함한다.
통합 연결부(211)는 충전기 게이트웨이(G/W)들 전체를 도메인 정보(ID)로 그루핑(grouping) 함으로써, 전체 충전기 게이트웨이(G/W)들 각각에 연결할 수 있도록 해준다.
DDS 통신 엔진부(212)는 전체 충전기 게이트웨이(G/W)들과 DDS(Data Distribution Service) 통신을 구현하기 위한 엔진으로서, DCPS 부(212a) 및 RTPS 부(212b)를 포함하는데, 이들 각각의 기능은 도 3에서 설명한 바 있으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통합운영시스템 데이터 타입처리부(213)는 전체 충전기 게이트웨이(G/W)들로 통합운영시스템 데이터를 전송(발간) 하기 위해 데이터 타입을 DDS 형태로 처리한다.
즉 통합운영시스템 데이터 타입처리부(213)는 충전기로 충전기 제어 등과 같은 데이터를 전송(발간)하기 위해, 데이터분산서비스(DDS) 방식에 따라 데이터 타입을 처리하고, 토픽(topic)을 생성한다.
이를테면, 통합 운영시스템(210)의 통합운영시스템 데이터 타입처리부(213)를 통해 통합운영시스템 데이터(333)를 전송(발간) 하면, 충전기 게이트웨이(G/W, 100)의 운영시스템 데이터 타입처리부(150)는 전송(발간)된 통합운영시스템 데이터(333)를 수신(구독) 한다. (도 2 참조)
충전기 데이터 타입처리부(214)는 전체 충전기 게이트웨이(G/W)들로부터 전송(발간)된 충전기 데이터들을 수신(구독) 하기 데이터 타입을 DDS 형태로 처리한다.
즉 충전기 데이터 타입처리부(214)는 전체 충전기 게이트웨이(G/W)들로부터 전체 충전기 데이터를 수집하기 위해, 데이터분산서비스(DDS) 방식에 따라 충전기 데이터 타입을 처리하고, 토픽(topic)을 생성한다.
이를테면, 충전기 게이트웨이(G/W, 100)의 충전기 데이터 타입처리부(140)를 통해 전체 충전기 데이터(311, 312, 321, 322)를 전송(발간) 하면, 통합 운영시스템(210)의 충전기 데이터 타입처리부(214)는 전송(발간)된 전체 충전기 데이터(311, 312, 321, 322)를 수신(구독) 한다. (도 2 참조)
충전기 G/W 모니터링부(215)는 전체 충전기 게이트웨이(G/W) 들의 데이터 발간(publisher)/구독(subscriber) 상태정보를 확인 및 관리해 준다.
서비스품질(QoS) 관리부(216)는 전체 충전기 게이트웨이(G/W)들과 통합 운영시스템(210) 간에 DDS(Data Distribution Service) 통신 시 서비스품질(QoS) 정보를 입력 또는 수정할 수 있도록 해준다.
전체 데이터 처리부(217)는 전체 충전기 게이트웨이(G/W)들로부터 수신한 전체 충전기 데이터들을 데이터분산서비스(DDS) 방식에 맞게 데이터 처리해 준다.
전체 데이터 저장부(218)는 상기 전체 데이터 처리부(217)를 통해 처리된 각종 전체 충전기 데이터들을 내부 메모리에 저장한다.
전체 데이터 표시부(219)는 전체 충전기 게이트웨이(G/W)들로부터 수신한 전체 충전기 데이터들을 화면에 디스플레이 함으로써, 관리자가 전체 충전기 정보를 통합하여 모니터링 할 수 있도록 해준다.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지역 운영시스템의 구성을 상세히 나타낸 것이다.
도 4b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지역 운영시스템(220)은 지역 연결부(221), DDS 통신 엔진부(222), 지역운영시스템 데이터 타입처리부(223), 충전기 데이터 타입처리부(224), 충전기 G/W 모니터링부(225), 서비스품질(QoS) 관리부(226), 지역 데이터 처리부(227), 지역 데이터 저장부(228) 및 지역 데이터 표시부(229)를 포함한다.
이 경우 지역 운영시스템(220)은 도 2에 도시된 바대로, 제1 지역 운영시스템(220-1) 및 제2 지역 운영시스템(220-2)을 포함할 수 있고, 앞에서 설명한 도 4a의 통합 운영시스템(210)의 구성과 대동소이함으로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지역 연결부(221)는 지역별 충전기 게이트웨이(G/W)들을 지역 파티션(Area partition)으로 각각 그루핑(grouping)하고, 각각의 지역 파티션(Area partition)을 통해 지역별 충전기 게이트웨이(G/W)들에 연결할 수 있도록 해준다.
DDS 통신 엔진부(222)는 지역별 충전기 게이트웨이(G/W)들과 DDS(Data Distribution Service) 통신을 구현하기 위한 엔진으로서, DCPS 부(222a) 및 RTPS 부(222b)를 포함하는데, 이들 각각의 기능은 도 3에서 설명한 바 있으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지역운영시스템 데이터 타입처리부(223)는 지역별 충전기 게이트웨이(G/W)들로 지역 운영시스템 데이터를 전송(발간) 하기 위해 데이터 타입을 DDS 형태로 처리하는데, 이는 도 4a에서 이미 설명한 통합운영시스템 데이터 타입처리부(213)의 기능과 대동소이함으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충전기 데이터 타입처리부(224)는 지역별 충전기 게이트웨이(G/W)들로부터 전송(발간)된 충전기 데이터들을 수신(구독) 하기 위해, 데이터 타입을 DDS 형태로 처리하는데, 이는 도 4a에서 이미 설명한 충전기 데이터 타입처리부(214)의 기능과 대동소이함으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충전기 G/W 모니터링부(225)는 지역별 충전기 게이트웨이(G/W)들의 데이터 발간(publisher)/구독(subscriber) 상태정보를 확인 및 관리해 준다.
서비스품질(QoS) 관리부(226)는 지역별 충전기 게이트웨이(G/W)와 지역 운영시스템(220) 간에 DDS(Data Distribution Service) 통신 시 서비스품질(QoS) 정보를 입력 또는 수정할 수 있도록 해준다.
지역 데이터 처리부(227)는 지역별 충전기 게이트웨이(G/W)들로부터 수신한 지역 충전기 데이터들을 데이터분산서비스(DDS) 방식에 맞게 데이터 처리해 준다.
지역 데이터 저장부(228)는 상기 지역 데이터 처리부(227)를 통해 처리된 각종 지역 충전기 데이터들을 내부 메모리에 저장한다.
지역 데이터 표시부(229)는 지역별 충전기 게이트웨이(G/W)들로부터 수신한 지역 충전기 데이터들을 화면에 디스플레이 함으로써, 관리자가 지역별 충전기 정보를 통합하여 모니터링 할 수 있도록 해준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운영 시스템이 기동할 경우, 통합 운영시스템 또는 지역 운영시스템 별로 데이터분산서비스(DDS)를 통해 충전기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과정을 순서도로 나타낸 것이다.
이하 도 1 ~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운영 시스템(200)이 기동할 경우, 통합 운영시스템(210) 또는 지역 운영시스템 별(220-1, 220-2)로 데이터분산서비스(DDS)를 통해 충전기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우선 운영 시스템(200)은 외부의 충전기 게이트웨이(G/W, 100)와 DDS(Data Distribution Service) 통신 시 통신 서비스품질(QoS)을 확인하고, 필요시 통신 서비스품질(QoS)의 등급을 변경하는 제1 과정(S10)을 갖는다.
다음으로, 운영 시스템(200)의 설정 타입이 통합형 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2 과정(S20)을 갖는다.
만일 제2 과정(S20)에서 운영 시스템(200)의 설정 타입이 통합형이라고 판단한 경우(예), 통합 운영시스템(210)의 통합 연결부(211)를 기동하여 전체 충전기 데이터의 수집을 위해, 전체 충전기 게이트웨이(G/W)들에 연결하는 제3 과정(S30)을 갖는다.
반면 만일 제2 과정(S20)에서 운영 시스템(200)의 설정 타입이 통합형이 아니라고 판단한 경우(아니오), 즉 운영 시스템(200)이 지역 운영시스템(220)인 경우, 지역 운영시스템(220)의 지역 연결부(221)를 기동하여 지역 충전기 데이터의 수집을 위해, 지역별 충전기 게이트웨이(G/W)들에 연결하는 제4 과정(S40)을 갖는다.
한편, 통합 운영시스템(210) 또는 지역 운영시스템(220)은 발간(publisher) 및 구독(subscriber) 과정을 통해 데이터분산서비스(DDS)를 구현하는데, 이하 각각의 과정(S50 ~ S100)에 대해 설명한다.
다음으로, 통합 운영시스템(210)의 통합운영시스템 데이터 타입처리부(213)를 기동하여 전체 충전기 게이트웨이(G/W)들로 전송 대상 데이터를 발간하거나, 또는 지역 운영시스템(220)의 지역운영시스템 데이터 타입처리부(223)를 기동하여 지역별 충전기 게이트웨이(G/W)들로 전송 대상 데이터를 발간하는 제5 과정(S50)을 갖는다.
또한, 통합 운영시스템(210)의 충전기 데이터 타입처리부(214)를 기동하여 전체 충전기 게이트웨이(G/W)들로부터 발간된 수신 대상 데이터를 구독하거나, 또는 지역 운영시스템(220)의 충전기 데이터 타입처리부(224)를 기동하여 지역별 충전기 게이트웨이(G/W)들로부터 발간된 수신 대상 데이터를 구독하는 제6 과정(S60)을 갖는다.
다음으로, 통합 운영시스템(210) 또는 지역 운영시스템(220)은 상기 제5 과정(S50)을 통해 발간(전송)한 데이터 및 상기 제6 과정(S60)을 통해 구독(수신)한 데이터 즉 송수신 데이터의 이력을 관리하는 제7 과정(S70)을 갖는다.
한편, 상기 제6 과정(S60) 이후에, 통합 운영시스템(210)의 전체 데이터 처리부(217)를 기동하여 수신된 전체 데이터를 가공 처리하거나, 또는 지역 운영시스템(220)의 지역 데이터 처리부(227)를 기동하여 수신된 지역 데이터를 가공 처리하는 제8 과정(S80)을 갖는다.
다음으로, 통합 운영시스템(210)의 전체 데이터 저장부(218)를 기동하여 수신된 전체 데이터를 저장 처리하거나, 또는 지역 운영시스템(220)의 지역 데이터 저장부(228)를 기동하여 수신된 지역 데이터를 저장 처리하는 제9 과정(S90)을 갖는다.
마지막으로, 통합 운영시스템(210)의 전체 데이터 표시부(219)를 기동하여 수신된 전체 데이터를 표시 처리하거나, 또는 지역 운영시스템(220)의 지역 데이터 표시부(229)를 기동하여 수신된 지역 데이터를 표시 처리하는 제10 과정(S100)을 갖는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 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
C10 : 전기차 그룹
C10-1 ~ C10-n : 제1 전기차 ~ 제n 전기차
10 : 충전기 그룹
10-1 ~ 10-n : 제1 충전기 ~ 제n 충전기
100 : 충전기 게이트웨이(G/W) 그룹
100-1 ~ 100-n : 제1 충전기 G/W ~ 제n 충전기 G/W
200 : 운영 시스템
210 : 통합 운영 시스템
220 : 지역 운영 시스템
220-1 : 제1 지역 운영 시스템
220-2 : 제2 지역 운영 시스템

Claims (6)

  1. 충전기 게이트웨이(G/W)들을 제공하되, 충전기 게이트웨이(G/W)들은, 운영 시스템의 운영 타입을 고려하여, 지역별로 그루핑 하고 지역정보를 세팅한 지역 파티션 형태로 운영할지를 선택하는 것으로;
    충전기 게이트웨이들은, 운영 시스템의 운영 타입이 지역 운영시스템인 경우, 각각의 충전기 게이트웨이들에 대한 도메인 정보 및 지역별로 그루핑 된 지역 파티션을 지역 코드 정보로 설정하며, 지역 운영시스템은 지역별 충전기 게이트웨이들을 지역 파티션으로 각각 그루핑하고, 각각의 지역 파티션을 통해 지역별 충전기 게이트웨이들에 연결할 수 있도록 해주는 지역 연결부; 지역별 충전기 게이트웨이들과 DDS 통신을 구현하기 위해 DCPS 부 및 RTPS 부를 제공하는 DDS 통신 엔진부; 지역별 충전기 게이트웨이들로 지역 운영시스템 데이터를 발간하기 위해 데이터 타입을 DDS 형태로 처리하는 지역운영시스템 데이터 타입처리부; 지역별 충전기 게이트웨이들로부터 발간 된 충전기 데이터들을 구독하기 위해 데이터 타입을 DDS 형태로 처리하는 충전기 데이터 타입처리부; 및 지역별 충전기 게이트웨이들의 데이터 발간 또는 구독 상태정보를 확인 및 관리해 주는 충전기 G/W 모니터링부를 포함하고; 제1 지역 운영시스템은 DDS 도메인의 제1 지역 파티션을 통해 충전기_A G/W에서 발간 된 충전기 데이터_A 및 충전기_B G/W에서 발행된 충전기 데이터_B를 구독할 수 있으며, 마찬가지로 충전기_A G/W 및 충전기_B G/W는 DDS 도메인의 제1 지역 파티션을 통해 제1 지역 운영시스템에서 발간된 제1 지역 운영시스템 데이터를 구독할 수 있게 되고, 제2 지역 운영시스템은 DDS 도메인의 제2 지역 파티션을 통해 충전기_C G/W에서 발간된 충전기 데이터_C와, 기타 충전기_N G/W에서 발간된 충전기 데이터_N을 구독할 수 있으며, 마찬가지로 충전기_C G/W ~ 충전기_N G/W는 DDS 도메인의 제2 지역 파티션을 통해 제2 지역 운영시스템에서 발간된 제2 지역 운영시스템 데이터를 구독할 수 있고;
    충전기 게이트웨이들은, 운영 시스템의 운영 타입이 통합 운영시스템인 경우, 각각의 충전기 게이트웨이들에 대한 도메인 정보 만을 설정하는 것으로, 통합 운영시스템은, 충전기 게이트웨이들 전체를 도메인 정보로 그루핑 하여 충전기 게이트웨이들 각각에 연결할 수 있도록 해주는 통합 연결부; 전체 충전기 게이트웨이들과 DDS 통신을 구현하기 위해 DCPS 부 및 RTPS 부를 제공하는 DDS 통신 엔진부; 전체 충전기 게이트웨이들로 통합운영시스템 데이터를 발간하기 위해 데이터 타입을 DDS 형태로 처리하는 통합운영시스템 데이터 타입처리부; 전체 충전기 게이트웨이들로부터 발간된 충전기 데이터들을 구독하기 위해 데이터 타입을 DDS 형태로 처리하는 충전기 데이터 타입처리부; 및 전체 충전기 게이트웨이 들의 데이터 발간 또는 구독 상태정보를 확인 및 관리해 주는 충전기 G/W 모니터링부를 포함하고;
    통합 운영시스템은 충전기_A G/W, 충전기_B G/W, 충전기_C G/W ~ 충전기_N G/W 각각의 도메인 정보를 설정함으로써, DDS 도메인을 통해 충전기_A G/W, 충전기_B G/W, 충전기_C G/W ~ 충전기_N G/W가 각각 발간한 충전기 데이터_A, 충전기 데이터_B, 충전기 데이터_C ~ 충전기 데이터_N을 구독할 수 있으며, 마찬가지로, 충전기_A G/W, 충전기_B G/W, 충전기_C G/W ~ 충전기_N G/W는 통합 운영시스템에서 발간한 통합 운영시스템 데이터를 구독할 수 있게 되는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분산 서비스를 이용한 전기차 충전 인프라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기 게이트웨이(G/W)들은,
    지역별로 설치된 충전기들로부터 다양한 종류의 충전기 프로토콜 데이터를 수신하는 충전기 통신프로토콜 처리부;
    상기 충전기 통신프로토콜 처리부에서 수신한 다양한 종류의 충전기 프로토콜 데이터를 DDS(Data Distribution Service) 통신 처리가 가능하도록 변환시키는 통신프로토콜 변환부;
    외부의 운영 시스템과 DDS(Data Distribution Service) 통신을 구현하기 위해 DCPS(Data-Centric Publish-Subscribe) 부 및 RTPS(Real Time Publish-Subscribe) 부를 제공하는 DDS 통신 엔진부;
    상기 통신프로토콜 변환부를 통해 변환된 충전기 데이터를 외부의 운영 시스템으로 발간(publisher) 시키도록 해주는 충전기 데이터 타입처리부; 및
    외부의 운영 시스템에서 발간(publisher) 된 데이터를 구독(subscriber) 하도록 해주는 운영시스템 데이터 타입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분산 서비스를 이용한 전기차 충전 인프라 시스템.
  5. 삭제
  6. 삭제
KR1020170094991A 2017-07-26 2017-07-26 데이터 분산 서비스를 이용한 전기차 충전 인프라 시스템 KR1019992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4991A KR101999291B1 (ko) 2017-07-26 2017-07-26 데이터 분산 서비스를 이용한 전기차 충전 인프라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4991A KR101999291B1 (ko) 2017-07-26 2017-07-26 데이터 분산 서비스를 이용한 전기차 충전 인프라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2079A KR20190012079A (ko) 2019-02-08
KR101999291B1 true KR101999291B1 (ko) 2019-07-11

Family

ID=653653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4991A KR101999291B1 (ko) 2017-07-26 2017-07-26 데이터 분산 서비스를 이용한 전기차 충전 인프라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9929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529883B2 (en) 2019-07-29 2022-12-20 Lg Electronics Inc. Electric vehicle charging system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971618A (zh) * 2019-12-31 2020-04-07 重庆国翰能源发展有限公司 一种基于充电机和电池管理系统的充电方法
KR20240000161A (ko) * 2022-06-23 2024-01-02 주식회사 케이티 Dds 통신 방법, 장치 및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6582B1 (ko) * 2015-10-26 2017-03-14 현대오토에버 주식회사 데이터 중심 통신 기반의 통합 처리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5684B1 (ko) 2009-06-03 2012-01-13 한전케이디엔주식회사 충전 부하 분산 알고리즘을 포함하는 전기 자동차의 충전소 관리 시스템
KR20110070447A (ko) * 2009-12-18 2011-06-24 주식회사 케이티 데이터 분배 서비스에서 통신 참여자의 분산 발견 방법
KR101413295B1 (ko) * 2010-11-04 2014-06-3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확장성과 적응성을 가지는 dds 구조 및 dds를 구성하는 노드
KR20130089711A (ko) * 2011-12-29 2013-08-13 주식회사 효성 충전 에이전트 기반의 전기차 충전시스템
KR20170062253A (ko) * 2015-11-27 2017-06-07 한전케이디엔주식회사 다양한 프로토콜 지원이 가능한 전기차 충전 인프라 통신 데이터 처리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6582B1 (ko) * 2015-10-26 2017-03-14 현대오토에버 주식회사 데이터 중심 통신 기반의 통합 처리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529883B2 (en) 2019-07-29 2022-12-20 Lg Electronics Inc. Electric vehicle charging system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2079A (ko) 2019-0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99291B1 (ko) 데이터 분산 서비스를 이용한 전기차 충전 인프라 시스템
CN105450762A (zh) 一种车联网装置、云平台及系统
JP2015111863A (ja) 電力線通信システム及び方法
CN104569842A (zh) 车辆监控管理系统及车载智能采集终端
CN110599023B (zh) 一种电动车群组的换电调度方法和云管理服务器
US10491670B2 (en) Method for lowering an energy demand of a vehicle
CN109141448A (zh) 一种电动车充电站搜索方法及智能车载终端
CN104104584A (zh) 车辆信息提供系统
CN103391316A (zh) 车辆远程端、客户端监控方法和装置及车辆远程监控系统
CN116760822A (zh) 一种物联网设备文件传输方法、系统及装置
KR101859067B1 (ko) 전기자동차 정보 관리 시스템
KR102069840B1 (ko) L4 스위치를 이용한 전기차 충전 인프라 분산처리 시스템
KR20210056734A (ko) Ocpp 프로토콜을 적용한 전기 자동차 충전 인프라 운영 관리 시스템 및 이의 실행 방법
CN103731324A (zh) 一种多路实时并发充电数据的模拟发生方法及装置
CN109003432A (zh) 基于电力线载波通信系统的信息抄读方法
JP2011121425A (ja) 車載制御システム、無線通信システム、車載制御システムの制御方法、及び統合通信ecu
KR20170022274A (ko) 실시간 충전 데이터 모니터링 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 및 시스템
KR102471244B1 (ko) 전기차 대리 충전 서비스 제공 방법
CN104737560A (zh) 通信设备、服务提供设备、服务器以及存储介质
CN104701581A (zh) 用于更新电池模块结构中的模块信息的方法
CN116208335A (zh) 车辆数据的管理方法、装置、服务器、存储介质
Andrews et al. Implementing an Iot Vehicular Diagnostics System Under an Rtos Environment Over Ethernet IP.
US10796502B2 (en) Managed vehicle data delivery
KR102435830B1 (ko) 네트워크 인프라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데이터 공유 및 서비스 최적화를 위한 데이터 처리 방법
CN109344184A (zh) 用于数据转换的自动化处理方法及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